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16616A - 로드 플로어 래치 - Google Patents

로드 플로어 래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16616A
KR20020016616A KR1020017010603A KR20017010603A KR20020016616A KR 20020016616 A KR20020016616 A KR 20020016616A KR 1020017010603 A KR1020017010603 A KR 1020017010603A KR 20017010603 A KR20017010603 A KR 20017010603A KR 20020016616 A KR20020016616 A KR 200200166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housing
latch
pawl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106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04477B1 (ko
Inventor
베르그거트
Original Assignee
스티븐 제이. 켈리
사우스코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티븐 제이. 켈리, 사우스코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스티븐 제이. 켈리
Publication of KR200200166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66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44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4477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3/00Devices preventing the key or the handle or both from being used
    • E05B13/10Devices preventing the key or the handle or both from being used formed by a lock arranged in the handl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3/00Devices preventing the key or the handle or both from being used
    • E05B13/002Devices preventing the key or the handle or both from being used locking the handl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 E05C1/08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 latching action
    • E05C1/1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latch
    • E05C1/14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latch the handle or member moving essentially towards or away from the plane of the wing or frame
    • E05C1/145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latch the handle or member moving essentially towards or away from the plane of the wing or frame flush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9/00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 E05C19/06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in which the securing part if formed or carried by a spring and moves only by distortion of the spring, e.g. sna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04Spring arrangements in locks
    • E05B2015/0468Spring arrangements in locks made of one piece with a lock pa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예를 들면, 프레임 또는 폐쇄 격실에 폐쇄 패널과 같이 제 1 부재를 제 2 부재에 체결하기 위한 폴 래치(10)는 하우징(11), 하우징(11)에 피봇되게 수용되는 핸들(12), 액추에이터(14) 및 스프링 가압된 폴(13)을 포함하고 있고, 핸들(12)은 래치 개방을 위한 표면 또는 고정구 부재와의 결합으로부터 폴(13)을 후퇴하도록 액추에이터(14)와 결합하는 탭(43)을 갖추고 있고, 액추에이터(14)는 하우징(11)의 플로어에 배치된 복수의 슬롯(81, 82, 83, 84, 85)을 통하는 폴(13)과 연결된다. 로킹 기구(20)는 또한 독단적인 개방으로부터 래치(10)를 체결하기 위하여 구비되고 이동에 대하여 액추에이터(14)를 유지하는 로킹 요소(21)를 갖추고 있고 폴의 후퇴를 방지한다.

Description

로드 플로어 래치{LOAD FLOOR LATCH}
본 원은 1999년 2월 22일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제 09/255,586호 및 1999년 9월 23일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제 09/405,526호의 연장으로서 여기서 참조되고 구체화되어 상세하게 나타난다.
슬램-작동 래치는 기술상 공지되고 하나이상의 패널을 함께 체결하기 위하여 많은 응용에서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카테고리 내에 속해있는 래치는 고정구와 결합하는 폴을 가압함으로서 작동한다. 예를 들면, 제 1 패널 부재가 거기에 장착된 폴 및 제 2 패널 부재를 갖추고 있는 것과 같이 캐비닛은 거기에 장착되는 고정을 갖추어 패널을 래치와 체결할 수 있는 제 2 패널 부재에 대하여 제 1 패널 부재를 슬래밍한다.
많은 경우에 있어서, 분리되어 제공된 스프링 부재는 고정구 부재와 결합한 폴을 가압하도록 사용된다. 따라서, 래치가 설치된 패널이 폐쇄될 때, 폴은 고정구를 결합한다. 분리되어 제공된 스프링 부재의 사용은 종종 래치의 구조 또는 조립을 위한 시간 및 래치의 단가를 증가시킨다. 어떤 경우에서는, 복합 기구가 스프링부재를 유지하도록 요구되고 폴과 스프링 부재를 정렬하여 폴이 고정구를 작동 및 결합 및 결합해제하도록 조정될 수 있다.
래치가 고정구로부터 분리되지만 폐쇄된 위치에 있을 때 슬램-작동 래칭 능력을 구비할 뿐만 아니라 조립에 시간-소모가 적고 생산 비용이 작은 종래 기술에 비해 개선된 래치가 필요하다.
또한 폴이 고정구와 결합되지 않을 때, 래치를 폐쇄하고 고정하도록 슬램되고 고정될 수 있는 래치가 필요하다.
게다가, 로드 플로어 래치는 자동차 산업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된다. 종종, 이러한 래치는 화물칸에서 격실의 내용물을 체결하도록 사용된다. 예를 들면, 로드 플로어 래치는 스페어 타이어, 공구, 잭, 배터리 등과 같은 차량 부품에의 접근을 조절하는 패널과 같은 플로어 패널을 체결하기 위해 사용된다. 많은 경우에 있어서, 플로어 패널은 차량 승객실 또는 화물 격실의 플로어위에 구비된다. 따라서 래치는 내구성이 있어야 하고, 그리고 래치가 특히 충돌 또는 전복 상태와 같은 운송 사고, 비포장 지역 및 충돌에 의하여 일반적으로 직면하는 그러한 타입의 실질적인 하중을 견디는 것이 바람직하다. 격실 내용물이 차량의 충돌 또는 전복의 경우에 체결을 유지하는 것은 중요하다. 특히, 이것은 화물 격실이 차량 운전자 또는 다른 승객과 동일한 구역에 위치되는 곳에서 보다 더 중요하다. 예를 들면, 배달용 트럭 타입의 차량에 있어서, 승객 및 화물을 위한 화물 공간은 동일하다. 따라서, 이러한 차량의 타입에 있어서, 직면하는 큰 어려움은 차량의 전복 및 래치가 비체결 되는 것이다. 이러한 일이 발생하면, 객실 물품은 승객 객실내로 엎질러져서 차량 운전자를 위험에 직면하게 한다. 고하중 상태하에서 조차도 패널의 래칭을 용이하게 하고 전복이 없게 되는 개선된 능력을 갖춘 로드 플로어 래치를 필요로 한다. 쉽게 구조 및 설치되고 부가적으로 내구성 있는 래치가 또한 중요하다.
본 발명은 래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핸들이 올려져 고정구와의 결합으로부터 래치 폴을 구속해제하는 슬램(slam)-작동 래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래치의 제 1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고정 상태로 도시되고, 도 1의 래치의 폴, 액추에이터, 고정 요소, 고정 플러그 및 리테이너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고정 상태에서 고정 플러그 및 리테이너, 부분적으로 복귀된 위치에서 폴이 도시되는, 도 1의 래치의 폴, 액추에이터, 고정 요소, 고정 플러그 및 리테이너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도 1의 래치의 유지 부재의 분리 사시도.
도 5는 도 1의 래치의 핸들의 분리 사시도.
도 6은 단면으로 도시된 하우징으로 설명되는 도 1의 래치의 좌측 사시도.
도 7은 플로어, 전면으로부터 도시되고 도 1의 래치의 폴 부재의 분리 사시도.
도 8은 상부, 우측 전면으로부터 도시되고 도 1의 래치의 하우징의 분리 사시도.
도 9는 도 1의 래치의 액추에이터의 분리 사시도.
도 10은 도 1에서 도시된 래치의 하우징의 분리 평면도.
도 11은 도 1의 래치의 폴 부재의 분리 평면도.
도 12는 길이방향을 통하여 취해진 도 10에서 도시된 하우징의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래치의 제 2 교호의 실시예의 전면 평행 사시도.
도 14는 개방위치에서 핸들과 뒤에서 도시되는, 도 13에서 도시된 제 2 교호의 래치의 실시예의 후미 평행 사시도.
도 15는 개방위치에서 핸들과 전면 우측에서 도시되는, 도 14에서 도시된 제 2 교호의 래치 실시예의 전면 평행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래치의 제 3 교호의 실시예의 전면 평행 사시도.
도 17은 도 16에서 도시된 래치의 제 3 교호의 실시예의 단면도.
도 18은 핸들이 올려지고 개방상태에서 도시된, 도 16 및 도 17의 래치의 제 3 교호의 실시예의 후미 평행 사시도.
본 발명은 문 또는 플로어 채널과 같은 제 1 부재를 프레임 또는 플로어와 같은 제 2 부재에 체결하기 위한 고정구 부재를 결합하도록 배치된 폴 부재, 하우징 및 핸들을 갖추고 있는 새로운 슬램 래치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래치는 다른 패널 또는 프레임에의 고정구 부재 및 폐쇄 패널이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래치는 차량 플로어 패널에 설치될 수 있고 그리고 고정구는 상응하는 프레임에 설치될 수 있다.
래치 핸들이 올려져 작동될 때 고정구 부재와의 결합에서 폴이 후퇴하도록 작동한다. 바람직하게, 액추에이터는 하우징을 통하여 뻗고 폴과 연결하여 구비된다. 액추에이터와 접촉함으로서 핸들은 래치를 구속해제하고 그리고 폐쇄부 패널이 개방하도록 고정구와의 결합에서 폴 부재를 빼낸다. 폴 부재는 바람직하게 가압된 스프링이고 하우징내에 안쪽으로 후퇴된다. 폴 부재는 하우징내에 미끄러지게 이송되고 그곳으로부터 뻗는다. 핸들은 하우징에 피봇가능하게 연결되고 거기에 상대적으로 피봇된다.
바람직하게 로킹 기구는 독단적인 작용을 방지하도록 이동에 대한 액추에이터 체결을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로킹 기구는 래치가 고정될 수 있도록 적용되어 폴이 고정구 부재로부터 구속해제되는 것을 방지한다.
래치는 차량 충돌 및 전복 동안에 래칭 위치에서 래치의 유지를 용이하게 하는 개선된 고정 기구를 더 갖추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래치의 핸들 작동에 의하여 선택적인 구속해제를 위하여 패널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부재와 함께 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래치를 구비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슬램-작동에 의하여 폐쇄될 수 있는 스프링-가압된 래치를 구비함으로서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래치 핸들이 폐쇄 위치에 있고 래치가 고정구와 연결되지 않을 때조차도 슬램-액션에 의하여 폐쇄될 수 있는 새로운 래치를 구비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예를 들면 플로어 패널 및 플로어 저장 격실과 같은 구역 또는 격실로 및 거기로부터 접근을 조정하도록 차량의 패널과의 연결에 사용될 수 있는 래치를 구비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하우징내에 이동을 위하여 미끄러지게 가이드 되는 폴 부재를 갖추고 있는 새로운 래치를 구비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독단적인 개방에 대하여 래치를 체결할 수 있는 로킹 기구를 구비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폴 부재가 결합 위치로 폴을 가압하도록 핸들과 개방 또는 폐쇄될 때 저항을 구비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차량 전복 및 충돌에 의하여 겪게 되는 것과 같이응력하에서의 유지 특성이 향상된 래치를 구비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이들 및 다른 목적은 첨부한 청구범위 및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계속되는 상세한 설명을 읽을 때 명확해 질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거기에는 본 발명에 따라 래치(10)의 제 1 교호의 실시예가 래치 몸체 또는 하우징(11), 핸들(12), 폴 부재(13) 및 액추에이터(14)를 포함하여 도시된다. 폴 부재(13)를 래칭 위치쪽으로 가압하기 위한 가압 수단은 스프링(15)을 포함하여 도시된다.
하우징(11)은 래치(10)의 주변을 구획형성하는 상부 플랜지(25)를 갖추고 있다. 체결 수단은 하우징(11)에 구비되고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면 래치(10)의 부착용 상대적으로 나사형성된 볼트(도시 생략)를 패널 부재(도시 생략)에 수용하기 위하여 나사부를 갖춘 보어를 갖출 수 있는 예를 들면 그러한 것들(26)과 같은 포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리벳, 스크류, 핀, 바브(barb) 등과 같은 임의의 적당한 장착 부재가 패널에 하우징(11)을 체결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래치(10)는 격실로 및 그 곳으로부터 접근을 조정하도록 차량의 플로어 패널에 설치될 수 있다.
로킹 수단은 독단적인 개방에 대하여 래치(10)를 고정하도록 또한 구비된다. 로킹 수단은 키이 슬롯(28)을 갖추고 있는 로크 플러그(20)를 포함하여 도시된다. 바람직하게는, 하우징(11)은 로크 플러그(20)가 설치되는 소켓(19)을 갖추고 있다. 로킹 수단은 로킹 요소(21) 및 하우징(11)에 로크 플러그(20)를 유지하기 위한 유지 수단을 더 포함한다. 유지 수단은 키이 슬롯(28) 끝부의 대향한 로크플러그 끝부에 위치된 로크플러그(20)의 연결 끝부(27)에 배치된 유지 부재(22)를 포함하여 도시된다. 바람직하게는, 유지 부재(22)는 스프링 부재를 포함하고 가요성이 있다.
유지 요소(22)는 로크 플러그(20)를 체결하고 도 2 및 도 3에서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로킹 요소(21)를 선택적으로 결합하도록 더욱 구비되어 이동으로부터 액추에이터(14)를 고정시켜 래치된 위치에서 폴 부재(13)를 유지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유지 부재(22)는 로킹 요소(21)(도 2 및 도 3)와 결합을 위하여 바깥쪽으로 뻗은 아암(24)을 갖추고 있다. 도 2 및 도 3은 로크 플러그-연결되는 끝부(27)에 설치되는 유지 부재(22)를 도시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지 부재(22)는 로크 플러그(20)에 스냅-끼워맞춤 설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조립체 슬롯(30)을 갖추고 있다. 멈춤쇠(31, 32)는 로크 플러그가 키이(도시 생략)로 회전할 때 유지 부재(22)의 멈춤 위치를 나타내기 위하여 유지 부재(22)에 구비된다. 유지 부재(22)는 키이 슬롯(28)에 삽입되어 회전되는 키이(도시 생략)의 작동으로로크 플러그(20)에 의하여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도 5를 참조하면, 핸들(12)은 상승부(40)를 갖춘 몸체(37), 핸들(12)의 대향한 쪽에 한 쌍의 플랜지(38, 39) 및 개별적으로 플랜지(38, 39)에 배치된 한 쌍의 피봇 보스(41, 42)를 포함하는 하우징(11)에 핸들(12)을 장착하기 위한 장착 수단을 갖춘 분리도로 도시된다. 액추에이터(14)를 접촉하기 위한 접촉 수단은 상승부(40)에 대향한 핸들(12)의 전면에 구비된다. 접촉 수단은 핸들 몸체(37)에 배치된 탭(43)을 포함하여 도시된다. 핸들(12)은 핸들(12)이 폐쇄될 때 리세스(49)에 놓여지도록 로크 플러그(20)의 상부를 허용함으로서 로크 플러그(20)를 조정하기 위하여 구비된 리세스(49)를 갖추고 있다.
지금 도 6을 참조하면, 탭(43)은 핸들(12)이 올려져 피봇될 때, 액추에이터(14)의 전면과 결합하도록 구비된다. 핸들(12)의 이러한 올림은 하우징(11)내에서 폴(13)과의 결합을 통하여 후방으로 액추에이터(14)를 끌어당기고, 액추에이터(14)는 하우징(11)의 안쪽으로 폴 부재(13)를 후퇴시킨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롯(50)은 폴 부재(13)를 수용하기 위한 하우징의 전면 벽부(49)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 슬롯(50)은 폴(13)을 조정하도록 상대적으로 형성되고 거기에서 폴 부재(13)의 이동을 용이하게 한다.
바람직하게 하우징 슬롯(50)은 슬롯(50)의 대향한 쪽에 배치된 강화 리브(51, 52)로 구비될 수 있다. 슬롯(50)은 폴(13)에 관련하여 짝지어지기 위하여 구비되는 한 쌍의 트랙(54)을 갖추어 도시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 부재(14)는 하우징 슬롯(50)의 트랙(54, 55)을 따라서 폴(14)의 미끄럼을 용이하게하는 표면(57, 58)을 갖추고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11)은 대향한 쪽에 각각 배치된 한 쌍의 개구(60, 61)를 갖추고 있다. 핸들(12)의 피봇 보스(41, 42)는 하우징(11)위의 핸들(12)을 피봇가능하게 유지하도록 각각 피봇 개구(60, 61)에 수용된다.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핸들(12)은 하우징(11)에 대하여 핸들(12)의 정렬을 용이하게 하는 측면 플랜지(38, 39)를 갖추고 있다. 하우징(11)은 제 1 측면 레지(64) 및 각각의 측면에 배치된 제 2 측면 레지(65)로 구비된다. 제 1 측면 레지(64)는 핸들(12)이 그의 폐쇄(도 1) 위치에 있을 때 핸들 측면 플랜지(38)용 시트를 구비한다. 유사하게, 제 2 측면 레지(65)는 대향한 핸들 측면에 제 2 플랜지(39)용 시트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제 1 및 제 2 레지(64, 65)는 로크 플러그(20)의 상부의 핸들(12)을 약간 올리도록 충분한 높이에 위치된다. 번갈아서 로크 플러그(20)는 핸들(12)이 얹혀지는 부가 시트를 구비함으로서 래치 핸들(12)을 더욱 고정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것은 로크 플러그(20)의 높이에 상응하도록 제 1 및 제 2 측면 레지의 높이 및 플랜지를 정렬시킴으로서 이루어진다.
도 9를 참조하면, 액추에이터(14)는 핸들(12)과 결합하기 위한 핸들 결합 수단을 갖추어 도시된다. 핸들 결합 수단은 핸들(12)이 액추에이터(14)를 결합하도록 피봇될 때 핸들 탭 부(43)와 접촉을 최대화하도록 경사지는 복수의 접촉 리브(70)를 포함하여 도시된다. 접촉 리브(70)는 액추에이터의 선반 또는 베이스(69)에 지지되어 도시된다. 액추에이터(14)는 폴(13)을 후퇴 및 구속해제하도록 폴 부재(13)와 연결하기 위한 연결 수단을 더 갖추고 있다. 연결 수단은 액추에이터 선반 또는베이스(69)로부터 아래로 뻗은 스냅 레그(71, 72)를 포함하여 도시되고 각각의 레그(71, 72)의 세 면에 구비되어 도시된 각각의 테이퍼진 플랜지부(73, 74)로 구비된다. 멈춤 수단은 로킹 요소(21) 멈춤용으로 구비된다. 멈춤 수단은 액추에이터(14)의 선반 또는 베이스(69)로부터 아래로 뻗은 멈춤 레그 부재(75)를 포함하여 도시된다. 바람직하게는, 멈춤 레그(75)는 로킹 요소(21)와 상호작용이 용이하도록 액추에이터(14)의 바깥 끝부에 구비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액추에이터 멈춤 레그(75)는 로킹 요소(21)를 결합을 위한 위치에서 그리고 그를 향하여 배치되는 헤드(76)와 같은 확장부로 구비된다. 액추에이터(14)는 폴(13) 및 하우징(11)과 관련하여 액추에이터(14)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수단을 더욱 포함한다. 지지수단은 액추에이터(14)의 선반 또는 베이스(69)로부터 아래로 뻗은 지지 레그(77, 78)를 포함하여 도 9에 가장 잘 도시된다.
도 10은 배치된 복수의 슬롯(81, 82, 83, 84, 85)을 갖추고 있는 플로어(80)를 갖춘 하우징(11)을 도시한다. 슬롯(81, 82, 83, 84, 85)은 하우징 플로어(80)를 통하여 그리고 폴(13)로 들어가도록 허용하는 스냅 레그(71, 72), 멈춤 레그(75) 및 지지 레그(77, 78)와 각각 상응하도록 구비된다.
폴(13)은 각각의 슬롯(81, 82, 83, 84, 85)내로 뻗은 작동 부재(14)의 레그(71, 72, 75, 77, 78)를 조정하기 위하여 거기에 놓여진 복수의 슬롯(91, 92, 93, 94, 95)을 갖추어 도시된다. 도 1 및 도 8을 참조하면, 하우징(11)은 폴(14)을 미끄러지게 이동하도록 상대적으로 구성된 폴 슬롯(50)을 갖추어 도시된다. 슬롯(50)의 짝지어지는 구성은 각각 하우징의 슬롯(81, 82, 83, 84, 85)과슬롯(91, 92, 93, 94, 95)의 정렬을 용이하게 하여 폴 슬롯을 통하여 뻗도록 액추에이터(14)의 레그를 가능하게 한다. 폴 부재(13)의 외부 슬롯(85)은 그것의 한쪽에 부분적으로 개방한다. 액추에이터의 멈춤 레그(75)는 외부 슬롯(85)을 통하여 뻗는다. 도 2 및 도 3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로킹 요소(21)는 유지 부재 아암(24)과 선택적인 결합을 위하여 외부 슬롯(85)에 위치된다. 로킹 부재(21)는 하우징(11)의 폴 슬롯(50)내에 유지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 슬롯(50)은 슬롯(50)의 상부, 후미 벽부(101) 및 하부 벽부(102)를 구획형성하는 하우징 플로어(80)에 의하여 구획형성된다. 폴(14), 스프링(15) 및 로킹 요소(21)는 플로어(80)와 하부 벽부(102)사이에서 유지된다.
폴(13)은 폴(14)이 하우징(11)으로부터 바깥으로 돌출하는 결합 위치 전방으로 스프링(15)의 힘으로 가압된다. 폴(14)이 후퇴된 후에, 래칭 위치 전방으로 폴이 복귀하도록 폴에 대하여 더욱 작동한다. 폴(14)은 액추에이터(14)의 접촉 리브(70)와 결합하는 핸들 탭(43)을 가압하는 핸들(12)을 올림으로서 빼내진다. 그리고 액추에이터(14)는 각각의 개별적인 폴 슬롯(91, 92, 94, 95)의 후미 끝부에 대하여 결합하는 레그(71, 72, 77, 78) 및 로킹 요소(21)에 대하여 결합하는 멈춤 레그(75)의 후미 끝부를 갖춘 하우징(11)에서 후미로 가압된다. 본 래치(10)의 구성은 고정구(도시 생략)에서의 그것과 같이 외력에 직면할 때, 하우징(11)의 슬롯(50) 안쪽으로 폴(14)이 가압됨을 허용하게 된다. 이것은 유지 부재(22)가 로크된 위치에 있을 때조차도, 래치(10)가 슬램 로크됨을 허용한다. 폴(14)은 안쪽으로 가압될 수 있고 로킹 부재(21)는 폴이 안쪽으로 가압될 때, 폴(14)의 외부슬롯(85)에 의하여 조정될 것이다. 물론, 안쪽으로 가압된 후에, 폴이 고정구 충돌을 피하고 부가 저항과 직면하지 않을 때, 폴(14)은 그것의 외부 위치쪽으로 스프링에 의하여 가압되어 래치(10)를 체결한다.
도 1 및 도 1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올려진 위치에서의 핸들(12)을 유지하기 위한 멈춤쇠 수단은 하우징(11)의 대향한 쪽에 배치된 가요성 결합 요소(98, 99)를 포함하여 도시된다. 바람직하게 멈춤쇠 수단은 멈춤쇠 힘이 핸들(12)을 더 낮춤으로서 극복될 때까지 올려진 위치에서 핸들(12)을 유지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래치(210)의 제 2 교호의 실시예가 도시된다. 래치(210)는 여기에서 설명되고 도시된 제 1 실시예의 래치(10)와 유사하나 하우징(211)에 구비된 공간(250)내에 미끄러지도록 사각 단면을 갖추어 형성되는 교호의 로킹 기구 및 교호의 폴(213)을 갖추고 있다. 교호의 로킹 기구는 로킹 폴 아암(224)을 갖춘 로크 플러그(222)를 포함하는 로킹 수단을 도시한다. 로킹 폴 아암(224)은 로킹 폴 아암(224)이 래칭(도 12) 위치에 있고 로킹 폴(224)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 위치에서 측면으로 회전될 때의 양 상태에서 래치(210)의 슬램-작동 폐쇄를 허용하는 바람직하게는 스프링 부재이다. 스프링 힘은 로킹 폴 아암이 고정구(도시 생략)를 넘어 로킹 위치 내로 스냅이 가능하도록 로킹 폴 아암(224)으로 공급된다.
도 1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핸들(212)이 올려지고 핸들 탭(243)이 하우징 슬롯(250)(도 15) 안쪽으로 폴(213)이 후퇴하도록 액추에이터(214)를 결합한다.
본 발명에 따라 도시된 래치(310)의 제 3 교호의 실시예가 지금 도 16 내지도 18로 참조된다. 래치(310)는 상기 설명된 제 2 실시예(210)의 래치와 유사하나 로크없이 작동하도록 구비된다. 래치(310)는 하우징(311), 거기에 피봇되게 연결된 핸들(312), 하우징(311)의 슬롯(350)에서 미끄러지게 배치된 폴(313), 액추에이터(314) 및 래칭 위치쪽으로 폴(313)을 가압하는 스프링(315)을 하우징(311)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하도록 갖추어서 도시된다. 액추에이터(314)는 하우징 플로어(380)에 구비된 도 17에서 도시된 그것(370)과 같은 복수의 슬롯을 통하여 폴(313)과 연결할 수 있다. 핸들 탭(343)은 핸들(312)이 도 18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핸들(312)이 올려질 때 액추에이터(314)를 결합하도록 구비된다. 도시되지 않은 반면에, 래치(10)와 연결하여 상기 설명되는 멈춤쇠 수단과 같은 그 밖의 특징은 래치(310)와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액추에이터(314)는 래치(10)의 제 1 실시예의 액추에이터(14)와 연결되는 상기 설명된 것들의 동일 레그로 동일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6에 도시한 것과 같은 장착 수단은 하우징(311)에 구비되어 그것(326)(하나 이상의 추가 보어, 도시 생략)과 같은 보어를 포함한다.
여기서 설명된 래치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여기에 설명된 하나 이상의 특징은 출원인에 의한 본 발명의 원리와 일치하는 또 다른 래치의 실시예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설명에 다른 변경은 여기서 개시된 발명의 사상 및 범주와 일치하도록 만들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고정구가 분리 부재로 참조되는 반면, 고정구는 폴이 여기서 구비된 개시와 일치하여 결합하는 폐쇄 프레임 또는 다른 표면, 패널을 포함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로크플러그와 관련하여 설명되는반면, 노브, 핸들 또는 다른 부재는 개방 및 폐쇄를 조정하도록 액추에이터 또는 제 2 고정구(제 2 교호의 실시예와 같은)의 경로의 안팎으로 부재를 회전시키도록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및 다른 장점은 발명의 구성, 도면의 간단한 설명,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청구범위에 개시되어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주와 일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설명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이루어지는 반면,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적당한 범주 또는 적정한 의미를 벗어남이 없이 변경, 수정 및 교환을 쉽게 함이 명백하다. 이러한 점에 있어서, 본 발명의 다양한 특징이 차량 플로어 패널과 관련하여 도시되고 설명되는 반면, 다른 부재의 래칭과 관련하여 적당한 이러한 많은 특징이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래치의 핸들 작동에 의하여 선택적인 구속해제를 위하여 패널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부재와 함께 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래치를 구비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슬램-작동에 의하여 폐쇄될 수 있는 스프링-가압된 래치를 구비함으로서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래치 핸들이 폐쇄 위치에 있고 래치가 고정구와 연결되지 않을 때조차도 슬램-액션에 의하여 폐쇄될 수 있는 새로운 래치를 구비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예를 들면 플로어 패널 및 플로어 저장 격실과 같은 구역 또는 격실로 및 거기로부터 접근을 조정하도록 차량의 패널과의 연결에 사용될 수 있는 래치를 구비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하우징내에 이동을 위하여 미끄러지게 가이드 되는 폴 부재를 갖추고 있는 새로운 래치를 구비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독단적인 개방에 대하여 래치를 체결할 수 있는 로킹 기구를 구비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폴 부재가 결합 위치로 폴을 가압하도록 핸들과 개방 또는 폐쇄될 때 저항을 구비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차량 전복 및 충돌에 의하여 겪게 되는 것과 같이 응력하에서의 유지 특성이 향상된 래치를 구비하는데 있다.

Claims (28)

  1. a) 하나의 상기 제 1 부재 및 상기 제 2 부재를 장착하기 위하여 적용되는 하우징;
    b) 폐쇄 위치에서 래치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를 결합하도록 적용되고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어, 활성 스프링 부재를 포함하는 폴 부재;
    c) 상기 하우징에 피봇되게 연결되고 피봇 범위를 넘어 이동가능하고, 피봇될 때, 폴 부재를 선택적으로 결합하기 위한 작동 수단을 포함하는 핸들; 을 포함하고, 고정구를 결합하도록 구비되어 제 1 부재를 제 2 부재에 체결하기 위한 폴 래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이 피봇될 때, 상기 폴 부재는 상기 핸들 작동 수단과 결합하기 위하여 배치되는 다리부를 갖추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폴 부재 다리부는 적어도 하나의 슬롯으로 구비되어, 그리고 상기 작동 수단은 상기 핸들과 상기 폴을 이동시킴으로서 상기 폴이 후퇴하도록 핸들을 피봇가능하게 이동시킬 때 상기 슬롯내로 이동되는 적어도 하나의 핑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과 관련한 이동에 대하여 상기 래치 핸들을로킹하기 위한 로킹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 수단은 상기 핸들에 배치된 로킹 레그와 상기 로킹 레그에 상응하는 노치를 갖추고 있는 로킹 부재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로킹 부재는 상기 노치가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핸들이 이동가능하도록 허용하는 상기 로킹 레그와 정렬되는 제 1 위치와 상기 노치가 상기 하우징과 관련하여 상기 핸들의 이동을 방지하도록 상기 로킹 레그와 정렬되지 않는 제 2 위치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회전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은 개구를 갖는 상부면을 갖추고 있고 상기 로킹 레그는 상기 개구의 대향면에 배치된 일반적인 L자 형상의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핸들을 지지하기 위한 각각의 면에 시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은 아래로 뻗는 상기 상부면의 각각의 면에 배치된 상부면 및 플랜지를 갖추고 있고, 각각의 상기 플랜지는 상기 하우징과 관련하여 상기 핸들을 위치결정시키는 상기 하우징 시트를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부분적으로 올려진 부분에 핸들을 유지하기 위하여 멈춤 수단을 갖추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에 대한 위치에 핸들을 체결하기 위한 멈춤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멈춤 수단은 하나의 끝부에 하우징을 연결되고 결합 요소를 갖는 자유단을 갖추고 있는 적어도 하나의 레그 부재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핸들은 상기 핸들이 폐쇄된 위치로 이동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레그 부재의 상기 결합 요소를 결합하도록 상기 핸들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한 요소를 갖추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멈춤 수단은 하나의 끝부에서 하우징과 연결되고 결합요소와 자유단을 갖추고 있는 적어도 하나의 레그 부재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핸들은 상기 핸들이 피봇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레그 부재의 상기 결합 요소를 결합하도록 상기 핸들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한 요소를 갖추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한 요소는 상기 핸들 표면으로부터 아래로 뻗은 탭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레그 부재는 가요성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레그 부재는 스프링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
  1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 수단은 상기 로크플러그를 상기 하우징에 연결하는 유지 부재 및 로크플러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폴의 각각의 면에 수직으로 배치된 돌출 플랜지를 갖추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
  18. a) 연결된 폴 부재를 포함하고 이동가능한 하우징;
    b) 상기 하우징에 피봇가능하게 연결되고 피봇 범위를 넘어 피봇가능하게 이동가능하고, 폴 부재 결합을 위한 작동 수단을 포함하는 핸들; 을 포함하고 고정구와 결합하고,
    c) 상기 폴 부재는 활성 스프링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핸들의 회전시에 상기 핸들 작동 수단과 결합하기 위하여 배치되는 레그 부분을 포함하고;
    d) 상기 폴 부재는 폴 부재의 에지를 따라서 상기 하우징과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부재를 제 2 부재에 체결하기 위한 폴 래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폴 부재 레그 부는 적어도 하나의 슬롯으로 구비되고, 상기 작동 수단은 상기 폴이 후퇴하도록 핸들을 피봇가능하게 이동시킬 때 상기 슬롯으로 이동되는 적어도 하나의 핑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은 개구를 갖춘 상부면을 갖추고 있고; 상기 로킹 수단은 상기 개구의 대향면에 상기 핸들에 배치된 로킹 레그, 상기 로킹 레그에 상응하는 노치를 갖추고 있고, 상기 노치가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핸들이 이동가능하도록 허용하는 상기 로킹 레그와 정렬되는 제 1 위치와 상기 노치가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상기 핸들의 이동을 방지하도록 상기 로킹 레그와 정렬되지 않는 제 2 위치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회전가능한 로킹 부재를 포함하는 로킹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
  2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 부재와 고정구 사이에서 결합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래칭이 용이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피봇 범위는 상기 핸들이 폐쇄되는 상기 범위를 넘는 적어도 하나의 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래칭이 용이한 수단은 상기 폴 부재를 결합하도록 상기 핸들에 구비된 복수의 돌출 요소 및 상기 핸들이 폐쇄될 때 상기 고정구쪽으로 상기 폴 부재를 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
  2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공간을 구획형성하는 복수의 이격된 플랜지를 갖추고 있고, 상기 폴 부재는 상기 핸들과 결합될 때, 피봇가능하게 이동가능하고 상기 이격된 플랜지 사이에 배치되어, 폴 부재가 피봇가능하게 이동될 때 하우징에 대하여 폴 부재에 저항을 분할하기 위한 저항 수단을 갖추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 수단은 인접 하우징 플랜지와 결합하기 위한 상기 폴 부재의 각각의 대향 측면에 배치된 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
  25. 제 1 항에 있어서, 슬리브를 더 포함하는 상기 하우징과 관련한 이동에 대하여 상기 핸들을 로킹하기 위한 로킹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로킹 수단은 상기 슬리브에 수용되는 로크플러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
  26. 제 1 항에 있어서, 유지 수단과 장착되고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는 로크플러그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과 관련한 이동에 대하여 상기 핸들에 배치된 핸들 고정구 수단을 갖추고 있는 상기 핸들을 잠그기 위한 로킹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로크플러그는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상기 핸들을 체결 및 구속해제하도록 상기 핸들 고정구 수단에 대하여 선택 위치결정을 위하여 결합 수단을 갖추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
  27. a) 하나의 상기 제 1 부재 및 상기 제 2 부재에 장착하기 위하여 적용되는 하우징;
    b)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고 폐쇄 위치에서 래치를 체결하기 위해 고정구를 결합하도록 적용되고, 활성 스프링을 포함하고 피봇되는 피봇 축선을 형성하도록 에지를 따라서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는 상부 끝부에서 하우징에서 뻗은 레그 및 하부 레그 끝부에서 결합요소를 갖추고 있는 폴 부재 그리고,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멀리 요소를 결합하는 상기 폴 부재를 가압하는 상기 스프링;
    c) 상기 하우징에 피봇되게 연결되고 피봇의 범위를 넘어 이동가능하고, 핸들이 피봇될 때 폴 부재를 선택적으로 결합하기 위한 작동 수단을 포함하는 핸들; 을 포함하고, 고정구를 결합하도록 피봇되고 제 1 부재를 제 2 부재에 체결하기 위한 폴 래치.
  2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 부재는 거기에 배치된 슬롯을 갖추고 있고, 상기 작동 수단은 상기 핸들이 피봇될 때 상기 핸들과 상기 폴 부재의 피봇을 용이하도록 상기 슬롯내로 삽입을 위하여 배치된 핑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래치.
KR1020017010603A 1999-02-22 2000-02-22 로드 플로어 래치 KR1007044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5558699A 1999-02-22 1999-02-22
US09/255,586 1999-02-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6616A true KR20020016616A (ko) 2002-03-04
KR100704477B1 KR100704477B1 (ko) 2007-04-09

Family

ID=2296898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9911A KR100638082B1 (ko) 1999-02-22 2000-02-22 로드 플로어 래치
KR1020017010603A KR100704477B1 (ko) 1999-02-22 2000-02-22 로드 플로어 래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9911A KR100638082B1 (ko) 1999-02-22 2000-02-22 로드 플로어 래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2) EP1163131A1 (ko)
KR (2) KR100638082B1 (ko)
AU (3) AU3005200A (ko)
WO (3) WO200004887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86518B2 (en) * 2000-06-13 2004-09-07 Southco, Inc. Load floor latch
US6719332B2 (en) * 2000-12-03 2004-04-13 Southco, Inc. Load floor latch
DE102004039930A1 (de) 2003-08-18 2005-05-19 Southco, Inc. Ladeflächenverschluß
US10676971B2 (en) 2016-06-13 2020-06-09 Arconic Inc. Rotary latch system
DE202017107662U1 (de) * 2017-12-15 2018-01-15 Abb Schweiz Ag Griffelement zur Aufnahme in der Frontseite einer Tür eines Schranks, insbesondere Schaltschranks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86903A (en) * 1938-11-16 1940-01-09 Pennsylvania Railroad Co Latch
US2987908A (en) 1959-02-12 1961-06-13 Eastern Malleable Iron Company Door lock
US3782141A (en) * 1972-10-26 1974-01-01 Hansen Mfg Co A L Flush type door latch
EP0030984A1 (de) * 1979-12-20 1981-07-01 Willi Eigemeier Türschloss mit Falle und Riegel
US4312202A (en) * 1979-12-28 1982-01-26 The Eastern Company Paddle lock with bolt-carried handle disconnect member
US4438964A (en) * 1981-06-18 1984-03-27 Pierce Manufacturing, Inc. Paddle operated vehicle latch
US4683736A (en) * 1984-04-18 1987-08-04 The Eastern Company Cabinet lock with recessed handle
US5297404A (en) * 1992-07-06 1994-03-29 Hsl Marketing, Inc. Bolt for an inner cylinder lock
KR970006041U (ko) * 1995-07-12 1997-02-21 차량의 도어 개폐용 핸들
KR970062653U (ko) * 1996-05-22 1997-12-11 차량 도어의 핸들 풀
KR19980021952U (ko) * 1996-10-24 1998-07-15 박병재 자동차도어의 아웃사이드핸들 밸런스웨이트의 구조
US5897147A (en) * 1997-01-08 1999-04-27 Southco, Inc. Locking slide latc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04477B1 (ko) 2007-04-09
EP1224099B1 (en) 2012-08-22
EP1224099A4 (en) 2009-11-11
EP1163131A1 (en) 2001-12-19
EP1224099A1 (en) 2002-07-24
WO2000048872A1 (en) 2000-08-24
WO2000048871A1 (en) 2000-08-24
KR100638082B1 (ko) 2006-10-24
AU3501600A (en) 2000-09-04
AU3005200A (en) 2000-09-04
WO2000048870A1 (en) 2000-08-24
AU3005100A (en) 2000-09-04
KR20010101787A (ko) 2001-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52053B2 (en) Load floor latch
KR100407032B1 (ko) 래칫 폴 래치
KR100873845B1 (ko) 적재 바닥 래치
US6364392B1 (en) Tailgate extender
US7004517B2 (en) Latching device
US6048006A (en) Ratcheting pawl latch
US6626472B1 (en) Load floor latch
US7399009B2 (en) Load floor latch
US5871317A (en) Cargo latch
CN108625693B (zh) 具有防拍击闩锁机构的车辆关闭闩锁组件
US7096538B2 (en) Vehicle door hinge system
KR20020016616A (ko) 로드 플로어 래치
US20030214150A1 (en) Service door for a motor vehicle
US6435572B1 (en) Double pawl console latch
US20060076802A1 (en) Vehicle gate with detachable window
CN212317684U (zh) 一种自弹锁体的让位装置及自弹锁体
WO2000019050A1 (en) Load floor slam-action pawl latch
MXPA00002398A (es) Cerrojo de trinquetes
KR920004481Y1 (ko) 화물차량용 적재함 잠금장치
KR100462675B1 (ko) 다단 작동 힌지 및 버튼을 이용한 사이드 게이트 개폐 구조
CA2303114A1 (en) Ratcheting pawl latch
JPH10262779A (ja) リヤシートバック用アームレストのリッドのロック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7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