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0834B1 - 타이어 가황프레스 - Google Patents

타이어 가황프레스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0834B1
KR0120834B1 KR1019930703240A KR930703240A KR0120834B1 KR 0120834 B1 KR0120834 B1 KR 0120834B1 KR 1019930703240 A KR1019930703240 A KR 1019930703240A KR 930703240 A KR930703240 A KR 930703240A KR 0120834 B1 KR0120834 B1 KR 01208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mold
attaching member
pressing
mold atta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7032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츠미 이치카와
가시로 우레시노
Original Assignee
가메다카 소키치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4098716A external-priority patent/JPH05309656A/ja
Priority claimed from JP26207292A external-priority patent/JPH0733024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메다카 소키치,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filed Critical 가메다카 소키치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08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083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00Presses, using a press ram, characterised by the features of the drive therefor, pressure being transmitted directly, or through simple thrust or tension members only, to the press ram or platen
    • B30B1/32Presses, using a press ram, characterised by the features of the drive therefor, pressure being transmitted directly, or through simple thrust or tension members only, to the press ram or platen by plungers under fluid pressure
    • B30B1/323Presses, using a press ram, characterised by the features of the drive therefor, pressure being transmitted directly, or through simple thrust or tension members only, to the press ram or platen by plungers under fluid pressure using low pressure long stroke opening and closing means, and high pressure short stroke cylinder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20Opening, closing or clamping
    • B29C33/202Clamping means operating on closed or nearly closed mould parts, the clamping means being independently movable of the opening or clos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601Vulcanising tyres; Vulcanising presses for ty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04Frames; Gu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04Frames; Guides
    • B30B15/041Gu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04Frames; Guides
    • B30B15/042Prestressed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0/00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Heating, Cooling, Or Curing Plastics Or The Like In General (AREA)

Abstract

고정밀도 또한 가이드부재의 조정이 필요없으며, 기계가공면이 적어지도록 한 타이어 가황프레스를 제공한다.
그 타이어 가황프레스는 하부프레임(21b)과 이 하부프레임(21b)에 입설되어 있는 적어도 1개의 사이드프레임(21c)으로 이루어지는 본체프레임(21)과, 상기 하부프레임(21b)상에 재치되어 있는 하금형(23)을 고정하고 있는 하몰드부착부재(22)와, 상기 하금형(23)과 면접하고 있는 상금형(24)을 고정하고 있는 상몰드부착부재(25)와, 상기 상몰드부착부재(25)의 일측부재 설치되어 있어 그 상몰드부착부재(25)를 상기 사이드프레임(21c)에 오버행거 상태로 지지하고 또한 승강주행하는 가이드부재(1)와, 상기 가이드부재(1)의 주행에 의해 상몰드부착부재(25)를 하몰드부착부재(22)에 대하여 상대 운동하여 수직수강자재로 하는 승강구동체(26)를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부재(1)는 복수조의 궤도홈(5)을 가지고, 수직방향으로 연신하고 있는 궤도대(2)와, 그 궤도대(2)의 궤도홈(5)내에서 자전하면서 공전하는 복수열의 볼열(7)을 조립하고 있는 이동대(3)로 구성된다.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타이어 가황프레스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타이어 가황프레스 전체구성도.
제2도는 제1도 A-A의 확대단면도.
제3도는 제2도의 B에서 본 도면.
제4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타이어 가황프레스 전체구성도.
제5도는 제4도 C-C의 확대단면도.
제6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나타내는 일부절결 입단면도.
제7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나타내는 일부파단 평면도.
제8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를 나타내는 일부파단 정면도.
제9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를 나타내는 일부절결 평면도.
제10도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를 나타내는 일부절결 측면도.
제11도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를 나타내는 일부절결 측면도.
제12도는 제11도의 일부파단 평면도.
제13도는 제6실시예의 가압프레스 중앙 종단 정면도.
제14도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일부파단 평면도.
제15도는 본 발명의 제8실시예를 나타내는 일부절결 측면도.
제16도는 트윈형식의 타이어 가황프레스를 나타내는 일부파단 평면도.
제17도는 트윈형식의 타이어 가황프레스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일부파단 평면도.
제18도는 트윈형식의 타이어 가황프레스의 제3실시예를 나타내는 일부파단 평면도.
제19도는 트윈형식의 타이어 가황프레스의 제4실시예를 나타내는 일부절결 측면도.
제20도는 본체프레임을 C형으로 한 본 발명의 제10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입면도.
제21도는 본체프레임을 H형으로 한 본 발명의 제11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입면도.
제22도는 종래의 타이어 가황프레스를 표시하는 도면.
제23도는 제22도의 d에서 본 도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
[기술분야]
본 발명은 타이어 가황프레스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종래, 이 종류의 타이어 가황프레스로는 제22도 및 제23도(제22도의d에서 본 도면)에 나타내는 것이 있다.
제22도 및 제23도에 있어서, 이 타이어 가황프레스의 본체프레임(21)은 상부프레임(21a), 하부프레임(21b) 및 2개의 사이드프레임(21c,21d)으로 구성되어 있고, 하부프레임(21b)에는 하몰드부착부재(22)를 통하여 하금형(23)이 고정되어 있다.
이 하금형(23)에 면접해 있으면서 개폐자재로 되어 있는 상금형(24)은 상몰드부착부재(25)에 고정되어 있고, 상몰드부착부재(25)에는 상부프레임(21a) 측부에 설치된 2개의 승강실린더(26)의 피스톤로드(27) 단부가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상몰드부착부재(25)의 양측부(25a,25b)와 양사이드프레임(21c,21d) 사이에 가이드부재(28)가 설치되어 있다.
이 가이드부재(28)는 사이드프레임(21c,21d)에 부착된 궤조(軌條 : 29)와, 상몰드부착부재(25)의 측부(25a,25b)에 부착된 롤러(30)로 구성되어 있고, 롤러(30)가 고정밀도로 기계가공이 시행된 궤조(29)의 주행면(29a)상을 주행함으로써 상몰드부착부재(25)는 하몰드부착부재(22)에 대하여 수직승강자재로 되어 있다.
또, 상몰드부착부재(25)에는 가압전달로드(31)가 입설되어 있고, 이 가압전달로드(31) 상부는 상부프레임(21a)에 고정 설치된 중공가압실린더(32)내에 삽통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 타이어 가황프레스의 작동을 설명한다.
승강실린더(26)의 피스톤로드(27)를 축소함으로써 상몰드부착부재(25)를 상승시키고, 상금형(24)을 상승시킨다. 그리고, 그린타이어를 하금형(23)에 장입세트 한다.
그리고, 승강실린더(26)의 피스톤로드(27)를 신장시킴으로써 상몰드부착부재(25)를 하강시키고 상금형(24)을 하강시켜서 양금형(23,24)의 폐합(閉合)을 행한다.
그리고, 중공가압실린더(32)를 작동시킴으로써 가압전달로드(31)에 가압력을 전달하여 형조임(型締) 가압을 행한다.
형조임가압이 종료되면 승강실린더(26)의 피스톤로드(27)를 축소시킴으로써 상몰드부착부재(25)를 상승시킨다. 그리고, 가황이 끝난 타이어를 로더 등을 이용하여 기외로 배출함으로써 가황작업이 종료되고, 새로운 그린타이어를 로더 등을 이용하여 하금형(23)에 장입세트하여 다음의 가황작업이 개시된다.
종래의 기술에서 설명한 타이어 가황프레스는 롤러(30)와 궤조(29)로 이루어지는 가이드부재(28)를 상몰드부착부재(25)의 양측부(25a,25b) 와 양사이드프레임(21c,21d) 사이의 2개소에 설치되어 있다.
그 결과, 이 2개소에 설치된 가이드부재(28) 사이의 평행도 등의 조정을 행할 필요가 생기는데, 타이어 가황프레스의 경우에는 가황열에 의한 열변형을 수반하기 때문에 이 조정은 곤란하다. 또, 상몰드부착부재(25)와 사이드프레임(21c,21d)에 가이드부재(28)의 부착면이 많아지기 때문에 기계가공면이 많아지고, 제작비 상승이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 타이어 가황프레스로서 일본 특개소 58-71143호 공보에 개시된 것이 있다.
이 타이어 가황프레스는 틀형상 본체프레임내의 하부에 하금형을 고정함과 동시에 본체프레임내에 승강자재로 지지된 승강대(상몰드부착부재) 하측에 상금형을 설치하고, 한편, 본체 프레임 상부에 형가압장치를 고정하고, 이 형가압장치와 하강위치에 있는 승강대 사이에 개재되는 스페이서를 옆쪽으로 퇴피 가능하게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형가압장치에 의해 상,하금형을 가압할 때는 형가압장치와 승강대 사이에 스페이서를 개재시키고, 이 스페이서와 승강대를 통하여 가압력을 가하고 또, 상,하금형을 개폐할 때는 스페이서를 옆쪽으로 퇴피시켜서 승강대를 승강시키고 있다.
또, 타이어 가황프레스는 2조의 가황금형장치에 각각 형가압장치(형조임장치)를 설치하여 횡방향으로 병설한 소위 트윈형식이 일반적이다.
종래의 타이어 가황프레스는 승강대의 승강스트로크와 대략 같은 정도의 길이를 갖는 스페이서가 필요하기 때문에 본체프레임이 상하방향으로 길어지고, 가황기 전체가 대형화되는 문제가 있다.
또, 트윈 형식의 타이어 가황프레스는 성형사이클(현상 15분 정도)중에서 가황시간(형조임중)이 길고, 생타이어의 장입 및 타이어 꺼내는 시간(로더,언로더 시간)은 짧아 형조임 장치의 공용은 무리라고 되어 있었다.
그러나, 현상의 타이어 가황프레스에 있어서는 가황시간은 짧아지게 되어 있고, 장래는 로더, 언로더 시간쪽이 길어질 가능성이 있으며, 이럴 경우, 형조임 장치의 가동효율 저하가 문제가 되어 코스트다운도 기대할 수 없게 된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은 종래의 기술이 갖는 이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제1의 목적으로 하는 바는 고정밀도이고, 또한 가이드 부재의 조정이 불필요하며, 기계가공면이 적은 타이어 가황프레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본체프레임의 상하방향 길이를 작게 할 수 있고, 가황프레스 전체를 소형화할 수 있는 타이어 가황프레스를 제공하는 것을 제2의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 제1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음 수단을 강구하였다.
즉, 본 발명에 관한 타이어 가황프레스는 하부프레임과 이 하부프레임에 입설되어 있는 적어도 1개의 사이드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본체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상에 재치되어 있어 하금형을 고정하고 있는 하몰드부착부재와, 상기 하금형과 면접하고 있는 상금형을 고정하고 있는 상몰드부착부재와, 상기 상몰드부착부재의 일측부에 설치되어 있어 그 상몰드부착부재를 상기 사이드프레임에 오버행거 상태로 지지하는 가이드부재와, 상기 가이드부재의 주행에 의해 상몰드부착부재를 하몰드부착부재에 대하여 상대운동으로서 수직승강자재인 구동체를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부재는 복수조의 궤도홈을 가지고 수직방향으로 연신되어 있는 궤도대와, 그 궤도대의 궤도홈 내에서 자전하면서 공전하는 복수열의 볼을 조립하고 있는 이동대로 이루어진다.
또, 상기 제2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타이어 가황프레스는 또한 상,하금형을 가압하는 형가압장치를 상,하몰드부착부재와 함께 상하방향에 구비하고, 이들 상,하몰드부착부재, 상, 하금형 및 형가압 장치를, 가압 반력을 담당하는 틀형상의 퇴피가능한 가압프레임내에 설치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타이어 가황프레스는 궤도대와 이동대로 이루어지는 고강성이고 고정밀도의 가이드부재에 의해 상금형을 고정한 상몰드부착부재를 사이드프레임에 오버행거 상태와, 이 오버행거 상태로 하금형을 고정한 하몰드부착부재에 대하여 수직승강시키기가 가능해진다.
그 결과, 가이드부재는 상몰드부착부재의 1측부에만 설치되게 되어 가이드부재가 상몰드부착부재 양측부의 2개소에 설치되는 것에 기인되는 가이드부재간의 평행도 등의 조정이 불필요해진다.
게다가 가이드부재는 이동대가 궤도대에 고정밀도로 세트된 상태로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이동대와 궤도대에 있어서의 조정의 필요도 전혀 없다.
또한, 상몰드부착부재와 사이드프레임의 가이드부재의 부착면이 반감되기 때문에 기계가공면도 반감되어 대폭적인 코스트다운이 된다.
그리고, 2개의 사이드프레임중 1개밖에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나머지 1개는 수직로더의 기둥 등으로도 이용할 수 있게 되며, 또, 프레스프레임을 상부프레임, 하부프레임 및 1개의 사이드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소위 C형 프레스프레임으로 할 수도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타이어 가황프레스는 상기에 첨가하여, 가압프레스의 상하방향으로 길이를 작게 하여 전체를 소형, 경량화할 수 있음과 동시에 가압프레스의 내파손성 등이 향상되고, 안전하고 경제적인 설계가 가능하다.
또, 트윈형식 타이어 가황프레스에 있어서는 2조의 금형장치에 대하여 가압프레임을 탈착자재로 전환하여 공유함으로써 형가압장치의 가동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어, 대폭적인 코스트다운이 기대된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타이어 가황프레스를 나타내는 도면, 제2도는 제1도의 A-A선 단면도, 제3도는 제2도의 B에서 본 도면이다.
또한, 타이어 가황프레스의 전체구성과 그 작동은 제22도 및 제23도에서 설명한 것과 같기 때문에 이하 본 발명의 타이어 가황프레스의 특징 부분인 가이드부재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하고, 제1도 내지 제3도에 있어서 제22도 및 제23도와 같은 작용을 갖는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부기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1도 내지 제3도에 있어서, 이 타이어 가황프레스는 상몰드부착부재(25)의 우측부(25a)와 우사이드프레임(21c) 사이에 가이드부재(1)를 설치하고 있으며, 이 가이드부재(1)에 의해 상몰드부착부재(25)는 우사이드프레임(21c)에 오버행거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가이드부재(1)는 우사이드프레임(21c)에 부착된 수직방향으로 연신하는 궤도대(2)와, 상몰드부착부재(25)의 우측부(25a)에 부착된 이동대(3)로 구성되어 있으며, 궤도대(2)의 어깨부(4)에는 4줄의 궤도홈(5)이 설치되고, 이동대(3) 용기(6)내에는 부하볼열(7a)과 도피볼열(7b)로 이루어지는 4줄의 볼열(7)이 조립되어 있다.
이동대(3)의 볼열(7)의 부하볼열(7a)과 도피볼열(7b)은 양방향으로 순환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부하볼열(7a)이 궤도대(2)의 궤도홈(5)을 자전하면서 공전함으로써 이동대(3)는 궤도대(2)를 주행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또, 부하볼열(7a)은 궤도대(2)의 어깨부(4)를 사방으로 둘러싸서 배치되어 있고, 이동대(3)는 전 방향으로부터의 하중을 부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가이드부재(1)는 이동대(3)의 용기(6)와 궤도대(2)가 높은 강성을 가지고 있으며, 또, 이동대(2)의 궤도홈(5)을 볼지름에 근사한 R형상으로 성형함으로써 볼과 궤도홈(5)의 접촉이 선접촉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전체로서 높은 강성을 갖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 가이드부재(1)는 이동대(3)가 궤도대(2)에 고정토록 세트된 상태로 유니트로 되어 있고, 또, 소정의 플리로드를 걸어서 궤도홈(5)과 볼열(7)의 백래쉬를 제로로 함으로써 이동대(3)는 덜컹거림 없고 쉭슬립이 없는 정확한 직선운동을 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2개의 승강실린더로 예시하는 승강구동체(26)는 프레스 중심선상에 센터 분할하여 동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가이드부재(1)에 전도모멘트가 작용하지 못하도록 되어 있다.
또, 중공실린더로 예시하는 형가압장치(32)는 상부프레임(21a)에 고정한 실린더튜브(32A)와, 이 실린더튜브(32A)에 끼워진 단충형(短衝型)의 중공피스톤(32B)을 구비하고, 이 피스톤(32B)에 가압전달로드(31)의 연신로드(31A)가 삽통되어 있어, 그 로드(31)는 나사고정, 개폐운동 등에 의한 계탈부재(32C)에 의해 피스톤(32B)에 탈착자재로 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 구성의 제1실시예에 관한 타이어 가황프레스의 작동을 설명한다.
승강실린더로 표시하는 승강구동체(26)를 작동시킴으로써 상몰드부착부재(25)를 승강시키고, 타이어의 장착, 반출과 양금형(23,24)의 폐합(閉合)을 행한다.
또, 중공가압 실린더형으로 예시하는 형가압장치(32)를 작동시킴으로써 가압 전달로드(31)에 가압력을 전달하고, 상몰드부착부재(25)를 하강시켜서 형조임가압을 행한다. 이 가황작업에 있어서의 상몰드부착부재(25)의 수직승강은 상몰드부착부재(25) 우측부(25a)에 부착된 이동대(3)가 우사이드프레임(21c)에 부착된 궤도대(2)를 주행함으로써 행해진다.
이 수직승강은 이동대(3)와 궤도대(2)로 구성되는 가이드부재(1)가 고강성이기 때문에 상금형(24)을 고정한 상몰드부착부재(25)를 우사이드프레임(21c)에 오버행거 상태로 하고, 이 오버행거 상태로 상몰드부착부재(25)를 하몰드부착부재(22)에 대하여 수직승강 시키기가 가능해진다.
이 경우, 상몰드부착부재(25)의 수직승강에는 높은 정밀도가 요구되나 가이드부재(1)는 정확한 직선운동을 행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오버행거 상태로서의 승강이라도 충분히 그 요구정밀도를 만족시킬 수 있다.
그 결과, 가이드부재(1)는 상몰드부착부재(25)의 1측부에만 설치되게 되고, 가이드부재(1)가 상몰드부착부재(25)의 양측부의 2개소에 설치시키는데 기인하는 가이드부재간의 평행도 등의 조정이 필요없게 된다.
그리고, 가이드부재(1)는 이동대(3)가 궤도대(2)에 고정밀도로 세트된 상태로 유니트로 되어 있기 때문에 이동대(3)와 궤도대(2)에 있어서의 조정의 필요도 전혀 없다.
또한, 상몰드부착부재(25)와 사이드프레임(21c)의 가이드부재(1)의 부착면을 반감시킬 수 있기 때문에 기계가공면도 이에 수반하여 반감되고, 대폭적인 코스트다운이 된다.
그리고, 2개의 사이드프레임(21c,21d) 내의 1개밖에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나머지 1개는 수직로더의 기둥 등으로도 이용할 수 있게 되고, 또 프레스프레임을 상부프레임, 하부프레임 및 1개의 사이드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소위 C형 본체프레임으로 할 수도 있고, 이 C형 본체프레임으로 했을 때는 로더 등의 부착에 자유도가 크게 된다.
또, 이 가이드부재(1)를 이용하면 상몰드부착부재(25)의 우측부(25a)와 사이드프레임(21c) 사이에 가이드부재(1)의 두께분의 틈새가 생길 수 있고, 이에 따라 제2실시예에서 도시한 제4도, 제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틈새에 승강실린더(10)를 배치할 수도 있고, 그 실린더(10)는 승강구동체가 된다. 또한, 제4도, 제5도에 있어서, 제1도-제3도와 공통되는 부분은 공통 부호로 표시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각 실시예에서는 본체프레임상에 1기의 가황형을 설치한 타입의 타이어 가황프레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체프레임상에 복수의 가황형을 설치한 소위 트윈타입의 것에도 동일하게 적용되고, 상기 실시예와 같은 효과를 초래한다.
또한, 상기 각 실시예에서는 상금형을 하금형에 대하여 수직승강시키는 타입의 타이어 가황프레스 중에도 상몰드부착부재에 입설된 가압전달로드에 상부프레임에 고설된 중공가압실린더에 의해 가압력을 전달하여 상하금형의 형조가압을 행하는 타이어 가황프레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상몰드부착부재상에 진퇴재자의 가압전달로드에 상부프레임에 고설된 중실 가압실린더에 의해 가압력을 전달하여 상하금형의 형조임가압을 행하는 것, 그리고, 개폐자재인 상하돔 중에서 상하금형의 형조임가압을 행하는 돔로크식이라 일컫는 것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되고, 상기 실시예와 같은 효과를 가져온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의 형가압장치는 도시 이외의 구성이라도 되고 또, 가압장치를 갖지 않고, 가황내압을 스필리트 몰드콘테이너로 받는 소위 셀프로크식 타이어 가황프레스에도 상기 오버행거 가이드부재를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승강구동체의 부착방향은 상하 어느 쪽도 좋고, 또, 실린더 형식은 아니고 볼나사식, 랙피니온식 등이라도 상관없다.
그리고, 상기 각 실시예에서는 가이드부재의 궤도대를 사이드프레임에, 이동대를 상몰드부착부재에 구비하였으나 궤도대를 상몰드부착부재에, 이동대를 사이드프레임에 구비한 것이라도 좋다.
제6도에서 제21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유용한 실시예인 타이어 가황프레스를 설명한다.
제6도 및 제7도는 본 발명에 관한 타이어 가황기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다.
제6도 및 제7도에 있어서, 고정의 가황기 본체프레임(21)은 베이스부(21e)에, 사이드프레임(21c)과 하부프레임(21b)을 일체로 구비하고, 사이드프레임(21c) 전면측 상부에 상하방향의 궤도대(2)가 고정되고, 한쪽에 피보팅용 브라켓(33)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상금형(24)을 상플라텐(34)을 통하여 고정하고 있는 상몰드부착부재(25)는 그 한쪽에 이동대(3)를 구비하고, 제1실시예와 같은 가이드부재(1)를 통하여 가황기 본체프레임(21)에 승강자재로 오버행거 지지되어 있다.
하부프레임(21b)에는 상하방향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어 하금형(23)을 하플라텐(35)을 통하여 고정한 하몰드부착부재(22)와 상기 구멍에 대하여 승강자재로 끼워져서 재치되고, 또한 복귀수단(36)에 의해 하방향으로 가압되어 있다.
복귀수단(35)은 하몰드부착부재(22) 주위에 등간격을 두고 복수개 설치되어 있고, 그 각각은 하몰드부착부재(22)의 플랜지부(37)에 고정되고, 또한 하부프레임(21b)의 돌출부(38)에 상하 미끄럼이동 자재로 삽통된 로드(39)와, 돌출부(38)의 하측에서 로드(39)와, 돌출부(38)의 하측에서 로드(39)에 감긴 코일스프링(40)으로 구성되어 있다.
가이드부재(1)는 제2도, 제3도를 참조하여 상기한 볼을 구비하고 있다.
상몰드부착부재(25)에는 브라켓(41)이 고정되고, 이 브라켓(41)에 승강실린더(26)에 있어서의 로드(27)의 끝이 연결되고, 여기에 승강구동체로 되어 있고, 상몰드부착부재(25)는 상기 제1실시예와 같은 작용을 하는 가이드부재(1)에 의해 오버행거 지지되어 수직승강 자재이다.
하몰드부착부재(22)는 중공 통구조이고, 이 통내에 중심기구(42)를 구비하고 있고, 그 중심기구(42)는 상, 하비드링(43,44)과 여기에 부착되어 있어 생타이어(46)를 쉐이핑 등을 하는 성형용 블레더(45) 등을 구비하고 있다.
상,하금형(23,24)을 가압하는 짧은 스트로크의 형가압장치(32)는 지지판(47)에 끼워붙인 실린더(48)와, 이 실린더(48)에 상하 미끄럼 이동자재로 끼워진 피스톤(49)을 구비하고 있다.
이 형가압장치(32)는 하몰드부착부재(22)와 가압프레임(55)의 하틀부(56) 사이에 개재되고, 지지판(47)이 볼트(57)에 의해 하틀부(56)에 부착되어 있다. 피스톤(49)과 지지판(47) 사이에는 피스톤(49)의 복귀수단(58)이 둘레방향으로 등간격을 두고 복수개 설치되어 있다.
복귀수단(58)은 피스톤(49)에 고정되고 또한 지지판(47)에 상하 미끄럼자재로 삽통된 로드(59)와 지지판(47)의 하측에서 로드(59)에 감긴 코일스프링(60)으로 구성되어 있다.
가압프레임(55)은 좌우 한쌍의 종틀부(61,62)와 상하 한쌍의 상, 하틀부(63,56)를 구비한 정면에서 보아 직사각형틀 형상이고 그 한쪽의 종틀부(61)가 핀(64)에 의해 가황기 본체프레임(21)에 있어서의 사이드프레임(21c)에 고정한 브라켓(33)에 요동자재로 피보팅되고, 또, 브라켓(33)상에는 핀(64) 주위에 가압프레임(55)을 요동시키기 위한 로터리 액츄에이터(65)가 부착되어 있다.
또, 가압 프레임은 일체식의 적층구조 즉, 고장력 강판을 복수매 적층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고장력강판 대신 보통강판이라도 가능하다. 그리고, 가압프레임(55)은 용접구조로 할 수 있다.
가압프레임(55)은 가압위치(I)와 퇴피위치(II) 사이에서 요동자재이며, 가압위치(I)에 위치시켰을 때에는 그 상, 하틀부(63,56) 사이에 상, 하몰드부착부재(22,25) 상,하금형(23,24), 형가압장치(32)가 상하방향으로 개재되게 되어 있다.
그리고, 가압프레임(55)의 상틀부(63)와 상몰드부착부재(25)의 사이 및 하몰드부착부재(22)와 형가압장치(32)의 피스톤(49) 사이에 각각 소간극(T1,T2)이 생기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제3실시예에 있어서, 상,하금형(23,24)내에 넣은 생타이어(46)를 가황성형할 때에는 제7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압프레임(55)을 가압위치(I)에 세트한 후, 형가압장치(32)에 압매(壓媒)를 공급하여 피스톤(49)에 의해 하몰드부착부재(22)를 상방으로 밀어 올린다.
그러면, 하몰드부착부재(22)가 복귀수단(58)에 저항하여 상승하고, 상,하금형(23,24), 상몰드부착부재(25)를 상방으로 밀어 올리고, 상몰드부착부재(25)가 가압프레임(55)의 상틀부(63)에 맞닿기 때문에 상,하금형(23,24)을 가압할 수 있다.
이때의 상하방향의 가압반력은 가압프레임(55)에 의해 받는다.
생타이어(46)를 가황성형한 후, 그 가황타이어를 꺼낼 경우에는 우선 형가압장치(22)의 압매를 뽑고, 복귀수단(58)에 의해 피스톤(49)을 하강시킨다. 그리하면, 상,하몰드부착부재(22,25), 상,하금형(23,24)이 내려가고, 하몰드부착부재(22)가 하부 프레임(21c)상에 얹힌다.
이에 의해 상몰드부착부재(25)와 가압프레임(55)의 상틀부(63) 사이에 소간극(T1)이 생기고, 또 하몰드부착부재(22)와 형가압장치(32)의 피스톤(49)사이에 소간극(T2)이 생기기 때문에 다음에 로터리 액츄에이터(65)를 작동시켜서 가압프레임(55)을 가압위치(I)에서 퇴피위치(II)로 핀(64)주위에 제7도에 도시한 a 화살표 방향으로 회동시켜 가압프레임(55)을 퇴피시킨다.
다음에 승강구동체(26)를 수축 동작시키고, 상몰드부착부재(25)를 궤도대(20에 따라 상승시킴으로써 상금형(24)을 상방으로 들어올린다. 이에 의해 상,하금형(23,24)이 열리기 때문에 계속하여 하금형(23)상의 가황타이어를 꺼낸다.
이와 같이 하면 상,하몰드부착부재(22,25)측과 가압프레임(55)측 사이에는 가압프레임(55)의 퇴피동작에 지장이 없을 정도의 소간극(T1,T2)을 확보해 두면 충분하기 때문에 가압프레임(55)의 상하방향의 길이를 작게 할 수 있고, 가황기 전체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 가압프레임이 단순구조이기 때문에 계획치(계산치)와 실가동 부하시와의 응력치가 틀어지게 어렵고, 내파손성 등이 향상되고, 안전하고 경제적인 설계가 가능하다.
그리고, 타이어 가황중에 무슨 이유로 이상적(異常的)으로 형가압장치(32)의 가압력이 없어지더라도 간극(T1,T2)은 각각 2-10mm이므로 상금형(24)은 크게 열리는 일이 없고, 성형용 블레더(45)내의 가황증기의 분출을 억제할 수 있다.
이 제3실시예에 있어서도, 자전하면서 공전하는 볼열을 갖는 이동대(3)와 궤도대(2)로 구성되는 가이드부재(1)가 고강성이기 때문에 상금형(24)을 고정한 상몰드 부착부재(25)를 우사이드프레임(21c)에 오버행거 상태로 하고, 이 오버행거 상태로 상몰드부착부재(25)를 하몰드부착부재(22)에 대하여 수직승강시키기가 가능해진다.
이 경우, 상몰드부착부재(25)의 수직승강에는 높은 정밀도가 요구되나 가이드 부재(1)는 정확한 직선운동을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오버행거 상태에서의 승강이라도 충분히 그 요구정밀도를 만족시킬 수 있다.
그리고, 가압력을 담당하는 가압프레임(55)에 가이드부재(1)가 설치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가압력에 의한 가압프레임(55)의 변형이 가이드부재(1)에 미치는 일은 없다.
제8도, 제9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를 나타내고, 제3실시예와 다른 점은 가압프레임(55)이 가황기 본체프레임(21) 전면측에 좌우 한 쌍 설치되고, 양외측 퇴피위치(II)와 서로 평행이 되는 가압위치(I) 사이에서 핀(64)주위에 좌우 여닫이식으로 회동하도록 한 점 및 형가압장치(32)는 지지판(47)을 하몰드부착부재(22)에 부착하고, 피스톤(49)과 가압프레임(55)의 하틀부(56) 사이에 소간극(T2)이 생기도록 한 점에 있고, 그 밖의 구성, 작용은 제3실시예와 공통되기 때문에 공통부분은 공통부호로 표시하고 있다. 따라서, 이 제4실시예의 동작은 상기 제3실시예와 대략 동일하다.
제10도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를 나타내고, 제3, 제4실시예와 다른 점은, 가압프레임(55)이 직선적으로 이동하게 한 점이다. 즉, 가압프레임(55)은 대차(66)상에 재치되고, 또, 대차(66)는 레일(67)상을 전후방향으로 이동자재로 하고 있으며, 대차(66)와 가황기 본체프레임(21) 사이에 대차(66)용 이동실린더(68)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이 이동실린더(68)를 신축시킴으로써 가압프레임(55)을 가압위치(I)와 퇴피위치(II) 사이에서 전후로 이동시킬 수 있고, 그 밖은 제3, 제4실시예와 공통되고, 공통되는 부분은 공통부호로 표시하고 있다.
제11도-제13도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를 나타내고, 제3, 제4실시예와 다른 점은 가압프레임(55)이 권선 구조로 되어 있는 점이다. 즉, 가압프레임(55)은 상부요크(69)와, 하부요크(70)와, 좌우디스턴스 피스(71,72)를 정면에서 보아 틀형상으로 배치하고, 이들 상하좌우 전외주에 피아노선 등으로 이루어지는 선재(73)를 다수조 복수층으로 감아서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하부요크(70)에 형가입장치(22)의 지지판(57)이 볼트(57)에 의해 부착되어 있다.
제6실시예 있어서의 동작은 제3실시예와 똑같기 때문에 공통부분은 공통부호로 표시한다.
제6실시예에 의하면, 가압프레임(55)에 권선구조를 채용하고 있기 때문에 제3실시예 보다 더욱 가압프레임(55)을 소형화할 수 있고, 또한 경량화할 수 있다.
제14도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를 나타내고, 제4실시예와 다른 점은, 가압프레임(55)이 제6실시예와 같은 권선구조로 되어 있는 점이고, 제4실시예와 같은 동작으로 조작할 수 있고, 따라서, 공용부분은 공통부호를 부기하여 표시한다. 또한 제7실시예에 의하면 가압프레임(55)을 제4실시예보다 더욱 소형, 경량화할 수 있다.
제15도는 본 발명의 제8실시예를 나타내고, 제5실시예와 다른점은, 가압프레임(55)이 제6실시예와 같은 권선구조로 되어 있는 점이며, 그 밖은 공통되기 때문에 공통부호로 표시하고, 제5실시예와 같은 동작으로 조작할 수 있다. 이 제8실시예에 있어서도 가압프레임(55)을 제5실시예보다 더욱 소형, 경량화할 수 있다.
제16도에서 제19도는 상, 하금형(23,24)으로 이루어지는 개폐자재의 가황금형장치 2조를 횡방향으로 병설하여 구비한 소위 트윈형식의 타이어 가황프레스의 실시 예이고, 상기 가황금형에 대하여 가압프레임(55)을 계탈전환자재로 한 것으로, 상기 실시예와 공통되는 부분은 공통부호로 표시하고 있다.
우선, 제16도는 2조의 가황금형 장치(K1,K2)를 횡방향으로 병설하고, 양자사이에 가압프레임(55)의 선회핀(64)을 설치하고, 그 핀(64)주위에 로터리 액츄에이터(65)로 가압프레임(55)을 형가압장치(32)와 함께 180°선회시켜 한쪽의 가황금장치(K1)로 가황성형중에 있어서 다른쪽 가황금형장치(K2)에서는 성형완료 타이어 꺼내기와 장착을 행하도록 하고 있다.
다음에, 제17도는 2조의 가황금형장치(K1,K2)를 대략 90°로 병설하여 형가압장치(32)와 함께 가압프레임(55)을 90°선회시켜서 계탈전환자재로 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
제18도는 제8도에서 기술한 타이어 가황프레스를 트윈형식으로 한 것이고, 형가압장치(32)는 가황금형장치(K1,K2)에 각각 구비하고, 가압프레임(55)을 소위 양쪽여닫이식으로 계탈전환자재로 한 것을 표시하고 있다.
제19도는 제11도에서 기술한 타이어 가황프레스를 트윈형식으로 한 것으로서, 횡방향으로 병설하는 2조의 금형장치(K1,K2)에 대하여 형가압장치(32)를 갖는 대차식 가압프레임(55)을 계탈전환자재로 구비한 것이다.
또한, 제16-제19도의 소위 트윈형식의 타이어 가황프레스의 가압프레임(55)은 제11도-제14도를 참조하여 기술한 선재(73)를 구비한 소위 권선형식으로 하는 것은 자유이다.
또한, 상기 각 실시예에 있어서 형가압장치(32)는 상몰드부착부재(25)상에 설치할 수 있고, 가압프레임(55)의 상틀부(63) 또는 상부요크(69) 하측에 설치할 수 있을 뿐더러 승강구동체(26)는 신축실린더 대신 볼, 나사 기구를 채용할 수 있다.
또, 상,하몰드부착부재(22,25) 사이에 개장되는 상,하금형(23,24)의 높이가 다르면 상몰드부착부재(25)와 가압프레임(55)과의 소간극(T1)이 변화되기 때문에 이 소간극(T1)을 조정하는 몰드높이 조정장치를 상몰드부착부재(25)의 상측에 설치할 수 있다. 이 몰드높이 조정장치는 전동의 유압실린저나 기타의 조정 가능한 것이면 좋다.
또한, 상기 몰드높이 조정장치는 가압프레임(55)의 상틀부(63)내면에 부착하여도 좋고, 또 하틀부(56)에 부착하여도 좋다.
또한, 상몰드 부착부재(25)와 상플라텐(34)사이에 설치하여도 좋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가령, 가압프레임(55)은 상하 양면에 있어서, 권선층이 서로 교차되는 복수의 권선구조를 채용할 수 있고 그 밖의 적절한 설계변경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타이어 가황프레스는 제20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황기 본체프레임(21)을 소위 C자형상으로 할 수 있고, 제 21도로 표시하는 바와 같이 가황기 본체프레임(21)을 상부프레임(21a)과 하부프레임(21b)의 중앙부에, 사이드프레임(21c)을 입설한 H형으로 할 수 있고, 이와 같이 본체프레임(21)의 측부를 개방형으로 함으로써 금형교환, 유지보수 등의 작업성이 용이해진다.
그리고, 제7-21도의 어느 실시예에 있어서도 자전하면서 공전하는 볼열(7)을 갖는 이동대(3)와 궤도대(2)로 구성되는 가이드부재(1)가 고강성이기 때문에 상금형(24)을 고정한 상몰드부착부재(25)를 우사이드프레임(21c)에 오버행거 상태로 하고, 이 오버행거 상태로 상몰드부착부재(25)를 하몰드부착부재(22)에 대하여 수직승강시키기가 가능해진다.
이 경우, 상몰드부착부재(25)의 수직승강에는 높은 정밀도가 요구되더라도 가이드부재(1)는 정확한 직선운동을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오버행거 상태에서의 승강이라도 충분히 그 요구정밀도를 만족시킬 수 있다.
그 결과, 가이드부재(1)는 상몰드부착부재(25)의 1측부에만 설치하게 되고, 가이드부재(1)가 상몰드부착부재(25)의 양측부 2개소에 설치하는 데에 기인하는 가이드부재간의 평행도 등의 조정이 필요없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본 실시예에 이하에 표시하는 타입의 타이어 가황프레스에도 본 발명은 적용할 수 있다.
즉, 소위 2개의 상금형(24)을 상몰드부착부재(25)에 부착하게 한 트윈타입의 타이어 가황프레스에 있어서 1세트의 가압프레임으로 좌우 캐비티의 가압반력을 받는 타입, 또한 각 캐비티의 가압반력을 각각 구비한 가압프레임으로 받는 타입의 타이어 가황프레스 등이다.
또한, 형가압장치(32)의 위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한, 어디에 설치하여도 좋으며, 또, 하몰드부착부재(22)는 하부프레임(21b)의 구멍에 대하여 승강자재로 끼운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것은 고정된 것이라도 좋다. 그리고, 이 고정일 경우는 가압에 의해 가압프레임(55)이 상대적으로 아래로 내려가는 사실로 인하여 간극(T1)을 제로로 할 수 있는 세공으로 할 수 있다.
[산업상의 이용가능성]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그 형식을 불문하고 어떤 타이어 가황프레스에 있어서도 이용할 수 있다.

Claims (7)

  1. 하부프레임(21)과, 이 하부프레임(21b)에 입설되어 있는 적어도 1개의 사이드프레임(21c)으로 이루어지는 본체프레임(21)과, 상기 하부프레임(21b)상에 재치되어 있어 하금형(23)을 고정하고 있는 하몰드부착부재(22)와, 상기 하금형(23)과 면접하고 있는 상금형(14)을 고정하고 있는 상몰드부착부재(25)와, 상기 상몰드부착부재(15)의 일측부에 설치되어 있어 그 상몰드부착부재(15)를 상기 사이드프레임(21c)에 오버행거 상태로 지지하고 또한 승강주행하는 가이드부재(1)와, 상기 가이드부재(1)의 주행에 의해 상몰드부착부재(25)를 하몰드부착부재(22)에 대하여 상대운동으로 수직승강자재로 하는 승강구동체(26)를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부재(1)는 복수조의 궤도홈(5)을 가지고 수직방향으로 신장하고 있는 궤도대(2)와, 그 궤도대(2)의 궤도홈(5)내에서 자전하면서 공전하는 복수열의 볼열(7)을 수용하고 있는 이동대(3)를 구비하고, 또한, 상,하금형(23,24)을 가압하는 형가압장치(32)를 상, 하몰드부착부재(22,25)와 함께 상하방향에 구비하고, 상기 상, 하몰드부착부재(22,25)와 상기 상, 하금형(23,24)과 상기 형가압장치(323)는 가압프레임(55)내에 구비되고, 상기 가압프레임(55)은 그 가압프레임(55)이 상기 상, 하금형(23,24)을 가압하기 위해 상기 상, 하금형(23,24)과 상기 상하몰드부착부재(22,25) 상하방향으로 일직선으로 늘어서는 가압위치와, 상기 가압프레임(55)이 상기 상,하금형(23,24) 및 상기 몰드부착부재(22,25)에서 간격을 두고 위치하는 퇴피위치와의 사이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사이드프레임(21c)에 조작적으로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가황프레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프레임(55)은 서로 층을 이루는 4각형의 형상을 가지는 복수개의 강판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가황프레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프레임(55)은 상,하부요크(69,70)와 좌우 디스턴스피스(71,72)로 이루어지고, 상기 각 상하부 요크(69,70) 및 상기 좌우 디스턴스피스(71,72)의 주위의 상하 좌우전외주에 선재(73)를 다수로 복수층으로 감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가황프레스.
  4. 제1항에 있어서, 금형장치(K1,K2)는 개폐자재로, 또한 횡방향으로 병설된 상기 2조의 상, 하금형(23,24)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황프레임(55)은 상기 2조의 상,하금형(23,24)간을 이동자재로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가황프레스.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형가압장치(32)는 상기 가압프레임(55)에 구비되고, 상기 가압프레임(55)과 형가압장치(32)는 상기 2조의 상,하금형(23,24)간을 이동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가황프레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프레임(55)은 상프레임(21a)과 하프레임(21b)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프레임(21b)은 상기 형가황장치(32)에 부착되고 상기 상프레임(21a)과 상기 상몰드부착부재(25)와의 사이에 제1소간격(T1)이 설치되고, 상기 형가압장치(32)와 상기 하몰드부착부재(22)와의 사이에, 제2소간격(T2)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가황프레스.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프레임(21c)은 브라켓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압프레임(55)은 이 프레임(55)이 상기 퇴피위치와의 사이에 피봇 이동할 수 있도록 일단이 사이드프레임(21c)의 상기 브라켓에 피봇 형태로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가황프레스.
KR1019930703240A 1992-03-24 1993-03-24 타이어 가황프레스 KR01208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4098716A JPH05309656A (ja) 1992-03-24 1992-03-24 タイヤ加硫プレス
JP92-98716 1992-03-24
JP21306492 1992-08-10
JP92-213064 1992-08-10
JP92-262072 1992-09-30
JP26207292A JPH0733024B2 (ja) 1991-10-02 1992-09-30 タイヤ加硫機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0120834B1 true KR0120834B1 (ko) 1997-10-22

Family

ID=273087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703240A KR0120834B1 (ko) 1992-03-24 1993-03-24 타이어 가황프레스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387094A (ko)
EP (1) EP0589050A1 (ko)
KR (1) KR0120834B1 (ko)
WO (1) WO199301890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511384C2 (sv) 1994-05-11 1999-09-20 Inst Verkstadstek Forsk Ivf Anordning för formsprutning eller formning av arbetsstycken samt metoder för låsning av formverktyg
TW260636B (en) * 1994-05-24 1995-10-21 Kobe Steel Ltd Tire vulcanizing system
US6254371B1 (en) * 1997-08-21 2001-07-03 Konal Engineering And Equipment Inc. Press system for urethane parts
US6206676B1 (en) 1998-10-22 2001-03-27 Konal Engineering & Equipment Inc. Electric/pneumatic rim press
DE112005002050A5 (de) * 2004-06-22 2007-08-09 Tox Pressotechnik Gmbh & Co. Kg Presse, Führung für ein Führungselement einer Presse
CN100439003C (zh) * 2006-11-13 2008-12-03 赵文福 一种板材落料机
CN106142409A (zh) * 2016-08-31 2016-11-23 湖南高速铁路职业技术学院 双工位平板硫化机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83775A (en) * 1970-09-15 1974-01-08 Radiator Ets Stands for presses
US4129406A (en) * 1975-11-25 1978-12-12 Cima Costruzioni Industriali Metalmeccaniche E Affini S.A.S. Di Capecchi Floriano & C. Mold for the vulcanization or retreading of vehicle tires
FR2362717A2 (fr) * 1976-08-25 1978-03-24 Zelant Gazuit Presse, notamment pour la vulcanisation des pneumatiques
US4332536A (en) * 1980-04-09 1982-06-01 Nrm Corporation Hydraulic tire press
JPS5947981B2 (ja) * 1980-06-14 1984-11-22 株式会社神戸製鋼所 タイヤ加硫機への未加硫タイヤ装入方法並びにその装置
US4345893A (en) * 1980-10-20 1982-08-24 Prince Corporation Molding machine
JPS5871143A (ja) * 1981-10-23 1983-04-27 Mitsubishi Heavy Ind Ltd タイヤ加硫プレス
DE3432286C1 (de) * 1984-09-01 1985-08-22 Hoesch Ag, 4600 Dortmund Hydraulische Presse
US4702669A (en) * 1985-10-24 1987-10-27 Kabushiki Kaisha Kobe Seiko Sho Mechanism for transferring cured tires from tire press to post-inflator
JPH0716800B2 (ja) * 1986-05-14 1995-03-01 株式会社アマダ プレス機械
US4834636A (en) * 1987-02-24 1989-05-30 Kabushiki Kaisha Kobe Seiko Sho Tire centering and removal device for a tire vulcanizing press
US4874303A (en) * 1988-03-22 1989-10-17 Kabushiki Kaisha Kobe Seiko Sho Tire vulcanizing press
JPH0651740B2 (ja) * 1988-11-07 1994-07-06 丸善石油化学株式会社 粘接着特性の優れた水添石油樹脂の製造方法
JPH02147209A (ja) * 1988-11-29 1990-06-06 Kobe Steel Ltd タイヤ加硫機の開閉および芯出し装置
JPH02127409U (ko) * 1989-03-31 1990-10-19
IT1248654B (it) * 1990-05-29 1995-01-26 Pirelli Pressa di vulcanizzazione con due stampi azionati disgiuntamente fra loro particolarmente per pneumatici di veicoli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1993018903A1 (en) 1993-09-30
US5387094A (en) 1995-02-07
EP0589050A4 (en) 1994-01-05
EP0589050A1 (en) 1994-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83726A (en) Tire vulcanizing system
EP0115431B1 (en) Mold clamping mechanism for a tire curing press
CN101229669B (zh) 一种拉杆锁模式液压轮胎硫化机
EP0037703B1 (en) Hydraulic tire press
KR0120834B1 (ko) 타이어 가황프레스
JPH0839624A (ja) 射出成形機
US9446561B2 (en) Tire curing press
KR20040028723A (ko) 타이어 가황 방법 및 장치
EP0444718B1 (en) Tyre vulcanizer
JPS62164506A (ja) 垂直開閉式タイヤ加硫機
US5316458A (en) Hydraulic tire curing press
JP5069636B2 (ja) タイヤ加硫プレス
US4647273A (en) Hydraulic tire curing press
JP4175444B2 (ja) タイヤ加硫装置
US5015165A (en) Opening/closing and centering device for tire vulcanizer
CN2759751Y (zh) 一种立柱卡板锁模式液压轮胎硫化机
WO2013157428A1 (ja) タイヤ加硫機
JPH06106541A (ja) タイヤ加硫プレス
JPH09277262A (ja) タイヤ加硫機
CN210498337U (zh) 接料机构、轮毂铸造机和双工位轮毂铸造系统
CN220031245U (zh) 一种轮胎静音棉压合装置
JP2584138Y2 (ja) 成形型の型締め装置
CN2750912Y (zh) 一种内加压锁环柱式液压轮胎硫化机
JPH11138545A (ja) タイヤ加硫機
JPH07186150A (ja) タイヤ加硫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