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3352B1 - 젖버섯아재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노화방지, 피부보호 및 항염증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젖버섯아재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노화방지, 피부보호 및 항염증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3352B1
KR101503352B1 KR1020100109719A KR20100109719A KR101503352B1 KR 101503352 B1 KR101503352 B1 KR 101503352B1 KR 1020100109719 A KR1020100109719 A KR 1020100109719A KR 20100109719 A KR20100109719 A KR 20100109719A KR 101503352 B1 KR101503352 B1 KR 1015033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ction
extract
inflammatory
skin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97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48208A (ko
Inventor
김관철
유익동
김재화
류인자
Original Assignee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이노스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이노스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생명공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1001097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3352B1/ko
Publication of KR201200482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82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33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33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28Fungi, e.g. yeas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immun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08Fungi extrac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yc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젖버섯아재비(Lactarius hatsudake)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제조한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젖버섯아재비 추출물 또는 이를 유기용매로 분획하여 제조한 분획물은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인터페론-감마(Interferon-γ)의 생산 또는 분비를 억제하고, 세포독성이 거의 없는 안전한 물질이므로, 면역강화, 염증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이로부터 노화방지 및 피부 개선 화장료 등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젖버섯아재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노화방지, 피부보호 및 항염증용 조성물{A composition for skin protection including skin aging, anti-inflammatory comprising the extracts of Lactarius hatsudake as an active ingredients}
본 발명은 젖버섯아재비(Lactarius hatsudake) 추출물 및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노화방지, 피부보호 및 항염증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염증성 질환이란 세균의 침입이나 내, 외부환경에 의한 물리적 화학적 자극에 의해 형성되는 농양의 병리적 상태를 의미한다. 상기 염증성 질환으로는 피부염, 아토피, 건선, 골관절염, 류마티스 관절염, 통풍, 강직성 척추염, 건염, 건막염, 류마티스 열, 루프스, 섬유근통(Fibromyalgia), 건선 관절염, 천식, 아토피, 크론병, 궤양성 대장염 등 급성 만성 염증질환 등이 있다. 염증은 물리적인 외상, 유해한 화학물질, 미생물에 의한 감염이나 생체 내 대사산물 중의 자극성 물질에 의하여 야기되는 조직손상에 대하여 국소적으로 나타나는 정상적이고 보호적인 생체 내 방어기전의 발현이다. 이러한 염증은 손상조직과 이동하는 세포(migrating cells)로부터 생산되는 다양한 사이토카인 등 화학매개인자에 의하여 촉발되며, 이들 화학매개인자들은 염증과정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정상적인 경우에 생체는 염증반응을 통하여 발병 요인을 중화시키거나 제거하고 상한 조직을 재생시켜서 정상적인 구조와 기능을 회복시키지만, 그렇지 못한 경우에는 만성 염증과 같은 질병 상태로 진행되기도 한다. 또한, 꽃가루와 같이 무해한 물질이나 천식, 류마티스성 관절염과 같은 자가면역반응에 의해 부적절하게 염증이 촉발되는 경우에는 방어반응 자체가 오히려 조직을 손상시킴으로 염증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제가 필요하게 된다. 피부의 경우 대부분의 염증반응에서 염증 치료 및 염증 제거에 동원되는 효소들은 주변 정상조직을 파괴하고 손상시켜 피부의 콜라겐 섬유 및 탄력 섬유가 파괴되면서 피부 노화가 진행된다. 거의 모든 임상질환에서 염증 반응을 관찰할 수 있고, 이들 염증 질환 중에는 항생제 투여로 원인적 치료가 가능한 세균성 질환도 있지만, 대부분은 그 발병이 자가면역반응에 의한 조직손상에 기인하므로 특이적 치료법이 없는 난치병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염증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가장 일반적인 염증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제는 크게 스테로이드성 및 비스테로이드성 염증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제로 구분되며, 이중 대부분의 합성 염증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제는 주작용 이외에 여러 가지 부작용을 수반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효과가 탁월하며 부작용이 적은 염증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제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효능 및 부작용 측면에서 볼 때, 예로부터 임상적 경험이 풍부하고 안전성 측면에서 탁월한 평가를 받고 있는 천연물 제제가 염증 질환의 예방 및 치료제 개발에 있어 좋은 후보물질이 될 것으로 여겨진다.
생체에 있어서 염증의 발생 원인으로서는 다양한 생화학적인 현상이 관여하고 있다. 대식세포(Macrophage)는 다양한 기능을 가진 세포로 화학적 자극에 의하여 여러 가지 사이토카인(cytokine)과 질소산화물(NO)을 생성하여 염증반응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히, 대식세포에서 인터페론-감마(Interferons-γ, IFN-γ)와 같은 사이토카인 자극에 의해 발현되는 유도성 질소산화물 합성효소(iNOS)는 장시간 동안 다량의 질소산화물(NO)을 생산한다. 이러한 산화적 스트레스는 IκB에 의하여 억제되어 있는 염증 반응의 전사인자인 NF-κB 활성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활성화된 NF-κB는 핵으로 이동하여 iNOS, COX-2 및 IL-1β나 TNF-α와 같은 여러 종류의 사이토카인 등 염증반응을 유도하는 유전자 발현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들 인자들을 저해하면 염증 반응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Baeuerle et al., Annu. Rev. Immunol., 12:141-179, 1994). 피부에 있어 자외선, 건조상태, 오염물질 등에 의해 지속적 염증이 유발되고 이때 유발되는 이들 인자는 콜라겐 섬유 및 탄력 섬유 등을 파괴하여 건조한 피부가 되거나 주름이 깊어지게 된다.
질소산화물(NO)은 세 가지 주요한 질소산화물 합성효소(NOS) 이성질체인 neuronal NOS(nNOS), endothelial NOS(eNOS), inducible NOS(iNOS)에 의해 L-아르기닌(L-arginine)으로부터 생성된다. nNOS와 eNOS는 Ca2+/칼모듈린(calmodulin)에 의해 조절되지만, iNOS는 인터루킨(interleukin), 인터페론(interferon), LPS와 같은 염증성 자극에 의해 전사 수준에서 조절된다. nNOS나 eNOS에 의해 소량 생성된 NO는 혈관확장, 신경전달, 병원체에 대한 세포파괴 등과 같은 정상적인 생리기능을 담당하지만, 대식세포에서 iNOS에 의해 과다 생성된 NO는 염증과 암을 포함한 다양한 병리생리학적 과정에 관여하며, 수퍼옥사이드(superoxide)와 반응하여 퍼옥시니트라이트(peroxynitrite)를 형성하고 이는 강력한 산화제로 작용하여 세포에 손상을 입히고, 염증성 자극에 의해 활성화된 대식세포에서 NF-κB를 활성화시켜 염증반응, 암, 동맥경화 등 만성질환에 관련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Lawrence et al., Nat Med., 7:1291-1297, 2001; Riehemann et al., FEBS Lett., 442:89-94, 1999;Stamler et al., Science, 258:1898-1902, 1992).
한편, 인터페론(Interferon, IFN)은 병원균에 대한 포유류 숙주의 저항성에 중요한 사이토카인을 말한다. 인터페론의 3가지 주요 기능은 항바이러스작용, 항증식작용, 그리고 면역조절작용이다. 인터페론의 항바이러스 작용은 바이러스 간염치료에 이용되고, 항증식작용과 면역조절작용은 암의 치료에 이용되고 있다.
특히, 인터페론 감마(IFN-γ)는 면역 또는 타입 Ⅱ IFN으로 잘 알려져 있고, 활성화된 T 세포 및 자연 살해(natural killer, NK) 세포에 의해 급격하게 생성되는 동형이량체(homodimer)이다. 또한, 세포내 병원균에 대한 선천성(innate) 및 적응성(adaptive) 면역 및 종양 치료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면역계에 있어서 IFN-γ의 중요성은 직접적으로는 바이러스 복제의 억제 효과로부터 시작되지만, 가장 중요하게는, IFN-γ는 면역자극 및 면역조절 효과를 지닌다. 숙주 방어에 대한 INF-γ의 중추적인 역할 이외에도, IFN-γ의 이상 발현은 자가염증성질환(autoinflammatory) 및 자가면역질환(autoimmune disease)와 연관성이 있다. IFN-γ의 과도한 분비는 만성 염증 및 면역 질환의 발병과 관련된다. 따라서,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IFN-γ를 억제하는 물질을 탐색하면, 효과적인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물질로서 판명할 수 있을 것이다.
담자균류(Basidiomycete)의 무당버섯과(Russulaceae)에 속하는 젖버섯아재비(Lactarius hatsudake)는 한국, 중국, 일본, 유럽 및 북미에 널리 분포되어 있는 흔한 식용 버섯으로, 여름과 가을에 적송림 내 땅위에 군생 혹은 단생한다. 갓의 형태는 지름이 3~12 ㎝이고, 엷은 담적갈색으로 표면에는 짙은 동심원 모양 무늬가 있다. 처음에는 둥글다가 서서히 퍼져서 나중에는 깔때기 모양이 된다. 육질은 푸석푸석하지만 향이 좋고 맛이 좋아 초가을 송이버섯과 함께 예부터 일본사람들이 즐겨 먹어 왔던 버섯으로서, 향이 좋아 다양한 요리에 쓰인다. 현재, L. hatsudake의 항종양 및 항바이러스 효과에 대한 생물학적 활성이 보고되고 있으나, IFN-γ 억제를 통한 항염증 작용에 관한 보고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항염증 활성이 우수한 신규한 천연물 유래의 물질을 탐색하던 중, 젖버섯아재비(Lactarius hatsudake)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이 우수한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인터페론-감마(Interferon-γ, IFN-γ) 생성 억제 활성이 있음을 확인하여, 항염증 작용 및 면역강화, 노화방지 효과를 갖는 물질임을 밝힘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젖버섯아재비(Lactarius hatsudake)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노화방지, 면역강화 및 항염증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젖버섯아재비(Lactarius hatsudake)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0.01 내지 50 중량부 함유하는 노화방지용, 면역강화용, 또는 염증성 질환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젖버섯아재비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피부 외용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젖버섯아재비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젖버섯아재비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젖버섯아재비(Lactarius hatsudake)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은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인터페론-감마(Interferon-γ)의 생성을 억제하고, 세포독성이 거의 없어 피부 세포의 세포독성을 억제함으로써, 염증성 피부에 대한 노화방지,면역강화용 화장료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젖버섯아재비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처리한 NK92 세포의 IFN-γ 생성 억제 활성을 나타낸 그림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젖버섯아재비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처리한 NK92 세포의 세포독성을 나타낸 그림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젖버섯아재비(Lactarius hatsudake)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0.01 내지 50 중량부 함유하는 노화방지용, 면역강화용, 또는 염증성 질환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젖버섯아재비 추출물로부터 분리한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0.01 내지 50 중량부 함유하는 노화방지용, 면역강화용, 또는 염증성 질환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염증성 질환 또는 면역 질환은 부종, 피부염, 알레르기, 아토피, 여드름, 소양증, 다발성 경화증, 급성 염증성 질환 및 만성 염증성 질환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염증성 질환으로부터 기인하는 주름 및 노화를 개선 또는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젖버섯아재비 추출물은 하기와 같은 단계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1) 젖버섯아재비를 추출용매를 가하여 추출하는 단계;
2) 단계 1)의 추출물을 여과하는 단계; 및
3) 단계 2)의 여과한 추출물을 감압농축하여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조방법에 있어서, 단계 1)의 젖버섯아재비는 재배한 것, 채취한 것 또는 시판되는 것 등을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젖버섯아재비는 식물 전체를 이용할 수 있고, 자실체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계 1)의 추출용매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이용하는 어떠한 추출용매도 사용가능하며, 물,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 바람직하게는 C1 내지 C2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부터 선택된 용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C1-C2의 저급 알코올은 에탄올 또는 메탄올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추출용매의 양은 젖버섯아재비 건조 중량의 1 내지 20 배인 것이 바람직하고, 10 배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추출 방법은 열수추출, 침지추출, 환류 냉각 추출 및 초음파 추출 등의 추출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초음파 추출방법으로 1회 내지 5회 추출될 수 있다. 추출시 온도는 10℃ 내지 100℃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온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추출 시간은 1일 내지 7일인 것이 바람직하고, 3일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제조방법에 있어서, 추출하는 방법은 초임계추출, 아임계추출, 고온추출, 고압추출 또는 초음파추출법 등의 추출장치를 이용한 방법 또는 XAD 및 HP-20을 포함한 흡착 수지를 이용하는 방법 등 당업계의 통상적인 추출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가온하며 환류 추출 또는 상온에서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추출 회수는 1 내지 5회인 것이 바람직하며, 3회 반복 추출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에 있어서, 수득한 추출액의 농축은 감압농축의 진공회전증발기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건조는 감압건조, 진공건조, 비등건조, 분무건조, 상온건조 또는 동결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젖버섯아재비 추출물의 분획물은 젖버섯아재비 추출물에 추가로 유기용매를 가하여 유기용매 분획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분획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유기용매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어떠한 추출용매도 사용가능하며, 탄소수 1 내지 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노말-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또는 노말-부탄올 등), 상기 저급 알코올과 물과의 혼합용매,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1,3-부틸렌글리콜, 헥산, 디에틸에테르 또는 부틸아세테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유기용매는 노르말-헥산, 에틸아세테이트 또는 노르말-부탄올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젖버섯아재비 추출물에 극성이 낮은 것부터 높은 것 순으로 노르말-헥산,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물을 순차적으로 가하여 각 유기용매 층의 분획물을 수득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분획물은 분별깔대기를 이용하여 분획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각 유기용매 층의 분획물은 모두 이용가능하다.
상기 분획물은 상기 젖버섯아재비 추출물로부터 분획 과정을 1 내지 5회, 바람직하게는 3회 반복하여 수득할 수 있고, 분획 후 감압 농축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는, 젖버섯아재비(Lactarius hatsudake)의 자실체(fruiting bodies) 부위를 메탄올로 추출하여 젖버섯아재비의 메탄올 추출물을 제조하였고, 이를 물에 현탁하여 노르만-헥산을 가한 후 노르만-헥산 층을 분획하여 노르말-헥산 분획물을 수득한 후, 분획하고 남은 물 층에 다시 에틸아세테이트를 가한 후 에틸아세테이트 층을 분리하여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수득하였으며, 다시 남아 있는 물 층에 노르말-부탄올을 가하여 노르말-부탄올 분획물을 수득하였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총 중량에 대하여 젖버섯아재비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이 0.1 내지 50 중량부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유액, 크림, 에센스, 미용액, 바디로션, 바디젤, 바디에센스, 바디세정제, 클렌징폼, 팩 및 클렌징크림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예를 들면 용액, 겔, 고체 또는 반죽 무수 생성물, 수상에 유상을 분산시켜 얻은 에멀젼, 현탁액, 마이크로에멀젼, 마이크로캡슐, 미세과립구 또는 이온형(리포좀), 비이온형의 소낭 분산제의 형태, 크림, 스킨, 로션, 파우더, 연고, 스프레이 또는 콘실 스틱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포말(foam)의 형태 또는 압축된 추진제를 더 함유한 에어로졸 조성물의 형태로도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본 발명의 젖버섯아재비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에 추가로 지방 물질, 유기 용매, 용해제, 농축제 및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쇄제 및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화장품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젖버섯아재비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이 항염증 활성이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인터페론-감마(Interferon-γ, IFN-γ) 의존적 자연 살해 세포주인 NK92 세포(인간 NK 림프종)에 본 발명의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다양한 농도로 처리하여, 상기 세포에 대하여 염증성 사이토카인 중 하나인 IFN-γ의 생성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의 농도 의존적으로 IFN-γ의 생성을 감소시켰다(도 1 참조). 더욱이, WST-1 분석을 통해 세포독성을 확인한 결과, 젖버섯아재비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은 세포독성이 거의 없는 물질인 것으로 확인되었다(도 2 참조).
따라서, 젖버섯아재비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은 세포독성 없이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생성을 억제하는 활성이 있으므로, 탁월한 항염증 작용이 있음을 알 수 있으므로, 노화방지, 면역강화 또는 항염증용 화장료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젖버섯아재비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피부 외용제를 제공한다.
상기 염증은 질병 상태로 진행된 만성 염증, 꽃가루와 같은 일반적으로 무해한 물질에 의한 염증반응, 천식 혹은 류마티스성 관절염과 같은 자가 면역 반응에 의한 염증반응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염증성 질환에는 부종, 피부염, 알레르기, 아토피, 천식, 결막염, 치주염, 비염, 중이염, 인후염, 편도염, 폐렴, 위궤양, 위염, 크론병, 궤양성 대장염, 치질, 통풍, 강직성 척추염, 류마티스 열, 루푸스, 섬유근통(fibromyalgia), 건선관절염, 골관절염, 류마티스관절염, 견관절주위염, 건염, 건초염, 건주위염, 근육염, 간염, 방광염, 신장염, 쇼그렌 증후군(sjogren's syndrome), 다발성 경화증, 및 다양한 급성 및 만성 염증 질환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피부 외용제는, 총 중량에 대하여 젖버섯아재비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이 0.1 내지 50 중량부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피부 외용제는, 추가로 지방 물질, 유기 용매, 용해제, 농축제 및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쇄제 및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피부용 외용제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피부 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성분들은 피부 과학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도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젖버섯아재비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은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IFN-γ 생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하고, 세포에 대한 세포독성을 없는 안전한 물질이므로, 염증성 질환을 예방 또는 개선할 수 있는 피부 외용제의 유효성분으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젖버섯아재비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염증성 질환은 피부염, 알레르기, 아토피, 천식, 결막염, 치주염, 비염, 중이염, 인후염, 편도염, 페렴, 위궤양, 위염, 크론병, 대장염, 치질, 통풍, 강직성 척추염, 류마티스염, 루푸스, 섬유근통(fibromyalgia), 건선관절염, 골관절염, 류마티스 관절염, 견관절주위염, 건염, 건초염, 건주위염, 근육염, 간염, 방광염, 신장염, 쇼그렌 증후군(sjogren's syndrome), 다발성 경화증, 및 급성 및 만성 염증 질환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젖버섯아재비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은 일반적인 의약품 제제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첨가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첨가제로는 전분, 젤라틴화 전분, 미결정셀룰로오스, 유당, 포비돈, 콜로이달실리콘디옥사이드, 인산수소칼슘, 락토스, 만니톨, 엿, 아라비아고무, 전호화전분, 옥수수전분, 분말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오파드라이, 전분글리콜산나트륨, 카르나우바 납, 합성규산알루미늄, 스테아린산, 스테아린산마그네슘, 스테아린산알루미늄, 스테아린산칼슘, 백당, 덱스트로스, 소르비톨, 탈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첨가제는 상기 조성물에 대해 0.1 ~ 90 중량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실제 임상 투여 시에 경구 및 비경구의 여러 가지 제형으로 투여될 수 있는데,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본 발명의 화합물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용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목적하는 방법에 따라 경구 투여하거나 비경구 투여할 수 있으며, 비경구 투여시 피부 외용 또는 복강내주사, 직장내주사, 피하주사, 정맥주사, 근육내 주사 또는 흉부내 주사 주입방식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투여량은 환자의 체중, 연령, 성별, 건강상태, 식이, 투여시간, 투여방법, 배설률 및 질환의 중증도 등에 따라 그 범위가 다양하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량은 환자의 체중, 연령, 성별, 건강상태, 식이, 투여시간, 투여방법, 배설율 및 질환의 중증도에 따라 그 범위가 다양하며, 일일 투여량은 본 발명의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의 양을 기준으로 0.0001 내지 100 ㎎/㎏이고,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10 ㎎/㎏이며, 하루 1 ~ 6 회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하여 단독으로, 또는 수술, 방사선 치료, 호르몬 치료, 화학 치료 및 생물학적 반응 조절제를 사용하는 방법들과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젖버섯아재비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은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IFN-γ 생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하고 세포에 대한 세포독성을 없는 안전한 물질이므로, 염증성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약학적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젖버섯아재비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식품을 제공한다.
상기 염증성 질환은 피부염, 알레르기, 아토피, 천식, 결막염, 치주염, 비염, 중이염, 인후염, 편도염, 페렴, 위궤양, 위염, 크론병, 대장염, 치질, 통풍, 강직성 척추염, 류마티스염, 루푸스, 섬유근통(fibromyalgia), 건선관절염, 골관절염, 류마티스 관절염, 견관절주위염, 건염, 건초염, 건주위염, 근육염, 간염, 방광염, 신장염, 쇼그렌 증후군(sjogren's syndrome), 다발성 경화증, 및 급성 및 만성 염증 질환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젖버섯아재비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식품은 식품 제조 시에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을 포함하며, 예를 들어,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영양소 및 조미제를 포함한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젖버섯아재비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시지, 빵, 초콜릿,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코올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은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슈크로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및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감미제로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감미제나,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당 일반적으로 약 0.01 ~ 0.04 g, 바람직하게는 약 0.02 ~ 0.03 g 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젖버섯아재비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젖버섯아재비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은 천연 과일주스, 과일주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크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당 0.01 ~ 0.1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발명의 젖버섯아재비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은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IFN-γ 생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하고 세포에 대한 세포독성을 없는 안전한 물질이므로, 염증성 질환을 예방 또는 개선시킬 수 있는 건강식품의 유효성분으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제조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및 제조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 및 제조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젖버섯아재비 추출물의 제조
국립농업유전자원센터(National Agrobiodiversity Center)(수원, 한국)로부터 입수한 젖버섯아재비(Lactarius hatsudake)의 자실체(fruiting bodies) 6 ㎏을 실온에서 3일간(각 추출 시) 총 3회 메탄올 30 ℓ로 추출하였다. 3회간 추출하여 모아 놓은 메탄올 용액을 감압 농축하여 240 g의 잔류물(residue)을 제조하였다.
젖버섯아재비 추출물로부터 분획물의 제조
젖버섯아재비 추출물로부터 분획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메탄올 추출물 240 g을 물에 현탁한 후, 노르말-헥산(n-hexane) 1 ℓ를 첨가한 후 분배하여 노르말-헥산 층을 분리하였고, 남아 있는 물 층에 다시 에틸아세테이트(ethylacetate, EtOAc) 1 ℓ를 가하여 에틸아세테이트 층을 분리하였으며, 이와 같은 방법으로 노르말-부탄올(n-butanol, n-BuOH) 1 ℓ를 가하여 노르말-부탄올 층을 분리하여, 노르말-헥산(n-hexane), 에틸아세테이드(ethylacetate, EtOAc) 및 노르말-부탄올(n-butanol, n-BuOH) 분획물을 각각 17 g, 15 g 및 60 g을 수득하였다.
젖버섯아재비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의 인터페론-감마( Interferon -γ, IFN -γ) 억제 효과
<3-1> 젖버섯아재비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의 처리
본 발명의 젖버섯아재비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의 IFN-γ 억제 활성을 통한 항염증 작용을 알아보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1 및 2에서 제조한 젖버섯아재비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NK92 세포에 처리하여 IFN-γ의 조절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IFN-γ-의존적 자연 살해 세포주인 NK92 세포(인간 NK 림프종)(아메리칸 타입 컬쳐 컬렉션,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 5.0×105 세포수/㎖를 48 웰 배양 플레이트에 20% 우태아혈청(fetal calf serum)(HyClone, Logan, UT, USA), 2 mM L-글루타메이트(glutamate), 100 ㎍㎖-1 페니실린(penicillin), 100 ㎍㎖-1 스트렙토마이신(streptomycin)(Life Technologies) 및 100 U㎖-1 IL-2(Chiron, Emeryville, CA, USA)가 포함된 α-MEM 배지에서, 37℃ 및 5% CO2 습도 환경에 배양하였다. 이와 같이 배양한 NK92 세포에 다양한 농도(4, 20, 100 또는 400 μM)의 젖버섯아재비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처리하였다. 이때, 음성대조군은 배양 배지만을 처리하여 NK92 세포를 배양하였고, 양성대조군은 100 ng의 포르볼-12- 미리스테이트-13-아세트산염(phorbol-12-myristate-13-acetate, PMA)이 포함된 배지를 사용하여 염증을 유발하였다.
<3-2> IFN -γ의 정량
인간 IFN-γ의 정량은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mAb pairs(Endogen, Woburn, MA, USA)를 사용하여 제조사의 프로토콜에 따라 실시하였다. 37℃에서 18시간 동안 젖버섯아재비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상기 NK92 세포에 처리한 후, 세포를 제외한 상층액을 수득하여, 효소면역분석(Enzyme 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키트를 사용하여 IFN-γ를 검출하였다. 결과는 3회 반복 웰 ± s.e.m의 평균값으로서 나타내었다.
그 결과, 하기 표 1 및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젖버섯아재비 메탄올 추출물 또는 이의 유기용매 분획물(노르말-헥산, 에틸아세테이트 또는 노르말-부탄올 분획물)로 각각 처리한 NK92 세포에서는 IFN-γ의 생성이 억제되는 것으로 나타났고, 염증이 유발된 양성대조군(1.4 ng/㎖)에 비해 현저히 낮은 IFN-γ 생성량을 나타냈고, 이는 농도의존적인 것임을 알 수 있었다(표 1 및 도 1). 이에, 젖버섯아재비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은 NK세포에서 IFN-γ의 생성을 억제함을 확인하였다.
젖버섯아재비 시료(μM) IFN-γ 생성량 (ng/㎖)
메탄올 추출물


4 1.35
20 1.25
100 1.22
400 0.95
노르말-부탄올 분획물

4 1.30
20 1.22
100 1.20
400 0.65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4 1.32
20 1.25
100 1.20
400 0.85
노르말-부탄올 분획물
4 1.30
20 1.24
100 1.22
400 0.90
양성대조군 1.4
음성대조군 0.1
젖버섯아재비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의 세포독성 확인
젖버섯아재비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의 세포 독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젖버섯아재비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NK92 세포에 처리하여 세포 증식을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WST-1(catalog no. 11644807001; Roche Applied Science, Indianapolis, IN, USA)을 사용하여 제조사의 지시에 따라 세포증식을 분석하였다. 96 웰 플레이트에 2.5×103의 NK92 세포를 배양하고 4, 20, 100 또는 400 μM 농도의 젖버섯아재비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12시간 동안 처리한 후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400 μM을 포함한 모든 농도의 젖버섯아재비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은 NK92 세포에 대한 세포독성이 거의 없는 안전한 물질인 것으로 확인되었다(도 2).
< 제조예 1> 화장품의 제조
본 발명의 젖버섯아재비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화장품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화장품으로 영양화장수, 크림, 에센스 등의 유화 제형의 화장품 및 유연화장수 등의 가용화 제형의 화장품을 제조하였다.
<1-1> 유화 제형의 화장품 제조
하기 [표 2]에 기재된 조성으로 유화제형의 화장품을 제조하였다. 제조 방법은 하기와 같다.
1) 1 내지 9의 원료를 혼합한 혼합물을 65 ~ 70℃로 가열하였다.
2) 10의 원료를 상기 단계 1)의 혼합물에 투입하였다.
3) 11 내지 13의 원료의 혼합물을 65 ~ 70℃로 가열하여 완전히 용해시켰다.
4) 상기 단계 3)을 거치면서, 상기 2)의 혼합물을 서서히 첨가하여 6,000 rpm에서 2 ~ 3분간 유화시켰다.
5) 14의 원료를 소량의 물에 용해시킨 후 상기 단계 4)의 혼합물에 첨가하고 2분간 더 유화시켰다.
6) 15 내지 17의 원료를 각각 평량한 후 상기 단계 5)의 혼합물을 40℃에서 30초간 더 유화시켰다.
7) 상기 단계 6)의 혼합물을 유화 후 탈기과정을 거쳐 25 ~ 35℃로 냉각시킴으로써 유화제형의 화장품을 제조하였다.
유화 제형 1, 2, 3의 조성
조성 유화제형 1 유화제형 2 유화제형 3
1 스테아린 산 0.3 0.3 0.3
2 스테알리 알콜 0.2 0.2 0.2
3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레이트 1.2 1.2 1.2
4 밀납 0.4 0.4 0.4
5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
모노라우린산 에스테르
2.2 2.2 2.2
6 파라옥시안식향산 메틸 0.1 0.1 0.1
7 파라옥시안식향산 프로필 0.05 0.05 0.05
8 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 5 5 5
9 트리글리세라이드 2 2 2
10 사이클로메티콘 3 3 3
11 정제수 ~ 100 ~ 100 ~ 100
12 농글리세린 5 5 5
13 트리에탄올아민 0.15 0.15 0.15
14 폴리아크릴산 중합체 0.12 0.12 0.12
15 색소 0.0001 0.0001 0.0001
16 0.10 0.10 0.10
17 실시예 1의 에탄올 추출물 0.0001 1 10
<1-2> 가용화 제형의 화장품 제조
하기 [표 3]에 기재된 조성으로 가용화 제형의 화장품을 제조하였다. 제조 방법은 하기와 같다.
1) 2 내지 6의 원료를 1의 원료(정제수)에 넣고 아직믹서를 이용하여 용해시켰다.
2) 8 내지 11의 원료를 7의 원료(알코올)에 넣고 완전용해시켰다.
3) 상기 단계 2)의 혼합물을 상기 단계 1)의 혼합물에 서서히 첨가하면서 가용화시켰다.
가용화 제형 1, 2, 3의 조성
조성 가용화 제형 1 가용화 제형 2 가용화 제형 3
1 정제수 ~ 100 ~ 100 ~ 100
2 농글리세린 3 3 3
3 1,3-부틸렌글리콜 2 2 2
4 EDTA-2Na 0.01 0.01 0.01
5 색소 0.0001 0.0002 0.0002
6 실시예 2의 노르말-헥산 분획물 0.1 5 5
7 알코올(95%) 8 8 8
8 파라옥시안식향산 메틸 0.1 0.1 0.1
9 폴리옥시에틸렌
하이드로제네이디트에스테르
0.3 0.3 0.3
10 0.15 0.15 0.15
11 사이클로메티콘 - - 0.2
< 제조예 2> 약학적 제제의 제조
<2-1> 산제의 제조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2 g
유당 1 g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하였다.
<2-2> 정제의 제조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노르말-부탄올 분획물 100 ㎎
옥수수전분 100 ㎎
유 당 100 ㎎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2-3> 캡슐제의 제조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노르말-헥산 분획물 100 ㎎
옥수수전분 100 ㎎
유 당 100 ㎎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캡슐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2-4> 환의 제조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노르말-부탄올 분획물 1 g
유당 1.5 g
글리세린 1 g
자일리톨 0.5 g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방법에 따라 1 환 당 4 g이 되도록 제조하였다.
<2-5> 과립의 제조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150 ㎎
대두 추출물 50 ㎎
포도당 200 ㎎
전분 600 ㎎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30% 에탄올 100 ㎎을 첨가하여 섭씨 60℃에서 건조하여 과립을 형성한 후 포에 충진하였다.
< 제조예 3> 식품의 제조
본 발명의 젖버섯아재비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식품들을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3-1> 밀가루 식품의 제조
본 발명의 젖버섯아재비 추출물 0.5~5.0 중량부를 밀가루에 첨가하고, 이 혼합물을 이용하여 빵, 케이크, 쿠키, 크래커 및 면류를 제조하였다.
<3-2> 스프 및 육즙( gravies )의 제조
본 발명의 젖버섯아재비 추출물의 노르말-헥산 분획물 0.1~5.0 중량부를 스프 및 육즙에 첨가하여 건강 증진용 육가공 제품, 면류의 수프 및 육즙을 제조하였다.
<3-3> 그라운드 비프(ground beef)의 제조
본 발명의 젖버섯아재비 추출물의 노르말-부탄올 분획물 10 중량부를 그라운드 비프에 첨가하여 건강 증진용 그라운드 비프를 제조하였다.
<3-4> 유제품( dairy products )의 제조
본 발명의 젖버섯아재비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5~10 중량부를 우유에 첨가하고, 상기 우유를 이용하여 버터 및 아이스크림과 같은 다양한 유제품을 제조하였다.
<3-5> 선식의 제조
현미, 보리, 찹쌀, 율무를 공지의 방법으로 알파화시켜 건조시킨 것을 배전한 후 분쇄기로 입도 60 메쉬의 분말로 제조하였다.
검정콩, 검정깨, 들깨도 공지의 방법으로 쪄서 건조시킨 것을 배전한 후 분쇄기로 입도 60 메쉬의 분말로 제조하였다.
본 발명의 젖버섯아재비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진공 농축기에서 감압농축하고, 분무, 열풍건조기로 건조하여 얻은 건조물을 분쇄기로 입도 60 메쉬로 분쇄하여 건조분말을 얻었다.
상기에서 제조한 곡물류, 종실류 및 젖버섯아재비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다음의 비율로 배합하여 제조하였다.
곡물류(현미 30 중량부, 율무 15 중량부, 보리 20 중량부),
종실류(들깨 7 중량부, 검정콩 8 중량부, 검정깨 7 중량부),
젖버섯아재비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3 중량부),
영지(0.5 중량부),
지황(0.5 중량부)
< 제조예 4> 음료의 제조
<4-1> 건강음료의 제조
액상과당(0.5%), 올리고당(2%), 설탕(2%), 식염(0.5%), 물(75%)과 같은 부재료와 본 발명의 젖버섯아재비 추출물 5 g을 균질하게 배합하여 순간 살균을 한 후 이를 유리병, 패트병 등 소포장 용기에 포장하여 제조하였다.
<4-2> 야채 주스의 제조
본 발명의 젖버섯아재비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5 g을 토마토 또는 당근 주스 1,000 ㎖에 가하여 야채 주스를 제조하였다.
<4-3> 과일 주스의 제조
본 발명의 젖버섯아재비 추출물의 노르말-헥산 분획물 1 g을 사과 또는 포도 주스 1,000 ㎖ 에 가하여 과일 주스를 제조하였다.

Claims (13)

  1. 젖버섯아재비(Lactarius hatsudake)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0.01 내지 50 중량부 함유하는 피부염, 알레르기, 아토피, 천식, 결막염, 치주염, 비염, 중이염, 인후염, 편도염, 폐렴, 위궤양, 위염, 크론병, 궤양성 대장염, 강직성 척추염, 류마티스 열, 루푸스, 건선관절염, 골관절염, 류마티스관절염, 견관절주위염, 건염, 건초염, 건주위염, 근육염, 간염, 방광염, 신장염, 쇼그렌 증후군(sjogren's syndrome), 및 다발성 경화증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염증성 질환 예방 및 개선용 피부 외용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C1~C2의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외용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획물은 젖버섯아재비 추출물을 노르말-헥산, 에틸아세테이트, 노르말-부탄올, 및 물로 순차적으로 계통 분획하여 얻은 노르말-헥산 분획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노르말-부탄올 분획물 또는 물 분획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외용제.
  5. 삭제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외용제는 유액, 크림, 에센스, 미용액, 바디로션, 바디젤, 바디에센스, 바디세정제, 클렌징폼, 팩 및 클렌징크림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제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외용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젖버섯아재비(Lactarius hatsudake)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염, 알레르기, 아토피, 천식, 결막염, 치주염, 비염, 중이염, 인후염, 편도염, 폐렴, 위궤양, 위염, 크론병, 궤양성 대장염, 강직성 척추염, 류마티스 열, 루푸스, 건선관절염, 골관절염, 류마티스관절염, 견관절주위염, 건염, 건초염, 건주위염, 근육염, 간염, 방광염, 신장염, 쇼그렌 증후군(sjogren's syndrome), 및 다발성 경화증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염증성 질환 예방 및 개선용 건강식품.
  13. 삭제
KR1020100109719A 2010-11-05 2010-11-05 젖버섯아재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노화방지, 피부보호 및 항염증용 조성물 KR1015033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9719A KR101503352B1 (ko) 2010-11-05 2010-11-05 젖버섯아재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노화방지, 피부보호 및 항염증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9719A KR101503352B1 (ko) 2010-11-05 2010-11-05 젖버섯아재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노화방지, 피부보호 및 항염증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8208A KR20120048208A (ko) 2012-05-15
KR101503352B1 true KR101503352B1 (ko) 2015-03-18

Family

ID=46266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9719A KR101503352B1 (ko) 2010-11-05 2010-11-05 젖버섯아재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노화방지, 피부보호 및 항염증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335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47112A (zh) * 2012-08-31 2013-01-02 周文标 一种治疗肩周炎颈椎炎颈椎增生的药物
CN104524518A (zh) * 2014-12-30 2015-04-22 鲁卫章 一种治疗风寒瘀血内阻型肩关节周围炎的中药组合物
KR102182735B1 (ko) * 2018-12-19 2020-11-24 대한민국 흰가시광대버섯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55373A (ko) * 2005-11-24 2007-05-30 재단법인 제주하이테크산업진흥원 아토피 피부염 개선제 조성물
KR20100130109A (ko) * 2009-06-02 2010-12-10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식용버섯 자실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110085543A (ko) * 2010-01-21 2011-07-27 (주)더페이스샵 피부염증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120037174A (ko) * 2010-10-11 2012-04-19 (주)아이내추럴 신규한 담자균류의 치마버섯 에스티0516 11489와 이 균주로부터 생산된 다량의 다당류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55373A (ko) * 2005-11-24 2007-05-30 재단법인 제주하이테크산업진흥원 아토피 피부염 개선제 조성물
KR20100130109A (ko) * 2009-06-02 2010-12-10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식용버섯 자실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110085543A (ko) * 2010-01-21 2011-07-27 (주)더페이스샵 피부염증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120037174A (ko) * 2010-10-11 2012-04-19 (주)아이내추럴 신규한 담자균류의 치마버섯 에스티0516 11489와 이 균주로부터 생산된 다량의 다당류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8208A (ko) 2012-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6758B1 (ko) 생약 추출물 또는 이의 유산균 발효물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364234B1 (ko) 팥꽃나무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874462B1 (ko) 오미자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484021B1 (ko) 울금포함 복합물 추출물을 함유한 면역증강용 조성물
KR20110136387A (ko) 치자 추출물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러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045031B1 (ko) 꾸지뽕나무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면역기능 강화용 조성물
KR101503352B1 (ko) 젖버섯아재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노화방지, 피부보호 및 항염증용 조성물
KR101536652B1 (ko) 울금 추출물을 포함하는 면역증강용 조성물
KR101851167B1 (ko) 조팝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러지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207239B1 (ko) 천문동 추출물로부터 제조한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692889B1 (ko) 두메닥나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487065B1 (ko) 외톨개모자반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101484760B1 (ko) 젖버섯아재비로부터 신규한 세스퀴테르핀계 화합물의 제조방법과 이를 함유하는 면역강화 또는 항염증용 조성물
KR101865142B1 (ko) 조팝나무, 배나무, 뱀무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러지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069844B1 (ko) 바디나물(자화전호)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부종 또는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453455B1 (ko) 미나리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플라보노이드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용 또는 항비만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식품 조성물
KR20130011111A (ko) 피토스테롤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150115414A (ko) 오미자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상처치유용 약학적 조성물
KR20140023701A (ko) 지모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대장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080927B1 (ko) 모감주나무의 꽃(난화)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부종 또는 다양한 염증의 예방 또는치료용 항염증 조성물
KR101341819B1 (ko) 컬러감자 외피 추출물 또는 이의 활성 분획물을 포함하는 항염 조성물
KR100921971B1 (ko) 블루밍샐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KR101060198B1 (ko) 조뱅이(소계)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부종 또는 다양한 염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항염증 조성물
KR101402599B1 (ko) 각시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레르기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40125655A (ko) 크라이토싸이빈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면역강화 또는 항염증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