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5902B1 - 인쇄용지 공급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인쇄용지 공급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5902B1
KR930005902B1 KR1019890007781A KR890007781A KR930005902B1 KR 930005902 B1 KR930005902 B1 KR 930005902B1 KR 1019890007781 A KR1019890007781 A KR 1019890007781A KR 890007781 A KR890007781 A KR 890007781A KR 930005902 B1 KR930005902 B1 KR 9300059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feed roller
feed
roller pair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077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1473A (ko
Inventor
신이찌 와다라이
요지 호우기
도모히로 노노무라
Original Assignee
후지쓰 가부시끼가이샤
야마모도 다꾸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쓰 가부시끼가이샤, 야마모도 다꾸마 filed Critical 후지쓰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100014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14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59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59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9/00Registering, e.g. orientating, articles; Devic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00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 B65H5/06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rollers or balls, e.g. between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00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 B65H5/06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rollers or balls, e.g. between rollers
    • B65H5/062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rollers or balls, e.g. between rollers between rollers or b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 Registering Or Overturning Sheets (AREA)
  • Delivering By Means Of Belts And Rollers (AREA)
  • Paper Feeding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Folding Of Thin Sheet-Like Materials, Special Discharging Devices, And Oth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인쇄용지 공급방법 및 장치
제la,b,c 및 d도는 본 발명에 의한 용지를 개별적으로 공급하는 방법의 원리를 나타내는 개략도.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 화상형성장치의 횡단면도.
제3도는 제2도의 부분확대 횡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타임챠트.
제5도는 본 발명에 의한 제어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후로우 차트.
제6도는 본 발명에 의한 전기 화상형성장치의 횡단면도를 나타내는 또다른 실시예도.
제7도는 용지의 비틀어짐의 교정을 설명하기 위한 종래의 화상형성장치의 부분 평면도.
본 발명은 인쇄매체쉬트, 예를들어 용지를 별도의 인쇄용지 파일로부터 프린터, 복사기와 같은 화상형성 장치내의 화상형성 영역으로 별도로 공급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또한 이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러한 용지내장 카세트로부터 화상형성영역으로 용지상에 화상을 형성하도록 용지가 공급될때마다 각각의 용지는 한쌍의 정지해 있는 공급롤러들과 접촉상태가 되어 용지의 진행이 정지하므로 이단계에서 용지상에 화상의 형성을 개시하도록
시작신호에 의해 공급 롤러쌍이 회전하기 전에 용지의 삐뚤어짐이 교정된다. 즉, 제7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지(P)가 한쌍의 공급롤러(28a, 28b)에 의해 공급되는 동안 또다른 쌍의 공급롤러(30,47)가 정지되므로 용지(P)가 회전하지 않는 공급 롤러(30,47)와 접촉상태가 되어 화살표(a1)의 방향으로 회전하므로 용지의 비뚤어짐이 교정된다.
그러나 상술한 방법에서는 2쌍의 공급롤러들간의 공간이 용지(P)의 삐뚤어짐을 교정할 수 있을 정도로 커야하므로 결국 삐뚤어짐이 큰 용지를 교정하기 위해서는 화상형성장치의 사이즈가 비교적 커야한다. 또한 다단 카세트 상자를 사용하면 용지를 개별적으로 공급하는 제어방법이 복잡해진다. 왜냐하면 각각의 카세트로부터 회전하고 있지않는 공급 롤러쌍으로 용지를 공급하기 위한 경로의 길이가 서로 다르므로 용지를 실제 공급할시에 용지의 슬립으로 인한 용지의 삐뚤어짐을 교정하기 위한 각각의 초과공급량의 분산량이 커지게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상술한 결점을 제거하고 또한 작은 공간내에서 용지의 삐뚤어짐을 교정하는 한편, 용지를 개별적으로 공급하는 방법 및 이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용지를 개별적으로 공급하고 또한 그의 삐뚤어짐을 교정하기 위한 간단한 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의하면 파일과 화상형성영역간의 용지공급로내에 적어도 2쌍의 공릅롤러들을 제공하여 파일로부터 용지를 픽업하기 위한 픽업롤러에 의해 회전하고 있지 않은 공급롤러쌍으로 용지를 개별적으로 공급하고, 개별용지가 공급롤러쌍과 접촉한 상태에서 소정시간 경과후, 공급롤러쌍이 회전하기 시작하여 용지를 회전되고 있지 않은 그다음 공급 롤러쌍으로 공급하여, 용지가 상술한 그다음 공급롤러쌍과 접촉상태에서 소정시간 경과후 그다음 공급롤러쌍이 용지를 공급하도륵 회전하기 시작하는 것이 특징인 개별용지 상에 화상을 형성하기 위해 인쇄용지 파일로부터 화상형성영역으로 인쇄용지를 개별적으로 공급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인쇄용지를 개별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장치가 제공되는데 그 장치는 인쇄용지의 파일로부터 인쇄용지를 픽업하기 위한 픽업롤러를 갖고있으며 또한 용지를 파일로부터 화상형성용 화상형성영역으로 공급하는 공급로를 따라 소정 위치에 배치되는 다수의 공급롤러쌍과, 용지가 파일로부터 공급롤러쌍으로 이송되는 시간보다 긴 시간동안 각 공급롤러쌍들을 정지상태로 유지하도륵 다수의 공급롤러쌍들을 각각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으로 구성되는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용지가 회전하고 있지 않은 공급롤러쌍과 접촉할때마다 용지의 비뚤어짐이 교정된다. 왜냐하면 용지의 후단에서 공급롤러쌍이 회전되어 용지를 공급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용지를 픽억할때 용지의 비뚤어짐이 크더라도 똑바로 수정될 수 있다.
또한 그 삐뚤어짐을 수정하기 위한 영역의 칫수, 특히 높이를 작게할 수 있으므로 콤펙트한 장치를 제공 할 수 있다. 왜냐하면 비뚤어짐의 수정은 여러번 행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 및 3도를 참조하면 참조번호 11, 12, 13, 14, 15, 16 및 17은 감광드럼, 용지가이드, 전사대전기, 드럼(11)상에 잠상을 형성하기 위한 잠상형성장치, 현상기, 정착기 및 용지수납용 카세트를 제각기 나타낸다. 가이드(12)는 지지봉(19)에 의해 지지되는 암(20)에 의해 지지된다. 전사대전기(13)는 감광드럼(11)에 상관 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장치되며 또한 화상이 형성되지 않는 지역의 드럼(11)과 접촉될 수 있는 두쌍의 롤러들(21)을 갖고 있다.
전사대전기(13)는 제2 및 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코일스프링(22)에 의해 드럼(11)에 압축되므로 화상을 형성할 수 있는 그러한 위치에 있도록 롤러(21)가 화상이 형성되지 않는 지역과 접촉상태에 있게 된다. 가이드부재(23)는 전사대전기(13)에 제공되는 용지가이드(24)가 드럼(11)으로부터 칫수(B)를 갖는 적절한 간극만큼 격리되도록 위 또는 아래로 전사대전기(13)를 안내해주며 또한 코로트론 와이어(corotron wire)(25)는 통상과 같이 위치된다.
상술한 가이드(12)의 일단은 전사대전기(13)에 체결되도록 자중에 의해 전사대전기(13)의 돌출부(26)와 맞물린다. 결과적으로 가이드(12)와 드럼(11)간의 칫수(A)를 갖는 간극은 제2 및 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사대전기(13)가 위치될때 적정값으로 세트된다.
즉, 용지를 드럼(11)과 접촉상태로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12)는 용지상에 불선명한 화상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화상이 형성되는 위치에 용지를 정확하게 유지시키도록 드럼(11)에 아주 인접하여 장치되야 한다. 간격칫수(B,A)는 스프링력(22)에 의해 적정값에 자동적으로 각각 세트되므로 드럼(11)이 변형되어 원으로부터 편심될지라도 칫수(B,A)는 항상 적정값에 유지될 수 있다.
상술한 전자화상 형성장치에 의한 화상형성은 다음과 같이 시행된다.
형성할 화상에 대응하는 잠상을 잠상 형성 장치(14)에 의해 드럼(11)의 표면상에 형성하고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드럼(11)을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선대전기(도시안됨)에 의해 드럼(11)의 표면을 균일하게 대전시킨후, 잠상을 현상기(15)에 의해 현상하여 토너상을 형성한다.
공지된 카세트(17)내에 내장된 용지는 픽업 롤러(27)에 의해 예를들어 드럼(11)의 회전과 동기하여 공급 된다. 그다음 용지는 공급롤러(28a,28b), 또다른 공급롤러(30) 및 핀치 롤러(47)에 의해 공급로(29)를 따라 공급된후 가이드(12)에 의해 안내되어 간극(A)을 통과한 후 드럼(11)과 전사대전기(13)가 서로 대향하고 있는 화상형성영역(31)으로 공급된다.
화상형성영역(31)내에서 드럼(11)의 표면상의 토너상은 전사대전기(13)에 의해 용지로 전사된다. 토너상이 용지로 전사된 후, 가이드(32)에 의해 안내되면서 간극(B)를 통해 정착기(16)에 공급되어 토너상은 용지에 정착된다. 간극칫수(A,B)는 상술한 바와 같은 적정값으로 세트되기 때문에 용지가 정확하게 공급되므로 선명한 상이 용지상에 형성된다.
화상이 정착된 용지는 가이드(34)와 공급롤러(35,36,37)에 의해 트레이(38)로 배출된다. 드럼(11)의 표면은 토너상이 용지로 전사된 후 세정기(46)에 의해 청소된다.
제3도에 나타낸 드럼(11)이외에 가이드(34), 공급롤러(35) 및 기타 소자는 하부프레임(39)상에 장치되며 제2도에 보인 소자들 가운데 나머지 소자들은 하부프레임(39)에 부착된 핀부재(40)에 의해 개방 가능하게 지지되는 상부프레임(41)상에 장치된다. 참조번호 42는 용지를 수동으로 삽입하기 위한 삽입구를 나타내며 또한 참조번호 43, 44는 용지의 통과를 검출하기 위한 감지기들을 나타낸다.
용지를 공급하기 위한 제어는 제3도에 나타낸 제어기(100)에 의해 시행된다. 메인 모터(M)는 클러치(C1,C2,C3,C4)에 의해 픽업롤러(27), 공급롤러(28a,30) 및 감광드럼(11)을 구동시킨다. 이 클러치들(C1~C4) 및 모터(M)는 제어기(1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감지기(43,44)는 또한 제어기(100)에 연결되어 있다. 제어기(100)은 마이크로 컴퓨터로 구성되며 마이크로프로세서 유니트(MPU)는 마이크로컴퓨터내의 메모리내에 기억되는 프로그램에 따라 모터(M)과 클러치(Cl~C4)를 제어한다. 제3도내의 라인(L1,L2,L3,L4)은 기어 또는 벨트가 클러치(C1,C2,C3,C4)와 롤러(27,28a,30) 또는 드럼(11)에 연결됐음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제2, 3, 4 및 5도를 참조하여 드럼(11)과 전사대전기(13) 밑에 위치되는 카세트로부터 화상형성영역(31)으로 용지공급을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계 110에서, 메인모터(M)가 회전을 개시하고 단계 112에서 준비동작 시간 t1이 경과하고, 그다음 단계 114에서 픽업롤러(27)가 회전을 개시하고 단계 116에서 소정시간 t2+t3가 경과한다. 픽업롤러(27)에 의해 카세트로부터 회전하지 않는 롤러쌍(28a.28b)으로 용지를 공급하는테 시간 t2가 걸린다.
픽업롤러(27)는 용지의 선단라인이 롤러쌍(28a,28b)과 접촉하는 동안 용지휨이 생기도록 용지가 롤러쌍(28a,28b)과 접촉상태가 된 후, 시간 t3동안 회전을 계속한다. 시간 t3후, 롤러쌍(28a,28b)이 회전하기 시작하여 용지의 선단라인이 롤러쌍(28a,28b)과 평행하게 되는 상태, 즉 용지의 비뚤어짐이 제1교정 단계에서 교정된 상태에서 용지를 공급한다.
단계 118에서, 픽업롤러(27)의 회전은 정지하고 공급롤러(28a)의 회전이 개시되어 공급로(29)를 따라 용지를 공급한다. 단계 120에서, 공급로(29)내의 소정 위치에 용지가 도달하는 것을 감지기(44)가 검출하고,단계 122에서 감지기(44)에 의한 용지의 검출후 시간 t4+t5가 경과하도록 한다. 용지가 감지기(44)에 의해 검출된 후 롤러쌍(28a.28b)에 공급되는데 시간 t4가 걸린다. 롤러쌍(28a,28b)에 의해 화상형성영역(31)을 향해 공급되는 용지가 시간 t4가 경과된 후 회전하고 있지 않은 롤러쌍(30,47)과 접촉상태가 된다. 롤러쌍(28a,28b)은 용지가 롤러쌍(30,47)과 접촉상태가 된후 시간 t5동안 회전하기 시작하므로 결국 용지의 삐뚤어짐은 제2교정단계로서 완전히 교정된다.
단계 124에서 롤러쌍(28a,28b)의 회전은 정지되고 단계 126에서 제어기(100)는 도시안된 또다른 유니트로부터 드럼(11)상에 잠상을 형성하는 것을 개시하는 명령신호를 대기한다.
단계 128에서 잠상형성이 개시되며 단계 132에서 두 롤러쌍(30,47 ; 28a,28b)의 회전이 개시되며 단계 130에서 예정된 시간 t6가 경과된 후 그시간 t6동안 드럼(11)이 회전되어 잠상이 형성되는 위치로부터 드럼(11)상의 토너상을 용지에 전사하는 것을 개시하는 위치까지 용지를 삐뚤어짐없이 화상형성영역(31)으로 공급한다. 이 실시예에서 드럼(11)의 회전은 신호를 수신하는 즉시 잠상의 형성을 개시할때 시작된다. 따라서 롤러쌍(30,47 ; 28a,28b)은 드럼(11)의 회전과 동기하여 회전하기 시작한다. 그러나, 드럼(11)은 단계 110에서 모터(M)가 회전을 시작하기 때문에 회전할 수도 있다. 그러한 경우에 롤러쌍들(30,47 ; 28a,28b)은 잠상의 형성과 동기하여 회전하기 시작한다.
나머지 단계 134는 용지상에 화상을 형성하거나 트레이(38)에 배출하는등의 프로세스를 나타낸다.
제1a, b, c 및 d도는 화상형성영역을 향한 용지 공급단계를 나타내는 것으로 제5도의 단계 114, 단계 116, 단계 122 및 단계 134에 해당한다.
제1c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지(P)는 그의 삐뚤어짐이 롤러쌍(28a,28b)의 회전에 의해 교정될때 휜다. 종래기술에서는 두 롤러쌍들(30,47 ; 28a,28b)간의 단 한 공간에서만 그의 삐뚤어짐 교정을 행하기 때문어 용지(P)를 변형시킬 수 있는 높이칫수(h)가 커야만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높이 칫수(h)를 작은 칫수로 할 수 있다. 왜냐하면 용지(P)의 삐뚤어짐을 롤러쌍(28a,28b)과 픽업롤러(27)간의 공간과 두 롤러쌍(30,47 ; 28a,28b)간의 공간과 같은 2이상의 여유 공간에서 교정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콤팩트한 장치를 얻을 수 있다. 장치의 콤팩트화는 카세트(17)를 감광드럼(11)과 전사대전기(13)밑에 배치하면 더 한층 실현 될 수 있다. 용지(P)를 드럼(11)과 전사대전기(13)간의 화상형성영역(31)으로 공급하기 위한 경로는 큰 곡률로 휘어져야만 하므로 용지의 삐뚤어짐이 발생된다. 그러므로, 그러한 콤팩트한 장치에서 용지의 삐뚤어짐을 본 발명에 의한 용지 삐뚤어짐의 교정 프로세스로서 교정이 가능하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삐뚤어짐의 교정은 두번 시행된다. 그러나 필요하면 화상형성영역(31)과 카세트(17)간에 2쌍 이상의 롤러를 제공하여줌으로서 교정을 2회 이상할 수 있다.
제6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다단 카세트를 갖는 또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2카세트(17a,17b)는 드럼(11)과 전사대전기(13)밑에 2단으로 배치하고 픽업롤러(27)와 공급롤러쌍(28a,28b,28a',28b')은 각 카세트(17a 또는 17b)마다 장치하고 하부 카세트로부터 공급되는 용지를 통과시키기 위한 공급로(49a 또는 49b)는 각 카세트의 정면부분내에 제공한다.
용지(P)가 하부카세트(17b)로부터 공곱될때 하부위치의 픽업롤러(27')는 회전되어 용지(P)를 회전되고 있지 않은 롤러쌍(28a',28b')으로 공급하여 주므로 용지(P)의 선단이 롤러쌍(28a',28b')과 접촉상태가 되므로 용지(P)의 삐뚤어짐이 제 1교정단계로서 교정된다. 소정 시간 후, 롤러(28a',28b')는 회전개시되어 공급로(49a)를 통해 상부위치에서 회전하고 있지 않은 롤러쌍(28a,28b)으로 공급하여 주므로 용지(P)의 선단이 롤러쌍(28a,28b)와 접촉상태가 되어 용지(P)의 삐뚤어짐이 제2교정단계로서 교정된다. 그다음 용지(P)는 회전되고 있지 않은 롤러쌍(30,47)으로 공급되므로 용지(P)의 삐뚤어짐이 최종 교정단계로서 교정될 수 있다. 2이상의 카세트를 설치할지라도 용지의 삐뚤어짐에 대한 교정프로세스는 상술한 프로세스와 동일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술한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의 설명으로부터 용지삐뚤어짐의 교정을 적어도 2회 시행하면 삐뚤어짐의 심할지라도 충분히 교정될 수 있고 교정을 위한 공간을 작게해도 되므로 장치를 소형화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여러 사이즈의 용지를 하나의 카세트로 사용하는 방식을 채택할때 큰 사이즈의 용지는 픽업롤러로부터 편심된 위치에서 카세트내애 수납되게 되므로 삐뚤어짐이 발생될수 있다 그러한 경우에 삐뚤어짐은 본 발명에 따른 수회 교정에 의해 충분히 교정될 수 있다.
다수의 카세트를 다단식으로 장치할때, 각 카세트로부터 용지를 공급하기 위한 각 공급로길이가 다르다. 그러나 각 용지를 공급하기 위한 제어방법은 간단할 수 있고 또한 각각의 공급로 길이와 무관하다. 왜냐하면 각각의 용지는 그 용지를 수납하는 각각의 카세트에 해당하는 롤러쌍과 접촉상태가 된 후에야 공급되기 때문이다.

Claims (7)

  1. 인쇄매체쉬트의 파열로부터 그 용지(P)상에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화상형성영역(31)에 인쇄용지를 개별적으로 공급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파일과 상기 화상형성영역(31)간의 용지공급로내에 적어도 두쌍의 제1 및 제 2공급롤러(28a,28b,30,47)를 구비하고, 용지를 픽업하기 위한 픽업롤러(27)에 의해 상기 파일로 부터 회전하고 있지 않은 제1공급롤러쌍(28a,28b)으로 용지를 공급하고, 상기 용지가 상기 제1공급롤러 쌍과 접촉상태로 유지되면서 소정 시간이 경과된 후, 상기 제1공급롤러쌍(28a,28b)이 회전하고 있지 않은 제2공금롤러쌍(30,47)으로 상기 용지를 공급하도록 회전하기 시작하고 상기 용지가 제 2공급롤러쌍(30,47)과 접촉상태로 유지되면서 소정 시간이 경과된 후 상기 제2공급롤러쌍이 상기 용지를 공급하도록 회전하기 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용지 공급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매체 쉬트 파일은 용지 파일로서 카세트(17)내에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용지 공급방법.
  3. 인쇄매체 쉬트의 파일로부터 개별적으로 인쇄용지(P)를 픽업하기 위한 픽업롤러(27)를 갖는 인쇄용지를 개별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파일로부터 용지상에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화상형성영역(31)으로 용지를 개별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공급로(49a,49b)를 따라 소정 위치에 배치되는 복수의 공급 롤러쌍(28a,28b,28a',28b')과, 상기 복수의 공급롤러쌍중 제1공급롤러쌍을 제어하되, 제1용지가 상기 제1공급 롤러쌍을 통과한 시간부터 소정시간 경과후와 제2용지가 상기 제1공급롤러쌍에 도달할때까지 상기 공급롤러쌍을 정지상태로 유지시키도록 제어하고 상기 복수의 공급롤러쌍중 제2공급롤러쌍을 제어하되, 제1용지가 상기 제2공급롤러쌍을 통과한 시간부터 소정시간 경과후와 제2용지가 상기 제2공급롤러쌍에 도달할때까지 상기 제2공급롤러쌍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1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용지 공급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매체 쉬트의 파일은 용지파일로서 카세트(17)내에 내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용지 공급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용지의 통과를 검출하기 위한 감지기(44)가 상기 두 공급롤러쌍마다 그들간의 소정 위치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용지 공급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카세트(17)는 상기 화상형성영역(31)의 상부 또는 하부위치에 장치되며 또한 상기 용지 공급로(49a,49b)는 큰 곡률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용지 공급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카세트(17)는 서로 겹쳐지는 식으로 복수개 장치되며 또한 상기 카세트의 선단에는 각각의 카세트로부터 공급되는 용지의 공급로(49a,49b)가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든 인쇄용지 공급장치.
KR1019890007781A 1988-06-07 1989-06-07 인쇄용지 공급방법 및 장치 KR9300059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3-140133 1988-06-07
JP63140133A JPH01308330A (ja) 1988-06-07 1988-06-07 紙送り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1473A KR910001473A (ko) 1991-01-30
KR930005902B1 true KR930005902B1 (ko) 1993-06-25

Family

ID=152616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7781A KR930005902B1 (ko) 1988-06-07 1989-06-07 인쇄용지 공급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4986528A (ko)
EP (1) EP0346220B1 (ko)
JP (1) JPH01308330A (ko)
KR (1) KR930005902B1 (ko)
AU (1) AU609613B2 (ko)
DE (1) DE68909313T2 (ko)
ES (1) ES2044165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90011A (en) * 1989-09-21 1991-02-05 Hewlett-Packard Company Sheet alignment using reverse advance roll and stationary pick roll
EP0495109B1 (en) * 1990-08-08 1996-01-03 Seiko Epson Corporation Paper feeder
JP2811952B2 (ja) * 1990-10-22 1998-10-15 ミノルタ株式会社 シート搬送装置
US5261657A (en) * 1991-03-19 1993-11-16 Inter Innovation Ab Document transport arrangement with relay-activated document gripping device including coacting relay armature return
SE9100834L (sv) * 1991-03-19 1992-03-09 Inter Innovation Ab Anordning foer att i en automat transportera vaerdepapper saasom sedlar, checkar etc
FI88478C (fi) * 1991-03-25 1993-05-25 Icl Personal Systems Oy Skrivare
JPH0511518A (ja) * 1991-07-04 1993-01-22 Sharp Corp 給紙装置
JPH07267423A (ja) * 1994-03-30 1995-10-17 Brother Ind Ltd 用紙搬送装置
US7036811B2 (en) * 2003-01-30 2006-05-02 Xerox Corporation Registration system paper path length compensation
US6761351B1 (en) * 2003-01-30 2004-07-13 Xerox Corporation Registration system effective drive roll radius compensation
JP4401986B2 (ja) * 2005-03-10 2010-01-20 株式会社東芝 画像形成装置、シート搬送方法
JP4342461B2 (ja) * 2005-03-10 2009-10-14 株式会社東芝 画像形成装置
JP4468844B2 (ja) * 2005-03-10 2010-05-26 株式会社東芝 画像形成装置、シート搬送方法
JP4440146B2 (ja) * 2005-03-10 2010-03-24 株式会社東芝 画像形成装置
JP4429939B2 (ja) * 2005-03-10 2010-03-10 株式会社東芝 画像形成装置
JP2023068553A (ja) * 2021-11-02 2023-05-17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シート搬送装置、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265459C2 (de) * 1971-06-03 1985-12-19 Canon K.K., Tokio/Tokyo Arbeitsweise eines elektrofotografischen Geräts
US4030723A (en) * 1975-12-15 1977-06-21 Pitney-Bowes, Inc. Vacuum-controlled, sheet-material separator and feeder system
JPS55155366A (en) * 1979-05-24 1980-12-03 Canon Inc Copier having manual paper insertion mechanism
US4525788A (en) * 1982-07-01 1985-06-25 Pitney Bowes Inc. Scanner interface circuit for universal multi-station document inserter
JPS5949561A (ja) * 1982-09-14 1984-03-22 Mita Ind Co Ltd 複写紙の搬送方法
JPS6019541U (ja) * 1983-07-19 1985-02-09 京セラミタ株式会社 シ−ト部材搬送装置
JPS60173560A (ja) * 1984-02-18 1985-09-06 Mita Ind Co Ltd 複写機における給紙搬送方法及びその装置
JPS61106346A (ja) * 1984-10-31 1986-05-24 Toshiba Corp 給紙装置
JPS61229755A (ja) * 1985-04-05 1986-10-14 Ricoh Co Ltd 給紙装置
JPH0740168B2 (ja) * 1985-07-16 1995-05-01 三洋電機株式会社 プリンタ装置
JPS62259944A (ja) * 1986-04-30 1987-11-12 Nec Corp 用紙斜行補正機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044165T3 (es) 1994-01-01
DE68909313D1 (de) 1993-10-28
AU609613B2 (en) 1991-05-02
KR910001473A (ko) 1991-01-30
DE68909313T2 (de) 1994-01-13
EP0346220A1 (en) 1989-12-13
JPH01308330A (ja) 1989-12-13
EP0346220B1 (en) 1993-09-22
US4986528A (en) 1991-01-22
AU3583189A (en) 1989-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5902B1 (ko) 인쇄용지 공급방법 및 장치
US7549621B2 (en) Sheet post-processing apparatus
US5390016A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for prefeeding a sheet to a conveying path from a sheet accommodating device prior to generation of a sheet feeding signal
JPH0244734B2 (ko)
US5765093A (en) Image recording apparatus with recording medium bending
JP5729202B2 (ja) 画像形成装置
JP2855007B2 (ja) シート排出装置
JP2522058B2 (ja) シ―ト材給送装置
US5182534A (en) Sheet guiding apparatus and an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same
JP3952572B2 (ja) 画像形成対象シート搬送装置
JP4060446B2 (ja) 給紙装置
US6532356B2 (en) Guide mechanism, paper feed control method, and image-forming device
JP7432143B2 (ja) シート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3622531B2 (ja) シート供給装置
JP7091746B2 (ja) 用紙サイズ判定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3441505B2 (ja) シート給送装置
JP3883386B2 (ja) 給紙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H08211756A (ja) 後段転写コルゲータ
JP3338166B2 (ja) 画像形成装置
KR200151928Y1 (ko) 사무 자동화 기기의 메뉴얼 급지 장치
JP2568682B2 (ja) 画像形成装置
JP4091930B2 (ja) 給紙装置
JPH08245043A (ja) 画像形成装置の内蔵型排紙装置
JP2000318862A (ja) 給紙装置
JPH11227964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609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