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3145B1 - 타이어 가황 프레스 - Google Patents

타이어 가황 프레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3145B1
KR920003145B1 KR1019880013647A KR880013647A KR920003145B1 KR 920003145 B1 KR920003145 B1 KR 920003145B1 KR 1019880013647 A KR1019880013647 A KR 1019880013647A KR 880013647 A KR880013647 A KR 880013647A KR 920003145 B1 KR920003145 B1 KR 9200031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tor
ring
tire
inner cylinder
secto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136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4235A (ko
Inventor
가쯔미 이찌까와
이따루 아마노
야스히꼬 후지에다
시까오 미스미
세이스께 후꾸무라
히데오 미야우찌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고오베 세이꼬오쇼
가메다까 소끼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853388A external-priority patent/JPH0733025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고오베 세이꼬오쇼, 가메다까 소끼찌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고오베 세이꼬오쇼
Publication of KR8900142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42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31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31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5/00Heating, cool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sing; Apparatus therefor
    • B29C35/02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601Vulcanising tyres; Vulcanising presses for tyres
    • B29D30/0603Loading or unloading the pr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1/00Handling, e.g. feeding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storage of plastics material before moulding; Automation, i.e. automated handling lines in plastics processing plants, e.g. using manipulators or robots
    • B29C31/04Feeding of the material to be moulded, e.g. into a mould cav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Heating, Cooling, Or Curing Plastics Or The Like In Genera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타이어 가황 프레스
제1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를 도시한 타이어 가황 프레스의 상부의 종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타이어 가황 프레스의 윗부분에 대한 확대종단면도.
제3도는 제1도의 타이어 가황 프레스의 중간 부분에 대한 확대종단면도.
제4도는 타이어 가황 프레스의 작동상태를 추가로 도시한, 제1도의 타이어 가황 프레스의 아랫부분에 대한 확대종단면도.
제5도는 제1도의 타이어 가황 프레스의 중심기구의 주요부분에 대한 종단면도.
제6도는 제4도의 선 A-A에 따른 확대 수평단면도.
제7도는 타이어 가황 프레스의 작동상태를 추가로 도시한, 제4도의 선 B-B를 따른 확대 수평단면도.
제8도는 제1도의 타이어 가황 프레스의 섹터를 도시한 부분단면 확대정면도.
제9도 내지 제15도는 미가황 타이어를 장입하기 시작하여 완성된 타이어의 제거로 완료되는 제1도의 타이어 가황 프레스에 대한 일련의 상이한 작동단계들을 도시한 종단면도.
제16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를 도시한, 타이어 가황 프레스의 주요부분에 대한 종단면도.
제17도는 제16도의 선 C-C에 따른 단면도.
제18도는 제16도의 선 D-D에 따른 단면도.
제19도 및 제20도는 제16도의 타이어 가황 프레스의 상이한 작동 단계를 도시한 부분종단면도.
제21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를 도시한, 타이어 가황 프레스의 주요부분에 대한 종단면도.
제22도는 제21도의 타이어 가황 프레스의 작동을 도시한 확대 부분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하부 다이요소 4 : 상부 다이요소
8 : 탄성성형 부재 9, 10 : 장착링
12, 18 : 비이드링 16 : 내부 실린더
21 : 섹터 하우징 25 : 섹터
25B : 링크 25C : 부채꼴 부분
25G : 링 끼움부 T1 : 상부비이드
본 발명은 타이어 가황 프레스에 관한 것이다.
타이어 가황 프레스는 상호 개폐운동되도록 설치된 상부 다이요소와 하부 다이요소를 포함하며, 상부 및 하부 다이요소 사이에 장입된 미가황 타이어를 신축가능한 탄성성형 부재와 이 탄성성형 부재내에 공급된 가열된 압력 매체의 수단에 의하여 가황하고 그 내면의 형상을 성형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타이어 가황 프레스의 경우에 있어서, 종래에는 하부 다이요소상에 미가황 타이어를 위치시키는 것이 관례였다. 그러나 관례에 따르면 미가황 타이어는 가끔 그 자중에 의하여 찌그러진 형상으로 변형된다.
미가황 타이어를 다이요소위에 정확하게 놓기 위한 개량된 장치가 일본국 특허 공개 번호 60-36111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여기에서 한쌍의 다이요소 사이의 위치에 장입된 미가황 타이어는 성형하기전에 리버백에 의해서 잡혀지며 러버백위에 매달린 상태로 지지되며, 동시에 미가황 타이어의 상부 및 하부 비이드 부분은 다이요소의 상부 및 하부 비이드링과 접촉되며, 미가황 타이어를 팽창시키기 위한 압력 유체는 미가황 타이어가 다시 요소위에 정확하게 위치하도록 미가황 타이어내에 공급된다.
일본국 특허 공개 번호 60-36111호에 개시된 개량된 장치는 미가황 타이어가 매달린 상태로 지지되는 정에서 독특한 것이다. 그러나 그것은 그 내부에 미가황 타이어를 매달기 위한 상부 다이요소의 중심부에 마련된 러버백을 포함하고 있다.
이 러버백은 다이요소내에서 고온에 노출되어 있다. 따라서 이는 러버백의 수명을 단축시킨다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또한 종래의 장치에 있어서, 타이어 팽창 압력 유체를 전진시키기 위한 충전판이 타이어 매달기 러버백 아래에 돌출되어 있다. 이에따라 이 돌출부는 탄성성형 부재의 수단에 의해서 하부로부터 타이어를 성형하는데 장애물이 된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는 성형의 정확성을 저하시키게 될 것이다. 또한 탄성성형 부재의 내구성도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반경방향 내측 및 외측 방향으로 개폐 운동하기 위해 설치된 복수의 섹터를 포함하는 기계적 링크 기구가 거기에 매달린 상태로 미가황 타이어를 지지하도록 한쌍의 다이요소 사이의 위치에 장입된 미가황 타이어의 상부 비이드를 잡기 위한 수단으로써 사용되는 개량된 타이어 가황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며, 이 섹터는 성형용 탄성성형 부재의 장애물을 형성하지 않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부 다이요소와 하부 다이요소가 서로서로에 대하여 개폐운동을 하도록 장착되어 있고, 수직방향으로 뻗은 링크를 각각 가진 복수의 섹터와 상기 링크의 하부끝으로부터 반경 방향의 외측방향으로 뻗는 부채꼴 부분은 미가황 타이어의 상부 비이드가 상기 섹터에 의해 상기 다이요소들 사이의 위치에서 붙잡혀서 장입될 수 있도록 개방위치와 폐쇄위치 사이에서의 운동을 위해 반경방향 배열로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다이요소들 사이의 위치에 장잉된 타이어의 내부면은 신축 가능한 탄성성형 부재와 상기 탄성성형 부재속으로 공급되는 가열된 압력매체에 의해 가황되는 타이어 가황 프레스가 제공되어 있으며, 상기 타이어 가황 프레스는 상부 다이요소상의 상대 상하운동을 위해 장착되어 있으며 그 하부끝 부분에는 상기 상부 다이요소의 일부를 구성할 수 있는 비이드 링을 가지고 있는 내부 실린더와, 내부 실린더내에서의 상대 상하운동을 위해 장착되어 있으며 개방위치와 폐쇄위치 사이에서의 운동을 위하여 상기 복수의 섹터들을 지지하고 있는 섹터 하우징과, 내부 실린더상에 구비된 상기 비이드링과 상기 섹터의 부채꼴 부분과의 사이에서 붙잡혀질 수 있는 미가황 타이어의 상부 비이드와, 상기 섹터들이 폐쇄위치에 있을때 내부 실린더의 하부 끝부분에 수용되어 질 수 있는 상기 섹터와 부채꼴 부분과, 가황중에 상기 탄성성형 부재를 가진 상부 장착링을 수납 및 유지하기 위하여 제공되어 있는 링끼움부를 포함하고 있다.
이 링 끼움부는 섹터의 부채꼴 부분의 하부쪽에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충전기링은 섹터 하우징의 하단부에 설치되며, 또한 폐쇄위치에서의 섹터의 부채꼴 부분은 충전기 링에 놓여진다. 섹터의 부채꼴 부분은 그 위에서 미가황 타이어의 상부 비이드를 잡기 위하여 충전기 링보다 더 멀리 반경방향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으며, 또한 링 끼움부는 섹터의 부채꼴 부분 아래에 위치된 충전기링의 하부면쪽에 제공되어 있다.
오목 및 볼록 부재는 섹터가 개방위치와 폐쇄위치사이에서 운동하는 것을 안내하고, 탄성성형 부재가 개방위치에서의 섹터의 부채꼴 부분과 충전기링과의 사이에에서 전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충전기링과 색터의 부채꼴 부분의 상호 접촉면상에 제공될 수 있다.
이 충전기 링은 탄성성형 부재와의 미끄럼 접촉에 의해서 마모되는 것이 경감되도록 크롬 도금등에 의해 거울면으로 마무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 가황 프레스에 있어서, 다이부재 사이의 위치에 장입될 미가황 타이어는 매달린 상태의 위치로 장입된다. 따라서 자유로운 상태의 타이어가 찌그러진 형상으로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더우기 다음과 같은 효과가 예상된다.
내부 실린더의 하단측상에 마련된 상부 비이드 링과 이 내부 실린더에 수용된 개폐가능한 섹터의 하단측에서 부채꼴 또는 척킹 부분을 포함하는 기계적 수단이 미가황 타이어를 그위에 매달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그것이 고온에 노출된 상태일지라도 그 내구성은 저하되지 않을 것이다.
또한 타이어의 상부 비이드가 섹터의 부채꼴 부분과 상부 비이드 링에 의해서 내외측으로부터 그의 거의 전 외주에 걸쳐 잡을 수 있기 때문에 타이어의 매달린 상태는 확실하게 유지될 수 있다.
한편, 상부 비이드링이 타이어를 잡는 기능과 다이의 일부로서의 기능을 가지고 있기때문에, 타이어 가황프레스는 그 부품수를 감소시키고 그 구조를 간단히 할 수 있다. 특히 다이의 일부로서의 중요한 기능을 가진 상부 비이드링이 척킹 기능(chucking function)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그 구조를 현저하게 단순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섹터들은 반경방향 배열로 제공되어 있으며, 그 부채꼴 부분들은 섹터들이 폐쇄위치에 있을때 내부 실린더의 하부끝쪽에 수용되어 있기 때문에, 중심기구의 정부를 가진 섹터들의 간섭이 방지될 수 있으며, 그리고 부채꼴 부분들은 내부 실린더의 하부 끝부분에 수용되어 있기 때문에, 상부 비이드 링은 가황중에 견고하게 유지되고 따라서 고품질의 타이어는 타이어 가황 프레스상에 성형될 수 있다.
또한, 그 속에 중심 기구의 상부 장착링을 수납 및 끼우기 위한 끼움부가 제공되기 때문에, 중심기구의 상부의 간섭이 방지될 수 있을뿐 아니라, 중심 기구의 중심잡기가 보장될 수 있고 타이어-는 편심을 일으킴이 없이 성형될 수 있다.
충전기 링이 섹터의 부채꼴 부분 아래에 제공되며 섹터 하우징의 하부끝쪽상에 장착되는 경우에, 이것은 탄성성형 부재가 섹터의 부채꼴 부분과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탄성성형 부재에서의 손상은 제거될 수 있어서 탄성성형 부재의 수명을 향상시킨다.
또한, 충전기 링은 내부 실린더내에서의 일체화한 상하운동용 섹터 하우징상에 장착되며 상부 장착링과 끼우기 위한 끼움부는 충전기 링의 하부면쪽상에 형성되기 때문에, 중심 기구의 비정렬은 완전히 방지될 수 있다.
오목 및 볼록부재는 충전기 링과 섹터의 부채꼴 부분의 접촉면상에 제공되며 그리고 충전기 링과 섹터의 부채꼴 부분과의 사이의 틈새는 오목 및 볼록 부재에 의하여 최소화될 수 있기 때문에, 탄성성형 부재는 그들 사이에서의 맞물려짐으로부터 완전히 방지될 뿐 아니라, 섹터의 부채꼴 부분은 오목 및 볼록 부재에 의한 개방 및 폐쇄위치로의 운동을 위하여 안내될 수 있어서, 섹터에 의한 타이어의 매달기를 보장한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 특징 그리고 장점은 첨부도면과 함께 부여된 하기설명 및 첨부한 특허청구의 범위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제1도 내지 제8도에 대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가황프레스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타이어 가황 프레스는 하부 플래튼(2)상에 제공된 하부 다이(3)를 포함하고 있는 하부 다이요소(1)를 포함하고 있는데, 하부 플래튼(2)에는 가황원이 구축된다.
또한 타이어 가황 프레스는 상부 플래튼(5)상에 제공된 상부 다이(6)를 포함하고 있는 상부 다이요소(4)를 포함하고 있는데, 상부 플래튼(5)얘는 가열원이 구축된다.
도시된 실시예의 타이어 가황 프레스에서, 상부 다이요소(4)는 다이의 폐쇄 및 개방을 허용하도록, 즉 다시말해서 서로서로에 관련된 상부 및 하부 다이요소(1 및 4)의 폐쇄 및 개방 운동을 허용하도록, 하부 다이요소(1)에 관련된 경사운동 또는 상하운동을 위하여 장착된다. 하부 및 상부 다이(3 및 6)가 제1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쇄 위치에 있을때, 이들은 하나의 쌍으로 형상을 이룬 상부 및 하부 비이드(T1 및 T2)를 가지고 있는 미가황 타이어의 윤곽을 형성하기 위하여 다이를 완성하도록 서로서로와 맞물리며, 그리고 증기와 같은 가열된 압력 매채는 상부 및 하부 다이(3 및 6)의 외부 주위 지역으로부터 다이로 공급될 수 있다.
제5도에 대하여 설명하면, 타이어 가황 프레스는 또한 하부 다이요소(1)의 하부 다이(3)의 중심에 동축 관계로 배치된 중심 기구(7)를 포함하고 있다. 팽창가능한 러버백의 형상인 블래더, 즉 다시 말해서 타이어 내부벽의 성형을 위한 탄성성형 부재(8)는 상부 장착 링(9) 및 하부 장착 링(10)에 의하여 중심기구(7)상에 장착되어 있다. 성형하는 동안, 2 내지 3kg/㎠ 의 증기와 같은 압력 매체는 탄성성형 부재(8)의 하부 지역을 통하여 중심 기구(7)의 탄성성형 부재(8) 안쪽으로 공급될 수 있으며, 그리고 가황하는 동안, 압력 매체의 압력은, 예를 들면 21kg/㎠ 정도로(180 정도의 온도에서) 올려질 수 있지만, 그러나 가황후 압력매체는 탄성성형 부재로부터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중심 기구(7)는 하부 다이 부재(1)로 수직방향으로 제공되어 뻗어 있는 고착 가이드 튜브(11)에서 상하운동을 위하여 설비된 관형상부(13)를 포함하고 있다. 하부 다이(3)의 하부 비이드 링(12) 구성부는 관형상부재(13)의 정부에 장착되어 있다. 그리하여 탄성성형 부재(8)는 상부 및 하부 장착링(9 및 10)이 관형상부재(13)에서 서로서로에 관련되어 상하로 운동됨에 따라 신축된다.
제1도 제3도, 및 제4도를 참조하면, 타이어 가황 프레스는 상부 플래튼에 수직으로 체결된 상부 안내튜브(14)를 더 포함하고 있다. 외부 실린더(15)는 상부 안내 튜브(14)에서 상하운동용으로 조립되어 있다.
내부 실린더(16)는 외부 실린더(15)에서 상하운동용으로 조립되어 있으며 또한 캡부분(16A) 및 관모양 부분(16B)을 갖추고 있다. 내부 실린더(16)의 관모양 부분(16B)은 내부 실린더의 바깥둘레에서 수직방향으로 뻗어서 형성된 안내 홈(16C)을 구비하고 있다. 안내 슈(15A)는 외부 실린더(15)에 설치되어 있고 또한 내부 실린더(16)의 관모양 부분(16B)의 안내 홈(16C)과 맞물려 지지되어 있다.
내부 실린더 작동부재(17)는 외부 실린더(15)의 캡부분에서 수직으로 설치된 유체 실린더(17A) 및 실린더(17A)에 조립된 피스톤으로부터 뻗어있는 피스톤 로드(17B)를 포함하고 있다. 피스톤 로드(17B)는 로드의 아래 끝이 내부 실린더(16)의 캡부분(16A)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내부 실린더(16)는 내부 실린더 작동부재(17)의 신축운동에 의해서 상하운동한다. 실제로, 한쌍의 이러한 작동 부재(17)는 제6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대각선 위치에서 구비되어 있다.
상부 비이드 링(18)은 상부 다이(6)의 부분을 이루도록 채용되었으며 또한 내부 실린더(16)의 관모양 부분(16B)의 하부 끝면에서 스크루 구조등에 의해서 제거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섹터 제한 링(19)은 나사(20)에 의해서 상부 비이드 링(18) 약간 윗쪽에서 내부 실린더(16)의 관모양 부분(18B)의 일부분에 체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부 비이드 링(18)은 내부 실린더(16)가 상승위치에 있을때 상부 다이(6)의 부분을 형성하도록 상부 다이(6)의 환형 오목부(6A)에 끼워져 있지만, 내부 실린더가 아래로 움직일때, 상부 비이드 링(18)은 상부 다이(6)의 오목부(6A)의 바깥에서 아래 방향으로 움직인다.
섹터 하우징(21)은 내부 실린더(16)에 조립되어 있다. 섹터 하우징(21)은 캡부분(21A) 및 관모양 부분(21B)을 포함하고 있으며 또한 슬라이드 부쉬(22)등에 의해서 내부 실린더(16)에 대해서 상하운동용으로 지지되어 있다.
섹터 하우징(21) 작동용 한쌍의 작동부재(23)는 제6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 실린더 작동부재(17)로부터 위상 90°변위한 위치에서 배치되어 있다. 각각의 섹터 하우징 작동부재(23)는 내부 실린더(16)의 캡부분(16A)면에 설치된 유체 실린더(23A), 및 실린더(23A)에 조립된 피스톤으로부터 뻗어 있는 피스톤 로드(23B)를 포함하고 있다. 작동 부재(23)의 피스톤 로드(23B)는 아래끝이 색터 하우징(21)의 캡부분(21A)과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섹터 하우징(21)은 색터 하우징 작동부재(23)의 신축운동에 의해서 내부 실린더(16)에 대해서 상하운동할 수 있다.
섹터 설치부재(24)는 섹터 하우징(21)의 캡 부분(21A)의 아래끝벽의 중앙부분에 조립된 환형 시이트 부분(24A)과 함께, 섹터 하우징(21)의 캡 부분에 도시하지 않은 볼트등에 의해 제거 가능하게 체결되어 있다. 섹터 장착부재(24)는 환형 시이트 부분(24A) 아래에서 상기 부재상에 형성되어있고 또한 상기 부재로 부터 아래쪽으로 뻗어 있는 4개의 다리부분(24B)을 갖추고 있다. 섹터 장착부재(24)의 4개 다리부분(24B)은 제7도 평면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위상 90°각도로 원주방향으로 각각 변위되어 있다.
섹터(25)는 섹터 장착부재(24)의 각각의 다리부분(24B)용으로 제공되었다. 제8도를 참조하면, 섹터(25)는 아암(25A)을 구비한 평판형태인 링크(25B), 및 볼트(26)등에 의해서 링크(25B)의 아래끝에 체결되어 있으며 또한 수평으로 방사형으로 바깥 방향으로 실제로 뻗어있는 부채꼴 부분 또는 부분원형부분(25C)을 포함하고 있다. 섹터(25)의 부채꼴 부분(25C)은 제7도 평면도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부채꼴 또는 부분 원형 모양을 하고 있다.
섹터(25)의 링크(25B)는 수직 방향으로 뻗어 있으며 또한 섹터의 보스부분(25D)에 형성된 장착구멍(25E)을 구비하고 있다. 링크(25B)는 제8도에 명백하게 도시한 바와 같이 소위 "거위 목"같은 종단면을 가지고 있다. 로울러 장착구멍(25F)은 링크(25B)의 아암(25A)에 형성되어 있다.
한편, 부채꼴 부분(25C)은 제7도에서 명백하게 도시한 바와 같이 소위 "낫 모양"을 하고 있으며, 또한 바닥벽에 형성된 링 끼움 오목부(25G)를 가지고 있다.
섹터(25)는 섹터 장착부재(24)의 다리 부분(24B)을 통해서 및 섹터(25)에서 장착구멍(25E)을 역시 통해서 원주방향으로 뻗어 있는 피봇 축(27)의 축 주위에서 진동운동용으로 지지되어 있다. 각각의 섹터(25)가 배열되어 있어서 섹터의 아암(25A)은 섹터 장착부재의 환형 시이트 부분(24A)의 바깥 둘레에 접선 방향으로 뻗어있으며 또한 섹터의 링크(25B)는 내부 실린더(16)에 수용되어 있고 수직 아래 방향으로 뻗어 있으며, 또한 섹터의 부채꼴 부분(25C)은 피봇, 축(27) 둘레에서 개방위치와 폐쇄위치 사이에서 선회될 수 있다. 부채꼴 부분(25C)이 각각 폐쇄위치에 있을때, 그들은 섹터 제한 링(19) 아래얘서 내부 실린더(16)의 아래 부분내에 수용되어 있어서 제7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그들은 실제로 원형의 단면으로 일반적으로 나타나지만, 부채꼴 부분(25C)이 각각 개방위치에 있을때, 그들은 방사형으로 바깥으로 뻗어 있어서 제4도 및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가황 타이어(T)의 상부 비이드(T1)와 방사형으로 내면으로부터 맞물려 있다.
섹터(25)를 개방하고 폐쇄하기 위한 기구(28)는 내부 튜브(29), 외부 튜브(30), 안내 튜브(31)등을 포함하고 있으며 또한 상부 다이요소(4)면에서 다이요소(1,4)의 중심에 구비되어 있어서 튜브(29,30,31)는 다이요소(1,4)의 중심에서 공통축을 가지고 있다.
안내 튜브(31)는 내부 실린더(16)의 캡 부분(16A)에서 수직으로 구비되어 있고 또한 내부 실린더의 정부에 스토퍼(31A)를 갖추고 있다. 외부 튜브(30)는 상호 상대적인 상하운동을 위하여 안내튜브(31)안에 삽입되어 있으며 또한 그것의 하부끝에서 섹터 하우징(21)의 캡부분(21A)에 직립으로 장착되어 있다. 유채 실린더(33)는 장착기초부(32)를 지나서 외부 튜브(30)의 상부 부위에서 장착되어 있다.
나아가서, 내부튜브(29)는 외부튜브(30)안에 삽입되어 있고 섹터 장착부재(24)를 통하여 뻗는다. 캠핑(36)은 내부튜브(29)의 하부끝에서 장착되어 있으며 또한 그것의 상하 한쌍의 플랜지(34)들의 사이에 형성된 원주홈(35)을 구비하고 있다. 유체 실린더(33)의 피스톤 로드(33A)는 공기 공급 엘보우(37)를 경유하여 내부튜브(29)의 상부끝에 연결되어 있다. 일정 압력으로 유지된 유체(공기)용 공기 공급관(38)은 공기공급 엘보우(37)와 연이어 통해 있으므로 일정 압력으로 유지된 유체는 내부튜브(29)를 경유하여 내부튜브의 하부끝으로부터 다이요소(1 및 4)들 안으로 공급될 수 있다. ,
캠 로울러(39)는 그것의 로울러 지지축(40)이 섹터(25)의 아암(25A)의 장착구멍(25F) 안에 삽입되어서 각각의 섹터(25)에 장착되어 있다. 캠 로울러(39)들은 제7도에서 볼수 있는 바와 같이 캠링(36)의 원주홈 (35)안에 삽입되어 있다. 따라서, 섹터(25)들은 섹터하우징(21)과 함께 수직방향으로 상하 이동될 수 있고 또한 유채실린더(33)가 신축하여 내부튜브(30)를 상하 이동시킴에 따라 캠링(36)의 원주홈(35)을 이용하여 그 위의 캠로울러(39)와의 맞물림을 통해서 피봇축(27)의 둘레에 잠겨지거나 개폐될 수 있다.
스트로크 조정부재(41)는 섹터 하우징(21)의 상향운동 스트로크가 조정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안내튜브(31)의 스토퍼(31A)와 맞물림 접촉하기 위해 위치되어 있다.
참조부호 42는 미가황 타이어(T)용 지지부재(42)를 표시하며, 43은 상부 돔(dome)을 표시한다.
이제 제16도 내지 제20도에 대하여 설명하면, 거기에는 상기 기술된 제1실시예의 타이어 가황 프레스를 개량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가황 프레스가 도시되어 있다. 제2실시예의 타이어 가황 프레스의 기본구조 및 작동은 대체로 제12실시예의 타이어 가황 프레스의 그것과 비슷하므, 그러한 공통부분들 또는 부재들은 공통의 참조부호들로 표시되어 있으며, 상세한 설명은 주로 타이어 가황 프레스들의 사이의 차이점에 관하여 하게 될 것이다.
제16도 및 제17도에 대하여 먼저 설명하면, 총 4개의 섹터 장착부재(24)들은 제2하우징(21)의 관모양 부분(21B)의 안둘레벽에 형성되어 있으며, 섹터(25)는 피봇축(27), 부쉬(27A) 등을 경유하여 각각의 섹터 장착부재(24)상에서의 운동을 잠그기 위하여 그것의 상부 부위에서 지지되어 있다. 각각의 섹터(25)상에 제공된 캠로울러(39)는 캠링(36)의 원주홈(35)안에 삽입되어 있다.
제18도에 대하여 설명하면, 총 4개의 다리(21C)들은 평면도로 하여 도시된 바와같이 방사상 배열로 섹터 하우징(21)의 관모양 부분(21B)의 하부끝으로부터 아랫쪽으로 뻗고, 충전기 링(46)은 밑으로부터 섹터 하우징(21)의 가 다리(21C)들안에 형성된 나사구멍(44)들 안으로 보울트(45)들을 나사조임함으로써 섹터 하우징(21)의 하부끝 측면상에 장착되어 있다. 충전기 링(46)은 내부 실린더(16)의 안둘레벽 상에서의 상하운동을 위하여 끼워져 있다.
충전기 링(46)은 크롬 도금등에 의하여 거울면으로 마무리된 외부표면을 포함하고 있으며, 링 끼움부(25G)는 탄성성형 부재(8)를 위에 포함하고 있는 상부 장착링(9)을 그안에 수납하고 지지하기 위하여 링(46) 의 하부면에 형성되어 있다.
나아가서, 각각의 섹터(25)는 부채꼴 부분(25C)들이 그것들의 패쇄위치에 있을때 충전기 링(46)상에 놓여지는 상기 부채꼴 부분(25C)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충전기 링(46)은 섹터(25)들의부채꼴 부분(25C)일에 위치결정되어 있고, 탄성성형 부재(8)가 섹터(25)들의 부채꼴 부분(25C)과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 하기 위한 프로텍터로서 기능한다.
오목 및 볼록부재(41)들은 섹터(25)들의 부채꼴 부분들과 충전기 링(46)의 상호 접촉면들상에 제공되어 있다. 오목 및 볼록부재(47)들은 섹터(25)들의 부채꼴 부분(25C)들의 개폐방향들을 안내할 수 있는 그러한 방향으로 뻗도록 형성되어 있고,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부채꼴 부분(25C)의 하부면들위에 형성된 톱니들의 형태인 오목 및 볼록 리브(47A)들과, 충전기 링(46)의 상부면들 위에 형성된 톱니들의 형태인 오목 및 볼록 리브(47B)들로 구성되어 있다. 오목 및 볼록 리브(47A 및 47B)들은 서로 맞물리도록 배열되어 있다.
오목 및 볼록 부재(47)들은 섹터(25)들의 부채꼴 부분(25C)들과 충전기 링(46)의 상부면과의 사이의 틈새(48)를 최소화해서 탄성성형 부재(8)가 제20도에서 볼 수 있는 바와같이 그것들 사이에서 그것들에 의하여 진출하는 것을 방지하기에 효과적이라는 것은 아래애 주어진 타이어 가황 프레스의 작동설명으로부터 명백해 질 것이다.
이제 제21도 및 제22도에 대하여 설명하면, 거기에는, 오목 및 볼록부재(47)들이 섹터(25)들의 부채꼴 부분(25C)들과 충전기 링(46)과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지 않은점에서, 상기 설명된 제2실시예의 타이어 가황프레스와 다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애 따른 타이어 가황 프레스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제2 및 제3실시예들의 타이어 가황 프레스들에 있어서, 충전기 링(46)은 탄성성형 부재(8)와 그것의 미끄럼 접촉에 대한 그것의 저항 또는 마찰을 제어하고 충전기 링(46)과의 미끄럼 접촉에 의한 탄성성형 부재(8)에 대한 손상의 방지를 고려하여 그것의 접촉부를 부드럽게 하기 위해 그것의 모서리를 등글어지게하는 그러한 방식으로 형성되어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타이어 가황 프레스의 작동의 일련의 여러단계들은 제9도 내지 제15도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며, 이점에 대하여, 제2 및 제3실시예들의 타이어 가황 프레스들의 작동도 또한 설명될 것이다.
제9도는 어떤 상태에서의 타이어 가황 프레스를 예시하고 있는데, 거기에서 상부 다이요소(4) 및 하부 다이요소(1)는 상호 개방 또는 폐쇄 상태로 있으며, 상부 비이드 링(18) 및 하부 비이드 링(12)은 상하부 다이(6 및 3)들안에 각각 삽입되어 있으며; 섹터(25)들은 그것들의 부채꼴 부분(25C)들이 내부 실린더(16)안에 수납되어 있는 그것들의 폐쇄위치에 있으며, 그리고 중심기구(7)는 대기 상태에 있다.
이 상태에서, 미가황 타이어(T)는 지지부재(42)에 의하여 다이요소(4 및 1)들 사이의 선정된 위치에 지지되는데, 거기에서 그것의 다이요소(4 및 1)들과 실질적으로 동심이다.
미가황 타이어(T)가 다이요소(4 및 1)들 사이의 위치에 장전된 후에, 내부 실린더(16)는 작동부재(17)의 팽창운동에 의하여 아래로 이동되므로 상부 비이드 링(18)은 상부 다이(6)의 오목부(6A)로부터 이탈되고나서 미가황 타이어(T)의 상부 비이드(T1)에 대하여 눌려지며, 그것에 의하여 타이어(T)에 대한 매달기 준비 자세를 취한다.
외부 실린더(15)상의 안내 슈(15A)와 내부 실린더(16)의 안내홈(16C) 사이의 맞물림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내부 실린더(16)의 하향운동이 확실히 이루어지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상부 비이드 링(18)이 미가황 타이어(T)의 상부 비이드(T1)에 대하여 가압될때까지 내부 실린더(16)가 하향이동된 후에, 섹터하우징 작동부재(23)가 팽창되어서 섹터하우징(21)은 미가황 타이어(T)의 상부 비임(T1)에 대하여 내부 실린더(16)의 그러한 가압까지 동시관계로 내부 실린더에 관하여 아래에서 하향 이동된다.
섹터 하우징(21)의 그러한 하향운동과 동시에, 그위에 있는 섹터(25)들은 상부 비이드 링(18)밑에서 아래쪽으로 뻗을 때까지 폐쇄위치를 유지하면서 수직방향으로 하향이동되며, 그들의 부채꼴 부분 또는 척킹 부분(25C)들은 제10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미가황 타이어(T)의 상부비임(T1)측으로부터 미가황 타이어(T)안으로 끼워진다.
제2실시예의 타이어 가황 프레스의 경우에 있어서, 섹터(25)들의 부채꼴 부분(25C)들은 상부 비이드 링 (18)아래로 위치되며 충전기 링(46)은 제19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부채를 부분(25C)들 아래로 놓인다(이것은 제3실시예의 타이어 가황 프레스에 또한 적용된다.)
제10도 또는 제19도에 도시된 상태는 미가황 타이어(T)에 대한 걸기 준비자세를 나타낸다.
섹터 개패 장치 (28)의 유체실린더(제2도 참조)가 제10 또는 19도에 예시된 상태로 팽창된다면, 내부튜브 (29)는 하향 이동되어 내부튜브(29)의 하단에 장착된 캠링(36)도 또한 하향 이동된다.
섹터(25)들상의 캡 로울러(39)들인 캠링(36)과 맞물려 잡히기 때문에, 피봇축(27)둘레로 지지된 섹터(25)들이 피봇회전되어 부채꼴 부분(25C)은 미가황 타이어(T)의 상부 비임(T1)의 내측면에 대하여 가황될때까지 제1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린다. 따라서, 미가황 타이어(T)의 상부 비임(T1)이 내부 실린더의 상부 비이드 링(18)과 섹터(25)의 척킹부(25C) 사이로 물리게되어 미가황 타이어(T)는 제1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섹터(25)들상에 기계적으로 매달린다.
제2실시예의 타이어 가황 프레스의 경우에 있어서, 척(25)의 부채꼴 부분(25C)들이 개방상태로 이동될 때, 오목 및 볼록 부재(47)의 안내작용과 오목 및 볼록부재(47)의 오목 및 볼록 리브(47A 및 47B)의 역할에 의해 원호를 그리며 이동되며, 간극(48)은 제20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촤소화된다(즉, 제3실시예의 타이어 가황 프레스의 경우보다 작게 된다.).
그러한 매달림과 동시에, 섹터(25)들의 척킹부(25C)들은 각각의 제1부터 제3까지의 실시예들의 타이어 가황 프레스에 있어 각각 부채꼴 또는 부분원형을 나타내고 원주방향 바깥쪽으로 배치되며, 미가황 타이어 (T)를 확실히 물고 매달 수 있다.
미가황 타이어 (T)를 상부 비이드 링(18) 및 섹터(25)들의 척킹부(25C)를 기계적으로 매달거나 걸은 상태가 유지되는 상태에 있어서, 상부 및 하부 다이요소(1 및 4)는 서로 각각에 대하여 닫혀진다. 그와 동시에, 하부 비이드 링(12)은 미가황 타이어(T)의 하부 비이드(T2)에 대하여 가압된다. 그후에 가압된 유체(공기)는 제11도의 화살표(C) 방향으로 내부튜브(29)를 경유하여 미가황 타이어(T) 안으로 공급되어 미가황 타이어(T)를 부풀리게 한다.
결과적으로, 내부 실린더(16)는 상부 비이드 링(18)이 상부 다이(6)의 홈(6A)안으로 끼워져 상부 다이(6)의 부분이 될때까지 외부실린더(15)에 대하여 위로 이동된다. 이 상태에 있어서, 증기와 같은 가열된 압력매체가 중심기구(7)의 탄성성형 부재(8) 안으로 공급되어 미가황 타이어(T)를 부풀리게 하여서 미가황 타이어(T)의 내측 벽은 하부쪽으로부터 연속적으로 형태를 이루게된다.
만일 중심기구(7)의 상부(7A)가 상기에 기술된 바와 같은 성형 단계에 있어 윗쪽으로 돌출된다고 할지라도 섹터(25)들이 수직방향으로 뻗는 링크(25B)와 원주방향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척킹부(25C)와 함께 원주 방향으로 배열되고 중심기구(7)의 상부(7A)가 섹터(25)의 링크(25B)들에 의해 원형으로 둘러싸인 위치에서 공간으로 돌출될 것이기 때문에 섹터(25)들과의 간섭은 방지된다.
반면에, 제2 또는 제3실시예의 타이어 가황 프레스의 경우에 있어서, 상부 장착링(9)은 제22도에 가상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기 링(46)의 링 끼움부(25G)에 의해 유지되며, 탄성성형 부재(8)는 충전기 링(46)에 의해 섹터(25)들의 부채꼴 부분(25C)과의 직접 접촉이 방지되며, 또한 탄성성형 부재(8)는 간극 (48)을 경유하여 섹터(25)들의 부채꼴 부분(25C)과의 맞물림이 방지된다.
그러한 성형의 마지막 단계 가까이에서 섹터(25)들은 캠링(36)의 폐쇄작동과 섹터하우징의 관련된 상향이동에 의해 폐쇄위치로 이동되어서 척킹부(25C)가 제1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실린더(16) 안으로 수용된다. 또한, 제1실시예의 타이어 가황 프레스의 경우에 있어서는 상부 장착링(9)은 섹터(25)들의 부채꼴 부분(25C)의 링 끼움부(25G) 안으로 조여지며 따라서 제1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 끼움부에 의해 고정적으로 수용된다.
제2실시예의 타이어 가황 프레스의 경우에 있어서, 섹터(25)들의 부채꼴 부분(25C)들은 오목 및 볼록 부재(47)의 안내작용하에서 닫혀지며 따라서 충전기 링(46)상에 수용된다.
결과적으로, 미가황 타이어(T)는 제1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다이의 닫힌 상태에서 가황되고 성형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부 비이드 링(18)은 다이의 일부로서 역할을 하며 섹터(25)들의 척킹부(25C)들은 내부 실린더(16)에 수용된다. 따라서, 탄성성형 부재(8)의 견고성이 잘 유지된다.
소정의 가황성형의 완료후에 중심기구(7)의 탄성성형 부재(8)는 수축되어 중심기구(7) 안으로 수용되며 다이는 열린다. 그리고 나서 성형된 타이머(T4)는 제1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기구(7)의 하부 비이드링(12)에 의해 다이로부터 제거되고 부재(42)의 운송장치에 의해 다이로부터 운송된다.
본 발명에 대하여 완전히 설명되었는 바, 명시된 바와같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개념을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변경 및 변형들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 본 기술분야에 숙련된 자에게는 명백해졌을 것이다.

Claims (3)

  1. 상부 다이요소와 하부 다이요소가 서로서로에 대하여 개폐운동을 하도록 장착되어 있고, 수직방향으로 뻗는 링크를 각각 가진 복수의 섹터와 상기 링크의 하부 끝으로부터 반경방향의 바깥방향으로 뻗는 부채꼴 부분은 미가황 타이어의 상부 비이드가 상기 섹터에 의해 상기 다이요소들 사이의 위치에서 붙잡혀서 장입될 수 있도륵 개방위치와 폐쇄위치 사이에서의 운동을 위해 반경방향 배열로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다이요소들 사이의 위치에 장입된 타이어의 내부면은 신축가능한 탄성성형 부재와 상기 탄성성형 부재속으로 가해지는 가열된 압력 매체에 의해 가황되는, 타이어 가황 프레스에 있어서, 상기 상부 다이요소상의 상대 상하 운동을 위해 장착되어 있으며 그 하부끝부분에는 상기 상부 다이요소의 일부를 구성할 수 있는 비이드 링을 가지고 있는 내부 실린더와 상기 내부 실린더내에서의 상대 상하운동을 위해 장착되어 있으며 개방위치와 폐쇄위치 사이에서의 운동을 위하여 상기 복수의 섹터들을 지지하고 있는 섹터하우징; 상기 내부 실린더상에 구비된 상기 비이드 링과 상기 섹터의 상기 부채꼴 부분과의 사이에서 붙잡혀 질 수 있는 미가황 타이어의 상부 비이드, 상기 섹터들이 폐쇄위치에 있을 때 상기 내부 실린더의 하부 끝부분에 수용되어 질 수 있는 상기 섹터의 상기 부채꼴 부분, 가황중에 상기 탄성성형 부재를 가진 상부 장착링을 수납 및 유지하기 위하여 구비되어 있는 링끼움부; 상기 섹터 하우징의 하부끝 부분에 장착되어 있는 충전기링, 패쇄 위치에서의 상기 섹터의 상기 부채꼴 부분은 상기 충전기링 상에 위치되며; 상기 섹터의 상기 부채꼴 부분은 미가황 타이어의 상부 비이드를 붙잡기 위하여 상기 충전기링보다 더 멀리 반경방향의 외축으로 돌출될 수 있으며; 상기 링 끼움부는 상기 섹터의 상기 부채꼴 부분 아래에 위치되는 상기 충전기링의 하부면쪽에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가황 프레스.
  2. 제1항에 있어서, 오목 및 볼록부재는, 개방위치와 폐쇄위치 사이에서의 운동을 위하여 상기 섹터를 안내하고 상기 탄성성형 부재가 개방위치에서의 상기 충전기링과 상기 섹터의 부채꼴 부분과의 사이에서 전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섹터의 상기 부채꼴 부분과 상기 충전기 링과의 상호 접촉면들상에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가황 프레스.
  3. 제1항 또는 제2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기 링은 상기 탄성성형 부재와의 미끄럼 접촉에 의한 마모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크롬도금등에 의해 거울면으로 마무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가황 프레스.
KR1019880013647A 1988-03-22 1988-10-20 타이어 가황 프레스 KR9200031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853388A JPH0733025B2 (ja) 1987-04-25 1988-03-22 タイヤ加硫プレス
JP68533 1988-03-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4235A KR890014235A (ko) 1989-10-23
KR920003145B1 true KR920003145B1 (ko) 1992-04-20

Family

ID=133764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13647A KR920003145B1 (ko) 1988-03-22 1988-10-20 타이어 가황 프레스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4874303A (ko)
KR (1) KR92000314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31453A (ja) * 1991-11-14 1993-05-28 Kobe Steel Ltd タイヤ加硫機の中心機構
US5314648A (en) * 1991-12-16 1994-05-24 Kabushiki Kaisha Kobe Seiko Sho Tire vulcanizing machine and method
KR0120834B1 (ko) * 1992-03-24 1997-10-22 가메다카 소키치 타이어 가황프레스
WO2010016073A1 (en) * 2008-08-04 2010-02-11 Pirelli Tyre S.P.A. A process and apparatus for moulding and curing tyres
EP2708350B1 (en) * 2012-09-13 2017-01-11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Green tire preformer apparatus and method for preforming a green tire
JP6109016B2 (ja) * 2012-09-13 2017-04-05 ザ・グッドイヤー・タイヤ・アンド・ラバー・カンパニー タイヤのビード領域の回転装置
US8807976B1 (en) 2012-09-13 2014-08-19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Tire bead area rotation apparatus
US20140069573A1 (en) * 2012-09-13 2014-03-13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Method for preforming a green tire
JP6353378B2 (ja) * 2015-02-02 2018-07-04 リコーエレメックス株式会社 タイヤ把持装置及びタイヤ検査装置
JP7346782B2 (ja) * 2019-09-02 2023-09-20 Toyo Tire株式会社 タイヤ成型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14215A (en) * 1947-02-26 1950-07-04 Firestone Tire & Rubber Co Tire building drum
US2959815A (en) * 1955-06-17 1960-11-15 Nat Rubber Machinery Co Tire curing press
DE1298701B (de) * 1958-05-02 1969-07-03 Firestone Tire & Rubber Co Presse zum Formen und Vulkanisieren schlauchloser Luftreifen
US3530533A (en) * 1965-04-01 1970-09-29 Nrm Corp Loader for tire curing press
US3487507A (en) * 1967-11-29 1970-01-06 Nrm Corp Actuating device and control for tire curing press
US4236883A (en) * 1979-07-05 1980-12-02 Nrm Corporation Tire press
US4400342A (en) * 1981-03-23 1983-08-23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Bladderless, clampless curing
US4606714A (en) * 1983-03-31 1986-08-19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Tire press mechanism
US4608219A (en) * 1985-06-11 1986-08-26 Nrm Corporation Tire press, loader and method
DE3603076C2 (de) * 1986-02-01 1996-09-26 Krupp Ag Reifenheizpresse
US4768937A (en) * 1987-02-02 1988-09-06 Nrm Corporation Tire curing press
JPH0636111A (ja) * 1992-07-13 1994-02-10 Omron Corp 硬貨処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4235A (ko) 1989-10-23
US4874303A (en) 1989-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464090A (en) Tire curing press
KR920003145B1 (ko) 타이어 가황 프레스
KR830001492B1 (ko) 타이어 프레스장치
KR900001909B1 (ko) 타이어 프레스의 가황 방법
US6277317B1 (en) Method for building pneumatic tires in an improved tire mold
US4683021A (en) Tire building drum
EP0414908A1 (en) Mold for molding vulcanization
US4472125A (en) Tire loading apparatus for a tire vulcanizing machine
US3584335A (en) Tire curing press with loader and removal devices
US7740462B2 (en) Tire vulcanizer
CA1106561A (en) Tire curing press
US10500768B2 (en) Tire vulcanizer and method for assembling tire vulcanizer
US663239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uring radial tires
CN109689321B (zh) 轮胎硫化装置
SU1628845A3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вулканизации шин
US3822165A (en) Shaping drum
JPH08309755A (ja) タイヤ加硫装置
EP0669202B1 (en) Tire vulcanizing press
US4529367A (en) Universal tubeless tire curing apparatus
JPH0733025B2 (ja) タイヤ加硫プレス
US2422788A (en) Retread vulcanizing device
EP0397735A4 (en) Retread ring
EP0509095B1 (en) Green tire building apparatus
KR920003144B1 (ko) 타이어 가황 프레스
JP3937038B2 (ja) タイヤ加硫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41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