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6618B1 - 명주(絹)로 걸러서 만든 두부의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명주(絹)로 걸러서 만든 두부의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6618B1
KR910006618B1 KR1019860011537A KR860011537A KR910006618B1 KR 910006618 B1 KR910006618 B1 KR 910006618B1 KR 1019860011537 A KR1019860011537 A KR 1019860011537A KR 860011537 A KR860011537 A KR 860011537A KR 910006618 B1 KR910006618 B1 KR 9100066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fu
pack
soymilk
temperature
coagu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115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2454A (ko
Inventor
젠지 나가다
Original Assignee
산요오 쇼꾸힌 가부시기가이샤
젠지 나가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요오 쇼꾸힌 가부시기가이샤, 젠지 나가다 filed Critical 산요오 쇼꾸힌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800024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24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66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66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40Pulse curds
    • A23L11/45Soy bean curds, e.g. tofu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05Mashed or comminuted pulses or legumes; Products made therefrom
    • A23L11/07Soya beans, e.g. oil-extracted soya bean flak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3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r apparatus
    • A23P30/10Mould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20Ingredients acting on or related to the structure
    • A23V2200/218Coagulan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24Heat, thermal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34Membrane proces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Botan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eans For Foods Or Fodder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명주(絹)로 걸러서 만든 두부의 제조장치
제1도는 본 발명 명주로 걸러서 만든 두부의 자동제조장치의 개략을 표시하는 단면도.
제2도는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응고 공정 B : 분리 공정
C : 팩포장 공정 1 : 응고 탱크
2 : 이송판 4 : 가열장치
6 : 탕조 7 : 절단용 칼
본 발명은 명주로서 걸러서 만든 두부의 자동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물에 담아놓은 대두(콩)를 분쇄하여 끓여서 삶은 후 찌꺼기를 분리한 두유(豆乳)는 80℃ 전후의 온도를 가지고 있다.
이 고온의 두유에 응고제를 주입 혼합하고, 이것을 응고시켜서 명주로 걸러서 두부를 제조한다.
두부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충전두부와 절단두부로 구분된다.
충전두부는 상기한 두유를 일단 냉각하여 여기에 응고제를 혼합해서 두부 한모분의 크기, 형상을 보유하는 상자모양, 도시락 상자모양을 한 팩 내부에 주입·밀봉한 후 이것을 응고온도까지 가열해서 응고시키는 것으로서, 이 충전두부에 있어서는 팩에 두유를 충전밀봉할 때 두유내에 혼입하는 공기가 두유를 가열할 때, 혹은 충전 후 시간의 경과에 따라서 기포로 되어서 팩내의 두유표면으로 떠올라서 이 상태로서 응고하면, 두부표면에 거품이 올라오는 형상이 형성되는 것으로 된다.
이 거품이 올라오는 형상은 상품의 가치를 저하시키는 것으로 된다.
이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데아레이터에 의하여 혼입된 공기를 뽑도록 하고 있으나 완전하게 행할 수 없었다.
절단(cut)두부는 충전두부에 비하여 큰 모양으로서, 최소한 두부의 여러모 되는 부분을 보유하는 크기의 응고상자 속에서 응고시키고, 이것을 소정의 칫수 즉 두부 한모분의 크기로 절단하는 것이다.
이 절단두부에 있어서는 두유를 응고상자에 주입할 때 혼입되는 공기의 기포는 두유가 응고할 때까지 어느 정도 빠져나가므로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기포가 나오는 형상은 형성되는 일이 적다.
또한 면포로 걸러서 만든 두부는 일단 응고한 두부를 한차례 분해분쇄하고, 이 분해분쇄한 두부조각을 상자틀내에 충전하며, 이것을 가압·탈수 성형한 것에 대하여, 명주로 걸러서 만든 두부는 두유에 응고제를 혼합하고, 그 상태로서 응고시켜서 제품으로 하는 것이다.
이 명주로 걸러서 만든 두부, 면포로 걸러서 만든 두부중 어느 것에 있어서도 두부를 응고시키기 위하여 사용하는 응고제로서 일반적으로 황산칼슘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 황산칼슘 대신으로 천연간수로서 알려진 염화마그네슘을 사용하는 편이 맛있는 두부를 제조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천연 간수는 두유에 단맛을 나게 하고, 맛있는 두부로 할 수 있는 한편 두유를 응고시키는 온도 및 속도가 황산칼슘과 다르다.
천연 간수의 응고속도는 빠르다.
이 때문에 면포로 걸러서 만든 두부에는 천연 간수를 용이하게 사용할 수가 있더라도 명주로서 걸려서 만든 두부에 있어서는, 이 사용에 즈음하여 먼저 80℃ 전후의 고온도인 두유를 일단 냉각할 필요가 있다.
이것은 천연 간수를 고온의 두유에 혼합하면 즉시 응고하기 시작하여 균질이 안되는 두부로 되어버리는 까닭이다.
그러나 고온의 두유를 냉각한다 하더라도 생산성 등의 점에서 비추어서 두유냉각 온도에도 한도가 있다.
따라서 종래 명주로 걸러 만든 두부제조에 즈음하여, 천연 간수의 사용량은 응고제 충분량의 고작해야 10-20% 정도이며, 그 이상의 혼입은 응고에 불균일이 생겨서 발이 가늘은 두부로 되지 않고, 상품가치가 적은 것으로 되어서 20% 이상의 혼입은 불가능하였다.
천연 간수를 20% 혼입하는 경우라도 염화마그네슘 20%, 황산칼슘 80% 합계 100%의 응고제를 두유에 한꺼번에 혼합하면 역시 응고에 불균일이 발생하기 때문에, 먼저 두유에 염화마그네슘을 응고제 총량의 20% 혼입하고, 이어서 황산칼슘 80%를 혼입하여 합계 100%로 하고 있다.
이 때문에 천연 간수를 사용한 명주로 걸러서 만드는 두부의 제조에는 시간과 공정수가 많이 필요하고, 또한 천연 간수의 사용하는 비례분량에도 한도가 있다.
따라서 명주로 걸러서 만드는 두부의 제조에 즈음하여, 위에서 설명한 이유에서 천연 간수의 상용하는 비례분량이 증가하면 그만큼 맛있는 두부를 제조할 수 있는 것을 알고 있다하여도, 그 사용량에는 한도가 있었다.
또한 절단된 명주로 받혀서 만든 두부는 유연해서 매우 바스러지기 쉽기 때문에 소정형상으로 제조된 명주로 걸러서 만든 두부를 한모씩 팩에 집어넣은 경우, 공기중에서 이 작업을 행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 때문에 종래 두부에 팩에 집어 넣을 때에는 명주로 걸러서 만든 두부를 물에 담그고 이것을 작업자에 의하여 한모씩 바스러지지 않도록 주의하면서 수중에서 손으로 건져 올리고, 이것을 다른쪽의 손에 갖고 있는 팩에 넣고, 그후 콘베이어 등의 반송방법을 개재해서 또는 직접 손으로서 자동포장기로 공급하여 두부가 들어있는 팩을 폴리에틸렌 필름 등의 얇은 필름으로서 포장하여 출하하고 있다.
이 두부의 팩에 넣는 것은 다량으로 제조하여서 슈퍼 마켓트나 소매점으로 도매로 넘기는 제조업자에 있어서는 필요 불가결한 작업이다.
그러나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명주로 받혀서 만드는 두부는 유연하여 매우 바스러지기 쉽기 때문에 자동적으로 즉 기계적으로 이것을 포장하거나, 혹은 팩에 넣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 때문에 두부는 물 속에 담겨진 상태로서 작업자가 바스러지지 않도록 주의하면서 건져올려서 팩에 넣게 되어서 능률이 나쁘고, 제조공정에 있어서 많은 사람의 손이 필요하였던 것이다.
또는 작업자가 손으로서 건져올려 잡히는 정도의 따뜻한 물이나 물을 사용하기 때문에 두부에 잡균이 부착하기 쉽고, 이것이 밀봉포장 후 번식될 염려가 있어서 여러날을 보전하기에 나쁜 것으로 되어 있다.
본 발명은 두부의 제조에서, 응고한 두부를 일정한 모양으로 절단하고 정렬시킨 후에 이것을 팩속에 삽입하여 포장공정으로 내보내기까지의 공정을 자동적으로, 또한 두부에 잡균이 부착하거나 번식하지 않는 정도의 높은 온도의 물 또는 물로서 공기에 접촉하지 않고 반송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두부에 소정의 비율의 응고제를 혼입하고, 이것을 트랩모양의 응고 탱크내를 연속적으로 이송시켜서 응고시키는 응고 공정과, 이 응고 공정에서 얻어진 두부를 그 탕속에서의 반송하는 도중에서 일정한 모양으로 절단하고, 또한 팩에 넣는데에 적합하도록 이 절단된 일정한 형태의 두부를 서로 사이가 떨어지게 하며, 또한 물속에 경사지게 집어넣는 분리 공정과, 끓는 물 탱크 내부로 빠져들어가도록 해서 공급되는 팩의 공급과 동조하여, 앞의 분리공정에서 팩 내부로 두부를 밀어넣는 팩에 수용공정을 일련으로 배치설치함과 동시에 이 각 공정사이로 이송할 때 죽은균 혹은 멸균상태를 보전할 수 있는 온도를 보유한 탕이나 또는 수중에서 행한다.
다음에 본 발명인 명주로 걸러서 만든 두부(이하 두부라고 말한다)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도면에 표시하는 실시예에 따라서 설명한다.
본 발명은 대두를 쥐어짜서 얻어진 80℃ 전후의 온도를 보유하는 두유에 일정한 비율의 응고제를 투입하고 혼합, 교반하여 이것을 이송하는 공정에 있어서 응고시키는 응고 공정(A)과, 이 응고 공정에서 얻어진 두부를 일정한 크기로 절단하고, 또한 다음 고정에서 팩에의 넣는 것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도록 두부를 한모씩 분리하여 이송하는 분리 공정(B)과, 분리하여 이송되어오는 두부를 탱크내의 탕속에서 팩에 넣는 팩포장 공정(C)을 일련으로 배치해서 이루어지며, 응고한 두부를 균을 죽게 혹은 멸균온도를 보유하는 탕속에 담가서 자동적으로 이송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대두를 쥐어짜서 얻은 두유는 보통 80℃ 전후의 높은 온도이다.
이 때문에 천연 간수(염화마그네슘)가 설정된 양을 직접 혼입하면 두부는 순간적으로 응고하여서 두부에 질이 고르지 않은 부분이 생긴다.
본 발명에서는 천연 간수를 투입하는 비율량에 응하여 두유에 비균질이 생기지 않을 정도로 두유온도를 내린다.
이 응고제 총량에 대하여 천연 간수를 혼합하는 비율과, 응고 공정에 투입하는 두유의 초기온도와의 관계는 천연 간수량이 증가하면 두유온도는 저하시킬 필요가 있다.
즉 천연 간수의 비율량에 응해서 두유의 온도 80℃ 전후에서 일단 혼입되는 천연 간수에 의해서도 두유가 즉시 응고하지 않는 정도의 온도로 냉각한다.
이 냉각한 두유를 탱크(T1)에서, 또 일정한 비율의 분량의 천연 간수가 들어있는 응고제를 탱크(T2)에서 각각 혼합바켓트(Ba)내에 공급하고, 이어서 이 바켓트를 반전(反轉) 혹은 경전(傾轉)시켜서 두유 응고제를 혼합하도록 하여서 응고 공정(A)으로 공급한다.
이 응고 공정(A)에 있어서는 혼입된 천연 간수의 작용으로 두유가 응고하는 온도 80℃ 전후로 되도록 재가열되면서 연속적으로 이송된다.
이 때문에 응고 공정(A)은 트랩형상을 한 응고 탱크(1) 내부에 두부 한모분의 길이를 일정한 핏치로 하여서 다수의 이송판(2)(2)…을 무단상의 체인(3)(3)에 걸어서 부착하여 돌출설치한다.
응고 탱크(1)는 두유의 그 탱크내를 그 처음쪽에서 종단쪽까지 이송되는 사이에 응고하도록 하여서 탱크 길이와 두유 이송속도를 설정함과 아울러 응고 탱크(1)의 처음쪽에 투입되는 천연 간수를 혼입한 두유가 응고하는 온도까지 가열되도록 가열장치(4)가 배치하여 설치된다.
무단상의 체인(3)(3)은 두줄을 평행하게 하여 1쌍으로 하여 사용되며, 긴 응고 탱크(1)의 전체길이에 걸쳐서 그 탱크 윗부분에 평행하게 배치하여 설치되고, 이 탱크 양쪽 윗부분에 배치하여 설치한 평행한 두줄의 체인(3)(3)에 또한 탱크 끝부분 위치에 있어서 스프라켓 휘일(5)(5)을 맞물리며, 이로서 정속 혹은 변속 가능하게 구동한다.
그리고 이 평행하는 두줄의 체인(3)(3) 사이에 이송판(2)을 설정된 핏치로서 다수 돌출설치하고, 이 각 이송판(2)은 트랩형상 응고 탱크 내부를 연속적으로 이송되도록 한다.
따라서 응고 탱크의 시작하는 끝쪽에서 투입되는 천연 간수를 혼입한 두유는, 인접하는 이송판(2)(2) 사이와 트랩형상 응고 탱크의 폭·깊이에 의하여 필연적으로 정해지는 용적에 대략 대등도는 분량 혹은 그 이하의 분량으로 되도록 미리 개량하여 바켓트(Ba)내로 공급됨과 아울러 이송판의 한핏치 이송될 때마다 상기한 바켓트(Ba)를 1회 경사회전시켜서 두유를 바켓트에서 응고 탱크 처음쪽 안에 공급된다.
이송판(2)은 트랩형상 응고 탱크(1)의 양쪽내면과 내부 밑바닥면에 맞닿던가, 접근하는 크기로 하고, 이송판(2)(2) 사이에서 탱크내로 투입된 두유는 구분되면서 이 이동판의 구동으로서 탱크 내부를 순차적으로 이송된다.
또한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하여서 이송된 두유가 응고 탱크내에 이송할 때 응고하도록 가열장치(4), 예컨대 전기가열기, 증기가열기 등으로서 가열된다.
이것은 응고 탱크 전체길이에 걸쳐서 균일하게 가열하도록 해도 좋으나 효율적으로 응고시키도록 응고 탱크의 전체 길이로 복수의 가열장치(41)(42)(43)…을 배치하여 설치하여서 블록마다 온도조정을 가능하게 해서 가열할 수도 있다.
이것에 의하여 응고 탱크의 시작되는 끝쪽 가열장치 블록(41)에 있어서는 다른 블록보다 고온으로 가열하여 약간 냉각되어서 투입된 두유가 단시간내에서 응고온도까지 가온되도록 하고, 가운데부분 블록(42), 종단부쪽 블록(43)에서는 이 가온된 응고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온도조절 가열하여서, 이것에 의하여 응고탱크 전체길이에 걸쳐서 대략 균일하게 두유가 응고온도를 유지하여 이송판에 의해서 탱크내로 이송할 때 자연히 응고시켜진다.
또 응고 탱크(1)의 종단쪽 밑바닥면(1e)과 동일한 수평위치 혹은 밑바닥 위치보다 약간 낮은 위치로, 또한 응고 탱크의 길이가 긴쪽방향으로 연장하도록 콘베이어(23)을 배치하여 설치하고, 이 콘베이어(23)를 개재하여 응고 탱크 공정(A)과 다음의 분리 공정(B)을 연결 설치한다.
이 콘베이어(23)는 분리 공정(B)의 탕조(6)내에 배치하여 설치됨과 아울러, 이 콘베이어(23)의 윗쪽위치에는 압출기(24)를 설치한다.
이 압출기(24)는 응고 탱크(1)에서 밀려나온 두부가 콘베이어(23) 위에 이송재치되며, 이 콘베이어(23)의 구동은 이송판(2)의 이송속도보다 약간 빠르게 되도록 하고, 이것으로서 분리 공정쪽으로 이송될 때 다음의 두유와 접촉하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확실하게 분리 공정의 시작되는 끝에 있는 절단용 칼(7)에 두부를 밀어 누르도록 하여서 절단한다.
따라서 이 압출기(24)는, 응고 탱크 뒤쪽위치에서는 하강하고, 콘베이어(23)위로 이송재치된 두부의 뒷쪽끝을 미는 위치에 있어서 이 상태에서 콘베이어(23)의 구동속도로서 콘베이어(23)의 구동방향으로 이동시키며 위에서 설명한 절단용 칼로서 절단을 행한다.
그리고 절단 후 콘베이어 라인에서 상승시켜서 원래의 위치, 즉 응고 탱크 뒷쪽끝 위치로 복귀시킨 후에 재차 하강시키고, 콘베이어 위에 이송재치된 다음의 두부의 뒷쪽끝을 분리 공정쪽으로 밀어내도록 하여서 이 동작을 순차적으로 반복하는 것이다.
분리 공정(B)은 응고 탱크(1)에 연결설치 되는 탕조(6)와, 이 탕조(6)내에서 응고 공정에서 이송된 바아(bar)형상의 대형 두부에서 한모짜리의 크기로 절단하는 절단용 칼(7)과, 이 복수의 절단용 칼(7)이 한모부분의 간격마다 나란하게 늘어서 있는 각 절단용 칼의 뒷쪽끝에 인접하거나 혹은 맞닿게 설치하고, 또한 끝이 확대전개되는 상태로 하여서 절단된 두부를 분리시키는 안내판(8)과 이 안내판 사이의 이송홈 (8A)(8B)에 따라서 다음의 팩수용 공정으로 절단된 두부를 분리시키면서 이송하는 반송판(9)으로 구성된다.
이 분리 공정(B)의 탕조(6)내에는 죽은균 혹은 멸균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80℃ 전후의 탕을 응고 공정(A)의 수위위치와 동일하게 되도록 채우고, 응고 공정(A)에서 응고된 두부가 공기에 접촉하는 일없이 분리 공정(B)으로 옮겨져서 잡균의 부착 및 그 번식을 미연에 방지해서 멸균상태를 보전하도록 한다.
분리 공정(B)으로 내보내진 두부는 탕조(6)내의 시작하는 끝쪽에서 다가끝이 확대전개된 상태로 나란히 열을 짓는다.
안내판(8)의 각 앞쪽에 설치된 절단용 칼(7)로서 한모부분의 크기로 절단된다.
이 안내판(8)은 띠모양의 판을 수직으로 세워서 탕조의 길이가 긴쪽방향으로 복수개를 일정한 간격으로 나란하게 열을 지어서 배치하여 설치하는 바, 이 나란하게 열지어서 배치하여 설치되는 안내판(8)(8)…의 앞쪽 끝에 설치한 절단칼(7)의 앞쪽끝 간격을 두부 한모분의 두께로 되도록 해서 이 절단칼(7)(7) 사이에서 서서히 그 간격을 크게 되도록 각 안내판을 설치한다.
그리고 절단칼(7)로서 절단된 한모씩의 두부는 자연히 안내판(8)(8) 사이의 이송홈(8A)내로 인도되며, 또한 반송판(9)의 구동에 의하여 이송되는 바, 이때 절단된 두부는 옆으로 세워진 상태로 되어 있다.
그러나 안내판(8)(8)…은 탕조내에 끝이 넓게 펼쳐진 상태로 서서히 서로 사이가 떨어져 있는 것같이 배치되어 있으므로 반송판(9)으로 탕조내에서, 또한 안내판 사이내를 이송됨에 따라서 각 두부는 서서히 사이가 떨어지도록 된다.
이 안내판(8)의 종단부에 있어서는, 팩에 집어넣는데에 적합한 간격을 보유하도록 됨과 아울러, 이 분리공정(B)의 종단부분에 있어서 옆으로 세워놓는 상태에서 팩에 수용가능하도록 두부를 수평으로 쓸어지도록 한다.
이것은 안내판 간격이 그 시작되는 끝 간격보다 넓게 된 안내판의 종단부에 있어서, 옆으로 서 있는 두부를 수평으로 쓸어트리는 경사전도판(10)과, 이것과 대향한 수용판(11)을 설치한다.
이 경사전도판(10)은 분리판에서 경사여 그 밑부분끝에서 앞쪽끝으로 향하여 그 경사각을 크게 되고, 또한 안내판에서 돌출량이 크게 되도록 돌출설치하며, 이것에 의하여 인접하는 안내판(8)(8) 사이에서 형성되는 이송홈(8A)내를 반송판(9)으로서 순차적으로 이송되어 오는 옆으로 서있는 두부는 이 경도판에 서서히 수평방향으로 쓸어지도록 된다.
그리고 옆으로 서있는 상태에서 수평상태로 되는 위치에서, 또한 경사전도판과 대향된 위치에 있어서 경사전도판과 동일한 방향으로 경사한 수용판(11)에 지시되어서 원활하게 두부를 바스러트리지 않고 확실하게 안내판 사이의 폭이 넓은 이송홈(8B)에서 수평으로 한다.
이 상태에서 또다시 이송되어서 팩수용 공정(C)으로 보내어진다.
이 다음에 반송판(9)은 이송홈(8A)(8B)에서 상승하여 절단칼위치까지 뒤로 보내져서 다음의 두부를 반송시킨다.
또한 반송판(9)이 이송홈(8A)(8B)내를 이송할 때 이송홈 사이의 간격을 따라서 자연히 반송판 사이는 변화한다.
팩수용 공정(C)은, 분리 공정의 콘베이어의 종단부에 인접됨과 아울러 로울러 콘베이어(12), 수용대(13), 스톱퍼(14), 압입기(15) 및 팩승강기(16)로 구성된다.
로울러 콘베이어(12)는 복수개의 로울러를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어서 콘베이어(9)와 동일한 상태의 탕조(6)내에, 또한 수면(WL)아래에 있으며 각 로울러는 회전이 자유자재롭게 지지되어 있으며 각 로울러는 회전이 자유자재롭게 지지되어 있으며, 콘베이어(9)에서 탕속을 이송홈(8A)(8B)내를 이송되어 오는 두부가 원활하게 로울러 콘베이어(12)위로 이송재치되도록 한다.
그리고 이 콘베이어(9)와 로울러 콘베이어(12) 사이에는 팬수용 작동과 동시에 승강하는 스톱퍼(14)가 배치하여 설치되어서 확실하게 일정한 간격으로서 두부를 팩내부로 밀어넣도록 한다.
이것은 스톱퍼(14)가 상승할 때 콘베이어(9)에서 로울러 콘베이어(12)로 두부는 이송재치되고, 스톱퍼가 하강할 때 그 이송재치는 제지된다.
로울러 콘베이어(12)에 대략 동일한 위치에 있어서 인접되는 수용대(13)는 평판위에서 이 수용대(13)위를 미끄러져서, 두부는 용이하게 이동하여 팩쪽으로 송출되도록 함과 아울러 이 로울러 콘베이어(12)에서 수용대(13) 및 팩내부로 두부를 이송하기 위하여 로울러 콘베이어, 수용대의 윗부분 위치로 압입기(15)가 설치된다.
이 압입기(15)는 로울러 콘베이어 위에 이송재치된 두부의 뒤쪽끝위치에 하강되어서, 로울러 콘베이어 수용대 위를 팩쪽으로 이동시켜서 두부를 완전하게 팩내부로 밀어넣은 후, 압입기(15)를 상승시켜서 후퇴시키도록 운동을 하는 것이다.
팩승강기(16)는 실린더 등의 들어올리는 기계본체에 승강대(16a)를 설치하고, 이 승강대(16a)위에 팩(P)을 각 이송홈(8B)에 하나를 보유하도록 제치하며, 이 팩(P)을 탕조(6)의 윗쪽에 배치하여 설치되는 팩공급기 바로 아래 위치에서 수면 아래의 두부를 압입 위치까지를 승강시키는 것이다.
이 승강대(16a)가 제1도 실선위치의 수중에 있는 경우, 그 대위에 재치되는 팩(P)의 꼭대기면은 수용대(13)의 수평위치와 동일하거나, 혹은 약간 낮은 위치로 되도록 하여서 압입기(15)로서 수용대(13)에서 팩(P) 내부로 원활하게 두부가 삽입되도록 한다.
팩(P)은 다수 겹쳐서 쌓여진 상태로서 탕조 윗쪽의 팩공급기(18)에 설치되어서 이 겹쳐서 쌓인 팩의 아래층부분에서 한 개식 배출로울러(19)로서 자동적으로 또한 두부의 팩내부에의 삽입동작과 같게 하여서 아래 방향으로 배출한다.
이 팩을 배출할 때에 승강대(16a)의 승강동작과 같게 하여 승강대(16a)가 상승위치에 있을 때, 이 대위에 팩(P)이 낙하공급하여 재치된다.
이 대(16a)위에 팩(P)이 제2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일예로 하여서 복수개 장착된다.
다음에 이 팩(P)내에 팩공급기(18)의 밑부분 혹은 아래쪽에 설치된 탕의 공급노즐(21a)에서 각 팩(P)내로 탕이 주입된다.
이 급탕의 온도는 탕조내의 탕과 동일하게 잡균이 부착하거나, 번식하지 않는 죽은균 혹은 멸균상태를 보전지지될 수 있는 정도로 한다.
팩 내부에 급탕된 후 승강대(16a)를 강하시키면 팩(P)도 승강대가 수면아래에 빠져들어감과 아울러 탕속으로 투입되어 제1도 실선위치까지 하강하여 두부가 삽입되는 것이 대기한다.
또 팩(P)이 승강대(16a)의 하강으로 탕속에 확실하게 투입되어 두부가 삽입되는 것이 원활하게 행해지도록 두부를 삽입한 후의 안내와 스톱퍼를 겸한 팩 압입구(20)를 탕조의 내부끝이고 또한 승강대(16a)와 인접하여 설치된다.
이 팩 압입구(20)는 탕조내에 설치되는 프레임(F)에 요동이 자유자재롭게 축으로서 지지되어서 수직위치에 있을 때 승강대(16a)는 자유롭게 승강하여 팩을 재치한 상태로서 승강대가 내려오고, 이 팩 압입구(20)를 수직상태에서 요동시켜서 수평상태로 했을 때 팩(P)의 둘레 가장자리에 설치한 테두리부(Pa)를 두부를 삽입하는 쪽을 제외한 모양의 세방향 둘레쪽을 누르도록 한다.
이 모양으로 되어 있는 팩 압입구(20)는 팩 윗부분에 위치하고, 이것으로서 수용대쪽에서 압입기(15)로서 내보내는 두부를 안내하여 확실하게 팩 내부로 삽입되도록 한다.
두부를 팩 내부에의 삽입 후에는 팩 압입구(20)를 수직상태로 일으켜 세우도록 요동시키는 것에 의하여 팩이 누르고 있던 것을 풀어놓음과 아울러 승강대의 상승을 가능하게 한다.
두부가 삽입된 팩(P)이 승강대의 상승으로서 제1도 쇄선으로 표시하는 상승위치에 있을 때 이 상승위치의 승강대 옆쪽면에 압출기(21)를, 이것과 반대쪽에 송출용 로울러 콘베이어를 각각 설치해서 상승위치의 승강대위의 팩(P)을 압출기(21)의 조작으로서 승강대쪽에서 송출용 로울러 콘베이어(22)쪽으로 송출하면 이 송출용 로울러 콘베이어(22)는 약간 경사되어 있으므로 팩은 이 로울러 콘베이어(22)위를 서서히 미끄럼 이동한다.
그리고 이 로울러 콘베이어(22)와 인접배치된 반송콘베이어(17)위로 이송재치되어서 그 콘베이어(17)에서 다음의 포장 공정으로 이송된다.
이 포장 공정은 도면 표시되어 있지 않으나 두부가 수용된 팩을 합성수지 필름 등의 포장재료로서 밀봉포장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할 때에는 두유를 염화마그네슘을 주성분으로한 천연 간수를 사용해도 응고 불균일이 생기지 않고 연속적으로 응고시키는 응고 공정에서 이것을 일정한 모양으로 절단하여 팩수용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분리 공정 및 팩수용 공정까지를 모두 공기에 접촉하는 일 없이 또한 죽은균 혹은 멸균된 상태를 보전하는 온도의 탕속에서 자동적으로 이송하기 때문에, 두부를 작업자의 손으로 접촉하는 일이 없으므로 두부에 잡균이 부착하거나, 또는 부착한 잡균이 번식하거나 하는 일이 없어서 따라서 두부를 무균 혹은 무균에 가까운 상태로서 제조될 수 있다.
또 무균상태의 두부를 즉시 밀봉포장하므로 음식으로서 맛있게 먹을 수 있는 기간을 길게 할 수가 있다.
천연 간수를 사용한 맛있는 명주로서 걸러서 만든 두부를 또한 자동적으로 제조될 수 있고, 생산효율이 좋은 것으로 되는 등 여러 가지의 유리한 점을 보유하고 있다.

Claims (2)

  1. 비교적 단시간내에서 응고하지 않는 온도로 냉각한 두유에 응고제를 혼합하고, 이것을 트랩형상의 응고 탱크(1) 내부를 순차로 연속적으로 이송시키면서 응고시키는 응고 공정(A)과, 이 응고 공정(A)에서 얻어진 두부를 탕중에서 일정한 형상으로 절단하고, 또한 팩에 수용가능하도록 서로 사이가 떨어지게 하고, 또한 경사전도시키는 분리공정(B)과, 탕조(6)내에 투입하여 공급되는 팩의 공급과 동일한 시기에 상기한 분리 공정(B)에서 두부를 이송하여 팩 내부로 밀어넣는 팩포장 공정(C)을 하나의 연속적으로 배치설치하여서 이루어지며, 이 각 공정 사이의 두부이송을 죽은균 혹은 멸균상태로 보전지지할 수 있는 온도를 보유하는 탕 또는 물속에서 행하여 명주로 걸러만든 두부를 자동적으로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명주로 걸러서 만든 두부의 자동제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대두를 쥐어짜서 얻어진 두유를 천연 간수를 혼합하여도 두부에 비균질이 생기지 않는 온도까지 일단 냉각하고, 이 두유에 염화마그네슘을 주성분으로 한 천연 간수를 함유하는 응고제를 혼합하여 응고 탱크(1)내에 공급하고, 이 응고 탱크(1)내에서 두유가 응고하는 온도까지 온도조절 가열하는 가열장치를 응고 탱크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명주로 걸러서 만든 두부의 자동제조장치.
KR1019860011537A 1986-08-30 1986-12-30 명주(絹)로 걸러서 만든 두부의 제조장치 KR9100066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399886 1986-08-30
JP203998 1998-01-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2454A KR880002454A (ko) 1988-05-09
KR910006618B1 true KR910006618B1 (ko) 1991-08-29

Family

ID=16483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11537A KR910006618B1 (ko) 1986-08-30 1986-12-30 명주(絹)로 걸러서 만든 두부의 제조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4771681A (ko)
JP (1) JPS63152955A (ko)
KR (1) KR91000661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20844A (en) * 1987-07-02 1990-05-01 Sanyo Shokuhin Kabushiki Kaisha Apparatus for cutting bean curd into pieces of the fixed size and packing them
JPS6430554A (en) * 1987-07-24 1989-02-01 Takahashi Shoten Device for cutting and transferring bean curd
JPS6430555A (en) * 1987-07-24 1989-02-01 Takahashi Shoten Device for laterally turning cut bean curd
JPH01108949A (ja) * 1987-10-20 1989-04-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豆腐製造装置
JP2700657B2 (ja) * 1988-03-25 1998-01-21 四国化工機株式会社 木綿豆腐の製造方法および装置
JPH074189B2 (ja) * 1988-09-30 1995-01-25 成太郎 西林 豆腐製造装置
US4996916A (en) * 1989-05-10 1991-03-05 Shikoku Kakoki Co., Ltd. Machine for producing bean curd
US5307608A (en) * 1991-04-08 1994-05-03 Petro Source Refining Partners Method and apparatus for packaging asphalt
JP3191016B2 (ja) * 1991-11-18 2001-07-23 四国化工機株式会社 容器入り絹ごし豆腐の製造装置
US5228396A (en) * 1992-04-20 1993-07-20 Gunter Pfaff Apparatus for culturing plant materials as foods
US5682758A (en) * 1994-05-10 1997-11-04 Petro Source Refining Partners Method and apparatus for cooling asphalt
KR100225772B1 (ko) * 1997-01-31 1999-10-15 김홍배 가정용 두부 제조장치
US5957042A (en) * 1997-04-18 1999-09-28 Iwamoto; Hiroaki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inuously producing bean curd with garnish wrapped therein
US5752434A (en) * 1997-06-25 1998-05-19 Kuan; Feng-Shian Form system for tofu production
US6235337B1 (en) * 1997-12-22 2001-05-22 Yuugengaisya Yahimeshouji Soybean milk, soybean milk pack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and process for manufacturing tofu by using the same
US6345572B1 (en) * 2001-05-14 2002-02-12 Young-Tsung Kao Soybean milk maker
AU2003900614A0 (en) * 2003-02-12 2003-02-27 Eric Hsu Continuous curding process
US20060093716A1 (en) * 2004-11-01 2006-05-04 Wu Zhi M Apparatus and method for cutting tofu and other foods
TW200738532A (en) * 2006-04-10 2007-10-16 Chicony Electronic Co Ltd Material delivery system capable of preventing dust suspension
KR100928590B1 (ko) 2007-11-13 2009-11-24 (주)메자닌푸드텍 우유 두부 제조방법 및 그 장치
KR20110016852A (ko) * 2008-06-13 2011-02-18 타카이 토후 앤 소이 밀크 이큅먼트 컴퍼니 리미티드 두부류의 자동 패킹 장치
US8146468B1 (en) * 2009-01-02 2012-04-03 Kachelries Wayne J Device and method for compressing and cutting soft food
CN104012588B (zh) * 2014-05-29 2016-01-06 海宁水磨坊自动化设备有限公司 一种油豆腐自动加工设备
CN106689403A (zh) * 2015-11-13 2017-05-24 鸿星企业有限公司 一种设置有降温槽的腐皮自动生产机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650385A5 (de) * 1980-11-04 1985-07-31 Escher Wyss Ag Verfahren zur behandlung von sojabohnen mit einem vor der flockierung und extraktion erfolgenden brechen.
US4427710A (en) * 1981-12-23 1984-01-24 Nissin Shokuhin Kabushiki Kaisha Method of manufacturing an instant bean curd or tofu, and the toju made by such method
US4534283A (en) * 1982-05-06 1985-08-13 Masamichi Nakamuta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bean curd
US4514433A (en) * 1982-10-22 1985-04-30 Kikkoman Corporation Process for producing an aseptic packed tofu
JPS59227241A (ja) * 1983-06-09 1984-12-20 Taishi Shokuhin Kogyo Kk 乳酸発酵豆乳の製造法
JPH1037077A (ja) * 1996-07-19 1998-02-10 Toray Ind Inc 原着シートベルト用低摩擦化処理剤及びシートベルト用原着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2454A (ko) 1988-05-09
US4771681A (en) 1988-09-20
JPH0151988B2 (ko) 1989-11-07
JPS63152955A (ja) 1988-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6618B1 (ko) 명주(絹)로 걸러서 만든 두부의 제조장치
EP0285409A2 (en) Process of preparing canned meat and gravy pet food
US5363753A (en) Machine for producing soybean curd
JP3441970B2 (ja) 豆腐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JP3483315B2 (ja) 豆腐の連続製造装置と、それに組み合わせる豆腐の搬出装置とパッキング装置
US4704291A (en) Method of preparation of fish-noodle
JPH0815891B2 (ja) 豆腐の自動パック詰方法及びその装置
US4959936A (en) Apparatus for packing bean curd pieces
JPH0391453A (ja) 自動豆腐製造装置の清浄方法
JPS6265657A (ja) 絹こし豆腐の定形切断整列移送装置
JP2004129514A (ja) 麺状食品の製造装置
JP2887497B2 (ja) 容器入り豆腐の製造方法
JP3624364B2 (ja) 通電加工食品の製造装置
JP2019193593A (ja) 揚げ豆腐製品の製造方法
JPH03251151A (ja) 豆腐の成形方法及びその装置
KR930001955Y1 (ko) 메추리알 껍질 탈피기
JP2857580B2 (ja) 油揚げ製造方法及びその装置
JPS6348675B2 (ko)
JPH03236757A (ja) 豆腐の反転装置
JPH01320965A (ja) 豆腐の自動製造方法及びその装置
KR20180000791A (ko) 슬라이스 포장 두부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JP2009159941A (ja) 容器入り豆腐の加熱装置及び加熱方法並びに製造方法
JP2794187B2 (ja) 豆腐製造機における豆乳の凝固装置
JPS63279775A (ja) 流動性食品の連続成型装置
PL244961B1 (pl) Urządzenie do nastrzykiwania tuszek rybnych oraz sposób nastrzykiwania tuszek rybny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4122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