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22057A - 유모차의 좌석 - Google Patents

유모차의 좌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22057A
KR960022057A KR1019950072154A KR19950072154A KR960022057A KR 960022057 A KR960022057 A KR 960022057A KR 1019950072154 A KR1019950072154 A KR 1019950072154A KR 19950072154 A KR19950072154 A KR 19950072154A KR 960022057 A KR960022057 A KR 9600220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rest
plates
seat
head guard
c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721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0175963B1 (ko
Inventor
이찌로 오니시
겐죠 갓사이
Original Assignee
겐죠 갓사이
앗프리카 갓사이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32298194A external-priority patent/JP338511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32614594A external-priority patent/JP338512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00024195A external-priority patent/JP3385122B2/ja
Application filed by 겐죠 갓사이, 앗프리카 갓사이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겐죠 갓사이
Publication of KR9600220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20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59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59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06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 B62B7/08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in the direction of, or at right angles to, the wheel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28Auxiliary dismountable seats ; Additional platforms for children in standing-up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12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nvertible, e.g. into children's furniture or toy
    • B62B7/123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nvertible, e.g. into children's furniture or toy from seat to b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10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 B62B9/102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zed by details of the s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10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 B62B9/102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zed by details of the seat
    • B62B9/104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zed by details of the seat with adjustable or reclining backre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10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 B62B9/102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zed by details of the seat
    • B62B9/106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zed by details of the seat with head gu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10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 B62B9/102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zed by details of the seat
    • B62B9/108Linings or cush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5/00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being foldable or dismountable when not in use
    • B62B2205/02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being foldable or dismountable when not in use foldable widthwi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5/00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being foldable or dismountable when not in use
    • B62B2205/20Catches; Locking or releasing an articulation
    • B62B2205/22Catches; Locking or releasing an articulation remotely controlled, e.g. from the handleb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20Handle bars; Han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입각한 유모차의 좌석은 긴 구멍(75)과 핀(76)과의 조합으로서 되는 연결 기구를 거럭서 등받이 심재(7)를 등받이 유지부(61)에 의해서 유지한다. 등받이 심재(5)가 가장 넘겨진 때에는 핀(76)이 긴 구멍(75)의 단부에 위치함으로서 등받이 심재(9)가 그 하방 단측에 이동되어 제어 부재(8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헤드 가드 심재(10)가 등받이 심재(9)의 이동에 의해서 세워진 상태로 제어된다.
이에 의해 등받이부가 비교적 세워진 상태에서는 헤드 가드부를 등받이부와 실질적으로 한 평면상에 줄서는 상태로 되고, 등받이부가 가장 넘어진 상태에서는 헤드 가드부를 등받이부의 상방단으로부터 세워진 상태로 하도록 된 유모차의 좌석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유모차의 좌석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좌석(1)을 갖춘 유모차(2)의 전체를 도시하는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유모차(2)의 전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등받이부(4)가 최대로 넘겨진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제3도는 제1도에 해당하는 좌석(1)의 커버 시트(7)를 제거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제4도는 제2도의 해당되는 좌석(1)의 커버 시트(7)를 제거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제5도는 제1도에 도시된 유모차(2)를 접은 상태를 나타내는 좌석(1)의 커버 시트(7)를 제거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Claims (25)

  1. 좌부(3)와, 상기 좌부(3)의 후방 단부로부터 세워지고 또한 경사각도 변경 가능하게 설치된 등받이부(4)와, 상기 등받이부(4)의 상방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헤드 가드부(5)를 구비하고, 상기 등받이부(4)가 비교적 세워진 상태에서는 상기 등받이부(4)와 헤드 가드부(5)와는 실질적으로 한 평면 위에 줄서는 상태로 되고, 상기 등받이부(4)가 가장 넘겨진 상태에서는 헤드 가드부(5)는 등받이부의 상방 단부로부터 세워진 상태로 되며, 상기 좌부(3), 등받이부(4) 및 헤드 가드부(5)는 각각 강성이 비교적 높은 재료로서 되는 판형상의 좌심재(8), 등받이 심재(5) 및 헤드 가드 심재(10)에 의해서 각각의 형상이 유지되며, 상기 유모차의 폭방향에서의 접기 동작을 허용하기 위해 좌심재(8), 등받이 심재(9) 및 헤드 가드 심재(10)는 각각 유모차의 측면과 평행으로 뻗는 적어도 하나의 분할선에 의해서 분할된 복수의 좌판(12, 13, 14), 등받이판(15, 16, 17) 및, 복수의 헤드 가드판(18,19,2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의 좌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부(4)의 변경된 경사 각도를 고정하기 위한 경사 각도 고정 수단과, 등받이부(4)는 비교적 세워진 상태에서는 헤드 가드부(5)를 등받이부(4)와 실질적으로 한 평면 위에 줄선 상태로 하고 한편, 등받이부가 가장 넘어간 상태에서는 헤드 가드부(5)를 등받이부(4)의 상방 단부로부터 세운 상태가 되도록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경사 각도 고정 수단은 상기 등받이부(4)의 회전 중심과는 다른 정위치에 있는 회전 중심(62)을 중심으로 해서 회전 가능하고 복수의 각도로 고정 가능한 등받이 유지 부재(61)를 구비하며, 상기 등받이 유지 부재(61)는 등받이부의 뻗는 방향으로 뻗은 긴 구멍(75)과 긴 구멍(75)내에 이동가능하게 받아들여지는 핀(76)과의 조합으로부터 되는 연결 기구를 거쳐서 등받이부(4)에 연결됨과 함께, 등받이부(4)는 그 뻗은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등받이부(4)가 비교적 세워진 상태에서 경사 각도를 바꾸는 동안은 긴 구멍(75)내에서 핀(76)이 이동하는 것에 의해 등받이 유지 부제(61)의 동작이 상기 등받이부(4)에 전달되지 않고, 한편 등받이부(4)가 가장 넘겨진 상태에서는 상기 핀(76)은 긴 구멍(75)의 단부에 위치하는 것에 의해 등받이 유지 부재(61)의 동작이 등받이부(4)에 전달되어 그에 의해서 상기 등받이부(4)는 그 하방 단측으로 이동되며, 상기 제어 수단은 등받이 유지 부재(61)의 회전 중심(62)으로부터 후방의 정위치에 있는 회전 중심(76)을 중심으로 해서 회전 가능한 제어 부재(80)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 부재는 헤드 가드부(5)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헤드 가드부(5)와 상기 제어 부재(80)와의 연결점(81)은 헤드 가드부(5)와 등받이부(4)와의 연결점으로부터 등받이부(4)의 배면측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의 좌석.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등받이판(15,16,17)서로 및 상기 복수의 헤드 가드판(18,19,20) 서로는 각각 배면측에 있어서, 힌지 접속(23,24,25,26)되고 상기 각 등받이판(15,16,17)과 상기 각 헤드 가드관(18,19,20)은 각각 정면측에 있어서 힌지 접속(27,28,29)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의 좌석.
  4. 제3항에 있어서, 싱기 복수의 등받이판(15,16,17) 및 상기 복수의 헤드 가드판(18,19,20)은 실질적으로 한 평면 위에 줄서는 상태로 되었을때, 서로 이웃하는 것 서로가 맞부딪히는 단면(30,31,32,33,34,35,36,37)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의 좌석.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모차의 폭방향에서의 접지 동작을 허용하기 위하여 상기 좌심재(8) 및 등받이 심재(9)는 상기 각각의 유모차의 측면과 평행으로 뻗는 2개의 분할선에 의해 분할된 3개의 좌판(12,13,14) 및 3개의 등받이판(15, 16,17)을 구비함과 함께, 상기 3개의 좌판(12,13,14)의 서로 이웃하는 것 서로와 상기 3개의 등받이판(15,16,17)의 서로 이웃하는 것 서로는 각각 힌지 접속(21,22,23,24)되고, 상기 유모차의 접지 동작에 따라서, 상기 좌심재(8) 및 등받이 심재(9)는 각각 상방 및 전방으로 절곡됨과 함께, 상기 좌심재(8)의 상면과 등받이 심재(9)의 전면이 서로 근접하도록 좌심재(8)와 등받이 심재(9)가 회전되며, 상기 유마차의 양측부에 위치하고 또한 유모차의 폭방향에서의 접지 동작에 따라서 서로 근접하는 한쌍의 벨트 취부 부재(43,44) 및, 상기 한쌍의 벨트 취부(43,44)에 그 각 단부가 각각 취부되면서 상기 한쌍의 벨트 취부 부재 사이에 건네지는 가요성의 벨트(42)를 구비하며, 상기 등받이 심재(9)의 하방단은 상기 벨트(42)에 유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의 좌석.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3개의 좌판(12, 13, 14)은 하면측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는 것 서로가 힌지 접속(21)되어 있고, 실질적으로 한 평면상에 줄서는 상태로 되었을때 서로 이웃하는 것 서로가 맞부딧히는 단면(30,31,32,33)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의 좌석.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3개의 등받이판(15,16,17)은 각각의 배면측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는 것 서로가 힌지 접속(23,24)되어 있음과 함께, 실질적으로 한 평면상에 줄서는 상태로 되어 있을때 서로 이웃하는 것 서로와 부딪히는 단면(34,35,36,37)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의 좌석.
  8. 좌부(3)와, 상기 좌부(3)의 후방단으로부터 세워져 있고 경사 각도변경 가능하게 설치된 등받이부(4)와, 상기 등받이부(4)의 상방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헤드 가드부(5)와, 상기 등받이부(4)의 변경된 경사 각도를 고정하기 위한 경사 각도 고정 수단과, 상기 등받이부(4)가 비교적 세워진 상테에서는 헤드 가드부(5)를 등받이부(4)와 실질적으로 한 평면상에 줄서는 상태로 하고, 한편 등받이부가 가장 넘겨진 상태에서는 헤드 가드부(5)를 등받이부(4)의 상방 단부로부터 세워진 상태로 되도록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갖는 유모차의 좌석에 있어서, 상기 경사 각도 고정 수단은 상기 등받이부(4)의 회전중심과는 다른 정위치에 있는 회전 중심(62)을 중심으로 해서 회전 가능하고 복수의 각도로 고정 가능한 등받이 유지 부재(61)를 구비하고, 상기 등받이 유지 부재(61)는 등받이부의 뻗는 방향으로 뻗은 긴 구멍(75)과 긴 구멍(75)내에 이동 가능하게 받아들여지는 핀(76)과의 조합으로부터 되는 연결 기구를 거쳐서 상기 등받이부(4)에 연결됨과 함께 등받이부(4)는 그 뻗은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등받이부(4)가 비교적 세워진 상태에서 경사 각도를 변하는 동안은 상기 긴 구멍(75)에서 상기 핀(76)이 이동하는 것에 의해 등받이 유지 부재(66)의 동작이 등받이부(4)에 전달되지 않고, 한편 상기 등받이부(4)가 가장 넘겨진 상태에서는 핀(76)이 긴 구멍(75)의 단부에 위치하는 것에 의해서 등받이 유지 부재(61)의 동작이 등받이부(4)에 전달되어 그에 의해서 등받이부(4)는 그 하방단측으로 이동되고, 상기 제어 수단은 등받이 유지 부재(61)의 회전 중심(62)보다 후방의 정위치에 있는 회전 중심(79)을 중심으로 해서 회전 가능한 제어 부재(80)를 갖추고, 상기 제어 부재는 헤드 가드부(5)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헤드 가드부(5)와 제어 부재(80)와의 연결점(81)은 상기 헤드 가드부(5)와 상기 등받이부(4)와의 연결점보다 등받이부(4)의 배면측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의 좌석.
  9. 제8항에 상기 등받이부(4) 및 상기 헤드 가드부(5)는 각각 강성의 비교적 높은 재료로서 되는 판형상의 등받이 심재(9) 및 헤드 가드 심재(10)에 의해서 심재(10)에 의해서 각각의 형상이 유지되며, 상기 유모차의 폭방향에서의 접기 동작을 허용하기 때문에 상기 등받이 심재(9) 및 상기 헤드 가드 심재(10)는 각각 유모차의 측면과 평행으로 뻗은 적어도 하나의 분할선에 의해서 분할된 복수의 등받이판(15,16,17) 및 복수의 헤드 가드(18,19,20)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등받이판(15,16,17) 서로와 복수의 헤드 가드판(18,19,20) 서로는 각각 배면측에 있어서, 힌지 접속(23,24,25,26)되며, 상기 각 등받이판(15,16,17)과 각 상기 헤드 가드판(18,19,20)은 각각 정면측면에 있어서, 힌지 접속(27,28,29)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의 좌석.
  10. 제9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등받이판(15,16,17) 및 복수의 헤드 가드판(18,19,20)은 실질적으로 한 평면 위에 줄서는 상태로 되었을때 서로 이웃하는 것 서로에서 맞부딪히는 단면(30,31,32,33,34,36,37)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의 좌석.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부(3) 및 등받이부(4)는 각각 강성이 비교적 높은 재료로부터 되는 판형상의 좌심재(8) 및 등받이 심재(9)에 의해서 각각의 형상의 유지되고, 상기 유모차의 폭방향에서의 접기 동작을 허용하기 위해, 상기 좌심재(8) 및 등받이 심재(9)는 각각 유모차의 측면과 평행으로 뻗는 2개의 분할선에 의해 분할된 3개의 좌판(12,13,14) 및 3개의 등받이판(15,16, 17)을 갖춤과 함께, 상기 3개의 좌판(12.13,14)이 서로 이웃하는 것 서로 및 상기 3개의 등받이판(15,16,17)의 서로 이웃하는 것 서로는 각각 힌지 접속(21,22,23,24)되며, 상기 유모차의 접기 동작에 따라 좌심재(8) 및 등받이 심재(9)는 각각 상방 및 전방으로 접어 굽혀짐과 함께 좌심재(8)의 상면과 상기 등받이 심재(9)의 전면이 서로 근접하도록 상기 좌심재(8)와 상기 등받이 심재(9)가 회전되는 유모차의 좌석이며, 상기 유모차의 양측면 부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유모차의 폭방향에서의 접기 동작에 따라 서로 근접하는 한쌍의 벨트 취부부제(43,44) 및, 상기 한쌍의 벨트 취부 부재(43,44)에 그 각 단부가 각각 취부되면서 상기 한쌍의 벨트 부재 사이에 건네지는 가요성의 벨트(42)를 갖추고, 상기 등받이 심재(9)의 하방 단부는 벨트(42)에 유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의 좌석.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3개의 좌판(12,13,14)는 각 하면측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는 것 서로가 힌지 접속(21) 되어 있고, 실질적으로 한 평면 위에 줄서는 상태로 되었을때 서로 이웃하는 것 서로가 맞부딪히는 단면(30,31,32,33)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의 좌석.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3개의 등받이판(15,16,17)은 각 배면측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는 것 서로가 힌지 접속(23,24)되어 있고, 실질적으로 한 평면 위에 줄서는 상태로 되었을 때 서로 이웃하는 것 서로가 맞부딪히는 단면(34,35,36,37)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의 좌석.
  14. 좌부(3)와, 상기 좌부(3)의 후방 단부로부터 세워지고 또한 경사각도 변경 가능하게 설치된 등받이부(4)와, 상기 등받이부(4)의 상방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헤드 가드부(5)를 구비하고, 상기 등받이부(4)가 비교적 세워진 상태에서는 상기 등받이부(4)와 상기 헤드 가드부(5)와는 실질적으로 한 평면상에 줄서는 상태로 되고, 한편 등받이부(4)가 가장 넘겨진 상태에서는 상기 헤드 가드부(5)는 상기 등받이부의 상방 단부로부터 세워진 상태로 되며, 상기 등받이부(4) 및 헤드 가드부(5)는 각각 강성의 비교적 높은 재료로부터 되는 판형상의 등받이 심재(9) 및 헤드가드 심재(10)에 의해서 각각의 형상이 유지되고, 상기 유모차의 폭방향에서의 접지 동작을 허용하기 위해 상기 등받이 심재(9) 및 상기 헤드 가드 심재(10)는 각각 상기 유모차의 측면과 평행으로 뻗은 적어도 하나의 분할선에 의해서 분할된 복수의 등받이판(15,16,17) 및 복수의 헤드 가드판(18,19,20)을 구비하는 유모차의 좌석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등받이판(15,16,17) 서로 및 상기 복수의 헤드 가드판(18,19,20) 서로는 각각 배면측에 있어서 힌지 접속(23,24,25,26)되며, 상기 각 등받이판(15,16,17)과 상기 각 헤드 가드판(18,19,20)은 각각 정면측에 있어서 힌지 접속(27,28,29)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의 좌석.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등받이판(15,16,17) 및 상기 복수의 헤드 가드판(18,19,20)은 실질적으로 한 평면위에 줄서는 상태로 되 었을 때 서로 이웃하는 것 서로가 맞부딪히는 단면(30,31,32,33,34,35,36,37)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유모차의 좌석.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부(4)의 변경된 경사 각도를 고정하기 위한 경사 각도 고정 수단과, 상기 등받이부(4)가 비교적 세워진 상태에서는 상기 헤드 가드부(5)를 상기 등받이부(4)와 실질적으로 한 평면 위에 줄서는 상태로 하고, 한편 상기 등받이부가 가장 넘겨진 상태에서는 상기 헤드 가이드부(5)를 상기 등받이부(4)의 상방 단부로 부터 세워진 상태로 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경사 각도 고정 수단은, 상기 등받이부(4)의 회전 중심과는 다른 정위치에 있는 회전 중심(62)을 중심으로 해서 회전 가능하고 복수의 각도로 고정 가능한 등받이 유지부재(61)를 구비하고, 상기 등받이 유지 부재(61)는 상기 등받이부가 뻗는 방향으로 뻗은 긴 구멍(75)과 상기 긴 구멍(75)내로 이동 가능하게 받아들여지는 핀(76)과의 조합으로부터 되는 연결기구를 거쳐서 상기 등받이부(4)에 연결됨과 함께 상기 등받이부(4)는 그 뻗은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상기 등받이부(4)가 비교적 세워진 상태에서 경사 각도를 변하는 동안은 상기 긴 구멍(75)내에서 상기 핀(76)이 이동하는 것에 의해서 상기 등받이 유지 부재(61)의 동작이 상기 등받이부(4)에 전달되지 않고, 한편 상기 등받이부(4)가 가장 넘겨진 상태에서는 상기 핀(76)이 상기 긴 구멍(75)의 단부에 위치하는 것에 의해 상기 등받이 유지부(61)의 동작이 상기 등받이부(4)에 전달되어 그에 의해서 상기 등받이부(4)는 그 하방 단부측으로 이동되며,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등받이 유지 부재(61)의 회전 중심(62)으로부터 후방의 정위치에 있는 회전 중심(79)을 중심으로 해서 회전 가능한 제어 부재(80)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 부재는 상기 헤드 가드부(5)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헤드 가드부(5)와 상기 제어 부재(80)와의 연결점(8l)은 상기 헤드 가드부(5)와 등받이부(4)와의 연결점보다 상기 등받이부(4)의 배면측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의 좌석.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좌부(3)는 강성이 비교적 높은 재료로부터 되는 판형상의 좌심재(8)에 의해서 각각의 형상이 유지되며, 상기 유모차의 폭방향에서의 접기 동작을 허용하기 위해 상기 좌심재(8) 및 상기 등받이 심재(9)는 각각 유모차의 측면과 평행으로 뻗는 2개의 분할선에 의해서 분할된 3개의 좌판(12, 13, 14)및 3개의 등받이판(15, 16, 17)을 갖춤과 함께, 상기 3개의 좌판(12, 13, 14)의 서로 이웃하는 것 서로 및 상기 3개의 등받이판(15,16,17)의 서로 이웃하는 것 서로는 각각 힌지 접속(21,22,23,24)되며, 상기 유모차의 접기 동작에 따라서 상기 좌심재(8) 및 상기 등받이 심재(9)는 각각 상방 및 전방으로 접어 굽혀짐과 함께, 상기 좌심재(8)의 상면과 상기 등받이 심재(9)의 전면이 서로 근접하도록 상기 좌심재(8)와 등받이 심재(9)가 회전되고, 상기 유모차의 양측부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유모차의 폭방향에서의 접기 동작에 응해서 서로 근접하는 한쌍의 벨트 취부 부재(43,44) 및, 상기 한쌍의 벨트 취부 부재(43,44)에 그 각 단부가 각각 취부 되어지면서 상기 한쌍의 벨트 취부 부재간에 건네지는 가요성의 벨트(42)를 구비하고, 상기 등받이 심재(5)의 하방 단부는 상기 벨트(42)에 유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의 좌석.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3개의 좌판(12,13,14)은 각 하면측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는 것 서로가 힌지 접속(21)되어 있음과 함께 실질적으로 한 평면상에 줄서는 상태로 되었을 때 서로 이웃하는 것 서로가 맞부딪히는 단면(30,31,32,33)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의 좌석.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3개의 등받이판(15,16,17)은 각 배면측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는 것 서로가 힌지 접속(23,24)되어 있음과 함께, 실질적으로 한 평면상에 줄서는 상태로 되었을 때 서로 이웃하는 것 서로가 맞부딪히는 단면(34,35,36,37)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의 좌석.
  20. 좌부(3)와, 상기 좌부의 후방단으로부터 세워진 등받이부(4)와를 갖추고, 상기 좌부(3) 및 상기 등받이부(4)는 각각 강성이 비교적 높은 재료로서 되는 판형상의 좌심재(8) 및 등받이 심재(9)에 의해서 각각의 형상이 유지되고, 상기 유모차의 폭방향에서의 접기 동작을 허용하기 위해 상기 좌심재(8) 및 상기 등받이 심재(9)는 각각 상기 유모차의 측면과 평행으로 뻗는 2개의 분할선에 의해서 분할된 3개의 좌판(12,13, 14) 및 3개의 등받이판(15,16,17)을 갖춤과 함께, 상기 3개의 좌판(12,13,14)의 서로 이웃하는 것 서로 및 상기 3개의 등받이판(15,16,17)의 서로 이웃하는 것 서로는 각각 힌지 접속(21,22,23,24)되며, 상기 유모차의 접기 동작에 응해서 상기 좌심재(8) 및 상기 등받이 심재(9)가 각각 상방 및 전방으로 접어 굽혀짐과 상기 상기 좌심재(8)의 상면과 상기 등받이 심재(9)의 저면이 서로 근접하도록 상기 좌심재(8)와 상기 등받이 심재(9)가 회전되는 유모차의 좌석에 있어서, 상기 유모차의 양측부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유모차의 폭방향에서의 접기 동작에 응해서 서로 근접하는 한쌍의 벨트취부 부재(43,44) 및 상기 한쌍의 벨트 취부재(43,44)에 그 각 단부가 각각 취부 되어지면서 상기 한쌍의 벨트 취부 부재간에 건네지는 가요성의 벨트(42)를 갖추고, 상기 등받이 심재(9)의 하방단이 상기 벨트(42)에 유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의 좌석.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3개의 좌판(12, 13, 14)은 각 하면측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는 것 서로가 힌지 접속(21)되어 있음과 함께, 실질적으로 한 평면상에 줄서는 상태가 되었을 때 서로 이웃하는 것 서로가 맞부딪히는 단면(30,31,32,33)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의 좌석.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3개의 등받이판(15, 16, 17)은 각 배면측 있어서 서로 이웃하는 것 서로가 힌지 접속(23,34)되어 있음과 함께, 실질적으로 한 평면상에 줄서는 상태로 되었을 때 서로 이웃하는 것 서로가 맞부딪히는 단면(34,35,36,37)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의 좌석.
  23.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부(4)는 상기 좌부(3)의 후방단으로부터 세워지고 또한 경사 각도 변경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등받이부(4)의 상방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헤드 가드부(5)와, 상기 등받이부(4)의 변경된 경사 각도를 고정하기 위한 경사 각도 고정 수단과, 상기 등받이부(4)가 비교적 세워진 상태에서는 상기 헤드 가드부(5)를 상기 등받이부(4)와 실질적으로 한 평면상에 줄서는 상태로 하고, 한편 상기 등받이부가 가장 넘겨진 상태에서는 상기 헤드 가드부(5)를 상기 등받이부(4)의 상방단으로부터 세워진 상태로 되도록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경사 각도 고정 수단은 상기 등받이부(4)의 회전 중심과는 다른 정위치에 있는 회전 중심(62)을 중심으로 해서 회전 가능 및 부수의 각도로 고정 가능한 등받이 유지 부재(61)를 구비하며, 상기 등받이 유지 부재(61)는 상기 등받이부의 뻗은 긴 구멍(75)과 상기 긴 구멍(75)내에 이동 가능하게 받아들여지는 핀(76)과의 조합으로부터 되는 연결 기구를 거쳐서 상기 등받이부(4)에 연결됨과 함께, 상기 등받이부(4)는 그 뻗는 방향으로 이동가능 하도곡 되어 상기 등받이부(4)가 비교적 세워진 상태에서 경사 각도로 변하는 동안은 상기 긴 구멍(75)내에서 상기 핀(76)이 이동하는 것에 의해 상기 등받이 유지 부재(61)의 동작이 상기 등받이부(4)에 전달되지 않고, 한편 상기 등받이부(4)가 가장 넘겨진 상태에서는 상기 핀(76)이 상이 긴 구멍(75)의 단부에 위치함으로서 상기 등받이 유지 부제(61)의 동작이 상기 등받이부(4)에 전달되어 그에 의해서 상기 등받이부(4)는 그 하방단측으로 이동되며,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등받이 유지 부재(61)의 회전중심(62)으로부터 후방의 정위치에 있는 회전 중심(79)을 중심으로 해서 회전 가능한 제어 부재(80)를 갖추고, 상기 제어 부재는 상기 헤드 가드부(5)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헤드 가드부(5)와 상기 제어 부재(80)와의 연결점(81)은 상기 헤드 가드부(5)와 상기 등받이부(4)와의 연결보다 상기 등받이부(4)의 배면측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의 좌석.
  24.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부는 상기 좌부(3)의 후방단으로부터 세워지고 또한 경사 각도 변경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등받이부(4)의 상방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헤드 가드부(5)를 또한 구비하고, 상기 등받이부(4)는 세워진 상태에서는 상기 등받이부(4)와 상기 헤드 가드부(5)와는 실질적으로 한 평면상에 줄선 상태로 되는 한편, 등받이부(4)가 가장 넘겨진 상태에서는 상기 헤드 가드부(5)는 상기 등받이부의 상방단으로 부터 세워진 상태로 되며, 상기 헤드 가드부(5)는 강성이 비교적 높은 재료로부터 되는 판형상의 등받이 심재(9) 및 헤드 가드 심재(10)에 의해서 각각의 형상이 유지되고, 상기 유모차의 폭방향에서의 접기 동작을 허용하기 위해 상기 헤드 가드 심재(10)는 각각 상기 유모차의 측면과 평행으로 뻗는 적어도 하나의 분할선에 의해 분할된 복수의 헤드 가드판(18,19,20)을 또한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등받이판(15,16,17) 서로 및 상기 복수의 헤드 가드판(18,19,20) 서로는 각각 배면측에 있어서 힌지 접속(23,24,25,26)되고, 각 상기 등받이판(15,16,17)과 상기 각 헤드 가드판(18,19,20)은 각각 정면측에 있어서 힌지 접속(27,28,29)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의 좌석.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등받이판(15,16,17) 및 상기 복수의 헤드 가드판(18,19,20)은 실질적으로 한 평면상에 줄서는 상태로 되었을때, 서로 이웃하는 것 서로가 맞부딪히는 단면(30,31,32.33,34,35,36,37)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의 좌석.
    ※ 참고사항: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50072154A 1994-12-26 1995-12-26 유모차의 좌석 KR01759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2298194A JP3385118B2 (ja) 1994-12-26 1994-12-26 乳母車の座席
JP94-322981 1994-12-26
JP32614594A JP3385120B2 (ja) 1994-12-27 1994-12-27 乳母車の座席
JP94-326145 1994-12-27
JP95-241 1995-01-05
JP00024195A JP3385122B2 (ja) 1995-01-05 1995-01-05 乳母車の座席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2057A true KR960022057A (ko) 1996-07-18
KR0175963B1 KR0175963B1 (ko) 1999-04-15

Family

ID=27274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72154A KR0175963B1 (ko) 1994-12-26 1995-12-26 유모차의 좌석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5752738A (ko)
EP (2) EP0878375A1 (ko)
KR (1) KR0175963B1 (ko)
CN (1) CN1057496C (ko)
AU (1) AU4052495A (ko)
CA (1) CA2165500A1 (ko)
DE (1) DE69515113T2 (ko)
TW (1) TW28080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80801B (ko) 1994-12-26 1996-07-11 Aprica Kassai Kk
EP0960044A4 (en) * 1996-10-11 2001-05-02 Wheelchair Carrier Inc LIGHT MOTORIZED WHEELCHAIR
US5887946A (en) * 1997-01-03 1999-03-30 Raftery Design, Inc. Chair with movable back support
US6331013B2 (en) * 1998-09-10 2001-12-18 Wheelchair Carrier, Inc. Lightweight motorized wheelchair
JP4416881B2 (ja) 1999-10-12 2010-02-17 コンビ株式会社 ベビーカーの折畳み操作装置
US6386575B1 (en) * 2000-08-10 2002-05-14 Convaid Products, Inc. Mobile seat arrangement
GB0022104D0 (en) * 2000-09-08 2000-10-25 Crisp David Collapsible pushchair/carrier
AU729732B3 (en) * 2000-11-29 2001-02-08 Hsiao-Hui Wang Foldable seat frame for a foldable stroller
JP3939537B2 (ja) * 2001-02-15 2007-07-04 コンビ株式会社 ベビーカー
US6616367B2 (en) * 2001-06-20 2003-09-09 Pao-Hsien Cheng Position adjusting means for a back of a stroller
JP4937473B2 (ja) * 2001-08-09 2012-05-23 コンビ株式会社 ベビーカーの折り畳み操作装置
JP4990451B2 (ja) * 2001-08-30 2012-08-01 コンビ株式会社 3つ折りタイプのベビーカー
SG135046A1 (en) * 2001-09-19 2007-09-28 Combi Co Stroller
JP3986826B2 (ja) * 2002-01-15 2007-10-03 コンビ株式会社 リクライニング機構付ベビーカー
JP2003259934A (ja) 2002-03-07 2003-09-16 Aprica Kassai Inc 座席構造
KR20040111339A (ko) * 2002-06-05 2004-12-31 아프리카 카사이 카부시키가이샤 유모차
JP3766821B2 (ja) * 2002-06-05 2006-04-19 アップリカ育児研究会アップリカ▲葛▼西株式会社 育児器具
JP3967243B2 (ja) * 2002-09-30 2007-08-29 アップリカ育児研究会アップリカ▲葛▼西株式会社 乳母車
JP4184761B2 (ja) * 2002-11-11 2008-11-19 グラコ・チルドレンズ・プロダクツ・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折畳式乳母車
DE20220024U1 (de) * 2002-12-20 2003-03-20 Beger Udo Zusammenklappbarer Schiebewagen für Kinder und/oder Puppen
JP3981023B2 (ja) * 2003-01-28 2007-09-26 アップリカ育児研究会アップリカ▲葛▼西株式会社 乳母車の座席ハンモック
JP3981027B2 (ja) 2003-01-30 2007-09-26 アップリカ育児研究会アップリカ▲葛▼西株式会社 育児器具の座席ハンモック
JP4299016B2 (ja) * 2003-02-04 2009-07-22 グラコ・チルドレンズ・プロダクツ・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折畳式乳母車
JP3967271B2 (ja) * 2003-02-04 2007-08-29 アップリカ育児研究会アップリカ▲葛▼西株式会社 折畳式乳母車
US6896326B2 (en) * 2003-04-24 2005-05-24 Wonderland Nurserygoods Co., Ltd Rest apparatus for infants with backrest and headrest cooperation mechanism
US7293784B2 (en) * 2003-07-25 2007-11-13 Ming-Tang Liu Adjustable computer case support
US7686322B2 (en) * 2004-04-30 2010-03-30 Chicco Usa, Inc. Foldable stroller with memory recline
JP4823592B2 (ja) * 2005-07-12 2011-11-24 コンビ株式会社 ベビーカー用クッション
JP2007098996A (ja) * 2005-09-30 2007-04-19 Combi Corp ベビーカーの手押し杆
JP4757594B2 (ja) * 2005-09-30 2011-08-24 コンビ株式会社 ベビーカー
KR101368447B1 (ko) * 2005-09-30 2014-02-28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유모차
US20070145723A1 (en) * 2005-11-29 2007-06-28 Kamara Jemimah G Vertically adjustable folding wheelchair
US20090102149A1 (en) * 2007-10-22 2009-04-23 Graco Children's Products Inc. Foldable pushcart and foldable baby carriage
CA2704419C (en) * 2007-11-01 2013-07-02 Chicco Usa, Inc. Folding stroller actuating system
US8152231B2 (en) * 2008-02-28 2012-04-10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Collapsible seat and system
US8100429B2 (en) 2008-03-31 2012-01-24 Artsana Usa, Inc. Three dimensional folding stroller with infant carrier attachment and one hand actuated seat recline
CN102317138B (zh) * 2008-08-15 2013-11-20 雅沙娜美国股份有限公司 婴儿车
US8240700B2 (en) * 2008-08-15 2012-08-14 Artsana Usa, Inc. Stroller with travel seat attachment
CN101722975B (zh) * 2008-10-23 2012-09-05 明门香港股份有限公司 具有多向使用状态的婴儿承载装置
JP5602410B2 (ja) * 2008-12-18 2014-10-08 アップリカ・チルドレンズプロダクツ株式会社 座席構造
CN102803046B (zh) 2009-06-12 2015-10-21 康贝株式会社 童车
USD636300S1 (en) 2009-08-14 2011-04-19 Artsana Usa, Inc. Stroller
CN102030026B (zh) 2009-09-24 2012-10-31 明门香港股份有限公司 具有双向使用状态的婴儿承载装置及其操作方法
US20110175309A1 (en) * 2010-01-15 2011-07-21 Chicco Usa, Inc. Stroller basket
US20110175306A1 (en) * 2010-01-19 2011-07-21 Chicco Usa, Inc. Reclinable stroller seat
CN102133901B (zh) * 2010-01-26 2013-06-05 明门香港股份有限公司 婴儿车及其头靠调整机构
USD722541S1 (en) 2010-10-08 2015-02-17 Baby Trend Inc. Double stroller
USD654405S1 (en) * 2010-10-08 2012-02-21 Baby Trend Inc. Stroller
US8641077B2 (en) 2010-10-08 2014-02-04 Baby Trend Inc. Stroller with a receiving frame and support straps for receiving car seats
US8646802B2 (en) 2010-10-08 2014-02-11 Baby Trend Inc. Stroller with a receiving frame and support straps for receiving a car seat
USD651140S1 (en) 2010-12-20 2011-12-27 Artsana Usa, Inc. Stroller frame tubing
US8955855B2 (en) * 2011-01-03 2015-02-17 Radio Flyer Inc. Infant wagon
CN102180190B (zh) * 2011-04-13 2012-09-26 苏州威凯儿童用品有限公司 可单双人转换的婴儿推车
GB2502864B (en) * 2012-04-05 2014-09-24 Wonderland Nursery Goods Infant stroller apparatus
CN102632916B (zh) * 2012-04-16 2014-07-02 中山市隆成日用制品有限公司 可转换座向及型态的双座婴儿车
JP6017184B2 (ja) * 2012-05-29 2016-10-26 コンビ株式会社 ベビーカー
CN103847779B (zh) * 2012-12-05 2016-04-06 陈小磊 一种多功能儿童车
CN103507846B (zh) * 2013-09-05 2016-04-13 好孩子儿童用品有限公司 儿童推车
CN105564489B (zh) * 2014-10-10 2018-04-13 明门香港股份有限公司 婴儿承载装置及婴儿推车
CN105857381B (zh) * 2015-01-21 2018-03-13 明门香港股份有限公司 具有锁定机构的婴儿承载装置
US9855964B2 (en) * 2016-02-29 2018-01-02 Wonderland Switzerland Ag Stroller frame
NL2016451B1 (nl) * 2016-03-17 2017-10-05 Mutsy Bv Inrichting voor het vervoeren van een kind, en kinderzitje
CN105774883B (zh) * 2016-04-29 2017-12-29 辽宁科技大学 一种可折叠式多用婴幼儿车
CN108313109B (zh) * 2017-01-16 2023-07-25 珠海阳光儿童用品有限公司 一种婴儿车车架及婴儿车
CN207328549U (zh) * 2017-08-10 2018-05-08 中山市西区青原贸易代理服务部 婴儿车车架
DE202017106245U1 (de) * 2017-10-16 2017-11-09 Cybex Gmbh Kinderwagensitz und Kinderwagen-System
US10875563B2 (en) * 2019-04-03 2020-12-29 Jenny Heckler Convertible stroller assembly
NL2023260B1 (en) * 2019-06-04 2020-12-11 Milk Holding B V A backrest structure and a buggy, stroller or pushchair
US11259650B2 (en) * 2019-06-11 2022-03-01 Graco Children's Products, Inc.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es for a convertible child booster's seat
CN211765815U (zh) * 2020-01-13 2020-10-27 明门(中国)幼童用品有限公司 支撑件防折断结构及具有该结构的婴儿车
CN113954947A (zh) * 2020-07-21 2022-01-21 明门瑞士股份有限公司 背靠可联动收合的婴儿车
CN112874616B (zh) * 2021-02-25 2022-05-06 苏州凯迪卡夫婴童用品有限公司 一种自刹车并能切换摇篮的婴儿车
CN115195843A (zh) * 2021-04-13 2022-10-18 明门(中国)幼童用品有限公司 婴儿车
CN216269477U (zh) * 2021-08-31 2022-04-12 明门瑞士股份有限公司 婴儿推车及其座布组件
US11820416B1 (en) * 2023-04-28 2023-11-21 Jenny Heckler Convertible stroller assembly with pop-up privacy panels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07400A (en) * 1949-11-25 1952-08-19 Raymond L Kuns Portable back supporting device
US4181356A (en) * 1977-01-13 1980-01-01 Henry Fleischer Folding baby carriers
GB2044086A (en) * 1979-02-10 1980-10-15 Lamondine Sa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seating arrangements
US4335893A (en) * 1979-09-28 1982-06-22 California Strolee, Inc. Foldable infant carrier
JPS5833149B2 (ja) 1980-12-02 1983-07-18 葛西株式会社 乳母車の座席
JPS5833148B2 (ja) * 1980-12-02 1983-07-18 葛西株式会社 乳母車の座席
JPS5833149A (ja) 1981-08-21 1983-02-26 Kokuritsu Kogai Kenkyusho 実験小動物用の呼気と吸気を分離し、呼気を収集する装置
US4538830A (en) * 1982-01-19 1985-09-03 Combi Co., Ltd. Baby carriage
US4500133A (en) * 1982-09-02 1985-02-19 Combi Co., Ltd. Baby chair
ES286562Y (es) * 1985-04-16 1987-01-16 Jane Cabagnero Ramon Respaldo con cabezal articulado para coches-silla infantiles
US4805928A (en) * 1986-07-23 1989-02-21 Combi Co., Ltd. Reclining mechanism of baby carriage
JPH0752778Y2 (ja) * 1990-09-20 1995-12-06 コンビ株式会社 ベビーカーのリクライニング機構
US5472224A (en) * 1992-04-04 1995-12-05 Jane, S.A. Foldable baby carriage frame and cradle seat couplable to same
TW280801B (ko) 1994-12-26 1996-07-11 Aprica Kassai K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719694A3 (en) 1996-09-25
EP0719694B1 (en) 2000-02-16
TW280801B (ko) 1996-07-11
DE69515113D1 (de) 2000-03-23
EP0878375A1 (en) 1998-11-18
CA2165500A1 (en) 1996-06-27
CN1130582A (zh) 1996-09-11
US5752738A (en) 1998-05-19
AU4052495A (en) 1996-07-04
EP0719694A2 (en) 1996-07-03
CN1057496C (zh) 2000-10-18
DE69515113T2 (de) 2000-06-21
KR0175963B1 (ko) 1999-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22057A (ko) 유모차의 좌석
JP6110520B2 (ja) 椅子
US7080887B2 (en) Chair with foldable leg rest
US3203727A (en) Vehicle roof
JP2016093536A5 (ko)
WO2006096369B1 (en) Seating with shape-changing back support frame
GB2089292A (en) Seat assembly for baby carriages
JP2004516189A (ja) 特に航空機の寝台に変換可能なシート
KR20040071606A (ko) 절첩식 유모차
US4265466A (en) Baby carriage
US5310243A (en) Headrest support assembly for recliner chair
WO2005087053A3 (fr) Structure de meuble pliable, en particulier lit escamotable
FR2649372B1 (fr) Siege a dossier reversible
KR100679496B1 (ko) 차량의 시트 메커니즘
EP1980179B1 (en) A sofa in two sections suitable to take different configurations
US5735218A (en) Desk
JP3889107B2 (ja) 座席のサスペンション装置
JPH08183460A (ja) 乳母車の座席
JP2576938B2 (ja) 車両用椅子の90度方向転換装置
US2006330A (en) Coasting sled
WO2005099518A1 (en) Mechanism for reclining chairs
KR890011732A (ko) 차량안전장치
EP0778805B1 (en) Seat height adjustment mechanism for a vehicle seat
KR0127735Y1 (ko) 등받이 록킹장치와 좌판부 부상장치를 구비한 의자
JPH0223170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00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