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6682A - 골장회복 하수오와 홍삼녹용과 오가피등 100가지한약재 추출물 드링크제 및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골장회복 하수오와 홍삼녹용과 오가피등 100가지한약재 추출물 드링크제 및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6682A
KR20130086682A KR1020120007518A KR20120007518A KR20130086682A KR 20130086682 A KR20130086682 A KR 20130086682A KR 1020120007518 A KR1020120007518 A KR 1020120007518A KR 20120007518 A KR20120007518 A KR 20120007518A KR 20130086682 A KR20130086682 A KR 201300866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root
ginseng
frui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75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수
Original Assignee
한국스포츠생명공학협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스포츠생명공학협회 filed Critical 한국스포츠생명공학협회
Priority to KR10201200075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86682A/ko
Publication of KR201300866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6682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0Clarifying or fining of non-alcoholic beverages; Removing unwanted matter
    • A23L2/72Clarifying or fining of non-alcoholic beverages; Removing unwanted matter by filtr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6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bone mass, e.g. osteoporosis preven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08Fungi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23V2250/2124Ginse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50Concentrating, enriching or enhancing in functional facto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골장회복과 하수오및 가시오가피 및 홍삼과 녹용들을 포함하여 100종의 각종 한약재들을 추출한 추출물을 포함하여 면역력강화 자양강장 및 육체 피로회복에 효과가 뛰어나고, 맛, 향취 및 색택 등의 기호성이 우수한 하수오및 가시오가피 및 홍삼과 녹용 추출물을 포함하는 드링크제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인삼 380 내지 420중량부,녹각 180 내지 200중량부, 당귀 180 내지 200중량부,녹용 180 내지 200중량부,가시연꽃 씨앗(검인) 20 내지 40중량부, 갈대뿌리(노근) 20 내지 40중량부, 감초 180 내지 200중량부, 개다래나무 열매(목천료) 20 내지 40중량부, 겨우살이(곡기생) 20 내지 40중량부, 고량강 20 내지 40중량부, 고수열매 (호유자) 20 내지 40중량부, 구기자 180 내지 200중량부, 구절초 180 내지 200중량부, 국화(감국) 20 내지 40중량부, 귤나무 열매껍질(진피) 20 내지 40중량부, 금불초(선복화) 20 내지 40중량부, 금앵자 20 내지 40중량부, 금은화(인동) 20 내지 40중량부, 금은화 20 내지 40중량부, 꿀풀(하고초) 20 내지 40중량부, 대회향(팔각회향) 20 내지 40중량부, 도라지(길경) 180 내지 200중량부, 독활 20 내지 40중량부, 동과씨(동과자) 20 내지 40중량부, 두충 20 내지 40중량부, 띠(모근) 20 내지 40중량부, 만삼(당삼) 20 내지 40중량부, 맥문동 180 내지 200중량부, 몰약 20 내지 40중량부, 무우 씨(내복자) 20 내지 40중량부, 민들레(포공영) 20 내지 40중량부, 박하 20 내지 40중량부, 배초향(곽향) 20 내지 40중량부, 백강잠 20 내지 40중량부, 백리향(사향초) 20 내지 40중량부, 백수오 180 내지 200중량부, 백합 20 내지 40중량부, 복령 20 내지 40중량부, 복분자 180 내지 200중량부, 비파엽 20 내지 40중량부, 뽕나무가지(영지버섯) 180 내지 200중량부, 사철쑥(인진호) 20 내지 40중량부, 사프란 20 내지 40중량부, 산사 20 내지 40중량부, 산수유 180 내지 200중량부, 산약 20 내지 40중량부, 삼씨(마인) 20 내지 40중량부, 삽주뿌리(백출) 20 내지 40중량부, 생강(건강) 90 내지 110중량부, 생지황 90 내지 110중량부, 석창포 90 내지110중량부, 쇠무릅(우슬) 90 내지 110중량부, 숙지황 180 내지 200중량부, 아출(봉출) 90 내지 110중량부, 알로에(노회) 180 내지 200중량부, 어성초 90 내지110중량부, 엄나무껍질(해동피) 90 내지 110중량부, 엉겅퀴(대계) 90 내지 110중량, 연 씨(연자육) 90 내지 110중량, 오가피 180 내지 200중량부, 오미자 180 내지 200중량부, 옥수수수염(옥촉서예) 90 내지 110중량부, 왕느릅나무 껍질(유백피) 90 내지 110중량부, 용안육 180 내지 200중량부, 원지 90 내지 110중량부, 육계 가지(계지) 90 내지 110중량부, 육계(계피) 90 내지 110중량부, 육두구 90 내지 110중량부, 은행엽 90 내지 110중량부, 익모초 180 내지 200중량부, 익지 90 내지 110중량부, 작약 180 내지 200중량부, 전칠삼(삼칠) 90 내지 110중량부, 정향 90 내지 110중량부, 죽력 90 내지 110중량부, 쥐오줌풀(길초근) 90 내지 110중량부, 지각 90 내지 110중량부, 지치(자근) 90 내지 110중량부, 지황 180내지 200중량부, 찔레나무 열매(영실) 90 내지 110중량부, 차즈기씨(자소자) 90 내지 110중량부, 창출 90 내지 110중량부, 천궁 90 내지 110중량부, 천마 90 내지 110중량부, 천문동 90 내지 110중량부, 청피 90 내지 110중량부, 측백엽 90 내지 110중량부, 치자 90 내지 110중량부, 칡뿌리(갈근) 180 내지200 중량부, 침향 90 내지 110중량부, 택란 90 내지 110중량부, 필발 90 내지 110중량부, 하수오 180 내지 200중량부, 해당화(매괴화) 90 내지 110중량부, 형개 90 내지 110중량부, 호로파 90 내지 110중량부, 황금 90 내지 110중량부, 황기 180 내지 200중량부, 회향 90 내지 110중량부, 회화나무 열매(괴각) 90 내지 110중량부,순환식 무압력으로 맥반석 중탕기를 이용하는 방법과 진공농축기로 약을 달이게 되면 서서히 끓게되어 용출과 대류현상이 활발히 이루어져 역하고 독한 냄새는 수증기와 함께 배출이 이루어지고 몸에 이로운 향과원소의 점액은 강제 냉각시스템에 의하여 재투입되게 됩니다. 열수 추출물들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골장회복 하수오와 홍삼녹용과 오가피등 100가지한약재 추출물 드링크제 및제조 방법{Goljanghoebok sewage and 100 kinds of herbal extract Ginseng Antler andohgapideung deuringkeuje how mitjejo}
[0001] 본 발명은 인체에 무해한 식용 100가지 한약재로만 만든 식품용으로 특히 녹각,하수오, 홍삼과 녹용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용 100 가지 한약재 드링크제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인삼(홍삼)과 녹용들을 포 함 하여 100종의 각종 한약재들을 추출한 추출물을 포함하여 골 장 회복 (骨 臟 回復)과 자양강장 및 육체 피로회복에 효과가 뛰어나고, 맛과 특수한 영양의 보급에 바탕을 둔 향취 및 색택 등의 기호성이 우수한 식용 가능한 100가지 한약재 하수오와 홍삼과 녹용 추출물을 포함하는 드링크제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0002]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
[0003] 국민 보건을 위해 식약청에서 식용가능한 인체에 무해한 100 가지 한약재를 포함한 하수오와 홍삼과 녹용은 두말할 나위 없고, 인체에 무해하고 독소가 없는 식용 한약재를 우리나라 전통적인 보양, 강정에 효과가 뛰어난 약재로서 널리 사용되어 왔다.이를 바탕으로 인체에 부작용이 없고 주변에서도 얼마든지 한약재를 구할 수 있는 재료들이다.
[0004] 식용가능한 100 가지 한약재 인삼 380 내지 420중량부,녹각 180 내지 200중량부, 당귀 180 내지 200중량부,녹용 180 내지 200중량부,가시연꽃 씨앗(검인) 20 내지 40중량부, 갈대뿌리(노근) 20 내지 40중량부, 감초 180 내지 200중량부, 개다래나무 열매(목천료) 20 내지 40중량부, 겨우살이(곡기생) 20 내지 40중량부, 고량강 20 내지 40중량부, 고수열매 (호유자) 20 내지 40중량부,구기자 180 내지 200중량부, 구절초 180 내지 200중량부, 국화(감국) 20 내지 40중량부, 귤나무 열매껍질(진피) 20 내지 40중량부, 금불초(선복화) 20 내지 40중량부, 금앵자 20 내지 40중량부, 금은화(인동) 20 내지 40중량부, 금은화 20 내지 40중량부, 꿀풀(하고초) 20 내지 40중량부, 대회향(팔각회향) 20 내지 40중량부, 도라지(길경) 180 내지 200중량부, 독활 20 내지 40중량부, 동과씨(동과자) 20 내지 40중량부, 두충 20 내지 40중량부, 띠(모근) 20 내지 40중량부, 만삼(당삼) 20 내지 40중량부, 맥문동 180 내지 200중량부, 몰약 20 내지 40중량부, 무우 씨(내복자) 20 내지 40중량부, 민들레(포공영) 20 내지 40중량부, 박하 20 내지 40중량부, 배초향(곽향) 20 내지 40중량부, 백강잠 20 내지 40중량부, 백리향(사향초) 20 내지 40중량부, 백수오 180 내지 200중량부, 백합 20 내지 40중량부, 복령 20 내지 40중량부, 복분자 180 내지 200중량부, 비파엽 20 내지 40중량부, 뽕나무가지(영지버섯) 180 내지 200중량부, 사철쑥(인진호) 20 내지 40중량부, 사프란 20 내지 40중량부, 산사 20 내지 40중량부, 산수유 180 내지 200중량부, 산약 20 내지 40중량부, 삼씨(마인) 20 내지 40중량부, 삽주뿌리(백출) 20 내지 40중량부, 생강(건강) 90 내지 110중량부, 생지황 90 내지 110중량부, 석창포 90 내지110중량부, 쇠무릅(우슬) 90 내지 110중량부, 숙지황 180 내지 200중량부, 아출(봉출) 90 내지 110중량부, 알로에(노회) 180 내지 200중량부, 어성초 90 내지110중량부, 엄나무껍질(해동피) 90 내지 110중량부, 엉겅퀴(대계) 90 내지 110중량, 연 씨(연자육) 90 내지 110중량, 오가피 180 내지 200중량부, 오미자 180 내지 200중량부, 옥수수수염(옥촉서예) 90 내지 110중량부, 왕느릅나무 껍질(유백피) 90 내지 110중량부, 용안육 180 내지 200중량부, 원지 90 내지 110중량부, 육계 가지(계지) 90 내지 110중량부, 육계(계피) 90 내지 110중량부, 육두구 90 내지 110중량부, 은행엽 90 내지 110중량부, 익모초 180 내지 200중량부, 익지 90 내지 110중량부, 작약 180 내지 200중량부, 전칠삼(삼칠) 90 내지 110중량부, 정향 90 내지 110중량부, 죽력 90 내지 110중량부, 쥐오줌풀(길초근) 90 내지 110중량부, 지각 90 내지 110중량부, 지치(자근) 90 내지 110중량부, 지황 180내지 200중량부, 찔레나무 열매(영실) 90 내지 110중량부, 차즈기씨(자소자) 90 내지 110중량부, 창출 90 내지 110중량부, 천궁 90 내지 110중량부, 천마 90 내지 110중량부, 천문동 90 내지 110중량부, 청피 90 내지 110중량부, 측백엽 90 내지 110중량부, 치자 90 내지 110중량부, 칡뿌리(갈근) 180 내지200 중량부, 침향 90 내지 110중량부, 택란 90 내지 110중량부, 필발 90 내지 110중량부, 하수오 180 내지 200중량부, 해당화(매괴화) 90 내지 110중량부, 형개 90 내지 110중량부, 호로파 90 내지 110중량부, 황금 90 내지 110중량부, 황기 180 내지 200중량부, 회향 90 내지 110중량부, 회화나무 열매(괴각) 90 내지 110중량부,를 포함하여 홍삼(홍삼세미 포함),녹용은 물론이고,하수오와 가시오가피, 보제,골장회복, 기허, 사지냉증, 양허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예로부터 식용가능한 100 가지 한약재를 포함하여 홍삼은 골장회복,면역력 강화, 자양강장 식품으로 유명하다. 인삼(두릅나무과(―科 Araliaceae)) 에 속하는 다년 생초,녹용을 잘 건조시켜 만들어진 일반 수삼과 홍삼은 지금은 많은 분들이 찾는 국민 건강식품 중 하나로 자리하고 있다.그중에서도 골 장 회 복과 면역력을 강화하는 100가지 한약재가 특성이다.
[0005] 식용가능한 100 가지 한약재 중 하수오는 중국에서 들어온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오랫동안 재배되고 있는 덩굴성 약용식물이다. 키는 3~4m에 이르며 뿌리는 옆으로 길게 뻗어 종종 덩이뿌리를 형성한다. 심장형의 잎은 길이가 약 3~6㎝, 너비가 2.5~4.5㎝ 정도로 어긋나며, 잎자루와 턱잎[托葉]이 있지만 가장자리에 톱니가 없다. 꽃은 8~9월에 원추(圓錐)꽃차례를 이루며 핀다. 꽃잎은 없고 꽃받침은 5장이다. 열매는 길이가 2.5㎜ 정도로 세모진 난형이고 윤기가 난다.한국에는 지리산에 나도하수오(P. cilinervis)가 있는데 잎이 크고 열매가 날개 없이 세모진 난형으로 꽃덮이[花被]에 싸여 있어 하수오와 다르다. 덩이뿌리는 강장제·강정제·통경제·양혈제·진해제로 쓰고 감기·토혈·신경쇠약·관절염 치료에 쓰인다.인삼은 4500 내지 5000 여년 전에 인삼이 처음으로 약용으로 사용되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키가 50~60㎝이다. 짧고 두툼한 뿌리줄기(머리부분[頭部] 또는 뇌) 위쪽에서 줄기가 곧게 나오며, 아래쪽에서 두툼하나 갈라지지 않는 원뿌리(몸부분[主根])가 나오는데 원뿌리 끝, 즉 곁뿌리(다리부분[支根])는 몇 갈래로 나누어져 있다. 잎은 5장의 잔잎이 손바닥 모양으로 배열된 겹잎으로 뿌리줄기에서 나온 줄기에 달리는데, 1년생은 1장이나 해마다 1장씩 늘어 수확기가 되는 5~6년이 지나면 5~6장이 달린다. 싹이 나온 지 3년이 지나 연한 녹색의 꽃이 4~5월쯤 줄기 맨 위쪽에 만들어진 산형(傘形)꽃차례로 무리지어 핀다. 꽃받침잎, 꽃잎 및 수술은 각각 5개이며, 암술머리는 2갈래로 갈라져 있다. 열매는 붉게 무리지어 익는다. 광동인삼, 서양인삼·아메리카인삼·양삼·포삼·화기삼 등으로 불리는 미국인삼(Panax quinquefolium), 일본의죽절인삼(P.japonica), 중국의 삼칠인삼(P. notoginseng)도 두릅나무과에 속하지만 이들은 우리가 말하는 인삼과는 다르다. 인삼은 한국과 중국이 원산지로 추정된다. 한국에서는 처음에는 야생의 산삼을 이용했다. 이시진(李時珍)의 〈본초강목 本草綱目〉에 14세기말부터 개성 부근에서 인삼을 재배한 기록이 있는 것으로 보아 개성 부근의 토질이 인삼재배에 적당한 것으로 추정되는데, 이 당시에도 이미 인삼재배가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전라남도 동북지방에서는 조선시대 숙종 때 산삼의 씨를 채취하여 재배하기 시작했다고 전해진다. 이후 헌종초에 개성의 보부상 최문(崔文)이 다른 지방의 인삼재배를 관찰하여 개성의 풍토에 맞는 재배법을 고안했다. 한국의 인삼은 품질이 좋아 세계적으로 알려져 있으며 특산품으로 수출량이 증가함에 따라 재배 및 생산량도 증가하고 있다. 주로 경기도와 충청남도에 집중 분포되어 재배되는데, 경기도의 강화·김포·파주·고양·여주·부천·용인·광주, 충청남도의 금산·부여·연천·풍기·서산, 충청북도의 괴산·덕산·음성·청원·보은·제천·단양, 전라북도의 무주·완주·진완 등이다. 중국, 일본, 미국, 러시아 연방 등지에서도 재배하고 있다.인삼은 가을에 씨를 뿌려 약 6년이 지나야 수확하는데 보통 씨를 뿌려 4~5년이 지난 식물에서 7월 하순쯤 열매가 붉게 익었을 때 채취한다. 채취한 씨를 가는 모래와 섞어 적당한 수분과 온도를 유지해 약 90일 동안 후숙(後熟)시킨다. 썩은 잎으로 된 부엽토·쌀겨·깻묵·닭똥·석회질소 및 소석회를 섞어서 만든 약 토를 먼저 흙에 덮은 다음 후 숙 시킨 씨를 뿌리는데, 이런 방법을 양식법이라고 한다. 씨를 뿌린 다음에는 동서방향으로 이랑을 만들어 북쪽은 높고 남쪽은 낮게 해갈이 를 만들어준다. 씨를 뿌린 후 1년이 지난 10~11월쯤에는 뿌리의 길이가 15㎝ 이상 되므로 본밭에 옮겨 심는다. 이때 잔 뿌리들은 잘라준다. 4~5년 자라도 뿌리의 발육이 불충분하여 각 부위의 균형이 고르지 못하다. 6년생이 되면 모양이 충실해지고 균형이 잡히는데, 뿌리 하나의 무게는 80g 정도이고 몸 부분은 길이가 7㎝, 지름이 3㎝ 정도 된다. 7년 이상 자라면 뿌리의 균형이 없어지고 뿌리껍질도 딱딱해져 상품의 가치가 떨어진다. 인삼의 나이는 머리 부분에 남아 있는 해마다 나온 줄기의 흔적으로 알 수 있는데, 한국 인삼은 이 부위가 매우 두툼하다.보통 6년생을 수확하는 것이 이상적이나 4~5년생 또는 7~8년생을 수확하기도 한다. 수확 시기는 9월이 알맞으나 보통 8월 중순에서 12월 중순까지 수확하며, 특히 홍삼(紅蔘)은 9월초 백로(白露)가 지나서 수확해야 빛깔과 품질이 좋아진다. 갓 수확한 인삼을 수삼(水蔘)이라고 하며, 수삼을 물에 씻어 햇볕에 말린 것을 백삼(白蔘), 80~90℃의 온도에서 2~4시간 동안 말린 것을 홍삼이라고 한다. 백삼 원료는 수확하기 전에 관할 인삼경작조합에 신고한 뒤 1개월 이내에 수확하며, 홍삼 원료는 6년생을 가을에 수납 일정에 따라 반드시 관계 공무원의 입회하에 수확하고 수납장에서 품질 등급 검사를 받아 수납한다.중국인들은 인삼 뿌리를 만병통치약으로 생각했으나 실제로는 병의 치료제보다는 예방제로 써왔다. 약리학적으로 볼 때, 인삼은 생리적 장애가 아주 적은 무해한 물질로 특이한 효능은 없으나 병리적인 상황과는 상관없이 정상적인 활동을 보강해준다. 인삼은 정신장애, 학습, 기억 및 감각 기능의 개선에 효능이 있다. 인삼은 부신(副腎)과는 상관없이 뇌에서 부신피질자극호르몬(ACTH)의 활성을 증가시키는 어떤 화학 물질을 갖고 있기 때문에 약리작용이 일어나는 것으로 추정되는데, 정신 각성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이후 영약,선약, 불로초 등으로 불리우며, 그 효험이 중국에까지 전해지게 되었다. 경작지에서 수확한 후 가공처리하지않은 인삼을 수삼이라고 하며, 생삼 이라고도 한다. 참고로, 증숙하지 않고 그대로 햇볕에 말리기만 한 인삼을 백삼이라고 한다. 수삼은 인삼의 고유 약효가 그대로 보존되어 있다는 장점은 있지만, 수분이 많아(70% 이상) 저장하기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수삼을 증숙 또는 기타 방법으로 익혀서 만든 것을 홍삼이라고 하며, 수삼을 장기간 저장할 목적으로 만들어진 것이다. 증삼, 건조 등의 과정을 거쳐 수분함량이 14% 이하가 되도록 가공하는데 제조 과정 중 다갈색의 색깔을 띄게 되며 매우 단단한 형태로 가공되어 원형이 장기간 유지된다. 홍삼의 효능으로는 간기능을 강화하며 독감백신 효과를 높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인삼은 아미노산,비타민, 유기산, 탄수화물, 각종 광물질을 포함하고 있어 강장작용, 갈증해소, 면역기능 강화, 혈압, 당뇨, 피로회복 등 각종 질병을 예방하고 치료하는 데 뛰어난 효과를 가진 약초로 알려져 있다. 인삼에 대한 한 연구는 백삼이든지 홍삼이든지 불문하고 암 발병확률을 줄여준다고 주장하고 있다. 효과는 홍삼이 더 높다고 한다.현재 의학계에서 실험을 통해 알려진 홍삼의 효능은 숙취제거, 노화방지, 항피로 및 항스트레스 효과, 혈액순환개선, 면역기능 개선, 골다공증 예방, 빈혈치료, 남성불임치료 효과, 고혈압 및 당뇨병 개선 등이 있다. 인삼의 약효에 대해서 “동의보감”에 따르면, “오장을 보호하고, 정신을 안정시키며, 눈을 밝게 하고, 오래 복용하면 몸이 가벼워지고 오래 살 수 있다. 또한, 허손을 보하며 곽란으로 구토와 딸꾹질하는 증세를 그치게 하며폐병으로 고름을 토하는 증세와 담을 삭히는 데 쓴다”고 명시되어 있다. “동의보감”의 저자인 허준은 실제로 병을 치료할 때 인삼을 상당 부분 처방했다는 기록이 남아 있다. 후한 때의 의서 “상한론”에 처음으로 인삼의구체적인 처방이 21방(총 113방)이 나오고 있다. 대한민국에서 오늘날에도 흔히 사용되고 있는 한방처방서인“방약합편”에 올라 있는 467방의 처방이 상중하의 3통 분류로 나누어져 있고, 상통처방은 “보 제(補劑)”, 중 통 처방은 “화제(和劑)”, 하통처방은 “공제(功劑)”이며, 인삼이 배합되어 있는 132종의 처방의 약 94%가 상통과 중통에 들어 있음으로 보아, 인삼은 보약 또는 강장제로 사용되는 것이지 특정 질병에 대한 치료약으로 사용되는 것이 아님을 알 수 있다. 한방에서 인정되는 인삼의 약효를 요약하면, 강장, 강심, 건위보정, 진정약으로 널리 상용되고, 위장기능 쇠약에 의한 신진대사기능의 저하에 진흥약으로 사용되며, 병약자의 위부정체감,소화불량, 구토, 흉통, 식욕부진 등에도 응용된다. 인삼 약효의 주성분이라고 현재까지 알려져 있는 사포닌 배당체 물질이 바로 항피로작용, 작업능력 증진작용, 성선의 발육촉진작용, 혈당치 강하작용을 한다는 것이증명되었다. 특히 주목할 만한 사실은 인삼의 기본적 약리작용을 ‘적응소효과’로 보는 학설이 유력하다는 점이다. 적응소효과는 ‘생체가 가지고 있는 비특이적인 저항력을 증대시켜 줌으로써 병적인 상태를 정상화시켜주는 작용’을 말한다. 인삼을 만병통치약이라고 부르는 이유가 이러한 때문이다. 특히 부신피질호르몬의 하나인 글루코코르티코이드의 분비를 촉진 시키 며, 각종 스트레스에 대한 부신피질 기능의 강화에 유효한 것이 그와 같은 정상화 작용의 뒷 받침이 되는 것으로 보인다. 또, 대뇌피질을 자극하여 콜린 작동성을 증강하여 혈압강하, 호흡촉진, 실험적 과혈당의억제, 인슐린 작용 증강, 적혈구 수 및 헤모글로빈의 증가, 소화관운동 항진 등의 작용이 있음이 알려지고 있다. 그밖에 생체단백질 및 DNA 합성촉진작용, 항암작용 등이 있음이 연구되기 시작함으로써 장생불로약 으로서의 인삼의 신비가 점차 과학화되는추세에 있다. 식약청에서 인정한 효능으로 피로회복, 면역력증진, 혈소판 응집억제기능들이 있다. 관련 논문 및 연구결과 특허 등으로 알려진 효능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특히 가시오가피는 학명은 아칸토파낙스(acanthopanax). 아칸토는 가시나무', 파낙스는 '만병을 치료한다'는 뜻이다. 오가피는 인삼과 같은 두릅나무과에 속하는 낙엽활엽관목으로, 오갈피라고도 하며 우리나라와 중국, 러시아에서도 생산된다. 동의보감이나 본초강목에 의하면 오가피 뿌리, 줄기 및 가지의 껍질 등을 장기복용하면 몸을 가볍게 한다하여 오래 전부터 사용해왔으며, '제2의 인삼'으로 불린다.
여러 오가피나무중에서 가장 유효성분이 많은것으로 밝혀진 것이 '가시오가피'이다. 가시오가피는 오대산 지리산 등과 만주 시베리아 홋카이도 등에 자생하고 바늘모양의 가시가 촘촘하게 붙어있는 반면 오가피는 한국 전역에 분포하고 독수리부리 모양의 가시가 드문드문 박혀있다. 구소련에서 가시오가피에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져 그 효과를 국제 심포지움에서 발표하기도 했는데, 가시오가피는 생체기관의 전반적인 기능을 증대시켜 주는 촉진작용을 하며 생체기관의 환경적응 내지 방어력을 기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오가피 뿌리와 줄기에는 인삼과 비슷한 효과가 있고, 주요 성분은 트리테르페노이드계 배당체로 7종류가 밝혀졌고 에레오테로시드 A ∼ G로 명명되었다. 기타 생리활성 성분은 스테롤, 쿠마린(혈압강하, 진정작용), 시린진(항피로작용),흥분작용), 세사민(기침 멎음), 하이페린(관상동맥 확장) 등이다. 중추신경계통 흥분작용, 강장작용, 유기체의 비특이적 저항성을 높이는 작용, 힘줄과 뼈를 튼튼하게 하는 작용 등이 있는데, 다리를 쓰지 못할 때,팔 다리가 오그라든 때 쓰면 효과가 좋다. 풍습을 없애고 [기]를 돋우며 뼈와 힘줄을 강하게 하며 허약성 부종이나 각종 마비증상의 치료와 생식기능 쇠약에 따른 각종 증상을 치료한다.
[0006] 심혈관계 및 기혈 순환효과 : 혈액이 원활히 흐를 수 있도록 도와줘 혈관이 막히는 것을 막아주는 역할 동맥경화나 혈전증 예방역할
[0007] 항암작용효과 : 신비한 인삼의 효능 원기를 돋워 피로를 회복시킨다 심신의 기운을 돋우어 허약한 체질을 개선 시킨다. 질병으로 체력이 쇠약해졌을 때나 일시적인 허탈 상태에 빠졌을 때 인삼을 먹으면 효과를 볼 수 있다. 또한 피로 회복을 돕고 체력을 증진시킨다. 노약자, 큰 병을 앓거나 수술을 하고 난 뒤 기력이 떨어진 사람, 과로에 시달리는 직장인과 수험생에게 권할 만하다. 혈액 순환을 좋게 하고 빈혈을 예방한다 혈액의 생성과 순환을 원활하게 하여 폐와 비장의 기능을 돕는다. 적혈구 생성을 촉진해 빈혈을 예방하고, 빈혈로 인한 신진대사 이상을 개선 시킨다. 특히 암 환자의 빈혈 회복을 도우며 류머티스·결핵·노인성 빈혈에 효과가 탁월하다. 지혈 효과도 있다. 혈압을 조절하고 심장 쇠약을 치료한다 혈압조절 효능이 있어 저혈압과 고혈압에 효과가 있다. 하지만 중증 고혈압 환자는 주의해야 한다. 또한 심장 쇠약, 심근의 영양 부족, 관상동맥 질환, 협심증 등 심혈관 계통의 질병에 효과가 있다. 심장성 쇼크나 일시적인 빈사 상태 등의 구급 처방에 활용되기도 한다. 갈증을 없애고 당뇨병을 치료한다 비장 기능 강화와 당뇨병 치료에 효과가 있다. 인슐린 분비를 촉진해 혈당치를 떨어뜨리고, 체액을 보충해 당뇨로 인한 갈증을 해소 시킨다. 합성 당뇨병 치료약과 같이 지나치게 혈당치를 떨어뜨리는 위험이 없기 때문에 안심하고 먹을 수 있다. 위를 튼튼히 하고 설사를 멎게 한다 위와 장이 냉한 경우 식욕을 돋우고 소화가 잘 되도록 돕는다. 위산이 부족하거나 과다한 만성 위염환자의 경우 증상이 개선되고 식욕이 좋아지며, 통증이 줄어드는 효과도 있다. 위암을 예방, 치료하고 위암 수술을 받은 환자가 먹으면 면역 기능이 강화된다. 또한 인삼은 성질이 따뜻하여 설사를 멈추게 하는 효능도 있다.
토종 인삼과 중국삼 구분법 중국삼은 효능이 고려삼에 비해 떨어질 뿐 아니라 농약잔류성분에 대한 검증이 없어 건강에 이롭지 않다. 그런데 최근 저장성이 높은 홍삼이나 백삼 중에 중국삼이 국산 토종삼으로 둔갑해 시중에 나돌고 있다. 토종삼과 중국삼을 구별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일까.고려인삼은 동체가 비교적 길고 표피에 세로주름이 거의 없는 반면 중국삼은 동체가 비교적 짧고 뭉툭해 육안으로 어느 정도 구분이 가능하다. 토종은 고유의 향이 강하고 흙냄새가 약한 편이다. 특히 홍삼은 노두가 굵고 짧으며 동체가 비교적 길지만 중국 홍삼은 노두가 가늘고 줄기쳐 나간 지근이 발달 되어 있다. 또한 중국삼의 노두는 약간만 힘을 줘도 쉽게 부러진다. “오장 튼튼히 하고 원기 돋워줘요”간을 보호하고 스트레스를 해소한다 간 기능을 좋게 하여 급성 전염성 간염 환자가 만성 간염으로 진행되는 것을 막는다. 부분 절제한 간의 재생을 돕고, 간의 콜레스테롤 대사를 좋게 하며, 알코올의 체내 대사와 배설을 촉진한다. 또한 심장의 기능이 떨어져 생기는 정신불안을 없애는 등 스트레스를 해소 시키는 작용을 한다. 눈이 맑아지고 뇌 기능이 좋아진다 눈이 맑아지고 집중력, 기억력, 분별력 등 학습 기능을 향상시키는 등 뇌 기능을 좋게 한다. 또한 생체의 활동 능력을 높이고 진정시키는 효과가 있어 신경쇠약에서 오는 가슴 두근거림과 건망증, 현기증, 두통 등을 치료한다. 피부가 고와지고 종기가 낫는다 비장과 위장의 소화기계통과 폐의 기운을 북돋움으로써 피부 활성을 촉진, 거친 피부를 부드럽고 탄력 있게 하여 노화를 지연한다. 또한 항균작용이 있기 때문에 감염에 대한 저항력을 높여 피부병과 종기 등을 없앤다. 특히 여드름, 기미, 무좀 등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 암세포 성장을 억제한다 암세포의 증식을 억제하고, 면역 기능을 회복시키는 효과가 있다. 인삼 추출물을 항암제와 병용하면 항암제의 효과가 높아지고, 수술 후 회복이 빠르다. 항암제의 부작용을 줄이는 효과도 있다.
남성 불임증과 부인병을 고친다 성호르몬 분비를 촉진시키고 정자의 수를 늘리고 활동을 활발하게 하는 성분이 있어 불임증 치료에 쓰인다. 자궁을 튼튼하게 하고, 산전후에 복용하면 기와 혈이 보충되어 부인병이 개선된다.호르몬 보충은 노화의3현상(건조, 처짐, 주름)을 개선 할 수있다.골장 면역 관리는 피부 젊음을 회복하는 호르몬 보충요법 이다.
[0008] 골 장 회 복과 숙취해소 효과 : 알코올이 우리 몸에서 빨리 분해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홍삼은 술과 함께 또는 술을 먹기전에 복용하시면, 술만 드시는 것보다는 다음날 숙취가 쉽게 가실 수 있다.스트레스 및 건망증 개선 : 스트레스를 풀어주는 효과를 하는 것이 홍삼이 하는
[0009] 역할 중 하나. 홍삼은 스트레스에 저항하는 호르몬 분비가 원활히 발생되기 때문이며, 그래서 스트레스로 인해 생기는 건망증 개선에도 좋다
[0010] 면역력 강화 노화방지 : 이미 진행된 노화 세포도 새로운 세포로 변화시켜 주는 놀라운 효과를 한다고 한다.
[0011] 뼈와 장기 이상과 골다공증 예방 : 사포닌이라는 성분이 풍부하게 함유된 홍삼은 많은 성인분들에게 일어나는 골다공증을 예방해준다고 알려져 있다. 그리고 이미 약해질 대로 약해져 골절 또한 강화시켜주는 것이 홍삼 효능 중 하나라고 한다. 이는 사포닌 성분이 뼈를 더욱 강도 있게 해주기 때문이라고 한다.
[0012] 고혈압 및 당뇨병 및 성인병 예방 : 홍삼에는 고혈압과 당뇨병을 예방해주는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홍삼은 혈압이 높을 때는 혈압을 낮춰주고 혈압이 낮을 때는 정상치수가 되도록 해줄 뿐만 아니라 혈당량을 조절하여 당뇨병개선에도 좋다고 한다.
[0013] 갱년기 증상 개선효과 : 홍삼 효능에는 갱년기가 개선되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홍삼을 가지고 연구해 본 결과, 홍삼을 한달여 간 갱년기를 앓고 계신 성인분들에게 드시게 했더니 82%가량이 갱년기 상태가 개선되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고 한다. 또한 홍삼은 여성 혈류량을 높여줘 불면증이나 우울증을 개선하는데 탁월한 효과가 있다고한다.
[0014] 만성빈혈예방 : 빈혈환자분 들에게 홍삼을 드시게 했을 경우, 난치성 및 저색소성 빈혈을 개선시켜 주는 효과가 있다고 한다. 이뿐만 아니라 홍삼에는 결핵성, 류마티스성, 노인성 빈혈 개선에도 도움을 준다고 한다.
[0015] 녹용 또한 보약제로서 널리 알려진 것이다. 녹용은 수컷 사슴의 뿔로 봄에 새로 돋아나 굳기 전에 자른 것을말한다. 녹용은 약성이 따뜻하고 맛은 달고 시며 독이 없으니 몸이 허약하고 여위는데, 팔다리와 허리의 통증이나 무력감, 남자 성기의 허냉(虛冷), 교접설정(交接泄精), 여인의 붕중누혈(崩中漏血), 적백대하(赤白帶下)등의 증세를 치료하고 태(胎)를 편하게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나열하면, 원기허약을 방지하고 원기를 회복하고; 빈혈에 효과가 있으며,조혈기능을 하고; 근육, 골격 약화를 예방하고 강화하고; 간기능을 개선, 보호하고 간질환에 효과가 있고; 신체 면역기능을 강화하여 감기 등을 예방하고; 어린이 성장발육을촉진하고; 저혈압 및 동맥경화에 효과가 있고; 정신력을 강화해주고, 항스트레스를 개선하고; 산전, 산후의 빈혈 개선에 효과가 있고; 자궁출혈, 하혈예방, 불임증에 효과가 있고; 요통, 관절통을 개선하고; 조루증, 몽정을 개선하고; 골다공증을 억제하고; 신경쇠약, 심계항진에 효과가 있고; 골수를 보호하고 혈액을 증강시키고; 냉,대하에 효과가 있고; 피부종기와 소양에 효과가 있고; 만성피로회복에 효과가 있고; 생식선을 강화하여 강장,성욕을 항진시키는 효과가 있고; 위장운동을 촉진하고, 식욕을 증진시키고; 백혈병, 혈액암 치료에 효과가 있고; 위산과다로 인한 위궤양 억제작용이 있고; 유즙의 부족과 급성유선염에 효과가 있고, 요슬무력(허리와 무릎이 힘이 없는 증상)에 효과가 있고; 경기, 간질증상을개선시키고; 당뇨치료에 효과가 있고; 그리고 배뇨를정상으로 유도하고 혈료를 개선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위의 약효에서 알 수 있듯이 한의학에서 최고급 보약재로 처방되고 있는 녹용은 정(精), 기(氣), 혈(血)에 관여해서 가물가물한 장작불에 기름을 부슨격 으로 효력을 낼 수 있다. 그러나 필요하지 않은 곳에 사용하면 덤덤하니 별로 효력을 느끼기가 어렵다고 알려져 있다. 녹용의 효능에 있어서 여러 의서에서도 기록되어 있듯이 인체의 저항력을 증강시키고 지능발달에도도움을 주며 소아발육, 태아에게도 안태(安胎)효과를 보이는 작용을 가지고 있다. 녹용은 앓고 난 뒤, 신경계통, 저혈압, 정신적 및 육체적 피로, 성기능장애, 유뇨증, 근무력증 심근쇄약, 빈혈증, 자반병을 비롯한 출혈성질병, 냉증 등에 사용될 정도로 다양한 약효를 가지고 있다. 그 외에 귀가 멍하고 눈이 침침한 기력쇠약, 신허골약(腎虛骨弱)으로 얼굴이 붓고 쑤실 때, 임신 중 하혈이 멎지 않거나 일반하혈, 폐병, 폐기침, 기관지염, 기관지천식증, 식은땀, 조루증, 아뇨증 등 정력부족, 당뇨병으로 체중이 급격히 감소할 때 등에 사용한다. 그리고 중년기가 지나서 성기능을 높이고 노화를 막으며 피로를 없애고 입맛을 돋우며 상처와 궤양을 빨리 아물게 하고 골절의 유합을 바르게 한다.
[0016] 그러나, 이러한 하수오나 가시오가피 및 홍삼이나 녹용은 거의 대부분 단방으로 또는 다른 한약재들과 함께 약재로 처방되어 복용되는정도로 활용될 뿐이며, 일부 홍삼음료가 알려져 있기는 하나, 하수오나 가시오가피 및 홍삼과 녹용을 함께 포함하여 복용이 간편하고,특히 골 장 회복 과 자양강장 및 육체 피로회복에 효과가 뛰어나고, 맛, 향취 및 색택 등의 기호성이 우수한 하수오나 가시오가피 및 홍삼과 녹용 추출물을 포함하는 드링크제로는 거의 개발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0017]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본 발명의 목적은 골장회복을 중심으로 하수오와 가시오가피 및 홍삼과 녹용들을 포함하여 100종의 각종 한약재들을 추출해 인체에 무해한 식품을 만드는데 있다.
[0018] 추출물을 포함하여 골장회복과 면역력강화 및 자양강장 및 신진대사를 촉진하여 육체 피로회복에 효과가 뛰어나고, 맛, 향취 및 색택 등의 기호성이 우수한 한약재 100종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드링크제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 하는데 있다.
[0019] [과제의 해결 수단]
[0020] 본 발명에 따른 골장회복과 하수오및 가시오가피 및 홍삼과 녹용 추출물을 포함하는 드링크제는, 인삼 380 내지 420중량부,녹각 180 내지 200중량부, 당귀 180 내지 200중량부,녹용 180 내지 200중량부,가시연꽃 씨앗(검인) 20 내지 40중량부, 갈대뿌리(노근) 20 내지 40중량부, 감초 180 내지 200중량부, 개다래나무 열매(목천료) 20 내지 40중량부, 겨우살이(곡기생) 20 내지 40중량부, 고량강 20 내지 40중량부, 고수열매 (호유자) 20 내지 40중량부, 구기자 180 내지 200중량부, 구절초 180 내지 200중량부, 국화(감국) 20 내지 40중량부, 귤나무 열매껍질(진피) 20 내지 40중량부, 금불초(선복화) 20 내지 4중량부, 금앵자 20 내지 40중량부, 금은화(인동) 20 내지 40중량부, 금은화 20 내지 40중량부, 꿀풀(하고초) 20 내지 40중량부, 대회향(팔각회향) 20 내지 40중량부, 도라지(길경) 180 내지 200중량부, 독활 20 내지 40중량부, 동과씨(동과자) 20 내지 40중량부, 두충 20 내지 40중량부, 띠(모근) 20 내지 40중량부, 만삼(당삼) 20 내지 40중량부, 맥문동 180 내지 200중량부, 몰약 20 내지 40중량부, 무우 씨(내복자) 20 내지 40중량부, 민들레(포공영) 20 내지 40중량부, 박하 20 내지 40중량부,배초향(곽향) 20 내지 40중량부, 백강잠 20 내지 40중량부, 백리향(사향초) 20 내지 40중량부, 백수오 180 내지 200중량부, 백합 20 내지 40중량부, 복령 20 내지 4중량부, 복분자 180 내지 200중량부, 비파엽 20 내지 40중량부, 뽕나무가지(영지버섯) 180 내지 200중량부, 사철쑥(인진호) 20 내지 40중량부, 사프란 20 내지 40중량부, 산사 20 내지 40중량부, 산수유 180 내지 200중량부, 산약 20 내지 40중량부, 삼씨(마인) 20 내지 40중량부, 삽주뿌리(백출) 20 내지 40중량부, 생강(건강) 90 내지110중량부, 생지황 90 내지 110중량부, 석창포 90 내지110중량부, 쇠무릅(우슬) 90 내지 110중량부, 숙지황 180 내지 200중량부, 아출(봉출) 90 내지 110중량부, 알로에(노회) 180 내지 200중량부, 어성초 90 내지110중량부, 엄나무껍질(해동피) 90 내지 110중량부, 엉겅퀴(대계) 90 내지 110중량, 연 씨(연자육) 90 내지 110중량, 오가피 180 내지 200중량부, 오미자 180 내지 200중량부, 옥수수수염(옥촉서예) 90 내지 110중량부, 왕느릅나무 껍질(유백피) 90 내지 110중량부, 용안육 180 내지 200중량부, 원지 90 내지 110중량부, 육계 가지(계지) 90 내지 110중량부, 육계(계피) 90 내지 110중량부, 육두구 90 내지 110중량부, 은행엽 90 내지 110중량부, 익모초 180 내지 200중량부, 익지 90 내지 110중량부, 작약 180 내지 200중량부, 전칠삼(삼칠) 90 내지 110중량부, 정향 90 내지 110중량부, 죽력 90 내지 110중량부, 쥐오줌풀(길초근) 90 내지 110중량부, 지각 90 내지 110중량부, 지치(자근) 90 내지 110중량부, 지황 180내지 200중량부, 찔레나무 열매(영실) 90 내지 110중량부, 차즈기씨(자소자) 90 내지 110중량부, 창출 90 내지 110중량부, 천궁 90 내지 110중량부, 천마 90 내지 110중량부, 천문동 90 내지 110중량부, 청피 90 내지 110중량부, 측백엽 90 내지 110중량부, 치자 90 내지 110중량부, 칡뿌리(갈근) 180 내지200 중량부, 침향 90 내지 110중량부, 택란 90 내지 110중량부, 필발 90 내지 110중량부, 하수오 180 내지 200중량부, 해당화(매괴화) 90 내지 110중량부, 형개 90 내지 110중량부, 호로파 90 내지 110중량부, 황금 90 내지 110중량부, 황기 180 내지 200중량부, 회향 90 내지 110중량부, 회화나무 열매(괴각) 90 내지 110중량부의 열수추출물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0021] 본 발명에 따른 골장회복과 하수오 및 가시오가피 및 홍삼과 녹용 추출물을 포함하는 드링크제의 제조방법은, (1) 인삼 380 내지 420중량부,녹각 180 내지 200중량부, 당귀 180 내지 200중량부,녹용 180 내지 200중량부,가시연꽃 씨앗(검인) 20 내지 40중량부, 갈대뿌리(노근) 20 내지 40중량부, 감초 180 내지 200중량부, 개다래나무 열매(목천료) 20 내지 40중량부, 겨우살이(곡기생) 20 내지 40중량부, 고량강 20 내지 40중량부, 고수열매 (호유자) 20 내지 40중량부, 구기자 180 내지 200중량부, 구절초 180 내지 200중량부, 국화(감국) 20 내지 40중량부, 귤나무 열매껍질(진피) 20 내지 40중량부, 금불초(선복화) 20 내지 40중량부, 금앵자 20 내지 40중량부, 금은화(인동) 20 내지 40중량부, 금은화 20 내지 40중량부, 꿀풀(하고초) 20 내지 40중량부, 대회향(팔각회향) 20 내지 40중량부, 도라지(길경) 180 내지 200중량부, 독활 20 내지 40중량부, 동과씨(동과자) 20 내지 40중량부, 두충 20 내지 40중량부, 띠(모근) 20 내지 40중량부, 만삼(당삼) 20 내지 40중량부, 맥문동 180 내지 200중량부, 몰약 20 내지 40중량부, 무우 씨(내복자) 20 내지 40중량부, 민들레(포공영) 20 내지 40중량부, 박하 20 내지 40중량부, 배초향(곽향) 20 내지 40중량부, 백강잠 20 내지 40중량부, 백리향(사향초) 20 내지 40중량부, 백수오 180 내지 200중량부, 백합 20 내지 40중량부, 복령 20 내지 40중량부, 복분자 180 내지 200중량부, 비파엽 20 내지 40중량부, 뽕나무가지(영지버섯) 180 내지 200중량부, 사철쑥(인진호) 20 내지 40중량부, 사프란 20 내지 40중량부, 산사 20 내지 40중량부, 산수유 180 내지 200중량부, 산약 20 내지 40중량부, 삼씨(마인) 20 내지 40중량부, 삽주뿌리(백출) 20 내지 40중량부, 생강(건강) 90 내지 110중량부, 생지황 90 내지 110중량부, 석창포 90 내지110중량부, 쇠무릅(우슬) 90 내지 110중량부, 숙지황 180 내지 200중량부, 아출(봉출) 90 내지 110중량부, 알로에(노회) 180 내지 200중량부, 어성초 90 내지110중량부, 엄나무껍질(해동피) 90 내지 110중량부, 엉겅퀴(대계) 90 내지 110중량, 연 씨(연자육) 90 내지 110중량, 오가피 180 내지 200중량부, 오미자 180 내지 200중량부, 옥수수수염(옥촉서예) 90 내지 110중량부, 왕느릅나무 껍질(유백피) 90 내지 110중량부, 용안육 180 내지 200중량부, 원지 90 내지 110중량부, 육계 가지(계지) 90 내지 110중량부, 육계(계피) 90 내지 110중량부, 육두구 90 내지 110중량부, 은행엽 90 내지 110중량부, 익모초 180 내지 200중량부, 익지 90 내지 110중량부, 작약 180 내지 200중량부, 전칠삼(삼칠) 90 내지 110중량부, 정향 90 내지 110중량부, 죽력 90 내지 110중량부, 쥐오줌풀(길초근) 90 내지 110중량부, 지각 90 내지 110중량부, 지치(자근) 90 내지 110중량부, 지황 180내지 200중량부, 찔레나무 열매(영실) 90 내지 110중량부, 차즈기씨(자소자) 90 내지 110중량부, 창출 90 내지 110중량부, 천궁 90 내지 110중량부, 천마 90 내지 110중량부, 천문동 90 내지 110중량부, 청피 90 내지 110중량부, 측백엽 90 내지 110중량부, 치자 90 내지 110중량부, 칡뿌리(갈근) 180 내지200 중량부, 침향 90 내지 110중량부, 택란 90 내지 110중량부, 필발 90 내지 110중량부, 하수오 180 내지 200중량부, 해당화(매괴화) 90 내지 110중량부, 형개 90 내지 110중량부, 호로파 90 내지 110중량부, 황금 90 내지 110중량부, 황기 180 내지 200중량부, 회향 90 내지 110중량부, 회화나무 열매(괴각) 90 내지 110중량부를 준비하는 원료준비단계; (2) 상기 원료준비단계에서 준비된 원료혼합물을 35000 내지 40000㎖의 물 과 함께 중탕기 내에 투입하고, 중탕기 에서 증기가 새지 않도록 밀봉한 상태에서 120 내지 130℃의 온도에서 10 내지 13시간 동안 중탕하는 중탕단계; 및 (3) 상기 중탕단계의 완료 후, 중탕기 내에서 그대로 10 내지 13시간 방치하여 숙성시키는 숙성단계;또 다른 방식은 (4) 원료혼합물을 35000 내지 40000㎖의 물 과 함께 진공농축기 내에 투입하고, 진공농축기 에서 증기가 새지 않도록 밀봉한 상태에서 120 내지 130℃의 온도에서 10 내지 13시간 진공농축기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가열기로 가열방식에 따라 이러한 목적이 진공하에서는 물질의 비점이 낮아짐으로 열원 공급이 쉬워서 이용하기도 하고 형태가 달라진다.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0022] 본 발명에 따른 골장회복과 하수오및 가시오가피 및 홍삼과 녹용 추출물을 포함하는 드링크제의 제조방법은 상기 숙성단계의 완료 후, 숙성된 추출물을 가압기로 압착하여 추출물을 분리하고, 냉각, 소분 및 포장 등을 수행하는 후처리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0023] 상기 중탕기는 황토맥반석 내용기 와 스텐인레스 외용기의 이중용기로 이루어지며, 상기 내용기가 황토맥반석용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외용기가 스테인레스 스틸로 이루어지며, 상기 내용기와 외용기 사이에 물이 투입되어 내용기 내의 내용물을 중탕시키는 것이 될 수 있다.
[0024] [발명의 효과]
[0025] 본 발명에 따르면 하수오와 가시오가피는 물론이고 홍삼과 녹용들을 포함하여 100종의 각종 한약재들을 추출한 추출물을 포함하여 골장회복 및 자양강장 및 신진대사를 활성화하여 육체 피로를 회복하는 효과가 뛰어나고, 또한 맛, 향취 및 색택 등의 기호성이 우수하여 항상 음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이러한 물질이 인간의 뇌에 밀접한 연관성을 가진다. 크게 인간의 뇌는 1.파충류의뇌2.포유류의뇌3.인간의뇌로서 인간이 자연의 환경을 극복하는 과정에서 자연과 융합하여 오늘에 이르렸다.이는 이미 밝혀진 하수오와 가시오가피는 물론이고 홍삼과 녹용 한약재와 밀접한 연관이 있다.이를 구체화하여, 정리한것이 하수오와 가시오가피는 물론이고 홍삼과 녹용이 현대융합의학으로 골장회복의학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첫째:뇌의 3층구조인 가장 안쪽을 1층부위라 하고 이를 보통 생명의 뇌라고 한다.이름은 후뇌(뒤뇌)라 한다.이 속에는 뇌줄기(뇌간)+소뇌로 구성된다.역할은 호흡,심장박동,혈압조절등과같은 생명유지에 필요한 기능을 담당 한다.둘째:3층구조인 중간 부분을 담당하고 2층 부위라 한다.이를 보통 포유류의 뇌라고 한다. 이름은 중뇌(중간뇌)라 한다. 이속에는 편도체+해마로 구성된다.전자가 감정을 조절하고 골장의학에서는 감정의학 이라 한다.역활은 모든정보를 전달해주는 중간 역할을 하고,흥분,공포,울부짖음,으르렁거림,움추림,꼬리를 흔들어 애정표현 이다.이는 파충류에서는 볼 수 없고,포유류만의 고유행동 표현이다.그래서 감정의뇌는 포유류의뇌라고 한다.이는 인간도 포유류에 속하기 때문에 대뇌피질부를 설명 안할수 없다.포유류(변역계)는 ①대뇌피질(대뇌겉질)②시상하부와 내하수체로 나뉜다.전자에서 기억과 감정을 담당한다. 후자에서 호로몬을 조절한다.
셋째:3층구조인 바같 부분 이다.이를 3층부위라 한다.이를 보통 인간의 뇌라 한다.이름은 전뇌(앞뇌=forebrain)라 한다.이 속에는 변역계중의 하나인 대뇌피질(대뇌겉질)+시상하부와 뇌하수체로 구성된다. 전자가 가장 최근에 진화되었다.역활은 고도의 정신기능과 창조기능을 관활한다.이를 이성의 뇌라 한다 골장의학에서는 이성의학이라 한다.기억,연산,판단의뇌 하고 학습을 통하여 오늘날과 같은 인류 문명과 창조,만물의 영장으로 군림한 원동력이다.여기에 후자인 변역계중의 또 하나인 시상하부와 뇌하수체를 설명한다.역활은 한마디로 호르몬조절 기능이다.크기는 시상하부는 콩알만하고,역활은 음식섭취,체온,수면조절이다.그리고 우리몸 속에 가장 중요한 뇌하수체를 조절한다.시상은 수분조절안돼면 소변이 자주마릅고,뇌하수체가 파괴되고 고장이 나면 정상적인 생활이 영위 어렵다.
그래서 하수오와 가시오가피는 물론이고 홍삼과 녹용은 골장의학에서는 이를 따로 떼내어 골장호르몬영양 대체요법으로 여성갱년기 관리로 면역력에 십수년을 임상관찰하여 정리하고 있다.여기서 1.이성의뇌(이성의학) 2.감정의뇌(감정의학) 3.호르몬의학(내분비선의학) 4.뇌줄기의학(척수의학)이 있다.전1.2는 중심이고 후3.4는 역할이다.마지막으로 외부로 부터(자율신경계와뇌신경=말초신경계) 들어오는 감각은 척수(연수+뇌간(뇌줄기)을 거처 시상을 거쳐 1차적으로 분석된다.그리고 대뇌피질(중추신경계)에서 최종 판단한다.그 판단은 명령하여 아래로 전파섬유를 이용하여 행동하게 이르게 한다.이것이 몸전체에 움직이는 메카니즘이다.즉 전파섬유인 망상활성화게는 그물활성화계라고도 한다.그 역할은 의식을 명료하게 유지하는 각성제 역활이다.여기에 하수오와 가시오가피는 물론이고 홍삼과 녹용과 100가지 한약재가 밀접한 연관이 있다.인간의뇌는 포유류의 뇌 이면서 이성과 감정,호르몬을 조절하는 변역계와 정보를 전달해주는 교통요충지인 뇌줄기(뇌가)이 있다.구성은 연수+뇌교이다. 이를 일명 골장의학에서는 척수장기라 부른다.뇌교가 손상되면 중추손상의 증세외에 소뇌로부터 정보 전달이 못되어 몸의평형,방향감각이 유지 어렵다. 그래서 골장의학에서는 중추신경계인 뇌줄기를 온전하고 건강하게 유지 보호하기위한 골장척추교정기술을 개발하게 되었고,골장의학의개념에 기초하여 인체의 고귀한 정신과 신체의건강을 유지하는데 가장 중요하고 필수적인 원리라 본다.본인은 그동안의 많은 골장의학을 사랑하는 사람들과 함께 “醫哲學을 통한 骨臟醫學과 하수오와 가시오가피는 물론이고 홍삼과 녹용과 100가지 한약재가 자연의학과 동서의학의융합” 이라는 제목으로 동서자연융합의학을 만들게 되었습니다.불건강집단이 재활의학을 통해 통합의학으로가는 과정을 넘어 객관적인 醫 철학적 지식을 바탕으로 그 동안의 골장의학과 한방과 영양학으로 골장체질도표와 더불어 여기에 유기적화합적원소로 인간의 원리를 설명하면서, 특히 현대 성인병 관리와 영양학과 한약재가 골장여성갱년기관리는 8대 내분비선관리와 4하대점(장골,대퇴골,대퇴골두,경,비골)에 밀접하게 미친다는것을 골장의학 중심으로 공부한다. 신체적의학.사회적의학.정신적의학.영성의학인 정신적의학을 융합하는 마음과 영혼을 설명하여,서양의학의 해부학적신경계를 통해 이 원리를 이해하는 것이 골장과학이며, 과학은 우주의원리(대우주)와 자연의원리(중우주) 인간의원리(소우주)를 유기적화학적원소로 질(質)로 구성한다.질(質)은 서로가 융합하며,이를 자연이라 한다.자연은 생명인 성과 무생물인 질로 나타나며,성은 질에대한 양심으로 질은 성에대한 분해로 하나이다.여기에 가장 기초가 되는것이 100가지 한약재이다.,
[0026]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0027] 본 발명에 따른 골장회복과 하수오를 포함한 홍삼과 녹용 추출물을 포함하는 드링크제는,인삼 380 내지 420중량부,녹각 180 내지 200중량부, 당귀 180 내지 200중량부,녹용 180 내지 200중량부,가시연꽃 씨앗(검인) 20 내지 40중량부, 갈대뿌리(노근) 20 내지 40중량부, 감초 180 내지 200중량부, 개다래나무 열매(목천료) 20 내지 40중량부, 겨우살이(곡기생) 20 내지 40중량부, 고량강 20 내지 40중량부, 고수열매 (호유자) 20 내지 40중량부,
구기자 180 내지 200중량부, 구절초 180 내지 200중량부, 국화(감국) 20 내지 40중량부, 귤나무 열매껍질(진피) 20 내지 40중량부, 금불초(선복화) 20 내지 40중량부, 금앵자 20 내지 40중량부, 금은화(인동) 20 내지 40중량부, 금은화 20 내지 40중량부, 꿀풀(하고초) 20 내지 40중량부, 대회향(팔각회향) 20 내지 40중량부, 도라지(길경) 180 내지 200중량부, 독활 20 내지 40중량부, 동과씨(동과자) 20 내지 40중량부, 두충 20 내지 40중량부, 띠(모근) 20 내지 40중량부, 만삼(당삼) 20 내지 40중량부, 맥문동 180 내지 200중량부, 몰약 20 내지 40중량부, 무우 씨(내복자) 20 내지 40중량부, 민들레(포공영) 20 내지 40중량부, 박하 20 내지 40중량부, 배초향(곽향) 20 내지 40중량부, 백강잠 20 내지 40중량부, 백리향(사향초) 20 내지 40중량부, 백수오 180 내지 200중량부, 백합 20 내지 40중량부, 복령 20 내지 40중량부, 복분자 180 내지 200중량부, 비파엽 20 내지 40중량부, 뽕나무가지(영지버섯) 180 내지 200중량부, 사철쑥(인진호) 20 내지 40중량부, 사프란 20 내지 40중량부, 산사 20 내지 40중량부, 산수유 180 내지 200중량부, 산약 20 내지 40중량부, 삼씨(마인) 20 내지 40중량부, 삽주뿌리(백출) 20 내지 40중량부, 생강(건강) 90 내지 110중량부, 생지황 90 내지 110중량부, 석창포 90 내지110중량부, 쇠무릅(우슬) 90 내지 110중량부, 숙지황 180 내지 200중량부, 아출(봉출) 90 내지 110중량부, 알로에(노회) 180 내지 200중량부, 어성초 90 내지110중량부, 엄나무껍질(해동피) 90 내지 110중량부, 엉겅퀴(대계) 90 내지 110중량, 연 씨(연자육) 90 내지 110중량, 오가피 180 내지 200중량부, 오미자 180 내지 200중량부, 옥수수수염(옥촉서예) 90 내지 110중량부, 왕느릅나무 껍질(유백피) 90 내지 110중량부, 용안육 180 내지 200중량부, 원지 90 내지 110중량부, 육계 가지(계지) 90 내지 110중량부, 육계(계피) 90 내지 110중량부, 육두구 90 내지 110중량부, 은행엽 90 내지 110중량부, 익모초 180 내지 200중량부, 익지 90 내지 110중량부, 작약 180 내지 200중량부, 전칠삼(삼칠) 90 내지 110중량부, 정향 90 내지 110중량부, 죽력 90 내지 110중량부, 쥐오줌풀(길초근) 90 내지 110중량부, 지각 90 내지 110중량부, 지치(자근) 90 내지 110중량부, 지황 180내지 200중량부, 찔레나무 열매(영실) 90 내지 110중량부, 차즈기씨(자소자) 90 내지 110중량부, 창출 90 내지 110중량부, 천궁 90 내지 110중량부, 천마 90 내지 110중량부, 천문동 90 내지 110중량부, 청피 90 내지 110중량부, 측백엽 90 내지 110중량부, 치자 90 내지 110중량부, 칡뿌리(갈근) 180 내지200 중량부, 침향 90 내지 110중량부, 택란 90 내지 110중량부, 필발 90 내지 110중량부, 하수오 180 내지 200중량부, 해당화(매괴화) 90 내지 110중량부, 형개 90 내지 110중량부, 호로파 90 내지 110중량부, 황금 90 내지 110중량부, 황기 180 내지 200중량부, 회향 90 내지 110중량부, 회화나무 열매(괴각) 90 내지 110중량부를 열수 추출물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수오 와 가시오가피 와 홍삼(홍삼세미 포함)과 녹용과 녹각은 본 발명에 따른 드링크제의 핵심구성성분들이기는 무엇보다 특수 한약재의 성분을 을 추출하는데 있다.
[0028] 하나, 그 효능, 효과는 앞서의 배경기술에서 기술한 바와 동일 유사한 것으로서 반복되는 설명은 피하기로 한다.
[0029] 상기 두릅나무과(―科 Araliaceae)에 속하는 다년생초.키가 50~60㎝이다.짧고 두툼한 뿌리줄기(머리부분[頭部] 또는 뇌) 위쪽에서 줄기가 곧게 나오며, 아래쪽에서 두툼하나 갈라지지 않는 원뿌리(몸부분[主根])가 나오는데 원뿌리 끝, 즉 곁뿌리(다리부분[支根])는 몇 갈래로 나누어져 있다. 잎은 5장의 잔잎이 손바닥 모양으로 배열된 겹잎으로 뿌리줄기에서 나온 줄기에 달리는데, 1년생은 1장이나 해마다 1장씩 늘어 수확기가 되는 5~6년이 지나면 5~6장이 달린다. 싹이 나온 지 3년이 지나 연한 녹색의 꽃이 4~5월쯤 줄기 맨 위쪽에 만들어진 산형(傘形)꽃차례로 무리지어 핀다. 꽃받침잎, 꽃잎 및 수술은 각각 5개이며, 암술머리는 2갈래로 갈라져 있다. 열매는 붉게 무리지어 익는다. 광동인삼, 서양인삼·아메리카인삼·양삼·포삼·화기삼 등으로 불리는 미국인삼(Panax quinquefolium), 일본의 죽절인삼(P. japonica), 중국의 삼칠인삼(P. notoginseng)도 두릅나무과에 속하지만 이들은 우리가 말하는 인삼과는 다르다. 인삼은 한국과 중국이 원산지로 추정된다. 한국에서는 처음에는 야생의 산삼을 이용했다. 이시진(李時珍)의 〈본초강목 本草綱目〉에 14세기말부터 개성 부근에서 인삼을 재배한 기록이 있는 것으로 보아 개성 부근의 토질이 인삼재배에 적당한 것으로 추정되는데, 이 당시에도 이미 인삼재배가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전라남도 동북지방에서는 조선시대 숙종 때 산삼의 씨를 채취하여 재배하기 시작했다고 전해진다. 이후 헌종초에 개성의 보부상 최문(崔文)이 다른 지방의 인삼재배를 관찰하여 개성의 풍토에 맞는 재배법을 고안했다. 한국의 인삼은 품질이 좋아 세계적으로 알려져 있으며 특산품으로 수출량이 증가함에 따라 재배 및 생산량도 증가하고 있다. 주로 경기도와 충청남도에 집중 분포되어 재배되는데, 경기도의 강화·김포·파주·고양·여주·부천·용인·광주, 충청남도의 금산·부여·연천·풍기·서산, 충청북도의 괴산·덕산·음성·청원·보은·제천·단양, 전라북도의 무주·완주·진완 등이다. 중국, 일본, 미국, 러시아 연방 등지에서도 재배하고 있다.인삼은 가을에 씨를 뿌려 약 6년이 지나야 수확하는데 보통 씨를 뿌려 4~5년이 지난 식물에서 7월 하순쯤 열매가 붉게 익었을 때 채취한다. 채취한 씨를 가는 모래와 섞어 적당한 수분과 온도를 유지해 약 90일 동안 후숙(後熟)시킨다. 썩은 잎으로 된 부엽토·쌀겨·깻묵·닭똥·석회질소 및 소석회를 섞어서 만든 약토를 먼저 흙에 덮은 다음 후숙시킨 씨를 뿌리는데, 이런 방법을 양식법이라고 한다. 씨를 뿌린 다음에는 동서방향으로 이랑을 만들어 북쪽은 높고 남쪽은 낮게 해갈이를 만들어준다. 씨를 뿌린 후 1년이 지난 10~11월쯤에는 뿌리의 길이가 15㎝ 이상 되므로 본밭에 옮겨 심는다. 이때 잔 뿌리들은 잘라준다. 4~5년 자라도 뿌리의 발육이 불충분하여 각 부위의 균형이 고르지 못하다. 6년생이 되면 모양이 충실해지고 균형이 잡히는데, 뿌리 하나의 무게는 80g 정도이고 몸부분은 길이가 7㎝, 지름이 3㎝ 정도 된다. 7년 이상 자라면 뿌리의 균형이 없어지고 뿌리껍질도 딱딱해져 상품의 가치가 떨어진다. 인삼의 나이는 머리 부분에 남아 있는 해마다 나온 줄기의 흔적으로 알 수 있는데, 한국 인삼은 이 부위가 매우 두툼하다.보통 6년생을 수확하는 것이 이상적이나 4~5년생 또는 7~8년생을 수확하기도 한다. 수확 시기는 9월이 알맞으나 보통 8월 중순에서 12월 중순까지 수확하며, 특히 홍삼(紅蔘)은 9월초 백로(白露)가 지나서 수확해야 빛깔과 품질이 좋아진다. 갓 수확한 인삼을 수삼(水蔘)이라고 하며, 수삼을 물에 씻어 햇볕에 말린 것을 백삼(白蔘), 80~90℃의 온도에서 2~4시간 동안 말린 것을 홍삼이라고 한다. 백삼 원료는 수확하기 전에 관할 인삼경작조합에 신고한 뒤 1개월 이내에 수확하며, 홍삼 원료는 6년생을 가을에 수납 일정에 따라 반드시 관계 공무원의 입회하에 수확하고 수납장에서 품질 등급 검사를 받아 수납한다.중국인들은 인삼 뿌리를 만병통치약으로 생각했으나 실제로는 병의 치료제보다는 예방제로 써왔다. 약리학적으로 볼 때, 인삼은 생리적 장애가 아주 적은 무해한 물질로 특이한 효능은 없으나 병리적인 상황과는 상관없이 정상적인 활동을 보강해준다. 인삼은 정신장애, 학습, 기억 및 감각 기능의 개선에 효능이 있다. 인삼은 부신(副腎)과는 상관없이 뇌에서 부신피질자극호르몬(ACTH)의 활성을 증가시키는 어떤 화학물질을 갖고 있기 때문에 약리작용이 일어나는 것으로 추정되는데, 정신 각성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인삼은 인삼은 그 효능이 탁월해 4천∼5천년 전부터 동양에서 약으로 쓰여 왔다. 장기복용하면 부작용을 일으키는 다른 약들과 달리 독이 없기 때문에 많이 먹어도 해가 거의 없어 한방 약재 중 으뜸으로 친다. 인삼의 효능과 올바르게 먹는 요령. 예로부터 불로장생의 영약으로 알려진 인삼은 한약중에서도 최고의 약재로 꼽힌다. 한방의서인 ‘신농본초경’에 인삼은 오장, 다시 말해 간장, 심장, 폐장, 신장, 비장의 양기를 돋우고 정신을 안정시킨다고 나와 있다. 또한 눈을 밝게 하고 지혜롭게 하며 오래 복용하면 몸이 가벼워지고 장수한다고 되어 있다. 인삼의 신비는 아직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지금까지 현대의학으로 증명된 효능은 강장 작용, 혈압 조절, 빈혈 치료, 당뇨병 치료, 간 기능 강화, 두뇌 기능 강화, 면역 기능 강화, 강심 작용, 항암 작용, 항균 작용 등이다. 특히 부인과와 소아과 질환에 효능이 두드러고, 방사선으로부터 몸을 보호하는 작용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인삼은 부위에 따라서도 효능이 조금씩 다르다. 노두(싹이 나오는 꼭지 부분)는 가래가 차서 가슴이 답답할 때 좋고, 몸통은 원기부족이나 피로 등에 좋으며, 뿌리는 기침이나 메스꺼움에 효과가 있다. 뿌리, 줄기, 잎에는 항이뇨 작용을 하는 성분이 들어 있다. 인삼은 종자를 고르는 일부터 수확까지 4∼6년이 걸리며 오랫동안 정성을 들인 것이어야 약효를 인정받는다. 특히 기후와 일조량, 토양, 지세 등에 민감하기 때문에 적당한 자연환경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한국은 인삼이 자라는 데 최적의 조건을 갖추고 있기 때문에 우리 인삼이 세계 최고의 품질로 평가받는 것이다. 신비한 인삼의 효능 원기를 돋워 피로를 회복시킨다 심신의 기운을 돋우어 허약한 체질을 개선시킨다. 질병으로 체력이 쇠약해졌을 때나 일시적인 허탈 상태에 빠졌을 때 인삼을 먹으면 효과를 볼 수 있다. 또한 피로 회복을 돕고 체력을 증진시킨다. 노약자, 큰 병을 앓거나 수술을 하고 난 뒤 기력이 떨어진 사람, 과로에 시달리는 직장인과 수험생에게 권할 만하다. 혈액 순환을 좋게 하고 빈혈을 예방한다 혈액의 생성과 순환을 원활하게 하여 폐와 비장의 기능을 돕는다. 적혈구 생성을 촉진해 빈혈을 예방하고, 빈혈로 인한 신진대사 이상을 개선 시킨다. 특히 암 환자의 빈혈 회복을 도우며 류머티스·결핵·노인성 빈혈에 효과가 탁월하다. 지혈 효과도 있다. 혈압을 조절하고 심장 쇠약을 치료한다
혈압조절 효능이 있어 저혈압과 고혈압에 효과가 있다. 하지만 중증 고혈압 환자는 주의해야 한다. 또한 심장 쇠약, 심근의 영양 부족, 관상동맥 질환, 협심증 등 심혈관 계통의 질병에 효과가 있다. 심장성 쇼크나 일시적인 빈사 상태 등의 구급 처방에 활용되기도 한다. 갈증을 없애고 당뇨병을 치료한다 비장 기능 강화와 당뇨병 치료에 효과가 있다. 인슐린 분비를 촉진해 혈당치를 떨어뜨리고, 체액을 보충해 당뇨로 인한 갈증을 해소시킨다. 합성 당뇨병 치료약과 같이 지나치게 혈당치를 떨어뜨리는 위험이 없기 때문에 안심하고 먹을 수 있다. 위를 튼튼히 하고 설사를 멎게 한다 위와 장이 냉한 경우 식욕을 돋우고 소화가 잘 되도록 돕는다. 위산이 부족하거나 과다한 만성 위염환자의 경우 증상이 개선되고 식욕이 좋아지며, 통증이 줄어드는 효과도 있다. 위암을 예방, 치료하고 위암 수술을 받은 환자가 먹으면 면역 기능이 강화된다. 또한 인삼은 성질이 따뜻하여 설사를 멈추게 하는 효능도 있다.
[0030] 상기 녹각은사슴과에 속하는 마녹 또는 매화녹 등 각종 사슴의 각질화(角質化)된 뿔.한의학상의 약명이다. 맛은 짜고 성질은 따뜻하고 독이 없으며 간(肝) 신장 두 개의 장부(臟腑)에 들어간다. 혈액순환을 촉진시키고 어혈(瘀血)을 없애주며 신장기능과 간기능을 도와준다. 또 칼슘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 뼈를 튼튼하게 해준다. 흔히 녹용(鹿茸)의 대용으로 많이 쓰이고 있으나, 그 효력은 녹용에 비해 약하다. 용량은 3~9g에서 90g까지 점차 늘려 쓴다.
[0031] 상기 당귀는 산형과(傘形科 Apiaceae)에 속하는 한약재인 당귀의 뿌리.당귀는 깊은 산속에서 자생하나 주로 재배되며, 줄기는 높이가 1~2m 정도이고 뿌리를 약물로 사용하는데 뿌리는 비후(肥厚)하며 유즙을 함유하고 향기가 강하다. 뿌리는 길이가 20~25㎝ 정도이고, 지름이 1~5㎝ 정도가 된다. 주성분은 정유(精油), 자궁흥분성 성분, 자당, 비타민 E 등이다. 그 성질은 온(溫)하며 독이 없고, 신맛과 단맛이 나는데 약간 쓴맛이 돈다. 주로 심장·간·비장의 3경(三經)에 들어가 작용하는 성질이 강하다.효능은 보혈조경(補血調經:부족한 피를 보충하고 월경이상을 조절)·활혈지통(活血止痛:피를 활발하게 순환시켜 통증을 멈추게 함)·윤장(潤腸:대장을 윤택하게 하여 부드럽게 함) 등으로 대별된다. 당귀는 임상에서 가장 흔히 쓰이는 약물중의 하나이다. 특히 부인과의 주약(主藥)이며, 주로 월경조정에 사용한다. 생리통에도 효과가 있으며, 백작약(白芍藥)·연호삭(延胡索).향부자(香附子) 등을 배합하여 사용한다. 이외에 무월경, 생리불순에도 효과가 있다. 동계(動悸)·건망·불면·정신불안 등의 심혈허(心血虛) 증상에는 당귀로 보혈하고 진정시킨다. 비혈허(脾血虛)로 인해 몸이 마르고 초췌해 보일 때에는 당귀로 양혈건비(養血健脾)한다. 어지럽고 눈이 아물거리고 귀에서 소리가 나고 근육경련이 있을 때도 당귀를 써서 양혈(養血)·양간(養肝)한다. 어혈(瘀血)에 사용하는데 타박, 염좌(捻挫) 등의 외상이나 혈관질환으로 인해 생긴 내출혈, 혈류정체, 종장(腫腸), 통증에 대해서 혈액순환을 개선·진통시켜 치료한다. 허한(虛寒)으로 인해 기혈어체(氣血瘀滯)가 되어 생긴 복통(腹痛)에도 적합하다. 산후허한(産後虛寒)의 복통 등에는 소건중탕(小建中湯)을 배합하여 온중지통(溫中止痛)의 효과를 높인다. 만성화농증에도 사용하는데 당귀의 치혈(治血)·보혈(補血)·지통(止痛) 등의 효능에 의해 순환을 개선하고 저항력을 증가시킨다. 대장을 윤택하게 보충하여 대변을 통하게 하는 효능이 있는 육종용·우슬 등의 약물을 배합하여 대장이 건조해서 생긴 변비를 다스린다. 이밖에도 표증(表證)이면서 기혈양허(氣血兩虛)하고, 어혈로 인한 두통이나 관절통에도 당귀의 행혈진통(行血鎭痛)의 효능을 이용한다. 세분하여 사용할 때에는 혈액순환의 개선제나 해표제(海?劑)로 쓸 때는 전당귀(全當歸)를, 빈혈치료·월경조정에는 귀신(歸身)을, 타박·염좌의 종창(腫脹)이나 어통(瘀痛), 관절의 운동장애에는 귀미(歸尾)를 사용하는 원칙을 참고하여 선택하면 된다.
당귀를 사용할 때는 다음 몇 가지에 주의해야 한다. ① 장기간 또는 다량으로 사용하면 인후통, 콧구멍의 작열감 등의 허화상염(虛火上炎)의 증상이 나타나는데 이때는 처방에 금은화(金銀花), 생지황(生地黃) 등의 청열량혈약(淸熱凉血藥)을 적당히 가하면 좋다. ② 당귀는 통변작용(通便作用)이 있으므로 비양허(脾陽虛)로 인한 설사에 사용해서는 안 된다. ③ 당귀는 온성이므로, 폐음허(肺陰虛:폐를 윤택하게 하거나 '火'의 기운을 잡아 줄 수 있는 수분이 부족한 현상), 간화왕(肝火旺:간의 기능항진으로 생기는 '熱'이 왕성한 현상), 토혈이 금방 지혈된 경우 등에서는 사용을 금한다. ④ 활혈(活血)의 효능이 강하므로 과다한 성기출혈(性器出血)에는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0032] 상기 녹용은 대개 봄·여름에 구각(舊角)은 탈락되고 곧 새로 나는 뿔로서, 아직 각질이 형성되지 않아서 내부에 혈관이 있고 유연한 성질을 띠는 것을 채취하여 건조시킨 것이다. 녹용은 산지에 따라 여러 종류가 있는데, 헤이룽 강[黑龍江] 주변에서 많이 생산되는 중국산, 내몽골 지방에서 생산되는 몽골산, 알래스카산, 뉴질랜드산, 그리고 한국산, 일본산 등이 있다. 이중에서 몽골산이나 중국산이 품질이 좋은 편에 속한다. 처음 생긴 어린 각은 피부의 진피에서 변화하여 잘 발달된 것으로 외면은 자줏빛 도는 갈색을 띠고 갈색의 가는 털이 치밀하고 광택이있으며, 산지에 따라 회색이나 황색의 가는 털로 이루어진 것도 있다. 대체로 녹용의 꼭대기는 버섯 모양이거나 길게 약간 뾰족하며 몸체는 원통형이다.녹용은 그 부위에 따라 보통 4부분으로 구분하는데 녹용의 가장 꼭대기 부분은 황색의 꿀이나 기름기 있는 흰색 지방처럼 생겨 납편(蠟片)이라 하고, 그 바로 밑의 상중대(上中帶)에 속하며 혈색중에 황색을 나타내거나 순전히 혈색을 띠는 것을 혈편(血片)이라 한다. 가운데 부분으로 편중(片中)이 약간 엉성한 조직으로 되어 있으며 흑자색을 띠는 것을 풍편(風片)이라 하며, 맨 밑의 가지를 포함한 최하층의 뿔처럼 생긴 것을 골편(骨片)이라 한다. 채취는 청명(淸明:양력 4월 5, 6일경) 후 45~60일 정도가 가장 적당한 시기이며, 절단하여 채취한 후에 잘 건조시켜야 한다.녹용의 성질은 따뜻하고 독이 없으며, 맛은 달고 짜다. 주로 간과 신장의 경락에 작용한다. 사용시에는 털을 제거하고 술에 적셔 볶거나 굽는다. 성분은 교질·단백질·인·칼슘·탄산칼슘 등으로 되어 있다. 녹용의 효능으로 온신보양(溫腎補陽)·강근골(强筋骨)·생정보혈(生精補血) 등이 있는데, 주로 강력히 원양(元陽:생식·성장 등의 기본적인 생리기능을 포괄함)을 보충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중요한 약재이다. 따라서 성기능이 감퇴된 남성의 생식기능을 보강시키는 데 사용하거나, 체질이 허약한 여성의 백색대하·불임증에 사용한다. 또한 생장발육을 촉진하는 데 효능이 있어 소아의 발육불량, 근육·골격의 발달불량, 운동능력 부족, 유아가 걷는 것이 늦는 것과 치아의 발생이 늦는 것 등의 증상에도 쓰인다. 또 심한 빈혈[氣血兩虛]에도 사용하는데, 현재 재생불량성빈혈에 많이 응용되고 있다. 아울러 심부전에 응용되어 강심(强心)·순환개선·증상경감 등의 효과가 있다. 또 신경쇠약이나 병후의 모든 허약증에 많이 사용된다. 이밖에도 피부의 난치성 궤양에 응용되기도 한다. 발열이나 감기가 완전히 치료되지 않은 경우나 평소 원기가 왕성한 사람에게는 사용하지 않는다.
[0033] 상기 가시연꽃씨앗(검인)는가시연꽃은 멸종 위기 식물 Ⅱ급으로 분류된다. 전라북도에는 약 2,200개의 저수지가 있는데, 석남저수지[용대저수지] 외에도 가시연꽃이 서식하고 있다는 제보가 들어온다. 그러나 저수지를 관리하고 있는 한국농어촌공사나 시·군에는 가시연꽃 분포 현황에 대한 자료가 없으며, 군락지 보존을 위해 보호 대책이 필요한 상태이다. 개연, 가시연, 가시련, 칠남성이라고도 한다.
큰 잎은 지름이 200㎝에 이른다. 잎 표면은 주름이 지고 광택이 나며, 양면 잎맥 위에 가시가 있다. 풀 전체에 가시가 있고 뿌리줄기에는 수염뿌리가 많이 난다. 꽃은 꽃자루 끝에서 7월에 핀다. 열매는 8월에 맺으며 원형으로 씨방이 꽃받침 아래 위치한다.
[0034] 상기 갈대뿌리(노근)는 약용부위 : 뿌리줄기
금기 : 脾胃虛寒, 만성장염, 寒으로 인한 嘔吐의 경우에는 복용하지 말아야 한다.
효능 : 宣毒透疹,淸熱生津止渴,淸熱利尿,淸胃止嘔,解毒排膿 주치증상 : <別錄(별록)> : 渴症(갈증), 熱邪(열사)의 침입, 소변을 자주 보는 증상을 치료한다.蘇恭(소공) : 구토, 소화불량, 胃(위)에 열이 있어서 속이 쓰린 증상, 傷寒(상한)으로 인하여 체내에 熱(열)이 발생한 경우에 두루 사용할 수 있다.甄權(견권) : 열이 심한 증상을 치료하고 胃(위)의 기능을 돕고 트림과 딸꾹질이 그치지 않는 증상을 치료한다.池大明(지대명) : 寒熱往來(한열왕래), 유행성 전염병으로 가슴이 답답하고 열이 나는 증상, 설사, 痢疾(이질), 갈증 및 임산부가 心(심)에 熱(열)이 있는 경우를 치료한다. 약물이름의 기원 : 갈대의 뿌리이다. 갈대의 이명으로는 葦(위), 가 있다. 갈대의 꽃은 蓬?(봉농)이라고 하고 갈대의 순은 (권)이라고 한다.
[0035] 상기 감초는 시베리아·몽골·중국 동부와 북부 등에서 자란다. 줄기는 곧추서고 털이 덮여 있다. 잎은 7~17장의 잔잎으로 이루어진 겹잎이다. 연한 보라색 꽃은 7~8월에 잎겨드랑이에 핀다. 열매는 협과(莢果)로 열리며 활처럼 구부러지고 밤색 털로 덮여 있다. 뿌리를 햇볕에 말린 것을 감초라고 하는데 맛이 달고 특이한 냄새가 나 한약의 독한 냄새와 맛을 없애는 데 쓴다. 가을 또는 이른봄에 길게 뻗은 뿌리줄기와 땅속 깊이 들어간 뿌리를 캔 다음 잔뿌리와 줄기는 다듬어 버리고 물로 씻은 뒤 말린다. 한방에서는 해열에 날것을 그대로 쓰며, 비장(脾臟)과 위장(胃臟)을 덥게 해주고 보신할 때는 누렇게 볶아서 쓴다. 주로 뿌리를 나누어 심는다.
[0036] 상기 개다래나무 열매(목천료)는 다래나뭇과에 속한 낙엽 활엽 덩굴나무. 잎은 달걀 모양으로 어긋나며, 여름에 흰 꽃이 밑을 향하여 핀다. 9~10월에 적황색의 열매가 달리며, 혓바닥을 찌르는 듯한 맛이 나고 달지 않다. 열매는 식용하거나 약용한다. 우리나라, 일본, 만주, 사할린 등지에 분포한다.
[0037] 상기 겨우살이(곡기생)는 곡기생 겨우살이의 가지, 잎맛은 쓰고 성질은 미지근하다.간과 신장 기능이 약하여 허리와 무릎이 아프거나 약한 데 쓴다.뼈와 근육을 튼튼하게 하는 작용이 있다.물1.5L에 겨우살이 가지, 잎 15~25g을 넣고 달인 물을 하루 중 여러 번 나누어 복용한다.
[0038] 상기 고량강는 高良薑은 여러해살이풀로 생강과에 속한 고량강의 근경으로 良薑이라고 합니다. 양강은 횟집에 가면 자주 나옵니다. 생선회의 냉한 기운을 중화시키기 위하여 매운맛이 나는 고량강을 먹게 됩니다. 성질은 열하고 맛은 매운데, 辛辣하고 맵습니다. 이렇게 매운 것들이 생강, 고량강 등입니다. 고추와 같이 소음으로 입하는 매운맛과는 다릅니다. 고추를 먹으면 헉헉하면서 안으로 숨을 들이마시는데 이것은 소음의 맛입니다. 고량강을 먹으면 밖으로 숨을 내쉬게 되는데 이것은 태음과 양명의 맛입니다. 高良薑은 방향성 건위제로 사용합니다. 脾와 血中에 寒痰이 있고, 몸이 붓고, 脾에 痰飮이 올라와 꺽꺽댈 때 쓰면 효과가 좋습니다. 건강은 內寒을 다스리는 반면, 고량강은 外寒을 다스리는 작용이 큽니다. 고량강은 外表에 얽힌 한사를 매운맛으로 발산시키고, 혈중의 痰飮을 쳐서 밖으로 내보내며, 따듯한 香으로서 脾胃를 따뜻하게 합니다. 그러나 대량으로 쓰면 폐를 상하니 음이 허한 자에게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0039] 상기 고수열매 (호유자)는 고수풀은 미나리과의 일년생 초본 식물이다.
개화기는 4~7월이고 결실기는 7~9월이다.고수풀의 다른 이름은 호유(식료본초), 향유: 운략), 향유: 본초습유), 호채(胡菜: 외대), 원유: (당소설), 원유(園?: 동헌필록), 원유, 호수:胡 : 일용본초), 완유(莞: 보제방), 연수채: 연갈초:, 만천성:滿天星: 호남약물지), 고수풀,코리안더(Coriander), 차이니스파슬리 등으로 부른다.
[0040] 상기 구기자는 간장, 신장을 보하고 정력을 복돋워주는 효능이 있다. 독성이 없어 오용해도 부작용이 없다. 신장에 작용해 허로 손상을 낫게 하고 눈을 밝게 하며 양기를 왕성케 하여 허리를 튼튼하게 해 준다. 약리 실험에서 체중증가작용, 간보호작용, 콜레스테롤 인지리 강하작용, ]혈압 및 혈당량 강하작용 등을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간신(간과 신)이 허하여 어지럽고 눈이 잘 보이지 않는데, 음위증, 유정과 허리가 시큰시큰 아플 때, 무릅이 힘이 없을 때 영양실조, 신경쇠약, 당뇨병, 마른기침 등에 말린 구기자나무열매를 하루 6 ∼ 12g을 달임약, 알약, 가루약으로 먹는다. 중년기와 노년기에 올 수 있는 고혈압, 신경통, 동맥경화증, 빈혈과 암 에방에 노인성 갈증이나 변비에는 구기자잎 10 ∼ 20g을 달여 하루3번 마신다. 만성 간염에는 구기자나무 뿌리나 열매 4 ∼ 8g을 (1회분) 삶아 1일 2 ∼ 3회씩 10일 이상 마신다. 위, 십이지장 궤양에는 구기자나무 잔가지나 뿌리 6 ~ 8g 또는 열매 5 ~ 6g을1회분으로 기준하여 끓여 하루 2 ~ 3회씩 1주일 정도 먹는다. 구기자차나 구기자술은 특정한 병의 치료에 쓰이는 것이 아니라 오래 장복하면 자신이 가지고 있는 생리 작용을 원활이 하며 오래 묵은 병의 자각 증상을 모르는 사이에 잊게 되어 건강을 되찾게 된다. 동상에는 구기자 한줌을 청주에 담가두면 구기자가 물러지면서 불그스레한 액이 나오는데 이 액을 붓으로 찍어 환부에 바른다. 세숫대야에 물을 가득 담고 감즙 900cc를 섞은 다음 발을 담그고서 불에 얹는다. 물이 차츰 뜨거워지면 붓기가 사라지면서 낫는다. 구기자는 보습효과가 있어 피부를 윤택하게 하고 모세혈관이 약화 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구기자 20g, 증류수 200cc, 알긴산이나 밀가루 약간을 섞어 약한 불에 죽으로 끓여 체온과 같은 온도로 식으면 얼굴을 바르고 30분 후에 데어 낸다. 영양성분 함량 : 단백질 14.6g, 지질 10.7g, 탄수화물 57.2g, 회분 5.0g, 칼슘 49mg, 인 259mg, 비타민 A 48800I.U, 비타민 C 11mg.
[0041] 상기 구절초는 땅속뿌리가 옆으로 뻗으면서 새싹이 나오며 키는 50㎝ 정도이다. 뿌리에서 나오는 잎과 줄기 밑에 달리는 잎은 날개깃처럼 2번 갈라지는데 줄기 가운데 달리는 잎은 깊게, 줄기 위에 달리는 잎은 얕게 갈라진다. 꽃은 하얀색 또는 연한 분홍색이며 9~10월에 지름이 8㎝에 달하는 두상(頭狀)꽃차례를 이루어 피는데, 이 꽃차례는 줄기 끝에 하나씩 달린다. 식물 전체에서 좋은 향기가 나서 뜰에 심어도 좋으며 해가 잘 비치고 물이 잘 빠지는 곳에서 잘 자란다. 꽃이 달린 식물 전체를 캐서 그늘에서 말린 구절초는 한방과 민간에서 부인냉증·위장병·치풍 등을 치료하는 데 쓰고 있다.
[0042] 상기 국화(감국)는 식물 전체에 털이 나 있으며 키는 40~80㎝까지 자란다. 잎은 어긋나고 잎가장자리가 날개깃처럼 갈라졌다. 꽃은 10~11월에 노랗게 두상(頭狀)꽃차례로 피는데, 꽃의 지름은 2.5㎝ 정도이다. 꽃의 향기가 진하며 노란색 꽃이 아름다워 뜰에 심어도 좋다. 한방에서 쓰이는 감국은 10월에 꽃을 따 그늘에서 말린 것으로 현기증, 두통, 눈물이 나오는 병, 연주창(連珠瘡) 등을 치료하며, 기침이 심한 사람에게 감국을 달여 먹여도 좋다. 꽃을 따서 술에 넣어 마시기도 하며 어린잎을 삶아 물에 우려서 나물로 쓰기도 한다. 일본에서는 꽃을 수증기로 증류하여 얻은 정유(精油)를 국화유(菊花油)라고 하여 배가 아프거나 창에 찔린 상처의 치료에 쓰기도 했다. 감국과 비슷한 식물로 산국 이 있는데, 산국은 꽃의 지름이 1.5㎝ 정도이며 줄기가 곧추서는 점이 감국과는 다르다.
[0043] 상기 귤나무 열매껍질(진피)는 습관적으로 오래된 것이 좋은 것으로 여겨 진피라고 부른다. 대개 10~11월에 채취하여 건조시킨다. 성분으로는 휘발성 정유(精油), 헤스페리딘(플라본배당체), 구연산, 비타민 B1 등을 함유하고 있다. 성질은 따뜻하며 독이 없고 맛은 맵고 쓰다. 주로 비경·폐경(肺經)에 작용할 뿐만 아니라 간경·위경(胃經)에도 작용한다. 이기건비(理氣健脾)·조습화담(燥濕化痰) 등의 효능이 있다. 진피는 소화불량에서 나타나는 복창완민(腹脹脘悶:배가 그득해 편하지 못한 것)·식욕부진·오심·구토 등 비위기체(脾胃氣滯)의 증상에 활용된다. 복부팽만이나 복통이 심할 때는 창출(瘡朮)·후박(厚朴)을 배합하는데 예를 들어 평위산(平胃散)을 사용한다. 구토나 딸꾹질이 심한 경우에는 죽여(竹茹)나 인삼을 배합한다. 비위기허(脾胃氣虛)할 때는 인삼·황기·백출 등을 배합하면 보익(補益)해서 기체(氣滯)가 생기지 않는다. 가래가 많은 기침에도 쓰는데, 진한 백담(白痰)이 많이 나오고 흉복부가 편하지 못한 습담증상에는 진피로 이기화담(理氣化痰:기를 순조롭게 통하게 하여 담음을 없앰)하고 반하(半夏)를 배합하여 조습화담(燥濕化痰:습을 없애서 가래가 생기지 못하게 함)의 효능을 증강시킨다. 기관지염이나 상기도염에 쓰면 가래를 없애주고 기도(氣道)를 확장시키므로 호흡이 편해진다.
[0044] 상기 금불초(선복화)는 旋覆花는 菊花科(엉거시과)에 속한 다년생초본으로 다른 말로 여름 국화라 하고 또는 金佛草라고 합니다. 꽃모양이 국화와 같고 국화과에 속하고 항아리를 뒤집어 놓은 것처럼 생겼기 때문에 旋覆花라고 합니다. 성질이 약간 습하면서 기운은 따뜻하고 맛은 함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선복화는 맛이 짜고 澤池와 같이 습한 곳에서 납니다. 짠맛의 작용은 딱딱한 것을 부드럽게 해 주는 작용을 합니다. 또한 선복화는 꽃이면서도 불구하고 매운맛이 있고 함미가 있습니다. 함미를 가지고 있다는 것은 水의 기운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고, 약한 매운맛은 金의 기운을 가지고 있다는 뜻입니다. 모든 꽃 종류는 기운이 가볍습니다. 그래서 발산하는 기능이 있습니다. 그리고 여기서 佛이라는 의미는 폐기가 어떤 이유에 의해서 끓어오르듯 물이 차거나 痰이 차오를 때 그것을 막는 약이란 소리입니다. 선복화는 실제 많이 효과를 보는 것이 폐와 胃에서 봅니다. 이것은 딱딱한 痰을 함미로 堅痰을 풀어내고 寒性 또는 차가운 水가 盛하여 오는 痰은 일체 다 풀어냅니다. 胃가 너무 차면 痰이 많이 나오고, 폐가 차면 기침을 하며 痰이 나옵니다. 燥粘하여 끈끈한 가래가 생기고 잘 나오지 않을 때 금불초를 쓰면 완만하게 풀어냅니다. 胃가 기능을 상실하여 차가운 기운이 축적되면 쉽게 체하고 구역이 올라오며 속이 답답하고 소화가 안 되고 꺽꺽거립니다. 이때에 선복화, 반하, 후박, 지실을 가하여 쓰면 상당히 좋은 효과가 납니다. 폐에서는 痰이 많아 뱉는 증상인 喀痰, 잘 떨어지지 않는 頑痰, 담이 단단해진 堅痰, 오래된 老痰이 있을 때 금불초를 쓰면 좋습니다.金水(폐·신)장부에서 金水가 잘 생하게 되면 氣가 생기게 되어있습니다. 金의 기운은 수렴하며 腎으로 납기하고 腎은 水火가 상존하여 水속에 火가 있어 이것으로 인하여 氣가 생깁니다. 腎臟에서 元陽之氣가 나온다고 하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이유가 있습니다. 血은 水火가 交濟하여 생깁니다. 津液은 金火가 合德하여야 비로써 생기고 血은 金水의 相合하여 생긴 결과입니다. 따라서 金火가 相合하면 液化가 되는데, 이 津液이 바로 血을 만드는 원천이 됩니다. 따라서 금불초는 金水相合하고 金火合德하며 水火旣濟하여 피도 만들고 홀몬 및 진액을 만들게 된다는 얘기입니다. 예를 들어 사람의 장부가 어떤 기운에 의해 울체되면 장부는 자기 기운을 펼치지 못하고 장부는 장부대로 기혈이 순행치 않으므로 스스로 痰을 만듭니다. 이때에 금불초를 씁니다. 款冬花와 선복화는 辛味 또는 水와 木의 기운으로 相火를 삭히고 鹹味로써 水로 인하여 결체된 것을 풀어내어 장부의 기운이 원활하게 돌게 해줍니다. 다른 장부에서 생긴 痰이던 간에서 생긴 痰이던, 相火의 문제로 痰이 생긴 경우는 관동화를 쓰고, 水氣가 結氣가 되어 痰이 생기면 금불초를 씁니다. 근원을 모르겠으면 자완, 금불초, 관동화를 함께 가해서 씁니다. 선복화를 盜庚(도경)이라 하는데 盜庚이라는 뜻은 가을을 훔쳤다는 말로 금불초가 金氣를 가졌다는 얘기입니다. 6월을 정점으로 하여 金의 기운이 강해져 만물이 익고 가을이 옵니다. 이때는 아직 相火의 기운이 왕성할 때이지만 관동화가 핍니다. 이렇게 盜庚이 되어 상화의 小毒을 가지고 있으므로 병이 나은 후에 가슴이 번거로운 것은 바로 상화 때문입니다. 본래 태양의 기운은 寒水를 품하고 있고 寒水의 氣를 가졌습니다. 寒水의 기운은 表로 흘러가야 하는데, 太陽寒水의 氣가 폐로 올라가면 바로 해천이 나오고 심장을 치면 驚悸가 됩니다. 바로 이 금불초가 이런 경계 및 해천을 다스리는데 최고의 약입니다.
[0045] 상기 금앵자는 금앵자의 유래를 보면 그 주인공이 금앵자를 먹음으로서 야뇨증을 고치고,혼인을 했다는 얘기가 전해져 내려오는데요.금양자는 야뇨증에만 효능이 있는 것이 아니라 여자들의 대하증이나 냉증을 다스리는데도 좋으며, 설사를 멈추게하는 효과도 있다고 합니다.또한 남자들에게는 조루증을 치료해 주며,정력 증강에도 도움을 준다고 하네요..
[0046] 상기 금은화(인동)는 한국 전역 산야의 숲가나 구릉지 또는 인가 주변에서 자란다. 줄기는 오른쪽으로 감고 올라가 길이가 3m에 이르고, 어린가지는 적갈색으로 털이 있으며 속이 비어 있다. 잎은 넓은 피침형 또는 난형으로 마주나며, 끝은 둔하다. 잎은 길이 3~8㎝, 너비 1~3㎝이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꽃은 6~7월경 잎겨드랑이에 1, 2개씩 피며, 꽃잎은 길이 3~4㎝로 처음에는 흰색이지만 곧 노란색으로 변한다. 꽃잎의 끝은 5개로 갈라지며 그중 1개가 깊게 갈라져 뒤로 말린다. 꽃잎 안쪽에는 굽은 털이 있고, 수술은 5개, 암술은 1개이다. 열매는 9~10월에 익는데 지름은 7~8㎜이다.인동과 겨우살이덩굴이란 이름은 겨울에도 줄기가 마르지 않고 겨울을 견디어내 봄에 다시 새순을 내기 때문에 붙여졌으며, 금은화란 이름은 흰꽃과 노란꽃이 한꺼번에 달리기 때문에 붙여졌다. 흔히 인동초(忍冬草)라고 불리는 것도 인동을 가르키는 것으로 곤경을 이겨내는 인내와 끈기를 일컫는 말로 쓰인다. 꽃을 따서 빨면 꿀이 나와 어린이들이 좋아한다. 어린가지와 잎에 갈색 털이 있는 것을 털인동(var. repens), 잎가장자리를 제외한 부분에 거의 털이 없고, 위 꽃잎이 반 이상 갈라지며 겉에 홍색이 도는 것을 잔털인동(for. chinensis)이라고 한다. 한방과 민간에서는 잎과 꽃을 이뇨제·해독제·건위제·해열제·소염제·지혈제로 쓰며 구토·감기·임질·관절통 등에 사용한다. 또한 인동주(忍冬酒)를 담그기도 하는데 이것은 각기병에 좋다고 하며, 목욕물에 풀어 목욕하면 습창·요통·관절통·타박상 치료에 적합하다고 하여 인삼에 버금가는 약초라고 한다. 주요성분으로 루테올린 이노시톨과 타닌 성분이 있다.
[0047] 상기 꿀풀(하고초)는 하고초는 꿀풀이라고 불리기도 합니다.하고초는 사람 무릎 아래에 가지색 꽃방아를 세워두고 덜 여문 옥수수 같이 띄엄띄엄 입술 모양의 꽃을 피운다고 합니다.하고초는 꽃에 꿀을 많이 함유라고 있어서 꿀벌들이 매우 좋아하는 꽃이라고 하는데요. 주위에 양봉을 하게 되면 하고초를 한약재로 사용한다.
[0049] 상기 대회향(팔각회향)는 팔각(八角)은 중국 원산의 붓순나무과에 속하는 상록 식물이다. 꽃은 적갈색이며, 열매는 향신료로 사용한다. 중국 남부 광시 좡족 자치구와 베트남 북부의 국경 지역에서 자생하며, 중국 남부나 남부 인도, 인도차이나에서 넓게 재배되고 있다.열매를 말린 것을 팔각 또는 팔각회향(八角茴香), 대회향(大茴香) 등으로 부르며 향신료로 쓴다. 아니스나 회향을 닮은 좋은 향이 난다. 주로 중화 요리에 사용되며, 다른 향신료와 섞어 오향분으로 사용된다.
팔각에서 추출된 시키믹산은 오셀타미비르(타미플루)를 만드는 재료로 사용되었지만, 팔각을 직접 먹는다고 효능이 있는 것은 아니다.
[0050] 상기 도라지(길경)는 풍선처럼 생긴 꽃눈이 자라 꽃이 된다. 나팔꽃처럼 벌어지는 꽃은 5갈래로 갈라지고, 두껍고 질기다. 열매는 다 익으면 5조각으로 갈라지는 씨꼬투리로 맺히며 끝이 터진다. 잎은 계란 모양으로 끝이 뾰족하며 잎자루가 없다. 길이 30~70㎝ 정도 자라는 줄기의 끝으로 갈수록 잎의 너비가 점점
좁아진다. 꽃은 연보랏빛이 도는 파란색 또는 흰색을 띠며, 갈라진 끝은 뾰족하고 지름 5~7㎝ 정도이다. 뿌리는 봄과 가을에 캐서 날것으로 먹거나 나물로 만들어 먹는다. 뿌리는 섬유질이 주요성분이며 당질·철분·칼슘이 많고 또한 사포닌이 함유되어 있어 약재로도 쓰인다. 한방에서는 뿌리를 캐서 껍질을 벗기거나 그대로 햇볕에 말린 것을 길경(桔梗)이라고 하는데, 인후통·치통·설사·편도선염·거담·진해·기관지염 등에 쓰고 있다. 일찍부터 식용·약용으로 써오던 도라지는 〈도라지타령〉에서 볼 수 있듯 우리 민족의 생활과도 매우 친근한 식물이다. 많은 변종들을 뜰에 관상용이나 가장자리용 식물로 심고 있다.
[0051] 상기 독활는 키는 2m 정도로 자라며 줄기 곳곳에 짧은 털이 나 있다. 잎은 3~5장의 잔잎으로 된 겹잎으로 어긋나며, 잔잎 가장자리에는 톱니가 있다. 꽃은 연한 초록색으로, 암꽃과 수꽃이 따로 한 그루에 피는데, 7~8월에 가지 끝에 산형(傘形)꽃차례로 핀다. 열매는 장과(漿果)로 10월에 검은색으로 익는다. 흔히 약으로 쓰기 위해 심기도 하는데, 한방에서 쓰는 독활은 봄과 가을에 뿌리줄기를 캐서 겉껍질을 벗겨 햇볕에 말린 것으로 편두통 치료에 쓰인다. 이른 봄에 어린순을 따서 날것으로 먹거나 삶아서 나물로 하거나 국을 끓여 먹기도 한다. 뿌리를 캐자마자 바로 햇볕에 말리면 향기가 없어지므로 바람이 잘 통하는 그늘에서 어느 정도 말린 다음 햇볕에 말리는 것이 좋다.땃두릅(Oplopanax elatus)의 뿌리 말린 것을 독활이라고도 하는데, 잎은 단풍나뭇잎처럼 갈라졌으며 줄기에는 침상(針狀)의 가시들이 빽빽하게 나 있어 독활과는 다르다.
[0052] 상기 동과씨(동과자)는 기관지의 염증을 제거하는 작용을 하므로 기침이 심하고 인후통이 있으며 담 배출이 쉽지않을때 사용한다. 동과자는 하초의 습열을 제거하는 효능이 있어서 하초의 습열로 인한 소변백탁이나 백대하의 병증에 응용한다. 폐열로 인한 기침을 멈추게 하고 폐나 장의 종양을 없앤다.
[0053] 상기 두충는 두충은 판상(板狀)을 이루는데 그 두께가 3~7㎜ 정도이고 크기는 다르다. 외면은 회색 또는 암회색을 나타내고 내면은 평활(平滑)한데 암자색(暗紫色)을 보이고 질은 깔끄럽다. 두충나무를 횡단하면 세백색(細白色)의 질긴 잠사상(蠶絲狀)의 섬유질이 나온다. 주성분은 상피질·수지·회분 등이다.일반적으로 5~6월에 채취되는 두충은 독이 없으며 단맛이 있고 맵다. 주로 신장과 간의 경락에 들어가 작용하며 효능은 보간신(補肝腎)·강근골(强筋骨)·안태(安胎 : 태아를 안정되게 함)이다. 두충은 주로 요통에 사용하며 특히 신양허(腎陽虛)로 인한 요통에 반드시 필요하며, 이때 속단(續斷)·토사자(兎絲子)·육종용(肉從容) 등을 배합해 사용한다. 또 신양허로 인한 임신중의 하복통(下腹痛), 성기출혈에 사용하는데 두충에는 유산방지작용이 있으므로 속단과 상기생(桑寄生)을 배합해 사용하며, 고혈압에 사용하기도 한다. 이때는 황금·하고초·상기생·우슬 등의 강압작용이 있는 약물을 배합해야 한다. 두충은 양기를 보해서 신체를 조정하는 것이 주된 작용이므로 간양상항(肝陽上亢 : 간의 음적인 요소가 부족하여 간의 양적인 요소를 제어하지 못하여 간정이 편왕하여 상항하게 되는 병리현상)의 고혈압에는 효과가 없다. 두충을 사용할 때는 주로 소금물에 적셔 볶아서 사용하지만, 신장염의 치료시 소금물에 볶아서는 안 된다.
[0054] 상기 띠(모근)는 마디가 있는 땅속줄기에서 줄기가 나와 곧추서서 80㎝ 정도 자란다. 잎은 긴 끈처럼 생겼는데 길이 20~50㎝, 너비 1㎝ 정도이다. 잎의 기부는 좁아져서 줄기를 감싸는 잎집[葉?]으로 된다. 꽃은 흰색이며 5~6월에 줄기 끝에서 길이가 20㎝에 달하는 수상(穗狀)꽃차례(흔히 이삭이라고 부름)로 핀다. 수술은 2개이며, 암술은 하나이나 암술머리는 2갈래로 나누어져 있다. 띠의 어린 새순을 '삘기'라고 하고, 꽃이 피지 않은 어린 이삭을 날것으로 먹기도 한다. 땅속줄기를 캐서 햇볕에 말린 모근(募根)은 한방에서 발한·이뇨·지혈 등에 쓴다. 더위 먹었을 때 땅속줄기와 메밀 볶은 것을 갈아서 달여 먹으면 효과가 있으며, 딸국질에도 좋다. 잎은 지붕이나 도롱이 같은 우장(雨裝)을 엮는 데 쓰이기도 한다
[0055] 상기 만삼(당삼)는 당삼은 한의약학적으로는 인삼과 다른 약재이며 만삼이라고도 부릅니다.도라지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인 만삼이며 우리나라 북부와 중부의 해발 600-1000m 되는 깊은 곳에서 자랍니다.
[0056] 상기 맥문는 굵은 땅속줄기에서 곧추 서는 잎들이 나온다. 잎은 길이 30~50㎝, 너비 0.8~1.2㎝이며 잎끝은 밑으로 숙이고 있다. 겨울에도 잎이 지지 않고 푸른색을 그대로 지니기도 한다. 꽃은 연한 보라색이며 5~6월에 잎 사이에서 길게 만들어진 꽃자루 위에 무리지어 핀다. 꽃은 6장의 꽃덮이조각으로 되어 있으며, 수술은 6개이다. 열매는 푸른색이 도는 흑색으로 익는다. 그늘에서 무리지어 자라기 때문에 뜰의 가장자리에 심고 있으며, 가물어도 잘 자라고 추위에도 잘 견딘다. 때때로 땅속줄기가 흰색 덩어리로 되기도 하는데, 봄·가을에 캐서 껍질을 벗긴 다음 햇볕에 말린 것을 맥문동이라고 하여 한방에서 강장·진해·거담제·강심제로 쓰고 있다. 개맥문동(L. spicata)은 맥문동과 비슷하나 잎맥의 수가 7~11개로 11~15개의 맥이 있는 맥문동과 구별된다. 개맥문동의 뿌리도 맥문동의 뿌리처럼 쓰고 있다.
[0057] 상기 몰약는미르라(myrrha)라고도 한다. 염료에 사용되는 화몰약(花沒藥)과 구별하기 위하여 연몰약(練沒藥)이라고도 한다. 담황색 또는 암갈색의 크고 작은 덩어리 물질로서 알코올에 녹여 미르라팅크로서 구중향료(口中香料)에 사용한다. 정유(精油) ·수지 ·고무질을 함유한다. 방부제로서 예전부터 사용되었고, 특히 미라를 만들 때 많이 쓰인 것은 널리 알려진 사실이다. 또 신약성서 <마태오의 복음서>(2:11)에서 동방박사가 아기예수에게 유향 ·황금과 함께 드린 몰약은 이것이다. 또 화몰약은 락깍지벌레가 분비하는 동물성 천연수지이며, 몰약 대신으로 쓰일 뿐 아니라 염료에도 사용되었고, 여기에서 적색색소만을 분리한 것이 연지로 쓰였다고도 한다. 또 색소를 제거한 담황색 수지를 셸락(락이라고도 한다)이라고 한다.
[0058] 상기 무우 씨(내복자)는 내복자의 뿌리를 내복(萊?)이라 하고 잎을 내복엽(萊?葉)이라 한다. 내복의 원산지는 지중해 지방이며 학명인 라파누스에서 내복이란 이름이 유래했다는 견해도 있다.이 약은 냄새가 없고 맛은 맵고 달며 성질은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고 평하다. [辛甘平] 내복자는 기를 통하게 하고 체한것을 내려가게 하는 효능이 있어서 복부창만, 트림, 위산과다, 설사 등에 사용한다. 기를 내리고 가래를 삭히며 해수, 천식, 변비에 효과가 있다. 식욕부진을 치료하고, 오래된 담, 오래된 기침을 멈추게 하는 효과가 있다. 약리작용으로는 포도상구균 등의 억제작용, 피부진균 억제작용, 혈압강하작용, 항염증작용 등이 보고되었다.
생김새는 눌려진 구형이고 바깥면은 엷은 갈색 또는 적갈색을 나타내며 확대경으로 보면 한쪽에 몇 줄의 세로홈이 있고 아래끝에 제점과 갈색을 나타내는 둥근 돌기와 그물 무늬가 있다. 횡단면은 황백색 또는 황색의 배아가 있고 기름기가 있다. 이 약은 알맹이가 충실하며, 고른 것이어야 한다. 다른 이름으로 나복자라고도 한다.
[0059] 상기 민들레(포공영)는 국화과의 민들레(Taraxacum platycarpum H. Dahlstedt) 또는 동속 식물의 전초를 말린 약재(한국). 중국에서는 포공영(Taraxacum mongolicum Hand-mazz:蒲公英), 감지포공영(Taraxacum sinicum Kitag.:?地蒲公英)을 사용한다. 일본에서는 공정생약에 수재되지 않았다.
포공영은 꽃이 금비녀의 머리처럼 생겨서 금잠초(金簪草)라고도 하고 줄기가 하나만 있는 것이 정(丁)같이 생겼기 때문에 지정(地丁)이라고도 한다. 옛날 어느 부잣집에 딸이 있었는데 가슴에 종양이 생겼으나 젖가슴을 의원에게 보일 수 없어 전전긍긍하고 있던 차에 어미로부터 외간 남자를 사귀어서 그렇게 된 것이라는 야단을 듣고 너무 상심하여 물에 뛰어 들게 된다. 마침 그곳에서 고기잡이를 하던 어부와 딸이 그 여자를 살려내 옷을 갈아 입히려다 가슴의 종양을 보고 산에 올라 약초를 뜯어 먹이니 낫게 되었다. 그래서 이 약초의 이름을 어부의 딸의 이름인 포공영(蒲公英)으로 지었다고 한다. 이 약은 냄새가 거의 없고 맛은 쓰고 달며 성질은 차다.[苦甘寒]포공영은 열독을 내리고 종기를 삭히는 약으로 종창, 유방염, 인후염, 옹종(맹장염, 폐농양, 복막염)에 쓰고 안구충혈, 급성간염, 황달, 열로 인해 소변을 보지 못하는 증상에 사용한다. 약리작용으로 억균작용, 면역기능강화, 담즙분비작용, 간기능보호작용, 이뇨작용이 보고되었다. 생김새는 긴 방추형의 뿌리와 근두부에 긴 타원형의 날개 모양으로 갈라진 잎이 여러 개 붙어 있다. 잎의 바깥 면은 황록색이나 회녹색이고, 뿌리는 엷은 갈색이나 흑갈색이며 꽃과 열매가 달려 있는 것도 있다.
[0060] 상기 박하는 야식향(夜息香)·번하채·인단초(仁丹草)·구박하(歐薄荷)라고도 한다. 습기가 있는 들에서 자란다. 높이 60∼100cm이다. 줄기는 단면이 사각형이고 표면에 털이 있다. 잎은 자루가 있는 홑잎으로 마주나고 가장자리는 톱니 모양이다. 잎 표면에는 기름샘이 있어 여기서 기름을 분비하는데 정유(精油)의 대부분은 이 기름샘에 저장된다. 여름에서 가을에 줄기의 위쪽 잎겨드랑이에 엷은 보라색의 작은 꽃이 이삭 모양으로 달린다. 수술이 4개이고 1개의 암술은 끝이 2개로 갈라지며 씨방은 4실이다. 꽃은 주로 오전 중에 피는데 암술은 꽃이 핀 후 3~4일, 수술은 2~3일 만에 수정된다. 종자는 달걀 모양의 연한 갈색으로 가볍고 작으며 20 → 30 → 15℃의 변온에서 발아가 잘 된다.박하유의 주성분은 멘톨이며, 이 멘톨은 도포제(塗布劑)·진통제·흥분제·건위제·구충제 등에 약용하거나 치약·잼·사탕·화장품·담배 등에 청량제나 향료로 쓴다.
[0061] 상기 배초향(곽향)는 옛날에 이름이 곽향(藿香)이라는 시누이가 올캐와 함께 살고 있었다. 오빠가 전쟁터에 나간 터라 둘은 친자매처럼 지냈다. 어느 여름 올캐가 더위를 먹어 구토와 두통으로 몸져 눕게 되었다. 시누이는 오빠가 알려주었던 풀을 캐러 갔다가 그만 독사에 물려 간신히 집으로 돌아왔고 올캐는 입을 대고 독을 뽑다가 그만 독에 중독되고 말았다. 다음날 마을 사람들은 이미 죽은 시누이와 거의 숨이 끓어지려는 올캐를 발견하게 되었다. 올캐는 그 약초가 더위 먹고 머리가 아프고 속이 울렁거릴 때 좋은 약이라며 시누이의 이름인 '곽향(藿香)'으로 불러달라는 말을 남기고 숨을 거두어서 이때부터 곽향이라 부르게 되었다.또는 잎이 콩잎을 닮아 '콩'이라는 뜻인 '곽(藿)'과 향이 난다는 뜻의 '향(香)'을 합해 '곽향'이라고 불리게 되었다는 설도 있다.이 약은 특이한 향기가 있고 약성은 맵고 약간 따듯하다.[辛微溫] 비위에 습이 정체되어 복부창만, 식욕부진, 메스꺼움, 구토, 설사 등을 치료한다. 소화장애를 동반한 감기, 여름철 식체로 인한 구토, 설사, 구취, 옴이나 버짐 등에 효과가 있다.약리작용으로 피부 진균, 대장균, 이질균, 폐렴균, 용혈성연쇄상구균 억제, 위액분비 촉진작용 등이 있다.곽향은 줄기가 푸르고 잎이 많이 붙어 있으며 향기가 짙다. 잎이 달린 네모단 줄기로로서 때로는 꽃봉오리가 붙어 있다. 줄기는 어두운 갈색이며 세로로 된 무늬와 마디가 있다. 질은 가볍고 연하며 꺾은면은 고르지 않고 섬유성이며 속이 비어 있다. 잎의 앞면은 어두운 녹색이고 뒷면은 회갈색으로 잎을 펴서 보면 난형~삼각난형이다.전국의 산에서 자라며 추위와 건조에도 강하여 재배하고 있고 방애잎, 중개풀, 방아풀이라 하여 어린잎을 추어탕 등 고기비린내 제거용으로 사용한다.
[0062] 상기 백강잠는 백감장의 효능 : 피부를 매끄럽게 지켜주며 노화방지 와 피부를 끗하게 하며 세정력이 뛰어나다. 피부를 진정시키는 효능 이 있다.
[0063] 상기 백리향(사향초)는 백리향은 우리나라 각처의 높은 산에 자라는 낙엽소관목이다. 생육환경은 햇볕이 잘 드는 바위 위에서 자란다. 키는 7~12㎝가량이고, 잎은 마주나며 달걀 모양을 한 타원형으로 길이가 0.5~1.2㎝, 폭이 0.3~0.8㎝이다. 잎 양면에 오목하게 들어간 선점(腺點)이 있으며 잎 가장자리에는 거의 톱니가 없다. 꽃은 상층부에 촘촘히 달라붙어 있으며, 분홍색으로 길이는 0.7~0.㎝가량이다. 이 식물은 향이 매우 진하여 향료식물로도 많이 이용한다. 열매는 9~10월경에 지름 1㎜ 정도의 아주 작은 것들이 암갈색으로 익는다. 관상용으로 쓰이며, 꽃을 포함한 모든 부분이 약용으로 쓰인다. 시중에 판매되는 허브 종류 중 “타임(Time)”이라는 품종이 있는데 이와 유사하다. 현재 국내 대기업에서 백리향을 이용해 다양한 제품을 출시하고 있으며 이 품종처럼 향, 맛, 기능성 측면에서 우수한 물질을 가진 것들이 많이 개발되어 우리나라 식물의 우수성을 널리 알렸으면 한다.심는 방법번식법 : 봄에 나온 새싹을 이용하여 화단에 삽목하거나, 가을이나 봄에 뿌리는 나누며, 9월에 결실되는 종자를 바로 화분에 뿌린다. 이른 봄이나 가을에 옆으로 뻗어 나온 가지를 떼어 내 심으면 새로운 개체가 된다. 종자 번식보다는 삽목이나 포기나누기를 권한다.관리법 : 화분이나 화단에 심어 햇볕이 잘 드는 돌 틈이나 양지쪽에 놓는다. 공중습도를 높여주는 것이 중요한데 하루에 2~3번 정도 분무기로 물을 뿌려 습도를 유지해 주고 물은 2~3일 간격으로 준다. 여름 고온기에서 통풍이 잘 되지 않아 속에 있는 식물체는 고사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바람이 잘 통하는 곳에 심어 관리해야 한다.
[0064] 상기 백수오는 박주가리과 줄기와 잎을 자르면 흰색유액이 분비됨 꼬투리 표면이 매끄럽고, 속에 흰솜털이 달린 농갈색종자가 들어있음
[0065] 상기 백합는 주로 햇볕이 직접 쬐지 않는 숲이나 수목의 그늘 또는 북향의 서늘한 곳에서 자란다. 잎은 어긋나고 줄 모양이거나 바소꼴인데 때로 돌려난다. 꽃은 크고 화피갈래조각은 6개로 떨어져 나며 내면에 밀구(蜜溝)가 있다. 수술은 6개이고 꽃밥은 T자형으로 달린다. 삭과는 납작한 종자이며, 종자의 수명은 보통 3년이다.가을에 심는 구근초로 북반구의 온대에 70∼100종이 있다. 특히 동아시아에는 종류가 풍부하며 아름다운 꽃이 피는 것이 많다. 옛날부터 세계 각지에서 진귀하게 여겨왔으며 개량하여 좋은 품종을 많이 길러냈다. 땅속의 비늘줄기는 채소로 쓴다.
[0066] 상기 복령는 북한명은 솔뿌리혹버섯이다. 일 년 내내 땅속에서 소나무 등의 나무뿌리에 기생한다. 자실체는 전배착생이며 버섯갓을 만들지 않고 전체가 흰색인데 관이 촘촘하다. 관은 길이 2~20㎜로 구멍은 원형 또는 다각형, 구멍 가장자리는 톱니 모양이다. 살은 육계색 또는 흰색이다. 홀씨는 7.5~9×3~3.5㎛의 원기둥 모양으로 조금 구부러지며 한 끝이 뾰족하고 밋밋하며 무색이다. 균핵(菌核)은 지하에 있는 소나무뿌리에 크기 10∼30cm로 형성되고 둥근 모양 또는 길쭉하거나 덩어리 모양이다. 버섯갓 표면은 적갈색, 담갈색, 흑갈색으로 꺼칠꺼칠한 편이며, 때로는 근피(根皮)가 터져 있는 것도 있다. 살은 흰색이고 점차 담홍색으로 변한다. 흰색인 것을 백복령(白茯笭), 붉은색인 것을 적복령(赤茯笭)이라 한다. 또 복령 속에 소나무 뿌리가 꿰뚫고 있는 것을 복신(茯神)이라고 한다. 모두 한약재로 강장, 이뇨, 진정 등에 효능이 있어 신장병, 방광염, 요도염에 이용한다. 한국, 중국, 일본, 북아메리카 등에 분포한다.
[0067] 상기 복분자는 복분자는 이것을 먹으면 요강이 소변 줄기에 뒤집어진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또한 음력 5월에 익은 열매가 검붉은색을 띠므로 오표자(烏?子), 대맥매(大麥?), 삽전표(揷田?), 재앙표(栽秧?)라고도 불렀다. 옛날 신혼부부가 있었는데 남편이 이웃마을에 볼 일을 보고 돌아오다가 길을 잃게 되어 배가 고파 우연히 덜익은 산딸기를 먹게 되었다. 시지만 너무 배가 고파 허겁지겁 먹고는 겨우 집으로 돌아 왔다. 다음날 아침 일어나서 소변을 보러 화장실에 갔는데 소변줄기가 너무 힘이 세어 오줌항아리가 뒤집어지고 말았다. 그래서 '뒤집어진다'는 뜻의 '복(覆)'과 '항아리'인 '분(盆)'을 합해 '복분자(覆盆子)'라는 이름이 생겼다고 한다. 이 약은 냄새가 없고 맛은 시고 달며 성질은 따듯하다.[甘酸溫] 복분자는 신(腎)기능을 북돋아 유정(遺精), 몽정(夢精), 유뇨(遺尿) 등에 사용하며 시력약화에 쓰고 몸을 가볍게 하며 머리를 검게한다. 또한 살결을 부드럽고 아름답게 하기도 한다. 약리작용으로 항염작용, 항산화작용, 항 헬리코박터 파이로리작용이 보고되었다. 생김새는 작은 단과가 여러 개 모여서 덩어리를 이룬 것으로 원추형이나 눌려진 구형을 이루고 있다. 바깥면은 황록색 또는 엷은 갈색을 띠고 끝쪽은 둥근 원형을 이루고 꽃받침의 중심부는 함몰되어 있다. 다른 이름으로 결분자(缺盆子), 복분(覆盆), 오표자, 대맥매(大麥?), 삽전표(揷田), 재앙표(栽秧?), 서국초(西國草), 필릉가(畢楞伽), 결분이라고도 한다.
[0068] 상기 비파엽는 비파엽은 6~8m의 아교목으로 10~11월에 가지 끝에 흰색의 꽃이 달린다. 비파나무의 꽃·열매·씨도 약용한다. 이 약은 냄새가 거의 없고 맛은 조금 쓰며 성질은 약간 차다.[苦微寒] 비파엽은 폐열(肺熱)로 인한 해수, 가래가 황색으로 끈끈하며 입 안이 쓰고 마를 때, 또한 인후가 건조한 증상에 사용한다. 또한 위열(胃熱)을 내려 구토에 사용한다. 비파는 폐결핵으로 인한 해수에 쓰고, 토혈, 코피를 그치게 하며, 번조 증상과 갈증을 풀어 준다. 꽃인 비파화는 감기로 인한 해수에 사용하며 비파핵은 해수에 진해, 거담 효과를 나타내고, 간 기능을 보호한다.약리작용으로 진해, 거담 작용, 요충을 죽이는 효과가 보고되었다.생김새는 긴 원모양이나 거꾸로된 계란모양으로 끝은 뾰족하고 잎 가장자리는 거친 톱니가 있다. 표면은 가죽질로 윗면은 녹색 또는 녹갈색이고 광택이 있다. 아랫면은 색이 엷고 어두운 갈색의 털이 조금 남아 있고 잎의 맥부분은 엷은 황갈색을 나타내며 돌출되어 있다. 윗면이 녹색 광택이 있고 건조가 잘 되어 있으며 뒷면에 털이 제거된 것이 좋다.다른 이름으로 무우선(無憂扇), 파엽(巴葉), 노귤(盧橘) 등이 있다. [0069] 상기 뽕나무가지(상지,영지버섯)는 불로초라고도 한다. 여름에 활엽수 뿌리 밑동이나 그루터기에서 발생하여 땅 위에도 돋는다. 버섯갓과 버섯대 표면에 옻칠을 한 것과 같은 광택이 있는 1년생 버섯이다. 버섯갓은 지름 5~15㎝, 두께 1~1.5㎝로 반원 모양, 신장 모양, 부채 모양이며 편평하고 동심형의 고리 모양 홈이 있다. 버섯갓 표면은 처음에 누런빛을 띠는 흰색이다가 누런 갈색 또는 붉은 갈색으로 변하고 늙으면 밤갈색으로 변한다. 살은 코르크질이며, 상하 2층으로 상층은 거의 흰색이고 관공(管孔) 부분의 하층은 연한 주황색이다. 갓의 아랫면은 누런 흰색이며 길이 5~10mm의 관공이 1층으로 늘어서 있고 공구는 둥글다. 버섯대는 3~15×1~2cm이고 붉은 갈색에서 검은 갈색이며 단단한 각피로 싸여 있고 약간 구부러진다. 홀씨는 2중막이며 홀씨 무늬는 연한 갈색이다. 한방에서는 강장·진해·소종(消腫) 등의 효능이 있어 신경쇠약·심장병·고혈압·각종 암종에 사용한다. 버섯대가 단단한 각피로 싸여 있고 니스를 칠한 것 같은 광택이 있어 일본에서는 만년버섯, 중국에서는 영지라고 하여 한약재료로 귀하게 사용하고 장식용으로도 이용된다. 세계적으로 널리 분포한다.
[0070] 상기 사철쑥 (인진호)는 애탕쑥 이라고도 한다. 냇가의 모래땅에서 흔히 자란다. 높이 30∼100cm이다. 밑부분은 목질이 발달하여 나무같이 되고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 꽃이 피지 않는 가지는 끝에 잎이 뭉쳐나고 잎자루가 길다. 밑부분에 달린 잎은 잎자루가 길고 길이 1.5∼9cm, 나비 1∼7cm로서 2회 깃꼴로 갈라진다. 갈래조각은 실처럼 가늘고 나비 약 0.3mm이며 전체가 비단 같은 털로 덮인다. 위로 갈수록 잎이 작아진다.꽃은 8∼9월에 노란색으로 피고 두화(頭花)는 둥글며 지름 2mm 정도로 원추꽃차례에 달린다. 길이 1∼2mm의 꽃자루가 있다. 총포는 둥글고 털이 없으며 포조각은 3∼4줄로 늘어선다. 바깥조각은 달걀 모양, 안조각은 타원 모양이다. 열매는 수과로서 길이 약 0.8mm이다. 어린순을 식용하며, 포기 전체를 염증을 없애는 이뇨제로 쓰거나 황달에 사용한다. 한국·일본·타이완·중국·필리핀 등지에 분포한다.[0071] 상기 사프란는 온난하고 비가 적은 곳에서 잘 자란다. 높이 약 15cm이다. 알뿌리는 지름 3cm로 납작한 공 모양이다. 잎은 알뿌리 끝에 모여나며 줄 모양이고 꽃이 진 다음 자란다. 끝이 점차 뾰족해진다. 꽃은 깔때기 모양이며 10∼11월에 자주색으로 핀다. 새잎 사이에서 나온 꽃줄기 끝에 1개가 달린다. 꽃줄기는 짧고 밑동이 잎집으로 싸인다. 화피와 수술은 6개씩이고 암술은 1개이다. 암술대는 3개로 갈라지고 붉은빛이 돌며 암술머리는 육질이다. 유럽남부와 소아시아 원산이다. 원예상으로는 꽃이 봄에 피는 종과 가을에 피는 종으로 크게 나누는데, 봄에 피는 종을 크로커스, 가을에 피는 종을 사프란이라고 하여 구분하기도 한다. 암술대를 말려서 진정(鎭靜)·진경(鎭痙)·통경(通經)·지혈제로서 월경곤란·갱년기장애·유산벽(流産癖)·자궁출혈과 백일해 등에 약으로 쓴다. 10만 배로 희석하여도 노란색을 띠기 때문에 음식물의 빛깔을 내는 데도 사용한다.사프란이라는 말은 아랍어의 아자프란(azafran) 또는 자파란(zafaran)에서 비롯하였으며 본래 사프란의 암술대를 가리키는 말이었다. 약이나 염료로 쓰기 시작한 것은 8세기부터로서 에스파냐를 정복한 무어인이 전하였고, 인도와 페르시아에서는 그보다 훨씬 전부터 재배하였다. 16세기 이후에는 요리와 약용으로 많이 사용하였고 머리염색제로도 썼다. 가을에 알뿌리를 심고 다음해 5∼6월에 파서 말렸다가 다시 심는데, 이어짓기하는 것은 좋지 않다.
[0072] 상기 산사는 산사라는 이름은 열매가 사과맛이 나고 색이 붉어 작은 사과와 같아서 붙여진 이름이다. 산사 열매는 산의 풀숲에서 자라기 때문에 원숭이와 쥐가 잘 먹기 때문에 원숭이 후나 쥐 서(鼠)를 붙여서 서사, 후사라고도 한다. 또한 산사의 모양이 붉은 대추와 비슷하기 때문에 적조자(赤棗子)라 부르기도 하였다. 이 약은 특이한 냄새가 있고 맛은 약간 시고 달며 성질은 약간 따듯하다 酸甘微溫]
산사는 비위를 따뜻하게 하여 소화를 촉진하며 고기를 먹고 체했을때 효과가 있고 복통, 구토, 설사, 위산과다, 만성장염등에 사용한다. 또한 혈분에 작용하여 혈의 흐름을 돕고 어혈을 없애준다. 생김새는 둥글고 붉으며, 흰색의 반점이 있다. 바깥면은 황갈색이나 회색을 띤 적갈색이며 많은 가는 주름이 있다. 한쪽에는 지름 5㎜의 오목하게 들어간 곳이 있고 그 주변에 가끔 꽃받침이 남아 있으며, 다른 한쪽에는 과병 또는 자국이 남아 있다. 옆으로 자른면에는 5실로 된 씨방이 있으며 각 방에는 1개의 씨가 들어 있다. 씨는 공을 몇 개로 등분한 모양으로 길이 6 ~ 8 mm이며 바깥면은 엷은 갈색이고 딱딱하며 질은 단단하다. 다른 이름으로 산사(酸査), 산리홍(山里紅), 홍과(紅果), 북산사(北山査), 적과자(赤瓜子), 산조홍(山棗紅), 홍과자(紅果子), 양구자(羊仇子), 당구자(棠?子), 모사(茅?), 산리과(山里果), 서사(鼠査), 서사(鼠?), 양구(羊?), 적조실(赤爪實), 후사(??), 구자(?子), 계매(?梅)라고도 한다.
[0073] 상기 산수유는 층층나무과의 낙엽교목인 산수유나무의 열매이다. 타원형의 핵과(核果)로서 처음에는 녹색이었다가 8~10월에 붉게 익는다. 종자는 긴 타원형이며, 능선이 있다. 약간의 단맛과 함께 떫고 강한 신맛이 난다. 10월 중순의 상강(霜降) 이후에 수확하는데, 육질과 씨앗을 분리하여 육질은 술과 차 및 한약의 재료로 사용한다.과육(果肉)에는 코르닌(cornin)·모로니사이드(Morroniside)·로가닌(Loganin)· 타닌(tannin)·사포닌(Saponin) 등의 배당체와 포도주산·사과산·주석산 등의 유기산이 함유되어 있고, 그밖에 비타민 A와 다량의 당(糖)도 포함되어 있다. 종자에는 팔미틴산·올레인산·리놀산 등이 함유되어 있다. 성분 중 코르닌은 부교감신경의 흥분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예로부터 한방에서는 과육을 약용하였다. 《동의보감》 《향약집성방》 등에 의하면 강음(强陰), 신정(腎精)과 신기(腎氣)보강, 수렴 등의 효능이 있다고 한다. 두통·이명(耳鳴)·해수병, 해열·월경과다 등에 약재로 쓰이며 식은땀· 야뇨증 등의 민간요법에도 사용된다. 차나 술로도 장복하며, 지한(止汗)· 보음(補陰) 등의 효과가 있다.산수유나무는 한국·중국 등이 원산으로, 한국의 중부 이남에서 심는다. 국내에서는 전라남도 구례군 산동면과 경기도 이천시 백사면 일원, 경상북도 의성군 등에서 특산품으로 매년 출하하고 있다.
[0074] 상기 산약는 옛날 중국에서 국가 간에 영토싸움이 한창일 때 싸움에 져 쫓겨간 군사들이 산 속에 숨어서 1년을 버티고 있다가 포위하고 있던 군사들을 기습하여 빼앗겼던 영토를 회복했다고 한다. 군사들은 산 속에서 잘 자라고 뿌리가 굵고 맛이 달아 먹기에 좋은 약초를 먹고 굶어 죽지 않고 힘을 축적할 수 있었는데 당시 이 약초를 ‘산에서 우연히 만났다’는 뜻에서 산우(山遇)라고 불렀다. 그 후에 ‘산에서 몸을 보하는 약’이라는 뜻으로 산약(山藥)이라고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생김새는 원주형 또는 고르지 않은 원주형을 이루며 간혹 세로나 가로로 자른 것도 있다. 바깥면은 유백색 또는 황색을 띤 흰색이며 꺾은 면은 평탄하고 분질 또는 각질이며 유백색이다. 질은 단단하며 꺾어지기 쉽다. 가을 상강(霜降) 후부터 동지(冬至) 사이에 채취하여 건조한 것으로, 외면은 흰색 또는 황갈색을 띠고 내부는 분질(粉質) 또는 호화(糊化)된 각질(角質)로 단단하다. 성분은 전분·점액질·단백질·지방·아르지닌콜린 등과 디아스타제를 함유하고 있다. 냄새가 거의 없으며 맛은 달고 성질은 따듯하다. 효능으로 식욕이 감퇴하며 원기가 부족할 때는 백출(白朮)·연밥·인삼 등과 함께 달여 복용하며, 정액이 새거나(遺精) 잠잘 때 식은 땀을 흘릴 경우(盜汗) 숙지황·산수유 등과 달여 복용한다. 산약은 비기능을 높여 권태감, 무력감, 음식감소, 설사 등을 다스리며 폐음을 보해 해수, 천식, 가래를 없애고, 소갈증, 허리와 무릎 시린 증상, 유정, 조루증, 소변 자주 보는 증상, 신체허약과 빈혈, 사지마비동통 등에 사용한다. 약리작용으로 장관활동자극, 혈당강하, 항노화작용 등이 보고되었다.
[0075] 상기 삼씨(마인) 는 삼씨를 말한다. 이른 봄에 심은 것을 춘마자(春麻子)라고 하는데, 알이 작고 독이 있다. 늦은 봄에 심은 것을 추마자(秋麻子)라고 하는데, 이것을 약으로 쓰는 것이 좋다. 삼씨는 껍질을 벗기기가 어렵기 때문에 2∼3일 동안 물에 담가 두었다가 껍질이 터진 다음 햇볕에 말려 비벼서 씨알을 받아 쓴다. 성질이 평범하고, 맛은 달며, 독이 없다.족태음경(足太陰經)과 수양명경(手陽明經)에 들어가는 약재이다. 심신이 피로하고 쇠약한 것을 보하고, 다한증, 위에 열이 있는 증세와 풍병에 효과가 있다. 대장에 풍열(風熱)이 몰려서 대변이 잘 나가지 않는 증세를 치료하고, 오줌을 잘 나가게 하며, 열림(熱淋:요도가 화끈거리는 증상)에 효과가 있다. 《본초강목》에 의하면 마자를 많이 먹을 경우, 정기(正氣)가 잘 빠져나가고, 양기(陽氣)가 부족해진다고 하므로 많이 먹으면 좋지 않다.
[0076] 상기 삽주뿌리(백출) 는 출(朮)이란 뿌리와 가지잎의 모양을 본떠 만든 글자라고하며 맛이 개자와 비슷해 산개(山芥)라고도 하고 잎이 엉겅퀴류와 비슷하여 천개(天芥)라고도 하였다. 옛날 아름다운 흰 두루미 한마리가 어잠이라는 곳의 학산에다 약초를 심고 이를 돌보다가 그곳에서 백출이라는 약초가 되어버렸다. 그후 음력 9월 9일에 다시금 미녀로 변하여 국화무늬와 붉게 수놓은 흰 치마를 입고 구름을 타고 내려와 한 의원의 부인에게 백출을 건네주고는 용도와 복용법을 일러주고 사라졌다. 다음해 9월 9일에 미녀가 다시 나타났는데, 호기심이 발동한 의원의 부인은 미녀의 치마에 실을 꿰어 놓고 뒤를 따라가게 되었다. 실이 끝난 자리에는 누가보더라도 영험해 보이는 백출이 자라고 있었다. 욕심에 눈이 먼 의원의 부인이 천년은 묵어보이는 백출을 캐자 갑자기 굉장한 빛이 나면서 부인의 눈은 멀었고 백출은 사라져 버렸다고 한다. 지금도 중국의 어잠에는 학산이라는 마을이 있으며 그곳에서 나는 백출은 특별히 어출 이라고 부른다. 이 약은 특이한 냄새가 있고 맛은 약간 쓰고 달며 씹으면 점성을 띠고 성질은 따듯하다.[苦甘溫] 백출은 비위(脾胃)의 기능이 허약해서 소식, 권태감이 생기고 얼굴빛이 황색이며 대변을 묽게 보거나 설사에 좋으며 수분이 정체되어 전신이 붓고 소화가 안 될때 수분 배설을 돕는다. 비(脾)에 수(水)와 습(濕)이 쌓여 담음(痰飮)을 인한 가슴 뜀, 기침, 맑은 가래등에도 쓰며 비기(脾氣) 허약으로 피부에 땀이 저절로 날때, 임신 구토에도 사용한다. 위장 장애가 있는 감기, 사지동통 에도 쓴다. 약리적으로 생쥐의 체중 증가와 지구력 증가, 탐식 능력을 증가, 세포 면역 기능 촉진이 보고되었다. 또한 장관(腸管) 억제 작용과 흥분 작용을 조절, 항궤양 및 간 기능 보호 작용, 면역 기능 항진작용, 혈관 확장 작용, 이뇨 작용 및 혈당 강하 작용, 항암 작용 등이 보고되었다. 생김새는 고르지 않은 덩어리 또는 일정하지 않게 구부러진 원주 모양 이다. 바깥면은 엷은 회황색이나 엷은 황백색으로 군데군데 회갈색을 띠고 질은 단단하여 잘 꺾이지 않으며 꺾은면은 섬유성질이 있고 황갈색의 유실이 흩어져 있다. 곳곳에 컵모양의 작은 돌기가 있으며 연속적이지 않은 세로 주름과 홈이 있고 뿌리가 붙었던 자국이 있으며 윗쪽 끝에는 줄기가 남아있거나 싹의 자국이 있다. 다른 이름으로 동백출(冬白朮), 마계(馬?), 부계, 산강(山姜), 산정(山精), 양부(楊?), 오출(吳朮), 출(朮), 흘력가(吃力伽), 산계, 산개(山芥), 천계 등이 있다
[0077] 상기 는 중요한 한약재는 여러 가지가 있다. 갈근(葛根)은 칡뿌리. 기(氣)는 평(平)하므로, 발한(發汗), 해열제(解熱劑)로서 열성병·감기, 근육이 결리는 데 쓴다. 또 간(肝)을 조정해 준다. 감초는 콩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草本)의 뿌리. 기는 평(平)하며 달고 쓴맛이 적으며, 굵은 것이 좋다. 완해(緩解)·진해(鎭咳)·거담(去痰)·진통제이며, 급박증세(急迫症勢)에 쓴다. 강활(羌活)은 미나리과에 속하는 2∼3년초의 뿌리. 기는 따뜻하므로, 발한·해열·진통제로서 감기·동통,부종에 쓰인다. 개자(芥子)는 겨자씨. 기는 열(熱)하고 맛은 맵다. 진해·거담제로서 만성기관지염에 쓴다. 또 건위제로도 쓰인다. 결명자(決明子)는 차풀과에 속하는 결명자의 씨. 기는 평(平)하고 소염·완하(緩下)·이뇨제(利尿劑)로서 간장병·안질에 쓴다. 계지(桂枝)는 육계나무의 가지. 신미(辛味)가 강하고 감미(甘味)가 있어 떫지 않은 것을 쓴다. 기는 따뜻하고 발한·해열·진통제로서 두통·발열·상기(上氣)·동통(疼痛)에 쓴다. 고삼(苦蔘)은 콩과에 속하는 다년초의 뿌리. 기는 한(寒)으로, 건위·이뇨·해열·진통제로서 창종(瘡腫)·수종(水腫)에 쓴다. 구기자(拘杞子)는 가지과에 속하는 구기자나무의 열매. 기는 평(平)하며, 자양(滋養)·강장(强壯)·소염제로서 허약자·폐병·당뇨병 등에 쓴다. 길경(桔梗)은 도라지의 뿌리. 기는 미온으로, 소염·거담제로서 화농성 질환·기침·기관지염에 쓴다. 나복자 (蘿?子)는 무의 씨. 기는 평(平)으로, 건위·거담제로서 위염·기관지염에 쓴다. 녹용(鹿茸)은 사슴의 새로 돋은 연한 뿔. 기는 따뜻하며 강장·강정제로서 신경쇠약·음위(陰萎)·유정(遺精)에 쓴다. 당귀(當歸)는 미나리과에 속하는 승검초의 뿌리. 성질은 온(溫)하고 맛은 달며, 진정·구어혈(驅瘀血)·강장제로서 빈혈·복통·신체냉감·동통·월경곤란에 쓴다. 대복피(大腹皮)는 빈랑(檳?) 씨의 외과피(外果皮). 건위·정장(整腸)·이뇨제로서 복수(腹水)를 고친다. 대황(大黃)은 마디풀과에 속하는 장군풀의 뿌리. 성질은 차고 맛은 달며 소염·통리작용(通利作用)이 있어 대소변 불통·어혈(瘀血)·염증성 질환에 쓴다. 두충(杜沖)은 두충나무의 수피(樹皮). 성질은 따뜻하며, 진정·진통·강장제로서 신경통·근육통·소변불통·고혈압에 쓰인다.맥문동(麥門冬)은 맥문아재비과에 속하는 맥문동의 뿌리. 성질은 미한하며, 자양강장·강심·거담·진해·이뇨제 등으로 쓴다. 반하(半夏)는 다년초인 반하의 둥근 뿌리. 성질은 따뜻하며, 진구(鎭嘔)·진토(鎭吐)·진정·거담제로서, 위내정수(胃內停水)가 되고 상기(上氣)로 인한 오심(惡心)·구토·심계항진(心悸亢進)에 쓴다. 방기(防己)는 새모래덩굴과에 속하는 방기의 줄기와 뿌리. 성질은 한(寒)이며, 소염·이뇨·진통제로서 수종(水腫)·신경통·관절염·류머티즘에 쓴다. 백출(白朮)은 엉거시과에 속하는 삽주의 어린뿌리가 결구(結球)된 것. 성질은 따뜻하며 이뇨제·건위제로 쓴다. 복령(茯?)은 불완전균류(不完全菌類). 땅 속의 소나무 뿌리에 기생한다. 성질은 평(平)하고 이뇨·진정제·강심제로서 소변불통(小便不通)·심계항진·호흡곤란 등에 쓴다. 사삼(沙蔘)은 더덕의 뿌리. 성질은 미한하고, 진해·거담제로서 기관지염에 쓴다. 사향(麝香)은 사향노루 수컷의 배꼽과 불두덩을 싸고 있는 일종의 주머니 속에 있는 내용물. 성질은 따뜻하고 흥분·강심·진경제(鎭痙劑)로서 급성병에 쓴다. 산수유(山茱萸)는 산수유나무의 열매. 성질은 미온하고 맛은 시고 떫다. 수령성 강장제로서 음위(陰萎)·유정(遺精)·전신무력·신경쇠약에 쓴다. 산약(山藥)은 마의 뿌리. 성질은 평(平)하고 자양(滋養)·강장·지사제(止瀉劑)로서 장염·유정·유뇨·도한(盜汗)에 쓴다. 승마(升麻)는 성탄꽃과에 속하는 승마의 뿌리. 성질은 미한하고 맛은 쓰다. 해열·해독·진통제로서 신열·두통·인후통 등에 쓴다. 시호(柴胡)는 미나리과에 속하는 다년초인 시호의 뿌리. 성질은 미한하며, 해열제로서 흉협고만(胸脇苦滿)·한열왕래(寒熱往來)·호흡기병에 쓰고 간장의 해독작용 강화에 쓴다. 오미자(五味子)는 오미자나무의 열매. 성질은 따뜻하며, 진해·거담제로서 기침·구갈(口渴)에 쓴다. 또 자양강장제로도 쓴다. 우황(牛黃)은 소의 담낭 결석. 성질은 양(凉)하고, 해열·진정·진경(鎭痙)·해독·강심제로서 심장병·소아경간(小兒驚癎)에 쓴다. 웅담(熊膽)은 곰의 쓸개 속의 내용물을 말려서 고형(固形)으로 한 것. 성질은 한(寒)하며, 이담제(利膽劑)·담즙분비촉진제·진통·진경제로서 급성병·소아병·타박상 등에 쓴다. 의이인(薏苡仁)은 율무의 알맹이. 성질은 미한하다. 강장·이뇨·소염·진통제로 부종·동통에 쓰고 사마귀를 없애준다. 최근에는 항암효과가 있다는 설도 있다. 인삼은 오갈피나무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草本)인 인삼의 뿌리. 성질은 따뜻하다. 강장·강정·건위정장제로 보혈·식욕부진·갱년기장애·피로의 방지와 회복·류머티즘·당뇨병·간장병·성무력증(性無力症)·정자결핍증·노화방지에 쓴다. 만병의 영약(靈藥)으로 알려지고 있다.천궁(川芎)은 미나리과에 속하는 천궁의 뿌리. 성질은 따뜻하고 맛이 시다.구어혈(驅瘀血)·보혈강장·진통제로서 빈혈증·냉증·월경불순·부인병에 쓴다. 택사(澤瀉)는 다년초인 택사의 뿌리. 성질은 냉하다. 이뇨·지갈(止渴)·진통제로서 소변불통·부종·신장염·방광염 등에 쓴다. 하수오(何首烏)는 새박 뿌리. 성질은 따뜻하다. 강장·강정제로서 신경쇠약·노쇠·만성마비·선병질(腺病質)에 쓴다. 향부자(香附子)는 다년초인 향부자의 땅속줄기. 성질은 평(平)하고 모든 기병(氣病)에 쓰이며, 건위·진정·진통·구어혈제로서 소화불량·설사·복통·월경불순·부인병에 쓰인다. 황기(黃?)는 콩과에 속하는 다년초인 황기의 뿌리. 성질은 미온하며, 지한(止汗)·이뇨·강장제로서 허약자·영양불량·자한(自汗)·도한·소변불통에 쓰인다.
[0078] 상기 생강(건강)는 새앙·새양이라고도 한다. 동남아시아가 원산지이고 채소로 재배한다. 뿌리줄기는 옆으로 자라고 다육질이며 덩어리 모양이고 황색이며 매운 맛과 향긋한 냄새가 있다. 뿌리줄기의 각 마디에서 잎집으로 만들어진 가짜 줄기가 곧게 서고 높이가 30∼50cm에 달하며 윗부분에 잎이 2줄로 배열한다. 잎은 어긋나고 줄 모양의 바소꼴이며 양끝이 좁고 밑 부분이 긴 잎집이 된다. 한국에서는 꽃이 피지 않으나 열대 지방에서는 8월에 잎집에 싸인 길이 20∼25cm의 꽃줄기가 나오고 그 끝에 꽃이삭이 달리며 꽃이 핀다. 꽃은 포 사이에서 나오고 길이가 4∼7.6cm이다. 꽃받침은 짧은 통 모양이고 화관의 끝 부분은 3개로 갈라지며 갈라진 조각은 끝이 뾰족하다. 수술은 1개이고 꽃밥은 황색이다. 씨방은 하위(下位)이고 암술대는 실처럼 가늘다. 한국에서는 《고려사》에 있는 생강에 대한 기록으로 보아 고려시대 이전부터 재배했으리라 추정하고, 고려시대 문헌인 《향약구급방》에는 약용 식물로 기록돼 있다. 1996년 한국의 생강 생산량은 2만 7890톤이고 전라북도·충청남도에서 총생산량의 92%를 차지하고 있다.뿌리줄기는 말려 갈아서 빵·과자·카레·소스·피클 등에 향신료로 사용하고, 껍질을 벗기고 끓인 후 시럽에 넣어 절이기도 하며 생강차와 생강주 등을 만들기도 한다. 한방에서는 뿌리줄기 말린 것을 건강(乾薑)이라는 약재로 쓰는데, 소화불량·구토·설사에 효과가 있고, 혈액 순환을 촉진하며, 항염증과 진통 효과가 있다.고온성 작물이므로 발아하려면 기온이 18℃ 이상이어야 하고, 20∼30℃에서 잘 자라며, 15℃ 이하에서는 자라지 못한다. 번식은 주로 뿌리줄기를 꺾꽂이한다.
[0079] 상기 생지황는 중국이 원산지이고 약용식물로 재배한다. 뿌리는 굵고 육질이며 옆으로 뻗고 붉은빛이 도는 갈색이다. 줄기는 곧게 서고 높이가 20∼30cm이며 선모가 있다. 뿌리에서 나온 잎은 뭉쳐나고 긴 타원 모양이며 끝이 둔하고 밑 부분이 뾰족하며 가장자리에 물결 모양의 톱니가 있고, 잎 표면은 주름이 있으며, 뒷면은 맥이 튀어나와 그물처럼 된다. 줄기에 달린 잎은 어긋난다. 꽃은 6∼7월에 붉은빛이 강한 연한 자주색으로 피고 줄기 끝에 총상꽃차례를 이루며 달리며, 잎 모양의 포가 있다. 꽃받침은 종 모양이고 5개로 갈라지며, 갈라진 조각은 삼각형이고 선모가 있다. 화관은 통 모양이고 선모가 있으며 끝 부분이 5개로 갈라져 퍼지면서 입술 모양을 이룬다. 수술은 4개인데, 그 중에 2개가 길다. 열매는 삭과이고 10월에 익는다.한방에서는 뿌리의 생것을 생지황, 건조시킨 것을 건지황, 쪄서 말린 것을 숙지황이라고 한다. 숙지황은 보혈제로 쓰이고 생리불순·허약 체질·어린이의 발육 부진·치매·조루증·발기부전에 사용하며, 생지황은 허약 체질·토혈·코피·자궁 출혈·생리불순·변비에 사용하고, 건지황은 열병 후에 생기는 갈증과 장기 내부의 열로 인한 소갈증에 효과가 있으며 토혈과 코피를 그치게 한다.
[0080] 상기 석창포 산지나 들판의 냇가에서 자란다. 뿌리줄기는 옆으로 벋고 마디에서 수염뿌리가 나오며 땅 속에서는 마디 사이가 길지만 땅 위에 나온 것은 마디 사이가 짧고 녹색이다. 잎은 뿌리줄기에서 뭉쳐나고 길이가 30∼50cm이며 줄 모양이고 잎맥이 없으며 끝이 뾰족하다. 바깥쪽 잎의 밑 부분이 안쪽 잎의 밑 부분을 싸고 있고 엇갈려서 2줄로 배열한다.꽃은 양성화이고 6∼7월에 노란 색으로 피며 잎처럼 생긴 길이 10∼30cm의 꽃줄기에 수상꽃차례를 이루며 많은 수가 빽빽이 달린다. 꽃잎과 수술은 각각 6개이고, 암술은 1개이다. 암술머리는 공 모양이고, 씨방은 상위(上位)이고 육각형이다.열매는 삭과이고 달걀 모양이며 녹색이고 밑 부분에 화피 조각이 남아 있다. 종자는 긴 타원 모양이고 밑 부분에 털이 많다. 한방에서는 뿌리줄기를 진통제·진정제·건위제로 사용하고, 민간에서는 목욕물에 넣기도 한다. 한국(중부지방 이남)·일본·중국·인도 등지에 널리 분포한다.
[0081] 상기 쇠무릅(우슬)는 옛날 뼈나 근육에 대한 병과 간과 신장병에 걸린 환자를 잘 치료하는 의원이 있었는데 자신의 후계자로 삼을 진실한 제자를 찾기위해 시험을 해보기로 했다. 그는 빈털터리 행색으로 제자들의 집에 머무르며 그들의 태도를 지켜보기로 했다. 그 결과 가장 어린 제자만이 돈 없는 스승을 진실하게 대하였다. 이에 감복한 의원은 그에게 한 약초의 효능을 전해주며 "뼈와 근육은 물론이고 간장과 신장의 병을 치료하는 약이니 이 약으로 많은 사람을 구해주거라."라는 말을 남겼다고 한다. 제자는 스승의 뜻대로 이 약초를 잘 써서 명의가 되었으며, 이 약초의 마디의 생김새가 마치 소의 무릎을 닮아 '우슬(牛膝)'이라 불렀다고 한다.이 약은 냄새가 거의 없고 점액성이다. 맛은 약간 쓰고 시며 성질은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고 평하다.[苦酸平]우슬은 생것을 쓰면 어혈과 종기를 없애고, 찌면 간과 신을 보해 근육, 골격을 튼튼하게 한다. 어혈을 제거해줌으로 생리불순, 산후복통에 쓰며, 골수를 보충하고 음기를 잘 통하게 하여 관절염에 쓰고, 음허화동으로 인한 입안과 혀의 발진을 치료한다.약리작용으로 자궁흥분작용, 콜레스테롤 강하작용, 이뇨작용, 혈당강하작용, 간기능 개선작용등이 보고되었다.생김새는 가늘고 긴 원주형의 원뿌리 또는 곁뿌리가 달린 원뿌리 형태이며 근두부는 약간의 근경이 붙어 있든가 또는 제거되어 있다. 원뿌리는 대개 막대모양이거나 또는 약간 구부러졌고 바깥면은 회황색 또는 황갈색이며 많은 세로주름과 드문드문 곁뿌리의 자국이 있다.다른 이름으로 우경(牛莖), 백배(百倍), 산현채(山?菜), 대절채(對節菜), 계교골(鷄膠骨)등이 있으며 특히 중국에서는 우슬을 하남성 회경(懷慶)산을 우량품으로 인정하여 회우슬(懷牛膝)이라고 부른다.
[0082] 상기 숙지황는 지황은 현삼과에 딸린 여러해살이 약용식물로 그 뿌리를 한방에서 약재로 쓰는데, 날것을 생지황, 말린 것을 건지황이라 하며, 숙지황 중 특히 술에 담갔다가 쪄서 말리기를 9번 되풀이하여 만든 것은 구지황이라 하여 그 약효를 으뜸으로 친다. 맛은 달면서도 쓴맛이 돌고 따뜻한 성질이 있어 혈을 보(補)하고 정(精:생명이 발생하고 활동하는 데 기본이 되는 물질)을 보충해서 허리와 무릎이 시리고 아픈 증상이나 월경이상, 어지럼증 등을 치료하고 머리를 검게 하는 효능이 있다.숙지황은 사물탕(四物湯)의 주요 약재이며 각종 만성병 중 몸이 허약하여 나타나는 내열(內熱), 인후건조(咽喉乾燥), 갈증 등의 증상에 쓰인다. 사물탕은 여성의 출산 후나 월경 등으로 인한 과다출혈, 허약, 어지럼증 등에 널리 쓰인다. 예로부터 허담(虛痰)을 치료하는 데 효과가 있어 차로 달여 마셨으며, 기침과 천식에 복령(茯笭)·반하(半夏) 등과 배합하여 사용하였다. 이밖에도 돼지고기를 삶은 국물과 함께 복용하면 습관성 변비에 효과가 있다. 영양분이 많고 기름기가 있어 장기간 복용하면 소화장애를 일으켜 설사·복창(腹脹) 등 부작용이 생긴다. 그러므로 입맛이 없고 소화가 안되며 설사를 하는 환자에게는 신중하게 사용해야 한다.
[0083] 상기 아출(봉출)는 생강과(Zingiberaceae)식물인 아출(Curcuma zedoaria) 의 根莖다년생 숙근초본으로 높이는 약 1m, 근경은 둥근 괴상으로 측면에 원주형의 가지를 내며, 측근은 둥근 괴근으로 성장하는 데 가로로 자른면은 중심이 옅은 남색을 띠며 서서히 흑변한다. 거의 난형을 이루고 지름 25 ~ 40mm, 길이 4 ~ 6cm이다. 바깥면은 회황갈색 ~ 회갈색을 띠고 마디는 환상으로 두드러졌고 마디사이는 5 ~ 8mm 이며 가느다란 세로주름과 뿌리를 없앤 자국 및 곁뿌리줄기의 작은 융기가 있으며 확대경 으로 보면 바깥면에 거친 털이 있다. 각질로서 자르기 힘들며 그 횡단면은 회갈색이고 두께 2 ~ 5mm의 피?과 넓은 중심주와의 사이에는 엷은 회갈색의 줄이 보인다. 잎은 서로 감싸면서 줄기처럼 된다. 어긋나고 엽병이 길며, 폭은 20㎝정도, 엽맥의 중앙에는 1본(本)의 자색 조문이 있다.
꽃줄기는 잎보다 먼저 자라며 길이 6 ~ 15 cm로 되고 잎이 없으며 잎집으로 싸이고 끝에 수상꽃차례[穗狀花序] 로 달린다. 꽃은 수상화서로 뿌리에서 나오며 3∼5월에 핀다.과실은 삭과로 둥근 삼각형이며 종자는 긴 원형이다. 또한 봉출은 특이한 냄새가 있고 맛은 맵고 쓰며 시원하며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0084] 상기 알로에(노회)는 노회, 또는 나무노회라고도 하고, 알로에속(Aloe)에 속하는 식물 전체를 가리키거나 그 한 종을 가리킨다. 아프리카가 원산지이고, 전세계에 약 300종이 있다. 관엽식물로 온실에서 재배하거나 약으로 쓰려고 가정에서 기르기도 한다. 잎은 뿌리와 줄기에 달리며 어긋나고 반원기둥 모양이며 잎 가장자리에 날카로운 톱니 모양의 가시가 있고 밑 부분은 넓어서 줄기를 감싸며 로제트 모양으로 퍼진다. 잎 뒷면은 둥글고 앞면은 약간 들어간다.꽃은 여름에 귤색으로 피고 총상꽃차례를 이루며 밑을 향해 달린다. 화피 조각은 6개이고, 수술도 6개이며, 암술은 1개이다. 열매는 삭과이고 3개로 갈라진다. 알로에란 아라비아어로 ‘맛이 쓰다’는 뜻으로 붙여진 이름이고, 노회란 Aloe의‘로에’를 한자로 바꾼 이름이다.제2차 세계대전 직후부터 알로에의 성분이 속속 밝혀지고 있다. 지금까지 밝혀진 결과의 의하면, 세균과 곰팡이에 대한 살균력이 있고 독소를 중화하는 알로에틴이 들어 있으며, 궤양에 효과가 있는 알로에우르신과 항암효과가 있는 알로미틴이 들어 있다고 한다. 이 밖에도 스테로이드·아미노산·사포닌·항생물질·상처치유 호르몬·무기질 등 다양한 성분이 들어 있다. 알로에는 과로로 인한 피로 회복과 과음으로 인한 숙취 해소 등에 효과가 있고, 알로에의 잎을 잘라두면 유난히 쓴 황색 물질이 흘러나오는데, 이것은 변비에 특히 효과가 있다.민간에서는 알로에 잎의 액즙을 위장병에 내복하고 외상이나 화상 등에도 이용한다. 또한 건성 피부와 지성 피부를 중성화시키고 피부 보습 효과가 있어 화장품 원료로도 쓰인다
[0085] 상기 어성초는 어성초란 잎에서 고기 비린내가 나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옛 중국의 진(秦)나라에서는 저자(菹子), 즉 젓갈과 같은 냄새가 나는 식물이라고 불렀는데 저(菹)는 즙과 음이 비슷하여 즙채라고 부르게 되었다. 이 약은 잎을 비벼서 부수면 생선비린내가 나며 맛은 맵고 성질은 약간 차다.[辛微寒]어성초는 해열, 배농작용이 뛰어나 폐농양으로 인한 기침, 피고름을 토할 때, 폐렴, 급만성기관지염, 장염, 요로감염증, 종기에 쓰며, 열이 많고 소변을 못 볼 때 사용한다. 약리작용으로 항균작용, 면역증강작용, 항염증작용, 이뇨작용, 진해작용이 보고되었다.생김새는 줄기에 세로주름이 있고 마디가 분명하다. 밑의 마디에는 가는 뿌리가 남아 있고 질은 무르며 꺾어지기 쉽다. 잎은 말리거나 쭈그러져 있으나 펴면 심장형으로 되어 있다. 잎은 끝이 뾰족하고 윗면은 어두운 황록색이나 황갈색이고 아랫면은 회녹색이나 회갈색이다.
[0086] 상기 엄나무껍질(해동피)는 가양주로 분류된다. 엄나무는 쌍떡잎식물 산형화목 두릅나무과의 낙엽활엽수로 우리나라 산과 들에 자생하며 '엄목(嚴木)'또는 음나무'라고도 불린다. 나무껍질은 약용하며 뿌리와 어린잎은 식용한다. 뿌리껍질은 '해동피'라 하여 예부터 요통에 특효약으로 쓰였으며 한번 치유되고 나면 평생 재발이 되지 않는 약효로 유명하다.한방약술인 엄나무주를 담글 때 약효가 있는 잔가지 또는 나무 등걸이 및 뿌리를 이용하는데 특히 뿌리가 다른 부분보다 3배 정도 약효가 뛰어나므로 뿌리를 이용하여 담그는 것이 좋다. 엄나무주의 재료는 엄나무뿌리 200g 또는 말린 것 150g, 소주 1.8ℓ 이다. 엄나무 뿌리를 잘 씻어 말린 후 용기에 담고 소주를 부어 밀봉하여 서늘한 곳에서 6개월 이상 저장하면 술이 완성된다. 완성된 술은 따로 분리하지 않고 그대로 두고 마신다. 하루에 소주잔으로 한 잔씩 하루 1~2회 공복에 마시면 좋고 치유되면 복용을 중단한다.당뇨병, 신경통, 풍습, 이뇨, 위암, 혈액순환, 위궤양, 요통, 거담, 간장보호, 관절염 등에 효능이 있다.
[0087] 상기 엉겅퀴(대계)는 대계의 계(?)는 계(?)와 유사한데, 그 꽃이 상투와 비슷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또 호(虎)나 묘(猫) 같은 동물의 이름이 붙기도 하는데 대계의 새싹 모양이 사나운 짐승 모양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 뿌리가 우방근(牛蒡根)과 비슷하기 때문에 산우방(山牛蒡)이라는 이름도 있고 줄기가 닭의 뒷목과 비슷하기 때문에 계항(鷄項)이라고 부르기도 한다.이 약은 맛은 달고 쓰며 성질은 서늘하다.[甘苦凉]대계는 열로 인한 각혈, 코피, 자궁출혈, 소변출혈, 충수염, 폐농양, 화상으로 인한 종기, 급성간염, 고혈압, 신경통 등에 사용한다. 약리작용으로 지혈작용, 혈압강하작용, 항균작용 등이 보고되었다.생김새는 줄기는 원주상이고, 바깥 면은 적갈색이나 갈색이며 세로주름이 있고 근두부는 회백색의 솜털로 덮여 있다. 줄기의 꺾은 면은 황백색의 수가 있고 잎은 거의 떨어졌으며 남은 잎은 녹갈색이나 흑갈색이고 쭈글쭈글하며 잎가에는 고르지 않은 가시가 있다. 꽃은 두상화가 가지 끝에 남아 있으며 적히 다른 이름으로는 호계, 자계, 야홍화(野紅花), 산우방(山牛蒡), 마계, 계항초(鷄項草), 묘계, 천침초(千針草) 등이 있다.
[0088] 상기 연씨(연자육)는 연자육은 연꽃의 성숙한 종자로서 저수지와 같은 연못에서 자라는 수생식물이다. 뿌리는 연근이라 하여 음식재료로 사용하며 관상용으로도 널리 재배되고 있다. 옛부터 비위를 돕고 정신과 기운 돋우며 오랫동안 복용하면 몸이 가벼워지고 늙지 않으며 배고프지 않고 수명이 길어진다하여 널리 애용하던 보약재이다. 이 약은 냄새가 거의 없으며 맛은 달고 약간 떫으며 성질은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고 평하다.[甘澁平] 孟詵(맹선): 五臟이 허약한 것을 치료하고 內傷(내상)으로 氣(기)가 끊어진 것을 치료하며 12경맥의 血氣(혈기)를 보충한다.池大明(지대명): 갈증을 멎게하고 熱(열)을 없애고 마음을 편안하게 하며 이질을 그치게 한다. 요통과 정액이 새는 증상을 치료한다. 많이 먹으면 기분이 좋아진다. 李時珍(이시진): 心(심)과 腎(신)의 교류를 돕고 腸胃(장위)와 精氣(정기)를 튼튼하게 한다. 筋骨(근골)을 강하게 하고 衰弱(쇠약)을 치료하며 눈과 귀를 밝게 하고 寒濕(한습)의 邪氣(사기)를 제거하고 脾虛(비허)로 인한 설사와 오랜 이질을 그치게 한다. 여성의 帶下(대하)와 崩漏(붕루) 등 모든 출혈성 질환을 다스린다.蘇頌(소송): 갈아서 쌀과 함께 죽을 끓여 먹으면 몸이 가벼워지고 기운을 북돋우며 신체를 건강하게 한다. 주로 비장이 허약한 증상에 많이 사용하여 설사를 멈추게 하며, 가슴이 마구 뛰고 불면증의 증상을 치료한다. 또한 신(腎)기능을 높여 유정(遺精) 및 몽정(夢精)을 치료하며 부인의 백대하를 치료한다.연꽃의 잎인 하엽은 여름 설사, 두통, 어지럼증에 사용한다. 토혈, 코피, 대변 출혈, 자궁 출혈을 그치게 하고, 산후에 어혈로 인한 어지럼증을 치료한다. 연꽃의 뿌리인 우절은 각혈,토혈, 코피, 대변 출혈, 치질 출혈, 소변 출혈, 자궁 출혈 등에 지혈 효과가 탁월하다. 연꽃의 과방인 연방은 자궁출혈, 월경과다, 대변출혈을 그치게 하고, 치질과 탈항, 악창(惡瘡)에도 활용된다. 연꽃의 암술인 연수는 꿈이 많고 몽정, 유정, 토혈과 자궁 출혈, 대하, 이질에 사용한다. 종자안에 있는 녹색의 배아인 연자심은 번민(煩悶)이 많고 불안하며 헛꿈을 꾸고 구갈과 유정, 토혈, 안구출혈 등에 사용한다. 약리작용으로 비암(鼻癌)과 인후함 억제작용이 보고되었다.생김새는 타원형이나 공모양을 이루며 한쪽 끝이 둥글게 조금 두드러져 있다. 바깥면은 엷은 황갈색 또는 적갈색이고 회백색의 가루가 있고 가는 세로무늬와 비교적 확실한 맥상의 무늬가 있다. 한쪽 끝에는 가운데 젖꼭지 모양의 돌기가 있고 짙은 갈색이며 갈라진 틈이 많고 그 주변은 약간 아래로 내려 앉아 있다. 씨앗 껍질은 얇고 황갈색이며 벗기기 어렵다. 씨앗껍질 안에는 떡잎이 2개 있으며 황백색으로 두껍게되어 있고 가운데 빈틈에는 녹색의 연자심이 들어 있다.다른 이름으로 연육(蓮肉), 나실(蘿實), 석련자(石蓮子), 수지(水芝), 수지단(水芝丹), 연실(蓮實), 우실(藕實), 적, 택지(澤芝), 격이라는 이름이 있다.
[0089] 상기 오가피는 오가피는 잎이 다섯 개로 갈라져 있으며 하나의 가지에 다섯 개의 잎이 나는 것이 좋다 하여 오가(五佳)라고 하였다가 지금의 오가(五加)로 바뀌었다고 한다. 이 약은 특이한 냄새가 있고 맛은 맵고 쓰며 성질은 따듯하다.[辛苦溫]오가피는 간과 신장의 기운을 보하여 힘줄과 뼈를 튼튼하게 하므로 사지마비, 구련, 허리와 무릎의 연약증상, 하지무력감, 골절상, 타박상, 부종 등에 쓰인다.약리작용은 면역증강, 항산화, 항피로, 항고온, 항자극작용, 내분비기능조절, 혈압조절, 항방사능, 해독작용이 보고되었다.생김새는 관상 또는 반관상으로 바깥 면은 황갈색이나 어두운 회색으로 평탄하며 군데군데 가시가 있거나 또는 그 자국이 있고 비교적 어린 가지의 껍질에는 회백색 반점이 있다. 안쪽 면은 황백색이며 섬유성이므로 자르기 어렵다.
[0090] 상기 오미자는 공 모양으로 지름 약 1cm이고 짙은 붉은 빛깔이다. 속에는 붉은 즙과 불그스레한 갈색 종자가 1∼2개 들어 있다. 단맛·신맛·쓴맛·짠맛·매운맛의 5가지 맛이 나며 그 중에서도 신맛이 강하다. 종류에는 오미자(북오미자)·남오미자·흑오미자 등이 있다. 오미자는 주로 태백산 일대에 많이 자라고 남오미자는 남부 섬지방, 흑오미자는 제주도에서 자란다. 한국을 비롯하여 일본·사할린섬·중국 등지에서 생산한다.시잔드린·고미신·시트럴·사과산·시트르산 등의 성분이 들어 있어 심장을 강하게 하고 혈압을 내리며 면역력을 높여 주어 강장제로 쓴다. 폐 기능을 강하게 하고 진해·거담 작용이 있어서 기침이나 갈증 등을 치료하는 데 도움이 된다.말린 열매를 찬물에 담가 붉게 우러난 물에 꿀·설탕을 넣어 음료로 마시거나 화채나 녹말편을 만들어 먹는다. 밤·대추·미삼을 함께 넣고 끓여 차를 만들거나 술을 담그기도 한다.
[0091] 상기 옥수수수염(옥촉서예)는여러 종류의 생약을 사용하여 끓인 복방약차(複方藥茶)의 하나로, 부종을 제거 하거나 고혈압과 심혈관 질환 치료에 좋은 효과를 나타낸다. 옥수수는 한약재로는 거의 쓰이지 않지만 옥수수수염은 말려서 한약재로 사용되어 왔으며, ‘옥촉수(玉蜀鬚)’ 또는 ‘옥촉서예’라고 부르기도 한다. 옥수수수염은 특히 중년이나 노년에게 좋다. 이뇨효과 외에도 혈압을 떨어뜨리는 작용을 하며 전립선비대증의 치료에도 효과적이다. 황달을 물리치는 효과가 뛰어나 황달성 간염의 치료제로도 쓰인다.보통 결명자와 감국화(甘菊花)를 함께 섞는데, 감국화는 위장을 편안하게 하고 5맥을 좋게 하며 팔다리를 잘 놀리게 하는 효능이 있다. 특히 풍으로 어지러운 것과 두통에 효과적이며, 눈의 정혈을 돕고 눈물이 나는 것을 멈추게 하며 머리와 눈을 시원하게 해 준다.만드는 방법은 옥수수수염 20g에 결명자 10g, 감국화 5g의 비율에 물은 600㎖가 알맞다. 옥수수수염은 깨끗이 씻어 물기를 뺀 후 그늘에 말린다. 말린 옥수수수염과 각 재료를 다관에 넣고 물을 부어 끓인다. 물이 끓기 시작하면 불을 줄인 후 은근하게 오랫동안 끓인다. 다 끓인 뒤 건더기는 체로 걸러내고 국물만 따라내어 식힌 후 수시로 마신다.
[0092] 상기 완느릅나무껍질(유백피)는 옛날 어머니와 아들이 산길을 가다가 아들이 비탈에서 굴러 엉덩이 살이 찢겨나가고 심하게 다쳐서 온갖 약을 써 보았으나 낫지 않고 오히려 곪아서 목숨이 위독하게 되었다. 어느 날 어머니는 꿈을 꾸는데 한 노인이 나타나 대문밖의 나무껍질을 짓찧어 곪은 상처에 붙이면 나을 것이라 일러주어 그대로 해보니 며칠 지나지 않아 곪은 상처에서 고름이 다 빠져나오고 새살이 돋아 나오기 시작하여 한 달쯤 뒤에는 완전히 나았다고 한다. 이 나무가 느릅나무였다. 이 약은 냄새가 조금 나고 맛은 약간 달며 성질은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고 평하다.[甘平]유백피는 소변불리, 소변시 통증을 느낌, 소변에 피가 섞이고 부을 때 쓴다. 종기, 악창, 옴, 버짐 등에 내용, 외복하여 사용한다.약리작용은 민간에서 암치료제로 사용한다는 것이 보고되었다.생김새는 관상 또는 판상으로 바깥면은 흑갈색으로 반점이 있고 코르크층이 있다. 꺾은면은 거칠고 엷은 갈색이며, 섬유상의 가는 무늬가 뚜렷하고 질은 단단하며 흑황색의 가루가 있다.다른 이름으로 영유(零楡), 유피(楡皮), 유근피(楡根皮)가 있다.
[0093] 상기 용안육는 불면증에 좋은 한방차 종류가 많던데.대추, 산조인, 감초, 용안육 등을 함께 달여서 복용할수 있나요? 더욱 효과적인 방법을 알려주세요
모두다 좋다고 하는데 따로따로 먹기보다는 성질이 잘 맞는다면 다같이 달여서 먹어도 되는지 궁금합니다
[0094] 상기 원지는 높이 약 30cm이다. 뿌리는 굵고 길며 끝에서 몇 개의 원줄기가 무더기로 나오고 거의 털이 없다. 잎은 어긋나고 줄 모양이며 길이 1.5∼3cm이고 잎자루가 없다. 꽃은 7∼8월에 자줏빛으로 피고 총상꽃차례에 드문드문 달린다. 꽃받침조각은 5개이고 뒤쪽과 밑의 것 2개는 줄 모양이며 양쪽 2개는 꽃잎같이 생기고 막질(膜質:얇은 종이처럼 반투명한 것)이다.꽃잎은 윗부분이 벌어지고 밑부분이 붙어 있으며 끝이 솔처럼 잘게 갈라진다. 열매는 삭과(?果)로서 납작하고 2개로 갈라지며 종자에는 털이 빽빽이 난다. 한방에서는 뿌리를 원지라고 하며 거담제·강장제·강정제로 쓴다. 한국의 중부 이북과 중국 북부에 분포한다.
[0095] 상기 육계가지(계지)는 육계나무는 중국의 남부지방에서 자생하는 늘푸른큰키나무로 여름부터 가을 사이에 채취하여 햇볕에 말려 사용한다. 계지를 계수나무(Cercidiphyllum japonicum Sieb. et Zucc.)의 줄기라고 하는 것은 잘못된 것이며 이 나무는 약용하지 않는다. 육계나무의 잎맥은 가운데 주맥과 양쪽의 측맥이 도드라져 보여 규(圭)자를 식물명에 사용하게 되었다고 한다. 규(圭)란 笏記(홀기) 즉, 제례의 차례를 적은 부채모양의 도구로 여러 갈래의 잎맥이 있는 것처럼 보인다. 또한 육계나무가 규(圭)를 들고 있는 관리처럼 모든 약을 총괄하기 때문에 규라는 글자를 쓰게 되었다는 유래도 있다. 육계나무를 침(?)이라고도 했는데, 이는 다른 나무를 침범해서 해를 끼친다고 뜻으로 육계나무가 다른 식물의 생장을 억제하므로 붙여진 이름이며 이 나무로 다른 나무 뿌리에 못질을 하면 나무가 바로 죽는다고도 하였다.이 약은 특이한 향기가 있고 껍질부분은 더욱 진하며 약성은 맵고 달며 따듯하다.[辛甘溫] 계지는 초기 감기에 피부의 땀구멍을 열어 땀을 내며, 어깨와 등의 통증, 사지관절의 동통을 완화시켜 주며 기혈의 순환을 촉진 시키고 양기부족을 치료한다.약리작용은 대장균, 고초간균, 황색포도균,폐렴쌍구균 등의 발육을 억제하고 유행성감기바이러스를 억제하며 이뇨작용 등이 보고되었다.이 약은 긴 원주형으로 많은 가지가 있으며 바깥면은 갈색~적갈색이며 가는 주름과 잎, 가지 또는 새싹이 붙었던 흔적이 있다. 질은 단단하고 부스러지기 쉬우며 지름이 5mm 이하의 것이 많고 향기가 강한 것이 좋다.류계(柳桂), 모계(牡桂), 육계피(肉桂皮), 관계(官桂), 대계(大桂), 목계(木桂), 자계(紫桂)라고도 부른다.
[0096] 상기 육계(계피)는 육계나무는 중국의 남부지방에서 자생하는 늘푸른큰키나무로 여름부터 가을 사이에 나무껍질을 채취하여 사용한다. 잎맥의 가운데 주맥과 양쪽의 측맥이 도드라져 보여 규(圭)자를 연상하게 해서 식물명에 사용하게 되었는데 규(圭)란 홀기(笏記) 즉, 제사의 차례를 적은 부채모양의 도구로 여러 갈래의 잎맥이 있는 것처럼 보이기 때문이다. 또한 육계나무가 규(圭)를 들고 있는 관리처럼 모든 약을 총괄하기 때문에 규라는 글자를 쓰게 되었다는 유래도 있다. 육계나무를 침(?)이라고도 했는데, 이는 다른 나무를 침범해서 해를 끼친다고 뜻으로 육계나무가 다른 식물의 생장을 억제하므로 붙여진 이름이며 이 나무로 다른 나무 뿌리에 못질을 하면 나무가 바로 죽는다고도 하였다.이 약은 특이한 냄새가 있으며 나중에는 약간 점액성이고 수렴성이며 맛은 맵고 달며 성질은 뜨겁다. [辛甘熱] 계피는 혈액순환을 촉진시켜 흉복부의 냉증을 제거하며 식욕을 증진시키고 소화를 촉진하며 사지마비 등에 사용한다. 위장의 경련성 통증을 억제하고 위장관의 운동을 촉진해 가스를 배출하고 흡수를 좋게 하기도 한다. 장내의 이상발효를 억제하는 방부효과도 있다.약리작용으로 개선균 억제작용, 백색염주균병 억제작용, 건위작용, 타액 및 위액 분비촉진작용 등이 보고되었다.생김새는 반관상 또는 말려 들어간 관상을 이루고 바깥면은 어두운 적갈색, 안쪽면은 적갈색을 띠며 매끈하다. 꺾이기 쉬우며 꺾은 면은 적갈색을 띠고 엷은 갈색의 엷은 층이 있으며 약간 섬유성이다.
다른 이름으로 육계피(肉桂皮), 관계(官桂), 대계(大桂), 목계(木桂), 자계(紫桂), 통계(筒桂), 옥계(玉桂), 랄계(辣桂), 균계(菌桂), 계(桂) 등이 있다.
[0097] 상기 육두구는 인도네시아 몰루카제도 원산이다. 높이 약 20m이다. 잎은 어긋나고 긴 타원형이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두껍다. 꽃은 암수딴그루로서 꽃잎이 없고 꽃받침은 3개로 갈라지며 노란빛을 띤 흰색이고 향기가 난다. 수술 9∼12개, 암술 1개이다. 열매는 핵과(核果)로서 길이 4∼6cm이다. 성숙하면 살구같이 보이며 안에 종자가 들어 있다. 성숙하면 붉은빛을 띤 노란색 껍질이 벌어져서 안쪽에 갈빗대처럼 갈라진 종의(種衣)가 보이는데, 종자를 육두구, 종의를 메이스(mace)라고 한다. 영어 이름인 너트메그란 사향 향기가 나는 호두라는 뜻이다. 번식은 대부분 종자로 하고 고온, 다습한 기후에서 잘 자란다.육두구는 말려서 방향성 건위제·강장제 등으로 쓴다. 서양에서는 메이스와 함께 향미료(香味料)로 사용한다. 육두구와 메이스의 최대 산지는 인도네시아이며, 메이스는 특히 생선요리·소스·피클케첩 등에 많이 쓴다.1512년 포르투갈 사람들이 몰루카제도에서 발견하여 독점해 왔으나, 점차 네덜란드·프랑스·영국 등으로 퍼져 나갔다. 인도네시아·말레이반도 등의 열대지방에 분포한다.
[0098] 상기 은행옆는 한방에서 약이 되는 차로, 동맥경화증과 심장병·고콜레스테롤 혈증·이질·복통·설사를 다스리는 데에 효과를 나타낸다. 은행잎에서 추출한 성분은 예로부터 심장과 혈전에 좋다고 알려져 약차로 사용해 왔다. 이때 은행잎은 반드시 푸른 잎의 싱싱한 것을 골라 사용해야 한다. 만드는 방법은 우선 푸른 은행잎 말린 것 5장에 물 300㎖의 비율로 섞는데, 은행잎은 얇게 썰어 다관에 넣고 끓는 물을 부어 30분 정도 엑기스를 우려낸다. 국물만 찻잔에 따라내고 꿀을 타서 하루 한 번 마신다. 청산화합물이 생성되기 때문에 때로는 중독될 수가 있으므로 한꺼번에 많이 먹는 것은 피해야 한다. 특히 날것은 먹지 않아야 한다. 은행잎에 대한 연구는 1960년대 후반부터 독일과 프랑스 등 유럽에서 본격적으로 시작하여 혈관 및 혈류장애·심장질환·치매·류머티즘·당뇨병 등 성인병 치료에 효능이 있는 성분들이 잇따라 발견되었다. 은행 자체도 다양한 효능들이 발견되었는데, 은행을 씻어 말린 다음 조금씩 달여 마시면 동맥경화증과 간염·고혈압·당뇨병·심장질환에 효과가 있음은 물론, 담을 삭이고 기침을 멈추게 하며 숨 쉬기가 불편한 증세에도 효험이 있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 또한 밤에 오줌을 싸는 버릇이 있는 어린이들이 잠들기 3∼4시간 전에 구운 은행 5∼7개를 먹으면 며칠 안에 호전된다고 한다.
[0099] 상기 익모초는 육모초라고도 한다. 들에서 자란다. 높이 약 1m이다. 가지가 갈라지고 줄기 단면은 둔한 사각형이며 흰 털이 나서 흰빛을 띤 녹색으로 보인다. 잎은 마주나는데, 뿌리에 달린 잎은 달걀 모양 원형이며 둔하게 패어 들어간 흔적이 있고, 줄기에 달린 잎은 3개로 갈라진다. 갈래조각은 깃꼴로서 다시 2∼3개로 갈라지고 톱니가 있다. 꽃은 7∼8월에 연한 붉은 자주색으로 피는데, 길이 6∼7mm이며 마디에 층층으로 달린다. 꽃받침은 5개로 갈라지며 화관은 입술 모양이고 2갈래로 갈라지며 아랫입술은 다시 3개로 갈라진다. 4개의 수술 중 2개가 길다. 열매는 작은 견과로서 넓은 달걀 모양이고 9∼10월에 익으며 꽃받침 속에 들어 있다. 종자는 3개의 능선이 있고 길이 2∼2.5mm이다.포기 전체를 말려서 산후의 지혈과 복통에 사용한다. 중국에서는 이 풀의 농축액을 익모초고(益母草膏)라고 하는데, 혈압강하·이뇨·진정·진통 작용이 있다고 한다. 한국·일본·중국에 분포한다.
[0100] 상기 익지는 익지란 지혜를 더한다는 의미로, 지혜를 관장하는 비위(脾胃)를 돕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일설에는 익지의 이삭이 길고 세 개의 마디로 이루어져 있어 그 이삭의 마디를 살펴 벼농사의 풍흉을 살필 수 있었다고 한다. 즉, 이삭이 크게 풍성할 때에는 풍년이고 크게 흉할 때에는 흉년이라 했는데, 이러한 지력을 지녔다는 뜻으로 익지라고 불렀다고 전한다. 이 약은 특이한 냄새가 있고 맛은 맵고 성질은 따듯하다.[辛溫]익지는 비위의 허약으로 인한 복부팽만감, 신장기능 허약으로 소변이 잦고 대변을 힘없이 보는 증상, 소아야뇨증, 임신 중 자궁출혈, 비장 수렴기능이 떨어져 콧물이 흐를 때 쓰인다.약리작용으로 심장수축력증가, 복수암세포억제, 회장(回腸)수축력증가 등이 보고되었다.생김새는 양 끝이 약간 뾰족한 구형 또는 타원형을 이루고 바깥 면은 갈색을 띠며 세로로 연결된 작은 혹 모양의 두드러진 줄이 여러 개 있다.다른 이름으로 익지인(益智仁), 익지자(益智子), 적정자(摘정子) 등이 있다.
[0101] 상기 작약는 산지에서 자란다. 줄기는 여러 개가 한 포기에서 나와 곧게 서고 높이 60cm 정도이며 잎과 줄기에 털이 없다. 뿌리는 여러 개가 나오지만 가늘고 양끝이 긴 뾰족한 원기둥 모양으로 굵다. 잎은 어긋나고 밑부분의 것은 작은잎이 3장씩 두 번 나오는 겹잎이다. 작은잎은 바소꼴 또는 타원형이나 때로는 2∼3개로 갈라지며 잎맥 부분과 잎자루는 붉은색을 띤다. 윗부분의 잎은 모양이 간단하고 작은잎이 3장씩 나오는 잎 또는 홑잎이다. 잎 표면은 광택이 있고 뒷면은 연한 녹색이며 가장자리는 밋밋하다.꽃은 5∼6월에 줄기 끝에 1개가 피는데 크고 아름다우며 재배한 것은 지름 10cm 정도이다. 꽃색은 붉은색·흰색 등 다양하며 많은 원예 품종이 있다. 꽃받침은 5개로 녹색이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끝까지 붙어 있는데 가장 바깥쪽의 것은 잎 모양이다. 꽃잎은 10개 정도이나 기본종은 8∼13개이고 달걀을 거꾸로 세운 듯한 모양이며 길이 5cm 정도이다.수술은 매우 많고 노란색이며 암술은 3∼5개로 암술머리가 뒤로 젖혀지고 달걀 모양의 씨방에는 털이 없거나 약간 있다. 열매는 달걀 모양으로 끝이 갈고리 모양으로 굽으며 내봉선을 따라 갈라지고 종자는 구형이다. 꽃이 아름다워 원예용으로 쓴다. 뿌리는 진통·복통·월경통·무월경·토혈·빈혈·타박상 등의 약재로 쓰인다. 중국에서는 진(晉)과 명(明)시대에 이미 관상용으로 재배되어 그 재배 역사는 모란보다 오래되었다. 송(宋)을 거쳐 청(淸)시대에는 수십 종류의 품종이 기록되어 있다. 한국·몽골·동시베리아 등지에 분포한다.
[0102] 상기 전칠삼(삼칠)는삼칠초는 중국이 원산지이다. 줄기는 연하고 높이가 1m에 달하며 처음에는 자줏빛이 돈다. 잎은 어긋나고 크며 3∼7개로 갈라지고 밑에 커다란 턱잎이 있다. 갈라진 조각에는 톱니가 드문드문 있다.꽃은 가을에 피고 두상화(頭狀花:꽃대 끝에 꽃자루가 없는 작은 꽃이 많이 모여 피어 머리 모양을 이룬 꽃)가 산방꽃차례를 이루며 달린다. 두상화는 관상화로 이루어졌고 짙은 황색이다. 잎의 즙액은 해독 작용이 있어 독충에 물렸을 때 피부에 바르고, 금붕어의 병을 치료하는 데에도 사용한다.잎이 3∼7개로 갈라지기 때문에 삼칠초라고 한다. 일본에서 오랫동안 심어 왔으므로 학명에 일본산이란 이름이 붙었다.
[0103] 상기 정향는 정향나무는 열대 상록성 아교목으로 몰루카 제도가 원산지이며 탄자니아의 잔지바르 섬, 인도네시아의 수마트라, 브라질, 말레이시아, 필리핀, 베트남, 중국 남부 등에서 생산된다. 꽃봉오리는 정향이라고 하고 다 핀 꽃을 말린 것은 모정향이라고 한다. 꽃봉오리가 못처럼 생겼고 향이 있으므로 정향(丁香)이라고 하는데 영명 클로브(clove)도 못이라는 뜻이다. 정향 분말이나 정향유를 식용, 약용하며 방부제로도 사용한다. 이 약은 맛과 향이 강하고 혀를 마비시키며 맛은 맵고 성질은 따듯하다. [辛溫] 정향은 위가 차가워서 생기는 구토, 위암, 복통, 소화불량과 성기능 증대, 잇몸염증 및 잇몸통증 등에 쓰인다.약리작용으로 위액분비촉진, 진통, 항경련, 항염, 항산화, 항혈전, 항균, 구충, 혈압강하작용 등이 보고되었다. 생김새는 어두운 갈색이나 어두운 적색을 띠며 조금 편평한 사능주상의 화상과 그 위쪽에는 두꺼운 꽃받침 4개와 피지 않은 막질의 꽃잎이 4개 있으며 꽃잎은 서로 겹쳐서 거의 구형을 이룬다. 꽃잎으로 싸인 속에는 많은 수술과 한 개의 암술이 있다. 다른 이름으로 정자(丁子), 주병화(酒甁花), 정향화(丁香花),정자향(丁子香), 야정향(野丁香), 소황수(小黃樹), 백화목(百花木), 만산향(滿山香), 노구화(露球花), 계정향(桂丁香), 계설향(鷄舌香), 공정향(公丁香) 등이 있다.
[0104] 상기 죽력는 죽(竹)이라는 글자는 상형문자로서 옛글자 초(艸)를 뒤집어 놓은 모양이다. 이것은 겨울에도 살기 때문에 풀과 구별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대나무는 강하지도 않고 부드럽지도 않은 것이 풀도 아니고 나무도 아니라고 하였으며 종류에 따라 속이 차고 차지 않은 정도가 조금 다르지만 마디가 있는 것이 같다고 하였다. 죽력이란 말은 대나무에서 물방울처럼 떨어진 즙이란 뜻이다.이 약은 맛이 달고 쓰며 성질이 차다.[甘寒]죽력은 중풍으로 가래가 기도를 막을 때, 폐열로 해수와 가래가 심할 때, 소아경풍, 전강, 고열, 가슴답답증, 고혈압, 고혈당증에 사용한다. 약리작용은 알코올분해작용, 항균작용, 콜레스테롤강하작용 등이 보고되었다.생김새는 청황색 또는 황갈색의 즙액으로서 투명하고 타는 냄새가 난다.다른 이름으로 죽즙(竹汁), 담죽력(淡竹瀝)이 있다.
[0105] 상기 쥐오줌풀(길초근)는 길초근은 가을철에 뿌리가 마르면 지린내가 나기 때문에 쥐오줌풀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동속근연식물로 좀쥐오줌풀, 넓은잎쥐오줌풀, 광릉쥐오줌풀 등이 있으며 모두 약재로 사용된다. 이 약은 특이한 냄새가 있고 맛은 맵고 쓰며 성질은 따듯하다. [辛苦溫] 길초근은 정신불안으로 인한 가슴 뜀, 불면, 쉽게 놀라는 증상, 신경쇠약, 심근염, 산후 심장병, 심박쇠약, 고산병, 생리불순, 위경련, 관절점, 타박상 등에 사용한다. 약리작용으로 진정작용, 진경작용, 혈압강하, 그람양성균 억제작용, 이뇨작용 등이 보고되었다. 생김새는 도란원형 (倒卵圓形)의 짧은 뿌리줄기의 주위에 가늘고 긴 뿌리가 많이 붙어 있다. 뿌리줄기는 위쪽 끝에는 싹눈과 줄기의 잔기 (殘基)가 남아 있고 질은 단단하여 잘 꺾이지 않는다. 그 측면에는 굵고 짧은 주출경 (走出莖)과 매우 작은 비늘잎이 있는 가늘고 긴 주출경이 붙어 있는 것도 있다. 뿌리는 바깥면에 가늘고 작은 세로주름이 있어 잘 꺾인다. 다른 이름으로 길초(吉草). 향초(香草). 만산향(滿山香), 칠리향(七里香), 야감송(野甘松) 등이 있다.
[0106] 상기 지각는 우리나라 남부지방에 재배한다. 약효성분은 정유와 후라보노이드 물질이 들어 있는데, 광귤나무에는 네오헤스페리딘(Neohesperidin)·나린진(Naringin)·비타민C 등이 들어 있다. 맛은 쓰고 약간 매운 듯하며 약성은 서늘하다.효능은 기운을 내려주면서 거담작용을 보이고 적취를 제거한다. 그러므로 가슴과 복부의 위쪽에서 담이 있고 갑갑함을 호소하는 증상에 쓰인다. 이를테면 신경과민으로 심리적인 충격을 받고 가슴이 답답한 증상에 기운을 아래로 내려주면서 시원함을 얻게 한다. 그리고 건위소화작용을 보이므로 소화장애가 있으면서 옆구리가 결리고 아픈 증상, 구역 등에 효력이 있다.이질과 그 후유증으로 뒤가 무겁고 작열감을 느낄 때에도 쓰이며, 여름에 많이 발생하는 토사곽란에도 효력을 얻는다. 피부염과 가려움증에도 쓰이고 해소에도 반응을 보이므로 노동력을 과다하게 소모해서 일어나는 해소에도 활용된다. 또, 폐에 수분이 과다하게 정체되어 일어나는 폐수종증과 치질에도 이것을 뜨겁게 하여 찜질을 하면 염증을 식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탈홍에도 효력이 있고 변비를 치료하는 데도 일조를 한다.근래에 발표된 임상결과를 보면 자궁하수 위하수에 장복하면 수축작용을 하므로 정상기능을 회복할 수 있다고 보고되었다. 이밖에도 위무력증상으로 인한 소화불량과 위확장증, 결장에도 효력이 있다.1회에 4∼12g을 내복하는데, 단방으로 쓸 때에 최고량은 1회 80g까지 사용한다. 금기로는 임산부에게는 피해야 한다.
[0107] 상기 지치(자근)는 산과 들의 풀밭에서 자란다. 뿌리는 굵고 자주색이며 땅속으로 깊이 들어간다. 줄기는 곧게 서고 가지가 갈라지며 높이가 30∼70cm이고 전체에 위로 향한 잔털이 많다. 잎은 어긋나고 길이 3∼7cm의 바소꼴 또는 긴 타원 모양의 바소꼴이며 끝이 뾰족하고 밑 부분이 좁아 잎자루 같으며 거친 털이 빽빽이 있다. 잎 앞면은 잎맥을 따라 깊게 주름이 있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며, 잎자루는 없다.꽃은 5∼6월에 흰색으로 피고 줄기와 가지 끝에 수상꽃차례를 이루며 달린다. 포는 잎 모양이고, 꽃받침은 녹색이며 5개로 깊게 갈라지고, 갈라진 조각은 넓은 줄 모양이며 끝이 둔하고 화관의 통 부분보다 길다.화관은 길이가 6∼7mm이고 끝이 5개로 갈라지며, 갈라진 조각은 둥글고 수평으로 퍼진다. 수술은 5개이고, 암술은 1개이다. 열매는 분과(分果:분열과에서 갈라진 각 열매)이고 회색을 띤 흰색이며 매끄럽고 윤기가 있다. 한방에서는 뿌리를 자초(紫草)라는 약재로 쓰는데, 토혈·코피·소변 출혈·홍역에 효과가 있고, 화상·동상·습진·발진·피부궤양 등에 소독약으로 외용한다. 과거에는 자주색 염료로 사용하였다. 한국·일본·중국·아무르에 분포한다.
[0108] 상기 지황는 중국이 원산지이고 약용식물로 재배한다. 뿌리는 굵고 육질이며 옆으로 뻗고 붉은빛이 도는 갈색이다. 줄기는 곧게 서고 높이가 20∼30cm이며 선모가 있다. 뿌리에서 나온 잎은 뭉쳐나고 긴 타원 모양이며 끝이 둔하고 밑 부분이 뾰족하며 가장자리에 물결 모양의 톱니가 있고, 잎 표면은 주름이 있으며, 뒷면은 맥이 튀어나와 그물처럼 된다. 줄기에 달린 잎은 어긋난다. 꽃은 6∼7월에 붉은빛이 강한 연한 자주색으로 피고 줄기 끝에 총상꽃차례를 이루며 달리며, 잎 모양의 포가 있다. 꽃받침은 종 모양이고 5개로 갈라지며, 갈라진 조각은 삼각형이고 선모가 있다. 화관은 통 모양이고 선모가 있으며 끝 부분이 5개로 갈라져 퍼지면서 입술 모양을 이룬다. 수술은 4개인데, 그 중에 2개가 길다. 열매는 삭과이고 10월에 익는다.한방에서는 뿌리의 생것을 생지황, 건조시킨 것을 건지황, 쪄서 말린 것을 숙지황이라고 한다. 숙지황은 보혈제로 쓰이고 생리불순·허약 체질·어린이의 발육 부진·치매·조루증·발기부전에 사용하며, 생지황은 허약 체질·토혈·코피·자궁 출혈·생리불순·변비에 사용하고, 건지황은 열병 후에 생기는 갈증과 장기 내부의 열로 인한 소갈증에 효과가 있으며 토혈과 코피를 그치게 한다.
[0109] 상기 찔레나무열매(영실)는 영실은 우리나라 야산에서 흔히 자라는 찔레꽃의 열매로서 붉게 익는다. 찔레꽃의 뿌리는 약용하며 꽃은 식용한다. 이 약은 신 냄새가 있고 맛은 조금 달다. [酸凉] 영실은 노인이 소변을 잘 보지 못할 때, 전신이 부었을 때 쓰며, 불면증, 건망증 및 꿈이 많고 쉬 피로하고 성 기능이 감퇴되었을 때, 그리고 종기, 악창(惡瘡) 등에 사용된다. 약리작용으로 관상 동맥확장작용, 생쥐 수명연장, 지질,단백질 대사개선 작용, 죽상동맥경화 형성억제작용이 보고되었다. 생김새는 구형, 타원형, 원형의 위과(僞果)로 바깥면은 홍색이나 어두운 적갈색으로 광택이 있고, 과실의 끝에는 오각형의 암술머리에 잔기가 남아 있고 기부에는 열매자루가 붙어있는 것도 있다. 가로로 자른 내벽면에는 은백색의 털이 밀생하고 5 ~ 10 개의 딱딱한 씨가 들어있다. 씨는 난형이나 각형이고 바깥면은 밝은 황색을 띠고 있다. 이 약은 바깥면이 적갈색이고 신냄새가 적은 것이어야 한다.
다른 이름으로 영실자(營實子)이 있다.
[0110] 상기 차즈기씨(자소자)는 소(蘇:차조기)는 잠에서 깨어 기지개를 켠다는 소(?:잠이 깨다)에서 유래하였으며 펼친다는 의미를 가진다. 즉 소생한다는 뜻인데 기와 혈을 통하게 하는 약의 성질을 말하는 것이다. 또한 들깨(荏)와 비슷하지만 계피(桂)처럼 매워서 계임(桂荏)이라고도 하였다. 이 약은 거의 냄새가 없으나 씹으면 특이한 향기가 있고 맛은 맵고 성질은 따듯하다.[辛溫]자소자는 기침을 심하게 하여 상기(上氣)되고 가래, 천식이 있을 때 쓰며 장을 윤활하게 하여 배변을 돕는 기능이 있다.약리작용으로 기관지분비물감소 및 기관지 평활근의 경련을 풀어 주며 건위, 지혈, 이질균억제작용이 보고되었다.생김새는 엷은 황갈색 또는 어두운 갈색의 둥근 모양의 작은 알맹이로 100알의 무게는 약 0.2g이다. 바깥 면을 확대경으로 보면 흑갈색의 그물무늬와 과병 자국이 있다.다른 이름으로는 계임(桂荏), 적소(赤蘇), 소자(蘇子), 자소(紫蘇) 등이 있다.
[0111] 상기 창출는 오래된 풍(風)에 소화장애가 수반되어 먹은 음식물이 분해 소화가 안 되고 그대로 설사하므로 물조차 마시기를 꺼리는 증세에 쓰인다. 처방은 창출 23g, 마황(麻黃) 7.5g, 방풍 4g, 생강 7쪽을 달여 마신다.
[0112] 상기 천궁는 중국 원산이며 약용 식물로 재배한다. 높이 30∼60cm이며 속이 비어 있고 가지가 다소 갈라진다. 잎은 어긋나고 2회 3출 깃꼴겹잎이며 갈래조각은 달걀 모양의 바소꼴이고 다소 깊은 톱니가 있다. 뿌리잎과 밑부분의 잎은 긴 잎자루가 있고 밑부분이 잎집으로 되어 줄기를 감싼다. 꽃은 8~9월에 피고 흰색이며 복산형꽃차례를 이룬다. 꽃잎은 5개이고 안쪽으로 말리며 수술은 5개, 암술은 1개이다. 총포와 소총포는 각각 5∼6개이며 줄 모양이다. 열매는 열리지만 성숙하지 않는다. 땅 속에 있는 마디 사이는 길이 5∼10cm, 지름 3∼5cm의 덩어리처럼 생기고 강한 향기가 있다. 진정 ·진통 ·강장 등에 효능이 있어 두통 ·빈혈증 ·부인병 등을 치료하는데 쓴다. 9~11월에 근경을 캐어 잎과 줄기를 제거하고 햇볕에 말린후 3~6g을 달여서 복용하거나, 환제(丸劑)나 산제(散劑)로 하여 사용한다.
[0113] 상기 천마는 수자해좃 ·적전(赤箭)이라고도 한다. 부식질이 많은 산지의 숲 속에서 식물의 뿌리에 활물기생한다. 높이 60∼100cm이며 잎이 없고 감자 모양의 덩이줄기가 있다. 덩이줄기는 긴 타원형이며 길이 10∼18cm, 지름 3.5cm 정도로 뚜렷하지 않은 테가 있다. 줄기는 붉은 밤색에 조그만 잎이 듬성듬성 난다. 잎집 같은 잎은 막질이며 잔 맥이 있고 밑부분이 줄기를 둘러싼다.꽃은 6∼7월에 피고 황갈색이며 총상꽃차례를 이루어 많이 달린다. 포는 막질이며 바소꼴 또는 줄 모양의 긴 타원형이고 잔 맥이 있다. 외화피 3개는 합쳐져서 부풀기 때문에 찌그러진 단지같이 되고 윗부분이 3개로 갈라지며 안쪽에 2개의 내화피가 달리므로 5개같이 보인다. 입술꽃잎은 화피갈래조각 가장자리에 약간 나타난다. 암술은 2개의 날개가 있고 밑부분 앞쪽에 암술머리가 있으며 화분괴에 대가 없다. 열매는 삭과(殼果)로 달걀을 거꾸로 세운 모양이며 겉에 화피가 남아 있다. 전초를 강장제 ·신경쇠약 ·현기증 ·두통에 사용한다. 한국 ·일본 ·중국 ·타이완에 분포한다.
[0114] 상기 천문동는 굵은 땅속줄기에서 곧추 서는 잎들이 나온다. 잎은 길이 30~50㎝, 너비 0.8~1.2㎝이며 잎끝은 밑으로 숙이고 있다. 겨울에도 잎이 지지 않고 푸른색을 그대로 지니기도 한다. 꽃은 연한 보라색이며 5~6월에 잎 사이에서 길게 만들어진 꽃자루 위에 무리지어 핀다. 꽃은 6장의 꽃덮이조각으로 되어 있으며, 수술은 6개이다. 열매는 푸른색이 도는 흑색으로 익는다. 그늘에서 무리지어 자라기 때문에 뜰의 가장자리에 심고 있으며, 가물어도 잘 자라고 추위에도 잘 견딘다. 때때로 땅속줄기가 흰색 덩어리로 되기도 하는데, 봄·가을에 캐서 껍질을 벗긴 다음 햇볕에 말린 것을 맥문동이라고 하여 한방에서 강장·진해·거담제·강심제로 쓰고 있다. 개맥문동(L. spicata)은 맥문동과 비슷하나 잎맥의 수가 7~11개로 11~15개의 맥이 있는 맥문동과 구별된다. 개맥문동의 뿌리도 맥문동의 뿌리처럼 쓰고 있다.
[0115] 상기 청피는 귤(橘)은 율(꽃구름)에서 나왔는데 회의문자로 만들어졌으며 두 가지 색을 띠고 있는 것을 말하고 있다. 즉 겉은 붉고 속은 노란 색이며 태우거나 뿌리지 않고 쪼개기만 하여도 꽃구름이 퍼지듯 향이 퍼지는 모습을 비유한 것이다. 덜 익은 귤의 색깔이 청색이므로 청피라 한다. 이 약은 방향성의 청량감이 있고 맛은 쓰며 조금 맵고 성질은 약간 따듯하다.[苦辛微溫]청피는 간 담경에 작용하므로 가슴과 옆구리, 위장의 통증, 간염, 위염, 유방염, 유방암에 쓰인다. 스트레스, 음식을 먹고 체한 경우, 가슴에 멍울 등이 생긴 경우, 학질 등에 쓰이며 간경변, 비장종대 등에도 응용된다. 약리작용은 정유 성분이 소화기자극, 소화촉진, 거담, 항궤양, 항위액분비, 강심, 혈압상승, 항알레르기, 담즙분비촉진, 자궁평활근억제, 항균작용 등을 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생김새는 구형에 가깝고 바깥 면은 회녹색이나 청록색을 띠고 엉성하며 쭈그러져 있다. 위쪽에 뾰족한 꽃대 자국이 있고 아래쪽에는 둥근 과병의 흔적이 있다. 횡단면은 황백색 또는 엷은 황갈색이며 색이 청홍색으로 두텁고 견실하며 향기가 짙은 것이 좋다. 다른 이름으로 청귤피(靑橘皮), 황귤피(黃橘皮), 청감피(靑柑皮)가 있다.
[0116] 상기 측백엽는 측백이란 옆으로 서 있다는 뜻으로 모든 나무들이 태양을 향해 있는데 측백(側柏)만 홀로 서쪽을 향하고 있었다고 한다. 또한 절개를 지니고 있는 나무에는 백(白)이라는 글자를 쓰는 관행에 따라 측백(側柏)이란 이름을 쓰게 되었다고 한다. 일설에는 백(柏)에는 여러 종류가 있는데 약에 넣는 것은 오직 잎이 한쪽으로만 자란 것을 사용하기 때문에 측백(側柏)이라 하였다고 한다.이 약의 맛은 쓰고 밋밋하며 성질은 차다.[苦澁寒]측백엽은 혈열을 내려 코피, 토혈, 변혈, 소변출혈, 자궁출혈에 쓰고 해수, 천식, 가래, 탈모, 지루성피부염, 외상출혈 등에 사용한다. 약리작용으로 출혈시간단축, 진해, 거담작용이 있고 혈압강하,항균작용, 해수, 천식에 효과가 있음이 보고되었다. 생김새는 비늘잎 모양의 소엽이 겹쳐 연결되어 서로 마주 나고 중엽은 능형이다. 이 약은 잎이 많으며 가지가 적은 것이 좋다.
[0117] 상기 치자는 오미자란 이름은 과피와 과육은 달고 시며, 씨앗은 맵고 쓰며 전초는 짠맛을 가지고 있어 다섯가지의 맛을 모두 가지고 있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라고 전해진다. 맛이 시다고만 언급하는 경우 오행 중에서 목(木)이 가장 우선하며 실제로 신맛이 주가되기 때문에 그러하다. 이 약은 약간 특이한 냄새가 있고 맛은 처음에는 시고 달며 성질은 따듯하다.[酸甘溫] 오미자는 해수, 천식에 유효하며 땀을 거두며 진액을 생성시켜 소갈증에 유효하다. 유정(遺精), 유뇨(遺尿), 소변 자주 보는 증상, 오래 된 이질, 설사, 가슴이 뛰고 잠을 이루지 못하면서 꿈이 많은 증상에 쓰인다. 기억력 감퇴, 집중력 감소에 효과가 있다.약리작용으로 대뇌피질 흥분작용, 혈압 강하작용, 거담, 진해 작용, 호흡 흥분 작용, 강심작용, 당 대사 촉진과 당분해작용, 세포 면역 기능 증강작용, 자궁 흥분 작용, 담즙 분비 촉진 작용, 위액 분비 조절 작용, 억균작용이 보고되었다.생김새는 고르지 않은 구형이나 납작한 구형이며 어두운 적색이나 흑갈색을 띤다. 바깥면에는 주름이 있고 흰 가루가 묻어 있기도 하며 과육을 벗기면 콩팥모양의 씨가 1 ~ 2 개 들어 있고 씨의 바깥면은 광택이 있는 황갈색이나 어두운 적갈색이고 등쪽에 명확한 봉선이 있다. 외종피는 벗겨지기 쉬우나 내종피는 배유에 밀착되어 있다.다른 이름으로 현급(玄及), 회급(會及), 치자, 오매자(五梅子) 등이 있다.
[0118] 상기 칡뿌리(갈근)은 갈근이란 갈씨(葛氏) 집안의 뿌리, 즉 근원(根)이라는 뜻으로 갈씨 성을 가진 소년을 구해준 이야기에서 유래되었다. 산속에서 약초를 캐는 노인에게 한 소년이 "저는 갈씨 성을 가진 사람의 외아들로서 간신의 모함으로 가족이 죽임을 당하고 저만 도망쳐 나왔으니 좀 구해주십시오"라고 하였다. 당시 갈씨 가문이 충신 집안이었던 터라 노인은 소년을 숨겨놓고 군사를 따돌렸다. 그후 소년은 노인과 가족처럼 살면서 약초를 배우게 되었는데 노인이 세상을 떠난 뒤 노인한테서 배운 의술로 병자를 고쳤으며 평소 잘 쓰던 약초의 이름을 자신의 성과 뿌리라는 뜻으로 '갈근'이라 부르게 되었다. 갈근은 냄새는 없고 약성은 달며 맵고 평하다.[甘辛平]갈근은 땀을 내며, 열을 내려 고열·두통을 치료하고 갈증을 멎게 한다. 소화불량, 두통, 빈혈, 이질, 복통, 술독, 감기, 구토와 부인들의 하혈에 쓰이고 소화를 돕는다. 생뿌리를 짓찧어 즙을 내어 마시기도 한다.칡의 열매는 갈곡이라 하며 설사에 효과가 있고 칡꽃인 갈화는 독특한 단맛이 있어 술독을 풀어 주고 장을 튼튼하게 한다. 칡가루는 갈분이라 하여 갈증을 멎게 하고 대소변을 잘 보게 하며, 어린이가 열이 나면서 명치끝이 아픈데 쓴다. 당뇨,이질, 대장염, 악성종양 등에 약리효과가 있다.외형은 육면체로 잘게 썬 것 또는 판상이며 세로로 자른 것으로 바깥면은 회색이 도는 황색이나 백색이다. 가로로 자른 것은 섬유질이 있는 목부와 전분질이 있는 유조직이 서로 엇갈려서 세로무늬를 이룬다. 세로로 갈라지기 쉬우며 갈라진 면은 섬유가 매우 많다.전분이 많아 칡국수, 칡냉면, 칡차, 농축액, 엿으로도 사용하고, 덩굴을 이용한 갈포(葛布)는 고급 섬유로 이용되고, 잎은 사료로 사용된다.갈근의 이명은 계제(鷄薺), 녹두(鹿豆), 건갈(乾葛), 감갈(甘葛), 분갈(粉葛), 황근(黃斤) 이라고도 한다. 사슴이 9종의 풀을 먹는데 갈근이 그 중 하나이기에 녹곽근(鹿藿根)이라고 하기도 한다.
[0119] 상기 침향는 높이는 20m, 지름은 2m 이상 자란다. 잎은 어긋나고 두꺼우며 긴 타원 모양이고 표면에 윤기가 있으며 길이가 5∼7cm이고 끝이 꼬리처럼 길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꽃은 흰색으로 피고 잎겨드랑이와 가지 끝에 산형꽃차례를 이루며 달린다.화피는 종 모양이고 끝이 깊게 갈라지며 안쪽에 털이 빽빽이 있다. 수술은 10개이고, 암술은 1개이며 암술머리가 2개로 갈라진다. 열매는 거꾸로 세운 편평한 바소꼴이고 길이가 5cm 정도이며 2개로 갈라진다. 종자는 달걀 모양이고 꼬리 같은 부속체가 있다.나무를 벌채하여 땅 속에 묻어서 수지(樹脂)가 없는 부분을 썩인 다음 수지가 많이 들어 있는 부분만을 얻거나 나무의 상처에서 흘러나온 수지를 수집하여 침향을 만든다. 침향은 의복이나 물건에 향기가 스며들게 하고 또 이것을 태우면 향기를 낸다. 옛날부터 가장 귀한 향 중에 하나로 애용되었다.한방에서는 줄기를 약재로 쓰는데, 진정·건위·통기 작용이 있으며 소화불량·식욕부진·구토·기관지천식·조루·정력 부족 등에 효과가 있다. 인도와 동남아시아에 분포한다. 아시아 남부에 같은 속의 식물이 몇 종이 자라고 있으나 수지가 있는 종은 이 종과 말라켄시스(A. malaccensis)뿐이다.
[0120] 상기 택란는 택란은 연못 주변에서 자라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며 뿌리를 먹을 수 있기 때문에 지순(地?)이라고도 한다.이 약은 냄새가 없고 맛은 쓰고 매우며 성질은 약간 따듯하다.[苦辛微溫]택란은 어혈로 인한 무월경, 생리통,산후복통, 타박상에 쓰며 종기, 간기능장애, 산후배뇨불리에 효과가 있다. 어혈을 풀어주는 약 중에서 정기를 손상시키지 않는 장점이 있어 부인과에 많이 응용된다.
약리작용으로 강심작용이 보고되었다. 생김새는 마디가 있고 겉은 황갈색 또는 자색을 띠며 엽면마다 종구가 있고 질은 가벼우며 부러지기 쉽다. 꺾은 면은 백색의 수질이 있으며 속이 비어 있다. 이 약은 잎이 많고 녹색이며 부서지지 않고 줄기가 짧으며 질이 연한 것이 좋다.
[0121] 상기 필발는 필발은 필발(??)에서 유래됐으며 남방에서 생산되는 초목을 뜻한다고 한다. 또한 고대 중인도의 한 나라인 마가타국(摩伽陀國)에서는 필발리(?撥梨)라고 하였고, 아프가니스탄 북부의 발흐 동쪽의 요충지 푸룸(Purum:拂林國)에서는 아리아타(阿梨阿陀)라고 불렀다.이 약은 특이한 방향이 있고 맛은 맵고 성질은 뜨겁다.[辛熱]필발은 장위가 차서 생기는 복부동통, 구토, 식욕감퇴, 설사, 이질, 치통 등에 사용한다. 약리작용으로 억균작용, 항경련작용, 피부혈관확장작용, 항산화작용, 항심근허열 및 항심박이상작용, 고지혈강하작용 등이 보고되었다.생김새는 원주형으로 과축(果軸)의 주위에는 작은 알맹이의 열매가 무수히 붙어 있어 그물눈 모양을 나타낸다. 바깥면은 적갈색이나 흑갈색이다. 열매의 위쪽에 셋으로 갈라진 주두(柱頭)가 있고 아래쪽은 과축이 붙어 있다.
[0122] 상기 하수오는 중국 원산이며 약용식물로 가꾸고 있다. 뿌리줄기가 땅속으로 벋으면서 군데군데 고구마같이 굵은 덩이뿌리가 생긴다. 원줄기는 가지가 갈라지면서 길게 벋어가고 털이 없다. 잎은 어긋나고 달걀 모양 심장형이며 끝이 뾰족하다. 잎 가장자리는 밋밋하고 턱잎은 원통 모양으로 짧다. 잎자루 밑부분에는 짧은 잎집이 있다.꽃은 8∼9월에 흰색으로 피어 원추꽃차례로 달리고 2가화이다. 꽃받침은 5개로 깊게 갈라지고 처음에는 짧지만 꽃이 피면 좀더 길어진다. 꽃잎은 없고 수술은 8개, 암술대는 3개이다. 열매는 수과로서 넓은 달걀을 거꾸로 세운 듯한 모양이고 꽃받침으로 싸이며 3개의 날개가 있다.붉은빛을 띤 갈색 덩이뿌리를 한방에서 하수오라고 하며 강장제·강정제·완하제로 사용한다. 잎은 나물로 하며 생잎을 곪은 데 붙여서 고름을 흡수시킨다.이와 비슷한것에는나도하수오(P.cilinervis)가 있으며, 높은산의 능선과 계곡에서 자란다.
[0123] 상기 해당화(매괴화)는 해당나무·해당과(海棠果)·필두화(筆頭花)라고도 한다. 바닷가 모래땅에서 흔히 자란다. 높이 1∼1.5m로 가지를 치며 갈색 가시가 빽빽이 나고 가시에는 털이 있다.잎은 어긋나고 홀수깃꼴겹잎이다. 작은잎은 5∼9개이고 타원형에서 달걀 모양 타원형이며 두껍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표면에 주름이 많고 뒷면에 털이 빽빽이 남과 동시에 선점(腺點)이 있다. 턱잎은 잎같이 크다. 꽃은 5∼7월에 피고 가지 끝에 1∼3개씩 달리며 홍색이지만 흰색 꽃도 있다. 꽃은 지름 6∼10cm이고 꽃잎은 5개로서 넓은 심장이 거꾸로 선 모양이며 향기가 강하다. 수술은 많고 노란색이며, 꽃받침조각은 녹색이고 바소꼴이며 떨어지지 않는다. 열매는 편구형 수과로서 지름 2∼3cm이고 붉게 익으며 육질부는 먹을 수 있다. 관상용이나 밀원용으로 심는다. 어린 순은 나물로 먹고 뿌리는 당뇨병 치료제로 사용한다. 향기가 좋아 관상가치가 있다. 동북아시아에 분포한다. 줄기에 털이 없거나 작고 짧은 것을 개해당화(var. kamtschatica), 꽃잎이 겹인 것을
만첩해당화(for. plena), 가지에 가시가 거의 없고 작은잎이 작으며 잎에 주름이 적은 것을 민해당화(var. chamissoniana), 흰색 꽃이 피는 것을 흰해당화라고 한다.
[0124] 상기 형개는 중국 북부 원산이며 약용식물로 재배한다. 높이 60 cm 내외이고 가지가 갈라진다. 밑부분은 자줏빛이 돌고 전체에 털이 있으며 향기가 강하다. 잎은 마주달리고 대가 있으며 깃처럼 깊게 갈라진다. 갈래조각은 선형이고 길이 1.5∼2 cm로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잎맥이 뚜렷하지 않다. 꽃은 8∼9월에 피고 연한 자홍색이며 층층으로 달린다. 화관은 양순형(兩脣形)이고 상순은 2개로 갈라지며 하순은 3개로 갈라지고 꽃받침은 5개로 갈라진다. 수술은 4개이며 상순에 달린 2개는 짧고 하순에 달린 2개는 길다. 씨방은 4개로 갈라지고 암술대는 2개로 갈라진다. 한방에서는 전초(全草)를 말려서 형개라고 하며, 감기로 열이 나고 두통이 생기거나 목이 아프거나, 종처(腫處)에서 피가 날 때 사용한다.
[0125] 상기 호로파는 높이 약 50cm까지 자란다. 잎은 복엽(겹잎)으로 3장의 작은잎으로 이루어져 있다. 6∼8월에 노란빛을 띠는 감색의 꽃이 피는데 양성화로 곤충들이 수분(가루받이)를 돕는다. 8∼9월에 꼬투리 모양의 열매가 열리고 꼬투리 안에는 씨앗이 10∼20개씩 들어 있다. 호로파 씨는 대개 햇볕에 말려 약용한다. 씨에는 매우 적은 양의 정유가 들어 있으며 이 정유에는 약 40개의 성분, 즉 여러 종류의 알칼로이드, 단백질, 지방 등이 들어 있다. 성질이 따뜻하고 독이 없어 아프리카·중동·인도 등지에서는 옛부터 방광과 신장의 병을 치료하는 데에 이용했고 식은땀이 흐르거나 배가 찬 사람을 치료하는 데에도 이용해오고 있다. 오늘날은 몸 속의 혈당과 인슐린의 균형을 유지하는 데에 효과가 있으며 체중조절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씨와 잎 등은 독특한 향과 맛을 내서 향미료로 이용되고 잎은 익혀서 요리해 먹기도 하며 샐러드나 카레요리에 넣어 먹는다. 또 차 또는 술로 만들어 먹을 수도 있다. 모래, 진흙, 유기물 등이 적절히 섞인 토양에서 잘 자라고 토양의 산성도는 크게 영향을 받지 않는다. 그러나 그늘진 곳을 싫어하므로 재배할때 조심해야 한다.
[0126] 상기 황금는 산지의 풀밭에서 자란다. 높이 20∼60cm이다. 여러 대가 나와 포기로 자라고 털이 있으며 가지가 갈라진다. 잎은 마주나고 바소꼴이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꽃은 7∼8월에 피고 자주빛이 돌며 총상꽃차례로 한쪽으로 치우쳐서 달린다. 화관(花冠)은 밑부분에서 꼬부라져 곧게 서고 통형이며 길이 1.5∼2.5cm이고 입술 모양이다. 꽃받침은 종 모양이다. 4개의 수술 중 2개는 길고 암술은 1개이며 씨방은 4개로 깊게 갈라진다. 열매는 9월에 결실하며 둥근 모양으로 꽃받침 안에 들어 있다. 원뿌리는 원뿔형이고 살이 황색이다. 한방에서 뿌리를 해열·이뇨·지사·이담 및 소염제로 이용한다. 약용식물로 재배한다. 한국·중국·몽골 및 시베리아 동부 등지에 분포한다.
[0127] 상기 황기는 산지의 바위틈에 자란다. 높이 40∼70cm이며 전체에 흰색의 부드러운 잔털이 있다. 줄기는 총생(叢生)하며 잎은 6∼11쌍의 작은잎으로 이루어진 홀수 1회 깃꼴겹잎이다. 작은잎은 길이 약 1∼2 cm로 달걀 모양의 타원형이며 잎가장자리는 밋밋하다.턱잎은 바소꼴로써 끝이 길게 뾰족하다. 잎겨드랑이에서 총상(總狀)으로 대가 긴 꽃이삭이 나오며 5∼10개의 꽃이 달린다. 7∼8월에 황백색 꽃이 피며 길이 약 2cm이고 작은 꽃자루는 길이 약 3mm이다. 꽃받침은 길이 약 5mm이고 흑갈색 털이 있으며 5개로 갈라진다. 수술은 10개이고 열매는 11월에 결실하며 협과이다. 꼬투리는 긴 타원형으로 양 끝이 뾰족하고 길이 2∼3cm이며 5∼7개의 종자가 들어 있다. 한국·일본·만주·중국 북동부·시베리아 동부 등지에 분포한다. 흔히 약초로서 재배하며 한방에서는 가을에 채취하여 노두(蘆頭)와 잔뿌리를 제거하고 햇빛에 말린 것을 한약재의 황기라 하며, 강장·지한(止汗)·이뇨(利尿)·소종(消腫) 등의 효능이 있어 신체허약·피로권태·기혈허탈(氣血虛脫)·탈항(脫肛)·자궁탈·내장하수·식은땀·말초신경 등에 처방한다.
[0128] 상기 회향는 지중해 연안이 원산지이다. 속명인 페니쿨룸(Foeniculum)은 '건초'를 뜻하는 라틴어 페눔(foenum)에서 왔는데, 이는 펜넬의 특유한 건초 냄새에서 출발한 이름이다. 높이 1.5∼2m이다. 줄기는 곧게 자라며 속은 비어 있다. 잎은 긴 칼집 모양으로 끝이 뾰족하며 깃털처럼 3∼4갈래로 가늘게 갈라져 있다. 초여름이 되면 가지 끝에 노란색의 작은 꽃이 우산 모양의 꽃차례를 이루며 핀다. 꽃에는 노란색 꽃가루주머니가 달려 있고 수꽃술은 안으로 조금 말려서 길게 자란다. 암술대는 2개로 매우 작으며 자라면서 뒤로 굽는다. 열매는 분열과이며 달콤한 맛과 향기가 난다. 그리스신화에는 프로메테우스가 신에게 불을 훔칠 때 속이 빈 펜넬의 줄기에 숨겨서 인간에게 가져다주었다는 내용이 있다. 고대 로마에서는 강정·장수를 위해서는 물론 시력을 높이려고 펜넬을 재배했다는 기록이 있다. 또 영국에서는 펜넬 다발을 걸어두면 나쁜 귀신이 침범하지 못한다는 이야기가 전한다. 오늘날에는 각종 여성병의 치료에 효과가 높다. 차를 마시면 갱년기 증상이 줄어들고 산모의 모유량이 많아진다. 또 식욕을 돋우고 소화가 잘되게 하며 스트레스 해소와 숙면에도 효과가 있다. 이뇨작용도 있어 체중감량과 비만 방지를 위해 이용되기 때문에 다이어트 허브라고도 불린다. 포도주·피클·빵·소스·카레 등의 부향제로도 인기가 있으며, 생선의 비린내, 육류의 느끼함과 누린내를 없애고 맛을 돋운다. 이밖에도 화장품의 부향제로도 사용된다.
[0129] 상기 회화나무열매(괴각)는 회화나무는 갈잎큰키나무로 귀신을 내보내는 다고 믿어 져서 주로 궁궐에 심어 진 나무이다. 중국에서도 조정의 뜰에 세워진 세 그루의 회화나무를 세 명의 정승이 마주보고 자리를 잡는다는 내용이 있다. 그 이유는 누런 색으로 조화롭게 번창시키는 치우치지 않은 덕을 지녔으며 무늬가 아름다워 세 명의 정승이 그 곳에 서게 되었다고 전한다. 이 약은 냄새가 없고 맛은 쓰고 성질은 차다. [苦寒] 괴각은 치질출혈, 대변출혈, 자궁출혈, 소변출혈 등에 지혈효과가 있다.약리작용으로 혈당상승, 포도상구균, 대장균 억제작용이 보고되었다. 생김새는 콩 꼬투리 모양으로 1 ~ 6 개의 씨가 들어 있다. 과피는 얇고 돌출되어 있으며 씨는 비교적 둥글다. 과피는 녹갈색이나 갈색이고 씨는 흑갈색이나 흑색이다. 이 약은 충실하며 크고 황록색이며 쭈그러진 것이 없어야 한다. 다른 이름으로 괴실(槐實), 괴협(槐莢), 괴자(槐子), 괴연두(槐連豆), 괴실(槐實), 괴두(槐豆) 등이 있다.
[0130] 본 발명은 상기한 각 성분들의 본초강목에 기초한 한방처방과 식용으로 분류된 100종류의 한약재는 인체에 무해하고 독성이 없으면 그 동안의 골장의학을 바탕으로 한 골장회복에 대한 미국피드먼트 한의대의 한의학과 교수로서 연구한 내용을 열수 추출물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각 성분들의 함량은 본 발명자들에 의해 그 동안의 한의학적 지식과 시행착오 적인 방법으로 반복적으로 실험한 결과에 기초하여 이상적으로 배합된 것으로서,상기한 범위를 벗어나는 성분의 사용은 본 발명자들이 의도한 골장회복과 하수오및 가시오가피 및 자양강장 및 육체 피로회복에 효과가 뛰어나고,맛, 향취 및 색택 등의 기호성이 우수한 골장회복과 하수오및 가시오가피 및 홍삼과 녹용 추출물을 포함하는 드링크제로서 이상적 입니다.그중에서도 독성이 있을 가능성이 있는 17가지는 포함 시키지 않았습니다.본 발명에 따른 골장회복과 하수오및 가시오가피 및 홍삼과 녹용 추출물을 포함하는 드링크제는 첨가제로서
[00131] 특별히 신맛을 없애기 위해 당류, 산미료, 비타민류, 기능성성분류, 향료 및 합성보존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당류는 벌꿀, 올리고당, 물엿 및 고과당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산미료는 바람직하게는 구연산 및 구연산나트륨으로 구성되고, 비타민류는 바람직하게는비타민 C, 비타민 B1, 비타민 B 및 나이아신으로 구성되며, 기능성 성분류로서는 안정성이 좋아 피로회복 효과가큰 타우린 및 수용성 섬유소인 덱스트린이 바람직하게 사용되며, 향료로서는 포도향이, 그리고 합성보존제로서는 안식향산 나트륨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0132]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골장회복과 하수오및 가시오가피 및 홍삼과 녹용 추출물을 포함하는 드링크제의 제조방법은, (1) 인삼 380 내지 420중량부,녹각 180 내지 200중량부, 당귀 180 내지 200중량부,녹용 180 내지 200중량부,가시연꽃 씨앗(검인) 20 내지 40중량부, 갈대뿌리(노근) 20 내지 40중량부, 감초 180 내지 200중량부, 개다래나무 열매(목천료) 20 내지 40중량부, 겨우살이(곡기생) 20 내지 40중량부, 고량강 20 내지 40중량부, 고수열매 (호유자) 20 내지 40중량부, 구기자 180 내지 200중량부, 구절초 180 내지 200중량부, 국화(감국) 20 내지 40중량부, 귤나무 열매껍질(진피) 20 내지 40중량부, 금불초(선복화) 20 내지 40중량부, 금앵자 20 내지 40중량부, 금은화(인동) 20 내지 40중량부, 금은화 20 내지 40중량부, 꿀풀(하고초) 20 내지 40중량부, 대회향(팔각회향) 20 내지 40중량부, 도라지(길경) 180 내지 200중량부, 독활 20 내지 40중량부, 동과씨(동과자) 20 내지 40중량부, 두충 20 내지 40중량부, 띠(모근) 20 내지 40중량부, 만삼(당삼) 20 내지 40중량부, 맥문동 180 내지 200중량부, 몰약 20 내지 40중량부, 무우 씨(내복자) 20 내지 40중량부, 민들레(포공영) 20 내지 40중량부, 박하 20 내지 40중량부, 배초향(곽향) 20 내지 40중량부, 백강잠 20 내지 40중량부, 백리향(사향초) 20 내지 40중량부, 백수오 180 내지 200중량부, 백합 20 내지 40중량부, 복령 20 내지 40중량부, 복분자 180 내지 200중량부, 비파엽 20 내지 40중량부, 뽕나무가지(영지버섯) 180 내지 200중량부, 사철쑥(인진호) 20 내지 40중량부, 사프란 20 내지 40중량부, 산사 20 내지 40중량부, 산수유 180 내지 200중량부, 산약 20 내지 40중량부, 삼씨(마인) 20 내지 40중량부, 삽주뿌리(백출) 20 내지 40중량부, 생강(건강) 90 내지 110중량부, 생지황 90 내지 110중량부, 석창포 90 내지110중량부, 쇠무릅(우슬) 90 내지 110중량부, 숙지황 180 내지 200중량부, 아출(봉출) 90 내지 110중량부, 알로에(노회) 180 내지 200중량부, 어성초 90 내지110중량부, 엄나무껍질(해동피) 90 내지 110중량부, 엉겅퀴(대계) 90 내지 110중량, 연 씨(연자육) 90 내지 110중량, 오가피 180 내지 200중량부, 오미자 180 내지 200중량부, 옥수수수염(옥촉서예) 90 내지 110중량부, 왕느릅나무 껍질(유백피) 90 내지 110중량부, 용안육 180 내지 200중량부, 원지 90 내지 110중량부, 육계 가지(계지) 90 내지 110중량부, 육계(계피) 90 내지 110중량부, 육두구 90 내지 110중량부, 은행엽 90 내지 110중량부, 익모초 180 내지 200중량부, 익지 90 내지 110중량부, 작약 180 내지 200중량부, 전칠삼(삼칠) 90 내지 110중량부, 정향 90 내지 110중량부, 죽력 90 내지 110중량부, 쥐오줌풀(길초근) 90 내지 110중량부, 지각 90 내지 110중량부, 지치(자근) 90 내지 110중량부, 지황 180내지 200중량부, 찔레나무 열매(영실) 90 내지 110중량부, 차즈기씨(자소자) 90 내지 110중량부, 창출 90 내지 110중량부, 천궁 90 내지 110중량부, 천마 90 내지 110중량부, 천문동 90 내지 110중량부, 청피 90 내지 110중량부, 측백엽 90 내지 110중량부, 치자 90 내지 110중량부, 칡뿌리(갈근) 180 내지200 중량부, 침향 90 내지 110중량부, 택란 90 내지 110중량부, 필발 90 내지 110중량부, 하수오 180 내지 200중량부, 해당화(매괴화) 90 내지 110중량부, 형개 90 내지 110중량부, 호로파 90 내지 110중량부, 황금 90 내지 110중량부, 황기 180 내지 200중량부, 회향 90 내지 110중량부, 회화나무 열매(괴각) 90 내지 110중량부를 준비하는 원료준비단계; (2) 상기 원료준비단계에서 준비된 원료혼합물을 35000 내지 40000㎖의 물과 함께 황토 맥반석 중탕기 내에 투입하고, 중탕기에서 증기가 새지 않도록 밀봉한 상태에서 120 내지 130℃의 온도에서 10 내지 13시간 동안 중탕하는 중탕단계; (3) 상기 중탕단계의 완료 후, 중탕기 내에서 그대로 10 내지 13시간 방치하여 숙성시키는 숙성단계; 또 다른 방식은 (4) 원료혼합물을 35000 내지 40000㎖의 물 과 함께 진공농축기 내에 투입하고, 진공농축기 에서 증기가 새지 않도록 밀봉한 상태에서 120 내지 130℃의 온도에서 10 내지 13시간 진공농축기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가열기로 가열방식에 따라 이러한 목적이 진공하에서는 물질의 비점이 낮아짐으로 열원 공급이 쉬워서 이용하기도 하고 형태가 달라진다.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및 숙성된 추출물을 가압기로 압착하여 추출물을 분리하고, 냉각, 소분 및 포장 등을 수행하는 후처리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0133] 상기 (1)의 원료준비단계는 (인삼 380 내지 420중량부,녹각 180 내지 200중량부, 당귀 180 내지 200중량부,녹용 180 내지 200중량부,가시연꽃 씨앗(검인) 20 내지 40중량부, 갈대뿌리(노근) 20 내지 40중량부, 감초 180 내지 200중량부, 개다래나무 열매(목천료) 20 내지 40중량부, 겨우살이(곡기생) 20 내지 40중량부, 고량강 20 내지 40중량부, 고수열매 (호유자) 20 내지 40중량부,
구기자 180 내지 200중량부, 구절초 180 내지 200중량부, 국화(감국) 20 내지 40중량부, 귤나무 열매껍질(진피) 20 내지 40중량부, 금불초(선복화) 20 내지 40중량부, 금앵자 20 내지 40중량부, 금은화(인동) 20 내지 40중량부, 금은화 20 내지 40중량부, 꿀풀(하고초) 20 내지 40중량부, 대회향(팔각회향) 20 내지 40중량부, 도라지(길경) 180 내지 200중량부, 독활 20 내지 40중량부, 동과씨(동과자) 20 내지 40중량부, 두충 20 내지 40중량부, 띠(모근) 20 내지 40중량부, 만삼(당삼) 20 내지 40중량부, 맥문동 180 내지 200중량부, 몰약 20 내지 40중량부, 무우 씨(내복자) 20 내지 40중량부, 민들레(포공영) 20 내지 40중량부, 박하 20 내지 40중량부, 배초향(곽향) 20 내지 40중량부, 백강잠 20 내지 40중량부, 백리향(사향초) 20 내지 40중량부, 백수오 180 내지 200중량부, 백합 20 내지 40중량부, 복령 20 내지 40중량부, 복분자 180 내지 200중량부, 비파엽 20 내지 40중량부, 뽕나무가지(영지버섯) 180 내지 200중량부, 사철쑥(인진호) 20 내지 40중량부, 사프란 20 내지 40중량부, 산사 20 내지 40중량부, 산수유 180 내지 200중량부, 산약 20 내지 40중량부, 삼씨(마인) 20 내지 40중량부, 삽주뿌리(백출) 20 내지 40중량부, 생강(건강) 90 내지 110중량부, 생지황 90 내지 110중량부, 석창포 90 내지110중량부, 쇠무릅(우슬) 90 내지 110중량부, 숙지황 180 내지 200중량부, 아출(봉출) 90 내지 110중량부, 알로에(노회) 180 내지 200중량부, 어성초 90 내지110중량부, 엄나무껍질(해동피) 90 내지 110중량부, 엉겅퀴(대계) 90 내지 110중량, 연 씨(연자육) 90 내지 110중량, 오가피 180 내지 200중량부, 오미자 180 내지 200중량부, 옥수수수염(옥촉서예) 90 내지 110중량부, 왕느릅나무 껍질(유백피) 90 내지 110중량부, 용안육 180 내지 200중량부, 원지 90 내지 110중량부, 육계 가지(계지) 90 내지 110중량부, 육계(계피) 90 내지 110중량부, 육두구 90 내지 110중량부, 은행엽 90 내지 110중량부, 익모초 180 내지 200중량부, 익지 90 내지 110중량부, 작약 180 내지 200중량부, 전칠삼(삼칠) 90 내지 110중량부, 정향 90 내지 110중량부, 죽력 90 내지 110중량부, 쥐오줌풀(길초근) 90 내지 110중량부, 지각 90 내지 110중량부, 지치(자근) 90 내지 110중량부, 지황 180내지 200중량부, 찔레나무 열매(영실) 90 내지 110중량부, 차즈기씨(자소자) 90 내지 110중량부, 창출 90 내지 110중량부, 천궁 90 내지 110중량부, 천마 90 내지 110중량부, 천문동 90 내지 110중량부, 청피 90 내지 110중량부, 측백엽 90 내지 110중량부, 치자 90 내지 110중량부, 칡뿌리(갈근) 180 내지200 중량부, 침향 90 내지 110중량부, 택란 90 내지 110중량부, 필발 90 내지 110중량부, 하수오 180 내지 200중량부, 해당화(매괴화) 90 내지 110중량부, 형개 90 내지 110중량부, 호로파 90 내지 110중량부, 황금 90 내지 110중량부, 황기 180 내지 200중량부, 회향 90 내지 110중량부, 회화나무 열매(괴각) 90 내지 110중량부 준비하는 단계로서, 통상적인 원료들을 수급하여 상기한 바의 소정의 비율로 혼합하는 것을 의미한다.
[0134] 상기 (2)의 중탕단계는 상기 원료준비단계에서 준비된 원료혼합물을 35000 내지 40000㎖의 물과 함께 중탕기 내에 투입하고, 중탕기에서 증기가 새지 않도록 밀봉한 상태에서 120 내지 130℃의 온도에서 10 내지 13시간 동안중탕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중탕단계에서 사용되는 상기 중탕기는 내용기와 외용기의 이중용기로 이루어지며, 상기 내용기가 맥반석용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외용기가 스테인레스 스틸로 이루어지며, 상기 내용기와외용기 사이에 물이 투입되어 내용기 내의 내용물을 중탕시키는 것이 될 수 있다. 내용기는 실질적으로 약재들이 증숙되고 그리고 열탕되어 열수추출액이 형성되는 곳으로서, 생리활성물질들을 다량 포함하는 각종의 생약재들인 상기 성분들이 직접 접촉하는 부분으로서, 일반 금속이나 내식성의 스테인레스 스틸 보다는 기존의 약탕기와 동일 또는 유사한 역할을 할 수 있는 맥반석옹기로 이루어진다. 상기 외용기는 단순히 상기 내용기를 내포하고, 상기 내용기와의 사이에 중탕을 위한 물을 수용하며, 열을 잘 전도하고, 내충격성 및 내부식성을 가져 장기간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스테인레스 스틸로
이루어진다. 상기 중탕단계에서 물은 35000 내지 40000㎖의 양으로 중탕기 내에 투입되며, 이 물의 양은 상기한 약재들의 총 중량의 4 내지 7배량에 해당하는 양으로
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 범위 이내의 양의 물 만을 사용하는 것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물의 사용량이 너무 적으면 열수추출 및 중탕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아 수득되는 조성물 내의 약리활성물질들이 충분히 용출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고, 반대로 물의 사용량이 너무 많으면 중탕시간이 너무 오래 걸리게 되고,수득되는 조성물 단위량 당 생리활성물질의 함량이 너무 적어져서 조성물이 너무 묽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을수 있다. 적절한 중탕을 위해서는 중탕기에서 증기가 새지 않도록 밀봉한 상태에서 중탕이 진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증기가 새는 경우, 휘발성의 생리활성물질들이 너무 많이 소실되고, 수득되는 조성물의 약량이 너무 적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중탕온도가 120℃ 미만으로 되거나, 중탕시간이 10시간 미만으로 되는 경우, 중탕이 충분치 못하여 역시 중탕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아 수득되는 조성물 내에 약리활성물질들이충분히 용출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고, 중탕온도가 130℃를 초과하거나, 중탕시간이 15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약리활성성분들 중 열에 약한 성분들이 변질 내지는 손실되게 되고, 불필요하게 중탕을 오래 하게 되어 생산성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상기 (3)의 숙성단계는 상기 중탕단계의 완료 후, 또 다른 방식은 (4) 원료혼합물을 35000 내지 40000㎖의 물 과 함께 진공농축기 내에 투입하고, 진공농축기 에서 증기가 새지 않도록 밀봉한 상태에서 120 내지 130℃의 온도에서 10 내지 13시간 진공농축기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가열기로 가열방식에 따라 이러한 목적이 진공하에서는 물질의 비점이 낮아짐으로 열원 공급이 쉬워서 이용하기도 하고 형태가 달라진다.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0135] 10 내지 13시간 방치하여 숙성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숙성단계에서의 숙성은 글자 그대로 음식을 자연상태에서 그대로 두어 스스로 분자구조를 작게 분해 하는 과정이다. 일반적으로 자연 상태의 숙성은 아주 장시간이 소요되어 이 기간의 결정이 음식의 맛을 심각하게 좌우하게 된다. 음식의 분자구조는 대부분 고르지 못하고, 이 분자 구조들의 사이에 세균이 번식하게 되는데 세균은 성장 환경이 적절한 상태가 되면 기하급수적으로 번식하여 부패시킨다. 적절한 숙성은 음식의 맛을 향상시키고 효소를 이용한 발효는 전혀 새로운 음식의 형태를 만들어 내기도 한다.
[0136] 본 발명에서는 상기 숙성단계의 완료 후, 숙성된 추출물을 가압기로 압착하여 추출물을 분리하고, 냉각, 소분및 포장 등을 수행하는 후처리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처리단계는 글자 그대로 후처리에 해당 하는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필수구성요소는 아니나, 산업에서 이용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후처리는 통상적으로 수행되는 것으로서 당업자에게는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후처리단계에서의 소분 및 포장은 바람직하게는 100㎖ 파우치 또는 유리병에 진공상태로 소분하여 포장하는 것이 될 수 있다.또 다른 방식인 원료혼합물을 진공농축기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가열기로 가열방식에 따라 이러한 목적이 진공하에서는 물질의 비점이 낮아짐으로 열원 공급이 쉬워서 이용하기도 하고 형태가 달라진다.이는 증류한약까지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0137]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하수오와 가시오가피 및 홍삼과 녹용 추출물을 포함하는 드링크제의 제조방법에는 첨가제로서 포도당류, 첨가 산미료, 종합비타민류, 기능성 성분류, 향료 및 합성보존제 등을 더 혼합하는 단계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당류는 벌꿀, 올리고당,설탕, 물엿 및 과당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첨가 산미료는 바람직하게는 구연산 및 구연산나트륨으로 구성되고, 종합 비타민류는 바람직하게는 비타민 C, 비타민 B1와 비타민 B군 및 나이아신으로 구성되며, 기능성 성분류로서는 안정성이 좋아 피로회복 효과가 큰 우린 및 수용성 섬유소인 덱스트린이 바람직하게 사용되며, 향료로서는 ,각종허브향, 포도향이, 그리고 합성보존제로서는 안식향산나트륨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0138] 본 발명에 따른 하수오와 가시오가피 및 홍삼과 녹용 추출물을 포함하는 드링크제는 다음과 같은 특징들을 갖는 것으로 요약된다.
[0139] 1. 식용가능한 한약재로서 천연 추출물이기 때문에 안심하고 복용할 수 있다. 장기간 복용해도 인체에 무해하며,물 의존성(내성) 및 부작용이 없다.단, 복용 중 개선에 대한 명현 반응은 있을 수 있다.그러나 이미 수천년동안 인체한 무해한 물질이기에 장기 복용하면 이런 증세도 사라진다.
[0140] 2. 한약재의 위험성을 제거한 약은 아니지만 증세는 나타난다. 오랜 시간 검정된 한약재를 이용해 국민건강과 복합적이고 종합적인 건강 증진 효과가 탁월하다.
[0141] 3. 100종의 천연 물질에 대한 배합의 독창성에 의하여 전신 건강에 대한 작용이 강력하게 나타난다. 인체의 뼈와 장기의 조혈 세포를 활성화 시키고 체세포를 부활시켜서 신체 건강을 회복시키는 작용을 한다.
[0142] 4. 추출한 액상이기 때문에 여타 형태의 환이나 분말 식품 유형 보다 체내 흡수율이 높아서 성분의 소실이 적다. 특히 식전에 복용할 경우, 알칼로이드 성분이기 때문에 혀와 위에서 흡수가 된다. 5. 100종의 한약재 및 식품의 원료가 복합적으로 나타나는 결과가 탁월하며 천연물의 부작용이나 독성을 제거시킨 처방이 우수하다. 6. 비록 건강보조식품이지만 나타나는 결과는 한방적 치료 작용이 아니지만 인체 체세포를 부활시켜서 조혈세포를 활성화 시키고 몸의 건강을 원복시키는 작용을 하는 전혀 새로운 음료이며, 한방적치료제가 아니다. 7. 뼈 장기의 원기를 회복시키는 기(氣) 즉 생명에너지가 안으로 응축되어 인체 세포가 유기적으로 생명 활역소들이 하수오 및 가시오가피 및 홍삼과 녹용 그리고 나머지 100종의 천연물에 풍부히 배합이 되어 건강을 회복시키고 유지하고 원기를 붇돋워 준다. 8. 식전 또는 식후 어느 시간에 복용해도 무방하다. 특히 면역력 강화와 한약의 자연추출된 원료이기에 다만 양약을 복용하는 자는 병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특히 식용 가능한 100종류 약재들을 엄선하여 오장육부에 효과를 보도록 배합되어 국민 누구나 남녀노소 누구나 안심하고 복용이 가능하다. 9.순환식 무압력으로 맥반석 중탕기를 이용하는 방법과 진공농축기로 약을 달이게 되면 서서히 끓게되어 용출과 대류현상이 활발히 이루어져 역하고 독한 냄새는 수증기와 함께 배출이 이루어지고 몸에 이로운 향과원소의 점액은 강제 냉각시스템에 의하여 재투입되게 됩니다. 열수 추출물들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재래식의 증류방식인 스텐레스 가마 안에 맥반석용기 가마솥을 넣고 그 속에 100종의 약재를 넣어서 10시간 이상 직불이 아닌 중탕과 진공농축기로 달여내어 약재들의 성분들을 잘 살렸다.
[0143]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비교예들이 기술되어질 것이다.
[0144]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예증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를 국한시키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0145] 실시예 1
[0146] (인삼 400g,녹각 200g, 당귀 200g,녹용 200g,가시연꽃 씨앗(검인) 30g, 갈대뿌리(노근) 30g, 감초 200g, 개다래나무 열매(목천료) 30g, 겨우살이(곡기생) 30g, 고량강 30g, 고수열매 (호유자) 30g,
구기자 200g, 구절초 200g, 국화(감국) 30g, 귤나무 열매껍질(진피) 30g, 금불초(선복화) 30g, 금앵자 30g, 금은화(인동) 30g, 금은화 30g, 꿀풀(하고초) 30g, 대회향(팔각회향) 30g, 도라지(길경) 200g, 독활 30g, 동과씨(동과자) 30g, 두충 30g, 띠(모근) 30g, 만삼(당삼) 30g, 맥문동 200g, 몰약 30g, 무우 씨(내복자) 30g, 민들레(포공영) 30g, 박하 30g, 배초향(곽향) 30g, 백강잠 30g, 백리향(사향초) 30g, 백수오 200g, 백합 30g, 복령 30g, 복분자 200g, 비파엽 30g, 뽕나무가지(영지버섯) 200g, 사철쑥(인진호) 30g, 사프란 30g, 산사 30g, 산수유 200g, 산약 30g, 삼씨(마인) 30g, 삽주뿌리(백출) 30g, 생강(건강) 100g, 생지황 100g, 석창포 100g, 쇠무릅(우슬) 100g, 숙지황 200g, 아출(봉출) 100g, 알로에(노회) 200g, 어성초 100g, 엄나무껍질(해동피) 100g, 엉겅퀴(대계) 100g, 연 씨(연자육) 100g, 오가피 200g, 오미자 200g, 옥수수수염(옥촉서예) 100g, 왕느릅나무 껍질(유백피) 100g, 용안육 200g, 원지 100g, 육계 가지(계지) 100g, 육계(계피) 100g, 육두구 100g, 은행엽 100g, 익모초 200g, 익지 100g, 작약 200g, 전칠삼(삼칠) 100g, 정향 100g, 죽력 100g, 쥐오줌풀(길초근) 100g, 지각 100g, 지치(자근) 100g, 지황 200g, 찔레나무 열매(영실) 100g, 차즈기씨(자소자) 100g, 창출 100g, 천궁 100g, 천마 100g, 천문동 100g, 청피 100g, 측백엽 100g, 치자 100g, 칡뿌리(갈근) 200g, 침향 100g, 택란 100g, 필발 100g, 하수오 200g, 해당화(매괴화) 100g, 형개 100g, 호로파 100g, 황금 100g, 황기 200g, 회향 100g, 회화나무 열매(괴각) 100g을 준비하고, 이를 40000㎖의 물과 함께 중탕기(내용기는 맥반석용기이고, 외용기는 스테인레스 스틸용기로 이루어짐) 내에 투입하고, 중탕기에서 증기가 새지 않도록 밀봉한 상태에서 120℃의 온도에서 13시간 동안 중탕하고, 중탕의 완료 후, 중탕기 내에서 그대로 13시간 방치하여 숙성시킨 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압착하
여 본 발명에 따른 하수오 및 가시오가피 및 홍삼과 녹용 추출물을 포함하는 드링크제를 수득하였다.
[0147] 상기 실시예 와 대조군으로서 시판중인 드링크제로서 널리 시판되고 있는 유명한 동아제약의 박카스디, 일양약품의 원비디 및 광동제약의 쌍화탕을 비교예 1(박카스디), 비교예 2(원비디) 및 비교예 3(쌍화탕)으로 하여, 드링크제를 음용 하고 4 시간이 경과 한 후 피로회복 효과를 총 100명의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검정하여 평균값을 취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
구분실예 복용 5시간 후 피로회복의 체감효과
아주 크다 크다 보통이다 작다
실시예 30 60 6 4
비교예 1 20 50 28 2
비교예 2 18 35 25 22
비교예 3 20 48 26 6
[0148] 또한, 성인남녀 50인을 대상으로 하여 맛, 향 및 색도의 3가지 항목들에 대하여 설문조사를 한 결과, 맛에 있어서는 대체로 한약재 특유의 쌉싸름한 맛을 느낄 수 있으나, 불쾌감이 적어 음용 하기에 부담을 느끼지 않았다 는 의견이 지배적이었으며, 일부(10인)의 경우, 한약재 특유의 맛을 싫어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향 역시 한약재 특유의 향을 느낄 수 있으나, 전체적으로 거부감을 느끼지 않았다는 의견이 많았으며, 일부(10인)의 경우, 한약재 특유의 향을 싫어한다고 답하였다.
[0149] 또한, 색도의 경우, 음용에 있어서 거부감을 느끼지 않았다는 의견이 지배적(4인 제외)이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산업상 이용가능성
[0150] 본 발명은 건강보조식품 중 드링크제를 제조하고 이를 사용하는 산업에 이용될 수 있다.
[0151]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포함 당연한것 이다.

Claims (1)

  1. 청구항 1
    인삼 380 내지 420중량부,녹각 180 내지 200중량부, 당귀 180 내지 200중량부,녹용 180 내지 200중량부,가시연꽃 씨앗(검인) 20 내지 40중량부, 갈대뿌리(노근) 20 내지 40중량부, 감초 180 내지 200중량부, 개다래나무 열매(목천료) 20 내지 40중량부, 겨우살이(곡기생) 20 내지 40중량부, 고량강 20 내지 40중량부, 고수열매 (호유자) 20 내지 40중량부, 구기자 180 내지 200중량부, 구절초 180 내지 200중량부, 국화(감국) 20 내지 40중량부, 귤나무 열매껍질(진피) 20 내지 40중량부, 금불초(선복화) 20 내지 40중량부, 금앵자 20 내지 40중량부, 금은화(인동) 20 내지 40중량부, 금은화 20 내지 40중량부, 꿀풀(하고초) 20 내지 40중량부, 대회향(팔각회향) 20 내지 40중량부, 도라지(길경) 180 내지 200중량부, 독활 20 내지 40중량부, 동과씨(동과자) 20 내지 40중량부, 두충 20 내지 40중량부, 띠(모근) 20 내지 40중량부, 만삼(당삼) 20 내지 40중량부, 맥문동 180 내지 200중량부, 몰약 20 내지 40중량부, 무우 씨(내복자) 20 내지 40중량부, 민들레(포공영) 20 내지 40중량부, 박하 20 내지 40중량부, 배초향(곽향) 20 내지 40중량부, 백강잠 20 내지 40중량부, 백리향(사향초) 20 내지 40중량부, 백수오 180 내지 200중량부, 백합 20 내지 40중량부, 복령 20 내지 40중량부, 복분자 180 내지 200중량부, 비파엽 20 내지 40중량부, 뽕나무가지(영지버섯) 180 내지 200중량부, 사철쑥(인진호) 20 내지 40중량부, 사프란 20 내지 40중량부, 산사 20 내지 40중량부, 산수유 180 내지 200중량부, 산약 20 내지 40중량부, 삼씨(마인) 20 내지 40중량부, 삽주뿌리(백출) 20 내지 40중량부, 생강(건강) 90 내지 110중량부, 생지황 90 내지 110중량부, 석창포 90 내지110중량부, 쇠무릅(우슬) 90 내지 110중량부, 숙지황 180 내지 200중량부, 아출(봉출) 90 내지 110중량부, 알로에(노회) 180 내지 200중량부, 어성초 90 내지110중량부, 엄나무껍질(해동피) 90 내지 110중량부, 엉겅퀴(대계) 90 내지 110중량, 연 씨(연자육) 90 내지 110중량, 오가피 180 내지 200중량부, 오미자 180 내지 200중량부, 옥수수수염(옥촉서예) 90 내지 110중량부, 왕느릅나무 껍질(유백피) 90 내지 110중량부, 용안육 180 내지 200중량부, 원지 90 내지 110중량부, 육계 가지(계지) 90 내지 110중량부, 육계(계피) 90 내지 110중량부, 육두구 90 내지 110중량부, 은행엽 90 내지 110중량부, 익모초 180 내지 200중량부, 익지 90 내지 110중량부, 작약 180 내지 200중량부, 전칠삼(삼칠) 90 내지 110중량부, 정향 90 내지 110중량부, 죽력 90 내지 110중량부, 쥐오줌풀(길초근) 90 내지 110중량부, 지각 90 내지 110중량부, 지치(자근) 90 내지 110중량부, 지황 180내지 200중량부, 찔레나무 열매(영실) 90 내지 110중량부, 차즈기씨(자소자) 90 내지 110중량부, 창출 90 내지 110중량부, 천궁 90 내지 110중량부, 천마 90 내지 110중량부, 천문동 90 내지 110중량부, 청피 90 내지 110중량부, 측백엽 90 내지 110중량부, 치자 90 내지 110중량부, 칡뿌리(갈근) 180 내지200 중량부, 침향 90 내지 110중량부, 택란 90 내지 110중량부, 필발 90 내지 110중량부, 하수오 180 내지 200중량부, 해당화(매괴화) 90 내지 110중량부, 형개 90 내지 110중량부, 호로파 90 내지 110중량부, 황금 90 내지 110중량부, 황기 180 내지 200중량부, 회향 90 내지 110중량부, 회화나무 열매(괴각) 90 내지 110중량부, 열수추출물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골장회복과 하수오및 가시오가피 및 홍삼과 녹용 추출물을 포함하는 드링크제다.
    청구항 2
    (1) 인삼 380 내지 420중량부,녹각 180 내지 200중량부, 당귀 180 내지 200중량부,녹용 180 내지 200중량부,가시연꽃 씨앗(검인) 20 내지 40중량부, 갈대뿌리(노근) 20 내지 40중량부, 감초 180 내지 200중량부, 개다래나무 열매(목천료) 20 내지 40중량부, 겨우살이(곡기생) 20 내지 40중량부, 고량강 20 내지 40중량부, 고수열매 (호유자) 20 내지 40중량부,
    구기자 180 내지 200중량부, 구절초 180 내지 200중량부, 국화(감국) 20 내지 40중량부, 귤나무 열매껍질(진피) 20 내지 40중량부, 금불초(선복화) 20 내지 40중량부, 금앵자 20 내지 40중량부, 금은화(인동) 20 내지 40중량부, 금은화 20 내지 40중량부, 꿀풀(하고초) 20 내지 40중량부, 대회향(팔각회향) 20 내지 40중량부, 도라지(길경) 180 내지 200중량부, 독활 20 내지 40중량부, 동과씨(동과자) 20 내지 40중량부, 두충 20 내지 40중량부, 띠(모근) 20 내지 40중량부, 만삼(당삼) 20 내지 40중량부, 맥문동 180 내지 200중량부, 몰약 20 내지 40중량부, 무우 씨(내복자) 20 내지 40중량부, 민들레(포공영) 20 내지 40중량부, 박하 20 내지 40중량부, 배초향(곽향) 20 내지 40중량부, 백강잠 20 내지 40중량부, 백리향(사향초) 20 내지 40중량부, 백수오 180 내지 200중량부, 백합 20 내지 40중량부, 복령 20 내지 40중량부, 복분자 180 내지 200중량부, 비파엽 20 내지 40중량부, 뽕나무가지(영지버섯) 180 내지 200중량부, 사철쑥(인진호) 20 내지 40중량부, 사프란 20 내지 40중량부, 산사 20 내지 40중량부, 산수유 180 내지 200중량부, 산약 20 내지 40중량부, 삼씨(마인) 20 내지 40중량부, 삽주뿌리(백출) 20 내지 40중량부, 생강(건강) 90 내지 110중량부, 생지황 90 내지 110중량부, 석창포 90 내지110중량부, 쇠무릅(우슬) 90 내지 110중량부, 숙지황 180 내지 200중량부, 아출(봉출) 90 내지 110중량부, 알로에(노회) 180 내지 200중량부, 어성초 90 내지110중량부, 엄나무껍질(해동피) 90 내지 110중량부, 엉겅퀴(대계) 90 내지 110중량, 연 씨(연자육) 90 내지 110중량, 오가피 180 내지 200중량부, 오미자 180 내지 200중량부, 옥수수수염(옥촉서예) 90 내지 110중량부, 왕느릅나무 껍질(유백피) 90 내지 110중량부, 용안육 180 내지 200중량부, 원지 90 내지 110중량부, 육계 가지(계지) 90 내지 110중량부, 육계(계피) 90 내지 110중량부, 육두구 90 내지 110중량부, 은행엽 90 내지 110중량부, 익모초 180 내지 200중량부, 익지 90 내지 110중량부, 작약 180 내지 200중량부, 전칠삼(삼칠) 90 내지 110중량부, 정향 90 내지 110중량부, 죽력 90 내지 110중량부, 쥐오줌풀(길초근) 90 내지 110중량부, 지각 90 내지 110중량부, 지치(자근) 90 내지 110중량부, 지황 180내지 200중량부, 찔레나무 열매(영실) 90 내지 110중량부, 차즈기씨(자소자) 90 내지 110중량부, 창출 90 내지 110중량부, 천궁 90 내지 110중량부, 천마 90 내지 110중량부, 천문동 90 내지 110중량부, 청피 90 내지 110중량부, 측백엽 90 내지 110중량부, 치자 90 내지 110중량부, 칡뿌리(갈근) 180 내지200 중량부, 침향 90 내지 110중량부, 택란 90 내지 110중량부, 필발 90 내지 110중량부, 하수오 180 내지 200중량부, 해당화(매괴화) 90 내지 110중량부, 형개 90 내지 110중량부, 호로파 90 내지 110중량부, 황금 90 내지 110중량부, 황기 180 내지 200중량부, 회향 90 내지 110중량부, 회화나무 열매(괴각) 90 내지 110중량부를 준비하는 원료준비단계;
    (2) 상기 원료준비단계에서 준비된 원료혼합물을 35000 내지 40000㎖의 물과 함께 중탕기 내에 투입하고, 중 탕 기에서 증기가 새지 않도록 밀봉한 상태에서 120 내지 130℃의 온도에서 10 내지 13시간 동안 중 탕하는 중탕 단계; 및
    (3) 상기 중탕단계의 완료 후, 중 탕 기 내에서 그대로 10 내지 13시간 방치하여 숙성시키는 숙성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골 장 회복과 하 수오 및 가시오가피 및 홍삼과 녹용 추출물을 포함하는 또 다른 방식은 원료혼합물을 35000 내지 40000㎖의 물 과 함께 진공농축기 내에 투입하고, 진공농축기 에서 증기가 새지 않도록 밀봉한 상태에서 120 내지 130℃의 온도에서 10 내지 13시간 진공농축기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가열기로 가열방식에 따라 이러한 목적이 진공하에서는 물질의 비점이 낮아짐으로 열원 공급이 쉬워서 이용하기도 하고 형태가 달라진다.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드링크제 제조 방법입니다.
    청구항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숙성단계의 완료 후, 숙성된 추출물을 가압기로 압착하여 추출물을 분리하고, 냉각, 소 분 및 포장을 수행하는 후처리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골 장 회복과 하 수오 및 가시오가피 및 홍삼과 녹용 추출물을 포함하는 드링크제의 제조 방법입니다..
    청구항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중 탕 기는 황토 및 맥반석 내용기 와 스테인레스 외용기의 이중용기로 이루어지며, 상기 내용기가 맥반석용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외용기가 스테인레스 스틸로 이루어지며, 상기 내용기 와 외용기 사이에 물이 투입되어 내용기 내의 내용물을 중탕시키는 것임을 특징으로 또 다른 방식은 원료혼합물을 35000 내지 40000㎖의 물 과 함께 진공농축기 내에 투입하고, 진공농축기 에서 증기가 새지 않도록 밀봉한 상태에서 120 내지 130℃의 온도에서 10 내지 13시간 진공농축기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가열기로 가열방식에 따라 이러한 목적이 진공하에서는 물질의 비점이 낮아짐으로 열원 공급이 쉬워서 이용하기도 하고 형태가 달라진다. 이루어짐을 특징하는 골 장 회 복과 하 수오및 가시오가피 및 홍삼과 녹용 추출물을 포함하는 드링크제의 제조방법입니다..
KR1020120007518A 2012-01-26 2012-01-26 골장회복 하수오와 홍삼녹용과 오가피등 100가지한약재 추출물 드링크제 및제조 방법 Ceased KR2013008668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7518A KR20130086682A (ko) 2012-01-26 2012-01-26 골장회복 하수오와 홍삼녹용과 오가피등 100가지한약재 추출물 드링크제 및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7518A KR20130086682A (ko) 2012-01-26 2012-01-26 골장회복 하수오와 홍삼녹용과 오가피등 100가지한약재 추출물 드링크제 및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6682A true KR20130086682A (ko) 2013-08-05

Family

ID=492137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7518A Ceased KR20130086682A (ko) 2012-01-26 2012-01-26 골장회복 하수오와 홍삼녹용과 오가피등 100가지한약재 추출물 드링크제 및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86682A (ko)

Cited B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94928A (zh) * 2013-09-29 2014-01-08 江西天施康中药股份有限公司 一种复方鱼腥草制剂的制备方法
CN103907982A (zh) * 2013-09-25 2014-07-09 苏州启翔生物技术有限公司 一种玫瑰养颜保健饮品及其制备方法
CN104000169A (zh) * 2014-05-03 2014-08-27 新疆和田阳光沙漠玫瑰有限公司 一种玫瑰花酱配方
KR20150043985A (ko) * 2013-10-15 2015-04-23 유한회사 해원 건조 한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다기능성 한방 음료 조성물
CN104940741A (zh) * 2015-07-04 2015-09-30 薛婷婷 一种参术健脾花草茶
KR20160076014A (ko) 2014-12-19 2016-06-30 농업회사 법인 (주) 유기농스토리 기능성음료의 제조방법
KR20180013397A (ko) * 2016-07-29 2018-02-07 천지인초 주식회사 혼합 생약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해소, 피로회복 및 면역력 증강용 식품 조성물
CN108853491A (zh) * 2018-07-16 2018-11-23 吉林迈丰生物药业有限公司 一种疫苗的免疫效果增强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20190063577A (ko) * 2017-11-30 2019-06-10 조광문 건조한 팔각회향에서 액상의 추출물을 추출하는 방법 및 그 팔각회향 추출물을 첨가한 뼈 해장국의 제조방법
KR20200011753A (ko) * 2018-07-25 2020-02-04 중원대학교 산학협력단 쥐오줌풀을 포함하는 혼합 한약재의 열수 추출물 및 이를 이용한 음료 조성물
KR20200011768A (ko) * 2018-07-25 2020-02-04 주식회사 해와 솔 사포닌 흡수 촉진용 인삼 혼합 농축액 조성물
KR20200019665A (ko) * 2018-04-21 2020-02-24 류형준 통증의 치료 또는 경감을 위한 약학적 조성물 및 식품 조성물
KR102104772B1 (ko) * 2019-04-03 2020-04-27 양석봉 생약재를 포함하는 건강 기능 식품용 조성물
KR102123658B1 (ko) * 2020-02-25 2020-06-26 임영희 엉겅퀴, 우슬, 두충나무껍질의 성분이 합체된 혼합즙의 제조방법
KR20200095633A (ko) 2019-01-31 2020-08-11 주식회사 비엔지삶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면역활성 증진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176756B1 (ko) 2019-10-29 2020-11-09 김득수 녹용 홍삼액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녹용 홍삼액
KR20200131786A (ko) * 2020-11-09 2020-11-24 류형준 림프순환 촉진에 의한 부종 개선을 위한 식품 조성물
KR102348278B1 (ko) * 2021-02-17 2022-01-07 강주영 녹용, 야관문, 용안육 및 구기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건강식품 조성물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건강식품 조성물
KR20220078140A (ko) * 2020-12-03 2022-06-10 제천한약영농조합법인 호흡기질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KR20220117948A (ko) * 2021-02-17 2022-08-25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비수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음료 조성물
KR20220159637A (ko) * 2021-05-26 2022-12-05 주식회사 에치와이 택란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조성물
KR20220161861A (ko) * 2021-05-31 2022-12-07 진안꾸지뽕나무 영농조합법인 꾸지뽕 음료조성물
EP4026552A4 (en) * 2019-09-03 2023-05-10 Genencell Inc. PREMENSTRUAL SYNDROME SYMPTOMS IMPROVING COMPOSITION COMPRISING CHRYSANTHEMUM SIBIRICUM EXTRACT
KR20230072276A (ko) * 2021-11-17 2023-05-24 도병임 체내,외 제독 또는 해독을 위한 생약재 혼합 음용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음용수
KR20230081078A (ko) * 2021-11-30 2023-06-07 박성심 한방매실환 제조방법
CN118320024A (zh) * 2024-04-11 2024-07-12 广州中医药大学(广州中医药研究院) 一种改善微循环障碍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与应用
EP4120848A4 (en) * 2020-03-17 2024-07-24 Epidarus Therapeutics, LLC COMPOSITIONS FOR INHIBITING THE DEGRADATION OF HYALURONIC ACID AND METHODS OF USE THEREOF
KR102816298B1 (ko) * 2024-01-30 2025-06-05 주식회사 에프앤엘코퍼레이션 11종 한약재를 첨가한 혈액순환 및 수분배출에 도움을 주는 기능성 음료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기능성 음료

Cited B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07982A (zh) * 2013-09-25 2014-07-09 苏州启翔生物技术有限公司 一种玫瑰养颜保健饮品及其制备方法
CN103494928A (zh) * 2013-09-29 2014-01-08 江西天施康中药股份有限公司 一种复方鱼腥草制剂的制备方法
KR20150043985A (ko) * 2013-10-15 2015-04-23 유한회사 해원 건조 한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다기능성 한방 음료 조성물
CN104000169A (zh) * 2014-05-03 2014-08-27 新疆和田阳光沙漠玫瑰有限公司 一种玫瑰花酱配方
KR20160076014A (ko) 2014-12-19 2016-06-30 농업회사 법인 (주) 유기농스토리 기능성음료의 제조방법
CN104940741A (zh) * 2015-07-04 2015-09-30 薛婷婷 一种参术健脾花草茶
KR20180013397A (ko) * 2016-07-29 2018-02-07 천지인초 주식회사 혼합 생약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해소, 피로회복 및 면역력 증강용 식품 조성물
KR20190063577A (ko) * 2017-11-30 2019-06-10 조광문 건조한 팔각회향에서 액상의 추출물을 추출하는 방법 및 그 팔각회향 추출물을 첨가한 뼈 해장국의 제조방법
KR20200019935A (ko) * 2018-04-21 2020-02-25 류형준 피멍의 치료 또는 경감을 위한 약학적 조성물과 식품 조성물
KR20200019665A (ko) * 2018-04-21 2020-02-24 류형준 통증의 치료 또는 경감을 위한 약학적 조성물 및 식품 조성물
KR20200019664A (ko) * 2018-04-21 2020-02-24 류형준 림프순환 촉진을 위한 기능성 식품 조성물
KR20200019934A (ko) * 2018-04-21 2020-02-25 류형준 이명의 치료 또는 경감을 위한 약학적 조성물과 식품 조성물
CN108853491A (zh) * 2018-07-16 2018-11-23 吉林迈丰生物药业有限公司 一种疫苗的免疫效果增强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8853491B (zh) * 2018-07-16 2022-08-30 吉林惠康生物药业有限公司 一种疫苗的免疫效果增强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20200011768A (ko) * 2018-07-25 2020-02-04 주식회사 해와 솔 사포닌 흡수 촉진용 인삼 혼합 농축액 조성물
KR20200011753A (ko) * 2018-07-25 2020-02-04 중원대학교 산학협력단 쥐오줌풀을 포함하는 혼합 한약재의 열수 추출물 및 이를 이용한 음료 조성물
KR20200095633A (ko) 2019-01-31 2020-08-11 주식회사 비엔지삶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면역활성 증진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104772B1 (ko) * 2019-04-03 2020-04-27 양석봉 생약재를 포함하는 건강 기능 식품용 조성물
US12171797B2 (en) 2019-09-03 2024-12-24 Genencell Inc. Composition for ameliorating premenstrual syndrome symptoms, including chrysanthemum zawadskii extract
EP4026552A4 (en) * 2019-09-03 2023-05-10 Genencell Inc. PREMENSTRUAL SYNDROME SYMPTOMS IMPROVING COMPOSITION COMPRISING CHRYSANTHEMUM SIBIRICUM EXTRACT
KR102176756B1 (ko) 2019-10-29 2020-11-09 김득수 녹용 홍삼액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녹용 홍삼액
KR102123658B1 (ko) * 2020-02-25 2020-06-26 임영희 엉겅퀴, 우슬, 두충나무껍질의 성분이 합체된 혼합즙의 제조방법
EP4120848A4 (en) * 2020-03-17 2024-07-24 Epidarus Therapeutics, LLC COMPOSITIONS FOR INHIBITING THE DEGRADATION OF HYALURONIC ACID AND METHODS OF USE THEREOF
KR20200131786A (ko) * 2020-11-09 2020-11-24 류형준 림프순환 촉진에 의한 부종 개선을 위한 식품 조성물
KR20220078140A (ko) * 2020-12-03 2022-06-10 제천한약영농조합법인 호흡기질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KR20220117948A (ko) * 2021-02-17 2022-08-25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비수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음료 조성물
KR102348278B1 (ko) * 2021-02-17 2022-01-07 강주영 녹용, 야관문, 용안육 및 구기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건강식품 조성물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건강식품 조성물
KR20220159637A (ko) * 2021-05-26 2022-12-05 주식회사 에치와이 택란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조성물
KR20220161861A (ko) * 2021-05-31 2022-12-07 진안꾸지뽕나무 영농조합법인 꾸지뽕 음료조성물
KR20230072276A (ko) * 2021-11-17 2023-05-24 도병임 체내,외 제독 또는 해독을 위한 생약재 혼합 음용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음용수
KR20230081078A (ko) * 2021-11-30 2023-06-07 박성심 한방매실환 제조방법
KR102816298B1 (ko) * 2024-01-30 2025-06-05 주식회사 에프앤엘코퍼레이션 11종 한약재를 첨가한 혈액순환 및 수분배출에 도움을 주는 기능성 음료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기능성 음료
CN118320024A (zh) * 2024-04-11 2024-07-12 广州中医药大学(广州中医药研究院) 一种改善微循环障碍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与应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86682A (ko) 골장회복 하수오와 홍삼녹용과 오가피등 100가지한약재 추출물 드링크제 및제조 방법
JP6077554B2 (ja) 薬用花を活用した包み発酵法およびこれを活用した皮膚外用剤組成物
KR101805004B1 (ko) 약용 잎을 활용한 쌈 발효법 및 이를 활용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
Kumar et al. Recent trends in potential traditional Indian herbs Emblica officinalis and its medicinal importance
JP5864252B2 (ja) 炮製を活用した薬用植物抽出物及びこれ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組成物
KR101090284B1 (ko) 홍삼과 녹용 추출물을 포함하는 드링크제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70034561A (ko) 사상의학
KR101424858B1 (ko) 간기능 및 혈액순환에 효과가 있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Hutchens A Handbook of Native American Herbs: The Pocket Guide to 125 Medicinal Plants and Their Uses
CN107156828A (zh) 一种适用于炎性肠病患者的全营养配方食品
KR20150040392A (ko) 스테비아 음료원액제조방법
KR20090032158A (ko) 가압전이(加壓轉移)에 의한 과일 침출 및 액상 차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KR101148006B1 (ko) 인삼 및 해삼을 포함하는 양삼계탕의 제조방법 및 그 양삼계탕
Phillips The book of herbs: An illustrated AZ of the world's most popular culinary and medicinal plants
KR100712658B1 (ko) 암치료용 한약조성물
Angier Field Guide to Medicinal Wild Plants
KR101676603B1 (ko) 천연재료를 이용한 발모제 및 그 제조방법
KR20040092496A (ko) 건 해태에 한방 약초를 첨가한 한방 약초 건 해태 식품 및가공 제조방법
KR20180089696A (ko) 천연식물 추출물의 잔류농약 제거방법
Leyel Herbal delights
CN107156829A (zh) 一种适用于肝病患者的全营养配方食品
KR101479228B1 (ko) 옥수수 감자 백숙의 제조방법 및 그 백숙
KR102415159B1 (ko) 혼합 벌꿀 제조 시스템
Mars Dandelion medicine: remedies and recipes to detoxify, nourish, and stimulate
KR20120024186A (ko) 건강보조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12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5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3082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3051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3091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3051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