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8784B1 - 잼 검출장치를 구비한 열전사 프린터 - Google Patents

잼 검출장치를 구비한 열전사 프린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8784B1
KR900008784B1 KR1019870004593A KR870004593A KR900008784B1 KR 900008784 B1 KR900008784 B1 KR 900008784B1 KR 1019870004593 A KR1019870004593 A KR 1019870004593A KR 870004593 A KR870004593 A KR 870004593A KR 900008784 B1 KR900008784 B1 KR 9000087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nor sheet
reflecting
ink donor
ink
trans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45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11510A (ko
Inventor
나오히로 오자와
도시히꼬 고도우
쥰이찌 쇼지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찌세이사꾸쇼
미다 가쓰시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1108584A external-priority patent/JPH067994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61228272A external-priority patent/JP2531642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찌세이사꾸쇼, 미다 가쓰시게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찌세이사꾸쇼
Publication of KR8700115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115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87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87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7/00Mechanisms for manipulating page-width impression-transfer material, e.g. carbon paper
    • B41J17/36Alarms, indicators, or feed-disabling devices responsible to material breakage or exhaus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5/00Other apparatus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or incorporated in, ink-ribbon mechanisms
    • B41J35/36Alarms, indicators, or feed disabling devices responsive to ink ribbon breakage or exhaus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pression-Transfer Materials And Handling Thereof (AREA)
  • Handling Of Sheets (AREA)
  • Electronic Switch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잼 검출장치를 구비한 열전사 프린터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열전사 프린터의 1실시예의 중요부를 도시한 측면도.
제2도는 제1도에서의 잼 검출수단의 1예를 도시한 측면도.
제3도, 제4도는 잼 검출수단의 다른예를 도시한 측면도.
제5도는 제4도의 다른예를 이루는 포토 센서와 검출회로 사이의 전기적인 접속을 도시한 회로도.
제6도는 제4도 및 제5도의 다른예의 변형예를 도시한 회로도.
제7도는 잼 검출수단의 다른예를 중요부를 도시한 측면도.
제8도는 제7도의 다른예를 도시한 측면도.
제9도는 잼 검출수단의 또 다른예의 중요부를 도시한 단면도.
제10도는 제9도에서의 반사판(25)의 정면도.
제11도, 제12도는 제10도의 포토 검출기에서 출력신호 사이의 위상관계를 도시한 타이밍도.
제13도는 제10도에 도시된 반사판의 변형예를 도시한 정면도.
제14도는 제13도에 도시된 반사판에서 반사된 광을 수신하는 포토 센서의 2종류의 출력파형과 이 출력파형에서 얻은 특징을 도시하는 타이밍도.
제15도는 제13도의 반사판의 회전방향의 검출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
제16도는 제13도의 반사판에서 반사된 광을 수신하는 포토센서의 출력파형, 이 출력파형에서 얻은 특징, A-, B- 및 C- 카운터의 출력값을 도시한 도면.
제17도는 잼 검출수단의 또 다른예를 도시한 측면도.
본 발명은 잉크 도너 시트(ink donor sheet)와 종이(피전사지)가 겹쳐서, 감열 헤드에서 잉크 도너 시트에 공급된 열에 의해서 잉크 도너 시트에 부착되어 있는 잉크가 피전사지에 전사되는 열 전사 프린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프린터나 제로그라피(xerography)장치 등에서는 종이가 장치내에 마련된 종이 반송로내에 끼어드는 것(잼 되는것)을 방지하기 위해 잼 검출장치가 마련되어 있다. 종래의 잼 검출장치는, 예를들면 일본국 특허 공고 공보 소화56-45787호에 기재된 것과 같이, 피전사지의 반송로에 마련되어 피전사지의 굴곡부 또는 완곡부에 눌려서 작동하는 기계적인 스위치, 이 기계적인 스위치의 작동횟수를 카운트하는 카운터 수단을 마련하여, 일정시간내에 실행된 기계적인 스위치의 동작횟수가 소정값 이상 증가했는가, 아닌가에 따라서 잼의 유무를 검출하였다. 또 다른 종래의 잼 검출장치는, 예를들면 일본국 특허 공개 공보 소화60-35755호에 기재된 것과 같이, 피전사지의 반송로상에 피전사지를 검출하는 수단을 마련하여, 소정시간내에 그 검출수단이 피전사지를 검출할 수 없는 경우, 반송로가 피전사지에 의해 잼된 것을 판정하였다.
이러한 종래의 잼 검출장치는, 피전사지의 반송로가 피전사지에 의해 막히거나 피전사지가 걸려서 굴곡이 있는 경우에, 전송로가 피전사지에 의해 잼된 것으로 판정되었다.
그러나, 열 전사 프린터에서는 전송로가 피전사지에 의해 잼되는 것뿐만 아니라, 잉크 도너 시트에 의해 잼 되는 것도 검출할 필요가 있다. 즉, 잉크 도너 시트와 겹쳐져, 잉크 도너 시트에 열을 가함으로써 잉크 도너 시트위의 잉크가 피전사지에 전사되는 열 전사 프린터에서, 잉크 도너 시트가 감열헤드와 회전드럼에 의해서 피전사지에 밀착된다. 따라서, 잉크 전사가 완료된 후에도 잉크 도너 시트와 피전사지는 밀착하고 있다. 정전기 등에 의해 잉크 도너 시트와 피전사지의 분리가 잘 행하여지지 않으면, 잉크 도너 시트가 피전사지의 반송로내의 부분으로 끌려들어가 피전사지의 반송로가 잉크 도너 시트에 의해 잼 되기 때문에 오동작을 일으켰다.
본 발명의 목적은 피전사지에 잉크를 전사한 후의 잉크 도너 시트가 피전사지 반송로내의 부분으로 끌려 들어가는 것을 용이하게 검지하여, 피전사지의 반송로가 잉크 도너 시트에 의해 잼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열 전사 프린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피전사지에 잉크를 전사한 후에 잉크 도너 시트가 피전사지 반송로로 끌려들어갈 때 신호를 발생하는 잼 검출수단을 구비한 열전사 프린터가 마련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열 전사 프린터는 잉크 도너 시트가 피전사지의 반송로내의 끌려들어가는 것을 신속하게 검출할 수 있고, 상기 검출후 즉각 동작을 정지하는 등의 처리를 행하는 것에 의해 피전사지의 반송로가 잉크 도너 시트에 의해 잼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해서 실시예와 함께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관한 열전사 프린터의 실시예의 중요부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제1도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는 잉크 도너 시트(1)이 감겨진 공급릴(6), 공급릴(6)으로부터 잉크 도너 시트(1)를 감는 감기릴(즉, 감기릴)(7), 피전사지(2)를 이동시키는 회전드럼(9), 감열 헤드(3), 분리부재(4) 및 안내수단(10)으로 구성되어 있다. 감열헤드(3)은 헤드아암(5)에 부착된 헤드베이스(5a)에 탑재되어 있다. 헤드아암(5)는 아암축(5b)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헤드아암(5)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공급릴(6), 감기릴(7)을 공급축(6a), 감기축(7a)로부터 각각 떼어내 잉크 도시 시트(1)을 바꿀수가 있다. 안내수단(10)은 여러개의 안내부재(101), (102), (103)으로 분리되어 있다.
안내부재(101), (102), (103)은 회전드럼(9)와 거의 동일한 곡률을 가지며, 회전드럼(9)의 바깥면과 안내부재(101), (102), (103)의 사이에는 피전사지(2)의 반송로(11)로 형성된다. 헤드아암(5)가 회전함에 따라 안내부재(101)과 (103)사이에 영역에서 감열헤드(3)이 잉트 도너 시트(1)을 누르게 되어 감열헤드의 일부분이 삽입된다. 피전사지(2)는 2개의 피전사지 공급 로울러(13)에 의해 피전사지 입구(14)를 통해서 반송로(11)내로 유도된다.
안내부재(101)의 감열헤드측 끝부에는 잼 검출수단(16)이 마련되어 있다.
승화 염료 또는 용융 안료 등의 잉크가 도포된 잉크 도너 시트(1)은 공급릴(6)에서 감열헤드(3)과 회전드럼(9)의 사이를 통하여 감기릴(7)에 감겨져 있다.
회전드럼(9)는 주축(8)을 중심으로 회전이 자유로우며 도시하지 않은 구동 전달기구에 의해 감기릴(7)과 함께 회전한다.
또, 감기릴(7)에는 미끄럼 클러치(12)(즉, 마찰 클러치)등의 구동력 안정수단을 부착하여, 이것을 거쳐서 상기 구동 전달기구와 이어져서 움직이게 하여도 좋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동작을 설명한다.
잉크 도너 시트(1)의 공급릴(6)에서 공급되어 감열헤드(3)과 드럼(9)와의 사이를 통과할 때, 피전사지 입구(14)에서 공급되어 반송로(11)을 따라 반송된 피전사지(2) 위에는 잉크 도너 시트(1)이 놓여져서 잉크 도너 시트(1)과 피전사지(2)가 감열헤드(3)과 드럼(9) 사이를 통과하게 된다. 이때, 잉크 도너 시트(1)은 감열헤드(3)에 의해 프린트 해야할 화상에 따라서 가열되어, 잉크 도너 시트(1)에서 피전사지(2)로 잉크가 전사된다. 그후, 잉크 도너 시트(1)과 피전사지(2)는 분리부재(4)에 의해 서로 분리되어, 피전사지(2)와 분리되는 잉크 도너 시트(1)은 감기로(15)를 통해서 감기릴(7)에 감겨지고, 피전사지(2)는 드럼(9)와 안내부재(101) 사이에 형성된 반송로(11)의 부분으로 유도된다. 잉크 도너 시트(1)이 감기로(15)를 통하지 않고 반송로(11)의 상기 부분으로 끌려들어가면, 잼 검출수단(16)은 이러한 상태를 검출하여 반송로(11)이 잉트 도너 시트(1)과 겹쳐진 것을 나타내는 신호를 발생한다.
제2도는 잼 검출수단(16)과 그 주변의 1예를 도시한 확대도면이다.
제2도에 있어서, 잼 검출수단(16)은 검출부재(16a), 검출축(16b), 인장스프링(16c), 정지부재(16d), 스위치(16e)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검출부재(16a)의 앞쪽끝이 감기로(15)중에 약간 들어가도록 마련되어 있다. 검출부재(16a)는 검출축(16b)의 축을 중심으로 선회운동하도록 부착되어 있고, 검출부재(16a)의 한쪽끝이 인장 스프링(16c)에 의해 끌어 올려져 있다. 또, 검출축(16b)가 순환하는 검출부재(16a)의 다른쪽끝은 정지부재(16d)에 의해 회전 범위가 규제되어 있다. 부재(16a)의 다른쪽 끝이 정지부재(16d)와 스위치(16e)사이에 있도록 스위치(16e)가 마련되고, 스위치(16e)로부터의 검출출력(17)이 제어회로(18)에 공급된다.
다음에, 제1도, 제2도에 참조하여 잼 검출수단의 동작을 설명한다. 피전사지(2)를 한쌍의 피전사지 공급 로울러(13)의 사이에 끼우고 이 피전사지 공급 로울러(13)을 회전시키면, 피전사지(2)는 피전사지 입구(14)를 통과하여 회전드럼(9)의 둘레위의 안내부재(102), (103)을 따라서 반송된다.
드럼(9)와 안내부재(103)의 사이를 통과한 후, 피전사지(2)는 감열헤드(3)과 분리부재(4)에 의해 드럼(9)에 눌려진다. 또, 공급릴(6)으로부터 끌어낸 잉크도너 시트(1)도 감열헤드(3)과 분리부재(4)에 의해 드럼(9)에 눌려지게 된다. 그러므로, 피전사지(2)는 드럼(9)와 잉크 도너 시트(1)의 틈새에 끼어 헤드(3)의 아래를 통과한다. 이때 감열헤드(3)에 전기가 통하는 것에 의해, 잉크 도너 시트(1)에 도포된 잉크가 피전사지(2)에 전사되어 프린트가 행해진다. 서로 밀착상태인 잉크 도너 시트(1)과 피전사지(2)가 분리부재(4)까지 도달하면, 잉크 도너 시트(1)은 감기축(7a)에 구동력에 의해 감기릴(7)로 당겨지고, 피전사지(2)는 안내부재(101)의 안쪽벽을 따라서 반송로(11)로 반송된다. 이와같이 해서 잉크 도너 시트(1)과 피전사지(2)가 서로 분리된다.
이 분리시에, 감열헤드(3)에 의한 과잉 과열이나 정전기 등에 의해 잉크 도너 시트(1)이 피전사지(2)에 강하게 접착되고, 더욱이 감기축(7a)의 화살표 a방향으로의 구동력이 부족한 경우, 잉크 도너 시트(1)은 피전사지(2)와 분리하는 일없이, 제2도에서 점선으로 도시한 바와같이, 드럼(9)와 안내부재(101) 사이에 형성된 피전사지 반송로(11)의 부분으로 들어간다. 이때, 잉크 도너 시트(1)은 피전사지(2)의 반송로 방향으로 끌려가서 안내부재(101)의 벽면 및 검출보재(16a)의 앞쪽 끝에 접촉한다. 이것에 의해 검출부재(16a)가 검출축(16b)를 중심으로 스프링(16c)의 탄력에 대항해서 회전하여 스위치(16e)의 이동 가능한 부재를 눌러 스위치(16e)가 ON한다.
이때, 스위치(16e)의 출력신호(17)을 제어회로(18)이 받아서 피전사지 반송로에 잉크 도너 시트(1)이 잼되었음을 알게 된다.
검출부재(16e)가 감기로(15)내에 마련되어 드럼(9)와 안내부재(101)사이에 형성된 반송로(11)의 입구부분에 있기 때문에, 감기릴(7)에 감겨져 있는 잉크 도너 시트(1)이 최대원을 가질때(원(110)으로 표시)라도, 또는 최소원을 가질때(원(120)으로 표시)라도, 감김이 정상이면 잉크 도너 시트(1)과 검출부재(16a)가 접촉하는 일은 없어, 감기릴(7)의 감기 동작에 있어서 오동작은 일어나지 않는다.
또, 피전사지(2)가 감기로(15)에 잘못 반송되어, 두껍고 강도가 큰 피전사지(2) 때문에 잼을 일으킨 경우에는, 피전사지(2)의 선단이 검출부재(16a)를 밀게 되어 스위치(16e)가 ON하여 잼을 검출할 수가 있다. 또,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잼 검출수단(16)을 감압(pressure sensitive) 스위치로 구성한 경우에는, 피전사지(2)가 OHP용지와 같은 투명한 종이로 된것이라도 피전사지(2)의 비정상적인 전송을 검출할 수 있다.
제3도는 잼 검출수단(16)의 다른 실시예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잼 검출수단(16)의 설치장소를 제2도와는 다르게 변화시킨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동일도면에 있어서, 축(16b)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검출부재(16a'), 그 검출부재(16a')의 상기 회전을 제한하기 위해 검출부재(16a')를 정지부재(16d)에 대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인장 스프링(16c) 및 검출 부재(16a')의 한쪽끝이 스위치(16e)의 이동 가능한 부재와 접촉하고 있는가 없는가를 판별하는 스위치(16e)가 모두 분리부재(4)의 감기릴측에 마련되어 있다. 검출부재(16a')의 다른쪽끝은 분리부재(4)와 잉크 도너 시트(1)의 사이로 들어가도록 배치되어 있다.
다음에 동작을 설명한다.
감열헤드(3)과 회전드럼(9)가 떨어지는 경우, 검출부재(16a')는 인장 스프링(16c)의 탄력성에 의해 한 쪽끝이 스위치(16e)의 이동 가능한 부재에 접촉한다. 이때, 스위치(16e)의 출력신호(17)이 OFF 신호로서 제어회로(18)에 입력된다.
다음에 감열헤드(3)을 회전하여 회전드럼(9)에 눌러 붙이면, 검출부재(16a')의 다른쪽끝이 잉크 도너 시트(1)에 접촉하고, 인장스프링(16c)를 인장시켜 검출부재(16a')와 스위치(16e)의 이동 가능한 부재가 떨어지고, 출력신호(17)은 ON으로 되어 제어회로(18)에 입력된다.
그런데, 잉크 도너 시트(1)이 안내부재(101)과 드럼(9) 사이에 형성된 반송로(11)의 입구부분으로 끌려 들어가면, 분리부재(4)에서 잉크 도너 시트(1)이 멀어지기 때문에, 검출부재(16a')는 회전축(16b)를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감열헤드(3)이 드럼(9)에 눌려져 있어서, 한쪽끝이 스위치(16e)의 이동가능한 부재를 밀게 된다. 따라서, 스위치(16e)를 작동시켜 OFF 신호가 제어회로(18)에 전송되어 반송로(11)에 잉크 도너 시트(1)이 잼 되었음을 시스템 제어회로에 알려주게 된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잉크 도너 시트(1)이 절단된 경우, 또는 잉크 도너 시트(1)에 구겨짐이 발생된 경우에도 상기와 마찬가지의 동작에 의해 이것을 검출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감열헤드(3)이 회전드럼(9)를 누르면, 스위치(16e)의 출력신호(17)이 OFF에서 ON으로 변화하므로, 감열헤드(3)이 드럼(9)에 눌려지는지, 아닌지를 출력신호(17)에 의해 검출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기계적 스위치를 포함하는 잼 검출수단에 대해 설명했지만 잼 검출수단이 기계적 스위치 대신에 광학수단을 포함해도 된다.
제4도는 잼 검출수단의 다른 실시예의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제4도를 참조하면, 포토 커플러 등의 포토 센서를 갖는 잼 검출수단(16)이 피전사지 반송로(11)를 따르는 위치에서 안내부재(101)에 고정되어 마련되어 있다.
제5도는 제4도에 도시한 실시예에서 회로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제5에서, 제어회로(18)에서는 D-A 변환기(16b')을 거쳐서 비교기(16c')에 여러개 레벨의 신호가 공급된다. 포토 센서(16f)에서는 드럼(9)와 안내부재(101) 사이에 형성된 반송로(11)의 입구부분으로 아무것도 반송되지 않는 경우, 드럼(9)의 표면에서의 반사광에 대응한 레벨의 출력신호를 취한다. 또, 피전사지(2)만이 반송된 경우, 피전사지(2)의 표면에서의 반사광에 대응한 레벨의 출력신호를 취한다. 또 잉크 도너 시트(1)이 상기 반송로(11) 입구부분으로 들어간 경우, 잉크 도너 시트(1)을 투과하여 피전사지(2)의 표면에서 반사하여 재차 잉크 도너 시트(1)을 투과한 광의 레벨에 따른 출력신호를 취한다. 이 경우, 포토 센서(16f)의 출력신호는 각각 레벨이 다르기 때문에, 각각의 레벨에 맞춘 기준신호가 제어회로(18)에서 D-A변환기(16b')를 거쳐서 비교기(16c')의 한쪽 입력단자로 보내지고, 포토 센서(16f)의 출력신호가 비교기(16c')의 다른쪽 입력단자로 공급된다.
그러므로, 비교기(16c')의 출력신호(17)은 포토 센서(16f)의 출력레벨을 제어회로(18)에 알릴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반송로(11)에 잉크 도너 시트(1)이 잼되는 것을 검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잉크 도너 시트(1)이 노랑, 파랑, 빨강, 흑색, 등 다색용의 것으로 된 경우에 있어서도, 잉크 도너 시트(1)이 반송로(11)의 상기 부분으로 당겨진 상태를 기준신호의 레벨수를 늘리는 것에 의해 검출할수 있다. 또, 포토센서를 1개만 사용하기 때문에, 원하는 위치에 쉽게 설치할 수 있으며, 경제적이다. 또, 감열헤드(3)에 전원을 공급한(즉 인화동작을 시작한) 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 했을 때, 포토 센서(16f)가 드럼(9)의 표면으로부터 반사된 광을 받는다는 것을 출력신호(17)이 표시하는 경우에는, 피전사지(2)가 감기로(15)로 잘못들어 갔다고 판별하여 피전사지(2)에 의한 잼을 검출할 수가 있다.
제6도는 제4도에 도시한 실시예의 변형을 도시한 것이다. 동일도면에 있어서, 포토 커플러(161), (162)는 포토 커플러중 어느 한쪽위에 광학 필터를 탑재하거나, 또는 이들 포토 커플러를 서로 다른 검출동작 조건으로 동작시키는 것에 의해, 검출감도가 서로 다르게 되다.
더 자세히 설명하면, 포토 커플러(161)은 드럼(9)와 안내부재(101) 사이에 형성된 반송로(11)의 입구부분으로 아무것도 반송되고 있지 않을 경우에 OFF, 반송로(11)의 상기 부분으로 잉크 도너 시트(1) 또는 피전사지(2)가 반송된 경우에 ON상태로 된다. 포토 커플러(162)는 반송로(11)의 상기 부분으로 아무것도 반송되고 있지 않은 경우 또는 잉크 도너 시트(1)이 반송된 경우에 OFF, 피전사지(2)만이 반송된 경우에 ON상태로 된다. 이 2개의 포토 커플러(161), (162)의 각각의 출력신호(171), (172)는 제어회로(18)로 공급된다. 출력신호(171), (172)가 양쪽 모두 OFF이면, 반송로(11)의 상기 부분으로 아무것도 반송되지 않은 상태이고, 출력신호(171), (172)가 양쪽 모두 ON이면, 피전사지(2)만이 반송되어 있는 상태이고, 또, 출력신호(171)이 ON이고 출력신호(172)가 OFF이면, 잉크 도너 시트(1)이 반송로(11)의 상기부분으로 들어가 있는 상태인 것을 알수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포토 커플러가 필요하지만 포토 커플러(161)과 (162)의 출력신호(171)과 (172)를 직접 제어회로(18)에 입력할 수 있기 때문에 도중의 회로를 필요로 하지 않아 경제적이다. 또, 출력신호(171)이 OFF이고, 출력신호(172)가 ON인 경우에는 포토 커플러(161)과 (162)중 적어도 하나가 고장이 발생한 것을 알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 의하면, 잉크 도너 시트(1)이 노랑, 빨강, 파랑, 검정 등 다색용의 것인 경우, 잉크 도너 시트(1)이 반송로(11)의 상기 부분으로 들어간 상태는 잉크 도너 시트(1)에 사용된 색의 수에 따라서 포토 커플러의 수를 증가시키면 검출할 수 있다.
잉크 도너 시트(1)이 드럼(9)와 안내부재(101)사이에 형성된 반송로(11)의 입구부분으로 끌여 들어가면, 감기릴(7)의 회전방향이 반전되거나 또는 회전속도가 감소한다. 따라서, 감기릴(7)의 회전방향이나 회전 속도를 검출하는 것에 의해, 잉크 도너 시트(1)이 반송로(11)의 상기 부분으로 끌려 들어가는 것을 검출할 수 있다.
제7도는 잼 검출수단의 다른 실시예의 주요부를 도시한 것으로, 즉 감기릴(7)의 회전을 검지하는 기구를 도시한 것이다.
제7도에 있어서, 구동축(19)에는 인터로킹(interlocking) 부재(19a)와 리시빙(receiving) 부재(19b)가 압입되어 있다. 리시빙 부재(19b)는 구동축(19)에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원판부 K와 긴 장벽부 D로 이루어져 있다. 구동축(19)에는 구동 기어(21)이 동일축상에 소정의 이유를 가지고 삽입되어 있다. 구동기어(21)은 미끄럼 부재(20a), (20b)를 거쳐서 캡 부재(22), 압축 스프링(23)에 의해서 리시빙 부재(19b)의 원판부 K에 눌러져 있다. 압축 스프링(23)은 회전 스위치 부재(16g), 미끄럼 부재(20c)를 거쳐서 스프링 유지판(24)에 의해서 고정되어 있다. 스프링 유지판(24)는 리시빙 부재(19b)의 장벽부 D에 압입되어 탑재된다.
구동기어(21)과 리시빙 부재(19b) 및 미끄럼 부재(20a)에 의해서 미끄럼 클러치가 구성되어 있다.
주축(8)이 구동되면, 구동기어(21)은 구동 전달수단(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제8도에 도시된 화살표(27a)방향으로 회전하여 기어(21)에서 미끄럼 부재(20a)를 거쳐서 리시빙 부재(19b)에 구동력이 전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미끄럼 부재(20a)와 리시빙 부재(19b)에 구동력이 전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미끄럼 부재(20a)와 리시빙 부재(19b) 및 기어(21)이 미끄럼 클러치를 형성한다. 따라서, 기어(21)에서 공급된 구동력이 리시빙 부재(19b)와 미끄럼 부재(20a) 사이의 마찰력보다 크면, 리시빙 부재(19b)가 회전하기 시작한다.
인터로킹 부재(19a)가 구동축(19)에 압입되어 탑재되고, 감기릴(7)에 삽입된다. 그러므로, 구동기어(21)이 회전하면 감기릴(7)도 회전한다.
회전 스위치 부재(16g)에는 돌출부(16h)가 마련되어 있으며, 제8도에 도시하는 정지부재(16d) 및 스위치(16e)로 그 회전이 규제되고 있다.
회전 스위치 부재(16g)는 감기릴(7)이 릴(7) 주위에 잉크 도너 시트(1)를 감는 회전방향(제8도에 도시된 화살표(27a))으로 회전하고 있을 때 구동기어(21)에서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고, 돌출부(16h)가 정지부재(16d)에 접촉할때까지 회전하여, 정지부재(16d)에 접촉하면 정지한다. 잉크 도너 시트(1)이 드럼(9)와 안내부재(101) 사이에 형성된 반송로(11)의 입구부분으로 들어가서, 감기릴(7)의 회전방향이 반전하면, 스위치 부재(16g)가 스프링 유지판(24)의 회전에 따라서 (27b)의 방향으로 회전하고, 돌출부(16h)가 스위치(16e)의 이동 가능한 부재를 누른다. 즉, 스위치(16e)가 ON하여, 제어회로(18)로 신호(17)이 보내져, 잉크 도너 시트(1)에 의한 잼을 검출할 수가 있다.
다음에 감기릴(7)의 회전에 동기하여 회전하는 반사판의 회전을 포토 센서에 의해 검출하여, 감기릴의 회전방향의 반전이나 그 회전속도의 감소를 검출하는 것에 의해 잉크 도너 시트(1)이 반송로(11)내로 끌려 들어가는 것을 검출하는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9도는 상기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반사판(25)를 스프링 유지판(24)에 탑재하여, 이 반사판(25)의 회전을 포토 센서에 의해서 검출하는 예를 도시한다. 제10도에는 반사판(25)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제10도에서, 반사판(25)는 구동축(19)를 중심으로 하여 짝수개로 등분할되고, 입사광을 반사하는 반사부(25a)와 입사광을 흡수하는 비반사부(25b)가 교대로 배열되어 있다. 2개의 포토 센서, 예를들면 2개의 포토 커플러(161)과 (162)는 반사판(25)와 대향하도록 마련된다. 또, 각각의 포토 커플러(161)과 (162)는 포토 커플러가 반사부(25a)와 대향하면 ON 상태로 되고, 포토 커플러가 비반사부(25b)와 대향하면 OFF상태 로 된다. 포토 커플러(161)을 거쳐서 통과하는 방사방향과 포토 커플러(162)를 거쳐서 통과하는 방사 방향 사이의 각도 θ1은 반사부(25a)와 비반사부(25b)의 각각의 중심각 θ2보다도 작게 설정되어, 포토 커플러(161), (162)가 동일영역(반사부(25a)또는 비반사부(25b))을 검출하는 기간이 존재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다음에 본 실시예에서의 동작을 설명한다.
구동기어(21)에 구동력이 전달된 경우 일정한 구동력이 기어(21)에서 미끄럼 부재(20a)를 거쳐서 리시빙 부재(19b)에 공급된다. 그러므로 구동축(19), 스프링 유지판(24), 감기릴(7)은 일체로서 회전한다. 그러나, 잉크 도너 시트(1)이 피전사지에 분리되지 않고, 드럼(9)와 안내 부재(101) 사이에 형성된 반송로(11)로 들어간 경우, 감기릴(7)과 반사판(25)의 회전방향이 반전한다.
제11도에 구동축(19)가 릴(7)을 중심으로 잉크 도너 시트(1)을 감아 제10도에 도시한 회전 방향(27a)로 돌린때의 포토 커플러(161)과 (162)의 출력신호(171)과 (172)의 타이밍도를 도시했다. 제1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출력신호(171)쪽이 출력신호(172)보다도 항상 일정의 위상각만큼 앞서는 것이 특징이다.
제12도에 구동축(19)의 회전방향이 반전하여 잉크 도너 시트(1)을 감기릴(7)에서 끌어내어 제10도에 도시한 회전방향(27b)로 회전한 경우의 출력신호(171)과 (172)의 타이밍도를 도시했다. 출력신호(172)쪽이 출력신호(171)보다도 항상 일정의 위상각 만큼 앞서는 것이 특징이다.
이 출력신호(171)과 (172)사이의 위상관계를 제어회로(18)로 판별하는 것에 의해, 구동축(19)의 회전방향(27a) 또는 (27b)를 검출할 수 있음으로 잉크 도너 시트(1)에 의한 잼을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제어회로(18)에서 출력신호(171) 또는 (172)의 펄스반복 주기를 검출하는 것에 의해 잉크 도너 시트(1)이 릴(7)에 감기는 속도를 검출하고, 출력신호(171) 또는 (172)의 펄스 반복 주기에서의 변화를 검출하는 것에 의해 상기 속도의 변화를 검출할 수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반사판(25)와 2개의 포토 센서가 감기릴(7)의 회전상태를 감출하기 위해 사용된다. 그러나, 릴(7)의 회전상태는 자기적(magnetic)인 방법으로 검출할 수도 있다. 즉, 반사판(25) 대신에 S극, N극이 교대로 배치된 자기판을 사용하고, 포토 센서(161)과 (162)대신에 그 각각이 2개의 자기 상태를 식별 할 수 있는 2개의 자기적 센서(예를들면 홀(hall)소자나 자기 저항소자)를 사용한다. 반사판과 포토 센서를 조합시키는 것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자기판과 자기센서를 조합시켜 감기릴(7)의 회전상태를 검출할 수 있다.
다음에, 제13도와 제14도를 참고로 하여, 제10도에서 도시한 것과는 다른 반사 패턴을 갖는 반사판(25)를 사용한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제13도는 감기릴(7) 또는 스프링 유지판(24)에 고정되어 감기릴(7)과 함께 회전하는 반사판(25)의 정면도이다.
제13도에서, 그 반사판(25)는 반사부(25c), (25d), (25e)와 비반사부(25c'), (25d'), (25e')로 구성되어 있다. 본 경우에서는 포토 센서(16f)를 1개 사용해서 반사판(25)의 회전방향을 검출하기 위해, 반사판(25)의 원주방향에서 반사부(25c)와 비빈사부(25c')의 길이를 가장 작게 하고, 원주방향에서 반사부(25e)와 비반사부(25e')의 길이를 가장 크게 하며, 원주방향에서 반사부(25d)와 비반사부(25d')의 길이를 반사부(25c) 및 비반사부(25c')의 길이와 반사부(25e) 및 비반사부(25c') 길이의 중간으로 했다. 반사(25c), (25d), (25e)와 비반사부(25c'), (25d'), (25e')는 제1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련된다. 반사판(25)는 잉크 도너 시트(1)이 감기릴(7)에 정상으로 감겨져 있을 때에는 화살표 Y방향으로, 잉크 도너 시트(1)에 의한 잼 현상이 발생하면 화살표 Y'방향으로 회전한다.
포토 센서(16f)는 반사판(25)의 앞면에 있으며, 정면에 반사부(25c), (25d), (25e)가 오면 포토 센서의 출력신호가 고레벨, 비반사부(25c'), (25d'), (25e')가 오면 포토 센서의 출력신호가 저레벨을 취한다.
제14도는 그 반사판(25)가 화살표 Y방향으로 회전하고 있을 때 얻은 출력신호의 파형a와 화살표 Y'방향으로 회전하고 있을 때 얻은 출력신호의 파형 b를 도시한 것이다. 출력신호의 인접하는 에지 사이에서의 시간 간격의 변화에 의해서 회전판(25)의 회전방향을 판단한다. 제13도에 있어서, 작은 반사부(25c) 및 비반사부(25c')가 포토 센서(16f)의 앞을 통과하는데 요하는 시간을 ta, 중간반사부(25d) 및 비반사부(25d')가 통과하는데 요하는 시간을 tb, 큰 반사부(25e) 및 비반사부(25e')가 통과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tc로 하면, ta<tb<tc로 된다.
포토 센서의 출력신호의 인접하는 에지 사이에서의 시간 간격의 변화는
Figure kpo00001
로 된다.
이때, 예를들면 어떤 1개의 반사부(25c)가 통과하는데 걸리는 시간 ta만을 주목해서 보더라도, 감기릴(7)의 회전속도는 잉크 도너 시트(1)의 릴(7)에 감기기 시작할때와 잉크 도너 시트(1)의 더 많은 부분이 릴(7)주위에 감겼을 때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ta는 일정하지 않다. 따라서, 시간간격 ta, tb, tc는 그들이 사용된 것처럼 사용되면 오동작의 위험성이 있다. 그런데, 반사부(25c)에 대한 시간 간격
Figure kpo00002
과 그 다음의 시간간격
Figure kpo00003
은 서로 거의 같게 되어있다.
따라서, 본 경우에서는 인접하는 시간 간격 사이의 차가 반사판(25)의 회전방향을 검출하는데 이용된다. 포토 센서(16f)의 출력신호의 처음 에지와 처음 에지에 인접한 두 번째 에지 사이의 시간 간격을 tm으로 하고, 또 두 번째 에지와 두 번째 에지에 인접한 세 번째 에지 사이의 시간 간격을 tm+1로 하여, (tm+1-tm)을 계산해서 그 부호를 판단한다. 그 처리를 각 에지마다 각각 행하면, 인접하는 시간 간격 사이의 차의 부호는 감기릴(7)이 Y방향으로 회전하고 있을때는 제14도 상단에 파형 a로서 도시하는 것과 같이,
…… 정-정-부-정-정-부- ……
로 되고, 반대로 Y'방향으로 회전하면 제14도 하단에 b로서 도시하는 것과 같이,
…… 부-부-정-부-부-정- ……
으로 된다. 또, 감기릴(7)이 정지하면, 그 포토 센서(16f)의 출력신호는 변화하지 않게 된다. 제14도에서, 예를들면 시간 Pc에서 "POS"는 시간 Pc후의 시간 간격 tm-1에서 시간 Pc전의 시간간격 tm+2를 뺀 결과가 정이라는 것을 표시하는 것이며, 시간 Pd에서는 "NEG"는 시간 Pd후의 시간간격 tm에서 시간 Pd전의 시간 간격 tm+1을 뺀 결과가 부라는 것을 표시하는 것이다.
이상의 것에 의해 감기릴(7)의 회전방향을 검출하기 위한 처리과정을 도시하는 흐름도를 제15도에 도시한다.
본 도면은 제9도의 제어회로(18)에서 행하고 있는 처리를 도시한 것이다. 제어회로(18)은 감열 헤드(3)이 드럼(9)에 대하여 눌러 있어, 모터가 구동중에서 잉크 도너 시트(1)이 반송중인 것을 시스템 제어 회로에서의 신호를 알게 되면, 그 자신이 갖는 타이머를 리세트하여 타이머에 카운트를 개시시킨다. 여기에서, 어떤 소정의 시간 Ta초 동안 포토 센서(16f)의 출력신호가 변화하지 않았을 때, 제어회로(18)은 감기릴(7)이 정지하고 있다고 판단하고, 그 정보가 그 시스템 제어회로로 전해져 전체 시스템을 정지시킨다.
소정의 시간 Ta초 이내에, 포토 센서(16f)의 출력신호가 변화한다면, 그때의 타이머 출력을 Tm+1로서 메모리에 메모리하여, 타이머를 다시 리세트 한다. 다음에 (Tm+1- Tm)을 계산하여, 그 결과의 부호에 의해 제어회로(18)내에 마련한 카운터A, 카운터B, 카운터C의 증가 및 리세트의 처리를 실행하고, 그 뒤 Tm+1의 데이터를 Tm으로 옮겨 처리의 시작으로 되돌아온다.
이제, 카운터A, 카운터B, 카운터C의 동작과 감기릴(7)의 회전방향의 판단을 제16도를 참조로 설명한다.
제16도의 제1단은 감기릴(7)이 Y방향으로 회전하다가 어떤 시점 A에서 Y'방향으로 회전했을때의 포토 센서(16f)의 출력신호 변화를 도시한 것이다. 제16도의 제2단은 시간 간격 Tm+1- 시간간격 Tm의 연산 결과의 부호를 표시한 것이다.
카운터 A는 (tm+1-tm)이 정일 때 1증가하고, 부일 때 리세트하는 카운터이고, 카운터 B는 (tm+1-tm)이 부일 때 1증가하고, 정일 때 리세트하는 카운터이며, 카운터 C는 카운터 A가 2로 되었을때마다 리세트하고, 카운터 B가 2로 되었을 때 마다 1증가하는 카운터이다. 제16도의 제3단은 제16도의 제2단에 도시한(tm+1-tm)의 연산결과에 대한 각 카운터의 값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각 카운터를 동작시켜 놓고, 카운터 C의 값에 의해 감기릴(7)의 회전방향을 판단한다.
감기릴(7)이 Y방향으로 회전해 가면, (tm+1-tm)은 부-정-정의 패턴을 반복하고, 정이 2회 연속된 곳에서 카운터 A의 값이 2로 되어 카운터 C가 리세트 된다.
즉, 감기릴(7)이 Y방향으로 회전하는때는 카운터 C의 값이 0으로 된다. 반면에 감기릴(7)이 Y'방향으로 회전해가면(tm+1-tm)은 정-부-부의 패턴을 반복하고, 부가 2회 연속된 곳에서 카운터 B의 값이 2로 되어 카운터 C가 1증가한다. 즉, 카운터 C는 감기릴(7)이 Y'방향으로 회전하고 있을때의 (tm+1-tm)의 정-부-부의 패턴을 1회 검출할 때 마다 +1된다. 카운터 C의 값이 1 또는 1이상의 값 B로 되었을 때, 제어회로(18)은 감기릴(7)이 정상 방향과 반대의 방향으로 회전하고 있다고 판단하여, 그 정보를 시스템 제어회로 전하여 시스템을 정지시킨다. 본 실시예에서는 프린트 동작의 시작때, Tm설정전의 오동작이나 그 이외의 오동작을 막기 위해 B의 값을 2로 설명했다.
이상과 같은 방법에서, 1개의 포토 센서 즉, 포토 센서(16f)만으로도 감기릴(7)의 회전방향을 오동작을 일으키는 일없이 검출할 수 있고, 그것에 의해서 잉크 도너 시트(1)의 잼 현상을 조속히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본 실시예에서는 반사판(25)를 감기릴(7)에 직접 고정하고, 또는 스프링 유지판(24)에 고정하여 잘못된 방향으로 감기릴(7)이 회전하는 것을 검출했지만, 잘못된 방향으로 잉크 도너 시트(1)이 이동하는 것을 다음과 같이 직접 검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17도는 잼 검출수단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제17도에서, 본 실시에는 그 한쪽끝이 축(16b)에 의해 회전하도록 된 지지부재(16j), 이 지지부재(16j)의 다른쪽 끝에 회전하도록 탑재되고 잉크 도너 시트(1)과 접촉하는 동안 감기로(15)에 마련된 회전부재(16i), 그 회전부재(16i)위 회전방향을 검출하는 검출수단(16f) (또는 (161)과 (162)) 등으로 구성된다. 검출수단의 출력신호(17)을 제어회로(18)에 입력하도록 구성했다. 회전부재(16i)에는 제10도 또는 제13도에 도시한 반사판(25)가 마련되어, 이것이 회전부재(16i)의 회전방향을 검출하여 잉크 도너 시트(1)의 반송방향을 검출한다. 잉크 도너 시트(1)이 감기 방향(27a)로 이동하면, 이 상태를 나타내는 제1의 출력 파형이 검출수단에서 제어회로(18)로 입력된다. 잉크 도너 시트(1)이 드럼(9)와 안내부재(101) 사이에 형성된 반송로(11)의 입구부분으로 들어오면 잉크 도너 시트(1)이 상기 이동방향(27a)와 반대인 방향(27b)로 이동하기 때문에, 이 상태를 나타내는 제2의 출력 파형이 제어회로(18)로 입력된다. 즉, 잉크 도너 시트(1)에 의한 잼을 제2의 출력파형으로 검출할 수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감기릴(7) 주위에 잉크 도너 시트(1)을 감는 힘이 부족해서 잉크 도너 시트(1)이 감기릴(7) 주위에 느슨하게 감겨져 있는 경우에도, 잉크 도너 시트(1)의 반송방향을 직접 검출하고 있기 때문에 오동작 없이 확실하게 잼을 검출할 수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잉크 도너 시트(1)이 피전사지(2)의 반송로의 소정부분으로 들어간 것을 용이하게 검지할 수 있으므로, 프린터 등에 있어서 잉크 도너 시트(1) 또는 피전사지(2)의 잼의 발생을 확실하고 신속하게 검출할 수 있어서 프린터 등을 즉시 정지시킬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한 잼 검출 수단은 구성이 간단하기 때문에 종래의 열전사 프린터에 상기 잼 검출수단을 탑재하는 설계상의 작업도 용이하다.

Claims (12)

  1. 잼 검출능력을 갖는 열전사 프린터에 있어서, 원통형 표면에 따라 피전사지(2)를 반송하는 회전드럼(9), 상기 회전 드럼의 원통형 표면과 그 사이에 소정의 여유를 형성하도록 배치되고, 피전사지 입구(14)와 피전사 헤드가 삽입되는 삽입부를 마련한 안내수단(101, 102, 103), 공급릴(6)과 감기릴(7)로 구성되고, 상기 공급릴 위에 감겨진 잉크 도너 시트(1)이 감기릴 주위에 감기도록 상기 잉크 도너 시트가 상기 감기릴에 공급되고, 피전사 헤드가 삽입되는 상기 안내 수단의 상기 부분에서 상기 드럼의 회전에 따라서 반송된 피전사지(2)와 상기 공급릴에서 공급된 잉크 도너 시트가 접촉되는 잉크 도너 시트 공급수단, 상기 안내수단의 상기 삽입부 근처에 마련되는 것에 의해 상기 잉크 도너 시트상의 잉크가 그곳에서 발생한 열로 상기 피전사지에 전사되는 감열 헤드(3), 상기 감열 헤드(3)가 상기 안내수단의 상기 삽입부의 아래쪽 끝부분 사이에 배치되고, 잉크 전사후의 상기 잉크 도너 시트를 상기 피전사지와 분리하고, 전기 피전사지에서 분리된 상기 잉크 도너 시트가 상기 감기릴 주위에 감겨지고, 상기 잉크 도너 시트에서 분리된 상기 피전사지가 상기 안내수단의 상기 헤드 삽입부의 끝부분에서 상기 안내수단과 상기 드럼의 원통형 표면 사이에 형성된 피전사지 반송로(11)로 도입되는 분리부재(4)와 상기 잉크 도너 시트의 반송 반향의 반전에 응답해서, 잉크 전사후의 상기 잉크 도너 시트가 상기 안내수단의 상기 헤드 삽입부의 끝부분 가까이에 있는 상기 피전사지 반송로의 입구부분으로 끌려 들어갈 때 신호를 발생하는 잼 검출수단(16)을 포함하는 열전사 프린터.
  2. 특허청구의 범위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잼 검출수단(16)은 상기 안내수단의 상기 헤드 삽입부의 끝부분에 마련되고, 또 검출부재(16a)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헤드 삽입부에서 상기 피전사지 반송로의 입구 부분에 마련된 스위치(16e)를 포함하며, 상기 검출부재는 잉크 전사를 끝낸 후에 상기 잉크 도너 시트가 상기 피전사지 반송로의 상기 입구 부분으로 끌려 들어갈 때 상기 잉크 도너 시트에 의해 눌려지는 열전사 프린터.
  3. 특허청구의 범위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잼 검출수단(16)은 검출부재(16a)에 의해 제어되는 스위치(16e)를 또 포함하고, 상기 검출부재는 잉크 전사후의 상기 잉크 도너 시트가 상기 피전사지 반송로의 부분으로 끌려 들어가지 않고 상기 상기릴에 감길때에 상기 잉크 도너 시트에 의해 눌려지는 열전사 프린터.
  4. 특허청구의 범위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잼 검출수단(16)은 잉크 전사후의 상기 잉크 도너 시트가 상기 피전사지 반송로로 끌려 들어갈 때 신호를 발생하는 포토 센서(16f; 161, 162)를 포함하고, 상기 잼 검출 수단은 상기 잉크 도너 시트가 상기 분리부재의 위치를 따른 상기 피전사지 반송로에 먼저 끌려 들어갈때를 검출하는데 유효하고 또, 상기 감기릴(7)의 회전의 반전을 검출하기 위해 상기 감기릴과 함께 회전하고 상기 포토 센서와 대향하도록 마련된 반사판(25)를 갖는 수단을 포함하는 열전사 프린터.
  5. 특허청구 범위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판(25)는 반사부와 비반사부가 교대로 상기 반사판위에 배치되도록 반사부(25a)와 비반사부(25b)를 갖는 열전사 프린터.
  6. 특허청구 범위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판(25)는 상기 반사부와 비반사부가 교대로 상기 반사판위에 배치되도록 배열되는 여러개의 반사부(25c, 25d, 25e)와 여러개의 비반사부(25c', 25d', 25e')를 갖고, 상기 반사판의 원주 방향으로 같은 폭을 갖는 반사부와 비반사부는 상기 반사판의 회전축에 대하여 대칭적인 열전사 프린터.
  7. 특허청구의 범위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판(25)의 상기 반사부(25c, 25d, 25e)는 상기 반사판의 원주 방향으로 서로 다른폭을 갖는 열전사 프린터.
  8. 특허청구의 범위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잼 검출수단은 잉크 전사후의 상기 잉크 도너 시트(1)이 상기 피전사지 반송로(11)의 상기 부분으로 끌려 들어갈 때 신호를 발생하는 포토 센서(16f; 161, 162)를 포함하고, 상기 잼 검출수단은 또, 상기 잉크 도너 시트의 이동방향의 반전을 검출하기 위해 상기 잉크 도너 시트의 이동에 따라서 회전하고 상기 포토 센서와 대향하도록 마련된 반사판(25)를 갖는 수단을 포함하는 열전사 프린터.
  9. 특허청구의 범위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판(25)는 반사부와 비반사부가 교대로 상기 반사판위에 배치되도록 배열되는 반사부(25a)와 비반사부(25b)를 갖는 열전사 프린터.
  10. 특허청구의 범위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판(25)는 상기 반사부와 비반사부가 교대로 상기 반사판위에 배치되도록 배열되는 여러개의 반사부(25c, 25d, 25e)와 여러개의 비반사부(25c', 25d', 25e')를 갖고, 상기 반사판의 원주방향으로 같은 폭을 갖는 반사부와 비반사부는 상기 반사판의 회전축에 대하여 대칭적인 열전사 프린터.
  11. 특허청구의 범위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판(25)의 상기 반사부(25c, 25d, 25e)는 상기 반사판의 원주방향으로 서로 다른 폭을 갖는 열전사 프린터.
  12. 특허청구의 범위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잼 검출수단(16)은 상기 감기릴의 역회전을 검출하는 회전 센서(16d, 16e, 16h)를 포함하는 열전사 프린터.
KR1019870004593A 1986-05-14 1987-05-11 잼 검출장치를 구비한 열전사 프린터 KR9000087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08584 1986-05-14
JP61108584A JPH0679943B2 (ja) 1986-05-14 1986-05-14 ジヤム検出装置
JP228272 1986-09-29
JP61228272A JP2531642B2 (ja) 1986-09-29 1986-09-29 サ−マルプリン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1510A KR870011510A (ko) 1987-12-23
KR900008784B1 true KR900008784B1 (ko) 1990-11-29

Family

ID=26448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4593A KR900008784B1 (ko) 1986-05-14 1987-05-11 잼 검출장치를 구비한 열전사 프린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4834563A (ko)
KR (1) KR900008784B1 (ko)
DE (1) DE371623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53994A (en) * 1987-10-14 1990-09-04 Tokyo Electric Co., Ltd. Thermal printer with reciprocal paper feed control
GB2219416B (en) * 1988-06-02 1992-09-16 Gerber Garment Technology Inc Plotter paper advance control
US5607244A (en) * 1988-12-29 1997-03-04 Tohoku Ricoh Co., Ltd. Thermal printer with paper and ribbon separator
JP2914724B2 (ja) * 1990-06-14 1999-07-05 シチズン時計株式会社 ドットプリンタのリボンセンサ装置
JP3094300B2 (ja) * 1990-06-29 2000-10-0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熱転写記録装置
US5144335A (en) * 1991-10-02 1992-09-01 Eastman Kodak Company Thermal printer donor guide roller
JP3286644B2 (ja) * 1993-03-05 2002-05-27 理想科学工業株式会社 排版装置付き孔版印刷装置の制御装置
US5427460A (en) * 1993-03-22 1995-06-27 Kabushiki Kaisha Sato Label printer and label strip feed mechanism therefor
TW585321U (en) * 2003-01-03 2004-04-21 Avision Inc Sheet feeder capable of immediately detecting a paper jam
JP5488622B2 (ja) * 2012-01-16 2014-05-14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338394B2 (ja) * 2014-02-17 2018-06-06 三菱電機株式会社 熱転写プリンタ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1014006A (en) * 1972-10-13 1977-07-19 Docutel Corporation Character printer
GB1444851A (en) * 1973-08-07 1976-08-04 Oelsch Fernsteuergeraete Photoelectric sensor head
JPS54163110A (en) * 1978-06-14 1979-12-25 Fujitsu Ltd Method of detecting jamming of paper in printer
JPS5732990A (en) * 1980-08-06 1982-02-22 Hitachi Ltd Paper jamming detecting mechanism of heat-sensitive recorder
DE3035012C2 (de) * 1980-09-17 1982-08-12 Fa. Carl Zeiss, 7920 Heidenheim Einrichtung zur Winkelmessung
JPS5957784A (ja) * 1982-09-29 1984-04-03 Anritsu Corp プリンタのリボンフイ−ド検出装置
JPS59150773A (ja) * 1983-02-14 1984-08-29 Toshiba Corp 熱転写記録装置
JPS59198196A (ja) * 1983-04-27 1984-11-09 Ricoh Co Ltd 熱転写形プリンタの記録方式
JPS59204587A (ja) * 1983-05-07 1984-11-19 Mitsubishi Electric Corp 熱転写プリンタ
JPS6035755A (ja) * 1984-01-27 1985-02-23 Canon Inc ジヤム検出装置
JPS60165281A (ja) * 1984-02-08 1985-08-28 Konishiroku Photo Ind Co Ltd 熱転写プリンタ
JPS60184865A (ja) * 1984-03-05 1985-09-20 Seiko Epson Corp 通電感熱転写記録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4834563A (en) 1989-05-30
DE3716233C2 (ko) 1991-07-04
DE3716233A1 (de) 1987-11-19
KR870011510A (ko) 1987-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8784B1 (ko) 잼 검출장치를 구비한 열전사 프린터
EP0402836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6065383A (en) Punching system
US5582399A (en) Sheet feeding device having sheet edge sensor
US5455659A (en) Apparatus with detector for detecting object to be detected
US6606928B2 (en) Punching system
US11718496B2 (en) Sheet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system
US5405129A (en) Detecting device for detecting presence of items in a multiple supply arrangement
JPH1074015A (ja) 画像形成装置における定着装置
EP0555884B1 (en) A parallel transport apparatus
US20240176273A1 (en) Sheet transport device including a sensor that detects positions of recording sheet being transported through transport route, and switching nail,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S62269832A (ja) ジヤム検出装置
JPS62208065A (ja) 記録装置
JP2000355446A (ja) 記録媒体検出装置及び検出方法並びに記録装置
JP2024078199A (ja) 用紙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KR0125501Y1 (ko) 프린터의 기록지 물림량 조절장치
KR20010047496A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칼라 인쇄기의 트랜스퍼 잼 감지장치
JP3287606B2 (ja) ジャム検出装置
JP2714521B2 (ja) 用紙搬送装置
JPH07301547A (ja) 回転検出機構及び当該機構を備えた給紙装置
JPH06237333A (ja) ファクシミリ装置
JPH0339286A (ja) 印刷装置
JP2531642B2 (ja) サ−マルプリンタ
JPH01317947A (ja) フィードローラへの用紙巻付き防止機構
JP2515441B2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1227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