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8278B1 - 녹용, 야관문, 용안육 및 구기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건강식품 조성물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건강식품 조성물 - Google Patents

녹용, 야관문, 용안육 및 구기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건강식품 조성물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건강식품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8278B1
KR102348278B1 KR1020210020797A KR20210020797A KR102348278B1 KR 102348278 B1 KR102348278 B1 KR 102348278B1 KR 1020210020797 A KR1020210020797 A KR 1020210020797A KR 20210020797 A KR20210020797 A KR 20210020797A KR 102348278 B1 KR102348278 B1 KR 1023482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lth food
food composition
antler
aging
pow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07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주영
Original Assignee
강주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주영 filed Critical 강주영
Priority to KR10202100207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82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82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82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12Materials from mamma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specified tissues or cel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embryonic stem cells; Genetically modified cells
    • A61K35/32Bones; Osteocytes; Osteoblasts; Tendons; Tenocytes; Teeth; Odontoblasts; Cartilage; Chondrocytes; Synovial membra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7Sapindaceae (Soapberry family), e.g. lychee or soapber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1Solanaceae (Potato family), e.g. tobacco, nightshade, tomato, belladonna, capsicum or jimsonweed
    • A61K36/815Lycium (desert-thor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immun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04Animal extrac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yc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Rheumat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Virology (AREA)
  • Zoology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녹용, 야관문, 용안육 및 구기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건강식품 조성물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건강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양기 보충과 생장력에 도움을 주는 녹용과, 기혈을 조화롭게 하여 피로회복에 도움을 주는 한의학의 대표적인 처방인 사물탕을 기초로 하여, 면역력 증진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야관문, 용안육, 구기자 등 천연재료만을 사용하여 안심하고 건강하게 설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녹용, 야관문, 용안육 및 구기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건강식품 조성물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건강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녹용, 야관문, 용안육 및 구기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건강식품 조성물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건강식품 조성물{health food composition manufacturing method including antler, Yagwanmun, Yonganyuk and Gugija, health food composition manufactured by the same}
본 발명은 녹용, 야관문, 용안육 및 구기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건강식품 조성물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건강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양기 보충과 생장력에 도움을 주는 녹용과, 기혈을 조화롭게 하여 피로회복에 도움을 주는 한의학의 대표적인 처방인 사물탕을 기초로 하여, 면역력 증진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야관문, 용안육, 구기자 등 천연재료만을 사용하여 안심하고 건강하게 설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녹용, 야관문, 용안육 및 구기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건강식품 조성물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건강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면역체계(immune system)는 유기체가 자신을 보호하는 방어적 구조로서, 질병의 발생, 진행 및 예방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현대 면역학은 인체의 면역기능에는 전염 방어, 자기 항상성 및 면역 감시의 3대 작용이 있어, 정상적인 경우, 유기체는 평형 상태를 유지하면서 면역 기능에 의지하여 각종 전염에 저항하여 체내 유해 물질을 제거하는 것으로, 즉 자신의 인식, 자신 이외를 제거하여 항상성의 생리적 보호를 달성한다. 그러나 면역기능이 비정상일 때, 자기 항상성이 깨지면서 류마티스 관절염, 루푸스(lupus), 피부경화증, 베체트병(Behcet's disease), 에이즈 및 기타 질병과 같은 다양한 자기 면역성 질병을 초래할 수 있으며, 또한 종양, 고혈압, 당뇨병 등의 질병의 발생과 모두 밀접한 관계가 있다.
이에 따라 해당 기술분야에 있어서는 양기 보충과 생장력에 도움을 주는 녹용과, 기혈을 조화롭게 하여 피로회복에 도움을 주는 한의학의 대표적인 처방인 사물탕을 기초로 하여, 면역력 증진에 도움을 줄 수 있고 천연재료만을 사용하여 안심하고 건강하게 설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한약재에 대한 기술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19-0012939호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면역활성 증진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Composition for enhancing immunological activity comprising herbal extracts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양기 보충과 생장력에 도움을 주는 녹용과, 기혈을 조화롭게 하여 피로회복에 도움을 주는 한의학의 대표적인 처방인 사물탕을 기초로 하여, 면역력 증진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야관문, 용안육, 구기자 등 천연재료만을 사용하여 안심하고 건강하게 설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녹용, 야관문, 용안육 및 구기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건강식품 조성물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건강식품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녹용, 야관문, 용안육 및 구기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건강식품 조성물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건강식품 조성물은, 재료 선별 과정(S110), 원재료 배합 과정(S120), 추출 과정(S130), 여과 과정(S140), 농축 과정(S150), 충진 과정(S160), 살균 과정(S170), 포장 과정(S180) 및 수축 포장 과정(S190)을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야관문, 용안육, 구기자 및 녹용을 포함하는 면역력 강화 건강식품 제조방법에 있어서, 원재료 배합 과정에 있어서, 야관문, 용안육, 구기자, 녹용 간의 중량 비율을 0.75 내지 0.85 : 0.75 내지 0.85 : 0.75 내지 0.85 : 0.75 내지 0.85 : 3.85 내지 4.05로 조성물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녹용, 야관문, 용안육 및 구기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건강식품 조성물은, 원재료 배합 과정에 있어서, 야관문, 용안육, 구기자, 녹용 간의 중량 비율을 0.75 내지 0.85 : 0.75 내지 0.85 : 0.75 내지 0.85 : 0.75 내지 0.85 : 3.85 내지 4.05로 조성물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녹용, 야관문, 용안육 및 구기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건강식품 조성물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건강식품 조성물은, 양기 보충과 생장력에 도움을 주는 녹용과, 기혈을 조화롭게 하여 피로회복에 도움을 주는 한의학의 대표적인 처방인 사물탕을 기초로 하여, 면역력 증진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야관문, 용안육, 구기자 등 천연재료만을 사용하여 안심하고 건강하게 설취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녹용, 야관문, 용안육 및 구기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건강식품 조성물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녹용, 야관문, 용안육 및 구기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건강식품 조성물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건강식품 조성물의 포장 단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녹용, 야관문, 용안육 및 구기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건강식품 조성물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녹용, 야관문, 용안육 및 구기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건강식품 조성물 제조방법은, 재료 선별 과정(S110), 원재료 배합 과정(S120), 추출 과정(S130), 여과 과정(S140), 농축 과정(S150), 충진 과정(S160), 살균 과정(S170), 포장 과정(S180) 및 수축 포장 과정(S190)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각 과정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재료 선별 과정(S110)]
녹용, 야관문, 용안육 및 구기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건강식품 조성물 제조방법에 필요한 원재료의 상태가 좋은 부분만을 선별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백작약, 숙지황, 황기, 당귀, 천궁, 육계, 감초, 생강, 대조, 야관문, 용안육, 구기자, 녹용에서 상태가 좋은 부분만을 선별하고, 정제수와 꿀을 미리 준비한다.
백작약은 미나리아재비과의 여러해살이풀 작약의 뿌리로서, 패오니플로린 (paeoniflorin), 패오닌 (paeonin), 패오놀 (paeonol), 정유, 탄닌 (tannin) 등의 성분이 함유되어 있다. 약리 작용으로는, 중추 신경 억제 작용이 있어서 진정, 진통 작용을 나타내고, 위장과 평활근의 억제 작용과 위산 분비 억제 작용을 나타내며, 혈소판의 혈전 형성 억제 효과가 있고, 간 기능 보호 효과와, 혈관 확장 작용이 있어서 가벼운 혈압 강하 작용을 보인다.
숙지황은 자양, 강장, 혈당강화 그밖에 강심, 이뇨작용이 탁월하다.
황기(Milk vetch root)는 쌍떡잎식물 장미목 콩과의 여러해살이풀로써, 한방에서는 황기뿌리가 약재로 사용되는데, 이는 강장, 지한, 이뇨, 소종 등의 효능이 있어 신체허약, 피로권태, 기혈허탈, 자궁탈, 내장하수, 식은땀, 말초신경 등의 처방전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다.
당귀는 진정, 이뇨작용을 돕고 비타민 E 보충에 효과가 있고 항균작용도 한다.
천궁은 두통에 좋고 강압, 혈관확장, 관상동맥 하지의 혈류량 증가에 탁월한 효과가 있으며 항균력이나 비타민 결핍에 대한 저항력을 가지게 한다.
육계(계피)는 혈맥을 통하기 때문에 복통과 설사에 좋다.
감초(Glycyrrhiza uralensis)는 쌍떡잎식물 장미목 콩과의 여러해살이풀에 속하는 약용식물로서, 모든 약의 독성을 조화시켜서 약효가 잘 나타나게 하며 장부의 한열과 사기를 다스리고 모든 혈맥의 소통을 잘 시키며 근육과 뼈를 튼튼히 하며, 해독작용, 간염, 두드러기, 피부염, 습진 등에 효과가 있다.
또한, 항바이러스 작용이 있으며 황색포도상구균, 결핵간균에 대한 항균작용을 나타내며, 세포활성 작용과 항염작용, 티로시나제 억제작용에 효과가 있으며, 피부 미백에 도움을 준다고 알려져 있다.
생강은 말초신경, 혈액순환 등의 건위작용을 촉진시켜 위장기능을 강화 시킨다.
대조(대추)는 위장기능을 조절하고 경련을 진정시키며 이뇨작용을 도와준다.
야관문은 콩과에 딸린 여러해살이 다년생 식물이며 함유된 플라보노이드, 탄닌, 페놀 성분 등의 항염작용에 따라 염증 발생을 진정 완화시켜주고, 노폐물과 독소성분을 배출하여 활성산소 억제, 혈액순환에도 효능이 있는 약재이다.
용안육은 맛은 달고 성질은 평하다. 심경(心經), 비경(脾經)에 작용한다. 심(心), 비(脾)와 혈액을 보하고 정신을 안정시킨다. 심혈(心血)이 허하여 잘 놀라며 가슴이 두근거리는 데, 혈허증(血虛證), 불면증, 건망증, 토혈, 코피, 자궁 출혈, 월경 장애, 대하증 등에 효능이 있다.
구기자(Lycium Fructus)는 가지과에 속하는 구기자 나무(Lycium chinense Miller)의 열매로서, 고유의 미감(味甘)을 지니며 카로틴, 비타민 B1, B2 및 C, 니코틴산, 리놀산, 베타인, 루틴(rutin), 피잘리엔 및 β-시스토스테롤(β-sistosterol)과 각종 무기성분 등이 다량 함유하고 있어 강장보신(强壯補身) 및 강압명목(强壓明目)의 효과를 지니고 있고, 저비중 콜레스테롤의 장내흡수를 억제 및 강하하여 간장보호에 효과적이며, 고혈압, 협심증, 동맥경화 및 당뇨병 등의 성인병에 탁월한 예방 및 치료효과를 지니고 있는 동시에 시력보호 효과도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녹용은 사슴의 뿔(角)로 우리나라 사슴에는 적 녹용(赤 鹿茸)과 매화녹용(梅花鹿茸) 있는데 적 녹용은 백두산 능선(稜線)에서 서식하는 사슴에서 채취하고 매화녹용(梅畵鹿茸)은 강원도 산악 지대에서 서식(棲息)하는 사슴으로 10월 말에서 11월에 이르는 시기가 번식(繁殖)을 위한 생식기(生殖期)가 되고 이때 힘을 가시하기 위하여 뿔을 무기로 사용한다. 녹용은 3내지 4월경에 새로 돋아나고 다음해 2월경이면 저절로 떨어진다. 새로 돋아난 뿔(角)은 혈관이 많고 부드러운 벨벳과 같은 잔털을 지닌 피부로 덮여서 혈액순환이 잘되는 말랑말랑한 상태의 원질(原質)이 매우 유연(柔軟)하고 신경(神經)이 예민(銳敏)하다 이때 뿔(角)을 녹용(鹿茸)이라하고 사슴의 머리 쪽에 있는 것을 하대(下袋 下品) 중간에 있는 것을 중대(中袋 中品) 끝에 있는 것을 상대(上袋 上品)라 한다. 녹용의 맨 윗부분(上袋) 3㎝가량은 분골이라 하여 성장호르몬이 많이 함유되어 어린이에게 매우 좋으나 채취량이 적어 구입하기가 까다롭다. 녹용은 채취시기를 늦추면 녹용 량은 30내지 40%늘어나지만 녹용속의 혈관이 좁아지고 아래(下袋)의 겉 부분이 딱딱해지며 녹용의 질이 떨어진다. 사슴머리에 뿔이 생기기 시작하여 보통 엘크는 80내지 85일 꽃사슴은 60내지 65일 가량 자란 뿔을 절각(截角)하는 것이 보통이다. 분골은 절단면에 까만 각질부분이 있으며 대체로 흰색으로 직경이 가늘고 치밀한 조직(組織)으로 성장 호르몬이 많아 어린이/ 허약체질/ 노약자에게 좋은데 가격은 제일 높다. 상대는 조직이 치밀하고 붉은 핏빛의 연한갈색으로 조혈작용이 있으며 심장과 위를 보호하는 기능이 있다. 분골과 상대 쪽에는 회분 함량이 적고 고단백/ 고지방이 많이 함유하는 특성이 있고 하대로 내려갈수록 칼슘함량이 많아진다. 1590년경에 발행된 본초강목(本草綱目)에는 정(精)을 생(生)하고 유를 보(補)하고 농을 강(强)하고 골(骨)을 건(健)하다고 녹용의 효능(效能)을 기록했고 그 후 현대에는 용재익(龍在益)교수의 의학박사 학위 논문에 손상된 간(肝) 기능을 정상으로 회복(回復)시키는 기능이 있다.
[원재료 배합 과정(S120)]
단계(S110)에서 선별된 원재료를 배합하되, 야관문, 용안육, 구기자 및 녹용을 포함하는 면역력 강화 건강식품 생산에 필요한 원재료들을 추출이 용이하도록 부직포 보자기에 2중으로 포장함으로써, 면역력 강화 건강식품 조성물 배합 과정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서 정제수, 백작약, 숙지황, 황기, 당귀, 천궁, 육계, 감초, 생강, 대조, 야관문, 용안육, 구기자, 녹용, 꿀 간의 중량 비율은 82 내지 86 : 1.80 내지 2.00 : 0.75 내지 0.85 : 0.75 내지 0.85 : 0.75 내지 0.85 : 0.75 내지 0.85 : 0.55 내지 0.65 : 0.55 내지 0.65 : 0.75 내지 0.85 : 0.75 내지 0.85 : 0.75 내지 0.85 : 0.75 내지 0.85 : 0.75 내지 0.85 : 0.75 내지 0.85 : 3.85 내지 4.05로 조성물이 형성됨으로써, 기혈을 조화롭게 하여 피로회복에 도움을 주는 처방을 기초로 하여, 면역력 증진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야관문, 용안육, 구기자 등 천연재료만을 사용하여 안심하고 건강하게 설취할 수 있다.
또한, 녹용을 통해 양기 보충과 생장력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실시예로, 정제수 8600 중량부를 기준으로 200 중량부, 백작약 200 중량부, 숙지황 80 중량부, 황기 80 중량부, 당귀 80 중량부, 천궁 80 중량부, 육계 0.59 중량부, 감초 60 중량부, 생강 80 중량부, 대조 80 중량부, 야관문 80 중량부, 용안육 80 중량부, 구기자 80 중량부, 녹용 80 중량부, 꿀 400 중량부를 배합한다.
즉, 정제수, 백작약, 숙지황, 황기, 당귀, 천궁, 육계, 감초, 생강, 대조, 야관문, 용안육, 구기자, 녹용, 꿀 간의 중량 비율은 84.98 : 1.98 : 0.79 : 0.79 : 0.79 : 0.79 : 0.59 : 0.59 : 0.79 : 0.79 : 0.79 : 0.79 : 0.79 : 0.79 : 3.95로 조성물이 형성될 수 있다.
백작약, 숙지황, 황기, 당귀, 천궁, 육계, 감초, 생강, 대조, 야관문, 용안육, 구기자, 녹용은 2 내지 3mm의 직경 길이로 절편하고 열풍건조, 냉풍건조, 동결건조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건조시킬 수 있다.
열풍건조는 열풍기를 이용하여 건조시키면 되는 것이고, 또 냉각건조는 냉각기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건조한다. 그리고 동결건조는 각 절편으로 절각하여 냉동유지시킨 후 2 내지 3mm의 직경 길이에 0.3 내지 0.7mm 두께로 절편하여 동결건조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백작약, 숙지황, 황기, 당귀, 천궁, 육계, 감초, 생강, 대조, 야관문, 용안육, 구기자, 녹용을 충분히 세척한 후, 영하 30 내지 20 ℃의 온도에서 급속동결함으로써,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야관문, 용안육, 구기자 및 녹용을 포함하는 면역력 강화 건강식품을 제조하기 위한 원료의 유효성분을 보존하고, 특히, 급속동결 및 해동의 과정을 통해 섬유질 성분이 연해지도록 전처리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원료를 장기간동안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급속동결된 원료를 14 내지 15 ℃의 저온 온도로 해동한 후, 85 내지 95 ℃의 온도에서 10 내지 20 초 동안 가열함으로써, 백작약, 숙지황, 황기, 당귀, 천궁, 육계, 감초, 생강, 대조, 야관문, 용안육, 구기자, 녹용의 원재료를 살균할 수 있다.
가열살균된 원료는 정제수, 당 또는 다른 첨가물과의 혼합없이, 발효용기에 투입한다. 이후, 여기에 락토바실러스 카제이, 락토코커스 락티스, 비피도박테리움 락티스,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락토바실러스 퍼맨텀, 및 비피도박테리움 브레베를 직접 접종하고, 25 내지 27 ℃의 온도에서 8 내지 10 시간 동안 발효한다. 여기서, 발효시 해양심층수를 가열하여 발생한 증기를 상기 발효용기에 투입함으로써, 25 내지 27℃의 온도를 유지하는 것일 수 있다. 해양심층수(deep ocean water)는 일반적으로 수심 200m 이상의 해양에서 얻는 물을 말하며, 태양광이 도달하지 않는 심해에서는 영양물질을 소비하는 식물플랑크톤이 없고 광합성이 일어나지 않아서 식물성장에 필요한 질소, 인, 규산 등의 무기영양소가 풍부하며, 수압 100 기압을 넘는 깊이에서 장시간 정체되어 있어서 마그네슘, 칼슘, 칼륨, 나트륨 등의 다양한 미네랄과 아연, 셀렌, 망간 등의 미량원소가 안정된 형태로 다량 존재하고 있다. 또한, 대기나 유입수에 의한 오염이 없고 표층수에 비하여 생균수가 많지 않을 뿐만 아니라 일반세균이 오염되어 있지 않아서 지표수나 지하수에 비해 청정도가 우수하며, 용존되어 있는 금속이온들의 작용으로 활성산소에 대한 탁월한 소거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로써, 발효물이 해양심층수에 의하여, 해풍에 노출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바, 이렇게 발효된 과채음료는 맛과 영양이 매우 향상되고, 제조되는 과채음료의 보존성이 매우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발효물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액상으로 변화하게 되는데, 이 발효물을 교반함으로써, 보다 균질한 발효물을 얻을 수 있다.
발효물에 정제수 및 꿀을 상기 미리 설정된 조성비로 혼합하고, 야관문, 용안육, 구기자 및 녹용을 포함하는 면역력 강화 건강식품 생산에 필요한 원재료들을 추출이 용이하도록 격자의 직경이 2㎛ 내지 5㎛ 사이에 해당하는 부직포 보자기에 단계(S130)의 추출을 위한 2중으로 포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예로, 원재료 배합 과정(S120)과 추출 과정(S130) 사이에 숙성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원재료를 발효하여 추출 이전에 예비 숙성하는 제 1 숙성 과정을 추가적으로 거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 1 숙성 과정에서 발효된 원재료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모링가 분말 3 내지 4 중량부, 새싹 보리 분말 3 내지 4 중량부를 혼합하고 물 12 내지 13 중량부에 대해서 물을 조금씩 부어주면서 혼합하여 예비 숙성 과정을 수행하여 원재료의 성분에 대한 안정화를 유도할 수 있다.
여기서 모링가 분말 및 새싹 보리 분말을 혼합하여 35℃ 내지 45℃의 건조기 상에서 12 시간 내지 14 시간 건조 발효 시켜서 형성하고, 건조 발효된 모링가 분말 및 새싹 보리 분말에 대해서 230 내지 250 메쉬의 입자 크기로 분쇄함으로써, 130 내지 150 메쉬의 고운입자로 분말화하여 원재료와의 혼합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여기서 모링가 분말과 새싹 보리 분말은 한약 원재료에 대한 pH 중성화, 프로제로닌(Proxeronine)을 포함함으로써, 2차 숙성 과정에서 효소로서 작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프로제로닌은 프로네로나아제라는 효소에 의해 제로닌(Xeronine)으로 활성화되는데, 이 제로닌은 세포 재생 과정에 관여한다. 제로닌은 미생물이나 효소제는 아니지만 식물체에서 추출한 일종의 알카로이드(Alkaloid)로서, 알카로이드 제로닌(Alkaloid Xeronine)라고도 한다. 알카로이드 제로닌은 세포의 효소활동을 촉진시키는 역할을 하는 일종의 세포성장가속제이다.
이 제로닌은 미생물 내에서 효소활동을 왕성하게 하여 더 빠른 세포성장을 촉진시킴으로써 특정 환경에 의해 제한된 환경조건을 극복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무산소 상태에서 발효를 통해 에너지를 생성하고 있던 미생물에게 제로닌을 공급하는 경우, 미생물이 호흡을 통해 에너지를 생산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호흡은 발효보다 에너지 생산 효율이 월등하므로, 결과적으로 미생물의 빠른 성장을 돕고, 왕성한 활동을 하도록 한다. 뿐만 아니라, 제로닌은 인체의 1500종 이상의 효소를 활성화시키고, 체내에서 비타민, 미네랄, 항산화제, 세로토닌 등과 결합하여, 손상된 세포를 재생시켜 정상세포로 만드는 등 세포기능을 회복시키고, 산소와 영양분을 혈액으로 운반시키는 세포 활동에 필수적인 촉매 활동을 하는 물질이다.
또한, 이 제로닌은 혐기성 미생물과 호기성 미생물 둘 모두의 활동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편, 모링가는(Moringa Oleifera)는 십자화목 모링가과(Moringaceae)에 속하며 열대 및 아열대 기후 지역에 분포하는 다년생의 콩과 식물로서 5~12m에 이르는 속성교목으로, 나뭇잎과 열매 뿐만 아니라 뿌리까지 나무 전체를 식용으로 하는 열대성 나무로 인도 서북부가 원산지이다. 모링가는 비타민 16종, 미네랄 17종, 필수 아미노산 9종을 포함한 아미노산 20종, 지방산 15종, 오메가 3,6,9 등 90여 가지 이상의 영양소를 포함하고 있어 2000년 11월 21일자 디스커버리 채널에서는 세상에서 영양소가 가장 풍부한 식물로 인체에 필요한 90여 가지 이상의 영양소가 함유되어 있어 "기적의 나무(Miracle Tree)"라고 보도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모링가는 콜레스테롤 예방, 항염증, 시력 개선, 고혈압, 면역 강화, 항산화로 노화방지, 종양 예방, 당뇨 등 많은 효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특히 모링가 잎은 단백질, 칼슘, 철, 베타카로틴(비타민 A의 전구체), 비타민 C와 비타민 E가 매우 풍부하며, 여러 유효성분에 의해 신체의 자연 방어 증가, 눈과 뇌에 영양 제공, 신진대사 증진, 세포구조 증진, 주름개선, 간 및 신장의 정상기능 부여, 소화작용, 항산화작용, 면역시스템 증진, 항염증작용, 혈당조적 작용 등 그 효용 가치를 인정받고 있으며, 세계적으로 인구의 고령화에 따라 기능성 건강보조식품 등으로 그 활용성이 확대되고, 수요 또한 크게 증가하고 있다.
새싹 보리는 폴리페놀, 비타민C, 칼슘, 칼륨, 사포나린 등이 함유됨으로써, 발효과정에 따라 생성된 미생물에 대한 효과가 새싹 보리의 폴리페놀에 의해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추출 과정(S130)]
단계(S120)의 원재료가 배합된 상태에서 면역력 강화 건강식품 조성물을 압력식 추출기 내에 100 내지 130℃, 보다 바람직하게는 120℃에서 1시간 30분 내지 2시간 30분, 보다 바람직하게는 2시간 동안의 추출을 수행함으로써, 농축액을 추출할 수 있다.
즉, 압력식 추출기는 중탕 압력에 따라 약재에 대한 조성물을 넣은 추출기의 솥 본체 내부를 완전 밀폐시킨 상태에서 가열하는 방식으로서, 이때, 추출기 내부는 100℃ 이상, 그리고 1기압 이상으로 상승하도록 환경을 조성한다.
추출시 격자의 직경이 2㎛ 내지 5㎛ 사이에 해당하는 부직포 보자기를 활용함으로써, 부직포 보자기에 2중으로 포장한 상태에서 가압식 추출을 통해 불순물의 배출을 최소할 수 있다.
한편, 추출 과정(S130)과 여과 과정(S140) 사이에는 제 2 숙성 과정 및 추출액 농축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농축액의 제 2 숙성 과정에서 57 내지 65℃에서 4 내지 6시간 유지하며, 저온 숙성에 의해 활성화된 약효성분을 최대한 안정화시킬 수 있어 유효성분이 파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 2 숙성 과정에서 추가로 산소공급기로 산소를 불어줌으로써 현기성균의 침투를 최대한 억제하여 발효 활성을 높일 수 있으며, 블로잉된 산소는 발효물 표면에 근접하는 현기성 물질들과 결합하면서 이들을 사멸시키게 된다. 이때, 산소를 불어 주기 위한 조건(산소량)은 특별히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단지 발효물 표면에 산소가 직접공급된다는 사실만으로도 기존과 달리 현기성 물질들이 쉽게 분해될 수 있는 조건을 갖추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숙성발효에 필요한 기간이 통상 1 내지 3개월(현기성 물질이 쉽게 분해되지 못하므로)이던 것을 내로 4 내지 6시간시간으로 단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추출액 농축 과정에서 혼합액을 30 내지 50℃에서, 저온 감압 농축하여 17 내지 19 브릭스(Brix)로 농축된 농축액을 생성할 수 있다.
즉, 농축 단계에서는 저온 감압 농축을 실시하여, 약효성분의 활성화를 극대화할 수 있으며, 고온에서 파괴되기 쉬운 약의 유효성분의 안정화를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제 2 숙성 과정에서 숙성조에서 추출액에 대해서 외부공기를 차단하고 밀봉하여 57 내지 65℃에서 4 내지 6시간 유지하는 숙성은 모링가 분말 및 새싹 보리 분말을 혼합하여 35℃ 내지 45℃의 건조기 상에서 12 시간 내지 14 시간 건조 발효 시키는 제 1 숙성 과정 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와 상대적으로 짧은 시간 동안 처리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제 2 숙성 처리시의 온도에 의한 한약의 산패를 방지할 수 있다.
[여과 과정(S140)]
압력식 추출이 수행된 원재료인 면역력 강화 건강식품 조성물에 대해서 여과 과정을 통해 추출액에서 불순물을 제거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여과 필터는 모링가 필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모링가 필터는, 2mm 간격을 두고 배치된 3개 이상의 플레이트들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들의 사이에는 모링가씨 분말과 코코넛 활성탄을 7 내지 8 : 2 내지 3의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물이 충진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는, 직경 150mm 내지 170mm 의 크기를 갖는 격자를 다수개 갖는 격자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격자는, 직경이 12 내지 13 ㎛의 PLA(Poly Lactic Acid) 필라멘트로 제조된 것일 수 있다.
모링가씨 분말에 의한 불순물과 유해성분 제거, pH 중성화를 수행할 수 있으며, 코코넛 활성탄에 의한 농축액과의 접촉 효율을 높일 뿐만 아니라, 유해성분 흡착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여기서 모링가씨 분말은 모링가씨의 섬유층을 잘게 분쇄한 분말을 사용하게 된다. 상기 모링가씨 분말은 모링가씨를 별도로 분쇄하여 섬유층을 분리하여 사용하되, 모링가씨 섬유층은 불규칙적 또는 규칙적인 그물 구조의 망 형태로 이루어짐으로써, 섬유층은 2.7 내지 3.2 데니어(denier)의 굵기를 나타낼 수 있다.
이와 같이 상술한 단계(S110) 내지 단계(S140)의 과정을 거친 한약에 대해서, 실험 방법으로 동물에 해당하는 체중이 약 170∼180 g의 Sprague Dawley계의 흰쥐(白鼠)를 항온항습 환경의 사육장(실내온도 24∼26℃, 습도 40∼60%)내에서 고형사료(Pellet, GMO, 한국)와 물과 함께 한약을 충분히 공급하면서 1주일 이상 실험실 환경에 적응시킨 후 실험에 사용하였으며, 실험기간 동안에도 물과 고형사료를 자유롭게 섭취하도록 하였다.
면역저하 유발에 있어서 면역저하 유발은 메토트렉세이트(Methotrexate, MTX)(Sigma, USA) 분말을 2mg/Kg 의 농도로 정하였으며, 전체 실험기간 20일 중 8일째부터 11일째 4일간 1회/1일 총 4회 구강 투여를 시행하였다.
군 분리 (n=5)에 있어서 실험군은 면역저하를 유발하지 않은 정상군(Normal), MTX 면역저하 유발 후 무처리한 대조군(Control), MTX 면역저하 유발 후 제 1 한약재(백작약, 숙지황, 황기, 당귀, 천궁, 육계, 감초, 생강, 대조 외에 야관문, 용안육, 구기자 및 녹용 모두 포함) 시료 투여된 실험군 A(IYG-gami), MTX 면역저하 유발 후 제 2 한약재(백작약, 숙지황, 황기, 당귀, 천궁, 육계, 감초, 생강, 대조 외에 야관문, 구기자 및 녹용 포함) 시료 투여된 실험군B(IYG-gami-F), MTX 면역저하 유발 후 제 3 한약재(백작약, 숙지황, 황기, 당귀, 천궁, 육계, 감초, 생강, 대조 외에 야관문, 용안육, 구기자 포함) 시료 투여된 실험군 C(M-IYG-gami), MTX 면역저하 유발 후 제 4 한약재(백작약, 숙지황, 황기, 당귀, 천궁, 육계, 감초, 생강, 대조 외에 야관문, 용안육 포함) 투여된 실험군 D(M-IYG-gami-F)로 각각 나누었다.
시료 투여에 있어서 각 시료는 200mg/Kg 농도로 제조한 후 전체 실험기간(20일) 동안 음용수와 함께 투여하였다.
실험 괄과 염증성 사이토카인(cytokine)인 TNF-α(tumor necrosis factor α), IL-2 및 IL-6을 감소시키고 면역항체인 면역글로불린E(Immunoglobulin E, IgE)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제 1 한약재, 제 2 한약재, 제 4 한약재, 제 3 한약재 순으로 상대적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백혈구(White Blood Cell, WBC), 호중구(neutrophils), 림프구(lymphocyte), 및 단핵구(monocyte)를 증가시키는 효과가 제 1 한약재, 제 3 한약재, 제 2 한약재, 제 4 한약재 순으로 상대적 효과가 있었다.
[농축 과정(S150)]
여과 과정이 수행된 면역력 강화 건강식품 조성물에 대해서 진공 증류기를 이용하여 중탕 상태에서 증류만을 추출하는 방식으로 농축액을 추출한다.
[충진 과정(S160)]
면역력 강화 건강식품 조성물 농축액에 대해서 11 내지 13g씩 AL+PE 스틱 포장지에 충진을 수행한다.
[살균 과정(S170)]
단계(S160)에서 충진된 스틱 포장지를 80 내지 100℃, 보다 바람직하게는 90℃ 온도의 물에서 5분 정도 살균을 수행한다.
[포장 과정(S180)]
스틱 포장된 면역력 강화 건강식품 조성물 농축액을 스틱 10포 또는 30포 단위로 박스 포장을 수행하며, 단위 박스 포장에 따라 도 2와 같은 2가지 형태의 박스 포장을 활용할 수 있다.
[수축 포장 과정(S190)]
단계(S180)에서 단위 박스 보장된 면역력 강화 건강식품 조성물 농축액 완제품을 다시 한 번 수축 비닐로 포장을 수행한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Claims (2)

  1. 재료 선별 과정(S110), 원재료 배합 과정(S120), 추출 과정(S130), 여과 과정(S140), 농축 과정(S150), 충진 과정(S160), 살균 과정(S170), 포장 과정(S180) 및 수축 포장 과정(S190)을 포함하는 녹용, 야관문, 용안육 및 구기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건강식품 조성물 제조방법에 있어서,
    [재료 선별 과정(S110)]은,
    백작약, 숙지황, 황기, 당귀, 천궁, 육계, 감초, 생강, 대조, 야관문, 용안육, 구기자, 녹용을 선별하고, 정제수와 꿀을 미리 준비하고,
    [원재료 배합 과정(S120)]은,
    선별된 원재료를 배합하되, 야관문, 용안육, 구기자 및 녹용을 포함하는 건강식품 생산에 필요한 원재료들을 추출이 용이하도록 부직포 보자기에 2중으로 포장함으로써, 건강식품 조성물 배합 과정을 수행하며,
    정제수, 백작약, 숙지황, 황기, 당귀, 천궁, 육계, 감초, 생강, 대조, 야관문, 용안육, 구기자, 녹용, 꿀 간의 중량 비율은 82 내지 86 : 1.80 내지 2.00 : 0.75 내지 0.85 : 0.75 내지 0.85 : 0.75 내지 0.85 : 0.75 내지 0.85 : 0.55 내지 0.65 : 0.55 내지 0.65 : 0.75 내지 0.85 : 0.75 내지 0.85 : 0.75 내지 0.85 : 0.75 내지 0.85 : 0.75 내지 0.85 : 0.75 내지 0.85 : 3.85 내지 4.05로 조성물에 대한 배합을 수행하며,
    상기 배합 과정의 백작약, 숙지황, 황기, 당귀, 천궁, 육계, 감초, 생강, 대조, 야관문, 용안육, 구기자, 녹용은 2 내지 3mm의 직경 길이로 절편한 다음, 냉동유지시킨 후 2 내지 3mm의 직경 길이에 0.3 내지 0.7mm 두께로 절편하여 동결건조시키며,
    동결건조 이후 백작약, 숙지황, 황기, 당귀, 천궁, 육계, 감초, 생강, 대조, 야관문, 용안육, 구기자, 녹용을 충분히 세척한 후, 영하 30 내지 20 ℃의 온도에서 급속동결하고 급속동결된 원료를 14 내지 15 ℃의 저온 온도로 해동한 후, 85 내지 95 ℃의 온도에서 10 내지 20 초 동안 가열함으로써, 백작약, 숙지황, 황기, 당귀, 천궁, 육계, 감초, 생강, 대조, 야관문, 용안육, 구기자, 녹용의 원재료를 살균하고,
    가열살균된 원료는 정제수, 당 또는 다른 첨가물과의 혼합없이, 발효용기에 투입하고, 락토바실러스 카제이, 락토코커스 락티스, 비피도박테리움 락티스,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락토바실러스 퍼맨텀, 및 비피도박테리움 브레베를 직접 접종하고, 25 내지 27 ℃의 온도에서 8 내지 10 시간 동안 발효하고, 발효시 해양심층수를 가열하여 발생한 증기를 상기 발효용기에 투입함으로써, 25 내지 27℃의 온도를 유지하며,
    상기 발효에 의해 제조된 발효물에 상기 정제수와 꿀을 상기 조성물에 배합된 조성비로 혼합하고, 이들의 추출이 용이하도록 직경이 2㎛ 내지 5㎛ 사이에 해당하는 부직포 보자기에 2중으로 포장을 수행하여 추출하는 추출 과정(S130)을 수행하며,
    원재료 배합 과정(S120)과 추출 과정(S130) 사이에 숙성 과정을 수행하되, 원재료를 발효하여 추출 이전에 예비 숙성하는 제 1 숙성 과정을 추가적으로 거치며, 제 1 숙성 과정에서 발효된 원재료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모링가 분말 3 내지 4 중량부, 새싹 보리 분말 3 내지 4 중량부를 혼합하고 물 12 내지 13 중량부에 대해서 물을 조금씩 부어주면서 혼합하여 예비 숙성 과정을 수행하여 원재료의 성분에 대한 안정화를 유도하며,
    상기 모링가 분말 및 새싹 보리 분말은,
    모링가 분말 및 새싹 보리 분말을 혼합하여 35℃ 내지 45℃의 건조기 상에서 12 시간 내지 14 시간 건조 발효 시키고, 상기 건조 발효된 모링가 분말 및 새싹 보리 분말에 대해서 230 내지 250 메쉬의 입자 크기로 분쇄한 다음에, 130 내지 150 메쉬의 고운입자로 분말화하여 제조된 것이고,
    상기 모링가 분말 및 새싹 보리 분말은, 상기 발효된 원재료와의 혼합율을 향상시키며, 상기 발효된 원재료에 대한 pH 중성화, 프로제로닌(Proxeronine)으로 작용하고, 추후에 수행될 2차 숙성 과정에서 효소로서 작용하며,
    [추출 과정(S130)]은,
    단계(S120)의 원재료가 배합된 상태에서 건강식품 조성물을 압력식 추출기 내에 120℃에서 2시간 동안의 추출을 수행함으로써, 추출액을 추출하며,
    압력식 추출기는 중탕 압력에 따라 약재에 대한 조성물을 넣은 추출기의 솥 본체 내부를 완전 밀폐시킨 상태에서 가열하는 방식으로서, 추출기 내부는 100℃ 이상, 그리고 1기압 이상으로 상승하도록 환경을 조성하여 수행하며,
    추출시 격자의 직경이 2㎛ 내지 5㎛ 사이에 해당하는 부직포 보자기를 활용함으로써, 부직포 보자기에 2중으로 포장한 상태에서 가압식 추출을 통해 불순물의 배출을 최소하며,
    추출 과정(S130)과 여과 과정(S140) 사이에는 제 2 숙성 과정 및 추출액 농축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며,
    상기 추출을 수행한 추출액의 제 2 숙성 과정에서 57 내지 65℃에서 4 내지 6시간 유지하며, 저온 숙성에 의해 활성화된 약효성분을 최대한 안정화시킬 수 있어 유효성분이 파괴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제 2 숙성 과정에서, 숙성조에서 상기 추출액에 대하여 외부 공기와의 접촉을 차단하고 밀봉하되, 별도의 산소공급기를 사용하여 상기 숙성조 내부로 산소만을 불어넣어줌으로써, 혐기성균의 침투를 억제하여 발효 활성을 높이며, 블로잉된 산소는 발효물 표면에 근접하는 혐기성균들과 결합하면서 이들을 사멸시키게 되며, 추출액 농축 과정에서 추출액을 30 내지 50℃에서, 저온 감압 농축하여 17 내지 19 브릭스(Brix)로 농축된 농축액을 생성하며, 농축 단계에서는 저온 감압 농축을 실시하며,
    상기 제2 숙성 과정은, 57 내지 65℃에서 4 내지 6시간 유지하는 조건에서의 숙성을 수행하는 것으로, 상기 모링가 분말 및 새싹 보리 분말을 혼합하여 35℃ 내지 45℃의 건조기 상에서 12 시간 내지 14 시간 건조 발효 시키는 제 1 숙성 과정 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와 상대적으로 짧은 시간 동안 처리함으로써, 건강식품의 산패를 방지하고,
    [여과 과정(S140)]은,
    상기 농축액에 대해서 여과 과정을 통해 상기 농축액의 불순물을 제거하며,
    사용되는 여과 필터는 모링가 필터부를 포함하며, 모링가 필터는, 2mm 간격을 두고 배치된 3개 이상의 플레이트들을 구비하고, 상기 플레이트들의 사이에 모링가씨 분말과 코코넛 활성탄을 7 내지 8 : 2 내지 3의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물이 충진되고, 상기 플레이트는, 직경 150mm 내지 170mm 의 크기를 갖는 격자를 다수개 갖는 격자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격자는, 직경이 12 내지 13 ㎛의 PLA(Poly Lactic Acid) 필라멘트로 제조된 것이고,
    상기 모링가씨 분말에 의한 불순물과 유해성분 제거, pH 중성화를 수행하며, 코코넛 활성탄에 의한 농축액과의 접촉 효율을 높일 뿐만 아니라, 유해성분 흡착 효과를 증대시키며, 모링가씨 분말은 모링가씨를 별도로 분쇄하여 섬유층을 분리하여 사용하되, 상기 섬유층은 불규칙적 또는 규칙적인 그물 구조의 망 형태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섬유층은 2.7 내지 3.2 데니어(denier)의 굵기를 나타내고,
    [농축 과정(S150)]은,
    여과 과정이 수행된 건강식품 조성물에 대해서 진공 증류기를 이용하여 중탕 상태에서 증류만을 추출하는 방식으로 농축액을 추출하며,
    [충진 과정(S160)]은,
    건강식품 조성물 농축액에 대해서 11 내지 13g씩 AL+PE 스틱 포장지에 충진을 수행하며,
    [살균 과정(S170)]은,
    단계(S160)에서 충진된 스틱 포장지를 90℃ 온도의 물에서 5분 동안 살균을 수행하며,
    [포장 과정(S180)]은,
    스틱 포장된 건강식품 조성물 농축액을 스틱 10포 또는 30포 단위로 박스 포장을 수행하며,
    [수축 포장 과정(S190)]은,
    단계(S180)에서 단위 박스 보장된 건강식품 조성물 농축액 완제품을 다시 한 번 수축 비닐로 포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용, 야관문, 용안육 및 구기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건강식품 조성물 제조방법.
  2. 삭제
KR1020210020797A 2021-02-17 2021-02-17 녹용, 야관문, 용안육 및 구기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건강식품 조성물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건강식품 조성물 KR1023482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0797A KR102348278B1 (ko) 2021-02-17 2021-02-17 녹용, 야관문, 용안육 및 구기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건강식품 조성물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건강식품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0797A KR102348278B1 (ko) 2021-02-17 2021-02-17 녹용, 야관문, 용안육 및 구기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건강식품 조성물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건강식품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8278B1 true KR102348278B1 (ko) 2022-01-07

Family

ID=79355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0797A KR102348278B1 (ko) 2021-02-17 2021-02-17 녹용, 야관문, 용안육 및 구기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건강식품 조성물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건강식품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827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8841B1 (ko) 2023-03-29 2024-03-21 주식회사 뉴트렉스테크놀러지 초고압을 이용한 시알릭산 함량이 증진된 녹용 추출물의 제조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86682A (ko) * 2012-01-26 2013-08-05 한국스포츠생명공학협회 골장회복 하수오와 홍삼녹용과 오가피등 100가지한약재 추출물 드링크제 및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86682A (ko) * 2012-01-26 2013-08-05 한국스포츠생명공학협회 골장회복 하수오와 홍삼녹용과 오가피등 100가지한약재 추출물 드링크제 및제조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19-0012939호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면역활성 증진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Composition for enhancing immunological activity comprising herbal extracts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8841B1 (ko) 2023-03-29 2024-03-21 주식회사 뉴트렉스테크놀러지 초고압을 이용한 시알릭산 함량이 증진된 녹용 추출물의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333668C (zh) 竹叶黄精饮料及其制备方法
KR20110112263A (ko) 약용식물에서 추출한 성분을 이용한 발모제 피부 투여제 제조방법
KR20170024321A (ko) 황칠나무 발효 추출물과 전복의 한방 복합 열수 추출물이 혼합 조성된 건강 기능성 복합 추출물의 제조방법
KR20220013451A (ko) 유산균 발효숙성 노니 및 코코넛 슈가를 포함하는 유산균 발효 노니 식초 및 유산균 발효숙성 노니의 제조방법
KR102289438B1 (ko) 헛개나무, 마가목, 오리목 및 칡 추출물을 함유하는 건강식품 조성물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건강식품 조성물
KR101273381B1 (ko) 산야초와 곤약을 이용한 발효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48278B1 (ko) 녹용, 야관문, 용안육 및 구기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건강식품 조성물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건강식품 조성물
KR20090098024A (ko) 약주의 제조방법
KR101122586B1 (ko) 전복 동결건조 육을 함유한 숙취해소음료 및 그 제조방법
CN103497883A (zh) 人参醋酸健康饮品及其生产方法
KR101527478B1 (ko) 각종 영양성분이 첨가된 벌꿀 및 그 제조방법
CN104127582A (zh) 一种苦参泡脚粉
KR102197395B1 (ko) 황칠나무 발효 추출물과 매생이 발효 추출물이 혼합 조성된 숙취 해소 복합 발효 추출물의 제조방법
KR102577074B1 (ko) 원형 그대로의 반려동물용 수산물 수제 간식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원형 그대로의 반려동물용 수산물 수제 간식
KR101773250B1 (ko) 비파나무 발효 추출물과 전복의 한방 복합 열수 추출물이 혼합 조성된 건강 기능성 복합 추출물의 제조방법
KR101713115B1 (ko) 발효 오신채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90118720A (ko) 사철쑥을 주성분으로 하는 기능성 및 친환경성 돼지사료용 보조제와 그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돼지사육방법 및 그 돈육
CN110269100A (zh) 一种航天员专用的富硒矿物质营养餐制剂
CN103947797A (zh) 一种发酵型牡丹嫩芽茶复合饮品的制备方法
CN101422240A (zh) 人体母乳(含初乳)冻干粉生产工艺及其制品和作用
KR20180126691A (ko) 관절염용 환제 및 그 제조방법
CN112401035A (zh) 一种益寿沉香灵芝养生茶及其制备方法
CN112043730A (zh) 一种防治动物疫病的中药生物制剂
CN110679935A (zh) 一种牛蒡人参精华膏及其制备方法
KR20170002050A (ko) 머드의 유효성분이 함유된 천연 양조식초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