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4796B1 - 성형 가황용 금형 - Google Patents

성형 가황용 금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4796B1
KR940004796B1 KR1019900702263A KR900702263A KR940004796B1 KR 940004796 B1 KR940004796 B1 KR 940004796B1 KR 1019900702263 A KR1019900702263 A KR 1019900702263A KR 900702263 A KR900702263 A KR 900702263A KR 940004796 B1 KR940004796 B1 KR 9400047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tor
actuator
actuator portion
hook
m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7022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700134A (ko
Inventor
미쓰끼 미야다
야스노리 우에다
Original Assignee
스미또모 고무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요꼬이 요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035297A external-priority patent/JPH066176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7138289A external-priority patent/JPH0620748B2/ja
Application filed by 스미또모 고무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요꼬이 요오 filed Critical 스미또모 고무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107001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7001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47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47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42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moulding surface, e.g. ribs or groo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02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3/021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02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with incorporated heating or cool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20Opening, closing or clamping
    • B29C33/202Clamping means operating on closed or nearly closed mould parts, the clamping means being independently movable of the opening or clos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44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with means for, or specially constructed to facilitate, the removal of articles, e.g. of undercut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44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with means for, or specially constructed to facilitate, the removal of articles, e.g. of undercut articles
    • B29C33/48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with means for, or specially constructed to facilitate, the removal of articles, e.g. of undercut articles with means for collapsing or disassemb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601Vulcanising tyres; Vulcanising presses for tyres
    • B29D30/0606Vulcanising moulds not integral with vulcanising presses
    • B29D30/0629Vulcanising moulds not integral with vulcanising presses with radially movable s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601Vulcanising tyres; Vulcanising presses for tyres
    • B29D30/0606Vulcanising moulds not integral with vulcanising presses
    • B29D30/0629Vulcanising moulds not integral with vulcanising presses with radially movable sectors
    • B29D2030/063Vulcanising moulds not integral with vulcanising presses with radially movable sectors the moulds being split in upper and lower h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0/00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성형 가황용 금형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1도는 본 발명에 관련된 성형 가황용금형의 일 실시예의 전폐상태의 요부 단면도.
제2도는 열림상태의 요부 단면도.
제3도는 제1도의 A-A선 단면도.
제4도는 제1도의 B-B선 단면도.
제5도는 제1도의 D-D선 단면도.
제6도는 상하 액튜에이터부의 단면도.
제7도는 걸어올림부재와 해제부재의 단면도.
제8도는 해제부재의 간략사시도.
제9도는 걸어올림부재의 요부 간략사시도.
제10도는 제1도의 C-C선 단면도.
제11도는 걸어올림부재의 작용설명도.
제12도는 전개(全開) 상태의 요부 단면도.
제13도는 섹터의 변형예의 단면도.
제14도는 타 실시예의 요부 단면도.
제15도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요부 단면도.
제16도는 금형 개폐동작을 설명하는 간략단면도.
제17도는 상 액튜에이터부와 상 섹터부의 요부 확대 단면도.
제18도는 하 액튜에이터부와 하 플래톤의 요부 확대 단면도.
제19도는 금형 개폐동작을 설명하는 요부 확대 단면도.
제20도는 제15도의 Ⅵ-Ⅵ선 확대 단면도.
제21도는 제15도의 Ⅶ-Ⅶ선 확대 단면도.
제22도는 제15도의 Ⅷ-Ⅷ선 확대 단면도.
제23도는 제15도의 Ⅸ-Ⅸ선 확대 단면도.
제24도는 종래예의 요부 단면도.
제25도는 타 종래예의 요부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상형 2 : 하형
3 : 섹터 3a : 상섹터부
3b : 하섹터부 4 : 엑튜에이터
4a : 상 엑튜에이터 4b : 하 엑튜에이터
5 : 타이어 5a : 타이어 측벽부
6a : 상 플래튼 6b : 하 플래튼
7 : 오목 주변홈 7a : 내주면
7b : 상면 9 : 외면
10 : 고착구 11 : 홈
12 : 돌출선 13 : 상 섹터부용 탄발 부지
14 : 브라인드 형상 구멍부 15 : 지지봉
16 : 고착구 17 : 스토퍼
18 : 외면(하 섹터부 3b외) 19 : 수평면부(하형 2외)
20 : 하면(하 섹터부 3b외) 21 : 하면(상 섹터부 3a외)
22 : 상면(하 섹터부 3b외) 23 : 내주면(하 엑튜에이터부 4b외)
24 : 긴구멍 25 : 홈(4b외)
26 : 돌출선 27 : 브라인드 형상 구멍부
28 : 지지봉 29 : 하 엑튜에이터 부옹 탄벌부재
30 : 연결 수단 30a : 매달아 올림부재
31 : 외주면(상 엑튜에이터외) 32 : 센단 걸림부
33 : 걸림 구멍 34 : 본체부
35 : 지지부 36 : 탄발 부재
37 : 편출부 38 : 해제 부재
39 : 돌출부 40 : 긴구멍
41 : 합면(상·하 섹터부외) 42 : 상방 내단 주변(상 섹터부외)
43 : 하방 내단 주변(하 섹터부외) 44 : 하방 외단 주변(상형 1외)
45 : 내단 주변(하형 2외) 46 : 트레드 패턴의 홈
47 : 돌출부 48 : 끼워 맞춤 홈
49 : 하 섹터부용 탄발 부재 50 : 상 엑튜에이어 부옹 탄발 부재
51 : 브라인드 형상부 52 : 내주변홈
53 : 하면(나사 홈 52외) 54 : 지지봉
55 : 브라인드 형상 구성부 56 : 지지봉
57 : 연결구 58 : 핀
59 : 연결부 60 : 볼트
61 : 상 엑튜에이터부의 상벽하면 62 : 오목 홈
63 : 고착구 64 : 상형 1의 외주면
65 : 틈체 66 : 링체
67 : 볼트 부재 68 : 슬라이드 홈
69 : 오목홈 70 : 돌출선
71 : 미세홈 72 : 오목홈
73 : 볼록체 74 : 혹 부재
75 : 하단부 76 : 하 엑튜에이터 4b의 외면
77 : 하 엑튜에이터의 상단부 78 : 길림부
79 : 훅부 80 : 가압부
81 : 회전 지지축 82 : 상 엑튜에이터의 하면
83 : 지지체 84 : 오목한 곳
85 : 고착구 86 : 관통 구멍
87 : 절결부 88 : 돌출편
89 : 돌출부 90 : 오목한 곳
91 : 오목한 곳 92 : 오목한 곳
93 : 끼워 맞춤체 94 : 관통 구멍
95 : 내향벽 96 : 블록체
97 : 오목홈 98 : 고착구
99 : 하단면 100 : 스토퍼
101 : 고착구
[발명의 상세한 설명]
[기술분야]
본 발명은 성형가황용 금형에 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말하면 타이어의 성형 가황용 금형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제24도는 종래예를 나타내고, 이 성형가황용 금형은 타이어의 한쪽옆벽에 대응하는 고정 하형(b), 이 고정하형(b)에 대해서 승강 가능하게 되는 가동 상형(a), 그 중간에 개재하여 타이어(f)의 트레드면에 대응하는 섹터(c)로 이루어진다. 또 이들 각부가 모두 원환상인 것은 말할것도 없다.
또 섹터(c)는 요철 모양을 한 타이어(f)의 트레드에서 벗기기 쉽게, 둘레 방향을 따라 배설한 복수개의 분할 블록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가황을 완료해서 엑튜에이터(d)를 상승시키면, 각 섹터(c)가 자동적으로 외방향으로 이동해서 타이어(f)의 트레드에서 이탈하고, 이어서 다시 상승시키면 각 섹터(c)가 이에 수반되어 상승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엑튜에이터(d)의 상승운동에 의하여 각 섹터(c)에 외방향으로 향하는 수평운동을 발생하도록 각 섹터(c)는 엑튜에이터(d)에 대해서 경사하방으로 향한 미끄럼이동 걸림부에 의해 걸려 있다.
그리고 또, 각 섹터(c)가 완전히 타이어(f)의 트레드에서 이탈하지 않는 동안은 각 섹터가 상승하지 않도록 예컨대 섹터(c)는 상형(c)에 의해 가압되고, 이탈후에 상승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제 24도에도시한 것처럼 트레드표면에 섹터(c)와 상하형(a, b) 사이에 할(割) 위치(e)를 배치하면 섹터(c)의 지름방향의 미끄럼 이동 필요거리(섹터(c)의 상승시에 섹터(c)가 타이어(f)의 트레드에 접촉하지 않기 위한 거리)는 짧은(S₁)것으로 충분하지만 이와 같은 할위치의 경우는 트레드표면에 단차가 생기기도 하고 또 패턴홈에 할위치가 있으면 크랙발생 원인이 된다. 또 제25도에 나타내듯 타이어옆벽측에 할위치를 배치하면 필요한 미끄럼 이동거리(S₂)가 크게 되어 금형이 대형화하는 결점이 있었다.
한편, 섹터를 상하로 분할하고 그 분할편을 각각 용수철들의 탄성부재에 의해 가압하고, 프레스의 폐동작에 따라 상하 분할편을 서로 접촉시킴에 따라 섹터를 닫게 하는 기구가 재생타이어의 성형 가황할금형에 사용되고 있다. 이 방법에 의하면, 탄성부재는 각각 고유 강성을 가지고 또는 사용에 의해 각각의 탄성부재의 강성이 달라지므로, 각 탄성부재의 탄성력은 서로 항상 일정하지 않다.
따라서 금형 폐 동작시에 각각의 분할편의 동작 위치가 불규칙하게 되고, 상하 벡터의 합면위치가 상하로 변동하기도 하고, 또 동시가 아닌 서로 어긋난 상태에서 지름방향으로 미끄럼이동하는(즉, 닫기) 경우가 있다. 그 결과 타이어의 중심(적도)이 있어야할 금형 중심에서 어긋나 타이어의 일정성을 손상한다는 결점이 있다.
또 섹터의 개폐가 수평방향이 아닌 경사방향이기 때문에 할금형의 이점인 로우카바 스트래치를 크게 설정하는것(할형 사용의 경우는 생타이어의 외경을 마무리이지어 타이어의 외경에 가깝게 할 수 있다는 이점)은 불가능하게 된다.
[발명의 개시]
여기서 본 발명에서는 금형의 소형화를도모하고 섹터와 상하형의 할위치를 섹터의 미끄럼 이동 거리에서 제한되는 일없이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고 또 타이어 적도가 금형 중심에서 벗어나는 일 없고, 따라서 타이어의 일정성을 훼손하는 일 없는 성형 가황용 금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관한 성형 가황용 금형은 상하형, 섹터, 이 섹터의 외경측에 배설되는 엑튜에이터를 갖춘 성형 가황용 금형으로서, 엑튜에이터는 섹터에 대해서 상하이동이 가능하게 되는 상 액튜에이터부와 하 액튜에이터부로 분할되고, 상기 섹터를 상기 상 액튜에이터부의 상대적 상하이동에서 이 상 액튜에이터부에 미끄럼 이동해 가면서 지름 방향으로 미끄럼운동해서 개폐 동작 가능하게 되는 상 섹터부와, 상기 하 액튜에이터부의 상대적 상하이동에서 하 액튜에이터부에 미끄럼이동해가는 지름방향으로 미끄럼 운동해서 개폐동작 가능하게 되는 하 섹터부로 분할된 것이다.
상기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섹터가 상 섹터부와 하 섹터부로 분할되어 있기 때문에 금형을 열린상태로 하는 때에는 하 섹터부를 타이어의 트레드부를 피하여 상승시키는 필요가 없어져, 그 결과 섹터의 필요 미끄럼이동거리를 최단 치수(즉, 트레드 패턴홈의 깊이 치수)로 할 수가 있다. 또 섹터와 상하형과의 할위치를 그 미끄럼이동 거리에 제한되는일 없이 자유로이 타이어 성능상 가장 바람직한 위치 즉 타이어쪽 측벽에 설계할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구체적인 구성으로서, 하 액튜에이터부를 상방으로 가압하는 하 액튜에이터부용 가압수단과, 상 섹터부를 하방으로 가압하는 상 섹터부용 가압수단이 갖추어져 있거나, 상 액튜에이터부를 하방으로 가압하는 상 액튜에이터부용 가압수단과, 하 섹터부를 상하로 가압하는 하 섹터부용 가압수단이 갖추어져 있는 것이다.
상기 구체적인 구성에서는 섹터의 한쪽만을 가압수단으로 가압하도록 했기 때문에, 상 섹터부와 하 섹터부는 그 합면위치가 상하로 변동하는일 없고, 항상 동일 레벨을 유지하며 지름방향으로 미끄럼 이동해서 금형을 닫는 것이 된다. 또, 이 미끄럼이동때에는 상하섹터부는 시간적으로 서로 어긋나는 일 없고 동시에 지름방향으로 미끄럼 이동하는 것이 된다. 상기 가압수단은 구체적으로 스프링의 탄성부재, 또는 에어실린더등의 탄성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구체적 구성이 사용되고 있다. 즉, 상 섹터부가 상 액튜에이터부에 대해서 소정량 이상 강하하지 않도록 유지하는 스토퍼가 설치되어 있다.
또, 상 액튜에이터부의 내주면은 테이퍼면이 되어, 이 내주면에 상하방향에 따라 돌출선 또는 홈이 주면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어 설치되어 있다.
또, 상 텍서부의 외면은 상기 상 액튜에이터부의 내주면과 동일 경사의 테이퍼면이 되어 이 외면에 상기 돌출선 또는 홈에 미끄럼이동 자유롭게 미세홈을 이루며 끼워맞춤하는 홈 또는 돌출선이 형성되고 있다. 또 하 액튜에이터부의 내주면을 상기 상 액튜에이터부의 내주면과 동일 경사의 테이퍼면에 형성하고, 이 하 액튜에이터부의 내주면에 상하방향을 따른 홈 또는 돌출선이 주변방향으로 소정간격을 가지고 설치되어 있다.
또 하 섹터부의 외면은 상기 하 액튜에이터부의 내주면과 동일 경사의 테이퍼면이 되어 이 외면에 상기 홈 또는 돌출선에 미끄럼 이동 자유롭게 미세홈 끼워맞춤하는 돌출선 또는 홈이 형성되고 있다.
또 상하 섹터부의 분할 접합면에 위치결정용 오목돌출부가 형성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대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다음에 기재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섹터와 상·하형의 할위치를 섹터의 미끄럼이동 거리에 제한되는 일없이 자유로이 설정할 수 있다. 즉 타이어성능상 가장 바람직한 타이어 측벽부측에 할위치를 설정할 수가 있고, 게다가 섹터의 미끄럼이동 거리를, 할위치를 트레드측에 설정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최단거리 즉, 실시예처럼 트레드패턴의 홈의 깊이 치수로 할 수가 있고, 금형이 대형화하지 않는다.
또, 상하 섹터부의 합면위치는 금형폐동작시에 상하로 변동하지 않고 동일레벨을 유지해서 지름방향으로 이동하고, 게다가 상하 섹터부는 서로 함께 동일 방향으로 미끄럼운동하기 때문에 타이어 적도가 금형중심에 일치된 상태로 가황되어 항상 안정한 가황성형품을 제공할 수가 있다. 또 한쪽 섹터부 및 한쪽의 액튜에이터부를 탄성부재에서 유지시키기 좋기 때문에 전체의 기구로서는 간략화되고 금형을 콤팩트하게 설계할 수가 있다. 또 금형이 소형화하면, 사용하는 프레스기도 소형으로 좋고 제조 크스트는 극히 싸게 된다.
또 본 발명에서는 액튜에이터를 상, 하 분할함에 따라 상, 하 액튜에이터ㅏ부를 함께 이동시킬 필요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상, 하 액튜에이터부가 소정량만큼 일체적으로 이동하고 그후는 양자를 분리시키도록 하고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상 액튜에이터부와 하 액튜에이터부를 걸고 벗기기에 자유롭게 결합해서 양자를 일체화하고 상, 하 액튜에이터부가 하단의 형 조임위치에서 소정량만큼 상승하면 그 결합을 해재해서 양자를 분리하는 연결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연결수단은 상, 하 액튜에이터부의 어느 한쪽에 요동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다른쪽으로 돌출하고 이 돌출단부에 걸림부를 가지고 매달아 올린 부재와 상, 하 액튜에이터부의 다른쪽에 설치되어 상, 하 액튜에이터부의 밀착상태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에 걸고 벗기기에 자유롭게 거는 피걸림부, 상기 걸림부가 피걸림부에 걸리는 방향으로 매달아 올림부재를 가압하는 수단과, 하형측에 부착되어 매달아 올림부재와 상하방향의 상대이동이 생겼을 때 매달아 올림부재를 상기 가압수단에 대항하여 요동시켜 걸림부와 피걸림부의 걸림을 해제시키는 해제부재로 이루어진다.
또, 상기 연결수단을 다음과 같이 구성할 수가 있다. 즉 연결수단은 상 액튜에이터부내에 설치된 수평방향 피붓팅축에 요동이 자유롭게 회전지지되고 하단부가 이 상 액튜에이터부의 하면에서 돌출하고 있는 훅부재와, 하 액튜에이터부의 상단부에 설치됨과 동시에 상 액튜에이터부와 하 액튜에이터부와의 밀접상태에 있어서, 상기 훅 부재의 선단훅부가 걸고 벗기기 가능하게 걸어두는 걸림부와, 상기 훅부재의 선단 훅부를 내경방향으로 가입해서 상 액튜에이터부와 하 액튜에이터부와의 밀접 상태에 있어서 이 선단 축부를 상기 걸림부에 걸리게 하는 탄성부재와, 상 섹터부에 설치됨과 동시에 상 액튜에이터부가 상승해서 이 상 섹터부가 근소하게 상대하 강한 금형열림상태에 있어서, 상기 훅부재의 일부에 접촉해서, 이 훅부재의 선단 훅부를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대항해서 외경방향으로 가압하여 이 훅부재의 상기 걸림부로 걸림을 해제시키는 가압부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수단이 훅 부재를 가지고 있는 것은 금형전폐상태(상 액튜에이터부와 하 액튜에이터부가 밀접상태이고, 훅 부재의 선단훅부가 걸림부에 걸려 있는 상태)에서 상 액튜에이터부를 상승시키면, 하 액튜에이터부는 훅부재에 의해 매달려 이 상 액튜에이터부와 함께 상승함과 동시에 상 섹터부는 상대적으로 하강하고 상 섹터부의 가압부(미세홈의 선단부)가 훅부재의 선단 훅부를 외경 방향으로 가압해서, 선단훅부의 걸림부가 걸기가 해제되고, 상 액튜에이터부는 하 액튜에이터부로부터 떨어진다.
또 거꾸로 상 액튜에이터부와 하 액튜에이터부가 이간한 상태(즉 전개(全開) 상태)에서 금형을 전폐상태로 하는데는 상 액튜에이터부를 하강시킨다면, 상 섹터부는 하 섹터부에 접촉시킴과 동시에 상 액튜에이터부가 하 액튜에이터부를 눌러내려서 상하 섹터부는 먼저 반경방향으로 이동하고 선단훅부는 걸림부에 건다.
이상 구성에 의하면 금형외에는 각종부재가 배설되지 않기 때문에 금형 전체로서 콤팩트하게 할 수가 있음과 함께 보기에도 좋다.
또 훅부에 걸림부를 형성하는 끼워 맞춤체, 탄성부재 및 가압부를 형성하는 블록체등을 단독 부품으로 보유할 수 있고, 게다가 부착하고 벗기기 작업이 용이하고 정비에 있어 유리하다는 이점이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실시예에 관하여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제1도와 제2도는 본 발명에 관련된성형가황용 금형을나타내고, 이 금형은 상하형(1,)과 섹터(3…)이고, 이 섹터(3…)의 외경축에 배설되는 엑튜에이터(4)를 갖추고 있고 타이어(5) 등의 탄성체 물품을 가황성형하는 것이다. 또 섹터(3)는 복구개의 분할 블록이 링상으로 배설된 것이다.
엑튜에이터(4)는 섹터(3)에 대해서 상하이동 가능하게 되는 상 액튜에이터부(4a)와 하 액튜에이터부(4b)(로 분할되어 있다.도 섹터(3)도 상 섹터부(3a)와 하 섹터부(3b)로 분할되어 있다.
상 액튜에이터(4a)는 링상이고, 상 플래튼(6a)에 볼트등의 고착구(10)에서 고착되고 내주면에는 凹 주변홈(7)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凹 주변홈(7)의 내주면(7a)은 하방으로 감에 따라 순차적으로 외경축으로 넓어지는 테이퍼면으로 되어 있다. 이 내주면(7a)에는 돌출선(12)이 상하방향에 따라 설치되어 있다.
또 상 섹터부(3a)의 각 분할 블록은 상 엑튜에이터(4a)의 凹 주변홈(7)에 끼워 맞춰지게 되고 그 외면(9)은 이 凹 주변홈(7)의 내주면(7a)에 미끄럼 이동가능한 테이퍼면이 있다. 그리고 외면(9)에 는 제 4도에도시한 것처럼 상기 돌출선(12)이 상하 방향으로 미끄럼 자유로이 끼워맞춤하는 홈(11)을 설치하고 있다. 또 이 홈(11)은 미세홈이 되고, 돌출선(12)과 홈(11)과는 미세하게 끼워맞춤하고 있다.
그리고 상 섹터부(3a)는 가압수단에 의해 하방으로 가압되고 있다. 즉 상 섹터부(3a)의 각분할 블록은 상 액튜에이터부(4a)에 부설되는 코일 스프링등의 상 섹터부용 탄성부재(13)에서 상시 하방으로 가압되고 있다(즉, 눌려져 있다).
즉 상 섹터부(3a)에는 제4도에도시한 것처럼 한쌍의 블라인드 형상구멍(14, 14)이 설치되어 또 상 액튜에이터부(4a)의 오목주변홈(7)의 상면(7b)에는 이 구멍부(14, 14)에 삽입되는 지지봉(15, 15)이 동심으로 삽입되는 탄성부재(13)에 의해 압착되고 있다.
또 구멍부(14) 및 지지봉(15)의 각각의 축심은 상 액튜에이터부(4a)의 오목 주변홈(7)의 내주면(7a) 및 상 섹터부(3a)의 외주면(9)과 동일한 경사각을 가지고 배설되어 있다. 또 상기 가압수단은 탄성부재(13)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에어실린더등이어도 좋다.
또 상 액튜에이터부(4a)의 하면에는 볼트등의 고착구(16)에서 평판상의 스토퍼(17)(제10도 참조)가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상 섹터부(3a)는 제 2도에도시한 것처럼 스토퍼(17)에 접촉해서 낙하하지 않는다. 하 섹터부(3b)의 분할 블록은 외면(18)이 상 섹터부(3a)의 외면(9)과 동일한 경사면이 되고 하면(20)이 하형(2)의 수평면부(19)에 미끄럼운동 가능하게 하여 이 하형(2)에 부설되어 있다. 또 하형(2)은 하 플래튼(6b)에 부착되어 있다. 또 60은 하 섹터부(3b)를 미끄럼운동 가능하게 하형(2)에 부착하기 위한 볼트이고, 24는 긴구멍이다.
또, 하 액튜에이터부(4b)는 링상이고 내주면(23)은 상 액튜에이터부(4a)의 내주면(7a)과 동일한 경사면이 되고, 그 내주면(23)과 하 섹터부(3b)의 외면(18)과는 미끄럼 접합한다.
그리고 하 액튜에이터부(4b)의 내주면(23)에는 제 5도에도시한 것처럼 상하방향에 따른 홈(25)이 설치되고 하 섹터부(3b)의 외면(18)에는 돌출선(26)이 설치되어 이 돌출선(26)과 홈(25)과는 미끄럼운동 가능하게 하여 미세하게 끼워져 있다. 하 액튜에이터부(4b)는 가압수단에 의해 상하로 가압되어 있다. 즉 하 액튜에이터부(4b)는 하형(2)에 부설되는 코일스프링등의 하 액튜에이터부용 탄성부재(29)에서 항상 상방으로 가압되고 있다(즉, 눌려 올려지고 있다). 즉 하 액튜에이터부(4b)에는 제 5도에도시하듯 주변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연직상의 블라인드상 구멍부(27...)가 설치되고 있다.
또 하형(2)에는 이 구멍부(27)에 삽입되는 지지봉(28)이 고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29)가 지지봉(28)에 지지되고, 구멍부(27)에 삽입되어있다. 또 상 액튜에이터부(4a)에는 하 액튜에이터부(4b)를 매달아 올리기 위한 연결수단(30)이 부설되어 있다.
즉 제3도에 도시한 것처럼 연결수단(30)은 매달아 올림부재(30a)를 가지고 이 매달아올림부재(30a)는 상 액튜에이터부(4a)의 외주면(31)에 주변방향을 따라 복수개 배설되고, 제 6도에도시한 것처럼 선단 걸림부(32)가 하 액튜에이터부(4b)의 걸림부구멍(33)에 걸고 벗기기에 자유롭게 걸려있다.
구체적으로는 매달아 올림부재(30a)는 선단 걸림부(32)를 갖춘 본체부(34)와 이 본체부(34)에 연결되는 연결부(59)와 이 연결부(59)를 상 액튜에이터부(4a)의 외주면(31)에 오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35)를 갖추고 연결부(59)가 탄성부재(36)에 의해 상 액튜에이터부(4a)축으로 잡아당겨지고 있다. 57은 본체부(34)와 연결부(59)를 연결하는 연결구, 58은 핀이다. 또 본체부(34)는 제 9도에도시한 것처럼, 하단부 내면에 팽출부(37)가 형성되어, 그 팽출부(37)의 하단에 상기 선단걸림부(32)가 수평방향으로 돌출설치되어 있다.
하형(2)의 외주면에는 제 8도에도시한 것처럼 매달아 올림부재(39a)의 선단걸림부(32)의 걸림구멍(33)으로의 걸림을 해제하는 해제부재(39)가 부착설치되어 있다. 즉 해제부재(38)는 팽출부(37)가 미끄럼 접합하는 돌출부(39)를 갖추고 있고 또 걸림부(32)가 상하이동 자유롭게 삽입되는 긴구멍(40)이 돌출부(39, 39)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제6도에 도시한 상태(선단 걸림부(32)가 걸림구멍(33)에 걸려있는 상태)에서 상 플래튼(6a)이 상승해서 상 액튜에이터부(4a)가 상승하면 제11a도에 도시한 것처럼 걸림부(32)가 긴구멍(40)내를 상승하고 그에 수반하여 하 액튜에이터부(4b)가 상승한다.
그리고 제11a도의 상태에서 다시 치수 H(즉, 팽출부(37)의 높이치수)만큼 상승하면, 팽출부(37)는 해제부재(38)의 돌출부(39)에 미끄럼이동해서 제11b도에 도시하듯 걸림부(32)는 걸림구멍(33)에서 벗겨져 그 뒤는 하 액튜에이터부(4b)는 탄성부재(29)의 가압(밀어올림) 지지상태가 된다.
그리고 이 금형을 사용해서 타이어(5)를 가황성형하는데는 제12도에도시하듯 하형(2)에 생 타이어(5)를 재치한 뒤, 상 플래튼(6a)을 하강시켜가면, 매달아 올림부재(30a)의 선단 걸림부(32)는 점차, 제11b도의 상태에서 제11a도의 상태를 거쳐 제2도에 도시한 상태가 됨과 동시에 상 섹터부(3a)의 하면(21)이 하 섹터부(3b)의 상면(22)에 접촉함과 동시에 상 액튜에이터부(4a)가 하 액튜에이터부(4b)를 눌러내린 상태가 된다.
그리고 제 2도에도시한 상태에서 상 플래튼(6a)을 다시 하강시키면, 상 액튜에이터부(4a)가 다시 화살표방향으로 하강시킴과 동시에 하 액튜에이터부(4b)도 이 상 액튜에이터부(4a)에 가압되어 다시 화살표 방향으로 하강하고 상 섹터부(3a) 및 하 섹터부(3b)는 화살표와 같은 지름방향으로 동시에 미끄럼 운동한다.
여기에서 상 섹터부(3a)의 하면(21)과 하 섹터부(3b)의 상면(22)과의 합면(41)은 이 실시예에서는 타이어(5)의 적도(E)에 일치하고 있고, 상하 섹터부(3a, 3b)가 미끄럼운동할때에는 합면(41)은 타이어 적도와 동일 레벨을 유지해서 지름방향으로 미끄럼운동하는 것이 된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합면 위치를 타이어적동상에서 벗어난 부분에 배치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며, 금형 폐동작시에 이 합면이 상하로 변동하는일 없이 이 합면 위치가 항상 동일레벨을 유지해서 상하 섹터는 지름 방향내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제1도에 도시하듯, 상 플래튼(6a)이 상형(1)에 접촉하면, 상 섹터부(3a)의 상방내단주면(42)이 상형(1)의 하방외단주변(44)에 접촉함과 동시에 하 섹터부(3b)의 하방내단주변(43)의 하형(2)의 수평면부(19) 내단주변(45)에 접촉하고 금형은 전폐상태가 된다.
따라서 섹터(3)와 상하형(1, 2)의 할위치는 제1도중의 부호(V)로도시한 위치가 된다. 즉 할위치(V)를 타이어 측벽부(5a)측으로 할 수가 있다. 또, 금형 개방을 위한 섹터(3)의 필요 미끄럼이동 거리(S)는 최단치수(즉, 트레드 패턴의 흠(46)의 깊이치수)로 충분하다.
또, 성형 가황후는 상 플래튼(6a)을 상승시켜가면 상 액튜에이터부(4a)는 상승함과 동시에 하 액튜에이터부(4b)는 그 걸림구멍(33)이 들어올림부재(30a)의 선단 걸림부(32)에 걸려 있기 때문에 상승하고 따라서 상하 섹터부(3a, 3b)는 지름방향외방으로 S만큼 미끄럼 이동하고, 제2도에 도시한 상태가 한다. 그리고 이 제 2도에도시하는 상태에서는 들어올림부재(30a)는 제11a도에 도시한 이상태에서 다시 상 프래튼(6a)이 상승해서 매달아 올림부재(30a)가 상승하면 제11b도가 되어 걸림부(32)가 걸림구멍(33)에서 이탈하고, 개방된 엑튜에이터(4b)는 탄성부재(29)에서 밀어올려 지지상태가 된다. 즉 가황성형된 타이어(5)를 남기고 금형은 전개 상태가 된다.
이어서, 제13도는 상하 섹터부(3a, 3b)의 변형예를 나타내고 상 섹터부(3a)의 하면(21)에는 돌출부(47)가 독출설치되어있고, 하 섹터부(3b)의 상면(22)에는 이 돌출부(47)에 끼워 넣는 끼움홈(48)이 오목하게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하 섹터부(3a, 3b)는 확실하게 동시에 동일방향으로 미끄럼운동하는 것이 된다. 이어서 제14도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고, 이 경우 하 섹터부(3b)를 상방으로 가압(눌러올림)하는 하 섹터부용 탄성부재(49)와, 상 액튜에이터부(4a)를 하방으로 가압(눌러내림)하는 상 액튜에이터부용 탄성부재(50)를 갖추고 있다. 즉, 하 섹터부(3b)에 경사한 블라인드 형상구멍부(51)를 설치, 하 액튜에이터부(4b)의 내주홈(52)의 하면(53)에는 이 구멍부(51)내에 삽입되는 지지봉(54)이 고착되고 그리고 탄성부재(49)가 지지봉(54)에 지지되어, 구멍부(51)에 삽입된다. 또, 상 액튜에이터부(4a)에 연직상의 블라인드형상구멍(55)을 설치하여, 상형(1)에는 이 구멍부(55)에 삽입되는 지지봉(56)이 고착되고 상기 탄성부재(50)가 지지봉(56)에 지지되고, 구멍부(55)에 삽입되어 있다.
또, 이 실시에는 제1도에 도시한 금형을 상하 거꾸로 한 것으로 다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따라서 이 경우에 있어서도 섹터(3)와 상하형(1, 2)의 할위치(V)를 타이어 측벽부(5a)측으로 할 수가 있고, 게다가 섹터(3)의 필요 미끄럼 이동거리(S)를 트레드 패턴의 홈(46)의 깊이 치수로 할 수가 있고, 이 미끄럼이동거리(S)는 최단치수로 할 수가 있고, 또 타이어적도가 금형중심에서 벗겨지는 일 없어 일정성이 손상되는 일이 없다.
제15도에 도시한 것은 다른 실시예이고, 상 액튜에이터부(4a)는 링상으로 상 플래튼(6a)에 착탈 가능하게 고착되어 있다. 상 액튜에이터부(4a)의 상벽하면(61)에 상형(1)이 착탈 가능하게 고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 액튜에이터부(4a)의 내주면(7a)은 하방으로 감에 따라 점차 외경측으로 넓어지는 테이퍼면으로 되어 있다. 이 내주면(7a)에는 제15도와 제20도에 나타낸 것처럼 오목홈(62)이 설치되어 이 오목홈(62)에 돌출선(12)이 볼트등의 고착구(63)에서 끼워붙여져 있다.
또, 상 섹터부(3a)는 상 액튜에이터부(4a)의 내주면(7a)과 이 액튜에이터부(4a)의 상벽하면(7b)과, 상형(1)의 외주면(64)으로 형성되는 오목주변홈(7)에 끼워맞춰져 있다. 상 섹터부(3a)의 외면(9)은 상 액튜에이터부(4a)의 내주면(7a)에 미끄럼접합 가능한 테이퍼면이 된다. 그리고 이 외면(9)에는 제15도와 제20도에도시한 것처럼, 돌출선(12)이 자유롭게 미끄럼운동되게 끼워맞추는 미세홈(11)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각 상 섹터부(3a...)는 상 액튜에이터부(4a)에 부착설치되는 코일 스프링등의 탄성부재(13)에서 항상 하방으로 가압되어 있다(즉, 눌려져 있다). 즉, 제17도에도시한 것처럼 상 섹터부(3a...)에는 블라인드형상구멍부(14)가 설치되어있고 또 상 액튜에이터부(4a)의 상벽하면(7b)에는 이 구멍부(14)에 삽입됨과 동시에 탄성부재(13)가 바깥으로 끼워진 지지봉(15)이 압접되어있다. 또 구멍부(14) 및 지지봉(15)의 각각의 축심에는 상 액튜에이터부(4a)의 내주면(7a) 및 상 섹터부(3a)의 외면(9)과 동일 경사각으로 배설되어 있다. 65는 구멍부(14)에 안쪽으로 끼워진 통체, 66은 구멍부(14) 바닥면에 배설되는 링체이다.
하 섹터부(3b)는 외면(18)이 상 섹터부(3a)의 외면(9)과 동일 경사면이 되고, 하 플래튼(6b)에 반경방향 미끄럼운동이 자유롭게 부착 설치되어 있다. 또 하형(2)은 하 플래튼(6b)에 부착되어 있다. 또 제15도에 있어서 67은 하 섹터부(3b)를 미끄럼운동 가능하게 하 플래튼(6b)에 부착하기 위한 볼트부재이고, 하 플래튼(6b)에 설치된 미끄럼운동 홈(68)에 끼워맞추어져 있다. 또 이 홈(68)은 소위 미세홈이 되어 있고, 또 볼트부재(67)에는 칼라부가 설치되어 이 볼트부재(67)는 미끄럼운동홈(68)에서 빠져나가지 않도록 되어있다.
또, 하 액튜에이터부(4b)는 링상이고, 내주면(23)은 상 액튜에이터부(4a)의 내주면(7a)과 동일 경사면이 된다. 즉 내주면(23)과 하 섹터부(3b)의 외면(18)은 미끄럼 접합한다. 그리고, 하 액튜에이터부(4b)의 내주면(23)에는 제15도에도시하는 것처럼 오목홈(69)이 설치되어 이 오목홈(69)에 돌출선(70)이 고착구(63)를 통해서 끼워맞춰져 있다.
또, 하 섹터부(3b)의 외면(18)에는 이 돌출선(70)이 자유로이 미끄럼운동 끼워맞춤하는 미세홈(71)이 설치되어 있다. 또 이 미세홈(71)은 하 섹터부(3b)의 외면(18)에 설치된 오목홈(72)에 끼워맞춰진 볼록체(73)에 형성된다.
하 액튜에이터부(4b)는 제18도에 표시하듯 하 플래튼(6b)에 부착 설치되는 코일 스프링등의 탄성부재(29)에서 항상 상방으로 가압되어 있다(즉, 밀어올려져 있다). 즉 하 액튜에이터부(4b)에는 주변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연직상의 블라인드형상구멍(27...)이 설치되고, 또 하 플래튼(6b)에는 이 구멍부(27)에 삽입되는 지지봉(28)이 고착되어 있다.
그리고 탄성부재(29)는 지지봉(28)에 바깥끼움상으로써 구멍부(27)에 삽입되어 있다. 이 금형에는 금형전폐상태(즉, 제15도 및 제16c도에 도시한 상태)에서 상 액튜에이터부(4a)를 상승시킨다면, 그 상승과 함께 하 액튜에이터부(4b)를 상승시키는 연결수단(30)이 부설되어 있다.
즉, 이 연결수단(30)이란, 제16b도에 도시한 상태에서 플래튼(6a)이 상승해서 제16b도에 도시하듯, 상 액튜에이터부(4a)가 소정치수(H)만큼 상승하는 사이, 이 상 액튜에이터부(4a)의 상승과 함께 훅부재(74)로부터 걸려있는 하 액튜에이터부(4b)가 상승하고, 그 뒤 다시 상 액튜에이터부(4a)가 상승하면, 훅부재(74)에 의한 걸림이 해제되어 이 액튜에이터부(4a)만이 제16a도에 도시하듯 상승하고, 하 액튜에이터부(4b)는 하 섹터부(3b)의 테이퍼부에 미끄럼 접합상태로 남아, 탄성부재(29)에서 밀어올려지는 상태가 된다.
제15도에도시하는 것처럼 상 액튜에이터부(4a)의 외면(31)에서 내경방향내방에 의한 상 액튜에이터부(4a)의 하단부(75)에 배설되는 훅부재(74)와, 하 액튜에이터부(4b)의 외면(76)에서 내경에 의한 하 액튜에이터부(4b) 상단부(77)에 설치되는 걸림부(78)와, 훅부재(74)의 선단훅부(79)를 내경방향 내방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36)와, 상 섹터부(3a)에 설치되어 이 선단훅부(79)를 반경방향 외방으로 가압하는 가압부(80)를 갖추고 있다.
여기에서, 훅부재(74)란, 상 액튜에이터부(4a)내에 설치된 수평방향 피보팅축(81)에 요동 자유롭게 회전 지지된 것으로 일부(선단 훅부 79)가 상 액튜에이터부(4a)의 하면(82)에서 돌출하고 있다.
그리고 이 선단 훅부(79)가 반경방향으로 자유롭게 요동하게 되어있다. 또 이 피보팅축(81)은 상 액튜에이터부(4a)에 부착되는 지지체(83)에 지지되고 이 지지체(83)는 제19도와 제22도에도시하듯 상 액튜에이터부(4a)의 하면(82)에 설치된 오목한곳(84)내에 고착구(85)를 통해서 끼워붙여져 있다. 그리고 이 지지체(83)에 뚤린구멍(86)이 설치되어, 이 뚫린구멍(86)에 훅부재(74)가 요동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또, 지지체(83)의 내방벽 하단 중앙부에는 노치부(87)가 설치되고, 또 내방벽의 하단에는 내경 방향으로 돌출편(88, 88)이 제 23도에도시하듯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선단 훅부(79)는 상기 오목한곳(84)에서 돌출하고 있다.
또, 훅부재(74)에는 내경 방향으로 돌출한 돌출부(89)가 설치되고 돌출부(89)가 지지체(83)의 노치부(87)에 삽입되어 제19도(Ⅰ)에도시하듯 이 훅부재(74)가 연직상으로 되면 이 노치부(87)에서 돌출부(89)가 돌출하고 있다.
그리고 지지체(83)의 외방벽의 내면에는 오목한곳(90)이 설치되고, 훅부재(74)의 외단면에는 오목한곳(91)이 설치되고 이 오목한곳(90, 91) 사이에 탄성부재(36)가 끼워져 있다. 따라서 훅부재(74)의 선단 훅부(79)를 내경방향내방으로 가압해서 상기 걸림부(78)에 걸리게 하고 있다.
또, 걸림부(78)는 하 액튜에이터부(4b)에 설치된 오목한곳(92)내에 끼워맞춤하는 끼워맞춤체(93)에 설치되어 있다. 즉 끼워맞춤체(93)에는 거의 직사각형 형상의 뚫린 구멍(94)(제21도 참조)이 설치되어, 그 내방벽(95)내면에 이 걸림부(78)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뚫린 구멍(94)에 훅부재(74)의 선단부가 삽입되어 있다.
다음에 가압부(80)란 상 트레드섹터부(3a)의 미세홈(11)을 형성하는 블록체(96)의 하단부를 형성한다. 즉 블록체(96)는 제20도에도시하듯, 상 트레드섹터부(3a)의 외면(9)에 설치된 오목홈(97)에 고착구(98...)를 통해서 끼워맞춰지고 그 하단면 중앙부에 가압부(80)를 형성하는 대략 L자형상의 돌출편이 돌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금형 개방을 위하여 상 액튜에이터부(4a)가 상승하기 시작하여 상 섹터부(3a)가 탄성부재(13)에서 하방으로 가압되면, 제19도(Ⅱ)에도시하듯, 가압부(80)는 훅부재(74)의 돌출부(89)를 가압하고 이 훅부재(74)의 선단 훅부(79)를 외경방향에 가압하고, 이 선단훅부(79)의 걸림부(78)의 걸림이 해제된다.
또 제19도(Ⅱ)에 도시한 상태에서는 지지체(83)의 돌출편(88, 88)에 블록체(96)의 하단면(99)이 접촉하고, 상 섹터부(3a)가 이 이상 하강하지 않는다. 또 제15도에 있어서 100은 스포퍼로 하 섹터부(3b)의 상면(22)에 고착구(101)를 통해서 고착되어 있다.
그래서 금형을 사용해서 타이어를 가황 성형하는데는 제16b도에 도시하듯 상 플래튼(6a)을 상승시킨 상태로서, 생 타이어를 하형(2)에 재치한후 상 플래튼(6a)을 하강시켜간다. 이 경우 훅부재(74)는 제19b도에 나타내듯, 가압부(80)에 그 일부가 가압되고, 선단훅부(79)가 걸림부(78)에 걸려있지 않은 상태다.
제16b도에 도시하듯, 상 섹터부(3a)는 하 섹터부(3b)에 접촉한후는 하 섹터부(3b)에 가압되고 상 액튜에이터부(4a)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상승한다. 상 섹터부(3a)가 상 액튜에이터부(4a)에 대해 상대적으로 상승하면 블록체(96)도 동시에 상승하고 제19a도에 도시하듯 걸림상태가 된다. 그 뒤 다시 상 플래튼(6a)을 하강시켜 상 액튜에이터부(4a)를 하강시켜가면 하 액튜에이터부(4b)는 탄성부재(29)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하강하고 상 섹터부(3a) 및 하 섹터부(3b)는 동시에 내경 방향으로 미끄럼운동하고 제16c도에 도시한 금형 전폐 상태가 된다. 그리고 이 전폐 상태에 있어서 가황성형을 행한다.
또, 상 섹터부(3a)의 하면(21)과 하 섹터부(3b)의 상면(22)과의 합면(41)은 이 실시예에서는 타이어의 적도에 일치하고 있고 상 섹터부(3a) 및 하 섹터부(3b)가 미끄럼운동할때에는 합면(41)은 타이어 적도가 동일 레벨을 유지해서 지름방향으로 미끄럼운동하는 것이 된다. 또 이 합면(41)을 타이어적도상에서 벗어난 부분에 배치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고 이 합면위치가 어느때라도 금형 폐동작시에 이 합면(41)이 상하로 변동하는 일 없고 동일 레벨을 유지해서 양 섹터부(3a, 3b)는 지름 방향내방으로 이동한다.
또, 성형 가황후는 상 플래튼(6a)을 상승시켜가면 선단 훅부(79)는 걸림부(78)에 걸려 있기 때문에 상 액튜에이터부(4a)가 상승함과 함께 하 액튜에이터부(4b)도 상승한다. 즉, 상 섹터부(3a)및 하 섹터부(3b)는 외경방향으로 미끄럼운동하고, 섹터(3)는 넓어진다.
그리고, 상 액튜에이터부(4a)가 소정치수(H)만큼 상승하면 상 섹터(3a)부는 상 액튜에이터부(4a)에 대해서 소정 치수(H)만큼 근소하게 상대적으로 하강함에 따라 이때 가압부(80)가 훅부재(74)의 돌출부(89)에 접촉한다. 그 뒤 다시 상 액튜에이터부(4a)를 상승시킨다면 가압부(80)가 돌출부(89)를 가압하고, 제19b도에 도시하듯 걸림 해제상태가 되고, 하 액튜에이터부(4b)는 탄성부재(29)에서 밀어올려지지 상태가 된다. 즉, 가황성형된 타이어를 남기고 금형은 전개상태가 된다.
[업상의 이용가능성]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성형 가황용금형은 타이어를 성형 가황하는데 이용된다.

Claims (12)

  1. 상하형(1), (2)과 섹터(3) 및 이 섹터(3)의 외경측에 배설된 엑튜에이터(4)를 갖춘 성형 성형가황용 형에 있어서, 엑튜에이터(4)가 섹터(3)에 대해서 상하이동이 가능하게 되는 상 액튜에이터부(4a)와 하 액튜에이터(4b)로 분할되고, 상기 섹터(3)가 상기 상 액튜에이터부(4a)의 상대적 상하이동에서 이상 액튜에이터부(4a)에 미끄럼 이동해가면서 지름방향으로 미끄럼운동해서 개폐동작가능하게 되는 상 섹터부(3a)와, 상기 하 액튜에이터부(4b)의 상대적 상하이동에서 이 하 액튜에이터부(4b)에 미끄럼이동하면서 지름방향으로 미끄럼운동하고 개폐동작 가능하게 되는 하 섹터부(3)로 분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가황용 금형.
  2. 제1항에 있어서, 하 액튜에이터부(4b)를 상방으로 가압하는 하 액튜에이터부용 가압수단과, 상 섹터부(3a)를 하방으로 가압하는 상 섹터부용 가압 수단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가황용 금형.
  3. 제1항에 있어서, 상 액튜에이터부(4a)를 하방으로 가압하는 상 액튜에이터부용 가압수단과, 하 섹터부(3b)를 상방으로 가압하는 하 섹터부용 가압 수단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가황용 금형.
  4. 제2항에 있어서, 하 액튜에이터부용 가압수단이 탄성부재(29)로 이루어지고, 상 섹터부용 가압수단이 탄성부재(13)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가황용 금형
  5. 제3항에 있어서, 상 액튜에이터부용 가압수단이 탄성부재(50)로 이루어지고, 하 섹터부용 가압수단이 탄성부재(49)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가황용 금형.
  6. 제2항에 있어서, 상 섹터부(3a)가 상 액튜에이터부(4a)에 대해서 소정량 이상 강하하지 않도록 유지하는 스토퍼(17)(100)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가황용 금형.
  7. 제6항에 있어서, 상 액튜에이터부(4a)의 내주면(7a)은 테이퍼면이 되고 이 내주면(7a)에 상하방향을 따라 돌출선(12) 또는 홈이 주변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상 섹터부(3a)의 외면(9)은 상기 상 액튜에이터부(4a)의 내주면(7a)과 동일경사의 테이퍼면이 되고, 이 외면(9)에 상기 돌출선 (12) 또는 홈에 미끄럼이동이 자유롭게 미세홈으로 끼워맞추는 홈(11) 또는 돌출선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가황용 금형.
  8. 제7항에 있어서, 하 액튜에이터부(4b)의 내주면(23)은 상기 상 액튜에이터부(4a)의 내주면(7a)과 동일 경사의 테이퍼면에 형성되어, 이 하 액튜에이터부(4b)의 내주면(23)에 상하방향을 따라 홈(25) 또는 돌출선이 주변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가지고 설치되고, 하 색터부(3b)의 외면(18)은 상기 하 액튜에이터부(4b)의 내주면(23)과 동일경사의 테이퍼면이 되고, 이 외면(18)에 상기 홈(25) 또는 돌출선에 미끄럼 이동이 자유롭게 미세홈으로 끼워맞추는 돌출선(26) 또는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가황용 금형.
  9. 제1항에 있어서, 상, 하 섹터부(3a)(3b)의 분할접합면(41)에 위치결정을 오목돌출부(47)(48)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가황용 금형.
  10. 제1항에 있어서, 상 액튜에이터부(4a)와 하 액튜에이터부(4b)를 자유롭게 걸고 벗기도록 결합해서 양자를 일체화하고, 또한 상, 하 액튜에이터부(4a)(4b)가 하단형 조임 위치에서 소정량만큼 상승하면 그 결합을 해제해서 양자를 분리하는 연결수단(30)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가황용 금형.
  11. 제10항에 있어서, 연결수단(30)은 상, 하 액튜에이터부(4a)(4b)의 어느 한쪽에 자유로이 요동하도록 설치되고 다른 한쪽에 돌출하고, 이 돌출단부에 걸림부(32)를 가지는 매달아 올림부재(30a)와, 상, 하 액튜에이터부(4a)(4b)의 다른쪽에 설치되어, 상, 하 액튜에이터부(4a)(4b)의 밀착상태에서 상기 걸림부(32)에 벗기고 걸기에 자유롭게 걸어맞추는 피걸림부(33)와, 상기 걸림부(32)가 피걸림부(33)에 걸어맞추는 방향으로 매달아 올림부재(30a)를 가압하는 수단(36), 그리고 하형(2)에 부착되어, 매달아올림부재(30a)와 상하 방향의 상대이동이 생겼을 때 매달아올림부재(30a)를 상기 가압수단(36)에 대항하여 요동시켜, 걸림부(32)와 피걸림부(33)의 걸림을 해제시키는 해제부재(38)로부터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가황용 금형.
  12. 제10항에 있어서, 연결수단(30)은 상 액튜에이터부(4a)내에 설치된 수평방향 회전지지축(81)에 자유롭게 요동하도록 회전지지되어 하단부가 이 상 액튜에이터부(4a)의 하면(82)보다 돌출하고 있는 훅부재(74), 그리고 하 액튜에이터부(4b)의 상단부(77)에 설치됨과 함께, 상 액튜에이터부(4a)와 하 액튜에이터부(4b)와의 밀접상태에서, 상기 훅부재(74)의 선단 훅부(79)가 벗고 끼우기 가능하게 걸어두는 걸림부(78) 및 상기 훅부재(74)의 선단훅부(79)를 내경방향으로 가압해서, 상 액튜에이터부(4a)와 하 액튜에이터부(4b)와의 밀접상태에 있어서, 이 선단훅부(79)를 상기 걸림부(78)에 걸리게 하는 탄성부재(36)와, 상 섹터부(3a)에 설치됨과 함께 상 액튜에이터부(4a)가 상승해서 이 상 섹터부(3a)가 상대하강한 금형개방상태에서, 상기 훅부재(74)의 일부에 접촉하여 이 훅부재(74)의 선단 훅부(79)를 상기 탄성부재(36)의 탄성력에 대항해서 외경방향으로 가압하고, 이 훅부재(74)의 상기 걸림부(78)에의 걸림을 해제시키는 가압부(80)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가황용 금형.
KR1019900702263A 1989-02-15 1990-02-13 성형 가황용 금형 KR9400047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35297 1989-02-15
JP1035297A JPH0661763B2 (ja) 1989-02-15 1989-02-15 成型加硫用割金型
JP1-271382 1989-10-18
JP27138289A JPH0620748B2 (ja) 1989-10-18 1989-10-18 タイヤ成型用金型
PCT/JP1990/000175 WO1990009268A1 (en) 1989-02-15 1990-02-13 Mold for molding vulcaniz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700134A KR910700134A (ko) 1991-03-14
KR940004796B1 true KR940004796B1 (ko) 1994-06-01

Family

ID=263742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702263A KR940004796B1 (ko) 1989-02-15 1990-02-13 성형 가황용 금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208044A (ko)
EP (1) EP0414908B1 (ko)
KR (1) KR940004796B1 (ko)
DE (1) DE69020982T2 (ko)
WO (1) WO199000926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05675B2 (ja) * 1992-01-24 1996-06-12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タイヤ加硫プレス
US5354406A (en) * 1992-07-02 1994-10-11 Oliver Rubber Company Apparatus for retreading a tire
US5405568A (en) * 1992-10-26 1995-04-11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Two-piece segmented tire mold and method of molding
US5676980A (en) * 1995-09-29 1997-10-14 Continental General Tire, Inc. Center split segmented mold for curing pneumatic tires
US5709830A (en) * 1996-02-22 1998-01-20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Method for winged or wingless type precure tread production
JP2000135715A (ja) 1998-11-02 2000-05-16 Bridgestone Corp タイヤの加硫成形金型および加硫成形方法
US6196818B1 (en) * 1999-03-15 2001-03-06 Bridgestone/Firestone Research, Inc. Mold section and die ribs for tire curing mold
DE69903326T2 (de) * 1999-11-04 2003-06-18 Bridgestone Corp Vulkanisierformwerkzeug für Luftreifen
US6426482B1 (en) 2000-06-15 2002-07-30 Louis T. Fike Segmented mold for curing tires
US6318985B1 (en) * 2000-09-15 2001-11-20 Michelin Recherche Et Technique S.A. Two-piece segmented mold
US6929462B1 (en) 2000-11-08 2005-08-16 Hammonton Mold Co. Inc. Mold part guide mechanism
US6632393B2 (en) 2001-09-06 2003-10-14 Louis T. Fike Method and apparatus for curing radial tires
JP4539918B2 (ja) * 2003-07-18 2010-09-08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分割型加硫モールド
US20060125147A1 (en) * 2004-12-03 2006-06-15 Bachochin Todd A Segmented tire mold for off-road-vehicle tires
WO2009157949A1 (en) * 2008-06-27 2009-12-30 Michelin Recherche Et Technique S.A. Mold for tire with floating mold back ring
US8366427B2 (en) * 2008-06-30 2013-02-05 Michelin Recherche Et Technique S.A. Tire mold with positive mold opening system
US7963756B2 (en) * 2009-11-18 2011-06-21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Segmented tire mold
FR2998828B1 (fr) * 2012-12-04 2015-05-15 Michelin & Cie Moule de vulcanisation pour pneumatique
FR2998829B1 (fr) * 2012-12-04 2015-05-15 Michelin & Cie Moule de vulcanisation pour pneumatique
WO2018029731A1 (ja) 2016-08-12 2018-02-15 東洋ゴム工業株式会社 タイヤ加硫金型、タイヤ加硫装置及びタイヤの製造方法
US10583584B2 (en) * 2016-08-12 2020-03-10 Toyo Tire Corporation Tire vulcanization mold, tire vulcanization device, and tire production method
JP6605738B2 (ja) * 2016-08-12 2019-11-13 Toyo Tire株式会社 タイヤ加硫装置及びタイヤ加硫装置の組み立て方法
US10576665B2 (en) * 2016-08-12 2020-03-03 Toyo Tire Corporation Tire vulcanizer
US10166733B2 (en) * 2017-04-17 2019-01-01 Bridgestone Americas Tire Operations, Llc Expansion control device and tire mold using same
FR3090466B3 (fr) * 2018-12-19 2020-12-25 Michelin & Cie Moule à secteurs pour pneumatique, notamment pour pneumatique de véhicule à usage agricole, et procédé de moulage associé
JP7234752B2 (ja) * 2019-04-03 2023-03-08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タイヤ加硫装置及びタイヤ加硫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488376A (fr) * 1966-06-01 1967-07-13 Uniroyal Englebert France Procédé et moule pour la vulcanisation de pneumatiques asymétriques
US3479693A (en) * 1966-09-22 1969-11-25 Nrm Corp Tire mold construction
DE1901130A1 (de) * 1969-01-10 1970-07-23 Herbert Maschf L Pressform zum Vulkanisieren von Fahrzeugreifen
DE2000796A1 (de) * 1970-01-09 1971-07-15 Karl Zaengl Reifen-Vulkanisierform mit radialgeteilten Profilsegmenten
US3778203A (en) * 1972-04-11 1973-12-11 K Macmillan Matrix assembly with segmented matrices
DE2301310A1 (de) * 1973-01-11 1974-07-18 Semperit Gmbh Vulkanisierform fuer fahrzeugluftreifen
DE2309410C3 (de) * 1973-02-24 1980-04-10 Continental Gummi-Werke Ag, 3000 Hannover Vulkanisierform fur Fahrzeugluftreifen
GB1473649A (en) * 1973-07-12 1977-05-18 Dunlop Ltd Tyre moulds
DE2502185C3 (de) * 1975-01-21 1982-02-04 Continental Gummi-Werke Ag, 3000 Hannover Vulkanisierform für Fahrzeugluftreifen
US4022554A (en) * 1975-04-16 1977-05-10 Macmillan Mold Company Retread molds
US4025250A (en) * 1975-11-25 1977-05-24 Macmillan Mold Co., Inc. Segmented matrix with guide means and retaining pins
FR2342153A1 (fr) * 1976-02-24 1977-09-23 Kleber Colombes Moule a secteurs
JPS608965Y2 (ja) * 1976-06-28 1985-04-01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タイヤ和硫装置
US4181482A (en) * 1976-07-19 1980-01-01 Caterpillar Tractor Co. Tire tread forming apparatus
JPS58211438A (ja) * 1982-06-02 1983-12-08 Sumitomo Rubber Ind Ltd タイヤ金型
JPS59138432A (ja) * 1983-01-27 1984-08-08 Kobe Steel Ltd タイヤ加硫機のモ−ルド締付装置
IT1176523B (it) * 1984-08-01 1987-08-18 Pirelli Perfezionamenti nelle presse per la vulcanizzazione
JPS6248515A (ja) * 1985-08-28 1987-03-03 Bridgestone Corp 分割型加硫モ−ル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414908A4 (en) 1992-06-17
KR910700134A (ko) 1991-03-14
WO1990009268A1 (en) 1990-08-23
EP0414908A1 (en) 1991-03-06
DE69020982D1 (de) 1995-08-24
US5208044A (en) 1993-05-04
DE69020982T2 (de) 1995-11-23
EP0414908B1 (en) 1995-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40004796B1 (ko) 성형 가황용 금형
JP2677807B2 (ja) ブラダー、及びブラダーを支持及び操作するための機構
JP3881390B2 (ja) 分離型タイヤ成形型を真空にする装置
US3464090A (en) Tire curing press
RU2254233C2 (ru) Разборная тороидальная опора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шин
KR850001465B1 (ko) 타이어 가황기의 타이어 로우딩장치
JP4323050B2 (ja) タイヤ加硫装置及びブラダ着脱方法並びにタイヤ製造方法
KR950012841B1 (ko) 타이어 경화 프레스의 중심기구
GB1565598A (en) Tyre curing press
JP2000135715A (ja) タイヤの加硫成形金型および加硫成形方法
KR920003145B1 (ko) 타이어 가황 프레스
JPS5830138B2 (ja) 生タイヤの上方ビ−ドを加硫プレスの金型の上方部分内に心決めしかつ位置決めする方法および装置
JP4869376B2 (ja) タイヤ加硫装置及びブラダ着脱方法並びにタイヤ製造方法
JP4191352B2 (ja) タイヤ金型用コンテナ
JPH07232330A (ja) ブラダレスタイヤ加硫機の生タイヤ装着方法及び装置
JP2002337146A (ja) タイヤ加硫装置
JP2009149094A (ja) 未加硫タイヤブランクを加硫するための金型
CN111070748B (zh) 轮胎构建鼓和用于构建轮胎的方法
JPS59115135A (ja) 弾性リング組付装置
JPH02214620A (ja) 成型加硫用割金型
JPH03132308A (ja) タイヤ成型用金型
JP2007076268A (ja) タイヤ加硫装置
EP0745475B1 (en) Split mold opening/closing device for a tire vulcanizer
JPS608965Y2 (ja) タイヤ和硫装置
JP3814163B2 (ja) タイヤ加硫装置における金型交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52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