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80008497A - 타이어가황기 - Google Patents

타이어가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80008497A
KR980008497A KR1019970035760A KR19970035760A KR980008497A KR 980008497 A KR980008497 A KR 980008497A KR 1019970035760 A KR1019970035760 A KR 1019970035760A KR 19970035760 A KR19970035760 A KR 19970035760A KR 980008497 A KR980008497 A KR 9800084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re
mold
stand
vulcanized
vulcaniz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57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32337B1 (ko
Inventor
노부히코 이리에
Original Assignee
마스다 노부유키
미쯔비시주우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스다 노부유키, 미쯔비시주우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마스다 노부유키
Publication of KR9800084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84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23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233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5/00Heating, cool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sing; Apparatus therefor
    • B29C35/02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601Vulcanising tyres; Vulcanising presses for tyres
    • B29D30/0603Loading or unloading the pr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1/00Handling, e.g. feeding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storage of plastics material before moulding; Automation, i.e. automated handling lines in plastics processing plants, e.g. using manipulators or robots
    • B29C31/04Feeding of the material to be moulded, e.g. into a mould cavity
    • B29C31/08Feeding of the material to be moulded, e.g. into a mould cavity of preforms to be moulded, e.g. tablets, fibre reinforced preforms, extruded ribbons, tubes or profiles; Manipulat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feeding preforms, e.g. supports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20Opening, closing or clam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601Vulcanising tyres; Vulcanising presses for tyres
    • B29D30/065Tyre-vulcanising presses with two or more moulds, e.g. stacked upon each other
    • B29D2030/0651Tyre-vulcanising presses with two or more moulds, e.g. stacked upon each other the moulds being arranged side by side, or in a cir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Heating, Cooling, Or Curing Plastics Or The Like In General (AREA)
  • Tyre Moul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등에 장착하는 타이어의 가황기에 관한 것으로서, ① 수송관련 코스트를 대폭적으로 절감할 수 있고, ② 타이어가황기설치공장의 천정높이를 낮게할 수 있는 타이어가황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한 것이며, 그 해결수단에 있어서, 타이어가황용 금형M을 장착한 고정가대(1)와, 동고정가대(1)위를 전후 방향으로 왕복가능한 이동가대(4)와 동이동가대(4)에 승강가능하게 장착한 승강가대(6)를 구비하고, 동승강가대(6)를 상승시켜 타이어가황금형M의 상부절반금형Ma를 들어올려서 타이어가황금형M을 개방한 후, 이동가대(4)에 의해 타이어가황금형M의 상부절반금형Ma를 후방으로 이동시켜서, 완성타이어의 꺼내기와 생타이어의 공급을 행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Description

타이어가황기
제1도는 본 발명의 타이어가황기의 제1실시 형태에 대해서, Y-Y선에서부터 좌측은 타이어가황금형M(M3, M4....)이 패쇄된 상태를, Y-Y선에서부터 우측은 타이어가황금형M의 1세트(M1)가 개방된 상태를 각각 표시한 정면도.
제2도는 동타이어가황기를 도1의 우측방향에서 본 측면도.
제3도는 동 타이어가황기에서 개방된 타이어가황금형M1의 상부절반금형Ma가 후퇴하고, 타이어가황금형M1의 하부절반금형Mb의 중심 X-X선과 생타이어로더(11)의 중심이 동심으로 된 상태를 표시한 종단 측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타이어가황기의 제2실시 형태를 표시한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고정가대(架坮) 4 : 이동가대
6 : 승강가대 6d : 승강가대(6)의 수평궤도
8 : 연결해제수단 9a : 승강대(6)의 수평궤도
11 : 생타이어로더(raw tire loader)
M : 타이어가황금형 Ma : 타이어가황금형의 상부절반금형
Mb : 타이어가황금형의 하부절반금형
Tg : 생타이어 Tc : 가황완료타이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및 그 분야의 종래기술]
본 발명은, 자동차 등에 장착하는 타이어의 가황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타이어가황프레스에서는, 타이어가황시, 타이어내에 도입되는 고온, 고압의 가열.가압매체의 압력에 의해 발생되는 타이어가황금형을 개방시키려고 하는 힘을 금형내부에서 상쇄하기 때문에, 가황중, 타이어가황금형을 개방되지 않도록 외부로부터 죄고 있었다. 그래서, 본건 출원인은, 이와 같은 경우에 타이어가황금형을 죄놓는 등의 필요성을 없게한 타이어가황프레스를 이미 제안하였다(일본국 특개평5-200754호 공보참조).
또, 종래의 타이어가황프레스에서는, 생타이어의 반입, 정형, 가황완료타이어의 꺼내기를 행하기 위한 시간이 가황반은시간(티이어가황금형을 패쇄한 상태에서 타이어내에 가열·가압매체를 도입해서 행하는 가황반응시간의 시간)에 비하면, 매우 짧은 것이기 때문에, 금형개폐장치나 타이어반입장치의 가동율이 낮았다. 그래서, 본건 출원인은, 이것을 해결하는 타이어가황프레스를 이미 제안했다(일본 특개평 7-1469호 공보참조).
그러나, 타이어의 균일성(tireuniformity) 향상의 요망에 보답하여 기발된 상기 타이어가황프레스는, 개방된 타이어가황금형의 사이에 생타이어로더 등의 흔들어 넣기 스페이스를 필요로 하고 있으므로, 타이어가황금형의 위절반금형의 승강스크로우크가 크고, 키가 큰 타이어가황프레스로 되어 있었다. 그 때문에, 상기 타이어가황프레스는, 최종 사용자에게 수송시에 키큰부분을 해체해서 운반하지 않으면 안되어, 수송관련 코스트를 증대시킨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에 비추어 제안한 것이며,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① 수송관련 코스트를 대폭적으로 절감할 수 있고, ② 타이어가황기설치 공장의 천정높이를 낮게할 수 있는 타이어가황기를 제공하려고 하는 점에 있다.
[발명의 구성 및 작용]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타이어가황기는, ① 타이어가황용 금형M을 장착한 고정가대(1)와, 동 고정가대(1)위를 전후방향으로 왕복이동가능한 이동가대(4)와, 동 이동가대(4)에 승강가능하게 장착된 승강가대(6)를 구비하고, 동 승강가대(6)를 상스시켜 타이어가황금형M의 상부절반금형Ma를 후방으로 이동시켜서, 완성타이어의 꺼냄과 생타이어의 공급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② 상기 ①항 기재의 타이어가황기에 있어서, 고정가대(1)위에 복수조의 타이어가황용 금형M을 장착하고, 가황종료후의 타아어가황용 금형M에서 상부절반금형Ma와 하부절반금형Mb와의 연결을 해제하는 연결해제장치(8b)를 승강가대(6)에 각타이어가황용 금형M에 대응해서 장착해도 된다.
③ 상기 ①항의 타이어가황기에 있어서, 승강가대(6)에 수평궤도(6d)를 좌우방향을 따라서 장착하고, 동 수평궤도(6d)에 의해 연결해제장치(8b)를 좌우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한 상태에서 지지해도 된다.
④ 상기 ①-③항 가재의 타이어가황기에 있어서, 승가대(6)에 수평궤도(9a) 를 좌우방향을 따라서 장착하고, 동 수평궤도(9a)에 의해 생타이어로더(11)를 좌우 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한 상태에서 지지해도 된다.
본 발명의 타이어가황기는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며, 다음의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즉, 타이어균일성(tireuniformity) 향상의요마에 보답하여 개발된 상기 타이어가황프레스는, 개방된 타이어가황금형의 사이에 생타이어로더 등의 흔들어넣기 스페이스를 필요로하고 있으므로, 타이어가황금형의 상부절반금형의 승강스트로우크가 크고, 키가큰 타이어가황프레스로 되어있어, 최종사용자에의 수송시에 키큰부분을 해체해서, 운반하지 안흥면 안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타이어가황기는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어, 타이어가황금형의 상부절반금형을 하부절반금형으로부터 상승시킨 후, 후퇴시키고 있으므로, 타이어가황금형의 상부절반금형의 승강스트로우크를 작게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타이어가황기에 의하면, 타이어가황기의 키를 낮게할 수 있어, 타어어가황기를 해체하지 않아도 최종 사용자에게 수송할 수 있기 때문에, 수송관련코스트를 대폭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
또, 타이어가황기의 키를 낮게할 수 있으므로, 타이어가황기설치공장의 천정높이를 낮게할 수 있다.
[실시예 1]
다음에 본 발명의 타이어가황기의 제1실시형태를 도1 - 도3에 의해 설명한 도1중, Y-Y선에서부터 죄측은 타이어가황금형M(M3, M4....)이 패쇄된 상태S를, Y-Y선에서부터 우윽은 타이어가황금형M1세트(M1)가 개방된 상태O를, 각각 표시한 타이어가황기의 정면도, 도2는 도1의 우측방향에서본 타이어가황기의 측면도, 도3은 개방된 타이어가황금형M1의 상부절반금형(Ma)가 후퇴하고, 타이어가황금형M1의 하부절반금형Mb의 중심 X-X선과 생타이어 로더(11)의 중심이 동심으로된 상태를 표시한 종단측면도이다.
(1)이 타이어가황기의 고정가대이며, 고정가대(1)의 내부에는, 공지의 중심기구(3)나 가열, 가압매체용 배관이 짜넣어져 있다. 또, 고정가대(1)의 상면에는, 금형반출입용 롤러가이드(2)가 결합되어 있다. 금형 반출입용 롤러가이드(2)에는, 본 실시형태의 경우, 4세트의 타이어가황금형M(M1-M4)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들 타이어가황금형M의 하불절반금형Mb는 록장치(도시생략)에 의해 고정가대(1)에 고정되어 있다.
타이어가황금형M에는, 타이어가황시, 타이어내에 도입되는 고온, 고압의 가열, 가압매체의 압력에 의해 발생하는 타이어가황금형M을 개방시키려고 하는 힘을 타이어가황금형M 내에서 상쇄하는 형식의 것(예를들면 일본 특개평 8-47928호 공보에 기재된 것)이 채용되고 있다.
(1a)가 고정가대(1)의 좌우방향양쪽부의 상면에 전후방향을 따라서고정된 수평궤도, (4c)가 각 수평궤도(1a)에 걸어맞춤하고 있는 직동(直動)베어링, (4a)가 각직동베어링(4c)에 세워설치된 다리(脚)부, (4)가 각 다리부(4a)의 상단부에 고정된 이동가대이며, 이동가대(4)는, 각 수평궤도(1a)를 따라서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1b)가 고정가대(1)의 좌우방향의 중앙부에 세워 설치된 브래킷, (5)가 브래킷(1b)의 상단부에 장착된 실린더, (5a)가 실린더(5)의 피스톤로드로서, 피스톤로드(5a)의 선단부는 이동가대(4)에 연결되어 있으며, 실린더(5)를 신축방향으로 작동함으로써, 이동가대(4)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6)이 승강가대, (6a)가 승강가대(b)의 좌우다리부(6b)가 좌우다리부(6a)를 연결하는 빔부, (6c)가 좌우다리부(6a)에 고정된 수직궤도, (4d)가 각 수직궤도(6c)에 걸어맞춤되는 동시에 이동가대(4)의 좌우다리부(4a)에 고정된 직동베어링이며, 승강가대(6)는, 각 수직궤도(6c)를 따라서 승강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7)이 이동가대(4)에 고정된 실린더, (7a)가 실린더(7)의 피스톤로드이며, 피스톤로드(7a)의 상단부가 승강가대(6)에 연결되어 있고, 실린터(7)를 신축방향으로 작동함으로써, 승강가대(6)를 승강시키도록 되어 있다.
(8)이 승강가대(6)의 빔부(6b)의 하면에 고정된 스페이서(필료에 따라서 상부중심기구, 분할트래드형 개폐실린더, 기타의 기기를 내장한 스페이서), (8a)가 하부플랜지(8a)의 상면에 장착된 연결해제장치(타이어가황금형M의 상부절반금형Ma와 하부절반금형Mb와의 연결을 해제하는 공지의 연결해제장치(예를들면 이본 특개평 7-1469호 공보참조)이다.
(9)가 승강가대(6)의 빔부(6b)의 앞면에 고정된 빔, (9a)가 빔(9)의 앞면에 좌우 방향을 따라서 고정된 상하의 수평궤도, (10a)가 각 수평궤도(9a)에 걸어맞춤되어 있는 직동베어링, (10)이 각 직동베어링(10a)에 고정된 로더용이동대, (11)이 생타이어로더, (11b)가 로더용 이동대9100에 세워 설치된 실린더, (11a)가 실린더(11b)의 피스톤로드의 하단부에 장착된 로더바스켓이며, 구동수단(도시생략)을 작동함으로써, 로더용 이동대(10)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또, 실린더(5)를 신축방향으로 작동해서, 이동가대(4)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킬 때에는, 승강가대(6)를 개재해서 생타이어로더(11)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12)가 타이어가황금형M과 동수의 가황완료타이어Tc송출용 롤러콘베이어이며, 동가황완료타이어Tc송출용 롤러콘베이너(12)는, 고정가대(1)에 경사진 상태에서 장착된 고정부분(12b)과, 고정부분(12b)의 상단부에 수평위치와 경사위치와의 사이의 요동이 가능하게 장착된 요동부분(12a)으로 이루어지고, 요동부분(12a)의 중앙부, 후술하는 타이어꼭붙잡는수단(13a)을 통과시키나, 가황완료타이어Tc는 통과시키지 않는 롤러 배치로 되어 있다.
(13)이 가황완료타이어Tc의 꺼내기장치이며, 동가황완료타이어Tc의 꺼내기장치(13)는, 꼭붙잡는 손톱(13c)을 가진 타이어꼭붙잡는 수단(13a)과, 타이어꼭붙잡는수단(13a)을 승강시키는 실린터(13b)로 이루어지고, 마치 생타이어로더(11)를 후술하는 이동대(14)에 상하반대로 장착한 것과 같은 배치구성으로 되어 있다.
(15)가 고정가대(1)에 고정된 1쌍의 빔, (15a)가 각 빔(15)에 좌우방향을 따라서 고정된 수평궤도, (14a)가 각 수평궤도(15a)에 걸어맞춤되어 있는 직동베어링, (14)가 각 직동베어링(14a)에 고정된 이동대이며, 이동대(14)는 좌우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16)이 타이어가황금형M용 이송장치이며, 타이어가황금형M용 이송장치(16)는, 가대(16)와, 가대(16c)위에 좌우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하게 장착된 이동대(16b)의 상면에 전후방향을 따라서 장착된 롤러가이드(16a)와, 구동수단(도시생략)으로 이루어지고, 고정가대(1)의 앞면쪽에 배설되어 있다. 또한, 이 타이어가황금형M용 이송장치(16)는, 타이어가황금형M을 포크리프트 등에 의해 반출입하는 경우에는, 필요없게 된다. 또, 금형반출입용 롤러가이드(2)는, 생략해도 지장없다.
다음에, 상기 도1 - 도3에 표시한 타이어가황기의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지금 가령, 타이어가황금형M1내에서 타이어의 가황이 종료되고, 동타이어가황금형M1에서 가황되는 생타이어Tg가 생타이어로더(11)에 의해 꼭붙잡혀서, 대기하고 있다고 하면, 타이어내의 가열, 가압매체를 배출하고, 동타이어가황금형M1에 대응하는 연결해제장치(8b)를 작동시킴으로써, 타이어가황금형M1의 상부절반금형Ma와 하부절반금형Mb와의 연결의 해제한다.
이어서, 실린더(7)를 작동하여, 승강가대(6)를 상승시킴으로써, 타이어가황금형M1의 상부절반금형Ma를 개방하고, 상부절반금형Ma를 하부절반금형Mb와 간섭하지 않는 높이까지 상승시켰으면, 승강가대(6)의 상승을 정지시킨다(도2참조). 이때, 가황완료타이어Tc를 상부절반금형Ma와 함께 상승시켜 놓는다. 또한 이 동작은, 공지임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어서 실린더(5)를 작동해서, 이동가대(4)를 후퇴시킨다. 이때, 승강가대(6)를 개재해서 상부절반금형 Ma 및 생타이어Tg를 붙잡은 생타이어로더(11)는, 후퇴한다. 생타이어로더(11)의 중심이 하부절반금형Mb의 중심X-X선과 동심이 되면, 이동가대(4)의 후퇴를 정지시킨다(도3참조). 이때, 가황완료타이어Tc의 꺼내기장치(13)은, 상부절반금형Ma의 중심과 동심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동가대(4)의 후퇴를 정지시킨 후, 로더바스켓(11a)을 하강시키고, 빈 것으로 되어 있는 하부절반금형Mb에 생타이어Tg를 공급하는 한편, 빈것으로된 로더바스켓(11a)을 상승시킨다.
이 사이에 가황환료타이어Tc의 꺼내기장치(13)는 타이어꼭붙잡는 수단(13a)이 꼭붙잡는 손톱(13c)을 오므려서 상승하고, 동꼭붙잡는 손톱(13c)이 가황환료타이어Tc의 아래쪽 비드부 안쪽에 도달하면(도3의 쇄선(13d)참조), 타이어꼭붙잡는 수단(13a)의 상승을 정지시켜, 꼭붙잡는 손톱(13c)을 벌려서 가황완료타이어Tc를 꼭 붙잡는다.
이어서 꼭붙잡는 수단(13a)을 하강시켜서, 가황완료타이어Tc를 상부절반금형Ma로부터 아래쪽으로 꺼내어, 끄집어낸다.
꼭 붙잡는수단(13a)이 도3의 실선(13e)위치까지 하강하면, 꼭붙잡는손톱(13c)을 오므리고, 꼭붙잡는 수단(13a)을 더욱 하강시킨다. 이때. 가황완료타이어TC는, 가황완료타이어송출용 롤러콘베이어(12)의 요동부분(12a)의 위에 남고, 꼭붙잡는 수단(13a)은 요동부분(12a)을 통과하여, 하강제한 위치에 도달해서 정지한다.
이어서 요동부분(12a)을 경사시켜, 가황완료타이어Tc를 그 자중에 의해 고저부분(12b)을 거쳐서 타이어가황기 밖으로 내보낸다.
타이어의 반출입이 종료되면, 상기와 반대의 순서로 상부절반금형Ma를 전진시키고, 정형(整形)을 행하면서 상부절반금형(Ma)를 하강시켜서, 타이어가황금형M1을 폐쇄한다.
이어서 상부절반금형Ma를 하부절반금형Mb와 연결하고, 타이어의 안쪽에 가황용 가열, 가압매체를 도입해서, 가황공정에 들어가는 동시에, 연결해제장치(8b)에 의해 상부절반금형Ma와 승강가대(6)와의 연결을 해제하여, 생타이어로더(11)를 생타이어Tg의 공급위치에 이동시켜서, 다음에 가황하는 생타이어Tg를 수령한다.
이어서 생타이러로더(11)를 가황공정이 종료되는 타이어가황금형M의 앞에 이동시켜서 대기시키고, 가황완료타이어Tc의 꺼내기장치(13)를 다음에 가황공정이 종료되는 타이어가황금형M의 후방에 이동시켜서 대기시킨다.
또한 상기의 동안, 다른 타이어가황금형M에서는, 가황공정을 속행하고 있다.
또 타이어가황금형M용 이송장치(16)를 가진 경우, 금형의 교환, 소모품인 블래더의 교환, 금형부의 청소 등을 행할 때에는, 하부절반금형Mb와 고정가대(1)와의 록을 해제하고, 그후, 타이어가황금형M을 이동개(16b)위에 꺼내어, 금형교환작업 위치에 이동시켜서, 필요한 작업을 실시하고, 그 종료후, 상기와 반대의 순서로 타이어가황금형M을 장착한다.그 사이, 다른 타이어가황금형M에 대해서는 가황을 속행하고, 또 금형 장,탈착과 간섭하지 않는 사이에, 타이어가황금형M을 개방해서 타이어의 반출입을 행하도록 할수도 있다.
[실시예 2]
다음에 본 발명의 타이어가황기의 제2실시 형태를 도4에 의해 설명한다.
도4는 동 타이어가황기의 정면도이다. 또한 본 제2실시형태는, 상기 제1실시형태와 연결해제장치(승강가대(6)와 타이어가황금형M의 상부절반금형Ma와의 연결을 해제하는 연결해제장치(8b)의 구성이 다를 뿐이고, 다른 구성은 동일함으로, 상이한 점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제1실시형태에서는, 타이어가황금형M에 대응해서 연결해제장치(8b)를 장착한 스페이서(8)가 승강가대(6)의 빔부(6b)의 하면에 고정되어 있으나, 본 제2실시형태에서는, 승강가대(6)의 빔부(6b)의 하면에 좌우방향으로 수평궤도(6d)가 고정되고, 동 수평궤도(6d)와 걸어맞춤하는 직동베어링(8c)이 스페이서(8)의 상면에 고정되어 있다. 또, 스페이서(8)의 하부플랜지(8a)에는, 타이어가황금형M의 상부절반금형Ma가 장착되어 있고, 구동수단(도시생략)을 작동해서 스페이서(8)를 화살표로 표시한 바와 같이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연결해제장치(8b)가 복수조의 타이어가황금형M에 대해서 공용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상의 도4에 표시한 타이어가황기에서는, 연결해제장치(8b)를 미리 해제상태로 한 다음, 승강가대(6)를 일단 약간 상승시키고, 이어서 스페이서(8)를 개재해서 연결해제장치(8b)를 다음에 가황공정이 완료되는 타이어가황금형M의 위치에 이동시키고, 이어서 승강가대(6)를 하강시키고, 타이어가황금형M의 상부절반금형Ma에 연결해서, 이 타이어가황금형M내의 타이어의 가황공정의 종료를 대기한다. 그 이후의 작용은 제1실시형태의 경우와 동일하다.
단연한 일이나 본 제2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종래형의 타이어가황금형을 장착할 수는 없다.
[발명의 효과]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타이어가황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즉 타이어균일성 향상의 요망에 답하여 개발된 상기 타이어가황프레스는, 개방된 타이어가황금형의 사이에 생타이어로드 등의 흔들어넣기 스페이스를 필요로하고 있으므로, 타이어가황금형의 상부절반금형의 승강스트로우크가 크고, 키가 높은 타이어가황프레스로 되어 있어, 최종 사용자에의 수송시에 키큰 부분을 해체해서, 운반하지 않으면 안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으나, 본 발명의 타이어가황기는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고, 타이어가황금형의 상부절반금형을 하부절반금형으로부터 상승시킨 후, 후퇴시키므로, 타이어가황금형의 상부절반금형의 ㅅ으강스크로우크를 작게 할 수 있어, 타이어가황기의 키를 낮게할 수 있고, 타이어가황기를 해제하지 않아도 최종사용자에게 수송할 수 있어, 수송관련코스트를 대폭적으로 저감할 수 있다. 또 타이어가황기의 키를 낮게할 수 있으므로, 타이어가황기설치 공장의 청어높이를 낮게할 수 있다.

Claims (4)

  1. 타이어가황용 금형을 장착한 고정가대와, 동고정가대위를 전후방향으로 왕복동가능한 이동가대와, 동이동가대에 승강가능하게 장착한 승강가대를 구비하고, 동승강가대를 상승시켜 타이어가황금형이 상부절반금형을 상부절반금형을 들어올려서 타이어가황금형을 개방한 후, 이동가대에 의해 타이어가황금형을 후방으로 이동시켜서, 완성타이어의 끄집어내기와 생타이어의 공급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가황기.
  2. 제1항에 있어서, 고정가대위에 복수조의 타이어가황용 금형을 장착하고, 가황 종료후의 타이어가황용 금형에 의해 상부절반금형과 하부절반금형과의 연결을 해제하는 연결해제장치를 승강가대에 각 타이어가황용금형에 대응해서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가황기.
  3. 제1항에 있어서, 승강가대에 수평궤도를 좌우방향을 따라서 장착하고, 동수평궤도에 의해 연결해제장치를 좌우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한 상태로 지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가황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에 있어서, 승강가대에 수평궤도를 좌우방향을 따라서 장착하고, 동 수평궤도에 의해 생타이어로더를 좌우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한 상태로 지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가황기.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70035760A 1996-07-29 1997-07-29 타이어 가황기 KR1002323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915896A JP3637156B2 (ja) 1996-07-29 1996-07-29 タイヤ加硫機
JP96-199158 1996-07-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8497A true KR980008497A (ko) 1998-04-30
KR100232337B1 KR100232337B1 (ko) 1999-12-01

Family

ID=16403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5760A KR100232337B1 (ko) 1996-07-29 1997-07-29 타이어 가황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158998A (ko)
EP (1) EP0822046A3 (ko)
JP (1) JP3637156B2 (ko)
KR (1) KR10023233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61700B2 (ja) * 1998-11-30 2007-08-22 株式会社市丸技研 タイヤ加硫装置
JP3964280B2 (ja) * 2002-08-07 2007-08-22 株式会社市丸技研 タイヤ加硫装置及びタイヤ加硫方法
JP4021725B2 (ja) 2002-08-12 2007-12-12 株式会社市丸技研 タイヤ加硫装置
US7459117B2 (en) * 2003-04-17 2008-12-02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Method for curing tires using a self-locking tire mold
JP5725907B2 (ja) * 2011-02-25 2015-05-27 三菱重工マシナリー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タイヤ加硫装置
JP5705762B2 (ja) * 2012-02-03 2015-04-22 三菱重工マシナリー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タイヤ加硫機、および、タイヤ加硫設備
US10428965B1 (en) 2016-04-25 2019-10-01 Durbin Industrial Valve Repair, Inc. Digital flow control valve for curing press
CN108943529B (zh) * 2018-07-19 2020-11-17 南通众辰模具有限公司 一种多孔硫化模具及其放样硫化方法
CN110126005B (zh) * 2019-05-10 2020-09-29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废旧轮胎切割装置
CN110587871A (zh) * 2019-10-23 2019-12-20 浙江荣升机械有限公司 一种轮胎模具加热机
CN113306050B (zh) * 2021-05-28 2022-05-24 株洲时代新材料科技股份有限公司 锥形橡胶弹簧的快速装模、出模装置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50196A (en) * 1967-01-30 1970-12-29 Nrm Corp Tire vulcanizing apparatus
US3697206A (en) * 1971-03-10 1972-10-10 Pericle Bonazzi Press for rebuilding of tires
US3918861A (en) * 1974-10-11 1975-11-11 Cooper Tire & Rubber Co Vulcanizing press with rotary locking mechanism
US3932079A (en) * 1975-01-29 1976-01-13 Valery Leonidovich Legostaev Pneumatic tire vulcanizing apparatus
US3988077A (en) * 1975-03-04 1976-10-26 Alexei Mikhailovich Naratov Pneumatic tire vulcanizing apparatus
US4025251A (en) * 1975-11-06 1977-05-24 Nrm Corporation Vulcanizer lock means
IT1143821B (it) * 1977-08-12 1986-10-22 F A T A Fabbrica Ed Apparecchi Sistema per l alimentazione di prodotti di materiale elastomero crudo ad autoclavi di vulcanizzazione
IT1198794B (it) * 1984-02-29 1988-12-21 Cima Impianti Spa Attrezzatura di movimentazione dei copertoni pneumatici verso e da una macchina vulcanizzatrice
IT1248654B (it) * 1990-05-29 1995-01-26 Pirelli Pressa di vulcanizzazione con due stampi azionati disgiuntamente fra loro particolarmente per pneumatici di veicoli
JP2686375B2 (ja) * 1991-04-23 1997-12-08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タイヤ製造装置
JP2505675B2 (ja) * 1992-01-24 1996-06-12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タイヤ加硫プレス
JP3064156B2 (ja) * 1993-06-14 2000-07-12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タイヤ加硫装置
JPH0847928A (ja) * 1994-06-03 1996-02-20 Mitsubishi Heavy Ind Ltd タイヤ加硫用割金型装置
JPH0857858A (ja) * 1994-08-25 1996-03-05 Kobe Steel Ltd タイヤ加硫システム
DE69526171T2 (de) * 1994-10-31 2002-11-14 Mitsubishi Heavy Ind Ltd Reifenvulkanisiervorricht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822046A2 (en) 1998-02-04
KR100232337B1 (ko) 1999-12-01
JPH1034660A (ja) 1998-02-10
EP0822046A3 (en) 1999-04-28
JP3637156B2 (ja) 2005-04-13
US6158998A (en) 2000-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80008497A (ko) 타이어가황기
CN109848239B (zh) 多向双动挤压液压机的重型模具预热和快速更换系统及方法
JP4191316B2 (ja) タイヤ加硫設備
US6338620B1 (en) Tire-vulcanizing machine
KR101539519B1 (ko) 타이어 가황기, 및 타이어 가황 설비
EP1477295B1 (en) A mold opening/closing and tire vulcanizing station
JP2003010954A (ja) 金型鋳造装置
JP2002321047A (ja) 金型鋳造装置
JP3569178B2 (ja) タイヤ加硫設備
CN214720474U (zh) 铝铸件排气装置模具
CN213972141U (zh) 一种三层实心轮胎硫化机
CN110405158B (zh) 一种v法垂直造型系统
CN210923218U (zh) 一种拉伸试验机用模架
CN211616287U (zh) 一种轮胎硫化预热装置
JPH09277262A (ja) タイヤ加硫機
JP2664762B2 (ja) 表皮材成形装置および表皮材の成形方法
US20030051853A1 (en) Die opening/closing apparatus for die-casting systems and machines and methods for opening dies using such die opening/closing apparatus
JP2003010955A (ja) 金型鋳造装置
JPH074648B2 (ja) 鋳型造型機の金型交換装置
JPH08150623A (ja) タイヤ加硫設備
CN113752494A (zh) 一种汽车内饰件注塑模具
JP2003089119A (ja) タイヤ加硫システム
JP4623882B2 (ja) タイヤ加硫システム
CN114734003A (zh) 超大型制芯装置
JPH07314451A (ja) タイヤ加硫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1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1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