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10588B1 - 데이타작성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데이타작성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10588B1
KR920010588B1 KR1019900020844A KR900020844A KR920010588B1 KR 920010588 B1 KR920010588 B1 KR 920010588B1 KR 1019900020844 A KR1019900020844 A KR 1019900020844A KR 900020844 A KR900020844 A KR 900020844A KR 920010588 B1 KR920010588 B1 KR 9200105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wing
data
pattern
information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208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7008A (ko
Inventor
가쯔노리 시게따
하루유끼 나까무라
노리꼬 아까마
Original Assignee
미쯔비시덴끼 가부시끼가이샤
시기 모리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쯔비시덴끼 가부시끼가이샤, 시기 모리야 filed Critical 미쯔비시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100170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70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105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0588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19/00Programme-controlled sewing machin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19/00Programme-controlled sewing machines
    • D05B19/02Sewing machines having electronic memory or microprocessor control unit
    • D05B19/04Sewing machines having electronic memory or microprocessor control unit characterised by memory aspects
    • D05B19/08Arrangements for inputting stitch or pattern data to memory ; Editing stitch or pattern data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21/00Sewing machines with device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movement of work-carrier relative to stitch-forming mechanism in order to obtain particular configuration of seam, e.g. programme-controlled for sewing collars, for attaching pocket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18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 G05B19/408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characterised by data handling or data format, e.g. reading, buffering or conversion of data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30Nc systems
    • G05B2219/35Nc in input of data, input till input file format
    • G05B2219/35566Use of only delta x values, no absolute valu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30Nc systems
    • G05B2219/35Nc in input of data, input till input file format
    • G05B2219/35567Each block contains connection, index to other blocks, to form patter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 Automatic Embroidering For Embroidered Or Tufted Produc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데이타작성장치 및 그 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의 1실시예에 의한 미싱의 봉제 데이타작성장치의 타블릿 디지타이저 및 커서를 도시한 도면.
제2a도는 봉제하고자 하는 모양의 1예를 도시한 도면.
제2b도, 제2c도, 제2d도는 연결전의 데이타의 1예를 도시한 도면.
제3도는 연결에 의한 데이타의 변화의 1예를 도시한 도면.
제4도, 제5도, 제6도는 동작의 흐름도.
제7도는 종래의 미싱의 봉제데이타작성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제8도는 종래의 타블릿 디지타이저 및 커서를 도시한 도면.
제9도는 종래의 미싱의 봉제 데이타작성장치의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타블릿 디지타이저 11A : 타블릿 디지타이저의 메뉴부
12 : 커서 12a : 커서의 리드부
13 : 타블릿 디지타이저의 모양 입력부
본 발명은 예를 들면 피봉제물을 소정의 모양 데이타에 의해서 구동하기 위한 직물을 누르는 것을 구비한 미싱의 봉제데이타를 작성하는 데이타작성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공업용 미싱에서 기억장치내에 미리 프로그램되어 유지되어 있는 바느질법의 정보에 따라서 피봉제물인 직물을 눌러 끼우면서 일정한 평면위를 이동해서 소정의 바느질모양을 자동적으로 봉제하는 미싱이 실용화되어 있다. 상기 바느질 정보는 기억장치내의 기억매체에 유지되어 있으며, 다른 바느질 모양의 봉제가 용이하게 실행되도록 되어 있다. 기억매체로써는 반도체메모리, 자기카드 또는 플로피디스크 등이 이용되고, 이중에 바느질의 동작순서에 따라서 미싱의 움직임의 정보가 유지되어 있다. 제어정보의 구성은 바느질 모양을 형성하는 미싱의 1바늘마다의 바늘과 직물의 상대위치변위량과 바느질속도, 미싱 및 미싱을 구동하기 위한 모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명령으로 되어 있으며, 하나의 바느질 모양의 제어정보는 이들 1바늘마다의 제어명령의 집합체로써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 미싱으로 희망하는 바느질모양의 봉제를 실행하기 위해서는 그 바느질모양에 대응한 제어데이타를 작성하고, 이것을 소정의 기억매체에 기억시킬 필요가 있다.
제7도 내지 제9도는 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소화 60-148582호에 기재된 종래의 미싱의 바느질 데이타 작성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및 하드웨어 구성도이다. 장치의 앞면에는 입력을 위한 메뉴부(11) 및 모양입력부(13)을 갖는 타블릿 디지타이저(10)이 마련되어 있다. 커서(12)는 메뉴부(11)의 선택 또는 모양입력부(13)에서의 좌표 데이타의 취득을 한다. (20)은 각종 스위치나 LED로 되는 봉제데이타 작성장치의 LED 표시 패널이고, (26)은 모양데이타를 표시하기 위한 CRT이며, 텐키, 알파벳키 등을 갖는 일반적인 키보드(26A)를 구비하고 있다. (18)은 기억매체인 플로피 디스크, (16)은 플로피디스크(18)에 봉제데이타를 라이트하거나 또는 플로피디스크(18)에서 봉제데이타를 리드하기 위한 플로피디스크 구동회로부이다.
제8도는 메뉴부(11)의 상세한 것과 리드부(12a)와 스위치(12b)를 구비한 커서(12)를 나타낸 1예이다.
다음에 이 봉제데이타 작성장치의 동작을 제9도의 하드웨어 구성도에 따라서 설명한다. 커서(12)에 의해서 타블릿 디지타이저(10)위에 바라는 바느질 모양을 그리는 것에 의해, CPU(14)를 중심으로 한 제어동작에 의해 봉제데이타를 작성하여 RAM(24)에 일시적으로 저장한다. 계속해서 게이트(44)를 거쳐서 플로피디스크 구동회로(16)에 의해 RAM(24)에 일시적으로 저장되어 있는 봉제데이타를 플로피디스크(18)에 라이트하고, 이것을 봉제데이타 기억매체로써 미싱제어장치(40)에 장착해서 미싱(38)을 구동시킨다.
종래의 미싱의 봉제데이타 작성장치와 같은 데이타 작성장치는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봉제데이타를 기억하는 메모리는 RAM(24)의 크기에 좌우되며, 또 RAM(24)의 영역에 들어오지 않는 큰 봉제데이타를 작성할 수 없다는 과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써, 메모리용량보다 큰 데이타인 형상모양을 가공하는 다수의 데이타를 연속해서 작성할 수 있는 데이타 작성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데이타작성장치는 형상모양을 처리가공하는 다수의 패턴 데이타를 기억매체에 기억시키고, 이것을 호출해서 각 패턴 데이타에 설정된 연결을 지시하는 기호에 따라서 연결하여 가공하는 데이타를 작성하도록 한 것이다.
또 본 발명에 관한 미싱의 봉제 데이타 작성장치 및 방법은 바느질자리 데이타중에 상기 봉제데이타가 다른 봉제데이타에 연결하고 있는 것을 지시하는 봉제정보를 입력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다수의 패턴 데이타를 1개의 데이타와 같이 취급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해서 실시예와 함께 설명한다.
또,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모든 도면에서 동일한 기능을 갖는 것은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관한 타블릿 디지타이저 및 커서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제1도에서, (10)은 타블릿 디지타이저, (11A)는 종래의 메뉴부에 데이타의 연속을 지시하는 “연속”을 추가한 메뉴부, (12)는 리드부(12a) 및 스위치(12b)를 구비한 커서, (13)은 모양 입력부이다. 스위치(12b)를 누르면 리드부(12a)가 지시하는 위치의 데이타를 리드하게 된다.
제2a도는 봉제하고자 하는 모양(21), 제2b도, 제2c도, 제2d도는 봉제하고자 하는 모양(21)을 3개로 나눈 모양이다. 또한, 이 모양(21)은 바느질자리수가 적은 간략화한 모양이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모양(21)은 제9도의 RAM(24)에 저장할 수 없는 정도의 큰 모양 데이타이다. 또, 하드웨어 구성은 종래의 것과 마찬가지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제2a도에 도시한 봉제하고자 하는 모양(21)을 3개의 파일에 나누어서 입력하는 방법을 제1도에 따라서 설명한다. 우선, 타블릿디지타이저(10)의 모양입력부(13) 위에 봉제하고자 하는 모양(21)을 그린 도면을 붙이고, 메뉴부(11A)의 “모양입력”에 커서(12)의 리드부(12a)를 두고 스위치(12b)를 눌러서 모양입력상태로 한다. 마찬가지로 “스케일” “1” “0” “0” “바느질자리길이” “3” “.” “0” “고속” “직선입력” “스타트”를 차례로 눌러서 입력조건의 설정을 실행한다. 이 경우 스케일은 100%로 세트되어 도면의 크기와 입력되는 데이타가 같은 크기로 되고, 입력방법은 직선입력으로 되어 2점 사이를 입력하면 3.0mm의 바느질자리 데이타가 생성되며, 또 입력되는 바느질 속도 명령은 고속으로 된다.
그후, 커서(12)의 리드부(12a)를 바느질자리모양(21)의 원점 A에 두고 스위치(12b)를 눌러서 원점위치를 입력한다. 이하 A점→B점 “직선입력”, “고속”, B점→C점 “직선입력”, “고속”, C점 “연속코드”의 순으로 메뉴부(11A)의 선택과 바느질자리모양의 각 점을 커서(12)에 의해 입력하고, 이 데이타를 RAM(24)에 일시적으로 저장한 후, 모양 데이타를 기억하는 매체인 플로피디스크(18)에 라이트한다. 또, 이 경우에 모양 데이타는 형상모양의 좌표 데이타로써 입력되지만, 설정된 조건에 의해서 앞의 위치와 뒤의 위치의 이동량인 상대값으로 구성된 패턴 데이타로써 기억된다. 여기에서 말하는 “연속코드”는 전자미싱으로 봉제를 하는 경우에 미싱으로, 그 후에는 아직 데이타가 계속이라는 것을 알려주는 코드이다. 라이트시에는 파일명이 붙여지고, 모양(22)는 제3도의 “PATTERN.100”(32)라는 파일명이 붙여진다. 파일명의 “PATTERN”을 패턴명, 확장자 “100”을 패턴번호라 부른다. 연결도중에 데이타로 되는 모양(23)은 모양(22)의 최종 바늘이 떨어지는 위치 C점을 원점으로 하고, C점→D점 “직선입력”, “고속”, D점→E점 “직선입력”, “고속”, E점 “연속코드”의 순으로 입력하여 상기와 같은 플로피디스크(18)에 라이트한다. 모양(23)은 제3도의“PATTERN.101”(33)이라는 파일명이 붙여진다. 연결시의 최종 데이타로 되는 모양(24)는 모양(23)의 최종 바늘이 떨어지는 위치 E점을 원점으로 하여 E점→F점 “직선입력”, “고속”, F점→G점 “직선입력”, “고속”, G점 “드레드커터코드”, “종료코드”의 순으로 입력하고, 상기와 같은 플로피디스크(18)에 라이트한다. 여기에서 말하는 종료코드는 전자미싱에 데이타가 여기에서 종료하고 있다는 것을 알려주는 코드이다. 모양(24)는 제3도의“PATTERN.102”(34)라는 파일명이 붙여진다.
다음에 이와 같이 해서 작성되어 동일 플로피디스크(18)에 라이트된 3개의 파일에 대해서 연결처리를 실행한다. 이하 순서에 대해서 제4도에 따라서 설명한다.
S11에서 데이타작성의 모든 설정조건을 입력한다. 다음에 패턴데이타를 작성하기 위한 형상모양인 부분패턴을 입력(S12)한다.
이것이 최종패턴(S13)이 아니면 연속코드를 입력(S14)해서 외부매체(S15)에 기억시키고, 이 흐름을 반복한다. 만약 S13에서 최종패턴을 판별하면 종료코드를 입력(S16)하여 외부매체에 기억시킨다(S17).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해, 메모리용량이 제한되는 범위의 부분패턴을 입력(S12)하면 좋고, 패턴데이타를 작성한 것은 모두 대용량이 가능한 외부의 기억매체에 기억시킬 수 있다. 다음에 부분패턴의 연결(S18)에 대한 것을 제5도에 따라 설명한다. S41에서 상기 3개의 파일의 패턴번호를 연속하고자 하는 순번으로 키보드(26A)에서 입력한다. 이 경우, 100,101,102로 된다. S42에서는 작성하는 연결데이타의 패턴명(이 경우 SAMPLE이라 한다)을 키보드(26A)에서 입력한다. S43에서는 S41에서 입력된 패턴번호가 존재하는지 체크하여 존재하지 않으면 S47에서 CRT(26)에 에러표시를 하고, 존재하면 다음의 S44의 처리를 실행한다. S44에서는 연결데이타의 패턴번호를 결정한다. 이 경우는 미사용 패턴번호 104번이 자동적으로 할당된다. 또, 빈패턴번호가 없으면 S47로 이행하여 에러표시를 한다.
그리고, 제3도의 PATTERN.100”(32)에 대응하는 데이타를 저장하는 파일명에는 S42에서 지정한 패턴명 SAMPLE.S44에서 결정된 패턴번호 104번이 부여되어 “SAMPLE.104”(35)로 된다. S45에서는 다음과 같이 연결 파일명의 작성을 실행한다. 제3도의“PATTERN.101”(33)에 대응하는 파일명에는 연결데이타의 선두파일명 “SAMPLE.104”에 관련성을 갖게 하기 위해 패턴번호 “104”를 패턴명으로 하고, 패턴번호는 선두 데이타의 다음에 최초로 리드되어야 하는 파일이므로, “001로 한다. 즉, 제3도의 PATTERN.101”(33)에 대응하는 연결 데이타로써 “104.001”(36)으로 된다. 제3도의 PATTERN.101”(34)에 대응하는 파일명도 마찬가지로 해서 작성되어 “104.002”(37)로 된다. 최후에 S50에서 파일의 연결을 실행한다.
S50의 파일의 연결에 대해서 더욱 상세한 내용을 제6도에 따라서 설명한다. 우선, S51에서 전파일의 처리가 종료하고 있는가 아닌가를 판단하고, 이 경우 종료하고 있으므로, S52로 이행한다. 다음에 S52에서 모양(22)에 대응하는“PATTERN.100”(32)를 리드한다. 그리고, S53에서 이 리드가 정상으로 종료했는가 아닌가를 판단하여 이 리드가 정상으로 종료한 경우 S56으로 이행하고, 정상으로 종료하지 않은 경우에는 S63으로 이행하고 CRT(26)에 에러표시를 한다. 그리고, 이 리드가 정상으로 종료한 경우에는 S56에서 현재 처리하고 있는 것은 1개째의 파일인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이 경우 1개째의 파일이므로, S57로 이행하고, 그리고 이 데이타에는 손을 대지 않고, 그대로 S57에서 “SAMPLE.104”(35)에 라이트한다. 다음에 S61에서 이 라이트가 정상으로 종료했는가 아닌가를 판단하여 정상으로 종료하지 않은 경우에는 S63에서 에러표시를 실행하고, 정상으로 종료한 경우에는 S51의 판단 후, S52에서“PATTERN.101”(33)을 라이트한다. 다음에 S53의 판단을 한 후, S56의 판단을 실행하고, 이 경우 2개째의 파일이므로, S58로 이행해서 S58에서 1바늘째가 스타트코드인가 아닌가를 판단하여 1바늘째가 스타트코드라면 이 코드를 빼놓고 2바늘째에서의 데이타를 S59에서 “104.001”(36)에 라이트한다. 또한, 2바늘째에서의 데이타를 라이트하는 것은 제2c도에서 스타트점에 바늘이 2개 떨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스타트코드가 아니면 S57에서 그대로 라이트한다.“PATTERN.102”(34)도 PATTERN.101”(33)과 마찬가지의 처리를 실행하여 “104.002”(37)을 작성한다. 그리고, 최후까지 이 처리가 정상으로 종료한 경우에는 S62에서 연결파일명을 CRT(26)에 표시한다.
또, 이 처리도중에서 데이타의 리드, 라이트가 정상으로 실행되지 않은 경우에는 S64에서 작성한 연결파일을 삭제한다. 이때 모든 원래의 파일 PATTERN.100”(32),“PATTERN.101”(33),“PATTERN.102”(34)도 본존하고 있으며, 최종적으로는 플로피디스크(18)에는 상기 원래의 파일 및 연결파일이 보존되게 된다.
또한, 상술한 1실시예의 설명에서는 2개의 파일을 연결시켰을 뿐이지만, 3파일에 한정되는 일없이 패턴번호의 입력하는 방법의 변경, 플로피디스크의 교체지시 등의 처리를 실행하면, 논리적으로는 무한의 파일을 연결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봉제데이타에서의 각 정보와 같은 패턴데이타는 좌표값과 같은 절대값은 아니고, 직전의 위치에서 이동량인 상대값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연결처리에서 각 부분 패턴데이타의 내용은 상술되어 있는 바와 같이 스타트데이타를 삭제하는 것만으로, 좌표값의 연산등은 실행되지 않아도 되므로, 용량이 작게 해서 종료할 수 있다.
즉, 상술한 연결처리는 지정된 부분패턴의 파일을 연결방법에 따른 파일명을 붙이고, 다른 파일로써 매체를 라이트하는 예를 설명했으므로, 파일명만으로 연결관계는 결정된다. 또, 이것과는 별도로 미싱으로 봉제를 할 때에 다음의 파일을 리드하는 타이밍을 얻는 수단으로써 연속코드를 사용해도 좋다.
이 예를 작성한 104번의 패턴봉제를 지정한 경우의 미싱의 동작으로 나타낸다.
(1) SAMPLE.104를 실행메모리로 리드한다.
(2) 실행메모리내의 데이타에 따라 봉제.
(3) 데이타중에 연속코드를 발견.
(4) 연결방법에 따라 SAMPLE.104의 다음의 데이타 104.001을 실행메모리로 리드한다.
(5) (2)∼(3)을 반복.
(6) 104.001의 다음의 데이타 104.002를 실행메모리로 리드한다.
(7) 실행메모리내의 데이타에 따라 봉제.
(8) 종료코드에 의해 1패턴의 봉제를 종료.
이상은 미싱의 봉제데이타를 예로 들어서 데이타작성의 장치 및 방법을 나타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 것은 상술한 설명에서도 명확하며, 예를 들면 가공처리하는 대상이 피봉제물이 아니고 도면을 작성하는 것이라도 좋으며, 데이타는 공작가공데이타라도 좋다. 또 원래의 파일을 보존해두는 것에 의해서 다른 파일의 연결뿐만 아니라 동일 파일의 연결도 실행할 수 있다.
또, 제3도에서 파일 104.001, 104.002는 단독파일로써 작용하지 않으므로, 이 파일이 단독으로 호출되지 않도록 호출 불가능한 식별신호를 이들의 파일에 부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데이타작성장치가 구비하고 있는 메모리의 크기에 제한되는 일없이 아무리 큰 데이타라도 작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2)

  1. 형상모양을 처리가공하는 데이타를 작성하기 위해 형상모양의 좌표 데이타와 처리가공시의 가공조건을 입력하는 입력수단, 상기 입력수단에서 입력된 형상좌표 데이타를 상기 가공조건에 따라서 차례로 형상모양을 그리도록 상대변화하는 부분 변화량으로 변환하여 처리 가공용의 패턴데이타로써 기억하는 기억수단, 상기 기억된 패턴데이타를 식별기호가 붙여진 상태에서 상기 기억수단에서 기억매체로 기억하며, 또한 이 식별기호에 의해서 상기 기억매체에서 선택해서 소정의 패턴데이타를 상기 기억수단으로 호출하는 패턴데이타 입출력수단 및 상기 선택해서 호출된 다수의 패턴데이타를 1개의 패턴데이타와 다른 패턴 데이타 사이의 연결을 지시하도록 설정된 기호에 따라 연결해서 상기 형상모양을 처리가공하는 데이타를 작성하는 연산수단을 포함하는 데이타작성장치.
  2. 특허청구의 범위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모양을 처리가공하는 데이타는 피봉제물을 소정의 바느질 모양으로 봉제하는 미싱의 바느질 정보인 데이타작성장치.
  3. 특허청구의 범위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을 지시하는 신호를 상기 입력수단에 의해 입력해서 설정하는 데이타작성장치.
  4. 특허청구의 범위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기호는 상기 입력수단에 의해 입력되어 패턴데이타에 붙여지는 데이타작성장치.
  5. 특허청구의 범위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수단으로써 연결된 패턴데이타의 식별기호를 다른 식별기호로 변환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데이타작성장치.
  6. 특허청구의 범위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을 지시하는 기호를 상기 기억된 패턴데이타에 설정하는 데이타작성장치.
  7. 특허청구의 범위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을 지시하는 기재에 따라서 연결하는 패턴데이타에는 연결하는 위치를 표시한 기호가 설정되어 있는 데이타작성장치.
  8. 미싱의 봉제를 위한 바느질자리마다의 보내기양과 봉제정보를 포함하는 바느질자리데이타의 집합체인 봉제데이타를 작성하는 수단, 상기 봉제데이타에 식별기호를 붙여서 기억매체에 기억시키는 수단, 상기 기억되어 있는 봉제데이타의 식별기호를 키로 해서 상기 기억매체에서 선택적으로 호출하는 수단, 상기 호출된 다수의 봉제데이타의 연결을 지시하는 수단 및 상기 다수의 봉제데이타가 연결되었을 때, 이 봉제데이타의 식별기호를 변경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데이타작성장치.
  9. 특허청구의 범위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호출된 다수의 봉제데이타의 연결을 지시하는 수단이 작성된 상기 봉제데이타에 설정되어 있는 데이타작성장치.
  10. 미싱의 봉제를 위한 바느질자리마다의 보내기량과 봉제정보를 포함하는 바느질자리 데이타의 집합체인 봉제데이타를 작성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봉제데이타를 구성하는 바느질자리마다의 보내기량과 봉제정보를 포함하는 바느질자리데이타중에 상기 봉제데이타가 다른 봉제데이타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지시하는 봉제정보를 입력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데이타작성장치.
  11. 미싱의 봉제를 위한 바느질자리마다의 보내기량과 봉제정보를 포함하는 바느질자리 데이타의 집합체인 봉제데이타를 작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봉제데이타를 구성하는 바느질자리마다의 보내기량과 봉제정보를 포함하는 바느질자리 데이타중에 상기 봉제데이타가 다른 봉제데이타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지시하는 봉제정보를 포함시키는 데이타작성방법.
  12. 특허청구의 범위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봉제정보에는 봉제데이타가 다른 봉제데이타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지시하는 정보와 상기 봉제데이타의 연결위치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시키는 데이타작성방법.
KR1019900020844A 1990-03-23 1990-12-18 데이타작성장치 및 그 방법 KR9200105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74709 1985-04-08
JP2074709A JPH03275097A (ja) 1990-03-23 1990-03-23 ミシンの縫製データ作成方法及びその装置
JP2-74709 1990-03-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7008A KR910017008A (ko) 1991-11-05
KR920010588B1 true KR920010588B1 (ko) 1992-12-10

Family

ID=135550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20844A KR920010588B1 (ko) 1990-03-23 1990-12-18 데이타작성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473535A (ko)
JP (1) JPH03275097A (ko)
KR (1) KR920010588B1 (ko)
DE (1) DE4108116A1 (ko)
GB (1) GB224228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247757B (en) * 1990-09-06 1994-05-04 Delco Electronics Corp Electronic controller for vehicle
JP2703173B2 (ja) * 1993-12-27 1998-01-26 株式会社ワールド 型紙作製システム
US5953231A (en) * 1997-12-22 1999-09-14 Mcdonnell Douglas Corporation Automated quality control for stitching of textile articles
US5931107A (en) * 1997-12-22 1999-08-03 Mcdonnell Douglas Corporation Advanced stitching head for making stitches in a textile article having variable thickness
US6128545A (en) * 1997-12-22 2000-10-03 Mcdonnell Douglas Corporation Automated apparatus and method of generating native code for a stitching machine
US6198983B1 (en) * 1997-12-22 2001-03-06 Mcdonnell Douglas Corporation Table-driven software architecture for a stitching system
US5915317A (en) * 1997-12-22 1999-06-29 Thrash; Patrick J. Automated gantry-type stitching system
EP1734166A1 (de) * 2005-06-17 2006-12-20 Fritz Gegauf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Erzeugen von Nähdaten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29804A (en) * 1976-06-28 1980-10-21 Fujitsu Fanuc Limited Numerical control unit having a cassette type memory
JPS5922546B2 (ja) * 1977-06-14 1984-05-28 東芝機械株式会社 自動ミシンのプログラム装置
US4224501A (en) * 1978-02-27 1980-09-23 Unimation, Inc. Teaching arrangement for programmable manipulator
JPS5532517A (en) * 1978-08-29 1980-03-07 Janome Sewing Machine Co Ltd Method of generating pattern of electric sewing machine
SE419993B (sv) * 1979-06-20 1981-09-07 Husqvarna Ab Symaskin for somnad av monstersommar
JPS5636987A (en) * 1979-09-03 1981-04-10 Mitsubishi Electric Corp Preparing device for data of sewing pattern for sewing machine
US4446520A (en) * 1980-07-30 1984-05-01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Process of preparing and processing sewing data for an automatic sewing machine
JPS5833711A (ja) * 1981-08-24 1983-02-28 Fanuc Ltd 数値制御装置
JPS5858607A (ja) * 1981-10-05 1983-04-07 Sankyo Seiki Mfg Co Ltd プリセツト式ロボツトにおけるポイント測定方式
JPS58117004A (ja) * 1981-12-30 1983-07-12 Fanuc Ltd ロボツト制御方式
JPS58149508A (ja) * 1982-02-27 1983-09-05 Fanuc Ltd Ncデ−タ作成方式
JPS5914010A (ja) * 1982-07-15 1984-01-24 Fanuc Ltd Ncプログラム作成方法
JPS59205655A (ja) * 1983-05-09 1984-11-21 Ricoh Co Ltd 文書処理装置
JPS59231583A (ja) * 1983-06-14 1984-12-26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機器
JPS63234347A (ja) * 1987-03-23 1988-09-29 Fujitsu Ltd 意思決定支援システムの処理手順作成方式
JPS6416199A (en) * 1987-07-10 1989-01-19 Yamanochi Kazuhiko Electronic function element for fine void construction electrode
JPS6449597A (en) * 1987-08-19 1989-02-27 Tokai Ind Sewing Machine Automatic embroidering machine
IT1231484B (it) * 1987-07-22 1991-12-07 Tokai Ind Sewing Machine Macchina per ricamare atta a svolgere operazioni di esecuzione e di controllo dell'operazione di ricamo in accordo con i dati memorizzati
JPH02178808A (ja) * 1988-12-29 1990-07-11 Yaskawa Electric Mfg Co Ltd ロボットの制御方法
TW199191B (ko) * 1989-01-24 1993-02-01 Mitsubishi Electric Machine
JPH0557071A (ja) * 1991-08-31 1993-03-09 Brother Ind Ltd 電子制御式ミシン用外部メモリ
JP3146459B2 (ja) * 1991-11-06 2001-03-1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電子制御式刺繍ミシン
JPH05137864A (ja) * 1991-11-20 1993-06-01 Brother Ind Ltd 電子制御式刺繍ミシ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9104068D0 (en) 1991-04-17
US5473535A (en) 1995-12-05
KR910017008A (ko) 1991-11-05
DE4108116A1 (de) 1991-09-26
JPH03275097A (ja) 1991-12-05
GB2242288A (en) 1991-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124036B2 (ko)
KR920010588B1 (ko) 데이타작성장치 및 그 방법
JP2883429B2 (ja) ミシンの縫製データ作成装置
KR940005359B1 (ko) 미싱의 봉제데이타 작성장치
US5009176A (en) Sewing data forming method and device for sewing machine
JPH0363756A (ja) 文書編集装置
JP2583760B2 (ja) 刺しゆうシステムの制御装置及び刺しゆうデ−タ
JPH0573439B2 (ko)
JPS6346193A (ja) 模様選択装置を備えたミシン
JPH0686881A (ja) 刺繍模様作成装置
JPS63135191A (ja) 電子ミシン
JP2527951B2 (ja) コンピユ−タ刺しゆう機の初期制御方式
JPH10216379A (ja) 刺繍データ処理装置
JPH10108987A (ja) 縫製データ編集方法並びに縫製データ編集装置
JP3325917B2 (ja) ミシンの記憶模様編集装置
JP2000033193A (ja) 刺しゅうミシンおよび刺しゅうミシンの制御方法
CN87105365A (zh) 文字处理装置
JP3024659B2 (ja) 刺繍データ作成装置
JPS62253098A (ja) ミシン用縫い模様デ−タ作成装置
JP2927078B2 (ja) 縫製データ処理装置
JP2001272963A (ja) 画像表示装置および座標入力装置
JPH0681640B2 (ja) ミシンの縫製データ作成装置
EP0418643A2 (en) Apparatus for creating stitching data for automatic sewing machines
JP3119658B2 (ja) 自動刺しゅうミシンのデータファイルの表示方法
JPH04288190A (ja) 刺しゅうミシンおよびそ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