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1212B1 - 좌석미끄럼 장치 - Google Patents

좌석미끄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1212B1
KR950001212B1 KR1019920009391A KR920009391A KR950001212B1 KR 950001212 B1 KR950001212 B1 KR 950001212B1 KR 1019920009391 A KR1019920009391 A KR 1019920009391A KR 920009391 A KR920009391 A KR 920009391A KR 950001212 B1 KR950001212 B1 KR 9500012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ainer
rail
upper rail
seat sliding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093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21368A (ko
Inventor
야마무라 미쮸지
Original Assignee
푸지끼꼬 가부시끼가이샤
야마베 미찌히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3129885A external-priority patent/JP3044089B2/ja
Application filed by 푸지끼꼬 가부시끼가이샤, 야마베 미찌히꼬 filed Critical 푸지끼꼬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200213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213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12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121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30Parts of ball or roller bearings
    • F16C33/46Cages for rollers or needles
    • F16C33/54Cages for rollers or needles made from wire, strips, or sheet m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7Slide construction
    • B60N2/0702Slide construction characterised by its cross-section
    • B60N2/0705Slide construction characterised by its cross-section omega-shap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7Slide construction
    • B60N2/0702Slide construction characterised by its cross-section
    • B60N2/0715C or U-shap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7Slide construction
    • B60N2/0722Constructive details
    • B60N2/073Reinforcement members preventing slide dislo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좌석미끄럼 장치
제1도는 좌석미끄럼 장치의 종래예에 관한 수평방향의 단면도.
제2도는 좌석미끄럼 장치의 종래예에 관한 수직방향 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좌석미끄럼 장치의 도식적인 측면도.
제4도는 제3도의 IV-IV선에 따른 좌석미끄럼 장치의 단면도.
제5도는 제4도의 좌석미끄럼 본체(X)에 대응하는 부분확대 단면도.
제6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관한 좌석미끄럼 장치의 단면도.
제7도는 제6도의 좌석미끄럼 본체(Y)에 대응하는 부분확대 단면도.
제8도는 제7도의 단면으로 예시된 리테이너의 사시도.
제9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관한 좌석미끄럼 장치의 단면도.
제10도는 제9도에 단면으로 예시된 리테이너의 사시도.
제11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관한 좌석미끄럼 장치의 도식적인 측면도.
제12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리테이너의 사시도.
제13도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리테이너의 사시도.
본 발명은 자동차용 좌석의 미끄럼을 위한 좌석미끄럼 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충분한 휨강도를 가지며, 레일의 제작 생산성을 높이며 부품의 호환성을 달성할 수 있는 자동차의 좌석 활주를 위한 좌석미끄럼 장치의 개선에 관한 것이다.
통상의 좌석미끄럼 장치는 한 좌석에 설치되며, 이들 한쌍은 상호간에 좌석의 전후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열된다. 이 좌석미끄럼 장치는 한쌍의 레일로서 하부레일과 상부레일을 가진다. 하부레일이 차체상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며 상부레일은 좌석에 고정적으로 설치되고 하부레일과 롤링부재에 의하여 미끄러질 수 있게 연결된다.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종래의 좌석미끄럼 장치가 제1도에 표시되어 있으며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좌석미끄럼 장치가 제2도에 표시되어 있다.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좌석미끄럼 장치에 있어서는 자동차의 본체에 장착되는 하부레일은 U자형과 비슷한 단면을 가진 하부베이스(1a)와 하부베이스(1a)의 양 상단부에 구비되고 그곳에서 바깥으로 연장되어지는 한쌍의 하위플랜지(1b)를 갖추어 있다. 상부레일(2)은 좌석의 바닥면위에 직접 고정되거나 또는 지지부재를 거쳐서 좌석바닥면에 간접적으로 고정될 수 있으며 더욱이 상부레일(2)은 상부 본체(2a)를 가지며(이는 하부레일(1)의 개방단을 덮는다), 한쌍의 상부플랜지(2b)를 가진다. 이들 상부플랜지들(2b)은 상부본체(2a)의 양측단부에 구비하여 이 상부본체(2a)는 하향으로 연장되어 한쌍의 하부플랜지(1b)와 제1도의 표시와 같이 접속된다.
상부레일(2)은 하부레일(1) 내측에 구비되어진 로울러(3)에 의해 지지된다. 한쌍의 볼(4)이 위치할 공간은 하부플랜지(1b)와 연접된 상부플랜지에 의해 형성된다. 이들 볼(4)이 상부레일(2)이 가하는 견인력을 받으면 상부레일(2)은 하부레일(1)을 따라서 매끄럽게 미끄러진다.
더욱이, 볼(4)과 로울러(3)는 리테이너에 의하여 지지되어서, 이들 롤링부재들은 좌석미끄럼 본체(M) 안에서 움직이게 되고 이 좌석미끄럼 본체(M)은 상부레일(1)과 하부레일(2)에 의하여 구성된다. 상부레일과 하부레일로 구비된 좌석미끄럼 본체(M) 내부에 함께 움직인다.
제2도는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좌석미끄럼 장치를 나타낸다. 도면에서 하부레일(6)과 상부레일(7)은 수평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상술한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좌석미끄럼 장치와 직접 대조해 보면, 하부레일(6)은 상부레일(2)와 같은 구조를 갖고 상부레일(7)은 하부레일(1)과 같은 구조를 갖는다. 제2도의 로울러(3), 볼(4), 리테이너(5)등과 같은 나머지 부재들은 동일한 참조번호를 가지는 제1도와 대응된다. N은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좌석미끄럼 장치의 좌석미끄럼 본체를 나타낸다.
위에서 설명한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좌석미끄럼 장치의 경우, 상부레일(2)의 단면이 약간 직사각형 모양을 갖고 있으며 상부레일(2)의 수직길이가 수평길이보다 훨씬 짧기 때문에 상부레일(2)의 수평 휨 강도를 강화하도록 상부레일(2)의 판두께를 두껍게 할 경우 상부레일(2)는 무거워지며 가격 상승을 초래한다.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좌석미끄럼 장치의 경우 상부레일(7)의 수직길이는 상부레일(2)의 충분한 수직 휨 강도를 발생시킬만큼 넓게 한다.
그러나, 상부레일(7)의 수평넓이는 충분히 넓게 만들수 없으며, 상부레일(7)은 수평방향으로 상부레일(7)을 지지시킬 수 있는 어떠한 방법도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상부레일(7)의 수평방향의 강도는 충분치 못하게 되며, 따라서 흔들리는 상태로 이르게 되고 상부레일(7)은 하부레일(6)을 따라 부드럽게 미끄러질 수 없게 된다.
더욱이, 하부레일(1)의 구조가 상부레일(2)의 구조와 유사하지 않고 하부레일(6)의 구조가 상부레일(7)의 구조와 유사하지 않기 때문에, 하부레일(1,6)과 상부레일(2,7)을 형성할때 오차가 발생할 수 있으며, 하부레일(1)이 상부레일(2)의 안에서 잘 맞지 않거나 상부레일(7)이 하부레일(6)의 안에서 잘 맞지 않는 결과를 낳을 수 있다. 이런 상황에서 상부레일(2,7)은 하부레일(1,6)을 따라 부드럽게 미끄러질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도록 상부레일 수직,수평 휨 강도가 충분히 강해서 상부레일을 원활하게 미끄러질 수 있는 좌석미끄럼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목적은 상부레일이 하부레일에 적합하게 조정될 수 있어서 상부레일이 원활하게 미끄러질 수 있는 좌석미끄럼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부, 하부레일이 동일단면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하나의 형틀로서 상부, 하부레일을 동시에 제작할 수 있기 때문에 생산성의 향상 및 부품의 호환성을 도모할 수 있는 좌석미끄럼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상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아래의 좌석미끄럼 장치는 좌석에 고정되어 제3의 방향으로 연장되어 미끄럼 운동하는 평탄한 베이스부와, 두개의 측벽부와, 두개의 플랜지부로 이루어진 상부레일과; 차량동체에 고정되는 평탄한 베이스부와, 두개의 측벽부와, 두개의 플랜지부로 이루어진 하부레일과; 상기 상부레일과 하부레일 사이에서 롤링하며 제3의 방향으로 상기 하부레일을 따라 미끄럼 진행할 때 상기 상부레일을 지지하는 한쌍의 롤링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레일은 상기 제3의 방향에 대해 거의 직교되는 제1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두개의 측단을 갖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측단에서 제1의 방향과 제3의 방향에 대해 거의 지교되는 제2의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어 상기 베이스부에서 먼곳에 각각 단부를 갖는 측벽부와, 적어도 제1의 방향으로 상기 측벽부의 원단부에서 각각 연장되는 플랜지부로 한정되는 상부레일 단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레일은 상기 제1의 방향과 제2의 방향에 대해 상기 상부레일 단면과 동일한 하부레일 단면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와 하부레일은 상기 제3의 방향으로 결합되는 좌석미끄럼 본체를 형성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제1과 제2의 방향에 대해 단일 단면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단일 단면은 상기 제1의 방향의 제1길이와 제2의 방향의 제2길이는 거의 일치하며, 상기 상부레일의 플랜지부가 상기 제3의 방향으로 상기 하부레일의 플랜지부와 결합되며; 한쌍의 슬라이딩부는 상기 상부와 하부플랜지부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한쌍의 로울링부재는 상기 상부와 하부레일의 한쌍의 슬라이딩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내측에 구비되어 제3의 방향으로이동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좌석미끄럼 장치는 상·하부레일들이 실질적인 동일단면을 갖추며 좌석미끄럼 본체는 동일하게 한 일체식의 단면을 가지므로 상부레일의 충분한 수직·수평방향의 휨 강도를 달성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상부레일과 하부레일이 거의 동일한 단면으로 되어 있으므로 상부레일과 하부레일의 주조과정에서 발생되는 오차도 동일하게 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단면으로 이루어진 하나의 형틀로서 상부, 하부레일을 동시에 제작할 수 있으므로써 생산성 및 부품의 호환성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상부레일과 하부레일에 대하여 만족스럽게 조절가능해지고 이로써 오차의 발생으로 인한 흔들림을 방지하여, 그 결과 상부레일의 미끄럼 특성을 현저히 개선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이후 제3도-제11도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제3도-제5도는 본 발명의 첫번째 실시예를 예시한 것이다. 제3도-제5도에 있어서 제3도는 좌석미끄럼 장치의 도식적인 측면도를 예시한 것이다. 제4도의 좌석미끄럼 장치는 제3도의 IV-IV선을 따른 단면도를 예시한 것이다. 그리고, 제5도는 제4도의 좌측의 X부분(미끄럼 장치의 본체)에 상응하는 부분확대 단면도이다.
좌석미끄럼 장치는 하부레일(10)을 포함하며 차체상에 고정되어 설치되고, 상부레일(20)이 하부레일(10)에 미끄러질 수 있게 롤링부재에 의하여 연결되며 제3도와 같이 좌석상에 고정 설치된다.
제5도에서, X-X방향(즉, 도면상의 좌우방향)을 제1의 방향으로 명명하고, Y-Y방향(즉, 도면상의 상하방향)을 제2의 방향으로 명명하며, Z-Z방향(즉, 도면을 관통하는 앞뒤방향)을 제3의 방향으로 명명한다. 제1, 2와 3의 방향을 이후 설명에 적용한다.
제5도에 나타난 본 발명에 따르면 상부레일(20)은 평탄한 베이스부(21), 상기 베이스부의 양측단면에 구비되며 직각(제2의 방향)으로 연장되어진 한쌍의 측벽부(22,23)와 측벽부(22,23)의 양 끝단부에 구비되며 직각으로 제1의 방향으로 연장되어진 한쌍의 플랜지(24,25)(청구범위의 플랜지부임)으로 특징적으로 구성되어진다. 하부레일(10)은 특징적으로 위에서 설명한 상부레일(20)과 실질적으로 제1과 제2의 방향에 대하여 동일한 단면을 갖고 있다.
상부레일(20)과 하부레일(10)이 서로 연결되어 하나의 좌석미끄럼 본체(X)를 형성되어진다면, 이 좌석미끄럼 본체(X)는 단일한 단면을 갖는 것이 특징이며 이 단면은 수직길이(Lb)와 수평길이(La)가 제5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동일하다.
다음에 제1실시예에서 보다 상세한 구조를 설명한다.
차량의 좌석은 제3도와 같이 좌석쿠숀(45)과 좌석등판(55)를 포함한다. 한쌍의 베이스 플레이트(40)(제3도에서는 이것들중 하나만이 나타나 있음)은 좌석쿠숀(45)의 양측면에 배열되어 있다.
한쌍의 하부레일(10)은 차량의 바닥(50)에 전·후방향(즉, 제3의 방향)(방향은 제3도에서 한쌍의 화살표(F,R)로 나타냄)으로 서로 평행하게 고정되어 있다.
각 하부레일(10)은 바닥(50)에 붙어 있는 베이스부(11)과 상기 베이스부(11)의 양끝 측단부에 구비되고 또, 상기 베이스(11)부에 직각(제2의 방향)으로 뻗어 있는 한쌍의 측벽부(12,13)으로 구성된다. 이들 측벽부(12,13)는 각각 길이가 다르다.
더욱이 하부레일(10)의 한쌍의 하부플랜지(14,15)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 하부플랜지(14,15)는 측벽부(12,13)의 각 끝단에서 거의 직각(제1의 방향)으로 뻗어 있다. 즉, 한쌍의 하부레일(10)은 제4도와 같이 좌석의 측면방향으로 서로 대칭되게 평행하게 배열되어 있다.
한쌍의 하부레일(10)은 제4도와 같이 좌석의 측면방향으로 서로 대칭되게 평행하게 배열되어 있다.
또한, 한쌍의 상부레일(20)은 하부레일(10)과 실질적으로 같은 단면을 갖고 있는 한, 한쌍의 상부레일(20)들은 제4도와 같이 좌석의 측면방향(제3의 방향)으로 서로 대칭되게 평행하게 배열되어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각 상부레일(20)의 베이스부(21)는 좌석쿠숀(45)의 베이스 플레이트(40)에 고정되어 있다. 상부레일(20)은 하부레일(10)의 내부에 배열되어 있는 로울러(30)에 의하여 지지되어진다.
위에서 언급한 좌석미끄럼 본체(X)에서 한쌍의 볼(31)은 하부플랜지(14,15)와, 상부플랜지(24,25)의 사이에 배열되어 있으며 상부플랜지(24,25)는 하부플랜지(14,15)에 연접하여 있다. 제1실시예에서, 좌석미끄럼 본체(X)에 대한 단면도의 수평길이(La)와 수직길이(Lb)는 동일하다.
위와 관련해서, 제4도의 참조번호 60은 록장치를 나타내고, 참조번호 61은 작동레버를 나타낸다. 작동래버(61)을 포함하는 록장치(60)는 좌석미끄럼 장치의 본체(X)의 어느 한쪽에 장치되어지고, 작동레버(61)을 움직여서 록하거나 혹은 록을 해제할 수 있다.(이것의 상세한 조작은 생략한다.) 리테이너(35)는 좌석미끄럼 장치의 본체(X)의 내부에서 구비되어서, 로울러(30)과 볼(31)이 리테이너에 의해 좌석미끄럼 장치의 본체(X)내부에서 움직일 수 있다.
다음에는 제1실시예의 동작과 효과를 설명한다.
로울러(30)는 종래의 실시예와 같은 방법으로 좌석쿠션(45)를 통하여 상부레일(20)에 가해지는 하중을 지탱한다. 더욱이, 좌석미끄럼 본체 방향으로 상부레일(20)에 가해지는 견인력은 하부플랜지(14,15)의 상부플랜지(24,25)의 사이에 배열되어 있는 볼이 받게 된다.
이 제1실시예에서, 좌석미끄럼 본체(X)의 수평길이(La)와 수직길이(Lb)가 같기 때문에, 상부레일(20)의 수평길이보다 길 수가 있고, 상부레일(20)의 수직길이는 종래의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좌석미끄럼 장치에 상부레일의 길이보다 길수가 있다. 그러므로, 상부레일(20)은 충분한 수평 수직 휨 강도를 얻을 수 있다. 더욱이 상부레일(2)과 하부레일(10)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단면을 갖기 때문에 상부레일(20)과 하부레일(10)을 만들때 발생하는 오차도 동일하다. 결과적으로, 상부레일(20)은 하부레일(10)에 만족스럽게 조정될 수 있으며, 오차에 의해서 발생되는 흔들리는 상태를 피할 수 있게 된다. 결국, 상부레일(20)의 미끄럼 성능이 현저하게 개선될 수 있다.
제6-제8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이중 제6도는 제4도와 동일하게 좌석미끄럼 장치의 단면도를 예시한다. 제7도는 제6도의 왼쪽(Y)부분(즉, 좌석미끄럼 본체)에 상응하는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제8도는 리테이너의 투시도이다. 이 리테이너의 단면도는 제7도에 예시되어 있다.
하부레일(10)과 상부레일(120)은 평탄한 베이스부(111,112)과 두쌍의 측벽부(112,113 및 122,123)을 포함하고 있다. 이 두쌍의 측벽부(112,113 및 122, 123)은 각 베이스부(111,121)의 양측단에 구비되고 측벽부(112,113 및 122,123)의 양끝단에 구비되어진 두쌍의 상부플랜지(114,115 및 124,125)을 구성한다. 이들 두쌍의 상부플랜지(114,115 및 124,125)는 측벽부(112,113 및 122,123)에 각각 직각(제1의 방향)으로 뻗어 있으며 거기서 다시 직각(제2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더욱이, 하부플랜지(114,115)와 상부플랜지(124,125)의 쌍은 한쌍의 슬라이더(132)를 통하여 서로 맞물려서 한쌍의 슬라이딩부(133,134)를 형성한다. 또한 한쌍의 로울러 130A, 130B(본 발명 청구범위상의 롤링부재임)가 슬라이딩부(133,134)의 후면과 베이스부(111,121)의 사이에 배열되어 있다. (베이스부(111,121)는 상부레일(120)과 하부레일(110)의 베이스임) 이들 로울러(130A,130B)는 리테이너(135)에 의해 지지되고, 로울러(130A,130B)는 좌석미끄럼 장치의 본체 내측에서 함께 움직일 수 있다.
한쌍의 로울러(130A,130B)는 좌석미끄럼 장치의 본체(Y)의 내측에서 미리 지정된 간격(제1의 방향)으로 배열된다. 이 리테이너(135)는 S자 모양으로 구부러져 있으며 한쌍의 U자형부를 포함한다. 이 리테이너(135)는 U자형부에서 수평방향(제1의 방향)으로 돌출된 한쌍의 돌출부(135c,135d)와 U자형부내에 구비된 지지구멍(135a,135b)을 가지고 로울러(130A,130B)는 그곳에 끼워진다. 리테이너(135)는 한쌍의 돌출부(135c,135d)가 있기 때문에, 리테이너(135)의 수평 부분이 좌석미끄럼 장치의 본체(Y)에 지지될 수 있다.
스토퍼(어느 도면에도 나타나지 않았음)는 하부레일(110)과 상부레일(120)의 어느 한쪽에 구비되며 상부레일이 좌석의 전·후방(제3의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다.
다음에 제2실시예의 동작과 효과를 설명한다.
좌석쿠숀을 통해서 상부레일(120)에 가해지는 하중은 로울러(130A,130B)가 받게 된다. 상부레일(120)에 가해지는 견인력은 하부플랜지(114,112)와 상부플랜지(124,125) 사이에 구비된 한쌍의 슬라이더(132)가 받는다. 상부레일(120)은 로울러(130A,130B)에 의하여 양쪽 수평면에서 지지받기 때문에, 하중은 단지 상부레일(120)의 한쪽 수평면에만 가할지라도 상부레일(120)은 하중을 가해지는 쪽으로 기울어지고 굽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결국, 상부레일(120)은 하부레일(110)을 따라 부드럽게 미끄러질 수 있다. 더욱이, 로울러(130A,130B )의 수평길이가 가능한 좁아지게 할 수 있는 한 로울러(130A,130B)를 압연에 의해 주조할 수 있게 되어 종래의 상부레일의 가격에 비해 싼값으로 주조될 수 있다.
제9도-제10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3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이 도면들 중에서 제9도는 부분확대 단면도이다. 제10도는 리테이너의 투시도이고, 이 리테이너의 단면도는 제9도에 예시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한쌍의 로울러(230A,230B)에는 돌출축(236)이 있으며, 이 돌출축은 회전축 위치에서 측면부로부터 뻗어 나와서 상부 레일(220)과의 하부레일(212,213)과 측벽부(212, 213)과 (222,223)에 각각 접속되게 되어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좌석미끄럼 장치의 본체(Z)내의 로울러(230A,230B)의 수평운동을 안정하게 취할 수 있다. 리테이너(235)는 베이스부(235e)와 좌석미끄럼 본체(Z)에 수직방향(제1의 방향)으로 배치된 제10도에 보이는 두쌍의 돌출부(235f,235g)를 포함한다. 이 돌출부(235f,235g)는 베이스부(235e) 상부와 하부의 끝단에 위치하며 베이스부(235e)에 서로 직각 반대방향으로 구부러져 있다. 한쌍의 지지구멍(235n,235m)은 베이스부(231e)에 구비되고, 로울러(230A,230B)의 각 돌출축(236)의 한쪽이 지지구멍(235n,235m)에 각각 끼워 맞춰진다. 그것에 의하여, 로울러(230A,230B)는 좌석미끄럼 본체(Y)상에서 함께 전후방향(제3의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제3실시예에서는 로울러(230A,230B)의 돌출부(236)의 한쪽의 리테이너(235A)의 지지구멍(235n,235m)에 각각 끼워 맞춰지고, 그후에 이 로울러(230A,230B)와 리테이너(235)는 좌석미끄럼 본체(Z)내부에 함께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제2실시예에서는, 로울러(130A,130B)는 좌석미끄럼 장치의 본체(Y)의 내부에 배열한 후에, 리테이너(135)를 좌석미끄럼 본체(Y)의 내부에 배열하고, 그것에 의하여 로울러 (130A,130B)를 덮게 된다. 그러므로 제3실시예에서는 로울러(230A,230B)와 리테이너(235)를 조립하는 것은 현저하게 개선될 수 있으며 또한 간단하고 쉽게 되어진다.
제11도-제1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4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이 도면중에서 제11도는 좌석미끄럼 장치의 도식적인 측면도를 예시한 것이며, 제12도는 리테이너(335)의 사시도이다.
이 리테이너(335)는 리테이너(135)의 변형이다. 리테이너(135)와 동일하게, 리테이너(335)는 한쌍의 지지구멍(335a,335b)를 갖고 있지만, 지지구멍(335a,335b)의 위치가 변화되어서 좌석미끄럼 본체(Y)상의 로울러(130A)에 대해 로울러(130B)는 제11도에서와 같이 좌석미끄럼 장치의 본체(Y)내에서 로울러(130A)에 비해서 위쪽(제2의 방향)에 위치하며, 상부레일(120)이 미끄러지는 방향(제3의 방향)으로 로울러(130A)보다 바깥쪽에 위치시킨다. 즉, 로울러(130A)는 좌석미끄럼 장치의 본체(Y) 내부에서 로울러(130A)에 비하여 아랫쪽(제2의 방향)에 배열되어 있으며, 상부레일(120)이 미끄러지는 방향(제3의 방향)으로 로울러(130B)보다 안쪽에 위치한다. 이 로울러(130A,130B)의 상대적인 위치에 따라서, 리테이너(335)에서는, 위쪽에 배치된 로울러(130B)가 맞추어지는 지지구멍(335a)이 지지구멍(335b)보다 안쪽에 위치한다.
제4실시예에서는, 좌석미끄럼 장치의 본체(Y)의 내부에 자동차의 전·후방향(제3의 방향)으로 배열된 한쌍의 로울러(130B) 사이의 길이 L2가좌석미끄럼 장치의 본체(Y)의 내부에 배열되어 있는 한쌍의 로울러(130A) 사이의 길이 L2보다 클 수 있다. 그러므로 좌석미끄럼 장치의 본체 내부에서 이들 로울러(130A,130B)와 리테이너(335)를 좌석미끄럼 본체(Y)에 결합하는 것이 훨씬 개선되어질 수 있다.
제13도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리테이너의 사시도이다. 리테이너(434)는 한쌍의 지지구멍(435n,435m)을 가지며, 리테이너(235)의 변형이다. 위에서 설명한 제4실시예 리테이너(335)와 마찬가지로 위에서 설명한 리테이너(435)에서 상대적으로 높게 배치된 지지구멍(435n)은 상부레일(220)이 미끄러지는 방향(제3의 방향)에서 지지구멍(435m)보다 바깥쪽에 배치되어 제4실시예와 비슷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5)

  1. 좌석미끄럼 장치에 있어서, 좌석에 고정되어 제3의 방향으로 연장되어 미끄럼 운동하는 평탄한 베이스부(121 ; 221)와, 두개의 측벽부(122,123 ; 222,223)와, 두개의 플랜지부(124,125 ; 224,225)로 이루어진 상부레일(120 : 220)과; 차량동체에 고정되는 평탄한 베이스부(111 ; 211)와, 두개의 측벽부(112,113 ; 212,213)와, 두개의 플랜지부(114,115 ; 214,215)로 이루어진 하부레일(110 ; 210)과; 상기 상부레일(120 ; 220)과 하부레일(110 ; 210) 사이에서 롤링하며 제3의 방향으로 상기 하부레일(110 ; 210)을 따라 미끄럼 진행할 때 상기 상부레일(120 ; 220)을 지지하는 한쌍의 롤링부재(130A,130B : 230A,230B)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레일(120 ; 220)는 상기 제3의 방향에 대해 거의 직교되는 제1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두개의 측단을 갖는 베이스부(121 ; 221)와, 상기 베이스부(121 ; 221)의 측단에서 제1의 방향과 제3의 방향에 대해 거의 직교되는 제2의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어 상기 베이스부(121 ; 221)에서 먼곳에 각각 단부를 갖는 측벽부(122,123 ; 222,223)와, 적어도 제1의 방향으로 상기 측벽부의 원단부에서 각각 연장되는 플랜지부(124,125 ; 224,225)으로 한정되는 상부레일 단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레일(110 ; 210)은 상기 제1의 방향과 제2의 방향에 대해 상기 상부레일 단면과 동일한 하부레일 단면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와 하부레일(120,110 ; 220,210)은 상기 제3의 방향으로 결합되는 좌석미끄럼본체(Y ; Z)을 형성하고, 상기 본체(Y ; Z)는 상기 제1과 제2의 방향에 대해 단일 단면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단일 단면은 상기 제1의 방향의 제1길이와 제2의 방향의 제2길이는 거의 일치하며, 상기 상부레일(120 ; 220)의 플랜지부(124,125 ; 224,225)가 상기 제3의 방향으로 상기 하부레일(110 ; 210)의 플랜지부(114,115 ; 214,215)와 결합되며, 한쌍의 슬라이딩부(133,134 ; 233,234)는 상기 상부와 하부플랜지부(124,125,114,115 ; 224,225,214,215)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한쌍의 로울링부재(130A,130B ; 230A,230B)는 상기 상부와 하부레일(120,110 ; 220,210)의 한쌍의 슬라이딩부(133,134 ; 233,234)와 상기 베이스부(121,111 ; 221,211)의 내측에 구비되어 제3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 좌석미끄럼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리테이너(135)는 상기 좌석미끄럼 본체(Y)내에서 한쌍의 롤링부재(130A,130B)를 지지하도록 구비되며, 한쌍의 U자형부로 이루어진 S자형으로 굴곡되게 형성되어 제1의 방향으로 배열되며, 상기 리테이너(135)는 상기 롤링부재(130A,130B)가 끼워지도록 U자형으로 형성된 제1과 제2지지구멍(135a, 135b)을 구비하며, 상기 리테이너(135)는 제1의 방향으로 상기 U자형의 각 단에서 돌출되는 돌출부(135c,135d)를 구비하여 상기 좌석미끄럼 본체(Y)의 제1의 방향으로 리테이너(135)의 운동을 유지시키도록 하는 좌석미끄럼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리테이너(235)는 상기 좌석미끄럼 본체(Z)내에서 한쌍의 롤링부재(230A,230B)를 지지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리테이너(235)는 베이스부(235e)와 제1과 2지지구멍(235n,235m)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베이스부(235e)는 제2의 방향으로 배열되고, 상기 제1과 2지지구멍(235n,235m)은 상기 리테이너(235)의 상기 베이스부(235e)에 제2의 방향으로 배열되어, 상기 롤링부재(230A,230B)는 회전축 위치에 상기 롤링부재(230A,230B)의 측면에서 돌출되는 제1과 2돌출축(236)을 구비하며, 상기 제1돌출축(236)은 상부와 하부레일(220,210)의 측벽부(222,223)에 대해 인접하며, 상기 제2돌출축(236)은 상기 리테이너(235)의 지지구멍(235n,235m)에 끼워지도록 한 좌석미끄럼 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335 ; 435)의 상기 제1과 2지지구멍(335a,335b ; 435n,435m)가 제3방향으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는 좌석미끄럼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435)는 상기 제3의 방향으로 상기 본체(Z)의 제1과 2측단에 인접하게 각각 배치ehls 제1과 2리테이너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지지구멍보다 좌석에 근접하여 배치된 상기 제1의 리테이너부재의 지지구멍 중 하나가 상기 제2지지구멍에 제1측단에 근접하게 배치되고, 레일에 인접한 제2리테이너부재의 지지구멍중 하나가 강도가 높아 상기 상부레일의 원활한 이동을 할 수 있게 하는 좌석미끄럼 장치.
KR1019920009391A 1991-05-31 1992-05-30 좌석미끄럼 장치 KR9500012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2988391 1991-05-31
JP91-129885 1991-05-31
JP3129885A JP3044089B2 (ja) 1991-05-31 1991-05-31 シートスライド装置
JP91-129883 1991-05-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21368A KR920021368A (ko) 1992-12-18
KR950001212B1 true KR950001212B1 (ko) 1995-02-14

Family

ID=264651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09391A KR950001212B1 (ko) 1991-05-31 1992-05-30 좌석미끄럼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350148A (ko)
EP (1) EP0516546B1 (ko)
KR (1) KR950001212B1 (ko)
DE (1) DE69205625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60182A (en) * 1992-09-14 1995-10-24 Sextant Medical Corporation Tissue penetrating apparatus and methods
DE19521566B4 (de) * 1995-06-19 2008-07-10 C. Rob. Hammerstein Gmbh & Co. Kg Längsführung für einen Fahrzeugsitz mit zwei Schienen und zwischen diesen angeordneten Führungsmitteln
JPH0939618A (ja) * 1995-08-01 1997-02-10 Fuji Kiko Co Ltd シートスライド装置
DE19738383A1 (de) * 1997-09-03 1999-03-04 Johnson Controls Gmbh Sitzführung zur längspositionsverstellbaren Halterung eines Fahrzeugsitzes
SE515217C2 (sv) 1999-09-15 2001-07-02 Delaval Holding Ab Anordning för automatisk mjölkning av djur
US20030206669A1 (en) * 2000-07-13 2003-11-06 Smith Rodger G. Track assembly
GB2376411A (en) * 2001-06-12 2002-12-18 Autoliv Dev Arrangement of low friction means in seat rail unit
DE10206075A1 (de) * 2002-02-13 2003-11-13 Westfalia Profiltechnik Gmbh & Verstell- bzw. Schienensystem von Fahrzeugsitzen, Schubladen, Auszügen für Werkstattwagen oder dergleichen
DE20211090U1 (de) * 2002-07-23 2002-09-19 Keiper Gmbh & Co Längseinsteller für einen Fahrzeugsitz
KR200357471Y1 (ko) * 2004-02-23 2004-07-30 주식회사다스 자동차용 시트로킹장치의 로크가이드
DE102005005889B3 (de) * 2005-02-09 2006-08-24 Isringhausen Gmbh & Co. Kg Rollenführung für ein Fahrzeugsitz-Schwingsystem mit Scherenführung
JP5007160B2 (ja) * 2007-06-13 2012-08-22 シロキ工業株式会社 車両用スライドデッキ装置
US8556221B2 (en) 2010-11-08 2013-10-15 Taco Metals, Inc. Roller mount for seat
CN103298648B (zh) * 2010-12-30 2016-04-13 C.劳勃.汉默斯坦两合有限公司 适于机动车辆座椅的包括两对导轨的纵向调节装置
JP2013023039A (ja) * 2011-07-19 2013-02-04 Aisin Seiki Co Ltd シートスライド装置
JP7366824B2 (ja) * 2020-03-30 2023-10-23 株式会社クボタ 作業機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2962B2 (ko) * 1973-02-15 1978-05-06
ES226365Y (es) * 1977-02-11 1977-08-01 Dispositivo perfeccionado de deslizamiento para asientos de-lanteros de automoviles.
DE3030725C2 (de) * 1980-08-14 1984-08-16 C. Rob. Hammerstein Gmbh, 5650 Solingen Längsführung, insbesondere für Längsverstelleinrichtungen von Fahrzeugsitzen
US4458162A (en) * 1981-07-10 1984-07-0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TTL Logic gate
DE3143431A1 (de) * 1981-11-02 1983-05-11 C. Rob. Hammerstein Gmbh, 5650 Solingen Laengsfuehrung, insbesondere fuer laengsverstelleinrichtungen von fahrzeugsitzen
DE8132719U1 (de) * 1981-11-09 1982-08-19 C. Rob. Hammerstein Gmbh, 5650 Solingen Laengsfuehrung, insbesondere fuer laengsverstelleinrichtungen von fahrzeugsitzen
FR2567463B3 (fr) * 1984-07-12 1986-11-21 Renault Cage a galets pour glissieres de reglage de sieges de vehicules automobiles
US4588234A (en) * 1985-03-08 1986-05-13 General Motors Corporation Bearing assembly for seat slide structures
FR2595594B1 (fr) * 1986-03-11 1991-03-22 Tubauto Procede de fabrication d'elements de glissieres pour sieges de vehicules automobiles, nautiques, aeriens, etc. et machine pour la mise en oeuvre du procede
FR2597041B1 (fr) * 1986-04-09 1990-03-09 Peugeot Cycles Glissiere pour siege de vehicule automobile
JPS634842A (ja) * 1986-06-25 1988-01-09 Furukawa Electric Co Ltd:The プラズマ反応による超微粉体合成制御方法
DE3642441C1 (en) * 1986-12-12 1988-09-01 Audi Ag Rail and roller guide
JPH0788705B2 (ja) * 1988-10-19 1995-09-27 株式会社大林組 ドーム型屋根の開閉構造
JPH02258434A (ja) * 1989-03-31 1990-10-19 Aisin Seiki Co Ltd シートスライ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205625T2 (de) 1996-06-20
EP0516546B1 (en) 1995-10-25
US5350148A (en) 1994-09-27
KR920021368A (ko) 1992-12-18
DE69205625D1 (de) 1995-11-30
EP0516546A1 (en) 1992-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1212B1 (ko) 좌석미끄럼 장치
JP4986036B2 (ja) 車両用シートのスライド機構
EP1116624B1 (en) Vehicle seat slide device
US7828358B2 (en) Storable seat for vehicle
CN114080333B (zh) 车厢内的座位排列的变更结构
US3711056A (en) Seat-adjusting mechanism, especially for vehicle seats
US4722573A (en) Seat belt-equipped seat assembly
US6886797B2 (en) Seat track assembly
US5842383A (en) Seat slide mechanism for vehicles
JPH0911780A (ja) シートスライド装置
CN102725175A (zh) 座椅滑轨系统
CN111332163A (zh) 用于车辆的座椅滑动装置
JPS6310347Y2 (ko)
US6478280B2 (en) Seat sliding apparatus and resin slider
JPH066074U (ja) 自動車用シートのスライドレール固定構造
KR102450017B1 (ko) 이륜차용 슬라이딩형 짐받이 장치
JP2001113995A (ja) シートスライド装置のロック機構
JP2596984Y2 (ja) 自動車用シートスライド装置
JPH0423703Y2 (ko)
JP2001105936A (ja) シートスライド装置のレール体構造
JPH0645837U (ja) シートスライド装置
KR100323805B1 (ko) 자동차용시이트의슬라이더구조
JP2584273Y2 (ja) 車両用シートスライド装置
JPH0534431Y2 (ko)
JPH0332431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20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