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4380B1 - 전선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전선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4380B1
KR100284380B1 KR1019960705374A KR19960705374A KR100284380B1 KR 100284380 B1 KR100284380 B1 KR 100284380B1 KR 1019960705374 A KR1019960705374 A KR 1019960705374A KR 19960705374 A KR19960705374 A KR 19960705374A KR 100284380 B1 KR100284380 B1 KR 1002843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mp
wire
terminal crimping
terminal
length meas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7053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705204A (ko
Inventor
다카히로 아사노
마사히로 이케지
노부오 사토오
테츠야 야노
다이스케 모리모토
Original Assignee
사이카와 시코오
신메이와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이카와 시코오, 신메이와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사이카와 시코오
Publication of KR9707052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7052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43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438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forming connections by deformation, e.g. crimping tool
    • H01R43/048Crimping apparatus or processes
    • H01R43/05Crimping apparatus or processes with wire-insulation stripp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forming connections by deformation, e.g. crimping tool
    • H01R43/048Crimping apparatus or proces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forming connections by deformation, e.g. crimping tool
    • H01R43/048Crimping apparatus or processes
    • H01R43/052Crimping apparatus or processes with wire-feeding mechanis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1Plural diverse manufacturing apparatus including means for metal shaping or assembling
    • Y10T29/5136Separate tool stations for selective or successive operation on work
    • Y10T29/5137Separate tool stations for selective or successive operation on work including assembling or disassembling station
    • Y10T29/5139Separate tool stations for selective or successive operation on work including assembling or disassembling station and means to sever work prior to disassembling
    • Y10T29/514Separate tool stations for selective or successive operation on work including assembling or disassembling station and means to sever work prior to disassembling comprising means to strip insulation from wi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1Plural diverse manufacturing apparatus including means for metal shaping or assembling
    • Y10T29/5193Electrical connector or termin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3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 Y10T29/5313Means to assemble electrical device
    • Y10T29/532Conductor
    • Y10T29/53209Terminal or connector
    • Y10T29/53213Assembled to wire-type conductor
    • Y10T29/53235Means to fasten by deformation

Abstract

본 발명의 전선처리장치는 길이 측정유니트와, 제1클램프기구 및 제2클램프기구와, 커터기구와, 제1단자압착기구 및 제2단자압착기구와, 제1반송기구 및 제2반송기구와, 전선배출기를 구비하고, 상기 제2단자압착기의 단자 압착동작시에 상기 제2클램프기구의 클램프부의 승강 이동에 동기해서 전선배출기의 수취클램프부를 승강 이동시키는 동기이동수단이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수취클램프부의 위치가 제2단자압착기구의 단자 압착동작시에 상기 수취클램프부에 의한 피복전선의 잡음이 가능하게 하기 위해 피복전선의 위치에 일치되어 있다.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전선처리장치
[기술분야]
본 발명은, 피복전선의 단말에 단자를 압착하기 위한 전선처리장치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이러한 종류의 전선처리장치로서는, 예를들면 일본특허공보 평5-78883호 공보나 일본실용공개 평3-95519호 공보 등에 개시되어 있는 전선처리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들 전선처리장치는, 긴 피복전선을 소정 길이로 절단하고, 그 절단된 피복전선 양단부의 피복부를 벗기고, 이 피복부가 벗겨진 전선 양단부에 단자를 압착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종류의 전선처리장치의 일반적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면, 제2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복전선(W)를 소정 길이씩 간헐적으로 송출하는 길이 측정로울러를 가지는 길이 측정 유니트(1)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길이 측정유니트(1)에서 전선공급방향의 하류측에는 피복전선(W)을 집는 클램프기구로서의 프론트측 클램프(2)(이하, F클램프라 부른다) 및 리어측 클램프(이하, R클램프라 부른다)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F클램프(2)와 R클램프(3)의 사이에는 피복전선(W)의 절단처리, 피복벗김처리를 행하기 위한 커터기구(4)가 배열 설치되어 있다. 더욱이, F클램프(2)의 측방에는 프론트측 단자 압착기구(5)가 배열 설치되고, R클램프(3)의 측방에는 리어측 단자압착기구(6)가 배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F클램프(2) 및 R클램프(3)로 집어진 피복전선(W)을 각각 대응하는 단자압착기구(5) 및 단자압착기구(6) 위치로 반송하는 반송기구(7,8)가 배열 설치되어 있다. 더욱이, 상기 리어측 단자압착기구(6)에 근접한 위치에는 전선배출기구(9)가 배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피복전선(W)의 처리동작으로서는, 우선 상기 길이 측정유니트(1)에 의해 소정 칫수만큼 피복전선(W)이 각 클램프(2,3)를 향해 보내지고, 이 각 클램프(2,3)로 피복전선(W)이 집어진다. 또, 이 상태에서는 피복전선(W)의 공급방향 선단부(제25도에서 하단부)는, 이전의 전선처리공정에서 피복부의 벗김 및 단자(10)의 압착이 행해지고 있다.
이 상태에 있어서, 커터기구(4)에 의해 F클램프(2)와 R클램프(3)의 중간위치에 피복전선(W)의 절단 및 이 절단된 단부의 피복부 벗김처리가 행해진다. 그 후, 피복전선(W) 단부로의 단자(10) 압착동작이 행해진다. 이 압착동작은, 우선 F클램프(2)가 피복전선(W)을 집은채 프론트측 단자압착기구(5) 위치로 이동하고, 이것과 동시에 R클램프(3)가 피복전선(W)을 집은채 리어측 단자압착기구(6) 위치로 이동한다(가상선 참조).
이 상태로 프론트측 단자압착기구(5) 및 리어측 단자압착기구(6)에서 피복전선(W) 단부로의 단자(10) 압착동작이 행해지고, 그 후 F클램프(2)는 피복전선(W)을 집은채 초기위치(실선으로 도시하는 위치)로 되돌아가고, 한편 R클램프(3)는 피복전선(W)을 전선배출기구(9)로 건낸 후, 피복전선(W)을 집지않고 초기위치(실선으로 도시하는 위치)로 되돌아간다. 이와 같은 동작이 반복됨으로써, 소정 길이로 양 단부에 단자(10)가 압착처리된 피복전선(W)이 순차로 제조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전선처리장치에서는, 피복전선(W) 단부로의 단자(10) 압착동작이 행해진 후에, F클램프(2) 및 R클램프(3)가 초기위치로 되돌아갈 때, F클램프(2)측은 압착동작의 직후에 초기위치로 되돌아가는 동작을 개시할 수 있지만, R클램프(3)측에서는 압착동작을 행한 후, 피복전선(W)을 전선배출기구(9)로 건내고, 그 후가 아니라면 초기위치로 되돌아가는 동작을 개시할 수 없는 것으로 된다. 이 때문에, F클램프(2)가 R클램프(3)보다 빠르게 초기위치로 되돌아가고, F클램프(2)는 R클램프(3)가 초기위치로 되돌아가기까지 대기할 필요가 있어, R클램프(3)가 초기위치로 되돌아가지 않으면 다음 공정으로 이행할 수 없는 상태로 된다. 이렇게, R클램프(3)측에서는 단자(10)의 압착동작 후에 전선배출기구(9)로 피복전선(W)의 건냄동작이 행해지기 때문에, 전선처리시간의 단축화를 도모하는데는 한계가 있었다.
이점을 감안하여, 리어측 단자압착기구(6)에서 피복전선(W) 단부로의 단자(10) 압착동작과, R클램프(3)에서 전선배출기구(9)로의 피복전선(W)의 건냄동작을 동시에 행하도록 하면, R클램프(3)를 압착동작의 직후에 초기위치로 되돌아가는 동작을 행할 수 있는 것으로 되어 전산처리시간의 단축화를 도모할 수 있는 것으로 된다. 그런데, 상술한 전선처리장치의 하나의 타입으로서 피복전선(W) 단부로의 단자 압착동작시에, R클램프(3)가 승강 이동하는 구조의 것이 있다.
즉, 제2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R클램프(3)로 집어진 피복전선(W)이 리어측 단자압착기구(6)의 압착베드(6a)를 향해 이동(제26도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한 구조의 경우에, R클램프(3)가 리어측 단자압착기구(6)에 대향하는 위치까지 이동할 때, 이 R클램프(3)로 집어진 피복전선(W)과 단자(10)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해 R클램프(3)로 집어져 있는 피복전선(W)의 높이를 단자(10)의 배열 설치 높이보다 상방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경우에는 단자(10)의 압착시 피복전선(W)의 구부러짐을 방지하기 위해 R클램프(3)를 하강시켜 피복전선(W)을 단자(10)의 배열 설치 위치까지 이동시킨 후, 단자(10)의 압착을 행하고, 그 후 R클램프(3)를 상승시켜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가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와 같은 동작을 행하는 전선처리장치에 있어서, 상술한 바와 같이, 리어측 단자압착기구(6)에서 피복전선(W) 단부로의 단자(10) 압착동작과 R클램프(3)에서 전선배출기구(9)로의 피복전선(W)의 건냄동작을 동시에 행하도록 하면, 전선배출기구(9)를 R클램프(3)의 하강위치에 대응해서 위치시키고, R클램프(3)가 하강위치에 도달하여 소정의 압착동작이 행해짐과 동시에 전선배출기(7)로 피복전선(W)을 건내도록 하는 것이 고려된다.
그러나, 이렇게 구성한 경우, 피복전선(W)과 전선배출기구(9)가 상대적으로 상하 이동하기 때문에, 전선배출기구(9)가 확실히 피복전선(W)을 잡을 수 있도록 하고자 하면, 피복전선(W)을 하강위치에서 소정 시간만큼 일단 정지시키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즉, 피복전선(W)이 하강위치에서 정지되지 않거나, 이 정지시간이 짧은 경우에는 전선배출기구(9)가 피복전선(W)의 소정 위치를 집을 수 없을 염려가 있고, 이와 같은 경우에, 피복전선(W)을 장치에서 배출할 수 없게 되거나, 피복전선(W)이 구부러져 제품 불량의 발생을 초래할 염려도 있다. 또한, 이렇게 피복전선(W)을 하강위치에서 소정 시간만큼 일단 정지시키는 경우에는 그 만큼 작업시간의 연장을 초래해 버리는 것으로 된다.
또한, 일본실용공개 평3-95519호 공보에 개시된 장치에 의하면, 제2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론트측 단자압착기구(5)에서 F클램프(2)로 집어진 피복전선(W) 단부에 단자(10)가 압착되는 경우에는, 길이 측정유니트(1)의 한쌍의 길이 측정로울러(11)에 의한 탄압(彈壓)을 일단 해제하고, 그 후 단자압착기구(5)에 의한 압착동작시에 길이 측정유니트(1)측에 요동이 자유롭게 지지된 F클램프(2)의 기단측을 중심으로 해서 F클램프(2)가 동기하여 아래방향으로 요동되고, 그 상태에서 단자(10)의 압착이 이루어지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 장치에 의하면, 단자(10)의 압착시에 한쌍의 길이 측정로울러(11)로 항상 탄압되고 있지 않기 때문에, F클램프(2)의 요동시에 피복전선(W)의 신장이나 구부러짐의 발생이 방지될 수 있지만, 한쌍의 길이 측정로울러(11)를 접근, 이격 조작하는 접근, 이격 구동수단을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있음과 동시에, 그들의 제어도 필요하게 되어 구조의 복잡화를 초래하는 결점이 있다,
또한, 길이 측정로울러(11)를 일단 이격시켜 단자(10)의 압착을 행한 후, 재차 길이 측정 로울러(11)를 탄압시키는 경우에, F클램프(2)와 길이 측정로울러(9) 사이에 피복전선(W)의 휘어짐이 발생하고, 다음 길이 측정공정에서 측정되는 길이에 변동이 발생한다는 문제가 생긴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전선처리시간의 단축화를 도모하고, 또한 전선의 신장 및 구부러짐을 유효하게 방지함과 동시에 측정되는 길이의 변동발생도 유효하게 방지하는 전선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피복전선을 소정 칫수씩 간헐적으로 송출하는 길이 측정유니트와, 상기 길이 측정유니트의 전선공급방향의 하류측에 순차로 배열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송출된 피복전선을 해제가 자유롭게 집는 제1클램프기구 및 제2클램프기구와, 상기 양 클램프기구 사이에 위치해서 배열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각 클램프기구로 집어진 피복전선의 절단처리, 피복벗김처리를 행하는 커터기구와, 상기 각 클램프기구의 측방에 대응해서 각각 배열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피복벗김 처리된 피복전선 단부에 단자를 압착하는 제1단자압착기구 및 제2단자압착기구와, 상기 제1클램프기구 및 제2클램프기구의 클램프부로 각각 집어진 피복전선을 각각 대응하는 제1단자압착기구 및 제2단자압착기구 위치로 반송하는 제1반송기구 및 제2반송기구와, 제2단자압착기구에 의해 단자가 압착된 피복전선을 제2클램프기구의 클램프부로부터 받는 수취클램프부를 가지는 전선배출기구를 구비하고, 제2단자압착기구에 의한 단자 압착동작시에 제2클램프기구의 클램프부가 승강 이동되는 전선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단자압착기구의 단자 압착동작시에 상기 제2클램프기구의 클램프부의 승강 이동에 동기해서 상기 수취클램프부를 승강 이동시키는 동기이동수단이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수취클램프부의 위치가 제2단자압착기구의 단자 압착동작시에 상기 수취클램프부에 의한 피복전선의 집음이 가능하게 되기 위해 피복전선의 위치에 일치되어 있는 전선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동기이동수단은, 전선배출기구의 수취클램프부에 일체적으로 설치된 제1이동부재와, 제2클램프기구의 클램프부에 일체적으로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제1이동부재에 근접해서 배치된 제2이동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2단자압착기구의 단자 압착동작시에 상기 제2클램프 기구의 승강 이동에 따라서 제2이동부재가 제1이동부재에 맞닿아 사기 수취클램프부를 상기 제2클램프기구의 클램프부의 승강 이동에 동기해서 이동시키도록 구성하여도 된다.
더욱이, 상기 제2이동부재는, 상기 제1이동부재에 대해서 약간 간격을 가진 위치에 설정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또한, 길이 측정유니트는 상기 피복전선을 송출하기 위해 서로 접근, 이격 자유로이 탄성 접속된 한쌍의 길이 측정로울러를 구비하고, 상기 제1반송기구는 수평면내에서 이동되는 수평이동부를 구비하며, 상기 수평이동부측에 상하방향으로 요동이 자유롭게 지지된 요동부재에 상기 길이 측정로울러 및 제1클램프기구가 장착되고, 상기 제1단자압착기구에 의한 단자 압착 동작시에 제1클램프기구를 승강시키기 위해 상기 요동부재에 걸어 맞추어 요동부재를 상하 요동시키는 동기요동수단이 설치된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더욱이, 상기 요동부재를 초기위치로 상승 복귀시키는 복귀부재가 구비된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또한, 피복전선을 소정 칫수씩 간헐적으로 송출하는 한쌍의 길이 측정로울러를 구비한 길이 측정유니트와, 상기 길이 측정유니트의 전선공급방향의 하류측에 순차로 배열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송출된 피복전선을 해제가 자유롭게 집는 클램프기구와, 상기 클램프기구로 집어진 피복전선의 절단처리, 피복벗김처리를 행하는 커터기구와, 상기 클램프기구의 측방에 대응해서 배열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피복벗김 처리된 피복전선 단부에 단자를 압착하는 단자압착기구와, 상기 클램프기구로 집어진 피복전선을 단자압착기구 위치로 반송하는 반송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단자압착기구에 의한 단자 압착동작시에 상기 클램프기구가 승강 이동되는 전선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반송기구는 수평면내에서 이동되는 수평이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수평이동부측에 상하방향으로 요동이 자유롭게 지지된 요동부재에 상기 한쌍의 길이 측정로울러 및 클램프기구가 장착되며, 상기 단자압착기구에 의한 단자 압착동작시에 클램프기구를 승강시키기 위해 상기 요동부재에 걸어 맞추어 요동부재를 상하 요동시키는 동기요동수단이 설치된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더욱이, 상기 요동부재를 초기위치로 상승 복귀시키는 복귀부재가 구비된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의 개략 설명도이다.
제2도는 길이 측정유니트 및 F클램프 부분의 측면도이다.
제3도는 커터기구 부분의 사시도이다.
제4도는 커터기구 부분의 평면도이다.
제5도는 제4도의 Ⅴ-Ⅴ선 화살표에서 본 도면이다.
제6도는 커터기구 부분의 평면도이다.
제7도는 제6도의 Ⅶ-Ⅶ선 화살표에서 본 도면이다.
제8도는 커터기구 부분의 평면도이다.
제9도는 제8도의 Ⅸ-Ⅸ선 화살표에서 본 도면이다.
제10도는 커터기구 부분의 평면도이다.
제11도는 제10도의 XI-XI선 화살표에서 본 도면이다.
제12도는 커터기구 부분의 평면도이다.
제13도는 단자 압착개시전의 R클램프 및 전선배출기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제14도는 제13도의 XIV선 화살표에서 본 도면이다.
제15도는 R클램프의 전선집음 해제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제16도는 단자압착시에 제14도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제17도는 전선배출기의 정면도이다.
제18도는 전선배출기의 평면도이다.
제19도는 전선배출기의 측면도이다.
제20도는 단자압착 종료시에 제14도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제21도는 제1실시예에 관한 타임차트이다.
제22도는 종래예에 관한 타임차트이다.
제23도는 제2실시예에 관한 제14도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제24도는 제3실시예에 관한 제14도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제25도는 종래예의 개략 설명도이다.
제26도는 종래예에서 R클램프의 승강동작 설명도이다.
제27도는 종래예에서 F클램프의 요동동작 설명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양태]
이하,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도면에 기초해서 설명한다.
제1도는 전선처리장치(20)의 시스템 전체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이 전선처리장치(20)는 종래와 같이, 피복전선(W)을 소정 칫수씩 간헐적으로 송출하는 길이 측정유니트(21)와, 상기 길이 측정유니트(21)에서 전선공급방향의 하류측에 배치되고, 상기 길이 측정유니트(21)에서 송출된 피복전선(W)을 해제가 자유롭게 집는 제1클램프기구로서의 프론트측 클램프(22)(이하, F클램프라 부른다) 및 제2클램프기구로서의 리어측 클램프(23)(이하, R클램프라 부른다)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F클램프(22)와 R클램프(23)의 사이에는 피복전선(W)의 절단처리, 피복벗김처리를 행하기 위한 커터기구(24)가 배열 설치되어 있다. 더욱이, F클램프(22)의 일측방에는 제1단자 압착기구로서의 프론트측 단자압착기구(25)가 배열 설치되고, R클램프(23)의 타측방에는 제2단자압착기구로서의 리어측 단자압착기구(26)가 배열 설치되어 있다. 또한, F클램프(22)나 R클램프(23)로 집어진 피복전선(W)을 각각 대응하는 단자압착기구(25,26) 위치로 반송하는 제1반송기구(27) 및 제2반송기구(28)가 배열 설치되어 있다. 더욱이, 이 리어측 단자압착기구(26)에 근접한 위치에는 전선배출기구로서의 전선배출기(29)가 배열 설치되어 있다.
상기 길이 측정유니트(21)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길이 측정유니트 본체(31)와, 일단측에서 전선공급라인(Ⅹ)(제1도 참조)과 직행하는 횡축 주위로 회전 자유로이 지축(32)을 통해서 길이 측정유니트 본체(31)에 설치된 요동부재로서의 요동지지체(33)와, 전선공급라인(Ⅹ)을 사이에 두고 상하로 배치되는 한쌍의 공급부(34a,34b)를 구비하고 있다.
하방측의 공급부(34a)에는 전선공급라인(X)의 하방에 대응해서 풀리(35a) 및 길이 측정로울러(36a)가 각각 요동지지체(33)에 회전 자유로이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풀리(35a)와, 길이 측정로울러(36a)에 고정된 도시 생략의 풀리 사이에 벨트(37a)가 걸쳐져 있다.
한편, 상방측의 공급부(34b)에는 요동암(38)이 구비되어 있고, 요동암(38)의 양단부에 풀리(35b) 및 길이 측정로울러(36b)가 각각 회전 자유로이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풀리(35b)와, 길이 측정로울러(36b)에 고정된 도시 생략의 풀리 사이에 벨트(37b)가 걸쳐져 있다.
그리고, 풀리(35b)의 회전축이 요동지지체(33)에 회전 자유로이 설치되어 있고, 그 회전축을 지지점으로 해서 요동암(38)이 요동함으로써, 상방측의 길이 측정로울러(36b)가 승강하고, 전선공급라인(X)의 상방측보다 하방측의 길이 측정로울러(36a)에 접근, 이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더욱이, 양 길이 측정로울러(35a,36b)의 양 회전축 사이에 인장스프링(39)이 놓여지고, 그 인장스프링(39)의 당기는 힘에 의해 양 길이 측정로울러(36a,36b)가 서로 탄성 접합상태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한쌍의 풀리(35a,35b)는 요동지지체(33)에 장착된 도시 생략의 회전구동수단에 의해 서로 역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풀리(35a,35b)의 회전구동에 의해 벨트(37a,37b)를 통해서 길이 측정로울러(36a,36b)가 서로 역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길이 측정유니트 본체(31)가 수평이동부로서의 수평이동판(41)상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수평이동판(41)은 제1반송기구(27)에 의해 수평면내를 2차원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제1도에서 화살표(P,Q)로 도시하는 전후방향 및 화살표(R,S)로 도시하는 좌우방향으로 이동조작이 자유롭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F클램프(22)에는 피복전선(W)을 삽입 통과시키는 것이 가능한 전선삽입구멍(43)이 형성되고, F클램프(22)의 하부에는 전선삽입구멍(43)에 연이어 통하는 오목(凹)부(4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오목부(44)내에는 클램프조(45)가 전선공급라인(X)에 직교하는 상하방향으로 진퇴 자유로이 수용되어 있다, 더욱이, 클램프조(45)에 대응해서 실린더(46)가 배치되고, 실린더 설치부재(47)를 통해서 요동지지체(33)측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실린더(46)의 피스톤 로드(46a) 선단에 상기 클램프조(45)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실린더(46)의 구동에 의해 클램프조(45)가 진퇴 구동하고, 전선삽입구멍(43)내에 삽입되는 피복전선(W)이 클램프조(45)와 전선삽입구멍(43)의 안둘레면에서 집음, 해제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이들에 의해 피복전선(W)을 집는 클램프부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요동지지체(33)의 F클램프(22)측 하단부와 수평이동판(41) 상면 사이에 요동지지체(33)를 밀어올리는 힘을 주는 코일스프링 등으로 이루어지는 복귀부재(49)가 배치되고, 요동지지체(33)가 길이 측정유니트 본체(31)에 장착된 스톱퍼(50)에 접근, 이격이 자유롭게 맞닿는 것에 의해 전선삽입구멍(43)의 긴 길이방향이 전선공급라인(X)을 따르도록 구성되어 있다.
더욱이, 요동지지체(33)의 F클램프(22)측 단부 하단에는 전선공급방향(화살표 P방향)을 향해서 연장 설치되는 형태로 된 클램프 인하용 걸어맞춤 플레이트(51)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단자압착기구(25)에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F클램프(22)로 집어진 피복전선(W)의 하류측 단부에 대응해서 압착베드(53)가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압착베드(53)의 상방 위치에 압착다이스(54)가 설치되고, 도시 생략의 구동수단의 구동에 의해 압착다이스(54)가 승강구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단자압착기구(25)의 하부에는 전선공급라인(X)에 대해서 직행하는 면내에서 회전 자유로이 회전판(55)이 설치됨과 동시에, 이 회전판(55)의 일면측에는 그 회전축심에서 일측으로 편심하여 배열 설치되고, 또 상기 요동지지체(33)의 걸어맞춤 플레이트(51)에 걸고 벗김이 자유롭게 걸어 맞춤 가능한 편심축(56)이 돌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회전판(55)은 압착다이스(54)에 도시 생략의 크랭크기구 등의 동력전달기구를 통해서 연동 연결되어 있고, 압착다이스(54)의 승강구동에 동기해서 회전판(55)이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 압착다이스(54)의 상승위치에서 편심축(56)은 상방위치(실선위치)에, 또는 압착다이스(54)의 하강위치에서 편심축(56)은 하방위치(가상선위치)에 각각 위치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다음에, 그 동작을 설명한다. 상기 압착다이스(54)의 하강이 개시되면, 그 하강에 동기해서 회전판(55)이 회전하여 편심축(56)이 하방으로 회전한다. 이것에 의해, 편심축(56)을 요동지지체(33)의 걸어맞춤 플레이트(51)에 걸어 맞추어 요동지지체(33)를 복귀부재(49)의 미는 힘에 의해 대항해서 하방으로 요동시키고, F클램프(22)로 집어진 피복전선(W)의 단부를 압착베드(53)상에 올려놓는 형태로 된 단자(도시생략)상에 위치 결정한다. 이때, 압착다이스(54)의 하강이 종료하여 피복전선(W)의 벗김처리된 단부가 압착다이스(54)와 압착베드(53) 사이에 끼워 넣어져 피복전선(W)의 단부에 단자(57)(제3도 참조)가 압착된다.
그 후, 압착다이스(54)가 상승함으로써 편심축(56)이 상방으로 회전한다. 이것에 의해, 편심축(56)의 걸어맞춤 플레이트(51)에 대한 밀어내리는 힘이 해제되고, 복귀부재(49)의 미는 힘에 의해 밀어올리는 힘이 주어져 스톱퍼(50)에 맞닿는 초기위치로 상승 복귀된다.
이상과 같이, 이 회전판(55)의 회전에 의해 편심축(56), 걸어맞춤 플레이트(51)를 통해서 요동지지체(33)가 지축(32) 주위로 상하 요동되도록 구성되고, 이들 걸어맞춤 플레이트(51), 회전판(55), 편심축(56) 등에 의해 요동지지체(33)를 상하 요동시키는 동기요동수단이 구성된다.
상기 커터기구(24)는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쌍의 커터(58)를 구비하고, 상기 한쌍의 커터(58)가 전선공급라인(X)을 사이에 두고 상하위치에서 도시 생략의 커터 본체에 각각 상하방향을 따라 이동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도시 생략의 커터 구동수단의 구동에 의해 양 커터(58)가 개폐 동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각 커터(58)는 서로 대향하는 폭방향 중앙위치에 피복전선(W)의 절단용 절단칼부(58a)가 각각 형성되고, 그 양측 위치에는 피복전선(W)의 피복부를 벗기기 위한 벗김칼부(58b)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길이 측정유니트(21)에서 송출된 피복전선(W)은 초기위치에 위치하는 양 클램프(22,23)로 집어지고, 이 상태에서 커터기구(24)의 각 커터(58)가 닫힘 동작되어 제4도 및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커터(58)의 전부 닫힘상태로 피복전선(W)이 절단된다.
그 후, 각 커터(58)가 열린 동작되어 전부 열림 동작상태로 되고, 이 상태에서 F클램프(22) 및 R클램프(23)가 서로 역방향으로 옆이동 동작(화살표 R,S 방향)되고, 제6도 및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커터(58)의 벗김칼부(58b) 대응위치에서 각각 정지된다(피복벗김위치).
다음에, 제8도 및 제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F클램프(22) 및 R클램프(23)가 서로 전후방향(화살표 P,Q 방향)으로 피복전선(W)의 단부 벗김 길이에 대응한 거리만큼 이동 조작된다(노취 위치).
그 후, 각 커터(38)가 닫힘 동작되어 제10도 및 제1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커터(58)가 약간 열림 상태로 되고, 피복전선(W)의 피복부(Wa)를 각 커터(58)의 벗김칼부(58b)가 잠식한 상태로 된다.
이 상태에서 제1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F클램프(22) 및 R클램프(23)가 서로 상술한 것과 역방향의 전후방향(화살표 P,Q 방향)으로 각각 이동 조작되어 피복전선(W) 단부의 피복부(Wa)가 벗김 처리되고, 소정 길이의 중심선부(Wb)가 노출상태로 된다(벗김위치). 그래서, 커터기구(24)로 절단 처리된 각 피복전선(W)의 단부가 끌어당겨짐과 동시에 피복 벗겨짐 처리된다.
상기 R클램프(23)도 F클램프(22)와 같이, 제2반송기구(28)에 의해 제1도에 실선으로 도시되는 초기위치와 가상선으로 도시되는 리어측 단자압착기구(26)에 대향하는 단자압착위치 사이에서 왕복 이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제1도에서 화살표(P,Q)로 도시하는 전후방향 및 화살표(R,S)로 도시하는 좌우방향으로 이동조작이 자유롭게 구성되어 있다.
제13도 및 제1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R클램프(23)의 클램프 본체(61)는 제2반송기구(28)에 구비된 가이드레일(62)에 승강기구(63)를 통해서 지지되어 있고, 도시 생략된 구동원의 구동에 따라 상기 가이드레일(62)을 따라서 상기 초기위치와 단자압착위치 사이에서 승강기구(63)와 일체적으로 수평이동(제1도의 화살표 R,S 방향)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클램프 본체(61)의 하단부에는 L형의 암부재(61a)가 연장 설치되어 있고, 이 암부재(61a)의 수평부(61b)에 후술하는 압착다이스(64)와 연동하는 연계로드(65)의 일단이 접근, 이격이 자유롭게 맞닿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연계로드(65)는 그 긴 길이방향의 중간위치가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축(65a)에 의해 지지되어 있고, 이 지축(65a)을 중심으로 회전동작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연계로드(65)의 일단(제14도에서 우측단)은 단자 압착동작시에 하강하는 압착다이스(64)에 대해서 기계적으로 연동되어 있고, 이 압착다이스(64)의 하강에 따라 제14도에 화살표(N)로 도시하는 방향으로 회전동작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 연계로드(65)의 타단(제14도에서 좌측단)에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축(65C)에 의해 로울러(65b)가 회전동작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고, 이 로울러(65b)의 외주면이 상기 암부재(61a)의 수평부(61b) 상면에 접근, 이격이 자유롭게 맞닿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압착다이스(64)의 하강에 의한 단자 압착동작시에는 연계로드(65)의 회전동작(화살표N 방향)에 의해 상기 로울러(65b)에서 암부재(61a)로 아래방향의 미는 힘이 주어지고, 더 나아가서는 클램프 본체(61)를 밀어내리는 미는 힘이 주어지는 것으로 된다.
상기 승강기구(63)는 상기 가이드레일(62)의 하단부에 가이드레일(62)을 따라서 이동이 자유롭게 설치된 지지브라켓(63a)과 상기 지지브라켓(63a)에 형성된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는 개구(63b)내에 삽입 통과된 승강로드(63c)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 승강로드(63c)의 상단부가 클램프 본체(61)에 L형 브라켓(63d)을 통해서 접속됨과 동시에, 이 L형 브라켓(63d)과 상기 지지브라켓(63a)의 사이에는 코일스프링(63e)이 압축상태로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단자압축 동작에 따라 상기 클램프 본체(61)에 하방으로의 미는 힘이 작용하면, 상기 클램프 본체(61)의 하강에 따라 승강로드(63c)도 하강하고, L형 브라켓(63d)과 지지브라켓(63a)의 간격이 작아짐으로써 코일스프링(63e)이 압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클램프 본체(61)의 상하방향의 거의 중간위치에는 수평판부(61c)가 설치되어 있고, 이 수평판부(61c)의 하단면에는 에어실린더(67)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에어실린더(67)의 피스톤로드(67a)가 수평판부(61c)의 상면에서 진퇴 자유로이 돌출 설치되어 있다. 더욱이, 상기 수평판부(61c)의 상면 일측단에는 클램프조 지지판(61d)이 클램프 본체(61)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이 클램프조 지지판(61d)에 상하 한쌍의 클램프부로서의 클램프조(68,69)가 회전동작 자유로이 지지되어 있다.
이 클램프조(68,69)는 거의 L형으로 형성되어 서로 대칭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각 기단부가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축(68a,69a)에 의해 상기 클램프조 지지판(61d)에 회전동작 자유로이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제13도 및 제14도에 도시한 회전동작위치에 있어서는 각각의 전선집음면(68B,69b)끼리 근접되고, 이 전선집음면(68b,69b) 사이에서 피복전선(W)을 집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 상하 한쌍의 클램프조(68,69) 중 하측의 클램프조(69)에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긴 구멍(69c)이 형성되어 있고, 이 긴 구멍(69c)에 상기 피스톤로드(67a)의 상단부에서 수평방향으로 돌출 설치된 걸이핀(67b)이 삽입된 형태로 걸려있다. 더욱이, 상측 클램프보조(68)에서 지축(68a)보다 하측부분과, 하측 클램프조(69)에서 지축(69a)보다 상측부분은 서로 상대 회전동작 자유로이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각 클램프조(68,69)는 상기 에어실린더(67)의 구동에 따라 피스톤로드(67a)의 진퇴 이동에 따라서 제13도 및 제14도에 도시된 각 전선집음면(68b,69b)끼리가 근접된 전선집음 상태위치와, 제15도에 도시된 서로 개방되어 떨어진 개방 상태위치 사이에서 회전동작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1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복전선(W)의 단부에 압착되는 단자957)는 단자압착기(26)의 압착베드(71)상에 올려진 상태로 되어 있고, 이 위치는 하방으로 미는 힘이 주어지지 않는 상태에서의 R클램프(23)의 클램프조(68,69)로 집어져 있는 피복전선(W)의 위치보다 하측에 설정되어 있다. 이것은 클램프 본체(61)가 초기위치에서 단자압착위치까지 이동할 때 피복전선(W)이 단자(57)에 접촉하는 것을 회피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피복전선(W)의 선단부로 단자(57)의 압착동작시에는 제1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착다이스(64)의 하강에 따라 연계로드(65)의 회전동작에 의해 클램프 본체(61)가 하강하고, 이것에 따라서 피복전선(W)도 하강하여 압착베드(71)상의 단자(57)에 맞닿은 상태로 압착다이스(64)에 의해 단자(57)의 압착이 행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클램프 본체(61)의 상단부에서 상기 클램프조(68,69)의 배열 설치위치와 반대측의 위치에 제2이동부재로서의 연계로울러(73)가 배열 설치되어 있다. 이 연계로울러(73)는 클램프 본체(61)의 상단부에서 연장되는 연장부(73a)의 선단부에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축(73b)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상기 전선배출기(29)는 R클램프(23)로 집어진 상태에서 단자(57)가 압착된 피복전선(W)을 이 R클램프(23)로부터 받아 장치(20) 밖으로 배출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이 전선배출기(29)는 제17도 내지 제1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기 본체(80)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배출기 본체(80)에 전선집음기구부(81)가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배출기 본체(80)에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레일(80a)이 배열 설치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레일(80a)을 따라 전선집음기구부(81)가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배출기 본체(80)에서 제17도의 좌측단부에는 연직방향의 구동축(82a)을 가지는 서보모터(82)가 배열 설치되어 있고, 이 서보모터(82)의 구동축(82a)은 배출기 본체(80)를 관통해서 상기 배출기 본체(80)의 하측으로 연장되고, 그 선단부에 제1풀리(83)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1풀리(83)의 측방에는 상하방향의 회전축(84)을 가지는 제2풀리(85)가 배열 설치되어 있고, 제1풀리(83)와 제2풀리(85) 사이에 벨트(86)가 걸쳐져 있다.
상기 회전축(84)에서 배출기 본체(80)의 상측에는 제3풀리(87)가 배열 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배출기 본체(80)의 상측에서 제17도의 우측단부에는 연직방향의 회전축(88)으로 지지된 제4풀리(89)가 배열 설치되어 있고, 제3풀리(87)와 제4풀리(89) 사이에 벨트(90)가 걸쳐져 있다.
또한, 이 벨트(90)에는 상기 전선집음기구부(81)의 상단에 설치된 브라켓(81a)이 연결되어 있고, 서보모터(82)의 구동에 따라 각 풀리(83,85,87,89)의 회전에 의해 벨트(86,90)가 주행하고, 이것에 의해 전선집음기구부(81)가 상기 가이드레일(80a)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전선집음기구부(81)는 상기 R클램프(23)에서 피복전선(W)을 받는 전선수취위치(제17도의 실선위치)와, 이 피복전선(W)을 장치(20) 밖으로 배출하는 전선배출위치(제17도의 가상선위치) 사이에서 왕복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전선집음기구부(81)는 전선집음기구부 본체(92)와 승강부재(93)를 구비하고, 전선집음기구부 본체(92)의 상단부에 상기 브라켓(81a)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전선집음기구부 본체(92)의 하단부에는 제1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면에서 볼 때 프레임 형상의 브라켓(92a)이 설치되어 있고, 이 브라켓(92a)의 하단 테두리부에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판부(92b)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이 수평판부(92b)에는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는 개구(92c)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승강부재(93)에는 상기 브라켓(92a)의 수평판부(92b)에 형성된 개구(92c)에 삽입된 승강로드(93a)의 상단부가 L형 브라켓(93b)을 통해서 접속되어 있고, 이 L형 브라켓(93b)과 상기 브라켓(92a)의 수평판부(92b) 사이에는 코일스프링(93c)이 압축상태로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승강부재(93)에 하방으로 미는 힘이 작용하는 경우에는 승강부재(93)의 하강에 따라 승강로드(93a)도 하강하고, 이것에 따라 L형 브라켓(93b)과 상기 브라켓(92a)의 수평판부(92b)의 간격이 작게 되는 것으로 코일스프링(28c)이 압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승강부재(93)의 하단부에는 수평방향으로 진퇴가 자유로운 피스톤로드(95a)를 가지는 에어실린더(95)가 배열 설치되어 있다. 그러고, 이 에어실린더(95)의 피스톤로드(95a)의 선단부에는 전선집음부(96)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전선집음부(96)는 하방을 향해 진퇴가 자유로운 피스톤로드(97a)를 가지는 에어실린더(95)가 배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에어실린더(95)의 피스톤로드(95a)의 선단부에는 전선집음부(96)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전선집음부(96)는 하방을 향해 진퇴가 자유로운 피스톤로드(97a)를 가지는 에어실린더(97)를 구비하고, 이 에어실린더(97)이 피스톤로드(97a)의 선단부에는 피복전선(W) 집음용 수취클램프부로서의 클램프조(98,99)가 에어실린더(97)의 구동에 따라 개폐가 자유로이 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각 클램프조(98,99)의 폐쇄상태에서 상기 클램프조(98,99)에 의해 피복전선(W)이 집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승강부재(93)의 에어실린더(95)의 하단면에 L형 브라켓(101)을 통해서 마찬가지로 L형 제1이동부재로서의 인하레버(102)가 배열 설치되고, 이 인하레버(102)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부(102a)를 구비하고 있다. 이 수평부(102a)의 상면 높이위치는 상기 R클램프(23)에 설치된 연계로울러(73)의 하단 높이위치보다 약간 하방에 설정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R클램프(23)가 전선배출기(29)로 피복전선(W)을 건내기 위해, 이 전선집음기구부(81)의 대향하는 위치까지 이동한 상태에서는 연계로울러(73)가 인하레버(102)의 수평부(102a)와 약간 간격을 가진 바로 상방에 위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제14도 참조).
또한, 이 상태에서는 R클램프(23)의 전선집음높이위치와 전선집음기구부(81)의 클램프조(98,99)의 높이위치가 거의 일치되어 있다. 즉, R클램프(23)의 전선집음높이위치와 전선집음기구부(81)의 클램프조(98,99)의 전선집음높이위치는 R클램프(23)가 하강해서 연계로울러(73)가 인하레버(102)의 수평부(102a)의 상면에 맞닿은 상태에서 일치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다음에, 리어측 단자압착기구(26)에 의한 단자(57)의 압착동작 및 R클램프(23)에서 전선배출기(29)로의 전선건냄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R클램프(23)가 초기위치에서 피복전선(W)을 집은 상태에서 커터부(24)에 의해 피복전선(W)의 절단처리 및 피복벗김처리가 종료하면, R클램프(23)는 가이드레일(62)을 따라 이동하고, 상기 초기위치에서 리어측 단자압착기구(26)에 대향하는 단자 압착위치로 이동된다. 즉, 제13도의 실선으로 도시하는 위치에서 가상선으로 도시하는 위치까지 이동되는 것으로 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는 피복전선(W)과 단자(57)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피복전선(W)의 높이위치는 단자(57)의 배열 설치 높이위치보다 상방에 위치되어 있다(제14도 참조). 또한 이때, R클램프(23)에 설정되어 있는 연계로울러(73)가 전선배출기(29)의 승강부재(93)에 설치되어 있는 인하레버(102)의 수평부(102a)의 바로 상방에 위치되어 있다(제14도 참조). 이 경우, 연계로울러(73)와 인하레버(102)가 접촉하지 않으므로 전선배출기(29)에 불필요한 힘이 작용하지 않게 되고, 승강부재(93)의 위치가 소정의 전선수취위치로 유지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단자(57)의 압착동작으로 이행한다. 이 동작은 제1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착다이스(64)의 하강에 따라 연계로드(65)가 화살표(N) 방향으로 회전동작하여 연계로드(65)에 설치되어 있는 로울러(65b)가 암부재(61a)의 수평부(61b)에 맞닿고, 상기 수평부(61b)를 하방으로 밀어내림으로써 R클램프(23)를 끌어내리는(인하하는) 것으로 된다. 이때, 승강기구(63)에서는 L형 브라켓(63d)의 하강에 따라 코일스프링(63e)이 압축된다.
그리고, 이 R클램프(23)의 인하동작시에 있어서, R클램프(23)의 클램프 본체(61)에 설치되어 있는 연계로울러(73)가 하강함으로써, 상기 연계로울러(73)는 전선집음기구부(81)의 승강부재(93)에 설치된 인하레버(102)의 수평부(102a) 상면에 맞닿아 상기 인하레버(102)를 하방으로 밀어내린다. 이것에 의해, 승강부재(93)는 코일스프링(93c)을 압축하면서 하강되는 것으로 된다. 즉, 상기 연계로울러(73)가 인하레버(102)의 수평부(102a)에 맞닿는 것에 의해 승강부재(93)가 R클램프(23)의 하강에 동기해서 하강되는 것으로 된다.
또한, 이렇게 연계로울러(73)가 인하레버(102)에 맞닿아 있는 상태에서는 R클램프(23)의 전선집음높이위치와 전선집음기구부(81)의 클램프조(98,99)의 전선집음높이위치가 일치되어 있으므로, 이 R클램프(23) 및 승강부재(93)의 하강동작시에 상기 승강부재(93)의 에어실린더(97)를 구동시켜 클램프조(98,99)를 전선집음방향으로 회전동작시키면, 상기 클램프조(98,99)에 의해 피복전선(W)의 소정 위치를 집을 수 있는 상태로 되어 있다. 또, 이 상태에서는 승강부재(93)에 구비된 에어실린더(95)의 구동에 의해 전선집음부(96)는 제19도에서 가상선으로 도시한 전선수취위치까지 전진되어 있다.
그리고, 제1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R클램프(23)가 승강 하단위치에 도달한 상태에서는 각 클램프조(68,69)로 집어져 있는 피복전선(W)의 선단부가 단자(57)의 내부에 위치되고, 이 상태에서 압착다이스(64)에 의해 단자(57)가 피복전선(W)의 선단부에 압착된다. 또한, 이 단자(57)의 압착동작과 동시에 상기 승강부재(93)의 에어실린더(97)가 구동되어 클램프조(98,99)를 전선집음방향으로 회전동작시키면, 상기 클램프조(98,99)에 의해 피복전선(W)의 소정 위치가 집어진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는 R클램프(23)의 클램프조(68,69)와 전선배출기(29)의 클램프조(98,99)가 모두 피복전선(W)을 집은 상태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 동작의 직후에 제20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압착다이스(64)가 상승되고, 이것에 따라 R클램프(23) 및 승강부재(93)는 각 코일스프링(63e,93c)의 미는 힘에 의해 상승하여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간다. 그리고, 이 R클램프(23) 및 승강부재(93)의 상승 이동시에는 제1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R클램프(23)의 에어실린더를 구동하여 그 피스톤로드(67a)를 후퇴시키고, 각 클램프조(68,69)를 서로 떨어지는 방향으로 회전동작시켜 피복전선(W)의 집음상태를 해제한다.
그래서, 피복전선(W)은 전선배출기(29)의 클램프조(98,99)만이 집은 상태로 되고, 피복전선(W)의 R클램프(23)에서 전선배출기(29)로의 건냄이 완료된다. 또한, 이때에는 승강부재(93)에 구비된 에어실린더(95)의 구동에 의해 전선집음부(96)는 제19도에서 가상선으로 도시하는 전선수취위치에서 실선으로 도시하는 초기위치로 되돌아간다.
이상과 같이, 상기 연계로울러(73), 코일스프링(93c), 인하레버(102)등에 의해 단자압착기(26)의 단자 압착동작시에 R클램프(23)의 클램프조(68,69)의 승강 이동에 동기해서 전선집음부(96)의 클램프조(98,99)를 승강 이동시키는 동기이동수단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렇게 해서 피복전선(W)의 건냄이 종료되어 R클램프(23) 및 승강부재(93)가 모두 상승위치에 도달하면, R클램프(23)는 가이드레일(62)을 따라 단자압착위치에서 초기위치로 되돌아간다. 한편, 전선배출기(29)에서는 서보모터(82)가 구동되어 벨트(86,90)가 주행하고, 이것에 따라 전선집음기구부(81)가 배출기 본체(80)상을 가이드레일(80a)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여 전선수취위치에서 전선배출위치까지 이동한다.
그리고, 이 전선배출위치까지 이동한 전선집음기구부(81)는 처리가 끝난 피복전선(W)을 장치(20) 밖으로 배출한 후, 서보모터(82)가 상기와는 역방향으로 구동되어 재차 전선수취위치까지 되돌아간다. 이와 같은 동작이 순차 반복됨으로써 전선배출기(29)에서는 단자(57) 압착 처리가 끝난 피복전선(W)이 연속적으로 배출된다.
다음에, 이 전선처리장치(20) 전체의 처리동작을 제21도의 타임차트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즉, 동작 개시지령이 주어지면, F클램프(22) 및 R클램프(23)가 초기위치에 위치되고, 각 클램프(22,23)는 피복전선(W)을 잡지 않은 개방 위치로 된다. 이 상태에서 길이 측정유니트(21)에 의해 피복전선(W)이 공급되어 송출량이 소정 칫수에 도달하면, 길이 측정유니트(21)에 의한 피복전선(W)의 공급이 정지된다(시각t1). 이 경우에 길이 측정유니트(21)에 의한 피복전선(W)의 송출량은 적절히 설정된다.
그 후, 각 클램프(22,23)가 폐쇄 위치로 되어 피복전선(W)을 집는다(시각t2). 다음에, 커터기구(24)의 각 커터(58)가 전부 닫혀 피복전선(W)이 절단된다(시각t3).
그 후, 각 커터(58)가 전부 열려지고(시각t4), F클램프(22) 및 R클램프(23)가 각각 역방향으로 옆이동 동작되어, 피복벗김위치에 위치된다(시각t5~t6). 다음에, F클램프(22) 및 R클램프(23)가 각각 역방향으로 전후 동작되어, 피복전선(W)이 노취 위치에 위치된다(시각t6~t7).
다음에, 각 클램프(22,23)로 집어진 피복전선(W)이 노취 위치에 위치되면, 각 커터(58)가 닫힘 동작되어 약간 열린 위치로 되어, 피복전선(W)의 피복부(Wa)가 잠식상태로 된다(시각t8). 이 상태에서 각 클램프(22,23)가 각각 역방향으로 전후 동작되고, 벗김 위치에 위치되어 피복부(Wa)가 벗김 처리된다(시각t9).
다음에, 각 커터(58)는 열림 동작되어 전부 열린 위치로 되고, 피복벗김 처리된 피복전선(W)을 집는 각 클램프(22,23)는 각각 대응하는 단자압착위치로 이동된다(시각t10~t11). 그리고, 각 클램프(22,23)가 단자압착 위치에 도달하면 각 단자압착기(25,26)의 압착다이스(54,64)가 하강되고, 이 단자압착기(26)의 압착다이스(64)의 하강시에 전선배출기(29)의 클램프조(98,99)가 폐쇄 동작된다(시각t11~t12).
그 후, 각 단자압착기(25,26)의 압착다이스(54,64)가 상승되고, 이 단자압착기(26)의 압착다이스(64)의 상승시에 R클램프(23)의 클램프조(68,69)가 개방 동작된다(시각t12~t13). 그래서, 단자(57)의 압착처리가 종료한 피복전선(W)이 R클램프(23)에서 전선배출기(29)측으로 건내진다.
그 후, 각 클램프(22,23)는 옆이동 동작되어 초기위치로 되돌아간다(시각t13~t15). 이 때, 전선배출기(29)는 전선수취위치에서 전선배출위치로 이동되고(시각t13~t14), 전선배출위치에서 전선배출기(29)의 클램프조(98,99)가 개방 동작되어 피복전선(W)의 집음을 해제한다(시각t14~t15). 또한, F클램프(22)에 의한 피복전선(W)의 집음이 해제된다(시각t14~t15).
다음에, 길이 측정유니트(21)가 구동되어 피복전선(W)이 재차 소정 칫수 공급된다(시각t15~t18). 이때, F클램프(22) 및 R클램프(23)는 전후 동작되어 초기위치로 되돌아가고(시각t17~t18), 전선배출기(29)는 전선배출위치에서 전선수취위치로 되돌아간다(시각t15~t16).
또, 이 F클램프(22) 및 R클램프(23)의 전후 동작에 의한 초기위치로의 되돌아감은 길이 측정유니트(21)에 의한 피복전선(W)의 소정 칫수 공급이 종료하기 이전이라면 언제라도 된다.
그리고, 이러한 동작이 반복되어 전선배출기(29)로부터 단자(57)가 압착처리 끝난 피복전선(W)이 순차적으로 배출된다.
제22도는 본 실시예와 대응하는 종례예에서의 타임차트를 도시하고 있고, 단자(57)의 압착처리 후에 R클램프(23)로 집어진 피복전선(W)을 전선배출기구(29)로 건내는 방식으로 되어 있고, 다른 부분은 상기 실시예와 거의 동일하게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의 전선처리장치(20)에 의하면, 승강하는 R클램프(23)로 집어진 피복전선(W) 단말로의 단자 압착동작시에 전선배출기구(29)의 승강부재(93)를 승강시키고, 상기 승강부재(93)와 R클램프(23) 상호간의 상대 이동이 없어지게 되도록 하였기 때문에, 이 승강부재(93)와 피복전선(W)의 상대 이동도 없어지게 되고, 상기 승강부재(93)의 클램프조(98,99)에 의한 피복전선의 소정 위치의 집음을 양호하게 행할 수 있고, 또 피복전선(W)의 선단부로의 단자(57) 압착동작과 R클램프(23)에서 전선배출기(29)로의 피복전선(W)의 건냄동작을 동시에 행할 수 있으며, 그래서 전선처리시간의 단축화가 도모됨과 동시에 피복전선(W) 건냄동작의 신뢰성 향상이 도모된다.
즉, 종래와 같이, 승강부재(93)와 피복전선(W)이 상대 이동하는 구조에서는 승강부재(93)의 클램프조(98,99)가 피복전선(W)의 소정 위치를 양호하게 집기 위해서는 R클램프(23)를 일단 정지시킬 필요가 있었지만, 본 실시예에 의하면, 그럴 필요는 없고, 제21도 및 제22도에 도시되는 타임차트에 도시된 바와 같이, R클램프(23)의 초기위치로의 되돌아감 동작을 F클램프(22)의 초기위치로의 되돌아감 동작에 동기시킬 수 있는 정도로 상기 R클램프(23)의 동작시간을 단축화 할 수 있고, 작업시간 전체의 단축화를 도모하면서 전선배출기(29)로 피복전선(W)의 소정위치를 집을 수 있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또한, 단자압착기(26)에 의한 단자(57)의 압착동작시에 R클램프(23)의 클램프조(68,69)의 승강 이동에 따라 연계로울러(73)가 인하레버(102)에 맞닿아 전선배출기(29)의 클램프조(98,99)를 동기해서 승강 이동시키도록 하였기 때문에, 전선배출기(29)의 클램프조(98,99)의 이동은 R클램프(23)의 클램프조(68,69)의 승강 이동 구동력에 의해 행해지게 되고, 클램프조(98,99)의 승강 이동을 위한 구동원이 불필요하게 되기 때문에, 장치(20) 전체로서의 구조의 간략화가 도모된다.
더욱이, 연계로울러(73)와 인하레버(102)의 수평부(102a) 사이에 약간의 간격을 가지는 위치로 설정하고 있기 때문에, 인하레버(102)측에 불필요한 힘을 작용시키지 않고, 클램프조(98,99)측의 오동작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승강부재(93)의 클램프조(98,99)에 의한 피복전선(W)의 집음은 R클램프(23)의 승강 하단위치에서 행할 필요는 없고, R클램프(23)의 클램프조(68,69)에 의해 피복전선(W)이 집어지고 있는 상태에서 승강부재(93)와 R클램프(23)가 동기해서 승강하고 있는 상태라면 어떠한 상태에서 집음동작을 개시시켜도 되므로, 이 승강부재(93)의 클램프조(98,99)의 제어동작의 자유도가 크게 확보되는 이점이 있다.
더욱이, R클램프(23)의 클램프조(68,69)에 의한 전선집음상태의 해제동작은 승강부재(93)의 클램프조(98,99)에 의해 피복전선(W)이 집어진 상태에서 승강부재(93)와 R클램프(23)가 동기해서 승강하고 있는 상태라면 어떠한 상황에서 집음상태를 해제시켜도 되므로, 이 R클램프(23)의 클램프조(68,69)의 제어동작의 자유도가 크게 확보되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에서는 전선배출기(29)의 클램프조(98,99)에 의한 피복전선(W)의 집음동작 및 R클램프(23)의 클램프조(68,69)에 의한 피복전선(W)의 집음해제동작을 R클램프(23)로 승강 하단위치 부근에서 행하도록 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하등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F클램프(22)로 집어진 피복전선(W)의 단부에 단자압착기(25)에 의해 단자(57)를 압착 처리할 때, 압착다이스(54)의 하강과 동기해서 요동지지체(33)가 하방으로 요동되고, 요동지지체(33)로 지지된 피복전선(W)을 끼워 지지하는 형태로 하는 길이 측정로울러(36a,36b)와 F클램프(22)가 일체적으로 경사지는 구조로 하고 있기 때문에, 양 길이 측정로울러(36a,36b)로 피복전선(W)을 끼워 지지하고 있음에도 관계없이 상기 압착처리시에 길이 측정로울러(36a,36b)와 F클램프(22) 사이에서 피복전선(W)에 강한 인장력이 생기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피복전선(W)의 신장이나 구부러짐의 발생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압착처리중 양 길이 측정로울러(36a,36b)로 피복전선(W)을 끼워 지지하고 있기 때문에, 다음 공정에서 측정 길이의 변동 발생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양 길이 측정로울러(36a,36b)를 접근, 이격 조작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종래와 같은 접근, 이격 조작용 접근, 이격 조작수단을 별도로 설치할 필요는 없고, 그 제어도 불필요하게 되어 구조의 간소화가 도모된다.
또한, 종래와 같이 F클램프(22)만이 요동되는 경우와 비교해서 길이 측정로울러(36a,36b)측과 F클램프(22)가 일체적으로 지축(32) 주위로 요동되는 구조이고, 요동 중심에서 단자(57) 압착위치까지의 거리가 길게 되고, 그래서 피복전선(W)의 요동에 의한 경사각도를 작게할 수 있고, 압착베드(53)상의 단자(57)에 대한 피복전선(W) 단부의 공급자세가 보다 양호하게 되어, 양호한 압착처리상태가 얻어지는 이점이 있다.
제23도는 제2실시예를 도시하고 있고, 본 실시예에서 전선처리장치(20)의 기본 구조는 상기 제1실시예의 것과 거의 같으므로, 본 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다른 점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전선처리장치(20)는 압착다이스(64)의 상단부를 지지하고 있는 슬라이더(64a)에 L형 브라켓(64b)이 설치되어 있고, 이 브라켓(64b)의 수평부(64c)가 전선배출기(29)측을 향해 연장되고 있다. 그리고, 이 브라켓(64b)의 수평부(64c)의 선단부에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축(73b)에 의해 지지된 연계로울러(73)가 배열 설치되어 있다.
한편, 전선배출기(29)는 승강부재(93)에서 상기 압착다이스(64)에 대향하는 면에 인하브라켓(105)이 설치되어 있다. 이 인하브라켓(105)은 그 상단부가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부(105a)에 형성되어 있고, 이 수평부(105a)의 높이위치는 상기 연계로울러(73)의 하면보다 약간 하측에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피복전선(W) 단부로의 단자(57) 압착동작에서는 압착다이스(64)의 하강에 따라 연계로울러(73)의 하강에 의해 상기 연계로울러(73)가 인하브라켓(105)의 수평부(105a)에 맞닿고, 전선배출기(29)의 승강부재(93)를 아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된다. 또한, 이 때에는, 상기 제1실시예의 경우와 같이, 상기 압착다이스(64)의 하강에 의해 연계로드(65)가 회전동작해서 R클램프(23)도 하강되고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예의 구성에서도 압착다이스(64)의 하강에 의한 R클램프(23)의 상승과 승강부재(93)의 승강을 동기시킬 수 있는 것으로 되고, 피복전선(W) 단부로의 단자(57) 압착동작과 R클램프(23)에서 전선배출기(29)로의 피복전선(W)의 건냄동작을 동시에 행할 수 있어 전선 처리시간의 단축화를 도모하면서 전선배출기(29)로 피복전선(W)의 소정 위치를 집을 수 있다.
제24도는 제3실시예를 도시하고 있고, 본 실시예에서 전선처리장치(20)의 기본 구조도 상기 제1실시예의 것과 거의 같으므로, 본 예에서도 제1실시에와 다른 점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전선처리장치(20)는 전선배출기(29)의 승강부재(93)에서 상기 압착다이스(64)에 대향하는 면에 인하레버(107)가 설치되어 있다. 이 인하레버(107)는 상단부가 상기 승강부재(93)에 브라켓(108)을 통해서 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하단부가 R클램프(23)의 클램프 본체(61)의 배열 설치 높이위치보다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이 인하레버(107)는 R클램프(23)의 클램프 본체(61)의 하면에 설치되어 있는 인하레버(109)와 마찬가지로 L형으로 형성되어 수평부(107a)를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이 승강부재(93)에 설치된 인하레버(107)의 수평부(107a)의 높이위치는 상기 R클램프(23)에 설치되어 있는 인하레버(109)의 수평부(109a)의 높이위치와 일치되고, 연계로드(65)에 대향하는 위치에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피복전선(W) 단부로의 단자(57) 압착동작에서는 압착다이스(64)의 하강에 따라 연계로드(65)의 회전동작에 의해 이 연계로드(65)의 선단부에 배열 설치되어 있는 로울러(65b)가 각 인하레버(107,109)의 수평부(107a,109a)에 맞닿아 R클램프(23) 및 전선배출기(29)의 승강부재(93)를 동시에 하방으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된다. 이상과 같이, 본 예의 구성에서도 압착다이스(64)의 하강에 의한 R클램프(23)의 승강과 승강부재(93)의 승강이 동기되는 것으로 되므로, 피복전선(W) 단부로의 단자(57) 압착동작과 R클램프(23)에서 전선배출기(29)로의 피복전선(W)의 건냄동작을 동시에 행할 수 있어 전선처리시간의 단축화를 도모하면서 전선배출기(29)로 피복전선(W)의 소정 위치를 집을 수 있다.

Claims (7)

  1. 피복전선을 소정 칫수씩 간헐적으로 송출하는 길이 측정유니트와, 상기 길이 측정유니트의 전선공급방향의 하류측에 순차로 배열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송출된 피복전선을 자유로이 해제 가능하게 집는 제1클램프기구 및 제2클램프기구와, 상기 양 클램프기구 사이에 위치해서 배열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각 클램프기구로 집어진 피복전선의 절단처리, 피복벗김처리를 행하는 커터기구와, 상기 각 클램프기구의 측방에 대응해서 각각 배열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피복벗김처리된 피복전선 단부에 단자를 압착하는 제1단자압착기구 및 제2단자압착기구와, 상기 제1클램프기구 및 제2클램프기구의 클램프부로 각각 집어진 피복전선을 각각 대응하는 제1단자압착기구 및 제2단자압착기구 위치로 반송하는 제1반송기구 및 제2반송기구와, 제2단자압착기구에 의해 단자가 압착된 피복전선을 제2클램프기구의 클램프부로부터 받는 수취클램프부를 가지는 전선배출기구를 구비하고, 제2단자압착기구에 의한 단자 압착동작시에 제2클램프기구의 클램프부가 승강 이동되는 전선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단자압착기구의 단자 압착동작시에 상기 제2클램프기구의 클램프부의 승강 이동에 동기해서 상기 수취클램프부를 승강 이동시키는 동기이동수단이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수취클램프부의 위치가 제2단자압착기구의 단자 압착동작시에 상기 수취클램프부에 의한 피복전선의 집음이 가능하게 되기 위해 피복전선의 위치에 일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이동수단은, 전선배출기구의 수취클램프부에 일체적으로 설치된 제1이동부재와, 제2클램프기구의 클램프부에 일체적으로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제1이동부재에 근접해서 배치된 제2이동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2단자압착기구의 단자 압착동작시에 상기 제2클램프기구의 승강 이동에 따라서 제2이동부재가 제1이동부재에 맞닿아 상기 수취클램프부를 상기 제2클램프기구의 클램프부의 승강 이동에 동기해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처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이동부재는, 상기 제1이동부재에 대해서 약간의 간격을 가진 위치에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처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 측정유니트는, 상기 피복전선을 송출하기 위해 서로 자유로이 접근, 이격되도록 탄성 접속된 한쌍의 길이 측정로울러를 구비하고, 상기 제1반송기구는 수평면내에서 이동되는 수평이동부를 구비하며, 상기 수평이동부측에 상하방향으로 자유로이 요동되도록 지지된 요동부재에 상기 길이 측정로울러 및 제1클램프기구가 장착되고, 상기 제1단자압착기구에 의한 단자 압착동작시에 제1클램프기구를 승강시키기 위해 상기 요동부재에 걸어 맞추어 요동부재를 상하 요동시키는 동기요동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처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요동부재를 초기위치로 상승 복귀시키는 복귀부재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처리장치.
  6. 피복전선을 소정 칫수씩 간헐적으로 송출하는 한쌍의 길이 측정로울러를 구비한 길이 측정유니트와, 상기 길이 측정유니트의 전선공급방향의 하류측에 순차로 배열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송출된 피복전선을 자유로이 해제 가능하게 집는 클램프기구와, 상기 클램프기구로 집어진 피복전선의 절단처리, 피복벗김처리를 행하는 커터기구와, 상기 각 클램프기구의 측방에 대응해서 배열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피복벗김처리된 피복전선 단부에 단자를 압착하는 단자압착기구와, 상기 클램프기구로 집어진 피복전선을 단자압착기구 위치로 반송하는 반송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단자압착기구에 의한 단자 압착동작시에 상기 클램프기구가 승강 이동되는 전선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반송기구는 수평면내에서 이동되는 수평이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수평이동부측에 상하방향으로 자유로이 요동할 수 있도록 지지된 요동부재에 상기 한쌍의 길이 측정로울러 및 클램프기구가 장착되며, 상기 단자압착기구에 의한 단자 압착동작시에 클램프기구를 승강시키기 위해 상기 요동부재에 걸어 맞추어 요동부재를 상하 요동시키는 동기요동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처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요동부재를 초기위치로 상승 복귀시키는 복귀부재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처리장치.
KR1019960705374A 1995-01-30 1995-01-30 전선처리장치 KR1002843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1995/000120 WO1996024179A1 (fr) 1995-01-30 1995-01-30 Appareil de traitement des cab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705204A KR970705204A (ko) 1997-09-06
KR100284380B1 true KR100284380B1 (ko) 2001-03-02

Family

ID=14125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705374A KR100284380B1 (ko) 1995-01-30 1995-01-30 전선처리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758402A (ko)
EP (1) EP0756360B1 (ko)
JP (1) JP3247945B2 (ko)
KR (1) KR100284380B1 (ko)
DE (1) DE69520671T2 (ko)
WO (1) WO199602417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57878B2 (en) * 1995-11-06 2007-08-21 Beat Locher Continuous cable processing apparatus
WO1997017751A1 (de) * 1995-11-06 1997-05-15 Schleuniger Holding Ag Abisoliervorrichtung
WO1998013907A1 (de) * 1996-09-23 1998-04-02 Schleuniger Holding Ag Endloskabelbearbeitungsvorrichtung
US6047453A (en) * 1997-12-26 2000-04-11 Mitsumi Electric Co., Ltd. Air-core coil forming system
JP2002289315A (ja) * 2001-01-16 2002-10-04 Shin Meiwa Ind Co Ltd 電線処理装置、フラックス塗布装置、ハンダ付け装置およびハンダ付け用交換ユニット
DE10212993B4 (de) * 2001-03-22 2007-05-24 Zoller & Fröhlich GmbH Crimp-Verfahren
US7774927B2 (en) * 2007-07-27 2010-08-17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Wire positioning device for a wire termination machine
WO2009141794A2 (en) 2008-05-20 2009-11-26 Schleuniger Holding Ag Cable transport device
JP5323756B2 (ja) 2009-04-10 2013-10-23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電線端末処理装置及び電線端末処理方法
JP7025976B2 (ja) * 2018-03-30 2022-02-25 新明和工業株式会社 端子圧着装置および端子圧着方法
JP7197352B2 (ja) * 2018-12-28 2022-12-27 新明和工業株式会社 端子圧着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95519U (ko) * 1990-01-23 1991-09-30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38457A (en) * 1988-04-27 1991-08-13 Shin Meiwa Industry Co., Ltd. Harness producing apparatus
JPH0785615B2 (ja) * 1989-06-05 1995-09-13 新明和工業株式会社 ハーネス製造装置
US4964200A (en) * 1989-08-22 1990-10-23 Amp Incorporated Lead making machine having improved crimping presses and actuating mechanism
US5226224A (en) * 1990-05-31 1993-07-13 Shin Meiwa Industry Co., Ltd. Method of removing sheath from electric wire in intermediate region
US5025549A (en) * 1990-08-31 1991-06-25 Amp Incorporated Lead making machine having improved wire feeding system
US5285569A (en) * 1990-11-09 1994-02-15 Eubanks Engineering Company Method of processing wire using multiple blade set
EP0509192A1 (de) * 1991-04-17 1992-10-21 Ttc Technology Trading Company Einrichtung zum Trennen und Abisolieren elektrischer Kabel in einer Kabelverarbeitungsmaschine
JP2808976B2 (ja) * 1992-03-02 1998-10-08 住友電装株式会社 ハーネス製造装置およびハーネス製造方法
CH684374A5 (de) * 1992-11-17 1994-08-31 Komax Holding Ag Kabelzuführungs- und -wechseleinrichtung für eine Kabelverarbeitungsmaschine.
JP2870362B2 (ja) * 1993-06-11 1999-03-17 住友電装株式会社 連続端子圧着機
JP2595061Y2 (ja) * 1993-07-29 1999-05-24 新明和工業株式会社 電線処理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95519U (ko) * 1990-01-23 1991-09-3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247945B2 (ja) 2002-01-21
EP0756360A1 (en) 1997-01-29
KR970705204A (ko) 1997-09-06
WO1996024179A1 (fr) 1996-08-08
DE69520671D1 (de) 2001-05-17
EP0756360A4 (en) 1999-05-06
US5758402A (en) 1998-06-02
EP0756360B1 (en) 2001-04-11
DE69520671T2 (de) 2001-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84380B1 (ko) 전선처리장치
US4087908A (en) Connector harness assembly machine
US4409734A (en) Harness making apparatus and method
EP0321214B1 (en) Cable harness manufacturing and electrical testing system
US4395818A (en) Block loader
US4870752A (en) Cable harness manufacturing and electrical testing system
CN114361914A (zh) 一种护套线双头打端插壳机及线材插壳方法
US5063656A (en) Apparatus for making a wire harness
US6658726B1 (en) Cable deposit device
EP0041332A2 (en) Apparatus for, and a method of, inserting electrical terminals into an electrical connector housing
US5761796A (en) Device for fitting out connector shells
US5842266A (en) Apparatus for producing wire harnesses
JPH0945453A (ja) 端子挿入装置と端子姿勢矯正装置及び端子姿勢矯正方法並びに端子挿入方法
EP0817329A1 (en) Apparatus for making wire harnesses
JPH09129348A (ja) 端子挿入方法及び端子挿入装置
EP0801826B1 (en) Apparatus for producing wire harnesses
JP3186531B2 (ja) 端子圧着電線の製造装置
EP3979265B1 (en) Electric cable processing device
JPH0368517B2 (ko)
JP2863959B2 (ja) 電線のセミストリップ方法
JPH10507300A (ja) 電気ハーネスを製造する装置及び方法
WO1987000354A1 (en) Apparatus for assembling an electrical connector to a cable
JP2956466B2 (ja) 皮剥装置
US5023992A (en) Cable loading machine
JPH06290846A (ja) 電線の端子圧着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21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