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5963B1 - 유모차의 좌석 - Google Patents

유모차의 좌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5963B1
KR0175963B1 KR1019950072154A KR19950072154A KR0175963B1 KR 0175963 B1 KR0175963 B1 KR 0175963B1 KR 1019950072154 A KR1019950072154 A KR 1019950072154A KR 19950072154 A KR19950072154 A KR 19950072154A KR 0175963 B1 KR0175963 B1 KR 01759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rest
head guard
core
seat
pla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721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2057A (ko
Inventor
이찌로 오니시
겐죠 갓사이
Original Assignee
겐죠 갓사이
앗프리카 갓사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32298194A external-priority patent/JP338511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32614594A external-priority patent/JP338512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00024195A external-priority patent/JP3385122B2/ja
Application filed by 겐죠 갓사이, 앗프리카 갓사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겐죠 갓사이
Publication of KR9600220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20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59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59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06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 B62B7/08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in the direction of, or at right angles to, the wheel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28Auxiliary dismountable seats ; Additional platforms for children in standing-up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12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nvertible, e.g. into children's furniture or toy
    • B62B7/123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nvertible, e.g. into children's furniture or toy from seat to b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10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 B62B9/102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zed by details of the s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10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 B62B9/102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zed by details of the seat
    • B62B9/104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zed by details of the seat with adjustable or reclining backre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10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 B62B9/102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zed by details of the seat
    • B62B9/106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zed by details of the seat with head gu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10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 B62B9/102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zed by details of the seat
    • B62B9/108Linings or cush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5/00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being foldable or dismountable when not in use
    • B62B2205/02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being foldable or dismountable when not in use foldable widthwi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5/00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being foldable or dismountable when not in use
    • B62B2205/20Catches; Locking or releasing an articulation
    • B62B2205/22Catches; Locking or releasing an articulation remotely controlled, e.g. from the handleb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20Handle bars; Handles

Abstract

본 발명에 입각한 유모차의 좌석은 긴 구멍(75)과 핀(76)과의 조합으로서 되는 연결 기구를 거쳐서 등받이 심재(9)를 등받이 유지부재(61)에 의해서 유지한다. 등받이 심재(9)가 가장 넘겨진 때에는 핀(76)이 긴 구멍(75)의 단부에 위치함으로서 등받이 심재(9)가 하방 단측에 이동되어 제어 부재(8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헤드 가드 심재(10)가 등받이 심재(9)의 이동에 의해서 세워진 상태로 강제된다.
이에 의해 등받이부가 비교적 세워진 상태에서는 헤드 가드부를 등받이부와 실질적으로 한 평면상에 줄서는 상태로 하고 등받이부가 가장 넘겨진 상태에서는 헤드 가드부를 등받이부의 상방단으로부터 세워진 상태로 하도록 된 유모차의 좌석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유모차의 좌석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좌석(1)을 갖춘 유모차(2)의 전체를 도시하는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유모차(2)의 전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등받이부(4)가 최대로 넘겨진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제3도는 제1도에 해당하는 좌석(1)의 커버 시트(7)를 제거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제4도는 제2도에 해당되는 좌석(1)의 커버 시트(7)를 제거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제5도는 제1도에 도시된 유모차(2)를 접은 상태를 나타내는 좌석(1)의 커버 시트(7)를 제거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제6도는 제3도에 도시된 좌석(1)에 관련된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제7도는 제4도에 나타낸 좌석(1)에 관련된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
제8도는 제6도의 선 Ⅷ-Ⅷ에 따라 취한 단면도.
제9도는 제6도의 선 Ⅸ-Ⅸ에 따라 취한 단면도.
제10도는 제6도에 나타낸 구성을 도시하는 유모차(2)의 접기 동작의 도중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11도는 제5도에 나타낸 유모차(2)의 좌석(1)에 관련한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
제12도는 제4도에 나타낸 유모차(2)를 부분적으로 파단 또는 생략해서 도시하는 측면도.
제13도는 등받이 심재(9)의 경사각도를 변경하기 위한 기구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등받이 심재(9)가 가장 세워 올려진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제14도는 제13도에 해당하며 등받이 심재(9)의 중간적인 경사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제15도는 제13도에 해당하는 등받이 심재(9)가 가장 넘겨진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제16도는 제13도의 주요부를 확대해서 도시한 측면도.
제17도는 제16도의 선 ⅩⅦ-ⅩⅦ에 따라 취한 단면도.
제18도는 제13도의 상태에 있는 등받이 심재(9)의 상방 단부 부근을 나타내는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유모차 4 : 등받이부
7 : 시트 9 : 등받이 심재
42 : 벨트 47, 48 : 링크
63 : 브라켓트 65, 66 : 걸어맞춤 돌기
72 : 스프링
본 발명은 유모차의 좌석에 관한 것이며, 특히 그 등받이부가 최대로 넘겨진 상태에서는 베드 모양으로 되는 좌석에 관한 것이다.
유모차의 좌석으로서는 좌부와 등받이부를 갖춘 의자형의 것이 보급되어 있다. 이와같은 좌석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부가 경사 각도 변경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일이 많다. 또, 이와 같은 등받이부의 경사 각도 변경 범위에 대해서는 좌석을 베드 모양으로 할 수가 있는 등받이부가 넘어지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모차에 관한 안전 기준에서는, 베드 모양으로 된 좌석에 대해서는 헤드 가드부를 부착할 것이 의무화되어 있다. 헤드 가드부는 유모차에 태운 유아의 머리의 상면과 대향해서 배치되는 것으로 유아가 베드 모양의 좌석으로부터 머리를 내민다든지, 나아가서는 머리로부터 미끄러진다든지 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상술된 헤드 가드부는 좌석이 베드 모양으로 되었을때만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유아의 착석감이 관점으로서는 등받이부가 비교적 일으켜 세운 상태에 있을 때까지 헤드 가드부가 유아의 머리 위에 존재하는 것은 바람직하기 않다. 따라서 등받이부가 비교적 일으켜 세워진 상태에서는 헤드 가드부가 등받이부와 실질적으로 하나의 평면 위에 줄지어, 등받이부가 베드 모양으로까지 넘어진 상태에 있어서 비로서 헤드 가드부가 유아의 머리의 상면에 대향하도록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된 요망을 충족시킬수 있는 유모차의 좌석은 예컨대 본원 출원인에 의한 일본 특공소 58-33149호 공보(특개소 57-95255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다.
상기 종래의 기술에서는 헤드 가드부의 자세를 제어하기 위해 강성의 연결 링크가 사용되어, 연결 링크의 변위량을 가이드 구멍과 거기에 이동 가능하게 받아 들여지는 가이드핀과의 조합을 갖추는 캠 기구에 의해 제어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된 가이드 구멍과 가이드 핀과의 조합을 갖춘 캠 기구는, 비교적 높은 치수 정밀도가 요구되어, 예컨대 가이드 구멍의 가공 정밀도나 캠 기구의 조립 정밀도가 나쁜 경우에는 연결 링크가 소망과 같이 동작하지 않는 일이 있다.
또한, 상술된 좌석에 갖추는 좌부, 등받이부 및 헤드 가드부는 각각 강성이 비교적 높은 재료로부터 되는 판형상의 좌심재(左芯材), 등받이 심재 및 헤드 가드 심재에 의해서 각각의 형상이 유지된다. 그리고 이들 좌심재, 등받이 심재 및 헤드 가드 심재는 가요성의 커버 시트에 의해 덮혀진다.
전술된 공보에 기재된 유모차에서는 그 폭방향에서의 접혀지기 동작이 행하여지지 않으나, 폭방향에서의 접히기 동작이 가능한 유모차에 있어서는, 그와 같은 폭방향에서의 접히기 동작을 허용하기 때문에, 상술한 좌심재 등받이 심재 및 헤드 가드 심재는 각각 유모차의 측면과 평행하게 뻗는 적어도 하나의 분할선에 의해서 분할된 복수의 좌판, 등받이판 및 헤드 가드판을 갖추는 구성으로 된다.
상술된 좌심재, 등받이 심재 및 헤드 가드 심재의 각각에 주어지는 분할 구조는 유모차의 폭방향에서의 접기 동작을 허용하기 위해 필요한 것이나, 이것이 오히려 다음과 같은 불합리를 초래한다. 즉, 유모차의 열린 상태에 있어서 좌석에 유아가 태워졌을 때, 유모차의 체중에 의해 좌심재, 등받이 심재 및 헤드 가드 심재가 분할선에 연해서 접어 굽혀져, 좌석이 그 폭방향 중앙부에 있어서 빠져드는 경향이 있다.
특히, 등받이부에 주목하면 그것이 가장 넘어진 상태에서는 비교적 세운 상태에 비해서 유아의 보다 많은 체중이 등받이부에 가해지게 된다. 그 결과 상술한 바와 같은 빠져 들어감은 특히 등받이부가 가장 넘어간 상태에 있어서 보다 현저하게 생긴다.
상술된 빠져들어가는 문제가 생겼다고 해도, 그에 의해서 유아에 미치게 되는 영향을 될 수 있는데로 작게 하기 위해 좌심재 및 등받이 심재가 각각의 해당 유모차의 측면과 평행으로 뻗는 2개의 분할선에 의해 분할된 3개의 좌판 및 3개의 등받이 판을 갖추도록 하는 것이 유효하다. 왜냐하면, 중앙의 좌판 및 중앙의 등받이 판이 각각 유아의 신체의 폭방향의 중앙에 위치해 적어도 유아의 신체의 폭방향의 중앙부에 있어서 빠져들어감이 생기는 것을 억제할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빠져들어가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술된 3개의 좌판의 이웃하는 것 서로 및 3개의 등받이판의 이웃하는 것 서로를 각각 적극적으로 힌지 접속하는 기술도 제안되어 있다. 이와 같이 3개의 좌판이 이웃하는 것 서로 및 3개의 등받이의 이웃하는 것 서로가 각각 힌지 접속된 때 유모차의 폭방향에서의 접기 동작에 응해서 좌심재 및 등받이 심재가 각각 상방 및 전방으로 접어 굽혀지도록 되어, 하방 및 후방으로의 접어굽힘이 생기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좌심재 및 등받이 심재의 각각의 하방 및 후방으로의 접어굽힘이 금지되는 것에 의해 상술한 빠져들어감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이다.
폭방향에서의 접어굽히기 동작이 가능한 유모차가 접혀 질 때, 통상 유모차의 전후 방향에서의 접기 동작도 진행된다. 이 경우 좌심재의 상면과 등받이 심재의 전면이 서로 근접하도록 좌심재와 등받이 심재가 회전된다.
그러나, 이와같은 유모차의 접기 동작에 따라 좌심재 및 등받이 심재가 각각 상상 및 전방으로 접어 굽혀짐과 함께 좌심재의 상면과 등받이 심재의 전면이 서로 근접하도록 좌심재와 등받이 심재가 회전될 때 좌심재와 등받이 심재와는 서로 간섭하게 되어, 그 결과 유모차의 원활한 접기 동작이 방해되는 일이 있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기구를 사용해서 확실하게 헤드 가드부를 동작시킬수 있는 유모차의 좌석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술된 등받이부에 있어서 빠져 들어가는 문제를 저감할수 있는 유모차의 좌석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으로 좌석의 형상을 유지하기 위해 설치된 좌심재 및 등받이 심재가 유모차의 접기 동작을 방해하지 않도록 개량된 유모차의 좌석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입각한 유모차 좌석의 하나의 특징에 의하면, 경사 각도 고정 수단은 등받이부의 회전중심과는 다른 정위치에 있는 회전중심으로서 회전 가능 또한 복수의 각도에서 고정 가능한 등받이 유지 부재를 갖춘다.
상기 등받이 유지 부재는 등받이부의 뻗는 방향으로 뻗은 장공과 장공내에 이동가능하게 받아들여지는 핀과의 조합으로 되는 연결 기구를 거쳐서 등받이부에 연결됨과 함께, 등받이부는 그 뻗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된다. 등받이부가 비교적 일으켜 세워진 상태에서 경사 각도를 바꾸는 동안은 장공내에서 핀이 이동하는 것에 의해 등받이 유지 부재의 동작이 등받이부에 전달되지 않고, 한편 등받이부가 가장 넘어져 있는 상태에서는 핀이 장공의 단부에 위치함으로써 등받이 유지부재의 동작이 등받이부에 전달되어 그에 의해서 등받이부는 그 하방단측으로 이동된다.
상술된 제어 부재는 헤드 가드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헤드 가드부와 제어 부재와의 연결점은 헤드 가드부와 등받이부와의 연결점으로부터 등받이부의 배면측에 위치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등받이부는 그 뻗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한편, 헤드 가두부와 제어 부재와의 연결점은 헤드 가드부와 등받이부와의 연결점으로부터 등받이부의 배면측에 위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상황에 있어서 헤드 가드부와 제어 부재와의 연결점을 가령 정위치에 두면서 등받이부를 그 하방 단측으로 이동시키면, 헤드 가드부는 등받이부의 상방단으로부터 일으켜 세운 상태가 되도록 회전된다.
이와같이 헤드 가드부와 제어 부재와의 연결점에 대해서 등받이부가 그 하방 단측으로 이동되는 것은 등받이부가 가장 넘어진 상태로 되려고 하는 때이다. 즉, 이 때 핀이 장공의 단부에 위치하는 것에 의해 등받이 유지 부재의 동작이 등받이 부에 전달되어, 그에 의해 등받이부가 그 하방 단측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이 때 헤드 가드부와 제어 부재와의 연결점은 실질적으로 정위치로 유지되기 때문에 상술된 바와 같이 헤드 가드부가 등받이부의 상방단으로부터 일으켜 세운 상태가 되도록 회전한다.
한편 등받이부가 비교적 일으켜 세운 상태에서 경사 각도를 바꾸는 동안은 이에 응해서 등받이 유지 부재의 경사 각도도 바뀌어 등받이부와 등받이 유지 부재와의 연결 위치에 어긋남이 생긴다. 이와같은 유지 부재의 동작이 등받이부에 전달되지 않는다. 이와같이 등받이 유지 부재의 동작이 등받이부에 전달되지 않으면 헤드 가드부에 대해서 동작이 주어지지 않으며 따라서 헤드 가드부는 등받이부와 실질적으로 한 평면 위에 정렬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와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등받이부가 비교적 일으켜 세운 상태에서 경사각도를 바꾸는 동안은 헤드 가드부는, 등받이부와 실질적으로 한 평면 위에 줄서는 상태로 유지되어, 한편 등받이부가 가장 넘겨진 상태에서는 헤드 가드부가 등받이부의 상방단으로부터 일으켜 세운 상태가 되도록 강제된 유모차의 좌석이 얻어진다. 따라서 헤드 가드부는 그 본래의 기능을 발휘하지 않으면 안 될 경우에만 그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상태가 되므로 등받이부가 비교적 일으켜 세운 상태에 있어서, 헤드 가드부가 유아의 머리 위를 덮어 씌우는 일이 없이 유아에 대해서 불쾌한 감을 주는 일이 없이 또한, 베드 모양으로 되었을 때에는 유아의 머리 상면에 대향하도록 헤드 가드부가 위치되므로 안정성이 높은 것으로 할수 있다.
또한, 상술된 바와 같이 헤드 가드부에 대해서 바람직한 동작을 주기 위한 기구는 비교적 높은 가공 정밀도나 조립 정밀도가 요구되는 캠 기구를 사용하지 않고 설계가 용이하게 됨과 함께 가공 또는 조립의 오차의 허용 범위를 비교적 크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입각한 유모차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복수의 등받이판 서로 및 복수의 헤드 가드판 서로는 각각 배면측에 있어서 힌지 접속된다. 또 각 등받이판과 각 헤드 가드판과는 각각 정면측에 있어서 힌지 접속된다.
본 발명에서는 복수의 등받이판 및 복수의 헤드 가드판은 각각 등받이부 및 헤드 가드부에 있어서 단지 줄세우는 것이 안되고 서로 힌지 접속된다. 그 결과 등받이판의 각각 및 헤드 가드판의 각각은 이웃하는 등받이판 또는 헤드 가드판에 대해서 회전될 때 이웃해 있는 것 서로간에서 움직임을 서로 규제하게 된다. 그 때문에 등받이부가 가장 넘겨져 헤드 가드부가 등받이부의 상방단으로부터 일으켜 세운 상태가 되었을 때 헤드 가드 심재는 심재의 굽힘 강도를 증가하도록 작용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등받이부가 가장 넘겨졌을 때 유아의 많은 체중이 등받이부에 가해져도 등받이부의 빠져들어감이 억제되어 유아에 대해서 바람직한 착석감을 줄 수가 있음과 함께 유아의 척추가 부자연스럽게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복수의 등받이판 서로 및 복수의 헤드 가드판 서로가 각각 힌지 접속되는 측은 배면측에 선정되어 있기 때문에 등받이부 및 헤드 가드부의 폭방향 중앙부를 전방으로 돌출시키는 접어굽힘은 용이하게 진행되나 역의 방향으로의 접어 굽힘에 대해서는 큰 저항을 줄 수가 있다. 이것도 또 유아의 체중에 의한 등받이부의 빠져들어감을 억제하는 데 기여한다. 특히 등받이부가 비교적 일으켜 세운 상태에 있어서 상기 이점이 유효하게 작용한다.
상술된 이점을 보다 완벽하게 발휘시키기 위해 복수의 등받이판 및 복수의 헤드 가드판은 실질적으로 한 평면상에 줄서는 상태로 되었을 때, 이웃하는 것 서로간에 맞부딪히는 단면을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각 등받이판과 각 헤드 가드판과를 힌지 접속하는 측이 정면측으로 되어 있으므로 헤드 가드부를 등받이부의 상대 단부로부터 일으켜 세우도록 원활히 회전시킬 수가 있다.
본 발명에 입각한 유모차의 또다른 특성에 의하면, 상기 유모차의 양측부에 위치하고 유모차의 폭방향에서의 접기 동작에 응해서 서로 근접하는 한쌍의 벨트 부착 부재 및, 한쌍의 벨트 부착 부재에 그 각 단부가 각각 부착되면서 한쌍의 벨트 부착 부재간을 가로지르는 가요성의 벨트를 또한 갖춘다. 상술된 등받이 심재의 하방단은 이 벨트로 유지된다.
유모차의 열린 상태에서는 벨트는 비교적 긴장된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따라서 등받이 심재의 하방 단부는 안정된 위치로 유지된다.
한편, 유모차가 접혀 있을 때 한쌍의 벨트 부착 부재는 서로 근접된다. 이에 의해서 벨트가 늦추어져 그 때문에 등받이 심재의 하방단이 용이하게 변위할 수 있는 상태로 된다. 따라서 심재 및 등받이 심재가 각각 상방 및 전방으로 접어 굽혀지면서, 좌심재의 상면과 등받이 심재의 전면이 서로 근접하도록 좌심재와 등받이 심재가 회전하는 것에 의해 좌심재와 등받이 심재가 서로 간섭하는 상태가 되어도 등받이 심재는 좌심재와의 간섭을 피하도록 용이하게 변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좌심재와 등받이 심재와의 간섭에 의해서 유모차의 접기 동작의 진행이 방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3개의 좌판은 각 하면측에 있어서 이웃한 것 서로가 힌지 접속됨과 함께 실질적으로 한 평면상에 줄선 상태로 되었을 때, 이웃한 것 서로간에 부딪히는 단면을 갖는다. 또한, 3개의 등받이판도 바람직하게는 각 배면측에 있어서 이웃하는 것 서로가 힌지 접속됨과 함께 실질적으로 한 평면상에 줄이 선 상태가 되었을 때 이웃하는 것 서로간에 부딪히는 단면을 갖는다. 이와같이 구성되었을 때 좌심재 및 등받이 심재가 각각 상방 및 전방으로 접어 굽혀지는 것을 가능하게 하면서 유아의 체중에 의한 전술한 빠져들어감을 보다 확실히 억제할 수 있는 유모차의 좌석을 얻을수가 있다.
[실시예]
제1도 및 제2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좌석(1)을 갖춘 유모차(2)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좌석(1)은 좌부(3)와 좌부(3)의 후방단으로부터 일으켜지고 또한 경사 각도 변경 가능하게 설치된 등받이부(4)와, 이 등받이부(4)의 상방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헤드 가드부(5)와 등받이부(4)의 양측면단부로부터 세워진 한쌍의 사이드 가드부(6)를 갖춘다. 제1도에서는 등받이부(4)가 비교적 세워진 상태이며 또한, 헤드 가드부(5)가 등받이부(4)와 실질적으로 한 평면위에 줄이선 상태에 있다. 한편, 제2도에서는 등받이부(4)가 가장 넘어진 상태에 있고 또 헤드 가드부는 등받이부(4)의 상부단으로부터 세워진 상태에 있다.
이와같은 좌석(1)의 표면은 예컨대 포목과 같은 가요성의 커버 시트(7)에 의해 주어진다. 커버 시트(7)에는 바람직하게는 적당한 쿠션재가 부가된다. 이와같은 커버 시트(7)를 제거한 상태가 제3도 및 제4도에 나타나 있다. 제3도는 제1도에 대응하고 제4도는 그 도에 대응한다. 또한 제5도는 유모차(2)를 접은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상기 도면에 있어서도 카바 시트(7)가 제거되어 있다.
좌부(3), 등받이부(4), 헤드 가드부(5) 및 사이드 가드부(6)는 각각 강성의 비교적 높은 재료로부터 된 판형상의 좌심재(8), 등받이 심재(9), 헤드 가드 심재(10) 및 사이드 가드 심재(11)를 갖추어, 이들 심재(8-11)에 의해서 각각의 형상이 유지된다. 또한 제3도 내지 제5도에서는 사이드 가드 심재(11)의 도시가 생략되어 있으나 사이드 가드 심재(11)는 제13도 내지 제18도에 있어서 가상선으로 나타나 있다.
제3도와 제5도를 대비하면 알수 있듯이 상기 유모차(2)가 접힐 때 폭방향에서의 접기 동작이 생긴다. 이와 같은 유모차(2)의 폭방향에서의 접기 동작을 허용하기 위해 좌심재(8), 등받이 심재(9) 및 헤드 가드 심재(10)는 각각 유모차(2)의 측면와 평행으로 뻗는 2개의 분할선에 의해 분할된 3개의 좌판(12-14), 3개의 등받이판(15-17) 및, 3개의 헤드 가드판(18-20)을 갖춘다. 이와같은 좌심재(8), 등받이 심재(9) 및 헤드 가드 심재(10)의 상세한 것은 제6도 내지 제11도에 도시되어 있다.
제6도는 제3도에 도시된 상태에 대응하는 상태를 나타내고, 제7도는 제4도에 도시된 상태에 대응하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제8도는 제6도의 선 Ⅷ-Ⅷ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며, 제9도는 제6도의 선 Ⅸ-Ⅸ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또한 제10도 및 제11도는 유모차(2)의 접기 동작에 응해서 주어지는 좌심재(8), 등받이 심재(9) 및 헤드 가드 심재(10)의 형태를 나타내는 것이며, 제10도는 접는 도중의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며, 제10도는 접는 도중의 상태를 나타내고, 제11도는 접은 후의 상태 즉 제5도에 나타낸 상태에 상당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3개의 좌판(12-14)의 이웃하는 것 서로, 3개의 등받이판(15-17)의 이웃하는 것 서로 및 3개의 헤드 가드판(18-20)의 이웃하는 것 서로는 각각 힌지 접속된다. 또한, 등받이판(15-17)의 각각과 헤드 가드판(18-20)의 각각과는 각각 힌지 접속된다. 이들의 힌지 접속에는 예컨대 되풀이해서 굴곡 가능한 가요성 시트 재료로서 되는 힌지접속(21-29)이 사용된다. 힌지접속(21-29)은 접착, 점착 또는 용착등의 방법에 의해 소정의 장소에 첨착된다. 또한 좌판(12-14), 등받이판(15-17) 및, 헤드 가드판(18-20)은 수지의 성형에 의해 얻어질 경우에는 이들 힌지접속(21-29)을 성형을 위해 금형내에 삽입해 두고 성형과 동시에 힌지접속(21-29)의 점착을 달성하도록 해도 된다.
힌지 접속(21 및 22)은 좌판(12-14)의 하면측에 위치된다. 힌지 접속(23 및 24)은 등받이판(15-17)의 배면측에 위치된다. 힌지 접속(25 및 26)은 헤드 가드판(18-20)의 배면측에 위치된다. 힌지 접속(27-29)은 등받이판(15-17) 및 헤드 가드판(18-20)의 정면측에 위치된다.
이와 같이 해서 좌심재(8)는 제10도 및 제1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방으로 접어 굽힐 수가 있고, 등받이 심재(9) 및 헤드 가드 심재(10)는 전방으로 접어 굽힐 수가 있다. 또한,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 가드 심재(10)는 등받이 심재(9)의 상방 단부로부터 일으켜 세운 상태로 되도록 접어 굽힐 수가 있다.
좌판(12-14)이 실질적으로 한 평면상에 줄서는 상태가 되었을 때 제8도에 잘 나타내 있는 바와 같이 서로 이웃하는 좌판(12 및 13)은 서로 맞부딪히는 단면(30 및 31)을 각각 갖고, 또한 서로 이웃하는 좌판(13 및 14)은 서로 맞부딪히는 단면(32 및 33)을 각각 갖는다. 이와 같이 해서 좌심재(8)는 제10도 및 제1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어 굽히기가 가능한데, 제8도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한 평면 위에 줄서는 상태로 되었을 때는 단면(30 및 31)서로 및, 단면(32 및 33) 서로의 맞부딪힘에 의해 그 평면 상태가 견고히 유지된다. 따라서, 좌석(1)에 태워지는 유아의 체중에 의해 좌부(3)의 중앙부가 하방으로 빠져들어가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유아에 부자연한 피로를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마찬가지의 배려가 등받이 심재(9)에도 배려되어 있다. 제9도에 잘 나타나있는 바와 같이 등받이판(15-17)이 실질적으로 한 평면 위에 줄서는 상태로 되었을 때 서로 이웃하는 등받이판(15 및 16)은 서로 맞부딪히는 단면(34 및 35)을 각각 갖고, 또한 서로 이웃하는 등받이판(16 및 17)은 서로 맞부딪히는 단면(36 및 37)을 각각 갖는다. 이와 같이 해서 등받이 심재(9)는 제10도 및 제1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어 굽힘이 가능한 데 고른 평면을 이루었을 때는 그 평면 상태가 견고히 유지된다.
마찬가지의 배려가 헤드 가드 심재(10)에도 배려되어 있다. 헤드 가드 심재(10)가 실질적으로 한 평면 위에 줄서는 상태가 되었을 때 제11도에 참조 부호를 기입한 바와 같이 서로 이웃하는 헤드 가드판(18 및 19)은 서로 맞부딪히는 단면(38 및 39)을 각각 갖고 또한, 서로 이웃하는 헤드 가드판(19 및 20)은 서로 맞부딪히는 단면(40 및 41)을 각각 갖는다.
상술된 바와 같은 단면 서로의 맞부딪힘에 의한 평면 상태의 유지는 바람직하게는 제6도에 도시된 등받이 심재(9)와 헤드 가드 심재(10)가 실질적으로 한 평면 위에 줄서는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등받이판(15-17)과 헤드 가드판(18-20)과의 사이에도 채용된다.
상술된 바와 같은 등받이 심재(9)에 관해서는 제9도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34-37)의 맞부딪힘에 의해 등받이판(15-17)이 실질적으로 한 평면 위에 줄서는 상태가 유지된다. 그러나 제2도, 제4도 및 제7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등받이부(4) 즉 등받이 심재(9)가 가장 넘겨진 상태에서는 비교적 세워진 상태에 비해서 유아의 보다 많은 체중이 등받이 심재(9)에 가해지는 결과가 된다. 때문에 등받이부(4)가 그 중앙부에 있어서 빠져들어가는 경향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그와 같은 등받이부(4)의 빠져들기는 헤드 가드 심재(10)의 존재에 의해 상당히 억제될 수가 있다.
즉, 제7도에 잘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등받이 심재(9)가 가장 넘겨졌을 때에는 헤드 가드 심재(10)는 등받이 심재(9)의 상방 단부로부터 세워진 상태로 되어 있고, 헤드 가드 심재(10)는 등받이 심재(9)의 굽힘 강도를 증가하도록 작용하고 있다. 그 결과 등받이부(4)의 빠져들기가 억제되어 유아에 대해서 바람직한 착석감을 줄 수가 있음과 함께 유아의 척추가 부자연스럽게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본 유모차(2)의 접기 동작에 따라 제10도 및 제1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심재(8) 및 등받이 심재(9)가 각각 상방 및 전방으로 접어 굽혀짐과 함께 좌심재(8)의 상면과 등받이 심재(9)의 전면이 서로 근접하도록 좌심재(8)와 등받이 심재(9)가 회전된다. 이와 같은 접기의 상황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좌심재(8)와 등받이 심재(9)는 서로 간섭하도록 동작된다. 따라서 상기 간섭을 완화하기 위한 조치가 강구되지 않으면 제5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유모차(2)의 접기 상태를 얻을수가 없다.
상기 대책을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등받이 심재(9)에 갖춘 중앙의 등받이판(16)의 하방 단부가 가요성의 벨트(42)에 의해 유지된다. 벨트(42)는 그 각 단부가 한쌍의 벨트 부착 부재(43 및 44)에 각각 부착되면서 이들 벨트 부착 부재(43 및 44)의 사이에 건네진다. 보다 상세하게는 벨트(42)는 등받이판(16)의 하방단에 설치된 2개의 슬로트(45 및 45)에 순차적으로 지나게 하는 것에 의해 등받이판(16)을 유지하는 상태로 된다. 한편, 벨트 부착 부재(43 및 44)에는 각각 벨트(42)의 각 단부에 형성된 루프모양 부분에 삽입되는 링크(47 및 48)가 형성된다.
벨트 부착 부재(43 및 44)는 유모차(2)의 양측부에 위치되어 유모차(2)의 폭 방향에서의 접기 동작에 따라 서로 근접하는 것이다. 벨트 부착 부재(43 및 44)는 각각 유모차(2)의 후방다리(49 및 50)에 부착된 앵글 부재(51' 및 52)에 부착된다. 벨트 부착 부재(43 및 44)는 각각 제8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축(53 및 54)을 유지한다. 축(53 및 54)은 각각 좌판(12 및 14)의 각 하면에 설치된 베어링부(55 및 56)내에 받아들여져 베어링부(55 및 56)내에 있어서 각각의 축선 둘레로 회전 가능하다. 축(53 및 54)의 각 전방 단부는 각각 유모차(2)의 전방다리(57 및 58)에 부착된 브라켓트(59 및 60)에 의해서 유지된다.
유모차(2)의 열린 상태에서는 벨트(42)는 비교적 긴장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따라서 등받이 심재(9)의 하방 단부는 안정된 위치에 유지된다.
유모차(2)가 접혀져 있을 때 한쌍의 벨트 부착 부재(43 및 44)는 서로 근접한다. 이에 의해서 좌심재(8) 및 등받이 심재(9)는 각각 상방 및 전방으로 접어 굽혀짐과 함께 벨트(42)가 늦추어진다. 따라서 좌심재(8)의 상면과 등받이 심재(9)의 전면이 근접하도록 좌심재(8)와 등받이 심재(9)가 회전되어 좌심재(8)가 등받이 심재(9)에 커버 시트(7)를 거쳐서 충돌했을 때 등받이 심재(9)는 그 충돌에 따라 좌심재(8)와의 간섭을 피하도록 변위된다. 그 결과 좌심재(8)와 등받이 심재(9)와의 간섭에 의해 유모차(2)의 접기 동작의 진행이 방해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상술된 바와 같은 좌심재(8)와 등받이 심재(9)와의 상대적인 움직임을 허용하기 때문에 커버 시트(7)에는 좌부(3)와 등받이부(4)와의 경계부분에 있어서 늘어짐을 갖도록 되어 있다.
등받이 심재(9)의 전방으로의 접어 굽힘 동작을 생기게 하는 기구에 대해서는 후술된다.
다음에 제6도 및 제7도에 각각 나타낸 바와 같은 등받이 심재(9) 및 헤드 가드 심재(10)의 동작을 주기 위한 기구에 대해 설명한다.
제12도는 유모차(2)의 측면도이다. 제12도에서는 유모차(2)가 부분적으로 생략 또는 파단되어서 나타내져 있다. 또한, 제12도 내지 제18도에 나타낸 각 요소는 유모차(2)의 양측부에 있어서 대칭적으로 설치되는 것이나, 이들의 도면을 참조하면서의 설명은 한쪽측에 설치되는 요소에 대해서만 행한다.
등받이부(4)의 변경된 경사 각도를 고정하기 위한 경사 각도 고정 수단으로서 등받이 유지 부재(61)가 설치된다. 등받이 유지 부재(61)는 회전중심연결점(62)을 회전중심으로서 회전 가능하게 조정 브라켓트(63)에 부착된다. 조정 브라켓트(63)는 유모차(2)의 가압봉(64) 위에 부착된다. 회전중심연결점(62)은 전술한 등받이부(4)의 회전 중심과는 다른 위치에 있다.
조정 브라켓트(63)는 제16도에 잘 나타내 있는 바와 같이 복수의 걸어맞춤 돌기(65, 66) 그리고 걸어맞춤벽(67)을 형성해 있다.
한편 등받이 유지 부재(61) 위에는 등받이 유지부(61)의 긴쪽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걸어맞춤 슬리브(68)가 설치된다. 걸어맞춤 슬리브(68)의 이동 범위는 제17도에 잘 나타내 있는 바와 같이 걸어맞춤 슬리브(68)에 유지된 회전중심연결점(69)과 이것을 받아 들이도록 등받이 유지 부재(61)에 설치된 긴쪽의 가이드 구멍(70)에 의해서 규정된다. 걸어맞춤 슬리브(68)의 한쪽단에는 상술된 걸어맞춤돌기(65 및 66)에 선택적으로 걸어맞춤하는 걸어맞춤부(71)가 설치된다. 걸어맞춤부(71)가 걸어맞춤 돌기(65 및 66)에 걸어맞춤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걸어맞춤 슬리브(68)를 가압하기 위해, 스프링(72)이 걸어맞춤 슬리브(68)의 일부와 등받이 유지 부재(61)에 고정된 당접 부재(73)와의 사이에 배치된다. 걸어맞춤 슬리브(68)의 다른쪽 단에는 스프링(72)의 탄성에 저항해서 걸어맞춤부(71)가 걸어맞춤돌기(65 및 66)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걸어맞춤 슬리브(68)를 이동시키도록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74)가 설치된다.
이와 같이해서 조작부(74)에 손가락을 건다든가 해서 스프링(72)의 탄성에 저항해서 걸어맞춤 슬리브(68)를 이동시켜 걸어맞춤부(71)를 걸어맞춤 돌기(65 및 66)로부터 떨어진 상태로 했을 때 등받이 유지 부재(61)는 회전중심연결점(62)을 중심으로 해서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제16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걸어맞춤부(71)를 걸어맞춤 돌기(65)에 걸어맞춤시켰을 때 등받이 유지 부재(61)는 제1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장 세워진 상태에서 고정된다. 또한 걸어맞춤 슬리브(68)가 걸어맞춤벽(67)에 접했을 때에는 제1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등받이 유지 부재(61)는 가장 넘어간 상태에서 고정된다.
상술된 사이드 가드 심재(11)의 하방 단부가 제16도 및 제17도에 가상도로 나타나져 있다. 사이드 가드 심재(11)의 하방 단부는 회전중심연결점(62)에 의해서 유지된다.
등받이 유지 부재(61)의 상방 단부는 제18도에 나타나 있다. 등받이 유지부재(61)는 등받이부(4)의 뻗은 방향으로 뻗은 긴 구멍(75)내에 이동 가능하게 받아들어간 핀(76)과의 조합으로부터 되는 연결 기구를 거쳐서 등받이부(4)에 연결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등받이 유지 부재(61)의 상방 단부에 핀(76)이 설치된다. 한편, 긴 구멍(75)은 등받이부(4)에 포함되는 등받이 심재(9)의 일부인 등받이판(17)의 측부에 부착된 연결 브라켓트(77)에 설치된다. 연결 브라켓트(77)는 핀(78)을 중심으로 해서 회전 가능하도록 등받이판(17)에 부착된다. 상기 핀(78)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은 상술된 제10도 및 제1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등받이 심재(9)의 접어 굽힘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또한 등받이 유지 부재(61)와 등받이 부재(4)와의 연결하기 위한 긴 구멍(75)과 핀(76)과의 조합으로부터 되는 연결 기구에 있어서, 도시의 실시예와는 역으로 긴 구멍이 등받이 유지 부재(61)측에 설치되어 핀이 등받이부(4)측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제18도에 있어서 가상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사이드 가드 심재(11)의 상방 단부는 등받이 유지 부재(61)와 연결 브라켓트(77)와의 사이에 위치되어 핀(76)에 의해서 유지된다. 따라서 사이드 가드 심재(11)는 등받이 유지 부재(61)와 일체적으로 동작한다.
제12도 내지 제16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정 브라켓트(63)에 있어서, 회전중심연결점(62)으로부터 후방에 위치되는 회전중심연결점(79)을 회전 중심으로 해서 회전하도록 제어 부재(80)가 설치된다. 제18도에는 제어 부재(80)의 상방단부가 도시되어 있다. 제어 부재(80)는 회전중심연결점(81)을 거쳐서 헤드 가드부(5)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헤드 가드부(5)에 포함되는 헤드 가드 심재(10)의 일부인 헤드 가드판(20)의 측부에 부착된 연결 브라켓트(82)에 대해서, 핀(83)을 거쳐서 헤드 가드판(20)에 연결된다. 따라서 연결 브라켓트(82)는 핀(83)을 중심으로 해서 헤드 가드판(20)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다. 상기 회전은 제10도 및 제1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헤드 가드 심재(10)의 전방으로 접어 굽힘을 허용한다.
상술된 헤드 가드부(5)와 제어 부재(80)와의 연결점 즉 회전중심연결점(81)은 헤드 가드부(5)와 등받이부(4)와의 연결점 즉 힌지 접속(27-29)에 의해서 주어지는 힌지축으로부터 등받이부(4)의 배면측에 위치된다.
등받이부(4) 보다 특정적으로는 등받이 심재(9)는 상술된 바와 같이 유모차(2)의 본체 부분에 대해서 벨트(42)를 거쳐서 유지되고, 등받이 유지 부재(61)에 대해서 긴 구멍(75)과 핀(76)과의 조합으로부터 되는 연결 기구를 거쳐서 유지되어 있기 때문에 그 뻗은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제1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받이 심재(9)가 가장 세워진 상태에서는 헤드 가드 심재(10)와 등받이 심재(9)와는 실질적으로 한 평면 위에 줄선 상태로 되어 있다. 그리고 핀(76)이 긴 구멍(75)의 한쪽단 즉 상방 단부에 위치해 있다.
다음에 제14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등받이 심재(9)는 중간적인 경사 상태를 취했을 때는 제어 부재(80)가 헤드 가드 심재(10)를 거쳐서 등받이 심재(9)를 상방으로 끌어올린다. 즉 등받이 심재(9)는 그 뻗은 방향에 있어서 상방 단측으로 이동된다. 이때 핀(76)은 긴 구멍(75)의 다른쪽 단 즉 하방 단측으로 이동할 뿐이며 등받이 유지 부재(61)의 동작은 등받이 심재(9)에는 절대 전달되지 않는다. 따라서, 헤드 가드 심재(10)는 등받이 심재(9)와 실질적으로 한 평면 위에 줄서는 상태가 유지된다.
다음에 제15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등받이 심재(9)는 가장 넘겨졌을 상태에서는 핀(76)이 긴 구멍(75)의 하방 단부에 위치해 있으므로 등받이 유지 부재(61)의 동작이 등받이 심재(9)에 전달되어 그에 의해서 등받이 심재(9)는 더욱 그 하방 당부쪽으로 이동된다. 이때 회전중심연결점(81)은 힌지 접속(27-29)이 주는 힌지축으로부터 등받이부(4)의 배면측에 위치되어 있음과 함께 회전중심연결점(81)의 위치가 제어 부재(80)에 의해서 유지되어 있기 때문에 상술된 등받이 심재(9)의 이동에 대하여 헤드 가드 심재(10)가 회전되어 등받이 심재(9)의 상방단으로부터 세워진 상태로되어진다. 이와같이 해서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헤드 가드부(5)가 등받이부(4)의 상부단으로부터 세워진 상태를 얻을 수 있다.
반대로 제15도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제13도에 나타낸 상태로 되돌렸을 때는 헤드 가드 심재(10)는 등받이 심재(9)와 실질적으로 한 평면 위에 줄선 상태로 된다. 또한 제15도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제14도에 나타낸 상태로 되돌렸을 때에는 등받이 심재(9)가 중간적인 경사 상태로 되돌려지나, 헤드 가드 심재(10)는 등받이 심재(9)의 상방단으로부터 세워진 상태가 유지되어 버린다. 따라서 제1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헤드 가드 심재(10)는 등받이 심재(9)와 실질적으로 한 평면 위에 줄서는 상태로 하기 위해서는 헤드 가드 심재(10) 즉 헤드 가드부(5)에 적접 힘을 가해서 이것을 강제적으로 회전시키는 것이 행하여 진다. 또한 일단, 제13도에 나타내는 상태로 되돌리고나서 재차 제14도에 나타낸 상태로 이행시키면 상술된 바와 같은 헤드 가드부(5)에 대한 조작은 불요하다.
이상 설명한 실시예에서는 등받이 심재(9)가 3개의 등받이 판(15-19)을 갖추고, 헤드 가드 심재(10)는 3개의 헤드 가드판(18-20)을 갖추고 있었으나 등받이 심재 및 해드 가드 심재의 각각의 분할되는 수의 임의이다.

Claims (25)

  1. 좌부(3)와, 상기 좌부(3)의 후방 단부로부터 세워지고 또한 경사각도가 변경 가능하게 설치된 등받이부(4)와, 상기 등받이부(4)의 상방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헤드 가드부(5)를 구비하고, 등받이부(4)가 비교적 세워진 상태에서는 상기 등받이부(4)와 헤드 가드부(5)와는 실질적으로 한 평면 위에 줄서는 상태로 되고, 상기 등받이부(4)가 가장 넘겨진 상태에서는 헤드 가드부(50)는 등받이부의 상방 단부로부터 세워진 상태로 되며, 상기 좌부(3), 등받이부(4) 및 헤드 가드부(5)는 각각 강성이 비교적 높은 재료로서 되는 판형상의 좌심재(8), 등받이 심재(9) 및 헤드 가드 심재(10)에 의해서 각각의 형상이 유지되며, 상기 유모차의 폭방향에서의 접기 동작을 허용하기 위해 좌심재(8), 등받이 심재(9) 및 헤드 가드 심재(10)는 각각 유모차의 측면과 평행으로 뻗는 적어도 하나의 분할선에 의해서 분할된 복수의 좌판(12, 13, 14), 등받이판(15, 16, 17) 및, 복수의 헤드 가드판(18, 19, 2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의 좌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부(4)의 변경된 경사 각도를 고정하기 위한 경사 각도 고정 수단과, 등받이부(4)가 비교적 세워진 상태에서는 헤드 가드부(5)를 등받이부(4)와 실질적으로 한 평면 위에 줄선 상태로 하고 한편, 등받이부가 가장 넘어간 상태에서는 헤드 가드부(5)를 등받이부(4)의 상방 단부로부터 세운 상태가 되도록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경사 각도 고정 수단은 상기 등받이부(4)의 회전 중심과는 다른 정위치에 있는 회전중심 연결점(62)을 중심으로 해서 회전 가능하고 복수의 각도로 고정 가능한 등받이 유지 부재(61)를 구비하며, 상기 등받이 유지 부재(61)는 등받이부의 뻗는 방향으로 뻗은 긴 구멍(75)과 긴 구멍(75)내에 이동 가능하게 받아들여지는 핀(76)과의 조합으로부터 되는 연결기구를 거쳐서 등받이부(4)에 연결됨과 함께, 등받이부(4)는 그 뻗은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등받이부(4) 비교적 세워진 상태에서 경사 각도를 바꾸는 동안은 긴 구멍(75)내에서 핀(76)이 이동하는 것에 의해 등받이 유지 부재(61)의 동작이 상기 등받이부(4)에 전달되지 않고 한편 등받이부(4)가 가장 넘겨진 상태에서는 상기 핀(76)은 긴 구멍(75)의 단부에 위치하는 것에 의해 등받이 유지 부재(61)의 동작이 등받이부(4)에 전달되어 그에 의해서 상기 등받이부(4)는 그 하방 단부쪽으로 이동되며, 상기 제어 수단은 등받이 유지 부재(61)의 회전중심 연결점(62)으로부터 후방의 정위치에 있는 회전중심 연결점(79)을 중심으로 해서 회전 가능한 제어 부재(80)구 구비하며, 상기 제어 부재는 헤드 가드부(5)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헤드 가드부(5)와 상기 제어 부재(80)와의 회전중심연결점(81)은 헤드 가드부(5)와 등받이부(4)와의 연결점으로부터 등받이부(4)의 배면측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의 좌석.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등받이판(15, 16, 17) 서로 및 상기 복수의 헤드 가드판(18, 19, 20) 서로는 각각 배면측에서 힌지 접속(23, 24, 25, 26)되고, 상기 각 등받이판(15, 16, 17)과 상기 각 헤드 가드판(18, 19, 20)은 각각 정면측에서 힌지 접속(27, 28, 29)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의 좌석.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등받이판(15, 16, 17) 서로 및 상기 복수의 헤드 가드판(18, 19, 20)은 실질적으로 한 평면 위에 줄서는 상태로 되었을 때, 서로 이웃하는 것 서로가 맞부딪히는 단면(30, 31, 32, 33, 34, 35, 36, 37)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의 좌석.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모차의 폭방향에서의 접기 동작을 허용하기 위하여 상기 좌심재(8) 및 등받이 심재(9)는 상기 각각의 유모차의 측면과 평행으로 뻗는 2개의 분할선에 의해 분할된 3개의 좌판(12, 13, 14) 및 3개의 등받이판(15, 16, 17)을 구비함과 함께 상기 3개의 좌판(12, 13, 14)의 서로 이웃하는 것 서로와 상기 3개의 등받이판(15, 16, 17)의 서로 이웃하는 것 서로는 각각 힌지 접속(21, 22, 23, 24)되고, 상기 유모차의 접기 동작에 따라서 좌심재(8) 및 등받이 심재(9)가 각각 상방 및 전방으로 절곡됨과 함께, 상기 좌심재(8)의 상면과 등받이 심재(9)의 전면이 서로 근접하도록 좌심재(8)와 등받이 심재(9)가 회전되며, 상기 유모차의 양측부에 위치하고 또한 유모차의 폭방향에서의 접기 동작에 따라서 서로 근접하는 한쌍의 벨트 부착 부재(43, 44) 및, 상기 한쌍의 벨트 부착 부재(43, 44)에 그 각 단부가 각각 부착되면서 상기 한쌍의 벨트 부착 부재사이에 건네지는 가요성의 벨트(42)를 구비하며, 상기 등받이 심재(9)의 하방단은 상기 벨트(42)에 유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의 좌석.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3개의 좌판(12, 13, 14)은 각 하면측에서 서로 이웃하는 것 서로가 힌지 접속(21)되어 있음과 함께, 실질적으로 한 평면상에 줄서는 상태로 되었을 때, 서로 이웃하는 것 서로가 맞부딪히는 단면(30, 31, 32, 33)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의 좌석.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3개의 좌판(15, 16, 17)은 각각의 배면측에서 서로 이웃하는 것 서로가 힌지 접속(23, 24)되어 있음과 함께, 실질적으로 한 평면상에 줄서는 상태로 되었을 때, 서로 이웃하는 것 서로가 맞부딪히는 단면(34, 35, 36, 37)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의 좌석.
  8. 좌부(3)와, 상기 좌부(3)의 후방 단부로부터 세워지고 또한 경사각도 변경 가능하게 설치된 등받이부(4)와, 상기 등받이부(4)의 상방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헤드 가드부(5)와, 상기 등받이부(4)의 변경된 경사 각도를 고정하기 위한 경사 각도 고정 수단과, 상기 등받이부(4)가 비교적 세워진 상태에서는 헤드 가드부(5)를 등받이부(4)와 실질적으로 한 평면상에 줄서는 상태로 하고, 한편 등받이부가 가장 넘겨진 상태에서는 헤드 가드부(5)를 등받이부(4)의 상방 단부로부터 세워진 상태로 되도록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갖는 유모차의 좌석에 있어서, 상기 경사 각도 고정 수단은 상기 등받이부(4)의 회전 중심과는 다른 정위치에 있는 회전중심 연결점(62)을 중심으로 해서 회전 가능하고 복수의 각도로 고정 가능한 등받이 유지 부재(61)를 구비하고, 상기 등받이 유지 부재(61)는 등받이부의 뻗는 방향으로 뻗은 긴 구멍(75)과 긴 구멍(75)내에 이동 가능하게 받아들여지는 핀(76)과의 조합으로부터 되는 연결 기구를 거쳐서 상기 등받이부(4)에 연결됨과 함께 등받이부(4)는 그 뻗은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등받이부(4)가 비교적 세워진 상태에서 경사 각도를 변하는 동안은 상기 긴 구멍(75)내에서 상기 핀(76)이 이동하는 것에 의해 등받이 유지부재(61)의 동작이 등받이부(4)에 전달되지 않고, 한편 상기 등받이부(4)가 가장 넘겨진 상태에서는 핀(76)이 긴 구멍(75)의 단부에 위치하는 것에 의해서 등받이 유지부재(61)의 동작이 등받이부(4)에 전달되어 그에 의해서 등받이부(4)는 그 하방단부쪽으로 이동되고, 상기 제어 수단은 등받이 유지 부재(61)의 회전중심 연결점(62)보다 후방의 정위치에 있는 회전중심 연결점(79)을 중심으로 해서 회전 가능한 제어 부재(80)를 갖추고, 상기 제어 부재는 헤드 가드부(5)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헤드 가드부(5)와 제어 부재(80)와의 회전중심연결점(81)은 상기 헤드 가드부(5)와 상기 등받이부(4)와의 연결점보다 등받이부(4)의 배면측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의 좌석.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부(4) 및 상기 헤드 가드부(5)는 각각 강성이 비교적 높은 재료로서 되는 판형상의 등받이 심재(9) 및 헤드 가드 심재(10)에 의해서 각각의 형상이 유지되며, 상기 유모차의 폭방향에서의 접기 동작을 허용하기 위해 상기 등받이 심재(9) 및 상기 헤드 가드 심재(10)는 각각 유모차의 측면과 평행으로 뻗은 적어도 하나의 분할선에 의해서 분할된 복수의 등받이판(15, 16, 17) 및 복수의 헤드 가드(18, 19, 20)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등받이판(15, 16, 17) 서로와 복수의 헤드 가드판(18, 19, 20) 서로는 각각 배면측에서 힌지 접속(23, 24, 25, 26)되며, 상기 각 등받이판(15, 16, 17)과 상기 헤드 가드판(18, 19, 20)은 각각 정면측에서 힌지 접속(27, 28, 29)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의 좌석.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등받이판(15, 16, 17) 및 복수의 헤드 가드판(18, 19, 20)은 실질적으로 한 평면 위에 줄서는 상태로 되었을 때, 서로 이웃하는 것 서로가 맞부딪히는 단면(30, 31, 32, 33, 34, 35, 36, 37)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의 좌석.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부(3) 및 등받이부(4)는 각각 강성이 비교적 높은 재료로부터 되는 판형상의 좌심재(8) 및 등받이 심재(9)에 의해서 각각의 형상이 유지되고, 상기 유모차의 폭방향에서의 접기 동작을 허용하기 위해 상기 좌심재(8) 및 등받이 심재(9)는 각각 유모차의 측면과 평행으로 뻗는 2개의 분할선에 의해 분할된 3개의 좌판(12, 13, 14) 및 3개의 등받이판(15, 16, 17)을 갖춤과 함께, 상기 3개의 좌판(12, 13, 14)의 서로 이웃하는 것 서로 및 상기 3개의 등받이판(15, 16, 17)의 서로 이웃하는 것 서로는 각각 힌지 접속(21, 22, 23, 24)되며, 상기 유모차의 접기 동작에 따라 좌심재(8) 및 등받이 심재(9)는 각각 상방 및 전방으로 접어 굽혀짐과 함께 좌심재(8)의 상면과 상기 등받이 심재(9)의 전면이 서로 근접하도록 상기 좌심재(8)와 상기 등받이 심재(9)가 회전되는 유모차의 좌석이며, 상기 유모차의 양측부에 위치하고 또한 유모차의 폭방향에서의 접기 동작에 따라서 서로 근접하는 한쌍의 벨트 부착 부재(43, 44) 및, 상기 한쌍의 벨트 부착 부재(43, 44)에 그 각 단부가 각각 부착되면서 상기 한쌍의 벨트 부재 사이에 건네지는 가요성의 벨트(42)를 갖추고, 상기 등받이 심재(9)의 하방 단부는 벨트(42)에 유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의 좌석.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3개의 좌판(12, 13, 14)은 각 하면측에서 서로 이웃하는 것 서로가 힌지 접속(21)되어 있음과 함께, 실질적으로 한 평면위에 줄서는 상태로 되었을 때, 서로 이웃하는 것 서로가 맞부딪히는 단면(30, 31, 32, 33)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의 좌석.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3개의 등받이판(15, 16, 17)은 각 배면측에서 서로 이웃하는 것 서로가 힌지 접속(23, 24)되어 있고, 실질적으로 한 평면위에 줄서는 상태로 되었을 때, 서로 이웃하는 것 서로가 맞부딪히는 단면(34, 35, 36, 37)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의 좌석.
  14. 좌부(3)와, 상기 좌부(3)의 후방 단부로부터 세워지고 또한 경사각도 변경 가능하게 설치된 등받이부(4)와, 상기 등받이부(4)의 상방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헤드 가드부(5)를 구비하고, 상기 등받이부(4)가 비교적 세워진 상태에서는 상기 등받이부(4)와 상기 헤드 가드부(5)는 실질적으로 한 평면상에 줄서는 상태로 되고, 한편 등받이부(4)가 가장 넘겨진 상태에서는 상기 헤드 가드부(5)는 상기 등받이부의 상방 단부로부터 세워진 상태로 되며, 상기 등받이부(4) 및 헤드 가드부(5)는 각각 강성의 비교적 높은 재료로부터 되는 판형상의 등받이 심재(9) 및 헤드 가드 심재(10)에 의해서 각각의 형상이 유지되고, 상기 유모차의 폭방향에서의 접기 동작을 허용하기 위해 상기 등받이 심재(9) 및 상기 헤드 가드 심재(10)는 각각 상기 유모차의 측면과 평행으로 뻗은 적어도 하나의 분할선에 의해서 분할된 복수의 등받이판(15, 16, 17) 및 복수의 헤드 가드판(18, 19, 20)을 구비하는 유모차의 좌석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등받이판(15, 16, 17) 서로 및 상기 복수의 헤드 가드판(18, 19, 20) 서로는 각각 배면측에서 힌지 접속(23, 24, 25, 26)되며, 상기 각 등받이판(15, 16, 17)과 상기 각 헤드 가드판(18, 19, 20)은 각각 정면측에 있어서 힌지 접속(27, 28, 29)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의 좌석.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등받이판(15, 16, 17) 및 상기 복수의 헤드 가드판(18, 19, 20)은 실질적으로 한 평면 위에 줄서는 상태로 되었을 때 서로 이웃하는 것 서로가 맞부딪히는 단면(30, 31, 32, 33, 34, 35, 36, 37)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의 좌석.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부(4)의 변경된 경사 각도를 고정하기 위한 경사 각도 고정 수단과, 상기 등받이부(4)가 비교적 세워진 상태에서는 상기 헤드 가드부(5)를 상기 등받이부(4)의 상방 단부로부터 세워진 상태로 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경사 각도 고정 수단은 상기 등받이부(4)의 회전 중심과는 다른 정위치에 있는 회전중심연결점(62)을 중심으로 해서 회전 가능하고 복수의 각도로 고정 가능한 등받이 유지 부재(61)를 구비하고, 상기 등받이 유지 부재(61)는 상기 등받이부가 뻗는 방향으로 뻗은 긴 구멍(75) 상기 긴 구멍(75)내로 이동 가능하게 받아들여지는 핀(76)과의 조합으로부터 되는 연결 기구를 거쳐서 상기 등받이부(4)에 연결됨과 함께 상기 등받이부(4)는 그 뻗은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상기 등받이부(4)가 비교적 세워진 상태에서 경사 각도를 변하는 동안은 상기 긴 구멍(75)내에서 상기 핀(76)이 이동하는 것에 의해서 상기 등받이 유지 부재(61)의 동작이 상기 등받이부(4)에 전달되지 않고, 한편 상기 등받이부(4)가 가장 넘겨진 상태에서는 상기 핀(76)이 상기 긴 구멍(75)의 단부에 위치하는 것에 의해 상기 등받이 유지 부재(61)의 동작이 상기 등받이부(4)에 전달되어 그에 의해서 상기 등받이부(4)는 그 하방 단부측으로 이동되며,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등받이 유지 부재(61)의 회전중심연결점(62)으로부터 후방의 정위치에 있는 회전중심연결점(79)을 중심으로 해서 회전 가능한 제어 부재(80)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 부재는 상기 헤드 가드부(5)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헤드 가드부(5)와 상기 제어 부재(80)와의 회전중심연결점(81)은 상기 헤드 가드부(5)와 등받이부(4)와의 연결점보다 상기 등받이부(4)의 배면측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의 좌석.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좌부(3)는 강성이 비교적 높은 재료로부터 되는 판형상의 좌심재(8)에 의해서 각각의 형상이 유지되며, 상기 유모차의 폭방향에서의 접기 동작을 허용하기 위해 상기 좌심재(8) 및 등받이 심재(9)는 각각 유모차의 측면과 평행으로 뻗는 2개의 분할선에 의해 분할된 3개의 좌판(12, 13, 14) 및 3개의 등받이판(15, 16, 17)을 갖춤과 함께, 상기 3개의 좌판(12, 13, 14)의 서로 이웃하는 것 서로 및 상기 3개의 등받이판(15, 16, 17)의 서로 이웃하는 것 서로는 각각 힌지 접속(21, 22, 23, 24)되며, 상기 유모차의 접기 동작에 따라 좌심재(8) 및 등받이 심재(9)는 각각 상방 및 전방으로 접어 굽혀짐과 함께 좌심재(8)의 상면과 상기 등받이 심재(9)의 전면이 서로 근접하도록 상기 좌심재(8)와 상기 등받이 심재(9)가 회전되고, 상기 유모차의 양측부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유모차의 폭방향에서의 접기 동작에 응해서 서로 근접하는 한쌍의 벨트 부착 부재(43, 44) 및, 상기 한쌍의 벨트 부착 부재(43, 44)에 그 각 단부가 각각 부착되면서 상기 한쌍의 벨트 부재간에 건네지는 가요성의 벨트(42)를 구비하고, 상기 등받이 심재(9)의 하방 단부는 상기 벨트(42)에 유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의 좌석.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3개의 좌판(12, 13, 14)은 각 하면측에서 서로 이웃하는 것 서로가 힌지 접속(21)되어 있음과 함께, 실질적으로 한 평면위에 줄서는 상태로 되었을 때, 서로 이웃하는 것 서로가 맞부딪히는 단면(30, 31, 32, 33)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의 좌석.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3개의 등받이판(15, 16, 17)은 각 배면측에서 서로 이웃하는 것 서로가 힌지 접속(23, 24)되어 있고, 실질적으로 한 평면위에 줄서는 상태로 되었을 때, 서로 이웃하는 것 서로가 맞부딪히는 단면(34, 35, 36, 37)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의 좌석.
  20. 좌부(3)와, 상기 좌부의 후방단으로부터 세워진 등받이부(4)를 갖추고, 상기 좌부(3) 및 상기 등받이부(4)는 각각 강성이 비교적 높은 재료로서 되는 판형상의 좌심재(8) 및 등받이 심재(9)에 의해서 각각의 형상이 유지되고, 상기 유모차의 폭방향에서의 접기 동작을 허용하기 위해 상기 좌심재(8) 및 상기 등받이 심재(9)는 각각 상기 유모차의 측면과 평행으로 뻗는 2개의 분할선에 의해 분할된 3개의 좌판(12, 13, 14) 및 3개의 등받이판(15, 16, 17)을 갖춤과 함께, 상기 3개의 좌판(12, 13, 14)의 서로 이웃하는 것 서로 및 상기 3개의 등받이판(15, 16, 17)의 서로 이웃하는 것 서로는 각각 힌지 접속(21, 22, 23, 24)되어, 상기 유모차의 접기 동작에 응해서 상기 좌심재(8) 및 상기 등받이 심재(9)가 각각 상방 및 전방으로 접어 굽혀짐과 함께 상기 좌심재(8)의 상면과 상기 등받이 심재(9)의 전면이 서로 근접하도록 상기 좌심재(8)와 상기 등받이 심재(9)가 회전되는 상기 유모차의 좌석이며, 상기 유모차의 양측부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유모차의 폭방향에서의 접기 동작에 응해서 서로 근접하는 한쌍의 벨트 부착 부재(43, 44) 및, 상기 한쌍의 벨트 부착 부재(43, 44)에 그 각 단부가 각각 부착되어지면서 상기 한쌍의 벨트 부재간에 건네지는 가요성의 벨트(42)를 갖추고, 상기 등받이 심재(9)의 하방단이 상기 벨트(42)에 유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의 좌석.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3개의 좌판(12, 13, 14)은 각 하면측에서 서로 이웃하는 것 서로가 힌지 접속(21)되어 있음과 함께, 실질적으로 한 평면상에 줄서는 상태로 되었을 때, 서로 이웃하는 것 서로가 맞부딪히는 단면(30, 31, 32, 33)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의 좌석.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3개의 등받이판(15, 16, 17)은 각 배면측에서 서로 이웃하는 것 서로가 힌지 접속(23, 24)되어 있고, 실질적으로 한 평면위에 줄서는 상태로 되었을 때, 서로 이웃하는 것 서로가 맞부딪히는 단면(34, 35, 36, 37)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의 좌석.
  23.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부(4)는 상기 좌부(3)의 후방단으로부터 세워지고 또한 경사 각도 변경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등받이부(4)의 상방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헤드 가드부(5)와, 상기 등받이부(4)의 변경된 경사 각도를 고정하기 위한 경사 각도 고정 수단과, 상기 등받이부(4)가 비교적 세워진 상태에서는 상기 헤드 가드부(5)를 상기 등받이부(4)와 실질적으로 한 평면상에 줄서는 상태로 하고 한편, 상기 등받이부가 가장 넘겨진 상태에서는 상기 헤드 가드부(5)를 상기 등받이부(4)의 상방단으로부터 세워진 상태로 되도록 제어하는 제어 수단과를 또한 갖추고, 상기 경사 각도 고정 수단은 상기 등받이부(4)의 회전 중심과는 다른 정위치에 있는 회전중심연결점(62)을 중심으로 해서 회전 가능 및 부수의 각도로 고정 가능한 등받이 유지 부재(61)를 갖추고, 상기 등받이 유지 부재(61)는 상기 등받이부의 뻗은 긴 구멍(75) 상기 긴 구멍(75)내에 이동 가능하게 받아들여지는 핀(76)과의 조합으로부터 되는 연결 기구를 거쳐서 상기 등받이부(4)에 연결됨과 함께 상기 등받이부(4)는 그 뻗은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되어 상기 등받이부(4)가 비교적 세워진 상태에서 경사 각도를 변하는 동안은 상기 긴 구멍(75)내에서 상기 핀(76)이 이동하는 것에 의해 상기 등받이 유지 부재(61)의 동작이 상기 등받이부(4)에 전달되지 않고, 한편 상기 등받이부(4)가 가장 넘겨진 상태에서는 상기 핀(76)이 상기 긴 구멍(75)의 단부에 위치함으로서 상기 등받이 유지 부재(61)의 동작이 상기 등받이부(4)에 전달되어 그에 의해서 상기 등받이부(4)는 그 하방 단부측으로 이동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등받이 유지 부재(61)의 회전중심연결점(62)으로부터 후방의 정위치에 있는 회전중심연결점(79)을 중심으로 해서 회전 가능한 제어 부재(80)를 갖추고, 상기 제어 부재는 상기 헤드 가드부(5)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헤드 가드부(5)와 상기 제어 부재(80)와의 회전중심연결점(81)은 상기 헤드 가드부(5)와 등받이부(4)와의 연결보다 상기 등받이부(4)의 배면측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의 좌석.
  24.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부는 상기 좌부(3)의 후방단으로부터 세워지고 또한 경사 각도 변경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등받이부(4)의 상방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헤드 가드부(5)를 또한 갖추고, 상기 등받이부(4)가 세워진 상태에서는 상기 등받이부(4)와 상기 헤드 가드부(5)와는 실질적으로 한 평면상에 줄선 상태로 되는 한편, 등받이부(4)가 가장 넘겨진 상태에서는 상기 헤드 가드부(5)는 상기 등받이부의 상방단으로부터 세워진 상태로 되고, 상기 헤드 가드부(5)는 강성이 비교적 높은 재료로부터 되는 판형상의 등받이 심재(9) 및 헤드 가드 심재(10)에 의해서 각각의 형상이 유지되고, 상기 유모차의 폭방향에서의 접기 동작을 허용하기 위해 상기 헤드 가드 심재(10)는 각각 상기 유모차의 측면과 평행으로 뻗는 적어도 하나의 분할선에 의해 분할된 복수의 헤드 가드판(18, 19, 20)을 또한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등받이판(15, 16, 17) 서로 및 상기 복수의 헤드 가드판(18, 19, 20) 서로는 각각 배면측에서 힌지 접속(23, 24, 25, 26)되어 각 상기 등받이판(15, 16, 17)과 각 상기 헤드 가드판(18, 19, 20)과는 각각 정면측에서 힌지 접속(27, 28, 29)되는 것을 특지응로 하는 유모차의 좌석.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등받이판(15, 16, 17) 및 상기 복수의 헤드 가드판(18, 19, 20)은 실질적으로 한 평면상에 줄서는 상태로 되었을 때 서로 이웃하는 것 서로가 맞부딪히는 단면(30, 31, 32, 33, 34, 35, 36, 37)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의 좌석.
KR1019950072154A 1994-12-26 1995-12-26 유모차의 좌석 KR01759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2298194A JP3385118B2 (ja) 1994-12-26 1994-12-26 乳母車の座席
JP94-322981 1994-12-26
JP32614594A JP3385120B2 (ja) 1994-12-27 1994-12-27 乳母車の座席
JP94-326145 1994-12-27
JP00024195A JP3385122B2 (ja) 1995-01-05 1995-01-05 乳母車の座席
JP95-241 1995-01-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2057A KR960022057A (ko) 1996-07-18
KR0175963B1 true KR0175963B1 (ko) 1999-04-15

Family

ID=27274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72154A KR0175963B1 (ko) 1994-12-26 1995-12-26 유모차의 좌석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5752738A (ko)
EP (2) EP0719694B1 (ko)
KR (1) KR0175963B1 (ko)
CN (1) CN1057496C (ko)
AU (1) AU4052495A (ko)
CA (1) CA2165500A1 (ko)
DE (1) DE69515113T2 (ko)
TW (1) TW28080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80801B (ko) 1994-12-26 1996-07-11 Aprica Kassai Kk
CA2421859A1 (en) * 1996-10-11 1998-04-23 Wheelchair Carrier, Inc. Lightweight motorized wheelchair
US5887946A (en) * 1997-01-03 1999-03-30 Raftery Design, Inc. Chair with movable back support
US6331013B2 (en) * 1998-09-10 2001-12-18 Wheelchair Carrier, Inc. Lightweight motorized wheelchair
JP4416881B2 (ja) * 1999-10-12 2010-02-17 コンビ株式会社 ベビーカーの折畳み操作装置
US6386575B1 (en) * 2000-08-10 2002-05-14 Convaid Products, Inc. Mobile seat arrangement
GB0022104D0 (en) * 2000-09-08 2000-10-25 Crisp David Collapsible pushchair/carrier
AU729732B3 (en) * 2000-11-29 2001-02-08 Hsiao-Hui Wang Foldable seat frame for a foldable stroller
JP3939537B2 (ja) * 2001-02-15 2007-07-04 コンビ株式会社 ベビーカー
US6616367B2 (en) * 2001-06-20 2003-09-09 Pao-Hsien Cheng Position adjusting means for a back of a stroller
JP4937473B2 (ja) * 2001-08-09 2012-05-23 コンビ株式会社 ベビーカーの折り畳み操作装置
JP4990451B2 (ja) * 2001-08-30 2012-08-01 コンビ株式会社 3つ折りタイプのベビーカー
SG109989A1 (en) * 2001-09-19 2005-04-28 Combi Co Stroller
JP3986826B2 (ja) * 2002-01-15 2007-10-03 コンビ株式会社 リクライニング機構付ベビーカー
JP2003259934A (ja) 2002-03-07 2003-09-16 Aprica Kassai Inc 座席構造
JP3766821B2 (ja) * 2002-06-05 2006-04-19 アップリカ育児研究会アップリカ▲葛▼西株式会社 育児器具
WO2003104060A1 (ja) * 2002-06-05 2003-12-18 アップリカ葛西株式会社 乳母車
JP3967243B2 (ja) * 2002-09-30 2007-08-29 アップリカ育児研究会アップリカ▲葛▼西株式会社 乳母車
JP4184761B2 (ja) * 2002-11-11 2008-11-19 グラコ・チルドレンズ・プロダクツ・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折畳式乳母車
DE20220024U1 (de) * 2002-12-20 2003-03-20 Beger Udo Zusammenklappbarer Schiebewagen für Kinder und/oder Puppen
JP3981023B2 (ja) * 2003-01-28 2007-09-26 アップリカ育児研究会アップリカ▲葛▼西株式会社 乳母車の座席ハンモック
JP3981027B2 (ja) 2003-01-30 2007-09-26 アップリカ育児研究会アップリカ▲葛▼西株式会社 育児器具の座席ハンモック
JP3967271B2 (ja) * 2003-02-04 2007-08-29 アップリカ育児研究会アップリカ▲葛▼西株式会社 折畳式乳母車
JP4299016B2 (ja) * 2003-02-04 2009-07-22 グラコ・チルドレンズ・プロダクツ・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折畳式乳母車
US6896326B2 (en) * 2003-04-24 2005-05-24 Wonderland Nurserygoods Co., Ltd Rest apparatus for infants with backrest and headrest cooperation mechanism
US7293784B2 (en) * 2003-07-25 2007-11-13 Ming-Tang Liu Adjustable computer case support
US7686322B2 (en) * 2004-04-30 2010-03-30 Chicco Usa, Inc. Foldable stroller with memory recline
JP4823592B2 (ja) * 2005-07-12 2011-11-24 コンビ株式会社 ベビーカー用クッション
JP4757594B2 (ja) * 2005-09-30 2011-08-24 コンビ株式会社 ベビーカー
JP2007098996A (ja) * 2005-09-30 2007-04-19 Combi Corp ベビーカーの手押し杆
KR101368447B1 (ko) * 2005-09-30 2014-02-28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유모차
US20070145723A1 (en) * 2005-11-29 2007-06-28 Kamara Jemimah G Vertically adjustable folding wheelchair
US20090102149A1 (en) * 2007-10-22 2009-04-23 Graco Children's Products Inc. Foldable pushcart and foldable baby carriage
WO2009059276A1 (en) * 2007-11-01 2009-05-07 Chicco Usa, Inc. Folding stroller actuating system
US8152231B2 (en) * 2008-02-28 2012-04-10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Collapsible seat and system
US8100429B2 (en) 2008-03-31 2012-01-24 Artsana Usa, Inc. Three dimensional folding stroller with infant carrier attachment and one hand actuated seat recline
US8240700B2 (en) * 2008-08-15 2012-08-14 Artsana Usa, Inc. Stroller with travel seat attachment
CN102317138B (zh) * 2008-08-15 2013-11-20 雅沙娜美国股份有限公司 婴儿车
CN101722975B (zh) * 2008-10-23 2012-09-05 明门香港股份有限公司 具有多向使用状态的婴儿承载装置
JP5602410B2 (ja) * 2008-12-18 2014-10-08 アップリカ・チルドレンズプロダクツ株式会社 座席構造
CN102803046B (zh) * 2009-06-12 2015-10-21 康贝株式会社 童车
USD636300S1 (en) 2009-08-14 2011-04-19 Artsana Usa, Inc. Stroller
CN102030026B (zh) * 2009-09-24 2012-10-31 明门香港股份有限公司 具有双向使用状态的婴儿承载装置及其操作方法
US20110175309A1 (en) * 2010-01-15 2011-07-21 Chicco Usa, Inc. Stroller basket
US20110175306A1 (en) * 2010-01-19 2011-07-21 Chicco Usa, Inc. Reclinable stroller seat
CN102133901B (zh) * 2010-01-26 2013-06-05 明门香港股份有限公司 婴儿车及其头靠调整机构
USD722541S1 (en) 2010-10-08 2015-02-17 Baby Trend Inc. Double stroller
US8646802B2 (en) 2010-10-08 2014-02-11 Baby Trend Inc. Stroller with a receiving frame and support straps for receiving a car seat
USD654405S1 (en) * 2010-10-08 2012-02-21 Baby Trend Inc. Stroller
US8641077B2 (en) 2010-10-08 2014-02-04 Baby Trend Inc. Stroller with a receiving frame and support straps for receiving car seats
USD651140S1 (en) 2010-12-20 2011-12-27 Artsana Usa, Inc. Stroller frame tubing
US8955855B2 (en) * 2011-01-03 2015-02-17 Radio Flyer Inc. Infant wagon
CN102180190B (zh) * 2011-04-13 2012-09-26 苏州威凯儿童用品有限公司 可单双人转换的婴儿推车
CN103359145B (zh) * 2012-04-05 2015-12-02 明门香港股份有限公司 婴儿车及婴儿乘坐装置
CN102632916B (zh) * 2012-04-16 2014-07-02 中山市隆成日用制品有限公司 可转换座向及型态的双座婴儿车
JP6017184B2 (ja) * 2012-05-29 2016-10-26 コンビ株式会社 ベビーカー
CN103847779B (zh) * 2012-12-05 2016-04-06 陈小磊 一种多功能儿童车
CN103507846B (zh) * 2013-09-05 2016-04-13 好孩子儿童用品有限公司 儿童推车
CN105564489B (zh) * 2014-10-10 2018-04-13 明门香港股份有限公司 婴儿承载装置及婴儿推车
CN105857381B (zh) * 2015-01-21 2018-03-13 明门香港股份有限公司 具有锁定机构的婴儿承载装置
US9855964B2 (en) * 2016-02-29 2018-01-02 Wonderland Switzerland Ag Stroller frame
NL2016451B1 (nl) * 2016-03-17 2017-10-05 Mutsy Bv Inrichting voor het vervoeren van een kind, en kinderzitje
CN105774883B (zh) * 2016-04-29 2017-12-29 辽宁科技大学 一种可折叠式多用婴幼儿车
CN108313109B (zh) * 2017-01-16 2023-07-25 珠海阳光儿童用品有限公司 一种婴儿车车架及婴儿车
CN207328549U (zh) * 2017-08-10 2018-05-08 中山市西区青原贸易代理服务部 婴儿车车架
DE202017106245U1 (de) * 2017-10-16 2017-11-09 Cybex Gmbh Kinderwagensitz und Kinderwagen-System
US10875563B2 (en) * 2019-04-03 2020-12-29 Jenny Heckler Convertible stroller assembly
NL2023260B1 (en) * 2019-06-04 2020-12-11 Milk Holding B V A backrest structure and a buggy, stroller or pushchair
US11259650B2 (en) * 2019-06-11 2022-03-01 Graco Children's Products, Inc.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es for a convertible child booster's seat
CN211765815U (zh) * 2020-01-13 2020-10-27 明门(中国)幼童用品有限公司 支撑件防折断结构及具有该结构的婴儿车
CN113954947A (zh) * 2020-07-21 2022-01-21 明门瑞士股份有限公司 背靠可联动收合的婴儿车
CN112874616B (zh) * 2021-02-25 2022-05-06 苏州凯迪卡夫婴童用品有限公司 一种自刹车并能切换摇篮的婴儿车
CN115195843A (zh) * 2021-04-13 2022-10-18 明门(中国)幼童用品有限公司 婴儿车
CN216269477U (zh) * 2021-08-31 2022-04-12 明门瑞士股份有限公司 婴儿推车及其座布组件
US11820416B1 (en) * 2023-04-28 2023-11-21 Jenny Heckler Convertible stroller assembly with pop-up privacy panels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07400A (en) * 1949-11-25 1952-08-19 Raymond L Kuns Portable back supporting device
US4181356A (en) * 1977-01-13 1980-01-01 Henry Fleischer Folding baby carriers
GB2044086A (en) * 1979-02-10 1980-10-15 Lamondine Sa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seating arrangements
US4335893A (en) * 1979-09-28 1982-06-22 California Strolee, Inc. Foldable infant carrier
JPS5833149B2 (ja) 1980-12-02 1983-07-18 葛西株式会社 乳母車の座席
JPS5833148B2 (ja) * 1980-12-02 1983-07-18 葛西株式会社 乳母車の座席
JPS5833149A (ja) 1981-08-21 1983-02-26 Kokuritsu Kogai Kenkyusho 実験小動物用の呼気と吸気を分離し、呼気を収集する装置
US4538830A (en) * 1982-01-19 1985-09-03 Combi Co., Ltd. Baby carriage
US4500133A (en) * 1982-09-02 1985-02-19 Combi Co., Ltd. Baby chair
ES286562Y (es) * 1985-04-16 1987-01-16 Jane Cabagnero Ramon Respaldo con cabezal articulado para coches-silla infantiles
US4805928A (en) * 1986-07-23 1989-02-21 Combi Co., Ltd. Reclining mechanism of baby carriage
JPH0752778Y2 (ja) * 1990-09-20 1995-12-06 コンビ株式会社 ベビーカーのリクライニング機構
US5472224A (en) * 1992-04-04 1995-12-05 Jane, S.A. Foldable baby carriage frame and cradle seat couplable to same
TW280801B (ko) 1994-12-26 1996-07-11 Aprica Kassai K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719694B1 (en) 2000-02-16
TW280801B (ko) 1996-07-11
EP0719694A3 (en) 1996-09-25
EP0719694A2 (en) 1996-07-03
DE69515113T2 (de) 2000-06-21
EP0878375A1 (en) 1998-11-18
CN1130582A (zh) 1996-09-11
CN1057496C (zh) 2000-10-18
KR960022057A (ko) 1996-07-18
DE69515113D1 (de) 2000-03-23
CA2165500A1 (en) 1996-06-27
US5752738A (en) 1998-05-19
AU4052495A (en) 1996-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75963B1 (ko) 유모차의 좌석
JP4223495B2 (ja) 乗物シートおよびそのようなシートを備えた乗物
EP1729997B1 (en) Fold in floor seat assembly having retracting front leg linkage assembly
US5248178A (en) Double articulation for the folding backrest of a rear seat for motor vehicles and motor-vehicle seat including the articulation
KR101407178B1 (ko) 구동 링크를 가진 폴드 플랫 시트 조립체
EP2080664B1 (en) Automobile child seat
KR101083118B1 (ko) 차량용 시트의 조작 레버
EP0646489B1 (en) Recliner seat for a vehicle
EP0751035B1 (en) Child safety seat with an anti-rebound support
EP1716784A2 (en) Wall-avoiding high leg recliner chair
KR20060113549A (ko) 리클라이닝 기구
KR101790543B1 (ko) 절첩 가능한 유모차
GB2089292A (en) Seat assembly for baby carriages
JP2003024189A (ja) 幼児用椅子
US4515389A (en) Baby carriage and armrest for such baby carriage
WO1995021559A1 (en) Adjustable seat back
KR20040071618A (ko) 접이식 유모차
JP3385120B2 (ja) 乳母車の座席
WO2007138411A1 (en) Vehicle seat
JPH08175394A (ja) 乳母車の座席
JP3385122B2 (ja) 乳母車の座席
KR20050063665A (ko) 승용물용 시트
JPH0223172Y2 (ko)
JP3719187B2 (ja) 車両用シート
GB2312834A (en) Child safety sea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00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