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9480A -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용 복합생약추출물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용 복합생약추출물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9480A
KR20090009480A KR1020070072787A KR20070072787A KR20090009480A KR 20090009480 A KR20090009480 A KR 20090009480A KR 1020070072787 A KR1020070072787 A KR 1020070072787A KR 20070072787 A KR20070072787 A KR 20070072787A KR 20090009480 A KR20090009480 A KR 200900094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topic dermatitis
composition
herbal composition
ginseng
gyps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27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훈
Original Assignee
박정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정훈 filed Critical 박정훈
Priority to KR10200700727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9480A/ko
Publication of KR200900094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94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61K36/258Panax (ginse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61K36/484Glycyrrhiza (licor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6Liliaceae (Lily family), e.g. daylily, plantain lily, Hyacinth or narciss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9Poaceae or Gramineae (Grass family), e.g. bamboo, corn or sugar can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 modulation effect on allergy and risk of allergy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용 한방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a) 죽엽 3 내지 5%, 인삼 3 내지 5%, 감초 3 내지 5%, 석고 30 내지 35%, 맥문동 15 내지 25%, 경미 10 내지 20%, 반하 5 내지 15%를 포함하는 조성물에 일정 량의 물을 붓고 2시간 이상 가열하여 끓이는 단계와; (b) 상기 (a)단계에서 물이 증발하여 부족하면 중간 중간에 물을 보충하는 단계; 및 (c) 상기 (a) 및 (b)단계에 의해 다 끓인 조성물을 거즈로 짜서 추출액을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함으로써, 아토피성 피부염을 치료 또는 완화하면서도 부작용이 거의 없는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용 한방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아토피, 피부염, 치료, 한방조성물, 죽엽, 인삼, 감초, 석고, 맥문동, 경미, 반하

Description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용 한방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Chinese Medicine For Atopic Dermatitis Patients Treatme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본 발명은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용 한방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아토피성 피부염을 치료 또는 완화하면서도 부작용이 거의 없는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용 한방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토피성 피부염(atopic dermatitis)은 정상인에게는 해가 되지 않은 유발인자들에 피부가 과민반응상태를 보임으로써 만성적으로 피부에 염증이 생기는 질병이다. 즉 아토피성 피부염은 세균, 바이러스, 곰팡이 등에 의한 감염, 꽃가루 등과 같은 특정물질, 음식물, 인공적 화학물질 등에 면역 체계가 과민반응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면역반응에는 T 세포가 관여하며 T 세포가 분비하는 사이토카인은 통상 Th1 사이토카인 및 Th2 사이토카인의 두 가지 유형으로 나뉜다. Th1 사이토카인은 세포매개형 면역반응에 관여하고 Th2 사이토카인은 항체 면역반응을 담당하는 데, 아토피성 피부염이나 다른 알러지 질환은 모두 이러한 두 사이토카인의 균형이 파괴되어 인터루킨-4(IL-4), IL-5, IL-13 등과 같은 Th2 사이토카인 분비가 과다 형성되고 이로 인해 길항적으로 Th1 세포가 분비하는 인터페론-γ(IFN-γ)과 같은 Th1 사이토카인의 분비가 감초한다(Jujo K. 등, Decreased interferone gamma and increased interleukin-4 production in atopic dermatitis promotes IgE synthesis. J Allergy Clin Immunol 1992; 90; 322-31 및 Tang ML. 등, Interleukin-4 and interferone-γ production in atopic and non-atopic children with asthma. Clin Exp Allergy 1995; 25; 515-21 참조).
또한, 대부분의 아토피성 피부염 환자들의 피부에는 포도상구균이 매우 많이 군집하고 있는데 대략 107 CFU/㎠으로서 정상인에 비해 200배나 높은 수치이다. 이러한 균 때문에 계속 면역글로불린 E(IgE)가 만들어지고, 이들 세균이 분비하는 세라미데이스(ceramidase)는 피하의 보습능력을 유지하게 하는 세라마이드(ceramide)를 분해시켜 지속적으로 가려움을 유도하기 때문에 피부염을 악화시킨다. Th2 사이토카인인 IL-4는 이들 세균이 피부에 달라붙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때문에 일단 아토피성 피부염이 시작하면 포도상구균은 겉 잡을 수 없을 정도로 증식하게 된다(Donald YM. 등, Infection in atopic dermatitis. Curr Opin Pediatr 2003; 15; 399-404 및 Chos SH. 등, Preferential binding of Staphylococcus aureus to skin sites of Th2-mediated inflammation in a murine model. J Invest Dermatol 2001; 116: 658-63 참조).
이러한 아토피성 피부염을 치료하기 위하여 스테로이드제, 항히스타민제, 항생제 등이 사용되고 있으나, 부신피질 호로몬제와 같은 스테로이드제의 경우 소염작용과 면역억제 작용이 있어 효과가 우수하지만 장기간 사용할 경우 심각한 피부부작용이 생길 우려가 크고 세균의 간염이 발생할 수 있다. 또 항히스타민제는 가려움증을 일시적으로 경감시킬 수 있으나 장기간 복용시 여러 가지 부작용이 생길 수 있으며, 항생제의 경우 포도상구균 등의 2차 세균 감염을 치료하기 위해 사용되나 근본적인 치료법이라고 할 수는 없다.
최근에 타크로리무스(tacrolimus ProtopicTM) 또는 피메크로리무스(pimecrolimus, ElidelTM)이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제로 이용되고 있는데, 이 두 가지 약물은 모두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발현을 억제하는 면역억제제이기 때문에 신속한 증상완화를 가져오나 효과는 일시적이며 지속적으로 사용시 피부의 자연방어상태를 약하게 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아토피성 피부염을 치료 또는 완화하면서도 부작용이 거의 없는 치료제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아토피성 피부염을 치료 또는 완화하면서도 부작용이 거의 없는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용 한방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죽엽 4g, 인삼 4g, 감초 4g, 석고 32g, 맥문동 20g, 경미 14g, 반하 10g을 포함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용 한방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3 목적은 죽엽 3 내지 5%, 인삼 3 내지 5%, 감초 3 내지 5%, 석고 30 내지 35%, 맥문동 15 내지 25%, 경미 10 내지 20%, 반하 5 내지 15%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생지황 1 내지 3%, 계지 0.5 내지 1.5%, 창출 0.5 내지 1.5%, 마황 0.3 내지 0.7%, 강활 0.3 내지 0.7%, 형개 0.3 내지 0.7%, 방풍 0.3 내지 0.7%, 세신 0.3 내지 0.7%, 천오 0.3 내지 0.7%, 초오 0.3 내지 0.7%, 천궁 0.3 내지 0.7%, 하수오 0.3 내지 0.7%, 석웅황 0.1 내지 0.3%, 화피 1 내지 3%, 현삼 1 내지 3%, 당귀 1 내지 3% 중에서 하나 이상의 조성물을 더 포함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용 한방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용 한방조성물은, (a) 죽엽 3 내지 5%, 인삼 3 내지 5%, 감초 3 내지 5%, 석고 30 내지 35%, 맥문동 15 내지 25%, 경미 10 내지 20%, 반하 5 내지 15%를 포함하는 조성물에 일정 량의 물을 붓고 2시간 이상 가열하여 끓이는 단계와; (b) 상기 (a)단계에서 물이 증발하여 부족하면 중간 중간에 물을 보충하는 단계; 및 (c) 상기 (a) 및 (b)단계에 의해 다 끓인 조성물을 거즈로 짜서 추출액을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 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a)단계의 조성물은, 죽엽 4g, 인삼 4g, 감초 4g, 석고 32g, 맥문동 20g, 경미 14g, 반하 10g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a)단계의 조성물은, 생지황 1 내지 3%, 계지 0.5 내지 1.5%, 창출 0.5 내지 1.5%, 마황 0.3 내지 0.7%, 강활 0.3 내지 0.7%, 형개 0.3 내지 0.7%, 방풍 0.3 내지 0.7%, 세신 0.3 내지 0.7%, 천오 0.3 내지 0.7%, 초오 0.3 내지 0.7%, 천궁 0.3 내지 0.7%, 하수오 0.3 내지 0.7%, 석웅황 0.1 내지 0.3%, 화피 1 내지 3%, 현삼 1 내지 3%, 당귀 1 내지 3% 중에서 하나 이상의 조성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용 한방조성물은, 죽엽 3 내지 5%, 인삼 3 내지 5%, 감초 3 내지 5%, 석고 30 내지 35%, 맥문동 15 내지 25%, 경미 10 내지 20%, 반하 5 내지 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용 한방조성물은 죽엽 4g, 인삼 4g, 감초 4g, 석고 32g, 맥문동 20g, 경미 14g, 반하 10g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용 한방조성물은, 생지황 1 내지 3%, 계지 0.5 내지 1.5%, 창출 0.5 내지 1.5%, 마황 0.3 내지 0.7%, 강활 0.3 내지 0.7%, 형개 0.3 내지 0.7%, 방풍 0.3 내지 0.7%, 세신 0.3 내지 0.7%, 천오 0.3 내지 0.7%, 초오 0.3 내지 0.7%, 천궁 0.3 내지 0.7%, 하수오 0.3 내지 0.7%, 석웅황 0.1 내지 0.3%, 화피 1 내지 3%, 현삼 1 내지 3%, 당귀 1 내지 3% 중에서 하나 이상의 조성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근본적인 치유책이 대두 되지 않고 있으나, 심각한 질환인 아토피를 부작용이 거의 없이 한의학적으로 치료하기 위한 것으로서, 죽엽 4g, 인삼 4g, 감초 4g, 석고 32g, 맥문동 20g, 경미 14g, 반하 10g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아토피 치료용 한약조성물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제 1 실시 예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 예에 의한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용 한방조성물의 제조 방법에서는 죽엽, 인삼, 감초, 석고, 맥문동, 경미, 반하 등을 포함하여 제조한다.
즉,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 예에 의한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용 한방조성물의 제조 방법에서는 죽엽 3 내지 5%, 인삼 3 내지 5%, 감초 3 내지 5%, 석고 30 내지 35%, 맥문동 15 내지 25%, 경미 10 내지 20%, 반하 5 내지 15%를 포함하여 제조한다. 여기서, 죽엽 4g, 인삼 4g, 감초 4g, 석고 32g, 맥문동 20g, 경미 14g, 반하 10g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죽엽(竹葉)은 소담(消痰), 거열(去熱), 지갈(止渴), 이뇨(利尿), 안면(安眠) 작용이 있고, 소화촉진, 원기회복, 주독(酒毒), 수면(睡眠) 및 중풍(中風)에 효과가 있으며, 최근에는 항소염, 항궤양, 중금속 해독작용, 항고혈압 효능, 항당뇨 효능 등이 있음이 보고되고 있다. 본 발명의 한약조성물에서는 죽엽 3 내지 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바람직하게는 죽엽 4g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인삼(人蔘)은 깊은 산의 숲 속에서 자라며 약용식물로 재배한다. 높이 60cm이고 줄기는 해마다 1개가 곧게 자라며 그 끝에 3∼4개의 잎이 돌려난다. 잎은 잎자루가 길고 잎몸은 5개로 갈라져서 손바닥 모양 겹잎을 이룬다. 뿌리는 약용하며 그 형태가 사람 형상이므로 인삼이라 한다. 인삼은 예로부터 불로·장생·익기(益氣)·경신(輕身)의 명약으로 일컬어진다. 본 발명의 한약조성물에서는 인삼 3 내지 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바람직하게는 인삼 4g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감초(甘草)는 모든 약 성분을 중화하는 작용을 한다. 동의보감 등에서는 '성질은 평(平)하고, 맛이 달며, 독이 없다. 온갖 약의 독을 풀어 준다. 9가지 흙의 기운을 받아 72가지의 광물성 약재와 1,200가지의 초약(草藥) 등 모든 약을 조화시키는 효과가 있으므로 국로(國老)라고 한다. 5장 6부에 한열사기(寒熱邪氣)가 있는데 쓰며, 9규(竅)를 통하게 하고, 모든 혈맥을 잘 돌게 한다. 꺾을 때 가루가 나오기 때문에 분초(粉草)라고 한다[본초]. 감초는 족삼음경(足三陰徑)에 들어가며, 구우면 비위를 조화시키고, 생으로 쓰면 화(火)를 사(瀉)한다[탕액]. 토하거나, 속이 그득하거나, 술을 즐기는 사람은 오랫동안 먹거나 많이 먹는 것은 좋지 않다[정전]. 중국으로부터 들여다가 우리나라의 여러 지방에 심었으나, 잘 번식되지 않았다. 다만 함경북도에서 나는 것이 가장 좋았다[속방].'고 설명하고 있다. 본 발명의 한약조성물에서는 감초 3 내지 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바람직하게는 감초 4g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석고(石膏)는 단사정계(單斜晶系)의 광물로서, 화학성분은 CaSO4 ·2H2O이다. 능판상(菱板狀) 또는 주상 결정을이루며, 때로 국화 모양으로 집합하고, 화살의 오늬 모양의 쌍정(雙晶)을 이룬다. 이 밖에도 엽편상 ·섬유상 ·괴상(塊狀) ·치밀질 단괴상을 이루는 것도 많은데, 특히 섬유상의 병행집합체를 이룬 것을 섬유석고, 세립의 치밀질 집합체를 설화석고(雪花石膏)라고 한다. 쪼개짐은 사축면(斜軸面)에 완전하고, 쪼개짐조각은 휠 수 있다. 단구(斷口)는 섬유상이다. 굳기 2, 비중 2.2∼2.4이다. 주로 무색 또는 백색 ·회백색인데, 때로는 황색 ·적색, 드물게는 암회색도 있다. 투명 또는 반투명하며, 쪼개짐면은 진주광택이 나는데, 그 밖의 결정면은 유리광택이 있으며, 단구면이나 섬유석고에서는 견사(絹絲)광택이 난다. 열의 절연체이다. 석고는 그 분포가 넓으며, 옛날부터 알려진 광물이다. 암염(岩鹽) 등과 함께 대규모의 증발 침전형 광상으로서 산출되는 것도 있다. 또 흑광(黑鑛)광상 등의 층상(層狀) 금속광상에 수반되고, 화산의 분기공이나 황기공(黃氣孔) 부근에도 흔히 발견된다. 시멘트의 혼재(混材), 비료 ·백색 안료로 쓰이며 구워서 소석고로 하여 소재(塑材), 주물의 모형 제작 재료, 의료용 깁스 등에 사용된다. 또 무색투명한 것은 투석고(透石膏)라고 하여 질이 좋은 것은 광학(光學) 기재에 쓰인다. 본 발명의 한약조성물에서는 석고 30 내지 35%를 포함하여 이 루어지며, 바람직하게는 석고 32g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맥문동(麥門冬)은 뿌리가 광맥(鑛脈)과 비슷하기 때문에 맥문동이라고 한다. 문(문)자 대신 차조(문)자를 써서 써서 맥문동(麥驀冬)이라고도 하는데, 뿌리가 보리와 비슷하고 잎은 차조와 비슷하며 겨울에 얼어 죽지 않고 살아남기 때문이다. 구(求)라는 명칭은 잎이 부추를 닮았기 때문이며, 겨울을 잘 견딘다하여 인동(忍冬)이라는 이름이 생기기도 하였다. 뿌리를 음식 대신 먹을 수도 있기 때문에 여랑(餘粮)이라고도 하였다. 이 약은 약간 냄새가 나고 점착성이다. 맛은 달고 쓰며, 성질은 약간 차다. 맥문동은 진액을 보하는 대표적인 약으로 폐음 손상으로 인한 마른기침, 각혈, 가래, 해수에 쓰며, 위음 부족으로 인한 갈증, 소갈 및 변비에도 사용한다. 음혈 소상으로 가슴 답답하고 팔다리를 가만히 두지 못하는 증상과 불면증에 사용한다. 약리효과는 항산화작용, 혈류량촉진, 심장수축력증가, 진정, 면역증강, 혈당강하, 항균작용 등이 보고되었다. 본 발명의 한약조성물에서는 맥문동 15 내지 2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바람직하게는 맥문동 20g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경미(梗米)는 멥쌀로서, 본 발명의 한약조성물에서는 10 내지 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바람직하게는 경미 14g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반하(半夏)는 5월에 생산되기 때문에 대략 여름의 한중간이 된다는 뜻으로 붙여진 이름이다. 다른 이름으로 수전(守田)이 있는데 이는 강한 하기(下氣) 작용으로 단전(丹田)에 기를 모을 수 있도록 한다는 뜻이며 수옥(水玉)이라는 명칭은 모양 때문에 생겼다고 한다. 이 약은 냄새가 거의 없고 씹으면 약간 점액성이지 만 나중에는 몹시 아리며 맛은 맵고 성질은 따듯하며 독이 있다. 반하는 습담을 치료하므로 가래, 해수, 천식에 쓰이며 담으로 인한 두통, 어지럼증, 가슴답답증, 그득한 증상, 구토, 인후통, 등 부위에 난 종기, 유방염, 임신구토 등에 사용한다. 약리작용으로 거담, 진해, 구토진정, 규폐증예방, 항암작용 등이 보고되었다. 본 발명의 한약조성물에서는 반하 5 내지 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바람직하게는 맥문동 10g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제 2 실시 예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 예에 의한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용 한방조성물의 제조 방법에서는 제 1 실시 예에서 사용한 죽엽, 인삼, 감초, 석고, 맥문동, 경미, 반하 이외에, 옹종을 제거하는 작용을 하는 화피(樺皮), 부종을 제거하는 현삼(玄蔘), 피부종창을 제거하는 당귀(當歸)를 포함하는 한약조성물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더 포함시켜 만들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 예에 의한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용 한방조성물의 제조 방법에서는 죽엽 3 내지 5%, 인삼 3 내지 5%, 감초 3 내지 5%, 석고 30 내지 35%, 맥문동 15 내지 25%, 경미 10 내지 20%, 반하 5 내지 15%를 포함하며, 화피 1 내지 5%, 현삼 1 내지 5%, 당귀 1 내지 5%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여 제조한다. 여기서, 제 1 실시 예에서 사용한 한약조성물의 량은 앞에서와 마찬가지로, 죽엽 4g, 인삼 4g, 감초 4g, 석고 32g, 맥문동 20g, 경미 14g, 반하 10g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화피(樺皮)는 옹종을 제거하고, 두드러기를 치료하는 작용을 한다. 동의보감 등에서는 '성질은 평(平)하며, 맛은 쓰고, 독이 없다. 황달, 유옹, 폐풍창(肺風瘡)과 어린이 마마, 홍역을 낫게 한다. 지금 활을 장식하는 봇나무껍질이다. 나무는 산복숭아와 비슷하고 껍질에는 꽃무늬가 있다. 북쪽 지방에서 온 것이 좋다[본초].'고 설명하고 있다. 본 발명의 한약조성물에서는 화피 1 내지 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바람직하게는 화피 3g 내지 4g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현삼(玄蔘)은 부종 제거, 뼈아픈 것 제거 및 화를 내리는 작용을 한다. 동의보감 등에서는 '성질은 약간 차고, 맛은 쓰며, 짜고, 독이 없다. 열독과 유풍(游風)을 낫게 하고, 허로증(虛勞症)을 보하며, 골증(骨烝) 전시사기(傳尸邪氣)를 없애고, 종독을 삭인다. 영류와 나력을 석여 없애며, 신기(腎氣)를 보하고, 눈을 밝게 한다. 싹과 앞은 참깨(호마)와 비슷한데, 음력 7월에 청록색 꽃이 피고, 8월에 씨가 달리는데, 빛이 검다. 그의 뿌리는 뾰족하고 길다. 생것은 푸르스름하고, 마른 것은 자흑색이다. 새로 캔 것은 눅진눅진하며, 기름기가 있다. 음력 3월, 4월, 8월, 9월에 뿌리를 캐어 햇볕에 말리거나 또는 쪄서 햇볕에 말린다[본초]. 현삼은 매우 중요한 약으로써 모든 기를 통솔하여 위아래(上下)로 다니면서 시원하고, 깨끗하게 하여 흐리지 않게 한다. 그러므로 허한 가운데서 발동하는 기와 무근지화(無根之火)를 낫게 하는 데는 현삼이 제일 좋은 약이다[탕액]. 신(腎)이 상한 데는 반드시 써야 한다. 족소음신경의 주약이다. 술에 축여 쪄서 쓰는 것이 역시 좋다[입문]. 우리나라에는 다만 경상도에서 난다고 하는데 사실인지 아닌지 알 수 없다[속방].'라고 설명하고 있다. 본 발명의 한약조성물에서는 현삼 1 내지 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바람직하게는 현삼 3g 내지 4g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당귀(當歸)는 나쁜 피를 맑게 하고, 보혈 작용을 한다. 동의보감 등에서는 '성질은 따뜻하며, 맛은 달고, 매우며, 독이 없다. 모든 풍병(風病), 혈병(血餠), 허로(虛勞)를 낫게 하며, 궂은 피를 헤치고, 새 피를 생겨나게 한다. 징벽과 부인의 붕루(崩漏)와 임신 못하는 것에 주로 쓰며, 여러 가지 나쁜 창양(瘡瘍)과 쇠붙이에 다쳐서 어혈이 속에 뭉친 것을 낫게 한다. 이질로 배가 아픈 것을 멎게 하며 온학을 낫게 하고, 5장을 보(補)하며, 살이 살아나게 한다. 산과 들에서 자라는 데 심기도 한다. 음력 2월, 8월에 뿌리를 캐어 그늘에 말린다. 살이 많고, 여위지 않은 것이 제일 좋다. 또는 살이 많고, 눅신눅신하면서, 빳빳하게 마르지 않은 것이 좋다고 한다. 또는 말꼬리와 같은 것이 좋다고도 한다. 어혈(瘀血)을 헤치려 할 때는 대가리 쪽에서 단단한 것 한마디를 쓰고, 통증을 멎게 하거나 출혈을 멈추려고 할 때는 잔뿌리를 쓴다. 대가리를 쓰면 어혈을 헤치고 잔뿌리를 쓰면 출혈을 멈춘다. 만일 전체를 쓰면 한편으로는 피를 헤치고, 한편으로는 피를 멈추므로, 즉 피를 고르게 하는 것으로 된다. 수소음경에 들어가는데, 그것은 심(心)이 피를 주관하기 때문이다. 족태음경에도 들어가는데 그것은 비(脾)가 피를 통솔하기 때문이다. 족궐음경에도 또한 들어가는데 이것은 피를 저장하기 때문이다[탕액]. 기혈(氣血)이 혼란된 때에 먹으면 곧 안정된다. 그것을 각기 해당한 곳으로 가게 하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몸웃도리병을 낫게 하려면 술에 담갔다 쓰고, 겉에 병을 낫게 하려면 술로 씻어서 쓰며, 혈병에 쓸 때에는 술에 축여 쪄서, 담이 있을 때에는 생강즙에 축여 볶아서 쓴다[입문]. 술에 담가 쓰는 것이 좋다[동원].'고 설명하고 있 다. 본 발명의 한약조성물에서는 당귀 1 내지 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바람직하게는 당귀 3g 내지 4g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제 3 실시 예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 실시 예에 의한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용 한방조성물의 제조 방법에서는 제 1 실시 예에서 사용한 죽엽, 인삼, 감초, 석고, 맥문동, 경미, 반하를 포함하는 한약조성물 및/또는 제 2 실시 예에서 사용한 화피(樺皮), 현삼(玄蔘), 당귀(當歸)를 포함하는 한약조성물에서 생지황(生地黃), 계지(桂枝), 창출(蒼朮), 마황(麻黃), 강활(羌活), 형개(荊芥), 방풍(防風), 세신(細辛), 천오(川烏), 초오(草烏), 천궁(川芎), 하수오(何首烏), 석웅황(石雄黃) 등의 한약조성물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더 포함시켜 만들 수 있다.
상기 생지황(生地黃)은 습열(濕熱) 제거, 어혈 제거 및 뼈 통증 제거의 작용을 한다. 동의보감 등에서는 '성질은 차고, 맛이 달며(쓰다고도 한다), 독이 없다. 모든 열을 내리며, 뭉친 피를 헤치고, 어혈을 삭게 한다. 또한 월경을 잘 통하게 한다. 부인이 붕루증으로 피가 멎지 않는 것과 태동(胎動)으로 하혈하는 것과 코피, 피를 토하는 것 등에 쓴다. 어느 곳에나 심을 수 있는데, 음력 2월이나 8월에 뿌리를 캐어 그늘에 말린다. 물에 넣으면 가라앉고, 살이 찌고, 큰 것이 좋은 것이다. 일명 지수(地髓)라고도 하는데 누런 땅에 심은 것이 좋다. 『신농본초경[本經]에는 생으로 말린다는 말과 쪄서 말린다는 말은 하지 않았는데, 쪄서 말리면 그 성질이 따뜻하고, 생으로 말리면 그 성질이 평순해진다. 금방 캔 것을 물에 담가 뜨 는 것을 인황(人黃)이라 하며, 가라앉는 것을 지황(地黃)이라고 한다. 가라앉는 것은 효력이 좋아서 약으로 쓰며 절반쯤 가라앉는 것은 그 다음이며, 뜨는 것은 약으로 쓰지 않는다. 지황을 캘 때 구리나 쇠붙이로 만든 도구를 쓰지 않는 것이 좋다[본초]. 생지황은 혈을 생기게 하고, 혈의 열을 식히며, 수 태양과 수소 음경에 들어가며, 술에 담그면 약성이 위로 올라가고 겉으로 나간다[탕액].'고 설명하고 있다. 상기 생지황은 본 발명에 따른 한약재 조성물 총량에서 1% 내지 3%의 범위로 사용된다.
상기 계지(桂枝)는 팔과 어깨의 순환 기능 향상과 땀을 멈추게 하는 작용을 한다. 동의보감 등에서는 '지(枝)라는 것은 가는 가지이고, 굵은 줄기가 아니다. 대체로 가지에 붙은 껍질의 기운을 이용하는 것인데, 이것은 가벼워 뜨는 성질이 있어 발산(發散)하는 작용이 있기 때문이다. 『내경』에 "맵고 단것은 발산하므로 양에 속한다"고 하였는데 이것과 뜻이 맞는다. 족태양경에 들어가며, 혈분의 한사[血分寒邪]를 헤친다[본초]. 표(表)가 허하여 절로 나는 땀은 계지로 사기[邪]를 발산시켜야 한다. 그리하여 위기[衛]가 고르게 되면 표가 치밀해지므로 땀이 저절로 멎게 된다. 계지가 땀을 거두는 것은 아니다[단심]. 계지는 냄새와 맛이 다 경(輕)하기 때문에 올라가면 겉으로 발산시키는 작용을 한다[단심]. 중경은 계지로 발표(發表)시키고, 육계로 신(腎)을 보하였는데, 위로 뜨는 것은 윗부분에 작용하고, 아래에 가라앉는 것은 아랫부분에 작용한다는 자연적인 이치에 의거한 것이다[탕액].'고 설명하고 있다. 상기 계지는 본 발명에 따른 한약재 조성물 총량에서 0.5% 내지 1.5%의 범위로 사용된다.
상기 창출(蒼朮)은 습열(몸의 비대칭적인 열)을 제거하고 위를 편하게 해주는 작용을 한다. 창출은 삽주의 다른 이름이다. 동의보감 등에서는 '성질은 따뜻하며, 맛이 쓰고, 매우며, 독이 없다. 윗도리, 중간, 아랫도리의 습을 치료하며, 속을 시원하게 하고, 땀이 나게 하며, 고여 있는 담음(痰飮), 현벽, 기괴(氣塊), 산람장기 등을 헤치며, 풍, 한, 습으로 생긴 비증(痺證)과 곽란으로 토하고 설사하는 것이 멎지 않는 것을 낫게 하며, 수종과 창만(脹滿)을 없앤다. 삽주의 길이는 엄지손가락이나 새끼손가락만 하며, 살찌고 실한 것은 구슬을 꿴 것 같으며, 껍질의 빛은 갈색이고, 냄새와 맛이 몹시 맵다. 반드시 쌀 씻은 물에 하루 밤 담갔다가 다시 그 물을 갈아붙여 하루 동안 담가 두었다가 겉껍질을 벗기고 노랗게 볶아 써야 한다[본초]. 일명 산정(山精)이라고 하는데, 캐는 방법은 흰삽주와 같다[본초]. 족양명과 족태음경에 들어가며, 위(胃)를 든든하게 하고, 비(脾)를 편안하게 한다[입문]. 삽주는 웅장하여 올라가는 힘이 세고 습을 잘 없애며 비를 안정시킨다[역로].'고 설명하고 있다. 상기 창출은 본 발명에 따른 한약재 조성물 총량에서 0.5% 내지 1.5%의 범위로 사용된다.
상기 마황(麻黃)은 땀을 나게 하고, 신통(몸의 통증)을 제거하는 작용을 한다. 동의보감 등에서는 '성질은 따뜻하고(평(平) 하다고도 한다), 맛은 쓰며(달다고도 한다), 독이 없다. 중풍이나 상한으로 머리가 아픈 것과, 온학을 낫게 하며, 발표(發表)시켜 땀을 내며, 사열(邪熱)을 없앤다. 한열(寒熱)과 5장의 사기(邪氣)도 없애고, 땀구멍을 통하게 하며, 온역(溫疫)을 낫게 하고, 산람장기를 미리 막는다. 입추 시기에 줄기를 뜯어 그늘에 말려서 퍼런 것을 쓴다. 먼저 뿌리와 마디는 버린다. 뿌리와 마디는 땀을 멎게 하기 때문이다. 먼저 40g을 달이는데 끓으면 위에 뜬 거품을 걷어 버린다. 거품을 걷어 버리지 않고 쓰면 답답한 증이 생긴다[본초]. 마황은 중모(中牟) 지방에 나는데, 눈이 5자나 쌓인 곳이라도 마황이 있는 자리에는 눈이 쌓이지 못한다. 그것은 양기(陽氣)를 통하게 하고, 바깥 추위를 물리치기 때문이다[삼인]. 마황은 수태음경의 약이며, 족태양경에 들어가고, 수소음경과 양명경을 돌아간다. 태양경과 소음경에 땀을 내어 겉에 있는 한사(寒邪)를 없애고, 위기(衛氣)가 실한 것을 사(瀉)하여 영(榮) 속에 찬 기운을 없앤다[탕액]. 중국에 나는 것을 우리나라 여러 곳에 옮겨 심었는데 잘 번식되지 않아 다만 강원도와 경상도에만 있다[속방].'고 설명하고 있다. 상기 마황은 본 발명에 따른 한약재 조성물 총량에서 0.3% 내지 0.7%의 범위로 사용된다.
상기 강활(羌活)은 골절 치료, 몸의 저림 제거 및 모든 풍을 제거하는 작용을 한다. 달리 '강호리'라고도 한다. 동의보감 등에서는 '성질은 약간 따뜻하고, 맛이 쓰며, 맵고, 독이 없다. 주로 치료하는 것이 따두릅과 거의 같다[본초]. 강호리는 수족태양과 족궐음과 족소음의 표리(表裏)가 되는 경맥에 인경하는 약[引經之藥]이다. 혼란해진 것을 바로잡아 원기를 회복케 하는데, 주로 쓰는 약으로서 통하지 않는 것이 없고, 들어가지 못하는 곳도 없다. 그러므로 온몸의 뼈마디가 아픈 데는 이것이 아니면 치료하지 못한다[입문]. 강호리는 기운이 웅장하므로, 족태양경에 들어가고, 따두릅은 기운이 약하므로 족소음경에 들어간다. 이 약들은 다 같이 풍을 치료하는데 표리의 차이가 있을 뿐이다[탕액]. 따두름과 강호리는 다같이 우리나라 강원도에서만 난다[속방],'고 설명하고 있다. 상기 강활은 본 발명에 따 른 한약재 조성물 총량에서 0.3% 내지 0.7%의 범위로 사용된다.
상기 형개(荊芥)는 머리를 맑게 하고, 피부 종창을 제거하는 작용을 한다. 순형과의 일년초로서, 전체에 유모가 있고, 강렬한 향기가 있다. 줄기는 방형으로 곧게 서고, 위쪽은 많은 가지를 친다. 잎은 마주 나며, 엽병이 없거나, 짧은 엽병이 있고, 우상으로 심열하며, 열편은 3 내지 6개이고, 톱니가 없다. 꽃은 담자색 또는 엷은 담자홍색으로, 7 내지 8월에 피며, 윤산화서로서 각 가지의 끝에 정생하고, 작은 꽃은 윤상으로 밀집한다. 수술은 4개이나 2개는 유독히 길다. 전초를 형개라 한다. 약효는 거풍해표, 질혈, 진경약, 감기의 발열, 인후종통, 산후의 중풍, 대하증에 쓰인다. 초하면 지혈작용이 뚜렷하다고 알려져 있다. 상기 형개는 본 발명에 따른 한약재 조성물 총량에서 0.3% 내지 0.7%의 범위로 사용된다.
상기 방풍(防風)은 골절 치료, 몸의 저림 제거 및 모든 풍을 제거하는 작용을 한다. 동의보감 등에서는 '성질은 따뜻하며, 맛이 달고, 매우며, 독이 없다. 36가지 풍증을 치료하며, 5장을 좋게 하고, 맥풍(脈風)을 몰아내며, 어지럼증, 통풍(痛風), 눈에 피지고 눈물이 나는 것, 온몸의 뼈마디가 아프고 저린 것 등을 치료한다. 식은땀을 멈추고 정신을 안정시킨다. 산과 들에서 자라는데 어느 곳에나 다 있다. 음력 2월, 10월에 뿌리를 캐어 볕에 말린다. 뿌리가 실하면서 눅진눅진하고, 대가리 마디가 딴딴하면서 지렁이 대가리처럼 된 것이 좋다. 노두와 대가리가 두 가닥 진 것, 꼬리가 두 가닥 진 것들은 버린다. 대가리가 가닥 진 것을 쓰면 사람이 미치고, 꼬리가 두 가닥 진 것을 쓰면 고질병이 생기게 된다[본초]. 족양명, 족태음경에 들어가는 약이며, 족태양의 본경약이다. 풍을 치료하는 데 두루 쓴다. 몸 윗도리에 있는 풍사에는 노두를 버리고 쓰며, 몸 아랫도리에 있는 풍사(風邪)에는 잔뿔리를 버리고 쓴다[탕액]. 상초의 풍사를 없애는 데 아주 좋은 약이다[입문].'고 설명하고 있다. 상기 방풍은 본 발명에 따른 한약재 조성물 총량에서 0.3% 내지 0.7%의 범위로 사용된다.
상기 세신(細辛)은 관절 윤활 작용 및 두통 치료의 작용을 한다. 동의보감 등에서는 '성질은 따뜻하고, 맛이 몹시 매우며('쓰고 맵다'고도 한다), 독이 없다. 풍습으로 저리고 아픈 데 쓰며, 속을 따뜻하게 하고, 기를 내린다. 후비(喉痺)와 코가 막힌 것을 치료하며, 담기를 세게한다. 두풍(頭風)을 없애고, 눈을 밝게 하며, 이가 아픈 것을 멎게 하고, 담을 삭이며, 땀이 나게 한다. 산이나 들에서 자라는데, 뿌리는 아주 가늘고, 맛이 몹시 매우므로 이름을 '세신'이라고 한다. 음력 2월, 8월에 뿌리를 캐어 그늘에서 말린 다음 노두를 버리고 쓴다. 단종으로 가루 내어 쓰되, 2g을 넘지 말아야 한다. 만일 이 약을 많이 쓰면 숨이 답답하고 막혀서 통하지 않게 되어 죽을 수 있다. 비록 죽기는 하나, 아무런 상처도 없다[본초]. 소음경 약이다. 소음두통에 잘 듣는데, 따두릅을 사약으로 하여 쓴다. 족도리풀은 향기나 맛이 다 약하면서 완만하므로, 수소음경에 들어가며, 두면풍(頭面風)으로 아픈 것을 치료하는 데 없어서는 안 될 약이다[탕액].'고 설명하고 있다. 상기 세신은 본 발명에 따른 한약재 조성물 총량에서 0.3% 내지 0.7%의 범위로 사용된다.
상기 천오(川烏)는 열을 많이 내며, 뼈의 통증 및 사지한통(四肢寒痛) 치료 및 혹과 같은 덩어리를 파괴하는 작용을 한다. 자근(子根)이 비대하여 수염뿌리가 없으며 질은 단단하고 충실하며 속이 꽉찬 것이 좋다고 알려져 있다. 성대숙(性大 熟), 맛은 달고 시다고 알려져 있다. 유독(有毒)하며 회양구역(回陽救逆), 산한지통(散寒止痛)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대사기능의 회복, 신체사지관절(身體四肢關節)의 마비, 동통 등의 회복, 허약 체질자의 복통, 설사, 실정(失精) 등 내장 제기관의 이완에 따라 일어나는 증상의 부활 등에 흔히 이용된다고 알려져 있다. 상기 천오는 본 발명에 따른 한약재 조성물 총량에서 0.3% 내지 0.7%의 범위로 사용된다.
상기 초오(草烏)는 종양을 제거하고, 열을 내며, 저리고 아픈 것을 제거하는 작용을 한다. 달리 '바꽃'이라고도 한다. 동의보감 등에서는 '성질은 약간 따뜻하고, 맛은 쓰며, 달고, 독이 많다. 풍습증으로 마비되고, 아픈 것을 낫게 한다. 파상풍(破傷風)에 쓰면 땀이 난다. 산과 들의 일정한 곳에서 자란다. 형태는 노랑돌쩌귀(백부자)와 비슷한데 검다[입문]. 반드시 동변에 담갔다가 볶아 독을 빼야 한다[단심]. 바꽃은 검정콩(흑두)과 함께 삶되, 참대칼로 짜개 보아 속까지 다 검게 되도록 달여야 한다. 바꽃 40g에 검정콩 1홉을 기준으로 한다[득효]. 일명 '준오(准烏)'라고도 하는데, 생것을 먹으면 목 안이 뿌듯하게 된다[의감].'고 설명하고 있다. 상기 초오는 본 발명에 따른 한약재 조성물 총량에서 0.3% 내지 0.7%의 범위로 사용된다.
상기 천궁(川芎)은 두통 제거, 양혈(養血) 작용 및 울화 제거의 작용을 한다. 천궁은 '궁궁'이라고도 한다. 동의보감 등에서는 '성질은 따뜻하고, 맛이 매우며, 독이 없다. 모든 풍병, 기병, 노손(勞損), 혈병 등을 치료한다. 오래된 어혈을 헤치며, 피을 생겨나게 하고, 피를 토하는 것, 코피, 피오줌, 피똥 등을 멎게 한 다. 풍한사가 뇌에 들어가 머리가 아프고 눈물이 나는 것을 낫게 하며, 명치 밑과 옆구리가 냉으로 아픈 것을 치료한다. 어느 곳에나 다 심는다. 음력 3월, 9월에 뿌리를 캐어 볕에 말린다. 오직 죽은 것은 덩이져 무거우면서 속이 딴딴하고 참새골처럼 생겼다. 이것을 작뇌궁(雀腦芎)이라 하는데 제일 약효가 좋다[본초]. 수, 족궐음경, 소양경에 들어가는 본경약(本徑藥)이다. 혈허로 일체 두통을 치료하는 데 아주 좋은 약이다. 간경(肝經)의 풍사(風師)를 헤친다. 관궁(貫芎)은 소양경 두통이 심한 것을 낫게 한다. 또한 약 기운이 위로는 머리와 눈에 가고 아래로는 자궁에까지 간다. 두면풍을 치료하는 데 없어서는 안된다. 그러므로 정수리와 속골이 아픈 데는 반드시 궁궁이를 써야 한다[탕액]. 무궁(蕪芎)은 싹이 돋아나는 대가리가 적은 것인데, 약 힘이 위로 가므로 몰린 것을 잘 흩어지게 한다. 작뇌궁과 효력이 같다[단심]. 궁궁이 한 가지만 먹거나 오랫동안 먹으면 진기(眞氣)가 흩어지는데, 혹 갑자기 죽게도 한다. 그러므로 반드시 다른 약을 좌사약으로 써야 한다. 골증열이 나거나 땀이 많은 사람은 더욱 오랫동안 먹지 말아야 한다[본초]. 크게 덩어리가 지고 빛이 희며 기름기가 없는 것이 좋은 것이다[본초].'라고 설명하고 있다. 상기 천궁은 본 발명에 따른 한약재 조성물 총량에서 0.3% 내지 0.7%의 범위로 사용된다.
상기 하수오(何首烏)는 정기를 보충하고, 두발을 검게 하는 작용을 한다. 동의보감 등에서는 '강원도에서는 은조롱이라고 하고, 황해도에서는 새박뿌리라 하는데, 성질은 평(平)하고, 따뜻하며, 맛은 쓰고, 떫고('달다'고도 한다), 독이 없다. 나력, 옹종과 5가지 치질을 낫게 하며, 여러 해 된 허로로 여윈 것, 담벽, 풍허(風 虛)로 몸이 몹시 상한 것을 낫게 한다. 부인이 몸푼 뒤에 생긴 여러 가지 병과 적백대하를 멎게 한다. 혈기를 보하며, 힘줄과 뼈를 든든하게 하고, 정수(精髓)를 보충하며, 머리털을 검게 한다. 또 얼굴빛을 좋게 하고, 늙지 않게 하며, 오래 살게 한다. 원래 이름은 '야교등(夜交藤)'인데, 하수오(何首烏)라는 사람이 먹고 큰 효과를 본 데서 하수오라는 이름을 붙이게 되었다. 이 사람은 본래 몸이 약하였고, 늙어서는 아내도 자식들도 없었다. 하루는 취해서 밭에 누워 있었는데, 한 덩굴에 2 줄기가 따로난 풀의 잎과 줄기가 서너 번 서로 감겼다 풀렸다 하는 것이 보였다. 마음에 이상하게 생각되어 마침내 그 뿌리를 캐어 햇볕에 말려 짓찧은 다음 가루 내어 술에 타서 7일 동안 먹었더니 그리운 사람이 었었고, 백일이 지나서는 오랜 병들이 다 나았다. 10년 후에는 여러 명의 아들을 낳았고, 130살이나 살았다. 덩굴은 자줏빛이고, 꽃은 황백색이며, 잎은 마와 비슷한데, 광택은 없으며, 반드시 맞대서 난다. 뿌리가 주먹만하여 붉은빛, 흰빛의 2가지 종류가 있는데, 붉은 것은 수컷이고 흰 것은 암컷이다. 뿌리의 생김새가 아름다운 산처럼 생긴 것이 아주 좋은 것이다. 늦은 봄, 초가을에 날씨가 맑은 날에 암컷, 수컷을 다 캐어 참대칼이나 구리 칼로 겉껍질을 긁어 버리고 얇게 썰어 쪄서 햇볕에 말린다. 일명 교등(交藤), 야합(野合), 구진등(九眞藤)이라고도 하는데, 이 약을 다룰 때는 처음부터 마지막까지 쇠를 대지 말아야 한다. 파, 마늘, 무, 돼지피, 양의 피, 비늘 없는 생선을 먹지 말아야 한다. 법제하여 약을 쓸 때는 반드시 붉은빛이 나는 것과 흰빛이 나는 것을 합하여 먹어야 효과가 있다[본초]. 쌀 씻은 물에 하룻밤 담갔다가 조각나게 썰어서 햇볕에 말려 짓찧어 부스러뜨린다. 알약을 지으려면 검정콩(흑두) 달인 물 에 버무려 찐 다음 햇볕에 말려서 쓴다[입문].'고 설명하고 있다. 상기 하수오는 본 발명에 따른 한약재 조성물 총량에서 0.3% 내지 0.7%의 범위로 사용된다.
상기 석웅황(石雄黃)은 사독(蛇毒)을 치료하고, 혹을 치료하는 작용을 한다. 그냥 웅황이라고도 한다. 동의보감 등에서는 '성질은 평(平)하고, 차며, 맛은 달고, 쓰며, 독이 있다. 중악, 복통, 귀주를 낫게 하며 헛것에 들린 것, 나쁜 사기를 없앤다. 또 서루, 악창, 옹저, 치질, 궂은 살, 옴과 버짐, 익창을 낫게 하고, 콧속의 군살, 힘줄이 끊어졌거나, 뼈가 부서진 것을 낫게 하고, 온갖 벌레독을 없애며, 5가지 병기의 독과 박새뿌리독을 풀 뿐 아니라, 독사의 독을 잘 풀어 준다. 석웅황을 차고 다니면 헛것이 가까이 오지 못하며, 산 속으로 들어가면 호랑이도 숨어 버리며, 큰 물이나 독한 물건에도 상하지 않는다고 했다. 순순하여, 잡질이 섞이지 않고, 닭의 볏같이 붉으면서, 번쩍번쩍한 것이라야 쓸 수 있다. 또한 불에 태우면 근처의 벌레가 죽는 것이 진짜이다. 깨끗하고 투명한 것은 석웅황이고, 겉이 검은 것은 훈황(熏黃)이라 하는데, 헌데와 옴에 쓴다[본초]. 산의 양지쪽에서 캔 것은 석웅황이고, 음지쪽에서 캔 것은 자황(雌黃)이다. 그 빛이 닭의 볏처럼 붉고 투명한 것이 좋은 것이다. 보드랍게 가루 내어 수비하여 약에 넣어 쓴다[입문].'고 설명하고 있다. 상기 석웅황은 본 발명에 따른 한약재 조성물 총량에서 0.1% 내지 0.3%의 범위로 사용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실험방법 및 실험결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재료 및 실험동물
1. 실험동물
실험동물은 NC/Nga 생쥐(대한민국 소재 중앙실험(주)에서 구입하여 사용)를 실험에 사용하였다. NC/Nga 생쥐는 통상의 환경 하에서 피부염이 자연 발증하고, 병의 증상은 주령이 증가함에 따라 악화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또, 혈중 면역글로 불린 E(IgE) 농도의 증가도 확인되어, 병리학적으로도 사람의 아토피성 피부염과 닮아있다. 습윤 CD4 + 세포 및 활성화 비만세포(mast cell)에 양성반응이 확인되어 아토피성 피부염 모델로서 유용하다. 5 내지 6주령이 된 NC/Nga 생쥐의 등 부위를 제모하고, 24시간 방치한 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2. 시약 및 기기
실험에 사용한 시약인 1-클로로-2,4-디니트로벤젠(DNCB ; 1-chloro-2,4-dinitrobenzene)은 미합중국 소재 시그마(Sigma)의 제품을 구입하여 그대로 사용하였다.
실험방법
1. 시료의 조제
죽엽 4g, 인삼 4g, 감초 4g, 석고 32g, 맥문동 20g, 경미 14g, 반하 10g을 혼합하여 본 발명에 의한 아토피 치료용 한약조성물을 준비하고, 이를 80% 에탄올을 사용하여 추출하여 동결건조한 추출물들을 일정량의 증류수에 용해한 후 경구투여하는 것으로 실험하였다.
2. 실험군
(1) 아토피성 피부염 유발
5 내지 6주령이 된 NC/Nga 생쥐를 군(group) 당 10마리를 사용하여, 등 부위를 제모하고, 24시간 방치한 후, 1% DNCB 용액(용매=아세톤 3 + 올리브오일 1의 비율로 혼합한 것) 200㎕를 제모된 등 부위에 도포하고, 4일 후부터 1주일에 2 내지 3회씩 0.2% DNCB용액 150㎕을 4 내지 5주간 처리하였으며, 가피가 벗겨지고 긁는 행동이 심화되면 DNCB 처리를 중단하고, 평가를 실시하였다.
(2) 대조군과 투약군의 처리
대조군과 투약군을 각 10마리씩 구분하고, 대조군은 생리식염수를 매일 100㎕ 씩 1개월간 경구투여 하고, 투약군은 본 발명에 의한 한약조성물의 추출물을 1개월간 1%의 농도의 수용액으로 경구투여 하였다.
(3) 평가방법
피부상태의 육안관찰
1개월간의 경구투여 후, 제모된 부분의 피부 상태를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긁는 행동 측정
1개월간의 경구투여 후, 대조군과 투약군들에서 20분간 긁는 행위를 행한 횟수를 측정하여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효소-결합 면역분석법에 의한 면역글로불린 E의 발현량 측정
1개월간의 경구투여 후, 대조군과 투약군들의 생쥐들의 심장채혈로부터 획득 한 혈액으로부터 혈청을 분리하여 통상의 샌드위치 효소-결합 면역분석법에 의해 면역글로불린 E의 발현량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효소-결합 면역분석법에 의한 인터루킨-4 및 인터루킨-5의 발현량 측정
1개월간의 경구투여 후, 대조군과 투약군들의 생쥐들의 비장으로부터 비장 림프구(splenocyte)를 분리하여 T-세포를 활성화시킨 상등액으로 Th 2 세포가 발현하는 인터루킨-4 및 인터루킨-5의 발현량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3(인터루킨-4) 및 도 4(인터루킨-5)에 나타내었다.
효소-결합 면역분석법에 의한 γ-인터페론의 발현량 측정
1개월간의 경구투여 후, 대조군과 투약군들의 생쥐들의 비장으로부터 비장 림프구(splenocyte)를 분리하여 T-세포를 활성화시킨 상등액으로 Th 1 세포가 발현하는 감마-인터페론의 발현량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3. 결론
DNCB를 이용하여 NC/Nga 생쥐에 접촉성 피부염을 균일하게 유발시킨 후, 약물처리를 하였을 때, 외관상 투약군이 대조군에 비해 증상이 호전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사이토카인의 발현량에 있어서는 영향이 거의 없는 것으로 관찰되었으나, 면역 글로불린 E의 발현량에서는,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대조군에 비해 투약군에 서 27% 정도 감소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또한, 스크래칭 횟수는,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대조군에 비해 47% 정도 감소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이러한 결과들에 비추어 볼 때, 본 발명에 따른 한약조성물이 아토피성 피부염의 증상을 완화하고, 치료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 세포는 그 생산, 방출하는 사이토카인의 종류에 의해 Th1과 Th2의 2종류로 분류된다. Th1 세포는 인터루킨-2, 감마-인터페론 등을 생산하는 세포성 면역에 관여한다. Th2 세포는 인터루킨-4, 5, 10을 생산하는 B세포의 항체생산을 도와 체액성 면역을 유도한다. NC 생쥐의 경우, 인터루킨-4 양성 세포로서 CD+ T 세포 및 활성화 비만세포가 동정되고, 인터루킨-5에 관해서도 같은 양상을 나타낸다. 이에 비해, 감마-인터페론 양성 세포는 극히 적은 세포가 약양성을 나타낸다.
도 2 내지 도 5의 도표들에 나타난 결과는 면역글로불린 E 수치는 투약군이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 포괄적으로 아토피 증상에 효과를 보이고 있으나, 이 투여기간 동안에는 일반적인 아토피 생쥐의 면역학적 특성을 그대로 보여 인터루킨-4,5의 생성은 항진되고, 감마-인터페론의 생성은 저하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근본적인 치유책이 대두 되지 않고 있으나, 심각한 질환인 아토피를 부작용이 거의 없이 한의학적으로 치료하기 위한 것으로서, 옹종을 제거하는 작용을 하는 화피와 부종을 제거하는 현삼, 피부종창을 제거하는 당귀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아토피 치료용 한약조성물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 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용 한방조성물에 대한 실험 결과로서,
도 1은 1개월간의 경구투여 후, 대조군과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 치료용 한약조성물을 투약한 투약군들에서 20분간 긁는 행위를 행한 횟수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2는 1개월간의 경구투여 후, 대조군과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 치료용 한약조성물을 투약한 투약군들에서 샌드위치 효소-결합 면역분석법에 의해 면역글로불린 E의 발현량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3은 1개월간의 경구투여 후, 대조군과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 치료용 한약조성물을 투약한 투약군들의 생쥐들의 비장으로부터 비장 림프구(splenocyte)를 분리하여 T-세포를 활성화시킨 상등액으로 Th 2 세포가 발현하는 인터루킨-4의 발현량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4는 1개월간의 경구투여 후, 대조군과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 치료용 한약조성물을 투약한 투약군들의 생쥐들의 비장으로부터 비장 림프구(splenocyte)를 분리하여 T-세포를 활성화시킨 상등액으로 Th 2 세포가 발현하는 인터루킨-5의 발현량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5는 1개월간의 경구투여 후, 대조군과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 치료용 한약조성물을 투약한 투약군들의 생쥐들의 비장으로부터 비장 림프구(splenocyte)를 분리하여 T-세포를 활성화시킨 상등액으로 Th 1 세포가 발현하는 감마-인터페론의 발현량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Claims (6)

  1.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용 한방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a) 죽엽 3 내지 5%, 인삼 3 내지 5%, 감초 3 내지 5%, 석고 30 내지 35%, 맥문동 15 내지 25%, 경미 10 내지 20%, 반하 5 내지 15%를 포함하는 조성물에 일정 량의 물을 붓고 2시간 이상 가열하여 끓이는 단계와;
    (b) 상기 (a)단계에서 물이 증발하여 부족하면 중간 중간에 물을 보충하는 단계; 및
    (c) 상기 (a) 및 (b)단계에 의해 다 끓인 조성물을 거즈로 짜서 추출액을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용 한방조성물의 제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의 조성물은:
    죽엽 4g, 인삼 4g, 감초 4g, 석고 32g, 맥문동 20g, 경미 14g, 반하 10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용 한방조성물의 제조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의 조성물은:
    생지황 1 내지 3%, 계지 0.5 내지 1.5%, 창출 0.5 내지 1.5%, 마황 0.3 내지 0.7%, 강활 0.3 내지 0.7%, 형개 0.3 내지 0.7%, 방풍 0.3 내지 0.7%, 세신 0.3 내지 0.7%, 천오 0.3 내지 0.7%, 초오 0.3 내지 0.7%, 천궁 0.3 내지 0.7%, 하수오 0.3 내지 0.7%, 석웅황 0.1 내지 0.3%, 화피 1 내지 3%, 현삼 1 내지 3%, 당귀 1 내지 3% 중에서 하나 이상의 조성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용 한방조성물의 제조 방법.
  4.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용 한방조성물에 있어서,
    죽엽 3 내지 5%, 인삼 3 내지 5%, 감초 3 내지 5%, 석고 30 내지 35%, 맥문동 15 내지 25%, 경미 10 내지 20%, 반하 5 내지 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용 한방조성물.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용 한방조성물은:
    죽엽 4g, 인삼 4g, 감초 4g, 석고 32g, 맥문동 20g, 경미 14g, 반하 10g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용 한방조성물.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용 한방조성물은:
    생지황 1 내지 3%, 계지 0.5 내지 1.5%, 창출 0.5 내지 1.5%, 마황 0.3 내지 0.7%, 강활 0.3 내지 0.7%, 형개 0.3 내지 0.7%, 방풍 0.3 내지 0.7%, 세신 0.3 내지 0.7%, 천오 0.3 내지 0.7%, 초오 0.3 내지 0.7%, 천궁 0.3 내지 0.7%, 하수오 0.3 내지 0.7%, 석웅황 0.1 내지 0.3%, 화피 1 내지 3%, 현삼 1 내지 3%, 당귀 1 내지 3% 중에서 하나 이상의 조성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용 한방조성물.
KR1020070072787A 2007-07-20 2007-07-20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용 복합생약추출물의 제조 방법 KR2009000948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2787A KR20090009480A (ko) 2007-07-20 2007-07-20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용 복합생약추출물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2787A KR20090009480A (ko) 2007-07-20 2007-07-20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용 복합생약추출물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9480A true KR20090009480A (ko) 2009-01-23

Family

ID=40489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2787A KR20090009480A (ko) 2007-07-20 2007-07-20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용 복합생약추출물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9480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43920A1 (ko) * 2010-09-28 2012-04-05 한국 한의학 연구원 생약 추출물 또는 이의 유산균 발효물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02895335A (zh) * 2011-07-29 2013-01-30 苏州知微堂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天雄散整合型新剂型制备技术及其生产方法
CN102920832A (zh) * 2012-10-17 2013-02-13 韩茹 一种用于预防和治疗由外伤引起创伤的消毒膏剂
CN104547422A (zh) * 2014-12-31 2015-04-29 曾子维 一种中药组合物的新用途
CN105288286A (zh) * 2015-11-16 2016-02-03 田虬 防治猪痘的中药组合物
CN105362442A (zh) * 2015-11-25 2016-03-02 重庆市洪欣食用菌有限公司 治疗肺炎的中药组合物及其草药汤剂的制备方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43920A1 (ko) * 2010-09-28 2012-04-05 한국 한의학 연구원 생약 추출물 또는 이의 유산균 발효물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9295704B2 (en) 2010-09-28 2016-03-29 Korea Institute Of Oriental Medicine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atopic dermatitis including galenical extract or lactobacillus fermentation thereof
CN102895335A (zh) * 2011-07-29 2013-01-30 苏州知微堂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天雄散整合型新剂型制备技术及其生产方法
CN102920832A (zh) * 2012-10-17 2013-02-13 韩茹 一种用于预防和治疗由外伤引起创伤的消毒膏剂
CN104547422A (zh) * 2014-12-31 2015-04-29 曾子维 一种中药组合物的新用途
CN105288286A (zh) * 2015-11-16 2016-02-03 田虬 防治猪痘的中药组合物
CN105362442A (zh) * 2015-11-25 2016-03-02 重庆市洪欣食用菌有限公司 治疗肺炎的中药组合物及其草药汤剂的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2048B1 (ko) 아토피 치료용 한약조성물
JP6077554B2 (ja) 薬用花を活用した包み発酵法およびこれを活用した皮膚外用剤組成物
Leporatti et al. Ethnopharmacobotanical remarks on the province of Chieti town (Abruzzo, Central Italy)
Smith Ethnobotanical field notes from the Northern Territory, Australia
KR100712658B1 (ko) 암치료용 한약조성물
KR20130086682A (ko) 골장회복 하수오와 홍삼녹용과 오가피등 100가지한약재 추출물 드링크제 및제조 방법
Hutchens A Handbook of Native American Herbs: The Pocket Guide to 125 Medicinal Plants and Their Uses
Kaaiakamanu et al. Hawaiian herbs of medicinal value
KR20090009480A (ko)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용 복합생약추출물의 제조 방법
CN106942133A (zh) 一种斗鸡的养殖方法
Phillips The Book of Herbs: An Illustrated AZ of the World's Most Popular Culinary and Medicinal Plants
KR20040092496A (ko) 건 해태에 한방 약초를 첨가한 한방 약초 건 해태 식품 및가공 제조방법
CN103656195B (zh) 治疗肾虚的中药组合物及制备方法
KR100682046B1 (ko) 루푸스 치료용 한약 추출물
KR101236366B1 (ko) 천연산 조성물을 이용한 입욕제와 손목베개
CN106421194A (zh) 一种筋骨调理液及其制备方法
KR20160147424A (ko) 와송 추출물이 포함된 효소조성물
Foster et al. Herbal emissaries: bringing Chinese herbs to the West: a guide to gardening, herbal wisdom, and well-being
CN101249186A (zh) 一种兼治外伤、风湿痛、牙痛的中药油剂及其生产方法
WO2015003307A1 (zh) 一种促进生发中药制剂及制备方法
CN107029181A (zh) 用于结节性甲状腺肿的中药组合物、制备方法和应用
KR101297918B1 (ko) 비만치료 조성물 및 상기 비만치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aaiakamanu Hawaiian herbs of medicinal value: Found among the mountains and elsewhere in the Hawaiian Islands, and known to the Hawaiians to possess curative and palliative properties most effective in removing physical ailments
KR20100111510A (ko) 아토피 피부 치유 개선제
KR20030005127A (ko) 지구자와 오리나무를 주제로한 건강식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