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8735B1 - 캐리어 테이프로 부터 필름을 이전시키는 수동기구 - Google Patents

캐리어 테이프로 부터 필름을 이전시키는 수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8735B1
KR920008735B1 KR1019880005558A KR880005558A KR920008735B1 KR 920008735 B1 KR920008735 B1 KR 920008735B1 KR 1019880005558 A KR1019880005558 A KR 1019880005558A KR 880005558 A KR880005558 A KR 880005558A KR 920008735 B1 KR920008735 B1 KR 9200087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artridge
rail
manual mechanism
pi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055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6305A (ko
Inventor
만누쉬 크리스토프
하르프 한스-위르겐
스비텐 로이반
Original Assignee
펠리칸 악티엔게젤샤프트
클라우스 빈홀트, 페터 폴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펠리칸 악티엔게젤샤프트, 클라우스 빈홀트, 페터 폴커 filed Critical 펠리칸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8900063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63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87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87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7/00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CLABELLING OR TAGGING MACHINES, APPARATUS, OR PROCESSES
    • B65C11/00Manually-controlled or manually-operable label dispensers, e.g. modified for the application of labels to articles
    • B65C11/002Manually-controlled or manually-operable label dispensers, e.g. modified for the application of labels to articles modified for the application of labels to articles
    • B65C11/004Manually-controlled or manually-operable label dispensers, e.g. modified for the application of labels to articles modified for the application of labels to articles label feeding from str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7/00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devices for performing specified auxiliary operations
    • B65H37/002Web delivery apparatus, the web serving as support for articles, material or another web
    • B65H37/005Hand-held apparatus
    • B65H37/007Applicators for applying coatings, e.g. correction, colour or adhesive coat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7Surface bonding means and/or assemblymeans with work feeding or handling means
    • Y10T156/1788Work traversing type and/or means applying work to wall or static structure
    • Y10T156/1795Implement carried web supp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8Surface bonding means and/or assembly means with handle or handgri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9Delaminating means
    • Y10T156/1978Delaminating bending means

Landscapes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dhesive Tape Dispensing Devices (AREA)
  • Replacement Of Web Rolls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 Supply And Installment Of Electrical Components (AREA)
  • Transition And Organic Metals Composition Catalysts For Addition Polymerization (AREA)
  • Pressure Welding/Diffusion-Bonding (AREA)
  • Catalysts (AREA)
  • Crystals, And After-Treatments Of Crystals (AREA)
  • Manipulator (AREA)
  • Flanged Joints, Insulating Joints, And Other Joints (AREA)
  • Labeling Devices (AREA)
  • Decoration By Transfer Pictures (AREA)
  • Supplying Of Containers To The Packaging Station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Impression-Transfer Materials And Handling Thereof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Moulding By Coating Moul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캐리어 테이프로 부터 필름을 이전시키는 수동기구
제1도는 갈아끼울 수 있는 카아트리지가 사용 준비상태에 있는 본 발명의 수동기구의 개략적인 측면도.
제2도는 갈아끼울 수 있는 카아트리지를 갖춘 개방상태의 제1도의 수동기구의 도면.
제3도는 갈알끼울 수 있는 카아트리지의 제거후의 상기 수동기구를 나타내는 도면.
제4도는 카아트리지의 측판이 제거된 상태의 제2도의 하우징내에서 본 갈아끼울 수 있는 카아트리지의 개략도.
제5도는 반대측에서 본 제4도의 카아트리지를 나타내는 도면.
제6도는 카아트리지의 백래쉬 저지구의 확대 상세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하우징 3, 11, 14 : 피봇
4 : 카아트리지 5 : 고정레버
6 : 지지플랜지 7, 10 : 파지면
8 : 절제공간 12 : 장착저장소
13 : 횡방향핀 16 : 도포기요소
17 : 도포기바아 18 : 캠 또는 돌기물
19 : 저지구 20 : 공급리일
22 : 권취리일 23 : 캐리어 테이프
24 : 인장레버 25, 26 : 피봇핀
27, 28 : 구동장치 33 : 원주벽
본 발명은 캐리어 테이프로 부터 지면과 같은 기판에 필름을 이전시키는 수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캐리어 테이프로 부터 기판에 필름을 이전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핸드로울러 및 점착로울러와 같은 수동기구들이 공지되어 있다.
그와 같은 도구들은 사무실내에서, 예컨대, 판지(sheet)를 서로 부착시킬 목적으로 캐리어 테이프로 부터 지면에 점착성 필름을 이전시키는데 사용된다. 이런 방법으로서, 점착층의 아주 깨끗하고도 정밀한 도포가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이들 핸드로울러는 비사용시 급속히 먼지들이 끼이고, 또한 아울러 점착성유체의 건조문제가 대두된다.
이미 시중에는 2부품의 하우징내에 유지되는 테이프용 공급리일과 권취리일을 갖춘것으로서 캐리어 테이프상에 점착성 필름을 이전시키는 형식의 핸드로울러가 나와 있다. 이들 2리일을 교체시키기 위해, 하우징의 2부품은 분해되고 그 다음 2리일이 그들의 2피봇핀으로 부터 떼어져서 새로운 리일들이 그위에 대치된다. 하우징에는, 또한 기판에 테이프를 압착시키는 사선돌기형 도포요소가 있다. 이 도포요소는 하우징에 위치한 스프링에 의해 압착된 회전레버의 형태를 갖는다. 사용자가 테이프를 교체시키고자 할때, 공급리일로 부터 오는 테이프는 이 레버의 자유단에 걸쳐 감겨져야만 되며 그런 다음 하우징내의 권취리일로 되돌아 가야만 한다. 공급리일과 권취리일들은 클러치 커플링에 의해 서로 결합된다. 이 도포기 레버의 단부에는 비교적 큰 원통형의 횡단볼트 또는 피봇이 있으며, 그 위에는 테이프가 감기고, 그리고 이 볼트는 볼트가 도구사용중 스프링 압력으로 대기위치로 부터 눌려 나왔을 때 하우징을 치게끔 충분히 멀리 스프링에 대해 이동될 수 있도록 볼트를 유지하고 있는 레버에서 충분히 멀리 연장된다.
이 공지 형식의 수동기구는, 리일교체중 양 리일들이 피봇핀상에 개별적으로 놓여져야만 하고, 아울러 이들 2리일간의 테이프도 하우징으로 부터 돌기하는 도포요소위에 수동적으로 감기도록 해야 하는 단점을 갖는다. 이는 상당한 주의와 기술을 요하는 것이며, 또한 리일의 교체를 행하는 사람의 손을 더럽게 하며, 아울러 장치의 작용부(예컨대, 구동부 또는 커플링)도 더럽게 되어서 장치의 오동작이나 일정한 결함을 내는 결과를 초래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리일교체가 간단하면서도 미숙자에게도 손쉽고도 신속하게 수행될 수 있으며, 아울러 사용자의 손의 더러워짐과 도구의 작용부의 더러워짐이 미연에 방지되는, 상기 수동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도구를 압박하거나 사용자에게 수고를 덜어주는 도포기바아를 갖추므로써 기판에 고압이 발휘되게끔 한 수동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테이프 이동이 백래쉬의 염려없이 수월하게 이루어지는 도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기타 목적들은 차후 증명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서, 상기 목적들은 캐리어 테이프로 부터 기판에 필름을 이전시키는 수동기구와 하우징에 있어 적어도 2개의 부품(전체적으로 2개의 부품)으로 만들어져서 이들을 서로 연결하는 회전볼트를 갖추어서, 하우징이 회전운동에 의해 개폐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성취된다.
하우징은 하우징내부의 고정위치에 위치한 2피봇핀을 가지며, 이들 피봇핀들은 2회전리일, 즉, 테이프용 공급리일과 테이프용 권취리일의 위치 역할을 한다.
이들 리일들은 적어도 그들의 피봇핀상에서 기계적인 커플링, 상세하게는 기어와 클러치 커플링에 의해 있을때 서로 동작가능하게 결합된다.
하우징의 단부로 부터 돌기하는 것은 도포기부재로서, 이 단부위로는 테이프가 공급리일을 떠나면서 연속적으로 주행하는데 그에 앞서 권취리일상에 되감겨져 있다.
도구가 사용중일때, 이 도포기부재는 테이프로 부터 기판에 필름을 이전시키는 작용을 하게끔 테이프를 기판에 압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포기부재는 휨의 제한범위에서 하향압력이 도구의 사용자에 의해 하우징에 가해졌을때 스프링의 방식으로 휘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은 도포기부재는 물론 공급리일와 권취리일이 하우징속에 맞추어진 갈아끼울 수 있는 카아트리지내에 내장된다는 것이다. 카아트리지가 하우징내에 위치했을때, 하우징의 내부의 피봇핀들은 리일의 구동수단으로서 역할을 하기 위해 리일들의 구멍으로 관통한다.
카아트리지 역시 안에 고정구멍을 갖춘 고정저장소(receptacle)를 가진다. 하우징은 카아트리지가 설치되었을때 카아트리지에 면한 하우징벽에 부동상태로 부착된 중심잡기용 겸 지지용핀을 가지며 이 핀은 카아트리지가 설치되었을때 고정구멍으로 관통한다.
카아트리지는 아울러 사용자에 의해 가해진 압력으로 야기된 토오크로 인한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고정수단(하우징으로 부터 고정핀의 관통을 위한 구멍 또는 슬롯 같 은 수단)을 갖는다.
본 발명의 핸드로울러는, 하우징을 단지 개방시켜 카아트리지를 떼어내어서 새로운 카아트리지로 대치하면 되기 때문에, 특별하게 신속하고도 수고가 없는 리일의 교체가 가능하게 된다. 이 목적을 위해, 기술을 요하지 않는 단지 2간단한 손동작만이 낡은 카아트리지를 들어올리고 새로운 카아트리지를 설치하는데 요구된다.
카아트리지는 2리일과 도포기요소를 내포하고 있기 때문에, 테이프를 도포기요소에 감고 권취리일로 되돌려보내는 필요성은 대치되는 카아트리지에서 이미 제공되어 있어서, 테이프의 감기 또는 특정 조작은 필요없게 된다.
중심잡기겸 지지용핀, 및 이 핀의 카아트리지내의 대응 장착 저장소의 존재로 인해, 카아트리지는 올바른 위치에 정확하게 놓여지기 때문에 카아트리지 교체에 관한 어려움을 생기지 않는다.
본 발명의 수동기구에 있어, 탄성변형성의 도포요소 근처에 위치한 것으로서, 카아트리지를 하우징에 대해 유지시키고 또한 카아트리지와 하우징간의 힘을 지지하는 중심잡기용 겸 지지용핀을 가지므로써, 이구조는 사용자에 의해 하우징에 가해진 압력이 중심잡기용 겸 지지용핀에 의해 도포요소에 효과적으로 전달되어서 기판에 대해 확실하게 발휘되어지게 된다.
필수적은 레버아암과 압력전달경로는 카아트리지의 토오크(중심잡기용 겸 지지용핀을 중심으로 한 회전운동이 일면)가 역시 비교적 작게끔 아주 작다. 이 토오크는, 본 발명에 따라서, 부가적인 강성 고정수단에 의해 분쇄될 수 있다.
이를 수행하기 위한 바람직한 1수단은 중심잡기용 겸 지지용핀 및 이핀의 장착저장소내의 대응구멍의 횡단면을 비대칭의 원형형태로 마련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핀과 그의 장착저장소간의 치형시트(seat), 또는 다각형 횡단면이 특히 적당하다.
대안적인 바람직한 구성은 중심잡기용 겸 지지용핀이 원형횡단면을 가지며 아울러 카아트리지가 놓여졌을때 하우징과 대면하는 카아트리지의 측벽에 핀으로 부터 가능한 먼곳에 슬롯을 가지게 하는 구성이다. 이 슬롯은 중심잡기용 겸 지지용핀 둘레의 카아트리지의 회전토오크의 방향에 횡방향으로 뻗어야만 한다.
카아트리지가 하우징내에 있을때, 원형 횡단면에 부합되는 고정핀은 슬롯의 위치에 부합되는 하우징의 부위로 부터 돌기하는 돌기물로서 이 슬롯에 관통된다. 이 구조에 있어, 회전토오크에 대한 카아트리지의 고정은 제1중심잡기용 겸 지지용핀에서의 지지와는 분리된다. 이것이, 효과적인 구성으로서 또 하나의 잇점은 손쉽게 만들어지는 원형횡단면 핀이 이용될 수 있고, 그리고 저장소의 대응 원형구멍도 역시 손쉽게 만들어진다는 것이다.
더우기, 큰 거리로 옵셋된 회전방지 고정핀을 가지므로써, 커다란 지레작용이 얻어지고 아울러 작은 힘만이 필수적인 저항을 주는데 요구된다. 보다 바람직한 것으로는 카아트리지의 멀리 떨어져 있는 단부에 회전방지 고정수단을 위치시킨다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핸드로울러의 상기 언급한 잇점들은 중심잡기용 겸 지지용핀의 장착저장소가 그것에 바로 부착된 돌기물(저지구)를 가지며, 그에 대해 도구가 이용될때 휘어질 수 있는 도포기요소가 충격을 받는 다른 구현예에서 특히 만족스럽게 성취된다. 이렇게 하여, 도구에 가해진 압력은 도포기요소와 기판사이의 의도한 압력점 부근에 바로 전달된다. 바꾸어 말해서, 도포기바아에 발휘된 힘들은 짧은 경로에 의해 카아트리지 속으로 전달되고 아울러 중심잡기용 겸 지지용핀의 장착저장소가 카아트리지의 국부적인 횡방향 강화를 부여하는 장소에 곧바로 보내진다. 힘이 강성부재(장착저장소)에 의해 카아트리지에 전달되는 것이 놀라운 잇점이다.
특히 바람직한 바로는, 중심잡기용 겸 지지용핀, 및/또는 그의 말단에 있는 원추상으로 경사진 원형회전방지 고정핀을 가지게 한다는 것으로서, 이에 의해 이들 핀의 대응구멍으로의 삽입은 수월하게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수동기구의 또하나의 바람직한 구현예는 카아트리지내의 공급리일과 권취리일이 제위치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지 않고, 이를테면 "유격"을 갖는 유영성(swimming)의 방도로 놓여있다는 것으로서, 말하자면, 카아트리지가 하우징내에 위치되고 아울러 피봇(그들 자체가 하우징에 확실하게 부착되어 있음)이 리일의 대응구멍에 확실하게 놓여진 다음에야 비로소 리일들의 정확한 위치가 정해지는 방식으로 카아트리지내부의 리일들의 상대 위치가 제한된 소량으로 이동된다는 것이다.
이들 피봇들이 하우징에 확실하게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중심잡기용 겸 지지용핀의 동일한 확실한 부착위치의 관점상, 카아트리지에 기타 발생될 수 있는 어떠한 응력상태를 피하도록 하는 것이 요구된다. 역으로 브레이싱(bracing)의 필요없이 확실한 끼워맞춤을 행하도록 하는 것이 요구된다. 지금 설명한 구성은 카아트리지를 하우징속으로 끼워넣는데 포함되는 움직임을 용이하게 한다.
대안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써, 리일을 카아트리지속에 확실하게 고정시키는 것으로서 피봇핀과 균일화 또는 응력해제 수단을 갖춘 리일속의 구멍간의 회전 커플링을 갖도록 하는 것이다. 이는, 각 타펫볼트(tappet bolt)와 각 리일의 구멍간에 제공된 끼워맞춤의 어떠한 응력균일화 공차로서, 타펫볼트가 맞추어지는 리일의 대응형상의 구멍에 끼워지는 타펫볼트의 형상의 피봇핀을 가지므로써 성취된다.
본 발명의 수동기구의 또다른 유익한 특징은, 카아트리지가 권취리일의 역회전(백래쉬)를 방지하기 위한 저지수단을 갖추고 있다는 것이다. 이 저지수단은, 권취리일의 어떠한 원치않는 비권취운동을 방지하기 위해, 카아트리지의 측벽에 구성되는 것으로서 리일상에 적절하게 위치한 치형림과 맞물림게끔 된 스프링형립의 형상으로 된다.
카아트리지 외측의 하우징에 위치한 2피봇된 사이에는 클러치 결합식 구동연결부를 가지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이렇게 하면 카아트리지가 교체되어질때 상기 장치가 하우징의 제위치에서 들어올려질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카아트리지내에 이 장치를 가지는 것은 소망스럽지 못하다. 그 이유은 카아트리지가 교체될때 이 장치도 교체를 요하기 때문이다.
하우징내의 덮혀진 공간에는 클러치 커플링을 갖춘 구동연결부를 위치시키는 것이 아주 바람직한 것으로서, 커버는 카아트리지와 면하는 측면상에 있으며, 양피봇핀은 카아트리지의 방향으로 이 커버를 통해 돌기한다. 이렇게 하여, 카아트리지의 교체중이 긴요한 구동장치의 먼지에 의한 오염은 크게 감소될 수 있고, 도구의 장기간의 성능도 양호하게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동기구의 구조상, 하우징은 하우징의 일단에서 존재하여 2측부를 서로 연결시키는 피봇을 중심으로 서로에 대해 회전하는 2측부로 만들어지는 것이 특히 바람직한데, 이 회전 특징은 삽입을 위한 수단을 제공하고 아울러 카아트리지를 제거시키게 한다. 카아트리지가 놓여지는 하우징의 측부, 또는 부품은 그 위에 2피봇핀, 중심잡기용 겸 지지용핀 및 카아트리지의 회전방지용 고정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이렇게 하여, 하우징은 쉽게 개폐되고 아울러 이런 일반형식의 공지 도구의 좋지 않은 몇몇의 취급되 편리하게 되며, 2부품이 피봇에 의해 연결되어서 하우징이 개방되어질때 조차도 연결된 상태로 남아 있기 때문에, 2부품이 이탈하여 떨어지는 위험이 없게 된다. 이점에 관해서는, 2하우징 부품들을 폐쇄된 위치로 고정시키는 수단을 가지는 것이 역시 바람직하다. 특별하게 바람직한 수단은 걸림레버(latching lever)의 형태로 구성되어 져서, 이것은 카아트리지 교체가 수행되어질때 사용자에 의해 쉽게 비걸림 상태로 되는 한편 수동으로 비걸림 상태로 될때까지 폐쇄하우징을 고정적으로 걸리게 한다.
이 특징의 다른 가능한 구현예는 회전레버를 가지는 것인데, 이것은 이것이 폐쇄위치로 있을때 하우징의 2측부를 함께 유지시키는 걸림레버와 같은 구조로 된다. 이 걸림레버는 하우징의 2측부와 같이 피봇주위에 회전될 수 있지만, 그러나 이것이 폐쇄위치로 회전할때 2하우징 부품을 자신의 폐쇄위치로 되게끔 강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바람직한 특징은 카아트리지가 하우징안에 있을때만 제외하고 테이프가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을 갖춘 카아트리지를 가지도록 해서, 카아트리지가 수동기구내에 놓여졌을때 캐리어 테이프만이 움직여서 필름만이 전달될 수 있게 한다. 이 특징을 제공하기 위하여는 다수의 수단이 가능한데, 테이프 이동의 봉쇄가 효과적인 위치에 따라 다르다는 것은 당업자에게는 명백히 알 수 있을 것이다. 특별히 바람직한 구성으로는 공급 및 권취리일의 회전 조정된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핸드로울러의 또하나의 바람직한 구현예는 얇고도 긴 탄성굽힙성의 지지부재로 구성된 도포기 요소를 가진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수동기구는 사용하기 쉽다. 이것은 특히 간단하고도 신속한 카아트리지의 교체를 가능하게 하고, 그리고 도포기요소와 기판사이의 압력적용을 수월하게 한다. 그 이유는 본 발명에 따른 부품들의 구성이 짧은 경로에 의해 하우징으로 부터 카아트리지 및 도포요소에 힘의 이전을 용이하게 하기 때문이다. 이 특징은 아울로 교체가능한 카아트리지내의 장치의 기능에 도움을 준다. 이것은 카아트리지가 캐리어 테이프로 부터 기판에 필름을 이전시키는 고압으로 작용하기를 필요로할때 특히 중요하다.
본 발명에 따른 수동기구는 고압이 필요한 도포에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예컨대, 본 발명의 수동기구는 테이프로 부터 종이위의 타자된 부분이 덮여져야 하는 기판에 필름(삭제에 대한 가시적인 등가치를 부여하는 공백필름)을 덮는 도포에 사용될 수 있다. 타자를 칠때 타자문자의 형상에 따른 국부압제부가 생기기 때문에, 타자문자에서의 이들 압제부위에 특별히 도포필름을 적용시키기 위해 보다 강한 압력, 즉, 국부적으로 증가된 압력을 요하여 사용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 특징 및 잇점들은 첨부도면을 참고한 다음의 설명으로 부터 보다 명백해질 것이다.
제1도 내지 제3도에 도시한 수동기구(1)는 2하우징 부품(2a 및 2b)으로 구성된 하우징(2)를 가지며, 이들부품은 이들의 일단에 제공된 피봇(3) 둘레를 서로에 대해 회전된다. 피봇(3)은 하우징부품들이 개방위치로 있을 조차도 이들을 고정하도록 하게끔 구성된다.
하우징(2)에는 역시 피봇(3) 둘레를 회전할 수 있는 고정레버(5)가 제공되는데, 이것은 그러나 피봇(3)에 대해 자신의 단부에서 직접 부착되지 않고 지지플랜지(6)에 부착된다. 그리고 이 플랜지는 피봇(3)과 동심적인 순환 세그멘트로서 어떠한 원호를 그리며, 또한 피봇(3)과 방사상으로 연장된 연결부(도면중 도시되지 않음)만을 갖는다.
레버(5)는 자신의 자유단에 2평행파지면(7)을 갖추고 있으며, 이것은 하우징이 폐쇄되었을때, 하우징측부(2a 및 2b)의 각각에 있는 대응 절제공간(8)에 삽입된다.
제1도의 수동기구가 개방되어질때, 사용자는 우선 한손으로 하우징(2)을 잡고 다른 한손으로 고정레버(5)의 양파지면(7)을 잡고서 이를 잡아내려서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한 위치로 취한다. 이렇게하여, 양하우징부품(2a 및 2b)은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에 대해 떨어지면서 회전되어서, 하우징부품(2a)내에 유지된 갈아낑울 수 있는 카아트리지(4)가 완전히 손쉽게 접근되어진다.
제2도 내지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갈아끼울 수 있는 카아트리지(4)는 일단에 사선방향으로 외향하여 돌기하는 도포요소(16)가 제공되며, 이 요소는 자신의 자유단에 강력한 도포바아(17)을 가지는데 이바아둘레를 캐리어 테이프(23)의 테이프 경로가 지나가며, 테이프는 기판에 이전되는 필름을 수반하며, 테이프(23)는 이때 카아트리지속에서 권취리일(22)(제4도 참조)에 되돌아간다.
폐쇄된 핸드로울러의 제1도에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하우징(2)(하우징부품 (2a 및 2b)도 역시)은 설치된 카아트리지의 도포요소(16)가 위치한 모서리에서, 카아트리지(4)가 설치될때 도포기바아(17)을 갖춘 도포기요소(16)가 하우징(2)로부터 사선방향으로 돌기하도록 한 개구를 가진다. 이렇게하여 카아트리지(4)가 설치되어 하우징(2)이 폐쇄되어질때, 사용자가 하우징(2)의 상단의 파지면(10)위를 누를 시 캐리어 테이프(23)가 기판에 대해 압착되는 것을 가능하게 된다. 이때 기판에 대해 하우징(2)을 이동시킴으로써 필름의 소망된 이전이 이루어진다.
카아트리지(4)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부품(2a)속으로 놓이게 되며, 이 카아트리지는 카아트리지의 두께와 같은 함몰부 또는 저장공간을 가진다. 카아트리지(4)는 설치되었을때 외연원주벽(33)(제2도 참조)에 의해 외주에 감싸지며, 이 벽은 도시한 구현예에서 파지면(10)의 영역에서 단지 중단된다. 이점에 관해서, 타방의 하우징부품(2b)상에는 하우징부품(2b)으로 부터 구성되는 부수의 커버벽(도면중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음)이 제공되어서 하우징이 폐쇄되어질때, 역시 카아트리지의 외주를 감싼다.
따라서, 하우징(2)이 폐쇄되어질때, 카아트리지를 포함하는 영역에서는, 카아트리지의 외주가 완전히 감싸진다(도포기요소(16)가 돌기하는 하우징의 영역은 제외). 하우징부품(2a)의 연부구성은 카아트리지(4)의 외주(이것 역시 타 하우징부품(2b)의 연부에 의해 감싸져 있음)를 덮을 뿐만 아니라 하우징 부품(2a)에 강성을 부여하는 작용을 한다.
카아트리지(4)상에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타 하우징부품(2b)에 있는 대응창(window)(9a)에 취합하는 창(9)이 제공된다. 이것은 카아트리지(4)의 공급리일 (20)에 얼마나 많은 테이프의 공급이 남아 있는 가를 확인시킨다.
카아트리지(4)는 2카아트리지 측판(4a 및 4b)으로 구성되는데(제2도, 제4도 및 제5도), 이들은 제4도에서는 전방측판(4a)이 제거된 카아트리지를 나타내고, 제5도에서는 뒷면으로 부터의 카아트리지를 나타난다.
제4도에 보는 바와 같이, 카아트리지는 공급리일(20)과 권취리일(22)을 포함하며, 공급리일(20)은 도포기요소(16)와 권취리일(22)사이에 배치된다. 공급리일(20)로 부터 진행되는 것으로서, 캐리어 테이프(23)가 이전되어지려는 필름을 외측에 가지면서 도포기요소(16)의 전방단에 있는 경질의 도포기 바아(17)에 운반되어진 다음 만곡부 둘레를 지나 개재된 인장레버(24)를 거쳐 공급리일(20)의 상부를 접촉한 후에 권취리일(22)로 되돌아 간다.
캐리어 테이프(23)를, 권취리일(22)로 가는 도중에 공급리일(20)의 외측면에 접촉시키므로써, 캐리어 테이프가 점착성필름을 수반하는 곳을 의도적으로 행해지도록 한다. 때문에 그 다음 점착성 필름으로 인한 공급리일의 풀림운동에 의해, 권취리일 (22)로 유도됨에 따라 캐리어필름의 하부측의 고착은 풀림방향으로의 효과적인 당김을 부여하게 된다.
제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도포기요소(16)는 곡재(knee)를 갖춘 얇은 레버와 같은 형태로 되며, 또한, 예컨대, 적절한 플라스틱이나 스프링강의 탄성재료로 만들어진다.
그의 자유단에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경질의 굵은 도포기바아(17)가 장착되며, 이것은 스프링 휨방향으로 하우징(2)에 대면하는 측부에 캠 또는 돌기물(18)을 갖추고 있다. 이 캠(18)은 저지구(19)와 상응하여 배치되며, 저지구(19)는 카아트리지 하우징에 확실하게 부착된 장착저장소(12)에 확실하게 부착되어진다. 이때 장착저장소 (12)는 가급적 양측편(4a 및 4b)간의 카아트리지를 가로질러 연장하는 지지튜브와 같은 단일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장착저장소(지지튜브)(12)는 그의 내부에 측판(4a 및 4b)을 통해 연장하는 구멍(12a)을 가지는데, 카아트리지(14)가 하우징부품(2a)에 놓여있을때, 하우징부품 (2a)으로 부터 이점에서 연장하는 중심잡기용 겸지지용핀(11)이 이 구멍(12a)속으로 관통한다(제3도 참조). 이것에 의해, 카아트리지가 하우징부품(2a)속으로 놓여질때, 카아트리지는 하우징부품(2a)에 대해 정위치에 고정되게 된다.
도면중에 도시한 구현예에 있어, 하우징측판(2a)을 향해 대면하는 카아트리지 (4)의 측판(4b)에는 구멍(12a)으로 부터 비교적 먼거리에 슬롯을 가지며, 이 슬롯속으로 하우징부품(2a)으로 부터 연장하는 횡방향핀(13)이 관통하며, 도구가 사용될 경우, 이 핀은 중심잡기용 겸 지지용핀(11) 둘레의 회전을 야기시키려는 힘의 양상으로 카아트리지(4)상에 발휘되는 토오크에 대항한다. 슬롯(14)의 위치는 이점에서 피봇(11)주위의 토오크에 의해 야기된 운동의 방향을 그의 장축선이 교차하게끔 선택된다. 이때 "교차(across)"는 이점에서 정확한 직각이 꼭 이루어져야만 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비록 이것이 선택된 형태일지라도), 슬롯구성이 어떠한 불필요한 회전운동을 허용하지 않도록한 십자위치만은 제공되어야 한다.
이와 관련하여, 토오크가 카아트리지(4)에 가해졌을때 피봇(14)의 둘레에 가능한 작은 복원력을 유지하기 위해, 중심잡기용 겸 지지용핀(11)으로 부터 가능한 먼곳에 슬롯(14)이 놓여지면 유리하다.
카아트리지(4)는, 도포기바아(17)을 갖춘 도포기요소(16)가 연장하여 관통하는 전방단 구멍을 제외하고는 측판(4a 및 4b)간의 그의 주변을 따라 폐쇄되게끔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그와 같은 폐쇄구조는 필수 불가결한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 도시한 구현예에 있어, 카아트리지(4)의 측벽(4a 및 4b)은 횡방향 부착 장착저장소(12)에서는 물론 그들의 횡방향 부착포스트(15)에서 서로에 대해서만 단지 부착된다.
저지구(19)가 부착된 장착저장소(12)는, 도포기요소(16)의 기부에 아주 가깝게 놓이므로서, 요소의 탄성휨 변형시 도포기바아(17)상의 돌기물(18)과 그의 저지구(19)사이에 작은 휨변형통로만이 존재하게 된다. 그것에 의해, 휨변형이 발생할때 그의 저지구(19)와 만나는 돌기물(18)은, 도구의 사용중 사용자에 의해 도구에 가해진 압력이 가능한한 도포기바아의 압력전용단에 가까운 점에 전달되도록 하기 위해, 도포기바아(17)의 라운딩형 전방단(압력적용단)에 가능한한 가까운곳에 배치된다. 그러므로, 오로지 비교적 소형의 유효적인 레버만인 도포기요소(16)와 도포기바아(17)를 위해 마련된다. 정착저장소(12)와 이것으로 부터 세워진 저지구(19)는 가능한한 견고하게 만들어지므로써, 사용자에 의해 가해진 압력이 하우징으로 부터 가능한한 쉽게 그리고 최단의 경로로 고정소켓(12)내의 중심잡기용 핀(11)을 경유하여 도포기바아 (17)의 압력적용점에 전달되도록 한다.
이렇게 하여, 비교적 큰 압력이 도포기요소(16) 또는 견고한 도포기바아(17)에 대해 특별히 큰 치수를 요하지 않고 전달될 수 있다. 도포기요소(16)는 그의 기초단이 하우징내에 있는 카아트리지(4)의 측벽(4a 및 4b)간의 비회전 고정위치에 배치된 지주부(34)에서 종료되어 부착된다.
이를 이용하는 범위에서, 도포기요소(16)는 카아트리지(4)의 측벽(4a 및 4b)에 대해 저지구(19)쪽을 향하여 탄성적으로 굴곡될 수 있다. 이 굴곡에 의해, 장치가 사용중에 있을때, 도포기바아(17)의 압력적용단과 인장레버(24)간의 캐리어 테이프 (23)의 테이프경로는 느슨한 정도로 이완된다(왜냐하면 인장레버(24)가 인장변동의 보상에 관해 아주 미소한 정도의 스프링운동을 갖기 때문이다).
이것은 결국 캐리어 테이프(23)의 감김작용 및 권취리일(22)의 감김에 대한 개선된 초기상태를 주는 것이다.
권취리일(22)은 하우징부품(2a)쪽으로 향한 그의 단부상에 치형기어 구성부 (30) (제6도)를 가지는데, 이것에는 카아트리지(4)의 측벽(4b)으로 부터 세워진 스프링형립(29)이 투입된다. 스프링협립(29)의 투입단은, 권취리일(22)가 타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은 봉쇄되면서 감김방향으로만 회전될 수 있게 한 각도(스프링(29)의 탄성 휨변형에 의해 허용된)로 절제된다.
권취리일(22)의 타단에는, 카아트리지(4)의 측판(4a)내의 대응개구를 관통하는 원형융기부(32)가 있는데 이것은 사용자에게 카아트리지의 외측으로 부터 권취리일 (22)을 수동으로 회전시키는 수단을 제공한다.
하우징부품(2a)과 대면하는 카아트리지(4)의 측판(4b)에 있어, 공급리일(20)과 권취리일(22)의 중앙개구영역에는 하우징부품(2a)으로 부터 카아트리지로 돌기하는 피봇핀(25 및 26)이 리일(20 및 22)의 중앙개구속으로 관통할 수 있는 대응개구들이 제공되는데, 이들은 구동방향으로 회전되게끔 하는 효과적인 연결부를 만든다.
제3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피봇핀(25 및 26)이 카이트리지를 향한 측부상에서 적당한 덮개판으로 바람직하게 덮혀지는 기어휘일(27 및 28)에 의해 서로 동작가능하게 연결된다. 이에 관해, 더우기, 공급리일(20)에 관한 피봇핀(25)은 클러치 커플링의 치형 기어구성부에 합치되며, 캐리어 테이프가 감겨짐에 따라 이 구성부는 권취리일(22)과 공급리일(20)간의 어떠한 회전수차를 보상시킬 수 있다. 클러치 커플링의 치형구성부에 관해, 제3도는 보다 명료하게 알 수 있게 하기 위해 단지 그 절반정도만을 나타낸다.
삽입된 카아트리지에 대면하는 방향으로 구동장치(27 및 28)와 그 결속클러치 커플링을 덮개판에 의해 포장함을 피봇핀(25 및 26)이 돌기하도록 하고 아울러 그의 결속 클러치 커플링을 포함하는 전체 구동장치에 적절한 덮개를 카아트리지(4)를 유지하는 공간으로 부터 분리된 하우징(2)내의 공간에 제공하기 위함이다. 이 구성은 하우징을 개방할때 깨끗한 모습을 부여한다. 도면중에 보다 명료하게 하기 위해, 제3도에는 덮개판을 도시하지 않았지만, 그의 소개가 없다해서 당업자에게 큰 문제점이 없을 것이다.
피봇핀(25 및 26)은 제3도에 도시한 예에서 타펫볼트로서 나타냈는데 이것은 피봇핀과 그 대응리일들의 구멍간의 정확한 억지끼워맞춤방식의 필요성없이 양리일(20 및 22)을 그들의 맞춤방식에 의해 대응구멍(예컨대, 제5도중 31)속으로 추진시키는 기능을 한다. 이렇게 하여, 피봇핀(25 및 26)의 중심점들과 각 리일(20 및 22)의 구멍의 중심점들간의 작은 상대변위로서도 신뢰성있는 구동연결이 확실하게 수행되는 것이다. 이것은 중요한 것으로서, 도면중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아트리지(4)내의 리일(20 및 22)의 위치가 고정되므로써 위치가 고정핀(11)에 의해 더욱 견고하게 됨에 따라 기타 발생할 수 있는 가능한 강제조건들을 피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대안적인 실시로서 하우징내에 리일(20 및 22)을 "유영(swim)"시키는 것도 허용된다. 즉, 이들 리일에 정확하게 위치조정되는 피봇핀(25 및 26)을 가지게끔 얼마의 측방으로의 ("유격")을 주는 것도 허용되는데, 그 이유는 리일의 중심점의 위치와 그 대응 피봇핀 사이에 발생될 수 있는 어떠한 상이점이 리일의 업셋운동에 의해 보상될 수 있는 것이다.
카아트리지 역시 카아트리지(4)가 하우징(2)속으로 삽입되지 않은 경우 권취리일(20)의 회전운동을 방지시키는 조정수단(도시하지 않았음)을 갖추는 것이 좋다. 이는, 예컨대, 하우징부품(2a)에 대면하는 카아트리지(4)의 측판(4a)에 제어용설부 (arresting tongue)를 제공하므로써 성취된다. 이 설부는 카아트리지가 하우징속에 있는때까지 회전봉쇄 유형으로 공급리일(20)의 단부에 있는 방사상 치형구성부에 투입되며, 이에 의해 하우징으로 부터 돌기하는 핀은 리일상의 치형구성부로 부터 설부를 측방향으로 강제하고, 따라서 봉쇄가 제거되게 된다. 기타의 수단은 피봇핀과 동일한 구멍속으로 연장하는 봉쇄용설부와 더불어 피봇핀(25)의 단부면에 의해 수행된 동일기능을 가지게 하는 것이다.
카아트리지자체는 적당한 플라스틱제로 만들어지는 것이 유익한데, 그러므로서 이것은 일회용 카아트리지로서, 또는 새로운 테이프로된 리일로 보충될 수 있는 카아트리지로서 사용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양측부(4a 및 4b)는 카아트리지를 꺼낸 다음까지 개방될 수 있게 되며, 카아트리지가 제4도에 도시한 형상을 가지므로써, 리일들은 손에 의해 제거되어 새로운 리일들로 대치될 수 있고, 그때 카아트리지는 재조립되고 또한 다시 사용준비를 위해 적절한 핸드로울러로 되넣어진다.
도면중에 도시한 핸드로울러를 사용하도록 하기 위해, 먼저 대치할 수 있는 카아트리지를 장전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폐쇄된 하우징(2)(예컨대 카아트리지가 존재하지 않음)은 고정레버(5)를 웅켜잡으므로써 개방되고 그 다음 2하우징부품 (2a 및 2b)은 제3도에 도시한 개방위치로 서로 벌어져서 회전하게 된다.
다음, 카아트리지(4)는 기술하고 예시한 방도대로 사용자에 의해 하우징부품 (2a)속에 놓여지고, 그 다음 하우징부품(2a 및 2b)이 서로 양단상에 놓여져서 고정레버(5)를 닫으므로써 함께 체결된다.
하우징(2)으로 부터 돌기하는 도포기 요소(16)와 도포기바아를 가진 준비를 갖춘 기구는 그 다음에 카아트리지(4)내의 캐리어 테이프(23)으로 부터 필름이 전달되어질 기판위에 놓여지며, 그다음 돌기물(18)이 저지구(19)를 때릴때까지 압력에 의해 도포기요소(16)가 탄성적으로 휘어지고 그런다음 그 기판에 대해 장치를 이동시키므로써 기판에 필름이 전달되어진다.
동시에, 캐리어 테이프(23)는 공급리일(20)로부터 풀려져서 권취리일(22)에 감긴다. 전달과정의 말기에 있어, 장치는 기판으로 부터 들어 올려지므로써, 도포기요소 (16)는 자신의 시작위치에 되돌아간다.
카아트리지(4)가 다른 카아트리지로 바뀔 예정이라면(아마 이는 공급리일의 테이프공급이 끝나거나 또는 다른 공급테이프와 필름을 갖춘 카아트리지가 사용될 경우이다). 수동기구(1)의 하우징(2)은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개방되고, 그에 의해 제2도에 도시한 상태에 도달하게 된다. 최초 존재의 카아트리지는 제거되고 소망하는 새로운 카아트리지가 넣어진 다음 장치는 준비상태를 위해 폐쇄되어져서 다시 사용될 채비로 갖추어진다.

Claims (20)

  1. 최소한 2개의 하우징부품으로 이루어지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부품을 함께 회전가능하게 연결시키는 회전볼트, 상기 하우징내에 고정된 2개의 피봇핀, 상기 하우징내의 상기 피봇핀들상에 회전가능하게 위치한 테이프용 공급리일 및 권취리일, 상기 리일들의 회전을 동작가능하게 연결시키는 클러치커플링, 상기 하우징으로 부터 돌기하는 도포기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테이프는 상기 필름을 전달시키기 위해 상기 테이프를 상기 기판에 대해 압착시키게끔 구성된 상기 도포기부재를 지나 주행한 다음 상기 권취리일에 주행되어지고, 상기 도포기부재는 하향압력이 상기 하우징에 가해졌을때 스프링의 형태로 휨변형되고, 상기 공급리일 및 권취리일은 상기 하우징속에 맞추어지는 대치가능한 카아트리지에 내포되어지고 상기 도포기부재는 상기 카아트리지의 일단에 장착되어지고, 상기 카아트리지는 고정용 구멍을 한정하는 고정된 고정용저장소를 가지며, 아울러, 하우징에 부동적으로 부착되어 상기 카아트리지가 상기 하우징에 놓여질때 상기 카아트리지상의 상기 고정용구멍에 끼워맞추어지게끔 된 중심잡기용겸 지지용핀, 및 이 핀주위의 상기 카아트리지의 회전으로 인한 형상일치방지를 위한 고정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테이프로부터 필름을 기판에 이전시키기 위한 수동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저지구가 상기 고정저장소에 부착되어서 압력하에서의 도포기부재의 휨변형으로 인한 도포기부재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수동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잡기용 겸 지지용핀과 상기 고정용구멍이 상기 카아트리지의 회전으로 인한 형상 일치방지를 위한 상기 수단을 제공하도록 하는 형태로 된 수동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잡기용 겸 지지용핀과 상기 고정용저장소의 고정용구멍이 원형상의 비대칭횡단면을 가지는 수동기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잡기용 겸 지지용핀과 상기 고정용구멍은 원형휨단면을 가지며, 상기 카아트리지는 카아트리지가 놓여지는 상기 하우징부품에 대면하는 자신의 측벽상에 상기 고정용구멍으로 부터 얼마의 거리로서 슬롯을 가지며, 상기 하우징은 하우징내의 상기 카아투리지의 회정방지를 위한 고정수단으로서의 상기 슬롯에 끼워맞추어지는 취합돌기물을 가지는 수동기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잡기용 겸 지지용핀의 그의 말단에서 원추상으로 빗각을 이루는 수동기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아트리지의 회전방지를 위한 고정수단이 상기 중심잡기용 겸 지지용저장소로부터 상기 카아트리지의 반대편단에 위치되는 수동기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리일과 권취리일이 축방향 구멍을 한정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리일들내에 있는 상기 축방향 구멍에 일치하는 피봇핀들로 갖추어지며, 상기 리일들은 상기 피봇핀들이 상기 리일들내의 상기 축방향 구멍을 관통하게끔 상기 카아트리지가 상기 하우징에 놓여질때 자신들의 정확한 위치가 결정되게끔 충분한 측방향 유격을 갖고 상기 하우징에 위치되는 수동기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리일이 감김방향의 역방향으로의 원치않는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을 갖춘 수동기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리일의 원치않는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이 상기 리일상의 방사상치형 및 이 원치않는 방향으로의 회전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방사상치형과 맞물리는 상기 카아트리지상의 스프링형 립으로 구성되는 수동기구.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내 및 상기 카아트리지의 외측의 결합수단이 상기 피봇핀들의 회전운동을 결합을 위해 제공되는 수동기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이 상기 카아트리지가 놓여 있는 공간으로 부터 분리된 상기 하우징내의 포장된 공간내에 위치되는 수동기구.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이 하우징의 측벽들을 함께 구성하는 2부품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부품들이 상기 카아트리지를 설치 또는 제거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을 개방할 목적으로 회전되는 상기 하우징의 일단에 피봇이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카아트리지에 대면하는 벽으로 부터 상기 피못핀들, 상기 중심잡기용 겸 지지용핀, 및 이 핀을 중심으로 한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상기 돌기물이 구성되어 있는 수동기구.
  14. 제13항에 있어서, 고정수단이 폐쇄된 위치에서 상기 하우징의 상기 부품들을 고정시키기 위해 마련되는 수동기구.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이 걸림레버로 이루어지는 수동기구.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이 회전성 걸림레버로 이루어지는 수동기구.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아트리지는 상기 캐리어 테이프의 봉쇄운동을 위한 수단을 가지며, 상기 봉쇄수단은 상기 카아트리지가 상기 하우징에 놓여질때만 단지 봉쇄상태로 부터 해제되는 수동기구.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봉쇄수단이 상기 공급리일과 권취리일을 봉쇄하는 수동기구.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기구부재가 얇고도 긴 탄성지지부재로 이루어지는 수동기구.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와 상기 기판상에 충분한 압력의 적용을 허용하기 위한 형태를 갖추어서 타자에 의해 생긴 상기 기판내의 결각부를 덮도록 한 수동기구.
KR1019880005558A 1987-10-27 1988-05-13 캐리어 테이프로 부터 필름을 이전시키는 수동기구 KR9200087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3736357A DE3736357C2 (de) 1987-10-27 1987-10-27 Handgerät zum Übertragen eines Filmes von einer Trägerfolie auf ein Substrat
DEP3736357.3 1987-10-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6305A KR890006305A (ko) 1989-06-12
KR920008735B1 true KR920008735B1 (ko) 1992-10-08

Family

ID=63391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5558A KR920008735B1 (ko) 1987-10-27 1988-05-13 캐리어 테이프로 부터 필름을 이전시키는 수동기구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1) US4849064A (ko)
EP (1) EP0313720B1 (ko)
JP (1) JPH08586B2 (ko)
KR (1) KR920008735B1 (ko)
AT (1) ATE69210T1 (ko)
AU (1) AU585752B1 (ko)
BR (1) BR8805730A (ko)
DE (2) DE3736357C2 (ko)
DK (1) DK167143B1 (ko)
ES (1) ES2026589T3 (ko)
FI (1) FI87175C (ko)
GR (1) GR3003205T3 (ko)
MX (1) MX171728B (ko)
NO (1) NO171306C (ko)
PT (1) PT88864B (ko)
ZA (1) ZA88798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91090A (en) * 1988-10-04 1990-01-02 Moore Push-Pin Company Two-reel dispenser for a transfer adhesive
DE3900156A1 (de) * 1989-01-04 1990-07-05 Czewo Plast Kunststofftech Vorrichtung zum auftragen eines klebstoffilms
DE3902552C1 (ko) * 1989-01-28 1990-04-26 Henkel Kgaa, 4000 Duesseldorf, De
DE3902553C2 (de) * 1989-01-28 1993-12-23 Henkel Kgaa Handgerät zum Übertragen eines Filmes von einer Trägerfolie auf ein Substrat
DE3907753C1 (ko) * 1989-03-10 1990-09-06 Pelikan Ag, 3000 Hannover, De
DE9001718U1 (ko) * 1990-02-14 1990-04-19 Pelikan Ag, 3000 Hannover, De
DE4117404C1 (ko) * 1991-05-28 1992-10-22 Citius Buerotechnik Gmbh, 8900 Augsburg, De
US5281298A (en) * 1992-03-03 1994-01-25 The Gillette Company Film transfer device
DE4220843C1 (ko) * 1992-06-25 1993-08-05 Citius Buerotechnik Gmbh, 8906 Gersthofen, De
US5310445A (en) * 1992-10-15 1994-05-10 The Gillette Company Tape dispenser
US5310437A (en) * 1992-10-15 1994-05-10 The Gillette Company Single spool correction tape dispenser
JP2540232Y2 (ja) * 1992-12-28 1997-07-02 東洋ケミカル株式会社 両面粘着転写テープの自動転写器
GB2275042B (en) 1993-02-10 1995-10-25 Gillette Co Correction tape dispenser
DE4322120C1 (de) * 1993-07-02 1995-01-19 Pelikan Ag Wechselkassette für ein Handgerät zur Übertragung eines Filmes von einem Trägerband auf ein Substrat
DE9407305U1 (de) * 1994-05-02 1994-09-22 Czewo Plast Kunststofftech Vorrichtung zur Abgabe von Auftrags-Material
TW318812B (ko) * 1994-12-12 1997-11-01 Yutoku Gum Kogyo Kk
JP2869855B2 (ja) * 1995-03-28 1999-03-10 株式会社トンボ鉛筆 字消し具
US5795435A (en) * 1995-11-08 1998-08-18 Waters, Jr.; Jesse Walter Transfer tape applicator system
DE19604617C2 (de) * 1996-02-08 2003-02-13 Henkel Kgaa Handgerät zum Übertragen eines Films von einer Trägerfolie auf ein Substrat
DE19605811C1 (de) * 1996-02-16 1996-10-17 Pritt Produktionsgesellschaft Handgerät zum Übertragen eines Klebstoff-Films von einem Trägerband auf ein Substrat
DE19635587B4 (de) * 1996-09-02 2005-12-08 SOCIéTé BIC Handgerät zum Übertragen eines Filmes aus z. B.klebendem, deckendem oder farbigem Material von einem auf einer Vorratsspule aufgewickelten Trägerband auf ein Substrat
DE19702345A1 (de) 1997-01-23 1998-07-30 Tipp Ex Gmbh & Co Kg Handgerät zum Übertragen eines Filmes von einem Trägerband auf ein Substrat
JPH11348493A (ja) * 1998-06-08 1999-12-21 Seed Rubber Kogyo Kk 塗膜転写具用テープカートリッジおよび塗膜転写具
US6098690A (en) * 1998-06-26 2000-08-08 Robichaud; Andre M. Tape dispensing system with automatic backing removal
JP3618586B2 (ja) * 1999-06-25 2005-02-09 株式会社壽 塗膜転写具
JP2003523858A (ja) * 2000-02-25 2003-08-12 ビック ドイチェラント ゲーエムベーハー ウント ツェーオー 被覆可能塗布部材を備えた、基体上にフィルムを転写するための手持ち型装置
DE10118828B4 (de) * 2001-04-17 2008-10-16 Henkel Ag & Co. Kgaa Kassettengerät
DE10118830B4 (de) * 2001-04-17 2009-06-18 Henkel Ag & Co. Kgaa Kassettengerät
JP4690607B2 (ja) * 2001-09-11 2011-06-01 プラス株式会社 塗布膜転写具及び塗布膜転写テープの交換方法
US7204287B2 (en) * 2003-01-23 2007-04-17 Xyron, Inc. Transfer devices
US6997229B2 (en) * 2003-09-16 2006-02-14 Sanford, L.P. Rotatable applicator tip for a corrective tape dispenser
US20050056375A1 (en) * 2003-09-16 2005-03-17 Sanford, L.P. Applicator tip for a corrective tape dispenser
JP4228915B2 (ja) * 2003-12-26 2009-02-25 コクヨ株式会社 スライド部材のロック構造及び転写具
JP4644840B2 (ja) * 2005-04-27 2011-03-09 コクヨ株式会社 カバーの係止構造及び転写具
JP4759712B2 (ja) * 2005-06-23 2011-08-31 コクヨ株式会社 転写具
JP4899101B2 (ja) * 2007-06-07 2012-03-21 コクヨ株式会社 転写具
US8397784B2 (en) 2010-08-31 2013-03-19 Sanford, L.P. Correction tape dispenser with variable clutch mechanism
DK177129B1 (da) 2010-09-06 2011-12-19 Barry Daniel En håndholdt tildækningsanordning
US8578999B2 (en) 2010-12-29 2013-11-12 Sanford, L.P. Variable clutch mechanism and correction tape dispenser with variable clutch mechanism
US8746313B2 (en) 2010-12-29 2014-06-10 Sanford, L.P. Correction tape re-tensioning mechanism and correction tape dispenser comprising same
US8746316B2 (en) 2011-12-30 2014-06-10 Sanford, L.P. Variable clutch mechanism and correction tape dispenser with variable clutch mechanism
DE102015104766A1 (de) 2015-03-27 2016-09-29 Illinois Tool Works Inc. Druckervorrichtung zum thermischen Drucken oder Prägen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009607A (en) * 1962-07-09 1965-11-10 Evode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dispensers for adhesive coated strips
DE2337946C3 (de) * 1973-07-26 1979-10-31 Heinrich Hermann Gmbh + Co, 7000 Stuttgart Gerät zum Spenden von Selbstklebeetiketten
US3969181A (en) * 1974-06-03 1976-07-13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Transfer adhesive dispensing device
US4112536A (en) * 1976-01-09 1978-09-12 Colgate-Palmolive Company Applicator
US4096022A (en) * 1976-03-15 1978-06-20 Crawford Harry J Tape dispenser and applicator
US4330357A (en) * 1980-10-23 1982-05-18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Dispenser for liner-wound tape
US4576311A (en) * 1983-08-30 1986-03-18 Horton Stuart L Tab dispenser with odor applicator
US4574030A (en) * 1984-01-16 1986-03-04 Pilcher Henry D Apparatus for dispensing tape having a protective backing
US4718971A (en) * 1986-10-09 1988-01-12 Moore Push-Pin Company Dispenser for a transfer adhes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NO171306B (no) 1992-11-16
AU585752B1 (en) 1989-06-22
DE3736357C2 (de) 1995-11-09
DE3736357C1 (de) 1988-11-24
EP0313720B1 (de) 1991-11-06
ZA887989B (en) 1989-07-26
GR3003205T3 (en) 1993-02-17
FI87175C (fi) 1992-12-10
NO881662L (no) 1989-04-28
ATE69210T1 (de) 1991-11-15
NO171306C (no) 1993-02-24
EP0313720A2 (de) 1989-05-03
NO881662D0 (no) 1988-04-15
JPH01111648A (ja) 1989-04-28
EP0313720A3 (en) 1989-06-07
BR8805730A (pt) 1989-07-18
FI87175B (fi) 1992-08-31
DK167143B1 (da) 1993-09-06
PT88864A (pt) 1989-07-31
US4849064A (en) 1989-07-18
PT88864B (pt) 1993-12-31
DE3866082D1 (de) 1991-12-12
DK227688D0 (da) 1988-04-26
FI881269A (fi) 1989-04-28
JPH08586B2 (ja) 1996-01-10
KR890006305A (ko) 1989-06-12
ES2026589T3 (es) 1992-05-01
FI881269A0 (fi) 1988-03-17
MX171728B (es) 1993-11-11
DK227688A (da) 1989-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8735B1 (ko) 캐리어 테이프로 부터 필름을 이전시키는 수동기구
EP0267396B1 (de) Gerät zum Auftragen eines Klebstoff-Filmes
KR920008339B1 (ko) 캐리어 테이프로부터 필름을 옮기는 장치
US5772840A (en) Tape applicator for applying a transferring material to a sheet
US5897742A (en) Hand-held implements for transferring a film from a backing strip onto a substrate
US4718971A (en) Dispenser for a transfer adhesive
US5792263A (en) Tape cartridge for coating film transfer tool and coating film transfer tool containing the cartridge
JP3157731B2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AU684410B2 (en) Tape dispenser
KR100799226B1 (ko) 도막 전사구용 테이프 카트리지 및 도막 전사구
KR100473846B1 (ko) 공급 릴에 감겨진 기재 스트립으로부터 접착 재료 또는 피복 재료 또는 채색 재료의 필름을 대상물에 전달하기 위한 휴대형 기구
US7900679B2 (en) Transfer tool
JP3027309B2 (ja) 塗膜転写具用テープカートリッジおよび塗膜転写具
KR20090079826A (ko) 코팅필름 전사도구
EP0717000B1 (en) Tape cartridge for coating film transfer tool and coating film transfer tool
KR19990013280A (ko) 도포구
CA2008822A1 (en) Hand-held device for transferring film from a backing tape to a substrate
JP3764360B2 (ja) インクフィルム保持装置
US20040033353A1 (en) Adhesive tape
JP4997535B2 (ja) 転写具
JP2005067153A (ja) 転写具
JP3548936B2 (ja) 塗布具
JP4178196B2 (ja) 塗膜転写具
JP3710110B2 (ja) 転写テープ容器
JP4934837B2 (ja) 転写体装填補助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925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