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1969B1 - 유리 용기용 마멸 은폐제, 마멸 은폐된 유리용기 및 유리 용기상의 마멸을 은폐시키는 방법 - Google Patents

유리 용기용 마멸 은폐제, 마멸 은폐된 유리용기 및 유리 용기상의 마멸을 은폐시키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1969B1
KR930001969B1 KR1019900005867A KR900005867A KR930001969B1 KR 930001969 B1 KR930001969 B1 KR 930001969B1 KR 1019900005867 A KR1019900005867 A KR 1019900005867A KR 900005867 A KR900005867 A KR 900005867A KR 930001969 B1 KR930001969 B1 KR 9300019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glass container
abrasion
attrition
masking ag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058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6062A (ko
Inventor
아키쯔구 구리타
요시아키 다케자와
노부히로 사이토
다케히사 시마다
히데아키 다케모토
Original Assignee
아사히 비루 가부시키가이샤
히구찌 고오다로
도시바 실리콘 가부시키가이샤
이찌세 와타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사히 비루 가부시키가이샤, 히구찌 고오다로, 도시바 실리콘 가부시키가이샤, 이찌세 와타루 filed Critical 아사히 비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9000160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60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19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196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8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83/04Polysilox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17/00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 C03C17/28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organic material
    • C03C17/30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organic material with 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83/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83/04Polysiloxan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15/00Bottles and jars
    • Y10S215/06Resin-coated bott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3Hollow or container type article [e.g., tube, vase, etc.]
    • Y10T428/131Glass, ceramic, or sintered, fused, fired, or calcined metal oxide or metal carbide containing [e.g., porcelain, brick, cement, etc.]
    • Y10T428/1317Multilayer [continuous layer]
    • Y10T428/1321Polymer or resin containing [i.e., natural or syntheti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551Of polyamidoester [polyurethane, polyisocyanate, polycarbamate, etc.]
    • Y10T428/31609Particulate metal or metal compound-containing
    • Y10T428/31612As silicone, silane or siloxan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Surface Treatment Of Glas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Glass Composition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Silicon Polym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유리 용기용 마멸 은폐제, 마멸 은폐된 유리용기 및 유리 용기상의 마멸을 은폐시키는 방법
[발명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은 유리 용기에 대한 마멸 은폐제, 마멸 은폐된 유기 용기 및 유리 용기상의 마멸을 은폐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맥주, 청량 음료, 우유, 요구르트 및 커피와 같은 음료 상품용 포장재로서 사용하기 위한 유리 용기는 통상적으로 사용후 시장으로부터 수거하여 세척한 다음, 재사용된다. 그러한 재사용기능 유리 용기는 반복해서 사용됨에 따라, 충진 과정 및 후속 운송 과정중에 서로와의 또는 기계 및 장치의 금속성 부품과의 접촉으로 인해 용기의 표면이 마멸되기 때문에 그들의 외관은 점점 더 손상된다. 외관이 손상된 포장재의 품질은 용기내 음료의 상업적인 가치를 떨어뜨린다. 상기한 것은 재사용가능한 유리 용기내 사물의 상태이다.
이러한 상황하에서, 유리 용기의 마멸을 방지하는 마멸 방지제, 마멸을 은폐시키기 의해 유리 용기 표면의 마멸상에 피복되는 은폐제, 및 마멸 방지 효과 및 마멸 은폐 효과를 모두 갖는 마멸 방지 은폐제(이후, 마멸은폐제라 칭한다)가 고안되었고 그러한 유형의 여러 시약이 지금까지 제안되었다. 그러한 마멸 은폐제는 동시에 다음과 같은 몇가지 요건을 만족시켜야 한다:
(1) 마멸 은폐제로부터 수득된 필름은 우수한 마멸 은폐 특성을 가져야 하고;
(2) 필름은 마멸이 생기는 조건하에서 높은 필름 강도를 가져야 하며;
(3) 필름은 우수한 방수성을 가져야 하고;
(4) 필름은 표면 점성이 없어야 하며;
(5) 마멸 은폐제는 쉽게 피복되어야 하고, 상온에서 필요한 특성을 갖는 필름을 형성시킬 수 있어야 하고;
(6) 마멸 은폐제는 무독성이어야 하며;
(7) 필름은 알칼리성 수용액으로 세척함으로써 쉽게 완전히 벗겨져야 하고;
(8) 마멸 은폐제는 유리 용기에 부착된 라벨을 손상시키지 말아야 한다.
상기한 요건들은 하기에서 자세히 설명된다.
물론, 필름은 우선 우수한 마멸 은폐 특성을 가져야 한다. 또한, 필름은 필름 형성후 음료충진 과정 및 포장 조작중에 및 후속 운송 과정중에 기계 및 플라스틱 케이스와의 접촉 때문에 마멸이 생기는 조건을 견디기에 충분히 높은 필름 강도를 갖는 것이 필요하다. 필름의 방수성은 유리 용기를 물에 침지시킴으로써 필름이 긁히거나 벗겨지지 않게해야 하며, 이는 맥주나 청량음료로 채워진 유리 용기는 종종 냉장고 또는 진열장에서 냉각된 후 꺼내어 물 응축시키고, 또한 종종 빙수에 담그기 때문이다. 필름 표면의 점착성이 없는 특성은 취급할 때 촉감이 좋게하고 먼지 등이 접착되어 유리 용기가 불결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필요하다. 피복의 용이함 및 상온에서 필요한 특성을 갖는 필름을 형성시키는 능력은 인화성을 감소시키고, 용매 증기가 무독성인 경우 작동 대기의 안전성이 보장되며, 피복 장치 등이 비싸지 않고, 충진후 내용물의 품질을 변화시키지 않고 피복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필요하다. 또한, 마멸 은폐제 및 그로부터 수득된 필름은 유리 용기가 음료를 함유하기 때문에 무독성이고 냄새가 없어야 한다.
또한, 알칼리성 수용액에 의해 필름이 벗겨질 필요가 있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필름이 유리 용기에 강하게 접착하고 있고, 알칼리에 의해 벗겨질 수 없는 영구적 피복물이라해도, 유리 용기를 반복 사용하기 위해 반복되는 세척 과정때문에 영구적 피복물 자체가 마멸되지 않도록 하기는 어려우며 피복 필름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는 불가능하다. 따라서, 결국 반복 사용을 위해 유리 용기가 세척될 때 필름이 쉽게 벗겨지고 피복처리에 의해 새로운 필름이 형성되는 것이 무엇보다도 합리적이다. 그러한 방법은 또한 외관의 질적 입장에서 우수하다.
마멸 은폐제에 대해 상기한 요건보다 횔씬 더 중요한 것은 유기 용기에 부착된 라벨을 손상시키지 않는것이다. 유리 용기상에 마멸 은폐제를 피복시키는 것은 라벨을 부착시키기 전 또는 후에 수행할 수 있다. 라벨이 마멸 은폐제에 의해 또는 피복 처리에 의해 손상되거나 피복의 결과 손상되는 경우, 그러한 라벨 손상은 유리 용기가 마멸된 때보다 외관의 질을 보다 심하게 손상시킬 뿐아니라 라벨에 인쇄된 디자인 또는 상표의 기능을 손상시킨다.
지금까지 제안된 마멸 은폐제로는, 예를들어, 액체 파라핀, 카노버 왁스와 같은 천연왁스, 동물성 또는 식물성 지방 및 오일, 글리세린 등을 유화시켜 수득된 에멀젼이 포함되며,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지방산 에스테르 또는 지방산 염과 같은 계면활성제와의 혼합물로 사용한다[참조:JP-A-59-102973, JP-A-59-111947 및 JP-A-59-145259(여기서, "JP-A"는 "심사되지 않은 공개된 일본국 특허원"을 가리킨다)].그러나, 액체 파라핀 또는 상온-액체 지방 또는 오일을 사용하는 마멸 은폐제는 그로부터 수득되는 피복필름이 끈적이기 쉽고 필름의 방수성이 너무 저조하여 이를 물에 침지시키면 물 표면에 오일 막이 형성되게되는 큰 결함이 있다. 한편, 융점이 큰 왁스를 사용하는 마멸 은폐제는 마멸을 은폐시키는 효과가 저조하고, 알칼리성 수용액을 사용하여 세척하는 과정에서 유리 용기로부터 벗겨진 피복 필름 조각이 찌끼형태로 세척액의 표면에 뜨게되며 유리용기에 재부착하는 결함이 있다. 또한, 계면활성제를 사용하는 시약은 방수성이 저조하며, 따라서 물에 침지시 필름이 불리하게 쉽게 벗겨진다.
주성분으로서 유기 중합체의 수성 에멀젼 또는 유기 용매 용액인 마멸 은폐제가 또한 제안되었으나, 이러한 시약은 상온에서의 필름 형성 특성 및 알칼리성 수용액에 의해 벗겨지는 특성 모두를 동시에 만족시킬수 없다.
한편, 규소-결합된 메틸, 페닐 및 알콕시 그룹을 갖는 폴리오르가노실록산 및 그에 대한 경화촉매를 포함하는 조성물[참조:JP-A-55-56040] 및 상기 조성물에 계면활성제를 도입함으로써 수득된 조성물[참조:JP-A-56-2344]이 기술되어 있다. 필름 형성 성분으로서 메틸 그룹 및 페닐 그룹을 갖는 폴리오르가노실록산을 사용하는 2가지 조성물은 향상된 마멸 은폐 효과를 보이며, 이는 경화된 필름이 유리와 동일한 굴절물을 갖기 위해 페닐 그룹을 도입한데 주로 기인하여 높아진 굴절율을 갖기 때문이다. 그러나, 페닐그룹의 도입때문에 알칼리성 수용액을 사용하는 세척에 의해 필름이 벗겨지는 특성이 불량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게다가, 안전성 및 위생상의 견지에서 상기한 조성물이 알콜용액, 특히 에탄올 용액의 형태로 존재하기 때문에, 조성물은 라벨 표면상의 수지 피복층을 공격하는 경향이 있어 라벨 손상이 외관의 질을 손상시키는 문제가 생긴다. 또한, 이러한 마멸 은폐제는 에탄올 때문에 13℃정도의 낮은 인화점을 가지므로, 이들은 대기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피복물을 저장시 주의해야 하는 단점을 갖는다.
본 발명자들은 통상적인 마멸 은폐제가 수반하는 결점이 없이 탁월한 특성을 갖는 마멸 은폐제를 수득하기 위해 집중적인 연구를 했다. 그 결과, 이들은 희석용 용매로서 휘발성 폴리디메틸실록산 및 이러한 용매에 가용성이고 탁월한 마멸 은폐 특성을 갖는 폴리오르가노실록산의 사용을 밝혔다. 본 발명은 이러한 발견에 기초하여 완성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마멸 은폐 특성, 필름 강도, 방수성, 안전성, 가공성 및 알칼리성 수용액을 사용한 세척에 의해 제거되는 특성이 탁월하고, 피복과정에서 라벨을 손상시키지 않는 유리 용기에 대한 마멸은 폐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상기한 마멸 은폐제에 의해 마멸이 은폐된 유리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의 목적은 상기한 마멸 은폐제를 사용하여 유기 용기상의 마멸을 은폐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리 용기용 마멸 은폐제는 (A) 하기 일반식(A)의 폴리오르가노실록산 100중량부, 및(B) 일반식(I) 및/또는 (II)의 휘발성 폴리디메틸실록산 100 내지 1,000중량부를 포함하며, 25℃에서 측정된 점도가 2 내지 10,000cSt이다:
Figure kpo00001
상기식에서, R1은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1가 탄화수소 그룹 또는 수소원자이고, X는 각각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하이드록실 그룹 또는 가수분해성 그룹이고, a,b 및 c는 각각 다음 식을 만족하는 수이며, 단 a는 0일 수 있고,
0.8
Figure kpo00002
a+b
Figure kpo00003
2
b/a
Figure kpo00004
10(a≠0인 경우)
0.3≤c
Figure kpo00005
2,
m는 0 내지 9의 정수이고, n는 3 내지 8의 정수이다.
본 발명에 따라 마멸 은폐된 유리 용기는 유리 용기 표면, 또는 그의 표면 및 그것에 부착된 라벨의 표면상에 폴리오르가노실록산의 경화된 생성물인 피복물이 형성된 유리 용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기 용기상에 마멸을 은폐시키는 방법은 유리용기에 라벨을 부착시키는 단계, 라벨이 부착된 유리 용기상에 마멸 은폐제를 피복시키는 단계, 및 피복된 시약을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성분(A)는 하기 일반식의 폴리오르가노실록산이고 기본 중합체를 구성한다:
Figure kpo00006
상기식에서, R1은 각각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는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1가 탄화수소 그룹 또는 수소원자이다.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1가 탄화수소 그룹으로는 메틸, 에틸, 프로필, 부틸, 아밀, 헥실, 옥틸, 데실 및 도데실과 같은 1 내지 12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 그룹, 비닐 및 알릴과 같은 알케닐 그룹, 페닐, 톨릴 및 크실릴과 같은 아릴 그룹, β-페닐에틸 및 β-페닐프로필과 같은 아르알킬 그룹이 포함되고, 또한 γ-글리시독시프로필 그룹, 3,4-에폭시사이클로헥실에틸 그룹, γ-아미노프로필 그룹, N-(β-아미노에틸) -γ-아미노프로필 그룹, γ-메타크릴옥시프로필 그룹, γ-머캅토프로필 그룹, 시아노에틸 그룹, 클로로메틸 그룹, γ-클로로프로필 그룹 및 3,3,3-트리플루오로프로필 그룹이 포함된다. 이들중, 원료 물질을 쉽게 이용할 수 있고 알칼리성 수용액을 사용한 세척에 의해 피복 필름을 제거하기 쉬우며 무독성인 점에서 메틸이 특히 바람직하다. γ-아미노프로필 그룹 또는 N-(β-아미노에틸)-γ-아미노프로필 그룹과 같은 경화제의 기능을 갖는 그룹이 R1으로서 선택되는 경우, 하기하는 바와 같은 경화 촉매는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잇점이 있다.
X로 표시되는 가수분해성 그룹의 예로는 1 내지 4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콕시 그룹, 아세톡시 그룹, 아미노 그룹, 아미녹시 그룹, 캐톡심 그룹, 아미도 그룹, 알케닐옥시 그룹 및 할로겐 원자가 포함된다. X로는 하이드록시 그룹 및 1 내지 4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콕시그룹이 바람직하며, 이는 폴리오르가노실록산의 경화 반응에서 생성된 부산물이 냄새가 보다 적고 폴리오르가노실록산이 우수한 경화 특성을 나타내며 우수한 특성을 갖는 경화된 필름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그룹중 하이드록시 그룹, 메톡시 그룹 및 에톡시 그룹이 특히 바람직하다.
기호 a,b 및 c는 각각 하기 식을 만족하는 수이어야 한다.
0.8
Figure kpo00007
a+b
Figure kpo00008
2
b/a
Figure kpo00009
10(a≠0인 경우)
0.3≤c
Figure kpo00010
2
(a+b)가 0.8이하이면, 폴리오르가노실록산은 너무 부서지기 쉬운 경화된 필름을 제공하는 반면, 2이상이면, 우수한 특성을 갖는 경화된 필름이 수득될 수 없고 필름은 불리하게, 마치 오일 성분이 필름으로부터 흘러나온 것처럼 미끄러운 특징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한 범위를 초과하는 (a+b)의 값은 본 발명의 목적에 적합하지 않다. b/a가 10이하이고 R1이 메틸이외의 그룹 또는 그룹들이면, 그러한 그룹(들)의 함량이 너무 높아 폴리오르가노실록산을 휘발성 폴리디메틸실록산인 성분(B)에 용해시키기 어려우며, 생성되는 필름은 알칼리성 수용액을 사용한 세척에 의해 완전히 제거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b/a가 10보다 큰 경우, 즉 대부분의 규소-결합 그룹이 메틸인 경우, 및 a=0, 즉 모든 규소-결합 그룹이 메틸인 경우, 폴리오르가노실록산은 우수한 특성을 갖는 경화된 필름을 제공한다.
경화 반응에 참여하는 작용성 그룹(들) X의 양을 가리키는 c가 0.3미만이면, 경화 속도는 실제적 사용을 위해 너무 낮다. c가 2 이상이면 생성되는 경화된 필름은 너무 부서지기 쉽다. 따라서 그러한 c값은 본 발명의 목적에 대해 적합하지 않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폴리오르가노실록산(A)는 액체 상태 또는 고체 상태일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성분(B)에 가용성이어야 한다. 그러나 폴리오르가노실록산은 만일 분산성 분자량 분포. 다분산성 분자량 분포 또는 이의 혼합을 가질 수 있다. 보통, 폴리오르가노실록산은 성분(B)와 혼합되고 용해되기 전에, 25℃에서 측정된 10 내지 100,000cSt의 평균 점도를 갖기 위해 미리 제조한다. 그의 평균 점도가 10cSt 미만이면, 생성되는 마멸 은폐제는 일반적으로 유리 용기 표면에 충분한 양으로 가할 수 없고, 저조한 마멸 은폐특성이 결과한다. 한편, 그의 평균 점도가 100,00OcSt를 초과하면, 경화과정중 피복 필름이 점착성을 갖기 쉽고, 마멸 은폐제는 마멸된 부분으로 침투하기에 불충분하거나 높은 점도 때문에 피복성이 불충분하며, 때때로 마멸 은폐 특성이 저조해진다.
그러한 폴리오르가노실록산(A)는 당해 분야의 전문가에게 공지된 방법에 의해 쉽게 수득할 수 있다. 즉, 메틸트리알콕시실란, 디메틸디알콕시실란, 트리메틸알콕시실 란, 테트라알콕시실란, 페닐트리알콕시실란, 디페닐디알콕시실란, 트리페닐알콕시실란, 메틸페닐디알콕시실란 및 메틸디페닐알콕시실란으로부터 적절하게 선택된 하나의 유기 규소 화합물 또는 2개 이상의 유기 규소 화합물의 혼합물, 실란을 상응하는 클로로실란으로 전환시키기 위해 이러한 알콕시실란의 알콕시 그룹을 염소 원자로 치환시킴으로써 수득된 클로로실란, 및 알킬알콕시실란의 알킬 그룹을 비닐 그룹, γ-글리시독시프로필 그룹, 3,4-에폭시사이클로헥실에틸 그룹,γ-아미노프로필 그룹, N-(β-아미노에틸)-γ-아미노프로필 그룹,γ-메타크릴옥시프로필 그룹,γ-머캅토프로필 그룹, 시아노에틸 그룹, 클로로메틸 그룹,γ-클로로프로필 그룹, 3,3,3-트리플루오로프로필 그룹 등으로 치환시킴으로써 수득된 유기규소 화합물을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가수분해시킨 다음, 부분적 축합시킴으로써 폴리오르가노실록산(A)를 수득한다. 이러한 방법에 의해 수득된 다른 특성을 갖는 2개 이상의 폴리오르가노실록산을 성분(A)로서 사용하기 위해 서로 혼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성분(B)는 일반식(I) 및/또는 일반식(II)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휘발성 폴리디메틸실록산이다. 이러한 휘발성 폴리디메틸실록산은 성분(A)를 함유하는 마멸 은폐제에서 용매로서 작용하며 본 발명의 특징인 다른 중요한 성분이다.
Figure kpo00011
Figure kpo00012
상기식에서, m은 0 또는 1 내지 9의 정수이고, n은 3 내지 8의 정수이다.
상기한 휘발성 폴리디메틸실록산은 m이 0 내지 9인 트리메틸실록시-말단화된 직쇄 폴리디메틸실록산 및/또는 n이 3 내지 8인 사이클릭 폴리디메틸실록산이다. 직쇄 폴리디메틸실록산, 사이클릭 폴리디메틸실록산 또는 이의 혼합물중 하나가 성분(A)의 용해도를 고려하여 성분(B)로서 사용된다. 성분 (B)는 m가 0내지 5인 직쇄 폴리디메틸실록산 및/또는 n이 3 내지 7인 사이클릭 폴리디메틸실록산이 바람직하며, n이 4 또는 5인 사이클릭 폴리디메틸실록산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유용한 직쇄 폴리디메틸실록산은 일반적으로 25℃에서 10cSt미만의 점도를 갖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휘발성"은 물질이 측정가능한 증기압을 가짐을 의미한다. 그러한 폴리디메틸실록산은 바람직하게는 99 내지 약 260℃의 비점을 갖는다.
성분(B)는 성분(A)의 희석 및 용해를 통해 마멸 은폐제의 피복 특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알콜형용매에 비해 낮은 표면 장력 및 낮은 휘발 속도 때문에, 저분자량 폴리디메틸실록산인 성분(B)는 생성되는 마멸 은폐제가 미세하고 깊은 마멸 부분에 잘 침투할 수 있게 하고 탁월한 균일성을 보이며, 이로써 탁월한 마멸 은폐 특성을 갖는 필름을 형성시킨다. 그러한 성분(B)의 사용으로 인해, 본 발명의 마멸 은폐제는 비교적 빨리 건조하는 비-용매형 또는 알콜-용매형의 통상적인 마멸 은폐제보다 유리용기상의 미세하고 깊은 마멸을 은폐시키는 특성에 있어 훨씬 더 향상되었다.
성분(B)의 추가의 중요한 특징은 그것이 결코 라벨을 손상시키지 않는 점이다. 알콜형 용매와 다르게 성분(B)는 라벨 도면상의 수지 피복층 또는 인쇄물에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에, 마멸 은폐제는 라벨을 용기에 부착시킨 후 은폐제를 유리용기에 피복시키는 소위 "후-피복"에 의해 적용될 수 있다. 은폐제는 라벨을 부착시키는 단계 전이나 후에 유리 용기에 적용할 수 있다. 그러나, 라벨의 부착에 대한 역 영향을 감소시키고 알칼리성 수용액을 사용하는 세척 과정에서 라벨이 부착된 부분의 피복 필름을 균일하게 벗겨내는 점에서, 라벨을 부착시킨 후에 은폐제를 피복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성분(B)의 사용에 의해 가능한 마멸 은폐제의 후-피복을 행한다.
또한, 성분(B)는 알콜형 용매보다 높은 인화점을 가지며 냄새 및 유독성이 적기 때문에, 피복 과정을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는 또다른 이점이 있다.
마멸 은폐제에 가하는 성분(B)의 양은 성분(A) 100중량부당 100 내지 1,000중량부이다. 성분(B)의 양은 성분(A) 100중량부당 바람직하게는 150 내지 800중량부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200 내지 600중량부이다. 그의 양이 100중량부 미만이며, 유리 용기상에 피복된 성분(A)의 양은 너무 많게 되어 피복물 표면의 균일성 및 피복물의 일정시간에 경화하고 건조하는 특성이 손상되고, "오렌지 필(orange peel)"처럼 벗겨지거나 표면이 끈적거릴 것이 우려된다. 성분(B)의 양이 1000중량부를 초과하면, 유리 용기에 가해지는 성분(A)의 양이 불충분하게 되어 만족할만한 마멸 은폐 효과를 수득하기는 어렵다.
6 내지 16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일정한 종류의 탄화수소, 단쇄 알콜 등을 그러한 사용되는 탄화수소 또는 알콜이 본 발명에 역으로 영향을 주지 않는한 마멸 은폐제와 사용전에 혼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마멸 은폐제는 상기한 성분(A)를 성분(B)에 용해시킴으로써 수득한다. 이와 같이 수득된 은폐제는 25℃에서 측정된 점도가 2 내지 10,000cSt,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00cSt,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0cSt 범위이다. 25℃에서 이의 점도가 2cSt 미만이면, 유리 용기상에 피복된 은폐제의 양이 너무적어 피복을 단지 1회 수행하는 경우 충분한 마멸 은폐 효과를 수득할 수 없다. 한편, 이의 점도가 10,00OcSt를 초과하면 그의 피복된 양은 피복 필름의 두께를 증가시키면서 너무 크게 되며, 그러한 두꺼운 피복필름은 오히려 얇은 경우보다 마멸되기 쉬운 결점이 된다.
본 발명의 마멸 은폐제는 일반적으로 경화 촉매와의 혼합물로 사용되는 것이 필요하다. 단 성분(A), 폴리오르가노실록산에서 R1이 γ-아미노프로필 그룹 또는 N-(β-아미노에틸)-γ-아미노프로필 그룹과 같은 경화 촉매의 기능을 갖는 그룹을 포함하는 경우, 특별하게 경화 촉매를 사용할 필요는 없다.
경화 촉매의 예로는 트리에탄올아민과 같은 유기아민: 철 옥틸레이트 및 아연 옥틸레이트와 같은 카복실산의 금속 염; 틴 디옥틸레이트, 디부틸틴 디라우레이트, 디옥틸틴 디라우레이트, 및 디부틸틴 디옥토에이트와 같은 오르가노틴 화합물; 테트라프로필 티타네이트 및 테트라부틸 티테네이트와 같은 티탄산 에스테르: 및 유기규소의 4급 암모늄 염과 같은 4급 암모늄 염이 포함된다. 이들중, 경화성 및 또한 안정성과 위생상의 입장에서 디부틸틴 디라우레이트, 디옥틸틴 디라우레이트 또는 테트라부틸 티타네이트가 바람직하다.
가하는 경화촉매의 양은 성분(A) 100중량부당 0.01 내지 7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02 내지 5중량부이다. 가하는 이의 양이 0.01중량부 미만이면, 피복물의 경화 및 건조가 실제적인 사용에 대해 너무 느리다. 한편, 경화촉매가 7중량부를 초과하는 양으로 사용되면, 그러한 다량의 촉매가 필름 형성에 추가의 효과를 주기보다는 오히려 마멸 은폐제의 저장 안정성을 손상시키는 결점이 있다.
상기한 성분(A) 및 (B), 그리고 필요에 따라 경화 촉매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마멸 은폐제는 상기한 3가지 성분이외에 여러 보조 성분을 함유할 수 있다. 그러한 보조 성분의 예로는 고급 지방산 에스테르, 계면활성제 및 동물성 또는 식물성 지방과 오일과 같은 필름 경도를 조절하고 알칼리성 수용액을 사용한 세척에 의해 제거되는 특성을 조절하기 위한 가소제 성분; 색소 및 자외선 흡수제와 같은, 가시광이나 자외선 때문에 성분들이 나빠지거나 냄새가 생기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첨가제; 및 염료와 같은 착색제, 균염화제, 증점제 및 무기성 분말을 포함한 기타 첨가제가 포함된다.
유리 용기상에 마멸 은폐제를 피복시키기 위해 브러싱, 분무 피복, 퍼프 피복, 침지 피복, 유동 피복, 이동 피복 등과 같은 통상적인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대부분의 경우 목이 좁은 유리 병인 다량의 유리 용기를 피복시키기 위해, 예를들어, JP-A-58-213654에 기술된 것과 같은 회전형 피복 장치 또는, 예를들어,JP-B-1-59221에 기술된 것과 같은 피복 벨트형 피복 장치가 사용된다(여기에서, "JP-B"는 "심사된 일본국 특허 공보"를 의미한다).
피복 필름의 두께는, 마멸된 부분을 은폐시키는 효과, 적절한 필름 강도 및 알칼리성 수용액을 사용하는 세척 과정에서 벗겨내기 용이함의 입장에서, 일반적으로 0.5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이다. 마멸 은폐제로 피복될 유리 용기의 부분이 물론 마멸이 있는 부분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다량으로 계속 공급되는 유기 용기(유리병)를 처리하고, 그들의 운송-라인 이동을 보장하며 비용을 줄이기 위해, 단지 마멸을 포함하는 부분만을 피복시켜 상기한 두께의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 유리하다.
마멸 은폐제가 피복된 후, 피복된 유리 용기를 상온에서 방치함으로써 약 0.5 내지 5시간내에 표면 점착성이 없는 경화된 필름이 마멸 은폐 피복 필름으로서 쉽게 수득된다. 그러나, 경화 시간을 줄이기 위해 또는 필요에 따라 다른 목적을 위해 피복되는 유리 용기를 내용물의 품질을 손상시키지 않은 낮은 온도에서, 즉 70℃ 주변 또는 보다 낮은 온도에서 잠시동안 가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마멸 은폐제를 사용하여, 유리 용기에 라벨을 부착시킨 후 마멸 은폐제를 가하는 후 피복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라 유리 용기상의 마멸을 은폐시키는 방법은 마멸이 있는 유리 용기에 라벨을 부착시키는 단계, 라벨이 부착된 유리 용기에 본 발명의 마멸 은폐제를 피복시키는 단계 및 피복된 마멸 은폐제를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마멸 은폐제는 그것이 라벨상에 피복된 경우에도 라벨상의 수지 피복층 또는 인쇄물을 결코 손상시키지 않는다. 후 피복의 이점은 상기하였다.
본 발명의 마멸 은폐제는 마멸 은폐 특성, 필름 강도 및 방수성이 탁월한 경화된 필름을 제공하며, 따라서 시장으로부터 수거되고 여러번 재사용되는 반환 가능한 유리 용기의 외관 품질을 향상시킨다. 또한, 본발명의 마멸 은폐제는 안전하고 그로부터 수득되는 경화된 필름은 알칼리성 수용액을 사용한 세척에 의해 제거되는 특성이 탁월하며, 따라서 우수한 가동성이 수득된다. 또한, 마멸 은폐제의 피복물이 라벨을 손상시키지 않기 때문에, 마멸 은폐제가 결코 유리 용기의 외관상 품질 및 라벨상의 디자인 및 상표의 기능을 손상시키지 않는다.
본 발명의 마멸 은폐된 유리 용기는 반복 사용을 위해 사용후 시장으로부터 수거될 것이며, 향상된 외관상 품질을 갖는다. 따라서, 유리 용기의 수명은 연장될 수 있으며, 유리 용기의 연장된 수명은 자원 절약에 기여하며 비-회수성 합성 플라스틱 용기 등에 의해 유발되는 환경 오염 문제를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유리 용기상의 마멸을 은폐시키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유리 용기에 대한 라벨의 부착은, 유리용기에 라벨을 부착시킨 후 마멸 은폐제를 가하는 후 피복 때문에 거의 영향받지 않는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려는 것이 아닌 다음 실시예 및 비교실시예를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될것이며, 여기에서 모든 양은 중량부로 나타낸다.
[합성 실시예 1 내지 3]
폴리오르가노실록산을 R-1, R-2 및 R-3 각각을 다음과 같이 제조한다.
가열 재킷, 물 증류 수용기 및 적하 펀넬을 갖춘 플라스크에 표 1에 나타낸 알콕시실란(들)과 표 l에 나타낸 양의 아세트산을 도입한다. 생성된 혼합물을 교반하면서 서서히 가열하고, 플라스크내 액체의 온도가 80℃에 도달했을때 물을 표 1에 나타낸 총량으로 서서히 적가한다. 생성된 혼합물을 반응에 의해 제거되는 알콜의 환류 온도인 온도(약 78 내지 83℃)에서 4시간 동안 유지시킴으로써 부분적 가수분해 및 축합 반응을 수행한다. 이어서, 증발되고 축합된 알콜을 상압하에서 물 증류 수용기를 사용하여 게거한다. 알콜의 증발 및 축합이 중지되고 액체 반응 혼합물의 온도가 오르기 시작할때, 가열을 중지하고 이어서 생성된 반응혼합물을 상온으로 냉각시킨다. 따라서, 폴리오르가노실록산 R-1, R-2 및 R-3가 수득된다.
R-1, R-2 및 R-3의 점도, 유기성 그룹 함량 및 기타 특성들이 표 1에 나타나 있으며, 여기에서 유기그룹 함량치, 에틸 그룹 함량치 및 X 함량치 모두는 충진된 양에 기초한 계산에 의해 수득되었다.
[표 1]
Figure kpo00013
괄호안의 충진된 양은 물로 나타낸 것이며, Me 그룹은 메틸 그룹을 의미한다.
[합성 실시예 4]
교반기, 가열 재킷, 냉각기 및 적하 펀넬을 갖춘 플라스크에 1780g(10몰)의 메틸트리에톡시실란, 200g의 아세톤 및 염화수소 함량이 50ppm이 되게 하는 양의 염산을 도입한다. 생성되는 혼합물에 234g(13몰)의 물을 혼합물을 교반하면서 적하 펀넬로부터 서서히 적가한다. 이어서 혼합물을 환류 온도(약 68 내지 72℃)에서 3시간동안 유지함으로써 부분적 가수분해 및 축합 반응을 수행한다. 반응 혼합물을 서서히 냉각시키고 30mmHg 및 50℃의 조건하에 감압하에서 휘발성 성분들을 증발제거하여 폴리오르가노실록산(R-4) 660g을 수득한다.
R-4의 점도, 유기 그룹 함량, 메틸 그룹 함량 및 X 함량(이러한 모든 값들은 계산된 값이며, 이후 동일하다)은 표 2에 나타내었다.
[합성 실시예 5]
교반기, 가열 재킷, 냉각기 및 적하 펀넬을 갖춘 플라스크에 952g(7몰)의 메틸트리메톡시실란, 198g의(1몰)의 페닐트리메톡시실란, 516g(4몰)의 디메틸클로로실란 및 155ml의 톨루엔을 도입한다. 생성되는 혼합물에 234g(13몰)의 물을 혼합물을 교반하면서 적하 펀넬로부터 서서히 적가한다. 첨가가 완료된 후, 액체 반응 혼합물의 온도를 약 110℃에서 1시간동안 유지하여 열 환류를 수행한다. 생성되는 액체 반응 혼합물을 서서히 실온에서 냉각시키고, 분리용 펀넬에 옮긴 다음, 방치시켜 유기층과 수성층으로 분리되게 한다. 이어서, 하부층으로서 수성층을 제거하여 폴리오르가노실록산의 톨루엔 용액을 수득한다. 이러한 유기층에 일반적인 염 포화 수용액을 가한다. 생성되는 혼합물을 충분히 진탕시킨 다음, 방치시키고, 생성된 수성층을 분리한다. 물을 가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한 바와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이러한 염색 과정을 2회 반복한 다음, 유기층을 물로 2회 세척한다. 생성되는 유기층을 교반기, 가열용 재킷 및 물 증류 수용기를 갖춘 플라스크에 넣고, 30mmHg의 압력하에서 80에서 3시간 동안 내용물을 가열함으로써 휘발성 성분들을 증발 제거한다. 따라서, 폴리오르가노실록산(R-5) 860g이 수득된다.
R-5의 점도, 유기 그룹 함량 및 기타 특성을 표 2에 나타내었다.
[합성 실시예 6]
교반기, 가열 재킷, 냉각기 및 적하 펀넬을 갖춘 플라스크에 1362g(10몰)의 메틸트리에톡시실란 및 염화수소 함량이 50ppm이 되게 하는 양의 염산을 도입한다. 생성되는 혼합물을 교반하면서 200g(11몰)의 물을 적하 펀넬로부터 서서히 적가한다. 생성되는 혼합물을 반응에 의해 제거되는 알콜의 환류 온도인 온도(약78℃)에서 3시간 동안 유지하여 부분적 가수분해 및 축합 반응을 수행한다. 반응 혼합물을 서서히 냉각시키고 30mmHg 및 50℃의 조건하에 감압하에서 휘발성 성분들을 증발제거하여 폴리오르가노실록산(R-6) 600g을 수득한다.
R-6의 점도, 유기 그룹 함량 및 기타 특성을 표 2에 나타내었다.
[합성 실시예 7]
교반기, 가열 재킷, 냉각기 및 적하 펀넬을 갖춘 플라스크에 1780g(10몰)의 메틸트리에톡시실란, 216g(2몰)의 트리메틸클로로실란 및 2000ml의 톨루엔을 도입한다. 생성되는 혼합물을 교반하면서 1050g(60몰)의 물을 적하 펀넬로부터 서서히 적가한다. 첨가가 완료된 후, 액체 반응 혼합물의 온도를 약 110℃에서 1시간동안 유지하여 열 환류를 수행한다. 생성되는 액체 반응 혼합물을 서서히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분리용 펀넬로 옮긴 다음, 방치하여 유기층과 수성층으로 분리되게 한다. 이어서, 하부층으로서 수성층을 제거하여 폴리오르가노실록산의 톨루엔 용액을 수득한다. 이러한 유기층에 일반적인 염 포화 수용액을 가한다. 생성되는 혼합물을 충분히 진탕시킨 다음, 방치하고, 생성되는 수성층을 분리한다. 물을 가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한 바와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염색 과정을 2회 반복하고, 유기층을 물로 2회 세척한다. 생성된 유기층을 교반기, 가열용 재킷 및 물 증류 수용기를 갖춘 플라스크에 넣고, 30mmHg의 압력하에 80℃에서 3시간동안 내용물을 가열함으로써 휘발성 성분들을 증발 제거하여 폴리오르가노실록산을 수득한다. 이러한 폴리오르가노실록산에 수산화칼륨을 그의 함량이 50ppm이 되게 하는 양으로 한다. 생성되는 폴리오르가노실록산을 추가로 축합시키기 위해 180℃에서 5시간동안 가열한 다음, 에틸렌 클로로히드린을 중화시켜 수지(R-7) 760g을 수득한다.
R-7의 유기 그룹 함량 및 기타 특성을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2]
Figure kpo00014
* : "X 항량(c)"란에서 "가용성"이란 "(B)성분에 대하여 가용성"임을 의미한다. R-5 및 R-7에서, X는 하이드록실 그룹이다.
[실시예 1 내지 9 및 비교 실시예 1 내지 5]
합성 실시예 1 내지 7에서 합성된 폴리오르가노실록산(R-1,R-2,R-3,R-4,R-5,R-6 및 R-7)을 기본 수지 단독으로 또는 혼합물 형태로 사용한다. 각각의 기본 수지에, 여러 성분들을 표 3에 나타낸 양으로 가한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에 따른 마멸 은폐제 A-1 내지 A-9가 수득된다.
비교하기 위해, 표 4에 나타낸 성분들을 표 1에 나타낸 양으로 혼합함으로써 마멸 은폐제 B-1 내지 B-5를 수득한다.
B-l은 점도가 너무 낮은 은폐제이다. B-2는 점도가 너무 높은 것이다. B-3은 규소-결합된 유기 그룹중 메틸 이외의 그룹으로서 페닐 그룹의 함량이 너무 높은 은폐제이다. B-4 및 B-5는 각각 희석제로서 에탄올을 사용하는 것이다.
[테스트할 병을 제조하기 위한 조건]
각각 측면에 마멸이 있는 큰 맥주병(633ml) 각각에 지정된 라벨을 부착시킨다. 각 조성물을 병당 0.5g의 피복량으로 라벨붙인 병에 피복시킨다. 결과하는 병을 25℃,50% RH의 대기중에서 7일 동안 방치하여 평가될 병을 제조한다.
[진동 조건]
병을 플라스틱으로 제조되고 20개의 큰 병(633ml)을 수용하는 맥주병 케이스에 넣는다. 병이든 이러한 케이스를 왕복 운동을 하는 진동기상에 고정시키고 1분당 120회의 진동수로 30분 동안 흔든다(동작 거리 10cm) .
[마멸 은폐 효과]
병의 외관을 진동시키기 전과 후에 눈으로 관찰하여 마멸 은폐 효과를 평가한다.
◎ : 마멸이 만족스럽게 은폐되었고 필름은 우수한 투명도를 갖는다.
○ : 마멸이 부분적으로 드러나지만 필름은 우수한 투명도를 갖는다.
△ : 마멸이 부분적으로 드러나고 필름은 약간 저조한 투명도를 갖는다.
× : 마멸 은폐 효과가 불충분하며, 외관상 거의 개선점이 없다.
[방수성 1]
평가될 병을 20℃의 수욕에 3일 동안 침지시킨 다음, 꺼내어 병의 외관을 눈으로 관찰한다.
◎ : 침지전의 마멸 은폐 효과는 변화하지 않는다.
○ : 마멸 은폐 효과가 ◎로부터 ○로, 또는 ○로부터 △로 작아진다.
× : 마멸 은폐 효과가 ◎ 또는 ○로부터 ×로 작아진다.
[방수성 2]
방수성 1에서 침지 테스트 후, 수욕의 물 표면을 오일막에 대해 관찰한다.
◎ : 수욕 표면상에서 오일 막은 관찰되지 않는다.
○ : 약간의 오일막이 관찰된다.
× : 상당한 오일막이 관찰된다.
[젖은 병에 대한 마멸 은폐 효과]
"테스트할 병을 제조하기 위한 조건"하에 기술된 것과 동일한 마멸이 있는 병을 5℃의 물로 채운 다음, 30℃, 70% RH의 대기중에서 5분 동안 방치함으로써 수증기가 물로 응축되어 병 표면에 붙게한다. 결과하는 젖은 병을 건조된 병에 대한 것과 동일한 피복 처리를 하고 마찬가지로 마멸 은폐 효과를 평가한다.
[라벨 손상도]
병에 부착된 통상적으로 구입할 수 있는 알루미늄박 라벨에 대해 진동시키기 전과 후에 외관을 평가한다.
◎ : 피복 처리를 하지 않고 진동시키지 않은 라벨과 동일한 외관을 보유한다.
○ : 라벨이 마멸되지 않았으나 라벨의 일부가 더러워졌다.
× : 인쇄물이 마멸되었고 라벨의 전 표면이 더러워졌다.
[알칼리 세척 적합성]
피복된 병을 5% 가성 소다 수용액을 사용하여 60℃에서 10분동안 세척하고, 필름 제거 정도를 평가한다.
◎ : 병의 피복 필름이 완전히 제거된다.
○ : 한정된 부분의 필름이 원상 그대로 남아있으나 5분 추가 세척에 의해 완전히 제거된다.
△ : 일부 필름이 원상 그대로 남아있으나, 10분 추가 세척에 의해 완전히 제거된다.
× : 보다 큰 부분의 필름이 원상 그대로 남아있고 10분 추가로 세척하여도 완전히 제거할 수 없다.
[표 3]
Figure kpo00015
* 아민 : γ-아미노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표 4]
Figure kpo00016
Figure kpo00017
표 3 및 4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마멸 은폐제 A-1 내지 A-9는 모두 마멸 은폐 특성, 방수성, 라벨을 손상시키지 않는 특성, 필름 내구성, 알칼리성 수용액을 사용하는 세척에 대한 적합성 및 기타 특성 각각에 대하여 우수한 결과를 제공한다.
대조적으로, 비교 실시예의 모든 마멸 은폐제는 다음과 같은 결함이 있다. B-1은 점도가 너무 낮기 때문에 저조한 마멸 은폐 특성을 갖는다. B-2는 점도가 너무 크기 때문에 미세하거나 깊은 마멸을 은폐시키는 특성이 약간 저조하며, 또한 피복 필름이 두껍고 평탄성이 저조하기 때문에 필름 내구성이 저조하고 따라서 진동시킨 후의 마멸 은폐 특성이 저조한 결점이 있다. 큰 두께 때문에, B-2의 필름은 또한 알칼리성수용액을 사용하는 세척에 의해 벗겨지는 특성이 저조하다. B-3의 필름은 알칼리성 수용액을 사용하는 세척에 의해 제거되는 특성이 저조하며, 이는 B-3에 대한 기본 수지가 페닐 그룹을 비교적 다량으로 함유하기 때문이다. B-4는 희석제로서 에탄올을 사용하기 때문에 라벨을 손상시킨다. 희석제로서 에탄올을 사용하는 B-5 또한 라벨을 손상시킨다. 또한, B-5가 고-점도 기본 수지를 사용한다해도 약간 저조한 마멸은폐 효과를 보인다. 이에 대한 이유는 그러한 기본 수지와 휘발율이 큰 에탄올의 혼합으로 B-5의 피복특성이 저조해지며, 따라서 기본 수지가 마멸부분으로 충분히 침투될 수 없기 때문일 수 있다.
상기한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마멸 은폐제 및 마멸을 은폐시키는 방법이 마멸을 은폐시키는 효과, 라벨을 손상시키지 않는 효과 및 기타 특성에 대하여 우수한 결과를 제공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본 발명은 특정 양태를 참조하여 상세히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내에서 여러 변형이 행해질 수 있음이 본 분야의 전문가에게 명백할 것이다.

Claims (13)

  1. (A)일반식 (A)의 폴리오르가노실록산 100중량부, 및 (B) 일반식(I) 및/또는 (II)의 휘발성 폴리디메틸실록산 100 내지 1000 중량부를 포함하며, 25℃에서 측정된 점도가 2 내지 10,000cSt인 유리용기용 마멸 은폐제.
    Figure kpo00018
    상기식에서, R1은 1 내지 12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 그룹, 비닐 그룹, 페닐 그룹,β-페닐에틸 그룹, β-페닐프로필 그룹, γ-글리시독시프로필 그룹, 3,4-에폭시사이클로헥실에틸 그룹, γ-아미도프로필 그룹, N-(β-아미노에틸)-γ-아이노프로필 그룹,γ-메타크릴옥시프로필 그룹,γ-머캅토프로필 그룹, 시아노에틸 그룹, 클로로메틸 그룹,γ-클로로프로필 그룹, 3,3,3-트리플루오로프로필 그룹, 수소 원자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고, X는 하이드록실 그룹, 1 내지 4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콕시 그룹, 아세톡시 그룹, 아미노 그룹, 아미녹시 그룹, 케톡심 그룹, 아미노 그룹, 알케닐옥시 그룹, 할로겐 원자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고, a,b 및 c는 각각 0.8
    Figure kpo00019
    a+b
    Figure kpo00020
    2, b/a
    Figure kpo00021
    10⒯≠0인 경우), 및 0.3≤c
    Figure kpo00022
    2의 식을 만족하는 수이고, 단 a는 0일 수 있으며, m는 0 내지 9의 정수이고, n는 3 내지 8의 정수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R1이 γ-아미노프로필 그룹 및 N-(β-아미노에틸)-γ-아미노프로필 그룹으로 구성된 그룹중에서 선택된 성분인 유리용기용 마멸 은폐제.
  3. 제1항에 있어서, R1이 메틸 그룹인 유리용기용 마멸 은폐제.
  4. 제1항에 있어서, X가 하이드록실 그룹 및 1 내지 4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콕시 그룹으르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된 성분인 유리용기용 마멸 은폐제.
  5. 제1항에 있어서, 일반식(I)에서 m이 0 내지 5의 정수이고, 일반식(II)에서 n이 3 내지 7의 정수인 유리용기용 마멸 은폐제.
  6. 제1항에 있어서, 성분(A) 100중량부당 0.01 내지 7중량부의 경화촉매를 추가로 포함하는 유리용기용 마멸 은폐제.
  7. 제6항에 있어서, 경화 촉매가 유기 아민, 카복실산의 금속염, 오르가노틴 화합물, 티탄산 에스테르,4급 암모늄 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유리용기용 마멸 은폐제.
  8. 일반식(A)의 폴리오르가노실록산의 경화된 생성물인 피복물이 유리용기의 표면에 피복됨을 특징으로하는 마멸 은폐된 유리용기.
    Figure kpo00023
    상기식에서, R1은 1 내지 12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 그룹, 비닐 그룹, 페닐 그룹,β-페닐에틸 그룹, β-페닐프로필 그룹, γ-글리시독시프로필 그룹, 3,4-에폭시사이클로헥실에틸 그룹, γ-아미노프로필 그룹, N-(β-아미노에틸)-γ-아미노프로필 그룹,γ-메타크릴옥시프로필 그룹, γ-머캅토프로필 그룹, 시아노에틸 그룹, 클로로메틸 그룹,γ-클로로프로필 그룹, 3,3,3-트리플루오로프로필 그룹, 수소 원자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고, X는 하이드록실 그룹, 1 내지 4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콕시 그룹, 아세톡시 그룹, 케톡심 그룹, 아미노 그룹, 아미녹시 그룹, 아미도 그룹, 알케닐옥시 그룹, 할로겐 원자 또는 이들의혼합물이고, a,b 및 c는 각각 0.8
    Figure kpo00024
    a+b
    Figure kpo00025
    2, b/a
    Figure kpo00026
    10⒯≠0인 경우), 및 0.3≤c
    Figure kpo00027
    2의 식을 만족하는 수이고, 단 a는 0일 수 있다.
  9. 제8항에 있어서, 유리용기가 병인 마멸 은폐된 유리용기.
  10. 일반식(A)의 폴리오르가노실록산의 경화된 생성물인 피복물이 라벨 부착 부분 이외의 유리용기의 표면 및 유리용기에 부착된 라벨의 표면상에 피복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용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유리용기가 병인 마멸 은폐된 유리용기.
  12. 마멸된 부분이 있는 유리용기에 라벨을 부착시키고, 일반식(A)의 폴리오르가노실록산 100중량부, 및 일반식(I) 및/또는 (II)의 휘발성 폴리디메틸실록산 100 내지 1,000중량부를 포함하며, 25℃에서 측정된 점도가 2 내지 10,000cSt인 마멸 은폐제를 라벨이 부착된 용기상에 피복시킨 후, 피복된 마멸 은폐제를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여, 유리용기상의 마멸을 은폐시키는 방법.
    Figure kpo00028
    상기식에서, R1은 1 내지 12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 그룹, 비닐 그룹, 페닐 그룹,β-페닐에틸 그룹, β-페닐프로필 그룹, γ-글리시독시프로필 그룹, 3,4-에폭시사이클로헥실에틸 그룹, γ-아미노프로필 그룹,N-(β-아미노에틸)-γ-아미노프로필 그룹,γ-메타크릴옥시프로필 그룹, γ-머캅토프로필 그룹, 시아노에틸 그룹, 클로로메틸 그룹,γ-클로로프로필 그룹, 3,3,3-트리플루오로프로필 그룹, 수소 원자또는 이들의 혼합물이고, X는 하이드록실 그룹, 1 내지 4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콕시 그룹, 아세톡시 그룹, 아미노 그룹, 아미녹시 그룹, 케톡심 그룹, 아미도 그룹, 알케닐옥시 그룹, 할로겐 원자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고, a,b 및 c는 각각 0.8
    Figure kpo00029
    a+b
    Figure kpo00030
    2, b/a
    Figure kpo00031
    10(a中0인 경우), 및 0.3≤c
    Figure kpo00032
    2의 식을 만족하는 수이고, 단 a는 0일 수 있으며, m는 0 내지 9의 정수이고, n는 3 내지 8의 정수이다.
  13. 제12항에 있어서, 마멸 은폐제의 경화 단계를 상온에서 수행하여, 유리용기상의 마멸을 은폐시키는 방법.
KR1019900005867A 1989-04-27 1990-04-26 유리 용기용 마멸 은폐제, 마멸 은폐된 유리용기 및 유리 용기상의 마멸을 은폐시키는 방법 KR9300019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9-108873 1989-04-27
JP10887389 1989-04-27
JP4838990A JPH0745332B2 (ja) 1989-04-27 1990-02-28 ガラス容器の擦り傷遮蔽剤、擦り傷が遮蔽されたガラス容器およびガラス容器の擦り傷遮蔽方法
JP90-48389 1990-02-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6062A KR900016062A (ko) 1990-11-12
KR930001969B1 true KR930001969B1 (ko) 1993-03-20

Family

ID=263886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05867A KR930001969B1 (ko) 1989-04-27 1990-04-26 유리 용기용 마멸 은폐제, 마멸 은폐된 유리용기 및 유리 용기상의 마멸을 은폐시키는 방법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4985286A (ko)
EP (1) EP0395077B1 (ko)
JP (1) JPH0745332B2 (ko)
KR (1) KR930001969B1 (ko)
AT (1) ATE99652T1 (ko)
AU (1) AU612930B2 (ko)
CA (1) CA2015076C (ko)
DE (1) DE69005690T2 (ko)
DK (1) DK0395077T3 (ko)
ES (1) ES2062158T3 (ko)
NZ (1) NZ233430A (ko)
PH (1) PH2638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15622A (en) * 1990-04-18 1993-06-01 Krones Ag Hermann Kronseder Maschinenfabrik Labeling machine for bottles or the like
US5095086A (en) * 1990-08-08 1992-03-10 General Electric Company Scuff-masking coatings for glass articles
US5567235A (en) * 1990-08-30 1996-10-22 Elf Atochem North America, Inc. Method for strengthening a brittle oxide substrate, silane-based compositions, and a polymerized cross-linked siloxane coated brittle oxide substrate
US6013333A (en) * 1990-08-30 2000-01-11 Elf Atochem North America, Inc. Method for strengthening a brittle oxide substrate
US5232783A (en) * 1991-09-10 1993-08-03 General Electric Company Abrasion resistant coatings for glass articles
JP3100727B2 (ja) * 1992-01-23 2000-10-23 株式会社大協精工 変性ポリシロキサン組成物及び該組成物を被覆した衛生ゴム製品
US5227200A (en) * 1992-03-09 1993-07-13 Dow Corning Corporation Silicone containing automotive vinyl and rubber protectant
US5417744A (en) * 1993-12-29 1995-05-23 Ameron, Inc. Optically clear hydrophobic coating composition
DE4421724A1 (de) * 1994-06-21 1996-01-11 Goldschmidt Ag Th Überzugsmittel für Glasoberflächen
BE1008724A3 (nl) * 1994-09-27 1996-07-02 Couttenier Andre Samenstelling voor het beschermen en waterafstotend maken van een siliciumhoudend substraat.
ES2162450T3 (es) 1997-04-04 2001-12-16 Degussa Procedimiento para la fabricacion de recipientes de vidrio huecos con superficie sellada y recipientes de vidrio huecos.
US6096394A (en) * 1998-03-04 2000-08-01 Sivento Chemie Rheinfelden Gmbh Process for manufacturing surface-sealed hollow glass containers
DE19839682A1 (de) 1998-09-01 2000-03-02 Degussa Verfahren zur Herstellung oberflächenversiegelter Hohlglasbehälter mit hoher Gebrauchsfestigkeit
US6504582B1 (en) 1998-10-02 2003-01-07 3M Innovative Properties Co Scratch resistant display and method of making same using homeotrophic liquid crystal silanes
US6406758B1 (en) 2000-07-25 2002-06-1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ethod of applying a protective coating to a touch screen panel
US20020161105A1 (en) * 2001-02-14 2002-10-31 Rodgers James W. Silicone emulsion containing dressing
US6488981B1 (en) 2001-06-20 2002-12-03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ethod of manufacturing a touch screen panel
US6606837B2 (en) * 2001-08-28 2003-08-19 Cardinal Ig Methods and devices for simultaneous application of end sealant and sash sealant
US6793971B2 (en) 2001-12-03 2004-09-21 Cardinal Ig Company Methods and devices for manufacturing insulating glass units
JP4539815B2 (ja) * 2003-02-19 2010-09-08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ガラス容器用擦り傷遮蔽剤及びガラス容器
JP2006298987A (ja) * 2005-04-18 2006-11-02 Daisan Kogyo Kk ガラス容器用擦り傷遮蔽剤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て被覆したガラス容器
ES2515093T3 (es) * 2005-06-10 2014-10-29 Arkema Inc. Revestimiento de enmascarado de rayado para recipientes de vidrio
JP2010525295A (ja) * 2007-04-26 2010-07-22 ザ・コカ−コーラ・カンパニー 容器のコーティングを乾燥および硬化させ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ならびにそれらから製造される容器
US9918898B2 (en) * 2012-02-28 2018-03-20 Corning Incorporated Glass articles with low-friction coatings
US9499434B1 (en) * 2012-08-31 2016-11-22 Owens-Brockway Glass Container Inc. Strengthening glass containers
US9090503B2 (en) 2012-12-28 2015-07-28 Owens-Brockway Glass Container Inc. Coatings for enhancing glass strength
US10626047B2 (en) 2016-10-18 2020-04-21 Owens-Brockway Glass Container Inc. Glass container coating process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00669A (en) * 1977-10-27 1985-02-19 Swedlow, Inc. Transparent, abrasion resistant coating compositions
US4702773B1 (en) * 1977-10-27 1995-05-16 Pilkington Aerospace Inc Transparent abrasion resistant coating compositions
JPS5717863A (en) * 1980-07-08 1982-01-29 Komatsu Ltd Real car speed detector
US4420578A (en) * 1980-11-10 1983-12-13 Diversey Corporation Surface treatment of glass containers
GB2092608B (en) * 1981-01-28 1985-02-27 Gen Electric Water-based resin emulsions
JPS58167449A (ja) * 1982-03-30 1983-10-03 Toshiba Silicone Co Ltd ガラス製瓶体の擦り傷遮蔽材
US4467068A (en) * 1983-05-18 1984-08-21 Toshiba Silicone Co., Ltd. Composition for concealing graze marks on glass
EP0167471B1 (en) * 1984-05-30 1992-01-22 The University Of Melbourne Electrotactile vocoder
US4547397A (en) * 1984-11-15 1985-10-15 Owens-Illinois, Inc. Tintable scratch resistant coating
US4788001A (en) * 1985-04-02 1988-11-29 Dow Corning Corporation Oil-in-water emulsion
US4874547A (en) * 1985-04-02 1989-10-17 Dow Corning Corporation Bi-modal silicone emulsions, silicone emulsification process and emulsions therefrom
GB8523166D0 (en) * 1985-09-19 1985-10-23 Yarsley Technical Centre Ltd Scratch resistant coatings
US4780245A (en) * 1986-03-19 1988-10-25 Basf Corporation Solubilization of dimethyl polysiloxanes
DE3613384C1 (de) * 1986-04-21 1988-01-07 Wacker Chemie Gmbh Waessrige Emulsionen von Organopolysiloxan und Verwendung solcher Emulsionen
JPS63117932A (ja) * 1986-11-06 1988-05-21 アサヒビール株式会社 ガラス製瓶体のすり傷遮へい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3131548A (ja) 1991-06-05
DE69005690T2 (de) 1994-06-23
EP0395077A1 (en) 1990-10-31
US4985286A (en) 1991-01-15
NZ233430A (en) 1991-11-26
ATE99652T1 (de) 1994-01-15
CA2015076A1 (en) 1990-10-27
AU612930B2 (en) 1991-07-18
CA2015076C (en) 1995-07-25
KR900016062A (ko) 1990-11-12
DK0395077T3 (da) 1994-02-21
JPH0745332B2 (ja) 1995-05-17
DE69005690D1 (de) 1994-02-17
AU5398090A (en) 1990-11-01
ES2062158T3 (es) 1994-12-16
EP0395077B1 (en) 1994-01-05
PH26381A (en) 1992-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1969B1 (ko) 유리 용기용 마멸 은폐제, 마멸 은폐된 유리용기 및 유리 용기상의 마멸을 은폐시키는 방법
US4273834A (en) Masking of abrasion injury on glass articles
JPH11171593A (ja) ガラス容器用擦り傷遮蔽剤及びガラス容器
JP3190266B2 (ja) ガラス容器用コーティング剤組成物及びコーティング剤が塗布されたガラス容器
JP4258627B2 (ja) ガラス容器の擦り傷遮蔽剤用水系被覆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の硬化被膜が形成された物品
JP2849051B2 (ja) 防汚コーティング剤
JP2006298987A (ja) ガラス容器用擦り傷遮蔽剤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て被覆したガラス容器
JP4539815B2 (ja) ガラス容器用擦り傷遮蔽剤及びガラス容器
JPH05200895A (ja) プラスチック部品の擦り傷補修方法
JP3290406B2 (ja) ガラス容器コーティング用エマルジョン組成物およびエマルジョン組成物が塗布されたガラス容器
JP4407867B2 (ja) ガラス容器用コーティング剤組成物およびコーティング剤が塗布されたガラス容器
JP2819162B2 (ja) ガラス容器のかすれ傷塗布剤
JPH1060376A (ja) コーティング剤組成物
JP3255468B2 (ja) プラスチック製容器の表面処理剤および表面被覆されたプラスチック製容器
JP2652169B2 (ja) ガラス容器のかすれ傷塗布剤
JPH04231353A (ja) ガラス物品のスカフィング−マスク用改良コ―ティング
JPH0455343A (ja) ガラス容器用すり傷遮蔽剤
JPS5932515B2 (ja) ウレタン樹脂用離型剤
JP3898324B2 (ja) オルガノシロキサン系洗浄剤および洗浄方法
JP2694090B2 (ja) 容器の擦り傷遮蔽剤および擦り傷が遮蔽された容器
JP3992209B2 (ja) シリコーン離型潤滑油
JP3281317B2 (ja) ガラス容器の擦り傷遮蔽剤および擦り傷遮蔽剤が塗布されたガラス容器
JPS63117932A (ja) ガラス製瓶体のすり傷遮へい剤
JP3915903B2 (ja) ガラス容器用擦り傷遮蔽剤及びガラス容器
JPH0647483B2 (ja) ガラス容器用擦り傷遮蔽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319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