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0134B1 - 광파이버의 자동스크리닝장치와 그 방법 - Google Patents

광파이버의 자동스크리닝장치와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0134B1
KR970000134B1 KR1019920008419A KR920008419A KR970000134B1 KR 970000134 B1 KR970000134 B1 KR 970000134B1 KR 1019920008419 A KR1019920008419 A KR 1019920008419A KR 920008419 A KR920008419 A KR 920008419A KR 970000134 B1 KR970000134 B1 KR 9700001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fiber
roll
winding
capstan wheel
s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084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22012A (ko
Inventor
카쯔야 나가야마
토시후미 호소야
유타카 와다
이찌로 요시무라
야스오 마쯔다
유지 코바야시
Original Assignee
스미도모덴기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쿠라우찌노리타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991035423U external-priority patent/JP2584134Y2/ja
Priority claimed from JP15991191A external-priority patent/JP298537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6343591U external-priority patent/JP2550934Y2/ja
Priority claimed from JP607492A external-priority patent/JP276019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4104339A external-priority patent/JP2800548B2/ja
Application filed by 스미도모덴기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쿠라우찌노리타카 filed Critical 스미도모덴기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9200220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220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01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013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7/00Guides for filamentary materials; Supports therefor
    • B65H57/003Arrangements for threading or unthreading the gu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4/00Winding, coiling, or depositing filamentary material
    • B65H54/86Arrangements for taking-up waste material before or after winding or depositing
    • B65H54/88Arrangements for taking-up waste material before or after winding or depositing by means of pneumatic arrangements, e.g. suction gu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63/00Warning or safety devices, e.g. automatic fault detectors, stop-motions ; Quality control of the package
    • B65H63/02Warning or safety devices, e.g. automatic fault detectors, stop-motions ; Quality control of the package responsive to reduction in material tension, failure of supply, or breakage, of material
    • B65H63/024Warning or safety devices, e.g. automatic fault detectors, stop-motions ; Quality control of the package responsive to reduction in material tension, failure of supply, or breakage, of material responsive to breakage of materials
    • B65H63/036Warning or safety devices, e.g. automatic fault detectors, stop-motions ; Quality control of the package responsive to reduction in material tension, failure of supply, or breakage, of material responsive to breakag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combination of the detecting or sensing elements with other devices, e.g. stopping devices for material advancing or winding mechan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63/00Warning or safety devices, e.g. automatic fault detectors, stop-motions ; Quality control of the package
    • B65H63/06Warning or safety devices, e.g. automatic fault detectors, stop-motions ; Quality control of the package responsive to presence of irregularities in running material, e.g. for severing the material at irregularities ; Control of the correct working of the yarn clea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65/00Securing material to cores or form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1/00Testing of optical apparatus; Testing structures by optical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1/08Testing mechanical properties
    • G01M11/088Testing mechanical properties of optical fibres; Mechanical features associated with the optical testing of optical fib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39Auxiliary devices
    • G02B6/4457Bobbins; R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2Optical fibres or optical c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Investigating Strength Of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AREA)
  • Tension Adjustment In Filamentary Materials (AREA)
  • Filamentary Materials, Packages, And Safety Devices Therefor (AREA)
  • Mechanical Coupling Of Light Guid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광파이버의 자동스크리닝장치와 그 방법
제1도는 광파이버가 단선되었을때에 있어서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자동스크리닝장치를 표시한 개략적인 구성도.
제2도는 광파이버가 경로에 다시 설치되었을때에 있어서의 제1도에 표시한 바와 같은 자동스크리닝장치를 표시한 개략적인 구성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그리핑수단을 표시한 개략적인 구성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그리핑수단을 표시한 개략적인 구성도.
제5도는 광파이버의 주행속도와 광파이버에 인가된 장력의 변동사이의 관계를 표시한 그래프.
제6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자동스크리닝장치를 표시한 개략적인 구성도.
제7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광파이버를 흡인하는 흡인장치를 표시한 정면도.
제8도는 제7도에 표시된 흡인장치를 표시한 측면도.
제9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연속권취장치를 표시한 측면도.
제10도는 제9도에 표시된 연속권취장치를 표시한 정면도.
제11도는 권취순서를 표시한 설명도.
제12도는 광파이버의 단말처리를 표시한 정면도.
제13도는 본 발명에 관한 광파이버를 권취한 권취롤의 일예를 표시한 사시도.
제14도는 본 발명에 관한 광파이버를 권취한 권취롤의 다른 일예를 표시한 사시도.
제15도(a)~제15도(b)는 본 발명에 관한 권취롤의 얕은 슬리트에 의하여 얻는 효과를 표시한 설명도.
제16도는 종래의 스크리닝장치를 표시한 개략적인 구성도.
제17도는 제16도의 선(VI-VI)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1 : 공급롤 2,12 : 광파이버
3,13 : 캡스턴휘일 4,14 : 캡스턴벨트
5,15 : 스크리닝롤 6,16 : 장력롤
7,17 : 권취롤 8,18 : 공급댄서
9,19 : 권취댄서 20 : 암
21,22,23 : 댄서롤 24,25,26,27,28 : 지지롤
31-1 : 제1흡인노즐 31-2 : 제2흡인노즐
31a : 수용박스 31c : 흡입구
32 : 수용박스 35 : 자동이송/설치수단
36 : 횡이송장치 38,39 : 안내레일
40,45,61 : 절단기 41 : 테이프점착장치
51,62,71 : 그리핑수단 42 : 자외선조사오븐
43 : 모니터 44 : 검출장치
51 : 권취부 52,53 : 플랜지
54 : 축 55 : 안내롤러
56 : 볼나사축 57 : 프레임
58 : 가동부재 59,68 : 피스톤실린더
60 : 그리핑부 64 : 테이프
70,71 : 슬리트
본 발명은, 광파이버, 전선등에 부하를 인가하여 광파이버, 전선등의 장력시험을 행하는 스크리닝방법과 그 방법을 행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광파이버의 생산라인에서, 광파이버의 파단수명을 보증하기 위하여 내구시험을 행한다. 내구시험에서, 생산라인의 일부에 소정의 장력을 인가하므로서 광파이버의 약한 부분을 파단하여 제거한다. 상기 시험은 스크리닝장치를 사용하여 행한다.
종래의 스크리닝장치에 관하여 제16도와 제17도를 참조하면서 이하 설명한다. 제16도는 종래의 스크리닝 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를 표시한다. 제17도는 제16도의 선(VI-VI)을 따라서 취해진 단면도이다.
상기 장치는, 인발된 광파이버(2)를 공급하는 공급롤(1)과, 광파이버(2)를 권취하고 캡스턴벨트(4)에 의하여 광파이버(2)를 지지하는 캡스턴휘일(3)과, 스크리닝롤(5)과, 장력롤(6)과, 캡스턴휘일(3)과 스크리닝롤(5) 사이에서 토오크에 의하여 장력이 인가된 광파이버(2)를 권취하는 권취롤(7)과, 공급롤(1)과 캡스턴휘일(3)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암형공급댄서(8)와, 장력롤(6)과 광파이버(7) 사이에 배치된 암형권취댄서(9)를 구비하고 있다. 공급댄서(8)와 권취댄서(9)는, 캡스턴휘일(3)과 공급롤(1) 사이, 및 캡스턴휘일(3)과 권취롤(7) 사이에서의 광파이버(2)의 속도와 장력의 변동을 흡수한다.
상기 스크리닝장치에 따르면, 광파이버(2)는 공급롤(1)로부터 공급되고, 캡스턴휘일(3)과 스크리닝롤(5) 사이에서 광파이버에 장력이 인가되고, 그리고 권취롤(7)에서 권취된다. 선속도는 캡스턴휘일(3)의 구동에 의하여 결정된다. 공급댄서(8)와 권취댄서(9)는 캡스턴휘일(3)과 권취롤(1)사이, 및 캡스턴휘일(3)과 권취롤(7) 사이에서의 광파이버의 속도와 장력의 변동을 흡수한다. 캡스턴휘일(3)과 스크리닝롤(5) 사이에서 광파이버에 장력을 인가하여 광파이버의 저강도부분을 단선시키므로서, 광파이버(2)의 저강도부분을 권취롤(7)에 권취하지 않는다.
스크리닝시험에 의하여 광파이버(2)의 저강도부분을 권취롤(7)에 권취하지는 않지만, 경로상에 광파이버(2)를 다시 수동으로 설치하여야 하는 번거러움이 있다. 일본국 특개소 62-91441호에는 소정의 시간동안 계속 작동이 요구되는 인발처리를 할 때에 안래롤러를 왕복운동시키므로서 용이하게 광파이버를 경로상에 수동으로 설치할 수 있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종래의 스크리닝장치에 따르면, 스크리닝시험에 의하여 광파이버(2)의 저강도부분이 단선되기 때문에, 광파이버(2)의 저강도부분이 권취롤(7)에 권취되지 않지만, 광파이버(2)가 단선될때에 권취작동이 지연된다. 따라서 광파이버(2)가 단선되었을 때에 수동으로 경로상에 광파이버(2)를 다시 설치하여야 한다. 저강도부에서 단선된 후에 광파이버(2)를 잡아서 복잡한 경로상에 광파이버(2)를 자동으로 설치할 필요가 있다. 특히, 광파이버의 속도와 장력의 변동을 흡수하기 위하여, 제17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광파이버(2)가 복수회감겨 있어야 하기 때문에, 권취댄서(9)에 광파이버(2)를 자동으로 설치하기가 어렵다.
또한, 저강도부분 이외의 결함부분, 예를들면 외경이상, 기포혼입, 두꺼운 부분 또는 비정상 돌기부등을 제거하기 위하여 다음 공정에서 광파이버를 수동으로 재권취하거나 작동을 지연시킬 필요가 있다. 따라서, 작동이 비능률적으로 행하여졌다.
본 발명의 목적은, 광파이버의 약한 부분이 단선된 후에 용이하게 광파이버의 경로상에서 광파이버를 자동으로 설치하는 스크리닝방법과, 그 방법을 사용하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과 기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광파이버의 자동스크리닝장치는, 광파이버를 권취하는 캡스턴휘일과, 상기 캡스턴휘일로부터 공급된 광파이벌를 권취하는 권취롤과, 상기 캡스턴휘일과 상기 권취롤 사이에 장력을 인가하여 광파이버의 저강도부분을 단선시켜서 제거하는 스크리닝롤과, 상기 스크리닝롤과 상기 권취롤 사이에 배치되고, 암의 요동운동에 기인하여 광파이버에 인가된 장력과 광파이버의 공급속도의 변동을 흡수하는 복수의 댄서롤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장치에 있어서, 개량된 구조로서, 광파이버의 이송방향으로 캡스턴휘일의 하류측에 설치되고 팡파이버가 단선될때에 광파이버를 흡인하는 흡인장치와, 광파이버가 단선될때에 갭스턴휘일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정지수단과, 광파이버의 단선의 결과로서 상기 캡스턴휘일의 작동이 정지될때에 광파이버의 후속부를 상기 권취롤에 이송하는 자동이송/설치수단을 부가하여 구비하고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복수의 댄서롤이 암의 축방향으로 설치되어 있고, 광파이버에 장력을 인가하는 지지롤이 상기 스크리닝롤과 상기 댄서롤중의 어느 한개의 댄서롤 사이에 그리고 서로 인접한 댄서롤 사이에 설치되어 있고, 지지롤의 적어도 일부분이 광파이버의 경로와 광파이버의 퇴피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광파이버의 결함부분을 검출하는 검출수단과, 광파이버의 이송방향으로 캡스턴휘일의 하류측에 설치되고, 광파이버의 결함부분이 통과할때에 상기 검출수단에 의하여 공급된 정보를 근거로 하여 광파이버의 결함부분에서 광파이버를 절단하는 절단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자동이송/설치수단은 광파이버의 후속부를 잡는 그리핑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그리핑수단은 광파이버를 잡은 개폐형 핸드를 가지고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자동이송/설치수단은 광파이버의 후속부를 잡는 그리핑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그리핑수단은 광파이버를 흡인하여 유지하는 흡인/유지장치를 가지고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자동이송/설치수단은 광파이버의 후속부를 잡는 그리핑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그리핑수단은 광파이버를 흡인하여 유지하는 흡인/유지장치를 가지고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자동이송/설치수단은 광파이버의 후속부를 잡는 그리핑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그리핑수단은 광파이버에 장력을 인가하여 광파이버를 유지하는 한쌍의 회전가능한 롤을 가지고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회전가능한 캡스턴벨트는, 상기 캡스턴벨트가 캡스턴휘일과 접촉되어 있을 때에는 캡스턴휘일을 구동시키고, 상기 캡스턴벨트가 퇴피위치에 있을 때에는 캡스턴위일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수단으로 사용되도록 설치되어 있고, 공급댄서는 자동이송/설치수단이 광파이버의 단선의 결과로서 광파이버를 이송할때에, 요동가능한 상기 공급댄서가 광파이버의 속도변동을 흡수하도록 상기 캡스턴휘일의 상류측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광파이버가 단선되었을 때에 광파이버의 저강도부분이 흡인장치에 의해서 흡인되고, 구동정지수단이 캡스턴휘일을 정지시켜서 라인이 정지한다. 그 결과, 자동이송/설치수단은 광파이버의 후속부를 권취롤에 이송한다. 암의 축방향으로 설치된 댄서롤은 지지롤을 왕복이동가능하게 함으로써 댄서롤으로의 광파이버의 복잡한 권취를 제거한다. 또한, 검출수단은 절단수단에 의하여 절단될 광파이버의 결함부분을 검출한다. 따라서, 광파이버의 결함부분이 권취롤에 권취되지 않게 한다.
광파이버 스크리닝방법에 있어서, 광파이버에 장력을 인가함으로써, 광파이버의 저강도부분을 파단하여 제거하는 스크리닝롤을, 주행하는 광파이버를 권취하는 캡스턴휘일과 상기 캡스턴휘일로부터 공급되는 광파이버를 권취하는 권치롤 사이에 배치하고, 제1흡인장치와 제2흡인장치를 상기 캡스턴휘일의 하류측과 상기 권취롤의 상류측에 각각 배치한다.
광파이버 스크리닝방법은, 광파이버가 단선되었을 때에 광파이버의 주행을 정지시키는 단계와, 상기 제1흡인장치가 캡스턴휘일의 하류측에 배치된 광파이버의 한쪽의 단말을 잡고, 또한 상기 제2흡인장치가 권취롤의 상류측에 배치된 광파이버의 다른쪽의 단말을 잡도록 상기 제1, 제2흡인장치를 작동시키는 단계와, 상기 제2흡인장치가 상기 권취롤에 권취된 광파이버의 상기 다른쪽의 단말을 처리하도록 제2흡인장치를 계속하여 작동시키는 단계와, 광파이버의 상기 한쪽의 단말을 제1흡인장치로부터 해제하여 광파이버의 경로에 설치하고, 또한 광파이버의 상기 한쪽의 단말을 상기 권취롤상에 설치하도록 상기 제1흡인장치를 정지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방법에 따르면, 광파이버가 단선되었을 때에, 광파이버의 저강도부분이 제1, 제2흡인장치에 의하여 흡인되고 캡스턴휘일이 정지하고 생산라인이 정지한다. 제2흡인장치가 광파이버의 단말을 잡아당기면서 잡고 있는 사이에 광파이버의 단말이 자동으로 처리된다. 제1흡인장치쪽에서는, 자동이송/설치장치가 광파이버의 후속부를 권취롤에 이송한다. 따라서, 스크리닝작동은 복구된다.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면, 주행하는 광파이버를 권취하는 캡스턴휘일의 하류측에 설치된 흡인노즐을 가지는 광파이버의 흡인장치에 있어서, 상기 흡인노즐의 흡입구가 광파이버의 주행속도에 따라서 변경되는 광파이버의 경로의 이동가능범위에 설치된다.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주행하는 광파이버를 권취하는 캡스턴휘일의 하류측에 설치된 흡인 노즐을 가지는 광파이버의 흡인장치에 있어서, 상기 흡인노즐이 광파이버의 경로를 따라서 설치되고, 상기 흡인 노즐의 흡입구가 상기 경로에 수직으로 되도록 위치하고 있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고속으로 주행하는 광파이버가 단선되었을 때에, 캡스턴휘일로부터 공급된 광파이버는 흡인장치에 의하여 흡인된다. 광파이버의 경로의 이동가능한 범위내에 흡인노즐이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광파이버의 주행속도가 변경되어도 단선된 광파이버를 확실하게 흡인할 수 있다. 또한, 흡인노즐이 광파이버의 경로를 따라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광파이버의 선행단말을 라인상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고, 또 단선된 광파이버를 용이하게 수집할 수 있다.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광파이버를 계속하여 권취하는 장치는,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광파이버를 권취하는 권취롤과, 상기 권취롤의 근방에 위치하고, 상기 권취롤의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지지되는 안내롤러와, 광파이버를 절단하는 절단기와, 상기 권취롤상에서 절단된 광파이버의 단말을 유지시키는 테이프점착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슬리트가 상기 권취롤의 플랜지상에 형성되고, 상기 슬리트의 위치를 검출하는 검출수단이 상기 권취롤의 소정의 회전위치에서 상기 슬리트를 통하여 광파이버를 삽입하도록 형성되고 ; 광파이버의 상기 단말을 테이프에 의해서 상기 플랜지의 외부표면상에 유지시킨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테이프점착장치는 권취롤의 표면에 광파이버의 단말을 고정하므로서, 권취롤에 권취된 광파이버가 주행하는 동안 느슨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광파이버는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광파이버의 단말이 플랜지의 외부 표면상에 테이프로 유지되므로, 광파이버의 단말을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다.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권취롤의 플랜지상에 두 개의 슬리트가 형성되고, 상기 두 개의 슬리트중에서 한쪽의 슬리트의 길이는 상기 플랜지의 반경에서 상기 권취롤의 드럼의 반경을 감하여 얻은 거리와 동일하고, 다른쪽의 슬리트의 하단이, 광파이버를 상기 드럼에 최대로 권취하였을 때에 형성되는 원통형 표면에 도달하지 않도록 구성된 광파이버 권취용 권취롤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한쪽의 슬리트와 상기 플랜지의 중심을 서로 연결하는 선과 상기 다른쪽의 슬리트와 상기 플랜지의 중심을 서로 연결하는 선이 90° 또는 그 이상을 이룬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의 외부표면은 평활하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두개의 슬리트가 광파이버의 선행단말을 권취하는 리드권취부분과 광파이버를 권취하는 부분으로 상기 드럼을 분할하는 플랜지상에 형성되고, 상기 리드권취부분의 외부단말에 형성된 플랜지의 직경이, 상기 리드권취부분과 광파이버를 권취하는 부분으로 상기 드럼을 분할하는 상기 플랜지의 직경보다 작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테이프점착위치가 용이하게 설정되므로 광파이버의 단말을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다. 또한, 광파이버의 선행단말 및 후행단말은 동일 평면내에서 고정되고, 광파이버의 후행단말을, 권취롤의 드럼에 권취된 광파이버의 길이에 관계없이 동일위치에서 고정할 수 있다.
본원 발명의 상기 목적과 기타 목적 그리고 특징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련한 다음 설명으로부터 자명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전에,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부분을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제1도와 제2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자동스크리닝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표시한다. 제1도는 광파이버가 단선된 상태를 표시한다. 제2도는 광파이버가 경로에 다시 자동으로 설치된 상태를 표시한다.
자동스크리닝장치는, 인발된 광파이버(12)를 공급하는 공급롤(11)과, 광파이버(12)를 권취하는 캡스턴휘일(13)을 구비하고, 이 캡스턴휘일은 제2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캡스턴휘일(13)로부터 퇴피(退避)가능하나 캡스턴벨트(14)와 연동하여 광파이버(12)를 구동하거나 정지시키고 또한 지지한다. 즉, 캡스턴휘일(13)은 그로부터 캡스턴벨트(14)를 퇴피시킴으로써 정지된다. 또한, 상기 장치는 또한, 스크리닝롤(15)과, 장력롤(16)과, 캡스턴휘일(13)과 스크리닝롤(15) 사이에서 토오크에 의하여 장력이 인가되는 광파이버(12)를 권취하는 권취롤(17)과, 공급롤(11)과 캡스턴휘일(13) 사이에 배치된 암형의 공급댄서(18)를 구비하고 있다.
권취댄서(19)는 장력롤(16)과 권취롤(17) 상이에 배치된다. 권취댄서(19)는, 요동암(20)과, 요동암(20)상에 설치되고 이 암(20)의 요동중심으로부터 각각 L1, L2, L3의 거리를 가지는 댄서롤(21),(22),(23)로 이루어져 있다. 지지롤(24),(25),(26),(27),(28)은 각각 캡스턴휘일(13)과 스크리닝롤(15) 사이에, 스크리닝롤(15)과 장력롤(16) 사이에, 장력롤(16)과 댄서롤(21) 사이에, 댄서롤(21)과 댄서롤(22) 사이에, 댄서롤(22)과 댄서롤(23) 사이에 배치된다. 지지롤(24),(25),(26),(27),(28)은 광파이버(12)의 경로와 그 퇴피위치 사이에서 왕복이동, 즉 승강이동가능하게 되어 있다.
단선된 광파이버(12)를 흡인하는 제1흡인노즐(31-1)은 광파이버(12)의 주행방향으로 캡스턴휘일(13)의 하류측에 배치된다. 흡인된 광파이버(12)를 수용박스(32)에서 수용한다.
광파이버(12)를 흡인하는 제2흡인노즐(31-2)과 흡인된 광파이버(12)를 수용하는 도시되지 않은 박스를 권취롤(17)의 상류측에 배치한다. 파이버 자동이송/설치수단(25)은, 캡스턴휘일(13)로부터 권취롤(17)의 상부위치까지 광파이버의 후속부를 이송하는 횡이송장치(36)와, 권취롤(17)의 상부위치로부터 권취롤(17)까지 광파이버를 이송하여 권취롤(17)상에 광파이버를 설치하는 이송/설치장치(37)를 구비하고 있다. 횡이송장치(36)와 이송/설치장치(37)는 각각 안내레일(38)과 안내레일(39)에 의하여 지지된다. 광파이버(12)를 절단하는 절단기(40)는 안내레일(39)에 의하여 지지된다. 테이프점착장치(41)는 광파이버(12)의 단말을 권취롤(17)의 플랜지에 고정한다.
횡이송장치(36)와 이송/설치장치(37)는 광파이버(12)의 후속부를 잡는 그리핑수단(71)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핑수단(71)은 한쌍의 개폐형 핸드(72)를 구비하고 있다. 핸드(72)는 광파이버를 잡도록 되어 있다. 도시되지 않은 모우터는 그리핑수단(71)을 구동하여 안내레일(38),(39)를 따라서 이동시킨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하여 제3도와 제4도를 참조하면서 이하 설명한다.
제3도에 도시된 그리핑수단(51)은 일정한 흡인력(예를들면, 20g)으로 광파이버(12)를 흡인하여 광파이버를 유지하는 흡인노즐(52)을 구비하고 있다. 모우터(53)는 그리핑수단(51)을 구동하여 안내레일(38)((39))를 따라서 이동시킨다.
일정한 토오크를 가지는 토오크모우터(63)에 의하여 구동되는 한쌍의 핀치롤러(64)로 이루어진 제4도에 도시된 그리핑수단(62)은, 일정한 장력을 광파이버(12)에 인가하므로서 광파이버(12)를 핀치롤러(64) 사이에 끼워 유지한다. 모우터(65)는 그리핑수단(62)을 구동하여 안내레일(38)((39))를 따라서 이동시킨다. 그리핑수단(62)에 있어서, 핀치롤러(64)는 모우터(65)의 주행속도에 무관하게 일정한 토오크로 토오크모우터(63)에 의하여 구동된다. 따라서, 광파이버(12)는 그에 인가된 일정한 장력으로 유지된다.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진 자동스크리닝장치의 작동에 대하여 이하 설명한다.
공급롤(11)에서 광파이버(12)에 인가된 장력은 100g보다 작으며, 캡스턴휘일(13)과 스크리닝롤(15) 사이에서 광파이버(12)에는 700g의 장력이 인가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광파이버(12)가 저강도부를 가지고 있을 경우 광파이버(12)는 캡스턴휘일(13)과 스크리닝롤(15) 사이에서 단선된다. 제1도에 있어서, 광파이버(12)가 단선될때에 자동시스템의 장력의 감소가 검출된다. 그 결과, 흡인노즐(31-1)의 광파이버(12)를 흡인하기 시작한다. 흡인노즐(31-1)은 배출측에 5kg/cm2의 공기압력을 인가하여 흡입측의 압력을 감소시키므로서, 800m/mim 의 속도로 주행하는 광파이버(12)를 흡인한다. 흡인노즐(31-1)의 광파이버(12)를 흡인하는 동안 공급롤(11)의 속도와 캡스턴휘일(13)의 속도는 감소하여 멈추게 된다. 이때에, 흡인노즐(31-2)이 작동되어, 광파이버(12)의 단말을 처리한다.
광파이버(12)의 단말을 처리하는 작동은 다음과 같이 실행된다. 우선, 테이프점착장치(41)는 광파이버(12)를 권취롤(17)의 플랜지에 고정시킨 다음에 광파이버(12)를 절단기(40)에 의해서 절단한다. 이와 같이 절단된 광파이버(12)는 흡인노즐(31-2)에 의하여 흡인되고 수용박스에 수용된 다음에, 흡인노즐(31-2)의 작동이 멈춘다. 다음에, 권취롤(17)을 광파이버(12)가 없는 권취롤로 대체한다. 이 작동을 광파이버(12)의 단말처리라고 칭한다. 권취댄서(19)의 암(20)을 수평방향으로 고정시키고, 지지롤(24),(25),(26),(27),(28)을 최상위치로 이동시켜 자동파이버설치를 준비한다. 캡스턴휘일(13)이 정지할때에, 광파이버(12)의 후속부를, 캡스턴휘일(13)과 흡인노즐(31-1) 사이에 있는 횡이송장치(36)의 그리핑수단(71)의 핸드(72)로 잡는다. 캡스턴벨트(14)가 위쪽으로 이동할때에, 공급롤(11)은 광파이버(12)를 공급한다. 그리핑수단(71)은 횡이송장치(36)의 안내레일(38)을 따라서 이동하므로서 광파이버(12)를 권취롤(17)의 상부위치로 이송한다.
다음에, 지지롤(24)~(28)를 지지롤(24)로부터 지지롤(28)의 순서로 아래쪽으로 이동시키므로서 광파이버(12)의 경로를 형성한다 횡이송장치(36)의 그리핑수단(71)에 의하여 잡힌 광파이버(12)를, 권취롤(17)의 상부에 있는 이송/설치장치(37)의 그리핑수단(71)에 의하여 잡는다. 그 결과, 이성/설치장치(37)의 그리핑수단(71)은 안내레일(39)을 따라서 아래쪽으로 이동한 다음에, 광파이버(12)의 단말을, 광파이버(12)가 없는 권취롤(17)에 고정시킨다. 다음에 캡스턴벨트(14)를 아래쪽으로 이동시키므로서 캡스턴휘일(13)상에 광파이버(12)를 지지한다. 이때에 권취댄서(19)의 암(20)이 요동하도록 하므로서, 파이버자동설치작동이 완료된다.
그리핑수단(71)의 이동속도가 광파이버(12)의 이송시에 변경되면, 캡스턴벨트(14)가 퇴피위치에 있기 때문에 공급댄서(8)가 요동하므로서 공급롤(11)의 회전속도를 조정할 수 있다. 그 결과, 그리핑수단(71)의 이동속도의 변동을 흡수하고, 따라서 이송되는 광파이버(12)는 일정한 장력을 가지게 된다.
경로상에 광파이버(12)의 후속부를 설치하는 실험을, 상기 스크리닝장치를 사용해서 800mm/min의 선속도에서 실행하였다. 제1흡인노즐의 직경과 제2흡인노즐의 직경은 모두 20mm이었고, 공기소비량은 0.6m3/min 이었고, 흡인노즐의 최고풍속은 100m/sec 이었다. 경로상에 광파이버(12)의 후속부를 설치하는 작동을 10회행해서 수집된 4000m 정도의 파이버 찌꺼기가 500mm3의 수용박스에 수용되었다. 제2흡인측에서는 광파이버가 단선된 후에 4m 정도 주행하였다. 제2흡인노즐은 광파이버(12)의 단선위치로부터 8m 떨어져 있었다. 따라서, 광파이버(12)의 4m 정도가 제2흡인노즐에 의하여 흡인되었다. 제2흡인노즐의 길이는 1m이었다. 1m중에서, 0.7m는 광파이버(12)의 단말을 처리하는데 필요했다. 광파이버(12)를 흡인하는 흡인력은 30g이었다. 광파이버(12)는 그 단말을 처리하는 동안에도 느슨해지지 않았다. 처리후의 파이버의 찌꺼기도 흡인할 수 있었다. 상기 조건하에서 10번 실행한 시험에 의하면, 광파이버(2)의 후속부를 경로에 자동으로 설치할 수 있었다.
상기 설명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제2흡인장치외 테이프점착장치를 제1흡인장치에 부가하여 설치하였으므로, 단선후에 광파이버의 후속부를 경로상에 자동으로 설치할 수 있다. 이 장치는 인발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이 장치는 광파이버의 결함, 즉 광파이버의 외경이 전 길이에 걸쳐서 동일한지의 여부 또는 레진이 전 길이에 균일하게 도포되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여 결함부분을 제거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종래예의 권취댄서(9)(제16도와 제17도)의 효과와 본 발명의 권취댄서(19)의 효과를 비교한다. 길이(△L)의 변동을 흡수하는데 필요한 종래댄서(9)에 대한 각 변위는 △θ=△L/6L 이다. 단, L은 요동중심과 댄서롤 사이의 거리이다. 길이(△L)의 변동을 흡수하는데 필요한 본 발명이 댄서(19)에 대한 각 변위는
이다.
따라서, 요동중심과 각각의 댄서롤(21),(22),(23) 사이의 거리를 크게 하므로서 흡수능력을 충분히 얻을 수 있다.
근소한 교란의 응답성은 댄서롤(21),(22),(23)의 회전관성에 의존하고 암(20)의 회전관성에는 거의 의존하지 않는다. 제5도는 광파이버의 이동속도와 장력변동의 관계를, 종래의 권취댄서(9)의 경우와 본 발명의 권취댄서(19)의 경우에 대해서 표시하고 있다. 제5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권취댄서(19)의 경우에는 부분적으로 공진이 발생하지만, 이것은 암(20)의 길이를 조정하여 해결할 수 있다. 공지변동은 종래의 권취댄서(9)의 공진변동과 대차없는 3.5g 정도이다. 따라서, 광파이버(12)의 후속부를, 단선된 후에도, 자동으로 경로상에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스크리닝자동장치는, 광파이버(12)의 후속부를 단선후에 그에 인가된 일정한 장력으로 이동시키면서 자동으로 설치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3도와 제4도에 표시된 그리핑수단(51),(62)의 작동은 핸드(72)를 가지는 그리핑수단(71)의 작동과 동일하다. 그리핑수단(62)이 경우에 있어서, 일정한 토오크로 구동되는 한쌍의 핀치롤러(64)는 광파이버(12)에 일정한 장력을 인가하므로서 광파이버(12)를 유지한다. 또한, 광파이버(12)의 이동속도의 변동은, 그리핑수단(62)이 안내레일을 따라서 광파이버(12)를 이송하는 동안에, 공급댄서(18)의 요동운동에 의하여 흡수할 수 있다. 따라서, 일정한 장력을 광파이버(12)에 인가하여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제6도에 있어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이하 설명한다. 권취롤(11)과 캡스턴휘일(13) 사이에, 광파이버(12)에 잉크를 도포하는 다이스(dice)(41)와, 광파이버(12)에 도포된 잉크를 경화시키는 자외선조사오븐(42)과, 광파이버(12)의 외경과 상이할 경우에 상이한 부분을 검출하는 모니터(43)와, 광파이버(12)상에 형성된 돌출부를 검출하는 검출장치(44)를 구비하고 있다. 절단기(45)는 캡스턴휘일(13)과 흡인노즐(31)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절단기(45)는 모니터(43)와 검출장치(44)로부터 출력된 신호에 의거하여 구동된다. 또한, 절단기(45)는 광파이버(12)의 불규칙한 부분의 존재와 인발하는 동안 형성된 기포혼입부분을 나타내는 정보에 의하여 구동된다.
상기 구성을 구비한 장치에 따르면, 공급롤(11)로부터 공급된 광파이버(12)에 다이스(4)로 도포된 잉크를 자외선조사오븐(42)으로 경화시킨다. 광파이버(12)가 결함을 가지고 있을 경우, 즉 광파이버가 상이한 직경을 가지는 부분이 있거나 불규칙한 부분을 가지고 있을 경우에는, 모니터(43) 또는 검출장치(44)는 상기 결함을 검출하여 그 결함을 나타내는 신호를 절단기(45)에 공급한다. 절단기(45)는, 저강도부분이 단선될 경우와 마찬가지로 광파이버에 결함이 있을때에 광파이버(12)의 결함부분을 절단하다. 다음에, 광파이버로부터 결함부분을 제거한 다음에 광파이버(12)를 자동으로 경로상에 설치한다. 결함부분의 데이터는 광파이버(12)를 인발하는 동안에 얻을 수 있고, 결함부분의 존재를 나타내는 신호를 절단기(45)에 전송한다. 절단기(45)는, 광파이버(12)에 결함부분이 있을때 작동한다. 그리고나서, 상기와 마찬가지로, 광파이버(12)는 경로상에서 자동으로 설치된다.
상기 구성의 장치에 따르면, 저강도부분 이외의 광파이버(12)의 결함부분도 모니터(43)와 검출장치(44)에 의하여 공급되는 정보에 따라서 자동으로 제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자동스크리닝장치에 따르면, 단선된 광파이버를 흡인하는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자동파이버설치수단은 캡스턴휘일의 작동이 정지하고 있는 동안에도 결함점에서 단선된 광파이버를 캡스턴휘일로 이송하여 권취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복수의 댄서롤은 지지롤이 경로로부터 멀어지도록 암의 축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파이버자동설치수단이 용이하게 작동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캡스턴벨트는 캡스턴휘일로부터 멀어짐으로써, 공급댄서의 요동운동에 의하여, 광파이버의 후속부를 설치하는 동안, 광파이버의 이동속도의 변동을 공급댄서가 흡수할 수 있다. 따라서, 광파이버를 그에 인가된 일정한 장력으로 이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자동스크리닝장치에 따르면, 광파이버의 결함부분을 검출하는 수단을 구비하므로서, 절단수단이 결함부분을 절단할 수 있다. 즉, 광파이버의 결함부분을 자동으로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결함부분을 수동으로 제거하거나 다음 공정에서 광파이버를 재권취하기 위하여 라인의 작동을 지연시킬 필요가 없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광파이버를 재권취하는데 부속품을 작게 사용하여도 작동을 충분히 할 수 있으므로, 저렴한 가격으로 충분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하여 제7도와 제8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관한 전선인발장치와 제1캡스턴부는, 인발된 광파이버(12)를 권취하는 제1캡스턴휘일(13)과, 제1캡스턴벨트(14)를 안내하고 제1캡스턴휘일(13)을 구동하는 기구에 의하여 구동되는 롤러(14a)~(14c)를 구비하고 있다. 광파이버(12)의 경로(LI)는 상기 부재의 배열에 따라서 적절히 결정된다.
본 실시예의 광파이버(12)를 흡인하는 장치에 따르면, 흡인노즐은 광파이버(12)의 경로와 동축으로 형성되지 않지만, 흡인노즐에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고속으로 주행하는 광파이버(12)를 확실하게 흡인할 수 있다.
제7도와 제8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제1캡스턴부에서, 흡인노즐(31-1)은 광파이버(12)의 주행방향의 하류측으로 경로(LI)를 따라서 배치된다. 흡인노즐(31-1)이, 흡인노즐의 중간부분에서 공기호스(31-b)와 접속되고 또한 흡인노즐의 베이스부에서 도시하지 않은 압축공기원과 파이버 찌꺼기 수용박스(31a)에 접속되어 있다. 노즐(31-1)의 전단에 배치된 흡입구(31c)는 경로(L1)에 수직이다.
흡인노즐(31-1)은 공지된 것이다. 공기호스(31-b)를 통하여 흡인노즐의 중간부분으로 도입된 압축공기를 원주방향으로 흡인노즐(31-1)내에서 순환시키고 광파이버 찌꺼기 수용박스(31a)를 향하여 급속하게 분사한다. 따라서, 압축공기의 흐름에 의하여 발생된 분사효과에 의해 흡입구(31c)에 단선된 광파이버(12)를 흡입하는 흡인력을 발생한다.
여러 위치에서 설치된 단선된 광파이버(12)의 흡인의 성공률을 조사하는 시험을 행하였다.
제7도는 흡인시험을 하는 각각의 노즐의 설치위치를 표시한다. 제8도는 상이한 속도로 주행하는 광파이버(12)의 경로를 표시한다.
우선, 흡인노즐의 최적의 설치위치를 발견하는 조사를 하였다. 제1실시예에 있어서, 제8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흡인노즐을 상기 실시예에서 서술한 바와 같은 경로(L1)를 따라서 설치한다. 비교예 1에서는, 흡인노즐을 종래예에서 배치한 것과 마찬가지로 경로(L0)와 동축으로 배치한다. 비교예 2에서는, 흡인노즐을 경로(L0)밑에 배치한다. 단선된 광파이버(12)의 흡인의 성공률을 조사한 시험을 다음 조건하에서 행하였다. 흡인노즐의 직경은 22mm이었고, 5kg/cm2의 압축압력을 가지는 공기를 공기호스로부터 공급한다.
시험결과는, 경로측으로부터 인가된 흡인력의 성공률이 아래와 같은 경로의 하부로부터 인가된 흡인력보다 높다는 이유를 나타내고 있다. 즉, 광파이버는 석영유리가 주성분으로 되어 있으므로, 통상의 파이버보다 견고하다. 따라서, 단선이 될 때에, 광파이버는 수직으로 걸어놓지 않고, 제7도에 표시된 바와 같은 위치로 놓는다. 광파이버는, 광파이버의 속도가 높아짐에 따라서 대략적으로 수평레벨로 되므로, 흡인노즐의 흡입구가 경로밑에 바로 위치할 경우에, 광파이버가 단선될때에 광파이버는 흡인노즐로부터 떨어지게 된다. 광파이버의 주행속도가 빠를수록, 광파이버와 흡인노즐 사이이 거리는 멀어지므로, 흡인노즐이 단선된 광파이버를 흡인하기가 어렵다. 한편, 흡인노즐이 경로를 따라서 있을때에, 흡인노즐의 흡입구와 경로 사이의 거리는, 광파이버의 이동경로가 변경되어도 흡인노즐의 흡입구의 직경 이상으로 변경되지 않는다. 따라서, 광파이버가 고속으로 주행하여도, 흡인노즐은 단선된 광파이버를 용이하게 흡인할 수 있다.
광파이버의 속도에 따라서 변경되는 경로의 이동범위내의 위치에 흡인노즐을 배치하므로서 흡인노즐이 경로로부터 벗어나 있어도 단선된 광파이버를 흡인노즐에 의하여 확실하게 흡인할 수 있다. 이론적으로, 흡인노즐의 흡입구의 직경이 크면 클수록 흡인노즐에 의하여 더 넓은 범위에서 확실하게 흡인할 수 있다.
흡인노즐의 흡입구의 직경과 흡인의 성공률 사이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흡인노즐의 흡입구의 직경을 8,22,50,75mm 로 하였다. 광파이버는 20~800m/min 의 속도로 이동하였고, 흡인노즐이 경로를 따라 배치된 상태에서 강제로 단선되었다. 흡인노즐은 종래의 것이었고, 공기압력은 5kg/cm 이었다. 결과는 표 2에 표시되어있다.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흡인노즐의 흡입구의 직경이 22mm~50mm의 범위내에 있을때에 흡인노즐은 광파이버를 가장 확실하게 흡인한다. 흡인노즐의 흡입구의 직경이 클때에 성공률이 감소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시험에 따르면 공기압력은 흡입구의 직경에 관계없이 5kg/cm 으로 일정하다. 흡입구가 큰 직경을 가지는 흡인노즐의 권취속도는 상대적으로 늦게 된다. 광파이버를 흡인하는 공기량은 고속으로 이동할 때 불충분하다. 따라서 성공률은 낮게 된다. 공기압력을 증가시키므로서 큰 직경의 흡입구를 가지는 흡인노즐의 의해서도 광파이버를 흡인할 수 있다고 추정된다. 그러나, 큰 직경을 가지는 흡입구는 장비의 가격을 증가시킨다. 표2에 도시된 바와 같이, 10mm 이하의 흡입구는 광파이버를 흡인하는데 비능률적이다. 흡인노즐의 흡입구의 직경은 적어도 10mm 이거나 그 이상인 20mm 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흡인노즐의 흡입구와 경로간의 거리와 성공률 사이의 관계를 시험하였다. 표 1의 비교예 1과 마찬가지로, 흡인노즐을 경로를 따라서 배치하였고, 광파이버를 20~800m/min 의 속도로 주행시켰고 광파이버를 강제로 단선시켰다. 다만, 흡인노즐의 흡입구와 경로간의 거리를 5mm~50mm로 변경하였다.
결과는 표3에 나타나 있다.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흡인노즐의 흡입구와 경로 사이의 거리가 10mm 보다 작을 경우에는 광파이버의 속도가 800m/min이 되어도 단선된 광파이버를 흡인노즐에 의하여 흡인할 수 있다. 흡인노즐의 흡입구와 경로 사이의 거리가 짧을수록 성공률은 높다. 그러나, 거리가 상당히 짧으면, 흡인노즐은 이동되는 광파이버에 접촉될 가능성이 있다. 그 결과, 광파이버가 손상되므로, 흡인노즐의 흡입구와 경로 사이의 거리를 5~10mm의 범위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의 흡인장치에 따르면, 흡인노즐의 흡입구는, 광파이버의 주행속도에 따라서 변경되는 경로의 이동가능범위내에서 배치된다. 따라서, 단선된 광파이버는, 광파이버의 주행속도가 변경되어도 흡인장치에 의하여 확실하게 흡인할 수 있다.
흡인노즐은 경로를 따라서 배치되고, 흡인노즐의 흡입구는 경로에 수직이다. 따라서, 광파이버의 단부를 단시간내에 흡인노즐에 의하여 경로에 쉽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파이버 찌꺼기 수용박스를 흡인노즐상에 설치할 수 있으므로 파이버를 용이하게 수집하여 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흡인장치는 인발기계, 권취기계 또는 재권취기계에 유효하게 적용할 수 있다.
제9도와 제10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연속권취장치를 표시한다. 제11도는 광파이버를 권취하는 순서를 표시한다. 제12도는 광파이버의 단말을 처리하는 작동을 표시한다.
제9도와 제10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권취롤(17)은, 광파이버(12)를 권취하는 원통형 권취부(51)와, 권취부(51)의 양측에 일체적으로 고정된 플랜지(52),(53)을 구비하고 있다. 권취부(51)의 축(54)은 도시되지 않은 펄스모우터에 접속되어 있다. 권취롤(17)의 축(54)에 수직인 축을 가지는 안내롤러(55)는 권취롤(17)의 상부에 위치한다. 안내롤러(55)는 권취롤(17)의 축방향으로 도시되지 않은 장치에 의하여 이동된다.
볼나사축(56)이 권취롤(17)을 따라서 수직으로 배치되어 있고 프레임(57)에 의해서 회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도시되지 않은 구동모우터의 축이 볼나사축(56)의 한쪽에 단부에 접속된다. 가동부재(58)는 볼나사축(56)에 나사끼워 맞춤되어 있고, 볼나사축(56)의 회전에 의하여 수직으로 이동된다.
제9도에 있어서, 권취롤(17)을 향해서 이동가능한 피스톤로드를 가지는 피스톤실린더(59)는 가동부재(58)상에 설치된다. 광파이버(12)를 잡는 그리핑부(60)와 광파이버를 절단하는 절단기(61)는 피스톤로드의 선단부상에 설치된다. 광파이버(12)의 소정량이 권취롤(17)에 권취된 후에, 피스톤실린더(59)을 작동시킨다. 그 결과, 광파이버(12)는 그리핑부(60)에 의해서 잡히고 절단기(61)에 의해서 절단된다.
테이프점착장치(62)는 볼나사축(56)을 따라서 배치된다. 테이프점착장치(62)는, 복수의 테이프(64)가 점착된 밴드형 페이퍼(65)를 권취하는 롤러(66)와, 상기 페이퍼(65)를 권취하는 구동롤러(67)와, 테이프(64)를 흡인해서 권취롤(17)의 플랜지(52)이 단면에 접착하는 피스톤실린더(68)로 구성되어 있다.
권취부(51)에 권취된 광파이버(12)의 단말을 인출하는 슬리트(70),(71)가 권취롤(17)의 플랜지(52)상에 형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슬리트(70),(71)는 권취롤(17)의 플랜지(52)의 주변부에 형성되고 서로 180°로 떨어져 있다. 슬리트(71)는 슬리트(70)보다 깊다. 광파이버(12)의 선행단말은 슬리트(71)에 삽입되고, 그 후행단말은 슬리트(70)에 삽입된다. 슬리트(70)의 위치를 검출하는 수단인 광전센서(69)는 권취롤(17)을 따라서 설치되어 있고, 권취롤(17)을 구동하는 펄스모우터에 접속되어 있다.
충분한 양의 광파이버를 권취하는 권취롤(17)로 대체하기 위하여, 광전센서(69)는 슬리트(71)를 검출하여 제12도(b)에 도시한 바와 같은 검출결과를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한다. 그 결과, 펄스모우터는 늦은 속도로 권취롤(17)을 구동한다. 제12도(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내롤러(55)가 실선으로 도시된 권취부(51)의 상부위치로부터 1점쇄선으로 도시된 위치까지 이동할때에, 플랜지(52)의 주변부의 슬라이드접촉하는 광파이버는, 광파이버(12)가 제12도의 1점쇄선으로 도시된 소정의 위치에 있을때에, 슬리트(71)에 의해 걸린다. 그 결과, 광파이버(12)는 슬리트(71)에 삽입된 다음에 광파이버(12)는 슬리트(71)를 통하여 권취롤(17)로부터 인출된다.
다음에, 제11도(a)에 표시된 바와 같이, 테이프점착장치(62)의 피스톤실린더(68)를 작동시키고, 테이프(64)를 흡인한다. 다음에, 제12도(b)에 표시한 바와 같이, 테이프(64)를 권취롤(17)의 플랜지(52)의 외부표면의 소정위치에 점착하고, 광파이버(12)의 후행단말을 플랜지(52)의 표면의 소정위치에서 고정시킨다. 다음에, 그리핑부(60)가 광파이버(12)를 잡은 다음, 절단기(61)가, 제11도(b)에 표시한 바와 같이, 광파이버의 그리핑부를 절단하도록 피스톤실린더(59)를 작동시킨다. 다음에, 권취롤(17)을 도시되지 않은 대체장치에 의하여 광파이버(12)가 권취되어 있지 않은 권취롤(17)로 대체한다. 권취롤(17)의 플랜지(52)는, 권취롤(17)의 직경을 40cm로 가정하여, 광파이버(12)의 후행단말로부터 20cm 떨어진 위치에서 테이프(64)에 의해서 광파이버(12)를 공정시킨다. 따라서, 광파이버(12)는 권취롤(17)의 주행에 장애가 되지 않는다.
광파이버(12)의 소정량을 권취할 수 있는 권취롤로 대체한 권취롤(17)에 광파이버(12)를 권취한다. 제11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안내롤러(55)상에 있는 절단된 광파이버의 후행단말을 그리핑부(60)에 의하여 잡는다. 다음에, 볼나사축(56)은, 가동부재(58)가 아래로 이동하도록 회전된다. 그 결과, 제11도(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리핑부(60)에 의해서 잡힌 광파이버의 후행단말을 아래로 당긴다. 다음에, 상기와 마찬가지로, 테이프점착장치(62)의 피스톤실린더(68)를, 권취롤(17)의 플랜지(52)의 외부표면이 소정의 위치에 테이프(64)를 점착하도록, 작동시킨 다음에, 광파이버(12)의 후행단말을 플랜지(52)의 소정위치에 고정시킨다.
광파이버(12)는 그리핑부(60)으로부터 해제되고, 볼나사축(56)은,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회전된다. 광전센서(69)은 슬리트(71)를 검출하여 검출된 결과를 나타내는 신호를 펄스모우터에 출력한다. 상기 신호에 응답해서 펄스모우터는 제12도(b)에 표시한 바와 같이 저속도로 권취롤(17)을 구동시킨다. 안내롤러(55)가 제12도(a)의 2점쇄선으로 도시된 위치로부터 제12도(a)의 실선으로 도시된 권취부(51)의 상부위치까지 이동할때에, 플랜지(52)의 원주와 슬라이드접촉하는 광파이버(12)는, 슬리트(70)가 제12도(a)의 2점쇄선으로 도시된 소정의 위치에 있을때에, 슬리트에 의하여 잡힌다. 다음에 광파이버(12)를 슬리트(70)의 안쪽으로 삽입하므로서, 광파이버(12)는 슬리트(70)를 통하여 권취롤(1)의 내부로 도입된다. 다음에, 제11도(d)에 표시된 바와 같이, 권취롤(17)을 회전시켜서 광파이버(12)를 권취한다.
광파이버(12)는 상기 공정을 반복하여 권취롤(17)에 연속하여 권취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광파이버(12)의 선행단말과 후행단말을 플랜지(52)로부터 바깥쪽으로 나오게 하여 플랜지(52)의 소정위치에서 테이프(64)로 점착한다. 따라서, 광파이버(12)의 단말을 권취롤(17)에 의하여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광파이버(12)의 단말은, 권취롤(17)의 다른쪽에 있는 플랜지(53)를 사용하지 않고, 플랜지(52)에 의하여 유지된다. 그러므로, 하나의 테이프점착장치만이 사용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연속권취장치에 따르면, 안내롤러에 의하여 지지된 광파이버를 회전가능한 권취롤에 권취하고, 절단기에 의하여 절단한다. 다음에, 광파이버의 단말을 테이프점착장치에 의하여 권취롤에 유지시킨다. 따라서, 광파이버의 단말을 광파이버가 느슨해지지 않도록 권취롤에 의하여 확실하게 유지한다.
또한, 권취롤이 플랜지상에 슬리트를 형성하고 슬리트의 한쪽의 위치를 검출하는 수단을 형성한다. 권취롤이 소정의 회전위치에 있을때에, 광파이버를, 테이프에 의하여 플랜지의 외부표면상에 광파이버의 단말을 유지하도록 슬리트의 안쪽으로 삽입한다. 즉, 광파이버의 단말을 단순한 구성으로 된 장치에 의하여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다.
제13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럼에 광파이버를 권취한 권취롤의 일예를 표시한 사시도이다.
제13도에 있어서, 권취롤은 플랜지(52),(53)와, 드럼(51)과, 플랜지(52)상에 형성된 2개의 슬리트(70),(71)로 구성된다. 슬리트(71)의 길이는 플랜지(52)의 반경에서 드럼(51)의 반경을 감한 거리와 동일하다. 슬리트(70)의 하단부는, 제13도의 1점쇄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드럼에 광파이버(12)를 최대로(원주(B)) 권취하므로서 얻어지는 원통형 표면에 도달하지 않는다.
광파이버(12)의 선행단말(12a)은 플랜지(52)의 외부표면에서 고정된 다음에 슬리트(71)를 통하여 삽입된다. 따라서, 광파이버(12)는 드럼(51)에 권취된다. 권취된 광파이버(12)의 후행단말(12b)은 슬리트(70)를 통하여 삽입되고, 또한 플랜지(52)의 외부표면상에 고정된다. 즉, 광파이버(12)의 선행단말과 후행단말은 동일평면상에 고정된다. 일본국 특개소 64-38379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광파이버(12)에 대한 슬리트(71),(70)의 접근을 센서에 의하여 검출한 다음에 안내바에 의하여(71),(70)를 통하여 드럼(51)에 광파이버(12)를 가압한다.
제15도(a)~제15(c) 또는 제15도(a)~제15도(d)에 표시한 바와 같이, 슬리트(70)의 하단부는, 드럼에 광파이버(12)를 최대로 권취하여 형성된 실린더 표면에 도달하지 않는다. 따라서, 광파이버(12)가 소량으로(제15도(c))으로 드럼(51)에 권취되거나, 다량으로 (제15(d)) 권취되는 것에 무관하게, 광파이버(12)는 플랜지(52)의 동일위치에서 슬리트(70)를 통하여 삽입된다. 따라서, 스타트시에 테이프점착위치를 결정하므로, 후에 슬리트(70)의 위치를 조정할 필요가 없다. 즉, 광파이버의 단말을, 권취장치의 측면에 테이프점착장치를 위치시킬때만 권취롤(17)상에 용이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슬리트(70)의 위치를, 테이프점착핸드(64)의 공급길이와 안내롤러(55)의 위치를 조정하므로서, 용이하게 결정할 수 있다.
광파이버(12)의 선행단말이 고정되는 위치와 광파이버의 후행단말이 고정되는 위치가 서로 근접할 경우에는 서로 중복될 가능성이 있다. 슬리트(70)와 플랜지(52)의 중심을 서로 연결하는 선과, 슬리트(71)와 플랜지(52)의 중심을 서로 연결하는 선은 90° 이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고 180°를 이루는 것은 더욱 바람직하다. 이 방식에 있어서, 광파이버(12)의 선행단말 및 후행단말은 서로 간섭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플랜지(52)의 외부표면은, 테이프를 용이하게 점착할 수 있도록, 평활하여야 한다.
제14도는 본 발명이 실시예에 따른 권취롤의 드럼에 광파이버(12)를 권취한 상태를 표시한 사시도이다.
종래 권취롤에 있어서, 광파이버(12)의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서 권취롤의 드럼상에 광파이버의 선행부분을 수m~수십m 권취하는 부분을 형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제14도는 리드권취부를 가지는 권취롤을 표시한다.
두개의 슬리트(70),(71)를, 제13도와 제14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광파이버(12)를 권취하는 부분(20)과 리드(선행단말)을 권취하는 부분(19)으로 드럼을 분할한 중앙플랜지(52)상에 형성한다. 광파이버(12)의 단부는 중앙플랜지(52)의 외부표면에 고정된다. 테이프점착장치의 핸드가 상기 부분(19)의 플랜지(75)와 접촉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플랜지(75)의 직경을 중앙플랜지(52)의 직경보다 적게 하고, 리드권취부(19)에 권취된 광파이버(12)가 드럼으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충분히 높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테이프점착핸드(64)는 권취롤에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고, 또한 최적의 테이프점착위치를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인발장비, 도색장비, 재권취장비등의 광파이버 제조장비란 광파이버를 권취롤에 권취하는 공정을 구비한 모든 공정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관하 권취롤은 ABS수지, 폴리프로필렌수지 또는 다른 엔지니어링 플라스틱등의 재료를 사용하여 사출성형에 의하여 제조된다. 그렇지 않으면, 플랜지와 드럼을 따로따로 제조해서 후에 결합해도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권취롤에 따르면, 광파이버의 선행단말과 후행단말은 동일평면상에서 고정되고, 광파이버의 후행단말은 권취롤의 드럼에 권취된 광파이버의 길이에 관계없이 동일위치에서 고정된다.
본 발명을 도면을 참조하여서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충실하게 기재하였지만,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수정과 변형이 자명하게 되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상기 수정과 변형이 첨부된 청구범위에 정의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범위를 벗어나지 않을 경우에는 본 발명의 기술범위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19)

  1. 광파이버에 장력을 인가하여 광파이버의 저강도부분을 파단하여 제거하는 스크리닝롤(15)을, 주행하는 광파이버를 권취하는 캡스턴휘일(13)광 상기 캡스턴휘일로부터 공급되는 광파이버를 권취하는 권취롤(17)사이에 배치하고, 제1흡인장치(31-1)와 제2흡인장치(31-2)를 상기 캡스턴휘일의 하류측과 상기 권취롤의 상류측에 각각 설치하는 광파이버의 스크리닝방법에 있어서, 광파이버가 단선되었을때에 광파이버의 주행을 정지시키는 단계와, 상기 제1흡인장치는 상기 캡스턴휘일의 하류측에 배치된 광파이버의 한쪽의 단말을 잡고, 또한 상기 제2흡인장치는 상기 권취롤의 상류측에 설치된 광파이버의 다른쪽의 단말을 잡도록 상기 제1, 제2흡인장치를 작동시키는 단계와, 상기 제2흡인장치가 상기 권취롤에 권취된 광파이버의 상기 다른쪽의 단말을 처리하도록 상기 제2흡인장치를 계속하여 작동시키는 단계와, 광파이버의 상기 한쪽의 단말을 상기 제1흡인장치로부터 해제하여 광파이버의 경로에 설치하고, 또한 상기 광파이버의 상기 한쪽의 단말을 상기 권취롤상에 설치하도록 상기 제1흡인장치를 정지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파이버의 스크리닝방법.
  2. 광파이버를 권취하는 캡스턴휘일(13)과, 상기 캡스턴휘일로부터 공급되는 광파이버를 권취하는 권취롤(17)과, 상기 캡스턴휘일과 상기 권취롤 사이에 장력을 인가하여 광파이버의 저강도부를 단선시켜서 제거하는 스크리닝롤(15)과, 상기 스크리닝롤과 상기 권취롤 사이에 배치되고, 암(20)의 요동운동에 기인하여 광파이버의 공급속도의 변동과 광파이버에 인가된 장력의 변동을 흡수하는 복스의 댄서롤(21,22,23)을 가지는 광파이버의 자동스크리닝장치에 있어서, 광파이버의 주행방향으로 상기 캡스턴휘일의 하류측에 설치되고, 광파이버가 단선될때에 광파이버를 흡인하는 흡인장치(31-1)와, 광파이버가 단선될때에 상기 캡스턴휘일이 작동을 정지시키는 정지수단과, 상기 캡스턴휘일의 작동이 광파이버의 단선의 결과로 인하여 정지할때에 상기 권취롤상에 광파이버의 후속부를 이송하는 자동이송/설치수단(35)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파이버의 자동스크리닝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댄서롤을 상기 암(20)의 축방향으로 설치하고, 광파이버에 장력을 인가하는 지지롤(24,25,26,27,28)을 상기 스크리닝롤과 상기 댄서롤중 어느 한개의 댄서롤 사이에 그리고 서로 인접한 상기 댄서롤 사이에 설치하고, 상기 지지롤의 적어도 일부를 광파이버의 경로와 그 퇴피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파이버의 자동스크리닝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광파이버의 결함부를 검출하는 검출수단(43,44)과, 광파이버의 주행방향으로 상기 캡스턴휘일의 하류측에 설치되고, 광파이버의 결함부가 통과할때에 상기 검출수단에 의하여 공급되는 정보를 근거로 하여 광파이버의 결함부에서 광파이버를 절단하는 절단수단(45)을 더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파이버의 자동스크리닝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이송/설치수단은 광파이버의 후속부를 잡는 그리핑수단(71)을 구비하고, 상기 그리핑수단은 광파이버를 잡는 개폐형 핸드(72)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파이버의 자동스크리닝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이송/설치수단은 광파이버의 후속부를 잡는 그리핑수단(51)을 구비하고, 상기 그리핑수단은 광파이버를 흡인하여 유지하는 흡인/유지장치(52)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파이버의 자동스크리닝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이송/설치수단은 광파이버의 후속부를 잡는 그리핑수단(62)을 구비하고, 상기 그리핑수단은 광파이버에 장력을 인가하여 광파이버를 유지하는 한쌍의 회전가능한 롤(64)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파이버의 자동스크리닝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회전가능한 캡스턴벨트(14)는, 상기 캡스턴벨트가 상기 캡스턴휘일에 접촉되어 있을때에는 상기 캡스턴휘일을 구동시키고, 상기 캡스턴벨트가 퇴피위치에 있을때에는 상기 캡스턴휘일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수단으로 사용되도록 설치되어 있고, 공급댄서(18)는, 상기 자동이송/설치수단이 광파이버의 단선의 결과로서 광파이버를 이송할때에, 요동가능한 상기 공급댄서가 광파이버의 속도변동을 흡수하도록 상기 캡스턴휘일이 상류측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파이버의 자동스크리닝장치.
  9. 광파이버를 권취하는 캡스턴휘일(13)과, 이 캡스턴휘일로부터 공급되는 광파이버를 권취하는 권취롤(17)과, 적어도 상기 캡스턴휘일과 상기 권취롤 사이에서 광파이버에 장력을 인가하여 광파이버의 저강도부를 단선하여 제거하는 스크리닝롤(15)을 가지는 광파이버의 자동스크리닝장치에 있어서, 상기 캡스턴휘일의 하류측과 상기 권취롤의 상류측에 각각 설치되고, 광파이버가 단선되었을때에 광파이버의 단말을 흡인하는 흡인장치(31-1),(31-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파이버의 자동스크리닝장치.
  10. 광파이버를 권취하는 캡스턴휘일(13)과, 상기 캡스턴휘일로부터 공급되는 광파이버를 권취하는 권취롤(17)과, 상기 캡스턴휘일과 상기 권취롤 사이에서 광파이버에 장력을 인가하여 광파이버이 저강도부를 단선하여 제거하는 스크리닝롤(15)과, 상기 스크리닝롤과 상기 권취롤 사이에 배치되고, 암의 요동운동에 의하여 광파이버의 공급속도의 변동과 광파이버에 인가된 장력의 변동을 흡수하는 댄서롤(21,22,23)과, 광파이버의 주행방향으로 상기 캡스턴휘일의 하류측에 설치되고, 광파이버가 단선되었을때에 광파이버를 흡인하는 제1흡인장치(31-1)와, 광파이버가 단선되었을때에 상기 캡스턴휘일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정지수단(14)과, 상기 캡스턴휘일의 작동이 광파이버의 단선의 결과로 인하여 정지할때에 광파이버의 후속부를 상기 권취롤에 이송하는 자동이송/설치수단(35)을 가지는 광파이버의 자동스크리닝장치에 있어서, 상기 댄서롤과 상기 권취롤 사이에 배치되고, 광파이버가 단선되었을때에 광파이버를 흡인하는 제2흡인장치(31-2)와, 광파이버의 선행단말과 후행단말을 상기 권취롤의 소정의 위치에 고정시키는 테이프점착장치(62)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파이버의 자동스크리닝장치.
  11. 주행하는 광파이버를 권취하는 캡스턴휘일의 하류측에 설치된 흡인노즐(31-1)을 가지는 광파이버의 흡인장치에 있어서, 상기 흡인노즐의 흡입구(31-c)가 광파이버의 주행속도에 따라서 변경되는 광파이버의 경로의 이동가능범위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파이버 흡인장치.
  12. 주행하는 광파이버를 권취하는 캡스턴휘일의 하류측에 설치된 흡인노즐(31-1)을 가지는 광파이버의 흡인장치에 있어서, 상기 흡인노즐이 광파이버의 경로에 따라서 설치되고 ; 상기 흡인노즐의 흡입구가 상기 경로에 수직되도록 위치한 것을 광파이버 흡인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흡인노즐의 흡입구의 내부직경이 10mm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파이버 흡인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흡인노즐의 흡입구와 광파이버의 상기 경로 사이의 거리가 10m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파이버 흡인장치.
  15.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광파이버를 권취하는 권취롤(17)과, 상기 권취롤의 근방에 위치하고, 상기 권취롤의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지지되는 안내롤러(55)와 광파이버를 절단하는 절단기(61)와 상기 권취롤상에서 절단된 광파이버의 단말을 상기 권취롤의 플랜지의 외부표면상에 유지시키는 테이프점착장치(62)를 구비한 광파이버 연속권취장치에 있어서, 슬리트(70,71)가 상기 권취롤의 플랜지(52)상에 형성되고 ; 상기 슬리트의 위치를 검출하는 검출수단(69)이, 상기 권취롤의 소정의 회전위치에서 상기 슬리트를 통하여 광파이버를 삽입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 광파이버의 상기 단말을 테이프에 의하여 상기 플랜지의 외부표면상에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파이버 연속권치장치.
  16. 드럼(51)에 광파이버를 권취하는 권취롤에 있어서, 상기 권취롤의 플랜지상에 두 개의 슬리트(70,71)가 형성되고, 상기 두개의 슬리트중에서 한쪽의 슬리트(71)의 길이는 상기 플랜지의 반경에서 상기 권취롤의 드럼의 반경을 감하여 얻은 거리와 동일하고, 다른쪽의 슬리트(70)의 하단이, 광파이버를 상기 드럼의 최대로 권취하였을때에 형성되는 원통형 표면에 도달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파이버 권취용 권취롤.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한쪽의 슬리트와 상기 플랜지의 중심을 서로 연결하는 선과 상기 다른쪽의 슬리트와 상기 플랜지의 중심을 서로 연결하는 선이 90°이상을 이루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파이버 권취용 권취롤.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의 외부표면이 평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파이버 권취용 권취롤.
  19. 제16항에 있어서, 두개의 슬리트가, 광파이버의 선행단말을 권취하는 리드권취부분(19)과 광파이버를 권치하는 부분으로 상기 드럼을 분할하는 플랜지(52)상에 형성되고, 상기 리드권취부분의 외부단말에 형성된 플랜지(75)의 직경이, 상기 리드권치부분과 광파이버를 권취하는 부분으로 상기 드럼을 분할하는 상기 플랜지(52)의 직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파이버 권치용 권치롤.
KR1019920008419A 1991-05-20 1992-05-19 광파이버의 자동스크리닝장치와 그 방법 KR9700001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91035423U JP2584134Y2 (ja) 1991-05-20 1991-05-20 線材の連続巻取装置
JP91-35423 1991-05-20
JP12103991 1991-05-27
JP91-121039 1991-05-27
JP15991191A JP2985378B2 (ja) 1991-06-05 1991-06-05 線状体の吸引装置
JP91-159911 1991-06-05
JP91-63435 1991-07-15
JP6343591U JP2550934Y2 (ja) 1991-07-15 1991-07-15 光ファイバ用ボビン
JP607492A JP2760194B2 (ja) 1992-01-17 1992-01-17 線状体のスクリーニング方法及び装置
JP92-104339 1992-04-23
JP4104339A JP2800548B2 (ja) 1991-05-27 1992-04-23 光ファイバの自動スクリーニング装置
JP92-6074 1992-07-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22012A KR920022012A (ko) 1992-12-19
KR970000134B1 true KR970000134B1 (ko) 1997-01-04

Family

ID=275479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08419A KR970000134B1 (ko) 1991-05-20 1992-05-19 광파이버의 자동스크리닝장치와 그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3) US5322228A (ko)
EP (1) EP0514858B1 (ko)
KR (1) KR970000134B1 (ko)
AU (3) AU651687B2 (ko)
DE (1) DE69221535T2 (ko)
ES (1) ES2106106T3 (ko)
FI (1) FI10383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04541B2 (en) 2018-05-08 2021-08-31 Rosendahl Nextrom Gmbh Equipment for attaching an optical fiber to a reel
US11124381B2 (en) 2018-05-08 2021-09-21 Rosendahl Nextrom Gmbh Single-reel winding device and a method for replacing a full reel in a single-reel winding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231096A1 (en) * 1997-03-25 1998-09-25 Duane E. Hoke Optical fiber dual spindle winder with automatic threading and winding
JP2001527651A (ja) 1997-05-22 2001-12-25 コーニング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光ファイバの表面傷を検出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EP1021367A4 (en) * 1997-08-22 2000-12-06 Corning Inc METHOD AND DEVICE FOR WINDING FIBERS ON A SPOOL
EP1140684B1 (en) * 1998-12-30 2004-10-20 Corning Incorporated Optical fiber spool providing access to the inner end of the wound optical fiber
US6533216B1 (en) 1998-12-30 2003-03-18 Corning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s for providing under-wrap access to optical fiber wound onto spools
DE29907445U1 (de) * 1999-04-19 1999-08-05 Igus Gmbh Transportvorrichtung
CN1390299A (zh) * 1999-11-17 2003-01-08 康宁股份有限公司 光纤的自动测试和测量的方法和设备
US7053995B1 (en) 1999-11-17 2006-05-30 Corning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automation of the testing and measurement of optical fiber
US6340126B1 (en) * 1999-11-30 2002-01-22 Corning Cable Systems Llc Devices and methods for unwinding elongate materials
DK1242802T3 (da) * 1999-12-28 2012-07-23 Corning Inc Fremgangsmåde og apparat til trækprøvning og genindføring af optisk fiber under fibertrækning
ES2224981T3 (es) * 2000-09-06 2005-03-16 Nan Ya Plastics Corporation Bobina con una ranura cortada en forma de v que se estrecha gradualmente, con una superficie rugosa que comprende escamas invertidas.
FI20002333A0 (fi) * 2000-10-24 2000-10-24 Nextrom Holding Sa Rasitustestimenetelmä ja laitteisto optisille kuiduille
WO2003062114A1 (en) * 2002-01-18 2003-07-31 Berkeley Process Control, Inc. High speed transfer takeup
US6666398B2 (en) 2002-01-31 2003-12-23 Corning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 for winding optical fiber onto reels
JP3765283B2 (ja) * 2002-04-01 2006-04-12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光ファイバ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US20060147163A1 (en) * 2003-03-07 2006-07-06 Mayhew Andrew J Optical fiber cable and blowing installation technique
ATE430327T1 (de) * 2004-05-24 2009-05-15 Prysmian Spa Prozess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eines optischen kabels
US20070237485A1 (en) * 2006-03-23 2007-10-11 Han Ho Seop Optical Fiber Rewinding Apparatus
US8091820B2 (en) * 2009-10-23 2012-01-10 Thorn John P Cable coiling apparatus
US20110215182A1 (en) * 2010-03-04 2011-09-08 Kiswel,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Continuous Winding of Spools and Products Made Therefrom
CN102944922B (zh) * 2012-11-23 2014-02-26 深圳市特发信息光网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光缆放线车
JP5799041B2 (ja) * 2013-03-07 2015-10-21 株式会社フジクラ 光ファイバのスクリーニング試験方法および装置
BE1022094B1 (nl) 2014-01-16 2016-02-15 Hubert Luc Suzanne Frans JANSSEN Spoel
US9574969B2 (en) 2014-05-09 2017-02-21 Corning Incorporated Apparatuses for screen testing an optical fiber and methods for using the same
PL3256411T3 (pl) * 2015-02-13 2019-11-29 Draka Comteq Bv Sposób sterowania ruchem obrotowym szpuli nawijającej maszyny do prób obciążeniowych dla światłowodów, odpowiadający system, produkt w postaci programu komputerowego i trwały odczytywany komputerowo nośnik
FR3035652B1 (fr) 2015-04-29 2017-05-12 Conductix Wampfler France Machine de production d'une fibre optique et procede de mise en place de la fibre optique dans une telle machine
US20160356669A1 (en) * 2015-06-08 2016-12-08 Corning Incorporated Integrated capstan and apparatus for screen testing an optical fiber
WO2017159848A1 (ja) 2016-03-18 2017-09-21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光ファイバのスクリーニング装置及び光ファイバのスクリーニング方法
CN106092522B (zh) * 2016-08-18 2019-03-01 江苏亨通光电股份有限公司 一种光纤宏弯损耗检测装置及其检测方法
CN106769288B (zh) * 2016-12-01 2020-09-01 核工业第八研究所 一种纤维拉伸试样的制样装置及其应用
US10969556B1 (en) * 2017-04-24 2021-04-06 NET Recycling,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ing optic fiber from multiple spools
US10968070B2 (en) 2017-12-27 2021-04-06 Corning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 for tensioning and threading optical fiber
PL3841047T3 (pl) 2018-08-21 2024-03-04 Corning Research & Development Corporation Urządzenie i sposób nawijania odcinka końcowego kabla światłowodowego na szpulę
CN110967796B (zh) * 2019-12-27 2020-12-11 宁波格亿达光缆科技有限公司 一种光缆线结构及其破损的检测设备
CN111170067B (zh) * 2020-02-14 2022-04-19 长沙波特尼电气系统有限公司 一种裁线机送线装置
CN113375904B (zh) * 2021-05-25 2022-09-16 杭州富通通信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光纤质检筛选设备、系统及质检筛选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881383A (en) * 1929-09-04 1932-10-04 Harris Bros Silk Company Wound package
US1906495A (en) * 1930-10-04 1933-05-02 A H Rice Company Spool for thread
US2432270A (en) * 1945-12-06 1947-12-09 Callaway Mills Loom beam
US2501515A (en) * 1947-04-29 1950-03-21 Roy M Hood Yarn fastening means for spools
US2898054A (en) * 1954-12-30 1959-08-04 Lof Glass Fibers Co Method of forming tail-tie
US2904283A (en) * 1956-09-21 1959-09-15 Burlington Industries Inc Bobbin
US3023494A (en) * 1957-09-04 1962-03-06 Deering Milliken Res Corp Method of forming and rejuvenating bobbins
DE1267155B (de) * 1961-06-19 1968-04-25 Reiners Walter Dr Ing Vorrichtung zum Vermeiden von Doppelfaeden im Knoter einer automatischen Spulmaschine
BE627039A (ko) * 1962-01-13
US3420459A (en) * 1967-07-03 1969-01-07 Anaconda Wire & Cable Co Wire take-up
GB1302874A (ko) * 1969-11-03 1973-01-10
CS151708B1 (ko) * 1970-02-26 1973-11-19
US3743210A (en) * 1971-01-11 1973-07-03 Akron Spool And Mfg Co Spool
BE789214A (fr) * 1971-09-27 1973-03-26 Textron Inc Bobine, en particulier pour fils textiles
US3852141A (en) * 1972-12-11 1974-12-03 Ppg Industries Inc Strand clamping apparatus for automatic knock off system
FR2249191B1 (ko) * 1973-10-29 1977-11-10 Heberlein & Co Ag
US3986328A (en) * 1975-09-30 1976-10-19 Parks-Cramer (Great Britain),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neumatically removing fiber and trash waste on open-end spinning machines
GB1556767A (en) * 1976-10-29 1979-11-28 Standard Telephones Cables Ltd Cable bend testing
GB1555706A (en) * 1976-10-29 1979-11-14 Standard Telephones Cables Ltd Filament bend testing
US4387863A (en) * 1981-12-17 1983-06-14 Western Electric Company, Inc. Spool assembly
IT1195482B (it) * 1983-11-18 1988-10-19 Meccanica Di Precisione Spa Robot programmabile in grado di gestire l alimentazione e lo scarico rispettivamente delle bobine vuote e delle bobine piene in e da macchine adibite alla bobinatura di fili metallici e o d altro materiale a venti caratteristiche operative u guali o diverse ed allineate su un lato della guida lungo la quale scorre lo stesso robot di cui trat
JPS6291441A (ja) * 1985-10-16 1987-04-25 Sumitomo Electric Ind Ltd 光フアイバの線引き装置
JPS6438379A (en) * 1987-08-04 1989-02-08 Sumitomo Electric Industries Taking-up device for optical fiber
US5065928A (en) * 1987-11-25 1991-11-19 Bicc Plc. Method and apparatus for blowing an optical fibre member
JPH01167188A (ja) * 1987-12-23 1989-06-30 Sumitomo Electric Ind Ltd 線材の連続巻取装置
JPH0784302B2 (ja) * 1989-01-27 1995-09-13 村田機械株式会社 糸継装置
DE3911505C2 (de) * 1989-04-08 1999-10-14 Schlafhorst & Co W Verfahren und Spulstelle zum Herstellen einer fehlerfreien Kreuzspule
US4938432A (en) * 1989-04-12 1990-07-03 Cooper Industries, Inc. Cable spool with integral end storage flange
JPH07107212B2 (ja) * 1989-08-10 1995-11-15 東レ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紡績機械の糸継方法
JPH04146411A (ja) * 1990-10-09 1992-05-20 Sumitomo Electric Ind Ltd ファイバコリメータの製造方法
US5205851A (en) * 1990-10-12 1993-04-27 Sumitomo Electric Industries,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optical fiber coupler
US5076104A (en) * 1990-11-01 1991-12-31 Corning Incorporated Method for measuring actual load at failure of optical fiber
US5169479A (en) * 1991-04-18 1992-12-08 Crompton & Knowles Corporation Wire take-up apparatus with tape applicator for applying tape to terminal end portion of wir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04541B2 (en) 2018-05-08 2021-08-31 Rosendahl Nextrom Gmbh Equipment for attaching an optical fiber to a reel
US11124381B2 (en) 2018-05-08 2021-09-21 Rosendahl Nextrom Gmbh Single-reel winding device and a method for replacing a full reel in a single-reel wind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6342494A (en) 1994-08-04
FI103836B (fi) 1999-09-30
AU1631892A (en) 1992-11-26
AU669795B2 (en) 1996-06-20
FI922264A0 (fi) 1992-05-19
EP0514858A2 (en) 1992-11-25
ES2106106T3 (es) 1997-11-01
AU6342394A (en) 1994-08-04
FI103836B1 (fi) 1999-09-30
US5472128A (en) 1995-12-05
AU666618B2 (en) 1996-02-15
KR920022012A (ko) 1992-12-19
US5322228A (en) 1994-06-21
US5441215A (en) 1995-08-15
AU651687B2 (en) 1994-07-28
DE69221535D1 (de) 1997-09-18
DE69221535T2 (de) 1998-01-29
FI922264A (fi) 1992-11-21
EP0514858A3 (en) 1994-02-02
EP0514858B1 (en) 1997-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00134B1 (ko) 광파이버의 자동스크리닝장치와 그 방법
EP2465800A1 (en) Individual cleaning system for winding units
JP4210329B2 (ja) 巻取り装置
JP6893403B2 (ja) 繊維機械の動作方法および繊維機械
EP3072840B1 (en) Yarn winding machine and yarn winding method
JP2001526160A (ja) 抄紙機、塗工機、中間巻取り機、スリッタワインダの巻戻しスタンドにおける、もしくはウエブの処理用のあらゆる他の機器における方法および装置
EP0316949B1 (en) Method of transporting rapidly quenched ribbon and apparatus therefor
EP2671834A2 (en) Yarn winding device
US549423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inding and feeding a yarn end to be taken up in a textile winder
JP2020050525A (ja) 巻取りパッケージを製造する繊維機械の作業ユニットにおいて糸ループを検出する方法及び装置
CN212099690U (zh) 标签剥离设备
EP2749517B1 (en) Spinning machine
JP2550117B2 (ja) カローゼルリール設備
US6811637B2 (en) Process and device for picking up materials
JPH05170476A (ja) 光ファイバの自動スクリーニング装置
JP2985378B2 (ja) 線状体の吸引装置
EP0970926B1 (en) Producing optical fibre
EP3363757B1 (en) Yarn processing machine
EP2669229B1 (en) Package discharging device and yarn winding machine
JP2009242041A (ja) 糸端処理装置を有する糸条巻取機
JP2016210618A (ja) テークアップパッケージを製造する繊維機械の作業ユニット
JP2016210619A (ja) テークアップパッケージを製造する繊維機械の作業ユニット
US6534122B1 (en) Method and 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optical fiber coating
CN218508133U (zh) 防断纸缠辊结构及涂布系统
JP2544786B2 (ja) 粗糸搬送システムにおける残粗糸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16

Year of fee payment: 16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