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0037B1 - 비상문이 설치된 버스용 시트의 슬라이딩 구조 - Google Patents

비상문이 설치된 버스용 시트의 슬라이딩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0037B1
KR100290037B1 KR1019980031064A KR19980031064A KR100290037B1 KR 100290037 B1 KR100290037 B1 KR 100290037B1 KR 1019980031064 A KR1019980031064 A KR 1019980031064A KR 19980031064 A KR19980031064 A KR 19980031064A KR 100290037 B1 KR100290037 B1 KR 1002900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bus
emergency door
support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10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0239A (ko
Inventor
장동원
Original Assignee
정주호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주호,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주호
Priority to KR10199800310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90037B1/ko
Publication of KR200000102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02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00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003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7Slide construction
    • B60N2/0702Slide construction characterised by its cross-section
    • B60N2/0705Slide construction characterised by its cross-section omega-shap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til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42Bus seats

Abstract

본 발명은 비상문이 설치된 버스용 시트의 슬라이딩 구조에 관한 것으로, 버스 시트가 바닥에 고정된 지지체에 지지되는 시트의 설치구조에 있어서, 상기 버스의 후방시트(32)의 하방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부착되는 레버 지지대(11); 상기 레버 지지대(11)의 일측을 상방으로 들어올릴 수 있도록 레버 지지대(11)의 일측에 설치된 작동레버(12); 상기 레버 지지대(11)의 하방에 설치되는 것으로, 하단에 걸림홈(17a)을 갖는 걸림쇠(17); 상기 레버 지지대(11)의 하방에 부착되어 직선운동하는 상부레일(10); 상기 상부레일(10)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저면에서 결합된 하부레일(15); 상기 상부레일(10)과 하부레일(15) 사이에 설치되어 상부레일(10)의 슬랑이딩을 용이하게 해주는 볼(14); 상기 하부레일(15)이 볼트(18) 결합되어 지지체(19)에 일단이 고정되는 랙(16); 상기 걸림쇠(17)의 걸림홈(17a)이 끼워져 걸리도록 상기 랙(16)의 타단에 형성된 요철부(16a)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버스의 비상문 측에 설치된 후방시트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하여, 차량사고 발생으로 비상문을 통해 승객들이 탈출시, 전방시트의 등받이를 전방으로 회동시키고 후방시트는 후방으로 슬라이딩 시키므로서, 시트가 비상문의 입구를 간섭하지 않게 하여 승객들이 안전하고 신속하게 차량밖으로 나갈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비상문이 설치된 버스용 시트의 슬라이딩 구조
본 발명은 비상문이 설치된 버스용 시트의 슬라이딩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버스의 비상문이 설치된 측의 전방 시트가 전방으로 젖혀지고 후방 시트가 뒤쪽으로 슬라이딩 가능하여 비상문의 입구가 충분히 확보될 수 있도록 한 비상문이 설치된 버스용 시트의 슬라이딩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버스에는 사고에 대비하여 승객들이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차량의 후방에 비상문이 설치된다.
이와 같이 차량의 사고 발생시 버스에 탑승한 다수의 승객들이 앞문과 뒷문을 통해 탈출하는데, 비상구를 열게되면 급박한 상황에서 더 많은 승객이 신속하게 탈출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차량의 사고로 인해 전복되어 앞문과 뒷문측이 지면에 닫는 경우에나, 고장 등의 이유로 인해 앞문과 뒷문이 개방되지 않는 경우에는, 비상문이 없으면 승객들의 탈출이 곤란하게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비상문은 승객들이 항상 출입하는 문이 아니므로, 평상시에는 잠겨저 있고 시트에 간섭되도록 설치 되었다.
따라서, 종래에 비상문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상문(a) 측에 설치된 시트(c)의 등받이(b)를 전방으로 회동 하였다.
그러면, 비상문(a)을 시트(c)가 간섭하지 않아 통로가 확보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경우, 비상문(a)의 통로를 간섭하는 것은 전방에 있는 시트(c)뿐만 아니라 후방에 있는 시트(d)도 간섭을 하였다.
따라서, 후방에 위치한 시트가 비상문을 간섭하므로 승객들이 탈출시 충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없었기 때문에 승객들이 탈출시에 시트 등에 걸려 부상을 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버스의 비상문 측에 설치된 시트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하여, 차량의 사고 발생시 승객들이 비상문을 통해 탈출하기 위해 비상문을 개방하고자 할 때, 비상문이 시트에 의해 간섭을 받지 않도로 하는 비상문이 설치된 버스용 시트의 슬라이딩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버스 시트가 바닥에 고정된 지지체에 지지되는 시트의 설치구조에 있어서, 상기 버스의 후방시트의 하방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부착되는 레버 지지대; 상기 레버 지지대의 일측을 상방으로 들어올릴 수 있도록 레버 지지대의 일측에 설치된 작동레버; 상기 레버 지지대의 하방에 설치되는 것으로, 하단에 걸림홈을 갖는 걸림쇠; 상기 레버 지지대의 하방에 부착되어 직선운동하는 상부레일; 상기 상부레일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저면에서 결합된 하부레일; 상기 상부레일과 하부레일 사이에 설치되어 상부레일의 슬랑이딩을 용이하게 해주는 볼; 상기 하부레일이 볼트결합되어 지지체에 일단이 고정되는 랙; 상기 걸림쇠의 걸림홈이 끼워져 걸리도록 상기 랙의 타단에 형성된 요철부로 이루어져 달성된다.
도 1은 종래 버스 시트의 작동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버스 시트가 설치된 상태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 레일의 분해 사시도.
도 4a,b는 본 발명의 작동레버의 작동상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버스 시트의 작동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상부레일 11 : 레버 지지대
12 : 작동레버 15 : 하부레일
16 : 랙 16a : 요철부
16b : 삽입공 17 : 걸림쇠
17a : 걸림홈 18 : 볼트
19 : 지지체 20 : 비상문
31 : 전방시트 31a : 등받이
32 : 후방시트
이하, 본 발명 비상문이 설치된 버스용 시트의 슬라이딩 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비상문(30) 측에 설치되는 후방시트(32)의 저면에 슬라이딩 가능한 구조를 갖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후방시트(32)의 저면 양측에는 한쌍의 레버 지지대(11)가 길이방향으로 부착되는 것이다.
또한, 레버 지지대(11)의 전단에는 외측으로 파지 가능한 작동레버(12)가 설치된 것이다.
또한, 상기 레버 지지대(11)의 저면에는 걸림홈(17a)을 갖는 걸림쇠(17)가 부착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레버 지지대(11)의 하측에는 이동가능한 상부레일(10)이 부착된 것이다.
또한, 상부레일(10)의 하단에는 상부레일(10)을 지지하는 하부레일(15)이 설치되고, 상기 상부레일(10)과 하부레일(15)의 사이에는 볼(14)이 설치되어 상부레일(10)이 하부레일(15)상에서 원할하게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하부레일(15)의 하단에는 랙(16)의 일측단이 볼트(18)결합 되어 지지체(19)에 고정된 것이다.
또한, 랙(16)은 연속 절곡된 긴 판체 형상으로, 타단에 길이방향으로 요철부(16a)를 갖으며, 상기 걸림쇠(17)의 걸림홈(17a)이 요철부(16a)에 걸리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슬라이딩 구조를 이용하여 후방시트(32)를 슬라이딩 시키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우선, 차량의 운행중에 사고가 발생하여 비상문(30)을 개방해야 되는 경우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비상문(30)의 앞쪽에 설치된 전방시트(31)의 등받이(31a)를 전방으로 젖힌다.
그러면, 비상문(30)의 손잡이측을 간섭하고 있던 전방시트(31)의 등받이(31a)부분이 간섭을 안하게 되므로 비상문(30)을 향하는 통로를 일부 확보하게 된다.
그런후에, 후방시트(32)를 뒤로 슬라이딩 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도 4a와 같은 상태에서 작동레버(12)를 파지하여 도 4b와 같이 상방으로 들어 올린다.
그러면, 작동레버(12)가 상방으로 이동하면서, 이 작동레버(12)가 부착된 레버 지지대(11)도 상방으로 약간 이동하게 된다.
즉,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 지지대(11)의 작동레버(12)가 부착된 측면이 상방으로 약간 들리게 된다.
그러면, 레버 지지대(11)에 부착된 상부레일(10)도 작동레버(12)측이 상방으로 들리게 된다.
이때, 레버 지지대(11)의 일측단이 상방으로 들리기 때문에 레버 지지대(11)의 일측에 부착된 걸림쇠(17)도 상방으로 들리게 된다.
그러면, 걸림쇠(17)의 저면에 걸림홈(17a)이 랙(16)의 요철부(16a)에 끼워져 있다가, 걸림쇠(17)가 상방으로 들리면 걸림홈(17a)도 요철부(16a)에서 분리된다.
이와같이, 걸림쇠(17)의 걸림홈(17a)이 요철부(16a)에서 분리되면, 상부레일(10)이 자유롭게 하부레일(15)을 따라 자유롭게 슬라이딩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한손으로 작동레버(12)를 파지하여 상방으로 들어올린 상태에서 후방시트(32)를 후방으로 밀면 후방시트(32)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하부레일(15)은 랙(16)과 함께 버스의 바닥에 고정된 지지체(19)에 볼트(18)로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고정되어 이동하지 않는다.
따라서, 작동레버(12)를 파지하여 상방으로 들어 올린후에 시트를 후방으로 밀게되면, 버스의 바닥에 고정된 지지체(19)에 볼팅결합 된 랙(16)과 하부레일(15)이 고정되어 있고, 상부레일(10)과 레버 지지대(11)가 후방시트(32)의 후방에 부착되어 상기 하부레일(15)을 타고 이동하기 때문에, 후방시트(32)가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후방시트(32)가 적당히 후방으로 이동되어 후방시트(32)가 비상문(30)의 입구를 간섭하지 않아 통로가 확보되면, 손으로 잡고있던 작동레버(12)를 놓는다.
그러면, 도 4b와 같이 상방으로 들려 있던 작동레버(12)가 도 4a와 같이 하방으로 내려오게 된다.
그러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레버(12)가 하방으로 내려오면, 레저 지지대(11)도 하방으로 내려오게 된다.
그리고, 레버 지지대(11)에 부착된 걸림쇠(17)도 하방으로 함께 내려 오게된다.
따라서, 걸림쇠(17)가 하방으로 내려오면, 걸림쇠(17)의 하단에 형성된 걸림홈(17a)이 랙(16)에 형성된 요철부(16a)에 끼워져 걸리는 것이다.
그러면, 걸림쇠(17)가 랙(16)의 요철부(16a)에 걸려 레버 지지대(11)가 고정되므로, 레버 지지대(11)에 부착된 상부레일(10)도 하부레일(15)을 따라 자유롭게 이동하지 못하고 고정된다.
따라서, 후방시트(32)는 더 이상 자유롭게 이동하지 못하고 고정되어, 승객들이 후방시트(32)의 간섭없이 자유롭게 비상문(30)을 통해 버스의 밖으로 나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와 같이 비상문(30)을 사용한 후에는, 다시 비상문(30)을 닫고 잠근 후에 전방시트(31)와 후방시트(32)를 원위치 시켜야 한다.
먼저, 전방시트(31)를 원위치 시키기 위해서는, 전방시트(31)의 등받이를 후방으로 이동시키면 된다.
그리고, 후방시트(32)를 원위치 시키기 위해서는, 후방시트(32)의 저면에 돌출된 작동레버(12)를 한손을 파지하여 상방으로 들고, 다른 한 손으로는 후방시트(32)를 파지하여 전방으로 밀면된다.
그러면, 상기에서 언급한 것과 같은 방법으로 후방시트(32)는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적정한 위치까지 후방시트(32)가 이동하게 되면, 작동레버(12)를 놓아 후방시트(32)가 고정되게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쇠(17)의 하단이 삽입될 수 있도록 랙(16)의 타단에 삽입공(16b)이 다수개 형성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랙(16)의 탄단에 요철부(16a)가 형성되지 않고 삽입공(16b)이 다수개 형성되고, 걸림쇠(17)의 하단에는 걸림홈(17a)이 형성되지 않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사용방법은 본 발명의 사용방법과 같다. 그리고, 작동레버(12)를 상방으로 들었을 때, 걸림쇠(17)의 하단이 랙(16)의 삽입공(16b)에 삽탈되면서 후방시트(32)가 고정되거나 자유롭게 슬라이딩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버스의 비상문 측에 설치된 후방시트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하여, 차량사고 발생으로 비상문을 통해 승객들이 탈출시, 전방시트의 등받이를 전방으로 회동시키고 후방시트는 후방으로 슬라이딩 시키므로서, 시트가 비상문의 입구를 간섭하지 않게 하여 승객들이 안전하고 신속하게 차량밖으로 나갈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2)

  1. 버스 시트가 바닥에 고정된 지지체에 지지되는 시트의 설치구조에 있어서,
    상기 버스의 후방시트(32)의 하방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부착되는 레버 지지대(11);
    상기 레버 지지대(11)의 일측을 상방으로 들어올릴 수 있도록 레버 지지대(11)의 일측에 설치된 작동레버(12);
    상기 레버 지지대(11)의 하방에 설치되는 것으로, 하단에 걸림홈(17a)을 갖는 걸림쇠(17);
    상기 레버 지지대(11)의 하방에 부착되어 직선운동하는 상부레일(10);
    상기 상부레일(10)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저면에서 결합된 하부레일(15);
    상기 상부레일(10)과 하부레일(15) 사이에 설치되어 상부레일(10)의 슬라이딩을 용이하게 해주는 볼(14);
    상기 하부레일(15)이 볼트(18) 결합되어 지지체(19)에 일단이 고정되는 랙(16);
    상기 걸림쇠(17)의 걸림홈(17a)이 끼워져 걸리도록 상기 랙(16)의 타단에 형성된 요철부(16a);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문이 설치된 버스용 시트의 슬라이딩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쇠(17)의 하단이 삽입될 수 있도록 랙(16)의 타단에 삽입공(16b)이 다수개 형성된 것 특징으로 하는 비상문이 설치된 버스용 시트의 슬라이딩 구조.
KR1019980031064A 1998-07-31 1998-07-31 비상문이 설치된 버스용 시트의 슬라이딩 구조 KR1002900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1064A KR100290037B1 (ko) 1998-07-31 1998-07-31 비상문이 설치된 버스용 시트의 슬라이딩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1064A KR100290037B1 (ko) 1998-07-31 1998-07-31 비상문이 설치된 버스용 시트의 슬라이딩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0239A KR20000010239A (ko) 2000-02-15
KR100290037B1 true KR100290037B1 (ko) 2001-05-15

Family

ID=195459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1064A KR100290037B1 (ko) 1998-07-31 1998-07-31 비상문이 설치된 버스용 시트의 슬라이딩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9003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3163A (ko) * 2001-08-07 2003-02-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버스용 시트 이동장치
KR100915192B1 (ko) * 2002-12-24 2009-09-02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보행하중 가진장치
KR102634035B1 (ko) 2019-09-16 2024-02-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버스의 비상구 시트 폴딩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0239A (ko) 2000-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21338A (en) Arresting device for rear seat back
KR100610431B1 (ko) 자동차용 시트 슬라이드 장치
EP1377721B1 (en) Load floor latch
KR100590963B1 (ko) 차량용 탈착식 시트를 위한 롱 슬라이드형 레일
JP4130020B2 (ja) エレベータの制御盤開閉装置
US4667492A (en) Locking device for a seat back of a trunk through-seat(sic)
DE10036968A1 (de) Sitzlehnenverriegelungsvorrichtung
DE202017105394U1 (de) Mechanismus zum Öffnen einer Motorhaube
US5927789A (en) Seat assembly
KR100290037B1 (ko) 비상문이 설치된 버스용 시트의 슬라이딩 구조
JP2006519135A (ja) 基部と、基部に対し摺動可能及び除去可能なコンソールとを備える組立体及び相応する自動車
JP2000026051A (ja) エレベータ乗場ドアの施錠装置
JPS59230841A (ja) 自動車のサイドステツプ構造
US4023860A (en) Seat back with limited access to the rear thereof
KR100520966B1 (ko) 자동차용 후드래치 장치
KR100411030B1 (ko) 자동차 엔진후드의 스테이 장치
JPH0346330B2 (ko)
KR20020016616A (ko) 로드 플로어 래치
CA2386620C (en) Shutter mechanism for a latch
KR0143823B1 (ko) 차량의 후드 개방 유지장치
JP2002067750A (ja) シートスライド装置のロック構造
JP2001113995A (ja) シートスライド装置のロック機構
JPH0731460U (ja) シートスライド装置
JPH08127270A (ja) 自動車用シートスライド機構
KR200147199Y1 (ko) 자동차용 암 레스트 커버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