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1390B1 - 스캄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스캄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1390B1
KR960001390B1 KR1019930701192A KR930701192A KR960001390B1 KR 960001390 B1 KR960001390 B1 KR 960001390B1 KR 1019930701192 A KR1019930701192 A KR 1019930701192A KR 930701192 A KR930701192 A KR 930701192A KR 960001390 B1 KR960001390 B1 KR 9600013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ough
scum
weir
lever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7011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702232A (ko
Inventor
미치히로 후지와라
도시미 후지와라
Original Assignee
후치와라 미치히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991092364U external-priority patent/JP2605137Y2/ja
Priority claimed from JP9758291U external-priority patent/JP2563910Y2/ja
Application filed by 후치와라 미치히로 filed Critical 후치와라 미치히로
Publication of KR9307022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7022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13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139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433Discharge mechanisms for floating particl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Removal Of Floating Materia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스캄제거장치
최초 또는 최종침전조에는, 수면상에 다량의 스캄이 모이기 때문에 이것들을 효율적으로 제거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들 스캄을 제거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다음과 같은 스캄제거장치를 제안하였다. 제26도 및 제27도는, 본 발명자가 먼저 제안한 스캄제거장치 S를 표시하고 있다. 이 장치가 설치된 구형침전조에는 이 조의 쪽방향에 축중심을 향하게 한 복수개(4개)의 스프로켓축(200)과, 각축(200) 주위에 2개씩 부착된 스프로켓(201)과, 이들 스프로켓(201)을 통해서 무단(無端)상으로 걸린 좌우 2줄의 체인(202)이 설치되어 있다.
동 장치는, 체인(202)에 부착된 플라이트(203)…중 그 일부 또는 전부를 이용해서 구동되고, 수면상의 스캄(부유물)을 유인해서 제거하는 것으로 되어있다.
스캄제거장치는 트로프(trough)(205), 안내지지시트(206), 묵(208), 전달기구(208)를 구비하고 있다. 트로프(205)는, 네모난 단면형상으로 위쪽과 앞쪽 일부를 개구상태로 한 통모양의 긴 것으로, 긴 쪽이 수조의 폭방향으로 향하도록 주조내에 고정해서 설치되어 있다.
안내지지시트(206)는 트로프(205)와 같이 긴띠모양의 것으로 고무질로 되어있고, 트로프(205)의 앞 특히 튀어나오게 부착되어 탄성변형에 의해 상하로 구버러지게 되어있다. 둑(208)은 대략 삼각형을 한 중공상태의 긴 것으로, 그 속에는 발포재료가 채워져 있기도 하고, 이 둑(208)은, 탄성변형 가능한 안내지지시트(206)의 앞쪽으로 뻗은 상태로 부착되어 있고, 동시트(206)에 지지되면서 수면(207)을 경계로 해서 상하운동하도록 설치되어있다.
이 둑(208)을 상하로 요동시키는 것이 응동(應動)기구(209)이다. 응동기구(209)는, 회전축(210), 구동암(211)을 구비하고 있다. 회전축(210)은, 수조의 폭간에 걸쳐있고, 구동암(211)은, 회전축(210)의 한쪽으로부터 전방을 행해 뻗은 한 줄의 암이다. 구동암(211)의 선단에는, 캠판(213)이 설치되어 있다. 이 캠판(213)은, 밑부분에 캄면을 구비하고, 동 감면은 2개의 돌기부(213a) (213c)와 그 사이의 움푹한 부분(213b)과의 연속된 감면으로 되어있다.
이 캠판(213)을 움직여서 구동암(211) 및 작동암(212)을 연통시켜 롯드(224) 및 연통암(225)을 통해서 둑(207)을 밀어 내리거나 하나 , 플라이트(운동하는 부재)(203)의 일단부로부터 돌출하는 롤러(214)이다.
이 롤러(214)는 플라이트(203)의 캠판(213)축의 일단에 설치된 브래킷으로 부착되어 있다. 작동암(212)은, 롯드(224) 및 연동암(225)과 함께 전달기구를 구성하고, 구동암(211)과는 반대방향인 트로프(205)의 방향을 향해 뻗은 암으로, 좌우 두줄이 되어있다.
이 스캄제거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도시하지 않은 수조상의 모터가 구동됨으로써, 체인(202)이 구동되고, 그 외주에 일정간격을 두고 배열한 플라이트(203)…가 화살표방향으로 저속으로 순환 구동된다. 플라이트(203)…는 수조밑에 침전해있는 오리를 긁어모아 핏트내로 인도해, 인도된 오리는, 도시하지 않은 펌프로 수조 밖으로 배제하도록 되어있다. 위로 돌아가는 플라이트(203)는, 그 옆에 부가한 롤러(214)에 의해 캠판(213)을 밀어 올리도록 한다.
롤러(214)는, 물기부(213a)→옴폭한부(213b)→돌기부(213c)의 순으로 부재(213)에 접촉하면서 동부재(213)를 상하로 운동시킨다. 이로 인해 롤러(214)가 제1단계의 물기부(213a)에 닿을 때는, 캠판(213) 및 구동암(211)이 크게 밀어 올리는 동시에 동작암(212)이 밀어 내려지고 롯드(224) 및 연동암(225)을 통해서 둑(208)이 수면하로 밀려 내려간다.
이때, 수면상의 스캄은, 큰 것이나 작은 것이나 물의 침투에 따라 트로프(205)내로 인도된 후 트로프(205)밖으로 배제된다.
롤러(214)가 움푹패인부(213b)에 오면, 캠판(213) 및 구동암(211)이 일시적으로 내려가고, 작동암(212) 올라간다.
이로 인해, 둑(208)은 약간 떠 올라가서 그 상단이 수면하에 오게되므로, 그때까지의 수량은 적게된다. 수량은 적게되기는 하나, 수속은 반대로 크게되므로, 스캄에 대한 흡입력은 먼 곳의 수면상의 스캄까지도 작용해서 트로프 가까이 까지 순조롭게 끌어당기게 된다.
롤러(214)가 제2단계의 돌기부(213c)에 오게되면, 캠판(213)의 불은 구동암(211)이 다시 올라가고, 작동암(212)은 내려가도록 된다.
이래서 둑(208)은 내려가고, 끌어당겨진 스캄(204)이 다량으로 트로프(205)내로 인도되게 된다. 이와 같이 캠판(213)이 단계상이 되어있으므로, 스캄(204)의 끌어당김과 흡입까지가 대단히 효과적으로 된다.
그런데, 이 스캄제거장치 S는, 각 수조마다 1기씩 설치되어 있고, 트로프(205)는 한쪽방향으로 경사지게 해서 설치되어있는 동시에, 이들 트로프(205)…는, 연통트로프로 접속되어 있다.
경사방향이 높은 쪽에 설치된 트로프(205)에 흘러 들어간 스캄과 물은 연통 트로프→다음의 트로프(205)→다른 연통트로프→또 다른 다음의 트로프(205)…의 순으로 흐르도록 되어있다. 도시한 중간의 트로프(205)에 흘러들은 스캄과 물은, 경사방향이 낮은 쪽의 연통트로프(230)로부터 다음의 트로프(205)에 흘러든다.
이들 스캄 및 물은, 경사방향이 낮은 쪽으로 모두 흘려서 수조 밖으로 배출된다. 또, 연통트로프는, 수조측벽의 일부를, 깍아서 생긴 구멍을 통해서 관통상으로 고정되도록 되어있다.
상기 스캄제거장치 S는 캠판(213)이 상하운동을 발생하고, 그 상하운동을 그대로 둑(208)의 부침운동으로 작용시키는 형식으로 되어있었으므로, 수조폭 방향으로 회전축(210)을 걸칠 필요가 있을 뿐 아니라, 둑(208)을 고무로 된 안내지지시트(208)로 탄성지지하고 있으므로, 회전축(210)과 둑(208) 사이의 작동암(212)이 한 줄이 아니라 두줄이 필요했었다. 이 구성이면 구동암(211), 회전축(210) 및 작동암(212), (212)가 평면으로 퍼져서, 제작비가 비쌀 뿐 아니라, 수조의 양측간에 걸치는 큰 규모의 시공이 요구되므로, 현장시공이 여러 사람이 필요하고 시간이 걸리는 일이었다.
또 캠판(213)은 상하운동을 해 구동암(211)으로 크게 상향 운동하는 것이므로, 수조상에 천정이 있으면 이것에 캠판(213)이 닿을 염려가 있고, 사용자의 설치요구에 따라 갈 수 없었던 일도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스캄제거장치의 결점이 없고, 장치가 콤팩트하고 값싸게 제작할 수 있는 동시에 시공에도 대단히 간단하게 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운동하는 부재가 설치된 처리조의 수면부근에는, 통상의 트로프가 그 앞쪽개구를 수면하로해서 고정하고, 이 트로프의 앞쪽 개구부근에는, 수면을 경계로 해서 부침해서 수면상에 부유하는 스캄을 트로프내로 유인하거나 둑막이를 하는 등의 둑이 설치되어있는 스캄제거장치에서, 상기 처리조에는, 상기 처리조 내에서 운동하는 부재의 움직임에 응동해서 반복운동하는 응동기구와 이 운동에 의해 상기 둑을 구동하는 전달수단을 구비하고 동전달수단을, 상기 응동기구에 의해 전환 제어되고 상기 유체압 펌프로부터의 유체압의 흐름을 전환해서 상기 둑을 구동하는 유체압구동기기를 이 방향, 저 방향으로 전환 제어하는 제어밸브를 구지하고, 상기 응동기구가 상기 펌프를 구동하는 동시에 상기 제어밸브를 전환함으로써 상기 유체아구동기기가 정과역으로 구동되어서, 상기 둑이 부침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캄제거장치에서 응동기구는, 요철상의 캠의 복수를 상기 운동하는 부재의 움직이는 방향에 나란히 구비하고 그 움직이는 방향을 축 중심으로 하는 회전축의 주위에 동운동을 하는 부재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기구로 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캄제거장치에서, 전달수단은, 상기 회전축을 포함하는 기계적인 전달기구로 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스캄제거장치에 있어서 전단수단은, 유체압 이용에 의한 장치로 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첨부한 도면에 따라 이것을 설명한다. 제1도 내지 제4도는, 이 고안의 한 실시예를 표시하고 있다. 이 실시예에서 1은 최초 또는 최종침전조(처리조)로, 동조(1)는 위에서 보면 구형이고, 2는 그 길이방향의 측벽을 표시하고 있다.
이 침전지(1)내에는, 복수본의 회전축(3)……과 스포로켓(4)……이 설치되고, 동스포로켓(4)……에 체인(5)이 좌우 2줄 걸려있는 동시에 동체인(5)에는 플라이트(6)……가 복수본 부착되어있다. 이 플라이트(6)의 하나를 부분적으로 위에서 본 모양을 제3도에 표시하고 있고, 동플라이트(6)에는, 체인(5)을 부착하는 체인브래킷(7)이 설치되어있는 동시에, 그 끝쪽에는 밑주위부분에 가이드레일(도시생략)상에 맞닿여 움직이면서 안내되는 슈(8)가 설치되어있다. 또 플라이트(6)의 끝부분에는, 도시하지 않은 브래킷을 통해서 이 제거장치를 위해 특히 롤러(9)가 설치되어 있다. 이 롤러(9)만으로는, 플라이트(6)의 진행방향좌측에 설치되어, 체인브래킷(7) 및 슈(8)에 대해서는 좌우대칭으로 설치되어있다.
침전조(1)의 길이방향 끝부분에는, 동길이 방향에 직교하도록 사각단면으로는 통상의 트로프(10)가 좌우의 부착브래킷(11)에 의해 고정되어 설치되어있다.
동 트로프(10)는, 상측 및 전측상부가 개구되고 길이방향양단에는 앞쪽으로 뻗은 측판(12)이 부착되어있다.
앞쪽의 개구는 수면(15)밑에 위치한다. 트로프(10)의 저벽에는, 구멍이 뚫어 여기에는 스캄을 수조밖으로 배재하는 연통관(13)이 접속되어있다.
양측판(12)사이에는, 트로프(10)보다도 약간 긴 지지축(14)이 회전자재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 지지축(14)과 트로프(10)의 앞벽(10a)사이는 씰(16)로 막혀있다. 지지축(14)에는 전부가 삼각형의 단면을 한 중공형으로된 플로트(둑)(17)가 기부에서 고정되어 회전자재하게되어 있다.
이 플로트(17)는, 측판(12)간에 걸치는 긴 것으로, 그 측면과 측판(12)사이에는 측부씰(190이 측판(120)에 동행해서 슬라이드 하도록 설치되어있다. 동플로트(17)는 수면(15)을 경계로 해서 부침하고, 스킴을 유인하거나 둑막음등을 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지지축(14)은, 트로프(10)의 양외측방으로 뻗어있고, 그 한쪽(또는 양쪽)의 단부에는, 人형의 지지암(20)이 돌출 설치되어 있다. 동 암(20)의 선단에는 긴 구멍(20a)이 형성되어있다. 이 지지암(20)의 선단상에는, 상하로 길게 하단부에 대해 수평인 돌출편을 구비한 ㄷ자형의 실린더 브래킷(22)이 부착되어있다. 이 브래킷(22)의 하단의 돌출편에도 긴 구멍이 형성되어있는 동시에, 동 브래킷(22)의 상단에는, 복동형의 실린더(유압구동기기)(21)가 부착되어있다.
이 실린더(21)로부터 아래로 향해서 뻗은 롯드(27)에는 상기 긴 구멍을 통해서, 트로프(10)의 한쪽의 측판(12)외측면에 고정된 브래킷(23)에 회전 가능한 전달롯드(28)에 결합되어있다.
또, 실린더브래킷(22)의 상단에는 수동레버(24)가 설치되어, 플로트(17)로부터는, 수면(15)을 경계로 부침하는 보조플로트(25)가 부착되어있다. 이 보조플로트(25)에 대신해서, 플로트(17)의 내리는 동작시에 올라타는 것 같은 보조플로트(26)를 수면(15)상에 띠워서 설치해도 된다.
30은 수조상에 설치된 유압펌프로, 탱크(31)를 밑받침대로 해서 그 위에 설치되어있다. 동펌프(30)는, 수동레버(30a)를 구비한 수동조작형으로, 왕복조작을 반복함으로써, 탱크(31)로부터 오일을 흡입할 수 있는 시판형식의 것을 채용하고 있다.
제4도에 제시한 바와 같이, 32는 책크밸브로 어큐물레이터(33)에 유압을 채우기 위한 것이다.
34는 압력계, 35는 릴리프밸브, 36은 개폐밸브이다. 37은 유압제어밸브로, 2포지션 클로즈드크로스 타입이고, 되돌림 스프링(38)과 전환레버(39)를 구비하고 있다. 탱크(31)위에는, 축받침(40)이 설치되고, 받침대(41)의 위에도 2개의 축받침(42), (43)이 설치되어있다.
이들 축받침(40), (42), (43)에는 수동레버(30a)를 응동시키는 제1축(44)이 왕복자재하게 장착되어있다. 양축받침(42), (43)사이에는, 제1리턴스프링(45)과, 스프링받침(46)이 설치되어있다. 받침대(47)에는, 상기 길이방향으로 늘어서도록 복수개의 제1응동기구(50)가 설치되어있다. 이 기구(50)는, 제1레버(51)의 복수개 링크체인(52)의 복수개로 구성되어있다.
제1레버(51)는, 슈(8)에 닿아서 순서대로 요동하고, 링크체인(52)을 끌어당김으로써 제1축(43)을 응동하고, 유압펌프(30)를 유압발생방향으로 움직인다. 되돌아 도는 것은 스프링(44)으로 된다. 이 응동이, 나열된 레버(51)의 순으로 되기 때문에, 유압펌프(30)는 반복해 유압을 발생한다. 이 유압은 어큐뮬레이터(33)에 담겨진다.
60은제2응동기구로, 제2레버(61)의 복수개, 링크체인(62)을 구비하고, 받침대(63)상에는 2개의 축받침(64), (65)에 제2축(66)이 통해지고, 제2리턴스프링(67) 및 스프링받이(68)가 설치되어있다. 제2축(66)은, 유압제어밸브(37)의 전환레버(39)를 응동하도록 걸어 맞추어져 있다. 제2레버(61)는 롤러(9)에 의해 응동된다.
70, 71은 좌우의 조리개, 72, 73은 좌우의 가변형 책크밸브이고, 각 회로는 제어밸브(37)의 각출구에 연통해 있다.
플라이트(6)의 슈(8)는 운동해와서 제1레버(51)를 가상선과 같이 응동시킨다. 이로 인해, 링크체인(52)을 끌어 제1축(44)을 도시한 좌측방향으로 움직이고, 레버(30a)를 응동시켜, 유압펌프(30)에 의해 유압이 발생한다. 이것을 어큐뮬레이터(33)에 축차 담어간다.
제4도에 있어서 제어밸브(37)가 스트라이트기치에 있을 때(제2레버(61)에 롤러(9)가 대응하지 않을 때), 유압은, 리릴프밸브(35)에 의해 대처된다. 플로트(17)는 수면상에 뜬 상태를 보존한다.
제2레버(61)에 롤러(9)가 닿게되면, 링크체인(62)을 통해서 제2축(66)을 끄는 동시에 전환레버(39)가 전환된다. 이로 인해, 제어밸브(37)는, 크로스위치로 전환되고, 압유는 오른쪽의 책크밸브(73)를 통해서 실린더(21)의 상단에 공급된다. 이로 인해, 실린더(21)는 롯드(27)가 전달롯드(28)와 함께 뻗고, 그 반작용으로, 브래킷(23)을 수부재로해서 실린더(21)가 붙은 실린더브래킷(22)이 앞쪽으로 요동시킨다. 이와 함께 지지암(20)도 위쪽으로 올려지는 동시에 플로트(17)가 수면하로 내려간다. 또, 이 플로트(17)의 하강동작은, 왼쪽조리개(70)가 작용해서 완만해진다.
제2레버(61)를 롤러(9)가 통과하면, 스프링(67), (38)에 의해 제어밸브(37)는 스트레이트위치에 되돌려진다.
이로 인해 왼쪽의 책크밸브(72)를 통해서 실린더(21)의 하단에 압유가 공급되고, 롯드(27) 및 전달 롯트(28)가 짧아지므로, 브래킷(23)을 고정받침부재로서 지지암이 시계방향회전으로 돌려지고, 플롯트(17)는 부상한다.
이 부상동작은 오른쪽 조리개(71)가 작동함으로써 완만한 것이다.
이 동안에, 슈(8)는 제1레버(51)를 응동시킴으로, 유압펌프(30)를 통해서 압유가 순차 발생되고 있다. 또 플롯트(17)가 하강할 때, 보조플롯트(25)또는 (27)이 작동함으로써 리릴프밸브(35)의 작용으로 일정하게 제한되어, 지나친 하강은 없다. 또, 제2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트로프(10)의 양측에는 극간이 생기므로, 이것은 막도록 씰판(74)이 앞쪽에 마련되어 있다. 또, 제4도의 75는, 처리조내의 물이 아주 없거나 적을 때에 플롯트(17)가 내려가지 않도록 하기 위해 브래킷(22)에 설치된 록볼트이고, 롯트(27)는 뻗지 않도록 규제한다. 다음에, 다른 변형적인 예를 표시한다. 제5도 및 제6도는 제1,제2레버(51),(61)를 수평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한 것을 표시하고 있다. 축(44), (66)에는 슬라이터(80)가 설치되고, 같은 슬라이터(80)가 볼트(81)로 적절히 고정하는 것도 가능하도록 되어있다. 이것으로, 레버간의 간격도 자유롭게 변경할 수가 있다.
제7도는 링크체인(52) (62)을 축(44) (66)에 이동 가능하게 슬라이터(82)로 부착하고, 볼트(83)로 고정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이것으로 레버간격의 변경에 대응시킬 수 있다.
제8도는, 제1레버(85)(또는 제2레버(86))에 선단레버(85a) (86a)를 설치하고 동선단레버(85a) (86a)가 힌지(87)에 의해 한쪽으로만 회전해서 도망가도록 하고 있다. 이로 인해 플라이트(6)의 롤러(9)가 역방향으로 운동할 때 레버(85) (86)가 부러지지 않도록 하게된다.
제9도는, 플라이트(88)의 슈(89) 또는 레버(90)가 마그넷으로, 서로가 흡착, 이탈에 의해 응동하도록 하였다.
제10도도 같은 예로, 슈(92) 또는 레버(93)측의 환(丸), 축(94)이 마그넷이다.
제11도는 플라이트(95)……상의 슈(96)……이 가로방향으로 서로 밀려있게 배치되고, 이에 맞추어서 레버(97)이 가로방향으로 배열되고 있는 것으로, 이에 의하면, 예를 들어 한가운데의 슈(96)를 떼어냄으로써 유압펌프 또는 제어밸브의 응동관계를 자유롭게 변동시킬 수가 있다. 역으로 응동관계를 많게 할 수도 있다.
제12도는, 제어밸브(100)의 레버(101)를 복수개 설치하지 않아도 좋은 방식을 표시하고 있다. 한 개의 레버(101)의 하단에는, 2개의 캠(102)이 환(丸)판이나 환통등에 의해 설치되어 있다. 롤러(103)는 이것을 몇 번에 걸쳐서, 차게됨으로써 레버를 복수개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물론 캡(102)이 설치되는 간격을 위치변경 자재롭게 해도 된다.
제13도 및 제14도는 유압구동기기로서 다른 타입을 사용한 것을 제시하고 있다. 측, 동구동기기(110)는 로터리액츄에이터이다. 트로프(111)는, 반환통상의 통으로 형성되고, 그 양단에는 측판(112)이 설치되고, 이들 측판(112)간에는, 전후에 지지축(113) 및 씰(114)이 설치되어 있다. 지지축(113)에는 플롯트(115)가 설치되고, 이 플롯트(115)에는, 각각 좌우한쌍의 암(116)이 돌기 설치되어 있다.
한편, 측판(112)간에는 회전축(117)이 장치되어, 그 일단에 구동기기(110)가 부착되고, 동 회전축(117)의 좌우 2개소에는 상향으로 스테이(118)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이 스테이(118)에는, T자형이 되도록 작동암(119)이 고정되어 있다. 이 작동암(119)의 각선단은 장공(119a)가 되고, 이 구멍(119a)을 통해서 롯드(120)가 통해져 있다. 이 롯드(120)의 하단은 암(116)에 결합되고, 또 외주에는 상하로 분리되어 넛(121) (122)이 설치되어 있다. 유압구동기기(110)는, 탱크(123) 및 유압제어밸브(124)를 구비한 회로에 의해 정역으로 왕복 회전된다.
이렇게 해서, 구동기기(110)가 한 방향으로 회전 구동되면, 회전축(117)을 통해서 작동암(119)이 같은 방향으로 회전되고, 넛(122)에 닿는 것으로 롯드(120)가 밀려 내려가고, 한쪽의 플로트(115)가 수면하로 밀려 내려간다. 구동기기(110)가 역으로 회전되면, 다른 쪽의 플로트(115)가 밀려 내려가고, 상기 플로트(115)가 부상한다.
제15 내지 제18도는, 이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표시하고 있다. 이 실시예에서,101은 최초 또는 최종침전조(처리조)로, 동조(101)는 위에서 보면 구형으로, 102는 그 길이방향의 측벽을 표시하고 있다. 이 침전지(101)내에는, 복수개의 회전축(103)…과 스프로켓(104)…이 설치되고, 동스프로켓(104)…에 체인(105)이 좌우 2줄 걸려있는 동시에, 동체인(105)에는, 그 길이방향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플라이트(106)의 하나를 부분적으로 본 모양을 제17도에 표시하고, 동플라이트(106)…가 배열되어 있다. 이 플라이트(106)는 폭질이나 플라스틱질 등, 재질은 상관없다. 이 플라스트(106)의 진행방향좌측의 단부에는, 도시하지 않은 브래킷을 통해서 이 제거장치를 위해 특히 롤러(109)가 설치되어 있다. 침전조(101)의 길이방향단부에는, 동길이에 직교하도록 사각단면으로 통상의 트로프(110)가 고정해서 설치되어 있다. 이 트로프(110)는, 측벽(102)내를 관통해서 브래킷으로 고정되는 연통트로프(110) (111)에 프랜지(110a) (111a)로 결합되어 지지되고 있다. 동트로프(110)는, 상측 및 전측상부가 개구되어 있는 동시에, 길이방향안단에는 프랜지(110a)로부터 앞쪽으로 뻗은 측판(112)이 설치되어 있다. 앞쪽의 개구는 수면(115)의 밑에 위치한다. 양측판(112)간에는, 트로프(110)보다도 약간 긴 지지축(114)이 회전자재하게 장치되어 있다. 이 지지축(114)과 트로프(110)의 전벽(110b) 사이는 고무로 된 씰(116)로 막혀있다. 지지축(114)에는 기부가 판상으로 전부가 삼각형의 중공단면으로된 둑(플로트)(117)이 기부에서 고정되고 회전자재하게 되어있다. 이 둑(117)은, 양측판(112)간에 걸친 긴 것으로, 그 측단면에 부착된 축부 씰(119)은, 트로프(110)의 측면에 맞닿여 움직인다. 동둑(117)은 수면(115)을 경계로 해서 부침하고, 수면상에서 부유하고 있는 스캄을 유인하거나 둑막음을 한다. 또 지지축(114)은, 트로프(110)에 고정된 도시하지 않은 축받침에 의해 확실하게 지지되어 있다. 한편, 둑(117)을 부침시키는 기구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우선, 응동기구(120)는 두 개의 브래킷(121)과 캠판(122)과 회전축(123)으로 구성되어 있다. 브래킷(121)은, 한쪽의 측벽(102)에 전후로 떨어져서 고정되고, 이들 브래킷(121)을 통해서 측벽(102)에 따라 평행하게 회전축(123)이 지지되고 있다. 이 회전축(123)의 측면에 전후 2줄의 지지암(124)을 통해서 캠판(122)이 부착되어 있다. 캠판(122)은, 긴띠상의 판의 밑부분에 돌기부(122a)와 요부(122b)를 복수개 형성한 것으로 되어 있다. 요부(122b)의 가장 우묵한 곳은 롤러(109)의 상단보다 약간 낮고, 돌기부(122a)의 하단은 롤러(109)의 하단보다 더 낮게 되어있다. 회전축(123)은 한 줄의 긴 축으로서 트로프(110)축으로 뻗고, 그 일부가, 트로프(110)의 뒷부분에 부착된 브래킷(125)에 끼워져 지지되고 있다. 회전축(123)의 일단에는, 지지축(114)에 돌출 설비된 종동레버(126)를 상하 구동하는 구동레버(127)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구동레버(127)의 선단에는 롤러(128)가 부착되어 있다. 또 캠판(122)의 요철이 있는 하단부는 끝이 가늘게 되어 있는 동시에 캠판(122)의 요철에 있는 하단부는 끝이 가늘게 되어 있고, 캠판(122)의 선단부는, 앞으로 갈수록 가늘게 형성되어 있다.
또 전달수단은 회전축(123), 구동레버(127) 및 종동레버(126)로 구성되어 있다. 플라이트(106)가 운동해서 롤러(109)가 캠판(122)에 걸리고, 롤러(109)가 돌출부(122a)에 닿으면 롤러(109)는 회전축(123)을 중심으로 해서 들어올려진다. 이래서, 회전축(123)을 통해서 구동레버(127)가 상향으로 올려지고, 종동레버(126)가 올려지기 때문에, 둑(117)은 수면하로 크게 내려가고, 스캄이 물과 함께 트로프(110)내에 도입된다. 다음에, 롤러(109)가 요부(122b)에 닿으면, 캠판(122)는 회전축(123)을 중심으로 해 내려가고 이래서 회전축(123)은 약간 되돌려지므로, 둑(117)은 그 상단이 수면하 수센티미터까지 준다. 이때, 수면의 흐름을 급속하게 되므로, 상기와 같이 멀리 있는 스캄까지도 트로프(110)의 가까이 까지 유도되어 도입된다.
이런 반복에 의해 둑(117)은 수면하에서 부침을 반복해 롤러(109)가 캠판(122)을 통과하면, 회전축(123)이 복귀해서 둑(117)은 수면(115)상에 완전히 부상해서 스캄의 유입이 저지된다. 제19도, 제20도 및 제21도는, 유체압인 유압을 전달수단에 이용한 다른 실시에를 표시하고 있다. 이 실시예에서, 둑(117)을 부침시키는 기구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우선 응동기구(130)는 3개의 브래킷(131)과 캠판(132)과, 회전축(133)으로 구성되어 있다. 회전축(133)은 짧게되어, 이 회전축(133)의 측면에 전후 2개의 지지암(134)을 통해서 캠판(132)이 부착되어 있다. 롤러(109)에 의해 회전축(133)을 중심으로 해서 캠판(132)이 회전하면, 링크기구(135)를 통해서 유압펌프(136)가 반복 구동되어 어큐뮬레이터(137)에 압력을 저축한다. 회전축(133)의 다른 부분에는, 전환용의 캠판(138)이 부착되어, 동캠판(133)은, 상기 캠판(132)과는 독립해서 회전 운동한다. 이 캠판(138)에 롤러(109)가 걸리게 되면, 상기 캠판(132)과는 별도로 회전축주위에 회전해, 링크기구(139)를 통해서 2포지션 크로즈드 크로스타입의 유압제어밸브(140)를 전환한다. 141은 종도레버로, 실린더(142)에 의해 왕복 회전한다. 유압회로에서의 143은 첵크밸브로, 어큐뮬레이터(137)에 압유를 저장한 것이다. 144는 압력계, 145는 릴리프밸브, 146은 개폐밸브이다.
제어밸브(140)에는 되돌림 스프링(147)고 전환레버(148)를 구비하고 있다. 150, 151은 좌우의 조리개, 152, 153은 좌우의 가변형 첵크밸브이고, 각 회로는 제어밸브(140)의 각 출구에 연통해 있다.
롤러(109)가 캠판(132)에 걸리게되면, 회전축(133)이 상기와 같이 회전을 반복하고, 이로 인해 펌프(136)가 구동되어서 어큐뮬레이터(137)에 축자로 압력을 저장해간다. 제어밸브(140)가 스트레이트 위치에 있을 때, 유압은, 릴리프밸브(145)에 의해 대처된다. 둑(117)은 수면상에 떠 있는 상태를 유지한다. 롤러(109)가 캠판(138)에 닿으면, 링크기구(139)를 통해서 제어밸브(140)는 크로스위치로 전환되고, 압유가 오른쪽의 첵크밸브(153)를 통해서 실린더(142)가 하단에 공급된다. 이래서 둑(117)이 수면하로 내려간다. 또, 이 둑(117)의 하강동작은 왼쪽의 조리개(150)가 작용해서 완만하게 된다.
롤러(109)가 캠판(138)을 통과하면, 제어밸브(140)는 스트레이트 위치로 되돌려진다. 이렇게 해서 왼쪽의 첵크밸브(152)를 통해서 실린더(142)의 상단에 유압이 공급되고 둑(117)은 부상한다. 이 부상동작은, 오른쪽 조리개(151)가 작동함으로써 완만하게 된다. 그 동안, 어큐뮬레이터(137)에는 점차 압유가 발생되고 있다.
다음으로, 다른 변형적인 예를 표시한다.
제22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회전축(160)에 슬라이드 자재하고, 볼트(161)로 고정할 수 있는 통(162)을 복수개 구비해, 이 통(162)에 지지된 암(163)을 부착해서 각각에 캠판(164)을 부착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캠판(164)은 전후로 위치조절이 되고, 개수도 변경되므로, 작동의 타이밍을 사용자의 요구에 맞추어 자재로 얻을 수가 있다.
제23도 및 제24도는, 전달수단을 링크체인(170)으로 한 실시예를 표시한다.
캠판(171)을 구비한 회전축(172)에 레버(173)를 구비하고, 동레버(173)에 체인(170)의 일단에 접속하고 있다. 수조상에는 풀리(174)가 설치되어 이들의 풀리(174)를 통해 체인(170)을 우회시키는 동시에 종동레버(175)에 다른 끝을 접속하고 있다.
캠판(171)에 롤러(176)가 닿으면, 체인(170)이 끌어내려져, 종동레버(175)가 들어올려져 둑(177)이 내려진다. 둑(177)은, 캠판(171)의 요철에 의해 하강하는 양을 변동한다. 또, 레버(173)에는 되돌림스톱퍼를 대향시켜도 된다.
제25도는, 2층수조의 침전시에도 적용한 실시예를 표시하고 있다. 이때의 부호는 제23도에 표시하는 실시예와 같은 부호로 표시하고 있다. 이 실시예의 경우에도, 컴팩트란 스캄제거장치가 되고, 시공도 대단히 간단하게 된다. 또, 캠판은 수평, 상향경사등의 방향으로 향하게 하고, 이것에 맞도록 롤러를 배치해서 연동관계로 할 수도 있다. 또 반대로, 플라이트측에 캠판을 설치하고, 반대측에 롤러를 설치해도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스캄제거장치는, 최초, 최종침전지등의 처리종에 설치되어, 수면상에 또는 스캄을 수집 제거하는 간단한 장치로 유용하고, 처리조내에 기설된 운동부재에 의한 동력을 유효하게 이용해서 스캄을 수집 제거하도록 한 것 모두에 적용하고, 특히 구조가 대단히 콤팩트하고 값싸게 제작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현장에서의 시공성이 요구되는 경우에 적합하다.
본 발명은, 처리조(槽)내에 떠도는 스캄을 효율적으로 제거하는 스캄제거장치에 관해, 특히 전용의 동력을 쓰지 않고, 처리조내에 기설의 운동부재에 의한 동력을 이용해서, 수집 제거하도록 한 스캄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1도는 이 고안의 한실시예를 표시하는 장치의 전체도,
제2도는 트로프의 단부를 표시하는 정면도.
제3도는 플라이트 평면도.
제4도는 유압회로를 표시하는 시스템도.
제5도는 레버의 위치조정기구를 표시하는 정면도.
제6도는 그 단면도.
제7도는 링크체인의 위치조정기구를 표시하는 단면도.
제8도는 구부러진 레버를 표시하는 측면도.
제9도는 마그넷트식레버 응동기구를 표시하는 사시도.
제10도는 동 마그넷식레버 응동기구를 표시하는 측면도.
제11도는 슈의 배치를 비틀어지게 한 다른 실시예를 표시하는 평면도.
제12도는 레버를 캠식으로한 실시예를 표시하는 측면도.
제13도는 로터리액추에이터를 유압구동기기로한 실시예를 표시하는 제14도의 A-A선 단면도.
제14도는 제13도의 평면도.
제15도는 이 고안의 한 실시예를 표시하는 장치의 전체평면도.
제16도는 그 종단면도.
제17도는 롤러와 캠판사이의 동작관계를 표시하는 전방으로부터의 단면도.
제18도는 회전축에서 둑까지의 동작관계를 표시하는 사시도.
제19도는 전달수단이 유압수단인 실시예를 표시하는 측단면도.
제20도는 그 유압회로도.
제21도는 캠판으로부터 링크체인까지의 연동관계를 표시하는 단면도.
제22도는 캠판이 복수분리형인 실시예를 표시하는 측면도.
제23도는 전달수단이 링크체인인 실시예를 표시하는 측단면도.
제24도는 그 단면도.
제25도는 2층조형 침전지일때의 실시예를 표시하는 측단면도.
제26도는 종래의 스캄제거장치의 일예를 표시하는 평면도.
제27도는 그 응동기구를 표시하는 사시도이다.

Claims (4)

  1. 운동하는 부재가 설치된 처리조의 수면부근에는, 통상의 트로프가 앞쪽개구를 수면하로해서 고정되고, 이 트로프의 앞쪽 개구부근에는, 수면을 경계로 해 부침해서, 수면상에 부유하는 스캄을 트로프내로 유인하거나 둑막이하는 둑이 설치되어 있는 스캄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처리조에는, 상기 처리조내에서 운동하는 부재의 움직임에 응동해서 반복해 운동하는 응동기구와, 이 응동에 의해 상기 둑을 구동하는 전달기구를 구비하고, 동 전달수단은, 상기 응동기구에 의해 구동되는 유체압펌프와, 상기 응동기구에 의해 전환 제어되어, 상기 유체압펌프로부터의 유체압의 흐름을 전환해서 상기 둑을 구동하는 유체압구동기기를 한 방향, 다른 방향으로 전환 제어하는 제어밸브를 구비하고, 상기 응동기구가 상기 펌프를 구동하는 동시에 상기 제어밸브를 전환함으로써, 상기 유체압구동기기가 정역구동되어서 상기 둑이 부침하도록 구성되어 있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캄제거장치.
  2. 운동하는 부재가 설치된 처리조의 수면부근에는, 통(桶)상의 트로프가 그 앞쪽개구를 수면하로해서 고정되고, 이 트로프의 앞쪽개구부근에는, 수면을 경계로 해서 부침해서 수면상에 부침하는 스캄을 트로프내로 유인하거나 둑막음하는 둑이 설치되어 있는 스캄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처리조에는, 상기 처리조내에서 운동하는 부재의 움직임에 응동해서 반복 운동하는 기구와 이 응동에 의해 상기 둑을 구동하는 전달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응동기구는, 요철상의 캠의 복수를 상기 운동하는 부재의 움직이는 방향으로 나란히 구비하고, 그 움직이는 방향을 축 중심으로 하는 회전축의 주위에 동운동하는 부재에 의해 회전구동되는 기구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캄제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전달수단은, 상기 회전축을 포함하는 기계적인 전달기구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캄제거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전달수단은, 유체압 이용에 의한 장치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캄제거장치.
KR1019930701192A 1991-08-22 1992-06-01 스캄제거장치 KR9600013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1-097582 1991-04-26
JP?3-092364 1991-08-22
JP1991092364U JP2605137Y2 (ja) 1991-08-22 1991-08-22 スカム除去装置
JP91-092364 1991-08-22
JP9758291U JP2563910Y2 (ja) 1991-09-19 1991-09-19 スカム除去装置
JP?3-097582 1991-09-19
PCT/JP1992/000712 WO1993004002A1 (fr) 1991-08-22 1992-06-01 Dispositif pour enlever les boues surnageant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702232A KR930702232A (ko) 1993-09-08
KR960001390B1 true KR960001390B1 (ko) 1996-01-26

Family

ID=26433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701192A KR960001390B1 (ko) 1991-08-22 1992-06-01 스캄제거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395526A (ko)
EP (1) EP0558754A1 (ko)
KR (1) KR960001390B1 (ko)
AU (1) AU651888B2 (ko)
CA (1) CA2094514A1 (ko)
WO (1) WO199300400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32257B2 (en) 2006-11-27 2010-06-08 Dongbu Hitek Co., Ltd.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846560C2 (de) * 1998-10-09 2000-08-31 Theo Staehler Vorrichtung zum dosierten Überleiten von Flüssigkeit von einem Becken in ein anderes Becken sowie dessen Verwendung
FI116715B (fi) * 2004-06-29 2006-02-15 Finnketju Invest Oy Menetelmä ja järjestely pintalietteen poistoon
JP2012110886A (ja) 2011-09-08 2012-06-14 Fujiwara Sangyo Kk 汚泥掻寄装置
CN105771339B (zh) * 2015-11-27 2018-10-16 中国葛洲坝集团投资控股有限公司 漂浮式刮吸泥系统及刮吸泥的操作法
JP6697832B1 (ja) * 2019-02-20 2020-05-27 アムコン株式会社 固液分離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11164A (en) * 1976-02-02 1977-03-08 Sybron Corporation Skimmer apparatus for sewage settling tanks and the like
JPS58190406A (ja) * 1982-04-30 1983-11-07 松下電工株式会社 収納家具
JPS58190406U (ja) * 1982-06-12 1983-12-17 藤原 充弘 沈澱池における浮遊物の排除装置
JPS59119393A (ja) * 1982-12-25 1984-07-10 株式会社 三友工業所 ミストを発生する装置における防音方法および装置
JPS59119393U (ja) * 1983-01-31 1984-08-11 藤原 充弘 スカム除去装置
US4462909A (en) * 1983-04-04 1984-07-31 Dorr-Oliver Incorporated Surface skimmer means for settling tank
NL8502799A (nl) * 1985-10-14 1987-05-04 Hoogovens Groep Bv Inrichting en werkwijze voor het scheiden van vloeistoffen.
JPS6297691A (ja) * 1985-10-25 1987-05-07 Mitsuhiro Fujiwara スカム除去装置
JP2585213B2 (ja) * 1986-02-18 1997-02-26 株式会社東芝 調理器
JPH0344316Y2 (ko) * 1986-05-27 1991-09-18
DE3633689C1 (de) * 1986-10-03 1988-02-04 Herbert Prof Dr-In Schneekluth Stroemungsleitflaeche
JPH072076Y2 (ja) * 1986-12-02 1995-01-25 充弘 藤原 スカム除去装置
JPH0354794A (ja) * 1989-07-21 1991-03-08 Nec Corp 半導体メモリ集積回路
US5057219A (en) * 1990-05-02 1991-10-15 Michihiro Fujiwara Scum treating apparatus
JP2516558Y2 (ja) * 1990-06-14 1996-11-06 充弘 藤原 スカム処理装置
US5200079A (en) * 1990-06-20 1993-04-06 Mcnish Corporation Circular clarifier including improved skimmer clarifi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32257B2 (en) 2006-11-27 2010-06-08 Dongbu Hitek Co., Ltd.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094514A1 (en) 1993-02-23
AU651888B2 (en) 1994-08-04
AU1795692A (en) 1993-03-16
EP0558754A4 (ko) 1994-01-19
EP0558754A1 (en) 1993-09-08
US5395526A (en) 1995-03-07
KR930702232A (ko) 1993-09-08
WO1993004002A1 (fr) 1993-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01390B1 (ko) 스캄제거장치
US4144173A (en) Device for skimming material floating on a liquid
JP4522979B2 (ja) 堆積物及び浮上物の掻寄装置
JP4496880B2 (ja) スカム掻寄装置
JP2563910Y2 (ja) スカム除去装置
JP2607867Y2 (ja) スカム除去装置
JPH0528491U (ja) スカム除去装置用シヤワー装置
JP2605137Y2 (ja) スカム除去装置
JPH1184U (ja) スカム除去装置
JP2580817Y2 (ja) スカム除去装置
JPH0585491U (ja) スカム除去装置
JPH10265U (ja) スカム除去装置
JP4337491B2 (ja) スカム除去装置
JP2606629Y2 (ja) スカム掻寄装置
JP3728629B2 (ja) スカム除去装置の清掃装置
JP2590513Y2 (ja) スカム除去装置
JP2008080203A (ja) 堆積物及び浮上物の掻寄装置
JP2531082Y2 (ja) スカム除去装置
JP2540247Y2 (ja) スカム処理装置
JP3528135B2 (ja) 往復揺動装置
JP2590512Y2 (ja) スカム除去装置
JPH0344316Y2 (ko)
JP2605114Y2 (ja) スカム除去装置
JPH0737390U (ja) スカム除去装置
JP2516556Y2 (ja) スカム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