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4760B1 - 젖버섯아재비로부터 신규한 세스퀴테르핀계 화합물의 제조방법과 이를 함유하는 면역강화 또는 항염증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젖버섯아재비로부터 신규한 세스퀴테르핀계 화합물의 제조방법과 이를 함유하는 면역강화 또는 항염증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4760B1
KR101484760B1 KR20100109718A KR20100109718A KR101484760B1 KR 101484760 B1 KR101484760 B1 KR 101484760B1 KR 20100109718 A KR20100109718 A KR 20100109718A KR 20100109718 A KR20100109718 A KR 20100109718A KR 101484760 B1 KR101484760 B1 KR 1014847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und
present
inflammatory
dermatitis
active ingred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001097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48207A (ko
Inventor
김관철
유익동
김재화
류인자
Original Assignee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이노스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이노스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생명공학연구원
Priority to KR201001097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4760B1/ko
Publication of KR201200482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82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47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4760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Myc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Botan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젖버섯아재비(Lactarius hatsudake) 추출물로부터 분리한 구아이안 세스퀴테르핀(guaiane sesquiterpenes)계 화합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젖버섯아재비로부터 분리한 신규한 구아이안 세스퀴테르핀(guaiane sesquiterpenes)계 화합물인 락타리올린(Lactarioline) A 및 B는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인터페론-감마(Interferon-γ)의 생성을 억제하고, 세포독성이 거의 없어 피부 세포의 세포독성이 없는 안전한 물질이므로, 염증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젖버섯아재비로부터 신규한 세스퀴테르핀계 화합물의 제조방법과 이를 함유하는 면역강화 또는 항염증용 조성물{Method for preparing novel guaiane sesquiterpenes compounds from Lactarius hatsudake and compositions for enhancing immune system or anti-inflammation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젖버섯아재비(Lactarius hatsudake) 추출물로부터 분리한 신규한 구아이안 세스퀴테르핀(guaiane sesquiterpenes)계 화합물 및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인터페론-감마 조절제로 작용하는 항염증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염증성 질환이란 세균의 침입에 의해 형성되는 농양의 병리적 상태를 의미한다. 상기 염증성 질환으로는 골관절염, 류마티스 관절염, 통풍, 강직성 척추염, 건염, 건막염, 류마티스 열, 루프스, 섬유근통(Fibromyalgia), 건선 관절염, 천식, 아토피, 크론병, 궤양성 대장염 등 급성 만성 염증질환 등이 있다. 염증은 물리적인 외상, 유해한 화학물질, 미생물에 의한 감염이나 생체 내 대사산물 중의 자극성 물질에 의하여 야기되는 조직손상에 대하여 국소적으로 나타나는 정상적이고 보호적인 생체 내 방어기전의 발현이다. 이러한 염증은 손상조직과 이동하는 세포(migrating cells)로부터 생산되는 다양한 화학매개인자에 의하여 촉발되며, 이들 화학매개인자들은 염증과정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정상적인 경우에 생체는 염증반응을 통하여 발병 요인을 중화시키거나 제거하고 상한 조직을 재생시켜서 정상적인 구조와 기능을 회복시키지만, 그렇지 못한 경우에는 만성 염증과 같은 질병 상태로 진행되기도 한다. 또한, 꽃가루와 같이 무해한 물질이나 천식, 류마티스성 관절염과 같은 자가면역반응에 의해 부적절하게 염증이 촉발되는 경우에는 방어반응 자체가 오히려 조직을 손상시킴으로 염증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제가 필요하게 된다. 거의 모든 임상질환에서 염증 반응을 관찰할 수 있고, 이들 염증 질환 중에는 항생제 투여로 원인적 치료가 가능한 세균성 질환도 있지만, 대부분은 그 발병이 자가면역반응에 의한 조직손상에 기인하므로 특이적 치료법이 없는 난치병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염증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가장 일반적인 염증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제는 크게 스테로이드성 및 비스테로이드성 염증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제로 구분되며, 이중 대부분의 합성 염증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제는 주작용 이외에 여러 가지 부작용을 수반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효과가 탁월하며 부작용이 적은 염증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제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효능 및 부작용 측면에서 볼 때, 예로부터 임상적 경험이 풍부하고 안전성 측면에서 탁월한 평가를 받고 있는 천연물 제제가 염증 질환의 예방 및 치료제 개발에 있어 좋은 후보물질이 될 것으로 여겨진다.
생체에 있어서 염증의 발생 원인으로서는 다양한 생화학적인 현상이 관여하고 있다. 대식세포(Macrophage)는 다양한 기능을 가진 세포로 화학적 자극에 의하여 여러 가지 사이토카인(cytokine)과 질소산화물(NO)을 생성하여 염증반응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히, 대식세포에서 인터페론-감마(Interferons-γ, IFN-γ)와 같은 사이토카인 자극에 의해 발현되는 유도성 질소산화물 합성효소(iNOS)는 장시간 동안 다량의 질소산화물(NO)을 생산한다. 이러한 산화적 스트레스는 IκB에 의하여 억제되어 있는 염증 반응의 전사인자인 NF-κB 활성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활성화된 NF-κB는 핵으로 이동하여 iNOS, COX-2 및 IL-1β나 TNF-α와 같은 여러 종류의 사이토카인 등 염증반응을 유도하는 유전자 발현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들 인자들을 저해하면 염증 반응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Baeuerle et al., Annu. Rev. Immunol., 12:141-179, 1994).
질소산화물(NO)은 세 가지 주요한 질소산화물 합성효소(NOS) 이성질체인 neuronal NOS(nNOS), endothelial NOS(eNOS), inducible NOS(iNOS)에 의해 L-아르기닌(L-arginine)으로부터 생성된다. nNOS와 eNOS는 Ca2+/칼모듈린(calmodulin)에 의해 조절되지만, iNOS는 인터루킨(interleukin), 인터페론(interferon), LPS와 같은 염증성 자극에 의해 전사 수준에서 조절된다. nNOS나 eNOS에 의해 소량 생성된 NO는 혈관확장, 신경전달, 병원체에 대한 세포파괴 등과 같은 정상적인 생리기능을 담당하지만, 대식세포에서 iNOS에 의해 과다 생성된 NO는 염증과 암을 포함한 다양한 병리생리학적 과정에 관여하며, 수퍼옥사이드(superoxide)와 반응하여 퍼옥시니트라이트(peroxynitrite)를 형성하고 이는 강력한 산화제로 작용하여 세포에 손상을 입히고, 염증성 자극에 의해 활성화된 대식세포에서 NF-κB를 활성화시켜 염증반응, 암, 동맥경화 등 만성질환에 관련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Lawrence et al., Nat Med., 7:1291-1297, 2001; Riehemann et al., FEBS Lett., 442:89-94, 1999;Stamler et al., Science, 258:1898-1902, 1992).
한편, 인터페론(Interferon, IFN)은 병원균에 대한 포유류 숙주의 저항성에 중요한 사이토카인을 말한다. 인터페론의 3가지 주요 기능은 항바이러스작용, 항증식작용, 그리고 면역조절작용이다. 인터페론의 항바이러스 작용은 바이러스 간염치료에 이용되고, 항증식작용과 면역조절작용은 암의 치료에 이용되고 있다.
특히, 인터페론 감마(IFN-γ)는 면역 또는 타입 Ⅱ IFN으로 잘 알려져 있고, 활성화된 T 세포 및 자연 살해(natural killer, NK) 세포에 의해 급격하게 생성되는 동형이량체(homodimer)이다. 또한, 세포내 병원균에 대한 선천성(innate) 및 적응성(adaptive) 면역 및 종양 치료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면역계에 있어서 IFN-γ의 중요성은 직접적으로는 바이러스 복제의 억제 효과로부터 시작되지만, 가장 중요하게는, IFN-γ는 면역자극 및 면역조절 효과를 지닌다. 숙주 방어에 대한 INF-γ의 중추적인 역할 이외에도, IFN-γ의 이상 발현은 자가염증성질환(autoinflammatory) 및 자가면역질환(autoimmune disease)와 연관성이 있다. IFN-γ의 과도한 분비는 만성 염증 및 면역 질환의 발병과 관련된다. 따라서,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IFN-γ를 억제하는 물질을 탐색하면, 효과적인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물질로서 판명할 수 있을 것이다.
담자균류(Basidiomycete)의 무당버섯과(Russulaceae)에 속하는 젖버섯아재비(Lactarius hatsudake)는 한국, 중국, 일본, 유럽 및 북미에 널리 분포되어 있는 흔한 식용 버섯으로, 여름과 가을에 적송림 내 땅위에 군생 혹은 단생한다. 갓의 형태는 지름이 3~12 ㎝이고, 엷은 담적갈색으로 표면에는 짙은 동심원 모양 무늬가 있다. 처음에는 둥글다가 서서히 퍼져서 나중에는 깔때기 모양이 된다. 육질은 푸석푸석하지만 향이 좋고 맛이 좋아 초가을 송이버섯과 함께 예부터 일본사람들이 즐겨 먹어 왔던 버섯으로서, 향이 좋아 다양한 요리에 쓰인다.
현재, 젖버섯아재비의 항종양 및 항바이러스 효과에 대한 생물학적 활성이 보고되고 있고, 젖버섯아재비의 생체 활성 성분에 대한 이전의 연구들을 통해서 몇몇의 에르고스테롤(Ergosterol) 유도체 및 아줄렌 색소가 분리되었으나, IFN-γ 억제를 통해 항염증 작용을 하는, 젖버섯아재비 유래의 화합물에 대한 보고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항염증 활성이 우수한 신규한 물질을 천연물 유래의 대사 산물로부터 탐색하던 중, 젖버섯아재비(Lactarius hatsudake)로부터 항염증 활성이 우수한 신규 구아이안 세스퀴테르핀(guaiane sesquiterpenes)계 화합물을 순수하게 분리 및 정제하여, 신규한 아줄렌(azulene) 골격의 화합물임을 동정하였고, 동정된 화합물을 처음으로 락타리올린(Lactarioline) A 및 B로 명명한 후, 상기 두 화합물들이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인터페론-감마(Interferon-γ, IFN-γ) 생성 억제 활성이 있음을 확인하여, 항염증 작용을 갖는 물질임을 밝힘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신규한 구아이안 세스퀴테르핀(guaiane sesquiterpenes)계 화합물 및 이를 통한 IFN-γ 조절제로서의 용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신규한 구아이안 세스퀴테르핀(guaiane sesquiterpenes)계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제공한다:
Figure 112010072347996-pat00001
Figure 112010072347996-pat00002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합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면역개선, 또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피부 외용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신규한 구아이안 세스퀴테르핀(guaiane sesquiterpenes)계 화합물인 락타리올린(Lactarioline) A 및 B는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인터페론-감마(Interferon-γ)의 생성을 억제하고, 세포독성이 거의 없어 피부 세포의 세포독성을 억제함으로써, 염증성 사이토카인에 의한 염증성 피부에 대한 항염증용 화장료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항염증용 조성물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락타리올린(Lactarioline) A 또는 B를 처리한 NK92 세포의 IFN-γ 생성 억제 활성 및 세포독성을 나타낸 그림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락타리올린 A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0072347996-pat00003
.
또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락타리올린 B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제공한다:
[화학식 2]
Figure 112010072347996-pat00004
.
상기 화합물은 젖버섯아재비(Lactarius hatsudake)의 자실체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 또는 2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뿐만 아니라, 이로부터 제조될 수 있는 가능한 용매화물, 수화물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기 화합물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형태로 사용할 수 있으며, 염으로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유리산(free acid)에 의해 형성된 산 부가염이 유용하다. 산 부가염은 염산, 질산, 인산, 황산, 브롬화수소산, 요드화수소산, 아질산 또는 아인산과 같은 무기산류와 지방족 모노 및 디카르복실레이트, 페닐-치환된 알카노에이트, 하이드록시 알카노에이트 및 알칸디오에이트, 방향족 산류, 지방족 및 방향족 설폰산류와 같은 무독성 유기산으로부터 얻는다. 이러한 약학적으로 무독한 염류로는 설페이트, 피로설페이트, 바이설페이트, 설파이트, 바이설파이트, 니트레이트, 포스페이트, 모노하이드로겐 포스페이트, 디하이드로겐 포스페이트, 메타포스페이트, 피로포스페이트 클로라이드, 브로마이드, 아이오다이드, 플루오라이드,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 데카노에이트, 카프릴레이트, 아크릴레이트, 포메이트, 이소부티레이트, 카프레이트, 헵타노에이트, 프로피올레이트, 옥살레이트, 말로네이트, 석시네이트, 수베레이트, 세바케이트, 푸마레이트, 말리에이트, 부틴-1,4-디오에이트, 헥산-1,6-디오에이트, 벤조에이트, 클로로벤조에이트, 메틸벤조에이트, 디니트로 벤조에이트, 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메톡시벤조에이트, 프탈레이트, 테레프탈레이트, 벤젠설포네이트, 톨루엔설포네이트, 클로로벤젠설포네이트, 크실렌설포네이트, 페닐아세테이트, 페닐프로피오네이트, 페닐부티레이트, 시트레이트, 락테이트, β-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 글리콜레이트, 말레이트, 타트레이트, 메탄설포네이트, 프로판설포네이트, 나프탈렌-1-설포네이트, 나프탈렌-2-설포네이트 또는 만델레이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산 부가염은 통상의 방법,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상기 화합물을 과량의 산 수용액 중에 용해시키고, 이 염을 수혼화성 유기 용매, 예를 들면 메탄올, 에탄올, 아세톤 또는 아세토니트릴을 사용하여 침전시켜서 제조할 수 있다.
동량의 화학식 1 또는 2로 표시되는 상기 화합물 및 물 중의 산 또는 알코올을 가열하고, 이어서 이 혼합물을 증발시켜서 건조시키거나 또는 석출된 염을 흡입 여과시켜 제조할 수도 있다.
또한, 염기를 사용하여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금속염을 만들 수 있다.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 염은 예를 들면 화합물을 과량의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 또는 알칼리 토금속 수산화물 용액 중에 용해하고, 비용해 화합물 염을 여과하고, 여액을 증발, 건조시켜 얻는다. 이때, 금속염으로는 나트륨, 칼륨 또는 칼슘염을 제조하는 것이 제약상 적합하다. 또한, 이에 대응하는 은 염은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 염을 적당한 음염(예, 질산은)과 반응시켜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락타리올린 A 및 B 화합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화합물은 하기와 같은 단계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합물은
1) 젖버섯아재비(Lactarius hatsudake)를 물, C1-C2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추출하는 단계;
2) 상기 단계 1)에서 수득한 추출물의 n-헥산 분획물을 수득하는 단계; 및
3) 상기 단계 2)에서 수득한 분획물에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상기 화학식 1 또는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상기 제조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한다.
먼저, 단계 1)은 젖버섯아재비(Lactarius hatsudake)를 물, C1-C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추출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젖버섯아재비는 재배한 것, 채취한 것 또는 시판되는 것 등을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젖버섯아재비는 자실체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추출 용매는 물,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 바람직하게는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부터 선택된 용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C1-C4의 저급 알코올은 에탄올 또는 메탄올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추출 용매의 양은 젖버섯아재비 건조 중량의 1 내지 20 배인 것이 바람직하고, 10 배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추출 방법은 열수추출, 침지추출, 환류 냉각 추출 및 초음파 추출 등의 추출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초음파 추출방법으로 1회 내지 5회 추출될 수 있다. 추출시 온도는 10℃ 내지 100℃ 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온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추출 시간은 1일 내지 7일인 것이 바람직하고, 3일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젖버섯아재비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은 초임계추출, 아임계추출, 고온추출, 고압추출 또는 초음파추출법 등의 추출장치를 이용한 방법 또는 XAD 및 HP-20을 포함한 흡착 수지를 이용하는 방법 등 당업계의 통상적인 추출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가온하며 환류 추출 또는 상온에서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추출 회수는 1 내지 5회인 것이 바람직하며, 3회 반복 추출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에 있어서, 수득한 추출액의 농축은 감압농축의 진공회전증발기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건조는 감압건조, 진공건조, 비등건조, 분무건조, 상온건조 또는 동결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단계 2)는 단계 1)에서 수득한 추출물로부터 노르말-헥산 분획물을 수득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유기용매는 노르말-헥산, 에틸아세테이트 또는 노르말-부탄올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분획물은 젖버섯아재비 추출물을 물에 현탁시킨 후, 노르말-헥산, 에틸아세테이트, 노르말-부탄올로 순차적으로 계통 분획하여 수득한 노르말-헥산 분획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노르말-부탄올 분획물 또는 물 분획물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며, 노르말-헥산 분획물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분획물은 상기 젖버섯아재비 추출물로부터 분획 과정을 1 내지 5회, 바람직하게는 3회 반복하여 수득할 수 있고, 분획 후 감압 농축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단계 3)은 단계 2)에서 수득한 분획물에 농도구배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세파덱스 LH-20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및 고압액체 크로마토그래피(HPLC: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를 순차적으로 수행하여 상기 화학식 1 또는 2의 신규한 구아이안 세스퀴테르핀계 화합물을 수득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농도구배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트그래피 및 세파덱스 LH-20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는 디클로로메탄과 메탄올의 혼합용매를 사용하여 수행되며 고압액체 크로마토그래피(HPLC: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는 메탄올과 물 혼합용매를 사용하여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디클로로메탄과 메탄올의 혼합용매의 농도 구배는 20:1 ~ 1:1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고압액체 크로마토그래피(HPLC: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를 수행하는 방법은 메탄올과 물의 혼합용매 7:3(V/V) 조건에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4 ㎖/min의 속도로 용출하여 28분 및 35분 후에 각각의 활성분획을 수득하는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는 젖버섯아재비(Lactarius hatsudake)의 자실체(fruiting bodies) 부위를 메탄올로 추출하여 젖버섯아재비의 메탄올 추출물을 제조하였고, 이를 물에 현탁하여 노르만-헥산으로 분획한 분획물을 수득한 후, 상기 분획물을 컬럼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활성분획을 용출한 다음,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화합물 1 및 2를 각각 분리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젖버섯아재비(Lactarius hatsudake)로부터 분리한 화합물 1 및 2를 HR-ESI 질량분석기(high-resolution electrospray Ionization mass spectrometer)를 사용하여 분자량 및 분자식을 결정하였고, 핵자기공명(NMR) 분석을 통하여 1H NMR, 13C NMR 및 HMBC(Heteronuclear Multiple-Bond Coherence) 스펙트럼을 얻었고, 화합물 1 및 2의 분자구조를 결정한 결과, 상기 화합물 1 및 2는 각각 하기 화학식 1 및 2와 같이, 신규한 아줄렌 골격의 화합물로 동정되었다.
[화학식 1]
Figure 112010072347996-pat00005
[화학식 2]
Figure 112010072347996-pat00006
이에, 상기 화합물 1 및 2를 각각 락타리올린(Lactarioline) A 및 B로 명명하였다. 상기 락타리올린 A는 HR-ESI-MS 및 NMR 분석을 통하여 분자식이 C15H16O2인 7-아세틸-4-메틸-1-메톡시메틸 아줄렌(7-acetyl-4-methyl-1-methoxymethyl azulene)임을 확인하였고, 상기 락타리올린 B는 분자식이 C16H18O2인 1-포르밀-4-메틸-7-(1-메톡시-1-메틸에틸) 아줄렌(1-formyl-4-methyl-7-(1-methoxy-1-methylethyl) azulene)으로 나타내지는 화합물임을 확인함으로써, 상기 락타리올린 A 및 B는 아줄렌 골격의 신규한 화합물인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락타리올린 A 또는 B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면역개선, 또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화합물은 젖버섯아재비(Lactarius hatsudake)의 자실체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면역개선은 접촉성피부염, 알레르기 및 아토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개선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염증성 질환은 피부염, 여드름, 가려움, 악건성 피부염, 급성 염증 질환 및 만성 염증 질환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에센스, 팩, 에멜젼 또는 오일젤의 제형일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예를 들면 용액, 겔, 고체 또는 반죽 무수 생성물, 수상에 유상을 분산시켜 얻은 에멀젼, 현탁액, 마이크로에멀젼, 마이크로캡슐, 미세과립구 또는 이온형(리포좀), 비이온형의 소낭 분산제의 형태, 크림, 스킨, 로션, 파우더, 연고, 스프레이 또는 콘실 스틱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포말(foam)의 형태 또는 압축된 추진제를 더 함유한 에어로졸 조성물의 형태로도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본 발명의 락타리올린 A 또는 B 화합물에 추가로 지방 물질, 유기 용매, 용해제, 농축제 및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쇄제 및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화장품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본 발명의 락타리올린 A 및 B가 항염증 활성이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인터페론-감마(Interferon-γ, IFN-γ) 의존적 자연 살해 세포주인 NK92 세포(인간 NK 림프종)에 락타리올린 A 또는 B를 다양한 농도로 처리하여, 상기 세포에 대하여 염증성 사이토카인 중 하나인 IFN-γ의 생성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의 락타리올린 A 및 B는 농도 의존적으로 IFN-γ의 생성을 감소시켰다(도 1 참조). 더욱이, WST-1 분석을 통해 세포독성을 확인한 결과, 락타리올린 A 및 B는 세포독성이 거의 없는 물질인 것으로 확인되었다(도 1 참조). 따라서, 본 발명의 락타리올린 A 및 B는 세포독성 없이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생성을 억제하는 활성이 있으므로, 탁월한 항염증 작용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락타리올린 A 또는 B 화합물은 항염증용 화장료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락타리올린 A 또는 B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피부 외용제를 제공한다.
상기 피부 외용제는, 총 중량에 대하여 락타리올린 A 또는 B 화합물이 0.1 내지 50 중량부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염증은 질병 상태로 진행된 만성 염증, 꽃가루와 같은 일반적으로 무해한 물질에 의한 염증반응, 천식 혹은 류마티스성 관절염과 같은 자가 면역 반응에 의한 염증반응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염증성 질환에는 부종, 피부염, 알레르기, 아토피, 천식, 결막염, 치주염, 비염, 중이염, 인후염, 편도염, 폐렴, 위궤양, 위염, 크론병, 궤양성 대장염, 치질, 통풍, 강직성 척추염, 류마티스 열, 루푸스, 섬유근통(fibromyalgia), 건선관절염, 골관절염, 류마티스관절염, 견관절주위염, 건염, 건초염, 건주위염, 근육염, 간염, 방광염, 신장염, 쇼그렌 증후군(sjogren's syndrome), 다발성 경화증, 및 다양한 급성 및 만성 염증 질환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피부 외용제는, 추가로 지방 물질, 유기 용매, 용해제, 농축제 및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쇄제 및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피부용 외용제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피부 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성분들은 피부 과학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도입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락타리올린 A 또는 B 화합물은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IFN-γ 생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하고, 세포에 대한 세포독성을 없는 안전한 물질이므로, 염증성 질환을 예방 또는 개선할 수 있는 피부 외용제의 유효성분으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락타리올린 A 또는 B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염증성 질환은 피부염, 알레르기, 아토피, 천식, 결막염, 치주염, 비염, 중이염, 인후염, 편도염, 페렴, 위궤양, 위염, 크론병, 대장염, 치질, 통풍, 강직성 척추염, 류마티스염, 루푸스, 섬유근통(fibromyalgia), 건선관절염, 골관절염, 류마티스 관절염, 견관절주위염, 건염, 건초염, 건주위염, 근육염, 간염, 방광염, 신장염, 쇼그렌 증후군(sjogren's syndrome), 다발성 경화증, 및 급성 및 만성 염증 질환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락타리올린 A 또는 B,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은 일반적인 의약품 제제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첨가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첨가제로는 전분, 젤라틴화 전분, 미결정셀룰로오스, 유당, 포비돈, 콜로이달실리콘디옥사이드, 인산수소칼슘, 락토스, 만니톨, 엿, 아라비아고무, 전호화전분, 옥수수전분, 분말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오파드라이, 전분글리콜산나트륨, 카르나우바 납, 합성규산알루미늄, 스테아린산, 스테아린산마그네슘, 스테아린산알루미늄, 스테아린산칼슘, 백당, 덱스트로스, 소르비톨, 탈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첨가제는 상기 조성물에 대해 0.1 ~ 90 중량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실제 임상 투여 시에 경구 및 비경구의 여러 가지 제형으로 투여될 수 있는데,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본 발명의 화합물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용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량은 환자의 체중, 연령, 성별, 건강상태, 식이, 투여시간, 투여방법, 배설율 및 질환의 중증도에 따라 그 범위가 다양하며, 일일 투여량은 본 발명의 화합물의 양을 기준으로 0.0001 내지 100 ㎎/㎏이고,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10 ㎎/㎏이며, 하루 1 ~ 6 회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하여 단독으로, 또는 수술, 방사선 치료, 호르몬 치료, 화학 치료 및 생물학적 반응 조절제를 사용하는 방법들과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락타리올린 A 또는 B 화합물은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IFN-γ 생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하고, 세포에 대한 세포독성을 없는 안전한 물질이므로, 염증성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약학적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락타리올린 A 또는 B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식품을 제공한다.
상기 염증성 질환은 피부염, 알레르기, 아토피, 천식, 결막염, 치주염, 비염, 중이염, 인후염, 편도염, 페렴, 위궤양, 위염, 크론병, 대장염, 치질, 통풍, 강직성 척추염, 류마티스염, 루푸스, 섬유근통(fibromyalgia), 건선관절염, 골관절염, 류마티스 관절염, 견관절주위염, 건염, 건초염, 건주위염, 근육염, 간염, 방광염, 신장염, 쇼그렌 증후군(sjogren's syndrome), 다발성 경화증, 및 급성 및 만성 염증 질환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락타리올린 A 또는 B 화합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식품은 식품 제조 시에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을 포함하며, 예를 들어,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영양소 및 조미제를 포함한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락타리올린 A 또는 B 화합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시지, 빵, 초콜릿,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코올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은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슈크로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및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감미제로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감미제나,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당 일반적으로 약 0.01 ~ 0.04 g, 바람직하게는 약 0.02 ~ 0.03 g 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락타리올린 A 또는 B 화합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락타리올린 A 또는 B 화합물은 천연 과일주스, 과일주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크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당 0.01 ~ 0.1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발명의 락타리올린 A 또는 B 화합물은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IFN-γ 생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하고 세포에 대한 세포독성을 없는 안전한 물질이므로, 염증성 질환을 예방 또는 개선시킬 수 있는 건강식품의 유효성분으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제조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및 제조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 및 제조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젖버섯아재비 추출물 및 분획물의 제조
<1-1> 젖버섯아재비 메탄올 추출물의 제조
국립농업유전자원센터(National Agrobiodiversity Center)(수원, 한국)로부터 입수한 젖버섯아재비(Lactarius hatsudake)의 자실체(fruiting bodies) 6 ㎏을 실온에서 각각의 추출 단계마다 3일간 총 3회 메탄올 30ℓ로 추출하였다. 3회간 추출하여 모아 놓은 메탄올 용액을 감압 농축하여 240 g의 잔류물(residue)을 제조하였고, 이를 물에 현탁하였다.
<1-2> 젖버섯아재비 메탄올 추출물로부터 분획물의 제조
젖버섯아재비 추출물로부터 분획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메탄올 추출물 240 g을 물에 현탁한 후, 노르말-헥산(n-hexane) 1ℓ를 첨가 후 분배하여 노르말-헥산 층을 분리하였고, 남아 있는 물 층에 다시 에틸아세테이트(ethylacetate, EtOAc) 1ℓ를 가하여 에틸아세테이트 층을 분리하였으며, 이와 같은 방법으로 노르말-부탄올(n-butanol, n-BuOH) 1ℓ를 가하여 노르말-부탄올 층을 분리하여, 노르말-헥산(n-hexane), 에틸아세테이드(ethylacetate, EtOAc) 및 노르말-부탄올(n-butanol, n-BuOH) 분획물을 각각 17 g, 15 g, 및 60 g 수득하였다.
젖버섯아재비 분획물로부터 신규한 구아이안 세스퀴테르핀계 화합물의 제조
<2-1> 신규한 구아이안 세스퀴테르핀계 화합물 락타리올린 ( Lactarioline ) A(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B(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분리 및 정제
상기 실시예 <1-2>에서 제조한 n-헥산 분획물 층 17 g을 실리카 겔 컬럼에 적재한 후, 농도구배 모드(20:1 → 1:1)에서 CH2Cl2-MeOH로 용출하여 9개의 분획(LH1~9)을 수득하였다. 그런 다음, 1.5 g의 LH2 분획을 Lichroprep RP-18 column(Merck Ltd, Seoul, Korea)에 가한 후, MeOH-H2O (3:1 → 1:0)로 용출하여 3개의 분획(LH21~23)을 수득하였다. 그리고 나서, LH21 분획을 Sephadex LH-20 column(GE Healthcare Bio-Sciences, Uppsala, Sweden) 크로마토그래피를 실시하였고 MeOH로 용출하여 공지 화합물인 12 ㎎의 1-포르밀-4-메틸-7-이소프로필 아줄렌(1-formyl-4-methyl-7-isopropyl azulene), 및 5 ㎎의 락타로바이올린(lactaroviolin)을 수득하였다. 또한, 1.8 g의 LH5 분획을 Sephadex LH-20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실시한 후, CH2Cl2-MeOH (1:1)로 용출하여 4개의 분획(LH51~54)을 제조하였고, LH52 분획을 MC-Pack ODS column(20×250 ㎜, MeOH-H2O=7:3, 유속=4 ㎖/min, 254 ㎚에서 검출; YMC Co Ltd, Kyoto, Japan)을 사용하여 분취용 HPLC(preparative HPLC)를 통해 추가적으로 분획하여 신규한 구아이안 세스퀴테르핀계 화합물인 락타리올린 A(lactarioline A)(4 ㎎, TR=28 min)(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락타리올린 A(lactarioline B)(3 ㎎, TR=35 min)(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를 각각 수득하였다. 한편, LH53 분획을 Sephadex LH-20 컬럼으로 정제한 후 70% MeOH로 용출하여 공지의 4-메틸-7-이소프로필 아줄렌-1-카르복시산(4-methyl-7-isopropyl azulene-1-carboxylic acid) 화합물을 수득하였고, 300 ㎎의 LH8 분획을 추가로 분취용 HPLC(MeOH-H2O=4:1)를 실시하여 역시 공지의 1-포르밀-4-메틸-7-(1-하이드록시-1-메틸-에틸) 아줄렌(1-formyl-4-methyl-7-(1-hydroxy-1-methy-ethyl) azulene)(15 ㎎, TR=18 min)을 수득하였다.
<2-2> 신규한 구아이안 세스퀴테르핀계 화합물 락타리올린 A 및 B의 구조 분석
상기 실시예 <2-1>에서 분리한 신규한 화합물의 구조 분석을 위하여, NMR 분석, IR 분석 및 질량 분석을 실시하였다. Varian Unity Inova 400 spectrometer(Varian Inc, Palo Alto, CA, USA)를 사용하여 1H(400 ㎒) 13C(100 ㎒) NMR 스펙트라를 실시하였고, 분자식은 고해상도 전기분무 질량 크로마토그래피(high resolution electrospray mass spectrometry, HR-ESI-MS)를 이용한 MS 측정을 통하여 결정하였다.
그 결과, 화합물의 구조는 하기 화학식 1 및 2와 같이 동정하였고, 상기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신규 화합물은 각각 락타리올린(Lactarioline) A 및 B로 명명하였다. 구체적으로, 락타리올린 A의 UV 스펙트럼 결과 250, 302 및 392 ㎚에서 최대 흡수 파장(absorption maxima)으로 확인됨으로써, 아줄렌 골격임을 확인하였고, IR 스펙트럼 결과, 1671 ㎝-1에서 축합된 카보닐기에 대한 흡수 밴드가 확인되었다. HR-ESI-MS 분석을 통하여 락타리올린 A의 분자식이 C15H16O2인 것으로 규명되었다. 아울러, 하기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1H, 13C-NMR 스펙트럼(spectrum) 분석 결과 락타리올린 A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1로 기재되는 7-아세틸-4-메틸-1-메톡시메틸 아줄렌(7-acetyl-4-methyl-1-methoxymethyl azulene)임을 확인함으로써 신규한 화합물임을 알 수 있었다.
락타리올린 B는 UV 및 IR 스펙트라 결과, 상기 락타리올린 A와 유사한 것으로 나타남으로써 역시 아줄렌 골격임을 알 수 있었고, HR-ESI-MS 분석을 통하여 락타리올린 B의 분자식은 C16H18O2인 것으로 규명되었다. 또한, 하기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1H, 13C-NMR 스펙트럼 분석 결과 락타리올린 B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2로 기재되는 1-포르밀-4-메틸-7-(1-메톡시-1-메틸에틸) 아줄렌{1-formyl-4-methyl-7-(1-methoxy-1-methylethyl) azulene}으로 나타내지는 신규한 화합물임을 확인하였다.
[화학식 1]
락타리올린(Lactarioline) A(화합물 1): 푸른 고체; UV (MeOH) λmax ㎚ (log ε) : 250 (3.96), 291 (4.40, sh), 302 (4.48), 392 (3.58); IR (KBr) ν max (㎝-1): 3439, 2925, 1671, 1594, 1424, 1367, 1239, 1094; ESI-MS m/z: 251 [M+Na]+; HR-ESI-MS m/z: 251.1076 [M+Na]+ (calcd for C15H16O2, 251.1048).
[화학식 2]
락타리올린(Lactarioline) B(화합물 2): 붉은 고체; UV (MeOH) λmax ㎚ (log ε): 229 (4.11), 238 (4.06, sh), 311 (4.35), 380 (3.44); IR (KBr) ν max (㎝-1): 3435, 2977, 2928, 1648, 1499, 1407, 1234, 1070, 788; ESI-MS m/z: 265 [M+Na]+; HR-ES-MS m/z: 243.1373 [M+H]+ (calcd for C16H19O2, 243.1385).
Figure 112010072347996-pat00007
화합물 1 및 2의 1H 13C NMR 데이터
락타리올린 A 및 락타리올린 B의 인터페론-감마( Interferon -γ, IFN -γ) 억제 효과
<3-1> 락타리올린 A 또는 B의 처리
락타리올린 A 및 B의 IFN-γ 억제 활성을 통한 항염증 작용을 알아보기 위하여, 상기 규명된 락타리올린 A 및 B를 NK92 세포에 처리하여 IFN-γ의 조절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IFN-γ-의존적 자연 살해 세포주인 NK92 세포(인간 NK 림프종)(아메리칸 타입 컬쳐 컬렉션,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 5.0×105 세포수/㎖를 48 웰 배양 플레이트에 20% 우태아혈청(fetal calf serum)(HyClone, Logan, UT, USA), 2 mM L-글루타메이트(glutamate), 100 ㎍㎖-1 페니실린(penicillin), 100 ㎍㎖-1 스트렙토마이신(streptomycin)(Life Technologies) 및 100 U㎖-1 IL-2(Chiron, Emeryville, CA, USA)가 포함된 α-MEM 배지에서, 37℃ 및 5% CO2 습도 환경에 배양하였다. 이와 같이 배양한 NK92 세포에 다양한 농도(4, 20, 100 또는 400 μM의 락타리올린 A 또는 B를 처리하였다. 이때, 음성대조군으로는 배양 배지만을 처리하여 NK92 세포를 배양하였고, 양성대조군으로서는 100 ng의 포르볼-12- 미리스테이트-13-아세트산염(phorbol-12-myristate-13-acetate, PMA)이 포함된 배지를 사용하여 염증을 유발하였다.
<3-2> IFN -γ의 정량
인간 IFN-γ의 정량은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mAb pairs (Endogen, Woburn, MA, USA)를 사용하여 제조사의 프로토콜에 따라 실시하였다. 37℃에서 18시간 동안 락타리올린 A 또는 B를 상기 NK92 세포에 처리한 후, 세포를 제외한 상층액을 수득하여, 효소면역분석(Enzyme 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키트를 사용하여 IFN-γ를 검출하였다. 결과는 3회 반복 웰 ± s.e.m의 평균값으로서 나타내었다.
그 결과,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NK92 세포에 대하여 400 μM 및 100 μM 농도의 락타리올린 A는 양성대조군에 비해 각각 약 56.7% 및 21.4%로 IFN-γ의 생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남으로써, 농도의존적으로 IFN-γ 생성 억제 활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락타리올린 B의 경우에도, 400 μM 및 100 μM 농도에서 양성대조군에 비해 각각 약 80.9% 및 31.2%로 IFN-γ의 생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남으로써, 역시 농도의존적으로 IFN-γ 생성을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1).
락타리올린 A 및 B의 세포 독성 확인
락타리올린 A 및 B의 세포 독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락타리올린 A 및 B를 NK92 세포에 처리하여 세포 증식을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WST-1(catalog no. 11644807001; Roche Applied Science, Indianapolis, IN, USA)을 사용하여 제조사의 지시에 따라 세포증식을 분석하였다. 96 웰 플레이트에 2.5×103의 NK92 세포를 배양하고 4, 20, 100 또는 400 μM 농도의 락타리올린 A 또는 B를 12시간 동안 처리한 후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400 μM을 포함한 모든 농도의 락타리올린 A 또는 B는 NK92 세포에 대한 세포독성이 거의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도 1).
< 제조예 1> 화장품의 제조
본 발명의 젖버섯아재비 추출물로부터 분리한 신규한 구아이안 세스퀴테르핀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면역강화 화장품 또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화장품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화장품으로 유연화장수, 크림, 에센스 등의 유화 제형의 화장품 및 수렴화장수 등의 가용화 제형의 화장품을 제조하였다.
<1-1> 유화 제형의 화장품 제조
하기 [표 2]에 기재된 조성으로 유화제형의 화장품을 제조하였다. 제조 방법은 하기와 같다.
1) 1 내지 9의 원료를 혼합한 혼합물을 65 ~ 70℃로 가열하였다.
2) 10의 원료를 상기 단계 1)의 혼합물에 투입하였다.
3) 11 내지 13의 원료의 혼합물을 65 ~ 70℃로 가열하여 완전히 용해시켰다.
4) 상기 단계 3)을 거치면서, 상기 2)의 혼합물을 서서히 첨가하여 8,000 rpm에서 2 ~ 3분간 유화시켰다.
5) 14의 원료를 소량의 물에 용해시킨 후 상기 단계 4)의 혼합물에 첨가하고 2분간 더 유화시켰다.
6) 15 내지 17의 원료를 각각 평량한 후 40℃에서 상기 단계 5)의 혼합물에 넣고 30초간 더 유화시켰다.
7) 상기 단계 6)의 혼합물을 유화 후 탈기과정을 거쳐 25 ~ 35℃로 냉각시킴으로써 유화제형의 화장품을 제조하였다.
유화 제형 1, 2, 3의 조성
조성 유화제형 1 유화제형 2 유화제형 3
1 스테아린 산 0.3 0.3 0.3
2 스테알리 알콜 0.2 0.2 0.2
3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레이트 1.2 1.2 1.2
4 밀납 0.4 0.4 0.4
5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
모노라우린산 에스테르
2.2 2.2 2.2
6 파라옥시안식향산 메틸 0.1 0.1 0.1
7 파라옥시안식향산 프로필 0.05 0.05 0.05
8 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 5 5 5
9 트리글리세라이드 2 2 2
10 사이클로메티콘 3 3 3
11 정제수 ~ 100 ~ 100 ~ 100
12 농글리세린 5 5 5
13 트리에탄올아민 0.15 0.15 0.15
14 폴리아크릴산 중합체 0.12 0.12 0.12
15 색소 0.0001 0.0001 0.0001
16 0.10 0.10 0.10
17 실시예 2의 락타리올린(Lactarioline) A 화합물 0.0001 1 10
<1-2> 가용화 제형의 화장품 제조
하기 [표 3]에 기재된 조성으로 가용화 제형의 화장품을 제조하였다. 제조 방법은 하기와 같다.
1) 2 내지 6의 원료를 1의 원료(정제수)에 넣고 아직믹서를 이용하여 용해시켰다.
2) 8 내지 11의 원료를 7의 원료(알코올)에 넣고 완전용해시켰다.
3) 상기 단계 2)의 혼합물을 상기 단계 1)의 혼합물에 서서히 첨가하면서 가용화시켰다.
가용화 제형 1, 2, 3의 조성
조성 가용화 제형 1 가용화 제형 2 가용화 제형 3
1 정제수 ~ 100 ~ 100 ~ 100
2 농글리세린 3 3 3
3 1,3-부틸렌글리콜 2 2 2
4 EDTA-2Na 0.01 0.01 0.01
5 색소 0.0001 0.0002 0.0002
6 실시예 2의 락타리올린(Lactarioline) B 화합물 0.1 5 5
7 알코올(95%) 8 8 8
8 파라옥시안식향산 메틸 0.1 0.1 0.1
9 폴리옥시에틸렌
하이드로제네이디트에스테르
0.3 0.3 0.3
10 0.15 0.15 0.15
11 사이클로메티콘 - - 0.2
< 제조예 2> 약학적 제제의 제조
<2-1> 산제의 제조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락타리올린 A 화합물 2 g
유당 1 g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하였다.
<2-2> 정제의 제조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락타리올린 B 화합물 100 ㎎
옥수수전분 100 ㎎
유 당 100 ㎎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2-3> 캡슐제의 제조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락타리올린 A 화합물 100 ㎎
옥수수전분 100 ㎎
유 당 100 ㎎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캡슐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2-4> 환의 제조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락타리올린 B 화합물 1 g
유당 1.5 g
글리세린 1 g
자일리톨 0.5 g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방법에 따라 1 환 당 4 g이 되도록 제조하였다.
<2-5> 과립의 제조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락타리올린 A 화합물 150 ㎎
대두 추출물 50 ㎎
포도당 200 ㎎
전분 600 ㎎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30% 에탄올 100 ㎎을 첨가하여 섭씨 60℃에서 건조하여 과립을 형성한 후 포에 충진하였다.
< 제조예 3> 식품의 제조
본 발명의 락타리올린 A 또는 B 화합물을 포함하는 식품들을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3-1> 밀가루 식품의 제조
본 발명의 락타리올린 A 화합물 0.5~5.0 중량부를 밀가루에 첨가하고, 이 혼합물을 이용하여 빵, 케이크, 쿠키, 크래커 및 면류를 제조하였다.
<3-2> 스프 및 육즙( gravies )의 제조
본 발명의 락타리올린 A 화합물의 노르말-헥산 분획물 0.1~5.0 중량부를 스프 및 육즙에 첨가하여 건강 증진용 육가공 제품, 면류의 수프 및 육즙을 제조하였다.
<3-3> 그라운드 비프(ground beef)의 제조
본 발명의 락타리올린 B 화합물의 노르말-부탄올 분획물 10 중량부를 그라운드 비프에 첨가하여 건강 증진용 그라운드 비프를 제조하였다.
<3-4> 유제품( dairy products )의 제조
본 발명의 락타리올린 B 화합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5~10 중량부를 우유에 첨가하고, 상기 우유를 이용하여 버터 및 아이스크림과 같은 다양한 유제품을 제조하였다.
<3-5> 선식의 제조
현미, 보리, 찹쌀, 율무를 공지의 방법으로 알파화시켜 건조시킨 것을 배전한 후 분쇄기로 입도 60 메쉬의 분말로 제조하였다.
검정콩, 검정깨, 들깨도 공지의 방법으로 쪄서 건조시킨 것을 배전한 후 분쇄기로 입도 60 메쉬의 분말로 제조하였다.
본 발명의 락타리올린 A 화합물을 진공 농축기에서 감압농축하고, 분무, 열풍건조기로 건조하여 얻은 건조물을 분쇄기로 입도 60 메쉬로 분쇄하여 건조분말을 얻었다.
상기에서 제조한 곡물류, 종실류 및 락타리올린 A 화합물을 다음의 비율로 배합하여 제조하였다.
곡물류(현미 30 중량부, 율무 15 중량부, 보리 20 중량부),
종실류(들깨 7 중량부, 검정콩 8 중량부, 검정깨 7 중량부),
락타리올린 A 화합물(3 중량부),
영지(0.5 중량부),
지황(0.5 중량부)
< 제조예 4> 음료의 제조
<4-1> 건강음료의 제조
액상과당(0.5%), 올리고당(2%), 설탕(2%), 식염(0.5%), 물(75%)과 같은 부재료와 본 발명의 락타리올린 B 화합물 5 g을 균질하게 배합하여 순간 살균을 한 후 이를 유리병, 패트병 등 소포장 용기에 포장하여 제조하였다.
<4-2> 야채 주스의 제조
본 발명의 락타리올린 B 화합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5 g을 토마토 또는 당근 주스 1,000 ㎖에 가하여 야채 주스를 제조하였다.
<4-3> 과일 주스의 제조
본 발명의 락타리올린 B 화합물의 노르말-헥산 분획물 1 g을 사과 또는 포도 주스 1,000 ㎖ 에 가하여 과일 주스를 제조하였다.

Claims (15)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락타리올린 A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14038091730-pat00008
    .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젖버섯아재비(Lactarius hatsudake)로부터 분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하기의 단계로 구성된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1) 젖버섯아재비(Lactarius hatsudake)를 물, C1-C2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추출하는 단계;
    2) 상기 단계 1)에서 수득한 추출물의 노르말-헥산 분획물을 수득하는 단계; 및
    3) 상기 단계 2)에서 수득한 분획물에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화합물을 수득하는 단계.
  5. 제 4항에 있어서, 단계 1)의 C1-C2의 저급 알코올은 에탄올 또는 메탄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6. 제 4항에 있어서, 단계 3)의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는 농도구배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트그래피, 세파덱스 LH-20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및 고압액체 크로마토그래피(HPLC: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를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7. 제 1항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면역개선, 또는 피부염, 여드름, 가려움 및 악건성 피부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면역개선은 접촉성피부염, 알레르기, 및 아토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에 대한 개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9. 삭제
  10. 제 1항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염, 알레르기 및 아토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예방 및 개선용 피부 외용제.
  11. 삭제
  12. 삭제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염증성 질환은 피부염, 알레르기, 아토피, 천식, 결막염, 치주염, 비염, 중이염, 인후염, 편도염, 페렴, 위궤양, 위염, 크론병, 대장염, 치질, 통풍, 강직성 척추염, 류마티스염, 루푸스, 섬유근통(fibromyalgia), 건선관절염, 골관절염, 류마티스 관절염, 견관절주위염, 건염, 건초염, 건주위염, 근육염, 간염, 방광염, 신장염, 쇼그렌 증후군(sjogren's syndrome), 다발성 경화증, 및 급성 및 만성 염증 질환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14. 제 1항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식품.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염증성 질환은 피부염, 알레르기, 아토피, 천식, 결막염, 치주염, 비염, 중이염, 인후염, 편도염, 페렴, 위궤양, 위염, 크론병, 대장염, 치질, 통풍, 강직성 척추염, 류마티스염, 루푸스, 섬유근통(fibromyalgia), 건선관절염, 골관절염, 류마티스 관절염, 견관절주위염, 건염, 건초염, 건주위염, 근육염, 간염, 방광염, 신장염, 쇼그렌 증후군(sjogren's syndrome), 다발성 경화증, 및 급성 및 만성 염증 질환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증성 질환 예방 및 개선용 건강식품.
KR20100109718A 2010-11-05 2010-11-05 젖버섯아재비로부터 신규한 세스퀴테르핀계 화합물의 제조방법과 이를 함유하는 면역강화 또는 항염증용 조성물 KR1014847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109718A KR101484760B1 (ko) 2010-11-05 2010-11-05 젖버섯아재비로부터 신규한 세스퀴테르핀계 화합물의 제조방법과 이를 함유하는 면역강화 또는 항염증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109718A KR101484760B1 (ko) 2010-11-05 2010-11-05 젖버섯아재비로부터 신규한 세스퀴테르핀계 화합물의 제조방법과 이를 함유하는 면역강화 또는 항염증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8207A KR20120048207A (ko) 2012-05-15
KR101484760B1 true KR101484760B1 (ko) 2015-01-23

Family

ID=46266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00109718A KR101484760B1 (ko) 2010-11-05 2010-11-05 젖버섯아재비로부터 신규한 세스퀴테르핀계 화합물의 제조방법과 이를 함유하는 면역강화 또는 항염증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476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67120A1 (ko) * 2020-02-18 2021-08-26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구아일아세테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알러지, 아토피 피부염 개선, 또는 피부 재생용 조성물
CN113185393B (zh) * 2021-04-30 2023-06-23 中南林业科技大学 愈创木烷型倍半萜化合物、其制备方法以及其应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78716A (ja) * 1991-06-27 1993-07-20 Suntory Ltd アズレン誘導体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78716A (ja) * 1991-06-27 1993-07-20 Suntory Ltd アズレン誘導体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Drug Discov. ther., Vol.1, pp.94-103 (2007) *
Drug Discov. ther., Vol.1, pp.94-103 (2007)*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8207A (ko) 2012-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5500B1 (ko) 강활 및 방풍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364234B1 (ko) 팥꽃나무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657562B1 (ko) 캠페롤 유도체를 이용한 아토피 피부염 개선제 조성물
KR101165716B1 (ko) 치자 추출물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러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125224B1 (ko) 센티페드그라스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노화방지용 조성물
KR101503352B1 (ko) 젖버섯아재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노화방지, 피부보호 및 항염증용 조성물
KR101497109B1 (ko) Ppar 작용 조절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484760B1 (ko) 젖버섯아재비로부터 신규한 세스퀴테르핀계 화합물의 제조방법과 이를 함유하는 면역강화 또는 항염증용 조성물
KR101374760B1 (ko) 포볼 타입의 디테르펜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바이러스 감염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적 조성물
KR101692889B1 (ko) 두메닥나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207239B1 (ko) 천문동 추출물로부터 제조한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453455B1 (ko) 미나리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플라보노이드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용 또는 항비만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식품 조성물
KR20130011111A (ko) 피토스테롤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160114841A (ko) 두충피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아디포넥틴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069844B1 (ko) 바디나물(자화전호)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부종 또는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50115414A (ko) 오미자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상처치유용 약학적 조성물
JP2008174457A (ja) 抗酸化作用を有する2−(2−メチルプロパノイル)フロログルシノール−1,5−ジ−O−β−D−グルコピラノシド
KR20140023701A (ko) 지모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대장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341819B1 (ko) 컬러감자 외피 추출물 또는 이의 활성 분획물을 포함하는 항염 조성물
KR101080927B1 (ko) 모감주나무의 꽃(난화)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부종 또는 다양한 염증의 예방 또는치료용 항염증 조성물
KR20140125655A (ko) 크라이토싸이빈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면역강화 또는 항염증용 조성물
KR102373119B1 (ko) 고들빼기 추출물의 분획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KR102600557B1 (ko) 나한송 추출물의 분획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KR101402599B1 (ko) 각시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레르기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247706B1 (ko) 신규한 페닐에스터계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