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0833B1 - 시이트 리클라이닝 장치 - Google Patents

시이트 리클라이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0833B1
KR930000833B1 KR1019890015748A KR890015748A KR930000833B1 KR 930000833 B1 KR930000833 B1 KR 930000833B1 KR 1019890015748 A KR1019890015748 A KR 1019890015748A KR 890015748 A KR890015748 A KR 890015748A KR 930000833 B1 KR930000833 B1 KR 9300008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reclining
base frame
sheet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157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6176A (ko
Inventor
이사오 이께가야
타다시 마쯔모또
구니히사 스기모또
Original Assignee
후지기꼬오 가부시끼가이샤
다까따 이사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988141181U external-priority patent/JPH0719303Y2/ja
Priority claimed from JP1007089U external-priority patent/JPH0719305Y2/ja
Application filed by 후지기꼬오 가부시끼가이샤, 다까따 이사무 filed Critical 후지기꼬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000061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61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08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08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231Worm and worm gear articul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213Gear wheel driven mechan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246Electric motors therefor
    • B60N2/02253Electric motor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between the electric motor and the seat or seat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시이트 리클라이닝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리클라이닝 장치가 적용되는 차량용 시이트의 사시도.
제2도는 시이트의 외부에서 바라본 시이트 리클라이닝 장치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하는 측면도.
제3도는 제2도의 Ⅲ-Ⅲ에 따른 단면도.
제4도는 시이트의 내부에서 바라본 시이트 리클라이닝 장치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하는 측면도.
제5도는 제4도의 선 Ⅴ-Ⅴ에 따른 단면도.
제6도는 제4도의 선 Ⅵ-Ⅵ에 따른 단면도.
제7도는 충격흡수부재의 확대사시도.
제8도는 리클라이닝 기어에 형성된 슬롯에 충격흡수 부재를 부착한 상태를 설명하는 확대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S : 시이트 Sb : 사이트 백
Sc : 시이트 쿠션 1A,1B :리클라이닝 장치
10U : 상부베이스프레임 10L : 하부베이스프레임
11 : 브래킷 20 : 리클라이닝 아암
30 : 타우멜 기구 31 : 내측기어
32 : 외측기어 33 : 편심축
36 : 호울더 플레이트 40 : 모터 유니트
41 : 모터 42 : 감속기어 기구
44 : 출력기어 50 : 리클라이닝 기어
50a : 중심슬롯 70 : 워엄기어
71 : 워엄휘일 71a : 위엄휘일 축
72 : 작은 기어 74 : 큰 기어
76 : 모터 출력기어 100 : 충격흡수부재
100a : 디스크 부 100b : 돌출부
본 발명은 자동차 시이트용 시이트 리클라이닝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타우멜 기구(Taumel mechanism)(유성기어식 각도 조절기구)를 구비한 모터구동식 리클라이닝 장치에 관한 것이다.
파워 시이트로 불리우는 모터구동식의 시이트 리클라이닝 장치에서는, 타우멜 기구 또는 유성기어식 각도 조절 기구를 사용함으로써 큰 감속비를 얻을 수 있다. 이 기구는 미합중국 특허출운번호 제 3,401,979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참고로써 본 발명에 통합된다. 종래의 시이트 리클라이닝 장치는 통상 시이트 쿠션의 측부에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베이스 프레임과 ; 시이트 백의 측부에 고정된 타우멜 기구를 개재하여 피버트 지지된 리클라이닝 아암과 ; 타우멜 기구를 통하여 리클라이닝 아암을 구동시키기 위하여 베이스프레임에 장착되는 모터 유니트와 ; 타우멜 기구의 회전축의 일단에 고정되며 모터 유니트의 감속기어에 설치되는 피니언을 통하여 모터 유니트에 의해 구동되는 리클라이닝 기어와로 구성된다.
종래의 시이트 리클라이닝 장치에서, 리클라이닝 아암, 리클라이닝 기어, 타우멜 기구등은 일본국의 실원소 제 56-103253호, 제 60-48846호 및 제 60-163058호 (공개되었으나 미심사청구됨)(고까이)에 개시된 바와 같이 모터 유니트와 함께 베이스 프레임의 외측부에 배치되거나, 일본국 실원소 제 58-185947호 및 제 59-115948호 (공개되었으나 미심사청구됨)(고까이)에 개시된 바와 같이 모터 유니트와 함께 리클라이닝 아암의 내측부에 배치된다. 따라서, 리클라이닝 장치를 구비한 시이트의 폭은 크게되며, 더욱이 외형의 향상을 위하여 차량용 시이트를 완전히 트리밍(trimmimg)하는 것이 곤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소형의 차에 대하여는 가변 파워장치(모터구동식)가 요구되며, 더구나 차량도어와 시이트 측면사이의 공간이 너무나 협소하기 때문에 객실내부에 매거진 랙, 도어아암 래스트, 윈도우 파워장치를 설치하기 곤란ㅎ나 또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가능한 한 최소의 폭을 가지는 시이트 리클라이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주 목적이다.
본 발명에 따라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시이트 쿠션의 측면에 부착된 베이스 프레임(100,19L)과 ; 시이트 백의 측면에 고정되며 타우멜 기구(30)를 개재하여 베이스 프레임에 의하여 피버트 지지된 리클라이닝 아암(20)과 ; 리클라이닝 아암을 편심 회전시키기 위한 리클라이닝 기어(50)와 ; 리클라이닝 기어를 구동시키기 위한 모터 출력기어(44,76)를 가진 모터 유니트(40)를 구비하고 있는 시이트 리클라이닝 장치에 있어서, 상기 모터 유니트(40)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10L)내측면 및 시이트 쿠션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모터 출력기어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반대편 외측면에 배치된다.
또한, 타우멜 기구의 출력기어(32)는 베이스 프레임(10U)에 형성되고, 타우멜 기어의 내측기어(31)는 외측기어와 맞물려 리클라이닝 아암(20)에 형성되며, 리클라이닝 아암(20)은 베이스 프레임(10U)의 내측면에 배치되고 리클라이닝 기어(50 )는 베이스 프레임(10U)의 반대편 외측면에 배치된다.
또한, 베이스 프레임(10U)의 외측면에 배치된 모터 출력기어(44,76)는 베이스 프레임(10U)에 고정도니 브래킷(11)에 의하여 피복되며, 베이스 프레임(10U)의 외측면에 배치된 리클라이닝 기어(50)는 호울더 플레이트(36)에 의하여 피복된다.
모터 유니트가 그 내부에 감속기어기구를 포함하고 있지 않을때, 시이트 리클라이닝 장치는 상기 모터유니트(40)의 출력축(70a)과 맞물려 있는 워엄기어(70)와, 상기 워엄기어와 맞물리는 워엄휘일(71)과, 상기 워엄휘일과 동심으로 고정되어 있는 작은 기어(72)와, 상기 작은 기어와 맞물리는 큰 기어(74)와를 구비하는 감속기어기구를 더 구성하고 있다. 상기 모터 출력기어(76)는 상기 리클라이닝 기어(50)와 맞물리는 상기 큰 기어와 동심으로 고정어되며 상기 워엄기어, 워엄휘일, 작은 기어 및 큰 기어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내측면에 배열되고 상기 모터 출력기어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반대편 외측면에 배열된다.
또한, 시이트 백이 최전방 위치 스토퍼와 접촉하게 될 때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기 위하여 충격흡수부재(100)가 리클라이닝기어(50)와 타우멜 기구(30)의 편심축 (33) 사이에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시이트 리클라이닝 장치에 있어서, 장치의 폭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여러가지의 주요부품들은 베이스 프레임의 양측면에 효과적으로 배열되기 때문에, 장치요소들을 시이트 쿠션과 시이트 백내부에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시이트 리클라이닝 장치는 소형의 대중차에도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프레임의 외측면에 배열되는 기어들은 피복되기 때문에, 기어들에 의한 손상으로부터 시이트 쿠션패드를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충격흡수부재는 충격을 발생시키는 리클라이닝 아암 가까이에 배치되기 때문에, 시이트 백이 최전방 및 최후방 스토퍼에 위치할 때 발생된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도면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시이트(S)는 시이트 쿠션(Sc)과 시이트 백(Sb)으로 구성되며 본 박명에 따른 시이트 리클라이닝 장치(1)는 시이트(S)의 양측 및 내부에 배치된다. 이하 모터구동측(제3도에서 좌측부)상의 시이트 리클라이닝 장치(1A)에 대하여 주로 후술한다.
시이트 리클라이닝 장치(1A)는 시이트 쿠션(Sc)의 측부에 고정되는 쿠션 프레임(도시생략)에 모두 고정된 한쌍의 상부 및 하부 베이스 프레임(10U 및 10L)과, 시이트 백(Sb)의 측부에 고정되며 타우멜 기구(30)(유성 기어식 각도 조절기구)를 통하여 상부 베이스 프레임(10U)에 피버트 지지되는 리클라이닝 아암(20)과, 타우멜 기구(30)를 구동시키기 위하여 모터(41) 및 감속기어(42)를 주 구성요소로 하며 하부 베이스 프레임상에 장착되는 모터 유니트(40)와, 타우멜 기구의 편심축에 고정되며 모터 유니트(40)의 모터(41)에 의하여 회전되는 리클라이닝 기어(50)와로 구성된다.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된 제1실시예에서 모터 유니트(40)는 모터(41)와 모터 출력축(43)에 연결되는 감속기어기구(42)와 감속기어기구(42)의 출력축(44a)과 일체로 형성되는 피니언 기어(44)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아이들러 기어축(45a)에 고정되는 아이들러기어(45)는 피니언기어(44)와 리클라이닝 기어(50) 사이에 개재된다.
제3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모터(41) 및 감속기어기구(42)는 하부 베이스 프레임(10L)의 내측면에 배치된다. 또한 감속기어기구(42)의 출력축(44a)의 외단부는 나사로 하부 베이스 프레임(10L)에 고정된 브래킷(11)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또한 아이들러 기어(45)의 아이들러 기어축은 하부 베이스 프레임 (10L)과 상기 브래킷(11)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타우멜 기구(30)는 내측(원주상 외측) 기어(31)와, 외측(원주상 내측) 개어 (32)와 편심축(33)으로 구성되어 있다. 내측기어(31)는 정밀 프레스 가공등으로 엠보스 성형되어 리클라이닝 아암(20)에 형성된다. 외측기어(32)도 또한 정밀 프레스 가공등으로 엠보스 성형되어 상부 베이스 프레임(10L)에 형성되어 상부 베이스 프레임 (10L)에 형성된다. 외측기어(32)의 잇수는 내측기어(31)의 중심에 대하여 편심 회전할때, 두 기어(31 및 32) 사이의 맞물림 위치는 어느 방향으로나 이 맞물림으로 회전하며, 따라서 내측기어(31)를 가진 리클라이닝 아암(20)은 외측기어(32)에대하여 천천히 선회한다.
편심축(33)은 제1동심축부(33a), 제2동심축부(33b), 외측으로 테이퍼진 편심축부(33c), 내측으로 테이퍼진 편심축부(33d), 사각단부(33e)로 형성된다. 대 직경의 편심축부(33a)는 베어링(34)를 개재하여 외측기어(32)의 중심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소 직경의 편심측부(33b)는 리클라이닝 기어(50)의 중심에 고정된다. 외측으로 테이퍼진 편심축부(33c)는 호울더 플레이트(36)에 고정된 베어링(35)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내측으로 테이퍼진 편심축부(33d)는 리클라이닝 아암(20)의 내측기어(31)의 중심에 고정된다. 리클라이닝(20)에 고정된 호울더 플레이트(36)는 상부 베이스 플레임(10U), 리클라이닝 기어(50), 편심축(33)을 피복한다.
또한, 두개의 좌우측 편심축(33)은 커넥팅 로드(35)의 중공부 내부로 편심축 (33)의 사각 단부(33e)를 가압 끼워 맞춤함으로써 커넥팅로드(35)를 통하여 서로 연결된다.
제3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우측 시이트 리클라이닝 장치(1B)는 기본적으로 좌측 시이트 리클라이닝 장치(1A)의 구조와 동일하다. 그러나, 편심축(33)은 모터 유니트(40)[모터(41) 및 감속기어(42)], 피니언 기어(44), 아이들러 기어 (45), 리클라이닝 기어(50)등을 구비함이 없이 커넥팅 로드(35)에 의하여 직접 구동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조의 시이트 리클라이닝 장치(1A 및 1B)는 시이트 쿠션 (Sc) 및 시이트 백(Sb)으로 구성된 완전 트리밍된 시이트(S)내부에 배치된다.
운전자 또는 승객이 모터(41)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스위치(도시않됨)를 온(ON)으로 작동시킬때 모터 동력은 감속기어기구(42), 피니언 기어(44) 및 이아들러 기어(45)를 통하여 리클라이닝 기어(50)에 전달된다. 리클라이닝 기어(50)는 편심축 (33)의 소 직경 동심부(33b)에 고정되고, 이 편심축(33)이 회전하기 때문에 내측기어 (31)[즉, 리클라이닝 아암(20))는 외측기어(즉, 상부 베이스 프레임(10U)]와 맞물려 편심 회전한다. 이 경우에, 두 기어(31 및 32)사이의 맞물림 위치는 어느 방향으로나 이 맞물림으로 회전하며, 리클라이닝 아암(20)은 폄심축(33)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편심축(33)에 대하여 감속선회한다. 또한 편심축(33)이 제2도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때, 시이트 백은 전방으로 눕혀지며, 시계방향 일때에는 시이트 백은 후방으로 눕혀진다.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실시예의 특징은 시이트 리클라이닝 장치(1A또는 1B)의 폭을 최소화하려는 데 있다. 보다 상세히는, 모터 유니트(40)[모터(40) 및 감속 기어기구(42)를 포함하고 있음]는 하부 베이스 프레임(10L)의 내측면 또는 시이트 쿠션내에 배치되며, 피니언 기어(44)만은 시이트 쿠션밖의 하부 베이스 프레임(10L)의 외측면에 배치된다.
또한, 내측기어(31)를 가지고 잇는 외측기어(32)는 상부 베이스 프레임(10U)에 형성되고, 리클라이닝 아암(50)은 외측기어(32)와 맞물리도록 상부 베이스 프레임 (10U)의 내측면에 배치되며, 리클라이닝 기어(50)는 상부 베이스 플레임(10U)의 외측면에 배치된다.
또한, 피니언 기어(44) 및 아이들러 기어(45)는 브래킷(11)에 의하여 피복되고 또한 리클라이닝 기어(50)는 호울더 플레이트(36)에 의하여 피복되기 때문에, 리클라이닝 장치에 의한 손상 특히 가동기어(44,45 및 50)로 부터 시이트 쿠션 패드를 보호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4도 내지 제8도는 본 발명에 따른 시이트 리클라이닝 장치의 제 2 실시예를 도사하고 있으며, 제2도와 제3오에 도시된 제 1 실시예의 감속기어기구 대신에 워엄기어 및 워엄휘일이 제공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는, 워엄기어(70)는 모터(41)의 모터 출력축(43)에 고정되며 워엄휘일 축(71a)에 고정되는 워엄휘일(71)은 워엄기어(70)와 맞물려 있다. 워엄휘일 축(71a)은 모터 출력축(43)에 수직하게 배치되며 기어 케이스(73)와 기어 케이스 커버(73a) 사이에 회전간으하게 지지된다. 워엄휘일 축(71a)에 고정되는 작은기어 (72)는 큰 기어(74)와 맞물려있다. 큰 기어(74)는 큰 기어(74)의 보드부(74a)를 구동축(75)의 세레이션 부(75a)에 끼워맞춤함으로써 구동축(75)에 고정된다. 또한, 구동축(75)은 제6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기어 케이스(73)에 부착된 베어링 (73b)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부시(77)를 개재하여 기어 케이스 커버(73a )와 하부 베이스 프레임(10L) 사이에 회전 간으하게 지지되며 상부 베이스 프레임 (10U)의 관통구멍(10U01)에 의하여 다소 헐겁게 지지된다. 그리고, 큰 기어(74)는 기어 케이스(73)와 기어 케이스 커버(73a) 사이에 내장되며, 리클라이닝 기어(50)와 맞물리는 구동기어(76)는 구동축(75)과 일체로 형성된다.
이 제2실시예에서는, 편심축(33)이 리클라이닝 기어(50)에 의하여 구동될때 발생되는 충격을 환화시키기 위하여 충격 흡수 부재 또는 완충 부재(100)가 편심축 (33)과 리클라이닝 기어(50)사이에 배치된다. 보다 상세히는, 제 1 실시예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편심축(33)은 제 1동심축부(33a) 제 2 동심축부(33b), 외측 원통형 편심축부 (33C), 내측 원통형 편심축부(33d) 및 사각단부(33e)로 형성된다. 상기 제 2동심축부 (33b)는 그 사이에 폭 b를 두고 있는 두개의 대향 평면부(33f)로 굿어되는 대략 사각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리클라이닝 기어(50)는 폭 a(〉b)를 가진 두개의 대향 평면부(50b)로 구성되는 슬롯(50a)을 그 중심부에 형성하고 있다. 한편, 고무등의 탄성재료로 이루어진 완충부재(100)는 디스크부(100a) 및 디스크부(100a)에 수직하며 간격 b를 두고 있는 두개의 돌출부(100b)로 형성된다. 그리고 중심구멍(100C)은 완충부제(100)의 중심부에 형성된다.
조립시에, 리클라이닝 기어(50)는 편심축(33)의 제 2동심축부(33b)에 끼워맞춤되며 고무 완충부재(100)는 두개의 돌출부(100b)를 편심축(33)의 제2 동심축부 (33b)와 리클라이닝 기어(50)의 중심슬롯(50a)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삽입함으로써 끼워맞춤된다.
본 실시예에서, 두개의 돌출부(100b)사이의 외측 폭(a1)은 리클라이닝 기어 (50)의 슬롯(50a)의 폭(a)보다 약간 작다.
제2실시예의 상술한 이외의 구조적인 특징 및 기능적인 효과는 제1실시예와 거의 동일하며, 유사한 부품들은 상세한 설명을 반복하지 않아도 동일한 기능을 유지하며 수행하게 된다. 제2실시예에서, 모터유니트(40)[즉, 모터(41)] 및 감속기어기구[워엄기어(70), 워엄휘일(71), 작은기어(72)와 큰 기어(74)를 구비하고 있음]는 상부 베이스 프레임(10U)의 내측면에 배치되거나(제6도에 도시)도는 시이트 쿠션 내부에 배치된다. 다만 구동기어(76)는 시이트 쿠션 외부의 상부 베이스 프레임 (10U)의 외측면에 배치된다. 또한,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된 제1실시예와 동일한 방식으로 외측기어(32)는 상부 베이스 프레임(10U)에 형성되고, 내측기어(31)를 가진 리클라이닝 아암(20)은 외측기어(32)는와 맞물려 작동하기 위하여 상부 베이스 프레임(10U)의 내측면에 배치되며 리클라이닝 기어(50)는 상부 베이스 프레임(10U)의 외측면에 배치된다.
또한, 제2실시예에서는 모터 유니트(40)가 감속기어기구를 구비하고 있지 않으며 대기 워엄기어(70), 워엄휘일(71), 작은기어(72) 및 큰 기어를 포함하는 감속기어가 상부 베이스 프레임(10U)의 내측면상에 연속하여 효과적으로 배열되어 있기 때문에, 시이트 리클라이닝 장치의 폭을 더욱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구동기어(76)의 구동축(75)은 워엄휘일(71)의 워엄휘일축(71a)과 분리되어 배치되며 구동축(75)과 워엄휘일축(71a) 사이의 상호 위치관계를 자유롭게 결정될 수 있기 때문에, 타우멜 기구(30)의 부근에 모터 유니트(40)를 배치시킴으로써 가능한 소형의 장치를 설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워엄기구(70 및 71)와 두개의 기어(72 및 74)를 통하여 모터 유니트 (40)에 의하여 구동되는 구동축(75)에 고정된 구동기어(76)는 리클라이닝 기어(50)와 맞물려 작동하기 위하여 상부 베이스 프레임(10U)의 내측면에 배치되기 때문에 구동기어(76)가 모터 유니트(40)와 함께 조립되었을때와 비교하여, 구동 및 리클라이닝 기어(76 및 50)가 서로에 대하여 회전할때 발생되는 불규칙적인 기어 소음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구동기어(76) 및 리클라이닝 기어(50)의 저절한 피치를 자유롭게 결정할 수 있다. 더욱이, 충격흡수부재(100)가 감속비가 하나의 값을 가지는 리클라이닝 기어(50)와 편심축(33)사이에 배치되기 때문에, 리클라이닝 아암(20)이 최전방 위치 스토퍼까지 하방 운동하거나 또는 최후방 위치 스토퍼까지 상방운동할 때는 언제나, 충격흡수부재가 감속비가 큰 감속기어 기구에 배치될때와 비교하여 편심축(33)에 발생하는 충격을 보다 효과적으로 흡수하는 것이 가능하다.
종래의 장치에서는, 충격흡수부재가 감속기어기구에 배치되고 충격은 소정의 부재가 어느 각도만큼 회전한 후에야 흡수되기 때문에 충격흡수부재의 크기가 증가하고 그에 따라 모터 유니트 또는 감속기어기구의 크기가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충격흡수부재의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음과 동시에 모터 유니트 또는 감속기어기구의 치수도 최소화할 수 있다는 또 다른 장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시이트 리클라이닝 장치에서는 장치의 폭을 최소화하고 불규칙 기어소음을 감소시키고, 적절한 시이트 리클라이닝 속도를 얻는 것이 가능하며, 시이트 백이 극단의 위치 스토퍼로 이동할때 발생하는 충격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Claims (7)

  1. 시이트 측면에 고정되는 베이스 프레임을 가지고 있는 시이트 리클라이닝 장치에 있어서, 시이트 백의 측면에 고정되며 타우멜 기구를 거쳐서 베이스 프레임에 의하여 피버트 지지하는 리클라이닝 아암과; 상기 리클라이닝 아암을 편심 회전시키기 위한 리클라이닝 기어와; 시이트 쿠션 내부 및 상기 베이스의 내부 표면상에 배치되며 리클라이닝 기어를 구동하기 위하여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대향 외측면상에 배치된 모터 출력 기어를 구비한 모터 장치로 구성된 시이트 리클라이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타우멜 기구의 외측기어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형성되고; 타우멜 기구의 내측기어는 상기 외측기어와 맞물려 상기 리클라이닝 아암에 형성되며; 상기 리클라이닝 아암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내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리클라이닝 기어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대향 외측면에 배치하도록 된 시이트 리클라이닝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외측면에 배치된 상기 모터 출력기어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고정된 브래킷에 의하여 피복하도록 된 시이트 리클라이닝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외측면에 배치된 상기 리클라이닝 기어는 호울더 플레이트에 의하여 피복하도록 된 시이트 리클라이닝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모터유니트의 출력축과 맞물려 있는 워엄기어와; 상기 워엄기어와 맞물려 있는 워엄휘일과; 상기 워엄휘일과 동축으로 고정되어 있는 작은 기어와; 상기 작은 기어와 맞물려 있는 큰 기어를 구비한 감속 기어기구를 더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모터 출력기어는 상기 리클라이닝 기어와 맞물리는 상기 큰 기어와 동심으로 고정되고 상기 워엄기어, 상기 워엄휘일, 상기 작은 기어 및 큰 기어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내측면에 배열되고 상기 모터 출력기어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대향한 외측면에 배열된 시이트 리클라이닝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클라이닝 기어와 상기 타우멜 기구의 편심축 사이에 배치되는 충격 흡수부재를 더 포함하도록 된 시이트 리클라인닝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 흡수 부재는 상기 리클라이닝 기어와 접촉하는 디스크부와, 상기 편심축과 상기 리클라이닝 기어의 슬롯사이에 형성된 두개의 공간으로 삽입되며 거기로 수직할 디스크로부터 돌출한 두개의 러그부로 형성하도록 된 시이트 리클라이닝 장치.
KR1019890015748A 1988-10-31 1989-10-31 시이트 리클라이닝 장치 KR9300008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3-141181 1988-10-31
JP1988141181U JPH0719303Y2 (ja) 1988-10-31 1988-10-31 シートリクライニング装置
JP1-10070 1989-01-31
JP1007089U JPH0719305Y2 (ja) 1989-01-31 1989-01-31 シートリクライニング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6176A KR900006176A (ko) 1990-05-07
KR930000833B1 true KR930000833B1 (ko) 1993-02-06

Family

ID=263452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15748A KR930000833B1 (ko) 1988-10-31 1989-10-31 시이트 리클라이닝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4986514A (ko)
EP (1) EP0367096B1 (ko)
KR (1) KR930000833B1 (ko)
DE (1) DE68920696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804352A1 (de) * 1988-02-12 1989-08-24 Keiper Recaro Gmbh Co Verstellvorrichtung fuer sitze
DE4127417A1 (de) * 1990-08-29 1992-03-05 Ikeda Bussan Co Kraftbetriebene lehnenverstellvorrichtung fuer sitze
US5306073A (en) * 1992-02-24 1994-04-26 Itt Corporation High strength motor vehicle seat recliner
US5338100A (en) * 1992-02-24 1994-08-16 Itt Corporation High strength automotive seat frame and method
US5570508A (en) * 1993-12-03 1996-11-05 Itt Industries, Inc. Method of making a high strength automotive seat frame
JP3658776B2 (ja) * 1994-07-29 2005-06-08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パワーシートリクライニング装置
DE19754260A1 (de) 1997-12-06 1999-06-10 Bosch Gmbh Robert Sicherheitseinrichtung für ein Getriebe
DE10061364C1 (de) * 2000-12-09 2001-11-29 Faurecia Autositze Gmbh & Co Betätigungsvorrichtung für Kraftfahrzeugsitze
US6733076B2 (en) * 2002-09-24 2004-05-11 Bae Industies, Inc. Seatback recliner mechanism incorporating forward fold flat capability from any forward rearward reclined position
US7775595B2 (en) * 2004-02-06 2010-08-17 Schukra Of North America Drive mechanism
US7086699B1 (en) 2004-12-21 2006-08-08 Dura Global Technologies, Inc. Recliner assembly for vehicle seats
FR2915784A1 (fr) * 2007-10-12 2008-11-07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Ensemble de transmission d'un mouvement de rotation
US7775594B2 (en) * 2008-08-01 2010-08-17 Bae Industries, Inc. Power seat assembly with motor actuated spring release and rewind of a seatback sector and with the motor removed from an inertial load path such as during an impact event
JP5278268B2 (ja) * 2009-09-25 2013-09-04 株式会社今仙電機製作所 シート装置
CN105358367B (zh) * 2013-07-04 2017-07-07 株式会社三角工具加工 旋转动作控制机构及座椅
CN106183905A (zh) * 2016-08-31 2016-12-07 宁波志海汽车部件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具有微调操作手柄的汽车座椅调角器
US10562417B2 (en) * 2017-03-28 2020-02-1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Reclining seat assembly having tension reacting member
US10583755B2 (en) * 2017-08-02 2020-03-10 Faurecia Automotive Seating, Llc Recliner for a vehicle seat
US10857910B2 (en) * 2018-12-17 2020-12-08 Lear Corporation Vehicle seating system
CN112458964A (zh) * 2020-11-30 2021-03-09 沈飞 一种公路桥梁用限宽限高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01979A (en) * 1966-07-19 1968-09-17 Putsch Friedrich W Articulated mount for seats, particularly motor vehicle seats
DE2734568A1 (de) * 1977-07-30 1979-02-08 Keiper Automobiltechnik Gmbh Gelenkbeschlag fuer sitze mit verstellbarer rueckenlehne, insbesondere kraftfahrzeugsitze
DE2747651A1 (de) * 1977-10-24 1979-04-26 Keiper Automobiltechnik Gmbh Gelenkbeschlag mit verstellbarer rueckenlehne, insbesondere kraftfahrzeugsitz
DE2747584A1 (de) * 1977-10-24 1979-04-26 Keiper Automobiltechnik Gmbh Traegheitssperreinrichtung fuer kraftfahrzeugsitze
DE2846632A1 (de) * 1978-10-26 1980-05-08 Keiper Automobiltechnik Gmbh Hoehenverstellvorrichtung fuer sitze, insbesondere kraftfahrzeugsitze
DE2939141C2 (de) * 1979-09-27 1982-07-08 Basf Farben + Fasern Ag, 2000 Hamburg Verwendung von Beschichtungsmassen
US4366983A (en) * 1980-07-25 1983-01-04 Keiper U.S.A., Inc. Power recliner
DE3136653A1 (de) * 1981-09-16 1983-03-03 Daimler-Benz Ag, 7000 Stuttgart "kraftwagensitz, der mittels paarweise angeordneter lauf- und fuehrungsschienen laengsverschiebbar ausgebildet ist"
JPS58185947A (ja) * 1982-04-23 1983-10-29 Nissan Motor Co Ltd 内燃機関の燃料噴射制御装置
IT8215190V0 (it) * 1982-08-27 1982-08-27 Keiper Italia Spa Dispositivo di regolazione assistita della posizione dello schienale rispetto al cuscinetto di un sedile di autoveicolo
US4521055A (en) * 1982-08-30 1985-06-04 Ferro Manufacturing Corporation Power recliner
JPS59115948A (ja) * 1982-12-22 1984-07-0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吸収式ヒ−トポンプ
JPS6048846A (ja) * 1983-08-29 1985-03-16 Fuji Xerox Co Ltd 用紙給送装置
JPS60163058A (ja) * 1984-02-06 1985-08-24 Fuji Xerox Co Ltd 電子複写機の帯電転写装置
JPH0643175B2 (ja) * 1986-08-22 1994-06-08 マツダ株式会社 自動車の電動シ−ト装置
US4781416A (en) * 1986-09-11 1988-11-01 Semec, Inc. Seatback recliner
JPH0640519Y2 (ja) * 1987-07-31 1994-10-26 池田物産株式会社 リクライニング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8920696D1 (de) 1995-03-02
EP0367096B1 (en) 1995-01-18
EP0367096A2 (en) 1990-05-09
KR900006176A (ko) 1990-05-07
EP0367096A3 (en) 1991-10-23
DE68920696T2 (de) 1995-05-24
US4986514A (en) 1991-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0833B1 (ko) 시이트 리클라이닝 장치
JP2501242Y2 (ja) パワ―シ―トスライド装置
JPH0541944Y2 (ko)
GB2230695A (en) Headrest arrangement
JP2883804B2 (ja) パワーシートスライド装置
KR100293669B1 (ko) 차량용스테빌라이저
JPH07232578A (ja) シートスライド装置
JPH0712153Y2 (ja) パワーシートスライド装置
JP3717563B2 (ja) 車両用パワーシートのリクライニング構造
JPH0719305Y2 (ja) シートリクライニング装置
KR102524799B1 (ko) 정밀 작동 가능한 자동차용 틸팅-텔레스코픽 스티어링 컬럼
JPH0546968Y2 (ko)
JP4333607B2 (ja) 電動格納式ドアミラーの駆動構造
JPH0622274Y2 (ja) シートリクライニング装置
KR102524793B1 (ko) 자동차용 틸팅-텔레스코픽 스티어링 컬럼
JP2581505Y2 (ja) 駆動力伝達装置
JPH0719306Y2 (ja) シートリクライニング装置
KR0164340B1 (ko) 프론트시트 헤드레스트틸트장치
JPH07345Y2 (ja) パワーシートスライド装置
JPH08256867A (ja) リクライニング装置
JPH051564U (ja) パワーシートスライド装置
JPH0729888Y2 (ja) 可動式ヘッドレスト構造
JP2587837Y2 (ja) パワーシートのスライド機構
JP2561587Y2 (ja) 車両用シートの電動移動装置
JP2561586Y2 (ja) 車両用シートの電動移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512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