WO2012043920A1 - 생약 추출물 또는 이의 유산균 발효물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생약 추출물 또는 이의 유산균 발효물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2043920A1
WO2012043920A1 PCT/KR2010/007523 KR2010007523W WO2012043920A1 WO 2012043920 A1 WO2012043920 A1 WO 2012043920A1 KR 2010007523 W KR2010007523 W KR 2010007523W WO 2012043920 A1 WO2012043920 A1 WO 2012043920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atopic dermatitis
herbal extract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0/007523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마진열
정태호
임가영
김동선
엄영란
음현애
이재훈
최성업
조병헌
Original Assignee
한국 한의학 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 한의학 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 한의학 연구원
Priority to CN201080069308.1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3228287B/zh
Priority to EP10857921.0A priority patent/EP2623108B1/en
Priority to US13/825,839 priority patent/US9295704B2/en
Priority to JP2013530081A priority patent/JP5881186B2/ja
Publication of WO2012043920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2043920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61K36/232Angeli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61K36/234Cnidium (snowparsle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61K36/238Saposhnikov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61K36/258Panax (ginse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9Berberidaceae (Barberry family), e.g. barberry, cohosh or mayapple
    • A61K36/296Epimediu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0Boraginaceae (Borage family), e.g. comfrey, lungwort or forget-me-no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5Caprifoliaceae (Honeysuckle family)
    • A61K36/355Lonicera (honeysuck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2Cucurbitaceae (Cucumber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61K36/484Glycyrrhiza (licor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61K36/489Sophora, e.g. necklacepod or mamani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3Oleaceae (Olive family), e.g. jasmine, lilac or ash tre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3Oleaceae (Olive family), e.g. jasmine, lilac or ash tree
    • A61K36/634Forsyth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0Polygonaceae (Buckwheat family), e.g. spineflower or do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2Rhamnaceae (Buckthorn family), e.g. buckthorn, chewstick or umbrella-tree
    • A61K36/725Ziziphus, e.g. jujub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8Saururaceae (Lizard's-tail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0Scrophulariaceae (Figwort family)
    • A61K36/808Scrophularia (figwor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23V2250/2124Ginse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10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 A61K2236/19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involving fermentation using yeast, bacteria or both; enzymatic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1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water, e.g. cold water, infusion, tea, steam distillation, deco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5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fermentation, e.g. yoghurt, beer, wi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rd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Immun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smetic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고삼, 감초, 금은화, 당귀, 독활, 목향, 방풍, 산조인, 어성초, 연교, 우방자, 음양곽, 인삼, 자근, 지유, 천궁, 현삼 및 호장근을 포함하는 생약 혼합물의 추출물 또는 상기 생약 추출물에 유산균을 접종하여 발효시킴으로써 제조되는 생약 추출물의 유산균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식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생약 추출물 또는 생약 추출물의 발효물은 아토피 피부염에 대한 실험동물 모델에서 긁는 횟수가 감소하고, 홍반, 가려움과 피부건조, 부종과 혈종, 짓무름 및 태선화와 같은 아토피 증상의 임상 특성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며, 또한 외인성 아토피 피부염과 관련이 있는 혈중 IgE의 농도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으므로,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및/또는 치료용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생약 추출물 또는 이의 유산균 발효물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본 발명은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고삼, 감초, 금은화, 당귀, 독활, 목향, 방풍, 산조인, 어성초, 연교, 우방자, 음양곽, 인삼, 자근, 지유, 천궁, 현삼 및 호장근을 포함하는 생약 혼합물의 추출물 또는 이의 유산균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며,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및/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아토피(atopy)는 1925년 코카(Coca)가 선천적으로 음식물과 흡입성 물질에 대한 알레르기 반응의 결과로 피부염이나 천식, 고초열이 나타나는 경향을 아토피라고 기술한 이후부터 쓰이게 된 피부질환으로서, 아토피성 질환에는 아토피 피부염 이외에 천식, 알레르기성 비염, 알레르기성 결막염 등이 있다. 아토피는 알러지 반응을 수반하며 이 중 아토피 피부염은 만성 혹은 재발성 피부염으로, 피부 병변의 특징적인 모양 및 분포와 개인 혹은 가족의 아토피 병력을 가지는 즉, 아토피성 체질(유전적 소인)을 타고난 경우에 발생하는 매우 흔한 피부 질환이다. 대개 아토피 피부염은 영, 유아기, 특히 생후 2개월 전후에 시작되는데, 이 중 약 50%가 생후 2세 이전에 발생하고, 거의 5세 이전에 증상이 나타나는 반면 성인에서 처음 증상이 나타나는 예는 극히 드물다. 대부분 성장과 더불어 증상이 완화되거나 사라지며 유아기 발생 환자의 절반 이상이 2세 전에 호전된다. 현재 일반인의 0.7%, 5세 이하 소아의 3-5%가 아토피 피부염을 앓고 있으며, 환경적인 요인으로 인하여 매년 그 숫자가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아토피 피부염은 심한 가려움을 동반한 홍반성 구진과 인설로 시작하여 심해지면 수포 및 장액성 삼출액과 가피를 보이는 급성 증상으로 진행한다. 가장 특징적인 증상인 소양증은 그 정도가 매우 심해서 피가 날 정도로 긁게 되며, 가려움-긁기-가려움의 악순환으로 계속 악화되며, 더 지속되면 피부가 두꺼워지고 주름이 뚜렷해지는 태선화 현상이 나타난다. 대부분의 임상 양상은 긁거나 문지른 결과에 의해 발생하며, 밤에는 소양증이 더욱 심해져 수면장애를 일으킨다. 근래에 전세계적으로 아토피 피부염의 발생 빈도가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는데 이는 대기오염, 주거 환경의 변화로 항원에 대한 노출 증가, 모유 수유의 감소, 소아기 감염 질환의 감소 등을 그 원인으로 추정하고 있다. 1995년 대한 소아과 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에서 시행한 전국적 역학 조사에 의하면 초등학생의 경우 12~24%, 중학생의 경우 6~8%에서 아토피 피부염으로 진단받은 적이 있으며, 2000년도에는 초등학생의 24.9%, 중학생의 12.8%가 아토피 피부염을 진단받은 것을 비롯하여 성인 아토피 피부염도 국내에서 그 빈도가 점점 증가하고 있다.
상기의 아토피 피부질환은 정확한 병태생리는 아직까지 완전히 이해되고 있지 않으나 유전적 소인과 함께 면역학적, 비면역학적 기전이 관여하리라고 생각되고 있다. 아토피 피부염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외인성 아토피 피부염은 면역 글로불린 E(IgE)와 연관된 면역기전에 의하여 발생되는데, 특정 알레르겐에 대한 속발성 면역 반응보다는 T-세포 이상에 의한 원발성 면역반응이 관여한다는 보고들이 많다. 아토피 피부염 환자에서 세포 매개성 면역기능 장애가 면역 글로불린 E의 증가와 관련이 있음이 밝혀지면서 속발성 면역 반응 외에도 원발성 면역 반응이 아토피 피부염의 병인에 관여한다고 주장하는 보고들이 증가하고 있다(이기영, 최신알레르기 진료, 한국의학사, 서울, 2001, pp23~52).
상기와 같이 현재까지 알려진 아토피 피부염의 병인, 기전, 증상 등을 감안하여 아토피 피부염에 대한 치료제가 개발되고 있으며, 그 결과 천연 또는 합성의 면역억제제, 항히스타민제제, 스테로이드 제제 등 다수가 개발되어 있다. 예를 들면, 면역 억제제로는 사이클로스포린(Cyclosporin) A, FK506(타크로리무스, Tacrolimus; Wasik 등, Immunopharmacology 20:57-61, 1990)과 SDZ ASM981(피메크로리무스, Pimecrolimus; Grassberger 등, Br. J. Dermatology 141:264-273, 1999) 등이 각광받고 있다. 그러나, 종래 아토피 피부염에 대한 치료제로 사용되는 스테로이드제제와 항히스타민제 등은 증상을 일시적으로 완화해주는 효과는 있으나 외용 또는 경구용 스테로이드 호르몬제의 장기 사용 환자들에 있어서 피부가 엷어지는 현상 및 골다공증의 유발, 어린이의 경우 성장 저해 등 그에 따른 국소 및 전신 부작용으로 인하여 임상적으로 문제가 될 수 있으며, 심한 경우에는 호르몬에 의한 전신 증상이 나타날 수 있고 약을 중지하면 오히려 증상이 악화되는 스테로이드제에 대한 내성을 나타낼 수도 있다. 따라서, 아토피 치료에 뛰어난 효과를 가지면서도 부작용은 적은 천연물을 이용한 새로운 아토피 치료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아토피 피부염의 개선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생약 추출물에 대해 연구한 결과, 고삼, 감초, 금은화, 당귀, 독활, 목향, 방풍, 산조인, 어성초, 연교, 우방자, 음양곽, 인삼, 자근, 지유, 천궁, 현삼 및 호장근 혼합물의 생약 추출물을 제조한 후 이를 유산균을 이용하여 다시 발효시킨 발효물을 제조하였으며, 상기 생약 추출물 또는 이의 유산균 발효물이 종래 보고된 바 없는 뛰어난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보인다는 사실을 밝힘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생약 추출물 또는 이의 유산균 발효물과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고삼, 감초, 금은화, 당귀, 독활, 목향, 방풍, 산조인, 어성초, 연교, 우방자, 음양곽, 인삼, 자근, 지유, 천궁, 현삼 및 호장근 혼합물의 생약 추출물 또는 상기 생약 추출물의 유산균 발효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고삼, 감초, 금은화, 당귀, 독활, 목향, 방풍, 산조인, 어성초, 연교, 우방자, 음양곽, 인삼, 자근, 지유, 천궁, 현삼 및 호장근 혼합물의 생약 추출물 또는 상기 생약 추출물의 유산균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고삼, 감초, 금은화, 당귀, 독활, 목향, 방풍, 산조인, 어성초, 연교, 우방자, 음양곽, 인삼, 자근, 지유, 천궁, 현삼 및 호장근 혼합물의 생약 추출물 또는 상기 생약 추출물의 유산균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건강식품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고삼, 감초, 금은화, 당귀, 독활, 목향, 방풍, 산조인, 어성초, 연교, 우방자, 음양곽, 인삼, 자근, 지유, 천궁, 현삼 및 호장근 혼합물의 생약 추출물 또는 상기 생약 추출물의 유산균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고삼, 감초, 금은화, 당귀, 독활, 목향, 방풍, 산조인, 어성초, 연교, 우방자, 음양곽, 인삼, 자근, 지유, 천궁, 현삼 및 호장근 혼합물의 생약 추출물 또는 상기 생약 추출물의 유산균 발효물을 제공한다.
상기 생약 추출물은 고삼 10 중량부에 대하여 감초 2 내지 8 중량부, 금은화 2 내지 8 중량부, 당귀 2 내지 8 중량부, 독활 2 내지 8 중량부, 목향 2 내지 8 중량부, 방풍 2 내지 8 중량부, 산조인 2 내지 8 중량부, 어성초 5 내지 15 중량부, 연교 2 내지 8 중량부, 우방자 5 내지 15 중량부, 음양곽 2 내지 8 중량부, 인삼 5 내지 15 중량부, 자근 2 내지 8 중량부, 지유 2 내지 8 중량부, 천궁 2 내지 8 중량부, 현삼 5 내지 15 중량부 및 호장근 2 내지 8 중량부의 비율로 생약 혼합물을 제조한 후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출용매로는 물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필요에 따라 물 이외에 다른 유기용매를 사용해도 무방하다. 사용될 수 있는 유기용매로는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 아세톤, 또는 이의 수용액 등을 들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생약 추출물"은 상기 약재 혼합물을 물을 이용하여 추출한 것뿐만 아니라 물 이외의 다른 유기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한 것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생약 추출물의 유산균 발효물(이하, "생약 발효물" 또는 "생약 추출물의 발효물"이라 약칭하기도 함)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먼저 상기와 같은 생약 혼합물에 2∼15배량의 물을 가한 후 70 내지 130℃에서 열수 추출한 수추출물을 제조한다. 상기 수추출물을 냉각한 뒤 유산균을 시료 중량의 0.5 내지 5 중량%, 바람직하게는 1 중량%로 접종하고, 20 내지 40℃, 바람직하게는 37℃에서 24 내지 52시간, 바람직하게는 48시간 발효시킴으로써 본 발명의 생약 추출물의 발효물이 제조된다. 추출용매로 물 이외의 다른 유기용매를 이용하여 제조된 생약 추출물로 생약 추출물의 발효물을 제조할 경우에는, 먼저 상기 추출물을 건조한 후 물에 희석시키고, 여기에 유산균을 접종한 후 발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유산균으로는 분리균주 또는 시판중인 다양한 유산균을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락토바실러스, 비피도박테리움, 스트렙토코커스, 류코노스톡, 페디오코커스 및 락토코커스 속의 미생물이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고, 이중에서 락토바실러스 속의 미생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는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루스(Lactobacillus acidophilus), 락토바실러스 카세이(L. casei),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 plantarum), 락토바실러스 퍼멘텀(L. fermentum), 락토바실러스 불가리쿠스(L. bulgaricus), 락토바실러스 델브루에키 아종 락티스(L. delbruekii subsp. lactis), 락토바실러스 가세리(L. gasseri) 및 비피도박테리움 브레베(Bifidobacterium breve)와 같은 다양한 종류의 유산균을 사용하여 본 발명의 생약 발효물을 제조하였다(실시예 2 참조). 그러나, 사용될 수 있는 유산균이 상기 예시된 유산균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유산균 배양 배지 역시 각각의 유산균에 맞게 MRS (Man-Rogosa-Sharpe), 락토오스, M17 및 APT 배지(Asparagine Enrichment Broth)로 부터 선택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삼, 감초, 금은화, 당귀, 독활, 목향, 방풍, 산조인, 어성초, 연교, 우방자, 음양곽, 인삼, 자근, 지유, 천궁, 현삼 및 호장근 혼합물의 생약 추출물 또는 이의 유산균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아토피 피부염"은 그 발생의 직·간접적인 원인을 불문하고 당업계에서 아토피 피부염으로 분류되는 모든 질환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통상 아토피 피부염은 그 발병 시기 또는 그 발명 대상에 따라 유아형 아토피 피부염과 소아형 아토피 피부염과 성인형 아토피 피부염 및 임산부 아토피 피부염으로 분류되는데, 본 발명에서 아토피 피부염은 이러한 모든 유형의 아토피 피부염을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된다.
본 발명에 따른 생약 추출물 또는 생약 발효물은 임상 투여시에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가 가능하며 일반적인 의약품 제제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생약 추출물 또는 이의 발효물은 실제 임상 투여시에 경구 및 비경구의 여러 가지 제형으로 투여될 수 있는데,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 투여를 위한 고형 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 제제는 생약 추출물 또는 생약 발효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스 또는 락토오스,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 투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용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 마크로골, 트윈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롤, 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투약 단위는, 예를 들면 개별 투약량의 1, 2, 3 또는 4배로, 또는 1/2, 1/3 또는 1/4배로 함유할 수 있다. 개별 투약량은 유효 약물이 1회에 투여되는 양을 함유하며, 이는 통상 1일 투여량의 전부, 1/2, 1/3 또는 1/4배에 해당한다.
본 발명의 생약 추출물 또는 생약 발효물의 인체 투여량은 체내에서의 활성성분의 흡수도, 불활성화율 및 배설속도, 환자의 연령, 성별, 상태, 질병의 정도 등에 따라 적절히 선택되며, 성인에게 10∼300 ㎎/㎏이고, 바람직하기로는 20∼100 ㎎/㎏이며, 하루 1 내지 6회 나누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구현예에 따르면, 아토피 피부염이 유발된 실험동물을 대상으로 본 발명의 생약 추출물 또는 이의 발효물을 처리하면 농도 의존적인 형태로 긁는 횟수가 감소하며, 특히 본 발명의 생약 추출물의 발효물을 투여할 경우 긁는 횟수가 현저히 감소한다(도 2 참조).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아토피 피부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임상적 육안 평가법으로, 홍반(erythema), 가려움과 피부건조(pruritus & dry skin), 부종과 혈종(edema & excoriation), 짓무름(erosion) 및 태선화(lichenification) 각각의 항목에 대해 채점한 후 5항목의 점수를 합산함으로써 관능 평가를 실시한 결과, 본 발명의 생약 추출물 및 이의 발효물을 투여할 경우 피부 심각성 점수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본 발명의 생약 추출물의 발효물을 투여할 경우에는 피부 심각성 점수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도 3 참조).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환경적 스트레스에 의한 Th1/Th2 면역반응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마우스로부터 시간에 따라 혈액을 채취하여 혈장을 분리하고 ELISA 키트를 사용하여 IgE의 농도를 측정한 결과, 본 발명의 생약 추출물 및 이의 발효물을 투여할 경우 농도 의존적인 형태로 혈중 IgE의 농도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도 4 참조).
또한, 본 발명은 고삼, 감초, 금은화, 당귀, 독활, 목향, 방풍, 산조인, 어성초, 연교, 우방자, 음양곽, 인삼, 자근, 지유, 천궁, 현삼 및 호장근 혼합물의 생약 추출물 또는 이의 유산균 발효물과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완화용 건강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생약 추출물 또는 상기 생약 추출물의 유산균 발효물은 아토피 피부염의 개선을 목적으로 건강식품에 첨가될 수 있으며, 생약 추출물 또는 생약 발효물을 식품 첨가물로 사용할 경우, 이를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 성분의 혼합양은 사용 목적(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시에는 생약 추출물 또는 생약 발효물이 원료에 대하여 30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중량% 이하의 양으로 첨가된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유효성분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물질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세지, 빵, 쵸코렛,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은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에는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수크로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및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 있다. 감미제로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감미제나,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생약 추출물 또는 생약 발효물 100 ㎖당 일반적으로 약 0.01∼0.04 g, 바람직하게는 약 0.02∼0.03 g 이다.
상기 외에도 생약 추출물 또는 생약 추출물의 발효물은 여러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생약 추출물 또는 생약 발효물은 천연 과일주스, 과일주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크게 중요하진 않지만 생약 추출물 또는 생약 추출물의 발효물 100 중량부 당 0.01∼0.1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고삼, 감초, 금은화, 당귀, 독활, 목향, 방풍, 산조인, 어성초, 연교, 우방자, 음양곽, 인삼, 자근, 지유, 천궁, 현삼 및 호장근 혼합물의 생약 추출물 또는 이의 유산균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으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피부 외용제의 제형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피부 외용제 제형의 한 바람직한 형태로는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마사지크림, 영양크림, 팩, 젤 또는 피부 점착타입 화장료의 제형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을 들 수 있고, 다른 바람직한 형태로는 로션, 연고, 겔, 크림, 패취 또는 분무제와 같은 경피 투여형의 제형을 들 수 있다. 또한, 각 제형의 외용제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한 필수 성분 이외의 다른 성분들은 기타 외용제의 제형 또는 사용 목적 등에 따라 당업자가 어려움 없이 적의 선정하여 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화장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매질 또는 기제를 함유한다. 이는 국소적용에 적합한 모든 제형으로, 예를 들면 용액, 겔, 고체 또는 반죽 무수 생성물, 수상에 유상을 분산시켜 얻은 에멀젼, 현탁액, 마이크로에멀젼, 마이크로캡슐, 미세과립구 또는 이온형(리포좀) 및/또는 비이온형의 소낭 분산제의 형태로, 또는 크림, 스킨, 로션, 파우더, 연고, 스프레이 또는 콘실 스틱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포말(foam)의 형태 또는 압축된 추진제를 더 함유한 에어로졸 조성물의 형태로도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과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매질 또는 기제를 함유함으로써 피부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국소적용 또는 전신적용할 수 있는 보조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이들 조성물은 당해 분야의 통상적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지방 물질, 유기 용매, 용해제, 농축제 및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 봉쇄제 및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화장품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이들 보조제는 화장품학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도입된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생약 추출물 또는 생약 추출물의 발효물은 아토피 피부염에 대한 실험동물 모델에서 긁는 횟수가 감소하고, 홍반, 가려움과 피부건조, 부종과 혈종, 짓무름 및 태선화와 같은 아토피 증상의 임상 특성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며, 또한 외인성 아토피 피부염과 관련이 있는 혈중 IgE의 농도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으므로,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및/또는 치료용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생약 추출물(A) 및 생약 추출물의 유산균 발효물(B)의 크로마토그램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아토피 피부염에 대한 실험동물 모델에서 약물 투여 후 1일, 3일, 7일 및 14일에 긁는 행동의 횟수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AD; 아토피 피부염 유발 유무(+; 유발함, -; 유발하지 않음)), KIOM-MA; 본 발명의 생약 추출물/발효물의 투여 유무(+; 투여함, -; 투여하지 않음)), C; 본 발명의 생약 추출물, 128; 본 발명의 생약 추출물의 발효물, PC; 양성대조군(Dexa.1; dexamethasone 1 ㎎/㎏).
도 3은 아토피 피부염에 대한 실험동물 모델에서 약물 투여 후 1일, 3일, 7일 및 14일에 아토피 피부염에 대한 임상 증상인 홍반, 가려움과 피부건조, 부종과 혈종, 짓무름 및 태선화에 대해 각각 증상이 없음(0점), 증상 약함(1점), 보통(2점), 심함(3점)으로 채점한 후 5항목의 점수를 합산한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AD; 아토피 피부염 유발 유무(+; 유발함, -; 유발하지 않음)), KIOM-MA; 본 발명의 생약 추출물/발효물의 투여 유무(+; 투여함, -; 투여하지 않음)), C; 본 발명의 생약 추출물, 128; 본 발명의 생약 추출물의 발효물, PC; 양성대조군(Dexa.1; dexamethasone 1 ㎎/㎏).
도 4는 아토피 피부염에 대한 실험동물 모델에서 약물 투여 후 1일, 7일 및 14일에 외인성 아토피 피부염과 관련이 있는 혈중 IgE의 농도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AD; 아토피 피부염 유발 유무(+; 유발함, -; 유발하지 않음)), KIOM-MA; 본 발명의 생약 추출물/발효물의 투여 유무(+; 투여함, -; 투여하지 않음)), C; 본 발명의 생약 추출물, 128; 본 발명의 생약 추출물의 발효물, PC; 양성대조군(Dexa.1; dexamethasone 1 ㎎/㎏).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생약 추출물의 제조
상기 생약 추출물은 고삼, 감초, 금은화, 당귀, 독활, 목향, 방풍, 산조인, 어성초, 연교, 우방자, 음양곽, 인삼, 자근, 지유, 천궁, 현삼 및 호장근을 추출하여 제조되는 한방 제제로서, 고삼 160 g, 감초 80 g, 금은화 80 g, 당귀 80 g, 독활 80 g, 목향 80 g, 방풍 80 g, 산조인 80 g, 어성초 160 g, 연교 80 g, 우방자 160 g, 음양곽 80 g, 인삼 160 g, 자근 80 g, 지유 80 g, 천궁 80 g, 현삼 160 g 및 호장근 80 g의 비율로 생약 혼합물을 제조한 후, 상기 생약 혼합물 1,840 g의 10배량인 18.4 ℓ의 증류수에 넣어 1시간 동안 침지시킨 후 115℃에서 3시간 동안 초고속 진공저온 추출기(한국, 경서추출기 cosmos-600), 표준 시험용 체(standard testing sieve, Aperture 500 ㎛와 150 ㎛)를 이용하여 탕제를 여과하여 본 발명의 생약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생약 추출물의 유산균 발효물 제조
<2-1> 유산균의 종균 배양
본 발명의 생약 추출물의 유산균 발효물의 제조에 사용된 유산균은 다음과 같다: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루스(KFRI #128), 락토바실러스 카세이(KFRI #127),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KFRI #144, KFRI #402), 락토바실러스 퍼멘텀(KFRI #164), 락토바실러스 불가리쿠스(KFRI #344), 락토바실러스 델브루에키 아종 락티스(KFRI #442), 락토바실러스 가세리(KFRI #658, KCTC 3163) 및 비피도박테리움 브레베(KFRI #744). 상기 균주들은 사면배지와 액체배지에서 계대하여 실험에 이용하였다. 유산균을 사면배지에 접종하여 37℃ 배양기에서 24시간 배양하여 균의 콜로니가 형성되면 파라핀 필름으로 산소를 차단하여 냉장실에서 보존하고, 균의 활성이 떨어지거나 잡균의 오염이 방지하기 위하여 2∼3주에 한 번씩 새로운 사면한천배지에 이식시켰다. 액체배지에 접종하여 37℃ 배양기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종균배양에는 MRS 배지(10 g/ℓ Peptone, 10 g/ℓ Beef extract, 5 g/ℓ Yeast extract, 20 g/ℓ Glucose, 1 ㎖/ℓ Tween 80, 2 g/ℓ K2HPO4, 5 g/ℓ Sodium acetate, 2 g/ℓ Triammonium citrate, 0.2 g/ℓ MgSO4·7H2O, 0.2 g/ℓ MnSO4·4H2O, pH 6.2-6.6)를 사용하였다.
<2-2> 유산균을 이용한 생약 추출물의 발효
1 M NaOH를 이용하여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생약 추출물의 pH를 8.0으로 조정하고, 121℃, 1.5 기압에서 15분간 가압멸균하여 상온까지 냉각시켰다. 그 결과, 발효 전 대조군의 pH가 8.0에서 6.3까지 낮아졌는데, 이는 121℃, 1.5 기압에서 15분간 멸균되는 고온·고압 조건에서 생약 추출물에 존재하는 식이 섬유 성분들이 일부 유기산으로 분해되어 pH가 저하하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생약 추출물에 1% 볼륨(v/v)의 상기 유산균(1-5×108 CFU/㎖)을 첨가하고 37℃에서 48시간 동안 통기배양하여 액체 발효시킨 뒤 상기 표준 시험용 체로 여과하여 생약 추출물의 유산균 발효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유산균 발효물의 pH 및 건조 물량 변화는 하기 표 1과 같다.
표 1
pH 건조물량(%)
대조군 6.19±0.00 2.97±0.02
KFRI 127 4.42±0.01 3.02±0.01
KFRI 128 4.00±0.01 2.97±0.03
KFRI 144 4.26±0.00 2.97±0.02
KFRI 164 4.52±0.00 3.04±0.00
KFRI 344 4.36±0.01 3.06±0.01
KFRI 402 4.34±0.01 3.02±0.02
KFRI 442 4.03±0.01 3.02±0.00
KFRI 658 4.65±0.01 2.88±0.04
KFRI 744 3.84±0.01 2.88±0.00
KCTC 3163 4.25±0.01 3.00±0.02
상기 결과로부터, 유산균 발효에 의해 생약 추출물의 pH가 4.0까지 내려가는 등의 활발한 산 생산능력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후, 본 발명의 유산균 발효물은 동결 건조한 후 사용하기 전까지 4℃에 보관하였다.
<2-3> 유산균 발효물의 분석
상기에서 제조된 본 발명의 생약 추출물의 유산균 액체 발효물을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잔사를 제거하고, 0.45 ㎛ 여과기를 이용하여 여과한 후 하기 표 2의 조건에 따라 HPLC 분석을 수행하였다.
표 2
칼럼 역상 칼럼(C18, 250×4.6 ㎜, 5 ㎛)
검출기 UV 254 ㎚
용매 A B 2% 아세트산 아세토니트릴
런닝 타임 65분
주입 부피 20 ㎕
유속 1.0 ㎖/분
농도구배 표
시간 A / B 0 80 / 20 5 80 / 20 50 20 / 80 55 80 / 20 65 80 / 20
그 결과,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루스(KFRI #128)에 의해 발효된 생약 추출물의 경우 발효되지 않은 생약 추출물에 비해 4.5분 위치의 피크가 4.3배 증가한 반면, 10.1분 및 14.9분 위치의 피크는 발효와 함께 각각 68% 및 79% 감소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생약 추출물의 주요 지표물질 중의 하나인 글리시리진(glycyrrhizin)(27.5분)은 유산균에 의한 발효전 및 발효후의 모든 시료에서 검출되었다(도 1).
실험예 1: 긁는 행동(scratching behavior) 시험
본 발명의 실험예에서는 식품의약품안전청의 바이오생약국에서 제시한 "생약한약제제의 효력시험 가이드라인-아토피피부염"(가이드라인 관리번호 1-019-2010-0000(0))의 지침에 따라 하기 실험들을 시행하였다. 실험동물들은 사육상자에 각각 넣고 23±3℃의 온도와 50±5%의 습도에서 12시간 간격으로 명-암 사이클을 주면서 사육하였다. 기본적인 실험 식이는 American Institute Nutrition(1970)에서 권장하는 것에 기초하여 제조하고 사용하였다. 시험물질을 액체 용매(음수)에 섞어 실험하였으며,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표준작업수순서 중 '시험물질의 배합 및 조제(NITR/SOP/TSB/002_02)'에 따라 실험을 실시하였다. 또한, 각 용량군이 균질성이 있는 개체군으로 구성되도록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표준작업수 순서 중 '설치류의 군, 사육상자 및 사육상자대의 무작위 배당(NITR/SOP/GTX/002_02)'에 따라 실험군을 분리하였다. 시험결과의 통계학적 유의성을 평가할 수 있도록 각 시험군당 개체 수는 5~7 마리로 하였으며, 시험약물과 대조군의 변화 수치 및 오차를 윌콕슨 순위합 검정법(만-위트니 검정)을 사용하여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통계 프로그램은 SAS를 이용하였다.
긁힘 행동 시험을 위하여, 7주령의 암컷 BALB/c 마우스에 오발부민(OVA, 20 ㎍)과 수산화알루미늄(2.25 ㎎)을 함께 섞어 0일과 14일째에 피하 투여하여 아토피 피부염을 유발하였다.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서 제조한 생약 추출물 및 생약 추출물의 발효물을 각각 50 또는 100 ㎎/㎏ 농도로 실험동물에 매일 1회 투여하였으며, 약물 투여 전 후 30분 시점에서 15분 동안 실험동물이 긁는 횟수를 측정하였다. 이때, 본 발명의 실험예에서 사용된 생약 추출물의 발효물은 모두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루스(KFRI #128)에 의해 발효된 생약 추출물의 발효물을 이용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의 생약 추출물 및 이의 발효물을 투여할 경우 농도 의존적인 형태로 긁는 횟수가 감소하였으며, 특히 생약 추출물의 발효물을 100 ㎎/㎏ 농도로 투여한 군의 경우에는 투여 3일 이후부터 음성 대조군 뿐 아니라 양성 대조군에 비교해서도 긁는 횟수가 현저히 감소하였으며, 14일째까지 계속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0.01)(도 2).
실험예 2: 관능 평가
본 평가 방법은 아토피 피부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임상적 육안 평가법으로, 아토피 피부염의 심각성 정도를 다음 5가지 항목을 각각 평가한 점수의 총합으로 나타내었다. 평가 항목은 홍반, 가려움과 피부건조, 부종과 혈종, 짓무름 및 태선화이다. 각각의 항목에 대해 증상이 없음(0점), 증상 약함(1점), 보통(2점), 심함(3점)으로 채점한 후 5항목의 점수를 합산함으로써 최소 0점(아무 증상 없는 상태)에서 최고 15점(모든 항목의 증상이 심한 상태) 사이의 평가 점수를 부여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의 생약 추출물 및 이의 발효물을 투여할 경우 피부 심각성 점수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본 발명의 생약 추출물의 발효물을 투여할 경우에는 음성 대조군에 비해 피부 심각성 점수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1)(도 3).
실험예 3: 혈중 IgE 농도에 미치는 영향
환경적 자극에 의해 아토피 피부염이 발생한 마우스의 경우 대조군에 비해 주령에 따라 혈중 IgE 농도가 급격하게 증가될 것으로 예상하였다. 환경적 스트레스에 의한 Th1/Th2 면역반응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마우스로부터 시간에 따라 혈액을 채취하여 혈장을 분리하고 ELISA 키트를 사용하여 IgE 농도를 측정함으로써 시험 물질이 혈중 IgE 농도를 감소 또는 억제하는지 여부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의 생약 추출물 및 이의 발효물을 투여할 경우 농도 의존적인 형태로 혈중 IgE의 농도가 감소하였으며, 특히 상기 생약 추출물의 발효물을 투여한 경우에는 투여 후 14일째 음성 대조군 뿐만 아니라 양성 대조군에 비해서도 충분히 유의하게 혈중 IgE 농도가 감소하였다(p<0.01)(도 4).
제조예 1: 생약 추출물 또는 생약 추출물의 발효물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
<1-1> 시럽제의 제조
생약 추출물 또는 생약 추출물의 발효물을 유효성분 2%(중량/부피)로 함유하는 시럽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먼저, 실시예 1 또는 실시예 2에서 제조한 생약 추출물 또는 생약 추출물의 발효물 분말, 사카린, 당을 온수 80 g에 용해시켰다. 상기 용액을 냉각시킨 후, 여기에 글리세린, 사카린, 향미료, 에탄올, 소르브산 및 증류수로 이루어진 용액을 제조하여 혼합하였다. 이 혼합물에 물을 첨가하여 100 ㎖가 되게 하였다.
상기 시럽제의 구성 성분은 다음과 같다.
생약 추출물 또는 생약 추출물의 발효물··········· 2 g
사카린 ························· 0.8 g
당··························· 25.4 g
글리세린 ························ 8.0 g
향미료························· 0.04 g
에탄올 ························· 4.0 g
소르브산 ························ 0.4 g
증류수·························· 정량
<1-2> 정제의 제조
유효성분 15 ㎎이 함유된 정제를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1 또는 실시예 2에서 제조한 생약 추출물 또는 생약 추출물의 발효물 250 g을 락토오스 175.9 g, 감자전분 180 g 및 콜로이드성 규산 32 g과 혼합하였다. 상기 혼합물에 10% 젤라틴 용액을 첨가시킨 후, 분쇄해서 14 메쉬체를 통과시켰다. 이것을 건조시키고 여기에 감자전분 160 g, 활석 50 g 및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5 g을 첨가해서 얻은 혼합물을 정제로 만들었다.
생약 추출물 또는 생약 추출물의 발효물·········· 250 g
락토오스 ······················· 175.9 g
감자전분 ························ 180 g
콜로이드성 규산 ····················· 32 g
10% 젤라틴 용액감자전분················· 160 g
활석··························· 50 g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5 g
제조예 2: 생약 추출물 또는 생약 추출물의 발효물을 함유하는 건강식품의 제조
<2-1> 식품의 제조
실시예 1 또는 실시예 2에서 제조한 생약 추출물 또는 생약 추출물의 발효물을 포함하는 식품들을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1. 조리용 양념의 제조
생약 추출물 또는 생약 추출물의 발효물 20∼95 중량%로 건강 증진용 조리용 양념을 제조하였다.
2. 토마토 케찹 및 소스의 제조
생약 추출물 또는 생약 추출물의 발효물 0.2∼1.0 중량%를 토마토 케찹 또는 소스에 첨가하여 건강 증진용 토마토 케찹 또는 소스를 제조하였다.
3. 밀가루 식품의 제조
생약 추출물 또는 생약 추출물의 발효물 0.5∼5.0 중량%를 밀가루에 첨가하고, 이 혼합물을 이용하여 빵, 케이크, 쿠키, 크래커 및 면류를 제조하여 건강 증진용 식품을 제조하였다.
4. 스프 및 육즙(gravies)의 제조
생약 추출물 또는 생약 추출물의 발효물 0.1∼5.0 중량%를 스프 및 육즙에 첨가하여 건강 증진용 육가공 제품, 면류의 수프 및 육즙을 제조하였다.
5. 그라운드 비프(ground beef)의 제조
생약 추출물 또는 생약 추출물의 발효물 10 중량%를 그라운드 비프에 첨가하여 건강 증진용 그라운드 비프를 제조하였다.
6. 유제품(dairy products)의 제조
생약 추출물 또는 생약 추출물의 발효물 5∼10 중량%를 우유에 첨가하고, 상기 우유를 이용하여 버터 및 아이스크림과 같은 다양한 유제품을 제조하였다.
7. 선식의 제조
현미, 보리, 찹쌀, 율무를 공지의 방법으로 알파화시켜 건조시킨 것을 배전한 후 분쇄기로 입도 60메쉬의 분말로 제조하였다. 검정콩, 검정깨, 들깨도 공지의 방법으로 쪄서 건조시킨 것을 배전한 후 분쇄기로 입도 60메쉬의 분말로 제조하였다. 생약 추출물 또는 생약 추출물의 발효물을 진공 농축기에서 감압·농축하고, 분무, 열풍건조기로 건조하여 얻은 건조물을 분쇄기로 입도 60메쉬로 분쇄하여 건조분말을 얻었다. 상기에서 제조한 곡물류, 종실류 및 생약 추출물 또는 생약 추출물의 발효물의 건조분말을 다음의 비율로 배합하여 제조하였다.
곡물류(현미 30 중량%, 율무 15 중량%, 보리 20 중량%),
종실류(들깨 7 중량%, 검정콩 8 중량%, 검정깨 7 중량%),
생약 추출물 또는 생약 추출물의 발효물의 건조분말(3 중량%),
영지(0.5 중량%),
지황(0.5 중량%)
<2-2> 음료의 제조
1. 탄산음료의 제조
설탕 5∼10%, 구연산 0.05∼0.3%, 카라멜 0.005∼0.02%, 비타민 C 0.1∼1%의 첨가물을 혼합하고, 여기에 79∼94%의 정제수를 섞어서 시럽을 만들고, 상기 시럽을 85∼98℃에서 20∼180초간 살균하여 냉각수와 1:4의 비율로 혼합한 다음 탄산가스를 0.5∼0.82%를 주입하여 생약 추출물 또는 생약 추출물의 발효물을 함유하는 탄산음료를 제조하였다.
2. 건강음료의 제조
액상과당(0.5%), 올리고당(2%), 설탕(2%), 식염(0.5%), 물(75%)과 같은 부재료와 생약 추출물 또는 생약 추출물의 발효물을 균질하게 배합하여 순간 살균을 한 후 이를 유리병, 페트병 등 소포장 용기에 포장하여 건강음료를 제조하였다.
3. 야채주스의 제조
생약 추출물 또는 생약 추출물의 발효물 5 g을 토마토 또는 당근주스 1,000 ㎖에 가하여 건강 증진용 야채주스를 제조하였다.
4. 과일주스의 제조
생약 추출물 또는 생약 추출물의 발효물 1 g을 사과 또는 포도주스 1,000 ㎖에 가하여 건강 증진용 과일주스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3: 생약 추출물 또는 생약 추출물의 발효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3-1> 유화 제형의 화장품 제조
표 3에 기재된 조성으로 유화 제형의 화장품을 제조하였다. 제조 방법은 하기와 같다.
1) 1 내지 9의 원료를 혼합한 혼합물을 65∼70℃로 가열하였다.
2) 10의 원료를 상기 단계 1)의 혼합물에 투입하였다.
3) 11 내지 13의 원료의 혼합물을 65∼70℃로 가열하여 완전히 용해시켰다.
4) 상기 단계 3)을 거치면서, 상기 2)의 혼합물을 서서히 첨가하여 8,000 rpm에서 2∼3분간 유화시켰다.
5) 14의 원료를 소량의 물에 용해시킨 후 상기 단계 4)의 혼합물에 첨가하고 2분간 더 유화시켰다.
6) 15 내지 17의 원료를 각각 평량한 후 상기 단계 5)의 혼합물에 넣고 30초간 더 유화시켰다.
7) 상기 단계 6)의 혼합물을 유화 후 탈기과정을 거쳐 25∼35℃로 냉각시킴으로서 유화제형의 화장품을 제조하였다.
표 3
조성 유화 제형 1 유화 제형 2 유화 제형 3
1 스테라인산 0.3 0.3 0.3
2 스테알리 알코올 0.2 0.2 0.2
3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레이트 1.2 1.2 1.2
4 밀납 0.4 0.4 0.4
5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모노라우린산 에스테르 2.2 2.2 2.2
6 파라옥시안식향산 메틸 0.1 0.1 0.1
7 파라옥시안식향산 프로필 0.05 0.05 0.05
8 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 5 5 5
9 트리글리세라이드 2 2 2
10 사이클로메티콘 3 3 3
11 증류수 to 100 to 100 to 100
12 진한 글리세린 5 5 5
13 트리에탄올아민 0.15 0.15 0.05
14 폴리아크릴산 중합체 0.12 0.12 0.12
15 색소 0.0001 0.0001 0.0001
16 0.10 0.10 0.10
17 생약 추출물 또는 생약 발효물 0.0001 1 10
<3-2> 가용화 제형의 화장품 제조
표 4에 기재된 조성으로 가용화 제형의 화장품을 제조하였다. 제조 방법은 하기와 같다.
1) 2 내지 6의 원료를 1의 원료(정제수)에 넣고 아직믹서를 이용하여 용해시켰다.
2) 8 내지 11의 원료를 7의 원료(알코올)에 넣고 완전용해시켰다.
3) 상기 단계 2)의 혼합물을 상기 단계 1)의 혼합물에 서서히 첨가하면서 가용화시켰다.
표 4
조성 가용화 제형 1 가용화 제형 2 가용화 제형 3
1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2 진한 글리세린 3 3 3
3 1,3-부틸렌글리콜 2 2 2
4 EDTA-2Na 0.01 0.01 0.01
5 색소 0.0001 0.0002 0.0002
6 생약 추출물 또는 생약 발효물 0.1 5 5
7 알코올(95%) 8 8 8
8 파라옥시안식향산 메틸 0.1 0.1 0.1
9 폴리옥시에틸렌하이드로제네이트디 에스테르 0.3 0.3 0.3
10 0.15 0.15 0.15
11 사이클로메티콘 - - 0.2

Claims (11)

  1. 고삼, 감초, 금은화, 당귀, 독활, 목향, 방풍, 산조인, 어성초, 연교, 우방자, 음양곽, 인삼, 자근, 지유, 천궁, 현삼 및 호장근을 포함하는 생약 혼합물에 물 또는 유기용매를 가한 후 추출하여 제조되는 생약 추출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생약 추출물은 고삼 10 중량부에 대하여 감초 2 내지 8 중량부, 금은화 2 내지 8 중량부, 당귀 2 내지 8 중량부, 독활 2 내지 8 중량부, 목향 2 내지 8 중량부, 방풍 2 내지 8 중량부, 산조인 2 내지 8 중량부, 어성초 5 내지 15 중량부, 연교 2 내지 8 중량부, 우방자 5 내지 15 중량부, 음양곽 2 내지 8 중량부, 인삼 5 내지 15 중량부, 자근 2 내지 8 중량부, 지유 2 내지 8 중량부, 천궁 2 내지 8 중량부, 현삼 5 내지 15 중량부 및 호장근 2 내지 8 중량부를 포함하는 생약 혼합물에 물을 가한 후 열수 추출하여 제조되는 추출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기용매는 C1 내지 C4의 알코올, 아세톤 및 이의 수용액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출물.
  4. 청구항 1의 생약 추출물에 유산균을 접종하여 발효시킴으로써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약 추출물의 유산균 발효물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 비피도박테리움, 스트렙토코커스, 류코노스톡, 페디오코카스 및 락토코커스 속의 미생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물.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루스 종의 미생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물.
  7. 청구항 4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산균은 시료 중량의 0.5 내지 5 중량%의 양으로 접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물.
  8. 청구항 4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산균은 20 내지 40℃의 온도에서 24 내지 52시간 동안 발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물.
  9. 청구항 1의 생약 추출물 또는 청구항 4의 생약 추출물의 유산균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10. 청구항 1의 생약 추출물 또는 청구항 4의 생약 추출물의 유산균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식품.
  11. 청구항 1의 생약 추출물 또는 청구항 4의 생약 추출물의 유산균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PCT/KR2010/007523 2010-09-28 2010-10-29 생약 추출물 또는 이의 유산균 발효물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2043920A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080069308.1A CN103228287B (zh) 2010-09-28 2010-10-29 用于预防或治疗特应性皮炎的包括草药提取物或其乳酸菌发酵物的组合物
EP10857921.0A EP2623108B1 (en) 2010-09-28 2010-10-29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atopic dermatitis including galenical extract or lactobacillus fermentation thereof
US13/825,839 US9295704B2 (en) 2010-09-28 2010-10-29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atopic dermatitis including galenical extract or lactobacillus fermentation thereof
JP2013530081A JP5881186B2 (ja) 2010-09-28 2010-10-29 生薬抽出物またはその乳酸菌醗酵物を含むアトピー皮膚炎の予防または治療用の組成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3901 2010-09-28
KR1020100093901A KR101226758B1 (ko) 2010-09-28 2010-09-28 생약 추출물 또는 이의 유산균 발효물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043920A1 true WO2012043920A1 (ko) 2012-04-05

Family

ID=458933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0/007523 WO2012043920A1 (ko) 2010-09-28 2010-10-29 생약 추출물 또는 이의 유산균 발효물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295704B2 (ko)
EP (1) EP2623108B1 (ko)
JP (1) JP5881186B2 (ko)
KR (1) KR101226758B1 (ko)
CN (1) CN103228287B (ko)
WO (1) WO201204392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03929A (ja) * 2012-06-22 2014-01-16 Snow Brand Milk Products Co Ltd 還元された桂皮酸類縁化合物含有画分の製造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33133A (ko) * 2011-05-30 2012-12-10 한국 한의학 연구원 생약 추출물 또는 이의 유산균 발효물을 포함하는 호흡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494803B1 (ko) * 2012-12-12 2015-02-23 인타글리오주식회사 나노캡슐을 포함하는 피부진정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2015157773A (ja) * 2014-02-21 2015-09-03 株式会社ナリス化粧品 化粧料
EP3243902A4 (en) * 2015-01-06 2018-05-30 Luterion Co., Ltd. Luterion and separating and culturing methods for same
CN104586738B (zh) * 2015-01-23 2017-11-03 四川省中医药科学院 麦冬液体发酵物、含发酵物的化妆品及其制备方法和用途
CN104490749B (zh) * 2015-01-23 2019-03-01 四川省中医药科学院 甘草液体发酵物、含发酵物的化妆品及其制备方法和用途
CN104845903B (zh) * 2015-02-13 2018-06-22 山东凤凰生物有限公司 嗜甘草的植物乳杆菌及其制备的甘草益生菌制剂
KR20170022343A (ko) 2015-08-20 2017-03-02 김태웅 유산균 발효액, 플로랄 워터 및 생약 추출물을 기반으로 하는 피부 알레르기의 예방, 개선제
KR101614659B1 (ko) * 2015-10-12 2016-04-21 이충식 주름을 개선한 기능성 화장품의 제조방법
SG10201912918TA (en) * 2016-03-24 2020-02-27 Meiji Co Ltd Composition for inhibiting erythema formation, method of using same, method for preparing same, method for inhibiting erythema, and lactic acid bacteria producing substance
KR101874595B1 (ko) * 2016-12-09 2018-07-05 한국한의학연구원 유산균 발효 복합생약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알레르기 조성물
KR101909936B1 (ko) 2017-01-26 2018-10-19 주식회사 웰파인 천연식품 원료의 유산균 발효액을 함유하는 면역활성 증진 기능성 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896942B1 (ko) 2017-02-24 2018-09-10 주식회사 콧데 어성초 추출물의 배양액을 함유하는 쿠션 파운데이션 조성물.
KR102033214B1 (ko) * 2017-04-17 2019-10-17 이충식 소화 흡수 촉진으로 아토피에 유효한 식품 첨가제, 그 제조방법과 이를 첨가한 식품
KR101977908B1 (ko) * 2017-08-03 2019-05-13 김현숙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71110B1 (ko) 2017-09-19 2020-01-29 학교법인혜화학원 독활 복합오일을 포함하는 항아토피성 약학 조성물
KR102031418B1 (ko) * 2017-09-19 2019-10-11 학교법인혜화학원 산조인 복합오일을 포함하는 항아토피성 피부염 약학 조성물
CN111406113B (zh) 2017-11-30 2024-04-16 花王株式会社 评价或选择感觉刺激降低剂的方法
KR101991830B1 (ko) * 2017-12-22 2019-09-30 주식회사 콧데 미네랄이 풍부한 온천수로 추출한 감초 및 병풀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품 조성물
JP7182440B2 (ja) * 2018-05-22 2022-12-02 花王株式会社 感覚刺激低減剤
CN108653440A (zh) * 2018-06-20 2018-10-16 上海华源制药安徽广生药业有限公司 一种金花消痤制剂的制备方法
KR102032110B1 (ko) * 2018-07-17 2019-10-15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인삼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알레르기성 피부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0050633A1 (ko) * 2018-09-04 2020-03-12 한국식품연구원 갯대추나무 추출물 등을 포함하는 호흡기 질환 개선용 조성물
KR20200080497A (ko) 2018-12-27 2020-07-07 박성율 마타리와 산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용 조성물
KR102129585B1 (ko) * 2019-05-15 2020-07-02 오가닉브릿지 주식회사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제 조성물, 아토피 피부염 개선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10076315A (ko) 2019-12-14 2021-06-24 주식회사 코스메드 한방추출물 또는 이의 유산균 발효액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11297777B (zh) * 2020-03-12 2022-06-28 广东袋鼠妈妈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小麦原浆的制备方法及其产品和应用
KR102408103B1 (ko) * 2020-05-20 2022-06-14 남종현 아토피 피부염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2010024A1 (ko) * 2020-07-07 2022-01-13 바이오코스생명과학 주식회사 천연 복합성분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개선 또는 치료용 한방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2490086B1 (ko) * 2020-07-07 2023-01-19 코스사이언스주식회사 천연 복합성분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2474794B1 (ko) * 2020-07-13 2022-12-06 (주)아크 약초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질환 개선용 동물 사료 첨가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02588B1 (ko) * 2020-07-17 2021-01-12 유광수 다차적 통증완화방식이 수반된 브라질리언 미용 왁싱방법
KR102221097B1 (ko) * 2020-09-21 2021-02-26 주식회사 잇츠한불 스트레스 완화 및 피부 장벽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19382B1 (ko) * 2020-12-02 2021-02-22 얼라이드 탑 (홍콩) 인더스트리얼 리미티드 천연 식물 혼합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N116549347A (zh) * 2022-01-28 2023-08-08 北京工商大学 一种连翘果发酵物及其制备方法及应用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0046A (ko) * 2002-06-19 2004-01-03 김우영 아토피성 피부염에 효과적인 건강보조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60092373A (ko) * 2005-02-17 2006-08-23 (주)네오팜 소아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및 개선용 생약 조성물
KR20060118809A (ko) * 2005-05-17 2006-11-24 김정진 생약재를 함유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용 조성물
KR20070079497A (ko) * 2006-02-02 2007-08-07 주식회사 에스티씨나라 생약성분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070096163A (ko) * 2006-03-21 2007-10-02 강종우 아토피 피부용 조성물
KR20080099570A (ko) * 2007-05-10 2008-11-13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복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염 질환의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090009480A (ko) * 2007-07-20 2009-01-23 박정훈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용 복합생약추출물의 제조 방법
KR20090023236A (ko) * 2007-08-31 2009-03-04 (주)콤비메드 생약재 발효산물을 포함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 및/또는예방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58053A (ja) 1997-12-01 1999-06-15 Nippon Shinyaku Co Ltd 化粧料
JP2000154113A (ja) * 1998-11-18 2000-06-06 Ichimaru Pharcos Co Ltd 保湿性植物抽出物を含有する化粧料組成物
JP2002053428A (ja) * 2000-08-12 2002-02-19 Tadashi Fukiya 皮膚外用剤
JP2004083449A (ja) * 2002-08-26 2004-03-18 Kinji Ishida ストレス緩和用の経口投与組成物
JP2004155664A (ja) 2002-11-01 2004-06-03 Rohto Pharmaceut Co Ltd 皮膚機能改善剤
JP2005089403A (ja) 2003-09-19 2005-04-07 Ogawa & Co Ltd 外用抗掻痒剤
KR20050079256A (ko) * 2004-02-05 2005-08-10 주식회사 리젠 바이오텍 어성초와 복분자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알레르기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JP2006008566A (ja) * 2004-06-24 2006-01-12 Ichimaru Pharcos Co Ltd 果汁の乳酸菌醗酵物を有効成分とする美容剤とその応用
CN100534488C (zh) * 2004-10-25 2009-09-02 谢庚安 一种治疗银屑病的中药冲剂
JP2006347907A (ja) 2005-06-14 2006-12-28 Ogawa & Co Ltd 保湿性植物抽出物並びに該抽出物を含有する外用剤、化粧料、浴用剤及び洗剤
FR2889958A1 (fr) * 2005-08-25 2007-03-02 Lyoct Sa Lab Utilisation d'un symbiotique pour le traitement de la dermatite atopique
KR100803577B1 (ko) 2005-11-30 2008-02-15 (주)아모레퍼시픽 이카린의 가수분해물을 함유하는 화장료용 조성물
JP2007186457A (ja) 2006-01-13 2007-07-26 Ichimaru Pharcos Co Ltd トリプターゼ活性阻害剤およびその利用
KR100855456B1 (ko) * 2006-12-07 2008-09-01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삼지구엽초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모공수축용 화장료조성물
KR100832332B1 (ko) * 2007-02-12 2008-05-26 바이오스펙트럼 주식회사 아토피성 피부염 증상을 개선하기 위한 조성물
KR20090075950A (ko) * 2008-01-07 2009-07-13 (주)로다멘코스메딕스 난치성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용 조성물
KR101483440B1 (ko) * 2008-05-02 2015-01-19 (주)아모레퍼시픽 포제를 활용한 약용식물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
CA2744778C (en) * 2008-11-28 2019-01-15 University Of Otago Use of lactic acid bacteria to treat or prevent eczema
KR20100093151A (ko) * 2009-02-16 2010-08-25 장문식 아토피성 피부염의 예방 효과를 가지는 조성물
KR20090125726A (ko) * 2009-10-22 2009-12-07 신화제약 (주) 호장근 발효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노화방지 한방 화장료 조성물
CN101804166B (zh) * 2010-05-05 2011-07-27 余静 一种治疗小儿皮炎湿疹的中药组合物
CN101810799B (zh) * 2010-05-26 2011-06-01 泰一和浦(北京)中医药研究院有限公司 一种治疗出疹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0046A (ko) * 2002-06-19 2004-01-03 김우영 아토피성 피부염에 효과적인 건강보조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60092373A (ko) * 2005-02-17 2006-08-23 (주)네오팜 소아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및 개선용 생약 조성물
KR20060118809A (ko) * 2005-05-17 2006-11-24 김정진 생약재를 함유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용 조성물
KR20070079497A (ko) * 2006-02-02 2007-08-07 주식회사 에스티씨나라 생약성분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070096163A (ko) * 2006-03-21 2007-10-02 강종우 아토피 피부용 조성물
KR20080099570A (ko) * 2007-05-10 2008-11-13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복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염 질환의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090009480A (ko) * 2007-07-20 2009-01-23 박정훈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용 복합생약추출물의 제조 방법
KR20090023236A (ko) * 2007-08-31 2009-03-04 (주)콤비메드 생약재 발효산물을 포함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 및/또는예방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GRASSBERGER ET AL., BR. J. DERMATOLOGY, vol. 141, 1999, pages 264 - 273
KIYOUNG LEE: "Current Treatment of Allergy", 2001, HANGUKEUIHAKSA, pages: 23 - 52
See also references of EP2623108A4
WASIK ET AL., IMMUNOPHARMACOLOGY, vol. 20, 1990, pages 57 - 61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03929A (ja) * 2012-06-22 2014-01-16 Snow Brand Milk Products Co Ltd 還元された桂皮酸類縁化合物含有画分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881186B2 (ja) 2016-03-09
EP2623108A4 (en) 2014-03-12
US9295704B2 (en) 2016-03-29
JP2013538824A (ja) 2013-10-17
KR20120032311A (ko) 2012-04-05
US20130224181A1 (en) 2013-08-29
CN103228287A (zh) 2013-07-31
EP2623108B1 (en) 2017-09-27
KR101226758B1 (ko) 2013-01-25
EP2623108A1 (en) 2013-08-07
CN103228287B (zh) 2015-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2043920A1 (ko) 생약 추출물 또는 이의 유산균 발효물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2165843A2 (ko) 생약 추출물 또는 이의 유산균 발효물을 포함하는 호흡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6047907A1 (ko) 틴달화 유산균 사균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 또는 주름개선용 조성물
KR101051362B1 (ko) 생약재 발효산물을 포함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 및/또는예방용 조성물
WO2014193014A1 (ko) 나노형 김치 유산균
WO2015002391A1 (ko) 월경 전기 증후군 및 월경통 완화의 기능을 갖는 조성물
WO2019124863A1 (ko) 오미자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8105926A1 (ko) 유산균 발효 복합생약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알레르기 조성물
KR100919852B1 (ko) 해방풍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부종 또는 피부염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WO2021162145A1 (ko)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1756020B1 (ko) 물오리나무 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아토피피부염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115502B1 (ko) 차전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과민성 피부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WO2013115456A1 (ko) 생강 초임계 추출물 및 발효 미나리 박 추출물을 함유하는 식품, 화장료 또는 약학 조성물
KR101503352B1 (ko) 젖버섯아재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노화방지, 피부보호 및 항염증용 조성물
WO2011105657A1 (en)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atopic diseases comprising extract of sophorae tonkinensis radix as active ingredient and method for preparation of the same
KR101207239B1 (ko) 천문동 추출물로부터 제조한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144566B1 (ko) 택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115503B1 (ko) 진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과민성 피부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WO2019240336A1 (ko) 강낭콩 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8190638A1 (ko) 쥐눈이콩 추출물을 포함하는 각막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9078606A2 (ko) 괭생이모자반 추출물 또는 감태 추출물을 이용한 항염증, 항알레르기 및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
KR20180090751A (ko) 당귀 추출물 및 젖산균을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382067B1 (ko) 형개와 익지인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용 조성물
WO2022270688A1 (ko) 터리풀 추출물이 함유된 배지에서 배양한 미생물 또는 이의 파쇄물을 포함하는 항염, 항균 효능 미생물 제제
WO2020242010A1 (ko) 파파야 발효물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085792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3530081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REEP Request for entry into the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0857921

Country of ref document: EP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0857921

Country of ref document: EP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3825839

Country of ref document: 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