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3805B1 - 자동차용시이트의슬라이더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시이트의슬라이더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3805B1
KR100323805B1 KR1019940036801A KR19940036801A KR100323805B1 KR 100323805 B1 KR100323805 B1 KR 100323805B1 KR 1019940036801 A KR1019940036801 A KR 1019940036801A KR 19940036801 A KR19940036801 A KR 19940036801A KR 100323805 B1 KR100323805 B1 KR 1003238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r
freely
slide rail
link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368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7437A (ko
Inventor
이노우에가쓰히로
쇼오다신이찌
니시모도신지
Original Assignee
후지타 아키라
데루타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35393693A external-priority patent/JPH07195966A/ja
Priority claimed from JP35360693A external-priority patent/JP3412894B2/ja
Application filed by 후지타 아키라, 데루타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타 아키라
Publication of KR9500174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74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38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3805B1/ko

Li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Abstract

자동차용 시이트의 슬라이더를 소형이고 값싼 다이로 성형할 수 있고, 시이트를 슬라이드 레일에 조립하면 록기구도 동시에 세트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슬라이더를 슬라이드방향에 대하여 2 분할된 제1, 제2슬라이더 절반부로 구성하고, 이 슬라이더 절반부를 서로 연결함과 동시에 양 슬라이더 절반부의 대향측 가장자리에는 가이드 가장자리를 형성하고, 가이드 가장자리의 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설치하여 고정판의 가이드홈을 이룬다. 슬라이드 레일에는 슬라이더를 슬라이딩이 자유롭게 지지하여, 이 슬라이더에 시이트 다리부분을 재치하여 연결한다. 슬라이더에는 록기구를 설치하고, 시이트 전후의 다리부분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면내에는 조작링크기구를 설치하여 록기구와 제휴시킨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시이트의 슬라이더 구조
본 발명은 자동차용 시이트의 슬라이더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 말하면, 슬라이더 록기구를 구비한 상자형 자동차 등에 있어서 시이트와 슬라이드 레일을 조립하면 록기구도 동시에 세트할 수 있도록 한 구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여러가지 용도로 이용할 수 있는, 이른바 상자형 자동차(화물겸용차)에 있어서는, 차실내를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여러가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예컨대, 후방측 스페이스의 전단에서 후단까지 길쭉한 슬라이드 레일을 연장하여 두고, 슬라이드 레일에 제1, 제2슬라이더를 슬라이딩(sliding)이 자유롭게 지지하여 제1, 제2슬라이더의 각각에 뒷좌석을 부착함과 동시에 각 슬라이더에 록기구를 설치하고, 그 고정판(lock plate)을 슬라이드 레일의 록구멍에 삽입시켜서 뒷좌석을 고정할 수 있도록 한 구조가 제안되어 있다. 이 구조에서는 뒷좌석을 임의의 위치에 설정할 수 있으므로, 접어개어 격납하여 넓은 하물실공간을 만든다거나, 혹은 전 평면화(full flat face 化)나 테이블화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차실내를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채용하였을 경우, 시이트와 길쭉한 슬라이드 레일은 물적유통상 조립상태에서 운반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각각으로 나누어서 운반하여 차체에 조립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상술한 슬라이더에 있어서는 록기구를 설치하는 관계상, 그 고정판의 슬라이드를 가이드하는 것이 요구된다.
그리하여, 제8도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더(7)에 가이드홈(72)을 설치하여 고정판(50)을 슬라이딩이 자유롭게 수납하는 구조나, 혹은 제8도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더(7)에 가이드판(73)을 부착하여 고정판(50)을 안내하는 구조가 제안되어 있다. 더욱이, 도면중에서 70은 지지판, 71은 로울러이다.
그러나, 상술한 슬라이더 구조의 제8도 (a), (b)에서는 시이트를 탑재하기 위하여 비교적 큰 슬라이더(7)를 일체가 되게 제작하고 있으므로 커다란 성형다이(forming die)를 필요로 하여, 형틀 비용이 비싸지게 된다고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 종래의 구조에서는 길쭉한 슬라이드 레일을 차체측에 부착하고, 이것에 시이트를 조립하여 보울트 등으로 고정한 다음, 다시금 시이트측에 장비된 조작레버와 록기구를 조작와이어 등으로 연결하는 작업이 필요하고, 조립작업이 대단히 번잡하였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에 비추어, 성형다이를 소형으로 할 수 있어 제조코스트를 저감함과 동시에, 시이트를 슬라이드 레일에 조립하면 록기구도 동시에 세트할 수 있도록 한 신규의 자동차용 시이트의 슬라이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관한 자동차용 시이트의 슬라이더 구조는, 차체 전후방향으로 뻗은 슬라이드 레일에 시이트를 슬라이더로 슬라이딩이 자유롭게 지지하여서 된 자동차용 시이트에 있어서, 슬라이더를 슬라이드방향에 대하여 2 분할된 제1, 제2슬라이더 절반부로 구성하고, 제1, 제2슬라이더 절반부를 서로 또는 연결부재로 연결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슬라이더 절반부는 그 일부 또는 전부를 서로 용접 등으로 연결하여도 좋고, 또 연결부재로 서로 연결하여도 좋다. 서로 연결하는 경우에는 겹쳐서 연결하여도 좋으나, 단부에 요철(凹凸)형상을 형성하여, 서로 맞물리게 하여 용접 등으로 연결하여도 좋다.
슬라이더에 록기구를 탑재하였을 경우, 제1, 제2슬라이더 절반부의 대향측 가장자리에 가이드 가장자리를 상하방향으로 연장하여 형성하고, 가이드 가장자리사이에는 일정한 간격을 설정하여 가이드홈으로 하고, 그 사이에 록기구의 고정판을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이 자유롭게 수납하는 것이 좋다.
록기구는 고정판을 구비한 것이라면 좋다. 예컨대, 제1 또는 제2슬라이더 절반부에 대략 수평방향으로 뻗은 요동아암의 대략 중앙을 요동이 자유롭게 연결하고, 요동아암의 일단부를 고정판의 상단부에 요동이 자유롭게 연결하며, 요동아암의 타단부를 상하조작함에 따라서 고정판을 고정(lock) ·해제(unlock) 조작할 수 있게 한 구조를 채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긴 슬라이더 록구조는, 차체 전후방향으로 뻗은 길쭉한 슬라이드 레일에 시이트를 슬라이딩이 자유롭게 지지하여 일정한 위치에 고정할 수 있게 한 자동차용 시이트에 있어서, 슬라이드 레일에는 슬라이더를 슬라이딩이 자유롭게 지지하고, 슬라이더에는 이것을 슬라이드 레일에 장착할 수 있는 록기구를 설치하는 한편, 슬라이더는 시이트 다리부분을 재치하여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시이트 전후의 다리부분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한 면내에는 록기구와 제휴되어서 이것을 해제(unlock) 조작하는 조작링크기구를 설치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슬라이더의 형상 또는 구조는 슬라이드 레일에 슬라이딩이 자유롭게 지지되고, 또한 시이트 다리부분을 재치하여 연결할 수 있는 것이면 특히 한정되어 있지 않다.
록기구는 슬라이더를 슬라이드 레일에 고정(lock)할 수 있는 것이면 좋으나, 제조작업이나 코스트면 등을 고려하면, 슬라이더에 슬라이드 레일의 록구멍에 맞물릴 수 있는 고정판을 상하 슬라이딩이 자유롭게 또한 하방에 가압하여 지지함과 동시에, 그 요동으로 고정판을 인상 조작하는 요동아암을 전후방향으로 연장하여 요동이 자유롭게 지지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작링크기구는 조작레버의 요동조작 등에 의하여 록기구를 해제 조작하는 것이면 좋다. 예컨대, 록기구가 상술한 구조의 경우에는, 시이트 다리부분의 연결부에 요동아암의 일단과 맞닿을 수 있는 내리누르는 제1링크를 상하 슬라이딩이 자유롭게 지지하여, 제1링크와 조작레버를 링크로 연결하여서 조작레버의 요동조작으로 제1링크를 하방 슬라이드 조작할 수 있다. 물론, 록기구의 요동아암에 상하방향으로 뻗은 부재를 설치하고, 이에 제1링크를 맞닿게 하여도 좋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슬라이더를 2개로 분할하여, 이것을 서로 또는 연결부재로 연결하도록 하였으므로, 작은 형틀로 성형할 수 있어, 형틀 비용은 그만큼 염가로 된다.
또, 슬라이더를 2 분할 형식으로 하였으므로, 가이드판을 사용함이 없이 슬라이더 절반부의 대향측 가장자리를 이용하여 고정판의 가이드홈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 시이트 다리부분의 연결부를 포함하는 면내에 해제 조작용의 링크기구를, 시이트 다리부분 하방의 슬라이더에 록기구를 설치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시이트 다리부분을 슬라이더에 재치하여 연결하면, 조작링크기구와 록기구가 동일 연직면에서 상하에 위치하여 양자를 서로 용이하게 제휴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에 나타낸 구체예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제7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용 시이트의 슬라이더 구조를 나타낸다. 제1도에 있어서, 상자형 자동차의 차실 바닥에는 뒷쪽(1)에 좌우 한쌍의 길쭉한 슬라이드 레일(2)이 전단에서 후단에 걸쳐서 전후방향으로 연장 설치되고, 이 길쭉한 슬라이드 레일(2)에는 제1, 제2뒷좌석(3)이 슬라이더(4)에 의하여 슬라이딩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뒷좌석(rear seat)(3)의 시이트 쿠션에는 제4도 및 제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략 4각 형상을 이루는 쿠션프레임(30)의 4 모서리에 파이프제 다리부분(31)이 하방으로 뻗어서 고정되고, 전후의 다리부분(31) 사이는 연결판(연결부)(32)에서 서로 연결되고, 또 다리부분(31)의 하단측에는 부착돌출편부(310)가 눌러 찌부러뜨려서 형성됨과 동시에, 하방으로 경사져서 이 부착돌출편부(310)에는 부착구멍이 개설되어 있다.
다른 한편, 슬라이더(4)는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면이 대략 역 L자 형상을 이루어 하단부의 선단 및 후단에는 로울러(40)가 회전이 자유롭게 부착되고, 상단부의 선단 및 후단에는 부착브래킷부(41)가 하방으로 경사져서 일체로 형성되고, 이 부착브래킷부(41)에는 부착구멍이 형성됨과 동시에 그 이면에 너트가 용접 등으로 고정되며, 이 슬라이더(4)의 부착브래킷부(41)상에는 다리부분(31)의 부착돌출편부(310)가 재치되어서 보울트(42)로 연결되어 있다.
슬라이드 레일(2)은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략 4각형 폐단면상(閉斷面狀)을 이루고, 이 슬라이드 레일(2)의 저면에는 록구멍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또 슬라이드 레일(2)의 상면벽 중앙에는 수납홈이 길이방향 전체 길이에 걸쳐서 형성되어서 슬라이드 레일(2)내에는 로울러(40)가 수납되고, 이에 따라서 제1, 제2뒷좌석(3)은 전후에 슬라이드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제2도 및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더(4)의 대략 중앙에는 상하방향의 가이드홈이 형성되어서 고정판(50)이 상하 슬라이딩이 자유롭게 수납되고, 또 슬라이더(4)에는 요동아암(51)이 전후방향으로 뻗어서 그 대략 중앙이 부착핀(510)으로 요동이 자유롭게 부착되며, 이 요동아암(51)의 후단측은 연결핀(53)으로 고정판(50)의 상단부에 연결되고, 요동아암(51)의 선단측에는 제휴핀(52)이 돌출되게 설치되어 있다. 또, 슬라이더(4)와 요동아암(51) 사이에는 고정판(50)을 하방으로 가압하는 코일스프링(54)이 긴장되게 설치되어서 고정판(50)은 슬라이드 레일(2)의 록구멍에 끼워넣도록 되어 있으며, 이와 같이 하여 슬라이더(4)를 슬라이드 레일(2)에 고정할 수 있는 록기구(5)가 구성되어 있다.
또, 제2도 및 제6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리부분(31) 사이의 연결판(32)에는 부착판(60)이 나사(600) 및 보울트(601)로 부착되고, 이 양 판(32),(60) 사이에는 내리누르는 제1링크(61)가 수납되어, 이 제1링크(61)는 그 가이드홈(610)에 부착판(60)측의 가이드핀(611)이 수납되어서 부착판(60)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이 자유롭게 지지되고, 이 제1링크(61)의 하단은 슬라이더(4)의 상단면의 긴구멍(450)을 삽통하여 요동아암(51)의 제휴핀(52)과 맞닿게 되어 제휴되어 있다.
상기 제1링크(61)의 상단에는 제3링크(62)의 일단이 부착핀(612)으로 요동이 자유롭게 연결되고, 이 제3링크(62)의 타단은 축(63) 단부에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끼워 맞춤되고, 이 축(63)은 시이트 폭받향으로 뻗어서 축받침(630)으로 부착판(60)에 요동이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다. 이 축(63)에는 조작레버(64)가 고정되고, 또 축(63)과 연결판(32) 사이에는 조작레버(64)를 하방으로 요동가압하는 코일스프링(65)이 긴장되게 가설되고, 이상과 같이 하여 록기구(5)와 제휴되어서 이것을 해제 조작하는 조작링크기구(6)가 구성되어 있다.
시이트의 다른편의 다리부분(31) 사이에도 같은 구조를 지닌 록기구가 설치되어 있고, 이 록기구는 상기 축(63)에 연결되어서 조작레버(64)에 의하여 조작되도록 되어 있다.
또, 부착판(60)에는 대략 역 L자 형상을 이루는 제2링크(66)가 요동이 자유롭게 핀연결되고, 이 제2링크(66)의 상단에는 긴구멍(660)이 형성되어, 이에 상기 부착핀(612)이 삽통되어서 제1링크(61)에 공통 연결되고, 또 제2링크(66)의 하단에는 조작와이어(661)가 연결되어서 이 조작와이어(661)는 시이트 후방에 연장 설치되어 있으며, 이와 같이 시이트 후방으로부터도 록기구(5)를 해제 조작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여기에서, 슬라이더(4)는 제7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2 분할된 제1, 제2슬라이더 절반부(45, 46)로 구성되고, 이 제1, 제2슬라이더 절반부(45, 46)는 상면을 상측 지지판(47), 아래 가장자리를 하측 지지판(48)으로 연결하고 있다. 이 제1, 제2슬라이더 절반부(45, 46)의 대향하는 측단부는 상하방향으로 뻗은 가이드 가장자리(451, 461)로 되어 있고, 양자 사이에는 일정한 간격이 열려 있어 고정판(50)을 상하 슬라이딩이 자유롭게 수납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있다.
뒷좌석(3)을 좌석사용범위(A)내의 희망하는 위치에 슬라이드시키면, 고정판(50)이 록구멍에 끼워 들어가 뒷좌석(3)이 고정되어, 주행중에 뒷좌석(3)이 뜻하지 않게 움직이는 일은 없으므로 안심하고 착석할 수 있다.
뒷좌석(3)을 다른 위치에 슬라이드시킬 경우, 조작레버(64)를 상방으로 요동시키면 제1링크(61)가 하방으로 슬라이드되어서 요동아암(51)을 요동시켜 고정판(50)이 록구멍에서 인상되어서 뒷좌석(3)의 고정이 해제되어 뒷좌석(3)을 앞뒤로 슬라이드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슬라이더 구조에서는 슬라이더(4)를 제1, 제2슬라이더 절반부(45, 46)로 2 분할하여, 이것을 지지판(47, 48)으로 연결하도록 하였으므로,제1, 제2슬라이더 절반부(45, 46)는 작은 성형다이로 성형할 수 있어, 형틀 비용은 그다지 비싸지지는 않는다.
또, 슬라이더(4)를 2 분할 형식으로 하였으므로, 슬라이더 절반부(45, 46)의 대향측 가장자리(451, 461)를 이용하여 고정판(50)의 가이드홈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어, 가이드판 등은 폐지할 수 있다.
다른 한편, 뒷좌석(3)을 차체에 조립하는 경우, 슬라이드 레일(2)내에 슬라이더(4)의 로울러(40)를 찔러 넣어서 스르라이더(4)를 슬라이드 레일(2)에 세트하고, 이 슬라이드 레일(2)을 차체 바닥에 보울트 등으로 부착한다. 다음에, 슬라이더(4)의 전후의 부착브래킷부(41)상에 시이트 다리부분(31)의 전후의 부착돌출편부(310)를 재치하고, 보울트(42)를 연결하면 좌석을 슬라이더(4)에 부착할 수 있다.
그 경우, 시이트 다리부분(31) 하방으로 슬라이더(4)를 배치하고, 시이트 다리부분(31) 사이에 조작링크기구(6)를, 슬라이더(4)에 록기구(5)를 설치한 구조로 하였으므로, 시이트 다리부분(31)을 슬라이더(4)에 재치하여 연결하면, 조작링크기구(6)의 제1링크(61)가 슬라이더(4)의 긴구멍(450)을 삽통하여 록기구(5)의 연결핀(52)에 맞닿게 되어 제휴되는 결과, 시이트를 조립함으로써 록기구(5)와 조작링크기구(6)의 제휴도 완료하여, 조립작업성을 대폭 향상할 수 있다.
제1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의한 슬라이더 구조를 구비한 차량을 나타낸 개략도.
제2도는 제1도의 차량에 설치된 록구조를 나타낸 측면 구성도.
제3도는 록구조에 있어서의 슬라이드 레일, 슬라이더 및 록기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제4도는 록구조에 있어서의 조작링크기구의 부착상태를 나타낸 평면 구성도.
제5도는 조작링크기구의 부착상태를 나타낸 정면 구성도.
제6도는 조작링크기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제7도는 슬라이더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제8도는 종래의 슬라이더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슬라이드 레일 3 : 뒷자석
32 : 연결판(연결부) 4 : 슬라이더
45 : 제1슬라이더 절반부 451 : 가이드 가장자리
46 : 제2슬라이더 절반부 461 : 가이드 가장자리
5 : 록기구(lock機構) 50 : 고정판
51 : 요동아암 6 : 조작링크기구
61 : 제1링크 62 : 제3링크
63 : 조작레버 66 : 제2링크

Claims (5)

  1. 차체 전후방향으로 뻗은 슬라이드 레일에 시이트를 슬라이더로 슬라이딩이 자유롭게 지지하여서 된 자동차용 시이트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가 슬라이드방향에 대하여 2 분할된 제1, 제2슬라이더 절반부로 구성되고, 이 제1, 제2슬라이더 절반부가 서로, 또는 연결부재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이트의 슬라이더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제1, 제2슬라이더 절반부의 대향측 가장자리에는 가이드 가장자리가 상하방향으로 뻗어서 형성되고, 이 가이드 가장자리 사이에는 일정한 간격이 설치되어서 록기구의 고정판을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이 자유롭게 수납하는 가이드홈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이트의 슬라이더 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록기구가 제1 또는 제2슬라이더 절반부에 대략 수평방향으로 뻗은 요동아암의 대략 중앙을 요동이 자유롭게, 이 요동아암의 일단부를 고정판의 상단부에 요동이 자유롭게 각각 연결하며, 요동아암의 타단부의 상하 조작으로 고정판을 고정 ·해제 조작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이트의 슬라이더 구조.
  4. 차체 전후방향으로 뻗은 길쭉한 슬라이드 레일에 시이트를 슬라이딩이 자유롭게 지지하여 소정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게 한 자동차용 시이트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레일에는 슬라이더를 슬라이딩이 자유롭게 지지하고, 이 슬라이더에는 이것을 슬라이드 레일에 고정할 수 있는 록기구를 설치하는 한편, 상기 슬라이더는 시이트 다리부분을 재치하여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이 시이트의 전후의 다리부분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면내에는 록기구와 제휴되어서, 이것을 해제 조작하는 조작링크기구를 설치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이트의 슬라이더 구조.
  5. 제4항에 있어서, 슬라이더에는 슬라이드 레일의 록구멍에 맞물릴 수 있는 고정판을 상하 슬라이딩이 자유롭게 또한 하방에 가압하여 지지함과 동시에, 그 요동으로 고정판을 인상 조작하는 요동아암을 전후방향으로 연장하여 요동이 자유롭게 지지함으로써 상기 록기구를 구성하는 한편,
    상기 시이트 다리부분의 연결부에는 상기 요동아암의 일단과 맞닿을 수 있는 제1링크를 상하 슬라이딩이 자유롭게 지지하고, 이 제1링크와 조작레버를 제3링크로 연결하여, 그 조작레버의 요동조작으로 제1링크를 하방 슬라이드 조작할 수 있게 함으로써 상기 조작링크기구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이트의 슬라이더 구조.
KR1019940036801A 1993-12-28 1994-12-26 자동차용시이트의슬라이더구조 KR1003238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5393693A JPH07195966A (ja) 1993-12-28 1993-12-28 自動車用シートのスライダー構造
JP93-353936 1993-12-28
JP35360693A JP3412894B2 (ja) 1993-12-28 1993-12-28 ロングスライダーロック構造
JP93-353606 1993-12-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7437A KR950017437A (ko) 1995-07-20
KR100323805B1 true KR100323805B1 (ko) 2002-06-20

Family

ID=514022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36801A KR100323805B1 (ko) 1993-12-28 1994-12-26 자동차용시이트의슬라이더구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323805B1 (ko)
TW (1) TW258699B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58699B (ko) 1995-10-01
KR950017437A (ko) 1995-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57297A (en) Rear seat apparatus for automobile
JP2007050822A (ja) 自動二輪車のシート高さ変更装置および自動二輪車
US4807932A (en) Device for moving an automobile seat back and forth
JPH10329612A (ja) 可動式コンソールボックス用スライダー
CN102001313B (zh) 托架部件在汽车中的支承
KR100323805B1 (ko) 자동차용시이트의슬라이더구조
KR100513577B1 (ko) 차량시트용 롱슬라이드형 이송레일의 록킹장치
JP5869224B2 (ja) 乗り物用物入れ装置
JP4028646B2 (ja) コンソールボックス
JP3495298B2 (ja) シートスライド装置のロック機構
JPH07195966A (ja) 自動車用シートのスライダー構造
JP3412894B2 (ja) ロングスライダーロック構造
JPH0731460U (ja) シートスライド装置
JPH0740248U (ja) ロングスライダーレールクリーナー
JP4063799B2 (ja) ロック解除装置
KR850000068B1 (ko) 캡 오버형 자동차 시트구조
JP2566396Y2 (ja) 自動車用シート
US20230322310A1 (en) Truck cabin
JP3995892B2 (ja) ロック装置
JPH041005Y2 (ko)
JPH0740249U (ja) ロングスライダーストッパー構造
CN111775794A (zh) 侧翻扶手及具有其的汽车
JPS6338102Y2 (ko)
KR200313605Y1 (ko) 차량시트용 롱슬라이드형 이송레일의 록킹장치
JP3698827B2 (ja) 床面に内蔵のシートレー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0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9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