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36387A - 치자 추출물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러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치자 추출물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러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36387A
KR20110136387A KR1020100056353A KR20100056353A KR20110136387A KR 20110136387 A KR20110136387 A KR 20110136387A KR 1020100056353 A KR1020100056353 A KR 1020100056353A KR 20100056353 A KR20100056353 A KR 20100056353A KR 20110136387 A KR20110136387 A KR 201101363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lergic
fraction
gardenia
prevention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63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65716B1 (ko
Inventor
윤태숙
성윤영
양원경
박준언
김호경
Original Assignee
한국 한의학 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 한의학 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 한의학 연구원
Priority to KR10201000563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5716B1/ko
Publication of KR201101363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63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57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57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4Rubiaceae (Madder family)
    • A61K36/744Gardeni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 modulation effect on allergy and risk of allerg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1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water, e.g. cold water, infusion, tea, steam distillation, deco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mixed solvents, e.g. 70% EtO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ird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자(Gardenia jasminoides) 추출물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러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치자 추출물로부터 분획한 치자 분획물은 비만세포(mast cell)에서 히스타민(histamine)의 분비량을 낮추고, 알러지성 아토피 피부염 질환 모델에서 피부염 및 귀 부종을 감소시키고, 혈청 중 IgE 농도를 감소시키므로, 알러지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치자 추출물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러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s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allergic disease comprising the fractions from the extracts of Gardenia jasminoides as an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식물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러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알러지는 선천적이나 후천적으로 면역기능에 이상이 있어서 무해한 항원인 알러지원에 대해 과민한 반응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알러지 반응은 항체의 종류 중 하나인 IgE에 의해 매개 되는데, 이에 대한 면역반응기작은 하기와 같다. 일단, 우리의 몸이 알러지원에 노출되면, 알러지원은 순환하는 항원제시세포에 의해 인지되며, 이 항원제시세포는 알러지원 제시를 통해 Th0(T helper0)를 Th2 세포로 분화시킨다. 이렇게 분화된 Th2 세포는 IL-4, IL-5 및 IL-13와 같은 사이토카인을 분비하며 이들은 골수에서의 산성백혈구 발달을 촉진시켜 염증이 발생한 조직으로 산성백혈구를 유도할 뿐만 아니라, B세포에 작용하여 IgE 및 IgG1의 생성을 유도한다. 이러한 작용기전으로 생산된 IgE는 조직에서 FcεRⅠ이라 불리는 IgE 수용체를 매개로 비만세포에 강하게 결합한다. 이후 동일한 알러지원에 재차 노출되어 알러지원이 비만세포에 결합된 IgE에 결합하면, 비만세포는 히스타민, 프로스타글란딘, 헤파린, 프로테아제 및 자유 라디칼을 분비하는데, 이들은 다양한 알러지 질환 증상을 유발시키고 이러한 반응이 지속되면 조직의 만성 염증을 유도한다(Galli SJ et al., 2008, Nature 454(7203), 445-454).
알러지 질환으로는 과민증(anaphylaxis), 알러지성 비염(allergic rhinitis), 천식(asthma), 알러지성 결막염(allergic conjunctivitis), 알러지성 피부염(allergic dermatitis), 아토피성 피부염(atopic dermatitis), 접촉성 피부염, 두드러기, 소양증, 곤충 알러지, 식품 알러지 또는 약품 알러지 질환 등이 있다.
현재 일반적으로 상용되는 대표적인 알러지 치료제로는 항히스타민, 스테로이드성 또는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용 의약품 등이 있다. 그러나 이들은 주로 증상 치료 효과가 있고, 과도한 체액성 면역을 완화하거나 IgE 생산을 억제시키는 알러지의 근본적인 원인을 치료하는 효과는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부작용이 없고 알러지의 근본적인 원인을 치료할 수 있는 약제가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이다.
치자는 꼭두서니과(Rubiaceae) 식물인 치자나무(Gardenia jasminoides)의 열매를 말한다[대한약전 제9개정(KP IX), 2007]. 치자는 소염제, 이뇨제, 지혈제로 사용하거나 황달의 치료에 활용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고, 초나 재를 매염제로 이용해 헝겊이나 단무지를 노랗게 물들이고 전(煎)을 노란색으로 물들일 때 사용된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알러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효과를 갖는 천연물질 개발에 노력하던 중, 치자 추출물의 분획물이 히스타민(histamine)의 방출을 억제하고, 아토피 피부염 질환마우스 모델의 부종, 피부염 및 혈 중 IgE 농도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치자 추출물의 비해 현저하여 알러지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치자(Gardenia jasminoides) 추출물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러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알러지 질환의 개선용 화장료 또는 건강 식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치자(Gardenia jasminoides) 추출물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러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치자 추출물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러지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치자 추출물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러지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치자(Gardenia jasminoides) 추출물로부터 분리한 분획물은 비만세포(mast cell)에서 히스타민(histamine)의 분비량을 낮추고, 아토피 피부염 질환 모델에서 피부염 및 귀 부종을 감소시키고, 혈청 중 IgE 농도를 감소시키므로, 알러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치자(Gardenia jasminoides) 추출물의 분획물의 제조 과정을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치자 분획물 및 치자 추출물의 히스타민의 분비 억제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은 치자 분획물의 피부염 감소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는 치자 분획물의 아토피 피부염 억제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는 치자 분획물의 혈청 IgE 농도 감소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치자(Gardenia jasminoides) 추출물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러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알러지 질환은 과민성(anaphylaxis), 알러지성 비염(allergic rhinitis), 천식(asthma), 알러지성 결막염(allergic conjunctivitis), 알러지성 피부염(allergic dermatitis), 아토피성 피부염(atopic dermatitis), 접촉성 피부염, 두드러기, 소양증, 곤충 알러지, 식품 알러지 및 약품 알러지 질환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러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치자 추출물의 분획물은 하기의 단계들을 포함하는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1) 치자에 추출용매를 가하여 추출하는 단계;
2) 단계 1)의 추출물을 식힌 후 여과하는 단계; 및
3) 단계 2)의 여과한 추출물을 감압 농축한 후 건조하는 단계; 및
4) 단계 3) 건조한 추출물을 유기용매를 가하여 분획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방법에 있어서, 단계 1)의 치자는 재배한 것 또는 시판되는 것 등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추출용매는 물,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알코올로는 C1 내지 C4 저급 알코올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저급 알코올로는 에탄올 또는 메탄올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추출 방법으로는 열수추출, 침지추출, 환류냉각추출 및 초음파추출 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열수추출 방법으로 1회 내지 5회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2회 반복 추출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추출용매는 건조된 치자의 중량에 5 내지 15배 첨가하여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0배 첨가하여 추출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추출온도는 40 내지 80℃인 것이 바람직하고 50 내지 6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추출시간은 1 내지 5시간인 것이 바람직하며, 2시간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단계 3)의 감압농축은 진공감압농축기 또는 진공회전증발기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건조는 감압건조, 진공건조, 비등건조, 분무건조 또는 동결건조를 모두 이용할 수 있으며, 이 중 동결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단계 4)의 유기용매는 헥산(n-hexane), 디클로로메탄((dichloromethane) 및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에틸아세테이트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단계 4)의 분획물은 70% 에탄올 추출물을 증류수로 현탁하여 동량의 헥산(n-hexane)을 혼합한 다음 분액깔때기를 넣고 분획하여 헥산층을 분리 제거한 후, 남은 물 층에 동량에 디클로로메탄(dichloromethane)을 혼합한 다음 디클로로메탄 층을 분리 제거한 다음, 남은 물 층에 다시 동량의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를 혼합하여 분획한 다음 에틸아세테이트 층을 분리 농축한 후 동결 건조하여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을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획물은 상기 치자 추출물로부터 분획 과정을 1 내지 5회, 바람직하게는 3회 반복하여 수득할 수 있고, 분획 후 감압 농축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치자를 물로 세척한 후, 그늘 및 실온에서 건조시켰다. 건조된 치자를 추출용기에 넣고, 추출용매로 50 ~ 60℃에서 2시간 동안 추출하고 여과지에 여과하였다. 상기 추출액을 50 ~ 55℃에서 감압농축하고 동결건조시켜 치자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치자 추출물의 분획물은 상기와 같이 제조된 치자 추출물에 추가로 유기용매를 가하여 분획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에서,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치자 추출물 및 분획물의 알러지성 히스타민의 분비억제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마우스 비만세포(mast cell)에서 알러지성 히스타민(histamine)의 생성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치자 분획물이 농도 의존적으로 알러지성 히스타민의 분비를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치자 추출물과 비교하여 높은 알러지성 히스타민의 억제효과를 확인함으로써, 치자 추출물에 비해 탁월한 알러지성 히스타민 억제 효과를 갖는 것을 알 수 있었다도 2 참조).
본 발명자들은 알러지성 아토피 피부염 질환에서 항알러지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알러지성 아토피 피부염 유발 마우스 모델에서 치자 추출물 및 치자 분획물의 항알러지 효능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치자 추출물에 비해 치자 분획물이 피부염을 현저히 완화시키고 치자 분획물이 차자 추출물에 비해 귀 부종을 현저히 감소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도 3 및 도 4 참조). 또한, 실험 종료 후 알러지성 아토피 피부염 마우스의 혈액을 채취하여 혈청 중의 전체 IgE 농도를 측정한 결과, 치자 분획물에서 치자 추출물을 처리한 경우에 비해 전체 IgE 농도를 더욱 크게 감소하였다(도 5 참조).
따라서, 본 발명의 치자 추출물로부터 분리한 분획물의 염증 유발 히스타민 분비량 억제 및 알러지성 아토피 피부염 질환 모델에 의한 항알러지 효과를 확인하였으므로, 상기 치자 추출물을 유기용매로 분획한 분획물은 알러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인 것이 바람직하고,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이 적용될 수 있는 개체는 척추동물이고 바람직하게는 포유동물이며, 그보다 바람직하게는 쥐, 토끼, 기니아피크, 햄스터, 개, 고양이와 같은 실험동물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침팬지, 고릴라와 같은 유인원류 동물이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할 수 있으나 비경구 투여(예를 들어, 도포 또는 정맥 내, 피하, 복강 내 주사)가 바람직하며, 특히 도포가 더욱 바람직하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연질캅셀제, 환 등이 포함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에어로졸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로는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멸균된 수용액, 액제, 비수성용제, 현탁제, 에멀젼, 시럽, 좌제, 에어로졸 등의 외용제 및 멸균 주사제제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크림, 젤, 패취, 분무제, 연고제, 경고제, 로션제, 리니멘트제, 파스타제 또는 카타플라스마제의 피부 외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국소 투여의 조성물은 임상적 처방에 따라 무수형 또는 수성형일 수 있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알러지성 피부염을 효과적으로 치료하기 위해서는 적합한 외용제형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알러지성 피부염을 치료하기 위해 본 발명의 치자 분획물을 적당히 희석하여 피부에 직접 도포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의 알러지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이 환부에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도록 연고제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연고제는 본 발명의 알러지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무기물질과 배합한 다음, 이를 지용성 기제로 코팅하여 제조한다. 상기 무기물질은 항균성, 소염효과, 표피재생 효과 등이 우수한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들의 구체적인 예로는 산화아연, 탄산아연, 산화철 등이 있다. 또한, 수용성 물질인 본 발명의 알러지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안전하게 함침 할 수 있는 세라믹 담체를 추가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세라믹 담체로는 제올라이트, 활석, 석고, 모려분 및 이들의 혼합물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러한 세라믹 담체는 수용성 성분의 함침성이 우수하여 피부에 수용성 성분의 공급을 원활히 할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투여를 위해서 상기 기재한 유효성분 이외에 추가로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1종 이상 포함하여 제조할 수 있다.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는 식염수, 멸균수, 링거액, 완충 식염수, 덱스트로즈 용액, 말토 덱스트린 용액, 글리세롤, 에탄올 및 이들 성분 중 1 성분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항산화제, 완충액, 정균제 등 다른 통상의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또한 희석제, 분산제, 계면활성제, 결합제 및 윤활제를 부가적으로 첨가하여 수용액, 현탁액, 유탁액 등과 같은 주사용 제형 등으로 제제화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당 분야의 적정한 방법으로 또는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최근판),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에 개시되어 있는 방법을 이용하여 각 질환에 따라 또는 성분에 따라 바람직하게 제제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부형제, 붕해제, 감미제, 활택제, 향미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붕해제로는 전분글리콜산나트륨, 크로스포비돈, 크로스카멜로스나트륨, 알긴산,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칼슘, 카르복시 메틸셀룰로오스 나트륨, 키토산, 구아검, 저치환도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마그네슘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폴라크릴린 칼륨 등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첨가제로는 전분, 젤라틴화 전분, 미결정셀룰로오스, 유당, 포비돈, 콜로이달실리콘디옥사이드, 인산수소칼슘, 락토스, 만니톨, 엿, 아라비아고무, 전호화전분, 옥수수전분, 분말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오파드라이, 전분글리콜산나트륨, 카르나우바 납, 합성규산알루미늄, 스테아린산, 스테아린산마그네슘, 스테아린산알루미늄, 스테아린산칼슘, 백당, 덱스트로스, 소르비톨, 탈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첨가제는 상기 약학적 조성물에 대해 0.1~90 중량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량은 환자의 체중, 연령, 성별, 건강상태, 식이, 투여시간, 투여방법, 배설율 및 질환의 중증도에 따라 그 범위가 다양하며, 일일 투여량은 치자 추출물로부터 분리한 분획물의 양을 기준으로 0.0001 내지 100 ㎎/㎏이고,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10 ㎎/㎏이며, 하루 1~6 회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단독으로, 또는 수술, 방사선 치료, 호르몬 치료, 화학 치료 및 생물학적 반응 조절제를 사용하는 방법들과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치자 추출물을 유기용매로 분획한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러지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알러지 질환은 과민성, 알러지성 비염, 천식, 알러지성 결막염, 알러지성 피부염, 아토피성 피부염, 접촉성 피부염, 두드러기, 소양증, 곤충 알러지, 식품 알러지 및 약품 알러지 질환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러지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치자 추출물로부터 분리한 분획물의 염증 유발 히스타민 분비량 억제 및 알러지성 아토피 피부염 질환 모델에서 피부염, 부종 및 혈중 IgE 감소를 확인하여 항알러지 효과를 확인하였으므로, 상기 치자 추출물을 유기용매로 분획한 분획물은 알러지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예를 들면 용액, 겔, 고체 또는 반죽 무수 생성물, 수상에 유상을 분산시켜 얻은 에멀젼, 현탁액, 마이크로에멀젼, 마이크로캡슐, 미세과립구 또는 이온형(리포좀), 비이온형의 소낭 분산제의 형태, 크림, 스킨, 로션, 파우더, 연고, 스프레이 또는 콘실 스틱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포말(foam)의 형태 또는 압축된 추진제를 더 함유한 에어로졸 조성물의 형태로도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본 발명의 치자 분획물에 추가로 지방 물질, 유기 용매, 용해제, 농축제 및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쇄제 및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화장품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치자 추출물을 유기용매로 분획한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러지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식품을 제공한다.
상기 알러지 질환은 과민성, 알러지성 비염, 천식, 알러지성 결막염, 알러지성 피부염, 아토피성 피부염, 접촉성 피부염, 두드러기, 소양증, 곤충 알러지, 식품 알러지 및 약품 알러지 질환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러지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식품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치자 추출물로부터 분리한 분획물의 염증 유발 히스타민 분비량 억제 및 알러지성 아토피 피부염 질환 모델에서 피부염, 부종 및 혈중 IgE 감소를 확인하여 항알러지 효과를 확인하였으므로, 상기 치자 추출물을 유기용매로 분획한 분획물은 알러지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식품의 유효성분으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치자 분획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치자 분획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세지, 빵, 쵸코렛,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은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슈크로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및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감미제로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감미제나,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당 일반적으로 약 0.01 ~ 0.04 g, 바람직하게는 약 0.02 ~ 0.03 g 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치자 분획물은 여러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본 발명의 치자 분획물은 천연 과일쥬스, 과일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크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당 0.01 ~ 0.1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비교예 및 제조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비교예 및 제조예는 본 발명의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 비교예 및 제조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비교예 1> 치자 추출물의 제조
(주) 옴니허브(대구, 한국)에서 구입한, 300 g의 치자(Gardenia jasminoides)를 건조하여 분쇄하고, 시료 중량에 10 배에 해당하는 70% 에탄올 수용액(70% EtOH)에 침지하여 교반한 후, 50 내지 60℃의 추출온도에서 2 시간 동안 2 회 환류 추출하고 여과지에 여과하였다. 상기 추출액을 50 내지 55℃에서 농축기를 사용하여 감압 농축한 후, 동결 건조시켜 70% 에탄올 추출물(73.2 g)을 수득하였다.
< 실시예 1> 치자 추출물의 분획물의 제조
상기 <비교예 1>에서 수득한 70% 에탄올 추출물을 증류수로 현탁한 후, 동량의 헥산(n-hexane)을 혼합한 다음 분액깔때기를 넣고 분획하여 헥산 층을 분리 제거하였다. 남은 물 층에 동량에 디클로로메탄(dichloromethane)을 혼합한 다음 디클로로메탄 층을 분리 제거하였다. 남은 물 층에 다시 동량의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를 혼합하여 분획한 다음 에틸아세테이트 층을 분리 농축한 후 동결 건조하여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제조하였다(도 1).
< 실험예 1> 비만 세포 모델에 의한 항알러지 실험
<1-1> 세포 배양
마우스 비만세포(mast cell)인 MC/9 세포를 미국 세포주 은행(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 ATCC, 미국)으로부터 구입하여 10% 열처리-불활성화 FBS(heat-inactivated Fetal Bovine Serum), 100 units/ml 페니실린(penicillin), 100 μg/ml 스트렙토마이신(streptomycin)을 첨가한 DMEM 배지로 37°C, 5% CO2 환경에서 배양하였다.
<1-2> 염증 유발 히스타민( histamine ) 분비량 측정
배양된 MC/9 마우스 비만 세포를 96-웰 플레이트에 접종한 후, 공지의 방법으로 25 ug/ml의 compound 48/80(입수처를 기재하여주시기 바랍니다.) 및 0, 100, 200, 400 및 800 μg/ml의 치자 추출물 또는 0, 50, 100, 200 및 400 μg/ml의 치자 분획물을 20분 동안 처리하였다(Bytautiene et al., 2008, Int Aech Allergy Immunol 147, 140-146; Kim E.K et al., 2007, Biosci Biotechnol Biochem 71, 2886-2892). 그 후, 배지에 분비된 알러지성 히스타민의 분비량을 ELISA kit(Oxford Biomedical Research Inc., 미국)로 측정하였다. 히스타민 억제의 100% 활성은 compound 48/80이 처리되지 않은 군에서 처리된 군 사이의 히스타민 분비량의 차이로 계산하였다(수학식 1).
마우스 MC/9 비만세포에 compound 48/80 (25 μg/ml)와 시료를 농도별(0, 25, 50, 100, 200, 400 μg/ml)로 처리하고 20분 동안 배양한 후, 배지에 분비된 알러지성 히스타민(histamine)의 생성량을 ELISA kit(Oxford Biomedical Research Inc., 미국)를 사용하여 마이크로 리더기(제조사를 기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에서 측정하였다. 히스타민의 100% 생성량은 compound 48/80만 처리된 군으로 정의하여 시료 처리군의 상대적인 생성량(% 의 대조군)을 계산하였다. 모든 측정 결과는 평균(mean)과 표준편차(standard deviation; SD)로 나타내었으며, 실험군 간의 차이는 Student's t-test를 사용하여 통계학적 분석을 수행하였고, p < 0.05 값인 경우에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판정하였다.
그 결과, 치자 추출물 또는 분획물이 농도 의존적으로 알러지성 히스타민의 분비를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고, 치자 추출물의 히스타민 분비 억제 효능은 IC50 = 400.44 μg/ml인 값으로 나타났고, 치자 분획물의 억제 효능은 IC50 = 126.33 μg/ml인 값으로 확인되어 치자 분획물이 추출물에 비해 탁월한 히스타민 억제 효능을 보였다(3.16배). 이를 통해 치자 분획물의 탁월한 알러지성 히스타민에 대한 탁월한 억제 효과를 확인하였다(도 2).
Figure pat00001
< 실험예 2> 알러지성 아토피 피부염 질환 모델에서 항알러지 효능 실험
<2-1> 실험 동물 및 사육 조건
알러지성 아토피 피부염 유발 모델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5.5 주령의 수컷 NC/Nga 마우스(Oshio et al., 2009, International Immunopharmacology 9, 403-411)를 (주)중앙실험동물로부터 공급받아, 온도 20-22℃, 상대습도 40-60% 및 12시간 간격으로 명암이 조절되는 조건인 한국한의학연구원 동물사육실에서 2주일간 환경에 적응하도록 순화시켰다. 사료와 음수는 자유롭게 섭취하도록 하였으며 군당 6마리씩 무작위 분배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2-2> 알러지성 아토피 피부염 동물 모델 제작
알러지성 아토피 피부염은 8주령의 NC/Nga 마우스의 피부에 알러지성 아토피 유발 항원인 집먼지 진드기 항원(Dermathophagoides farinae extract, Biostir-AD, Astellas, 일본)를 도포하여 유발하였다(Oshio et al., 2009). 실험시작 전일에 마우스의 양쪽 귀와 등의 모발을 제모기(JD-S-138, THRIVE, 일본)와 제모크림(veet, Reckitt benckiser, 프랑스)을 이용하여 제거하였고 이후의 항원 적용시에는 제모기만 사용하였다. 실험시작일(Day 0)에 4% SDS(sodium dodecyl sulfate) 150 ㎕를 도포하고 2-3시간 동안 방치한 후 D. farinae 항원을 등(100 mg/mouse)과 양쪽 귀(10 mg/mouse)에 각각 적용하였다. SDS와 항원 적용은 1주에 2회씩, 3주 동안 총 6회 시행하였다.
<2-3> 알러지성 아토피 피부염 동물의 치자 추출물 및 치자 분획물 처리
추출물 및 분획물의 항알러지 효능을 확인하고자 상기 실험예 <2-2>의 알러지성 아토피 피부염 마우스에 항원으로 아토피를 유발시키기 30분 전에, 아세톤 : 증류수(3:1)에 녹인 치자 추출물(400㎍/마우스) 또는 치자 분획물(200㎕/mouse)을 실험군의 등과 귀에 도포하였고, 항원 적용 7일째부터 약 2주간 매일 도포하였다.
<2-4> 알러지성 아토피 피부염 동물에서 치자 추출물 및 분획물의 피부염 억제 확인
상기 실험예 <2-3>과 같이 치자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처리한 알러지성 아토피 피부염 마우스에서 피부손상 정도를 주 2회 평가하였으며 약재적용 30분 전에 실시하였다. 홍반/출혈(erythema/hemorrhage), 부종(edema), 찰과상/미란(excoriation/erosion), 반흔/건조(scarring/dryness)의 항목으로 나누어 총 3단계(0;none, 1;mild, 2;moderate, 3;severe)로 공지의 방법으로 평가하였다(Yamamoto M et al., 2008, Arch Dermatol Res ahead of print).
그 결과, 치자 추출물 및 분획물은 질환군에 비하여 모두 피부염을 감소시켰으며 특히 치자 분획물은 실험 시작 후 14일 째부터 추출물의 1/2 투여량으로 치자 추출물의 피부염 감소 수준보다 대략 2배 가량 더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3).
<2-5> 알러지성 아토피 피부염 동물에서 치자 추출물 및 분획물의 귀 부종 변화
상기 실험예 <2-3>과 같이 처리한 마우스에서, 각 귀의 두께를 dial thickness gauge(M110-25, Mitutoyo, 일본)로 주 2회 측정하여 알러지성 부종 지표로서 증가율을 계산하였다. 100% 부종율은 항원만 단독으로 처리된 군으로 정의하여 상대적인 부종율(% 의 대조군)을 제시하였다. 모든 측정 결과는 평균(mean)과 표준편차(standard deviation; SD)로 나타내었으며, 실험군 간의 차이는 Student's t-test를 사용하여 통계학적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p < 0.05 값인 경우에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판정하였다.
그 결과, 정상군과 항원을 처리한 질환군 마우스의 귀 두께는 각각 0.36 mm, 0.75 mm이었고, 치자 추출물로 처리하였을 때 귀 두께는 0.60 mm로 64.02%의 귀부종율을 나타내었으며, 치자 분획물의 경우 0.52 mm로 40.11%의 귀부종율을 보여 치자 추출물의 절반의 투여량으로 추출물에 비해 귀 부종 억제효과가 더욱 컸다(P<0.05). 이를 통해 치자 추출물 또는 분획물의 아토피 피부염 억제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특히 치자 분획물의 탁월한 부종 억제 효과를 통해 항알러지 활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4).
<2-6> 알러지성 아토피 피부염 동물에서 치자 추출물 및 분획물의 혈청 IgE 농도의 감소효과 확인
상기 실험예 2-3과 같이 처리한 마우스에서, 실험 종료 후 혈액을 채취하고 혈청 중의 전체 IgE 농도를 마우스 IgE ELISA kit(Shibayagi Co, 일본)를 사용하여 마이크로 리더기에서 측정하였다.
그 결과, 치자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처리하면 혈청 IgE 농도가 감소하였으며 특히 치자 분획물의 경우(59%)에서 추출물을 처리한 경우(77%)에 비해 더욱 크게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여, 추출물의 절반의 투여량을 사용했음에도 치자 분획물이 혈청 IgE 억제효과가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도 5).
< 제조예 1> 약학적 제제의 제조
<1-1> 산제의 제조
본 발명의 치자 분획물 2 g
유당 1 g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하였다.
<1-2> 정제의 제조
본 발명의 치자 분획물 100 ㎎
옥수수전분 100 ㎎
유 당 100 ㎎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1-3> 캡슐제의 제조
본 발명의 치자 분획물 100 ㎎
옥수수전분 100 ㎎
유 당 100 ㎎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캡슐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1-4> 환의 제조
본 발명의 치자 분획물 1 g
유당 1.5 g
글리세린 1 g
자일리톨 0.5 g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방법에 따라 1 환 당 4 g이 되도록 제조하였다.
<1-5> 과립의 제조
본 발명의 치자 분획물 150 ㎎
대두 추출물 50 ㎎
포도당 200 ㎎
전분 600 ㎎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30% 에탄올 100 ㎎을 첨가하여 섭씨 60℃에서 건조하여 과립을 형성한 후 포에 충진하였다.
< 제조예 2> 화장품의 제조
본 발명의 치자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품으로 영양화장수, 크림, 에센스 등의 유화 제형의 화장품 및 유연화장수 등의 가용화 제형의 화장품을 제조하였다.
<2-1> 유화 제형의 화장품 제조
표 1에 기재된 조성으로 유화제형의 화장품을 제조하였다. 제조 방법은 하기와 같다.
1) 1 내지 9의 원료를 혼합한 혼합물을 65~70℃로 가열하였다.
2) 10의 원료를 상기 단계 1)의 혼합물에 투입하였다.
3) 11 내지 13의 원료의 혼합물을 65~70℃로 가열하여 완전히 용해시켰다.
4) 상기 단계 3)을 거치면서, 상기 2)의 혼합물을 서서히 첨가하여 8,000 rpm에서 2~3분간 유화시켰다.
5) 14의 원료를 소량의 물에 용해시킨 후 상기 단계 4)의 혼합물에 첨가하고 2분간 더 유화시켰다.
6) 15 내지 17의 원료를 각각 평량한 후 상기 단계 5)의 혼합물에 넣고 30초간 더 유화시켰다.
7) 상기 단계 6)의 혼합물을 유화 후 탈기과정을 거쳐 25~35℃로 냉각시킴으로써 유화제형의 화장품을 제조하였다.
유화 제형 1, 2, 3의 조성
조성 유화제형 1 유화제형 2 유화제형 3
1 스테아린 산 0.3 0.3 0.3
2 스테알리 알콜 0.2 0.2 0.2
3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레이트 1.2 1.2 1.2
4 밀납 0.4 0.4 0.4
5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
모노라우린산 에스테르
2.2 2.2 2.2
6 파라옥시안식향산 메틸 0.1 0.1 0.1
7 파라옥시안식향산 프로필 0.05 0.05 0.05
8 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 5 5 5
9 트리글리세라이드 2 2 2
10 사이클로메티콘 3 3 3
11 증류수 ~ 100 ~ 100 ~ 100
12 농글리세린 5 5 5
13 트리에탄올아민 0.15 0.15 0.15
14 폴리아크릴산 중합체 0.12 0.12 0.12
15 색소 0.0001 0.0001 0.0001
16 0.10 0.10 0.10
17 본 발명의 치자 분획물 0.0001 1 10
<2-2> 가용화 제형의 화장품 제조
표 2에 기재된 조성으로 가용화 제형의 화장품을 제조하였다. 제조 방법은 하기와 같다.
1) 2 내지 6의 원료를 1의 원료(정제수)에 넣고 아직믹서를 이용하여 용해시켰다.
2) 8 내지 11의 원료를 7의 원료(알코올)에 넣고 완전용해시켰다.
3) 상기 단계 2)의 혼합물을 상기 단계 1)의 혼합물에 서서히 첨가하면서 가용화시켰다.
가용화 제형 1, 2, 3의 조성
조성 가용화 제형 1 가용화 제형 2 가용화 제형 3
1 정제수 ~ 100 ~ 100 ~ 100
2 농글리세린 3 3 3
3 1,3-부틸렌글리콜 2 2 2
4 EDTA-2Na 0.01 0.01 0.01
5 색소 0.0001 0.0002 0.0002
6 본 발명의 치자 분획물 0.1 5 5
7 알코올(95%) 8 8 8
8 파라옥시안식향산 메틸 0.1 0.1 0.1
9 폴리옥시에틸렌
하이드로제네이디트에스테르
0.3 0.3 0.3
10 0.15 0.15 0.15
11 사이클로메티콘 - - 0.2
< 제조예 3> 식품의 제조
본 발명의 치자 분획물을 포함하는 식품들을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3-1> 밀가루 식품의 제조
본 발명의 치자 분획물 0.5~5.0 중량부를 밀가루에 첨가하고, 이 혼합물을 이용하여 빵, 케이크, 쿠키, 크래커 및 면류를 제조하였다.
<3-2> 스프 및 육즙( gravies )의 제조
본 발명의 치자 분획물 0.1~5.0 중량부를 스프 및 육즙에 첨가하여 건강 증진용 육가공 제품, 면류의 수프 및 육즙을 제조하였다.
<3-3> 그라운드 비프(ground beef)의 제조
본 발명의 치자 분획물 10 중량부를 그라운드 비프에 첨가하여 건강 증진용 그라운드 비프를 제조하였다.
<3-4> 유제품( dairy products )의 제조
본 발명의 치자 분획물 5~10 중량부를 우유에 첨가하고, 상기 우유를 이용하여 버터 및 아이스크림과 같은 다양한 유제품을 제조하였다.
<3-5> 선식의 제조
현미, 보리, 찹쌀, 율무를 공지의 방법으로 알파화시켜 건조시킨 것을 배전한 후 분쇄기로 입도 60 메쉬의 분말로 제조하였다.
검정콩, 검정깨, 들깨도 공지의 방법으로 쪄서 건조시킨 것을 배전한 후 분쇄기로 입도 60 메쉬의 분말로 제조하였다.
본 발명의 치자 분획물을 진공 농축기에서 감압농축하고, 분무, 열풍건조기로 건조하여 얻은 건조물을 분쇄기로 입도 60 메쉬로 분쇄하여 건조분말을 얻었다.
상기에서 제조한 곡물류, 종실류 및 상기 <실시예 1>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다음의 비율로 배합하여 제조하였다:
곡물류(현미 30 중량부, 율무 15 중량부, 보리 20 중량부),
종실류(들깨 7 중량부, 검정콩 8 중량부, 검정깨 7 중량부),
상기 <실시예 1>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3 중량부),
영지(0.5 중량부), 및
지황(0.5 중량부).
< 제조예 4> 음료의 제조
<4-1> 건강음료의 제조
액상과당(0.5%), 올리고당(2%), 설탕(2%), 식염(0.5%), 물(75%)과 같은 부재료와 본 발명의 치자 분획물 5 g을 균질하게 배합하여 순간 살균을 한 후 이를 유리병, 패트병 등 소포장 용기에 포장하여 제조하였다.
<4-2> 야채 주스의 제조
본 발명의 치자 분획물 5 g을 토마토 또는 당근 주스 1,000 ㎖에 가하여 야채 주스를 제조하였다.
<4-3> 과일 주스의 제조
본 발명의 치자 분획물 1 g을 사과 또는 포도 주스 1,000 ㎖ 에 가하여 과일 주스를 제조하였다.

Claims (12)

  1. 치자(Gardenia jasminoides) 추출물을 유기용매로 분획한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러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C1 ~ C2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추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러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획물은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러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알러지 질환은 과민성(anaphylaxis), 알러지성 비염(allergic rhinitis), 천식(asthma), 알러지성 결막염(allergic conjunctivitis), 알러지성 피부염(allergic dermatitis), 아토피성 피부염(atopic dermatitis), 접촉성 피부염, 두드러기, 소양증, 곤충 알러지, 식품 알러지 및 약품 알러지 질환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알러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5. 치자 추출물을 유기용매로 분획한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러지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C1 ~ C2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추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러지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분획물은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러지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알러지 질환은 과민성, 알러지성 비염, 천식, 알러지성 결막염, 알러지성 피부염, 아토피성 피부염, 접촉성 피부염, 두드러기, 소양증, 곤충 알러지, 식품 알러지 및 약품 알러지 질환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화장료 조성물.
  9. 치자 추출물을 유기용매로 분획한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러지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 식품.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에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추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러지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 식품.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분획물은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러지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 식품.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알러지 질환은 과민성, 알러지성 비염, 천식, 알러지성 결막염, 알러지성 피부염, 아토피성 피부염, 접촉성 피부염, 두드러기, 소양증, 곤충 알러지, 식품 알러지 및 약품 알러지 질환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건강 식품.
KR1020100056353A 2010-06-15 2010-06-15 치자 추출물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러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1657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6353A KR101165716B1 (ko) 2010-06-15 2010-06-15 치자 추출물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러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6353A KR101165716B1 (ko) 2010-06-15 2010-06-15 치자 추출물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러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6387A true KR20110136387A (ko) 2011-12-21
KR101165716B1 KR101165716B1 (ko) 2012-07-18

Family

ID=45503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6353A KR101165716B1 (ko) 2010-06-15 2010-06-15 치자 추출물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러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5716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10797A (zh) * 2013-12-20 2014-03-05 潘靖年 一种治疗湿热壅盛型角结膜炎的中药组合物
KR102007728B1 (ko) * 2018-03-07 2019-08-06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조릿대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러지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시약 조성물
WO2020013610A1 (ko) * 2018-07-10 2020-01-16 한국 한의학 연구원 색소가 제거된 치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러지성 피부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00107361A (ko) * 2019-03-07 2020-09-16 한국 한의학 연구원 색소가 제거된 치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00116753A (ko) * 2019-04-02 2020-10-13 (주)해원바이오테크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복합제제 및 그 제조방법
KR20220167674A (ko) * 2021-06-14 2022-12-21 이노베이션허브(주) 반려견의 아토피 피부염 완화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1547B1 (ko) 2018-02-05 2018-12-21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단풍마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10797A (zh) * 2013-12-20 2014-03-05 潘靖年 一种治疗湿热壅盛型角结膜炎的中药组合物
KR102007728B1 (ko) * 2018-03-07 2019-08-06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조릿대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러지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시약 조성물
WO2020013610A1 (ko) * 2018-07-10 2020-01-16 한국 한의학 연구원 색소가 제거된 치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러지성 피부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00006508A (ko) * 2018-07-10 2020-01-20 한국 한의학 연구원 색소가 제거된 치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러지성 피부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12351788A (zh) * 2018-07-10 2021-02-09 韩国韩医学研究院 包含已去除色素的栀子提取物作为有效成分的用于预防、改善或治疗过敏性皮肤病的组合物
KR20200107361A (ko) * 2019-03-07 2020-09-16 한국 한의학 연구원 색소가 제거된 치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0180139A3 (ko) * 2019-03-07 2020-12-10 한국 한의학 연구원 색소가 제거된 치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00116753A (ko) * 2019-04-02 2020-10-13 (주)해원바이오테크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복합제제 및 그 제조방법
KR20220167674A (ko) * 2021-06-14 2022-12-21 이노베이션허브(주) 반려견의 아토피 피부염 완화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65716B1 (ko) 2012-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6758B1 (ko) 생약 추출물 또는 이의 유산균 발효물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165716B1 (ko) 치자 추출물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러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10004603A (ko) 폐경기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 피부 노화 방지, 또는 피부 주름 개선용 회화나무 추출물
KR20150086982A (ko) 원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919852B1 (ko) 해방풍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부종 또는 피부염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228257B1 (ko) 풋귤, 울금 및 감귤꽃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 또는 항여드름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64249B1 (ko) 사상자 추출물 및 카퍼트리펩타이드-1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213054B1 (ko) 국화 및 주증대황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036826B1 (ko) 으름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207239B1 (ko) 천문동 추출물로부터 제조한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50115414A (ko) 오미자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상처치유용 약학적 조성물
KR102106440B1 (ko) 블루베리 및 흑미 추출물 배양 유산균을 포함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1700850B1 (ko) 소맥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과민면역반응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44566B1 (ko) 택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00133090A (ko) 꾸지뽕나무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70000366A (ko) 감귤 추출물 및 꿩의비름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및 항염증용 조성물
KR20160091593A (ko) 심비디움(cymbidium) 추출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레르기 질환 또는 접촉성 피부염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KR101402599B1 (ko) 각시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레르기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658429B1 (ko) 감피 초임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1425560B1 (ko) 엘리오카퍼스 페티오라투스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KR101425047B1 (ko) 로도덴드론 알붐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KR102209664B1 (ko) 회잎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62843B1 (ko) 개암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10013497A (ko) 새싹귀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30126811A (ko) 발아 흑미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예방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