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2826B1 - 강글리오시드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강글리오시드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2826B1
KR920002826B1 KR1019850004716A KR850004716A KR920002826B1 KR 920002826 B1 KR920002826 B1 KR 920002826B1 KR 1019850004716 A KR1019850004716 A KR 1019850004716A KR 850004716 A KR850004716 A KR 850004716A KR 920002826 B1 KR920002826 B1 KR 9200028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und
added
stirred
residue
dissol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500047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0312A (ko
Inventor
도모야 오가와
마모루 스기모도
요시야스 시도리
마사요시 이토오
Original Assignee
리가가꾸 겐큐우쇼
미야지마 다쯔오끼
간도오이시세이야꾸 가부시기가야샤
곤도오 야스노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59133881A external-priority patent/JPS6112695A/ja
Priority claimed from JP59133882A external-priority patent/JPS6112697A/ja
Application filed by 리가가꾸 겐큐우쇼, 미야지마 다쯔오끼, 간도오이시세이야꾸 가부시기가야샤, 곤도오 야스노리 filed Critical 리가가꾸 겐큐우쇼
Publication of KR8600003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03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28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282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HSUGARS; DERIVATIVES THEREOF; NUCLEOSIDES; NUCLEOTIDES; NUCLEIC ACIDS
    • C07H5/00Compounds containing saccharide radicals in which the hetero bonds to oxygen have been replaced by the same number of hetero bonds to halogen, nitrogen,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 C07H5/04Compounds containing saccharide radicals in which the hetero bonds to oxygen have been replaced by the same number of hetero bonds to halogen, nitrogen,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to nitrogen
    • C07H5/06Aminosugar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HSUGARS; DERIVATIVES THEREOF; NUCLEOSIDES; NUCLEOTIDES; NUCLEIC ACIDS
    • C07H15/00Compounds containing hydrocarbon or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hetero atoms of saccharide radicals
    • C07H15/02Acyclic radicals, not substituted by cyclic structures
    • C07H15/04Acyclic radicals, not substituted by cyclic structures attached to an oxygen atom of the saccharide radical
    • C07H15/10Acyclic radicals, not substituted by cyclic structures attached to an oxygen atom of the saccharide radical contain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HSUGARS; DERIVATIVES THEREOF; NUCLEOSIDES; NUCLEOTIDES; NUCLEIC ACIDS
    • C07H15/00Compounds containing hydrocarbon or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hetero atoms of saccharide radicals
    • C07H15/18Acyclic radicals, substituted by carbocycl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HSUGARS; DERIVATIVES THEREOF; NUCLEOSIDES; NUCLEOTIDES; NUCLEIC ACIDS
    • C07H3/00Compounds containing only hydrogen atoms and saccharide radicals hav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atoms
    • C07H3/06Oligosaccharides, i.e. having three to five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each other by glycosidic linkag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HSUGARS; DERIVATIVES THEREOF; NUCLEOSIDES; NUCLEOTIDES; NUCLEIC ACIDS
    • C07H7/00Compounds containing non-saccharide radicals linked to saccharide radicals by a carbon-to-carbon bond
    • C07H7/02Acyclic radicals
    • C07H7/027Keto-aldonic aci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Saccharide Compound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강글리오시드의 제조방법
[발명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은 강글리오시드(Gangliosides)와 강글리오시드를 합성하는데 있어 사용되는 중간 화합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포유동물 세포의 당지질은 스핀고신이라고 하는 장쇄 아미노 알코올 지방산이 아미드 결합한 세라미드라고 하는 지질 구조에, 글루코스, 갈락토스, N-아세틸 글루코사민, N-아세틸 갈락토사민, 푸코스, 시알산 등의 당이 여러 가지로 조합하여서 글리코시드 결합한 것이다.
이들 글리코시드 중에서, 시알산을 포함흔 것을 강글리오시드라고 부르고 있다. 강글리오시드는 주로 포유동물의 세포막의 2중 분자층의 외부 분자층에 존재하고 있다.
최근 연구에 의하면, 세포내의 정보, 수용체기구, 감별, 세포증식, 악성 세포변형, 세포행위 등의 수용인지 그리고 응답에 있어 강글리오시드가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생체로부터 시알산 잔유물을 함유하는 과당류를 분리하여 내는 것은 아주 어려운 것이다. 그러므로 이러한 시알산 잔유물을 함유하는 과당류의 정확한 합성은 과당류의 생물학적 정보와 분자구조간의 정한한 상호관계의 해명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신류한 강글리오시드, 강글리오시드를 제조하는데에 사용되는 신규한 시알산 유도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강글리오시드를 제조하는데에 있어서 중간 화합물로서 사용될 수 있는 신규한 갈락토스와 락토스 유도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여 제조되는 신규한 시알산 유도체는 다음과 같이 일반식(I)로 나타난다.
Figure kpo00001
식중, R1은 수소원자 또는 아세틸기를 나타내고 R2와 R3중 하나는 -COOR4이며(R4는 수소원자, 나트륨과 칼륨과 같은 알칼리금속, 칼슘과 같은 알칼리토금속 또는 메틸기를 나타낸다.) R2와 R3중 다른 하나는
Figure kpo00002
또는
Figure kpo00003
식중, R5는 수소원자, 아세틸기 또는 벤질기, R6는 수소원자 또는 아세틸기, R7은 수소원자, 아세틸기 또는 벤질기, 또는
Figure kpo00004
이며, 여기에서 R8는 수소원자, 아세틸기 또는 벤질기를 나타내며, R9는 수소원자, 벤질기, 알릴기, 모노클로로아세틸기, -C(CCl3)=NH 또는
Figure kpo00005
이며, (식중 R10는 수소원자 또는 벤조일기를 나타낸다), 또는 R2와 R3는 공동하여
을 나타낸다.(여기에서 Bn은 벤질기이다.)
본 발명에 의하여 제조되는 갈락토스 유도체는 다음 일반식으로 나타난다.
Figure kpo00007
식중, R1는 벤질기 또는
Figure kpo00008
이며, R1이 벤질기이면 R2는 수소원자 또는 벤질기이고, 그렇지 않으면, R2는 수소원자, 아세틸 또는 벤질기이며, R3와 R4는 수소원자 또는 서로 이소프로필리덴기를 형성하며, R5는 벤질기 또는 알릴기이고, R6는 수소, 아세틸기 또는 벤질기이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갈락토스 유도체 및 락토스 유도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a) 세라미드 화합물의 합성
강글리오시드의 세라미드 부분은 도시 1b에 나타난 바와 같은 방법에 의하여 합성될 수 있다.
화합물(I)은 도식 1a에 나타난 바와 같은 방법에 의하여 합성될 수 있다.(일본국 특허출원 제59-44913호 명세서 참조).
화합물(ii)은 키실렌과 같은 용매내에서 1-브로모테트라데칸과 트리페닐포스핀과 같은 알킬할라이드를 하룻밤 환류시킴으로서 얻어진다.
1,2-O-이소프로필리덴-α-D-크실로-펜토디알도-1,4-푸라노스(i)는 용매, 예를들어 BuLi의 존재하에 테트라하이드로푸란(THE)과 헥산과 같은 용매내에서 화합물(ii)과 반응하여 4-알킬비닐 유도체(iii)을 얻게 된다.
반응온도와 시간은 각각 -15℃ 내지 25℃와 0.5 내지 24시간의 범위내가 바람직하다. 화합물(iii)은 3-메탄설포닐 유도체(iv)를 얻기 위하여 건조 피리딘내에서 메탄설포닐클로라이드와 처리된다.
반응온도와 시간은 각각 0℃ 내지 25℃와 2 내지 24시간의 범위내가 바람직하다. 화합물(iv)는 이소프로필리덴기를 제거하기 위하여 초산-물내에서 처리된다.
-OH기가 2개 있는 디올유도체(V)가 얻어진다. 반응온도와 시간은 각각 70℃내지 90℃와 0.5 내지 5시간의 범위내가 바람직하다.
화합물(v)은 용매(예를들어 에탄올)내에서 산화제(예를들어 메타과요오드산나트륨)와 반응하여 디올을 분리하고 그리고 환원제(예를들어 붕화수소나트륨)와 처리되어 디올(vi)을 얻는다.
산화반응은 0℃ 내지 25℃에서 0.5 내지 24시간 동안 진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환원반응은 0℃ 내지 10℃에서 0.5 내지 2시간 동안 진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합물(vi)은 p-톨루엔설포네이트와 같은 촉매의 존재하에 디클로로메탄과 같은 용매내에서 에틸비닐에테르와 같은 알킬비닐에테르와 반응하여, 디-알킬비닐에테르(vii)를 얻는다. 이 반응은 0℃ 내지 30℃에서 0.5 내지 24시간 동안 진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합물(vii)은 디메틸포름아미드(DMF)와 같은 용매내에서 아지드 나트륨과 같은 아지 화합물과 처리되어 아지화합물(viii)을 얻는다. 이 반응은 70℃ 내지 120℃에서 8시간 내지 6일간 진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지화합물(viii)은 에탄올과 이소프로판올과 같은 용매내에서 붕화수소나트륨과 린들러 촉매/H2와 같은 환원제에 의하여 환원되어 아민화합물(ix)을 얻는다.
반응은 붕화수소나트륨이 사용될 때 환류 온도에서 1일 내지 6일간 진행되며, 린들러 촉매/H2가 사용될때는 수소압력 1 내지 4atms. 하에 0℃ 내지 30℃에서 2 내지 24시간 동안 진행된다.
아민 화합물(ix)을 피리딘과 디메틸 아미노피리딘과 같은 아민의 존재하에 할로겐화아실과 반응하여 아미드 화합물(x) 또는 (xi)을 얻는다. 이 반응은 0℃ 내지 30℃에서 0.5 내지 24시간 동안 진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선택적으로, 디클로로메탄과 같은 용매에 용해된 아민화합물(ix)은, 2-클로로-1-메틸피리디늄 아이오다이와 트리-n-부틸아민과 반응하여 아미드(x) 또는 (xi)을 얻는다.
이 반응은 불활성 기류하에서 0.5 내지 13시간 동안 환류 온도에서 진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미드(x) 또는 (xi)는 메탄올 또는 디클로로메탄과 같은 용매내에서 피리디늄 p-톨루엔설포네이트와 처리되어 세라미드(xii) 또는 (I)를 얻게 된다.
[도식 1a]
Figure kpo00009
Figure kpo00010
Figure kpo00011
Figure kpo00012
Figure kpo00013
Figure kpo00014
Figure kpo00015
이렇게 하여 얻어진 화합물(I)은 피리딘내에서 트리틸 클로라이드와 반응하여 트리틸 유도체(II)를 생성하고, 트리틸 유도체(II)는 벤조일클로라이드와 디메틸아미노피리딘과 처리되어 트리틸-벤조일 유도체(III)를 얻으며, 이것은 트리틸기를 제거하기 위하여 p-톨루엔설폰산과 처리되어 벤조일 세라미드(IV)가 얻어진다.
화합물(IV)은 화합물(II)와 (III)을 분리하지 않고 얻어질 수 있다.
[도식 1b]
Figure kpo00016
Figure kpo00017
(B) 락토스 유도체와 갈락토스 유도체의 합성
본 발명의 강글리오시드 합성에 사용될 수 있는 락토스 및 갈락토스 유도체는 도식 2a와 2b에 나타난 방법에 의하여 합성될 수 있다.
우선, D-락토스 옥타아세테이트(1)를 4염화 주석과 같은 촉매의 존재하에 염화에틸렌과 같은 용매내에서 트리(n-부틸)틴알릴옥사이드와 처리되어 알릴 유도체(2)를 얻고, 이 알릴 유도체는 종래의 방법, 예를들어 NaOMe/MeOH에 의하여 탈아세틸화되어 탈아세틸 화합물(3)을 얻고, 계속하여 아세톤/DMF내에서 2,2-디메톡시프로판과 p-톨루엔설폰산과 반응한다.
3',4'-O-이소프로필리덴 유도체(4)와 4',6'-O-이소프로필리덴 유도체(5)가 얻어진다. 화합물(4)와 (5)를 분리시키거나 또는 분리시키지 않거나, NaH의 존재하에 DMF내의 브롬화 벤질과 반응하여 펜타-O-벤질 유도체(6)과 (7)을 얻고, 이들은 다시 물속에서 90% 초산과 반응하여 이소프로필리덴기를 제거한다.
그리고 화합물(8), (9)가 얻어진다. 화합물(4)은 무수초산/피리딘에 의하여 아세틸화(10)되고, 90% CF3COOH와 반응하여, 화합물(11)를 얻는다.
벤질 3',4'-O-이소프로필리덴 락토스(F)는 NaH의 존재하에 브롬화 벤질과 DMF내에서 반응하여 벤질 유도체(G)를 얻으며, 이것은 다시 액상 초산용액과 반응하여 이소프로필리덴기를 제거한다. 그리고 헥사-O-벤질 유도체(H)가 얻어진다.
본 발명의 시알산 유도체의 제조에 있어 사용될 수 있는 갈락토스 유도체는 다음과 같이 제조된다. 아세톤내에 현탁된 벤질 갈락토시드(A)는 p-톨루엔설폰산의 존재하에 2,2-디메톡시프로판과 반응하여 3,4-O-이소프로필리덴 유도체(B)를 얻고, 다시 NaH의 존재하에 DMF와 같은 용매내에서 브롬화 벤질과 반응하여 트리벤질 유도체(C)로 변형되며, 뒤이어 이 유도체는 액상 초산용액과 반응하여 이소프로필리덴기를 제거하며, 그리고 화합물(D)이 얻어진다.
[도식 2a]
Figure kpo00018
[도식 2b]
Figure kpo00019
(C) 시알산 유도체의 합성
화합물(8), (9), (11), (D) 또는 (H)는 쿠운방법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는 N-아세틸 뉴라민산 아세테이트 메틸에스테르(E)와 반응하며, 필요하다면, 보호기를 제거함으로서, 본 발명의 시알산 유도체를 얻는다.
화합물(8), (9), (11), (D) 또는 (H)와 화합물(E)간의 반응은 Hg(CN)2, HgBr2, 분자체(molecular sieve,이하 MS라 칭함), Ag2CO3, AgClO4, AgOSO2CF3, (CH3)3, COSO2CF3등과 같은 글리코시드화 촉매의 존재하에 디클로로메탄 또는 1,2-디클로로에탄과 같은 용매내에서, -20℃ 내지 150℃에서 1 내지 120시간 동안 진행된다.
그리하여 트리사카리드(12), (13), (14), (45), (46) 또는 (47), 또는 디사카리드(31), (32) 또는 (33)이 얻어진다. 이들 화합물의 보호기의 제거로 인하여, 각각 원하는 화합물을 얻는다.
화합물(13)은 무수초산-피리딘에 의하여 아세틸화되어 화합물(15)를 얻고, 이것은 다음에 PdCl3와 AcONa/AcOH와 반응하여 알릴기를 제거한다.
화합물(16)은 모노클로로 무수초산-피리딘과 반응하여 화합물(17)을 얻는다. 화합물(17)의 촉매환원과 그후의 아세틸화로 인하여 화합물(18)을 얻고, 이것을 다시 에탄올과 같은 용매내에서 초산나트륨과 티오우레아와 반응하여 화합물(19)을 얻는다.
화합물(19)과 트리클로로 아세토니트릴은 NaH의 존재하에 CH2Cl2와 같은 용매내에서 처리되어 화합물(20)을 얻는다.
이 화합물은 MS4A와 BF3·Et2O의 존재하에서 세라미드(IV)와 반응하여 화합물(21)을 얻게된다. 화합물(21)을 탈아세틸화, 탈벤조일화하여 화합물(22) 또는 강글리오시드 GM3를 얻는다.
화합물(23)은 유사한 방법으로 처리되어 강글리오시드 GM3(28)에 에피머를 얻는다(도식 5참조).
즉, 상기 언급한 글리코시드와 촉매의 존재하에서 도식 5에서 얻어진 화합물(26)을 도식 1b에서 얻어진 세라미드(IV)와 반응시켜 화합물(27)을 얻은 다음 아세틸기 및 벤조일기를 제거하여 화합물(28)을 얻는다.
선택적으로, 강글리오시드 GM3화합물(22)는 다음과 같이 제조될 수 있다. 화합물(47)은 무수초산-피리딘에 의하여 아세틸화되어 화합물(52)를 얻는다.
이 화합물의 촉매 환원은 벤질기를 제거하기 위하여 10% Pd-C를 사용하는 MeOH와 같은 용매내에서 수행된다.
그 결과 탈벤질화된 화합물(53)은 무수초산-피리딘에 의하여 아세틸화되어 과초산염(54)을 얻고, 이것은 다시 DMF와 같은 용매내에서 히드라지니움 아세테이트와 30℃ 내지 80℃에서 5-30분간 반응하여 화합물(9)을 얻고, 이것은 뒤이어 NaH의 존재하에 얼음 냉각 조건하에서 염화메틸렌과 같은 용매내에서 트리클로로 아세틸로니트릴과 반응한다.
그 결과 화합물(20)은 BF3·Et2O/분자체 4Å과 같은 글리코시드화 촉매의 존재하에 아르곤과 같은 불활성 가스 기류하에서 세라미드(IV)와 반응한다.
이렇게하여 얻어진 화합물(21)은 아세틸기와 벤조일기를 제거하기 위하여 종래의 방법으로 처리되며, 앰벌리스트 A-15(상표)에 의하여 중화되어 강글리오시드 GM3(22)를 얻는다.
본 발명의 공정의 특별한 예는 도시 3 내지 10까지 하기와 같이 나타내고 있다.
[도식 3]
Figure kpo00020
[도식 4]
Figure kpo00021
[도식 5]
Figure kpo00022
[도식 6]
Figure kpo00023
[도식 7]
Figure kpo00024
[도식 8]
Figure kpo00025
[도식 9]
Figure kpo00026
[도식 10]
Figure kpo00027
이렇게하여 얻어진 모든 화합물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B), (C), (D), (G), (H),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및 (54)는 신규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여 제조되는 이들 세로운 화합물은 종양 표시 감별효력이 있는 세포의 감별 표시로서 채택될 수 있으며, 또는 여러가지의 강글리오시드의 합성을 위한 중간체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을 다음 하기의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의 개요는 다음과 같다.
[참고실시예]
1. (I) → (II) 트리틸화
2. (II) → (III) 벤조일화
3. (III) → (IV) 탈트리틸화
4. (I) → (IV) 벤조일화
[실시예]
1. (1) → (2) 알릴화
2. (2) → (3) 탈아세틸화
3. (3) → (4)+(5) 이소프로필리덴 유도체
4. (4)+(5) → (6)+(7) 벤질화
5. (6) → (8) 탈이소프로필리덴
6. (7) → (9) 탈이소프로필리덴
7. (4) → (10) 아세틸화
8. (10) → (11) 탈이소프로필리덴
9. (E)+(8) → (12)+(13)+(14) 글리코시드화
10. (13) → (15) 아세틸화
11. (15) → (16) 탈아세틸화
12. (16) → (17) 모노클로로아세틸화
13. (17) → (18) 탈벤질화, 아세틸화
14. (18) → (19) 탈모노클로로아세틸화
15. (19) → (20) -C(NH)-CCl3유도체
16. (IV)+(20) → (21) 세라미드화
17. (21) → (22) 탈아세틸화 및 탈벤조일화
18. (E)+(11) → (23) 글리코시드화
19. (23) → (24) 아세틸화
20. (24) →(25) 탈알릴화
21. (25) → (26) -C(NH)-CCl3유도체
22. (26) → (27) 세라마디화
23. (27) → (28) 탈아세틸화 및 탈벤조일화
24. (A) → (B) 이소프로필리덴 유도체
25. (B) → (C) 벤질화
26. (C) → (D) 탈이소프로필리덴
27. (F) → (G) 벤질화
28. (G) → (H) 탈이소프로필리덴
29. (E)+(D) → (31)+(32)+(33) 글리코시드화
30. (31) → (34) 탈아세틸화
31. (31) → (35) 락톤링의 개환화
32. (35) → (36) 탈벤질화
33. (32) → (37) 탈아세틸화
34. (37) → (38) 탈벤질화
35. (33) → (39) 탈아세틸화
36. (39) → (40) 탈벤질화
37. (32) → (41) 아세틸화
38. (41) → (42) 탈벤질화, 아세틸화
39. (33) → (43) 아세틸화
40. (43) → (44) 탈벤질화, 아세틸화
41. (E)+(H) → (45)+(46)+(47) 글리코시드화
42. (46) → (48) 탈아세틸화
43. (48) → (49) 탈벤질화
44. (47) → (50) 탈아세틸화
45. (50) → (51) 탈벤질화
46. (47) → (52) 아세틸화
47. (52) → (53) → (54) 탈벤질화, 아세틸화
48. (54) → (19) 탈아세틸화
49. (19) → (20) -C(NH)-CCl3유도체
50. (20) → (21) 세라미드화
51. (21) → (22) 탈아세틸화 및 탈벤조일화
[참고예 1]
화합물(I) (325mg,0.5m mol)을 무수피리딘(5ml)에 용해하였다. 염화트리틸(TrCl) (278mg,1.0m mol)을 가하였다.
이 혼합물을 실온에서 24시간 교반하고 다시 55℃에서 4시간 교반하였다. 용매는 감압하에서 증발 제거시켰다. 잔유물을 클로로포름에 용해시키고, 수세하여 MgSO4에서 건조하고, 감압 농축하였다.
잔유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와코겔 C-300,50g 헥산-초산에틸=4 : 1)에서 정제하여 화합물(II)을 얻었다.(297mg 66.6%)
[화합물 (II)]
Figure kpo00028
원소분석 :
계 산 치 : C; 82.09, H; 10.96, N; 1.57(C61H97NO3)
측 정 치 : C; 82.00, H; 11.17, N; 1.49
Rf 0.34(헥산-초산에틸 4 : 1)
[참고예 2]
화합물(II) (224mg,0.25m mol)을 피리딘(2ml)에 용해하였다. 염화벤조일(70mg,0.5m mol)과 디메틸 아미노피리딘(30mg)을 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24시간 교반하고 다시 55℃에서 1시간 교반한 수 감압 농축하였다. 잔유물은 클로로포름에 용해시키고, 수세한 후 MgSO4에서 건조하고 감압 농축하였다.
잔유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바 컬럼 Li Chroprep si60 Gro βe A,헥산-초산에틸=4:1)에서 정제하여 화합물(III)(183mg,88.2%)과 화합물(II)(38mg)을 얻었다.
[화합물(III)]
Figure kpo00029
[참고예 3]
화합물(III) (163mg,0.164m mol)을 CH2Cl2(5ml)와 MeOH(2.5ml)에 용해하였다 파라톨루엔설폰산, 1 수화물(16mg)을 가하였다. 이 혼합물을 실온에서 24시간 교반하고 감압 농축하였다. 잔유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와코겔 C-300,10g)에 정제하여 3% 메탄올 함유 클로로포름으로 용출하여 화합물(IV)(104mg,84.3%)을 얻었다.
[화합물(V)]
Figure kpo00030
[참고예 4]
화합물(I) (975mg,1.5m mol)을 피리딘(15ml)에 용해하였다. 트리틸클로라이드(TrCl) (625mg,2.25m mol)을 가하였다.
혼합물을 55℃에서 4시간 교반하고, 실온에서 24시간 교반하였다. 벤조일클로라이드(315mg,2.25m mol)와 디메틸아미노피리딘(183mg,1.5m mol)을 가하여 실온에서 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 혼합물을 감압 농축하여 잔유물을 초산에틸에 용해하였다. 용액을 수세하고 MgSO4로 건조하여 감압 농축하였다.
잔유물을 CH2Cl2(10ml)에 용해하였다. 파라톨루엔설폰산(100mg)을 가하고 실온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것을 감압 농축하였다.
잔유물을 초산에틸에 용해하고, 희 염산용액 포화 중탄산나트륨과 포화식염수 용액을 세정한 후 MgSO4로 건조하여 감압 농축하였다.
잔유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와코겔 C-300,10g)에서 정제하여 2% 메탄올 함유 클로로포름으로 용출하여 화합물(IV)(801.6mg,70.9%)를 얻었다.
[실시예 1]
n-Bu3Sn-O-CH2CHCH2(80.7g,0.23mol)을 염화에틸렌(500ml)에 용해하였다. 얼음냉각 조건하에서 4염화주석(31.0ml)를 가하였다. 이 용액에 D-락토스옥타아세테이트(1)(142g, 0.21mol)의 염화에틸렌용액 250ml를 가하였다.
이 혼합물을 실온에서 2.5시간 동안 교반하고 포화 KF용액중에 추가하였다. 불용물을 제거하였다. 여과액을 다시 포화식염수로 세정하고, MgSO4로 건조한 후 감압 농축하였다.
잔유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2Kg)에 넣고 톨루엔-초산에틸(1:1)으로 용출하여 화합물(2)를 얻었다.(85.8g,57.8%)
[화합물(2)]
Figure kpo00031
[실시예 2]
화합물(2)(85.8g,0.127mol)을 메탄올(600ml)에 용해하였다. N-NaOCH3용액(10ml)이 가해지고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석출하는 결정을 여과하여 모았다. 화합물(3)(41.8g,86.2%)이 얻어졌다.
[화합물(3)]
Figure kpo00032
[실시예 3]
화합물(3)(44.4g,0.116mol)을 아세톤(550ml)과 DMF(550ml)에 현탁하였다. 파라-톨루엔설폰산(2.32g)과 2,2-디메톡시프로판(25.4g)이 가해져서 실온에서 2일간 동안 교반하였다. 트리에틸아민(10ml)을 가하여 감압 농축하였다.
잔유물에 에틸아세테이트를 가하고 석출하는 분말을 모아 화합물(4), (5)의 혼합물을 얻었다.(41.4g,91.1%)
Figure kpo00033
[실시예 4]
화합물(4)와 (5) (2.2g,5.2m mol)의 혼합물을 DMF(50ml)에 용해하였다. NaH(50% 유성)(1.87g)를 가하고 실온에서 30분간 교반하였다.
얼음 냉각한 조건에서 브롬화벤질(6.67g,39.0m mol)을 가하고 실온에서 24시간 교반하였다. 얼음 냉각 조건하에서 소량의 메탄올을 가하였다.
반응혼합물은 다시 30분간 교반되고 감압 농축하였다. 잔유물은 초산에틸에용해하고, 수세하여 MgSO4로 건조하여 감압 농축하였다.
잔유물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와코겔 C-300,120g)을 사용하여 정제하여 화합물(6) (2.47g,56.9%)과 화합물(7)(1.66g,38.2%)을 얻었다.
Figure kpo00034
[실시예 5]
화합물(6) (2.47g,2.8m mol)을 90% 초산 60ml에 용해하고 60℃에서 3시간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갑압 농축하였다. 잔유물은 에테르 헥산으로부터 재결정하여 침상의 결정인 화합물(8)(1.24g,52.6%)을 얻었다.
Figure kpo00035
[실시예 6]
화합물(7) (1.66g,1.9m mol)을 90% 초산용액 30ml에 용해하고 60℃에서 3시간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갑압 농축하였다. 잔유물을 클로로포름-헥산으로부터 재결정하여 화합물(9)을 얻었다. (1.01g,67.6%)
Figure kpo00036
[실시예 7]
화합물(4) (2.11g,5.0m mol)을 무수초산(15ml)과 피리딘(15ml)에 용해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24시간 교반하였고 감압 농축하였다. 잔유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와코겔 C-300,250g)를 사용하여 정제하고, 3.5% MeOH 함유 클로로포름으로 용출하여 화합물(10) (2.31g,73.1%)을 얻었다.
Figure kpo00037
[실시예 8]
화합물(10) (15.5g,23.9m mol)을 90% CF3COOH용액에 실온에서 20분간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감압 농축하였다. 잔유물을 초산에틸에 용해하였다. 용액을 NaHCO3용액으로 그리고 포화 NaCl용액으로 수세하고 MgSO4로 건조하고, 감압 농축하였다.
잔유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와코겔 C-300,300g)로 정제하고 4% MeOH 함유 클로로포름으로 용출하여 화합물(11)(11.0g)을 얻었다.
Figure kpo00038
[실시예 9]
활성화한 MS 4A(2.2g)에 Hg(CN)2(504mg), HgBr2(720mg), 화합물(8) (833㎎,1.0m mol) 및 염화 에틸렌(3ml)을 가하고, 아르곤 기류내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 용액에, 쿠운 방법에 의하여 합성한 화합물(E) (506㎎,1.0m mol)을 디클로로에탄(3ml)에 용해한 용액을 가하였다. 이 혼합물을 실온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한 후 여과하였다. 불용물을 초산에틸로 세정하였다. 여과액과 세액을 합하여 수세한 후 MgSO4와 건조하여 감압 농축하였다.
잔유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와코겔 C-300,80g)를 사용하여 정제하고 톨루엔-초산에틸(1:2)로 용출하여 화합물(12)(99㎎,7.6%)과 화합물(13)(91㎎,7.0%) 및 화합물(14)(37㎎,2.8%)를 얻었다.
Figure kpo00039
Figure kpo00040
Figure kpo00041
[실시예 10]
화합물(13)(605㎎,0.57m mol)을 피리딘(10ml)과 무수초산(10ml)을 가하여 용해하였다. 이 용액에, 디메틸아미노-피리딘(70㎎)을 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24시간 교반한 후 감압 농축하였다.
잔유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와코겔 C-300,80g)으로 정제하고 톨루엔-초산에틸(1:2)에 의하여 화합물(15)(452㎎,72.6%)을 얻었다.
Figure kpo00042
[실시예 11]
화합물(15) (410㎎,0.34m mol)을 90% AcOH 20ml에 용해하였다. 이 용액에, AcONa(500㎎)과 염화바나듐(540㎎)가하였다. 혼합물을 2시간 동안 초음파 교반기로 교반하고 진동 농축하였다. 잔유물은 초산에틸에 용해하였다. 용액을 수세하고 MgSO4로 건조하여 감압 농축하였다.
잔유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와코겔 C-300,50g)을 사용하여 정제하고 10% MeOH 함유 이소프로필에테르에 의하여 용출하여 화합물(16)(353㎎,89%)을 얻었다.
Figure kpo00043
[실시예 12]
화합물(16)(312mg,0.24m mol)을 피리딘(7ml)에 용해하였다. 무수모노클로로 초산(312㎎)을 가하고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고 희석하기 위하여 초산에틸을 가하였다. 용액을 포화 NaHCO3용액, 희석 HCl과 포화 NaCl로 세정하고, MgSO4로 건조하여 감압 농축하였다.
잔유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와코겔 C-300,40g)을 이용하여 정제하고 10% MeOH 함유 이소프로필 에테르로 용출하여 화합물(17)(257㎎,77.6%)을 얻었다.
Figure kpo00044
[실시예 13]
화합물(17) (91mg,0.065m mol)을 메탄올(3ml)에 용해하였다. 10% Pd/C(50㎎)을 가하고, 촉매 환원이 실온에서 24시간 동안 수행되었다. 혼합물을 여과하여 Pd/C를 제거하고 여과액은 감압 농축하였다. 잔유물이 무수초산(1.0ml)와 피리딘(1.0ml)을 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2.5시간 교반하고 감압 농축하였다.
잔유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와코겔 C-300,10g)을 이용하여 정제하고, 4% MeOH 함유 클로로포름으로 용출하여 화합물(18)(61㎎,81%)을 얻었다.
Figure kpo00045
[실시예 14]
화합물(18) (16㎎,0.053m mol)을 에탄올에 용해하였다. 이 용액에, 티오우레아(20㎎)과 초산나트륨(4㎎)을 가하였다. 이 혼합물을 가열하여 5시간 동안 환류하였다. 혼합물을 감압 농축하였다. 잔유물은 4% MeOH 함유 클로포름에 용해하여,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와코겔 C-300,10g)을 이용하여 정제하여 화합물(19) (21㎎)을 얻었다. 화합물(18)은 40㎎이 회수되었다.
Figure kpo00046
[실시예 15]
화합물(19)(20㎎,0.0187m mol)을 염화에틸렌(0.5ml)에 용해하고 트리클로로 아세토니트릴(13.5㎎)을 가하였다. 이 용액에, 얼음 냉각 조건하에 NaH(60%유성) (1.0㎎)를 가하고 2시간동안 교반하였다. 이 혼합물을 감압 농축하였다.
잔유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와코겔 C-300, 5g)을 이용하여 정제하여 초산에틸로 용출하여 화합물(20)(10.0㎎)을 얻었다.
Figure kpo00047
[실시예 16]
활성화한 MS, 4A(200g)에 화합물(20)(10㎎,0.009m mol), 화합물(IV) (12㎎,0.018m mol) 및 CHCl3(0.2ml)를 가하였다. 이 혼합물에, BF3·Et2O(2.0μl)를 교반하면서 가하였다. 이 혼합물은 실온에서 24시간 교반하였다. 불용물은 여과되어 CHCl3로 세정되었다. 여과액과 세정액을 합하여 감압 농축하였다.
잔유물은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와코겔 C-300,10g)을 이용하여 정제하고, 4% MeOH 함유 클로로포름으로 용출하여 화합물(21)(4㎎)을 얻었다.
Figure kpo00048
[실시예 17]
화합물(21) (4.0㎎)을 메탄올과 THF(1:1)(0.5ml)의 혼합용매에 용해하였다. N-NaOME(0.1ml)를 가하고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농축하였다. 이 잔유물에, 물(0.1ml)과 MeOH-THF(1:1)(0.5ml)를 가하고, 실온에서 2시간 교반하였다.
앰벌리스트 A-15(상품명)을 가하여 혼합물을 중화시키고 여과하였다. 앰벌리스트 A-15는 메탄올로 세정하였다. 합하여진 용액을 감압 농축하였다. 잔유물은 에테르로 세정하고 건조하여 화합물(22)(강글리오시드GM3)(1.7mg)을 얻었다.
Figure kpo00049
[실시예 18]
활성화한 MS, 4A(20g)에 Hg(CN)2(5.04g), HgBr2(7.20g), 화합물(11) (5.93㎎,10m mol)과 디클로로에탄(20ml)을 가하였다. 이 혼합물 아르곤 기류내에서 30분간 교반하였다. 쿠운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화합물(E)(5.06g,10m mol)을 디클로로에탄 10ml에 용해하였다. 이 용액의 각 1/5씩을 30분 간격으로 가하여 졌다.
완전히 가한 후, 혼합물을 2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여과하고 불용물을 초산에틸로 세정하였다. 여과액과 세정액을 합하여, 수세하고 MgSO4로 건조하여 감압 농축하였다.
잔유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와코겔 C-300,300g)을 이용하여 정제하고 4% MeOH 함유 클로로포름으로 용출하여 화합물(23)을 함유한 프랙숀을 얻었다. 이 프랙숀을 다시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와코겔 C-300,100g)를 사용하여 화합물(23)(634㎎,6%)을 얻었다.
Figure kpo00050
[실시예 19]
화합물(23)(266mg,0.25m mol)에, 무수초산(1.0ml)와 피리딘(1.0ml)을 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하고 감압 농축하였다. 잔유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바컬럼,사이즈β)를 이용하여, 4% MeOH 함유 클로로포름으로 용출하여 화합물(24)(257mg,92.7%)을 얻었다.
Figure kpo00051
[실시예 20]
화합물(24) (216mg,0.195m mol)을 90% ACOH(3.0ml)에 용해하였다. 이 용액에, 염화파라듐(41mg)과 초산나트륨(38mg)을 가하였다. 이 혼합물을 초음파 교반기로 5시간 교반하고 여과하여 감압 농축하였다. 잔유물은 초산에틸에 용해하였다. 용액은 포화 NaHCO3용액과 NaCl용액으로 세정하고, MgSO4로 건조하여 감압하에 농축한다.
잔유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와코겔 C-300,10g)을 이용하여 정제하고 4% MeOH-함유 클로로포름으로 용출하여 화합물(25)(117㎎,56%)을 얻었다.
Figure kpo00052
[실시예 21]
화합물(25) (125mg,0.117m mol)을 디클로로메탄(1.0ml)에 용해한 용액에 트리클로로 아세트니트릴(68㎎)가 NaH(60% 유성) (5mg)을 교반하면서 얼음 냉각 조건하에서 가하였다. 혼함물을 2시간 동안 교반하고, 셀라이트(상품명)로 여과하여 농축한다.
잔유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와코겔 C-300,5g)을 이용하여 정제하고 초산에틸로 용출하여 화합물(26)(99㎎,69.7%)을 얻었다.
Figure kpo00053
[실시예 22]
활성화한 MS, 4A(0.5g)에 화합물(26) (43㎎,0.035m mol), 화합물(IV) (27㎎,0.035m mol) 및 CHCl3(0.5ml)를 가하였다. 얼음냉각 조건에서 교반하면서이 혼합물에 BF3·OEt2(5μl)를 가하였다. 이 혼합물을 실온에서 24시간 교반하였다. 여과 후에, 불용물은 클로로포름으로 세정하였다. 여과액과 세액을 합하여 감압 농축하였다.
잔유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와코겔 C-300,12g)을 사용하여 정제하고, 3% MeOH 함유 클로로포름으로 용출하여 화합물(27)(23㎎)을 얻었다.
Figure kpo00054
[실시예 23]
화합물(27) (27mg,0.015m mol)을 메탄올(0.5ml)에 용해하였다. 이 용액에 N-NaOMe(0.036ml)을 가하고, 실온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석출하는 결정을 THF(0.5ml)를 가하여 용해하였다. 혼합물을 2시간 동안 추가 교반하고 감압 농축하였다. 잔유물에, 80%MeOH 수용액(3.0ml)와 THF(3.0ml)를 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5시간 교반하고 감압 농축하였다. 잔유물에 물을 가하였다. 불용물을 수집하여 화합물(28)(12.7㎎,65.8%)을 얻었다.
Figure kpo00055
[실시예 24]
벤질 갈락토시드(화합물 A)(8.1g,30m mol)을 아세톤(150ml)에 현탁시켰다. 이 현탁액에, 파라톨루엔 설폰산(600mg)과 2,2-디메톡시프로판(4.32g)을 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트리에틸아민(2ml)를 가한 후에, 혼합물을 감압 농축하였다.
잔유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SiO2C-300,300g)을 이용하여 정제하고 톨루엔-에틸아세테이트(1:2)로 용출하여 화합물 B(6.2㎎,66.7%)을 얻었다.
Figure kpo00056
[실시예 25]
NaH 50%(46mg)을 헥산으로 세정한 후 화합물 B(100mg,0.32m mol)을 DMF(3ml)에 용해한 용액을 가하였다. 용액을 실온에서 30분간 교반하고 얼음 냉각한 후 브롬화벤질(165mg)을 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교반한 후 MeOH(1ml)를 가하였다. 여기에 초산에틸과 포화 NaCl용액을 가하고 흔들었다. 초산에틸층은 MgSO4로 견조되고 감압 농축하였다
잔유물은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SiO2C-300,10g)을 이용하여 정제하고 톨루엔-초산에틸(10:1)로 용출하여 화합물 C를 얻었다. (111㎎,70.2%)
Figure kpo00057
Figure kpo00058
[실시예 26]
화합물 C(12.3gm,25m mol)을 80% AcOH(50ml)에 용해하고, 60℃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에테르로 세정하여 침상결정체(5.2g,46%)인 화합물 D를 얻었다.
Figure kpo00059
[실시예 27]
50% NaH(1.07g)을 헥산에 세정한 후 DMF(10ml)에 용해된 이소프로필리덴 유도체 F(1.41g,3.00m mol)을 가하고 0℃에서 30분간 교반하고, 여기에 브롬화벤질(2.7ml)을 가하였다. 이 혼합물을 실온에서 하루밤 교반하고 0℃로 냉각하였다. 여기에 메탄올을 가하였다. DMF는 제거하였다. 잔유물을 초산에틸에 용해하였다.
용액을 수세하고, MgSO4로 건조하고, 감압 농축하여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SiO2C-300,70g)를 이용하여 정제하고 톨루엔-초산에틸(9:1)로 용출하여 화합물 G(1.725g,62.1%)를 얻었다.
Figure kpo00060
[실시예 28]
화합물 G(5.11g,5.53m mol)을 AcOH(50ml)에 용해하고, 여기에 물(10ml)을 가하였다. 혼합물을 60℃에서 2시간 교반하고 감압 농축하였다. 그 결과 건조한 고체를 헥산에 현탁하고 세정하고 화합물 H(4.82,98.5%)를 얻었다.
Figure kpo00061
[실시예 29]
활성화한 MS, 4A(15g)에, Hg(CN)2(3.03g), HgBr2(1.44g), 화합물 D(1.80㎎,4m mol)과 디클로로에탄(6ml)을 가하였다. 혼합물을 아르곤 기류내에서 1분간 교반하였다. 이 용액에, N-아세틸 뉴라민산아세테이트 메틸에스테르(2.13g 4m mol)로 합성한 화합물 E를 디클로로에탄(6ml)에 용해한 용액 1/2을 가하고 1시간 후에, 나머지 1/2을 가하여, 이 혼합물을 실온에서 하룻밤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여과하였다. 불용물을 초산에틸로 세정하였다. 여과액과 세정액을 합하여, 포화 NaCl 용액으로 3번 세정하고, MgSO4로 건조하여 감압 농축하였다.
잔유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SiO2C-300,80g)을 이용하여 정제하고, 톨루엔-초산에틸(1:2)로 용출하여 화합물(31)과 화합물(32)와 (33)의 혼합물(N-아세틸 뉴라민산 아세테이트 메틸에스테르로부터 15%)을 얻었다.
혼합물은 바로 컬럼(β-사이즈)을 이용하여 10% MeOH 함유 톨루엔으로 용출하여 화합물(33)(α체,190mg)과 화합물(32)(β체,300mg)으로 분리하였다.
Figure kpo00062
Figure kpo00063
Figure kpo00064
[실시예 30]
화합물(31) (60mg)을 MeOH(2.0ml)에 용해하였다. N-NaOCH3(0.3ml)를 가하였다. 이 혼합물을 24시간 교반하였다. 그리고 앰벌리스트 A-15(상품명)으로 중화하고 여과하였다. 여과모액을 감압 농축하여 화합물(34)의 결정성 분말을 얻었다.(33mg,67.8%)
Figure kpo00065
[실시예 31]
화합물(31) (200mg)을 MeOH(12ml)에 용해하고, 여기에 N-NaOMe(1.1ml)을 가하였다. 반응액을 실온에서 24시간 교반하고, 앰벌라이트 CG-50(상품명)으로 중화한 후 셀라이트(상품명)로 여과하였다.
잔유물은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실란화 실리카겔,10g)를 이용하여 정제하고 MeOH-H2O(1:2)로 용출하여 화합물(35)(109㎎,63.6%)을 얻었다.
Figure kpo00066
[실시예 32]
화합물(35) (108mg)을 MeOH-H2O(9:1)(5ml)에 용해하였다. 실온에서 24시간 동안 촉매환원을 행하고 다시 60℃에서 5시간 행하였다. 반응액을 감압 농축하였다.
잔유물을 로바 컬럼(PR-8,사이즈 A))를 이용하여 정제하고, 메탄올-몰(80:1)로 용출하여 화합물(36)(23.1㎎,33.1%)을 얻었다.
Figure kpo00067
[실시예 33]
화합물(32) (106mg,0.11m mol)을 MeOH(3ml)에 용해하고, 여기에 N-NaOHe(0.3ml)를 가하였다. 반응액을 실온에서 24시간 교반하고, 앰벌리스트A-15(상품명)으로 중화한 후 감압 농축하였다.
잔유물을 로바 컬럼(PR-18,사이즈 β)를 이용하여 정제하고, MeOH-H2O(3:1)로 용출하여 화합물(37)(60㎎,70.5%)을 얻었다.
Figure kpo00068
[실시예 34]
화합물(37) (63mg)을 MeOH(2.0ml)에 용해하고, 여기에 10% Pd-C(63mg)을 가하였다. 24시간 동안 접촉환원을 수행하였다. 반응액을 여과하여 Pd-C를 제거하고 감압 농축하여 거의 정량적으로 화합물(38)을 얻었다.
Figure kpo00069
[실시예 35]
화합물(33) (260mg,0.28m mol)을 MeOH(5ml)에 용해하고, N-NaOMe(1.12ml)를 가하였다. 이 혼합용액을 실온에서 24시간 교반하고, 앰벌리스트 A-15(상품명)으로 중화하고 여과하여 감압 농축하였다.
잔유물을 로우바 컬럼(PR-,사이즈 β)를 이용하여 정제하고, MeOH-H2O(3:1)와 함께 정제하여 화합물(39)를 얻었다(120㎎,57.5%).
Figure kpo00070
Figure kpo00071
[실시예 36]
화합물(39) (108mg,0.146m mol)을 MeOH(5ml)에 용해하고, 여기에 10%Pd-C(200mg)을 가하였다. 24시간 동안 접촉환원을 행하였다. 반응액과 여과하여 Pd-C를 제거하고 감압 농축하여 화합물(40)을 얻었다. (68㎎,약 100%)
Figure kpo00072
[실시예 37]
화합물(32) (577mg,0.625m mol)을 무수초산(10ml)와 피리딘(10ml)에 용해하였다. 이 반응액을 24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감압 농축하였다.
잔유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SiO2C-300,80g)을 이용하여 정제하고 톨루엔-초산에틸(1:2)로 용출하여 화합물(41)(477㎎,79.1%)을 얻었다.
Figure kpo00073
[실시예 38]
화합물(41) (379mg,0.39m mol)을 MeOH(15ml)에 용해하고, 여기에 10%Pd-C(200g)을 가하였다. 실온에서 24시간 동안 접촉환원을 행하였다. 여과 후에, 반응액을 갑압 농축하였다. 잔유물을 무수초산(5ml)과 피리딘(5ml)의 혼합 용매에 용해시키고, 실온에서 3시간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감압 농축하였다. 잔유물을 초산에틸에 용해하고, 수세하여 MgSO4로 건조하고 감압 농축시켰다.
잔유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C-300,20g)을 이용하여 정제하고, 15% MeOH 함유 이소프로필에테르로 용출하여 화합물(42)(181㎎,61.7%)을 얻었다.
Figure kpo00074
[실시예 39]
화합물(33) (195mg,0.211m mol)을 무수초산(10ml)과 피리딘(10ml)에 용해하였다. 반응액을 실온에서 24시간 교반하고 감압 농축하였다.
잔유물을 실리카겔 컬럼과 로바 콜럼(β-사이즈)를 이용하여 정제하고 톨루엔-에틸아세테이트(1:2)로 용출하여 화합물(43)(148㎎,72.6%)을 얻었다.
Figure kpo00075
[실시예 40]
화합물(43) (99mg, 0.10m mol)을 MeOH(5ml)에 용해하고, 10% Pd-C(100mg)을 가하였다. 실온에서 접촉환원을 24시간 수행하였다. 반응액을 여과하여 Pd-C를 제거하고 감압 농축하였다. 잔유물을 무수초산(1ml)와 피리딘(1ml)에 용해하고, 실온에서 24시간 교반하고 감압 농축하였다.
잔유물을 로바 컬럼(사이즈 A)를 이용하여 정제하고 초산에틸-톨루엔(2:1)의 혼합용매로 용출하여 화합물(44)(77mg)을 얻었다.
Figure kpo00076
[실시예 41]
화합물 H(3.85g,4.4m mol), Hg(CN)2(1.36g)과 HgBr2(648mg)을 MS 4A(7.2g)에 가하고, 아르곤기류내에서 디클로로에탄(5ml)을 가하고 실온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이 용액에 N-아세틸-D-아세틸뉴라미닐 클로라이드(화합물 E) (916㎎,1.8m mol)과 디클로로에탄(5ml)에 용해한 용액의 1/2을 가하고, 1시간 후, 그 용액의 나머지 1/2을 가하였다. 반응액을 실온에서 2일간 교반하고 여과하였다. 불용물은 에틸아세테이트로 세정하였다. 여과액과 세정액을 합하여, 수세하고, MgSO4로 건조하여 감압 농축하였다.
잔유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C-300,180g)을 이용하여 정제하고 톨루엔-초산에틸(1:2)로 용출하여 화합물(45) (93mg,3.8%)과 화합물(46)과 (47)(425mg,17.4%)의 혼합물을 얻었다.
혼합물(425mg)을 로바 컬럼(사이즈 β)을 이용하여 정제하고, 10% MeOH 함유 톨루엔으로 용출하여 화합물(46)(β체,255mg)과 화합물(47)(α체,100mg)으로 분리하였다.
Figure kpo00077
Figure kpo00078
Figure kpo00079
[실시예 42]
화합물(46) (136mg, 0.1m mol)을 MeOH(5ml)에 용해하고, N-NaOMe(0.8ml)를 가한다. 이 반응액을 실온에서 24시간 교반하고 앰벌리스트 A-15(상품명)으로 중화하고, 여과하고 수지를 제거하고 감압 농축한다. 잔유물에 0.1N-NaOH용액(1.0ml)를 가한다.
반응액을 실온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하고, 앰벌리스트 A-15(상품명)로 중화하고 여과하여 감압 농축하여 화합물(48)을 얻는다.(96mg,80.6%)
Figure kpo00080
[실시예 43]
화합물(48)(84mg,0.071m mol)을 MeOH(5ml)에 용해하고 10% Pd-C(100mg)을 가하였다. 실온에서 2일간 접촉환원을 행하였다. 반응액을 여과하여 Pd-C를 제거하고 농축하여 화합물(49)(42mg,93.7%)을 얻었다.
Figure kpo00081
[실시예 44]
화합물(47)(136mg,0.1m mol)을 MeOH(5ml)에 용해하고, N-NaOMe(0.6ml)을 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24시간 교반하고 앰벌리스트 A-15(상품명)을 중화하여, 여과하고 감압 농축하였다. 잔유물을 0.1N-NaOH용액(1.0ml)와 MeOH(2.0ml)와 혼합하여 실온에서 7시간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앰벌리스트 A-15(상품명)로 중화하고 감압 농축하여 화합물(50)을 얻었다.(97mg,81.4%)
Figure kpo00082
[실시예 45]
화합물(50)(80mg,0.067m mol)을 MeOH(5ml)에 용해하고, 10% Pd-C(100mg)을 가하였다. 실온에서 24시간 접촉환원을 행하고, 여과하여 Pd-C를 제거하고 감압 농축하여 정량적으로 화합물(51)(42mg)을 얻었다.
Figure kpo00083
[실시예 46]
화합물(47)(507mg,0.373m mol)을 무수초산(5.0ml)와 피리딘(5.0ml)에 용해하고 실온에서 24시간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와코겔 C-300,50g)을 이용하여 정제하고, 10% MeOH-함유 톨루엔으로 용출하여 화합물(52)(484mg,93%)을 얻었다.
Figure kpo00084
[실시예 47]
화합물(52)(427mg,0.305m mol)을 MeOH(15ml)에 용해하고, 10% Pd-C(200mg)을 가하였다. 접촉환원을 수행하였다. 환원이 완료된 후에 화합물(53)(TLC, BuOH-EtOH-H2O 4:2:2, Rf 0.55)을 함유한 반응액을 여과하여 Pd-C를 제거하고 감압 농축하였다. 잔유물을 무수초산(5ml)과 피리딘(5ml)에 용해하고 실온에서 2시간 교반하였다. 혼합물은 감압 농축하였다.
잔유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C-300,10g)을 이용하여 정제하고, 초산에틸로 용출하여 화합물(54)(235mg,69.3%)을 얻었다.
Figure kpo00085
[실시예 48]
화합물(54)(190mg,0.171m mol)을 DMF(1.0ml)에 용해하고, 50℃까지 가열하여 히드라지늄 아세테이트(19mg)을 가하여 5분간 교반하였다. 냉각 후에, 초산에틸(10ml)를 반응액에 가하여 30분간 교반하였다. 다시 초산에틸로 희석하고 포화 NaCl용액으로 세정하였다. 유기층을 MgSO4로 건조시켜 감압 농축하였다.
잔유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와코겔 C-300,10g)을 이용하여 정제하고 1% MeOH-함유 초산에틸로 용출하여 화합물(19)(148mg,81.0%)을 얻었다.
[실시예 49]
화합물(19)(145mg,0.136m mol)을 염화메틸렌(1.0ml)에 용해하였다. 여기에 트리클로로 아세토니트릴(54μl)와 NaH(60% 유성)(7.0mg)을 얼음 냉각 조건하에 가하고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감압 농축하였다.
잔유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와코겔 C-300,10g)을 이용하여 정제하고, 초산에틸로 용출하여 화합물(20)(110mg,66.8%)을 얻었다.
Figure kpo00087
[실시예 50]
활성화한 MS 4A(0.5g), 화합물(20)(60mg,0.049m mol), 화합물(IV)(37mg,0.049m mol)을 아르곤 기류하에 얼음 냉각 조건에서 CHCl3(0.5ml)에 용해하였다. 이 반응액에, BF3·Et2O(7μl)를 가하고 교반하였다. 이 반응액을 얼음 냉각하에 2시간 동안 교반하고 실온에서 2시간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CHCl3로 희석하고, 세라이트로 여과하였다. 불용성 물질은 여과되었다. 모액을 감압 농축하였다.
잔유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와코겔 C-300,12g)을 이용하여 정제하고, 3% MeOH-함유 클로로포름으로 용출하여 화합물(21)을 얻었다.(32mg,36%)
Figure kpo00088
[실시예 51]
화합물(21)(25mg,0.014m mol)을 메탄올(0.5ml)에 용해하였다. 1N-NaOMe(56μl)를 가하고 실온에서 24시간 교반하였다. 혼합물은 농축되었다. 잔유물에 물(0.1ml), THF(0.5ml) 및 MeOH(0.5ml)를 가하고 5시간 교반하였다. 앰벌리스트 A-15(상품명)을 가하여 중화하고 여과하였다. 모액을 감압 농축하였다. 잔유물은 MeOH로부터 재결정되어 화합물(21)(11mg,61.7%)을 얻었다.
Figure kpo00089

Claims (2)

  1. (가) 글리코시드화 촉매의 존재하에서 화합물(20)을 세라미드(IV)와 반응시켜 화합물(21)을 얻는 공정과,
    Figure kpo00090
    글리코시드화 촉매
    Figure kpo00091
    (상기식들중에서 R1은, C13H27, R2는 C23H47, Bz는 벤조기일, -1는 OAc를 각각 나타냄), (나) 상기 화합물(21)에서 아세틸기 및 벤조일기를 제거하여 다음식의 화합물(22)을 얻는 공정과로 이루어지는 강글리오시드의 제조방법.
    Figure kpo00092
  2. (가) 글리코시드화 촉매의 존재하에서 화합물(26)을 세라미드(IV)와 반응시켜 화합물(27)을 얻는 공정과,
    Figure kpo00093
    글리코시드화 촉매
    Figure kpo00094
    (상기식들중에서 R1은, C13H27, R2는 C23H47, Bz는 벤조기일, -1는 OAc를 각각 나타냄), (나) 상기 화합물(27)에서 아세틸기 및 벤조일기를 제거하여 다음식의 화합물(28)을 얻는 공정과로 이루어지는 강글리오시드의 제조방법.
    Figure kpo00095
KR1019850004716A 1984-06-28 1985-06-28 강글리오시드의 제조방법 KR9200028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9-133881 1984-06-28
JP59133881A JPS6112695A (ja) 1984-06-28 1984-06-28 シアル酸誘導体
JP84-133882 1984-06-28
JP84-133881 1984-06-28
JP59133882A JPS6112697A (ja) 1984-06-28 1984-06-28 ガラクト−ス誘導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0312A KR860000312A (ko) 1986-01-28
KR920002826B1 true KR920002826B1 (ko) 1992-04-04

Family

ID=264681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4716A KR920002826B1 (ko) 1984-06-28 1985-06-28 강글리오시드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4968786A (ko)
EP (1) EP0166442A3 (ko)
KR (1) KR920002826B1 (ko)
AU (1) AU582758B2 (ko)
CA (1) CA1262129A1 (ko)
ES (1) ES8609354A1 (ko)
HU (1) HU19681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Z222192A (en) * 1986-10-20 1991-03-26 Kanto Ishi Pharma Co Ltd Glycolipid containing n-glycolylneuraminic acid, and preparation thereof
US5192661A (en) * 1987-08-04 1993-03-09 University Of Ottawa Multicomponent kit containing an antibody to a synthetic antigen of sialic acid
US5034516A (en) * 1987-08-04 1991-07-23 University Of Ottawa Synthetic antigens of sialic acid and derivatives thereof
US5079353A (en) * 1987-12-02 1992-01-07 Chembiomed, Ltd. Sialic acid glycosides, antigens, immunoadsorbents, and methods for their preparation
US5344870A (en) * 1987-12-02 1994-09-06 Alberta Research Council Sialic acid glycosides, antigens, immunoadsorbents, and methods for their preparation
US5272138A (en) * 1988-02-12 1993-12-21 The Biomembrane Institute Naturally occurring gangliosides containing de-N-acetyl-sialic acid and their applications as modifiers of cell physiology
JPH0276892A (ja) * 1988-06-16 1990-03-16 Toshio Goto 3−フェニルチオシアル酸誘導体、その製造方法、シアル酸含有オリゴ糖誘導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782069B2 (ja) * 1988-08-12 1998-07-30 和光純薬工業株式会社 ガングリオシド類の新規な製造法
JP2745059B2 (ja) * 1989-03-08 1998-04-28 メクト株式会社 N―アセチルノイラミン酸ナトリウム・三水和物
JPH03242553A (ja) * 1990-02-19 1991-10-29 Mect Corp エピシアロ複合糖質を含む製剤
JPH04159290A (ja) * 1990-10-22 1992-06-02 Mect Corp Gm↓3類縁化合物及びその合成法
US5264567A (en) * 1990-10-22 1993-11-23 Mect Corporation GM3 analogous compound
US5646123A (en) * 1991-06-10 1997-07-08 Alberta Research Council Time dependent administration of oligosaccharide glycosides related to blood group determinants having a type I or type II core structure in reducing inflammation in a sensitized mammal arising form exposure to an antigen
US8999954B2 (en) * 2007-07-03 2015-04-07 Childern's Hospital & Research Center at Oakland Inhibitors of polysialic acid de-N-acetylase and methods for using the same
AU2008272792B2 (en) 2007-07-03 2014-03-06 Children's Hospital & Research Center At Oakland Oligosialic acid derivatives, methods of manufacture, and immunological uses
CA2692417C (en) 2007-07-03 2017-03-21 Children's Hospital & Research Center At Oakland Polysialic acid derivatives, methods of production, and uses in enhancing cancer antigen production and targeting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30512A (en) * 1978-03-30 1979-10-09 Rikagaku Kenkyusho Preparation of selectively-benzylated sugar derivatives
FI67386C (fi) * 1979-06-21 1985-03-11 Hoffmann La Roche Foerfarande foer framstaellning av nya terapeutiskt anvaendbara sockerderivat
DE2942365A1 (de) * 1979-10-19 1981-05-14 Bayer Ag, 5090 Leverkusen 2-hydroxyalkyl-3,4,5-trihydroxy-(pi)-peridin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als arzneimittel
US4495346A (en) * 1981-03-30 1985-01-22 Wisconsin Alumni Research Foundation Method of preparing a disaccharide
US4521592A (en) * 1981-10-23 1985-06-04 Svenska Sockerfabriks Ab Compounds for therapeutic or diagnostic use, a process and intermediates for their preparation
DE3374317D1 (en) * 1982-11-26 1987-12-10 Nippon Kayaku Kk Process for producing 4'-demethyl-epipodophyllotoxin-beta-d-ethylidene-glucoside and acyl-derivative thereof
US4514561A (en) * 1983-04-15 1985-04-30 Research Corporation Process for preparing α-L N-acetyl daunosaminide
US4521240A (en) * 1983-04-29 1985-06-04 Chevron Research Company 5-C-Alkyl-3-O-arylmethyl or substituted arylmethyl-1,2-O-alkylidene-α-
US4609478A (en) * 1984-02-21 1986-09-02 Olin Corporation Sulfonated alkyl glucosides and use thereof in oil recovery
IT1199116B (it) * 1984-07-03 1988-12-30 Fidia Farmaceutici Derivati di gangliosidi
SE8501613D0 (sv) * 1985-04-01 1985-04-01 Bio Carb Ab Foreningar for terapeutisk eller diagnostisk anvendning jemte forfarande for terapeutisk behandl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U196818B (en) 1989-01-30
CA1269366C (ko) 1990-05-22
HUT38653A (en) 1986-06-30
AU582758B2 (en) 1989-04-13
EP0166442A3 (en) 1987-10-21
ES544630A0 (es) 1986-09-01
US4968786A (en) 1990-11-06
CA1262129A1 (en) 1989-10-03
ES8609354A1 (es) 1986-09-01
KR860000312A (ko) 1986-01-28
AU4421285A (en) 1986-01-02
EP0166442A2 (en) 1986-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2826B1 (ko) 강글리오시드의 제조방법
Hirama et al. Stereodivergent total synthesis of N-acetylacosamone and N-benzoylristosamine
JPH0899989A (ja) 新規糖脂質誘導体およびその製造用中間体
US4797477A (en) Process for preparing sialic acid derivatives
EP0242736B1 (en) Sialosylceramides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JP3231765B2 (ja) デメチルエピポドフィロトキシンの製造方法
US5066645A (en) Epipodophyllotoxin altroside derivatives
US4751290A (en) Sialosylcerebrosides
US5264567A (en) GM3 analogous compound
US5519122A (en) 16-membered macrolide derivatives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US5380832A (en) Ganglioside GM3 analogs
JP2540400B2 (ja) L−タロピラノシド誘導体の製造方法
JPH0742304B2 (ja) 新規なアンスラサイクリン誘導体およびその製造法
US4914195A (en) Process for preparing N-acetylneuraminic acid derivatives
Sznaidman et al. Synthesis of 5-O-methyl-d-galactofuranose
JPH0149354B2 (ko)
JP2573594B2 (ja) Nーアセチルー3ーフルオローノイラミン酸誘導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629852B2 (ja) グリコシル化合物の製造方法
JP2744843B2 (ja) 新規なコナゲニン誘導体
JP2881495B2 (ja) プラジマイシン誘導体
CN1172945C (zh) 抗肿瘤药依托泊甙合成新方法
JP5296368B2 (ja) グリチルリチン及びその誘導体の製造方法
JPH02292295A (ja) エトポシドの製造方法
JPS61282390A (ja) S−ノイラミン酸誘導体
FR2638457A1 (fr) Procede de synthese specifique d'esters d'acides dithiocarbamiques par substitution de sites hydroxyles sur des molecules mono- ou polyhydroxylees, produits obtenus par ce procede et leurs applic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