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15166B1 - 유저인터페이스에 디스플레이를 사용한 선택제어장치 및 방식 - Google Patents

유저인터페이스에 디스플레이를 사용한 선택제어장치 및 방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15166B1
KR950015166B1 KR1019890005494A KR890005494A KR950015166B1 KR 950015166 B1 KR950015166 B1 KR 950015166B1 KR 1019890005494 A KR1019890005494 A KR 1019890005494A KR 890005494 A KR890005494 A KR 890005494A KR 950015166 B1 KR950015166 B1 KR 9500151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screen
cascade
copy
k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054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6818A (ko
Inventor
류우지 이노우에
다까오 오오다께
Original Assignee
후지제록스 가부시끼가이샤
고바야시 요오다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제록스 가부시끼가이샤, 고바야시 요오다로 filed Critical 후지제록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000168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68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151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51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1/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cathode-ray tube indicators; General aspects or details, e.g. selection emphasis on particular characters, dashed line or dotted line generation; Preprocessing of data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G03G15/5016User-machine interface; Display panels; Control consol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G03G15/5016User-machine interface; Display panels; Control console
    • G03G15/502User-machine interface; Display panels; Control console relating to the structure of the control menu, e.g. pop-up menus, help screen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유저인터페이스에 디스플레이를 사용한 선택제어장치 및 방식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디스플레이가 적용되는 유저인터페이스 선택제어장치의 일실시예를 예시한 도.
제2도는 본 발명의 기술의 장치의 전체 개략구성을 나타낸 도.
제3도는 제어계의 시스템구성을 나타낸 도.
제4도는 CPU의 하드웨어구성을 나타낸 도.
제5a도는 시어리얼 통신의 데이타에 대한 바이트길이와 전송시간을 예시한 도.
제5b도는 전송데이타의 구성을 예시한 도.
제5c도는 제5a 및 b도의 시어리얼 통신에 대한 타이밍도.
제6도는 1통신사이클에 있어서의 통신 간격을 나타낸 타이밍도.
제7도는 프로세서의 상태천이도.
제8a, b 및 c도는 주사 노광장치를 나타낸 도.
제9a 및 b도는 렌즈구동계를 나타낸 도.
제10도는 광학계의 제어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
제11a 및 b도는 광학계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
제12도는 마킹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구성도.
제13도는 감재벨트(sensitive material belt)상의 판넬분할을 설명하기 위한 도.
제14도는 마킹계의 기능의 개략을 나타낸 블록도.
제15도는 마킹계 제어 시퀀의 타이밍차트를 나타낸 도.
제16도는 용지 반송계의 측면도.
제17도는 용지트레이의 측면도.
제18도는 듀플렉스 트레이의 평면도(상면도).
제19도는 원고이송장치의 측면도.
제20도는 센서의 배치 평면도.
제21a, b 및 c도는 원고자동이송의 작용을 설명하는 도.
제22도는 소오터의 측면도.
제23도는 소오터의 구동계를 설명하는 도.
제24도는 소오터의 작용을 설명하는 도.
제25a, b 및 c도는 디스플레이를 사용한 유저인터페이스의 취부상태를 나타낸 도.
제26도는 디스플레이를 사용한 유저인터페이스(U/I)의 전면도.
제27도는 시어리얼 통신으로 U/I CPU와 연결된 메인 CPU를 나타낸 도.
제28도는 유저인터페이스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낸 도.
제29도는 유저인터페이스의 소프트웨어 구성을 나타낸 도.
제30도는 광학장치와 그 기능간의 관계를 나타낸 도.
제31a, b, c 및 d도는 선택제어의 처리 흐름의 일예를 나타낸 흐름도.
제32a∼m도는 화면데이타를 나타낸 도.
제33a 및 b도는 화면 편집처리를 설명하는 도.
제34도는 선택모드화면을 나타낸 도.
제35a∼d도는 선택모드화면 이외의 화면예를 나타낸 도.
제36도는 화면 절환제어를 설명하는 도.
제37도는 화면 레이아웃의 그룹화를 나타낸 도.
제38a도는 키보드스캔의 설정맵을 나타낸 도.
제38b도는 LED 스캔의 설정맵의 일예를 나타낸 도.
제39도는 디스플레이 타이밍을 나타낸 도.
제40도는 V-RAM의 각종 대응 어드레스의 일예를 나타낸 도.
제41도는 CRT의 표시위치에 대응하는 제1V-RAM의 어드레스의 일예를 나타낸 도.
제42도는 문자 독출회로를 나타낸 도.
제43도는 도트패턴과 대응데이타 및 스캔어드레스의 일예를 나타낸 도.
제44도는 속성데이타에 따라서 동작되는 비디오신호 제어회로의 구성을 나타낸 도.
제45도는 콘솔판넬(consol panel)을 갖는 종래 기술의 유저인터페이스를 나타낸 도.
본 발명은 유저인터페이스에 디스플레이를 사용하여 기능선택이나 실행조건을 설정하여 화정보의 기록을 행하는 복사기나 팩시밀리 장치, 프린터등의 기록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부가장치의 실장상태에 대응하여 화면을 디스플레이를 사용한 유저인터페이스의 선택지 제어방식에 관한 것이다.
복사기등의 기록장치는 고도의 기술 및 데이타 처리기술을 완전히 구사하기 위하여 컴퓨터를 포함하고 있다. 이용할 수 있는 기능도 다양화되고 기능선택이나 선택된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설정조건을 위하여 다양한 조작이 필요하게 된다. 조작자는 많은 복잡한 조작을 알아야 하고 정확한 수순조작을 하지 못하고 장치 사용시에 자주 오조작을 하게 된다. 조작자에게 복잡한 조작수순을 줄이기 위하여 콘솔판넬이 채용되어 왔다. 콘솔판넬에는 조작선택을 위하여 각종 키스위치들, 텐-키 스위치등이 설비되어 있다.
이 콘솔판넬에는 키조작을 통한 선택, 설정 상태, 조작안내들을 표시하는 표시기도 설비되어 있다.
종래의 유저인터페이스의 대부분은 키들 LED들, 액정표시기등을 갖춘 콘솔판넬형 이었다. 예를들면 백리트 타입이나 메시지 표시부의 것등이 있다. 백리트 타입의 콘솔판넬은 사전에 소정의 위치에 고정메시지가 배치된 표시판을 배후에서 램프등으로 선택적으로 조명함으로써 그 부분을 읽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메시지 표시부 콘솔판넬은 예를들면 액정표시소자로 구성되고 표시면적을 크게함이 없이 여러가지 메시지를 수시 표시하도록 한 것이다. 이들의 콘솔판넬에 있어서 그 어느것을 채용하느냐는 복사기의 시스템 구성의 복잡성이나 조작성등을 고려하여 복사기마다 결정되어 있다. 제45도는 복사기에 채용되는 콘솔판넬의 일예를 나타낸 도이다. 본 출원인의 이미 별도 제안인 일본국 특원소 62-278653 및 62-278655의 것이다. 콘솔판넬 701에는 그 상부에 메뉴표시판 702가 배치되어 있고 각각의 판넬부분(703∼708)의 내용이 문자로 표시되어 있다.
소오터용 판넬 703에는 1개의 스위치 709와 2개의 표시램프 710이 배치되어 있고 소오터가 접속된 경우에 있어서의 소오팅 모드(스택모드 및 정합모드(collation mode)를 선택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기능선택용 판넬 704에는 화상의 편집 또는 수정/확인을 행하기 위한 스위치 711, 좁메모리에 기억시키기 위한 스위치 712, 페이지 연사기능이나 에지삭제기능, 철여백기능 및 여러가지 복사형태를 취하기 위한 스위치 713 및 양면카피를 취하기 위한 스위치 714와 이들의 스위치의 선택의 유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램프 T15가 배치되어 있다. 단색칼라 강조용 판넬 705에는 그 상부에 칼라 현상제의 종류(색)을 나타내는 표시램프 715가 4개 배치되어 있다. 나머지 부분에는 4개의 스위치 716∼719와 이들의 스위치 716∼719의 어느것이 설정되었느냐의 표시를 행하기 위한 표시램프 710이 배치되어 있다. 이들은 마킹칼라 스위치 716, 부분칼라 변환스위치 717, 연사칼라 합성스위치 718, 단색칼라 스위치 719이다.
카피농도판넬 706에는 5단계의 카피농도중의 어느것이 선택되었는가를 표시하는 표시램프 710과 이들의 카피농도의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쉬프트키 720,721이 배치되어 있다. 상측의 쉬프트키 720이 눌리면 카피농도가 엷어지는 방향, 하측의 쉬프트키 721이 눌리면 카피농도가 진해지는 방향으로 각각 농도설정이 행해지고 이와같이 하여 이 판넬은 16단계의 카피농도를 선택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카피농도 판넬 706의 아래에는 자동농도 조정스위치 723이 배치되고 조작시에 자동농도 표시램프 722가 점등되어 자동농도 조정모드로 설정된다.
배율 및 용지선택용 판넬 707에는 그 좌측에 배율의 설정 및 표시를 행하는 부분이 배치되어 있고 우측에는 용지의 선택을 행하는 부분이 배치되어 있다. 배율의 설정 및 표시를 행하는 부분에는 임의 배율을 설정하는 쉬프트키 724,725 및 배율표시부 723이 배치되고 그 옆에는 사전에 정해진 고정배율의 선택을 행하는 고정배율키 726과 그 배율표시판 727과 표시램프 710이 배치되어 있다. 카피용지의 선택을 행하는 부분에는 용지사이즈 또는 용지의 종류를 표시한 8종류의 표시판 728과 이들중의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쉬프트키 729, 730이 배치되어 있다. 또 8종류의 표시판 728의 좌측 가까이 어느 용지사이즈 또는 용지가 선택됐는지를 표시하는 표시램프 710이 배치되어 있다. 또 배율 및 용지선택 판넬 707의 아래에는 사전에 세트된 배율과 용지사이즈의 조합을 선택하는 자동용지/배율선택 스위치 731이 배치되어 있다.
배율 및 용지선택용 판넬 707의 우측에 위치하는 표시판넬 708에는 이 복사기의 기호들(symbols) 732와 액정표시부 733이 배치되어 있다. 기호 732는 공급트레이의 선택상태나 종이걸림이 생긴 장소등을 램프의 점등으로 표시하고 액정표시부 733은 한자를 포함한 문장에 의해서 더 여러가지의 메시지를 표시하고 기능의 선택이나 실행조건의 설정을 행한다.
또 표시판넬 708의 아래에도 여러가지의 키 또는 버턴이 배치되어 있다. 이들은 복사기를 기본상태 즉, 우선모드로 복귀시키는 올클레어버턴 734, 카피매수를 세트하든지 복사기의 진단을 행할때의 진단내용의 특정등을 행하기 위한 수치입력에 사용하는 텐-키 735, 연속카피를 행하고 있을때에 다른 긴급카피를 할 필요가 있을때 사용되는 인터럽트버턴 736, 카피작업을 도중에서 정지시킬때나 카피매수의 설정시나 소오터의 빈(Bin)의 설정시의 클레어버턴으로서 사용하는 스톱클레어버턴 737, 카피작업을 개시시키기 위한 스타트버턴 738, 액정표시부 T33에 표시된 메시지에 대해서 커솔를 움직이기 위한 선택키 739, 커솔로 지정된 장소에 설정하기 위한 설정키 740등이다.
이상 설명한 콘솔판넬을 예를들면 용지의 선택이나 카피농도의 설정이라는 기본조작의 에어리어와 예를들어 기능선택이나 단색 칼라 강조라는 응용조작의 에어리어를 분리한 배치로 되어 있다. 이것에 더하여 액정 표시부 733에 한자와 가나가 섞인 문장을 표시하여 응용조작의 보조를 행함으로써 판넬조작에 있어서의 오조작 발생을 가능한한 저하되도록 하고 있다.
복사기는 본채머신에 각종 기능을 설비한 것, 부가장치로서 소오터나 자동원고 급송장치, 용지트레이, IC 카드장치등이 장비된 것등 그 조합이 매우 많아진다. 따라서 이들의 조합에 응해서 이용가능한 기능도 다르므로 콘솔판넬에 배치되는 기능선택을 위한 스위치의 수나 조작에 수반되는 장치내에서의 처리도 다르고 또 그것에 대응하여 표시램프나 표시기의 배치나 수도 달라진다. 그때문에 콘솔판넬은 복사기의 규모에 따라서 스위치류나 표시기류의 배치, 사이즈를 결정하여 설계되어 있다.
복사기등의 기록장치는 사무실 작업으로 없어서는 안될 기기로 되어 있으나 사무스페이스의 원가가 고등하고 있는 상황에 사무스페이스를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하여 복사기등의 기록장치도 콤팩트화되어 전유면적을 작게할 수 있는 것이 강하게 요청되고 있다.
또 복사기등에 있어서 그 이용도의 상승과 더불어 유저의 요구도 다양화되어 고성능, 다기능화의 경향이 강해진다. 더욱이 복사기등을 다기능화하고 콤팩트화 하려는 경우에 특히 콘솔판넬은 다기능화와 콤팩트화가 상반되기 때문에 콘솔판넬에 콤팩트화하는데 한계가 생긴다. 즉, 콘솔판넬에서는 기능이 많아짐에 따라서 표시내용이나 조작내용도 증가되고 배치해야할 키의 수가 많아지고 표시기의 수나 사이즈도 커지기 때문에 스페이스도 많이 필요하게 된다. 그리하여 스페이스를 제한한면 표시수단이나 조작수단의 배치밀도등이 높아져서 표시를 읽기 어려워질 뿐만 아니라 조작이 복잡해진다.
그리하여 본 출원인등은 유저인터페이스에 디스플레이를 사용하여 장치전체를 콤팩트화하고 또한 조작성도 향상시킨 기록장치를 제안한 것이다. 콤팩트한 사이즈로 디스플레이를 행하는데는 다기능화된 기록장치에서는 자유로 기능을 선택, 설정할 수 있게 하면, 많은 선택지들(selection trees)을 갖기 때문에 화면을 분할하여 기능선택을 위한 선택모드화면을 구성하게 된다. 이와같은 화면구성에서는 부가장치의 유무에 따라서 어느 선택지가 유효하게 되든지 무효하게 된다.
예를들면 복사기는 아웃푸트장치에서는 소오터, 피니셔가 부가장치로서 있고 소오터가 설비됐을때 피니셔가 설비됐을때 어느것이나 설비되지 않았을때의 3종류의 태양이 존재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인프트장치에서는 DADF(Duplex auto document feeder), RDF(Recycle document handler)등이 또 용지트레이에서는 MSI(Multi sheet inserter) 및 HCF(High capacity feeder)등이 부가장치로서 있다. 또 용지트레이는 MSI 및 HCF 양자가 설비되어 있는 경우도 있다. 이들 부가장치가 설비되어 있느냐 없느냐에 따라서 어느 기능은 이용할 수 있고 다른 기능은 이용할 수 없다. 또 그 내용에도 변경이 생긴다. 다기능화된 복사기에서는 이와같은 부가장치에 상당되는 것은 수십분류가 되고 그들의 조합은 수천∼수만의 범위로 될 수 있다. 따라서 그 모든 조합에 대응한 선택모드화면을 준비하면 표시화면용의 메모리 용량이 극도로 커져야 될 것이다. 그러나, 설비되지 않는 부가장치를 포함한 모든 기능을 선택지로서 표시하는 것은 조작자에 대해서는 사용할 수 있는 기능의 식별이 큰 부담을 주는 동시에 사용할 수 없는 기능을 실제로 선택한 경우의 대응도 문제로 된다. 또 부가장치에 따라서는 상기 인프트장치와 같이 선택적으로 설비되는 것과 용지트레이와 같이 병설가능한 것이 있고 이들도 포함시켜 모두를 1화면에 표시하는 것은 화면구성상에서도 현실적으로 어려운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려는 것이며 본 발명의 목적은 실제로 설비된 부가장치를 반영시킨 선택모드화면을 표시할 수 있고 사용할 수 없는 선택지의 키가 입력되지 않도록 하는 디스플레이를 사용한 유저인터페이스의 선택지 제어방식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디스플레이를 사용한 유저인터페이스의 선택지 제어장치 및 제어방식은 제1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유저인터페이스 1001에 디스플레이 1002를 사용하여 복수의 화면을 선택적으로 표시하고 키보드 1003을 거쳐서 기능선택이나 실행조건을 입력 설정하는 기록장치가 있다. 베이스 머신에 장착되는 부가장치 1004에는 부가장치를 표시하는 정보신호를 발생하는 정보발생수단 1005가 설비되어 있다. 정보신호가 얻을 수 없는 경우에는 부가장치 1004에 대응하는 선택지는 디스플레이 되지 않고 부가장치 1004에 대응하는 키입력이 무효로 된다. 이 목적으로 각 부가장치에 대응하는 선택지를 제어하는 테이블 1006과 키코드의 입력을 제어하는 테이블 1007이 설비되어 있다. 테이블들 1006 및 1007은 전원이 ON되고 각 부가장치 존재표시를 하는 정보가 있을때에 갱신된다.
본 발명에 의한 디스플레이를 사용한 유저인터페이스의 선택지 제어장치 및 제어방식에서는 선택지의 표시를 제어하는 테이블과 키코드의 입력을 제어하는 테이블이 설비되어 있다. 이들 테이블들은 전원 ON시에 각 부가장치를 표시하는 신호의 존재에 의해서 갱신된다. 그리하여 선택지가 표시될때에 이 테이블들을 참조하여 대상외의 기능이 조작자에 의해서 선택되는 것을 방지되도록 선택지의 표시가 제어될 수 있다.
또 부가장치의 존재표시신호를 갖는 테이블을 참조하여 키코드를 처리함으로써 조작자가 사용할 수 없는 기능을 선택할지라도 무효처리를 할 수 있다.
[실시예]
본 실시예에서는 복사기를 기록장치의 일예로서 설명하겠다. 아래에 본 실시예의 목차를 나타냈다.
(Ⅰ)∼(Ⅲ)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복사기의 전체구성의 개요를 나타내는 항이고 그 구성중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는 항이(Ⅲ)이다.
(Ⅰ) 장치의 개요
(Ⅰ-1) 장치구성
(Ⅰ-2) 시스템기능 및 특징
(Ⅰ-3) 시스템의 구성
(Ⅰ-4) 시어리얼 통신방식
(Ⅰ-5) 스테이트 분할
(Ⅱ) 구체적인 각부의 구성
(Ⅱ-1) 광학계
(Ⅱ-2) 벨트와 관련된 시스템
(Ⅱ-3) 용지 반송계
(Ⅱ-4) 자동원고 급송장치
(Ⅱ-5) 소오터
(Ⅲ) 유저인터페이스(U/I)
(Ⅲ-1) 유저인터페이스이 구성개요
(Ⅲ-2) 제어시스템의 구성
(Ⅲ-3) 선택지 제어
(Ⅲ-4) 표시화면의 구성
(Ⅲ-5) 키/LED 보드 및 디스플레이 표시회로
(Ⅰ) 장치의 개요 :
(Ⅰ-1) 장치구성
제2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복사기의 전체 구성의 일예를 나타낸 도이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복사기는 베이스머신 1001내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부가장치를 갖고 있다. 베이스머신 1001은 원고가 놓이는 플래튼유리 1002, 광학계 1003 및 플래튼유리 1002 아래의 마킹계 1005로 되어 있다.
한편 베이스머신 1001에는 상단트레이 1006-1, 중간단트레이 1006-2 및 하단트레이 1006-3가 설비되어 있고 그 모두가 앞으로 끌어내어지게 되어 있다. 그리하여 조작성의 향상과 복사기의 사무실내에서의 배치 스페이스의 절약이 도모됨과 동시에 베이스머신으로부터 튀어나오지 않은 날씬한 설계로 되어 있다. 또 인버트들 1009 및 1010과 듀플렉스 트레이 1-11이 급지트레이내의 용지를 반송하는 용지반송계 1007내에 설치되어 있어서 베이스머신 1001위에는 CRT 디스플레이로 된 유저인터페이스(U/I) 1012가 장착되어 있다. 플래튼유리 1002에는 DADF(duplex auto document feeder) 1013이 설비되어 있다. 유저 인터페이스 1012는 스탠드타입 또는 직립타입이고 그 아래에 카드장치를 장착할 수 있다.
다음의 것들은 베이스머신 1001를 위한 부가장치이다. DADF 1013은 RDH 1015 의 임의 하나와 대치될 수 있다(recyling document handler : 원고를 원래의 피드위치로 되돌리고 원고급송을 자동적으로 반복하는 장치) 또는 통상의 ADF(Auto document feeder), 에디터패드(좌표 입력장치) 및 플래트커버의 어느것이나 장착할 수 있다. 용지반송계 1007의 공급측에는 HCF(high capacity feeder) 1017이 설비될 수 있다. 용지반송계의 배출측에는 1개 이상의 소오터들 1019를 배치할 수 있다.
DADF 1013이 있는 경우에는 심플 캐치트레이 1020 또는 소오터 1019를 장착할 수 있다. RDH 1015이 장착된 경우에는 한 세트의 카피씩 쌓아가는 오프세트 캐치트레이 1021이 한 세트의 카피씩 스테이플로 찍는 피니셔 1022가 장착될 수 있고 용지철기능을 갖는 폴더 1023를 장착할 수 있다.
(Ⅰ-2) 시스템의 기능 및 특징
(A) 기능
본 발명은 유저의 필요를 고려하여 제공된 여러가지 기능을 포함하고 있다. 복사조작은 개시부터 종료시까지 자동화되고 상술한 유저인터페이스 1012는 기능의 선택, 실행조건의 선택 및 기타 메뉴를 CRT 상에 표시된다. 그리하여 모든 사용자가 용이하게 장치를 조작하게 한다.
주요기능의 하나는 CRT 상에 선택적으로 화면을 표시하는 것이며 카피모드를 기본카피, 응용카피 및 전문카피의 각 모드로 분류하여 각각의 모드에서 기능선택이나 실행조건의 설정등을 표시한다. 키입력에 의해서 화면의 캐스케이드(커서)를 이동시켜서 기능을 선택하든지 실행조건 데이타를 입력가능하게 하고 있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복사기의 기능들은 주요기능, 자동기능, 부가기능, 표시기능 및 진단기능을 포함하고 있다.
주요기능은 상술한 3-단 트레이를 갖고 있고 A6∼A2 및 B6∼B3등의 정형사이즈의 용지는 물론 형외의 사이즈이 용지도 사용할 수 있다. 또 7단계의 고정배율과 1%씩의 증분의 임의배율조정 및 99%∼101%의 사이에서 0.15%씩의 증분의 미세조정의 배율증가를 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 고정 7단 배율모드 및 사진 모드는 농도선택기능, 양면기능, 좌우 독립페이지 오프세트기능 및 빌링기능을 포함하고 있다.
자동기능은 자동적으로 원고사이즈에 맞춰서 용지선택, 용지지정상태에서 행하는 배율선택, 농도 콘드롤, 전원 ON후의 퓨저레디시에 행하는 스타트, 카피작업이 종료되고 일정시간후에 행하는 클레어와 파워세이브기능을 포함하고 있다.
부가기능은 합성카피, 인터럽트, 예열모드, 용지설정 매수의 클레어, 자동모드로 복귀시키는 오토클레어 기능을 설명하는 정보, IC 카드를 사용하기 위한 P-키, 설정매수를 제한하는 맥시멈 로크원고 복귀나 DADF를 사용하는 플좁 리커버리, 잼부이외의 용지를 배지시키는 퍼지, 담부삭제가 없는 전면카피, 원고의 부분카리 부분삭제를 행하는 에디터, 각각의 좁을 독출 처리하는 좁프로그램, 백지를 각 카피들사이에 1매씩 삽입하는 합지(interleaving) 및 플록스타일 카피의 내부 삭제/프레임 삭제 기능을 포함하고 있다.
표시기능은 CRT 디스플레이를 사용하여 잼표시, 용지잔량표시, 토너잔량표시, 회수토너의 충만표시, 퓨저가 덥혀지도록까지의 기다리는 시간표시 기능선택모순이나 머신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조작자에게 제공하는 메시지 표시기능을 포함하고 있다.
다이아그노시스기능은 비휘발성 RAM(NVRAM)의 초기화, 입력체크, 출력체크, 잼회수나 용지 피드매수의 히스토리파일, 마킹이나 감재벨트용 처리코드에 사용하는 초기치의 트리밍(trimming), 레지스터게이트 ON 타이머 및 콘피거레이숀설정기능을 포함하고 있다.
옵숀으로 MSI, HCF, 제2의 현상을 위한 칼라(적,청,녹,갈) 및 데이터 기능이 적의 설비 가능하다.
(B) 특징
전술한 기능들을 갖는 본 발명의 전시스템은 다음 특징을 갖고 있다 :
(a) 전력 절약 달성
1.5KVA의 전력으로 하이스피드, 고성능의 복사가 행해진다. 그리하여 1.5KVA의 총 전력소모로 각 조작모드가 행해지도록 제어시스템이 되어 있다. 또 조작자가 에너지 공급로를 알 수 있는 에너지 시스템 테이블이 에너지 시스템의 관리 및 검증을 위하여 제공되어 있다.
(b) 저원가
고가의 부품은 기술향상과 부품표준화를 위한 공장제 부품이다. 또 화재(picture material)의 수명향상은 하드웨어의 원가를 저감시킨다. 토너 소비비용을 줄여 화재비를 저감화하고 있다.
(c) 신뢰성 향상
고장가능 부품이 감소하여 장수명화 하고 있다. 각 파라메터의 입력/출력조건을 명확히 하고 또 불충분한 설계상의 고려로 생기는 기술적인 문제를 감소시켰다. 그리하여 복사기가 소전력과 적은 정비를 필요로 하게 하였다.
(d) 고화질의 달성
본 장치에 있어서는 페라이트로 되는 마이크로 캐리어를 미세화면용 토너입자로서 사용되고 반발자계에 의해서 현상하는 방식으로 사용하고 있다. 또 감광체로서는 유기감재를 다중층으로 형성한 고감도 범색 유기감재벨트를 사용하고 또 세트포인트를 풀로 이용한 픽토리얼 모드에 중간조(half-tone)을 실현시키고 있다. 이들 구성에 의해서 카피 제너레이숀이 개선되고 흑점이 저감되어 종래의 화면보다 휠씬 우수한 고화질을 달성하고 있다.
(e) 조작성의 개선
특정모드에서 카피조작이 원고를 제자리에 세트한 후에 카피매수를 입력하는 것만으로 스타트키의 조작에 의해서 실행하는 전자동모드를 갖는 동시에 사용자의 요구에 응하여 다양한 모드세팅이 선택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들 모드 세팅들은 기본카피, 응용카피, 전문카피로 분할된 화면에 의한 카피모드 설정을 포함한다.
이 인터페이스는 CRT 디스플레이와 그 주위에 배치된 소수의 키 및 LED에 의해서 행해진다. 그리하여 읽기쉬운 표시메뉴와 간단한 조작으로 모드설정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 불휘발성 메모리나 IC 카드에 카피모드나 그 실행조건등을 사전에 기억해 놓음으로써 소정의 조작의 자동화를 가능하게 하고 있다.
(f) 차별화의 예
본 발명이 적용되는 복사기는 IC 카드에 격납된 프로그램에 의해서 복사기의 기능을 결정하고 있다. 그리하여 IC 카드에 격납되는 프로그램을 카드단위로 변화시킴으로써 복사기의 사용에 대한 차별화가 가능하다. 이 차별을 예를들어 더 설명하겠다.
제1의 예는 잡거빌딩내에 복수의 회사가 공동 사용하는 복사기가 설비되어 있든지 하나의 회사 또는 공장내에서 다른 부문간에서 공동으로 사용하는 복사기가 설비되어 있는 경우이다. 후자의 경우는 예산관리상 필요한 것이다. 각 부문에 의해서 복사기의 사용관리를 종래에는 카피라이저등의 사용으로 행하고 있었다.
이 복사기는 제2도에 나타낸 베이스머신에 IC 카드장치, DADF 1013, 소오터 1019, 유저인터페이스 1012, 공급트레이(1006-1∼1006-3) 및 듀플렉스 트레이 1011을 설비한 비교적 고도의 시스템이다. 어떤 사용자는 DADF 1013 및 소오터 1019를 사용할 것이고 다른 사용자들은 부가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을 것이다.
이들 사용태양이 다른 사용자가 각자의 카피보륨으로 복사기의 비용부담을 하는 경우에 소량의 카피를 하는 사용자는 고가의 부가장치를 갖는 복사기를 원치않는 반면, 다량의 카피를 하는 사용자는 그와같은 복사기를 원할 것이다.
그와 같은 경우에 사용자들의 선택된 군의 요구에 응한 IC 카드를 준비해 놓고 다량의 카피를 원하는 사용자는 추가기능에 대한 비용을 더 부담한다. 예를들면 고도의 카드의 소지자는 DADF 1013, 소오터 1019, 공급트레이(1006-1∼1006-3) 및 듀플렉스 트레이 1011을 사무 효율 향상을 위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소오팅기능을 필요로 하지않는 사용자는 소오팅 프로그램이 들어있지 않는 IC 카드를 가질 수 있고 캐치트레이 1020만을 사용할 수 있다.
제2의 예는 IC 카드를 사용한 셀프서비스 삽(self-service shop)의 경우이다. 이 점포에는 IC 카드 1022를 장착하는 복수의 복사기가 설비되어 있다. 고객은 그가 원하는 서비스에 맞는 IC 카드를 요구하여 그 IC 카드를 그가 원하는 복사기에 세트하고 셀프서비스 카피를 한다. 복사기에 대해서 익숙하지 않는 고객은 조작설명의 표시기능을 프로그램으로서 격납시킨 IC 카드를 요구하며 U/I 1012상에 각종 조작정보의 표시를 얻을 수 있어서 혼동없이 카피조작을 행할 수 있다. DADF 1013의 사용가부나 다색기록의 실행가부등이 IC 카드에 의해서 결정되고 또 복사기의 기종제한도 가능하여 카피요금에 따라서 고객관리를 할 수 있다.
카피한 매수 또는 카피용지의 사이즈등의 카피작업상태를 IC 카드중에 격납시킬 수 있다. 그리하여 서비스에 대한 요금청구가 용이해지고 단골고객에 대한 디스카운트등의 자상한 서비스가 가능한 것이다.
제3의 예는 특정 유저를 위한 프로그램을 격납시킨 IC 카드를 사용한 서비스의 경우이다. 예를들면 특허사무소나 법률사무소는 사진제판에 의해서 축소된 특허공보류를 검토하기 때문에 200%라는 비교적 큰 확대율로 카피하지 않으면 안된다.
또 관청에 제출하는 도면을 작성하는데 관청의 요청에 맞도록 원도를 소증분으로 축소 또는 확대한다. 시청 또는 주민카드의 카피를 필요로 하는 구청은 청구의 대상외의 사람에 대한 기재개소나 개인의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하여 비밀로 해야할 화정보를 삭제하도록 하여 주민카드의 등본이나 사본을 카피한다. 이와같이 사용자는 서로 다른 태양으로 복사기를 사용하는 것을 원하는 것이다. 복사기가 이들 모든 요청을 이행하는 기능이 설비되어 있는 경우에 콘솔판넬이 복잡해지고 또 복사기 내부의 ROM이 대형화된다. 그리하여 특정 사용자별로 IC 카드를 준비해놓고 카드를 머신에 세트시킴으로써 사용자에게 가장 알맞는 기능을 갖는 복사기가 완성될 수 있게 한다.
예를들면 특허사무소의 예에서는 전용 IC 카드를 구입함으로써 고정배율로서 통상의 수종류의 축배율이외에 200%의 축배율을 간단히 선택될 수 있게 된다. 또 미조정을 필요로 하는 범위에서 예를들면 1%씩의 증분으로 축배율을 설정할 수 있다.
또 주민카드 발행부분은 텐키스위치를 조작함으로써 액정표시부등의 디스플레이에 주민표의 종류나 삭제해야할 난이나 항목을 지지할 수 있다. 그후에 스타트버턴을 누름으로써 문서원본으로부터 소망하는 부분을 카피할 수 있고 또는 필요한 부분만이 편집되어서 기록되게 된다.
[Ⅰ-3 시스템의 구성]
제3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복사기의 시스템구성을 나타낸 도이고 제4도는 CPU를 사용한 하드웨어구성을 나타낸 도이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복사기는 주회로판 1031위의 SQMGR(Sequence manager) 서브시스템 1032, CHM 서브시스템 1033, IMM 서브시스템 1034, 마킹서브시스템 1035로 되는 4개의 서브시스템과 그 주위의 U/I 서브시스템 1036, INPUT 서브시스템 1038, OUTPUT 서브시스템 1039 및 IEL 서브시스템 1040으로 된 5개의 서브시스템의 총 9개의 서브시스템으로 되어 있다. CHM 서브시스템 1033, IMM 서브시스템 1034 및 SQMGR 서브시스템 1032는 제4도에 나타낸 메인 CPU 1041의 소프트웨어에 의해서 제어되므로 서브시스템들 1033 및 1034는 통신이 필요치 않는 서브시스템간의 인터페이스(실선표시)를 거쳐서 SQMGR 서브시스템 1032에 연결되어 있다. 다른 시스템들은 그들이 메인 CUP 1041 이외의 CPU에 의해서 제어되므로 시어리얼 통신 인터페이스(점선표시)를 거쳐서 연결되어 있다. 이들 서브시스템을 아래에 설명하겠다.
SQMGR 서브시스템 1032은 U/I 서브시스템 1036으로부터 카피모드의 정보를 수신하고 효율좋게 카피작업이 실시될 수 있도록 각 서브시스템간을 협조시키면서 각 서브시스템에 작업지시를 발행하는 동시에 각 서브시스템의 상태를 상시 감시하고 이상발생시에는 신속히 상황처리를 행하는 시퀀스메네저이다.
CHM 서브시스템 1033은 용지수납 트레이, 듀플렉스 트레이 및 수동삽입 트레이, 카피용지의 급송 및 카피용지의 배출동작의 제어를 행한다.
IMM 서브시스템 1034는 감재벨트상의 판넬분할, 감재벨트의 주행/정지의 제어, 메인모터의 제어, 감재벨트에 관련되는 기타기능을 제어한다. 마킹시스템 1035는 코로트론, 노광램프, 현상기, 감재벨트의 전위, 토너농도의 제어를 행하는 서브시스템이다.
U/I 서브시스템 1036은 유저인터페이스의 제어 머신상태의 표시 카피모드 결정등의 좁관리 및 좁리커버리를 행하는 서브시스템이다.
INPUT 서브시스템 1037은 원고의 자동공급(DADF) 및 원고의 반자동 공급(SADF), 컴퓨터 폼 원고의 공급(CFF)를 행하고 원고의 자동공급의 리사이클(RDH) 및 원고사이즈의 검출을 행하는 서브시스템이다.
OUTPUT 서브시스템 1038은 소오터의 피니셔를 제어하고 카피용지를 소오팅 모드, 스태킹모드 또는 논스태킹모드로 출력하든지 카피된 원고를 철형태로 출력하는 서브시스템이다.
OPT 서스시스템 1039는 원고 노광시의 스캔, 렌즈이동셔터 및 PIS/NON-PIS의 제어와 LDC 모드시의 캐리지 이동을 행하는 서브시스템이다.
LEL 서브시스템 1040은 감재벨트상의 불필요한 상을 소거시키고 상의 전단 및 후단을 소거, 편집모드에 응한 소거를 행하는 서브시스템이다.
상술한 시스템들은 시스템의 심장부로서 제4도에 나타낸 7개의 CPU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CPU들은 베이스머신과 부가 주변장치의 조합에 유연한 대응을 할 수 있게 한다. 메온보드상의 메인 CPU 1041은 SQMGR 서브시스템 1032, CHM 서브시스템 1033 및 IMM 서브시스템 1034를 위한 소프트웨어를 포함하고 시어리얼 버스 1053을 거쳐서 각 CPU들 1042∼1047가 연결되어 있다. CPU들 1042∼1047은 제3도에 나타낸 시어리얼 통신 인터페이스를 거쳐서 각 서브시스템과 직접 통신한다. 시어리얼통신은 메인 CPU 1041과 기타 CPU들 1042∼1047사이에 소정의 타이밍에 행해진다. 그때의 통신사이클장은 100msec이다. 이 목적으로 정밀한 타이밍이 요구되고 시어리얼통신의 타이밍에 맞출수 없는 신호에 대해서는 인터럽트포트(INT 단자신호)가 설비되고 시어리얼버스 1053과는 별개의 호트라인에 의해서 인터럽트 처리된다.
다시말하면 64cpm(A4LEF) 및 309㎜/sec의 프로세스스피드로 카피동작을 시켜 레지게이트(레지스토리게이트)의 정도등을 ±1㎜로 설정하면 상기와 같은 100msec의 통신사이클이내에 처리할 수 없는 좁이 생긴다. 이와같은 좁의 실행을 보증하기 위하여 호트라인이 필요하게 된다.
그리하여 본 발명에 의한 복사기는 복사기에 장착될 수 있는 각종 부가장치에 대응하는 소프트웨어의 구성을 채용하고 있다.
이와같은 구성을 한 이유는 (1) 베이스머신 1001에 이들 모든 부가장치들을 위한 동작제어 프로그램을 준비시킨다면 대단히 큰 메모리 용량이 필요하게 된다. (2) 장래에 새로운 부가장치를 개발하든지 현재의 부가장치의 개량을 행하는 경우에 메모리의 추가나 교환없이 이들 부가장치를 사용할 수 있도록 복사기가 구성되어야 한다.
그때문에 베이스머신 1001은 복사기의 기본부분을 제어하는 기본 기억영역과 기능정보와 함께 IC 카드로부터 읽은 프로그램을 기억시키는 부가기억영역을 갖고 있다. 부가기억영역은 DADF 1013의 제어프로그램 및 유저인터페이스 1012의 제어프로그램을 포함한 각종 프로그램을 격납하고 있다. 베이스머신에 소정의 부가장치가 장착된 상태에서 IC 카드가 IC 카드장치 1022에 세트될때에 카피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이 유저인터페이스 1012를 거쳐서 카드로부터 독출되고 부가 메모리장치 내로 로드되게 되어 있다. 로드된 프로그램은 기본기억영역에 기억된 프로그램과 협조하거나 그에 또는 우선하여 카피작업제어를 행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메모리는 전지에 의해서 백업된 랜덤억세스메모리로 구성되는 불휘발성 메모리이다. 물론 IC 카드, 자기카드 및 플로피디스크등의 다른 기억매체도 불휘발성 메모리로 사용할 수 있다. 이 복사기의 예에서는 화상의 농도나 배율설정을 적은 단계로 프리세트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프리세트된 값을 불휘발성 메모리에 기억되도록 되어 있다.
[(Ⅰ-4) 시어리얼 통신방식]
제5도는 시어리얼 통신을 위한 전송데이타 구성과 전송타이밍을 나타낸 도.
제6도는 1통신사이클의 통신간격을 나타낸 타이밍차트이다. 메인 CPU 1041과 각 CPU들 1042∼1047 사이의 시어리얼 통신에서는 제5a도에 나타낸 데이타량이 각 CPU에 할당되어 있다. 제5a도는 메인 CPU 1041로부터 송신데이타(TX)가 7바이트, 수신데이타(RX)가 15바이트이고 다음 슬레이브(또는 옵티칼 CPU 1045)에 대한 송신타이밍 T1(제5c도)이 26㎳이다. 이 예에 의하면 총 86바이트가 송수신된 것이고 9600BPS의 통신속도에서는 약 100㎳의 주기로 된다.
데이타길이는 제5b도에 나타낸 바와같은 헤더, 코멘드 및 데이타로 구성되어 있다. 송수신이 제5a도에 나타낸 것과 같이 최대 데이타길이를 가지면 전체 통신사이클은 제6도에 나타낸 것과 같아진다. 여기에서는 9600BPS의 통신속도에 대해서 1바이트의 송신에 요하는 시간을 1.2㎳으로하고 슬레이브가 수신종료하고 난 후에 송신을 개시하도록까지의 시간을 1㎳로 하여 100㎳을 1통신사이클로 하고 있다.
[(Ⅰ-5) 스테이트분할]
제7도는 메인시스템의 스테이트의 상태를 나타낸 도이다.
스테이트분할은 제어의 효율과 정도를 보증한다. 파워-ON부터 카피작업시까지의 머신상태와 카피동작후의 몇가지 상태를 분할하여 각 상태에서 행하는 특정좁을 결정한다. 각 전단계에서의 좁이 종료된후에 다음 상태만 들어갈 수 있게 되어 있다. 각 상태에는 플래그가 할당되어 각 시스템은 이 플래그를 참조함으로써 메인시스템이 어떤 스테이트에 있는 것인지를 판단하고 각 서브시스템이 무엇을 할 것인가를 결정할 수 있다. 각 서브시스템들도 스테이트 분할되어 있어서 각 스테이트에 응하여 플래그가 할당되어 있다. 메인시스템은 이들 서브시스템 플래그를 참조하여 각 서브시스템의 스테이트를 관리하고 있다.
전원이 ON되면 시스템은 프로세서-이니셔라이즈 상태로 되고 시스템이 다이어그노스모드인지 유저모드(카피모드)인지를 판단한다. 다이어그노스모드는 서비스맨에 의해서 수리중에 NVM(불휘발성/메모리)에 의해서 설정되는 조건에 준하여 각종 시험을 행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모드이다.
유저모드에서는 이니셜라이제이숀이 NVM의 내용에 의해서 행해진다. 예를들면 캐리지는 홈위치에 세트되고 렌즈는 100% 배율위치에 세트되어 각 시스템들이 이니셜라이즈 된다. 이니셜라이제이숀이 종료되면 시스템은 스텐드바이 상태로 된다.
스텐드바이 스테이트는 전체 서브시스템들이 이니셜라이즈된 후에 스타트버턴을 누를때까지 유지된다. 스텐드바이 상태에서는 "PLEASE WAIT"란 메시지가 전자동 화면상에 표시한다. 그후에 감광램프가 점등되어 소정시간동안 퓨저공회전을 행한다. U/S는 "PLEASE COPY"라는 메시지를 소정의 제어온도까지 퓨저가 가온됐을때에 표시한다. 이 스텐드바이 상태는 첫 파워-ON시만 수 10초 계속된다.
세트업 스테이트는 카피동작을 작동시키기 위하여 스타트버턴이 눌린후에 생기는 예열 스테이트이다. 이 스테이트에 메인모터, 소오터모터가 감재벨트의 VDDP등의 정수조정을 한다. ADF 모터는 ON되고 첫 원고의 공급이 개시되고 이 첫 원고가 레지게이트에 도달되어 원고의 사이즈가 검지되고 트레이와 배율이 APMS 모드에서 결정되고 ADF 원고가 플래튼에 의해서 당겨진다. 그때 2매째의 ADF 원고가 레지-게이트로 전진되어 시스템을 사이클업 스테이트로 천이시킨다.
사이클업 스테이트는 판넬관리를 위하여 벨트를 몇개의 피치로 분할한 후에 최초의 판넬이 게트 파크 포인트(get park point)에 오도록까지 계속되는 스테이트이다. 피치는 카피모드에 응하여 결정되고 오프티칼 서브시스템은 배율을 알려서 렌즈이동을 시킨다. CHM서브시스템과 IMM서브시스템에 카피모드를 통지하고 배율이 설정될 때에 용지사이즈와 배율에 의해서 스캔닝길이가 결정되고 오프티칼 서브시스템에 카피모드를 통지하고 배율이 설정될 때에 용지사이즈와 배율에 의해서 스캔닝길이가 결정되고 오프티칼 서브시스템이 스캔닝 길이를 통지한다. 그런후에 마킹서브시스템에 카피모드를 통지한다. 마킹서브시스템이 그 준비작업이 종료될 때에 IMM 서브서브시스템은 피치에 의해서 정해지는 판넬 L/E를 체크한다. 최초의 카피판넬이 발견되고 게트파크 포인트에 도달할 때에 시스템은 사이클업 스테이트로 된다.
이 스테이트사이클은 카피동작중의 상태에서 ADC(Auto-matic Density Control), AE(Automatic Exposure), DDP 콘트롤 등을 행하면서 카피동작을 반복한다. R/L=카운트매수로 될 때에 원고가 교환된다. 이 처리는 소정매수의 원고가 처리되도록까지 반복된다. 그때에 코인사이드신호가 출력되어 시스템이 사이클다운 스테이트로 들어간다.
사이클다운 스테이트는 캐리지 스캔 및 용지 공급 등이 종료되고 카피동작후의 관리가 행해지는 스테이트이다. 사이클다운 스테이트에서는 각 코로트론과 현상기는 OFF시키고 최후에 사용한 판넬의 다음 판넬이 스톱파크 위치에 위치되어 특정 판넬의 과사용으로 인한 피로를 피하고 있다.
시스템은 통상 스탠드바이 스테이트로 되돌아 가지만 플래튼 모드에서 카피작업이 형해졌을 때에 리스타트 키를 눌르면 세트업 스테이트로 되돌아간다. 시스템은 잼이 생기는 상태하에서는 세트없 또는 사이클업 스테이트로부터 사이클다운 스테이트로 천이된다.
잼밍이 발생된 경우에 잼밍된 용지가 제거되면 용지는 자동적으로 공급된다. 통상 잼밍이 발생되면 시스템은 사이클다운→스탠드바이→퍼지스테이트의 순으로 천이된다. 퍼스스테이트의 종료시에 시스템은 스탠드바이 또는 세트업 스테이트로 천이되나 잼밍이 재차 발생하면 사이클다운 스테이트로 천이된다. 벨트다운 스테이트는 예를들어 택킹 포인트와 트레이 사이에서 잼밍이 발생했을때에 생기며 벨트구동을 정지시키기 위하여 벨트 클러치를 단절함으로써 용지를 제거할 수 있다. 하드다운 스테이트는 인터록의 개방으로 인하여 위험하게 되든지 또는 클록페일류어로 인하여 제어불능시에 24V의 전원이 OFF될 때에 생긴다.
시스템은 이들 벨트다운이나 하드다운의 요인이 제거되면 스탠드바이 스테이트로 천이된다.
[Ⅱ 구체적인 각 부의 구성]
[(Ⅱ-1) 광학계]
제8a도는 광학계의 개략측면도이고, 제8b도는 광학계의 평면도이고, 제8c도는 제8b도의 선 Ⅹ-Ⅹ에 인하여 취해진 단면도이다.
이 실시예의 주사노광장치 1003은 상술한 감재벨트의 이동속도보다도 빠른 속도로 감재위에 노광시키는 PIS(Presision imaging system) 방식을 채용하는 동시에 제2주사계 B를 고정시키고 제1주사계 A를 독립적으로 이동가능하게하는 방식을 채용하고 있다. 제1주사계 A는 노광램프 102 및 제1미러 103을 갖는 제1캐리지 101과 제2미러 106 및 제3미러 107을 갖는 제2캐리지 105로 구성되어 있다. 제1주사계 A는 플래튼유리 2위에 놓인 원고를 주사하고 반면에 제2주사계 B는 제4미러 110 및 제5미러 111를 갖는 제3캐리지 및 제6미러 113을 갖는 제4캐리지 112로 구성되어 있다. 렌즈 108은 제3미러 107과 제4미러 110의 광축상에 배치되어 있다. 렌즈 108은 배율에 응하여 렌즈모터에 의해서 이동되지만 주사노광중에는 고정된다.
제1주사계 A 및 제2주사계 B는 직류모터인 캐리지모터 114에 의해서 구동된다. 전달축들 116, 117이 캐리지모터 114의 출력축 115의 양측에 배치되고 타이밍벨트들 119a 및 119b가 출력축 115에 고정된 타이밍풀리 115a와 전달축들 116 및 117에 고정된 타이밍 풀리들 116a 및 117a 사이에 설비되어 있다.
캡스탄 풀리 116b이 고정되어 이것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종동롤러 120a, 120b의 사이에는 제1의 와이어 케이블 121a가 교차되게 설비되고 이 와이어케이블 121a에는 상기 제1캐리지 101이 고정됨과 동시에 와이어케이블 121a는 제2캐리지 105에 설비된 감속풀리 122a에 감겨있고 캐리지모터 114를 도시하는 화살표방향으로 회전시킨 경우에는 제1캐리지 101이 속도 V1으로 화살표방향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제2캐리지 105가 속도 V1/2로 동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되어있다. 전달축 117에 고정된 타이밍풀리 117b와 이것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전달축 123의 타이밍풀리 123a의 사이에는 타이밍벨트 119c가 설비되어 있다. 제2의 와이어케이블 121b는 전달축 123의 캡스탄풀리 123b와 이것에 대향하여 배치된 종동롤러 120c 사이에 설비되어 있다. 제4캐리지 112는 와이어케이블 121b에 고정되는 동시에 와이어케이블 121b는 제3캐리지 109에 장착된 감속폴리 122b에 감겨있다. 캐리지코터 114가 도시된 화살표방향으로 회전될 경우에 제4캐리지 112는 도시된 방향으로 V2의 속도로 이동되는 동시에 제3캐리지 109가 같은 방향으로 V2/2의 속도로 이동되도록 되어있다.
또 제8b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PIS 클러치(전자클러치)는 타이밍풀리 117a의 회전을 타이밍풀리 117b로 전달하기 위하여 전달축 117에 설비되어 있어서 이 PIS 클러치의 전원이 OFF되면 계합되어 회전축 115의 회전이 전달축들 117 및 123에 전달된다. 또 PIS 클러치 125에 통전되어 이것이 개방되면 전달축들 117, 123에는 회전축 115의 회전이 전달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제8c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타이밍풀리 116a의 측면에는 계합돌기 126a가 설비되어 LDC, 로크솔레노이드 127의 ON에 의해서 계합편 126b가 계합돌기 126a에 계합되고 전달축 116을 고정시키고 즉 제1주사계 A를 고정시키고 LDC 로크스위치 129를 ON시키도록 되어있다.
또 타이밍풀리 123a의 측면에는 계합돌기 130a가 설비되고 PIS로크 솔레노이드 131의 ON에 의해서 계합편 130b가 계합돌기 130a에 계합되어 전달축 123을 고정시키고 즉, 제2주사계 B를 고정하고 PIS로크 스위치 132를 ON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주사노광장치에는 PIS 클러치 125의 계합해방에 의해서 PIS(프리시죤 이메징 시스템)모드와 NON-PIS모드의 노광방식이 선택된다. PIS 모드에서는 배율이 65% 이상시에 PIS 클러치 125를 계합시켜서 제2주사계 B를 속도 V2로 이동시킴으로써 감재벨트 1004의 노광점을 감재와 역방향으로 이동시키고 광학계의 주사속도 V1을 프로세스스피드 VP보다도 상대적으로 빨리하여 단위시간당의 카피매수를 증대시킨다.
이때에 배율을 M로 하면 V1=VP×3.5/(3.5M-1)이고 여기서, V1=432.5㎜/SM=11로 하면 VP=308.9㎜/S 또 V2는 타이밍풀리들 117b 및 123a의 직경에 의존되어 V2=(1/3∼1/4) V1으로 된다. 한편 NON-PIS 모드에서는 축소시에 있어서의 주사계의 속도의 증대 및 조명파워의 증대를 방지하고 소비전력을 억제하기 위하여 예를들면 64% 이하의 경우에는 PIS 클러치 125를 해방시킴과 동시에 PIS 로크솔레노이드를 ON시킴으로써 제2주사계 B를 고정시키고 노광점을 고정시켜 주사하고 구동계의 부하 및 원고조명 파워의 증대를 회피하여 1.5KVA 이하의 전력소비를 유지한다.
제9a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렌즈 108은 플래튼 유리 2의 하방에 배치되어 렌즈캐리지 135에 고정된 지지축 136에 접동가능하게 취부되어 있다. 렌즈 108은 와이어(도시치 않음)에 의해서 렌즈모터 Z137에 연결되어 있고, 이 렌즈모터 Z137의 회전에 의해서 렌즈 108을 지지축 136에 연하여 Z방향(도면에서 종방향)으로 이동시켜서 배율을 변화시킨다.
렌즈케리지 135는 베이스측의 지지축 139에 접동 가능하게 취부됨과 동시에 와이어(도시치 않음)에 의해서 렌즈 X모터 140에 연결되어 있다. 이 와이어의 회전은 렌즈캐리지 135를 X방향(도면에서 횡방향)으로 지지축 139에 연하여 이동시켜서 배율을 변화시킨다. 렌즈모터들 137 및 140은 4상의 스텝핑모터들이다.
렌즈캐리지 135가 이동될 경우에 렌즈캐리지 135에 장착된 피니온 142가 렌즈캠 143의 곡면에 연하여 회전하여 큰치차 144를 회전시켜 와이어 케이블 145에 의해서 제2주사계의 장착기대를 이동시킨다. 따라서 렌즈 X모터 140의 회전에 의해서 렌즈 108과 제2주사계B의 거리를 소정의 배율에 대해서 설정가능하게 한다.
또, 제9b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렌즈 108의 1측면에는 렌즈셔터 147이 랭크기구 148에 의해서 개폐자재하게 설비되고 셔터솔레노이드 149의 ON, OFF에 의해서 이메제 스캔중에는 렌즈셔터 147이 개방되고 이메지 스캔후에는 폐쇄된다. 렌즈셔터 147에 의한 차광목적은 벨트감재위에 DDP패치 및 ADP패치를 형성하여 PIS 모드시에 제2주사계 B가 리턴될때의 상의 소거를 방지하는 것이다.
제10도는 광학계이 서브시스템의 개요를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옵티칼 CPU1045는 메인 CPU1041과 시어리얼통신 및 호트라인을 거쳐서 연결되어 있고 메인 CPU1041로 부터 송신되는 카피모드로 감재상의 잠상을 형성하기 위하여 각 캐리지 및 렌즈의 제어를 행하고 있다. 제어용전원 152는 로직용 5V, 아날로그용 ±15V, 솔로노이드 및 클러치용 24V로 되어있고 또 모터용 전원 153은 38V로 구성되어 있다.
캐리지 레지-센서 155는 제1미러 101의 레지스트 위치에 대응되도록 배치되고 제1주사계 A에 장착된 액튜에이터가 캐리지 레지센서 155를 누르지 않으면 신호를 출력한다. 이 신호는 옵티칼 CPU45로 보내져서 레지스트레이숀을 행하기위한 위치 또는 타이밍을 결정하든지 제1주사계 A의 리턴시에 있어서의 홈위치 P를 결정하도록 되어있다. 또 캐리지의 위치를 검출하기위하여 제1홈센서 156a, 제2홈센서 156b가 설비되어있고 제1홈센서 156a는 레지위치와 제1주사계A의 정지위치와의 사이의 소정위치에 배치되고 제1주사계 A의 주사위치를 검출하여 신호를 출력하고 있다. 또 제2홈센서 156b는 제2주사계의 위치를 검출하여 신호를 출력한다.
로터리엔코더 157은 캐리지모터 114의 회전각에 응하여 90°위상의 차들둔 A상, B상의 펄스신호를 출력하는 타입의 것이고 예를들면 200펄스/회전으로 제1주사계의 타이밍풀리의 축피지가 0.1571㎜/펄스로 설계되어 있다. 편배용 솔레노이드 159는 CPU45의 제어에 의해서 편배렌즈의 이동을 편배스위치 161의 ON, OFF동작으로 확인하고 있다.
렌즈홈센서 161, 162는 렌즈 X모터 140 및 렌즈 Z모터 137의 홈위치를 검출하는 센서이다. LDC로크 솔레이드 127은 CPU45의 제어에 의해서 제1주사계 A를 소정위치에 고정하는것이고 로크된 것을 LDC로크 스위치 129에 의해서 확인되고 있다. PIS로크솔레노이드 131은 NON-PIS모드시에 PIS스위치 125가 개방됐을때 제2주사계 B를 고정하는것이고 로크된것을 PIS로크스위치 132로 확인하고 있다. PIS클러치 125는 통전시에 클러치를 해방시키고 비통전시에 클러치를게합시키는 타입의 것이다. PIS모드시의 소비전력을 저감시켜 1.5KVA의 실현에 기여하고 있다.
제11a, b도는 광학계의 스캔사이클의 제어를 나타내고 본 제어는 제1주사계 A를 지정된 배율, 스캔길이로 주사하는 것이며, 호트라인부터의 스캔 스타트신호를 수신하면 기동한다. 메인 CPU부터 수신된 스캔길이 데이타로부터 레지센서의 인터럽숀으로 부터 스캔종료까지의 엔코더클록의 카운트수인 이메니 스캔카운트가 연산된다. 우선 배율에 대응한 기준클록데이타를 설정한 후에 스텝 2에서 캐리지모터를 스캔방향(CW)으로 회전시키고 스캔시의 가속제어를 행한다(스텝 ③). 이어서 스텝 ④에서 PLL(위상제어)모드로 세트하고 스텝 ⑤에서 레지센서가 OFF의 인터럽트신호가 있으면 이메지 스캔을 개시하고 엔코더 클록의 카운트수가 상기 스캔길이에 상당되는 값이상이 되면(스텝 ⑥) PLL모드를 해제되어 속도모드로 세트하고 캐리지모터를 리턴방향(CCW)로 회전시킨다. 이어서 스텝 ⑧에서 CW부터 CCW(연전신호)로의 인터럽숀이 있는지의 여부가 판단되고 있으면 리턴시의 가속제어를 행하고(스텝 ⑨), 엔코더의 카운트수가 미리 설정된 브레이크-개시점에 도달하면(스텝 ⑩) 리턴시의 감속제어를 행하고(스텝 ⑪) 재차 역정신호가 있으면 캐리지모터를 정지시킨다(스텝 ⑫). 또 제11b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셔터를 개방시키는(셔텨 ON)카운트수를 설정하고 엔코더의 클록수가 셔텨 ON 카운트 이상이 되면 셔텨를 개방시키는(셔텨 ON)카운트수를 설정하고 엔코더의 클록수가 셔터 ON 카운트 이상이 되면 셔텨를 개뱅하고 엔코더의 클록수가 셔텨 OFF카운트 이상이 되면 셔텨를 패쇄하여 이메지 스캔을 종료한다.
[(Ⅱ-2) 벨트와 관련된 시스템]
벨트주연부는 이메지계와 마킹계로 되어있다. 이메지계는 IMM서브시스템 1034에 의해서 관리되고 잠상의 기입, 소거를 행하고 있다. 마킹계는 마킹 서브시스템 1035에 의해서 관리되고 대전, 노광 표면 전위검출, 현상, 전사 등을 행하고 있다. IMM서브시스템 1034와 마키계 1035가 판넬관리를 협동하고 벨트상에 패치를 형성하여 카피의 고속화, 고화질화를 달성하고 있다.
제12도는 벨트주연의 개요를 나타낸 도이다. 베이스머신 1001내에는 유기감재벨트 4가 배치되어 있다. 유기감재벨트는 전하발생층 및 전사층등으로 다층도포되어 감광재를 형성하고 있어서 Se를 증착하여 감재를 형성하는감광체 드럼에 비해서 자유도가 크고 벨트의 주연스페이스를 크게할 수 있어서 용이한 레이아웃을 할 수 있다. 벨트는 신축할 수 있으며 롤도 온도차에 따라서 변화되므로 벨트의 시임(seam)으로부터 일정거리에 벨트홀이 설비되어있고 엔코더에 의해서 모터의 회전속도에 응한 펄스를 발생하여 머신클록을 발생한다. 벨트의 1회전에 대한 머신클록을 상기 카운트함으로써 벨트의 신축에 응하여 캐리지의 스타트의 기준이 되는 피치신호, 레지게이트의 타이밍을 보정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유기 감재벨트는 1m이상의 길이이고 4A사이즈의 4매, A3사이즈 3매를 반송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벨트는 시임을 갖고 있기 때문에 상시 판넬(벨트위에 형성되는 화형성 영역)를 소정판넬의 카피가 보장되도록 관리되어야 한다. 그때문에 벨트상의 시임으로부터 일정거리에 설비된 벨트홀을 기준으로하여 판넬의 위치를 정하고 사용자가 지정하는 카피모드, 용지사이즈에 응하여 벨트위에 놓이는 판넬수(피지수)가 정해진다. 스타트버턴이 눌린후에 최초로 카피되는 판넬이 롤 201근방의 게이트 파크의 위치에 왔을때에 신호를 출력하여 카피가 행해질 수 있다는 신호를 한다.
유기감재벨트 1004는 차지코로트론(대전기)211에 의해서 균일하게 대전되고 도면에서 시계방향으로 정속구동된다. 최초의 판넬의 레지-센서 231(노광개소)의 일정시간에 왔을때에 피치신호를 출력하여 이 피치신호를 기준으로 하여 캐리지스캔과 용지피드의 타이밍이 취해진다. 차지 코로트론 211에 의해서 대전된 벨트 표면은 노광부 231에서 노광된다.
베이스머신 1001의 상면에 배치된 플래튼유리 1002상에 놓인 원고의 광상이 노광부 231에 입사된다. 이를 위하여 노광램프 102와 이것에 의해서 조명된 원고면의 반사광을 전달하는 복수의 미러들 110, 111 및 113과 광학렌즈 108이 배치되어 있다. 그들 중 미러 101은 원고의 상을 읽기위하여 스캔된다. 미러들 110, 111 및 113은 제2의 주사광학계를 구성하고 이것을 PIS(Precision Image Scan)이라 칭해지는 것이며 처리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벨트의 이동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제2의 광학계를 스캔하여 양자간의 상대속도를 증가하여 64매/분(CPM)의 최대 카피속도를 달성하고 있다.
노광부 231에서 스피트상(spit-like)으로 노광되어 얻어지는 화정보는 유기감재 벨트 1004에 원고에 대응한 정전잠상이 형성된다.
IEL(Inter Image Lamp)215에서 불필요한 상이나 상들간의 소거를 행한후에 정전잠상은 흑색토너의 현상장치 216 또는 칼라토너의 현상장치 217에 의해서 현성되어 토너상이 형성된다. 토너상은 유기잠재벨트 1004의 회전과 더불어 이동하고 프리트랜스퍼 코로톤(전사기)218 및 트랜스퍼 코로톤 220근방을 통과한다. 프리트랜스퍼 코로톤 218은 통상 교류인가에 의해서 토너의 전기적 부착력을 약화시켜서 토너의 이동을 용이하게 한다. 전사전에 프리트랜스퍼 램프 225(소거용으로도 사용)에 의해서 후면으로부터 벨트에 광을 조사하여 더 토너의 부착력을 약하게 하여 전사되기 좋게 하고 있다.
한편 베이스머신 1001의 공급 트레이에 수용되어 있는 카피용지 또는 수동삽입트레이 1016에 연하여 수동 삽입되는 카피용지는 전진롤으 도움으로 전진되고 전진로에 의해서 안내되어 유기잠재벨트 1004와 트랜스퍼코로트론 220의 사이를 통과한다. 용지의 전진은 원칙적으로 LEF(Long Edge Feed)에 의해서 행해지고 용지의 선단과 노광개시위지가 태킹포인트(tacking point)에서 일치되도록 레지-게이트가 개폐제어되어 토너상의 카피용지상에 전사된다.
데탁킹 코로트론(detacking corotron)221 및 스트립핑커(strip finger)222에 의해서 용지가 감재벨트로부터 벗어나 전사후의 카피용지는 히트롤 232 및 프레셔롤 233의 사이를 통과하여 열정착되고 반송롤들 234, 235의 사이를(도시치 않음) 통과한다.
카피용지가 재거된 후에 감재벨트 1004는 프리클린 코로트론(preclean corotron)224에 의해서 클리닝되기 쉽게 처리되고 후면부터의 광조사에 의해서 불필요한 전하가 소거되고 블레이드로 원치않는 토너가 긁어내려진다.
벨트 1004위에는 패체 제네레이터 212에 의해서 상들간에 패치가 형성되고 패치부의 정전전위를 ESV센서 214로 검출하여 농도조정용으로 하고 있다. 또 벨트 1004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홀이 뚫려있어서 벨트홀센서 213에 의해서 이것을 검출하여 벨트스피드를 검출하여 프로세스 스피드제어를 하고 있다. ADC(Auto Density Control)219는 패치부에 쌓인 토너로부터의 반사광량과 토너가 없는 상태에서의 반사광량을 비교하여 토너의 부착정도를 검출하고 또 포트센서(pot sensor)223에 의해서 용지가 잘 벗어나지 못하고 벨트에 감긴 경우를 검지하고 있다.
제13도는 감재벨트 1004위의 판넬분할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벨트 1004의 시임 251위에 상이 올려있지 않도록 함이 중요하다. 벨트홀 252가 시임부로 부터 일정거리 ℓ의 위치에 설비되어 있어서 예를들면 감재벨트 1004의 총길이 1158㎜에 대해서 ℓ는 70㎜로 하고있다. 부호 253 및 254는 감재벨트면이 N피치로 분할된 경우의 선두 판넬과 최후의 판넬을 나타낸다. 도면에서 B는 판넬의 간격, C는 판넬길이, D는 판넬피치이다. 판넬피치는 4피치 분할의 경우에 289.5㎜, 3피치 분할의 경우에 386㎜, 2피치의 경우에는 579㎜이다. A=B/2의 관계가 유지되어 시임 251은 판넬 253의 LE(Lead Edge)와 판넬 254의 TE(Tail Edge)와의 중간에 오게된다.
한편 판넬의 LE는 용지의 LE와 일치시킬 필요가 있으나 TE는 용지의 TE와 반드시 일치시킬 필요가 없고 판넬이 적용되는 최대사이즈의 용지의 TE와 일치한다.
제14도는 IMM서브시스템 1034의 기능의 개요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IMM서브시스템 1034는 IEL서브시스템 1040과 버스라인을 거쳐서 시어리얼 통신을 행하고 호트라인을 거쳐서 인터럽트신호를 보내어 고정도 제어되어 상형성 관리를 행하는 동시에 IMM서브시스템 1034는 마킹 서브시스템 1035 및 CHM서브시스템 1033에 제어신호를 보내서 벨트와 관련된 좁을 콘트롤하고 있다.
IMM서브시스템 1034는 유기감재벨트 1004에 뚫린 홀을 검출하여 메인모터의 제어를 행하는 동시에 판넬의 형성위치를 결정하여 행하는 동시에 판넬의 형성위치를 결정하여 판넬관리를 행하고 있다. 또 IMM서브시스템은 퓨저를 공회전시켜 정착롤을 소정온도로 유지하여 신속한 카피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스타트키가 눌리면 이 서브시스템은 세트-업 스테이트로 되어 카피작업에 앞서서 VDDP등의 정수치들을 조정한다. 카피사이클에 들어가면 원고사이즈에 준하여 상의 선단(LE) 및 후단(TE)를 소거하여 필요한 상영역을 형성한다. 또 서브시스템 1034는 인터-이메지 영역내에 토너 농도 조정을 위한 패치들을 형성한다.
또 잼밍이나 벨트고장등의 "하드다운(hard down)"을 검지시에 IMM서브시스템은 벨트를 정지시키거나 시퀀스메네저와 교신하여 머신을 정지시킨다.
IMM서브시스템은 입력신호와 동작을 설명하겠다.
흑색토너병 261 및 칼라토너병 262에 있어서의 토너검출신호가 IMM서브시스템으로 입력되어 토너잔량이 검출된다.
옵티칼 레지-센서 155로부터 옵티칼 레지신호가 입력되어 PG요청신호, 바이어스 요청신호 및 ADC요청신호의 기준이 되는 레지신호를 발생한다.
원고의 사이즈가 플래톤 원고 사이즈센서들 S6∼S10으로부터 입력되고 IEL215에 의해서 소거될 영역이 원고사이즈와 용지사이즈에 준해서 결정된다.
벨트홀신호가 벨트홀센서 213으로 부터 입력되어 메인모터 264 및 265에 의해서 프로세스스피드의 제어를 하고 1회전을 완료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의 불균일을 보정하고 있다. 2개의 메인모터들이 사용되고 효율적인 동작속도로 동작된다.
또 이 모터는 정지위치 정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회생제동(regenerative braking)을 채용하고 있다. 모터는 역회전을 행할 수 있다. 이것은 블레이드를 감재벨트에 밀착시켜서 클린닝을 행하면 블레이드에 쌍이는 토너폐물 또는 용지의 먼지를 제거하기위한 것이다. 모터로 벨트를 구동기키는것은 벨트클러치 267를 거쳐서 행해진다. 그리하여 벨트도 선택적으로 정지될 수 있다. 엔코더에 의해서 모터의 회전과 동기되어 펄스가 발생된다. 이들 펄스들이 벨트스피드에 응한 머신클록으로서 사용된다.
어느 시간동안 벨트홀센서 213에 의해서 벨트 홀이 검출되지 않을 경우 또는 홀의 사이즈가 변경되어버린 경우에는 IMM서브시스템 1034는 시퀀메네저에게 통지하여 머신을 정지시킨다.
IMM서브시스템 1034는 IEL서브시스템과 교신하는 동시에 호트라인을 통하여 인터럽트 신호를 보내서 IEL인에이블신호, IEL이메지신호, ADC패치신호 및 IEL블랙 벤드신호를 제공한다. IEL이메지신호는 불필요한 상을 소거시키고 ADC 패치신호는 IEL서브시스템 1040을 거쳐서 패치제네레이터 212에 의해서 형성된 패치영역의 형상 및 면적을 규정함과 동시에 대전량 및 정전전위를 500∼600V의 일정범위로 조정한다.
IEL블랙밴드 신호는 토너를 부착시키기 위하여 소정간격으로 상들간에 블랙밴드를 형성시킨다. 이 토너는 1종의 윤활제의 역할을 하여 블레이드 226가 벨트 1004에 주는 손상을 방지한다. 특히 토너량이 극히 적어 거의 백지상태에 가까운 경우에도 벨트손상을 방지하고 있다. IMM서브시스템은 호토라인을 통하여 마킹 서스 시스템 1035와 교신하여 패치형성 요청신호, 바이어스 요청신호 및 ADC요청신호를 옵티칼 레지신호에 준하여 제공한다. 마킹서브시스템 1035는 이들 신호들을 수신하여 패치제네레이터 212를 구동하여 패치를 형성한다. 또 시스템 1035는 ESV 센서 214를 구동시켜 정전전위를 검출하고 현상기 216 및 217을 구동시켜 토너상을 형성한다. 또 시스템 1035는 프리트랜스퍼 코로트론 218을 트랜스퍼 코로트론 220 및 디택코로트론 221을 구동, 제어한다.
IMM서브시스템은 피치 리세트 신호를 제공하여 캐리지 스타트의 타이밍을 취하고 있다.
칼라현상기의 유무를 나타내는 검출신호는 IMM서브시스템으로 입력되어 현상기중의 토너가 흑색토너인지 칼라토너인지를 검출하고 있다.
CHM서브시스템으로는 IMM으로부터 레지-게이트 트리거신호가 보내져서 택킹 포인트에서 용지와 상의 선단이 일치되도록 하고 있다. IMM서브시스템은 레지-게이트를 개방하는 타이밍을 보정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그 보정량을 산출하고 있다.
블레이드 226에 의해서 긁어내린 토너는 토너회수병 268내로 회수되어 병중의 토너량을 나타내는 검출신호가 IMM서브시스템으로 입력되고 소정량을 초과하면 경보하게 되어 있다.
또 IMM은 팬모터 263을 구동하여 비정상적인 온도상승을 방지하여 주의온도를 고품질의 카피화면을 위하여 허용범위내로 유지하고 있다.
제15도는 타이밍차트를 나타내고 있다. 옵티칼 레지센서는 시간기준신호를 제공한다. IEL는 옵티칼 센서 ON/OFF신호후의 소정시간(T1)후에 OFF된다. 즉, IEL는 T1시간동안 ON이 되어 상의 선단을 소거한 후에 OFF되고 T2이후는 상의 후단을 소거하고 있다. 그리하여 IEL이메지 신호에 의해서 상이 형성되고 레지-게이트의 타이밍을 제어함으로써 용지의 선단을 상의 선단과 일치시키고 있다.
상방형 종료후에 패치 제네레이터의 요청신호에 수신시(기준시 후 T5) ADC패치신호가 발생되어 인터-이메지내에 패치를 형성한다. 패치형성 후에 현상을 위한 바이어스 요청신호가 출력된다(T6). 그후에 ADC요청신호가 출력되어(T7후)토너의 농도를 검출한다. 블랙밴드 신호는 인터-이메지내에 블랙벤드를 형성시킨다.
AE(Auto Exposure)스캔중에는 IEL이메지 신호는 ON, OFF되지 않는다.
[(Ⅱ-3) 용지 반송계]
제16도에서 용지트레이로서 상단 용지트레이 1006-1, 중간단 용지트레이 1006-2, 하단 용지 트레이 1006-3 또 듀플렉스 트레이 1011이 베이스 머신내에 설비되어 있다. 선택적으로 대용량 트레이(HCF)1017 및 수동 용지 삽입 트레이(MSI)1016이 이들 트레이들 옆에 설비되어 있다. 각 트레이에는 노-페이퍼 센서 사이즈 센서 및 클러치등이 적의 설비되어 있다. 노-페이퍼센서는 공급트레이 중의 카피용지의 존재를 검출하기위한 센서이고, 사이즈센서는 용지사이즈를 검출하기위한 센서이다. 틀러치는 각 용지반송롤을 구동 정지시키는 부품이다. 이와같이하여 복수의 공급트레이에 동일 사이즈의 카피용지를 세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첫 1개의 공급트레이의 카피용지가 없어졌을때에 다른 공급트레이로 부터 동일사이즈의 카피용지를 자동 급송한다.
카피용지의 급송은 전용으로 설비된 피드스텝 모터에 의해서 행해지고 카피용지의 급송이 정상으로 행해지고 있는지의 여부를 피드센서가 검지한다. 송출된 카피용지의 선단을 나란히 맞춘 레지스트레이숀용으로 게이트 솔레노이드가 사용된다. 종래의 솔레노이드와 달라서 이 게이트 솔레노이드는 통전되지 않을때에 게이트가 열려서 카핑용지를 통과시키도록 제어를 행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카피용지가 도래하지 않는 대기상태에서는 게이트 솔레노이드에 전원공급이 없고 게이트는 개방된체로 되어 소비전력의 저감을 도모하고 있다. 또 카피용지가 도래하는 직전에 게이트 솔레노이드는 통전되어 게이트를 닫아서 용지가 통과되지 않는다. 그런후에 솔레노이드는 카피용지를 다시 반송할때에 단전되어 게이트를 개방하게 된다. 이와같은 제어방법은 카피용지의 선단이 통과를 저지당하고 있는 시점에서의 게이트의 위치의 변동을 최소화하여 카피용지가 게이트에 강하게 밀어 닿은 경우에도 카피용지의 위치결정을 정확히 할 수 있는 것이다.
동일 용지가 두번 카피될 경우 예를들면 용지의 양면에 카피되는 양면모드 또는 용지의 편면에 복수회의 카피를 하는 합성 모드에 의해서 행해지는 경우에 듀플렉스 트레이 1011내에 스택시키는 반송로에 용지가 인도된다. 양면모드의 경우에는 용지는 반송로로부터 직접 듀플렉스 트레이내에 스택되지만 합성모드의 경우에는 합성모드용 인버터 1010으로 반송되고 그런후에 용지가 뒤집힌 다음에 듀플렉스 트레이 1011로 인도된다. 또 전송로 501로 부터 소오터등으로 배지출구 502와 듀플렉스 트레이 1011측으로 반송로가 2방향으로 분기되는 분기점에 게이트 503이 설비되고 듀플렉스트레이 1011측에는 합성모드용 인버터 1010으로 인도되는 분기점에는 반송로를 절환시키기위한 게이트 505, 506이 설비되어 있다.
또 배지출구 502에는 게이트 507이 설비되어 트리롤 인버터(triroll inverter)1009에 의해서 용지를 반전시킴으로써 카피된 면을 표면으로 하여 배출될 수 있도록 되어있다.
상단트레이 및 중간단 트레이는 A3∼B5사이즈, 리걸사이즈, 레터사이즈 특 B4사이즈 또는 11×17사이즈의 용지사이즈가 50매 정도 수용가능하다. 이들 트레이들은 제17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트레이 모터 551을 갖고 있고 적은 매수의 용지가 남아있는 경우에 트레이 552가 경사지게 된다. 또 이들 트레이들에는 용지사이즈를 검지하는 3개의 용지사이즈센서들 553∼555, 노페이퍼센서 556 및 트레이 높이 조정용 스페이스 콘트롤센서 557이 설비되어 있다. 트레이가 너무 높아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에머젠시 스위치 558이 설비되어 있다. 하단트레이는 동일사이즈의 용지 1100매 정도를 상단트레이와 중간단 트레이와 같은 용지 사이즈를 수납 가능하다.
제16도에서 듀플렉스 트레이는 전술한 트레이와 같은 사이즈의 용지를 50매 정도 수납할 수 있다. 듀플렉스 트레이 1016은 용지의 일면에 복수회의 카피를 행하든지 2면에 교호로 카피를 행하는 경우에 카피된 용지를 일시적으로 수용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피드롤 509와 게이트 505는 듀플렉스트레이 1011의 입구측의 반송로에 설비되어 있고 모드가 합성모드인지 양면모드인지에 따라서 용지반송의 선택이 행해진다.
예를들면 듀플렉스 모드에서는 상방으로 부터 반송되어 내려온 용지가 피드롤 509측으로 인도되고 합성모드일 경우에는 상부로 부터 반송되어 내려온 용지가 게이트 505 및 506에 의해서 모드인버터 1010으로 인도되어 뒤집힌 용지가 게이트 506에 의해서 피드롤 510으로 듀플렉스 트레이 1011로 인도된다. 듀플렉스 트레이 1011내에 수용된 용지가 소정의 에지까지 자유낙하려면 트레이 경사도는 약 17∼20°가 통상 필요하다. 그러나 듀플렉스 트레이 1011은 장치의 콤팩트화를 위하여 좁은 스페이스내에 수납하기 때문에 최대로 8°의 경사각만 허용된다. 그때문에 듀플렉스트레이 1011에는 제18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사이드 가이드 561과 엔드가이드 562가 설비된다.
이 사이드가이드와 엔드가이드는 용지사이즈가 결정되면 그 용지사이즈에 대응한 위치에 정지되도록 제어된다.
내용량트레이(HCF)는 수천매의 용지를 수납할 수 있는 공급트레이이다. 원고를 확대하든지 축소하여 카피를 취할 필요가 없는 고객이나 카피량이 적은 고객은 베이스 머신만 구입하는 것이 적절한 경우가 많다. 반면에 다량의 카피를 하는 고객이나 복잡한 카피작업을 필요로하는 고객은 듀플렉스트레이나 대용량 트레이가 필요로 되는 경우가 많다.
그와같은 다양한 요구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복사기 시스템에서는 각각의 부가장치를 용이하게 착탈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 몇몇 부가장치들에는 독립된 CPU(중앙처리장치)가 설비되어 복수의 CPU에 의한 분산제어를 행하고 있다. 이 구성은 고객의 요구에 맞는 제품을 구입 용이하게할 뿐만 아니라 새로운 부가장치의 제공으로할 수 있는 새로운 형의 카피작업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이 가능성은 사무실업무의 진화를 이 장치가 추진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이 복사기 시스템의 구입에 큰매력을 부여하게 된다.
수동삽입트레이(MSI)1016은 용지매수 50매 정도, 용지사이즈 A2F∼A6F, 특히 다른 트레이에 수납할 수 없는 큰 사이즈를 수납할 수 있는 트레이다. 종래의 이 종류의 수동삽입 트레이는 카피용지가 수동으로 1매씩 공급된다. 그리하여 수동삽입이 행해지는 시점에서 용지가 다른 용지공급모드에 우선하여 급송되고 조작자가 트레이를 선택할 필요가 없도록 한다. 이에 대해서 본 발명에 의한 수동 용지 삽입트레이 1016은 복수매의 카피용지를 동시에 세트시킬 수 있다.
따라서 용지를 세트시켜 이 수동삽입 트레이 1016으로부터 용지가 공급되면 카피용지를 복수 매수를 세트하고 있는 동안에 용지급송이 개시될 가능성이 있다.
그와같은 사태를 방지하기 위하여 수동 삽입 트레이 1016이 분명히 선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메줘롤(measure roll)513, 피드롤 512 및 테이크어웨이롤 511이 장치의 축소화를 위하여 일체로 장착되어 있다. 용지의 선단이 테이크 어웨이롤 511에 의해서 닙(nip)된 후에 용지의 선단은 피드아웃센서에 의해서 검지되어 용지는 일시적으로 정지되어 프리레지스트 레이숀이 행해져서 위치 맞춤이 된다. 송출된 용지는 얼라이너 장치 515를 거쳐서 감재벨트 1004의 상전사위치로 급송된다.
[(Ⅱ-4) 자동원고 급송장치(DADF)]
제19도에서 DADF1013에는 원고 601이 놓이는 원고트레이 602가 설비되어 있다. 원고트레이 602의 원고공급측에는 공급패들 603이 배치되어 원고 601을 일시에 송출한다. 그리하여 원고 601은 제1의 구동롤러 605와 그 종동롤러 606 사이로 공급된 후에 제2의 구동 롤러 607과 그 종동롤러 608사이를 통하여 원호상 반송로 609로 반송된다. 원호상 반송로 609는 수동 삽입 반송로 610과 합류되어 수평반송로 611로 연결된다. 제3의 구동롤러 612와 그 종동롤러 613이 원호상 반송로 609의 출구에 설비되어 있다. 제3의 구동롤러 612는 솔레노이드(도시치 않음)에 의해서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종동 롤러 613에 대해서 접촉분리 가능하게 되어있다. 수평반송로 611에는 구동모터(도시치 않음)에 의해서 회동되는 정지게이트 615가 설비되는 동시에 수평반송로 611로 부터 원호상 반송로 609를 향하여 반전용 반송로 616이 연결되어 있다. 반전용 반송로 616에는 제4의 구동롤러 617이 설비되어 있다. 또 수평반송로 611의 출구와 대향하여 플래튼 유리 1002위에 벨트구동롤러 619가 설비되어 그 종동롤러 620사이에 걸리 벨트 621을 정역가능하게 되어있다. 이 벨트반송부의 출구에는 제5의 구동롤러 622가 설비되고 수동삽입용 반송로 610에는 제6의 구동롤러들 623이 설비되어 있다. 2개의 구동롤러들 623이 베이스 머신의 전후방향으로(지면과 수직방향)설비되어 동일 사이즈의 원고를 2매 동시에 반송할 수 있다. 클리닝테이프 625는 제7의 구동롤러 626에 의해서 공급패들 603의 표면을 청소한다.
다음에 제20도의 포토센서들 S1∼S12에 대해서 설명하겠다. 포토센서 S1은 원고트레이 601이 유무를 검출하는 노-페이퍼 센서 S2는 원고 601의 통과를 검출하는 테이크어웨어 센서이다. 포토센서들 S3 및 S4는 수동용 반송로에 연하여 설비된 피드센서들이다. 포토센서 S5는 스큐롤러 627에 의해서 원고의 급송이 보정되고 정지게이트 615에서 원고가 소정위치에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레지센서, 포트센서들 S6∼S10는 원고의 사이즈를 검출하는 페이퍼센서, 포토센서 S11은 원고가 배출됐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배출센서, 포토센서 S12는 클리닝테이프 625의 종단을 검출하는 엔드센서이다.
다음에 제21도를 참조하여 상술한 구성으로 된 DADF1013의 작용을 설명하겠다.
제21a도는 플래튼 위에 원고 601이 놓이고 노광시키는 플래튼모드를 나타내고 있다. 제21b도는 심플렉스모드이고 원고트레이 602에는 원고 601을 그 카피되는 제1의 면이 상측이 되도록 적층한다. 스타트버턴을 눌르면 우선 제1의 구동롤러 605 및 제2의 구동롤러 607이 회전되지만 제3의 구동롤러 612는 상방으로 이동하여 종동롤러 613과 떨어짐과 동시에 정지게이트 615는 하강하여 수평반송로 611을 차단하다. 그리하여 원고 601은 원호상 반송로 609를 통하여 정지게이트 615로 눌러 닿게 된다(위치 1∼위치 2). 이 정지게이트 615의 위치에서 스큐롤러 627에 의해서 원고는 그 단부가 수평반송로 611과 직각이 되도록 보정되는 동시에 센서들 S6∼S10에 의해서 원고사이즈가 검출된다. 이어서 제3의 구동롤러 612가 하방으로 이동하여 종동롤러 613과 연결함과 동시에 정지게이트 615는 상승하여 수평반송로 611를 개방하고 제3의 구동롤러 612, 벨트 구동롤러 619 및 제5의 구동롤러 622가 회전하고 원고가 카피되는 면이 아래로 되어 플래튼 상의 소정위치에 보내져 노광된 후에 배출된다. 또 수동삽입 반송로 610로부터 단일 원고를 보내는 경우에도 같은 작용으로 되고 원고를 1매씩 보내는 기능에 더하여 동일 사이즈의 2매의 원고를 동시에 보내는 기능(2-up), 대형원고를 보내는 기능(LDC), 컴퓨터용 연속용지를 보내는 컴퓨터 폼 피더(CCF)기능을 갖고 있다.
제21c도는 듀플렉스모드이고 원고편면을 노광하는 공정은 상기 제21b도의 점1∼점3의 공정과 같으나 편면노광이 종료되면 벨트구동 롤러 619가 역전되고 또 제3의 구동롤러 612는 상방으로 이동하여 종동롤러 613이 떨어짐과 더불어 정지게이트 615는 하강하여 수평반송로 611을 차단한다. 따라서 원고는 반전용 반송로 616으로 반송되고 또 제4의 구동롤러 617 및 제2의 구동롤러 607에 의해서 원호상 반송로 609를 통하여 정지게이트 615에 밀어 닿는다(점4∼점5) 그리고 나서 제3의 구동롤러 612가 하방으로 이동하여 종동롤러 613과 접촉함과 동시에 정지게이트 615는 상승하여 수평반송로 611을 개방하고 제3의 구동롤러 612, 벨트구동롤러 619 및 제5의 구동롤러 622가 회전하여 원고의 이면이 아래로 되어 플래튼 1002상의 소정 위치로 보내져서 노광된다.
양면의 노광이 종료되면 재차 벨트구동롤러 619가 역전하여 재차 반전용 반송로 616으로 반송되어 이하 같이하여 플래튼 1002상을 통하여 제5의 구동롤러 622에 의해서 배출된다(점7∼점10). 따라서 배출된 원고는 카피된 제1의 면이 하측이 되어서 최초의 원고 트레이 602에 적층한 순번으로 적층되게 된다.
[(Ⅱ-5) 소오터]
제22도에서 소오터 1019는 가동대차 651위에 소오터본체 652와 20개의 빈(bib)653을 갖고 있다. 소오터 본체 652내에는 반송벨트 655를 구동시키는 벨트구동롤러 656 및 그 종동 롤러 657이 설비되어 있는 동시에 체인 659를 구동시키는 체인구동 스프로케트 660 및 그 종동 스프로케트 661가 설비되어 있다.
이들 벨트구동롤러 656 및 체인구동스프로케트 660은 1개의 소오터용 모터 658에 의해서 구동된다. 반송벨트 655의 상부입구 662, 용지출구 663 및 솔레노이드(도시치 않음)에 의해서 구동되는 절환게이트 665가 설비되어 있다. 또 체인 659에는 카피용지를 각 빈으로 절환공급하기 위한 인덱서 666이 설비되어 있다.
제23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소오터용 모터 658의 구동축 671의 회전은 타이밍벨트 672를 거쳐서 풀리 673으로 전달된다. 이 폴리 673의 회전은 벨트구동롤러 656으로 전달되는 동시에 기어장치 674를 거쳐서 체인 구동스프로케트 660으로 전달된다.
제24도를 참조하여 소오터의 작용을 설명하겠다. 제24a도는 논-소오트 모드를 나타내고 절환게이트 665는 논-소오트의 위치에 있고 카피용지를 최상단의 배출트레이로 보내는 것이다. 제24b도는 소오트모드를 나타내고 절환게이트 665가 "소오트"위치로 절환되어 기수매수째의 용지가 위로부터 아래의 빈을 향하여 기수단째의 빈으로 반송되고 우수매수째의 빈으로 반송된다. 이에 의해서 소오트시간이 단축된다. 제24c도 및 제24d도는 스택모드를 나타내고 제24c도는 4매의 원고 카피의 예를 나타내고 제24d도는 1빈당의 최대 매수가 초과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예를들면 50매를 초과한 경우에는 다음 단의 빈에 수납되도록 되어 있다.
[(Ⅲ) 유저인터페이스(U/I)]
[(Ⅲ-1) 유저인터페이스의 구성 개요]
제25도는 디스플레이를 사용한 유저인터페이스의 취부상태를 나타낸 도.
제26도는 디스플레이를 사용한 유저인터페이스의 외관을 나타낸 도이다.
[(A) 취부위치의 특징]
본 발명은 유저인터페이스로서 전술한 바와같이 종래의 콘솔판넬을 채용하는 것은 아니고 스탠드타입의 디스플레이를 채용하고 있다. 디스플레이를 채용하면 복사기본체(베이스 머신) 1001 상방에 입체적으로 취부할 수 있으므로 특히 유저인터페이스 1012를 제25b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복사기본체 1001의 우측 구석에 배치함으로써 유저인터페이스 1012를 고려하지 않고 복사기의 사이즈를 설계할 수 있고 장치의 콤펙트화를 할 수 있다.
복사기에서 프래튼의 높이 또는 장치의 높이는 원고를 세트하는데 용이한 높이가 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 높이가 장치로서의 높이를 규제하고 있다. 종래의 콘솔판넬은 전술한 바와같이 이 높이와 같은 상면에 취부되고 눈으로부터 알맞게 떨어진 거리에 기능선택이나 실행조건 설정을 위한 조작부 및 표시부가 배치되게 된다. 그에 비해서 본 발명의 유저인터페이스 1012에서는 제25c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플래튼보다 높은 위치 즉, 눈의 높이에 가까와지므로 보기쉽게 되는 동시에 그 위치가 조작자에 대해서 하방이 아니고 전방이고 또 우측으로 되어 조작도 하기 쉬운것으로 된다. 또 디스플레이의 취부높이를 눈의 높이에 가깝게 함으로써 그 하측을 유저인터페이스의 제어기판이나 카드장치 1024의 취부 스페이스로서도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다. 따라서 카드장치 1024를 취부하기 위한 구조적인 변경이 불필요하게 되고 전혀 외관을 바꿈이 없이 카드장치 1024를 부가장비할 수 있고, 동시에 표시를 보기 쉽게 하는 것이다. 디스플레이는 일정 각도로 고정해도 좋으나 각도를 바꿀 수 있도록 하여도 좋은 것은 물론이다.
이와같이 디스플레이가 사용될 경우에 조작자에 가까운 위치에 평면적으로 취부하는 종래의 판넬과 달라서 그 디스플레이의 방향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그리하여 제25b 및 제25c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디스플레이의 화면을 조작자의 눈높이에 맞추어서 상향 좌측 즉, 중앙상방(조작자의 눈을 향해서)으로 향함으로써 더 보기쉽고 조작성이 좋은 유저 인터페이스 1012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같은 구성의 채용에 의해서 복사기의 중간에서 용이하게 원고 세팅을 행하고 유저인터페이스의 조작을 행할 수 있게 한다.
[(B) 화면상의 특징]
다기능화에 대응한 정보량은 커지고 큰 표시면적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복사기의 축소화 사이즈에 따른 콤팩트 판넬의 실현은 어려운 것이다. 콤팩트한 디스플레이는 표시밀도에 대한 문제를 일으킬 뿐만 아니라 조작자가 볼 수 있는 화면을 제공하고 보기쉽게 하기는 어렵게 만든다.
그리하여 콤팩트 디스플레이를 채용할 경우에 디스플레이도 밸런스가 잘된 설계를 위한 콤팩트화 되어야 하고 디스플레이 콘트롤도 신중하게 구성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콤팩트화하지만 보기쉬운 표시를 달성하기 위하여 다양한 기술이 채용된다.
예를들면 디스플레이는 다양한 디스플레이재료로 구성할 수 있고, 콘솔타입 판넬에 사용되는 LED 및 액정 디스플레이와 다른 다양한 표시제어방법들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들면 본 발명에 의한 유저인터페이스에서는 표시화면은 기본카피, 응용카피 및 전문카피 등의 각 모드에 준하여 절환되어 기능선택 및 실행조건의 선택 등의 조작을 위한 메뉴를 표시한다. 또 유저인터페이스는 키조작을 거쳐서 하면상의 캐스케이드(커솔)을 이동시켜 선택지의 지정을 하거나 실행조건을 입력시킨다. 또 어떤 메뉴의 선택지는 포프-업 방식(중복표시나 우인도우 표시)으로 표시하여 종래의 인터페이스보다도 더 많은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그 결과 표시화면은 다수의 사용할 수 있는 기능들과 설정조건들이 표시될 경우에도 산뜻하게 구성시킬 수 있다. 또 유저인터페이스는 모든 상술한 화면의 설정을 표시하기 위한 데뷰화면, 기능을 설명하는 인포메이숀화면, 표준카피모드를 실행할 경우에 사용되는 전자동화면, 초기의 머신설정이나 머신점검을 위한 다이어그노스화면용지의 잼밍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좁화면을 선택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와같이 하여 본 발명의 표시는 화면의 분할구성, 각 화면에서의 영역분할, 휘도조정, 그레이표시 및 기타 표시기술을 포함하고 있다. 또, 조작키와 LED가 주위깊게 조합되어 조작부의 구성을 간소화하고 디스플레이의 표시제어, 표시내용, 조작입력을 다양화 또는 간소화하여 복사기의 콤팩트화와 다기능화를 실현시키고 있다.
그와같은 개념에서 CRT 디스플레이를 사용하여 구성한 유저인터페이스의 외관을 제26도에 나타냈다. 이 예에서는 CRT 디스플레이 301의 하측과 우측의 정면에 키/LED 보드를 배치하고 있다. 화면의 구성으로서 선택모드화면에서는 그 화면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그 하나로서 선택영역을 종으로 분할하여 각각을 캐스케이드 영역으로 각 기능을 개별적으로 선택설정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기 위하여 키/LED 보드에 종으로 분할한 단면의 선택영역의 하측에 캐스케이드의 기능의 선택 설정을 위하여 캐스케이드키 310-1∼310-5가 설비되어 있다. 선택모드화면을 절환시키기 위하여 선택키 308∼310가 설치되어 있고 기타 키들(302∼304,306,307,315∼318) 및 LED들(305,311∼314)가 우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같이 키 및 LED수가 감소되고 키들과 LED들이 CRT 디스플레이 301 하부 옆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그리하여 복사기의 사이즈를 CRT 디스플레이 301보다도 약간 크게할 필요만 있어 콤팩트한 유저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있다.
[(Ⅲ-2) 제어시스템의 구성]
제27도는 시어리얼 통신을 거쳐서 U/I CPU와 교신하는 메인 CPU와의 관계를 나타낸 도이다. 제28도는 유저인터페이스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낸 도이며 제29도는 유저인터페이스의 소프트웨어 구성을 나타낸 도이다.
[(A) 하드웨어 구성]
메인 CPU 1041은 제27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ROM 323(불휘발성 메모리)324, 베이스머신과의 데이타를 주고 받기 위한 인터페이스 321, 부가장치와 베이스머신간의 데이타의 수수를 위한 인터페이스 322를 갖고 있고, 버스가 버스 아비터(Bus arbiter) 326을 거쳐서 통신제어회로 327에 연결되어 있다. 메인 CPU는 U/I CPU 1046과는 물론 시어리얼 통신라인상의 다른 CPI들과도 교신한다. ROM 323은 전술한 시퀀스메네저나 이메징모듈, 카피헨들링 모듈 등의 각 서브시스템을 포함하는 프로그램을 격납한다. 버스 아비터 326은 시스텝 RAM 325를 갖고 있고 메인 CPU 1041이 시어리얼 통신타이밍과 비동기로 데이타의 수수를 할 수 있도록 다른 CPU들로부터 수신한 데이타를 격납한다. ROM 328은 통신제어회로 327의 도움으로 시어리얼 통신 라인상의 데이타의 수수를 위하여 사용되는 통신 프로그램을 격납하는 것이다. 아비터 326과 통신 제어회로 327과 관련된 모든 통신기능들은 메인 CPU에 의해서 행해진다. 또 메인 CPU 1041에 있어서의 시퀀스 메네저 서브시스템은 시어리얼 통신을 거쳐서 각 서브시스템의 상태를 감시한다. 시퀀스 메네저의 서브시스템이 유저 인터페이스로부터 카피모드신호를 수신하면 소정시간내에 카피작업이 실시될 수 있도록 각 서브시스템에 작업지시를 한다.
기본적으로 유저인터페이스의 시스템에는 CRT 보드 331을 포함하는 U/I CPU 1046, CRT 디스플레이 301 및 키/LED 보드 333이 설비되어 있다. CRT 보드 331에는 전체계를 통활제어하는 U/I CPU 46, CRT 디스플레이 301을 제어하는 CRT 콘트롤러 335 및 키/LED 보드 333을 제어하는 키보드/디스플레이콘트롤러 336이 설비되어 있다.
또 유저인터페이스 시스템에는 전술한 각 프로그램을 축적하는 프로그램 메모리(ROM), 프레임 데이타를 축적하는 프레임메모리(ROM) 338이 설치되고 그 중 일부가 각 테이블과 디스플레이 제어데이타 등을 격납하기 위하여 불휘발성 메모리로 구성되어 있는 동시에 작업영역으로서 2조의 V-RAM(비디오 램) 340, 캐랙터 램 342를 사용하고도 있다.
메인 CPU 1041과 CRT 보드 331의 U/I CPU간의 데이타의 송신 및 수신은 드라이버 344와 수신기 343을 거쳐서 시어리얼 통신라인에서 행해진다.
TXD 신호가 CRT 보드 331로부터 송신되고 RXD 신호가 CRT 보드 331에 의해서 수신된다.
또, 클록발생기가 사용된다. 예를들면 11.0502㎒의 수정발진기가 사용되고 이것을 U/I용 CPU 1046내에서 1/12로 분주된다. CPU 1046에 의해서 교신중에 0.9216㎒의 기본 주파수가 내부타이머내에서 1∼256간의 수로 분주(프로그램어블)되어 전송 클록을 제공하고 있다. 그리하여 기본주파수 0.9216㎒가 1/3로 분주되고 1/32로 분주되어 전송클록 9600㎐(송신비트속도는 9600BPS)을 얻는다.
U/I CPU 1046은 메인 CPU 1041로부터 머신의 상태신호를 수신하고 키보드/디스플레이 콘트롤러 336을 거쳐서 키보드/디스플레이 콘트롤러 336으로부터 입력되는 조작신호들을 수신하여 CRT 디스플레이 301상에 표시될 화면을 절환하고 CRT 디스플레이 301상에 표시될 메시지를 생성한다. 키/LED 보드 333을 거쳐서 입력되는 조작신호의 처리중에 스타트키 318이 조작되면, 그때의 카피모드가 체크되고 모순이 없으며 카피모드가 메인 CPU 1041로 송신된다. 모순이 있는 경우에는 J코드메시지가 생성되고 CRT 디스플레이 301상에 메세지를 표시한다. CRT 디스플레이상의 표시를 위한 작성중에 캐랙터 제네레터의 코드들이 표시화면에 준하여 설정되고 이 코드들이 V-RAM 340에 기입된다. 프레임 메모리 338은 캐랙터제네레이터를 설정하는 정보를 격납한다. V-RAM 340내에 이 코드들이 기입될 때 캐랙터제네레이터의 도트데이타는 CRT 콘트롤 335의 제어하에 라스터에드레스(raster address)와 동기되어 독출되고 이 도트데이터가 병/직 변환회로 355에 의해서 시어리얼 데이타로 변환된다.
워치도그타이머(Watch dog timer)(W.D.T) 345는 U/I CPU 1046의 비제어운전을 체크하고 U/I CPU 1046이 특정 어드레스 예를들어 데이타영역 7000∼77FF의 어느 어드레스를 읽을 때에 리세트된다. 또 150㎳ 주기이내에 이들 특정 어드레스를 정상적으로 읽도록 프로그램이 구성되어 있다. 그리하여 U/I CPU 1046이 폭주하면 150㎳이 경과된 후라도 특정 어드레스가 읽어지지 않게 되고, 워치도그 타이머 345가 리세트되지 않는다. 이 현상이 발생되면 U/I CPU 1046의 폭주에 따른 처리가 행해진다.
키보드/디스플레이 콘트롤러 336은 U/I용 CPU 1046에 입력되어 있는 클록발생기 346의 출력을 카운터 347에서 1/4로 분주하여 2.7648㎒로 한 클록을 입력하고 또 프리스케일러에 의해서 1/27로 분주되어 102㎑로 함으로써 4.98㎳의 키/LED 스캔타임을 제공하고 있다.
이 스캔타임이 너무 길면 모든 입력신호가 검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조작자의 키 조작시간이 너무 짧을 때에는 데이터를 옳게 읽을 수 없고 스캔타임이 너무 짧으면 CPU 동작빈도가 많아져서 낮은 스루푸트(through put)을 일으킨다. 따라서 이들의 상황을 감안한 후에 최적의 스캔타임을 선택해야 한다.
[(B)소프트웨어 구성]
유저인터페이스의 소프트웨어 구성은 I/O 메네지먼트, 타스크메네지멘트 및 통신프로토콜 등의 기능들을 갖는 모니터, 키입력 메네지멘트 및 화면출력 메네지멘트 등의 기능들을 갖는 비디오 콘트롤러 ; 및 선택의 판정 및 모드결정 등의 기능을 갖는 좁 콘트롤러를 포함하고 있다. 소정수의 카피동작을 행할 경우에 그 카피동작을 개시시켜서 소정매수의 카피를 행하고 종료될 때 까지가 하나의 좁으로 정의하고 있다. 이와같은 소프트웨어를 모듈라폼으로 구성함으로써 또 화면제어를 할당함으로써 또 비디오 콘트롤러에 키입력의 변환에 의해서 좁 콘트롤러는 표시장치나 키보드에 상관없이 설계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를 콘솔판넬로 대치되는 경우에 예를들면 좁 콘트롤러는 그대로 손대지 않고 비디오 콘트롤러를 콘솔판넬에 준한 설계 변경만 필요하다.
따라서, 비디오 콘트롤러 논리키를 좁 콘트롤러로 절환시킬 필요만 있고 좁 콘트롤러로부터 수신한 인터페이스 코멘드들을 표시장치나 키보드로 반영시키고 있다.
소프트웨어의 모듈분할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 논리키와 인터페이스이다. 왜냐하면 인터페이스 코멘드로 비디오 콘트롤러를 제어하고 좁 콘트롤러는 표시화면의 상세히 관해서 의식함이 없이 좁을 관리할 수 있어서 소프트웨어의 구축을 간략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키입력에 관해서는 키의 물리정보가 비디오콘트롤러에 의해서 처리되고 키에 의해서 지시되는 모드가 키수락조건의 체크를 위한 좁 콘트롤러에 의해서 인식되어 좁을 관리한다. 좁 콘트롤러는 인터페이스 코멘드를 머신상태와 선택모드 정보에 준하여 비디오 콘트롤러에 발행하고 비디오 콘트롤러는 편집 및 화면 형성을 행한다. 후술하는 키-변화 검출기 362 및 기타 데이타를 처리, 생성 및 제어하는 블록은 소정 프로그램 베이스(모듈)로 나타낸 것이다. 이들의 구성단위는 설명의 편의상 종합한 것이며 어느것은 복수의 모듈로 구성되어 있다.
[i) 비디오 콘트롤러]
키검출부 362는 물리 키테이블 361에 의해서 모니터로부터 수신한 물리키의 정보에 대해서 2중 키 누름이나 키의 연속 누름을 위한 체크를 한다. 키변환부 363은 이와같은 검지된 현재의 누름상태의 물리키를 논리키(논리적 정보)로 변환시키는 것이며 그 논리키(카렌트키)의 기접수 조건의 체크를 좁 콘트롤러에 요청한다. 변화테이블 364는 이 물리키로부터 논리키로의 변환시에 키변환부 363이 참조한다. 예를들면 캐스케이드키는 물리키이지만 화면에 따라서 논리적 정보는 다르다. 따라서 표시제어 데이타 367의 표시화면 정보에 준하여 물리키로부터 논리키로의 변환이 제어된다.
화면전환부 368은 좁 콘트롤러로부터 키접수 신호와 논리키를 받거나 또는 콘트롤러내에서 직접 키변환부 363으로부터 논리키를 받는다. 이 논리키는 기본 카피화면 및 응용카피 화면을 호출한다. 또는 캐스케이드의 이동에 의해서 폽업화면을 전개하는 화면변환키로 모드갱신이나 스테이트 갱신이 없는 키의 경우에는 표시제어데이타 367을 해당 화면의 번호를 갱신한다. 그러기 위하여 화면변환부 368은 테이블로서 폽업화면을 전개하는 논리키를 기억하고 해당 논리키가 조작되고 또 750m sec 이내에 다른 키입력이 없는 경우에는 폽업화면을 전개하도록 표시제어 데이타 367의 갱신을 행한다. 이 처리는 어느 선택지의 선택과정에서 일시적으로 캐스케이드키의 조작에 의해서 폽업화면을 전개하는 선택지가 선택되는 경우에는 폽업화면이 매시마다 전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행해지는 것이다. 따라서 폽업화면을 전개하는 논리키일지라도 폽업 논리키가 입력된 후 750m sec 이내에 다른 키 입력이 있었든 경우에는 이 폽업논리키의 입력은 무시되게 된다. 잼밍발생 등으로 인한 스테이트 갱신 캐스케이드의 이동 등의 카피모드의 갱신, 메세지나 카운트치의 갱신의 경우에는 표시제어부 369가 좁 콘트롤러로부터 인터페이스 코멘드를 받아서 해석하고 표시제어 데이타 367의 갱신을 행한다.
표시제어 데이타 367은 표시될 화면번호나 화면내의 표시변수 정보 등 각 화면의 표시의 팩터를 제어한다. 다이아로그 데이타 370은 각 화면의 기본프레임, 각 프레임의 표시데이타, 표시데이타 중의 변수데이타의 참조 어드레스(표시변수정보를 격납한 표시제어 데이타 367의 어드레스)를 갖는 계층구조의 베이스 데이타이다. 다이아로그 편집부 366은 작성될 화면을 편집하여 V-RAM 365상에 화면을 전개시킨다.
[ii) 좁 콘트롤러]
키관리부 374는 스테이트테이블 371을 참조하여 논리키가 지금 접수 가능한 상태인지를 체크하고 접수 가능하며 그 후 750m sec 경과하도록 까지 다른 키 정보가 입력되지 않는 것을 조건으로 하여 키 정보를 확정하여 콘트롤부 375로 보낸다. 키콘트롤부 375는 키의 접수 처리를 행하여 카피모드 378의 갱신, 모드체크나 카피실행 코멘드를 출력한다. 키콘트롤부 375는 머신상태를 파악하여 표시관리부 377에 표시제어정보를 보내어 표시제어를 행한다. 카피모드 378에는 기본카피, 응용카피, 전문카피의 각 카피 설정정보가 세트된다. 표시관리부 377은 키관리부 375로부터의 결과에 준하여 인터페이스 코멘드를 비디오 콘트롤러에 제공하고 인터페이스 루틴(표시제어부 369)를 기동시킨다. 스테이트관리부 372는 키접수상태나 잼밍 또는 페일류어 발생, 인터로크의 개방상태에 준하여 스테이트의 변화를 판단한다. 키가 접수됐는지의 여부는 시스템의 현상태로부터 판단된다. 좁 콘트롤러부 376은 머신조작 정보를 수신하여 스타트키가 조작후에 머신제어를 위한 코멘드는 제공하고 원고 1매에 대한 카피동작의 실행을 위한 관리를 행한다.
코멘트 콘트롤부 378은 본체로부터 수신된 코멘드의 상태를 스테이트관리부 372 및 좁간리부 376으로 통지함과 동시에 좁 실행중에 좁 콘트롤부 376으로부터 좁 실행을 위한 코멘드를 수신하여 본체에 송신한다.
따라서 스타트키가 조작되고 키콘트롤부 375가 카피모드에 대응한 코멘드를 송신버퍼 380에 세트됨으로써 카피동작이 실행된다. 머신상태를 지시하는 코멘트가 연속적으로 수신버퍼 379에 의해서 수신되고 좁 콘트롤부 376으로 통지됨으로써 소정 매수의 카피가 종료되어 머신정지의 코멘드가 발행되도록까지 1매씩 카피가 종료될 때마다 다음 카피실행의 코멘드가 발행된다. 카피동작중에 잼밍발생의 코멘드를 수신하면 코멘드 콘트롤부 373을 통하여 스테이트관리부 372로 잼밍상태를 인신하여 스테이트 테이블 371을 갱신하는 동시에 키콘트롤부 375를 통하여 표시관리부 377로부터 비디오 콘트롤러에 잼밍화면제어의 인터페이스 코멘드를 제공한다.
[iii) 인터페이스 코멘드]
좁 콘트롤러가 인터페이스 코멘드를 출력하여 비디오 콘트롤러를 제어하기 때문에 좁 콘트롤러는 비디오 콘트롤러와는 독립적으로 설계할 수 있어서 비디오 콘드롤러를 적의 변경시킴으로써 용이하게 디스플레이를 콘솔판넬로 변경하든지 다른 입출력수단으로 변경시킬 수 있다. 인터페이스 코멘드는 등록 코멘드로서 예를들면 트레이에 관해서도 트레이번호, 용지사이즈 및 트레이방향을 또 부가장치에 관해서는 모델명, 유/무를 또 제2의 현상에 관해서는 유/무 칼라에 대한 코멘드를 갖고 있다. 또 인터페이스 코멘드는 통상 설정 코멘드로서 캐스케이드, 설정매수, 철여백 등을 갖고 있고 편집설정 코멘드로서는 복수표시 및 좌표표시 등이 있고 좁 설정코멘드로서는 호출수치, 등록수치 등이 있고 또 표시코멘드로서는 통상메세지, 스테이트표시, 모드지시, 토너잔량지시, 회수토너량지시 및 노페이퍼지시 들이 있다. 모드코멘드는 잼, 잼클레어, 정보변경, 예열, 인터럽트, 복귀, 변경을 포함하고 있다. 또 표시콘트롤 코멘드, 머신상태 코멘드, 이니셜라이즈 코멘드 및 다이아그노스 코멘드 등이 있다. 비디오 콘트롤러내의 표시제어부 369는 이들 코멘드를 해석하여 표시제어 데이타 367의 갱신을 행한다. 예를들면 등록 코멘드는 각 화면의 초기설정을 행한다. 통상 설정 코멘드는 통상 설정 화면에서의 캐스케이드의 설정상태 표시나 불필요한 캐스케이드의 소거, 철여백치의 표시를 행한다. 모드변환 코맨드는 각 모드의 화면 및 LED(도시치 않음)의 ON/OFF의 표시를 행한다. 상술한 바와같이 캐스케이드키의 조작은 캐스케이드키가 ON에서 OFF로 됐을 때에 또 같은 캐스케이드키가 750㎳ 동안 계속 눌려있을 때에 또 같은 캐스케이드키가 계속해서 125㎳ 동안 더 눌려있을 때에 그 키가 접수 가능하면 1랭크 올라간다. 랭크가 모드를 접수하게 되어 있지 않으면 캐스케이드의 동작은 1랭크 스킵하여 다음키가 선택한다. 캐스케이드가 업(up)됨에 의해서 그것에 대응하는 논리코드가 좁 콘트롤러에 키접수로서 넘겨져 표시데이타로서 좁 콘트롤러로부터 비디오 콘트롤러에 피드백된다.
[(c) 유저인터페이스의 처리개요]
조작자에 의한 조작 및 머신의 상태에 대응한 처리의 예를 설명하겠다.
먼저 전원원이 초기화를 위해서 ON된다. 그 다음 스테이트 테이블 371이 초기스테이트에 키입력 없는 것을 조건으로 키관리부 374가 화면변화부 368에 초기 화면을 위한 지시를 제공하도록 한다. 이 지시를 받아서 비디오 콘트롤러내의 화면절환부 368이 표시제어 데이타 367의 표시화면을 초기화면으로 설정한다.
표시제어 데이타 367에서 초기화면이 기본카피화면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다이아로그 편집부 366이 다이아로그 데이타 370으로부터 기본 카피의 프레임을 독출한다.
이 프레임은 각 영역 베이스로 표시제어 데이타 367의 어드레스를 나타내고 있기 때문에 다이아로그 편집부 366은 이들 어드레스에 응하여 표시제어 데이타 367을 독출하여 편집하며 V-RAM 365상에 기본 카피 화면을 표시한다. 동시에 기본카피를 지시하는 LED를 점등한다. 여기서 키보드의 응용카피, 전문카피의 모드선택키가 조작되면 키관리부 374가 키 접수 조건의 체크를 하여 같은 방법으로 화면 변환부 368에 대응하는 화면의 지시를 제공한다.
표시제어 데이타에서의 초기화면이 전자동화면으로 설정됐으면 전자동 화면이 표시된다. 이 전자동 화면 설정이 다이아그 노스 모드에서 행해진다.
일단 화면이 표시되고 조작자에 의해서 캐스케이드키가 조작되고 물리키 테이블 361이 갱신되면 키변환검출부 362는 그 갱신을 검지하여 키변환부 363에 의해서 논리키로 변환된다. 캐스케이드키는 화면에 따라 다른 논리키로 변환된다. 따라서 표시제어 데이타 367로부터의 화면정보에 준하여 변환테이블 364의 참조위치가 제어되어 논리키로의 변환이 행해진다. 예를들면 제26도에서 캐스케이드가 조작된 경우에 화면이 기본 카피 동작화면이면 양면카피 캐스케이드를 지시하는 논리키로 변환되지만 응용카피 화면이면 칼라 캐스케이드의 논리키로 변환된다.
키관리부 274는 스테이트 테이블 371로부터의 캐스케이드키가 접수될 수 있는지의 여부를 결정하여 캐스케이드키로서 선택모드 화면에 이 키의 접수를 허가한다. 이 키는 키콘트롤부 375로 또 스테이트 관리부 372로 보내진다. 키콘드롤부 375는 이 키에 준하여 카피모드 378을 갱신하는 동시에 표시관리부 377로 캐스케이드의 표시정보를 넘긴다. 표시관리부 377은 인터페이스 코멘드를 생성하여 표시제어부 369에 출력한다. 표시제어부 369는 이 인터페이스 코멘드에 응해서 표시제어 데이타 367의 캐스케이드 설정 정보를 갱신한다.
전술한 바와같이 캐스케이드 설정정보의 내용이 다이아로그 편집부 366의 도움으로 화면상에 반영된다. 이와같이 하여 각 선택모드는 절환된다. 각 캐스케이드가 설정되고 그들의 설정이 디스플레이상에 표시될 때에 좁 콘트롤러의 카피모드 378 및 스테이트 테이블이 갱신된다.
그때에 스타트키가 조작되면 키콘트롤러부 375는 카피모드를 체크하여 카피실행 코멘드를 출력한다. 카피 실행 코멘드는 설정 송신 버퍼 380에 의해서 출력된다. 카퍼 실행 코멘트는 모니터에 의해서 시리얼 통신라인을 거쳐서 메인 CPU로 송신된다. 모드설정이 카피 실행 코멘드와 모순되면 표시관리부 377은 표시관리를 위한 인터페이스 코멘드를 생성하는 동시에 출력하여 메세지 관리를 행한다.
카피실행 코멘드 출력시에 좁 콘트롤러부 376은 1매마다 카피동작을 관리한다. 예를들면 수신버퍼 379가 머신에 의해 카피동작이 개시된 후에 연속적으로 머신스테이트 코멘드는 수신할 때에 코멘드 콘트롤러부 373은 수신한 코멘드를 해석하여 스테이트 관리부 372 및 좁 콘트롤러부 376에 통지한다. 좁 콘트롤러부 376은 머신스테이트 코멘드를 수신하여 소정의 매수의 카피가 완료될 때까지 1매 마다의 머신동작을 위하여 필요한 코멘드를 출력한다. 머신스테이트 코멘드는 코멘드 콘트롤러부 373을 거쳐서 송신 버퍼로 보내진다. 한편 스테이드 관리부 372는 이 머신 스테이트 코멘드에 준하여 스테이트 테이블 371을 갱신한다. 따라서 이 상태가 되면 키관리부 374는 모드선택키, 캐스케이드키 또는 다른 키들의 접수를 허가하지 않는다.
잼밍이 발생하여 잼발생 코멘드를 카피동작의 진행중에 머신으로부터 수신하면 잼에 관한 정보는 스테이트 관리부 372와 좁 콘트롤러부 376 양측으로 코멘드 콘트롤러부 373을 거쳐서 넘겨진다. 그 결과로 스테이트 테이블 371은 "잼발생 상태"로 리세트되어 카피작업을 중단시킨다. 키콘트롤러부 375는 잼밍의 위치를 인식하여 그 위치를 표시관리부 377로 넘겨서 예를들면 모드베이스로 잼 구역을 지시하는 파라메터를 부가한 잼처리 코드로 구성된 인터페이스 코멘드를 생성한다. 표시제어부 369는 이 인터페이스 코멘드를 처리하여 잼화면 표시내용을 위한 표시제어 데이타로 대치되어 그때의 화면의 휘도를 1랭크 내려서 그 위에 잼구역을 나타낸 잼화면을 위에 겹쳐서 표시한다.
키콘트롤러부 375는 토너의 잔량, 토너회수병의 상태, 용지무 및 머신 스테이트 코멘드로부터의 인터록의 개방을 인식하여 메세지 영역, 메인 테난스 정보영역 및 카운트부 등을 표시제어부 377을 거쳐서 제어한다.
올클레이키는 전원을 ON시킬 때에 조작하여 다이아그노스 모드로 들어간다. 이 모드도 키관리부 374를 거쳐서 키제어부 375에 의해서 인식된다. 다이아그노스 코멘드는 표시관리부 377를 거쳐서 출력되어 다이아그노스 화면을 제어한다. 이 다이아그노스 모드는 표시제어데이타 367내의 특정 영역에서의 등록 및 설정을 허가하고 통상 모드에 의해서는 설정될 수 없게 되어 있다. 그와 같은 설정의 하나는 전자동 화면이 표시여부를 나타낸다.
[(Ⅲ-3) 선택지 제어]
제30도는 부가장치와 그들의 기능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도이고 제31도는 선택지 제어의 처리 흐름도를 나타낸 도이다.
전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의한 복사기는 다양한 부가장치를 장비할 수 있다.
예를들면 무효 캐스케이드가 지시될 경우에 화면이 그대로 남아있으면 조작자는 당연히 모드를 오선택할 수 있다. 한편 출력장치, 입력장치 및 용지트레이들 등만으로도 다양한 조합이 존재한다. 출력장치는 소오터 및 피니셔를 가질 수도 있고 갖지 않을 수도 있다. 용지트레이는 HCF를 가질 수도 있고 갖지 않을 수도 있다. 또 입력장치는 DADF 및 RDH를 가질 수도 있고 갖지 않을 수도 있다. 또 용지트레이는 적어도 하나의 MSI 및 HCF를 장비할 수 있다. 따라서 조합은 MSI나 HCF중의 하나가 존재할 경우, MIS 및 HCF 양자가 존재하는 경우 및 MSI나 HCF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MSI 및 HCF의 조합을 포함하는 총 10파라메터가 존재한다. 제30도는 이들 파라메터들에 의한 캐스케이드의 몇가지 변화를 나타내고 있다. 제30도에서 제1의 캐스케이드 2000는 출력기능을 나타내고 제2의 캐스케이드 2002는 용지트레이의 기능을 나타내고 제3의 캐스케이드 2004는 확대/축소의 기능을 나타내고 제4의 캐스케이드 2006은 양면카피 기능을 나타내고 제5도의 캐스케이드 2008은 농도 기능을 나타내고 있다.
제30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출력에서는 예를들면 소오터가 존재하는 경우와 피니셔가 존재하는 경우를 위한 선택을 하도록 캐스케이드의 이름이 바뀐다. 따라서 출력장치만의 유무만으로도 단순히 계산해서 3매의 선택모드화면이 필요하다. 따라서 용지트레이 및 입력장치가 추가되면 더 많은 선택화면을 추가하고 모드 화면의 총수는 3×4×2=24으로 된다. 또 제2의 현상의 편배, LDC, 측부소거, 페이지 연사, 좁 프로그램 및 에디터 등의 유무를 고려하여 기본카피화면, 응용카피화면 및 전문카피화면으로 수천의 조합이 가능하다. 이들 모든 조합에 대응한 화면을 관리한다면 화면을 기억하는 영역(다이아로그 데이타 370)은 대용량을 갖고 다이아로그 편집에서의 처리량을 증가시키게 된다.
[(A) 콘피거레이숀 설정처리]
본 발명은 다이아로그 데이타 370과 표시제어 데이타 367에 의해서 적은 화면량으로 콘피거레이숀을 설정할 수 있는 데이타구조를 채용하고 있다. 코피거레이숀 정보는 표시제어 데이타 367에 설정되어 각 화면의 캐스케이드명 및 선택지를 제어하는 동시에 변환 테이블 364에 의해서 키변환부 363이 제어됨으로써 물리키를 논리키로 변환된다. 제31도는 콘피거레이숀 설정의 제어의 흐름을 흐름도 3000에 나타낸 도이다.
콘피거레이숀 설정처리에 있어서 콘피거레이숀 정보는 제31a에 나타낸 바와같이 전원이 ON되면 본체로부터 코멘드의 형태로 수신한다(스텝 3001). 키콘트롤부 375는 표시제어부 369를 콘피거레이숀 정보에 준하여 표시관리부 377를 거쳐서 기동되어 화면데이타 디스플레이 RAM에 형성된 표시제어 데이타 369의 내용을 갱신한다. 이 갱신중에 소오터, 칼라, 인프트, HCF 트레이 등의 유무를 제31b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결정하고 "1" 또는 "0"을 나타내는 플래그가 이 결정결과에 준하여 설정된다. 제31c 및 d도는 ROM내에 격납된 플콘피거레이숀 정보의 키코드테이블을 갖는 구성의 일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에 키코드 변환테이블은 전원 ON시에 ROM으로부터 RAM 364로 카피되고 (스텝 3024) 본체로부터 콘피거레이숀 정보를 수신할 때에(스텝 3026) RAM내의 키코드 변환테이블이 이 정보에 준해서 갱신된다(스텝 3028). 예를들면 논리키 변환은 소오터와 피니셔가 존재할 때에 행해진다. 따라서 소오터나 피니셔가 존재할 때에 행해진다. 따라서 소오터나 피니셔가 존재하지 않으면 캐스케이드를 조작해도 무효로 된다.
[(B) 표시화면의 데이타 및 편집]
제32a∼m도는 화면데이타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전술한 부가장치가 상이한 조합으로 존재하고 캐스케이드 및 사용할 수 있는 기능이 달라지는 경우에도 부가장치의 각 조합에 대응하는 화면의 준비와 그 선택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기본적으로는 제29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화면의 데이타 베이스가 ROM 및 RAM내에 격납되고 특정표시블록이 변경되어 하나의 화면을 위한 데이타를 편집하도록 되어 있다.
제32a도는 다이아로그 데이타의 메모리영역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이 메모리영역은 3K 바이트의 칩을 8매 사용하고 페이지(페이지수)와 절대 어드레스를 갖고 있다.
페이지 "0"의 일부가 점프테이블로 사용되고 각 화면(프레임)의 데이타의 격납 어드레스를 지적하여 화면 번호 베이스(프레임번호와 폽업신호)에 의해서 억세스할 수 있다. 기본적인 데이타 구조를 데이타 ID, 페이지수, 어드레스 및 스크린 위치를 갖는 제1의 타입을 포함하고 있다. 기본 데이타는 또 데이타 ID, 페이지수 및 어드레스를 가지나 스크린 위치를 갖지 않는 제32b도에 나타낸 제2의 타입을 포함하고 있다. 이들 구조들은 예를들면 메세지 데이타(Message Variable), 세트카운트 등의 수치데이타(Numeric Variable), 표시내용이 고정된 형상데이타(Figure Variable), 장치의 존재에 의해서 내용이 변화되는 변동 데이타, 제거된 트레이를 나타내는 블링크 데이타 (Blink Variable), 사전 세트 가능한 캐스케이드 데이타(Presetable Variable), 기본 프레임의 데이타 및 폽업 프레임용 데이타를 격납하고 있다.
다이아로그 데이타의 전체 데이타구조는 제32c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점프테이블, JT, 프레임 F1, F2…FM, 각 프레임을 구성하는 기본프레임 BF 및 각 프레임을 구성하는 폽업 프레임 PF 등의 구성프레임, 옵젝트 레퍼렌스 OR 및 특정 표시데이타가 격납된 옵젝트 데이타 OD를 포함하고 있다. 옵젝트 데이타 OD는 실제의 표시정보를 갖고 있다. 다른 데이타는 도면에서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같이 계층구조(나무구조)의 포인터로 되어 있다. 모든 화면에는 각 화면에 대응하는 모든 표시 데이타가 옵젝트 레퍼렌스 OR 및 옵젝트 데이타 OD의 쌍으로 된 구성프레임의 형태로 구비되어 있고 각 화면의 제어에는 옵젝트 레퍼렌스 OR의 참조정보(Test Variable)가 사용된다. 예를들면 ON/OFF로 표시되는 설정상태 표시영역의 데이타의 경우에 ON의 데이타와 OFF의 데이타가 옵젝트 레퍼렌스 OR와 옵젝트 데이타 OD에 구비되고 그중 어느 것을 사용하느냐는 참조정보가 나타내는 어드레스의 표시제어 데이타 367의 설정에 의존되도록 되어 있다. 다시말하면 참조정보(Test Variable)는 표시제어데이타 367의 참조 어드레스를 나타내고 그 어드레스에 표시제어부 369(제29도)가 카피 모드나 부가장치의 존재상태에 응하여 데이타를 세트하면 된다. 따라서 소오터 등의 유무에 응한 표시제어도 같다.
각 데이타구조를 이제 상세하게 설명하겠다. 점프데이타 JT는 각각의 프레임에 대응하여 페이지와 절대 어드레스로 되고 대응하는 프레임 F1, F2, FM의 선두 어드레스를 포인트하고 있다. 프레임 F1, F2,… FM은 기본카피 화면이나 응용카피 화면, 전문카피화면, 레뷰화면, 인포메이숀 화면 및 잼화면을 포함하고 있다. 각 프레임은 그 선두에 몇개의 데이타가 있느냐를 지시하는 "Possibility" 정보를 갖고 있다. "ID" 정보와 데이타 어드레스에 의해서 베이식 프레임 BF, 폽업프레임으로 되는 각 구성프레임의 선두 어드레스를 포인트하고 있다. 예를들면 기본 카피화면의 경우에 구성프레임은 폽업이 없는 베이식 프레임 BF, 배율의 폽업프레임, 카피농도의 폽업프레임 PF로 되어 있다. 베이식 프레임 BF, 폽업프레임 PF 등의 구성 프레임도 마찬가지로 선두에 "Possibility" 정보를 갖고 그후에 "ID" 정보, 데이타 어드레스에 의해서 당해 프레임을 구성하는 모든 옵젝트 레페렌스 OR의 선두 어드레스를 포인트함과 동시에 선두의 표시위치(Screen position)을 갖고 있다. 옵젝트 레퍼렌스 OR는 "ID" 데이타 후에 표시제어 데이타 367의 어드레스, 최고높이 및 폭을 내용으로 하는 참조정보(Test Variabie) 및 데이타 어드레스, 리버스 및 그레이 등의 표시태양 데이타(Rev/Gray) 및 정수(Constant)를 포함하고 있다.
메세지 데이타에 있어서 메세지 데이타가 K개 있다고 하면 옵젝트 레퍼렌스 OR는 정수 "0"∼"K"를 갖고 각각이 대응하는 메세지 데이타의 옵젝트 데이타 OD를 포인트하고 있다. 그리하여 옵젝트 레퍼렌스 OR가 포인트하는 정수 "0"의 옵젝트 데이타의 캐랙터열이 "카피할 수 있읍니다" 정수 "1"의 그것이 "카피하고 있읍니다"라고 하면 이 옵젝트 레퍼렌스 OR의 참조정보로 나타내는 어드레스 제어표시 제어 데이타 367에 표시제어부 369로부터 "0"을 기입함으로써, "카피할 수 있읍니다"를 표시할 수 있고 "1"을 기입함으로써 "카피하고 있읍니다"를 표시할 수 있다. 이와같이 옵젝트 레퍼렌스 OR에는 예를들면 메세지데이타이면 상단의 메세지와 하단의 메세지로 나누어 그 각각에 모든 데이타가 구비되어 있다.
다이아로그 편집부 366에서는 그 옵젝트 레퍼렌스 OR에 있어서 참조정보에 준하여 옵젝트데이타 OD를 선택하고 그 포인트하는 옵젝트 데이타 OD를 처리함으로써 "카피할 수 있읍니다"의 캐랙터를 독출하여 최종적으로 V-RAM에 기입한다.
옵젝트 데이타 OD가 수데이타인 경우에는 수데이타가 단지 하나의 열이기 때문에 높이 정보가 격납되고 이 옵젝트 데이타는 데이타의 폭(Pixels의 수), 한자의 명조체 또는 고딕체를 지정하는 데이타, 리버스 등의 표시 속성데이타, 참조정보(Test Variable)가 계속된다.
이 참조정보에 의해서 지정되는 어드레스를 갖는 표시제어 데이타 367내에는 카운트치나 배율치 등의 표시되어야 할 수치가 기입되어 있다. 이 옵젝트 데이타 OD는 실제로 그레이 스케일의 경우에는 그 영역의 사이즈(Hight,Width)와 레벨(OFF"00", 레벨1"01", 레벨2"10"…)가 계속된다.
이와같이 디이아로그 데이타는 여러가지 성격의 데이타를 제32b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포함하고 있고 이 데이타가 기본카피 화면을 구성하는데 사용된다.
제32d도에 나타낸 바와같은 기본카피 화면에서는 전술한 바와같이 설정상태 표시영역 및 소오터의 캐스케이드명의 데이타 EV(Elementary Variable)가 ON/OFF 표시되는 데이타로 된다. 따라서 제32e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이와같은 데이타는 정수 "1"과 "0"에 의해서 각각 ON, OFF(블랭크)에 대응하는 레퍼렌스 데이타로 역할한다. 따라서 참조정보(Test Variable)에 의해서 지정되는 표시제어 데이타의 어드레스내에 "1"이 격납되면 "소오터"가 표시되고 "0"이 격납되면 블랭크(표시무)로 된다.
제32f도는 변경이 없는 고정 캐스케이드에 적용되는 데이타의 구조를 나타낸 도이다. 이 데이타구조를 제32d도에 나타낸 기본카피 화면에서는 축소/확대나 양면카피, 카피농도의 각 캐스케이드의 적용되는 데이타 CV(Cascade Variable)이다. 이 데이타에서는 옵젝트 레퍼렌스 OR에 각 캐스케이드에 대해서 "프레임 유(ON)" 및 "프레임 무(OFF)"의 레퍼렌스를 일련의 데이타로서 갖고 있다. 그리고 참조정보(Test Variable)에 의해서 지정되는 어드레스의 표시데이타에는 프레임유로 하는 캐스케이드 번호가 기입된다. 따라서 이 데이타 CV로 데이타 "프레임 유(ON)"이 표시제어 데이타에 의해서 "프레임"로서 지정된 캐스케이드에 대해서만 선택되나 "프레임 무(OFF)"의 데이타가 다른 캐스케이드를 위하여 선택된다. 전술한 바와같이 "프레임 유"는 우측과 하측에 프레임(shadow)이 표시되고 입체감을 내기 위하여 고휘도의 백으로 표시되고 "프레임 무"는 그레이계조 백그라운드로 표시된다.
제32g도는 트레이와 같은 블링크에 적용되는 데이타구조의 예를 나타낸 도이다. 이 예는 제32d도에서 기본 카피 화면내의 데이타 BL(Blingk Variable)에 대응하는 것이다.
블랭크될 데이타가 참조정보(Test Variable)에 의해서 지정되는 어드레스에서 표시 제어 데이타에 세트될 경우에 데이타 BL는 선두의 표시위치(스크린 위치)와 사이즈(높이 및 폭)를 블링크에 설정한다. 다시말하면 블링크가 적용될 수 있는 모든 영역에 이 데이타가 설정된다.
제32h도는 사전 설정가능한 캐스케이드에 적용되는 데이타구조의 일예를 나타낸 도이다. 이 데이타구조는 제32d도의 기본 카피화면내의 데이타 PC(Presettable Cascade Variable)에 상당하는 것이며 용지트레이 및 소오터등의 각 캐스케이드에 적용되는 것이다. 이 데이타는 "프레임" 캐스케이드를 제어하기 위한 참조정보와 "ID" 및 각 캐스케이드의 참조정보를 갖는 그룹(Group of Figures)의 어드레스를 포함하고 그 후에 각 캐스케이드 위치 및 선두의 표시위치(Screen Position)에 준한 참조정보(Tech Rep Variable)이 있다. 그리고 각 캐스케이드에 대응하는 참조정보에 의해서 지시되는 표시제어 데이타에 선택지가 설정된다.
제32i∼m도는 표시제어 데이타의 사양의 일예를 나타낸 도이다. 표시제어부 369는 사양에 준하여 표시제어 데이타를 설정한다. 콘피거레이숀 설정처리중에 관련되는 셀의 값이 갱신된다 소오터가 존재하는 경우에 예를들면 제32i 및 m도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어드레스 AIB가 "1"로 설정되고 어드레스들 A38, A39 및 A3A각 각각 "2" "3" 및 "4"로 설정된다. 그 결과 캐스케이드명 "소오터"가 표시되고 "소오터" 아래에 "카피받는것(Copy receive)" "용지정합(paper collation)" 및 "스택"이 제32d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시된다. 또 어드레스 A38, A39 및 A3A의 셀값에 상기의 순서를 바꾸어 설정하면 선택지의 표시순서를 바꿀수 있다. 소오토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예를들면 어드레스 AIB가 "0"으로 설정되고 어드레스 A38, A39 및 A3A는 각각 "1"로 설정된다. 그 결과 캐스케이드명 및 각 선택지는 모두 블랭크화된다. 용지트레이의 경우에는 제32j도의 사양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각 어드레스의 셀값을 "1"∼"7"의 어느것으로 설정함으로써 그 표시순서를 바꿀 수 있다.
제33도는 화면 편집처리를 설명하는 도이다. 제33a도는 흐름도 4000내의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고 있다. 제33b도는 모듈구성의 일예를 나타내고 있다.
전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V-RAM의 2중구조를 채용하고 화면의 일부가 변경되면 V-RAM내의 그 부분이 재기입되나 화면의 많은 내용이 변경을 필요로하면 백업 V-RAM이 먼저 변경되고 뒤이어서 표시가 백업 V-RAM으로 변환된다. 그리하여 변경중에 표시 화면의 깜박거림(Flicker)을 없애고 있다. 그때문에 화면편집 처리에서는 제33a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하나의 전체 화면이 재기입을 필요로 하느냐의 여부에 준하여 판단할 필요가 있다(스텝 4001). 화면은 프레임번호, 폽업 번호 및 표시제어 데이타의 설정에 준하여 편집되고 전개된다. 따라서 프레임번호 또는 폽업 번호가 변경된 경우에는 화면은 재기입될 필요가 있고 백업 V-RAM이 사용된다. 또 올클레어키가 조작되는 경우에 각 캐스케이드가 모두 데폴트로 리세트되기 때문에 각 캐스케이드가 이동된다. 따라서 변경내용의 양이 커지고 백업 V-RAM의 사용을 필요로 하게 된다. 따라서 백업 V-RAM이 사용될 것인지 워킹 V-RAM이 사용될것인지에 따라서 첫 판단을 행하게 된다(스텝 4001).
다이아로그 초기화는 화면이 재기입될 경우에 행해진다. 이 처리에서는 다이아로그 데이타의 선두 어드레스가 프레임번호 및 폽업번호에 준하여 결정되고 다이아로그리드 포인트가 설정된다(스텝 4002).
구성정보에서 "Possiblity"의 수만큼 블록수 1블록씩 체크처리를 행하고 각 블록의 고정 아이템인지 가변 아이템인지를 판단한다(스텝 4003 및 4004).
블록이 고정아이템일 경우에 화면그레이체크를 행한 후에 리드처리를 기동하여 백업 V-RAM으로부터 표시데이타를 전개한다.
블록이 가변아이템일 경우에는 구성정보의 어드레스와 참조정보(Test Variable)가 업데이트 테이블내에 등록된다. 모든 가변아이템이 등록 종료되면 EOP(End of File) 코드가 업데이트 테이블내에 격납된다(스텝 4008∼4010).
상기 스텝들 4003∼4010이 "Possiblity" 수만큼 행해지면 업데이트 테이블내의 블록들이 각각 체크되어 상기 스텝들 4005∼4007과 같은 방법으로 처리를 행한다(스텝 4011∼4012).
화면 재기입처리가 상술한 바와같이 행해지나 스텝 4001이 No의 경우에는 다음 부분 재기입 처리가 행해진다. 부분 재기입 처리에서는 업데이트테이블을 체크하여 변화된 가변아이템을 독출하여 변화된 아이템에 대응하는 표시블록 데이타를 작성하여 워킹 V-RAM으로 출력한다.
[(Ⅲ-4) 표시화면의 구성]
유저인터페이스는 CRT 디스플레이를 최대한으로 유효 활용하여 키/LED 보드의 구성을 간소화한다. 특히 각 화면이 간단하고 보기 쉽도록 주의깊게 분할하여 설정, 확인, 메세지의 전달이 효과적으로 행해진다.
화면은 카피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모드 화면, 카피모드의 설정을 확인하기 위한 리부화면, 표준모드로 카피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전자동 화면, 다기능화된 카피모드에 대해서 설명하면을 제공하기 위한 정보 화면 및 잼의 위치를 적절히 표시하기 위한 잼화면을 포함하고 있다. 또 선택모드 화면은 1화면으로 구성하기에는 극히 복잡하고 선택모드의 기능은 종래의 기능들 뿐만 아니라 전문기능들을 포함하고 있다. 그리하여 이들 화면은 그들의 내용에 따라서 3분할하고 있다. 이 분할된 화면은 모드선택키 308∼301에 의해서 선택적으로 표시되어 각 화면에 의해서 소망하는 기능의 선택저긴 표시를 가능하게 한다. 또 이들 화면들은 선택영역, 다른 모드의 설정상태 표시영역, 메세지영역등으로 분할되어 조작상태에 응하여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를 전달한다.
[(A) 선택모드 화면]
제34a∼c는 선택모드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선택모드 화면은 3화면, 즉 제34a∼c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기본카피, 응용 카피 및 전문카피를 포함하고 있고 선택적으로 표시된다. 이들 화면중에서 기본 화면은 가장 일반적으로 잘 사용되는 기능을 유별하여 그룹화 된 것이다. 그다음에 잘 사용되는 기능을 유별하여 그룹화한 것이 응용카피화면이고 나머지 특수한 전문적 기능을 유별하여 그룹화한 것이 전문카피 화면이다.
각 선택모드 화면은 기본적으로 위로부터 2행에서 구성되는 메세지영역 A, 3행에서, 구성되는 설정상태 표시영역 B, 9행에서 구성되는 선택영역 C로 기본적으로 구분하고 있다. 메세지 영역 A내는 카피실행조건에 모순이 있을 때의 J코드메세지, 서비스맨에 연락이 필요한 하드웨어 고장시의 U코드메시지, 조작자에게 여러가지의 주의를 촉구하는 메시지등이 표시된다. 이들 중 J코드메시지는 각 캐스케이드의 설정내용에 의한 카피실행 조건의 조합 체크 테이블을 구비하여 스타트키 318이 조작되면 테이블을 참조하여 체크를 행하여 카피모드에 모순이 있을 경우에 출력된다. 설정상태 표시영역 B에는 다른 모드의 선택상태, 예를들면 기본 카피 화면에 대해서 응용카피와 전문카피의 선택상태가 표시된다. 이 선택 상태의 표시에서는 선택영역 C의 캐스케이드의 상태가 데포울트(default) 이외의 경우(최하단)의 경우에 그 캐스케이드가 표시된다. 선택영역 C에는 상단에 캐스케이드명이 표시되고 각 케스케이드영역의 최하단이 데포울트영역, 그보다 위의 영역이 데포울트 이외의 영역으로 되어 있어서 캐스케이드키의 조작에 의해서 5개의 캐스케이드 영역에서 개별적으로 선택될 수 있게 되어있다. 따라서 선택조작 하지 않는 경우에는 데포울트영역이 선택되고 모든 데포울트의 상태가 전자동 카피의 모드로 된다. 또 선택영역은 종으로 5분할된 캐스케이드영역에 대응하는 하측 캐스케이드키 319-1∼319-5로 선택 설정이 행해진다. 또 메세지 영역 A의 우측은 세트카운트와 메이드 카운트(made count)를 표시하는 카운트부로 하고 또 설정상태 표시영역 B의 아래 1행은 토너병 충만, 토너보급등의 메세지 정보부로서 사용된다. 이하에 각 선택모드 화면의 캐스케이드 영역의 내용을 설명하겠다.
[a) 기본 카피]
기본카피화면은 제34a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용지트레이" "축소/확대" "양면카피" "카피농도" 및 "소오터"의 캐스케이드로 된다. "용지트레이"에서는 자동이 데포울트로 되어 있어서 이 경우에는 원고사이즈와 같은 용지를 수용한 트레이가 자동적으로 선택된다. 캐스케이드키의 조작에 의해서 데포울트 이외의 영역을 사용하여 수동삽입 트레이나 대용량 트레이, 상단 트레이, 중간단 트레이, 하단 트레이 중의 어느것을 선택할 수 있다. 또 각 트레이난에는 도시하는 바와같이 수용되어 있는 용지를 판별하기 쉽도록 그 용지사이즈 종류 및 아이콘(그림문자)가 표시된다. 용지는 긴쪽 방향으로 보내는 설정과 긴쪽방향과 직각방향으로 보내는 설정이 있다.
"축소/확대"는 등배가 데포울트로 되어있고 캐스케이드의 조작에 의해서 자동, 고정/임의가 선택된다. 자동에서는 선택되어 있는 용지사이즈에 맞추어서 배율을 자동적으로 설정하여 카피한다. 배율(선배율)은 50%∼260%까지 임의로 1%씩의 증분으로 설정할 수 있고 고정/임의에서는 캐스케이드키의 조작에 의해서 구체적인 설정대상이 되는 내용이 폽업화면에 의해서 표시되어 50.7%, 70%, 81%, 100%, 121%, 141%, 141%, 200%의 7단계 설정으로 되는 고정배율을 선택할 수 있는 동시에 1%씩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임의배율을 선택 설정할 수 있다.
"양면카피"는 편면이 데포울트로 되어있고 데포울트 이외로서 원고→카피와의 관계에서 양면→편면, 양면→양면, 편면→양면이 선택될 수 있다. 예를들면 양면→편면은 양면원고에 대해서 편면카피를 행하는 것이고 편면→양면은 편면원고를 양면카피로 하는 것이다. 양면카피를 취할 경우에는 최초의 면에 카피가 행해진 카피용지가 듀풀렉스 트레이에 우선 수용된다. 다음에 이 듀플렉스 트레이로부터 카피용지가 재차 송출되고 이면에 카피가 행해진다.
"카피농도"는 자동 데포울트로 되어있고 데포울트 이외로서 7단계의 농도설정을 할 수 있다. 또 사진모드로도 7단계의 농도설정이 가능하다. 이 내용의 설정은 폽업화면에 의해서 행해진다.
"소오터" 는 카피반응이 데포울트로 되어 있고 데포울트 이외로서 정합과 스텍을 선택할 수 있다. 정합은 소오터의 각 빈에 카피용지를 분류하는 모드이고 스택모드는 카피용지를 차례로 퇴적시키는 모드이다.
[b) 응용카피]
응용카피 화면은 제34b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특수원고", "철여백", "칼라", "합지", "배출면"의 캐스케이드로 되어 있다.
"특수원고"는 A2/B3등의 대형원고를 카피하는 기능(LDC), 컴퓨터의 연속출력의 원고에 대해서 구멍을 카운트하여 1페이지씩 카피하는 기능(CFF), 동일사이즈의 2매의 원고를 1매의 용지에 2정합(2-up)을 데포울트 이외에서 선택할 수 있다.
"철여백"은 카피의 우단부 또는 좌단부에 1㎜∼16㎜의 범위로 "철여백"을 설정하는 것이다. 우철, 좌철, 철여백의 길이를 데포울트 이외에서 설정할 수 있다.
"칼라"는 흑이 데포울트로 되어있고 데포울트 이외에서 적을 선택할 수 있다. "합지"는 OHP 카피시에 중간에 백지를 끼우는 기능이고 데포울트 이외에서 선택할 수 있다.
"배출면"은 전면과 이면중의 어느 1면을 강제적으로 지정하여 배지시키도록 데포울트 이외에서 선택할 수 있다.
[c) 전문카피]
전문카피 화면은 제34c도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좁메모리" "편집/합성" "등배미 조정" "프레임 소거"의 캐스케이드로 되어 있다. "좁 메모리"는 카드를 사용하는 페이지 프로그램이고 복수의 좁을 등록해 놓고 그것을 호출하여 스타트키를 누름으로써 자동적으로 카피를 행하도록 하는 것이며 그 호출과 등록이 데포울트 이외에서 선택할 수 있다.
"편집/합성"은 편집기능과 합성기능을 데포울트 이외에서 선택할 수 있다. 편집기능은 에디터등을 사용하여 편집을 위한 데이타를 입력하기 위한 기능이고 또 그중에서 폽업화면에 의해서 부분사진, 부분삭제, 마킹칼라의 기능을 선택할 수 있다. 부분칼라는 지정한 영역만 칼라 1색으로 카피하고 나머지 부분은 흑색으로 카피한다. 부분사진은 지정한 영역에 사진을 카피하고 부분삭제는 지정한 영역을 카피하지 않도록 한다. 마킹칼라는 마킹을 행하는 영역을 지정하면 일예로서는 그 부분에 칼라의 엷은 색을 겹쳐서 기록하여 마치 마킹을 행한것과 같은 효과를 얻는 것이다. "합성기능"은 듀플렉스 트레이를 사용하여 2매의 원고로 부터 1매의 카피를 행하는 기능이고 쉬트합성과 병렬합성이 있다. 쉬트합성은 제1의 원고와 제2의 원고의 쌍방 전체를 1매의 용지에 겹쳐서 기록하는 기능이고 제1의 원고와 제2의 원고에 대해서 각각 다른 색으로 카피를 행할 수도 있다. 한편 병렬합성은 제1의 원고전체에 제2의 원고전체를 붙인 형태로 1매의 용지에 합성 카피를 작성하는 기능이다.
"등배 미조정"은 99%∼101%의 배율이고 0.15%의 증분으로 설정하는 것이고 이 기능을 데포울트 이외에서 설정할 수 있다.
"프레임소거"는 원고의 주변 부분의 화정보에 대해서 카피를 행하지 않고 마치 화정보의 주변에 "틀"을 설정한 것과 같이 하는 것이며 프레임소거를 2.5㎜로 행하는 표준을 데포울트로 하고 임의의 칫수의 설정과 프레임 소거를 하지 않는 전면 카피모드를 데포울트 이외에서 선택할 수 있다.
[B) 기타 화면]
제35a∼b도는 선택모드 이외의 화면의 예를 나타낸 도이다.
[a) 레뷰화면]
레뷰화면은 3분할된 상기 각 선택모드화면으로 선택되어 있는 카피모드의 상태를 표시하는 것이며 제35b에 나타낸 바와같이 각 선택화면의 캐스케이드의 설정상태를 1화면에 표시하는 것이다. 이 레뷰화면에서는 선택 항목 즉, 캐스케이드명과 그때에 선택되어 있는 모드 즉, 선택지를 표시하고 선택되어 있는 모드가 데포울트의 경우에는 예를들면 그레이 배경이고 데포울트 이외의 경우에는 통상의 휘도를 배경으로 한 반전표시를 채용하고 있다. 이와같이 데포울트의 상태와 데포울트 이외의 상태를 구별함으로써 특히 전자동모드로 부터 바꾼 데포울트 이외의 경우의 선택지를 눈에 띄우게 하고 있다. 또 화면구성은 기본카피, 응용카피, 전문카피의 각 카피모드로 나누어 3단표시하고 이 표시 위치를 모드선택키의 위치와 대응시킴으로써 레뷰화면으로부터 각 화면으로의 변환을 알기 쉽게 하고있다. 이 표시에 의해서 조작자는 각 케스케이드의 설정상태를 확인할 수 있고 조작성을 향상시켜 카피 미스를 적게할 수 있다.
[b) 전자동 화면]
전자동 화면은 제35a에 나타낸 바와같이 전원이 ON이나 예열모드에서 예열키 306이 조작(해제)됐을때에 또는 올클레어 키 316이 조작되었을때에 표시된다. 제35a도는 각 선택모드화면의 캐스케이드가 모두 데포울트로 설정되어 있는 상태의 화면이다. 이 화면에서는 플래튼상에 원고를 세트하고 텐키에 의해서 카피매수를 설정하여 스타트키를 눌르면 원고와 같은 사이즈의 용지가 선택되어서 설정 매수의 카피가 실행된다.
[c) 인포메이숀 화면]
인포메이숀 화면은 제35c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카피모드의 각각에 대해서 카피를 취하는 방법등의 설명화면을 제공하기 위한 화면이고 인포메이숀 키 302의 조작에 의해서 표시된다. 이 화면에 표시된 인포메이숀 코드를 텐키를 거쳐서 입력함으로써 설명화면이 표시된다.
[d) 잼화면]
잼화면은 제35d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카피실행중에 표시되고 있었든 화면위에 겹쳐 표시되고 원래의 화면의 휘도를 1랭크씩 떨어뜨림으로써 잼표시의 내용이 선명하게 되도록 하고 있다.
[(C) 화면의 변화]
화면의 변화는 각각 제36도에 나타낸 조건을 계기로 하여 행해진다. 전원이 투입되고 초기화가 종료되면 다이아그램 모드로의 이행지시가 없는 경우에는 기본 카피화면이 표시된다. 이 기본카피 화면은 올클레어키, 기본카피의 모드선택키, 예열화면시의 예열키를 조작함으로써 표시되고 응용카피화면, 전문카피화면, 레뷰화면은 각각의 모드 선택키의 조작에 의해서 변환 표시된다. 이들의 화면에서만 스타트 키가 접수되어 카피동작의 실행이 가능하게 된다. 또 전문카피 화면에서는 편집이나 좁 프로그램이 선택되면 그 입력화면으로 변화되고 입력이 종료되면 원래의 전문 카피 화면으로 되돌아 간다. 또 이들의 화면으로 부터 인포메이숀 키의 조작, 또 그 코드의 입력에서는 인포메이숀 화면으로 이행 된다. 잼이 발생한 경우에는 그 카피실행시의 선택모드 화면상에 잼화면이 겹쳐 표시된다. 과열 방지 화면은 상기의 어느 화면 그대로 소정시간 경과해도 키입력이 없을 경우에 타이머동작에 의해서 이행되고 키조작에 의해서 원래의 화면으로 복귀된다.
[(D) 표시태양]
제37a∼c도는 화면 레이아웃의 유별 예를 나타낸 도이다. 본 발명에서는 제34a∼c도 및 제35a∼d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복수의 화면으로 분할하여 절환표시함으로써 그때 마다의 여분의 정보를 적게하여 1화면의 정보를 간소화하고 있다. 이들 표시화면들은 예를들면 제37a∼c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유별된다. 제37a도는 선택모드 화면의 레이아웃을 나타내고 제37b도는 레뷰화면, 전자동 화면, 편집 입력화면, 좁 프로그램 화면을 나타낸 도이다. 제37c도는 예열 화면, 과열방지 화면, 인포메이숀 화면 및 다이아그노스 화면을 나타낸 도이다.
본 발명에서는 이들의 레이아웃의 표시영역이나 그 입력설정 상태등에 응하여 표시태양을 바꿈으로써 보기 쉽고 알기 쉬운 화면을 구성하고 있다. 예를들면 제37a도에 나타낸 레이아웃의 선택모드 화면에서는 메시지 영역(카운트 에어리어 포함). 설정상태 표시영역(메인테넌스 정보영역 포함) 및 선택영역으로 분할하여 각 영역의 표시태양을 바꾸고 있다.
예를들면 카운트부를 포함하는 메시지영역에서는 백을 흑으로 하여 메시지의 문자만 고희도 표시하고 백리트타입의 콘솔판넬과 같은 표현을 채용하고 있다. 설정상태 표시영역에서는 배경을 "망목표시" 즉, 어느 소정의 균등한 밀도로 명암표시하고 캐스케이드명의 표시부분을 반전표시(문자를 어둡게 배경을 밝게)하고 있다. 즉, 이 표시는 각 캐스케이드명을 카드이메지로 표현한 것이다. 또 설정상태 표시영역의 아래 1행은 토너병의 충만이나 토너보급등의 메인 테넌스 정보영역으로 사용되지만 이 정보는 설정상태 표시정보와는 그 성격이 다르므로 혼동없이 용이하게 분별할 수 있으므로 이메지 영역과 같은 표시태양을 채용하고 있다. 또 선택영역에서는 주위를 망목 표시하고 캐스케이드 표시영역 전제를 휘도가 낮은 그레이 표시로 하여 선택지나 캐스케이드명을 반전 표시하고 있다.
또 이 표시에 더하여 설정된 선택지의 영역의 백을 고휘도 표시(반전표시)로 한다. 또 선택된 트레이가 용지가 떨어진것을 지시하는 메시지는 백을 흑색으로 문자를 고휘도로 표시하고 있다.
제35a도에 나타낸 전자동 화면은 제37b도에 나타낸 레이아웃으로 되고 이 화면에서는 표시영역의 배경을 어두운 "망목상 표시"로 하고 "원고세트"등의 각 조작지시를 표시한 영역을 밝은 "망목상"표시로 함과 동시에 그 경계를 에지(edge)시켜 표시의 명료성을 향상시켜 보기 쉽게 하고 있다. 그리하여 자유로 적의 변경함으로써 다양한 조합으로 표시가 행해질 수 있다.
특히 백을 고휘도(페이퍼 화이트에 의한 통상의 휘도)표시 또는 휘도를 떨어뜨린 그레이 계조 표시, 소정의 명암 도트 밀도에 의한 표시등의 영역의 경계에 대해서 도시하는 바와같이 연부를 다듬음으로써 시각적으로 입체감을 갖게하여 "카드상"의 이메지를 제공하고 있다. 각 영역의 배경의 표시태양을 연부를 다듬어 표시태양을 바꾸어 표시함으로써 조작자에 대해서 각 영역의 표시내용을 명료하게 구별될 수 있어서 보기 쉬운 화면을 제공하고 있다. 문자의 표시에 있어서도 반전표시나 블링크표시를 함으로써 표시정보마다 각각 특징이 있는 주의를 사용자에게 특히 통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문자열에 있어서 백과 그 문자의 휘도의 구성으로 하는데 더하여 본 발명은 선택지나 캐소케이드명, 기타의 문자열에 대해서 아이콘(그림문자)를 부가하여 사용자가 각종 기능을 기억하는데 도움을 주고 있다. 예를들면 기본 카피 화면에서는 아이콘을 캐스케이드면 "축소/확대", "양면카피", "카피농도" 및 "소오터"앞에 위치되고 또 "용지트레이"의 선택지에서 하단, 중간단 및 상단의 용지 사이즈의 끝에 위치된다. 이 아이콘은 문자열만으로 표시하면 정보의 명료도가 적은 것을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전달하는 것이다. 아이콘은 단순한 문자열보다도 더 정확하고 직관적으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Ⅲ-5) 키/LED 보드 및 디스플레이 표시회로]
[(A) 키/LED 보드]
유저인터페이스는 제26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CRT 디스플레이와 키/LED 보드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선택지의 표시 및 설정을 행하는데 CRT 디스플레이를 사용하고 있어서 키/LED 보드상의 키와 LED의 부품수를 최소화시키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CRT를 유효하게 활용하게 위하여 표시될 화면을 유별하고 각각의 화면도 영역으로 분할하여 표시내용을 조직화하여 보기쉬운 화면을 구성하고 있다. 예를들면 선택모드의 화면은 기본카피, 응용카피 및 전문카피등의 3화면으로 선택적으로 표시된다.
이들 기능들의 각 선택영역은 기능들의 선택 및 설정을 위하여 5개의 캐스케이드로 분할되어 있고 화면 변환을 위한 선택키들 308∼310 및 각 캐스케이드영역을 선택하기 위한 캐스케이드키들 319-1∼319-5의 8개의 키들로 선택설정을 행할 수 있다. 따라서 모드 선택키들 308-310을 조작하여 기본카피화면, 응용카피화면, 전문카피 화면의 어느것을 선택하면 그 후는 캐스케이드키들 319-1∼319-5의 조작 이외에 텐키 스위치 307에 의한 수치입력만으로 모든 기능을 선택할 수 있다. 캐스케이드키들 319-1∼319-5는 쌍으로 구성되어 캐스케이드의 상향 이동용키와 하향 이동용 키가 커서를 캐스케이드 영역내에서 상하로 이동시키는데 사용되어 소망하는 기능을 선택 설정한다. 선택모드 화면들은 모드선택키들 308∼310을 거쳐서 선택되고 그 중 하나가 표시된다. 그리하여 LED들 311∼313이 모드키들 308∼310 중 어느 키에 의해서 선택된 화면이냐를 지시하는데 사용된다. 즉, 모드선택키들 308∼310을 조작하여 선택모드의 화면을 표시시키면 그 모드선택키 308∼310에 대응하는 LED 311∼313이 점등된다.
조작자가 구비된 많은 기능을 알고 전부 활용하기는 어렵다. 따라서 인코메이손키 302가 사용되어 사용자에게 각 모드의 카피동작에서 카피하는 방법의 설명화면을 제공하고 있다. 인포메이숀 기능은 다음과 같이 행해진다. 먼저 인포메이숀 키 302가 조작되면 인포메이숀 코드의 일란표가 제35c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인포메이숀 인덱스내에서 표시된다. 텐키스위치 307를 거쳐서 화면에 의해서 지정된 인포메이숀 코드를 선택하고 입력함으로써 그 코드에 대응하는 인포메이숀 폽업화면이 나타난다. 이 폽업화면은 카피모드의 설명화면을 표시한다.
올바른 선택과 설정을 위한 각종 기능을 정하는 3그룹의 화면으로 선택모드 화면들을 분할함으로 전체 설정상태들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 레뷰키 303은 모든 화면의 설정상태를 확인하는데 사용된다. 레뷰키 303은 제35b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레뷰화면을 표시하게 한다. 이 레뷰화면은 기본카피, 응용카피 및 전문카피의 모든 화면의 설정상태를 나타낸다.
듀얼 랭게지 키 304는 표시화면상에 언어를 변환시키기 위한 것이다. 국제교역의 증가에 수반되어 각 다양한 언어를 구사하는 사람들이 같은 장비를 갖는 경우가 많다. 그와같은 실정에 언어장벽을 극복하기 위하여 2개 국어 예를들면 일본어와 영어를 사용할 수 있는 폰트메모리가 있고 듀얼 랭게지 키를 조작하여 일본어나 영어의 화면을 선택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2개의 국어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의 언어를 구비할 수 있고 듀얼 랭게지 키 304는 사용자가 소정의 순서로 언어를 선택할 수 있게 한다. 듀얼 랭게지 키 304는 방언을 채용한 "복수의 일본어"를 부가할 수도 있다.
예열키 306은 복사기의 대기시에 전력절약을 위하고 대기상태로 부터 카피동작상태로의 이행을 위하여 예열모드로 신속히 들어가도록 한다. 예열키 306의 조작으로 예열모드 또는 전자동 모드와의 선택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LED 305가 이들 두가지 모드 중 어느 모드가 선택되었느냐를 지시하는데 사용된다. 올클레어키 316은 복사기를 클레어 즉, 각 선택모드 화면의 데포울트로 설정한 전자동 모드 화면을 표시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그 화면이 조작자에 현재 선택된 카피모드가 전자동 모드임을 알린다.
인터럽트키 315는 연속 카피 동작이 진행중에 다른 긴급카피를 해야할 경우에 사용된다. 인터럽트 종료시에 인터럽이 제거되고 복사기는 이전의 카피동작으로 복구된다. LED 314는 인터럽트 유효상태인지 해제되었는지를 표시한다.
스톱키 317은 카피동작을 정지시키거나 카피매수의 설정 또는 소오터의 빈의 설정에 사용된다.
스타트키 318은 기능이 선택되고 선택된 기능의 실행 조건이 설정됐을때 카피동작을 개시한다.
제38a도는 키보드 스캔의 설정맵의 예를 나타낸 도이며 제38b도는 LED 스캔의 설정맵의 예를 나타낸 도이다.
키/LED는 전술한 바와같이 키보드/디스플레이 콘트롤러 336에 의해서 102KHZ의 클록에 준하여 얻어지는 4.98㎳의 스캔타임으로 처리된다. 제38a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1사이클의 "0"∼"7"의 8스캔으로 구성되고 각 스캔은 1-바이트 데이타로 구성되어 전술한 물리 테이블을 구성하고 있다. 제38b에 나타낸 바와같이 스캔맵에 의해서 LED가 ON, OFF된다.
[(B) 디스플레이]
제39도는 디스플레이 타이밍을 나타낸 도, 제40도는 V-RAM중의 각종 대응 어드레스의 예를 나타낸도, 제41도는 CRT상에 V-RAM의 어드레스 및 대응 표시위치를 나타낸도, 제42도는 캐랙터 제네레이터를 독출하는 회로를 나타낸 도, 제43도는 도트패턴과 대응데이타와 스캔 어드레스를 나타내는 도이다.
예를들면 CRT 디스플레이 301은 사이즈가 9인치다. CRT 디스플레이 301은 페이퍼 화이트의 표시색, 논글레이어 표면을 갖고 있다. 이 사이즈의 화면을 사용하여 160㎜(H)×110㎜(V)의 표시용역에 총 도트수 480×240, 도트피치 0.33㎜×0.46㎜, 타일(캐랙터)의 도트구성을 8×16으로 하면 타일수는 60×15로 된다. 그런데 한자나 가나를 16도트×16도트, 영수자나 기호를 8도트×16도트로 표시하면 한자나 가나에는 2개의 타일을 사용하여 30×15문자의 표시가 가능하게 된다. 또 이 디스플레이는 타일단위로 통상휘도, 그레이 1, 그레이 2 및 흑레벨의 4계조를 갖고 있다. 리버스나 블링킹등도 행해진다. 입력신호 타이밍은 제39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도트주파수(fd)를 10MHZ, 480×240으로 하면 64㎲를 수평동기 신호의 주기로 48㎲의 동안에 비디오데이타를 처리되고 16.90㎳의 수직 동기 신호의 주기로 15.36㎳ 동안에 비디오 데이타가 처리되게 사용된다.
제28도는 클록 발생회로 353은 병렬/직렬 변환 회로 355에 의해서 출력될 도트의 주파수의 클록을 발생한다. 카운터 354는 캐랙터 제네레이터 342로 부터의 병렬 도트 데이타를 독출하는 "도트데이타 독출주기"로 분주하고 있다. 따라서 카운터 345로 부터의 출력클록은 캐랙터 제네레이터로 부터 복수의 비트의 도트 데이타를 병렬/직력 변환회로로 입력하고 거기에서 도트데이타가 직력 데이타로 변환된 후에 속에 속성 부가회로 356으로 출력된다. 속성 부가 장치 356은 CRT 콘트롤러 335로 부터 블랭킹 신호를 수신하여 표시기간만 속성데이타에 응해서 비디오신호를 제어하는 것이다. 또 원쇼트 회로 348은 CRT콘트롤러 335로 부터 출력되는 브랭킹신호 중 수직동기의 블랭킹 신호에 준하여 U/I용 CPU 1046의 인터럽트 신호를 생성하는 것이다. V-RAM 340에 기입되는 비디오 데이타는 1타일에 대해서 16비트로 구성되고 그 중 12비트를 사용하여 캐랙터 제네레이터의 코드를 나타내고 나머지 4비트는 속성을 나타내는데 사용된다. 이 목적으로 V-RAM 340은 CRT 화면의 어드레스에 준하여 캐랙터 제네레이터의 코드의 하위 8비트는 RAM-L에 상위 4속성 비트는 RAM-H에 격납하고 있다.
V-RAM 340의 어드레스는 제40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CPU 1046과 CRT 콘트롤러 355에 의해서 독립적으로 관리된다. CPU 1046은 V-RAM 340으로의 비디오데이타의 기입을 행하고 CRT 콘트롤러 355는 디스 플레이 301상의 데이타의 표시를 관리한다. 예를들면 제41도는 CRT 콘트롤러가 V-RAM 340을 들여다 본 경우의 V-RAM 340의 어드레스를 나타낸다. 어드레스들 "0", "1",…은 캐랙터의 코드와 속성을 갖고 있다.
따라서 CRT 콘트롤러 355는 제42도에 나타낸 회로에 의해서 표시타이밍에 동기되어 대응하는 어드레스의 데이타 "DO→D4"(L측), "DO→D4"(H측)을 독출하는 동시에 라스터 어드레스 "RA"를 생성하여 캐랙터를 억세스함으로써 각 타일의 스캔라인의 데이타 "DO→D7" 병렬/직력 변환회로 355로 출력한다. 예를들면 한자의 도트패턴 "當"는 제43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나타내진다.
한자는 2타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캐랙터 제네레이터 341은 스캔 어드레스 "A0→A3"에 준하여 우선 좌측절반을 위한 타일 "D0→D7", 이어서 우측절반을 위한 타일 "D0→D7"을 제공한다. 이 타일출력에 응하여 4-비트의 속성도 독출된다. 제44도는 이 속성데이타에 준한 비디오신호를 위한 제어회로의 예를 나타낸 도이다. 비디오데이타중의 속성 데이타 및 리버스신호가 ON(H출력)일 경우에 비디오데이타가 반전되는 EXOR 회로에 의해 논리적으로 처리되어 EXOR 회로의 출력이 AND 회로로 공급된다. 블링크신호가 ON(H레벨)일 경우에 클록이 AND 회로로 공급되어 이 클록신호에 대응하여 ON, OFF시켜 AND 게이트의 신호레벨을 변경시키고 그레이 신호에 의해서 AND 게이트의 신호레벨이 변경된다. 선택모드에 관해서 전술한 바와같이 분할영역을 명료하게 표시하고 또는 특별한 주의를 요하는 캐스케이드의 위치등의 영역을 명료하게 표시하기 위하여 배경을 변화시키고 있다. 속성의 제어에 의해서 행해지는 그레이표시 및 리버스 표시는 상기 영역의 명료한 표시를 위하여 이용된다. 또 예를들면 제35a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도트를 사용한 표시태양의 제어는 타일의 도트패턴에 의해서 행해진다. 즉, 제35a도에서의 "원고세트", "매수세트", "스타트"의 표시영역의 배경과 그 외측의 배경과는 타일의 밀도를 변화시킴으로써 상이한 태양으로 표시된다.
CRT 콘트롤러 335의 스타트 어드레스는 다이나믹하게 변경시켜 제1의 V-RAM 또는 제2의 V-RAM 중에서 선택적으로 독출하여 상술한 바와같이 CRT 화면상에 비디오신호를 표시한다. 그러기 위해서 U/I CPU 1046은 블랭킹-개시신호 및 표시기간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포트 및 표시 허가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포트를 갖고 있다. U/I CPU 1046은 블랭킹 기간의 개시시의 하강단에서 블랭킹 개시신호에 의해서 인터럽되어 디스플레이 기간 신호에 의해서 CRT 표시상태를 인식한다. 또 CPU 1046은 표시를 가능 또는 금지하는 표시허가 신호도 제공한다.
상술한 실시예는 설명목적이고 본 발명이 이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들면 상기의 실시예를 소오터와 용지트레이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기타의 부가장치나 부가 기능에 대해서도 적용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 명백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부가장치들 및 부가기능들이 다른장치 또는 기능들로 대치되더라도 그 장비의 신호에 의해서 전원 ON시에 자동적으로 그 장비의 정보가 설정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부가장치가 바뀌었을 경우에 변경정보를 입력할 필요가 없다. 표시내용과 논리키로의 변환도 자동적으로 새로운 부가장비를 나타내게 되어 있으므로 오조작이나 불필요한 조작이 생기지 않는다. 또 화면데이타는 계층구조의 데이타 베이스에 의해서 관리되고 가변 표시데이타로서 관리되므로 표시데이타를 위한 기억 용량을 적게할 수 있다.

Claims (17)

  1. 각 화면상에 기능들이 표시되는 복수의 화면을 선택적으로 표시하는 표시수단 ; 상기 기능을 선택하고 선택된 기능을 실행하는 실행조건을 입력하는 키보드수단 ; 베이스머신에 부착된 부가장치를 나타내는 정보신호를 발생하는 정보발생수단 ; 상기 정보신호에 준하여 상기 부가장치에 대응하는 기능의 표시를 제어하는 표시제어수단 및 키코드의 입력을 제어하는 키제어 수단으로 구성되는 디스플레이를 사용한 유저인터페이스의 선택 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선택될 상기 기능들이 전원이 ON시에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를 사용한 유저인터페이스의 선택제어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선택될 상기 기능의 캐스케이드를 선택하기 위한 캐스케이드 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를 사용한 유저인터페이스의 선택 제어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캐스케이드가 상기 정보신호에 준하여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를 사용한 유저인터페이스의 선택 제어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에 대응하는 상기 캐스케이드를 설정하는 설정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설정수단이 전원이 ON시에 상기 정보신호에 준하여 갱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를 사용한 유저인터페이스의 선택 제어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의 설정이 상기 정보신호에 준하여 갱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를 사용한 유저인터페이스의 선택 제어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캐스케이드 키의 입력이 상기 각 화면에 표시되는 상기 캐스케이드에 준하여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를 사용한 유저인터페이스의 선택 제어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각 화면을 위한 캐스케이드키 변환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캐스케이드 키 변환수단이 전원 ON시에 상기 정보신호에 준하여 갱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를 사용한 유저인터페이스의 선택 제어장치.
  9. 각 기능을 행하는 부가장치의 존재에 준하여 상기 기능을 제어하는 단계 ; 상기 기능들을 지시하는 복수의 화면을 선택적으로 표시하는 단계 ; 및 지시기능들 중의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디스플레이를 사용한 유저인터페이스의 선택 기능 제어방식.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제어단계가 전원 ON시에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를 사용한 유저인터페이스의 선택 기능 제어방식.
  11. 제9항 또는 10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표시단계가 상기 기능들을 포함하는 캐스케이드를 1화면으로 표시하는 단계 ; 및 캐스케이드 키로 상기 캐스케이드의 기능을 선택하는 단계 ;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를 사용한 유저인터페이스의 선택 기능 제어방식.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캐스케이드 표시 단계가 상기 부가장치의 존재에 준하여 상기 캐스케이드를 선택적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를 사용한 유저인터페이스의 선택 기능 제어방식.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캐스케이드 표시단계가 전원 ON시에 설정테이블을 갱신하는 단계 ; 및 상기 설정 테이블에 준하여 상기 부가 장치의 하나에 대응한 상기 캐스케이드를 표시하는 단계 ;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를 사용한 유저인터페이스의 선택 기능 제어방식.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갱신단계가 상기 부가장치의 존재에 준하여 상기 설정테이블의 상기 기능을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를 사용한 유저인터페이스의 선택 기능 제어방식.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캐스케이드 키로 상기 캐스케이드의 기능을 선택하는 상기 단계가 표시화면에 의해서 표시되는 복수의 기능들에 준하여 선택된 기능을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를 사용한 유저인터페이스의 선택 기능 제어방식.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캐스케이드의 기능을 선택하는 상기 단계가 전원 ON시에 상기 부가장치의 존재에 준하여 각 화면을 위한 캐스케이드 키변환 테이블을 갱신하는 단계 ;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를 사용한 유저인터페이스의 선택 기능 제어방식.
  17.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기능의 실행조건들을 입력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를 사용한 유저인터페이스의 선택 기능 제어방식.
KR1019890005494A 1988-04-26 1989-04-26 유저인터페이스에 디스플레이를 사용한 선택제어장치 및 방식 KR9500151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3103711A JP2674081B2 (ja) 1988-04-26 1988-04-26 記録装置の表示装置
JP63-103711 1988-04-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6818A KR900016818A (ko) 1990-11-14
KR950015166B1 true KR950015166B1 (ko) 1995-12-23

Family

ID=143613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5494A KR950015166B1 (ko) 1988-04-26 1989-04-26 유저인터페이스에 디스플레이를 사용한 선택제어장치 및 방식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159546A (ko)
JP (1) JP2674081B2 (ko)
KR (1) KR950015166B1 (ko)
DE (1) DE3913775C2 (ko)
GB (1) GB222627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18160A (ja) * 1990-01-24 1991-09-25 Fuji Xerox Co Ltd マニュアルシート作成および利用装置
JP2866153B2 (ja) * 1990-05-22 1999-03-08 キヤノン株式会社 文字処理装置及び方法
US6601159B1 (en) 1991-12-31 2003-07-29 Xerox Corporation Dynamically-switched supplemental information support system for a copier system
US5488453A (en) * 1994-07-29 1996-01-30 Eastman Kodak Company Operator control interface mounting mechanism
JPH09131897A (ja) * 1995-07-29 1997-05-20 Seiko Epson Corp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におけるインクカートリッヂ並びにそのインク消費状況検出表示装置
US6327051B1 (en) * 1995-12-22 2001-12-04 Canon Kabushiki Kaisha Printing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US5832509A (en) * 1996-12-17 1998-11-03 Chrysler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adjusting data sizes in database operations
US6522344B1 (en) * 1997-03-19 2003-02-18 Fujitsu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data file creation and recording medium for the same
US6317544B1 (en) * 1997-09-25 2001-11-13 Raytheon Company Distributed mobile biometric identification system with a centralized server and mobile workstations
EP0917006A3 (en) * 1997-11-17 2001-05-02 Xerox Corporation Input/output model for multifunction user interfaces
JP3012842B1 (ja) * 1998-11-18 2000-02-28 松下電送システム株式会社 ファクシミリ装置
JP2001056625A (ja) * 1999-08-19 2001-02-27 Minolta Co Ltd 画像形成装置
KR100374046B1 (ko) * 1999-09-30 2003-03-03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화상처리장치, 화상처리방법 및 시각검사 시스템
EP1783597A3 (en) * 1999-11-02 2007-10-03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for, image data processing method, image form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controller, and storage medium
EP1109074B1 (en) * 1999-12-15 2006-08-16 Canon Kabushiki Kaisha Sheet handling apparatus which inserts insert sheets between recording sheets having image formed thereon, method of controlling same, image form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therefor
JP2001209471A (ja) * 2000-01-27 2001-08-03 Fuji Photo Film Co Ltd 遠隔操作端末機用の操作画面簡易作成システム
JP2001220053A (ja) * 2000-02-07 2001-08-14 Canon Inc 画像形成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記憶媒体
JP2002321420A (ja) * 2001-04-26 2002-11-05 Oki Data Corp 印刷装置
JP3937778B2 (ja) * 2001-09-14 2007-06-27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方法
US20030052926A1 (en) * 2001-09-14 2003-03-20 Dunlap Kendra L. System and method for disguising depth in tree menus
JP2004007241A (ja) 2002-05-31 2004-01-08 Fujitsu Ltd 画像読取装置
JP3865668B2 (ja) * 2002-08-29 2007-01-10 富士通株式会社 移動通信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US6765366B2 (en) * 2002-10-25 2004-07-20 Motorola, Inc. Dual mount charger with inverting display
US7307728B2 (en) 2003-04-01 2007-12-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color reappearance peculiarity profile,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reappearing color using plurality of color reappearance peculiarity profiles
US20060085864A1 (en) * 2004-10-18 2006-04-20 Paul Chang Electronic security machine start method for notebook computers
EP1708056B1 (de) * 2005-03-30 2008-07-30 Siemens Aktiengesellschaft Dynamisches Zuordnen von Meldungseigenschaften zu einer Alarmmeldung zur Meldungseskalation
US7263307B2 (en) * 2005-10-27 2007-08-28 Kyocera Mita Corporation Mode indication device for an image forming device
JP4158810B2 (ja) * 2006-04-26 2008-10-01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画像形成システム及び画像形成装置
CN101546248B (zh) 2009-05-05 2014-04-09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一种级联式选择菜单的呈现方法及装置
JP2017083485A (ja) * 2015-10-22 2017-05-18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86658A (en) * 1976-10-04 1978-04-2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Input/output and diagnostic arrangements for programmable machine controllers having multiprogramming capabilities
US4300829A (en) * 1979-10-30 1981-11-17 Xerox Corporation Cascade illumination and switch control console
US4332464A (en) * 1980-09-22 1982-06-01 Xerox Corporation Interactive user-machine interface method and apparatus for copier/duplicator
USRE32253E (en) * 1980-09-22 1986-09-30 Xerox Corporation Interactive user-machine interface method and apparatus for copier/duplicator
US4503407A (en) * 1982-07-09 1985-03-05 Tokyo Shibaura Denki Kabushiki Kaisha Display apparatus incorporated in an image-forming apparatus
GB2126054A (en) * 1982-08-11 1984-03-14 Philips Electronic Associated Display system with nested information display
US4475806A (en) * 1982-09-21 1984-10-09 Xerox Corporation Copier display panel
EP0192119B1 (en) * 1985-02-06 1990-07-25 Kabushiki Kaisha Toshiba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an operation panel control function
JPS61190350A (ja) * 1985-02-20 1986-08-25 Toshiba Corp 画像形成装置
JPS62255974A (ja) * 1986-04-28 1987-11-07 Ricoh Co Ltd 複写機の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8909422D0 (en) 1989-06-14
JPH01273090A (ja) 1989-10-31
US5159546A (en) 1992-10-27
GB2226277A (en) 1990-06-27
KR900016818A (ko) 1990-11-14
DE3913775C2 (de) 1996-08-14
GB2226277B (en) 1992-03-18
JP2674081B2 (ja) 1997-11-05
DE3913775A1 (de) 1989-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15166B1 (ko) 유저인터페이스에 디스플레이를 사용한 선택제어장치 및 방식
JP2762450B2 (ja) ユーザーインターフェース用表示装置及び該装置を用いた表示方法並びに記録装置
JP2002041202A (ja) ユーザーインターフェース用表示装置
JP2995730B2 (ja) ユーザーインターフェース用表示装置
JP3069075B2 (ja) 記録装置
JP2970621B2 (ja) 表示装置の制御装置
JP3042509B2 (ja) 表示装置
JP3116899B2 (ja) 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用表示装置
JP2005302013A (ja) 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読取システム
JP3028086B2 (ja) 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用表示装置
JP2887800B2 (ja) 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用表示装置及び記録装置
JP2888237B2 (ja) 表示装置及び該表示装置を備えた記録装置
JP2998151B2 (ja) 記録装置
JP3223886B2 (ja) 記録装置
JP2996463B2 (ja) 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用表示装置
JP2687134B2 (ja) 記録装置の表示装置
JP2972829B2 (ja) 記録装置
JP3149848B2 (ja) 表示装置及び該表示装置を備えた記録装置
JP3185764B2 (ja) 表示装置の制御装置、及び表示装置
JP3028085B2 (ja) 記録装置
JP3201361B2 (ja) 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用表示装置及び記録装置
JP3312727B2 (ja) 表示装置及び該表示装置を備えた記録装置
JP2002040880A (ja) ユーザーインターフェース用表示装置
JP2996463B6 (ja) 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用表示装置
JP2002189548A (ja) 表示装置、該表示装置を備えた記録装置および表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210

Year of fee payment: 15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