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701020A - 하네스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하네스 제조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701020A
KR900701020A KR1019890702448A KR890702448A KR900701020A KR 900701020 A KR900701020 A KR 900701020A KR 1019890702448 A KR1019890702448 A KR 1019890702448A KR 890702448 A KR890702448 A KR 890702448A KR 900701020 A KR900701020 A KR 9007010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cutting
cutters
peeling
electric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7024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0135616B1 (en
Inventor
야스시 이하라
노부오 사토오
마사히로 이케지
다카히로 아사노
사토미 야마모토
야스마사 이시즈카
Original Assignee
다마가와 신지
신메이와 고교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3106014A external-priority patent/JPH01276513A/ja
Priority claimed from JP63196943A external-priority patent/JPH066708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63303231A external-priority patent/JPH02151221A/ja
Priority claimed from JP15595788U external-priority patent/JPH069530Y2/ja
Priority claimed from JP1988155956U external-priority patent/JPH076663Y2/ja
Priority claimed from JP1025998A external-priority patent/JP2719715B2/ja
Application filed by 다마가와 신지, 신메이와 고교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마가와 신지
Publication of KR9007010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7010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56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561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 H02G1/12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by cutting and withdrawing insulation
    • H02G1/1248Machines
    • H02G1/1251Machines the cutting element not rotating about the wire or cable
    • H02G1/1253Machines the cutting element not rotating about the wire or cable making a transverse cu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forming connections by deformation, e.g. crimping tool
    • H01R43/048Crimping apparatus or proces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28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wire processing before connecting to contact membe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R43/02 - H01R43/26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 H02G1/12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by cutting and withdrawing insulation
    • H02G1/1248Machines
    • H02G1/1251Machines the cutting element not rotating about the wire or cable
    • H02G1/1253Machines the cutting element not rotating about the wire or cable making a transverse cut
    • H02G1/1256Machines the cutting element not rotating about the wire or cable making a transverse cut using wire or cable-clamp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forming connections by deformation, e.g. crimping tool
    • H01R43/048Crimping apparatus or processes
    • H01R43/05Crimping apparatus or processes with wire-insulation stripp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forming connections by deformation, e.g. crimping tool
    • H01R43/048Crimping apparatus or processes
    • H01R43/052Crimping apparatus or processes with wire-feeding mechanis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1Plural diverse manufacturing apparatus including means for metal shaping or assembling
    • Y10T29/5136Separate tool stations for selective or successive operation on work
    • Y10T29/5137Separate tool stations for selective or successive operation on work including assembling or disassembling station
    • Y10T29/5139Separate tool stations for selective or successive operation on work including assembling or disassembling station and means to sever work prior to disassembling
    • Y10T29/514Separate tool stations for selective or successive operation on work including assembling or disassembling station and means to sever work prior to disassembling comprising means to strip insulation from wi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3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 Y10T29/5313Means to assemble electrical device
    • Y10T29/532Conductor
    • Y10T29/53209Terminal or connector
    • Y10T29/53213Assembled to wire-type conductor
    • Y10T29/53217Means to simultaneously assemble multiple, independent conductors to terminal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하네스 제조장치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1A도는 본 발명의 제1의 실시예인 하네스 제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제1B도는 제1의 실시예인 하네스 제조장치의 제어수단은 블록도
제2도는 제1A도로 나타낸 하네스 제조장치의 측면도
제3A도 및 제3B도는 각각 제1A도로 나타낸 하네스 제조장치의 평면도.

Claims (18)

  1. 심선이 피복부에 의하여 피복된 전선을 절단하는 처리와, 절단된 전선의 절단측 단부에 있어서의 피복부를 박리하는 처리와, 피복부가 박리된 상기한 전선의 박리측 단부에 단자를 취부하는 처리를 실행하는 하네스 제조장치에 있어서, (a) 상기한 전선을 전선 송급방향으로 간헐적으로 송급하는 전선송급수단과, (b)상호 대향되게 배치된 제1 및 제2의 캇터를 가지며, 상기한 제1 및 제2의 캇터로서 상기한 전선을협지 삽입하도록하여 절단하고, 또한 피복부를 절입하는 전선절단·절입수단과, (c)피복부가 박리된 상기한 전선의 박리측 단부에 단자를 압착하기 위한 단자압착부를 가진 단자 압착수단과, (d)이항의 (d-1) 및 (d-2)의 요소를 가진 지지·이동수단과, (d-1) 상기한 전선절단·절입수단에 의한 상기한 전선의 절단위치에서 전선송급방향에 대하여 상류측의 근방위치에서 상기한 전선을 자유롭게 지지하는 지지수단과, (d-2) 상기한 지지수단에 의하여 지지된 전선이 상기한 전선송급수단에 의하여 송급되는 전선의 송급라인과 상기한 단자 압착부와의 사이에서 이동자재롭게 되도록 상기한 지지수단을 3차원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하는 이동수단, (e)상기한 전선 송급수단, 상기한 전선절단·절입수단, 상기한 단자 압축수단 및 상기한 지지·이동수단을 구동시키는 구동수단과, (f)각종 지령 및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수단과 (g)이하의 (g-1)에서 (g-3)까지의 요소를 포함하여 상기한 입력수단에 의하여 입력된 지령 및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한 구동수단으로 구동제어신호를 보내서 상기한 구동수단이 구동제어를 행하는 제어수단과, (g-1)상기한 전선송급수단에 의하여 상기한 전선을 송급하고, 이 전선을 상기한 지지·이동수단에 의하여 지지하면서 상기한 전선절단·절입수단에 의하여 절단하는 절단처리를 실행하는 절단제어수단과, (g-2)상기한 절단처리가 완료된 전선에 대하여 상기한 지지·이동수단에 의하여 상기한 전선을 전선송급방향에로의 소정량씩 이동시키고, 상기한 전선절단·절입수단에 의하여 상기한 피복부를 절입하고, 이 절입상태인 채로 상기한 지지·이동수단에 의하여 상기한 전선을 전선송급방향과 역방향으로 소정량씩 이동시켜서 상기한 피복부의 절입위치에서 하류측을 박리하는 박리처리를 실행하는 박리제어수단과, (g-3)상기한 박리처리가 완료된 전선에 대하여 상기한 지지·이동수단에 의하여 상기한 전선의 박리측단부를 상기한 단자 압착부까지 이동시켜서 상기한 단자 압착수단에 의하여 상기한 전선의 박리측 단부에 단자를 압착하는 압착처리를 실행하는 압착제어수단에 의하여 특정화되는 상기한(a)에서 (g)까지의 각 요소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네스 제조장치.
  2. 심선이 피복부에 의하여 피복된 전선을 절단하여 잔류전선과 절단전선으로 분할하는 처리와, 상기한 잔류전선의 절단측 단부의 피복부를 박리하는 처리와, 상기한 절단전선의 절단측 단부의 피복부를 박리하는 처리와, 피복부가 박리된 상기한 잔류전선의 박리측 단부에 단자를 압착하는 처리와, 피복부가 박리된 상기한 절단전선의 박리측 단부에 단자를 압착하는 처리를 실행하는 하네스 제조장치에 있어서, (a)상기한 전선을 전선송급방향으로 간헐적으로 송급하는 전선송급수단과, (b)상호 대향되게 배치된 제1 및 제2의 캇터를 가지며, 상기한 제1 및 제2의 캇터로서 상기한 전선을 협지 삽입하여 절단하고, 또한 피복부를 절입하는 전선절단·절입수단과, (c)피복부가 박리된 상기한 잔류전선의 박리측 단부에 단자를 압착하기 위한 제1의 단자 압착부를 갖는 제1의 단자 압착수단과, (d)피복부가 박리된 상기한 절단전선의 박리측 단부에 단자를 압착하기 위한 제2의 단자 압착수단을 갖는 제2의 단자 압착수단과, (e)이하의 (e-1) 및 (e-2)의 요소를 갖는 제1의 지지·이동수단과, (e-1)상기한 전선절단·절입수단에 의한 상기한 전선의 절단위치에서 전선송급방향에 대하여 상류측의 근방 위치에서 상기한 잔류전선을 자유롭게 지지하는 제1의 지지수단과, (e-2)상기한 제1의 지지수단에 의하여 지지된 상기한 잔류전선이 상기한 전선송급수단에 의하여 송급되는 전선의 송급라인과 상기한 제1의 단자 압착부와의 사이에서 이동자재가 되도록 상기한 제1의 지지수단을 3차원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하는 제1의 지지수단을 3차원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하는 제1의 이동수단, (f)이하의 (f-1) 및 (f-2)의 요소를 갖는 제2의 지지·이동수단과, (f-1) 상기한 전선절단·절입수단에 의한 상기한 전선의 절단위치에서 전선송급방향에 대하여 하류측의 근방위치에서 상기한 절단전선을 자유롭게 지지하는 제2의 지지수단과, (f-2) 상기한 제2의 지지수단에 의하여 지지된 상기한 절단전선이 상기한 전선송급수단에 의하여 송급되는 전선송급라인과 상기한 제2의 단자 압착부와의 사이에서 이동자재가 되도록 상기한 제2의 단자 압착수단을 3차원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하는 제2의 이동수단, (g)박리측 단부에 단자가 압착된 절단전선을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수단과, (h)상기한 전선송급수단, 상기한 전선절단·절입수단, 상기한 제1의 단자 압착수단, 상기한 제2의 단자 압착수단, 상기한 제1의 지지·이동수단, 상기한 제2의 지지·이동수단 및 상기한 배출수단을 구동시키는 구동수단과, (i)각종지령 및 정보를 입력시키기 위한 수단과, (j)이하의 (j-1)에서 (j-6)까지의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한 입력수단에 의하여 입력된 지령에 의거하여 상기한 구동수단으로 구동제어신호를 부여하여 상기한 구동수단의 구동제어를 행하는 제어수단과, (j-1)상기한 전선송급수단에 의하여 상기한 전선을 송급하고, 이 전선을 상기한 제1 및 제2의 지지·이송수단에 의하여 각각 지지하면서 상기한 전선절단·절입수단에 의하여 절단하여 잔류전선과 절단전선으로 분할하는 절단처리를 실행하는 절단제어수단과, (j-2)상기한 절단처리가 완료된 잔류전선에 대하여 상기한 제1의 지지·이동수단에 의하여 상기한 잔류전선을 전선송급방향에로의 소정량씩 이동시키고, 상기한 전선절단·전입수단에 의하여 상기한 잔류전선의 피복부를 절입하여 이의 절입상태인 채로 상기한 제1의 지지·이동수단에 의하여 상기한 잔류전선을 전선송급방과 역방향으로 소정량씩 이동시켜서 이의 피복부의 절입위치에서 하류측을 박리하는 제1의 박리처리를 실행하는 제1의 박리제어 수단과, (j-3)상기한 절단처리가 완료된 절단전선에 대하여 상기한 제2의 지지·이동수단에 의하여 상기한 절단전선을 상기한 전선송급방향과 역방향으로 소정씩 이동시키고, 상기한 전선절단·전입수단에 의하여 상기한 절단전선의 피복부를 절입하여 이의 절입상태인 채로 상기한 제2의 지지·이동수단에 의하여 상기한 절단전선을 전선송급 방향으로 소정량씩 이동시켜서 이의 피복부의 절입위치에서 상류측을 박리하는 제2의 박리처리를 실행하는 제2의 박리제어수단과, (j-4)상기한 제1의 박리처리가 완료된 잔류전선에 대하여 상기한 제1의 지지·이동수단에 의하여 상기한 잔류전선의 박리측 단부를 상기한 제1의 단자 압착부까지 이동시켜서 상기한 제1의 단자 압착수단에 의하여 상기한 잔류전선의 박리측 단부에 단자를 압축하는 제1의 단자 압박처리를 실행하는 제1의 단자 압착제어수단과, (J-5)상기한 제2의 박리처리가 완료된 절단전선에 대하여 상기한 제2의 지지·이동수단에 의하여 상기한 절단전선의 박리측 단부를 상기한 제2의 단자 압착부까지 이동시키고, 상기한 제2단자 압착수단에 의하여 상기한 절단전선의 박리단부에 단자를 압착시키는 제2의 단자 압착제어수단과, (j-6)상기한 제2의 단자 압착처리가 완료된 절단전선에 대하여 이의 절단전선의 상기한 제2의 지지·이동수단에 의한 지지를 해제하고, 이의 절단전선을 상기한 배출수단에 의하여 배출하는 배출처리를 실행하는 배출제어수단에 의하여 특정되는 상기한 (a)에서 (j)까지의 각 요소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네스 제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어수단은 상기한 제1 및 제2의 박리처리를 동시에 행하는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네스 제조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어수단은 상기한 절단처리를 실행할 시의 상기한 제1 및 제2의 지지수단에 이한 상기한 잔류전선 및 상기한 절단전선의 지지위치를 상기한 절단처리가 실행될 때 마다 상기한 전선송급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회피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한 전선에 대한 상기한 캇터의 절단위치를 순차적으로 변화시키는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네스 제조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전선절단·절입수단은 이하의 (b-1) 내지 (b-5)의 요소를 구비하며, (b-1)본체와, (b-2)상기한 제1 및 제2의 캇터를 각각 지지하는 는 제1 및 제2의 캇터지지수단과, (b)상기한 본체에 고정되고, 상기한 제1 및 제2의 캇터가 상호근접·이간작동하도록 상기한 제1 및 제2의 캇터지지수단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1 및 제2의 안내수단과, (b-4)상기한 본체에 회전자재로 지지된 제1의 축과, 상기한 제1의 축의 일측의 단부에 제1의 축의 축심에 대하여 편심시켜서 설치된 제1의 축상체와, 일측의 단이 상기한 제1의 축상체에 회전자재로 연결되는 한편, 타측의 단이 상기한 제1의 캇터지지수단에 회전자재로 연결된 제1의 레버로 되고, 상기한 제1의 회전운동을 상기한 제1의 캇터의 직선운동으로 변화시키는 제1의 기구와, (b-5)상기한 본체에 회전자재로 지지된 제2의 축과, 상기한 제2의 축의 일측의 단부에 제2의 축의 축심에 대하여 편심시켜서 설치된 제2의 축상체와, 일측의 단이 상기한 제2의 축상체에 회전자재로 연결되는 한편, 타측의 단이 상기한 제2의 캇터지지수단에 회전자재로 연결된 제2의 레버로 되고, 상기한 제2의 축의 회전운동을 상기한 제2의 캇터의 직선운동으로 변화시키는 제2의 기구, 상기한 구동수단은 상기한 제1 및 제2의 축을 그 축심주위로 회전구동시키는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네스 제조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전선절단·절입수단은 이하의 (b-1) 내지 (b-6)의 요소를 구비하고, (b-1)본체와, (b-2) 상기한 제1 및 제2의 캇터를 각각 지지하는 제1 및 제2의 캇터지지수단과, (b-3)상기한 본체에 고정되고, 상기한 제1 및 제2의 캇터가 상호 근접·이간 작동하도록 상기한 제1 및 제2의 캇터지지수단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1 및 제2의 안내수단과, (b-4)일측의 단에는 제1의 나사부가 설치되는 한편, 타측의 단에는 상기한 제1의 나사부와 역방향으로 나사가 형성된 제2의 나사부가 설치되며, 상기한 캇터의 이동방향으로 평행되게 배치된 상태에서 축심주위로 회전자재가 되도록 상기한 본체에 지지된 볼나사와, (b-5)상기한 제1의 캇터지지수단에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한 볼나사의 제1의 나사부에 나사결합된 제1의 볼나사 브래킷과, (b-6)상기한 제2의 캇터지지수단에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한 볼나사의 제2의 나사부에 나사결합된 제1의 볼나사 브래킷 상기한 구동수단은 상기한 볼나사를 그 축심주위로 회전구동시키는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네스 제조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1 및 제2의 캇터는 형상이 거의 직선형이며, 상기한 전선을 협지 삽입하도록하여 절단하는 절단부와, 형상이 대략 V자 또는 대략 U자이고, 상기한 전선을 협지삽입하도록 하여 그 피복부만을 절입하는 절입부를 가지며, 상기한 절단제어수단에 의한 상기한 전선의 절단처리는 상기한 제1 및 제2의 캇터의 절단부를 이용하여 행하고, 상기한 제어수단은 상기한 절단제어수단에 의한 절단처리의 종료후, 상기한 발리제어수단에 의한 박리처리를 행하기 전에 상기하 절단처리가 완료된 전선을 상기한 지지·이동수단에 의하여 상기한 제1 및 제2의 캇터의 상기한 절단부에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시키는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네스 제조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1 및 제2의 캇터는 형상이 거의 직선상이며, 상기한 전선을 협지 삽입하여 절단하는 절단부와, 형상이 대략 V자 또는 U자이고, 상기한 전선을 협지 삽입하여 이의 피복부만을 절입하는 절입부를 가지며, 상기한 절단제어수단에 의한 상기한 전선의 절단처리는 상기한 제1 및 제2의 캇터의 절단부를 사용하여 행하고, 상기한 제어수단은 상기한 절단제어수단에 의한 절단처리의 종료후에 상기한 제1의 박리제어수단에 의한 제1의 박리처리를 행하기 전에 상기한 잔류전선을 상기한 제1의 지지·이동수단에 의하여 상기한 제1 및 제2의 캇터의 상기한 절단부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한 절입부로 대응하는 위치로 이동시키는 수단과, 상기한 절단제어수단에 의한 절단처리의 종료후에 상기한 제2의 박리제어수단에 의한 제2의 박리처리를 행하기 전에 상기한 절단전선을 상기한 제2의 지지·이동수단에 의하여 상기한 제1 및 제2의 캇터의 상기한 절단부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한 절입부에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시키는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네스 제조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하네스 제조장치는 이하의 (k) 및 (1)의 요소를 구비하며, (k)상기한 제1 및 제2의 캇터에 의한 상기한 전선의 피복부에로의 절입량에 관한 절입량 제어데이터를 격납시키기 위한 메모리와, (1)상기한 제1 및 제2의 캇터의 적어도 일측과 상기한 전선의 심선과의 사이의 전기적 특성의 변화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수단, 상기한 제어수단은 상기한 입력수단에 의하여 절입량 설정지령이 부여될 시에 상기한 구동수단에 의하여 상기한 전선절단·절입수단을 구동시켜서 상기한 제1 및 제2의 캇터를 상기한 전선의 피복부로 서서히 절입시키면서 상기한 검출수단에 의하여 상기한 캇터와 심선과의 사이의 전기적 특성의 변화를 검출하여 그 변화가 급격하게 높이 될시에 상기한 캇터의 절입량에 의거하여 최적한 절입량을 결정하여 절입량 제어데이터로서 상기한 메모리에 기억시키는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한 박리제어수단에 의하여 상기한 박리처리가 행해질 시에 상기한 제1 및 제2의 캇터에 의한 상기한 전선의 피복부에로의 절입량이 상기한 메모리에서 독출된 상기한 절입량 제어데이터에 의거하여 제어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네스 제조장치.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하네스 제조장치는 이하의 (k) 및 (1)의 요소를 구비하고, (k)상기한 제1 및 제2의 캇터에 의한 상기한 전선의 피복부에로의 절입량에 관한 절입량 제어데이터를 격납시키기 위한 메모리와, (1)상기한 제1 및 제2의 캇터의 적어도 일측과 상기한 전선의 심선과의 사이의 전기적 특성의 변화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수단, 상기한 제어수단은 상기한 입력수단에 의하여 절입량 설정지령이 부여될 시에 상기한 구동수단에 의하여 상기한 전선절단·절입수단을 구동시켜서 상기한 제1 및 제2의 캇터를 상기한 전선의 피복부로 서서히 절입시키면서, 상기한 검출수단에 의하여 상기한 캇터와 상기한 심선과의 사이의 전기적 특성의 변화를 검출하여 그 변화가 급격하게 높이 될시에 상기한 캇터의 절입량에 의거하여 최적한 절입량을 결정하여 절입량 제어데이터로서 상기한 메모리에 기억시키는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한 제1의 박리제어 수단에 의하여 상기한 제1의 박리처리가 행해질 시에 상기한 제1 및 제2의 캇터에 의한 상기한 잔류전선의 피복부에로의 절입량이 상기한 메모리에서 독출된 상기한 절입량 제어데이터에 의거하여 제어되고 동시에 상기한 제2의 박리제어수단에 의하여 상기한 제2의 박리처리가 행해질시에 상기한 제1 및 제2의 캇터의 의한 상기한 절단전선의 피복부에로의 절입량이 상기한 메모리에서 독출된 상기한 절입량 제어데이터에 의거하여 제어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네스 제조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하네스 제조장치는 이하의 (k) 내지 (m)의 요소를 구비하고, (k)상기한 제1의 제2의 캇터에 각각 고정되고, 상기한 제1 및 제2의 캇터가 상기한 전선의 피복부를 절입할 시에 상호 근접배치되어서 상기한 제1 및 제2의 카시터와 연계 작동되어 거의 완전한 폐공간을 형성하는 제1 및 제2의 카버부재와, (1) 상기한 폐공간으로 연통하도록 상기한 제1 및 제2의 카버부재의 적어도 일측에 접속된 흡인란과, (m)상기한 흡인관에 접속되고, 상기한 흡입관을 통하여 상기한 폐공간을 부압으로 설정하기위한 흡인수단, 상기한 제어수단은 상기한 발리제어수단에 의한 박리처리의 종료후에 상기한 제1 및 제2의 캇터를 그 위치로 유지시킨 채로 상기한 흡인수단에 의하여 상기한 폐공간을 부압으로 설정하여 상기한 박리처리에 의하여 박리된 피복부를 상기한 흡인관을 통하여 제거시키는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네스 제조장치.
  12.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하네스 제조장치는 이하의 (k) 내지 (p)의 요소를 구비하고, (k)상기한 제1 및 제2의 캇터의 각각의 일측면에 고정되고, 상기한 제1 및 제2의 캇터가 상기한 전선의 피복부를 절입할시에 상호 근접배치되어서 상기한 제1 및 제2의 캇터와 연계 작동하여 거의 완전한 제1의 폐공간을 형성하는 제1 및 제2의 카버부재와, (1)상기한 제1의 폐공간에 연통하도록 상기한 제1 및 제2의 카버부재의 적어도 일측에 접속된 제1의 흡인관과, (m)상기한 제1의 흡인과에 접속되고, 상기한 제1의 흡인관을 통하여 상기한 제1의 폐공간을 부압으로 설정하기 위한 제1의 흡인수단과, (n)상기한 제1 및 제2의 캇터의 각각 타측면에 고정되고, 상기한 제1 및 제2의 캇터가 상기한 전선의 피복부를 절입할시에 상호 근접배치되어서 상기한 제1 및 제2의 캇터와 연계 작동하여 거의 완전한 제2의 폐공간을 형성하는 제3 및 제4도의 카버부재와, (o)상기한 제2의 폐공간에 연통되도록 상기한 제3 및 제4의 카버부재의 적어도 일측에 접속된 제2의 흡인관과, (p)상기한 제2의 흡인관에 접속되고, 상기한 제2의 흡인관을 통하여 상기한 제2의 폐공간을 부압으로 설정하기 위한 제2의 흡인수단, 상기한 제어수단은 상기한 제1의 박리제어수단에 의한 제1의 박리처리의 종료후에 상기한 제1 및 제2의 캇터를 그 위치에 유지한 채로 상기한 제1의 흡인수단에 의하여 상기한 제1의 폐공간을 부압으로 설정하여 상기한 제1의 박리처리에 의하여 박리된 피복부를 상기한 제1의 흡인관을 통하여 제거시키는 수단과, 상기한 제2의 박리제어수단에 의한 제2의 박리처리의 종료한 후에 상기한 제1 및 제2의 캇터를 그 위치에 유지한 채로 상기한 제2의 흡인수단에 의하여 상기한 제2의 폐공간을 부압으로 설정하여 상기한 제2의 박리처리에 의하여 박리된 피복부를 상기한 제2의 흡인관을 통하여 제거시키는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네스 제조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하네스 제조장치는 이하의 (k) 내지 (n)의 요소를 구비하고, (k)상기한 제1 및 제2의 캇터에 각각 고정되고, 상기한 제1 및 제2의 캇터가 상기한 전선의 피복부를 절입할 시에 상호 근접배치되어서 상기한 제1 및 제2의 캇터와 연계 작동되어서 서의 완전한 폐공간을 형성하는 제1 및 제2의 카버부재와, (l) 상기한 폐공간에 연통하도록 상기한 제1의 카버부재에 설치된 공기흡인용 개구부와, (m) 상기한 폐공간에 연통하도록 상기한 제2의 카버부재에 접속된 흡인관과, (n) 상기한 흡인관에 접속되고, 상기한 흡인관을 통하여 상기한 폐공간을 부압으로 설정하기 위한 흡인수단, 상기한 제어수단은 상기한 박리제어수단에 의한 박리처리의 종료후에 상기한 2제1 및 제2의 커버부재가 상호 접하도록 상기한 구동수단에 의하여 상기한 제1 및 제2의 캇터를 구동시키면서 상기한 흡인수단에 의하여 상기한 폐공간을 부압으로 설정하여 상기한 박리처리에 의하여 박리된 피복부를 상기한 흡인관을 통하여 제거시키는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네스 제조장치.
  14.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하네스 제조장치는 이하의 (k) 내지 (r)의 요소를 구비하고, (k) 상기한 제1 및 제2의 캇터에 각각 고정되고, 상기한 제1 및 제2의 캇터가 상기한 전선의 피복부를 절입할 시에 상호 근접 배치되어서 상기한 제1 및 제2의 캇터와 연계 작동되어서 거의 완전한 제1의 폐공간을 형성하는 제1 및 제2의 카버부재와, (l) 상기한 제1의 폐공간에 연통하도록 상기한 제1의 카버부재에 설치된 제1의 공기흡인용 개구부와, (m) 상기한 제1의 폐공간으로 연통하도록 상기한 제2의 카버부재에 접속된 제1의 흡인관과, (n) 상기한 제1의 흡인관에 접속되고, 상기한 흡인관을 통하여 상기한 제1의 폐공간을 부압으로 설정하기 위한 제1의 흡인수단과, (o) 상기한 제1 및 제2의 캇터의 각각 타측면에 고정되고, 상기한 제1 및 제2의 캇터가 상기한 전선의 피복부를 절입할 시에 상호 근접배치되어서 상기한 제1 및 제2의 캇터와 연계 작동되어 거의 완전한 제2의 폐공간을 형성하는 제3 및 제4의 카버부재와, (p) 상기한 제2의 폐공간으로 연통하도록 상기한 제3의 카버부재에 설치된 제2의 공기흡인용 개구부와, (p) 상기한 제2의 폐공간으로 연통하도록 상기한 제4의 카버부재에 접속된 제2의 흡인관과, (r) 상기한 제2의 흡인관에 접속되고, 상기한 제2의 흡인관을 통하여 상기한 제2의 폐공간을 부압으로 설정하기 위한 제2의 흡인수단, 상기한 제어수단은 상기한 제1의 박리제어수단에 의한 제1의 박리처리의 종료후에 상기한 제1 및 제2의 카버부재가 상호 접하도록 상기한 구동수단에 의하여 상기한 제1 및 제2의 캇터를 구동시키면서 상기한 제1의 흡인수단에 의하여 상기한 제1의 폐공간을 부압으로 설정하여 상기한 제1의 박리처리에 의하여 박리된 피복부를 상기한 제1의 흡인관을 통하여 제거시키 수단과, 상기한 구동수단에 의하여 상기한 제1 및 제2의 캇터를 구동시키면서 상기한 제2의 흡인수단에 의하여 상기한 제2의 폐공간을 부압으로 설정하여 상기한 제2의 박리처리에 의하여 박리된 피복부를 상기한 제2의 흡인관을 통하여 제거시키는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네스 제조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하네스 제조장치는 이하의 (k) 내지 (n)의 요소를 구비하고, (k)상기한 제1 및 제2의 캇터에 각각 고정되고, 상기한 제1 및 제2의 캇터가 상기한 전선의 피복부를 절입할시에 상호 근접 배치되어서 상기한 제1 및 제2의 캇터와 연게 작동하여서 거의 완전한 폐공간을 형성하는 제1 및 제2의 카버부재와, (l) 상기한 폐공간에 연통되도록 상기한 제1의 카버부재에 접속된 배출관과, (m) 상기한 폐공간으로 연통되도록 상기한 제2의 카버부재에 접속된 공기토출관과, (n) 상기한 공기 토출관에 접속되고, 상기한 공기 토출관을 통하여 상기한 폐공간으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기 공급수단, 상기한 제어수단은 상기한 박리제어 수단에 의한 박리처리의 종료후에 상기한 제1 및 제2의 카버부재가 상호 접하도록 상기한 구동수단에 의하여 상기한 제1 및 제2의 캇터를 구동시키면서, 상기한 공기 공급수단에 의하여 상기한 폐공간으로 공기를 공급하여 상기한 박리처리에 의하여 박리된 피복부를 상기한 배출관을 통하여 제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네스 제조장치.
  16.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하네스 제조장치는 이하의 (k) 내지 (r)의 요소를 구비하고, (k) 상기한 제1 및 제2의 캇터의 각각 일측면에 고정되고, 상기한 제1 및 제2의 캇터의 상기한 전선의 피복부를 절입할시에 상호 근접 배치되어서 상기한 제1 및 제2의 캇터와 연계 작동되어서 거의 완전한 제1의 폐공간을 형성하는 제1 및 제2의 카버부재와, (l) 상기한 제1의 폐공간에 연통이 되도록 상기한 제1의 카버부재의 접속된 제1의 배출관과, (m) 상기한 제1의 폐공간에 연통이 되도록 상기한 제2의 카버부재에 접속된 제1의 공기토출관과, (n)상기한 제1의 공기토출관에 접속되고, 상기한 제1의 공기토출관을 통하여 상기한 제1의 폐공간으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기 공급수단과, (o) 상기한 제1 및 제2의 캇터의 각각 타측면에 고정되고, 상기한 제1 및 제2의 캇터가 상기한 전선의 절입부를 절입할 시에 상호 근접 배치되어서 상기한 제1 및 제2의 연계 작동되어 거의 완전한 제2의 폐공간을 형성하는 제3 및 제4의 카버부재와, (p)상기한 제2의 폐공간에 연통이 되도록 상기한 제3의 카버부재에 접속된 제2의 배출관과, (q) 상기한 제2의 폐공간에 연통이 되도록 상기한 제4의 카버부재에 접속된 제2의 공기 토출관과, (r) 상기한 제2의 공기 토출관에 접속되고, 상기한 제2의 공기 토출관을 통하여 상기한 제2의 폐공간으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기 공급수단과, 상기한 제어수단은 상기한 제1의 박리제어수단에 의한 제1의 각리처리의 종료후에 상기한 제1 및 제2의 카버부재가 상호 접하도록 상기한 구동수단에 의하여 상기한 제1 및 제2의 캇터를 구동시키면서 상기한 제1의 공기 공급수단에 의하여 상기한 제1의 폐공간으로 공기를 공급하여 상기한 제1의 박리처리에 의하여 박리된 피복부를 상기한 제1의 배출관을 통하여 제거시키는 수단과, 상기한 제2의 박리제어수단에 의한 제2의 박리처리의 종료후에 상기한 제3 및 제4의 카버부재가 상호접하도록 상기한 구동수단에 의하여 제1 및 제2의 캇터를 구동시키면서 상기한 제2의 공기 공급수단에 의하여 상기한 제2의 폐공간으로 공기를 공급하여 상기한 제2의 박리처리에 의하여 박리된 피복부를 상기한 제2의 배출관을 통하여 제거시키는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네스 제조장치.
  1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하네스 제조 장치는 가변속으로 구동기능하게 상기한 전선 송급수단과의 사이에 상기한 전선에 늘어짐이 형성하도록 하여 상기한 전선을 상기한 전선 공급수단으로 향하여 송급시키는 프리피드로울러를 구비하고, 상기한 구동수단은 상기한 프리피드로울러울 구동시키는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한 제어수단은 상기한 전선 공급수단에 의한 상기한 전선의 송급 계속시간을 T1으로 하고, 상기한 전선 송급수단에 의한 상기한 전선의 송급정지시간을 T2로 하며, 상기한 시간 T1에 걸쳐서 상기한 전선 송급수단에 의하여 송급되는 전선의 길이를 ℓ로 하고, 상기한 T1사이에 발생하는 상기한 전선의 늘어짐을 증가량을 △X로 할시에 상기한 프리피드로울러에 의한 상기한 전선의 송급속도가 일정한 것으로 가정한 경우에 있어서의 상기 한 늘어짐을 증감량 △X를
    에 의하여 산출하는 연산수단과, 상기한 연산수단에 의하여 산출된 늘어짐의 증감량△X를 소정의 늘어짐 허용 증감량과 비교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한 전선의 늘어짐이 소정의 최대 및 최소 늘어짐 상태의 범위내로 유지되는지, 아닌지를 판별하는 판별수단과, 상기한 판별수단에 의하여 상기한 전선의 늘어짐이 상기한 범위내로 유지된다고, 판별된 경우에는 상기한 프리피드로울러에 의한 상기한 전선의 송급속도를 (ℓ/(T1+T2)의 일정속도로 제어하는 한편, 상기한 전선의 늘어짐이 상기한 범위내로 유지하지 않는다고 판별된 경우에는 시간(T1+T2)내에서 상기한 프리피드로울러에서 상기한 전선 송급수단에로의 상기한 전선 송급량이 길이 ℓ과 동등하게 또한, 상기한 전선의 늘어짐이 상기한 범위내로 유지되도록 상기한 프리피드로울러에 의한 상기한 전선의 송급속도를 가감속 제어하는 속도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네스 제조장치.
  1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하네스 제조장치는 가변속으로 구동가능하게 상기한 전선 송급수단과의 사이에 상기한 전선에 늘어짐이 형성하도록 하여 상기한 전선을 상기한 전선공급수단으로 향하여 송급시키는 프리피드로울러와, 상기한 전선의 늘어짐이 소정의 중간 늘어짐 상태로 도달되면, 이것을 검출하는 검출수단을 구비하고, 상기한 구동수단은 상기한 프리피드로울러를 구동시키는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한 제어수단을 상기한 전선 송급수단에 의한 상기한 전선의 송급 계속시간은 T1으로 하고, 상기한 전선 송급수단에 의한 상기한 전선의 송급정지시간을 T2로 하여 상기한 시간T1에 걸쳐서 상기한 전선 송급수단에 의하여 송급되는 전선의 길이를 ℓ로 하며, 상기한 시간 T1사이에 발생하는 상기한 전선의 늘어짐을 증감량을 △x로 할시에 상기 한 프리피드로울러에 의한 상기한 전선의 송급속도가 일정한 것이라고 가정할 경우에 있어서의 이의 송급속도 V 및 상기한 늘어짐의 증감량 △x를
    에 의하여 각각 연산하는 연산수단과, 상기한 연산수단에 의하여 산출된 늘어짐의 증감량 △x를 소정의 늘어짐 허용증감량과 비교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한 전선의 늘어짐이 소정의 최대 및 최소 늘어짐 상태의 범위내로 유지되는지, 아닌지를 판별하는 제1의 판별수단과, 상기한 제1의 판별수단에 의하여 상기한 전선의 늘어짐이 상기한 범위내로 유지되지 않는다고 판별된 경우에는 시간(T1+T2)내로 상기한 프리피드로울러에서 상기한 전선 송급수단에로의 상기한 전선 송급량이 길이 ℓ과 동등하게 또한, 상기한 전선의 늘어짐이 상기한 범위내로 유지되도록 상기한 프리피드로울러에 위한 상기한 전선의 송급속도를 가감속 제어하는 제1의 속도제어수단과, 상기한 제1의 판별수단에 의하여 상기한 전선의 늘어짐이 상기한 범위내로 유지된다고 판별된 경우에는 상기한 송급속도 V가 소정의 최소 허용속도 이하 인가를 판별하는 제2의 판별수단과, 상기한 제2의 판별수단에 의하여 상기한 송급속도 V가 상기한 최소 허용속도 보다도 크다고 판별된 경우에는 상기한 프리피드로울러에 의한 상기한 전선의 송급소급도 (ℓ/T1+T2)의 일정속도로 제어하는 한편, 상기한 송급속도 V가 상기한 최소 허용속도 보다도 작다고 판별된 경우에는 상기한 검출수단에 의하여 상기한 전선의 늘어짐이 상기한 중간 늘어짐 상태로 도달되는 것을 검출될 시에 소정시간에 걸쳐서 상기한 늘어짐이 상기한 최대 및 중간 늘어짐 상태의 범위내로 복귀되도록 상기한 프리피드로울러에 의한 상기한 전선의 송급속도를 가감속 제어하는 제2의 속도제어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네스 제조장치.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89702448A 1988-04-27 1989-12-27 Harness manufacturing apparatus KR0135616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3106014A JPH01276513A (ja) 1988-04-27 1988-04-27 ハーネス製造装置
JP???63-106014 1988-04-27
JP9037088 1988-07-06
JP???63-90370 1988-07-06
JP63196943A JPH0667083B2 (ja) 1988-08-05 1988-08-05 カッター駆動装置
JP???63-196943 1988-08-05
JP63303231A JPH02151221A (ja) 1988-11-29 1988-11-29 被覆剥取装置における被覆切込量設定装置
JP???63-155957 1988-11-29
JP15595788U JPH069530Y2 (ja) 1988-07-06 1988-11-29 被覆剥取装置におけるストリップカス除去装置
JP???63-155956 1988-11-29
JP???63-303231 1988-11-29
JP1988155956U JPH076663Y2 (ja) 1988-11-29 1988-11-29 被覆電線切断・被覆剥取装置
JP???1-25998 1989-02-03
JP1025998A JP2719715B2 (ja) 1989-02-03 1989-02-03 電線送給装置
PCT/JP1989/000431 WO1989010619A1 (en) 1988-04-27 1989-04-24 Harness manufacturing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701020A true KR900701020A (ko) 1990-08-17
KR0135616B1 KR0135616B1 (en) 1998-06-15

Family

ID=275640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89702448A KR0135616B1 (en) 1988-04-27 1989-12-27 Harness manufacturing apparatus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038457A (ko)
EP (1) EP0365691B1 (ko)
KR (1) KR0135616B1 (ko)
CA (1) CA1329981C (ko)
DE (1) DE68927608T2 (ko)
NO (1) NO179887C (ko)
WO (1) WO198901061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564411B1 (de) * 1992-04-01 1998-01-14 Kirsten Kabeltechnik Ag Vorrichtung und Betriebsverfahren zum Aufpressen von Steckern auf abisolierte Leitungspartien.
US5398573A (en) * 1992-06-24 1995-03-21 Artos Engineering Company Adjustable wire cutting and stripping apparatus
JP2959322B2 (ja) * 1993-03-09 1999-10-06 住友電装株式会社 ハーネス用電線の製造装置と製造方法
KR100284380B1 (ko) * 1995-01-30 2001-03-02 사이카와 시코오 전선처리장치
JP2985718B2 (ja) * 1995-04-03 1999-12-06 住友電装株式会社 電線ガイド方法および電線ガイド装置
JP3351203B2 (ja) * 1995-10-19 2002-11-25 住友電装株式会社 電線処理装置
US7257878B2 (en) 1995-11-06 2007-08-21 Beat Locher Continuous cable processing apparatus
EP1079478B1 (de) * 1999-08-20 2007-09-12 komax Holding AG Verfahren zum Abtrennen und/oder Entfernen der Isolierung von Kabeln, sowie eine Vorrichtung zur Durchführung dieses Verfahrens
CH700204B1 (en) 2009-01-15 2014-03-31 Schleuniger Holding Ag Separating and Abisoliereinrichtung for a cable processing machine.
WO2011158390A1 (ja) * 2010-06-16 2011-12-22 日本オートマチックマシン株式会社 二線式圧着電線製造装置、二線式圧着電線製造方法、二線式電線送給装置
JP4933682B1 (ja) * 2011-03-08 2012-05-16 日本オートマチックマシン株式会社 ワイヤーハーネス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CN103124039B (zh) * 2013-03-05 2015-04-15 慈溪市宏晟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排线端子自动压着机
US10404028B2 (en) * 2013-07-22 2019-09-03 Frisimos, Ltd. System for automatic robotic cable connector assembly using a cartridge
CN103606795B (zh) * 2013-11-04 2015-10-14 昆山博思达自动化设备科技有限公司 高速插针装置
CN105322408B (zh) * 2014-07-31 2017-10-10 东莞市长瑞精密设备制造有限公司 一种美式三插圆形电源线端子自动铆压装置
CN104167651B (zh) * 2014-08-20 2016-08-24 东莞市立海隆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双线两头自动压接端子机
EP3166189A1 (de) 2015-11-04 2017-05-10 Schleuniger Holding AG Trenn- und abisoliereinrichtung für eine kabelverarbeitungsmaschine
RS60159B1 (sr) * 2016-04-21 2020-05-29 Komax Holding Ag Postupak skidanja izolacije s kabla
CN106229795B (zh) * 2016-09-20 2019-06-25 广州大学 智能压接捻线沾锡机及其工作方法
CN106154939B (zh) * 2016-09-20 2019-06-25 广州大学 全数字智能压接捻线沾锡机控制与检测系统
CN106862427A (zh) * 2017-04-13 2017-06-20 焦作市覃源电力有限公司电气分公司 一种导线工厂化生产制作加工工艺及折弯装置
US10666028B2 (en) * 2017-04-21 2020-05-26 Komax Holding Ag Method for stripping a cable
US10867726B2 (en) * 2017-07-13 2020-12-15 John D Tillotson, JR. Wire inventory indexing system
EP3900132A1 (en) * 2018-12-21 2021-10-2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Electrical power cable preparation system
WO2020132506A1 (en) 2018-12-21 2020-06-25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Electrical power cable preparation device
KR102281305B1 (ko) * 2019-10-29 2021-07-23 주식회사 영신전기 전선피복 분리 및 압착 자동화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선피복 분리 및 압착방법
US11476628B2 (en) 2019-11-12 2022-10-18 Frisimos, Ltd. System for automatic robotic cable connector assembly using a cartridge
CN111564796B (zh) * 2020-06-13 2021-05-04 安庆师范大学 一种线束加工用线束剥皮装置
CN111843400B (zh) * 2020-08-14 2021-11-19 惠州市成达电子有限公司 一种耳挂式耳机的生产方法
CN112054371A (zh) * 2020-09-12 2020-12-08 赵鹏生 一种电器线材自动剥皮接头焊接装置
CN114985646B (zh) * 2022-07-18 2022-12-16 江苏华凯比克希线束有限公司 用于柔性汽车线束的切割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3869B1 (ko) * 1969-11-01 1976-05-04
JPS4838392A (ko) * 1971-09-17 1973-06-06
JPS5029147A (ko) * 1973-07-18 1975-03-25
JPS5240667B2 (ko) * 1974-07-25 1977-10-13
JPS5344396A (en) * 1976-09-30 1978-04-21 Akishi Funayama Feed for eel culture or carp culture
US4091695A (en) * 1977-02-28 1978-05-30 Molex Incorporated Wire preparation machine with variable insulation stripping mechanism
JPS5930003B2 (ja) * 1978-03-07 1984-07-24 新明和工業株式会社 被覆線切断・被覆剥取方法および装置
GB2030898B (en) * 1978-07-04 1982-06-16 Burndy Corp Electrical lead transfer unit
JPS5526026A (en) * 1978-08-11 1980-02-25 Hirakawa Electric Wire Mfg Co Method of and device for identifying damage of conductor due to separation of insulating film
DE2836438C2 (de) * 1978-08-19 1982-11-18 Wernicke & Co GmbH, 4000 Düsseldorf Rohschablone zum Herstellen einer den Umfang eines Brillenglases bestimmenden Fertigschablone und Anwendung der Rohschablone
US4218113A (en) * 1978-08-21 1980-08-1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Optical fiber connector apparatus
US4260073A (en) * 1978-08-23 1981-04-0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Virgin toner and used toner supply apparatus and method
JPS56139314U (ko) * 1980-03-18 1981-10-21
JPS56139314A (en) * 1980-03-29 1981-10-30 Iseki & Co Ltd Operating device for loader
JPS5919985B2 (ja) * 1980-08-28 1984-05-10 株式会社クボタ 耐熱鋳造合金
US4361942A (en) * 1980-09-23 1982-12-07 Ark-Les Corporation Terminal applying machine
JPS5813320A (ja) * 1981-07-17 1983-01-2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植物育成装置
JPS5822024U (ja) * 1981-07-29 1983-02-10 三菱電機株式会社 被覆電線の皮むき・切断装置
JPS5822024A (ja) * 1981-07-31 1983-02-09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固体撮像素子を用いた内視鏡
CH660093A5 (de) * 1982-12-03 1987-03-13 Megomat Ag Kabelkonfektionier-maschine.
US4489476A (en) * 1983-05-25 1984-12-25 Amp Incorporated Modular lead maker
JPS60204206A (ja) * 1984-03-27 1985-10-15 株式会社小寺電子製作所 自動電線切断・剥皮方法及びその装置
JPS61154412A (ja) * 1984-12-27 1986-07-14 新明和工業株式会社 電線の端末処理状態検査装置
JPS61273114A (ja) * 1985-05-25 1986-12-03 株式会社 小寺電子製作所 自動被覆線切断・剥皮装置における被覆の切り込み・剥皮方法
JPS61273113A (ja) * 1985-05-25 1986-12-03 株式会社 小寺電子製作所 自動被覆線切断・剥皮方法及びその装置
JPH0692736B2 (ja) * 1985-07-23 1994-11-16 マツダ株式会社 多気筒エンジンの吸気装置
JPS6227279A (ja) * 1985-07-23 1987-02-05 Kodera Denshi Seisakusho:Kk 電線移送装置
US4713880A (en) * 1986-04-08 1987-12-22 Artos Engineering Company Lead making machine
JP2628631B2 (ja) * 1986-04-09 1997-07-09 アポロ精工株式会社 ワイヤストリツパー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自動配線装置
JP2870761B2 (ja) * 1988-07-04 1999-03-17 日本エー・エム・ピー株式会社 電気ハーネスの製造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0135616B1 (en) 1998-06-15
DE68927608T2 (de) 1997-07-31
EP0365691A1 (en) 1990-05-02
CA1329981C (en) 1994-06-07
NO179887C (no) 1997-01-02
WO1989010619A1 (en) 1989-11-02
EP0365691A4 (en) 1993-09-15
NO179887B (no) 1996-09-23
EP0365691B1 (en) 1997-01-02
DE68927608D1 (de) 1997-02-13
US5038457A (en) 1991-08-13
NO895191D0 (no) 1989-12-21
NO895191L (no) 1990-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701020A (ko) 하네스 제조장치
US5445051A (en) Measure-cut-strip wire processing apparatus
KR100310981B1 (ko) 절연피복제거장치
US6766724B2 (en) Shearing-stripping machine for electric cables
US4019409A (en) Stripping and defillering method and apparatus
JP5400981B1 (ja) 電線撚り合わせ装置、撚り合わせ電線製造装置、撚り合わせ電線製造方法
WO2014024646A1 (ja) 巻線装置及び線材の端子への絡げ方法
JP2808976B2 (ja) ハーネス製造装置およびハーネス製造方法
US5479701A (en) Cover strip-off method in a covered wire cutting and stripping apparatus
US5797299A (en) Wire cutting and stripping mechanism
KR960703494A (ko) 스위치 캐비닛과 제어 시스템의 조립등에 즉시 이용가능한 레디-메이드 케이블과 이러한 케이블의 제작방법 및 그 제작장치(ready-for-use cable, in particular for switch cupboards, or controls, process and device for producing the same)
JP2017010768A (ja) 電線処理装置
US5033188A (en) Method of making an electrical harness
US5226224A (en) Method of removing sheath from electric wire in intermediate region
JP2019122100A5 (ko)
JP2019122100A (ja) ケーブル端末処理装置及びケーブル端末処理方法
JPH0349815A (ja) 自動電線切断及び剥皮装置
EP0365137A1 (en) Method of making an electrical harness
JPH066922A (ja) 被覆電線の剥皮方法
US5794494A (en) Wire cutting and stripping mechanism
GB2121328A (en) Terminal forming apparatus
EP0993004B1 (en) Apparatus for automatic cutting and solderless connection of electrical wire
JPH038217A (ja) ハーネス製造装置
JP2003032824A (ja) 多芯電線の口出し方法
JP2003032825A (ja) 電線の皮剥ぎ方法と皮剥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11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