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8987B1 - 전하 잠상 패턴의 생성 방법 및 그 방법을 실행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전하 잠상 패턴의 생성 방법 및 그 방법을 실행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8987B1
KR950008987B1 KR1019890701505A KR890701505A KR950008987B1 KR 950008987 B1 KR950008987 B1 KR 950008987B1 KR 1019890701505 A KR1019890701505 A KR 1019890701505A KR 890701505 A KR890701505 A KR 890701505A KR 950008987 B1 KR950008987 B1 KR 9500089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electrodes
matrix
electrode means
part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7015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700296A (ko
Inventor
오베라르손
Original Assignee
오베라르손 프로덕숀 아베
오베 라르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베라르손 프로덕숀 아베, 오베 라르손 filed Critical 오베라르손 프로덕숀 아베
Publication of KR9007002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7002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89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89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2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involving the combination of more than one step according to groups G03G13/02 - G03G13/20
    • G03G15/32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involving the combination of more than one step according to groups G03G13/02 - G03G13/20 in which the charge pattern is formed dotwise, e.g. by a thermal h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38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supply of electric current or selective application of magnetism to a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B41J2/41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supply of electric current or selective application of magnetism to a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for electrostatic printing
    • B41J2/41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supply of electric current or selective application of magnetism to a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for electrostatic printing by passing charged particles through a hole or a slit
    • B41J2/415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supply of electric current or selective application of magnetism to a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for electrostatic printing by passing charged particles through a hole or a slit for direct electrostatic printing [DEP]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2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involving the combination of more than one step according to groups G03G13/02 - G03G13/20
    • G03G15/3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involving the combination of more than one step according to groups G03G13/02 - G03G13/20 in which the powder image is formed directly on the recording material, e.g. by using a liquid toner
    • G03G15/34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involving the combination of more than one step according to groups G03G13/02 - G03G13/20 in which the powder image is formed directly on the recording material, e.g. by using a liquid toner by selectively transferring the powder to the recording medium, e.g. by using a LED array
    • G03G15/34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involving the combination of more than one step according to groups G03G13/02 - G03G13/20 in which the powder image is formed directly on the recording material, e.g. by using a liquid toner by selectively transferring the powder to the recording medium, e.g. by using a LED array by modulating the powder through holes or a sli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7/00Details of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patterns other than charge patterns
    • G03G2217/0008Process where toner image is produced by controlling which part of the toner should move to the image- carrying member
    • G03G2217/0025Process where toner image is produced by controlling which part of the toner should move to the image- carrying member where the toner starts moving from behind the electrode array, e.g. a mask of ho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inters Or Recording Devices Using Electromagnetic And Radiation Means (AREA)
  • Electrophotography Using Other Than Carlson'S Method (AREA)
  • Electrochromic Elements, Electrophoresis, Or Variable Reflection Or Absorption Elements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전하 잠상 패턴의 생성 방법 및 그 방법을 실행하는 장치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1도는 후방에 후부 전극이 위치한 전극 수단 및 입자 캐리어의 부분사시도이다.
제2도는 전극 수단과 간단한 스위치를 입자 캐리어 상부로부터 본 도면이다.
제3a도는 제3b도 내지 제3d도의 전극들 주변에 캐리어 전계가 어떻게 형성되었는지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3b도 내지 제3d도는 전극 수단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이것의 전계가 크기가 다른 통로를 발생시키기 위해 어떻게 작용하는가를 나타낸 도면이다(이와 같은 제어는 도트 크기 제어라 한다).
제3e도 내지 제3g도는 한 개구의 4개의 전극만을 가진 전극 수단의 일부를 도시한 것으로, 전극들에 공급된 비대칭 전압들에 의해 상기 개구내의 각 위치에서 통로가 어떻게 형성되는지를 나타낸 도면이다(이와 같은 제어는 도트 위치 제어라 한다).
제4a도는 후부 전극을 가진 인테이스된 네트형 전극 수단과 입자 캐리어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이 도면은 안료 입자들이 입자 캐리어에서 어떻게 흡수되어 원하는 도트로 다운되는지도 보여준다).
제4b도는 제4a도의 라인(A-A)를 따라 절취한 단면도로서, 캐리어 전계선과 제어 전계선의 기본적인 형태를 나타낸다.
제5도는 제4a도의 전극 수단과 그것의 진공 접속부에 대한 사시도이다.
제6도는 제5도의 전극 수단이 용지로 덮여 있는 것을 도시한 도면.
제7도는 후부 전극은 제외하고 전극 수단과 입자 캐리어를 부분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제8a도는 용지 없이 제7도의 전극 수단을 사용한 경우 주변에 흑색화가 발생하지 않았을 때 전계선의 기본적인 흡인을 도시한 도면이다.
제8b도는 제8a도에 도시된 상태에서 전원에 대한 접속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제9a도는 용지 없이 제7도의 전극 수단을 사용한 경우 흑색화가 이루어졌을 때 전계선의 기본적인 흡인을 도시한 도면이다.
제9b도는 제9a도에 도시된 상태에서 전원에 대한 접속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제10a도는 상기 용지위에 놓인 네트형 전극 수단과 후부 전극 및 입자 캐리어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 도면은 안료 입자가 상기 입자 캐리어로부터 어떻게 떼어내어 전극 매트릭스를 통해 원하는 도트로 다운시키는가에 대해 보여주고 있다.
제10b도는 제12a도의 라인(A-A)를 따라 절취한 단면도로서, 캐리어 및 제어 전계선의 기본적인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제11a도는 단일 열의 수단 및 스크리닝 수단을 설치한 도면이다.
제11b도는 제11a도의 장치로 현상 처리할때의 용지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12a도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제12b도는 제12a도의 디스플레이 유닛 좌측 하단부를 도시한 것으로, 이 유닛을 이루는 부품의 위치를 보여주기 위해 확대하고 보기 쉽게 방향을 돌려서 도시한 도면이다.
제13a도는 본 발명에 따른 프린트 카트리지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13b도는 제13a도의 카트리지에 대한 단면도이다. 이 프린트 슬롯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확대한 것이다.
제13c도는 프린트 슬롯의 각도 구조로 배열된 전극들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제14a도는 전극용 클리너가 장치된 프린트 카트리지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14b도는 제14a도의 카트리지에 내장된 롤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동심의 전극 구조는 편의상 확대 도시하였다.
제14c도는 제14b도의 롤러를 위해 클리닝 블레이드를 내재한 집합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15도는 토너의 전달 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AC전압이 입자 캐리어 롤러와 전극들간에 어떻게 공급되어 편향되는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은 전기 신호로부터 전하 잠상 패턴(latent electric charge pattern)을 생성시키는 방법과, 현상 장치로 기록 부재(recording member)상에 안료 입자에 의해 상기 잠상 패턴을 현상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현상 장치는 입자 캐리어와, 후부 전극과, 이 입자 캐리어와 후부 전극간에 배치된 전극 수단을 구비하며, 입자 캐리어와 후부 전극 사이의 적소에는 기록 부재가 배치되며, 상기 전극 수단은 이것에 가해지는 영상 정보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복수개의 개구를 형성하며, 입자 캐리어로부터의 입자가 기록 부재로 이송된다.
[본 발명의 배경]
컴퓨터에서 출력을 프린트할 때 또는 소위 용지 프린터에서 고해상도로 전 디지털화 페이지를 복사할 때, 소망의 표면상에는 정전기적으로 대전된 보이지 않는 잠재성 도트가 형성되는데, 이 도트들은 프린트될 문자나 영상과 대응되는 패턴을 형성한다. 후속 단계에서는, 정전 스크린 패턴을 가진 표면은 일반적으로 연접한 대전 입자 예컨대 토너 전방으로 운송된다. 흑색화 되지 않은 채로 남아있는 스크린 도트와 토너에 의해 흑색화된 스크린 도트간의 전위치를 충분히 크게 야기시킴으로써, 대전 입자들은 컨베이어 장치(이하에서는 입자 캐리어로 언급됨)으로부터 스크린 형상으로 대전된 상기 표면위로 점프되어 원하는 패턴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공정의 일부는 이하에서 현상(development)이라 일컫는다. 본 방법은 현재 통용되고 있는 복사 장치 즉, 제로그라피 기술 또는 본 공정과 유사한 변형예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일찍이 실현된 바있다. 오늘날 시장에서 입수 가능한 대부분의 페이지 프린터들의 공통적인 사항으로는 중간 기억 매체를 사용한다는 것인데, 이 매체들은 대개 도전성 롤러 형태이며 원하는 전하 패턴으로 대전되고, 탄소분말로 코팅되어 있으며 최종적으로 용지 또는 이와 유사한 재질위에 탄소패턴을 형성하게 한다.
최근 대부분의 방법들은 표면층이 감광성 표면층, 예컨대 비결정성 설렌 또는 비결정성 실리콘으로 설계된 광 도전성 롤러를 사용한다. 이 롤러는 광원의 셔터 정면에서 회전할 때 단색광 예컨대 레이저광에 의해 도트 단위로 노출될 경우가 가끔 있다. 자주 사용되는 또 다른 방법은, 그 목적에 적합한 표면층을 가진 드럼위에 장치에서 나온 이온으로 부착시키는 것이다.
상업적으로는 사용 불가능한 또 다른 방법은 도전성 표면층 예컨대 산화 아연층으로 코팅된 특수 용지를 사용하는 것인데, 상기 표면층은 정전 잠상용의 중간층을 형성한다. 그 결과 상기 용지는 이 용지의 평면에 대해 직각으로 배치된 전극 매트릭스를 통과시키고, 전극들은 용지의 표면층을 원하는 스크린 영상으로 대전시킨다.
전술한 방법들의 공통적 사항은 장비가 복잡해지고 처리 소요 시간이 길고 서어비스 및 보수처리가 요구 된다는 것이다. 오늘날 시장에서 요구되는 해상도는 1인치당 300도트가 요구된다. 이러한 성능상의 요구에 의해 허용 오차 및 광학적 성능에 대한 조건들이 까다롭게 되었다. 제로그라픽 공정을 실시하는 포괄적 기구와 도전성 코팅부의 수명이 짧아짐에 따라 전술한 방법은 사용자에게 고액의 투자금과 운영비의 부담을 안겨주게 된다. 이 방법은 또한 고속처리 및 고해상도의 성능의 프린터에 대해서는 계속 개선의 여지를 갖고 있는데, 여기서 드럼의 대전 처리에 대한 요구는 제조업자에게 비용의 부담을 증가시킨다.
정전하 대전을 위해 도전성 드럼 형태의 중간 기억 매체를 사용하는 방법은 또한 용지로 전달된 후 일정량의 토너가 용지의 드럼에 들어 붙게 될 것이라는 것을 암시한다. 따라서, 이러한 장치는 일회의 프린트 조작을 행할 때 마다 드럼을 세정하는 장비를 갖추어야 한다. 이는 구성 부품의 수를 증대시키고 잔여 토너로 인한 오염이 증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전달된 입자와 용지간에 적정의 흡착력을 영구적으로 생성시키기 위해서는 통상 용지를 가열 프레스로 통과시키는데, 이 프레스는 플라스틱층을 입자들 위에 용해시킬 수 있는 2개의 가열식 롤러로 구성된다. 이러한 장치는 당연히 제조 비용을 증가시키고 복사기의 완성도를 저하시킨다. 또한, 제로그래픽 방법은 프린트질에 관련된 여러 한계점을 내포하고 있다. 이러한 한계점으로는 중간 기억 매체의 성능 저하를 들 수 있는데, 백색 영역 및 흑색 영역간의 고전위차를 기억할 수 없으므로 그 결과 흑색화 기능이 떨어지고 접속 능력이 떨어진다. 또 다른 한계점으로는 스크린 도트 각각의 크기를 제어하는 것이 어렵다는 것이다. 이러한 성질은 반색조(half-tone) 오리지날을 재생할 때 불편함을 야기시키는데, 개별 스크린 도트의 크기는 임의의 단색 스케일을 의미한다. 이러한 효과 때문에 반색조 영상에서의 모든 새로운 개별 스크린 도트를 위해 프린터에서 인접한 스크린 도트수를 남겨 놓을 필요가 있다. 이러한 방식에 있어서, 반색조 영상의 스크린 도트 크기에 대한 가시적 표현을 가변시키기 위해 적정수의 프린터 스크린 도트를 활성화할 수가 있다. 이 방법은 프린터의 원래 성능과 비교했을 때 반색조 영상의 해상도를 저하시킨다.
기록 부재에 대해 직각인 소위 다수의 니들 전극들을 현상 처리와 정전적으로 협동되도록 함으로써 전술한 여러 단점들을 전부 또는 부분적으로 해소시킨 기술이 미합중국 특허 제4,338,615호(넬슨씨 외)에 기술된 바 있다. 개별적으로 전압을 공급할 수 있는 니들 전극들을 사용하는 전술한 장치들은, 1행 또는 소수의 행으로 배열되고, 대부분의 행들은 용지 웨브폭과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고, 이 용지 웨브는 개별적으로 가동될 수 있는 니들 전극형과 관련하여 이동 가능하며, 상기 용지 웨브와 관련하여 이동 가능한 헤드상에 매트릭스 형태로 그룹화되어 있다. 현상 처리 도중에 표면에 대해 작용하는 정전기력이 총 전극 크기보다 클 때, 이 방법들은 인접한 스크린 도트에 대한 도전성 기억 능력을 활용해야만 하고 그들이 정전기 상태로 있지 않을 때 흑색화될 위험을 갖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방법들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는데 적절치 못하다.
또한 컴퓨터로부터 가시 스크린을 거쳐나온 비영구적인 데이타 표시는 판독성을 떨어뜨리고 어떤 경우에는 방사 문제를 야기시키는 불편함을 조작자에 주게된다는 것도 밝혀졌다. 정보 교환시의 속도 요건 때문에 전술한 과제들은 전자 비임관, 액정 또는 플라즈마 스크린의 보조로 일찍이 해결된 바 있다. 그러나 이상 전술한 방법들의 공통점은 판독성에 손상을 준다는 점이다.
또 다른 방법 및 장치가 미합중국 특허 제4,491,855(영구 특허 제2,108,432호)호에 개시되어 있는데, 이 장치는 대전된 입자의 통로를 제어할 목적으로 다수의 개구를 구비한 제어기를 사용하여 가시성 영상이 수상 부재상에 기록되도록 한다. 대전된 입자는 입자 캐리어에 유지되며, 교번 전계가 유지 부재와 제어 전극 사이에 가해진다. 제어 수단과 수상 부재 사이에 전계가 형성되도록 전원은 제어 전극에 접속된다.
제어 전극은 3개의 층으로 구성되는데, 신호 전극이라고 일컫는 전극층과, 절연층 및 베이스 전극이라 일컫는 제2전극층으로 구성된다. 제어 전극에는 입자들이 통과하게 될 개구가 배열되어 있다. 입자 캐리어부재와 베이스 전극 사이에 접속된 교류 전압은 교류 전계가 베이스 전극과 입자 캐리어 사이에서 발생되도록 하며, 이 전계에 의해 입자들이 베이스 전극과 입자 캐리어 사이에서 진동하게 된다. 베이스 전극과 신호 전극 사이에서 전계가 생성되도록 그 사이에 전원이 접속된다. 기록 부재는 신호 전극과 후부 전극간에 위치된다. 입자 캐리어에서부터 기록 부재로 입자를 이송하기 위한 절차는 다음의 단계들로 구분된다. 먼저, 입자가 대전된 다음 제1전계(교번 전계)에 의해 개구로 운반된다. 만약 이 전계가 베이스 전극으로부터 신호 전극으로 직접 향할 경우 상기 입자들은 베이스 전극과 신호 전극 사이에서 제2전계에 의해 개구를 통과하며, 최종적으로 신호 전극과 후부 전극 사이에서 발생된 제3전계에 의해 기록 부재상으로 운반된다. 제어층상의 개구내의 통로를 폐쇄하기 위해 신호 전극이 적절한 전압에 접속됨으로써 대전된 입자를 교번 및 반발시키도록 베이스 전극과 신호 전극 사이에 전계가 형성된다.
이러한 방법들이 안고있는 문제점은 입자들이 개구내에 있는 동안 베이스 전극과 신호 전극 사이에 발생된 제2전계가 소실될 때 제어 수단의 개구가 오염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개구 특히, 전계가 교번되는 개구 중간에 틀어박힌 토너 입자들이 식별되지 않을 수 있다. 추가의 스파크 방전 및 기계적 크리닝 방법이 이러한 개구의 청소를 위해 사용된다.
또한, 일본 특허 초록 제9권 100호 M376 특개소 59-224368호의 요약에는 영상 형성 소자 및 영상 형성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에는, 입체 교차하는 스트립 형태의 전극상에는 절연층(통상 용지)으로 피복되어 있다. 제1 및 제2전극 그룹의 스트립 형태의 전극 각각은 선택적인 주사를 위해 주사 부재를 통해 전원에 접속된다. 각 전극보다 더 큰 면적을 점유하는 절연 유도체층은 절연층을 피복하도록 배치된다. 전압이 전극에 가해질 때 전위차가 전극 교차점의 유도체내에 발생하여 현상 로울러에 부착된 절연 토너로 구성된 토너 캐리어와 함께 층표면상에서 접촉 작용에 의해 토너 전위차 영상이 형성되는 부분에 고착된다. 따라서, 전자화상 시스템에 의해 통상의 용지 시트상의 기록이 가능해지게 된다.
이러한 방법에 따라 전극과 절연 유도체로 구성된 제어부가 먼저 절연 유도체상에 전위차를 반드시 형성시켜야 하며, 그 다음 접촉에 의해 토너 입자를 절연층(통상의 층)으로의 전달이 실행되어야 한다. 이러한 방법상의 주요한 문제점은 용지 표면이 접촉됨으로 인해 희망하지 않은 토너 입자가 전달되며 두꺼운 용지를 통해 전계가 확산됨에 따라 저해상도가 된다는 것이다.
또한, 아비엠 기술 개시보고(제12권 12호 지.엠. 엔젤 및 케이.에이취. 로에플러 "전자화상 형성기술")에는 가시 디스플레이에 관해 기술되어 있다. 대전된 토너는 디스플레이 튜브의 표면과 접촉되는데, 여기서 전기적으로 대전된 토너 입자는 튜브 표면상의 대전 영역으로 흡착된다. 튜브의 표면을 대전시키기 위해 음극선과(CRT)이 사용된다. 이러한 장치의 주원리는 본 발명과 상이하며, 대전된 패턴면에 입자가 흡착되기 보다는 대전되지 않은 표면에 직접적으로 부착되는데 있다. 또한 전술한 방법은 두꺼운 튜브를 통한 전계의 확산에 따라 해상도의 저하에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 및 주요한 특성들]
본 발명의 목적은 중간 기억매체를 사용하지 않고 양호한 판독성 및 고품질의 프린트를 실행하는 방법을 개발하고, 몇몇 가동식 부품과 복잡하지 않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려면, 기록 부재 표면의 전체 또는 적절히 선택된 부분은 전기적으로, 바람직하게는 상기 장치의 일부를 형성하는 전극과 정전기하에서 협동하는 상태에서 흑색화되어야 하고, 현상 전공정중에 안료 입자를 위한 흡착력/반발력을 생성해야만 한다. 이것은 본 발명의 소수의 부품수를 요구하는 것처럼 프린터 제조업자에게 제조비용의 부담을 줄이고 사용자의 운용비용도 낮춘다는 것을 의미한다. 결론적으로 본 발명은 정전기 영상의 광학적 재생에 관한 장비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게다가 본 장치는 한정된 수명을 가진 어떤 도전성 중간층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프린터에서는 영구적인 고정식 프린트로 사용될 수도 있고 가시용 스크린에서는 일시적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기구로 사용될 수도 있다.
프린트에 사용되었을 때 본 방법은 전계선이 발생하여 용지 또는 이와 유사한 것을 통과하므로 상기 용지가 현상되기 이전에 전극 수단의 표면으로 부착된다는 점과, 상기 장치에서 작용하는 전계력은 용지를 통과하게끔 발생한다는 점에서 볼 때, 직접 프린팅이라 할 수 있고 또한, 전극 수단의 표면위에 원하는 영상을 우선 현상시킨 후 이 영상을 프린팅 매체 예컨대 용지로 전달시키는 면에서 볼 때 간접 프린팅이라 할 수 있다. 이는 토너가 용지에 전달되는 전달 효율이 현존하는 방법보다 양호하다는 것을 의미하며, 전자의 직접 프린팅은 100% 효율을 제공하고 후자의 간접 프린팅은 전극 수단, 흑색화 입자들 및 용지간의 처리 능력의 완전 제어를 보장한다. 도전성 중간층이 사용되었을 때 드럼 및 토너간에 생성된 정전력은 처리 과정중에 영향을 받지 않은 상태로 남아 있게 된다. 이것은 현상된 표면의 전처리 과정중에 정전력 발생 부재와 직접 접촉하는 경우에만 피할 수 있다.
전극 매트릭스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임의 개소(개구)가 두개 이상의 실상 및/또는 허상 좌표를 사용하여 확정되는 방법으로 배열되는 하나 이상의 전극 방향을 의미한다. 실상 확정은 예컨대 하나의 개구가 전압에 다른 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전극을 접속시킴으로써 정전적으로 개방될때이며, 그리고 실상/허상 확정은 예컨대 하나의 개구가 종방향의 열이 후부 전극에 의해 확정되는 동안 횡방향의 열로 구성된 전압에 하나 이상의 전극을 접속시킴으로써 개방될 때이다.
본 방법은 처리 공정의 시간 측면이 현상 단계에만 한정되었을 때, 종래 기술에 비해 제조비용이 저렴하고 처리속도가 빠르고 해상도 성능이 좋은 프린터를 개발할 수 있는 가능성을 부여한다. 현상 단계를 단시간내에 진행하는 이러한 방법을 이용하는 장치들은 오늘날 낮은 제조비용으로 개발되었다.
전극 매트릭스는 원하는 경우 용지를 가열하는데 사용되는데, 이로 인해 프린트된 영상은 현상시 영구적으로 직접 현상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도전성 중간층을 이용하는 방법에서 존재하는 한계점을 전부 또는 일부를 제거하고자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보다 나은 프린팅 성능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예컨대 모든 개별스크린 도트의 크기 및 위치에 대한 연속적 제어를 허락하는데, 이는 실질적으로 반색조 영상들을 단색 스케일로 자연스러운 방식으로 재생하는 장치의 능력을 개선시키고 최종 프린트 해상도를 소프트웨어 제어에 관한 문제로 처리하게끔 한다.
본 발명이 가시용 스크린 또는 디스플레이 유닛으로 사용되었을 때, 입자들은 기록 부재에 정착되지 않지만, 적정의 반발 전압을 매트릭스 적정 전극들에 공급하므로써 상기 처리중 어느 때라도 제거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이 정보 기술, 프린트식 용지와 맞먹는 판독성을 제공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과제는 입자 캐리어로부터 안료 입자를 후부 전극 방향에서 기록 부재로 이송시키기 위해 입자 캐리어와 후부 전극간의 공간내에 캐리어 정전계를 형성시키고, 상기 캐리어 정전계의 통로용 개구는 전극 수단, 입자 캐리어 및 후부 전극 각각 사이에 제어 전계가 발생되도록 최소한 개폐 가능하게 하고, 그리고 상기 제어 전계가 전극 수단에서 입자 캐리어로, 전극 수단에서 후부 전극으로 연장되도록 함으로써 해결되었다.
전극 수단은 2개의 층으로 구성되며 각 층에는 길이방향으로 평행한 몇몇 층들이 각 방향으로 연장한다. 전극들은 길이 방향에서 용지의 평면과 평행을 이루도록 되어 있다. 상기 층들은 전극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직각이 되지 않도록 바아 패턴으로 서로 배열된다. 각 개별 전극은 전극을 적어도 두 전압원에 갈바니 접속(galvanic contact)시킬 수 있는 스위치에 접속되고, 상기 두 전압원은 서로 독립성을 유지하며 이들중 하나는 0전위를 나타낼 수도 있다.
이로 인해 안료 입자 뒤에 위치하고 입자들을 끌어들이는 캐리어 전계를 스크린 오프하기 위한 제어가 가능해진다.
매트릭스내의 전극들은 주파수 주사 시이퀀스로 접속시킴으로써 전극 교차부 및/또는 전극 인터페이스에 선택적 통로를 발생시키는 것이 가능해지고 이로 인해 전술한 캐리어 전계는 안료 입자를 끌어당기고 이들을 기록 부재로 전달한다. 이 방법은 상기 장치의 일부를 형성하는데 요구되는 전극수가 페이지용 스크린 도트수보다 실제로 작을 때, 전현상 공정중 매순간마다 단일 스크린 도트 모두가 제어 유닛으로부터 어드레스되는 것을 허락한다. 1인치당 300도트인 A4 용지에 대한 850만 스크린 도트가 본 발명에 따른 동수의 스위치에 순차 접속된 5900전극들에 의해 개별적으로 활성화된다.
본 방법은 전극 수단이 용지용 컨베이어로서 작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새롭고 간략화된 프린터를 제공할 가능성을 부여하며, 이로 인해 매트릭스 표면에 대한 용지의 위치 설정 및 그 힘은 진공력 및 정전력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프린트되어 있는 용지 더미에서 최하위 용지에 직접 현상을 할 수 있다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또한 어떤 실시예는 영구적인 가열식 프린트를 위한 추가의 장비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이것은 전극들에 두 전류가 흐르도록 하여 상기 매트릭스가 저항성 열전 소자로서 가능하도록 하여 해결되거나 또는 전술한 원리를 갖는 추가의 개별층을 매트릭스에 결합시키는 것에 의해 해결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프린터는 2개의 용지 더미로 구성되는데, 이중 하나는 프린트되지 않은 용지용이고 나머지는 프린트된 용지용이며, 입자 캐리어는 용지 더미 사이에 위치하고, 매트릭스는 두 용지 더미 사이에 배치된 입자 캐리어 아래에 배치되며, 진공장비 및 구동/포장용 장비도 제공된다.
외치수보다 작은 가시용 스크린은 유사한 방식으로 얻어진다.
[본 실시예에 대한 기술]
전극 수단들에 대한 실시예들을 보여주고 있는 도면 제1도 내지 제15도에 사용된 참조 번호는 다음과 같다.
1. 입자 캐리어의 일부분
2. 안료 입자
3. 기록 부재, 예컨대, 유닛(12)상에 놓인 용지 또는 표면
4. 입자 캐리어에 가장 인접한 전극층 즉, 제어층으로 전극 수단의 일부임
5. 입자 캐리어에서 볼 수 있는 층으로 상기 제어층 뒤에 위치한 전극층 즉, 주사층으로 전극 수단의 일부임
6. 입자 캐리어측에서 볼 수 있는 층으로 상기 주사층 뒤에 위치한 후부 전극
7. 1개 이상의 스위치로 구성된 스위칭 기어
8. 제어층(4)의 전극
8b. 흑색화를 이루기에 적합한 전압 즉, 흑색 전압에 접속된 제어층의 전극
9. 주사층(5)의 전극
9b. 흑색화를 이루기에 적합한 전압 즉, 흑색 전압에 접속된 주사층의 전극
10. 스크린 도트, 예컨대 예측가능한 크기의 안료 입자 무리
11. 그래픽 대상체, 예컨대 다수의 스크린 도트로 구성된 문자 또는 라인
12. 전극 유닛, 예컨대 전극 매트릭스 및 후부 전극에 대한지지 소자, 이 지지 소자를 둘러싸는 주형 플라스틱 부재
13. 접속장치, 예컨대 후부 전극 전압을 공급하는 케이블
14. 전류 방향과 전압을 가변하는 DC 전원
15. 후부 전극과 1개 이상의 안료 입자들 간에서의 캐리어 전계선
16. 후부 전극과 제어층 또는 주사층내의 전극간에 존재하는 제어 전계선으로, 상기 전계를 스크린 오프 시키기에 적합한 전압 즉, 백색 전압에 접속된다.
17. 흑색 전압에 접속된 주사층 전극과 1개 이상의 안료 입자들간에 존재하는 캐리어 전계선
18. 흑색 전압에 접속된 주사층 전극과, 상기 전계를 스크린 오프시키기에 적합한 전압 즉, 백색 전압에 결합된 제어층 전극간에 존재하는 전계선
19. 전극 수단
20. 개구
21. 제어 전계
30. 제어 장치
31. AC전원
60. 롤러상에서의 적절한 안료 입자양을 측정하기 위해 컨베이어 롤러(63)로부터 형성된 슬롯을 가진 입자 캐리어(1)에 장착된 자극 슈우
61. 컨베이어 롤러(63)의 일부를 둘러싸고 제2스크리닝 장치(62)에 대향한 슬롯을 형성하게끔 배치되는 스크리닝 장치
62. 컨베이어 롤러(63), 전극층(4) 및 접속 케이블(64)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스크리닝 장치
63. 자기 안료 입자들을 입자 캐리어(1)의 콘테이너에서 용지(3)로 전달하는 자석을 둘러싸는 컨베이어 롤러64. 입자 캐리어(1)에 장착된 전극을 위한 접속 케이블
65. 용지(3) 전달을 위한 도전성 장치
66. 지지 유리(69)와 전극 유닛(12)에 대한 프레임
67. 지지 유리(69)와 전극 유닛(12) 사이에 존재하여 유리(69)를 통해 육안으로 볼 수 없는 공기중 부유안료 입자
68. 입자들의 순환을 위한 접속부
69. 유리 페인(glass pane)
70. 최종 프린트 카트리지
71. 토너 콘테이너
73. 프린트 슬롯
74. 전극들을 콘트롤러에 개별 접속시키는 접속기
75. 동심으로 배열된 전극(9')들간의 계곡부에 위치한 입자 캐리어의 도전성 링형 부재
76. 안료 캐리어 롤러의 절연성 파이프식 부재
77. 클리닝 블레이드
78. 각 전극과 개별적인 갈바니 접속을 이루게 하는 브러쉬 또는 다른 슬라이딩 장치
79. 자기 토너를 입자 캐리어 롤러에 균일하게 공급하는데 사용되는 자기 재료로된 블레이드
80. 입자 캐리어 롤러 내부의 고정 자기 철심.
본 발명에 따른 본 방법은 전극 수단(19)의 설계 및 기능에 대해 서로 다른 원리를 적용할 수 있게 한다. 이 원리들중 하나에 따르면, 전극 매트릭스(4, 5)는 현상될 표면과 상기 매트릭스의 치수와 동일한 치수를 갖는 후부 전극(6) 사이에 위치되어야 한다. 이 매트릭스의 전극들은 원형의 단면을 가진 와이어 형태일 수도 있는데, 이 와이어의 횡방향 치수는 각 두 전극간의 간극보다 훨씬 작아야 한다. 상기 매트릭스는 절연성 니스가 도포된 와이어로 네트처럼 짜여진 것일 수도 있으며, 제1층(4)내의 인접한 두 전극과 제2층(5)내의 인접한 두 전극에 의해 형성되는 개구를 갖는다. 전술한 실시예는 제4a도에 도시되어 있다. 제1도는 전극의 단면형상이 사각형인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인데,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 층들이 서로 짜여져 있지 않지만 개별적으로 절연성 플라스틱 필름에 부착되어 있다(이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음). 전술한 두 실시예에 있어서 개구는 캐리어 정전계(15)를 위해 상기 매트릭스를 투과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데, 상기 전계는 입자 캐리어(1)상의 안료 입자(2)와 후부 전극(6) 사이에 형성되며 이는 입자를 끌어들이기에 적절한 전압(V2) (제4a도)에 접속되어 있다. 이러한 진입의 가능성을 이하에서는 통로로 언급된다.
전극 전압을 가변시킴으로써 상기 통로의 정전기 투과성을 가변시킬 수 있다. 즉, 안료 입자에 대해 반작용하는 매우 큰 전압으로 제4a도에서 소위 백색 전압으로 언급되는 전압(V3)이 두 층내의 모든 전극에 공급된 경우에는, 입자 캐리어(1)와, 후부 전극(6)간에서 캐리어 전계선(15)에 대한 모든 통로는 폐쇄되는데, 여기서 후부 전극(6)과 백색 전압에 접속된 전극간에 그리고 전극(4, 5)와 입자 캐리어(1) 사이에서 제어 전계선(16)은 연장하게 될 것이다.
소위 주사층이라 하는 층(5)내의 한 전극(9b)에 대한 반발 전압과 소위 제어층이라 하는 층(4)내의 적정수의 전극(8b)에 대한 반발 전압을 흑색 전압이라하는 흡인 전압측을 향해 다소 낮춤으로써, 흑색 전압(V1, V4)의 전극 교차점 부근 영역은 캐리어 전계선(15)이 후부 전극(6)에서부터 입자 캐리어(1)상의 안료입자(2)에 걸쳐 형성되게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에 관한 것은 제4b도에 도시되어 있다. 폐쇄된 통로제어 전계(16, 21)에 의해 스크린 오프되어 있다. 이러한 사실은 입자의 일부가 입자 캐리어에서 빠져나와 흑색 전압(V1, V4)을 가지는 전극들의 교차점 부근 영역(10)에서 전극 매트릭스 표면위에 침전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전술한 방식에 있어서는 주사층(5)의 전극(9b)으로 표시된 라인상에 흑색화된 스크린 도트(10)를 임의의 수로 발생시킬 수가 있다.
흑색 전압(V4)을 반복성의 주기적 코스로 주사층내의 인접 전극을 향해 계단식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주사층의 새로운 각 전극은 새로운 임의 선택된 스크린 도트를 활성화 및 흑색화가 가능케 한다.
백색 및 흑색 전압을 늘려서 선택함으로써 흑색화된 인접한 두 도트를 서로 중복시킬 수 있다. 이로인해 스크린 도트(10)로 임의 선택형 패턴(11)의 설치가 가능하며, 이 패턴은 텍스트, 그래픽 도해 및 반색조 영상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캐리어 정전계 중에 배치된 각 도선들은 이 전계의 기하학적 구조에 영향을 준다. 이 영역내의 각 캐리어 전계선 통로는 여러 조건 및 파라미터에 의해 조절되는 것이므로 도선의 전계는 이러한 파라미터의 일종이라 할 수 있다. 임의 전계 강도가 입자 캐리어로부터 안료 입자를 떼어낼 것이 요구될 때, 도선 예컨대 전극에 존재하는 임의의 전위는 흑색화를 야기시키기에 충분한 전기 강도를 가진 전계선이 통과하지 않을 수도 있는 영역을 결정할 수가 있다. 제3a도는 이 영역이 어떻게 결정되었는지를 도시한 것으로 도면에서는 백색 전압을 가진 전극(8) 주변에 제어 전계선(16, 21)의 점선 밴드로 표시된다. 만약 상기 전극에 공급된 전위가 흑색화를 얻기에 충분한 전계 강도를 가진 전계선의 통과를 허락하면, 제3a에서는 여러 전극을 나타내는 회색조 라인(8b)만이 남아 있고, 제3b, 제3c 및 제3d도는 상기 통로가 전극 수단을 통해 어떻게 수행되는지를 도시한다.
제3b도는 각 층에 4개의 전극을 구비한 매트릭스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한 층내의 두 전극(8b)과 또 다른 층내(먼저 언급한 층에 대해 횡방향으로 배열된 층)의 두 전극(9b)은 흑색 전압에 접속되어 있다. 나머지 두 전극(8, 9)은 백색 전압에 접속되어 있고 제3a도에 도시된 점선 영역(16)으로 둘러싸여 있다. 스크린 도트(10)는 안료 입자들이 매트릭스를 통과할때 발생하는 캐리어 전계에 대한 통로를 형성한다.
제3c도는 또 다른 제어 원리를 도시한 것인데, 이 도면에서는 각 층의 단 하나의 전극(8b, 9b)만이 흑색 전압에 접속되어 있다. 스크린 도트(10)는 두 전극(8b, 9b)간의 교차점 위에 위치한다.
제3d도는 전극(8, 9)에서 전위가 어떻게 교체되는지를 도시한 것이며, 이 도면에서는 "블로킹" 영역(16)이 앞의 도면에 도시한 것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한개의 스크린 개구의 중에서, 스크린 도트(10)는 제3b도의 경우보다 작게 재생된다. 이것을 본 발명에서는 도트 크기 제어 능력이라 한다.
제3e 내지 제3g도는 도트 위치 제어 능력에 대해 도시한 것이다. 이상 전술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을 통과한 외측 전계가 요구된 도트와 안전한 모든 전극에 공급된 전압을 똑같이 가변시키는 것에 의해 적어졌을 때, 비대칭성 전위를 실제의 전극들에 공급시킴으로써 스크린의 실제 개구내에 상기 도트가 비대칭으로 위치될 수 있다. 제3e도는 4개 전극들(9c, 8c)에 의해 둘러싸인 개구 중간에 재생된 작은 도트(10)를 도시한 것이다. 이 전극들은 백색 및 흑색 전압간에 접속된다. 각 전극 주위의 블록킹 영역(16)은 이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제3f도에 있어서, 상측 전극(8d)과 좌측 전극(9d)상의 전압은 백색 전압 이상으로 가변되므로 그 결과 보다 넓은 블록킹 영역(16)이 형성된다. 하측 전극(9c)과 우측 전극(8c)은 제3e도에 비해 흑색 전압 이상으로 가변된다. 이와 같은 비대칭 제어에 의해 도트(10)는 중간지점에서 개구의 우측하단으로 이동된다. 제3g도는 도트(10)가 상단 중간 지점으로 이동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전극 수단(19)을 다소 확장시키는 기능은 전자관의 음극을 둘러싸고 있는 얇은 실같은 즉, 그리드에 비교할 수 있다. 매트릭스내의 상기 전극에 존재하는 비교적 적은 전압값으로 캐리어 전계선(15)의 형성 및 그 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그 전형적인 값은 V1은 0V이고, V2는 -1000V이고, V3은 +50V이고, V4=V1=0V이다.
본 방법에 의해 제공된 또 다른 원리는 제7, 제8, 제8b, 제9a 및 제9b도에 도시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주사층의 전극들은 제어층의 전극들보다 상당히 큰것이어야 하고 그 단면 형상은 사각형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전극들간의 간격은 두 층의 간격과 동일해야 한다. 두 층은 서로 짜여져 있지 않을 수도 있다.
주사층의 전극들은 이격된 후부 전극으로서 사용되므로 주사중에 순간적으로 활성화된 전극(9b)은 흑색전압에 접속되어야 하고, 상기 제어층내의 1개 이상의 전극들이 백색 전압에 접속되었을 때 전술한 이전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후부 전극에 의해 발생된 만큼의 전계 강도를 안료 입자(2)에 발생시킨다. 이 경우, 전극(9b)이 라인 형태의 전계를 발생할때, 제어층(4)내의 백색 전압에 접속된 전극(8)은 제어 전계(18, 21)의 발생에 따라 제8a도에 도시된 전계를 오프할 수 있으므로, 제어 전계선(18)은 전극(9b)에서부터 제어층(8)내의 가장 인접한 전극 및 입자 캐리어로 연장한다. 제어층(4)의 1개 이상의 전극들(8b)을 흑색 전압에 접속시킴으로써 캐리어 전계선(17)은 입자 캐리어(1)상의 안료 입자(2)들에 도달될 수 있다(제9a도).
제8b도 및 제9b도는 개략적으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인데 여기서, 각 전극은 스위치(7)를 통해 단지 두상태만 취하는 것이 가능하다. 각 전극은 2위치 스위치를 거쳐 2개의 프리셋 전압원(14)에 접속된다. 이러한 경우 본 방법은 마치 뒷쪽에 배치된 후부 전극으로 한정한 것 같지만 흑색 전압은 반복성 주사 사이클을 통해 주사층(5)의 모든 전극에 접속되어야 한다.
전극 수단(19)이 입자 캐리어(1)와 용지(3)간에 제공되어야 한다는데 기초를 둔 방법에 의해 또 다른 원리가 성립된다. 전극 매트릭스(4, 5)는 네트식으로 짜여질 수도 있고 다층 매트릭스로 짜여질 수도 있으므로 안료 입자(2)에 관련된 투과성을 갖게 된다. 본 방법에 따른 장치는 제10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식으로 짠 것을 사용한다. 그리고 전극(4, 5)은 각 전극쌍간의 간격보다 상당히 얇아야 한다. 이와 같은 원리에 따르면, 용지를 전위로 대전시킨 경우 예컨대 용지 자체가 도전성을 지닌 것을 사용함으로써 네트(4, 5)를 통한 양호한 흑색화를 이룰수도 있고 또한 후부 전극(6)상의 정전력으로 용지를 공급 및 고정시키는 경우 전극 매트릭스(4, 5)를 통과하는 충분한 전계를 발생시켜 흑색화를 이룰수도 있다. 현상 처리 과정중 매트릭스(4, 5)는 용지 및 후부 전극(6)으로부터의 제어 전계선(16)을 조금씩 변하게 하여 캐리어 전계선(15)이 흑색화시킬 네트의 스크린 도트를 투과했을 때 스크린점은 흑색화되지 않는다(제10도 참조). 전극 수단(19)과 용지(3)간의 간격을 적절하게 하는 것에 의해 캐리어 전계선(15)은 전극(8b)을 포위할 수 있게 되고 이로인해 전극(8b)이 스크린 도트(10)에서 백색 라인으로 나타나는 것이 방해를 받는다. 흑색 전압의 전극 극성을 반전시키는 것에 의해 전극 매트릭스(4, 5)상의 어떤 잔여 안료 입자들이 입자 캐리어(1)위를 다시 덮을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것이 발생되는 경우엔 상기 입자를 용지 위에 고정시킨 후에 다시 한번 상기 매트릭스 위를 통과시켜야 한다.
제10a도와 제10b도는 전체적인 사시도를 통해 다른 실시예들과 비교해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중첩하는 입자 캐리어(1)를 갖춘 장치들을 도시한 것인데, 이 장치는 안료 입자의 낙하로 인한 바람직하지 않은 오염 위험성을 줄이기 때문에 이 실시예에서 상기 장치를 뒤집도록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스위치(7)를 비례식 제어가 가능한 장치로 교환하는 것에 의해 스크린 도트의 크기는 전술한 방식에 따라 개별적으로 가변될 수가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된 모든 방식중 공통적인 사항은 즉 꼭 한정될 필요가 없는 것은 현상 처리가 직접이든 간접이든 관계없이 처리될 수 있다는 것이다. 직접적인 방법은 제1도 내지 제7도에 도시하였으며, 기록 부재 예컨대, 용지(3)는 현상 이전에 전극 수단의 표면에 배치된다. 그리고, 전극 수단을 투과한 전계는 용지 표면의 스크린 도트(10)를 침전시키도록 발생될 수 있다. 이로인해 소위 오버헤드 필름, 범용 복사 용지 또는 특수 유전체 용지 모두에 사용가능하다. 유닛(12)의 표면에 대해 용지와의 접촉 및 위치를 확인하는 것은 진공 흡입부를 사용하여 이루어진다. 이에 대한 것은 제5도 및 제6도에 도시되어 있다.
유닛(12)은 다공성 물질 즉, 용지를 공급 또는 보수하기 위한 곳만 제외하고 모든 곳을 밀폐한 다공성 물질로 형성되거나, 흡입 채널처럼 즉, 바닥이 낮고 용지를 대향하는 면에는 반원의 홈이 형성되고 이 홈은 진공 펌프의 연결부(38)에 접속되는 채널처럼 형성될 수 있다.
제4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접적인 방법은 영상 또는 텍스트가 기록 부재상에 우선 현상되는데, 이 기록 부재는 유닛(12)위에 편리하게 설계된 표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 다음에 비경화성 안료 입자(2)가 용지(3)로 전송된다. 소위 코로나(corona) 유닛과 종래의 전송 기술을 함께 사용하면 전극 수단(19)의 표면과 입자들간의 흡인력이 반발력을 폐기시키거나 대신한다는 점에서, 안료 입자 전달 효율이 증가될 수도 있다. 이는 모든 전극들을 손쉽게 선택한 반발 전압에 접속시킴으로써 전송되는 순간에 발생하는 것이다. 매순간마다 용지가 현상될 수 있는 길이를 용지 이동 방향에서 단지 1개의 스크린 도트행으로 제한함으로써, 시간이 다소 걸리지만 상당히 간략화된 장치를 사용하여도 전술한 바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대해서는 제11a도 및 제11b도에 도시한 바 있다. 종래의 입자 캐리어(1)는 전술한 도면에 도시된 유형으로 한정되지 않는 것으로 2개의 스크리닝 장치(61, 62)를 갖고 있다. 이들 한방향으로 휘어진 도전성 박막 케이싱으로 구성되는데, 컨베이어 롤러(63)로부터 약간 떨어진 곳에서 컨베이어 롤러(63)의 일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상기 스크리닝 장치(61, 62)는 폭(S)을 가진 슬롯을 형성하게끔 배열되는데, 실질적으로 스크린 도트의 일측변의 길이와 일치하고 상기 슬롯은 롤러(63)의 회전축에 대해 평행을 이룬다. 두 스크리닝 장치(61, 62) 사이에는 상기 슬롯위에 펼쳐질 층(4)에 존재하는 얇은 평행 전극들이 삽입되는데, 상기 층은 스크린 도트들간의 간격과 일치하는 공극을 갖는다. 층(4)내의 전극들은 신호 처리 장치(도시면에 도시되지 않았음)를 통해 스크리닝 장치(62)의 내부에서 케이블(64)에 접속된다.
슬롯(S)과 전극으로부터 떨어진 곳에 스테핑(stepping) 전동기를 사용하여 용지를 단계적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케이블(64)에 접속된 전술한 제어 유닛으로 전극들의 전위를 제어하여 스크린 도트행을 동시에 현상시킬 수가 있다. 이로인해 전극은 용지(3)의 후방부에 삽입시켜야 한다(입자 캐리어로부터 볼수 있음). 이 전극은 롤러(65)처럼 설계될 수도 있고, 용지(3)를 진공력 또는 정전력으로 용지의 외피에 부착시킨다. 슬롯의 정면에서 용지(3)를 운반하는 롤러(65) 또는 타 장치는 안료 입자들을 흡인하는 전압에 접속되어야 한다.
제12a도 및 제12b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도시된 장치는 조작자에게 텍스트 및/또는 그래픽을 보여주기 위한 장치인 것이다. 대부분의 이러한 장치는 가시용 스크린 또는 디스플레이 유닛으로서 사용된다. 본 실시예가 전술한 실시예와 다른점은 안료 입자가 기록 부재에 영구적으로 부착되는 것을 절대로 허락하지 않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의 기록 부재는 전극 유닛(12)의 매끄러운 표면, 예컨대 연마 처리된 백색 코팅부 그러나 약간은 안료 입자를 결합시킬거라고 의심할 수 있는 코팅부로 구성된다. 또한, 이 장치는 고속의 현상 처리를 요구하므로 기록 부재와의 관련 이동이 가능한 입자 캐리어를 사용하는 전통적인 방법을 항상 사용할 수 없다. 제12a도는 전극 유닛(12) 표면상의 기록 부재가 투과성이 양호한 안료입자 함유 분위기(67)에 노출되는 것을 기초로 하는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원하는 분위기(67)를 얻기 위하여 기록 부재 전방의 프레임(66)과 유리 페인(69)으로 스페이스를 한정한다. 전극 유닛(12)은 제4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이로인해 분위기(67)의 안료 입자를 원하는 패턴 구조(11)로 모으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적절히 선택한 반발 전압을 전극 수단내의 해당 전극들에 접속시키는 것에 의해 조기에 현상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이로인해 안료 입자들은 분위기(67)로 방출될 것이다. 투과성을 육안으로 확인하는 동시에 분위기(67)내에 입자를 균일 배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입자들이 서로 반발력을 갖도록 대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예컨대 "ITO"-IN2O3(SnO2)-라는 투명한 도전층을 가진 유리층(69)을 제공하고 이것과 프레임(66)을 입자들에 대한 반발 작용하는 전압에 접속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분위기(67)은 접속 장치(68)를 통해 순환이 유지되어야 하고 적합한 노즐(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음)을 통해 기록 부재 전방의 스페이스에 삽입되어야 한다.
제13a도 내지 제13c도와 제14a도 내지 제14c도는 본 발명을 토대로한 프린트 카트리지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본 장치는 수명의 한계성 및 토너 오염 위험성을 고려한 디스포잘 카트리지를 상업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동기를 부여한다. 이 카트리지의 수명은 내재된 토너량(통상 400카피)의 수명과 일치한다. 이러한 원리는 레이저 프린트 그리고 복사기에 있어서 일반적인 것이다. 만약 이 원리가 본 발명에 적용되게되면 이 카트리지에 관련된 모든 부품을 저렴하게 처리할 수 있다. 예컨대, 비전자류 및 드라이버 IC들은 본 카트리지에 내재될 수 있도록 추천할만하다. 이것은 각 전극이 프린터의 콘트롤러 인터페이스에 개별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수동 저속을 위한 복수핀 접속기(74)를 설계했을 때 전극수 예컨대, 각 카트리지의 핀수를 최적화할 수 있다.
최종 프린트된 도트 피치보다 큰 전극 피치를 얻기 위한 한 방법은 횡방향 네트가 없는 비정렬 개구 패턴을 사용하는 것이다. 용지의 이동 방향에 대해 주사하는 방식으로 전극을 조절하므로써 최종 프린트에서 인접한 두 도트가 동시에 프린트 되지 않게 한다. 이러한 제어는 도트 트랙킹(tracking)제어라 한다. 제13c도는 프린트 슬롯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흑색 사각형(t1-t8)으로 이루어진 라인은 용지상에서 수평 라인의 도트(10b)를 나타낸다. 인접한 두 도트 예컨대, t5, t6는 상기 용지를 1개구 피치를 가진 실제의 용지 속도로 이동시키는데 소요되는 시간내에 프린트된다. 흑색 사각형(10a)은 도트가 프린트되는 실제의 개구 위치를 나타낸다. 이 실시예(제13c도)에서 프린트 슬롯은 수직 전극수를 8로 줄이는 8도트폭을 갖는다. 인치당 200도트의 A4 크기 프린터에 대한 전형적인 값은 수평 라인당 1666도트이다. 제13c도에 도시된 전극 구조를 사용했을 때, 전극의 총수를 217개로 줄일 수 있다.
제13a도의 카트리지는 8개구 폭(S) 프린팅 슬롯(73)을 갖는다. 용지(3)는 롤러 형태의 후부 전극(65)에 의해 프린팅 슬롯(73)을 거쳐 전송된다. 용지와 전극간의 간극(C)은 프린팅 슬롯(73)의 일측부를 구성하는 활주 연부에 의해 안정화된다. 이러한 구조는 제13b도에 도시되어 있다.
만약 비처분 프린트 유닛(70)이 바람직하다면 카트리지내에 크리닝 장치를 결합시키는 것이 적절하다. 제14a도 내지 제14c도는 입자 캐리어 롤러(63)에 동심의 전극(9')을 결합시킨 해결책을 도시하고 있다. 각 전극(9')은 이 전극(9')들간에서 계곡을 형성하는 절연부재(76)에 의해 지지된다. 각 계곡저부에 동심의 도전층이 표준형 입자 캐리어 롤러의 도전 특성을 대체하기 위해 제공된다. 롤러(63)에서의 토너(2)양을 적정하게 유지하는 블레이드(79)는 홈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크리닝 블레이드(77)는 롤러가 회전할때 전극 표면의 오염 방지를 확보하도록 고정되어 있다. 각 전극(9')과의 갈바니 접속은 슬라이딩 브러쉬(78) 또는 내부 회전 접속기로 이루어진다. 시일드들(61, 62)은 거리를 두고 배열되므로 반발 전압이 오염에 무관한 상기 유닛의 동작을 보장하도록 공급된다.
제15도는 본 발명의 프린팅 속도를 증가시키는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전극들(8, 9)과 입자 캐리어 롤러(63)간에 직렬 접속의 AC전력(31) 및 제어 전압을 공급함으로써 상기 롤러(63)로부터 상기 용지(3)로 각 토너 입자(2)를 전송하고 떼어내기 위한 임계 전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전형적 바이어스 전압값은 2 내지 5KHz 주파수 범위에서 500 내지 200V의 피크 대 피크 전압이다. 수백 볼트의 AC의 중간값을 오프셋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금속성 도선들로 구성된 매트릭스를 가진 전술한 실시예들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따라서 전극 매트릭스의 구조는 도선, 반도체 또는 저항성 및 도전성의 활성화 물질 가스나 유체(본 발명의 범위내)로 구성될 수 있다. 도선은 전계에 대해 스크린으로서 작용하기 때문에 상기 매트릭스의 다른 물질을 결합할수도 있고 이 스크린의 도전성은 상기 전계로부터의 스크리닝 목적에 적합하다. 따라서 액정으로 구성된 중간층은 즉, 인터럽트될 수 있는 상기 전기 접점이 전극층간에 제공된다. 전극 유닛(12)의 어느곳에 층을 결합시키는 것도 바람직한데, 이 결합의 목적은 전극의 주사 순서에 대한 반복적 전위 변화에 의해 야기된 전계 맥동화를 균일하게 하는 것이다.

Claims (14)

  1. 입자 캐리어(1, 67)와, 후부 전극(6, 65)과, 입자 캐리어(1, 67)와 후부 전극(6, 65)간에 배치된 전극 수단(19)을 구비하며, 기록 부재(3)는 입자 캐리어(1, 67)와 후부 전극(6, 65) 사이의 적소에 위치하며, 상기 전극 수단(19)은 다수의 개구(20)를 형성하며, 상기 개구는 전극 수단(19)에 가해진 영상 정보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정전적으로 선택 개폐작용을 하며, 이것에 의해 입자 캐리어(1, 67)로부터의 안료 입자(2)가 기록 부재(3)으로 이송되도록 하는 현상 장치를 사용하여, 전기 신호로부터 전하 잠상 패턴을 생성하고 그 잠상 패턴을 안료 입자(2)에 의해 기록 부재(3)상에 현상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캐리어 정전계(15, 17)를, 후부 전극(6, 65)방향으로 기록 부재(3)에 입자 캐리어(1, 67)로부터의 안료 입자(2)를 이송시키도록 입자 캐리어(1, 67)와, 후부 전극(6, 65) 사이의 공간에 형성시키는 단계와, 상기 캐리어 정전계(15, 17)의 통과를 위한 상기 개구(20)를, 전극 수단(19) 및 입자 캐리어(1, 67)과 후부 전극(6) 사이의 공간에 각각 제어 정전계(16, 18, 21)를 형성시킴에 따라 적어도 부분적으로 개방 및 폐쇄시키는 단계와, 그리고 상기 제어 정전계(16, 18, 21)를 전극 수단(19)에서 입자 캐리어(1, 67)로, 전극 수단(19)에서 후부 전극(6, 65)으로 연장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전기 신호로부터 전하 잠상 패턴을 생성하고 그 잠상 패턴을 안료 입자(2)에 의해 기록 부재(3) 상에 현상시킴에 있어서, 입자 캐리어(1, 67)와, 후부 전극(6, 65)과, 입자 캐리어(1, 67)와 후부 전극(6, 65)간에 배치된 전극 수단(19)을 구비하며, 기록 부재(3)는 입자 캐리어(1, 67)와 후부 전극(6, 65) 사이의 적소에 위치하며, 상기 전극 수단(19)은 다수의 개구(20)를 형성하며, 상기 개구는 전극 수단(19)에 가해진 영상 정보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정전적으로 선택 개폐 작용을 하며, 이것에 의해 입자 캐리어(1, 67)로부터의 안료 입자(2)가 기록 부재(3)으로 이송되도록 하는 현상 장치에 있어서, 입자 캐리어(1, 67)와 후부 전극(6, 65) 사이에 직접 캐리어 정전계(15, 17)를 형성시키도록 입자 캐리어(1, 67)와 후부 전극(6) 각각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압원에 접속되며, 전극 수단(19)는, 상기 캐리어 정전계(15, 17)를 위한 개구(20)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개방 및 폐쇄시키는 전압을 생성시키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압원에 제어 유닛(30)을 통해 접속되어 있는 전극(8, 9)로 구성되며, 이로 인해 제어 전계(16, 18, 21)가 전극 수단(19)에서 입자 캐리어(1, 67)로, 전극 수단(19)에서 후부 전극(6, 65)으로 형성되도록 상기 개구(20)는 폐쇄되며, 그리고 상기 전극 수단(19)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크린상 혹은 격자상으로 형성된 전극 매트릭스(4, 5)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전극 매트릭스(4, 5)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층 또는 일방향은 제어 전계(16, 18, 21)를 형성하기 위해 후부 전극(6, 65) 및 입자 캐리어(1, 64)와 협동하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수단(19)은 서로 절연되고 각 층에서 평면으로 평행하게 배열된 다수의 와이어형 전극을 가진 적어도 2개층(4, 5)과 협동하며, 하나의 층(4)내의 와이어형 전극들은 나머지 층(5)의 전극들과 임의의 각도로 교차되고, 각 개별 전극은 제어 유닛(30)에 의해 방출된 제어 신호에 따라 스위치기어(7)에 의해 서로 독립된 적어도 두 전압원에 선택적으로 접속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각 개별 전극의 전위는 상기 제어 유닛(30)에 의해 방출된 제어 신호 즉, 원하는 패턴 구조와 일치하는 신호에 따라 각 통로의 크기 및 위치를 가변시키기 위해 구동 유닛에 의해 선택적으로 제어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기록 부재(3, 69)는 전극 매트릭스(4, 5)와 입자 캐리어(1)간에 배치되고, 상기 전극 매트릭스(4, 5)의 타측은 입자 캐리어(1)를 대향하게 되고, 캐리어 전계(15, 17)는 상기 매트릭스를 통과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 처리는 육안으로 볼 수 있는 투과성인 안료 입자 함유 분위기(67)에 놓인 기록 부재상에 안료 입자(2)들을 집중시키는 것에 의해 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매트릭스(4, 5)는 기록 부재상에 집중된 안료 입자들을 거부하도록 배열되어 이 안료 입자들을 주변 분위기(67)로 복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릭스(4)는 1행으로 이루어지고, 서로 절연된 적어도 2개의 와이어형 평행 전극과 안료 입자용 컨베이어(63)를 전부 또는 일부를 둘러쌀 수 있도록 배치된 적어도 2개의 스크리닝 장치(61, 62)와 협동하며, 상기 스크리닝 장치들은 이들 사이에 전극 매트릭스(4)를 제공할 수 있는 슬롯을 형성하게끔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3항에 있어서, 전극 매트릭스(4, 5)내의 임의 전극들은 가열 소자로서의 기능도 가지며 또는 이러한 가열 소자들은 매트릭스에 별도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2항에 있어서, 전극 매트릭스(4, 5)는 기록 부재의 전달 방향에 있어서 행수가 아주 작은 매트릭스 통로로 제한되고, 상기 전극 매트릭스(4, 5)에 적어도 한 개의 후부 전극(65)으로부터 입자 캐리어(1, 63)를 스크린 오프하는 스크리닝 장치(61, 62)내의 슬롯(S)이 제공되고, 전극 수단의 전극들(4, 5)에 대한 공급 제어는 슬롯(S) 전방의 기록 부재(3)의 전달 속도에 대해 이루어지고, 전극 수단의 선형 와이어 패턴은 직각이 아닌 다른 각도로 서로 교차하도록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제2항에 있어서, 전극 수단은 실린더(63) 형상이며 전극(9')은 홈에 의해 이격 배치된 동심의 환형 돌출부이고, 홈들은 동심의 도전층(75)으로 제공되며 이 도전층은 입자 캐리어의 일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제2항에 있어서, 와이퍼 부재(79)와 클리닝 수단(77)은 환형전극(9')들간에 놓인 원통형 전극 매트릭스(63)의 홈에 위치되거나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제2항에 있어서, 전극들(8, 9, 63)은 제어 전류와 직렬인 교류전류에 접속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19890701505A 1987-12-08 1988-11-30 전하 잠상 패턴의 생성 방법 및 그 방법을 실행하는 장치 KR9500089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E8704883A SE459724B (sv) 1987-12-08 1987-12-08 Saett och anordning foer att framstaella ett latent elektriskt laddningsmoenster
SE8704883-1 1987-12-08
PCT/SE1988/000653 WO1989005231A1 (en) 1987-12-08 1988-11-30 A method for producing a latent electric charge pattern and a device for performing the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700296A KR900700296A (ko) 1990-08-13
KR950008987B1 true KR950008987B1 (ko) 1995-08-10

Family

ID=203705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701505A KR950008987B1 (ko) 1987-12-08 1988-11-30 전하 잠상 패턴의 생성 방법 및 그 방법을 실행하는 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5036341A (ko)
EP (1) EP0390847B1 (ko)
JP (1) JPH0630901B2 (ko)
KR (1) KR950008987B1 (ko)
CN (1) CN1016906B (ko)
AU (1) AU2824889A (ko)
DE (1) DE3884814T2 (ko)
RU (1) RU2057028C1 (ko)
SE (1) SE459724B (ko)
WO (1) WO198900523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8902090D0 (sv) * 1989-06-07 1989-06-07 Array Printers Ab Saett att foerbaettra utskriftsprestanda foer skrivare samt anordningar foer genomfoerande av saettet
SE464694B (sv) * 1989-09-26 1991-06-03 Array Printers Ab Anordning vid skrivare innefattande ett elektrodsystem bestaaende av en raster- eller gallerformad matris foer styrd genomslaeppning av pigmentpartiklar
US5374949A (en) * 1989-11-29 1994-12-20 Kyocera Corporation Image forming apparatus
DE4038085C2 (de) * 1989-11-29 2002-09-19 Kyocera Corp Drucker mit direkter elektrostatischer Tonerbilderzeugung
SE464284B (sv) * 1990-01-03 1991-04-08 Array Printers Ab Saett att eliminera korskoppling mellan svaertningspunkter vid skrivare samt anordning foer genomfoerande av saettet
EP0604420B1 (en) * 1991-09-20 1996-12-04 Indigo N.V. Method and apparatus for direct printing of images
JPH05177866A (ja) * 1992-01-07 1993-07-20 Sharp Corp 画像形成装置
JPH05318812A (ja) * 1992-05-19 1993-12-03 Brother Ind Ltd 画像形成装置
US5508723A (en) * 1992-09-01 1996-04-16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Electric field potential control device for an image forming apparatus
JPH06255161A (ja) * 1993-03-02 1994-09-13 Brother Ind Ltd 記録装置
JP3271816B2 (ja) * 1993-03-09 2002-04-0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5523777A (en) * 1993-05-10 1996-06-04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Aperture electrode with overlying charge member
JPH06320781A (ja) 1993-05-14 1994-11-22 Brother Ind Ltd 画像形成装置
US5515084A (en) * 1993-05-18 1996-05-07 Array Printers Ab Method for non-impact printing utilizing a multiplexed matrix of controlled electrode units and device to perform method
JP3276716B2 (ja) * 1993-05-31 2002-04-2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H06336049A (ja) * 1993-05-31 1994-12-06 Brother Ind Ltd 画像形成装置
JPH0740580A (ja) * 1993-07-28 1995-02-10 Brother Ind Ltd 画像形成装置
JPH0740579A (ja) * 1993-07-28 1995-02-10 Brother Ind Ltd 画像形成装置
JPH0752443A (ja) * 1993-08-19 1995-02-28 Brother Ind Ltd 画像形成装置
JPH0761023A (ja) * 1993-08-30 1995-03-07 Brother Ind Ltd 画像形成装置
JP3316052B2 (ja) * 1993-10-22 2002-08-1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H07117265A (ja) * 1993-10-25 1995-05-09 Brother Ind Ltd 画像形成装置
JPH07125297A (ja) * 1993-11-01 1995-05-16 Brother Ind Ltd 画像形成装置
JP3417625B2 (ja) * 1993-11-04 2003-06-1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H07128898A (ja) * 1993-11-04 1995-05-19 Brother Ind Ltd 画像形成装置
JPH07137330A (ja) 1993-11-12 1995-05-30 Brother Ind Ltd 画像形成装置
JPH07178954A (ja) * 1993-12-24 1995-07-18 Brother Ind Ltd 画像形成装置
US5606402A (en) * 1993-12-27 1997-02-25 Sharp Kabushiki Kaisha Electrostatic image former with improved toner control grid
JP3274761B2 (ja) * 1994-03-02 2002-04-1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5666147A (en) * 1994-03-08 1997-09-09 Array Printers Ab Method for dynamically positioning a control electrode array in a direct electrostatic printing device
JPH07256918A (ja) * 1994-03-28 1995-10-09 Brother Ind Ltd 記録装置
JPH07304206A (ja) * 1994-05-16 1995-11-21 Brother Ind Ltd 画像形成装置
JPH07309028A (ja) * 1994-05-17 1995-11-28 Brother Ind Ltd 画像形成装置
JP3313883B2 (ja) * 1994-05-26 2002-08-1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3255332B2 (ja) * 1994-07-12 2002-02-1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H0834136A (ja) * 1994-07-22 1996-02-06 Brother Ind Ltd 画像形成装置
JPH0858140A (ja) * 1994-08-19 1996-03-05 Brother Ind Ltd 画像形成装置
SE503955C2 (sv) * 1994-09-19 1996-10-07 Array Printers Ab Metod och anordning för matning av tonerpartiklar i en printerenhet
SE503634C2 (sv) * 1994-09-19 1996-07-22 Array Printers Ab Metod och anordning i en skrivare
JP3258501B2 (ja) * 1994-09-29 2002-02-1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5801729A (en) * 1994-09-30 1998-09-01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device with aperture electrode body
JP3053340B2 (ja) 1994-10-31 2000-06-19 シャープ株式会社 現像装置
JP3290830B2 (ja) * 1994-11-09 2002-06-10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01509744A (ja) * 1994-12-15 2001-07-24 アライ プリンターズ アクティエボラーグ パウダ粒子を直接付着させるシリアル印刷システム
US5818480A (en) * 1995-02-14 1998-10-06 Array Printers Ab Method and apparatus to control electrodes in a print unit
JPH08310035A (ja) * 1995-05-16 1996-11-26 Brother Ind Ltd 画像形成装置
US5988794A (en) * 1995-06-09 1999-11-23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Aperture electrode assembly for an image forming device
US5717449A (en) * 1995-07-06 1998-02-10 Hewlett-Packard Company Toner projection printer with improved address electrode structure
US5654745A (en) * 1995-07-06 1997-08-05 Hewlett-Packard Company Toner projection printer with capacitance-coupled address electrode structure
US5867191A (en) * 1995-07-06 1999-02-02 Hewlett-Packard Company Toner projection printer with means to reduce toner spreading
DE69513648T2 (de) * 1995-07-14 2000-06-15 Agfa Gevaert Nv Druckkopfstruktur zur Anwendung in einer DEP Vorrichtung
JPH0952383A (ja) * 1995-08-11 1997-02-25 Ito Communication Ltd 粉体飛翔式記録装置
JPH0971000A (ja) * 1995-09-06 1997-03-18 Brother Ind Ltd 記録用電極
US6000786A (en) * 1995-09-19 1999-12-14 Array Printers Publ. Ab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dual print zones to enhance print quality
US5825384A (en) * 1995-09-22 1998-10-20 Sharp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means for controlling the flight of toner or visualizing particles in accordance with an image signal
SE506483C2 (sv) 1996-03-12 1997-12-22 Ito Engineering Ab Tryckverk av toner-jet typ
SE506484C2 (sv) 1996-03-12 1997-12-22 Ito Engineering Ab Tryckverk av toner-jet-typ med elektriskt skärmad matris
US5847733A (en) * 1996-03-22 1998-12-08 Array Printers Ab Publ. Apparatus and method for increasing the coverage area of a control electrode during direct electrostatic printing
US5971526A (en) * 1996-04-19 1999-10-26 Array Printers Ab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cross coupling and dot deflection in an image recording apparatus
US5818490A (en) * 1996-05-02 1998-10-06 Array Printers Ab Apparatus and method using variable control signals to improve the print quality of an image recording apparatus
US5880760A (en) * 1996-06-06 1999-03-09 Agfa-Gevaert Method and device for printing information on substrates having security features
US5774159A (en) * 1996-09-13 1998-06-30 Array Printers Ab Direct printing method utilizing continuous deflection and a device for accomplishing the method
JPH1097093A (ja) * 1996-09-24 1998-04-14 Brother Ind Ltd トナー及び画像形成装置
US5956064A (en) * 1996-10-16 1999-09-21 Array Printers Publ. Ab Device for enhancing transport of proper polarity toner in direct electrostatic printing
US5966152A (en) * 1996-11-27 1999-10-12 Array Printers Ab Flexible support apparatus for dynamically positioning control units in a printhead structure for direct electrostatic printing
US5889542A (en) * 1996-11-27 1999-03-30 Array Printers Publ. Ab Printhead structure for direct electrostatic printing
US5959648A (en) * 1996-11-27 1999-09-28 Array Printers Ab Device and a method for positioning an array of control electrodes in a printhead structure for direct electrostatic printing
US5984456A (en) * 1996-12-05 1999-11-16 Array Printers Ab Direct printing method utilizing dot deflection and a printhead structure for accomplishing the method
US6011944A (en) * 1996-12-05 2000-01-04 Array Printers Ab Printhead structure for improved dot size control in direct electrostatic image recording devices
US6102523A (en) * 1996-12-19 2000-08-15 Agfa-Gevaert Printer for large format printing using a direct electrostatic printing (DEP) engine
US6074112A (en) * 1996-12-19 2000-06-13 Agfa-Gevaert Printer for large format printing
KR100217999B1 (ko) * 1997-01-11 1999-09-01 윤종용 초음파를 이용한 잉크젯 프린터의 분사장치 및 방법
US6012801A (en) 1997-02-18 2000-01-11 Array Printers Ab Direct printing method with improved control function
US6033057A (en) * 1997-02-24 2000-03-07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device including toner supply unit for supplying toner particles to electrode array
EP0964790A1 (en) * 1997-03-10 1999-12-22 Array Printers Ab Direct printing method with improved control function
JP3461681B2 (ja) * 1997-03-19 2003-10-27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H10264434A (ja) * 1997-03-25 1998-10-06 Sharp Corp 画像形成方法および装置
JPH10329352A (ja) 1997-06-04 1998-12-15 Brother Ind Ltd 記録用電極体
US6017115A (en) * 1997-06-09 2000-01-25 Array Printers Ab Direct printing method with improved control function
US6132029A (en) * 1997-06-09 2000-10-17 Array Printers Ab Direct printing method with improved control function
JPH10337898A (ja) 1997-06-10 1998-12-22 Sharp Corp 画像形成装置
EP0895867A3 (en) 1997-08-07 1999-03-31 Agfa-Gevaert N.V. A device for direct electrostatic printing with an edge electrode and an AC-field on the surface of the toner delivery means
JPH1158810A (ja) * 1997-08-25 1999-03-02 Sharp Corp 画像形成装置及び方法
US6109731A (en) * 1997-10-20 2000-08-29 Agfa-Gevaert N.V. Device for direct electrostatic printing with a conventional printhead structure and AC-coupling to the control electrodes
US6102526A (en) * 1997-12-12 2000-08-15 Array Printers Ab Image forming method and device utilizing chemically produced toner particles
US6027206A (en) * 1997-12-19 2000-02-22 Array Printers Ab Method and apparatus for cleaning the printhead structure during direct electrostatic printing
US6086186A (en) * 1997-12-19 2000-07-11 Array Printers Ab Apparatus for positioning a control electrode array in a direct electrostatic printing device
US6257708B1 (en) 1997-12-19 2001-07-10 Array Printers Ab Direct electrostatic prin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ot position using deflection electrodes
US6209990B1 (en) 1997-12-19 2001-04-03 Array Printers Ab Method and apparatus for coating an intermediate image receiving member to reduce toner bouncing during direct electrostatic printing
US6070967A (en) * 1997-12-19 2000-06-06 Array Printers Ab Method and apparatus for stabilizing an intermediate image receiving member during direct electrostatic printing
US6030070A (en) * 1997-12-19 2000-02-29 Array Printers Ab Direct electrostatic printing method and apparatus
US6199971B1 (en) 1998-02-24 2001-03-13 Arrray Printers Ab Direct electrostatic printing method and apparatus with increased print speed
US6074045A (en) * 1998-03-04 2000-06-13 Array Printers Ab Printhead structure in an image recording device
US6174048B1 (en) * 1998-03-06 2001-01-16 Array Printers Ab Direct electrostatic printing method and apparatus with apparent enhanced print resolution
JP3594110B2 (ja) 1998-03-13 2004-11-24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6082850A (en) * 1998-03-19 2000-07-04 Array Printers Ab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print density in a direct electrostatic printing apparatus by adjusting toner flow with regard to relative positioning of rows of apertures
US6081283A (en) * 1998-03-19 2000-06-27 Array Printers Ab Direct electrostatic printing method and apparatus
US6102525A (en) * 1998-03-19 2000-08-15 Array Printers Ab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print image density in a direct electrostatic printing apparatus
JP3583287B2 (ja) 1998-05-07 2004-11-04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EP0965894B1 (en) 1998-06-15 2002-03-27 Array Printers Ab Direct electrostatic printing method and apparatus
EP0965455A1 (en) 1998-06-15 1999-12-22 Array Printers Ab Direct electrostatic printing method and apparatus
JP2000006460A (ja) 1998-06-22 2000-01-11 Sharp Corp 飛翔型画像形成装置
WO2001076880A1 (en) 2000-04-07 2001-10-18 Array Ab Direct printing device and method
WO2001003938A1 (en) * 1999-07-12 2001-01-18 Array Ab (Publ) Direct printing device and method
AU5744799A (en) 1999-09-02 2001-04-10 Array Ab Direct printing device and method
AU2000276974A1 (en) * 2000-09-28 2002-04-08 Array Ab Publ. Toner supply system, a toner delivery unit and an image forming apparatus for direct printing
TW526400B (en) 2000-10-12 2003-04-01 Jing-Yu Jou Control method for electrode of electrostatic printing apparatus and its structure
US6817701B2 (en) * 2001-08-28 2004-11-16 Seiko Epson Corporation Image forming apparatus
EP1300728B1 (en) 2001-09-26 2005-12-07 Seiko Epson Corporation Toner used in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6035704A (ja) * 2004-07-28 2006-02-09 Seiko Epson Corp 記録ヘッド、記録装置、及び、記録システム
US8190068B2 (en) 2005-03-04 2012-05-29 Canon Kabushiki Kaisha Developer supply container with mounting attitude regulation and drive receiving member rotation suppression features
KR20160130865A (ko) 2005-03-04 2016-11-14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현상제 공급 용기 및 현상제 공급 시스템
JP4347331B2 (ja) * 2005-11-08 2009-10-21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補給容器
EP2491462A1 (en) 2009-10-20 2012-08-29 OCE-Technologies B.V. Apparatus and method for mounting particles on a carrier
US8771802B1 (en) 2012-04-20 2014-07-08 Xactiv, Inc. Device and materials fabrication and patterning via shaped slot electrode control of direct electrostatic powder deposition
US11474447B2 (en) * 2018-12-17 2022-10-18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Liquid electro-photographic printing transfer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53065A (en) * 1969-10-22 1972-03-28 Clevite Corp Electrographic recording system with interleaved electrode groups
US3725950A (en) * 1969-11-17 1973-04-03 Bausch & Lomb Electrostatic printing apparatus
US3779166A (en) * 1970-12-28 1973-12-18 Electroprint Inc Electrostatic printing system and method using ions and toner particles
US4086088A (en) * 1976-03-25 1978-04-25 Addressograph Multigraph Corporation Imaging methods for use with charged particle modulator device
JPS57124367A (en) * 1981-01-26 1982-08-03 Canon Inc Image forming method and its device
CA1171130A (en) * 1981-02-18 1984-07-17 Shigemichi Honda Electrostatic printing apparatus
DE3233651C2 (de) * 1981-09-11 1985-03-14 Canon K.K., Tokio/Tokyo Druckvorrichtung
US4799070A (en) * 1986-03-26 1989-01-17 Olympus Optical Co., Ltd. Ion flow electrostatic recording process and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SE459724B (sv) 1989-07-31
SE8704883D0 (sv) 1987-12-08
CN1016906B (zh) 1992-06-03
AU2824889A (en) 1989-07-05
EP0390847B1 (en) 1993-10-06
US5036341A (en) 1991-07-30
JPH0630901B2 (ja) 1994-04-27
WO1989005231A1 (en) 1989-06-15
SE8704883L (sv) 1989-06-09
EP0390847A1 (en) 1990-10-10
KR900700296A (ko) 1990-08-13
DE3884814D1 (de) 1993-11-11
RU2057028C1 (ru) 1996-03-27
CN1036169A (zh) 1989-10-11
DE3884814T2 (de) 1994-04-14
JPH01503221A (ja) 1989-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8987B1 (ko) 전하 잠상 패턴의 생성 방법 및 그 방법을 실행하는 장치
US5515084A (en) Method for non-impact printing utilizing a multiplexed matrix of controlled electrode units and device to perform method
US4931839A (en) Transfer system for electrophotographic print engine
JP2733137B2 (ja) 静電印刷機の印刷品質と反復精度の改善方法および該方法を達成するための装置
US5818490A (en) Apparatus and method using variable control signals to improve the print quality of an image recording apparatus
EP0752317B1 (en) Toner projection printer with means to reduce toner spreading
US6081285A (en) Forming images on receivers having field-driven particles and conducting layer
JPH04211970A (ja) エレクトログラフィック・プリンタに於ける黒点間のクロスカップリングの除去装置
WO1995024675A1 (en) Method for dynamically positioning a control electrode array in a direct electrostatic printing device
CA1282107C (en) Flat comb-like scorotron charging device
US4591885A (en) Ion projection copier
US3623122A (en) Electric recording apparatus employing liquid developer
GB2042746A (en) Multiple Variable Light Source Photographic Printer
US5765073A (en) Field controlled plasma discharge printing device
EP066956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color image
US4142192A (en) Electrographic process and apparatus with recording after toning
JPH09204092A (ja) 画像記録装置および画像記録方法
US5083145A (en) Non-arcing blade printer
JP3068497B2 (ja) 直接印刷方法及び直接印刷装置
JPS59229578A (ja) カラ−画像表示方法
US4086088A (en) Imaging methods for use with charged particle modulator device
US5655184A (en) Ionographic printing with improved ion source
JPH10207222A (ja) 静電潜像の現像機構
JPH08220841A (ja) 印刷機及び帯電装置
US5742051A (en) Micro sized ion generat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723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