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50000068B1 - 캡 오버형 자동차 시트구조 - Google Patents

캡 오버형 자동차 시트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50000068B1
KR850000068B1 KR1019810002572A KR810002572A KR850000068B1 KR 850000068 B1 KR850000068 B1 KR 850000068B1 KR 1019810002572 A KR1019810002572 A KR 1019810002572A KR 810002572 A KR810002572 A KR 810002572A KR 850000068 B1 KR850000068 B1 KR 8500000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rest
seat
frame
hook
engine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100025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6032A (ko
Inventor
히로유끼 고끼모또
아사오 기요미쓰
Original Assignee
마쓰다 가부시끼가이샤
야마자끼 요시끼
델타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후지따 게이로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쓰다 가부시끼가이샤, 야마자끼 요시끼, 델타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후지따 게이로오 filed Critical 마쓰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300060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60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500000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00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84Adjustable seat-cushion leng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the back-rest having two or more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90Details or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919Positioning and locking mechanisms
    • B60N2002/952Positioning and loc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details of the locking syst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캡 오버형 자동차 시트구조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나는 캡오버형 자동차 캐빈부의 개략 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시트구조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3도는 제2도의 시트구조의 다용도 사용상태를 나타 내는 사시도.
제4도는 시트 아랫부분의 단면도.
제5도는 레일과 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제6도는 엔진카바의 윗면을 나타내는 평면도.
제7도는 시트구조의 측면도.
제8도는 시트아랫부분의 평면도.
제9도는 하부 등받이의 이등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제10도는 제3도의 상태에 대응하는 측면도.
제11도는 바닥시트의 잠금기구를 나타내는 평면도.
제12도는 후크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부분 평면도.
제13도는 제11도에서 나타낸 부분의 사시도.
제14도는 하부 등받이의 잠금기구를 나타내는 측면도.
제15도는 그 사시도.
제16도는 하부 등받이의 이동과정을 나타내는 사시도.
제17도는 바닥시트의 이동을 위한 레일기구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18도는 하부 등받이의 지지기구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19도는 등받이의 잠금기구를 나타내는 측면도.
본 발명은 켑오버형 자동차 시트구조(seat 構造)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 발명은 등받이의 일부를 시트부에 나란히 놓아 시트부의 면적이 확대 되도록 한 시트구조에 관한 발명이다.
본 발명은 통상의 위치로부터 이동시킴에 따라 침대(bed)로 사용하기도 하고 짐을 두기도 하는 다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간단한 시트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다시말하여 본 발명의 시트구조는 캡오버형 자동차의 캐빈의 바닥판에 설치된 엔진카바위에 바닥시트를 전후방향으로 마음대로 이동할 수 있도록 배치함과 동시에 엔진카바에는 등받이 프레임의 하단을 전후방향으로 마음대로 경사지게 할 수 있도록 부착하고, 등받이를 상부등받이와 하부등받이로 나누어 상부등받이를 등받이 프레임상부에 고정하고, 하부등받이는 마음대로 잠금을 풀 수 있는 잠금기구(lock mechanism)에 의하여 등받이 프레임에 부착 되도록 한것으로, 바닥시트를 전방(前方)으로 이동시킨 상태하에서 하부등받이의 잠금장치를 바깥으로 하고, 하부등받이를 바닥시트 후방에 나란히 놓아 시트부의 면적을 확대 이용토록 한 것이다.
또한 통상 사용하는 상태로서는 등받이는 전방으로 마음대로 경사지게 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므로 등받이 후 방공간에의 화물의 출입이 가능하고 이 공간을 화물실로서 사용할 수가 있게도 하였다.
등받이를 상하로 이분(二分)하여 분할한 시트구조로서는 실개소 54-123108호 및 실개소 54-128706호에 기재된 것이 있으나 이들은 모두 상부등받이와 하부등받이를 힌지(hinge) 결합하여 등받이가 탑승자의 등쪽에 맞대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이들 시트구조는 시트부의 면적을 확대하여 시트를 베드로 사용하거나 화물을 놓는데 사용하는 등 다목적으로 사용할 수가 없다. 이에 반하여 본원발명의 시트구조에 있어서는 상, 하 두개로 분할한 등받이중상부등받이를 등받이프레임에 고정시키고 하부등받이는 등받이 프레임에서 해제가 가능하도록 부착하고 있으므로 바닥시트를 전방으로 이동시킨후에 하부등받이를 바닥시트의 후방에 나란히 배치하므로써 시트부의 면적을 크게 확대할 수 있게한 것이다. 이하 본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하여 설명하기로 하겠다.
제1도는 본 발명을 실시한 캡오버형 자동차의 캐빈부의 개략도로서, 캐빈(1)은 그 바닥판(2)이 엔진(3)및 방열기(4)의 윗쪽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캐빈(1)안에는 조합장치(5) 및 변속레버(6)가 통상 배치되는 형태로 배치되고, 바닥판(2)은 변속레버(6)의 후방으로 단을 이루어 높아져 시트부착부(2a)를 구성하고 있다. 시트부착부(2a)에 있어, 바닥판(2)에는 엔진점검구멍(7)이 형성되어, 이 구멍(7)을 덮도록하기 위하여 바닥판(2)에는 엔진카바(8)를 개폐가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다.
엔진카바(8)는 뒷 가장자리가 바닥판(2)에 힌지(8a)에 의하여 부착되고, 앞가장자리에는 잠금용 후크(9)가 장치되며, 이 후크(9)에 바닥판 옆의 잠금장치(10)가 결합한다.
엔진카바(8) 위에는 제2도에서 나타내는 구성의 시트(11)가 부착되어 있다. 이 시트(11)는 바닥시트(12)와 등받이(13)로 이루어지고 등받이(13)는 상, 하2개로 분할되어 상부등받이(13a)와 하부등받이(13b)로 구성된다. 바닥시트(12)는 전후로 미끄럼운등이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다. 이렇게할 목적으로 엔진카바(8)에는 양측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한쌍의 ゴ자형 단면의 레일(14)이 제6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부착된다.
바닥시트(12)의 하면에는 파이프부재로 틀모양으로 이루어진 프레임(15)이 부착되어 있고 이 프레임(15)의 양측부, 다시말하여 사이드프레임(side frame)(15a)이 제5도, 제17도에서 보는바와 같이 레일(14)에 미끄럼운 동이 자유롭게 결합한다. 제4도 및 제5도에서 보는바와 같이 레일(14)의 길이방향의 적당한 곳에서 사이드프레임(15a)과 직접 미끄럼 접촉하는 재질이 수지로 된 지지편(16)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스럽다. 또한 사이드프레임(15a)에는 스토퍼(17)가 부착되고, 이 스토퍼(17)가 사이드프레임(15a)에 설치한 스토퍼(18)에 의하여 바닥시트(12)의 전방위치를 규제한다. 이배치에 의하면 바닥시트(12)의 사이드프레임(15a)을 레일(14)에 미끄럼운동 하도록 결합하였으므로 레일미끄럼부재를 따로 설치하는 구조에 비하여 부품이 적어도 되고, 구조가 간단히 될 수 있는등의 이점이 있다.
엔진카바(8) 위에는 그뒷끝부근의 양측에 등받이 힌지브래킷(19)이 부착되고, 그 브래킷(19)의 한쪽에 바닥시트 잠금기구의 조작봉(20)이 부착된다. 잠금기구는 제11도, 제13도에서 보는바와 같이 잠금브래킷(21)위에 수직한 핀(22)에 의하여 수행면 안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부착된 후크(23)와 이 브래킷(21) 위에 가이드 핀(24)에 홈(25)을 통하여 결합하는 조작부재(26)로 이루어지고 이 조작부재(26)는 조작봉(20)의 말단에 고정되어 있다.
제11도에서 보는바와 같이 브래킷(21)에 설치된 귀부분(21a)과 후크(23)와의 사이에 스프링(27)이 길이방향으로 설치되고 이 후크(23)는 제11도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힘을 받는다. 후크(23)는 선단에 후크홈(23a)을 가지고, 이 후크홈(23a)이 바닥시트(12)의 프레임(15)에 설치된 핀(28)과 결합하여 바닥시트(12)를 후퇴위치에서 잠근다. 조작부재(26)는 후크(23) 옆에 돌출하는 돌기부(29)를 갖고 제11도에서 좌측으로 이동할때, 후크(23) 후단의 수직한 귀부분(23b)에 이돌기부(29)가 작용하고 후크(23)를 스프링(27)의 힘에 거슬러 시계방향으로 회전운동시키고, 후크(23)를 핀(28)과의 결합상태로부터 해제한다.
조작봉(20)은 스프링(30)에 의해 제11도의 오른쪽방향으로 힘을 받으며 언제나 돌기부(29)는 후크(23)로부터 떨어져서 위치하게 된다. 제6도에서 보는바와 같이 후크(23) 및 핀(28)은 좌우로 떨어져 2개가 설치되고, 이들 후크(23)는 서로 연동하도록 와이어(31)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제12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후크부재(23)의 선단의 후크홈(23a)은 그 뒤쪽가장자리에 전방에 돌출하는 캠형상의 돌기(32)를 가진다. 이 때문에 조작부재(26)에 의해 후크(23)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운동시켜 후크홈(23a)으로 부터 핀(28)이 이탈될 때, 핀(28)은 캠형상의 돌기(32)에 의해 전방으로 밀려난다.
따라서 바닥시트(12)도 전방으로 밀려나오고, 그 상태하에서 조작 봉(20)을 풀고, 후크(23)가 스프링(27)의 작용에 따라 잠금위치로 돌아가게 되더라도 핀(28)은 후크홈(23a)에 결합되지 못하고 후크홈(23a)으로 부터 전방의 후크선단부에 닿기 때문에 바닥시트(12)를 전방으로 밀어 이동시킬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조는 조작봉(20)을 잡아당기면서 동시에 바닥시트(12)를 전방으로 밀어 이동시킬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조는 조작봉(20)을 잡아당기면서 동시에 바닥시트(12)를 전방으로 밀어내지 않으면 안된다고 하는 종래의 잠금기구상의 불편을 해소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후크(23)의 선단에는 후크홈(23a)의 옆에 경사부(33)가 형성되고, 바닥시트(12)를 후퇴시켰을 때 핀(28)이 경사부(33)에 닿아서, 후크(23)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운동시키게 된다. 따라서 바닥시트(12)가 후퇴위치로 이동시켰을 때 핀(28)은 자동적으로 후크(23)의 후크홈(23a)에 결합하게 되는 것이다.
제3도 및 제10도에서 보는바와 같이 등받이힌지브래킷(19)에는 등받이 프레임(34)의 하단이 힌지핀(35)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회전운동을 자유로이 할수 있도록 부착되고, 프레임(34)의 상단에 상부 등받이(13a)가 고정되게 된다.
상부등받이(13a)의 뒷쪽의 프레임(34)에는 제19도에서 보는바와 같이 잠금브래킷(36)이 고정되고, 이 잠금브래킷(36)에는 스프링(37)에 의해 아래쪽으로 힘을 받는 수직잠금핀(36)이 조립되어 있다. 캐빈(1)의 후벽에는 브래킷(39)을 통하여 잠금판(40)이 부착되고 이 잠금판(40)에 뚫은 구멍(40a)에 잠금핀(38)이 윗쪽에서 삽입된다. 잠금판(40)은 전방끝이 아래 쪽으로 향하도록 경사진 경사면(40b)으로 되어 있다. 그러므로 등받이(13)를 앞으로 경사진 위치로부터 일으켰을 때 잠금핀(38)은 잠금판의 경사면(40b)에 닿아 그 캠작용으로 윗쪽으로 밀려올라가고, 구멍(40a)의 위치에 올때에 다시 아래쪽으로 돌출하여 이 구멍(40a)에 자동적으로 잠금 결합한다.
하부등받이(13b)는 하부등받이 프레임(41) 위에 올려지고 이 프레임(41)의 상하방향의 중간부에 이 프레임(41)의 안쪽 양측판(41a) 사이에 걸쳐 파이프(42)가 배치되고, 이 파이프(42)의 끝부분을 둘러싸게 설치된 부시(42a)에 지지봉(43)이 축으로 지지되어 있다. 지지봉(43)은 그 양단이 이 안쪽측판(41a)으로부터 돌출하여 있고 지지봉(43)의 양옆은 각각 링크(44)의 상단에 핀결합되어 있다.
이 프레임(41)은 안쪽측판(41a)으로 부터 링크(44)의 바깥 쪽까지 뻗어있는 입판(立板)(41b) 및 입판(41b)으로 부터 후방으로 뻗어 있는 바깥쪽 측판(41c)을 가진다. 그래서 하부등받이(13b)의 표피(表皮)가 바깥쪽 측판(41c)까지 감은 상태로 링크(44)가 바깥에서 보이지 않도록 하고 있다.
링크(44)의 하단은 등받이프레임(34)의 하단 부착힌지(35)에 의하여 브래킷(19)에 부착된다. 제14도, 제15도에서 보는바와 같이 링크(44)의 중간부에는 보호용 고무(45)를 감아도 좋다. 링크(44)의 길이 및 그 상단 부착위치를 적당히 정함에따라 바닥시트부(12)를 전방으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하부등받이(13b)를 링크(44)에 의해 받쳐지면서 제9도, 제16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바닥시트(12) 후방의 공간으로 이동시키고, 바닥시트(12)와 앞뒤로 나란히 된 위치로 되어, 제3도, 제10도의 상태로 할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이 구조는 하부등받이(13b)의 이동조작을 간단히 하는 이점이 있다. 하부등받이(13b)는 통상의 사용 위치, 즉 일어서있는 위치에서. 하부잠금기구에 의해 잠궈진다. 이 하부잠금기구는 등받이프레임(34) 위에 있는 브래킷(46)에 핀(47)에 의하여 수직면안에서회 전운동이 자유롭게 부착된 후크부재(48)로 이루어지고이 후크부재(48)의 선단의 후크부(48a)가 지지봉(43)의 단부와 결합한다. 브래킷(46)의 윗쪽에는 따로 브래킷(49)이 프레임(34)에 고정되어 조립되고 이 브래킷(49)과 후크부재(48)의 후단부와의 사이에 인장스프링(50)이 끼워지며, 후크부재(48)를 잠금방향으로 민다.
후크부재(48)는 후단에서 조작부(48b)가 형성되고, 이 조작부(48b)를 털어서 후크부(48a)를 지지봉(43)과의 결합으로 부터 밖으로 벗어나게 할 수 있다. 후크부재(48)의 윗 가장자리부에는 핀(47)의 윗쪽에서 먼 전방에 핀(51)이 설치되고 이 핀(51)은 그한쪽끝이 브래킷(49)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기도 하고 링크(52)의 다른끝의 긴구멍(52a)에 강하게 결합되기도 한다. 따라서 후크부재(48)의 조작부(48b)를 밀어서 이 후크부재(48)를 일으키면 링크(52)의 하단은 핀(47)으로 부터 후방으로 이동되며, 링크(52)는 제4도에서의 가상선으로 나타난 바와같이 스프링(50)과 대략 평행하게 된다. 이 위치에서 링크(52)는 후크부재(48)가 잠금위치로 되돌아오는 것을 저지하는 역할을 한다.
하부등받이(13b)는 이와 같이 서있는 위치에서 등받이프레임(34)에 잠궈지므로 통상의 사용상태하에서는 등받이(13)는 일체가 되어 전방으로 경사지게할 수 있다. 따라서 등받이(13)와 캐빈후벽과의 사이에 있는 공간을 화물수용실로 이용할 수가 있게되는 것이다. 또한 통상의 위치인 잠금상태하에서 엔진카바(8)를 열면, 등받이힌지브래킷(19)이 엔진카바(8)에 의해 어느정도 위로 들어올려지고, 이 때문에 등받이(13)를 윗쪽으로 들어올릴 수 있다.
잠금핀(38)은 윗쪽에서 잠금판(40)의 구멍(40a)에 삽입되므로 엔진카바(8)의 개방조작시에도 잠금핀(38)은 잠금구멍(40a)으로 부터 빠지게 되어 그 조작을 방해할 수가 없다. 다시말하여 본 실시예에서의 구조에 있어서는 등받이 (13)는 전방으로 경사시키지 않고도 엔진카바(8)를 열수가 있다. 한편 제7도, 제8도에서 보는바와 같이 바닥시트(12)는 그 전단이 변속레버(6)의 전방으로 나오는 위치까지 이동가능하고, 본 실시예에서는 변속레버(6) 측의 바닥시트측면 앞부분에 횡방향으로 길게 나와있는 돌출부(55)가 설치되어 있다.
이 돌출부(55)는 변속레버(6)가 1단 또는 2단위치에 있을 때 전진위치에서 이 변속레버와 간섭하도록 하는 칫 수관계에 있고 따라서 정지상태에서 발진가능한 경우에 바닥시트(12)의 전방이동을 하지 못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변속레버(6)를 중립위치에서 바닥시트(12)를 전방이동시키고, 시트를 배드형태로 할 경우에도 변속레버(6)는 1단 또는 2단으로 움직일 수 없으므로 차의 발진이 저지된다.
바닥시트(12)와 변속레버(6)와의 위치관계에 따라서는 돌출부(55)를 설치하지 않아도 목적을 달성할 수 가 있다. 또한 이와 같은 구성을 만들지 않고, 바닥시트(12)가 전진위치에 있을 때 차의 발전이 가능하도록 구성하더라도 좋다. 더우기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바닥시트(12)의 잠금기구의 조작봉(20)은 그 조작위치에서 닫힌상태에 있는 문(56)과 간섭하도록 되어있다.
이 때문에 문(56)은 열지 않으면 바닥시트(12)를 전방으로 이동시킬수가 없게되어 안정성이 한층더 보장된다.

Claims (1)

  1. 적어도 바닥판의 일부가 엔진의 상방에 위치하며, 이바닥판에 엔진카바는 개폐가 자유롭게 설치되어 상기 엔진카바상에 바닥시트가 전후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엔진카바에는 등받이 프레임의 하단이 전후방향으로 경사운동이 자유롭도록 부착된 캡오버형 자동차의 시트구조에 있어서, 등받이(13)는 상하로 분할된 상부등받이(13a)과 하부등받이(13b)로 구성되며 상기 상부등받이(13a)는 등받이 프레임(34)의 상부에 고정되며 상기 하부등받이(13b)는 해제가 자유로운 잠금장치를 통하여 등받이프레임(34)에 부착되어 바닥시트(12)를 전방으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하부등받이(13b)의 잠금장치를 해제하여 이 하부등받이(13b)를 바닥시트(12)의 후방에 나란히 놓아 시트부면적을 확대할 수 있도록 한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오버형 자동차의 시트구조.
KR1019810002572A 1980-07-28 1981-07-15 캡 오버형 자동차 시트구조 KR8500000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5-103355 1980-07-28
JP103355 1980-07-28
JP10335580A JPS5730627A (en) 1980-07-28 1980-07-28 Seat structure for cab over type automobi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6032A KR830006032A (ko) 1983-09-17
KR850000068B1 true KR850000068B1 (ko) 1985-02-18

Family

ID=14351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10002572A KR850000068B1 (ko) 1980-07-28 1981-07-15 캡 오버형 자동차 시트구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S5730627A (ko)
KR (1) KR85000006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8100Y2 (ko) * 1987-03-02 1993-07-19
JP5597126B2 (ja) * 2010-12-24 2014-10-01 テイ・エス テック株式会社 乗物用シー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5730627A (en) 1982-02-18
KR830006032A (ko) 1983-09-17
JPS6325978B2 (ko) 1988-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79982B1 (en) Vehicle seat storing device
US4479675A (en) Lid arrangement for luggage compartment
JP3651136B2 (ja) 車両用シート装置
AU2007345867A1 (en) Structure for storing vehicular seat
US6663181B2 (en) Vehicle seat portion
JP3650786B2 (ja) 車両用折畳みシート
KR850000068B1 (ko) 캡 오버형 자동차 시트구조
KR102023908B1 (ko) 자동차용 시트의 맵 포켓을 이용한 레그레스트 장치
JP4065396B2 (ja) 格納式車両用シート装置における姿勢制御ワイヤのテンショナー装置
KR100290037B1 (ko) 비상문이 설치된 버스용 시트의 슬라이딩 구조
JP2001180358A (ja) 自動車のグラブボックス
JPS6037848Y2 (ja) スライド機構付き折りたたみシ−ト装置
JP2003127731A (ja) 車両の乗降補助シート
JP4069485B2 (ja) 車両のシート装置
KR100726731B1 (ko) 자동차용 리어 시트백의 록킹장치
JPS6344298Y2 (ko)
KR100216287B1 (ko) 헤드레스트 조작장치
JP3234085B2 (ja) ビルトイン式チャイルドシートのロック機構
JPS60244634A (ja) 自動車のリヤシート装置
JPS5853226Y2 (ja) キヤブオ−バ−型自動車のシ−ト構造
JP3781257B2 (ja) 車両の折畳みシート装置
KR0143823B1 (ko) 차량의 후드 개방 유지장치
JP3783949B2 (ja) ロック装置
JPH0236751Y2 (ko)
JP5927649B2 (ja) シートの切換えレバーのためのガーニッシュ取付け構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