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12259B1 - 자동차용 슬라이딩-리프팅 루우프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슬라이딩-리프팅 루우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12259B1
KR950012259B1 KR1019900003425A KR900003425A KR950012259B1 KR 950012259 B1 KR950012259 B1 KR 950012259B1 KR 1019900003425 A KR1019900003425 A KR 1019900003425A KR 900003425 A KR900003425 A KR 900003425A KR 950012259 B1 KR950012259 B1 KR 9500122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control
link
sliding
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034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4169A (ko
Inventor
슈랏프 알베트
그림 라이넬
보엠 홀스트
Original Assignee
록크벨 골데 게엠베하
하인츠 브란케블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록크벨 골데 게엠베하, 하인츠 브란케블그 filed Critical 록크벨 골데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9000141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41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122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22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2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 B60J7/04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with rigid plate-like element or elements, e.g. open roofs with harmonica-type folding rigid panels
    • B60J7/05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with rigid plate-like element or elements, e.g. open roofs with harmonica-type folding rigid panels pivoting upwardly to vent mode and moving downward before sliding to fully open mo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2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 Seal Device For Vehicl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차용 슬라이딩-리프팅 루우프
제1도는 리드가 열린상태로 장착되어 있는 슬라이딩-리프팅 루우프를 구비한 자동차 루우프의 사시도이다.
제2도는 슬라이딩-리프팅 루우프 구조물의 좌측면(진행방향에 대해)의 부분 절단평면도이다(리드는 생략됨).
제3도는 제2도에서 선 Ⅲ-Ⅲ의 단면도이다.
제4도는 닫힌 리드를 구비한 제3도에서의 선 Ⅳ-Ⅳ에 따른 종단면도이다.
제5도는 환기상태로 올라온 리드를 구비한, 제4도에 해당하는 종단면도이다.
제6도는 오프닝 전위를 시작하기 전에 낮추어진 리드를 구비한, 제4도에 해당하는 종단면도이다.
제7도는 제2도에서 선 Ⅶ-Ⅶ에 해당하는 단면도이다.
제8도는 제2도에서 선 Ⅷ-Ⅷ에 해당하는 단면도이다.
제9도는 제2도에서 선 Ⅸ-Ⅸ에 따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자동차 루우프 11 : 루우프 오프닝
12 : 리드 14 : 루우프 프레임
15 : 가이드 레일 16 : 전방슬라이딩요소
17 : 후방슬라이딩요소 18 : 인입장치
19 : 가이드채널 20 : 케이블
21 : 회전베어링 22 : 수평 회전축
23 : 고정앵글 24 : 가이드링크
25 : 가이드 슬릿 25a,25b : 개방부
26 : 가이드핀 26a,26b : 가이드돌출부
27 : 리세스 28 : 2개의 아암레버
29 : 지지요소 30 : 가이드요소
31 : 물편향 플레이트 32 : 결합요소
33 : 제어링크 33a,33b : 제어링크부
34 : 2개의 아암 제어레버 34a,34b : 레버부
35 : 제어슬릿 35a,35b : 제어슬릿부
36 : 제어핀 36a,36b : 제어돌출부
37 : 수직하향 플랜지 38 : 고정프레임
39 : 가이드프레임 40 : 측방향 플랜지
41,42 : 측면 플랜지 44 : 모서리 갭 밀봉부
45 : 리드 보강체 46 : 회전베어링핀
47 : 환기갭 48,49,50 : 가이드 플레이트
51 : 가이드 트랙 52 : 슬라이딩 슈즈
53 : 모서리부 54 : 회전부
55 : 폐쇄 고정부 56 : 전이부
57 : 종단부 58 : 회전부
59 : 전이부 60 : 개방부
61 : 회전베어링 62 : 회전핀
63 : 상측 플랜지 64 : 보강벽
65 : 링크비임 66 : 수직배향 핀
67 : 나사형 스프링 68 : 수직 플랜지
69 : 결합 리세스 70,71,72,73 : 가이드면
본 발명은 자동차용 슬라이딩-리프팅 루우프에 관한 것이다.
알려진 자동차용 슬라이딩-리프팅 루우프에 있어서, 슬라이딩-리프팅 루우프는 단단한 리드를 포함하는데, 상기 리드는 루우프 오프닝에 관련된 전위를 위해, 루우프 프레임에 대해 측방향으로 고정된 가이드 레일에 전·후방슬라이딩요소에 의해 이동가능하게 유도되며, 후방슬라이딩요소에 대해 압출보강방식으로 작용하는 케이블에 의해 구동되어 가이드 레일에 유도되고, 전방슬라이딩요소와 결합된 회전베어링에 의해 슬라이딩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연장된 수평축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그 측방향 모서리를 따라서 가이드링크가 장착되어 있고, 후방슬라이딩요소와 결합된 가이드핀이 결합되어 있으며, 리세스가 루우프 오프닝의 후방 모서리부근에서, 리드의 양측면에 서로 마주보게끔 각각의 가이드 레일에 배치되어 있으며, 리세스에는, 리드가 슬라이딩 되어 있을 때를 제외하고는 가이드 레일에 이동가능하게 유도되어 리드의 후방모서리영역에 위치하는 가이드요소와 결합되어 있는 지지요소와 결합되어 있고, 또한 리드의 각 측면에는, 결합요소가 구비되어 있는데, 그것에 의해, 지지요소가 리세스 밖으로 나와 있을 때에는, 후방슬라이딩요소는 인접한 가이드요소와 결합될 수 있고, 지지요소가 리세스에 들어가 을 때에는, 후방슬라이딩요소는 가이드요소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공지된 슬라이딩 루우프(DE-PS 33 00 308)에 있어서, 각각의 가이드링크의 가이드 슬릿을 형성하고 가이드 레일에 대해 평행하게 이동하는 관련 가이드핀과 공동작용하는데 있어 리드 이동 및 위치를 제어하는 가이드 슬릿은 그 시작부분과 끝부분사이에 상당한 높이차가 있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높이 차는 회전부를 폐쇄 고정부(리프팅 기능)로부터 시작하여 앞쪽으로 비교적 가파르게 기울이거나, 폐쇄 고정부로부터 시작하여 종단부에까지 전이부를 뒤쪽으로 상승시키므로써 이루어진다. 이러한 높이차로 가이드링크가 상당한 높이를 지니게끔 하고, 그리하여 차량 안쪽의 헤드룸(head room)에 지장을 초래하는 바람직하지 못한 상당한 높이의 슬라이딩-리프팅 루우프 구조물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여건으로 인해, 리드이동을 유도하는 가이드핀은 리드의 모든 위치에서 항상 가이드 레일의 상부에 상당한 거리를 두고서 후방슬라이딩요소 위에 착설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체 높이가 상당히 감소된 슬라이딩-리프팅 루우프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단단한 리드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슬라이딩-리프팅 루우프가 제공되는데 상기 리드는 루우프 오프닝에 관련한 전위를 위해, 루우프 프레임에 대해 측방향으로 고정된 가이드 레일에 전·후방슬라이딩요소에 의해 이동가능하게 유도되며, 후방슬라이딩요소에 압축-보강 방식으로 작용하는 케이블에 의해 구동되어 가이드 레일에 유도되며, 전방슬라이딩 요소와 결합된 회전베어링에 의해 슬라이딩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연장된 수평축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그 측방향모서리를 따라 가이드링크가 장착되어 있고, 후방슬라이딩요소와 결합된 가이드핀에 결합되어 있으며, 리세스가 루우프 오프닝의 후방 모서리 부근에서 리드의 양측면상에 서로 마주보는 각각의 가이드 레일에 배치되어 있으며, 리세스에는 리드가 슬라이딩되어 있을 때를 제외하고는 가이드 레일에 이동가능하게 유도되어 리드의 후방모서리 영역에 위치하는 가이드요소와 결합되어 있는 지지요소가 결합되어 있고, 또한 리드의 각 측면에는 결합요소가 구비되어 있는데, 그에 의해서, 지지요소가 리세스 바깥으로 나와 있을 때에는 후방슬라이딩요소는 인접한 가이드요소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 리드의 각 측면에는, 전방슬라이딩요소를 가이드요소와 단단하게 결합시키는 제어링크가 존재하고 가이드핀이 2개의 아암 제어레버의 한 단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나머지 단부는 후방슬라이딩요소에 이어져 있고, 상기 두 단부 사이에 있는 제어레버상에 제어핀이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 제어핀은 제어링크에 결합하도록 되어 있다.
리드의 각 측면상에 제어링크를 배치시키고 가이드링크와 후방슬라이딩요소 사이에 결합을 제공하는 관련 제어레버를 배치시키므로써, 보다 작은 총 높이가 얻어지는데, 링크 가이드의 경사부는 마주보는 경사면을 지니는 2개의 슬릿, 즉 한편은 가이드링크의 가이드 슬릿으로 다른 한편으로는 제어링크의 제어슬릿으로 분리된다. 결과적으로, 가이드 슬릿과 제어슬릿의 두 슬릿부 사이의 전이 각도는 감소된 총 높이에 직접적인 영향을 갖도록 비교적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제어링크 및 가이드링크와 양 링크와 결합하는 제어레버는, 제어링크의 제어슬릿이 리드회전 이동과 관련된 양쪽으로 올라간 회전부를 지니는 반면, 가이드링크의 가이드 슬릿은 리드가 닫히고 가이드 슬릿이 제어슬릿을 지나 앞쪽으로 돌출하였을 때, 공지된 방식으로 앞쪽으로 기울어진 리드 회전이동에 관련된 회전부를 지니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제어레버는 후방슬라이딩요소상의 회전베어링으로부터 시작하여 가이드핀에 이르기까지 앞쪽이 올라가게끔 배치되어 있다.
제어링크는 전방슬라이딩요소를 지닌 앞쪽으로 연장될 수 있고, 가이드링크의 앞쪽단부와 함께 리드 회전베어링을 구성하는 회전베어링핀에 의해 그 앞쪽 단부에서 결합될 수 있다.
슬라이딩-리프팅 루우프 구조물의 총 높이의 감소는 리드의 각 측면상에, 즉 한쪽에는 가이드링크와 제어링크, 그리고 나머지 한쪽에는 가이드 레일이 서로 나란히 배치되어 가이드링크와 공동 작용하는 가이드핀이 리드의 모든 위치에서 가이드 레일 상부에 위치할 필요가 없도록 되어 있는 구조물에 의해 얻어진다.
루우프 프레임은 가이드 레일과 가이드링크 및 제어링크 밑을 통과할 수 있고, 전·후방슬라이딩요소와 가이드요소는 가이드 레일과의 결합부로부터 루우프 오프닝 안쪽에 위치한 루우프 프레임의 모서리로 연장될 수 있는데, 상기 모서리 위에서 상기 요소들은 이동가능하게 유도된다. 이러한 것은 상기 링크들의 배열과 가이드 레일의 배열이 서로 나란함에도 불구하고 슬라이딩요소와 가이드요소의 자유 경사 유도를 돕는다.
제어레버는 후방슬라이딩요소에 대한 그들의 연결을 위해 제공되는 베어링핀에 의해 그들의 하단부에서 서로 결합되는 두개의 레버부로 된 포오크-형 일 수 있고, 그들의 중앙부에 서로 일렬로 배열되어 반대방향으로 바깥쪽을 향해 돌출한 제어돌출부를 수반하는데, 상기 제어돌출부는 함께 제어 핀을 형성하고, 그들의 상단부에서 서로를 향해 일렬로 배열된 가이드 돌출부를 지니는데, 상기 가이드 돌출부는 함께 가이드핀을 형성한다.
이러한 것은 모든 위치 및 작동조건에서 리드에 대해 안정된 지지물을 생성시키는 제어레버의 안정한 구조물을 제공한다.
포오크-유형의 제어레버에 의해, 가이드링크와 제어링크는, 긴 슬릿의 배치에도 불구하고, 이들 슬릿이 링크 몸체 전체에 계속하여 형성될 필요가 없도록 구성되어 있어, 그 결과 가이드링크와 제어링크는 슬릿을 넓히지 않고서 슬릿의 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상당한 힘을 수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러한 것은 가이드링크가 제어레버이 레버부 사이에 배치되고, 보강벽에 의해 서로 분리되고 가이드 돌출부가 결합되어 있는 가이드 슬릿의 2개의 거울상인 측방향 개방부를 지니도록 되어 있고, 제어링크가 그 사이에 제어레버가 위치하고 제어돌출부가 결합되어 있는 제어슬릿의 2개의 거울상 제어슬릿부를 포함하는 반대 방향으로 간격져서 배치된 2개의 제어링크부로 분리되도록 되어 있으므로써 성취된다.
제어링크의 두 부분은 전방슬라이딩요소와 가이드요소에 교대로 고정되는 링크비임에 고정될 수 있고, 회전베어링핀이 그 앞쪽 단부를 관통하게 되어 있다. 제어링크에 대한 링크비임의 제공은 전방슬라이딩요소와 가이드요소 사이의 매우 안정되고 내굽힘성이 있는 결합을 가능하게 하는데, 여기에서 안정도면에서, 제어슬릿을 포함하는 제어링크용 재료의 선택을 특별히 고려할 필요가 없도록 되어 있다.
지지요소와 결합요소를 수반하는 2개의 아암레버가 일반적으로 수평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으므로, 리드의 각 측면에 구비된 레버와 상기 레버와 공동작용하는 요소는 수직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레버(DE-PS 33 00 308)와는 대조적으로, 단지 작은 총 높이를 필요로 하게 되어 있다.
후방슬라이딩요소와 가이드요소사이에서 작용하는 결합요소의 배치는 훅크-유형의 결합요소, 후방슬라이딩요소에서 상응하는 유형의 결합 리세스, 결합요소에 구비되어 있는 공동작용 가이드면, 2개의 아암레버의 이탈 회전을 위한 결합요소 및 후방슬라이딩요소의 폐쇄 슬라이딩시 가이드요소의 강제-이송 진입을 위해 구비되어 있는 공동 작용 결합면과 관련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보다 상세히 기술될 것이다.
제1도에서 도시된 자동차 루우프는 앞부분에서 그와 관련된 리드(12)에 의해 폐쇄될 수 있는 루우프 오프닝(11)을 구비한다. 차량의 진행 방향은 화살표 "13"로서 표시되어 있다. 위치명 "전·후방, 좌·우측"은 화살표 "13"에 따른 이송방향에 관련한 것이다. 슬라이딩-리프팅 루우프 구조물은 그 좌우측에 대해 거울상(대칭)으로 구성될 수 있으므로, 제2도 내지 9도에서 도시된 좌측이 이후 기술될 것이다(우측이 동일하므로).
제2도의 평면도 및 종·횡단면도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슬라이딩 리프팅 루프는 기본적으로 다음의 조립체와 요소로 구성된다. 즉, 루우프 프레임(14), 14에 고정시킨 가이드 레일(15), 가이드 레일상에서 이동하도록 안내되는 전방슬라이딩요소(17), 나선형 나사를 보유하고 가이드 레일(15)의 2개의 가이드채널(19) 중의 하나에서 압축보강 방식으로 안내되고 인입장치(18)에 의해 후방슬라이딩요소(17)에 부착된 케이블(20), 케이블(20)에 맞물리며 루우프 프레임(14)의 앞부분에서 수동식크랭크 또는 전기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피니언(도시되지 않음), 리드(12)의 슬라이딩방향과 교차하며 수평인 피빗 회전축선(22)이 있는 전방슬라이딩요소(16)와 결합된 피빗 베어링(21), 앞·뒤의 고정앵글(23)에 의해 리드(12)의 좌우 가로 방향 단부에 고정된 가이드링크(24), 가이드링크(24)의 가이드 슬릿(25)에 끼워지는 가이드핀(26), 2아암레버(28)상에 형성된 멈춤쇠(29)에 대한 루우프 오닝의 뒷부분 부근에서 가이드 레일(15)에 형성된 리세스(27), 리드(12)의 뒷부분 단부면에서 라이드 레일상을 이동하도록 안내되고 2아암레버(28)를 수용하는 가이드요소(30), 가이드요소(30)에 고정되어 리드(12)가 닫힐 경우 뒷부분 단부의 갭 바로 아래에서 맞물리는 편류판(偏流板)(31), 2아암레버(28)상의 멈춤쇠(29)에 부가하여 형성되며, 상기한 방식으로 인접해 있는 뒷쪽 슬라이딩요소(17)와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는 커플링 기소(17), 콘트롤링크(33), 2아암의 콘트롤레버(34), 콘트롤레버상에 설치되어 콘트롤링크(33)의 콘트롤슬릿(35)에 맞물리는 콘트롤핀(36) 등이다. 상기한 슬라이딩 리프팅 루우프의 조립체 및 요소는 하기에 보다 상세히 기술할 것이다.
루우프 오프닝(11)을 형성하기 위해, 자동차 루우프(10)의 금속박판은 4측면에서 모두 직각으로 하향하여 휘게되어 있고, 전방 및 좌·우측에서는 자동차 루우프(10)에 고정된 고정프레임(38)의 수직하향 플랜자(37) 주위를 비이딩 가장자리(beading edge)로서 감싸이게 되어 있다.
고정프레임(38)과 가이드프레임(39)은 함께 루우프 프레임(4)을 형성한다. 자동차 루우프(10) 바로 아래 위치한 가이드 레일(15)은 고정 프레임(38)과 가이드프레임(39)의 해당하는 측면 플랜지(41)와 (42) 사이에 측방향 플랜지(40)가 삽입되어 볼트부(43)에서 죄어진다.
리드(12)는 금속박판리드이지만, 유리리드로서 제작될 수도 있다.
4측면에 하향 배향된 플랜지에는, 모서리 갭 밀봉부(44)가 들어가 있는데, 리드가 닫히었을 때(제3도와 4도, 제7 내지 9도) 자동차 루우프 시트의 수직 하향 플랜지를 밀봉가능하게 지지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모서리 갭을 통과할 수 있는 물은 채널 유형의 가이드프레임(39)에 의해 모아져서 상기 가이드프레임(39)에 연결된 물 편향기(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배출된다. 리드(12)는 그의 하부측면상에, 가이드링크(24)에 대한 고정 앵글(23)이 고정되어 있는 리드 보강체(45)를 구비한다.
제2 및 4내지 6동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링크(33)는 전방슬라이딩요소(16)를 지나 앞쪽으로 연장되어있고, 그 전방 단부에서 리드 회전베어링(21)을 구성하는 회전베어링핀(46)에 의해 가이드링크(24)의 전방단부에 결합된다. 제5도로부터 리드(12)의 최대 회전상태가 보여지는데, 리드는 리드(12)의 후방모서리와 루우프 오프닝(11)의 후방모서리 사이에 환기 갭(47)을 형성하기 위해 회전베어링핀(46)에 대해 위쪽으로 회전되었다. 예를 들어, 제3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링크(24)와 제어링크(33)는 가이드 레일(15)과 나란하게 리드(12) 아래에 위치한다.
또한 제3도와 7 내지 9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슬라이딩요소(16), 후방슬라이딩요소(17) 및 가이드요소(30)는 모두 동일한 방식으로 그들의 각각에 결합된 개개의 가이드 플레이트(48)(49) 및 (50)에 의해 저-마찰 물질의 슬라이딩 슈즈(52)의 매개체와 공동으로 면하는 가이드 레일(15)의 가이드 트랙(51)에서, 이동가능하게 유도된다. 가이드 레일(15)과 결합에 부가하여, 전방슬라이딩요소(16), 후방슬라이딩요소(17) 및 가이드요소(30)는 루우프 오프닝(11) 안쪽에 위치한 가이드프레임(39)의 모서리(53)쪽으로 기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회전부(groove)(54)에 의해 이동가능하도록 유도된다.
가이드링크(24)와 제어링크(33)의 구조물의 형성은 제4 내지 6도를 참조로 하여 보다 상세히 기술될 것이다. 제5도로부터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가이드링크(24)의 가이드 슬릿(25)은 기본적으로 회전부(54), 폐쇄고정부(55), 전이부(56) 및 종단부(57)로 구성된다. 리드(12)가 닫혀진 경우(제4도), 리드 회전이동과 관련된 회전부(54)는 뒤에서 앞쪽으로 기울어져 있다. 리드의 후방 모서리의 하강 이동과 관련되는 전이부(56)는 앞에서 뒤쪽으로 올라가 있다. 하강이동의 종결시 그리고 리드(12)의 폐쇄 및 개방전위시, 가이드핀(26)은 종단부(57)에 위치한다.
제어링크(33)의 제어슬릿(35)은 뒤에서 앞쪽으로 올라가 있으며 리드 회전 이동과 관련된 회전부(58), 및 리드 폐쇄 고정부로부터 시작하는 리드 하강 이동과 관련된 전이부(59)를 포함하는데, 상기 전이부(59)는 제5도로부터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앞에서 뒤로 기울어져 있다.
전이부(59)에 연결되어 있는 개방부(60)는 슬라이딩-리프팅 루우프를 조립하기 위해 제공된다. 도면으로부터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가이드 슬릿(35)은, 후방슬라이딩요소(15)상의 회전베어링(61)으로부터 시작하여 가이드핀(26)까지의 리드의 모든 위치에서 앞쪽이 올라오도록 배치되어 있는 제어레버(34)의 배치에 일치하는 제어슬릿(35)을 지나 앞쪽으로 연장되어 있다. 도시된 실시유형에 있어서, 가이드링크(24), 제어링크(33) 및 제어레버(34)는 제3도와 5도를 참조로 하여 기술될 것인 바와 같이, 2중으로 형성된 방식으로 되어 있다. 제어레버(34)는 회전 핀(62)에 의해 그들의 하단부에서 결합되어 있는 포오크 유형의 2개의 레버부(34a)(34b)로 형성된다.
회전 핀(62)은 두 부분으로 구성된 후방슬라이딩요소(17)의 상측플랜지(63)를 통과하게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회전베어링이 형성된다. 대략적으로 레버부(34a)와 (34b)의 중앙부에서, 제어핀(36)을 구성하는 제어돌출부(36a)(36b)가 서로 일렬로 배열되어 반대방향으로 바깥쪽을 향하고 고정되어 있다. 그들의 상단부에서는, 레버부(34a)(34b)가 가이드핀(26)을 형성하는 가이드 돌출부(26a)(26b)를 포함하는데, 이들 돌출부는 서로를 향하여 일렬로 배열되어 있다.
가이드링크(24)는 제어레버의 두개의 레버부(34a)(34b) 사이에 배치되고 보강벽(64)에 의해 서로 분리되어 있는 가이드 슬릿(25)의 거울상인 2개의 개방부(25a)(25b)를 포함한다. 가이드 돌출부(26a)(26b)는 각각 가이드 슬릿(25)의 인접 개방부(25a)(25b)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제어링크(33)는 그 상에 제어레버(34)가 배치될만한 거리만큼 서로 간격져서 마주보게 되어 있는 2부분(33a)(33b)으로 배분되어 있다. 제어링크(33)의 2개의 제어링크부(33a)(33b)를 포함하는데, 상기 제어슬릿부에는 각각 제어돌출부(36a)(36b)가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제어링크(33)의 2개의 제어링크부(33a)(33b)는 이들 두 제어링크부에 적합한 링크 비임(65)에 고정되어, 제어링크(33)에 대해 횡방향으로 배향된 힘의 작용에 2개의 제어슬릿부(35a)(35b)가 횡방향으로 폭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링크비임(65)은 전방슬라이딩요소(16)와 가이드 슬릿(30)에 고정되어 그 사이에 단단한 결합을 형성한다. 회전베어링핀(46)은 링크 비임(65)의 전방 테이퍼 단부(제2도)를 통과한다.
후방슬라이딩요소(17)와 인접한 가이드요소(30)사이에서 작용하는 결합장치는 제2,8 및 9도를 참조로 하여 상세히 기술된다.
한 단부에는 훅크 유형 결합요소(32)와 나머지 단부에는 롤러로서 형성된 지지요소(29)를 수반하는 2개의 아암레버(28)가 수직으로 배향된 핀(66)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지지요소(29)를 가이드 레일(15)의 리세스(27)에 결합시키기 위해 나사형 스프링(67)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압축된다. 리세스(27)는 가이드 레일(15)의 수직플랜지(68)에 위치하며, 리드가 앞쪽으로 결합된 상태가 아닐 경우, 제2,8 및 9도에서 기술된 리드(12)의 전위시 상기 플랜지를 따라서 롤러 유형의 지지요소(29)가 회전하게 된다.
훅크-유형 결합요소(32)에 대해, 일치하는 유형의 결합 리세스(69)가 후방슬라이딩요소(17)에 구비한다.
결합요소(32)와 결합 리세스(69)에는, 공동-작업 가이드면(70)(71)이 각각 구비되어, 2개의 아암레버(28)의 이탈회전시 서로에 대해 이동하게 된다. 또한, 상호 공동 작동하는 결합면(72)(73)이 각각 결합요소(32)와 결합 리세스(69)에 구비되는데, 상기 면들은 후방슬라이딩요소(17)의 폐쇄 전위시 가이드요소(30)의 강제-이송 진입을 위해 제공된다.
슬라이딩-리프팅 루우프의 작동방법은 제2도에서 도시된 작동요소의 폐쇄고정 상태로부터 시작하여 간단하게 기술된다. 리드가 제4도에 따라 상축 외향 회전상태로 올라오게 되면, 케이블(20)은 강제-이송하게끔 결합된 구동장치(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앞쪽으로 전위되고, 그와 동시에 후방슬라이딩요소(17)에 진입하게 된다. 지지요소(29)가 리세스(27)에 결합하기 때문에, 가이드요소(30), 제어링크(33) 및 전방슬라이딩요소(16)는 정지된 상태로 머무르게 된다. 리드(12)의 상측 회전이동은, 가이드핀(26)이 폐쇄 고정상태(55)로부터 벗어나 가이드 슬릿(25)의 회전부(54)로 진입한 후, 즉시 시작된다. 회전이동에 있어서, 가이드핀(26)은 가이드 슬릿(25)의 회전부(54)에서 앞쪽으로 이동하는 반면, 그와 동시에 제어핀(36)은 제어슬릿(35)의 회전부(58)에서 앞쪽으로 이동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리드(12)는 상측으로 부드럽게 회전된다. 위로 올라온 리드(12)의 본래 상태로의 회전시, 제5도로부터 시작하는 이동순서는, 제2 및 4도에서 도시된 작동부분의 상태에 도달할 때 까지 계속된다.
만일 폐쇄된 리드가 제2 및 4도에 따르는 작동부분의 상태로부터 시작하여 개방되어, 케이블(20)이 뒤를 향해 구동된다면, 가이드핀(26)은 가이드 슬릿(25)의 전이부(56)에서 뒤쪽으로 이동되는 반면, 그와 동시에 제어핀(36)은 제어슬릿(35)의 전이부(59)에서 뒤쪽으로 이동된다. 이러한 이동시, 제어레버(34)는 그의 회전베어링(61)에 대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하강이동은, 가이드핀(26)이 가이드 슬릿(25)의 종단부(57)에 도달할 때 완결된다. 제어핀(36)은 제어슬릿(35)의 전이부(59)의 종단부에 있게 된다. 하강된 리드상태(제6도)에 도달하였을 때, 결합요소(32)의 가이드면(70)은 결합 리세스(69)의 가이드면(71)과 만나게 된다. 결과적으로, 2개의 아암레버는 지지요소(29)가 리세스(27)로부터 벗어나게 될 때까지 나사형 스프링(67)의 힘에 대항하여 반시계방향으로 단계적으로 회전하게 된다. 결합요소(32)는 최종적으로 결합 리세스(69)에 머무르게 된다. 만일 케이블(20)의 우측을 향한 이동이 계속되어 후방슬라이딩요소(17)로 진입하게 되면, 가이드요소(30)는 개방 전위의 방향으로 진입하게 된다.
가이드요소(30)와 결합되어 있는 리드(12)를 포함하는 슬라이딩-리프팅 로우프 구조물의 모든 부분은 개방 전위 이동에 관계된다. 롤러-유형 지지요소(29)는 플랜지(68)를 따라서 회전한다. 만일 리그(12)가 그의 이동-개방 상태에서 그의 폐쇄상태로 앞쪽으로 이동하게 되면, 이동순서는 반대로 이루어진다. 플랜지(68)에 대한 지지요소(29)의 베어링 결과, 2개의 아암레버(28)가 회전할 수 없기 때문에, 결합요소(32)는 결합 리세스(69)에 머무르게 되므로, 가이드요소(30)와 그에 결합된 모든 부분은, 지지요소(29)가 리세스(27)에 재차 진입할 수 있을때까지 결합면(72)(73)의 결합에 의해 앞쪽으로 진입하게 되어, 결합요소(32)와 결합 리세스(69)사이에 결합이 이완되게 된다. 리드(12)는 앞쪽으로 돌아오게 되지만, 제6도에서 도시된 그의 하강된 상태로부터 올라올 것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상승작동은 케이블(20)을 앞쪽으로 이동시키므로써 직접 이루어지게 되며, 가이드핀(26)은 전이부(56)로부터 벗어나 가이드 슬릿(25)의 폐쇄 고정부(55)로 진입하는 반면, 제어핀(36)은 제어슬릿(35)의 전이부(59)로부터 벗어나거나 또는 전이부(59)의 앞쪽 단부에 도달하게 된다.

Claims (10)

  1. 단단한 리드(12)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슬라이딩-리프팅 루우프로서, 상기 리드(12)는 그에 관련된 루우프 오프닝(11)에 대한 전위를 위해 루우프 프레임(14)에 대해 측방향으로 고정된 가이드 레일(15)에 전·후방슬라이딩요소(16)(17)에 의해 이동가능하게 유도되며, 후방슬라이딩요소(17)상에 압축-보강 방식으로 작용하는 케이블(20)에 의해 구동되어 가이드 레일(15)상에 이동가능하게 유도되며, 전방슬라이딩요소(16)와 결합된 회전베어링(21)에 의해 슬라이딩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연장된 수평회전축(22)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그의 측방향 모서리를 따라서 가이드링크(24)가 장착되어 있으며, 후방슬라이딩요소(17)와 결합된 가이드핀(26)이 결합되어 있고, 리세스(27)가 루우프 오프닝(11)의 후방 모서리부근에서 리드(12)의 양측면상에 서로 마주보게 되어 있는 각각의 가이드 레일(15)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리세스(27)에는, 리드(12)가 이동될 때를 제외하고는 가이드 레일(15)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리세스(27)에는, 리드(12)가 이동될 때를 제외하고는 가이드 레일(15)에 이동가능하게 유도되어 리드(12)의 후방모서리영역에 위치하는 가이드요소(30)와 결합되는 지지요소(29)와 결합하고 있으며, 또한 리드(12)의 각 측면에는 결합요소(32)가 구비되어 있되, 그에 의해 지지요소(29)가 리세스(27)밖으로 나올 때에는 후방슬라이딩요소(17)는 인접한 가이드요소(30)와 결합될 수 있고 지지요소(29)가 리세스(27)에 들어가 있을 때에는 후방슬라이딩요소(17)는 가이드요소(30)로부터 분리될 수 있으며; 리드(12)의 각 측면에는, 전방슬라이딩요소(16)를 가이드요소(30)와 단단하게 결합시키는 제어링크(33)가 존재하고 가이드핀(26)이 2개의 아암제어레버(34)의 한 단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나머지 단부는 후방슬라이딩요소(17)에 연결되어 있고, 제어 핀(36)이 그의 두 단부사이에 있는 제어레버(34)에 설치되어 있되, 그 제어 핀(36)은 제어링크(33)에 결합되게 구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슬라이딩-리프팅 루우프.
  2. 제1항에 있어서, 제어링크(33)의 제어슬릿(35)은 리드 회전이동에 관련된 앞쪽이 올라간 회전부(58)를 포함하는 반면, 가이드링크(24)의 가이드 슬릿(25)은 리드(12)가 닫혔을 때 공지된 방식으로 앞쪽으로 기울어진 리드 회전이동에 관련된 회전부(54)를 포함하되, 가이드 슬릿(25)은 제어슬릿(35)을 지나 앞쪽으로 돌출하며, 제어레버(35)는 후방슬라이딩요소(17)상의 회전베어링으로부터 시작하여 가이드핀(26)에 이르기까지 앞쪽이 올라가게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슬라이딩-리프팅 루우프.
  3. 제1항에 있어서, 제어링크(33)는 전방슬라이딩요소(16)를 지나 앞쪽으로 연장되어 있고 가이드링크(24)의 앞쪽 단부와 함께 리드 회전베어링(21)을 구성하는 회전베어링핀(46)에 의해 앞쪽 단부에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슬라이딩-리프팅 루우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12)의 한쪽에는 가이드링크(24)와 제어링크(33) 그리고 다른 한쪽에는 가이드 레일(15)이 서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으며, 가이드링크(24)와 제어링크(33)는 리드(12) 바로 아래에 배치되어 있는 반면, 가이드 레일(15)은 자동차의 고정된 루우프면 아래에 있는 루우프 오프닝(11) 외측에 배치되게 구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슬라이딩-리프팅 루우프.
  5. 제1항에 있어서, 루우프 프레임(14)은 가이드 레일(15)과 가이드링크(24) 및 제어링크(33) 아래를 통과하고, 저·후방슬라이딩요소(16)(17)와 가이드요소(30)는 가이드 레일(15)의 결합부로부터 루우프 오프닝(11) 안쪽에 위치하는 루우프 프레임(14)의 모서리로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모서리에는 상기 요소들이 이동가능하게 유도될 수 있도록 구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슬라이딩-리프팅 루우프.
  6. 제1항에 있어서, 제어레버(34)는 후방슬라이딩요소(17)에 대한 연결을 위해 제공되는 회전 핀(62)에 의해 그의 하단부에서 서로 결합되어 있는 2개의 레버부(34a)(34b)를 형성하기 위해 포오크-유형으로 되어 있고, 그 중앙부에서는 서로 일렬로 배치되어 반대방향으로 바깥쪽을 향해 돌출되어 있는 제어돌출부(36a)(36b)를 수반하되, 상기 제어돌출부(36a)(36b)는 함께 제어 핀(36)을 형성하고, 그의 상측 단부에서는 가이드핀(26)을 형성하는, 서로를 향해 일렬로 배열된 가이드 돌출부(26a)(26b)를 형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슬라이딩-리프팅 루우프.
  7. 제6항에 있어서, 가이드링크(24)는 제어레버(34)의 2개의 레버부(34a)(34b) 사이에 배치되고, 보강벽(64)에 의해 서로 분리되고 가이드 돌출부(26a)(26b)가 결합되어 있는, 가이드 슬릿(25)의 거울상의 2개의 개방부(25a)(25b)를 포함하고, 제어링크(33)는 그 사이에 제어레버(34)가 위치하고 제어돌출부(36a)(36b)가 결합되어 있는 제어슬릿(35)의 거울상인 2개의 제어슬릿부(35a)(35b)를 포함하는, 2개의 마주보게 간격져서 배치된 2개의 제어링크부(33a)(33b)로 분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슬라이딩-리프팅 루우프.
  8. 제6항에 있어서, 제어링크(33)의 제어링크부(33a)(33b)는 전방슬라이딩요소(16)와 가이드요소(30)에 교대로 고정되는 링크 비임(65)에 고정되고, 그의 앞쪽단부를 회전베어링핀(46)이 관통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슬라이딩-리프팅 루우프.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요소(29)와 결합요소(32)는, 가이드요소(3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2개의 아암레버(28)가 대략적으로 수평면에서 회전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지지요소(29)와 관련된 리세스(27)는 가이드 레일(15)의 수직 플랜지(68)에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슬라이딩-리프팅 루우프.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요소는 훅크형의 결합요소이며, 후방슬라이딩요소(17)에서의 상응하는 유형의 결합 리세스(69), 결합요소(32)에 구비되어 있는 서로 공동작동하는 가이드면(70)(71), 2개의 아암레버(28)의 이탈 회전을 위한 결합 리세스(69) 및 후방슬라이딩요소(17)의 폐쇄 슬라이딩시 가이드요소(30)의 강제-이송 진입을 위해 구비된 상호 공동작동 결합면(72)(73)과 관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슬라이딩-리프팅 루우프.
KR1019900003425A 1989-03-16 1990-03-14 자동차용 슬라이딩-리프팅 루우프 KR9500122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P3908645.3 1989-03-16
DE3908645A DE3908645C1 (ko) 1989-03-16 1989-03-16
DEP3908645.3 1989-03-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4169A KR900014169A (ko) 1990-10-25
KR950012259B1 true KR950012259B1 (ko) 1995-10-16

Family

ID=63765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03425A KR950012259B1 (ko) 1989-03-16 1990-03-14 자동차용 슬라이딩-리프팅 루우프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5020849A (ko)
JP (1) JP2680911B2 (ko)
KR (1) KR950012259B1 (ko)
BR (1) BR9001237A (ko)
CA (1) CA2010996C (ko)
DE (1) DE3908645C1 (ko)
ES (1) ES2020647A6 (ko)
FR (1) FR2644407B1 (ko)
GB (1) GB2231006B (ko)
IT (1) IT1240666B (ko)
MX (1) MX173099B (ko)
NL (1) NL193611C (ko)
SE (1) SE46932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818476C1 (ko) * 1988-05-31 1989-09-21 Rockwell Golde Gmbh, 6000 Frankfurt, De
DE4137578A1 (de) * 1990-11-29 1992-06-04 Farmont Produktion Betaetigungsvorrichtung fuer ein fahrzeugsonnendach
DE4200724C1 (ko) * 1992-01-14 1992-12-24 Rockwell Golde Gmbh, 6000 Frankfurt, De
DE4200726C1 (ko) * 1992-01-14 1993-01-07 Rockwell Golde Gmbh, 6000 Frankfurt, De
DE4200725C2 (de) * 1992-01-14 1994-05-11 Rockwell Golde Gmbh Schiebehebedach für Kraftfahrzeuge
JPH0740746A (ja) * 1993-07-29 1995-02-10 Aisin Seiki Co Ltd 車両用サンルーフ装置のチエツク機構
JPH09183312A (ja) * 1995-12-28 1997-07-15 Aisin Seiki Co Ltd スライディングルーフ装置
JP3664796B2 (ja) * 1996-02-23 2005-06-29 株式会社ハゴロモ Cd展示装置
DE69915122T2 (de) * 1998-07-30 2004-09-02 Inalfa Roof Systems Group B.V. Konstruktion eines öffnungsfähigen fahrzeugdaches
NL1009773C2 (nl) * 1998-07-30 2000-02-01 Inalfa Ind Bv Open-dakconstructie voor een voertuig.
NL1011859C2 (nl) * 1999-04-22 2000-10-24 Inalfa Ind Bv Open-dakconstructie voor een voertuig.
NL1011864C2 (nl) 1999-04-22 2000-10-24 Inalfa Ind Bv Open-dakconstructie voor een voertuig.
US6199944B1 (en) * 1999-06-04 2001-03-13 Asc Incorporated Spoiler sunroof
NL1012646C2 (nl) * 1999-07-20 2001-01-23 Inalfa Ind Bv Open-dakconstructie voor een voertuig.
NL1012645C2 (nl) 1999-07-20 2001-01-23 Inalfa Ind Bv Open-dakconstructie voor een voertuig.
NL1012647C2 (nl) 1999-07-20 2001-01-23 Inalfa Ind Bv Open-dakconstructie voor een voertuig.
NL1013053C2 (nl) * 1999-09-15 2001-03-16 Inalfa Ind Bv Open-dakconstructie voor een voertuig.
NL1013050C2 (nl) 1999-09-15 2001-03-16 Inalfa Ind Bv Open-dakconstructie voor een voertuig.
WO2004089672A1 (es) * 2003-04-10 2004-10-21 Grupo Antolin-Ingeneria, S.A. Mecanismo para techos abrientes, en especial para vehiculos automoviles
US7425033B2 (en) * 2003-09-03 2008-09-16 Intier Automotive Closures Inc. Vehicle sunroof assembly
EP1902885B1 (de) * 2006-09-25 2010-07-14 ArvinMeritor GmbH Schiebedachsystem
EP2305500B1 (en) * 2009-10-05 2013-09-25 Inalfa Roof Systems Group B.V. Open roof construction for a vehicle
US9193246B2 (en) * 2013-03-11 2015-11-24 S.A.W. Group, Llc Universal replacement ventilator lid assembly
DE102014221120A1 (de) * 2014-10-17 2016-04-21 Bos Gmbh & Co. Kg Antriebssystem für ein bewegliches Dachteil eines Kraftfahrzeug-Dachmoduls
GB2560733A (en) * 2017-03-22 2018-09-26 Lewmar Ltd Sliding roof panel assembly and method for its operation
US11440385B2 (en) 2017-08-03 2022-09-13 Inalfa Roof Systems Group B.V. Open roof construction for a vehicle
EP3647094B1 (en) 2018-11-05 2022-10-26 Inalfa Roof Systems Group B.V. Roof system for a vehicle
EP3792091B1 (en) 2019-09-10 2022-06-15 Inalfa Roof Systems Group B.V. Roof assembly for a vehicle and a method of assembling
CN112744061B (zh) * 2021-02-22 2023-02-17 一汽解放汽车有限公司 一种汽车天窗结构及汽车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532187B2 (de) * 1975-07-18 1977-07-14 Rockwell Golde Gmbh, 6000 Frankfurt Schiebedach fuer kraftfahrzeuge
DE3020675C2 (de) * 1980-05-30 1987-01-02 Rockwell Golde Gmbh, 6000 Frankfurt Schiebe-Hebe-Dach für Kraftfahrzeuge
US4403805A (en) * 1982-01-06 1983-09-13 General Motors Corporation Sliding sunroof with power operated ventilator
DE3201806A1 (de) * 1982-01-21 1983-09-08 Karosseriewerke Weinsberg Gmbh, 7102 Weinsberg Fahrzeugdach mit einem einen dachausschnitt verschliessenden, mindestens ausstellbaren deckel
DE3300308A1 (de) * 1983-01-07 1984-07-12 Rockwell Golde Gmbh, 6000 Frankfurt Schiebe-hebe-dach fuer kraftfahrzeuge
JPS60113729A (ja) * 1983-11-24 1985-06-20 アメリカン サンルーフ コーポレーシヨン 枢軸回転一滑動する屋根パネル組立部
JPS60219121A (ja) * 1984-04-13 1985-11-01 Nissan Shatai Co Ltd 車両用スライドル−フ装置
DE3444522A1 (de) * 1984-10-02 1986-04-10 Webasto-Werk W. Baier GmbH & Co, 8035 Gauting Schiebehebedach
JPS61287818A (ja) * 1985-06-14 1986-12-18 Aichi Mach Ind Co Ltd 自動車用サンル−フの開閉装置
US4869548A (en) * 1986-03-10 1989-09-26 Ohi Seisakusho Company, Limited Sunroof apparatus for vehicle
JPH0632426Y2 (ja) * 1988-03-24 1994-08-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サンルーフ用レインチャンネルの作動機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SE469327B (sv) 1993-06-21
FR2644407A1 (fr) 1990-09-21
IT1240666B (it) 1993-12-17
JPH02279422A (ja) 1990-11-15
BR9001237A (pt) 1991-03-26
US5020849A (en) 1991-06-04
ES2020647A6 (es) 1991-08-16
IT9004807A0 (it) 1990-02-26
NL193611C (nl) 2000-04-04
MX173099B (es) 1994-02-01
DE3908645C1 (ko) 1990-06-13
JP2680911B2 (ja) 1997-11-19
FR2644407B1 (fr) 1993-07-09
GB9003949D0 (en) 1990-04-18
GB2231006B (en) 1992-12-16
SE9000918L (sv) 1990-09-17
GB2231006A (en) 1990-11-07
NL9000496A (nl) 1990-10-16
CA2010996C (en) 1994-07-05
CA2010996A1 (en) 1990-09-16
NL193611B (nl) 1999-12-01
IT9004807A1 (it) 1991-08-26
SE9000918D0 (sv) 1990-03-15
KR900014169A (ko) 1990-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12259B1 (ko) 자동차용 슬라이딩-리프팅 루우프
US6018913A (en) Sliding window with improved closure
US4647104A (en) Sliding and lifting roof for vehicles having a tilt-out guide arrangement
US5066068A (en) Panel moving mechanism for sunshine roof
US4630860A (en) Vehicle roof cover and wind deflector
US6325453B1 (en) Open roof construction for a vehicle
US5601330A (en) Vehicle roof with two cover elements
US20150021957A1 (en) Roof system for a vehicle
KR0128804B1 (ko) 차량용 루우프구조
US6457771B2 (en) Motor vehicle roof
EP3176017B1 (en) An open roof construction for a vehicle
US5085622A (en) Sliding roof and/or sliding-lifting roof for motor vehicles
US4732422A (en) Sliding-lifting roof for automobiles
EP1314600B1 (en) Vehicle and open roof construction
JPS6285716A (ja) 自動車用摺動屋根
US11331988B2 (en) Roof system for a vehicle
US6419310B1 (en) Open roof construction for a vehicle
US4596419A (en) Movable roof apparatus for vehicles
CA1326693C (en) Sliding-lifting roof for an automobile
EP0113551B1 (en) Vehicle sliding roof
CA2087113C (en) Blocking device for sliding-lifting roofs for automobiles
EP0369680B1 (en) Window regulator mechanism with kick-out feature
US6789842B2 (en) Guide mechanism for a cover of a sliding/tilting roof
JP2965994B2 (ja) チルトスライド式サンルーフ装置
CN219076972U (zh) 天窗机械组及天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101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