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3455B1 - 미나리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플라보노이드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용 또는 항비만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식품 조성물 - Google Patents

미나리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플라보노이드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용 또는 항비만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식품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3455B1
KR101453455B1 KR1020120113470A KR20120113470A KR101453455B1 KR 101453455 B1 KR101453455 B1 KR 101453455B1 KR 1020120113470 A KR1020120113470 A KR 1020120113470A KR 20120113470 A KR20120113470 A KR 20120113470A KR 101453455 B1 KR101453455 B1 KR 1014534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fractions
obesity
antioxidant
fra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34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47335A (ko
Inventor
김태훈
김태완
신승렬
이인철
Original Assignee
한재미나리영농조합법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재미나리영농조합법인 filed Critical 한재미나리영농조합법인
Priority to KR10201201134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3455B1/ko
Publication of KR201400473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73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34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345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 modulating effect on ag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6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effect on cardiovascular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6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blood cholestero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나리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플라보노이드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용 또는 항비만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미나리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플라보노이드계 화합물은 생체 내 지방흡수와 관련이 있는 췌장 리파아제에 대한 저해 활성을 나타내는 항비만 효과가 우수할 뿐 아니라, 라디칼 소거 활성을 나타내는 항산화 효과가 우수하므로, 항산화용 또는 항비만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식품 조성물로 유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미나리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플라보노이드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용 또는 항비만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식품 조성물{Pharmaceutical composition or healthy food composition containing Oenanthe javanica extract, fractions thereof or isolated flavonoidic compounds for antioxidant and antiobesity activity}
본 발명은 미나리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플라보노이드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용 또는 항비만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산업의 발달 및 소득수준의 향상과 더불어 식생활, 식습관 등 라이프스타일이 서구화됨에 따라 만성질환이나 성인병환자가 급증하고 있으며, 그 기인이 되는 것 중의 하나가 비만으로 알려져 있다. 비만은 에너지 소모량에 비하여 에너지 섭취량이 많아서 체내에 과잉된 에너지가 지방으로 축적된 상태를 말하며, 2005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의하면 우리나라 20세 이상 성인의 31.8%가 비만인 것으로 나타나 1995년도의 14.8%에 비하여 10년 동안 두 배 이상으로 증가되었다(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06. The third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이러한 증가 추세에 따라 비만으로 인한 사회경제적 손실은 2001년도에 1조 7천억원에서 매년 증가되고 있다. 비만은 그 자체가 갖는 문제점뿐만 아니라, 심혈관계 질환이나 당뇨, 호흡기 질환, 골관절염 같은 질병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전세계적으로 비만에 많은 관심이 모아지고 있으며(Antipatis V. J. et al., 2001, Obesity as a global problem. In International textbook of obesity. Per Bjorntorp, ed. John Wiley & Sons Ltd, Chichester, UK. p3-22),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WHO)에서는 비만을 세계적인 영양문제로 다루어 건강을 해치는 단순 위험인자가 아닌 치료해야 할 질병으로 인식하고 있다(World Health Organization. 1998. Obesity: Preventing and managing the global epidemic. Report of WHO Consultation on Obesity, Geneva).
따라서, 비만치료제 개발을 위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그 중 췌장 리파아제 저해제(pancreatic lipase inhibitor)가 관심을 받고 있다. 췌장 리파아제는 트리글리세리드(triglyceride)를 2-모노아실글리세롤(2-monoacylglycerol)과 지방산(fatty acid)으로 분해하는 핵심 지방분해효소이다. 대표적인 췌장 리파아제 저해제는 Streptomyces toxitricini로부터 유래된 립스타틴(lipstatin)의 유도체인 오리스타트(orlistat, tetrahydrolipstatin)로 섭취된 지방의 약 30%를 저해할 정도로 효능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현재 의약품(제니칼, Xenical)으로 시판중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효능에도 불구하고 오리스타트(orlistat)는 위장장애, 과민증, 담즙분비장애, 지용성 비타민 흡수억제 등의 부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부작용이 없는 천연소재로부터 항비만제의 개발을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천연물을 활용한 항비만 소재 개발에 관한 결과를 살펴보면 작용기전에 따라 식욕억제에 관여하는 물질로서 히드록시시트릭산(hydroxycitric acid; HCA), 올리브라(olibra), 치커리, 이눌린 등의 식이섬유 등이 있으며, 지방의 소화 및 흡수를 저해하는 물질로서 키토산, 플라보노이드 등이 있다. 열 발생을 유도하여 지방 축적을 억제하는 물질로서 고추의 캡사이신, 녹차의 카테킨, 레티노산 등이 있고, 지질대사를 조절하는 L-카르니틴(L-carnitine), 공액리놀레산(conjugated linoleic acid; CLA), 우유 칼슘과 관련 단백질 등이 보고되어 있다. 생약재로는 지실, 양하, 결명자, 녹차, 소나무 잎, 괴화, 천궁, 오수유 등이 체중조절에 효과가 있다는 결과가 보고되었다(Kim M. H., 2004, Korean J. Heath Psychol. 9:493-509, Reddy P. et al., 1998, Formulary 33:943-959, Burns A. A. et al., 2002, Eur. J. Clin. Nutr. 56:368-377, Delzenne N. M. et al., 2005, Br. J. Nutr. 1:157-161, Zacour A. C. et al, 1992, J. Nutr. Sci. Vitamilol. 38:609-613, Griffiths D. W. et al., 1986, Adv. Exp. Med. Biol. 1999:509-516).
또한, 생활환경 및 식생활 패턴의 변화 등으로 인한 현대인들의 생체조직 노화와 관련된 각종 퇴행성 질환 및 생활 습관성 질병이 사회적 문제로서 주목을 받고 있으며, 그 원인이 활성산소에 기인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수퍼옥시드(superoxide), 산화질소(nitric oxide), 이산화질소(nitrogen dioxide), 히드록실(hydroxyl), 과산화아질산염(peroxynitrite) 등과 같은 활성산소 종들은 인간의 대사과정 중에 끊임없이 발생되어 노화 및 관련 질병의 주요인자로 작용하고 있다.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항산화제로서는 BHA(butylated hydroxy anisole), BHT(butylated hydroxy toluene) 등의 합성 항산화제이며, 이들을 50 mg/kg/day 이상의 고용량으로 장기간 복용시 지질대사의 불균형과 암을 유발시킬 수 있기 때문에 사용 제한을 권고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합성 항산화제를 대체할 수 있는 우수한 소재의 개발이 지속적으로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며, 기능성 소재물질에 관한 탐색 연구는 주로 민간요법이나 한방에서 이미 효능이 검증된 소재를 활용하여 식이가 가능하고 부작용이 적은 천연소재를 이용한 천연 항산화제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플라보노이드는 고유의 특성을 가진 폴리페놀 화합물로서 식물의 색과 풍미에 관여하며 병원체와 곤충들의 공격에 대한 방어 기능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플라보노이드는 대표적인 항산화제로 항암, 항바이러스, 항염, 항알러지 등의 활성을 나타내며 사람과 동물의 건강에 유익한 영향을 미치는 물질로 주목받고 있다(Deshner et al., Carciogenisis, 7, 1193-1196, 1991; Hwang, Journal of veterinary clinics, 26(5), 413-418, 2009; Lee C. H. et al., Food Chemistry, 99(3), 591-599, 2006).
미나리(Oenanthe javanica)는 근채(芹菜), 수근(水芹), 수영(水英)이라고 불리고, 우리나라 전역에 자생하고 있으며 사할린섬, 중국대륙, 일본, 동남아시아, 오세아니아 등 아한대, 온대로부터 열대까지 널리 분포하며, 우리나라에서는 1980년이후 논 재배 및 하우스 재배로 전환되면서 연중 출하되고 있는 향신 채소로서 독특한 향미를 지니며 알칼리성 식품으로 그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미나리(Oenanthe javanica)의 연한 부분은 주로 채소로 이용되며, 한방에서는 잎과 줄기를 약재로 쓰는데, 고열로 가슴이 답답하고 갈증이 심한 증세에 효과가 있고, 이뇨 작용이 있어 부기를 빼 주며, 강장과 해독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최근 우리나라 미나리 재배면적은 1,100ha 이상이며, 연간 생산량은 31,000-34,000톤으로 추산되고 있고, 재배지역도 도시화로 인한 도시근교 습지의 오염지역에서 벗어나 보다 청정지역으로 이동되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 봄미나리 재배집단은 인천, 수원, 구리근교에서 주로 생산출하되고 있고, 가을미나리는 전주, 광주, 양산, 김해, 대구 등지에서 생산되고 있다. 특히, 대구 인근의 청도미나리는 전국적으로 청정미나리로 잘 알려져 있다.
미나리의 생리활성에 대한 연구는 그다지 많이 이루어지지 않았지만, 최근에 한국, 중국 등을 중심으로 체계적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국내에서는 순천대학교 박종철 교수가 이소함네틴술페이트(isorhamnetinsulfate), 히페린(hyperin) 및 페르시카린(persicarin)과 같은 플라보노이드 성분을 분리하였다(Planta Med., 61, 377-378, 1995). 중국 연변대학교 Zhang 등은 미나리 메탄올 추출액이 마우스의 심근허혈 및 재관류 실험에서 혈중 말론디알데히드(malondialdehyde) 함량 및 수퍼옥시드 디스뮤타아제(superoxide dismutase) 활성을 낮추어 부정맥치료에 효과가 있음을 보고하였다(Zhongguo Zhong Yao Za Zhi, 20, 44-46, 1995). 또한, 중국 북경의대의 Yang 등은 미나리의 플라본(flavone) 성분을 당뇨 마우스에 식이한 결과, 랑게르한스 섬의β 세포에서의 인슐린 분비가 촉진되어 혈당 강하작용이 있음을 증명하였다(Acta Pharmacol. Sin., 21, 239-242, 2000).
따라서, 소비자들은 이와 같이 부작용이 적으면서 약효가 뛰어난 천연소재 기반의 항비만제 및 항산화제에 더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고자 안전하고 효능이 우수한 천연약제 및 식품소재의 개발이 요망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천연소재로부터 항비만 또는 항산화 효과가 있는 활성물질을 탐색하는 과정에서, 미나리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플라보노이드계 화합물들이 췌장 리파아제 저해 활성을 나타내는 항비만 효과 및 라디칼 소거 활성을 나타내는 항산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미나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용 또는 항비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미나리 추출물의 분획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용 또는 항비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미나리 추출물로부터 분리한 플라보노이드계 화합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용 또는 항비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미나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용 또는 항비만용 건강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미나리 추출물의 분획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용 또는 항비만용 건강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미나리 추출물로부터 분리한 플라보노이드계 화합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용 또는 항비만용 건강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미나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용 또는 항비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미나리 추출물로부터 분획한 분획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용 또는 항비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미나리 추출물로부터 분리한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용 또는 항비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2082993918-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R1은 수소 또는 C1 - 5 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이고,
R2는 수소, C1 - 5 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 -SO3H 또는
Figure 112012082993918-pat00002
이다.
또한, 본 발명은 미나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용 또는 항비만용 건강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미나리 추출물로부터 분획한 분획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용 또는 항비만용 건강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미나리 추출물로부터 분리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용 또는 항비만용 건강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미나리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플라보노이드계 화합물은 생체 내 지방흡수와 관련이 있는 췌장 리파아제에 대한 저해 활성을 나타내는 항비만 효과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라디칼 소거 활성을 나타내는 항산화 효과가 우수하므로, 항산화용 또는 항비만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식품 조성물로 유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미나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용 또는 항비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시료로 사용한 미나리(Oenanthe javanica)는 2011년 4월에 경북 청도군 평양리에서 재배한 미나리를 구입한 것이며, 표본시료는 대구한의대학교의 한약재약리학과 천연물 화학실험실에 보관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C1 -4의 알코올, 이들의 혼합물 등을 용매로 사용하여 추출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에탄올 또는 메탄올을 용매로 사용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70% 에탄올 수용액을 용매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미나리 추출물로부터 분획한 분획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용 또는 항비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분획물은 용리액으로 물, n-헥산, 에틸아세테이트, n-부탄올 등을 사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용리액으로 에틸아세테이트를 사용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미나리 추출물로부터 분리한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용 또는 항비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Figure 112012082993918-pat00003
상기 화학식 1에서,
R1은 수소 또는 C1 - 5 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이고,
R2는 수소, C1 - 5 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 -SO3H 또는
Figure 112012082993918-pat00004
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2 내지 5로 표시되는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Figure 112012082993918-pat00005
Figure 112012082993918-pat00006
Figure 112012082993918-pat00007
Figure 112012082993918-pat00008
또한, 본 발명은 미나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용 또는 항비만용 건강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시료로 사용한 미나리(Oenanthe javanica)는 2011년 4월에 경북 청도군 평양리에서 재배한 미나리를 구입한 것이며, 표본시료는 대구한의대학교의 한약재약리학과 천연물 화학실험실에 보관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건강식품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C1 -4의 알코올, 이들의 혼합물 등을 용매로 사용하여 추출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에탄올 또는 메탄올을 용매로 사용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70% 에탄올 수용액을 용매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미나리 추출물로부터 분획한 분획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용 또는 항비만용 건강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건강식품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분획물은 용리액으로 물, n-헥산, 에틸아세테이트, n-부탄올 등을 사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용리액으로 에틸아세테이트를 사용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미나리 추출물로부터 분리한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용 또는 항비만용 건강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2082993918-pat00009
상기 화학식 1에서,
R1은 수소 또는 C1 - 5 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이고,
R2는 수소, C1 - 5 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 -SO3H 또는
Figure 112012082993918-pat00010
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2 내지 5로 표시되는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화학식 2]
Figure 112012082993918-pat00011
;
[화학식 3]
Figure 112012082993918-pat00012
;
[화학식 4]
Figure 112012082993918-pat00013
; 또는
[화학식 5]
Figure 112012082993918-pat00014
.
이하, 본 발명의 미나리 추출물, 이의 분획물 및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의 제조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미나리(Oenanthe javanica)(2011년 4월에 경북 청도군 평양리에서 재배한 것을 구입)의 추출물의 제조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면, 미나리를 분쇄기를 이용하여 잘게 자른 후, 추출용매에 침지하여 3일간 3회 반복 추출하고, 추출액을 여과 및 감압 농축하여 미나리 추출물을 수득하였다(제조예 1 참조)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미나리 추출물로부터 분획물의 제조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미나리 추출물을 감압 농축하여 얻은 물에 현탁된 추출시료에 동량의 용리액을 첨가하여 층분리하는 방법으로 순차적으로 분획하여 미나리 분획물을 수득하였다(제조예 2 참조).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미나리 분획물로부터 화합물의 제조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미나리 분획물을 Toyopearl(제조사:Tosoh co. Ltd., 모델명:HW-40) 및 ODS(octadecylsilyl) 겔을 사용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column chromatography)의 용리액 조건을 변화시켜 분리하여 최종적으로 순수한 화합물 4 종(화학식 2 내지 5의 화합물)을 수득하고, 이들의 화학구조를 분자량, 분자식, 질량분석, 1H-NMR 스펙트럼 및 13C-NMR 스펙트럼의 데이터 해석을 통하여 페르시카린(persicarin)(화학식 2), 이소함네틴(isorhamnetin)(화학식 3), 히페로시드(hyperoside)(화학식 4) 및 이소함네틴-3-O-갈락토시드(isorhamnetin-3-O-galactoside)(화학식 5)로 각각 동정하였다(제조예 3 참조).
이하, 본 발명의 미나리 추출물, 이의 분획물 및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의 항산화 및 항비만 효과 평가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미나리 추출물 및 분획물의 항비만 효과를 평가하기 위한 생체 내 지방흡수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췌장 리파아제 저해 활성 측정을 수행한 실험결과를 참조하면, 제조예 1-3의 추출물 및 제조예 2-1 내지 2-4의 4 종의 분획물 모두 췌장 리파아제 저해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제조예 2-2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이 실험을 수행한 모든 농도 영역에서 가장 우수한 췌장 리파아제 저해 활성을 나타내었다(실시예 1 및 표 1 참조).
또한, 본 발명의 미나리 추출물 및 분획물의 항산화 효과를 평가하기 위한 ABTS+ 라디칼 소거 활성 측정을 수행한 실험결과를 참조하면, 제조예 1-3의 추출물 및 제조예 2-1 내지 2-4의 4 종의 분획물 모두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제조예 2-2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이 실험을 수행한 모든 농도 영역에서 가장 우수한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을 나타내었다(실시예 2 및 표 2 참조).
나아가, 본 발명의 미나리 분획물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의 항비만 효과를 평가하기 위한 생체 내 지방흡수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췌장 리파아제 저해 활성 측정을 수행한 실험결과를 참조하면, 제조예 3-1의 화합물 및 제조예 3-4의 화합물이 제조예 3-2의 화합물 및 제조예 3-3의 화합물보다 상대적으로 우수한 췌장 리파아제 저해 활성을 나타내었다(실시예 3 및 표 3 참조).
또한, 본 발명의 미나리 분획물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의 항산화 효과를 평가하기 위한 ABTS+ 라디칼 소거 활성 측정을 수행한 실험결과를 참조하면, 제조예 3-1의 화합물 및 제조예 3-4의 화합물이 제조예 3-2의 화합물보다 상대적으로 우수한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을 나타내었다(실시예 4 및 표 4 참조).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미나리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플라보노이드계 화합물은 생체 내 지방흡수와 관련이 있는 췌장 리파아제에 대한 저해 활성을 나타내는 항비만 효과가 우수할 뿐 아니라, 라디칼 소거 활성을 나타내는 항산화 효과가 우수하므로, 항산화용 또는 항비만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식품 조성물로 유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미나리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플라보노이드계 화합물을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은 상기 성분에 추가로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나타내는 유효성분을 1종 이상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첨가제로는 전분, 젤라틴화 전분, 미결정셀룰로오스, 포비돈, 콜로이달실리콘디옥시드, 인산수소칼슘, 락토오스, 만니톨, 엿, 아라비아고무, 전호화전분, 옥수수전분, 분말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오파드라이(opary), 전분글리콜산나트륨, 카르나우바 납, 합성규산알루미늄, 스테아린산, 스테아린산마그네슘, 스테아린산알루미늄, 스테아린산칼슘, 백당, 덱스트로스, 소르비톨 및 탈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첨가제는 상기 조성물에 대해 0.1-90 중량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실제 임상 투여 시에 경구 및 비경구의 여러 가지 제형으로 투여될 수 있는데, 제제화할 경우에는 통상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될 수 있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미나리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플라보노이드계 화합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스, 락토오스 또는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될 수 있다. 경구 투여를 위한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및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액상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될 수 있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목적하는 방법에 따라 경구 투여하거나 비경구 투여할 수 있으며, 비경구 투여시 피부 외용 또는 복강내 주사, 직장내 주사, 피하주사, 정맥주사, 근육내 주사 또는 흉부내 주사 주입방식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량은 환자의 체중, 연령, 성별, 건강상태, 식이, 투여시간, 투여방법, 배설률 및 질환의 중증도에 따라 그 범위가 다양하며, 일일 투여량은 미나리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플라보노이드계 화합물의 양을 기준으로 0.0001-100 ㎎/㎏이고, 바람직하게는 0.001-10 ㎎/㎏이며, 하루 1-6 회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단독으로, 또는 수술, 방사선 치료, 호르몬 치료, 화학 치료 및 생물학적 반응 조절제를 사용하는 방법들과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건강식품 조성물은 미나리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플라보노이드계 화합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식품 조성물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미나리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플라보노이드계 화합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시지, 빵, 초콜릿,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코올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은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단당류, 말토오스, 수크로스와 같은 이당류, 및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과 같은 다당류,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감미제로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감미제나, 사카린, 아스파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당 일반적으로 약 0.01-0.04 g, 바람직하게는 약 0.02-0.03 g 이다.
본 발명의 건강식품 조성물은 상기 이외에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천연 과일주스, 과일주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크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건강식품 조성물 100 중량부당 0.01-0.1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하, 본 발명을 제조예 및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제조예 및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제조예 및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제조예 1-1> 미나리 물 추출물의 제조
본 발명에서 시료로 사용한 미나리는 2011년 4월에 경북 청도군 평양리에서 재배한 미나리(Oenanthe javanica)를 구입한 것이며, 표본시료는 대구한의대학교의 한약재약리학과 천연물 화학실험실에 보관하고 있다.
신선한 미나리 1.4 kg을 분쇄기로 잘게 자른 후, 증류수 30 ℓ에 침지하여 80-100℃에서 1-3시간 동안 환류 추출하는 것을 3일간 3회 반복하고, 추출액을 여과 및 감압 농축하여 물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 제조예 1-2> 미나리 메탄올 추출물의 제조
추출용매로 물 대신 메탄올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조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메탄올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 제조예 1-3> 미나리 70% 에탄올 수용액 추출물의 제조
추출용매로 물 대신 70% 에탄올 수용액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조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70% 에탄올 수용액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 제조예 2-1> 미나리 n- 헥산 분획물의 제조
제조예 1-3의 70% 에탄올 수용액 추출물을 감압 농축하여 에탄올을 제거하고, 물에 현탁된 추출시료에 동량의 n-헥산을 첨가하여 혼합한 후, n-헥산가용성 분획부와 물가용성 분획부를 층분리하였다. 이를 2회 더 반복 실시하고, 여과 및 감압 농축하여 n-헥산 분획물을 수득하였다.
< 제조예 2-2> 미나리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의 제조
상기 제조예 2-1에서 분리된 물층에 동량의 에틸아세테이트를 첨가하여 혼합한 후, 에틸아세테이트가용성 분획부와 물가용성 분획부를 층분리하였다. 이를 2회 더 반복 실시하고, 여과 및 감압 농축하여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수득하였다.
< 제조예 2-3> 미나리 n- 부탄올 분획물의 제조
상기 제조예 2-2에서 분리된 물층에 동량의 n-부탄올을 첨가하여 혼합한 후, n-부탄올가용성 분획부와 물가용성 분획부를 층분리하였다. 이를 2회 더 반복 실시하고, 여과 및 감압 농축하여 n-부탄올 분획물을 수득하였다.
< 제조예 2-4> 미나리 물 분획물의 제조
상기 제조예 2-3에서 분리된 물층에 남아있는 물을 감압 농축하여 물 분획물을 수득하였다.
< 제조예 3-1> 미나리 분획물로부터 플라보노이드계 화합물의 제조 1
상기 제조예 2-3의 n-부탄올 분획물을 Toyopearl(제조사:Tosho Co. Ltd., 모델명:HW-40) 및 ODS(octadecylsilyl) 겔을 사용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column chromatography)로 분리하여 물(H2O) 용리액으로부터 화학식 2의 화합물을 수득하였고, 이의 화학구조를 분자량, 분자식, 질량분석, 1H-NMR 스펙트럼 및 13C-NMR 스펙트럼의 데이터 해석을 통하여 페르시카린(persicarin)으로 동정하였다.
[화학식 2]
Figure 112012082993918-pat00015
1) 분자량 (g/mol): 396.33
2) 분자식: C16H12O10S
3) ESI-질량분석 (m/z): 396.02
4) 1H NMR (600 MHz, DMSO-d 6,δ(ppm)): 8.06(1H, d, J=2.2 Hz, H-2'), 7.61(1H, d, J=8.8, 2.2 Hz, H-6'), 9.2(1H, d, J=8.8 Hz, H-5'), 6.43(1H, d, J=2.2 Hz, H-8), 6.22(1H, d, J=2.2 Hz), 3.83(3H, s, MeO-3').
5) 13C NMR (150 MHz, DMSO-d 6,δ(ppm)): 177.1(C-4), 166.5(C-7), 161.1(C-5), 156.2(C-2), 155.5(C-9), 149.6(C-3’), 147.1(C-4’), 131.8(C-5’), 121.2(C-6’), 121.1(C-1’), 115.2(C-2’), 103.1(C-10), 99.7(C-6), 93.6(C-8), 55.6(MeO).
< 제조예 3-2> 미나리 분획물로부터 플라보노이드계 화합물의 제조 2
상기 제조예 2-2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상기 제조예 3-1의 Toyopearl(제조사:Tosho Co. Ltd., 모델명:HW-40)을 사용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column chromatography)법을 활용하여 물 용리액으로부터 화학식 3의 화합물을 수득하였고, 이의 화학구조를 이소함네틴(isorhamnetin)으로 동정하였다.
[화학식 3]
Figure 112012082993918-pat00016
1) 분자량 (g/mol): 316.26
2) 분자식: C16H12O7
3) ESI-질량분석 (m/z): 316.06
4) 1H NMR (600 MHz, CD3OD, δ(ppm)): 8.01(1H, d, J=1.8 Hz, H-2'), 7.64(1H, d, J=8.4, 1.8 Hz, H-6'), 6.90(1H, d, J=8.4 Hz, H-5'), 6.40(1H, s, H-8), 6.19(1H, s, H-6).
< 제조예 3-3> 미나리 분획물로부터 플라보노이드계 화합물의 제조 3
상기 제조예 2-2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상기 제조예 3-1의 Toyopearl(제조사:Tosho Co. Ltd., 모델명:HW-40)을 사용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column chromatography)법을 활용하여 40% 메탄올 용리액을 수득하고, 수득한 용리액을 ODS 겔에 흡착한 후, 45% 메탄올 용리액으로부터 화학식 4의 화합물을 수득하였고, 이의 화학구조를 히페로시드(hyperoside)로 동정하였다.
[화학식 4]
Figure 112012082993918-pat00017
1) 분자량 (g/mol): 464.38
2) 분자식: C21H20O12
3) ESI-질량분석 (m/z): 464.10
4) 1H NMR (600 MHz, CD3OD,δ(ppm)): 7.83(1H, d, J=2.4 Hz, H-2'), 7.57(1H, d, J=8.4, 2.4, H-6'), 6.85(1H, d, J=8.4 Hz, H-5'), 6.39(1H, d, J=1.8 Hz, H-8), 6.19(1H, d, J=1.8 Hz, H-6), 5.15(1H, d, J=7.8 Hz, H-1"), 3.90-3.10(6H, m, H-2"-H-6").
< 제조예 3-4> 미나리 분획물로부터 플라보노이드계 화합물의 제조 4
상기 제조예 2-2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상기 제조예 3-1의 Toyopearl(제조사:Tosho Co. Ltd., 모델명:HW-40)을 사용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column chromatography)법을 활용하여 40% 메탄올 용리액을 수득하고, 수득한 용리액을 ODS 겔에 흡착한 후, 50% 메탄올 용리액으로부터 화학식 5의 화합물을 수득하였고, 이의 화학구조를 이소함네틴-3-O-갈락토시드(isorhamnetin-3-O-galactoside)로 동정하였다.
[화학식 5]
Figure 112012082993918-pat00018
1) 분자량 (g/mol): 478.40
2) 분자식: C22H22O12
3) ESI-질량분석 (m/z): 478.11
4) 1H NMR (600 MHz, CD3OD, δ(ppm)): 8.02(1H, d, J=1.8 Hz, H-2'), 7.56(1H, d, J=8.4, 1.8 Hz, H-6'), 6.89(1H, d, J=8.4 Hz, H-5'), 6.38(1H, s, H-8), 6.19(1H, s, H-6), 5.32(1H, d, J=7.8 Hz, H-1"), 3.95(3H, s, MeO-3’), 3.97-3.30(6H, H-2"-H-6").
< 실시예 1> 추출물 및 분획물의 항비만 효과 평가
상기 제조예 1-3의 추출물 및 제조예 2-1 내지 2-4의 4 종의 분획물의 항비만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생체 내 지방흡수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췌장 리파아제 저해 활성 측정을 다음과 같이 실험하였다.
구체적으로, 돼지의 췌장 리파아제를 효소용 완충용액(10 mM MOPS, 1 mM EDTA, pH 6.8)에 0.5 g/200 ㎖의 농도로 녹여 4000 rpm에서 5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효소로써 준비하고, p-니트로페닐 부티레이트(p-nitrophenyl butyrate)를 DMSO에 녹여 기질(10 mM)로써 제조하였다. 96 웰 플레이트(well plate)에 각각의 시료(제조예 1-3의 추출물 및 제조예 2-1 내지 2-4의 4 종의 분획물)의 최종농도가 각각 15.6, 31.3, 62.5, 125, 250, 500 ㎍/㎖가 되도록 Tris 완충용액(100 mM Tris-HCl, 5 mM CaCl2, pH 7.0)과 각각의 시료를 혼합하여 제조하고 효소 6 ㎕를 넣고 37℃에서 15분 동안 반응시킨 후, 기질 5 ㎕를 첨가하여 37℃ 인큐베이터에서 30분 동안 반응시키고, ELISA 판독기를 이용하여 405 nm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양성 대조군으로 제니칼(Xenical)을 이용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실험하였고,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시료 췌장 리파아제 저해 활성 (%)
농도(㎕/㎖) 500 250 125 62.5 31.3 15.6
제조예 1-3의 추출물 47.8 41.1 37.8 32.4 25.9 30.8
제조예 2-1의 분획물 37.7 28.1 21.5 34.3 35.0 12.0
제조예 2-2의 분획물 49.9 47.7 44.8 40.9 33.2 31.7
제조예 2-3의 분획물 42.8 35.9 32.4 33.6 31.9 25.9
제조예 2-4의 분획물 27.5 18.4 15.7 13.7 11.0 12.5
대조군(제니칼) 100.0 100.0 100.0 82.0 84.3 79.0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조예 1-3의 추출물은 500 ㎕/㎖ 농도에서 47.8%의 췌장 리파아제 저해 활성을 나타내었고, 제조예 2-1 내지 2-4의 4 종의 분획물 모두 500 ㎕/㎖ 농도에서 27.5-49.9%의 췌장 리파아제 저해 활성을 나타내었다. 특히, 제조예 2-2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은 500 ㎕/㎖ 농도에서 49.9%의 높은 췌장 리파아제 저해 활성을 나타낸 것을 비롯하여 상기 실험한 대부분의 농도 영역에서 가장 우수한 췌장 리파아제 저해 활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미나리 추출물 및 분획물은 생체 내 지방흡수와 관련이 있는 췌장 리파아제에 대한 유의한 저해 활성을 나타내어 항비만 효과가 있으므로, 항비만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식품 조성물로 유용할 수 있다.
< 실시예 2> 추출물 및 분획물의 항산화 효과 평가
상기 제조예 1-3의 추출물 및 제조예 2-1 내지 2-4의 4 종의 분획물의 항산화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ABTS+ 라디칼 소거 활성 측정을 다음과 같이 실험하였다.
구체적으로, 7 mM ABTS(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수용액(7 mM)과 K2O8S2 (2.45 mM)를 동량으로 혼합 후 실온, 암소에서 16시간 동안 방치하여 라디칼의 생성을 유도한 후, ABTS+ 라디칼 용액을 734 nm에서 흡광도 값이 1.2-1.3 정도가 되도록 희석하여 준비하였다. 시료(제조예 1-3의 추출물 및 제조예 2-1 내지 2-4의 4 종의 분획물)의 농도가 각각 31.3, 62.5, 125, 250, 500, 1000 ㎍/㎖가 되도록 상기 희석한 ABTS+ 라디칼 용액과 각각의 시료를 혼합하여 실온에서 15분 동안 반응시킨 후, ELISA 판독기를 이용하여 734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양성 대조군으로 카테킨을 이용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실험하였고,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시료 ABTS+ 라디칼 소거 활성 (%)
농도(㎕/㎖) 1000 500 250 125 62.5 31.3
제조예 1-3의 추출물 90.6 74.3 48.6 28.9 17.5 10.9
제조예 2-1의 분획물 69.3 40.4 22.1 14.5 8.2 4.5
제조예 2-2의 분획물 100.0 100.0 99.8 85.0 58.9 43.1
제조예 2-3의 분획물 100.0 96.9 74.2 45.7 30.8 18.2
제조예 2-4의 분획물 94.7 75.5 52.9 29.0 16.1 10.1
대조군(카테킨) 100.0 99.9 99.8 99.7 99.7 99.8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조예 1-3의 추출물은 1000 ㎕/㎖ 농도에서 90.6%의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을 나타내었고, 제조예 2-1 내지 2-4의 4 종의 분획물 모두 1000 ㎕/㎖ 농도에서 69.3-100.0%의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을 나타내었다. 특히, 제조예 2-2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은 1000 ㎕/㎖ 농도에서 100.0%의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을 나타낸 것을 비롯하여, 상기 실험한 모든 농도 영역에서 가장 우수한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미나리 추출물 및 분획물은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이 우수하여 항산화 효과가 있으므로, 항산화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식품 조성물로 유용할 수 있다.
< 실시예 3> 분획물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의 항비만 효과 평가
상기 제조예 3-1 내지 3-4의 4 종의 플라보노이드계 화합물의 항비만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생체 내 지방흡수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췌장 리파아제 저해 활성 측정을 다음과 같이 실험하였다.
구체적으로, 우선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하게 효소와 기질을 준비하였다. 96 웰 플레이트(well plate)에 Tris 완충용액(100 mM Tris-HCl, 5 mM CaCl2, pH 7.0) 169 ㎕, 각각의 시료(제조예 3-1 내지 3-4의 4 종의 화합물) 20 ㎕, 효소 6 ㎕를 넣고 37℃에서 15분 동안 반응시킨 후, 기질 5 ㎕를 첨가하여 200 ㎕로 만들어 37℃ 인큐베이터에서 30분 동안 반응시키고, ELISA 판독기를 이용하여 405 nm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양성 대조군으로 오리스타트(orlistat)를 이용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실험하였고,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시료 IC50 값 (μM)
제조예 3-1의 화합물 59.8
제조예 3-2의 화합물 >150
제조예 3-3의 화합물 84.8
제조예 3-4의 화합물 57.6
대조군(오리스타트) 0.6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조예 3-1 내지 3-4의 4 종의 플라보노이드계 화합물 중 제조예 3-1의 화합물 및 제조예 3-4의 화합물의 IC50 값이 각각 59.8 및 57.6 μM로 제조예 3-2의 화합물 및 제조예 3-3의 화합물보다 상대적으로 우수한 췌장 리파아제 저해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미나리의 분획물로부터 수득한 플라보노이드계 화합물은 생체 내 지방흡수와 관련이 있는 췌장 리파아제에 대한 유의한 저해 활성을 나타내어 항비만 효과가 있으므로, 항비만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식품 조성물로 유용할 수 있다.
< 실시예 4> 분획물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의 항산화 효과 평가
상기 제조예 3-1 내지 3-4의 4 종의 플라보노이드계 화합물의 항산화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ABTS+ 라디칼 소거 활성 측정을 다음과 같이 실험하였다.
구제적으로, 우선 실시예 2에서와 동일하게 희석한 ABTS+ 라디칼 용액을 준비하였다. 상기 ABTS+ 라디칼 용액 980 ㎕ 와 각각의 시료(제조예 3-1 내지 3-4의 4 종의 화합물의) 20 ㎕를 혼합하여 실온에서 15분간 반응시킨 후, 734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양성 대조군으로 아스코르브산(1 mM)을 이용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실험하였고,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시료 IC50 값 (μM)
제조예 3-1의 화합물 47.5
제조예 3-2의 화합물 83.5
제조예 3-3의 화합물 시험하지 않음
제조예 3-4의 화합물 56.7
대조군(아스코르브산) 0.6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조예 3-1 내지 3-4의 4 종의 화합물 중 실험한 3 종의 화합물 중에서 제조예 3-1의 화합물 및 제조예 3-4의 화합물의 IC50값이 47.5 및 56.7 μM로 제조예 3-2의 화합물보다 상대적으로 우수한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미나리의 분획물로부터 수득한 플라보노이드계 화합물은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이 우수하여 항산화 효과가 있으므로, 항산화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식품 조성물로 유용할 수 있다.
< 제제예 1> 약학적 제제의 제조
<1-1> 산제의 제조
제조예 1-1 내지 1-3의 추출물, 제조예 2-1 내지 2-4의 분획물 또는 제조예 3-1 내지 3-4의 화합물 0.1 g
유당 1.5 g
탈크 0.5 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하였다.
<1-2> 정제의 제조
제조예 1-1 내지 1-3의 추출물, 제조예 2-1 내지 2-4의 분획물 또는 제조예 3-1 내지 3-4의 화합물 0.1 g
락토오스 7.9 g
결정성 셀룰로오스 1.5 g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0.5 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한 후 직타법(direct tableting method)으로 정제를 제조하였다.
<1-3> 캡슐제의 제조
제조예 1-1 내지 1-3의 추출물, 제조예 2-1 내지 2-4의 분획물 또는 제조예 3-1 내지 3-4의 화합물 0.1 g
옥수수전분 5 g
카르복시 셀룰로오스 4.9 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하여 분말을 제조한 후, 상기 분말을 통상의 캡슐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경질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1-4> 주사제의 제조
제조예 1-1 내지 1-3의 추출물, 제조예 2-1 내지 2-4의 분획물 또는 제조예 3-1 내지 3-4의 화합물 0.1 g
주사용 멸균 증류수 적량
pH 조절제 적량
통상의 주사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1 앰플 당(2 ㎖) 상기의 성분 함량으로 제조하였다.
<1-5> 액제의 제조
제조예 1-1 내지 1-3의 추출물, 제조예 2-1 내지 2-4의 분획물 또는 제조예 3-1 내지 3-4의 화합물 0.1 g
이성화당 10 g
만니톨 5 g
정제수 적량
통상의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정제수에 각각의 성분을 가하여 용해시키고, 레몬향을 적량 가한 다음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였다. 그 다음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100 ㎖로 조절한 후 갈색병에 충진하여 멸균시켜 액제를 제조하였다.
< 제제예 2> 건강식품의 제조
<2-1> 밀가루 식품의 제조
제조예 1-1 내지 1-3의 추출물, 제조예 2-1 내지 2-4의 분획물 또는 제조예 3-1 내지 3-4의 화합물 0.5-5.0 중량부를 밀가루에 첨가하고, 이 혼합물을 이용하여 빵, 케이크, 쿠키, 크래커 및 면류를 제조하였다.
<2-2> 스프 및 육즙( gravies )의 제조
제조예 1-1 내지 1-3의 추출물, 제조예 2-1 내지 2-4의 분획물 또는 제조예 3-1 내지 3-4의 화합물 0.1-5.0 중량부를 스프 및 육즙에 첨가하여 건강 증진용 육가공 제품, 면류의 수프 및 육즙을 제조하였다.
<2-3> 그라운드 비프(ground beef)의 제조
제조예 1-1 내지 1-3의 추출물, 제조예 2-1 내지 2-4의 분획물 또는 제조예 3-1 내지 3-4의 화합물 10 중량부를 그라운드 비프에 첨가하여 건강 증진용 그라운드 비프를 제조하였다.
<2-4> 유제품( dairy products )의 제조
제조예 1-1 내지 1-3의 추출물, 제조예 2-1 내지 2-4의 분획물 또는 제조예 3-1 내지 3-4의 화합물 5-10 중량부를 우유에 첨가하고, 상기 우유를 이용하여 버터 및 아이스크림과 같은 다양한 유제품을 제조하였다.
<2-5> 선식의 제조
현미, 보리, 찹쌀, 율무를 공지의 방법으로 알파화시켜 건조시킨 것을 배전한 후 분쇄기로 입도 60 메쉬의 분말로 제조하였다.
검정콩, 검정깨, 들깨도 공지의 방법으로 쪄서 건조시킨 것을 배전한 후 분쇄기로 입도 60 메쉬의 분말로 제조하였다.
제조예 1-1 내지 1-3의 추출물, 제조예 2-1 내지 2-4의 분획물 또는 제조예 3-1 내지 3-4의 화합물을 진공 농축기에서 감압농축하고, 분무, 열풍건조기로 건조하여 얻은 건조물을 분쇄기로 입도 60 메쉬로 분쇄하여 건조분말을 수득하였다.
상기에서 제조한 곡물류, 종실류 및 제조예 1-1 내지 1-3의 추출물, 제조예 2-1 내지 2-4의 분획물 또는 제조예 3-1 내지 3-4의 화합물을 다음의 비율로 배합하여 제조하였다:
곡물류(현미 30 중량부, 율무 15 중량부, 보리 20 중량부),
종실류(들깨 7 중량부, 검정콩 8 중량부, 검정깨 7 중량부),
제조예 1-1 내지 1-3의 추출물, 제조예 2-1 내지 2-4의 분획물 또는 제조예 3-1 내지 3-4의 화합물(3 중량부),
영지(0.5 중량부),
지황(0.5 중량부).
< 제제예 3> 건강음료의 제조
액상과당(0.5%), 올리고당(2%), 설탕(2%), 식염(0.5%), 물(75%)과 같은 부재료와 제조예 1-1 내지 1-3의 추출물, 제조예 2-1 내지 2-4의 분획물 또는 제조예 3-1 내지 3-4의 화합물 5 g을 균질하게 배합하여 순간 살균을 한 후 이를 유리병, 패트병 등 소포장 용기에 포장하여 제조하였다.
<3-1> 야채 주스의 제조
제조예 1-1 내지 1-3의 추출물, 제조예 2-1 내지 2-4의 분획물 또는 제조예 3-1 내지 3-4의 화합물 5 g을 토마토 또는 당근 주스 1,000 ㎖에 가하여 야채 주스를 제조하였다.
<3-2> 과일 주스의 제조
제조예 1-1 내지 1-3의 추출물, 제조예 2-1 내지 2-4의 분획물 또는 제조예 3-1 내지 3-4의 화합물 1 g을 사과 또는 포도 주스 1,000 ㎖ 에 가하여 과일 주스를 제조하였다.

Claims (1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미나리 추출물로부터 분리한,
    하기 화학식 2 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약학적 조성물:
    [화학식 2]
    Figure 112014070451837-pat00019
    .
  9. 미나리 추출물로부터 분리한,
    하기 화학식 5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비만용 약학적 조성물:
    [화학식 5]
    Figure 112014070451837-pat00031
    .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미나리 추출물로부터 분리한,
    하기 화학식 2 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
    [화학식 2]
    Figure 112014070451837-pat00027
    .
  18. 미나리 추출물로부터 분리한,
    하기 화학식 5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
    [화학식 5]
    Figure 112014070451837-pat00030
    .
KR1020120113470A 2012-10-12 2012-10-12 미나리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플라보노이드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용 또는 항비만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식품 조성물 KR1014534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3470A KR101453455B1 (ko) 2012-10-12 2012-10-12 미나리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플라보노이드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용 또는 항비만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식품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3470A KR101453455B1 (ko) 2012-10-12 2012-10-12 미나리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플라보노이드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용 또는 항비만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식품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7335A KR20140047335A (ko) 2014-04-22
KR101453455B1 true KR101453455B1 (ko) 2014-10-21

Family

ID=506539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3470A KR101453455B1 (ko) 2012-10-12 2012-10-12 미나리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플라보노이드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용 또는 항비만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식품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345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0298B1 (ko) 2014-09-23 2016-08-23 배재대학교 산학협력단 미생물 발효에 의한 미나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제조 방법
KR102149254B1 (ko) * 2018-11-07 2020-09-01 이효준 붓기 제거에 효과가 있는 식물성 천연물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102149252B1 (ko) * 2018-11-07 2020-09-01 이효준 붓기 제거에 효과가 있는 식물성 천연물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Fitoterapia, 71, 2000, S73-S82 *
Fitoterapia, 71, 2000, S73-S82*
Phytotherapy Research, 25, 2011, pp.1629-1637 *
Phytotherapy Research, 25, 2011, pp.1629-1637*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38(11), 2009. pp.1516-1521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38(11), 2009. pp.1516-1521*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40(2), 2011.02, pp.316-320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40(2), 2011.02, pp.316-32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7335A (ko) 2014-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5500B1 (ko) 강활 및 방풍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209574B1 (ko) 이고들빼기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 기능 개선용 약학적 조성물 및 간 기능 개선용 건강기능 식품조성물
KR101496834B1 (ko) 울금 유래 생리활성물질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453455B1 (ko) 미나리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플라보노이드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용 또는 항비만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식품 조성물
KR20140133016A (ko) 나한과(Siraitia grosvenorii)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1692889B1 (ko) 두메닥나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207239B1 (ko) 천문동 추출물로부터 제조한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50034025A (ko) 항산화 또는 혈당 강하 활성 성분 함량이 증가된 새싹보리 차
KR102312675B1 (ko) 개똥쑥 추출물, 후박 추출물 또는 이들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 비만 및 비알콜성 지방간 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077916B1 (ko) 센티페드그라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160055748A (ko) 항산화 또는 혈당 강하 활성 성분 함량이 증가된 새싹보리 차
KR101077915B1 (ko) 센티페드그라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319490B1 (ko) 감태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디엑콜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리파아제 저해제
KR101153870B1 (ko) 뉴라미니데이즈 억제활성을 가지는 들깨 추출물
KR20190124194A (ko) 항산화 또는 혈당 강하 활성 성분 함량이 증가된 새싹보리 차
KR100888068B1 (ko) 비만 억제용 조성물
KR20200101114A (ko) 구절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근육세포 보호용 건강기능식품
KR101651100B1 (ko) 상백피에서 유래된 mac 6.4 비만 치료 또는 예방용 화합물
KR101498075B1 (ko) 수수 겨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제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성 식품
KR101341532B1 (ko) 티아닌을 함유하는 기관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30082249A (ko) 담쟁이 덩쿨 추출물을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170076587A (ko) 모노테르페닐 마그놀올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지방간, 고지혈증 또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후박 분획물의 제조방법
KR102025572B1 (ko) 고욤나무 잎 및 포도송이 줄기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783550B1 (ko) 가야보리수 추출물을 포함하는 직장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651105B1 (ko) 상백피에서 유래된 mac 9.23 비만 치료 또는 예방용 화합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