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7385B1 - 조광기(調光器) - Google Patents

조광기(調光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7385B1
KR900007385B1 KR1019870006696A KR870006696A KR900007385B1 KR 900007385 B1 KR900007385 B1 KR 900007385B1 KR 1019870006696 A KR1019870006696 A KR 1019870006696A KR 870006696 A KR870006696 A KR 870006696A KR 900007385 B1 KR900007385 B1 KR 9000073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mmer
mounting
case
main body
circuit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66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1966A (ko
Inventor
히로미 야스모토
도오이치 이가라시
Original Assignee
도오시바 덴자이 가부시끼가이샤
쯔루오 쯔도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오시바 덴자이 가부시끼가이샤, 쯔루오 쯔도무 filed Critical 도오시바 덴자이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800019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19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73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73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30/00Transportation of goods or passengers via railways, e.g. energy recovery or reducing air resist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조광기(調光器)
제1도는, 본 발명의 1실시예를 나타내는 조광기의 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분해 사시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조광기와 착설틀과의 사시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조광기의 착설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조광기의 회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조광기본체 2 : 케이스
3 : 커버 3a : 누름 돌기
4 : 회로기판 5 : 받침 돌기부
7 : 돌출부 8 : 착설금구(金具)
9 : 걸어맞춤 받침부 10 : 손잡이
11 : 통하는 구멍 12 : 걸어맞춤 가장자리부
13 : 캠부 14,15 : 폭이 좁은 부
16 : 걸어맞춤 단턱부 17 : 걸어 멈춤부
18 : 착설틀 19 : 착설 구멍부
20,21 : 방열용 슬리트 23 : 단자 수납부
24 : 간막이 벽 25 : 전선이 끼워져 통하는 구멍
26 : 가변저항 26a : 회전축
27 : 스위치 27a : 액츄에이터
28 : 트라이액 29 : 코일
30,31,32 : 콘덴서 33 : 방열판
34 : 나사 35 : 단자판
36 : 셀프로크 단자 36a : 해제부재
37 : 끼워맞춤 구멍부 38 : 돌출부
39 : 코오킹 구멍 40 : 돌출부
41 : 착설구멍 42 : 나사 구멍
43 : 교류전원 44 : 램프
45,46,47 : 저항 48 : 트리거 다이오드
49 : 저항 50 : 네온 램프
본 발명은, 조광기에 관한 것으로서, 예를들면, 스위치 등과 같이 매설되는 복스(Box)등에 착설틀을 개재하여 착설되는 1모듈 조명용 조광기 본체의 내부에 수납되는 부품의 배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이와같은 종류의 조광기는, 예를들면, 일본국 실개소 55-60101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같이, 전기 절연판에 방열판을 개재하여 조광제어용 반도체 소자를 착설하고, 이 전기 절연판에 가변 저항의 조작부를 착설하고, 이 전기절연판에 착설된 조작부를 노출시키는 끼워 맞춤부를 착설틀에 형성하고, 이 착설틀에 상기 전기절연판을 개재하여 상기 조광제어용 반도체 소자등의 부품을 수납하는 케이스를 착설한 구조가 알려져 있었다.
또한, 일본국 실개소 58-57095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같이, 조광기 본체 케이스의 바닥부 쪽에 회로기판을 수납하고, 이 회로기판의 표면쪽에 조광제어용 반도체 소자와 가변 저항 등을 접속하고, 이 가변저항의 조작부를 상기 케이스를 착설한 착설틀의 안내홈에서 돌출시킨 구조가 채용되고 있었다.
상기한 종래의 2가지의 조광기의 구조에서는, 각각 착설틀에 따로따로의 착설구조를 필요로 하여, 전용의 착설틀이 필요하게 되고, 조광기가 예를들면 JIS 규격의 옥내용 소형 스위치인 큰각형 표준치수의 2배 정도의 크기로 되어, 대형으로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고, 또한, 상기 일본국 실개소 58-57095호 공보에 나타낸 구조에서는, 조광기 본체에 수납된 회로기판의 조작부 쪽에 발열성의 조광 제어용 반도체 소자가 배설되어 있기 때문에, 조작부 쪽이 조광제어용 반도체 소자의 발열로 가열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회로기판을 열차단판으로서 기능을 가지도록 하여, 표면의 조작쪽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고,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착설틀에 착설이 가능한 조광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조광기는, 조광회로의 부품을 접속한 회로기판을 수납하고 또한 착설틀에 붙이고 떼기가 자유롭게 착설되는 조광기 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는 케이스와 커버로서 형성되어 상기 착설틀에 이 본체를 붙이고 떼기가 자유롭게 착설되는 착설수단을 가지는 조광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내부에 수납된 상기 회로기판을 개재하여 이 본체의 표면쪽에 조작부를 마련하는 동시에, 뒷면쪽에 발열성을 가진 조광 제어용 반도체 소자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조광기는, 발열성의 조광제어용 반도체 소자가 조광기 본체내에 수납된 회로기판을 개재하여 표면쪽의 조작부와 반대쪽인 뒷면쪽에 배치되어, 회로기판이 열차단판으로 되고, 표면쪽으로 조광 제어용 반도체 소자의 열이 방열되지 않으므로, 표면쪽이 뜨겁게 되는 일은 없다.
그리고, 조광기 본체의 착설수단에 의하여 이 본체를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착설틀에 착설할 수가 있어, 소형으로 조립되는 것이다.
실시예
본 발명의 1실시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따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은 조광기 본체로서, 합성수지로 성형된 케이스(2)와 이 케이스(2)의 전면 개구부에 결합되어 이 개구부를 폐색(閉塞)하는 커버(3)로서 JIS규격의 옥내용 소형 스위치인 큰각형의 표준 치수 1개용 스위치의 치수로 형성되어 있다.
이 본체(1)의 케이스(2)의 개구부의 근방에 조광 회로의 부품을 접속한 회로기판(4)을 지지하는 받침 돌기부(5)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커버(3)의 전면 중앙부에 상자체 형상의 돌출부(7)가 형성되고, 양 끝단부는 착설수단인 착설금구(8)의 걸어맞춤 받침부(9)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커버(3)의 상자체 형상의 돌출부(7)의 대략 중앙부에는 조작부인 손잡이(10)를 회동이 자유롭게 끼워서 통하는 구멍(11)이 형성되고, 이 통하는 구멍(11)에 끼워져서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손잡이(10)의 베이스에는 상기 통하는 구멍(11)의 안쪽 둘레에 걸어 맞춤되어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걸어맞춤 가장자리부(12)가 형성되고, 이 손잡이(10)의 베이스부의 아래면에는 캠부(1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2)의 양끝단부에는 윗부분을 남겨서 폭이 좁은 부(14),(15)가 형성되고, 이 폭이 좁은부(14),(15)로서 상기 착설금구(8)의 걸어멈춤 단턱부(16)가 형성되어, 케이스(2)와 커버(3)와는 커버(3)의 양쪽 걸어맞춤 받침부(9)에 각각 걸쳐진 착설금구(8)의 양끝단 걸어멈춤부(17)가 걸어멈춤 단턱부(16)에 걸려져서, 이 케이스(2)와 커버(3)와는 착설금구(8)로서 결합되어 있다.
또한, 이 착설금구(8)에는 중앙부에 착설틀(18)에 착설되어 걸려지는 착설구멍부(19)가 각각 형성되고, 이 양쪽의 착설금구(8)의 착설구멍부(19)사이가 큰각형의 보스의 치수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2)의 한끝단면과 바닥부의 한끝단부에 방열용 슬리트(20),(21)가 형성되고, 또한 이 케이스(2)의 내부의 다른 끝단부에는 단자수납부(23)가 간막이벽(24)으로서 구획지어 형성되고, 이 단자 수납부(23)의 아래부분에 케이스(2)의 바닥면으로 개구된 전선이 끼워져 통하는 구멍(25)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회로기판(4)의 표면쪽에는 조광회로를 형성하는 가변저항(26)과 스위치(27)가 접속되어 배치되고, 이 스위치(27)는 상기 손잡이(10)의 캠부(13)로서 개폐되도록 되어져 있다.
또한, 이 회로기판(4)의 뒷면쪽에는 조광회로를 형성하는 조광제어용 반도체 소자, 예를들면, 트라이액(28)과 코일(29), 콘덴서(30),(31),(32), 트리거 다이오드 및 저항 등이 접속되어 있다.
또한, 상기 조광 제어용 반도체 소자의 트라이액(28)에는 대략 L자 형상의 방열판(33)이 나사(34)로서 착설되어 있다.
또한, 상기 회로기판(4)의 뒷면쪽에 대략 ㄷ자 형상의 단자판(35),(35)이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이 단자판(35),(35)에 셀프로크(Self lock)단자(36),(36)가 끼워 붙임되고, 또한 이 양쪽 셀프로크단자(36),(36)사이에 해제부재(36a)가 배설되어 있다.
또한, 상기 착설틀(18)은 주지의 예를들면, 3개의 스위치를 착설하는 연용형(連用形)착설틀로서, 착설용 끼워 맞춤 구멍부(37)를 가지고, 이 착설용 끼워맞춤 구멍부(37)의 한쪽에는 상기 착설금구(8)의 착설구멍부(19)에 끼워맞춤되는 돌출부(38)가 형성되고, 이 돌출부(38)에 대향하여 다른쪽에는 착설금구(8)의 착설구멍부(19)에 코오킹 구멍(39)에서의 코오킹 작업에 의하여 걸어맞추는 돌출부(4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착설틀(18)의 양끝단부에 매설된 복스에 착설되는 착설구멍(41)이 형성되고, 또한 이 착설틀(18)에는 화장판의 착설 나사구멍(42)이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조광회로를 제5도에 따라 설명한다.
교류전원(43)에 부하의 램프(44)를 통하여 접속된 단자판(35),(35)사이에, 상기 스위치(27)를 통하여 저항(45)과 콘덴서(30) 및 코일(29)이 직렬로 접속되고, 이 저항(45)과 콘덴서(30)와 병렬로 저항(46)과 가변저항(26)과 콘덴서(31)가 직렬로 접속되고, 상기 저항(46)과 콘덴서(30)와의 접속점과 가변저항(26)과 콘덴서(31)와의 접속점이 저항(47)을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저항(26)과 콘덴서(31)와의 접속점에 트리거 다이오드(48)가 접속되고, 또한, 상기 가변 저항(26)과 콘덴서(31)와 병렬로 상기 조광 제어 반도체 소자의 트라이액(28)이 접속되며, 이 트라이액(28)의 게이트에 상기 트리거 다이오드(48)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상기 단자판(35),(35)사이에 상기 스위치(27)를 통하여 콘덴서(32)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상기 스위치(27)와 병렬로 저항(49)과 네온 램프(50)가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다음에, 이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조립을 할 경우에는, 방열판(33)을 착설한 트라이액(28), 가변저항(26) 등의 조광회로의 부품과 단자판(35),(35)을 접속한 회로기판(4)을 케이스(2)에 트라이액(28)을 착설한 뒷면쪽을 안쪽으로 하여 삽입하면, 트라이액(28)에 착설된 방열판(33)이 케이스(2)의 한끝단쪽의 방열용 슬리트(20),(21)를 형성한 안쪽면에 대향된다.
그리고, 이 회로기판(4)을 케이스(2)의 받침 돌기부(5)에 걸고, 손잡이(10)를 통하는 구멍(11)으로 끼워서 통하게 한 커버(3)를 케이스(2)의 개구부에 끼워 붙임하면, 회로기판(4)은 받침 돌기부(5)와 커버(3)의 누름 돌기(3a)사이에 끼어서 보호지지되고, 손잡이(10)는 가변저항(26)의 회전 축(26a)에 걸어맞춤되고, 또한 스위치(27)의 액츄에이터(27a)는 손잡이(10)의 캠부(13)에 걸어맞춤된다.
이 상태에서, 커버(3)의 양끝단 걸어맞춤 받침부(9)에 각각 걸쳐진 착설금구(8)의 양끝단 걸어멈춤부(17)를 케이스(2)의 걸어멈춤 단턱부(16)에 걸므로써 케이스(2)와 커버(3)가 결합되어 조광기 본체(1)가 형성된다.
그리고, 제4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이 본체(1)를 착설틀(18)의 착설용 끼워 맞춤 구멍(37)에 끼워 맞추고, 이 착설틀(18)의 돌출부(38)에 착설금구(8)의 한쪽의 착설구멍부(19)를 걸어맞추고, 착설금구(8)의 다른쪽의 착설구멍부(19)에 코오킹 구멍(39)에서의 코오킹 작업에 의하여 돌출부(40)를 걸어맞춘다.
또한, 이 착설틀(18)에 스위치 등을 착설한다.
그리고, 이 착설틀(18)을 벽면의 매설 복스등에 착설하고, 이 착설틀(18)에 화장판을 착설한다.
그리고, 손잡이(10)의 회동으로 캠부(13)가 스위치(27)를 온시킴과 동시에 가변저항(26)의 회동축이 회동하여 저항값이 조정된다.
이 저항값의 변화로 콘덴서(31)의 충전시간이 조정되고, 트리거 다이오드(48)를 통하여 트라이액(28)의 도통이 위상제어되고, 램프(44)에 통전되는 전력량이 제어되어 램프(44)는 빛의 밝기가 제어된다.
그리고, 트라이액(28)의 발열은 방열판(33)에 전도되어, 케이스(2)의 방열용 슬리트(20),(21)에서 열이 방사되고, 트라이액(28)의 발열은 회로기판(4)이 열차단판으로 되어 본체(1)의 표면쪽으로는 차단되므로, 표면쪽이 가열되는 일은 없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착설금구(8)로서 케이스(2)와 커버(3)와의 결합과, 본체(1)와 착설틀(18)의 착설수단과를 겸하여 사용하였으나, 본체(1)에 착설틀(18)과 걸어맞춤하는 요입부 등의 착설수단을 형성하여, 착설금구(8)는 케이스(2)와 커버(3)와의 결합만의 기능으로 하여도 좋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본체(1)의 케이스(2)를 합성수지로서 성형한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금속으로 형성하여도 좋고, 케이스에 방열용 슬리트 등을 형성하거나, 또는 트라이액(28)의 방열판(33)을 노출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본체(1)는 JIS규격에 있어서의 옥내용 스위치인 큰 각형의 표준 치수의 1개용의 치수에 한정되는 것만은 아니고, 예를들면 2개의 치수로 하여도 좋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트라이액등의 조광제어 반도체소자는 회로기판을 개재하여 뒷면쪽에 배치되고, 조작부가 회로기판의 표면쪽에 배치되어, 조광제어용 반도체 소자의 발열이 회로기판으로서 열이 차단되므로, 커버쪽의 표면쪽이 뜨겁게 되는 일이 없고,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착설틀에 착설할 수가 있으므로, 전용의 착설틀을 필요로 하지않고, 소형으로 조립을 할 수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조광 회로 부품을 접속한 회로기판(4)을 수납하고 또한 착설틀(18)에 붙이고 떼기가 자유롭게 착설되는 조광기 본체(1)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1)는 케이스(2)와 커버(3)로서 형성되어 상기 착설틀(18)에 이 본체(1)를 붙이고 떼기가 자유롭게 착설되는 착설수단을 가지고, 상기 본체(1)의 내부에 수납된 상기 회로기판(4)을 개재하여 이 본체(1)의 표면쪽에 조작부를 구성하는 동시에 뒷면쪽에 발열성을 가지는 조광제어용 반도체 소자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광기.
KR1019870006696A 1986-07-16 1987-06-30 조광기(調光器) KR9000073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1-167021 1986-07-16
JP61167021A JPS6321792A (ja) 1986-07-16 1986-07-16 調光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1966A KR880001966A (ko) 1988-04-28
KR900007385B1 true KR900007385B1 (ko) 1990-10-08

Family

ID=15841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6696A KR900007385B1 (ko) 1986-07-16 1987-06-30 조광기(調光器)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S6321792A (ko)
KR (1) KR90000738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6321792A (ja) 1988-01-29
KR880001966A (ko) 1988-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7385B1 (ko) 조광기(調光器)
JP5015683B2 (ja) 調光器
JP2604138B2 (ja) 調光器
JP3330572B2 (ja) ダウンライト
JP2730886B2 (ja) 調光器
JP2000068075A (ja) 調光器
JP3700331B2 (ja) 調光器
JPH01264513A (ja) 調光器
JP3956585B2 (ja) 調光器
JP2604139B2 (ja) 調光器
JP3227151B2 (ja) 調光スイッチ
JP3115882B2 (ja) 調光スイッチ
JP2931050B2 (ja) 調光スイッチ
JPH02126596A (ja) 埋込み形調光器
JPS6321789A (ja) 調光器
JPS5835380B2 (ja) 配線装置
JPS6321797A (ja) 調光器
JPS6321794A (ja) 調光器
JPH0580119B2 (ko)
JPH0760750B2 (ja) 調光器
JPS6321795A (ja) 調光器
JP5444135B2 (ja) 調光制御装置
JP2968218B2 (ja) 調光器
JPH0722814Y2 (ja) 調光スイッチ
JPH0473891A (ja) 調光スイッ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51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