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1872B1 - 왕복식 동력전달기계 조인트 및 그 밀봉용 부우트 - Google Patents

왕복식 동력전달기계 조인트 및 그 밀봉용 부우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1872B1
KR900001872B1 KR1019860001021A KR860001021A KR900001872B1 KR 900001872 B1 KR900001872 B1 KR 900001872B1 KR 1019860001021 A KR1019860001021 A KR 1019860001021A KR 860001021 A KR860001021 A KR 860001021A KR 900001872 B1 KR900001872 B1 KR 9000018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oint
piece
cylindrical
power transmission
bo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010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6647A (ko
Inventor
웨슬리 헤이즈부루크 다니엘
Original Assignee
지 케이 엔 오토모티브 콤포넌쯔 인코오포레이티드
프랭크 에이.모오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 케이 엔 오토모티브 콤포넌쯔 인코오포레이티드, 프랭크 에이.모오델 filed Critical 지 케이 엔 오토모티브 콤포넌쯔 인코오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8600066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66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18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18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54Other sealings for rotating shaf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3/00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 F16D3/84Shrouds, e.g. casings, covers; Seal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F16D3/843Shrouds, e.g. casings, covers; Seal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nclosed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3/00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 F16D3/16Universal joints in which flexibility is produced by means of pivots or sliding or rolling connecting parts
    • F16D3/20Universal joints in which flexibility is produced by means of pivots or sliding or rolling connecting parts one coupling part entering a sleeve of the other coupling part and connected thereto by sliding or rolling members
    • F16D3/22Universal joints in which flexibility is produced by means of pivots or sliding or rolling connecting parts one coupling part entering a sleeve of the other coupling part and connected thereto by sliding or rolling members the rolling members being balls, rollers, or the like, guided in grooves or sockets in both coupling parts
    • F16D3/223Universal joints in which flexibility is produced by means of pivots or sliding or rolling connecting parts one coupling part entering a sleeve of the other coupling part and connected thereto by sliding or rolling members the rolling members being balls, rollers, or the like, guided in grooves or sockets in both coupling parts the rolling members being guided in grooves in both coupling parts
    • F16D3/226Universal joints in which flexibility is produced by means of pivots or sliding or rolling connecting parts one coupling part entering a sleeve of the other coupling part and connected thereto by sliding or rolling members the rolling members being balls, rollers, or the like, guided in grooves or sockets in both coupling parts the rolling members being guided in grooves in both coupling parts the groove centre-lines in each coupling part lying on a cylinder co-axial with the respective coupling part
    • F16D3/227Universal joints in which flexibility is produced by means of pivots or sliding or rolling connecting parts one coupling part entering a sleeve of the other coupling part and connected thereto by sliding or rolling members the rolling members being balls, rollers, or the like, guided in grooves or sockets in both coupling parts the rolling members being guided in grooves in both coupling parts the groove centre-lines in each coupling part lying on a cylinder co-axial with the respective coupling part the joints being telescop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3/00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 F16D3/84Shrouds, e.g. casings, covers; Seal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F16D3/843Shrouds, e.g. casings, covers; Seal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nclosed covers
    • F16D3/848Shrouds, e.g. casings, covers; Seal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nclosed covers allowing relative movement of joint parts due to sliding between parts of the cov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50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able members, by means of a sealing without relatively-moving surfaces, e.g. fluid-tight sealings for transmitting motion through a wall
    • F16J15/52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able members, by means of a sealing without relatively-moving surfaces, e.g. fluid-tight sealings for transmitting motion through a wall by means of sealing bellows or diaphrag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3/00Diaphragms; Bellows; Bellows pist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3/00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 F16D3/16Universal joints in which flexibility is produced by means of pivots or sliding or rolling connecting parts
    • F16D3/20Universal joints in which flexibility is produced by means of pivots or sliding or rolling connecting parts one coupling part entering a sleeve of the other coupling part and connected thereto by sliding or rolling members
    • F16D3/22Universal joints in which flexibility is produced by means of pivots or sliding or rolling connecting parts one coupling part entering a sleeve of the other coupling part and connected thereto by sliding or rolling members the rolling members being balls, rollers, or the like, guided in grooves or sockets in both coupling parts
    • F16D3/223Universal joints in which flexibility is produced by means of pivots or sliding or rolling connecting parts one coupling part entering a sleeve of the other coupling part and connected thereto by sliding or rolling members the rolling members being balls, rollers, or the like, guided in grooves or sockets in both coupling parts the rolling members being guided in grooves in both coupling parts
    • F16D2003/22316Means for fastening or attaching the bellows or gai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77/00Seal for a joint or juncture
    • Y10S277/911Seal combined with nominal motion transmitting device
    • Y10S277/912Spline conn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ling Devices (AREA)
  • Diaphragms And Bellow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왕복식 동력전달기계 조인트 및 그 밀봉용 부우트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르는 밀봉부우트의 양호한 실시예를 가지는 왕복식 등속구동조인트의 단면 정면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르는 밀봉부우트의 다른 실시예를 가지는 왕복식 등속구동조인트의 부분단면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등속구동조인트 12 : 입력단부
14 : 출력측 15 : 출력단부
16 : 볼 17 : 베어링케이지
20 : 내부조인트 부재 23 : 외부조인트 부재
26, 27, 32 : 부우트요소 36 : 리세스
37 : 리브
본 발명은 왕복식 동력전달기계 조인트용, 특히 작동중에 접합하기 쉬운 조인트용 부우트(시일)에 관한 것이다. 더우기, 본 발명은 그러한 부우트의 적어도 일부가 비가요성특성을 가지는 상기 타입의 부우트(시일)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전륜구동차의 전륜으르 구동시키는 장치에 있어서 내부구동조인트로서 사용된 타입의 등속조인트용 부우트(시일)에 관한 것이고 조인트의 외륜에 접속된 부우트(시일)의 일부는 반경성 특성을 가진다.
왕복식 등속구동조인트는 그러한 조인트들중 하나가 각각의 피동차륜에 제공됨에 따라 전륜구동차륜의 변속기에서부터 차량의 피동전륜들까지 동력을 전달하는 수단으로써 자동차산업에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특히, 비왕복 조인트의 다른 구동조인트가 선외, 즉 외부구동조인트로 사용되는 경우 왕복구동조인트는 장치에 있어서 선내, 즉 내부구동조인트로 사용되며, 변속기와 피동 차륜 사이의 간격에 있어서, 모든 변화는 서로에 대하여 왕복조인트의 입력 및 출력부재의 왕복작용에 의하여 조정된다. 물론 그러한 각각의 구동조인트는 조인트 내의 적소에 필요한 윤활을 유지하고 먼지 및 다른 외부오염균에 의한 오염부터 조인트를 보호하기 위해서 밀봉되어야만 한다.
왕복식 기계조인트의 경우에는 이 밀봉기능을 성취하기 위해서 여태까지 사용해온 부우트(시일)로 언급된 장치들은 보통 탄성중합체 재료로 주름진 형상을 갖게 제작된 가요성구조를 지녀왔다. 그러나 종래의 그러한 가요성구조는 그러한 접합 및 선 즉 축운동중에 조인트의 시일을 파손하지 않으면서 조인트의 일반적으로 축방향으로 배치된 입력 및 출력부재 모두의 접합 즉 각운동, 노면진동이나 회전으로 발생할 수 있는 작동상태, 예를들면 입력 및 출력축사이의 선 즉 축운동 뿐만아니라 그것으로 초래되는 엔진의 경사 때문에 엔진이 공전할 때도 발생할 수 있는 상태, 을 수용하기 위해 비틀리는 능력을 부우트에 제공한다.
전술한 것처럼, 왕복식 자동차 등속구동조인트용 가요성부우트(시일)는 매우 광범위하게 이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 시일은 매우 비싸고, 그들의 칫수가 그 가요성특성에 의하여 쉽게 변한다는 사실 때문에 손으로 설치해야만 하고, 설치되어지는 요소들의 정확한 칫수에 기인해 비용을 절약하는 어떤 조립기술의 사용도 배제한다. 또한, 탄성중합체 재료로 만들어진 가요성부우트(시일)는 도로장애 및 다른형태의 집중된 영향 때문에 사용시에 빵구가 나기 쉽고, 이 재료들은 자동차의 평균수명중에 부딪칠 수 있는 저온이나 고온에 노출되었을때 특성들이 저하되기 쉬운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이 가요성부우트(시일)의 주름진형태에 기인하여 그 내부의 체적이 다소 크며 이 체적이 관련조인트를 적당히 윤활시키기 위해서 그리이스로 채워져야만 하고 그 때문에 다소 많은 양의 그리이스가 필요하다. 게다가 대부분의 탄성중합체 재료들은 그리이스에 노출되었을때 분해되기 쉽고 이 그리이스 감도는 그러한 가요성시일의 유효수명을 제한한다.
본 발명에 따라서 자동차용 등속 내부 전륜구동조인트처럼 왕복식 기계조인트용 부우트(시일)가 제공된다. 이 부우트는 다수개의 부우트 편들로 기계 제작되고 그 중에 적어도 한쌍은 비가요성재료, 이를테면 열경화성 재료처럼 반경성중합체 재료로 제작하는 것이 양호하며 그러한 부우트를 가진 조인트의 조립비용은 기계조립 기술에 의하여 조인트나 조인트부우트의 성능특성을 떨어뜨리지 않으면서 가요성부우트를 가지는 종래의 조인트 조립비용에 비하여 상당히 감소될 수 있다. 또한 그러한 부우트는 종래의 부우트에 비하여 부우트의 반경성 요소가 탄성 중합체 부우트 보다 더 큰 빵구저항을 가지며 고온 및 저온에 더 잘견디며 그리이스와 접촉하여 덜 분해되는 개선된 특성들을 가진다.
본 발명의 부우트의 제1반경성 편은 대면밀봉관계로 조인트의 외부부재를 둘러싼다. 이 제1편은 조인트의 외부부재에 면한 직원 원통형홈이나 다른 원통형홈을 갖는다. 부우트의 제2반경성 편의 한단부는 원통형이며 이원통형 단부는 제1편의 원통형홈안에 미끌어져 들어가 밀봉되게 수용된다. 제2비가요성편의 다른단부는 그것으로부터 연장한 수단을 가지며 그러한 수단은 조인트의 시일을 파손하지 않으면서 그러한 축을 외부부재에 대하여 모나게 접합시키는 방식으로 기계조인트의 내부부재와 밀봉되게 접속한다. 또한, 이 장치는 조인트의 외부부재와 조인트의 내부부재가 원통형홈내에서 밀봉되게 앞뒤로 활주하는 비가요성 제2부우트편의 원통부의 능력에 의하여 부우트에 제공된 시일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서로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움직이는 것, 즉 왕복운동하는 것을 허용한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있어서, 부우트의 제2반경성편으로 부터 연장하여 설치한 수단은 분할편이며 또한 반경성중합체로 기계 제작하는 것이 양호하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2반경성 부우트편은 조인트의 내부부재에 면한 단부에 비원통형 홈을 가지며 제3반경성 부우트편은 제2부우트편안의 그러한 비원통형 홈내에 보족적이며 밀봉되게 설치하기 위해 형성된 단부를 가진다. 제2부우트편의 비원통형 홈과 제3부우트편의 단부 사이의 보족적 관계는 서로에 대하여 각지게 접합되는 외부부재의 축과 내부부재의 축과 함께 부우트의 시일이 유지되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왕복식 기계동력 전달조인트를 밀봉하는 개선된 부우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더우기, 본 발명의 목적은 압력 및 출력부재가 서로에 대해 접합하기 쉬운 왕복식 동력전달기계조인트용 개선된 부우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게다가, 본 발명의 목적은 왕복식 등속구동조인트를 밀봉하는 개선된 부우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목적은 전륜 구동자동차의 전륜을 구동시키는데 사용된 왕복식 등속구동조인트용 개선된 부우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부우트가 반경성 재료로 만들어진 한쌍의 부우트편들을 가지며 부우트편들중 하나의 원통형 단부가 그러한 부우트 편들 사이에서 왕복운동을 허용하는 방식으로 다른 부우트편의 원통형 홈판에 미끄러져 활주해 밀봉되게 수용되는 전륜구동차의 왕복등속구동 조인트를 밀봉하는 부우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접합과 왕복운동을 할수 있고 적어도 한쌍은 반경성중합체로 제작된 여러편의 부우트에 의해 밀봉된 동력전달 기계조인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첨부한 도면과 병행하여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나타나게 될 것이다.
제1도는 왕복식 등속구동조인트(11)를 도시한다. 구동조인트(11)는 플랜지장착식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고 예를들면 자동차 같은 차량의 변속기(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되도록 재작된 주변플랜지(13)를 통해서 입력단부(12)에서 동력을 받아 구동조인트(11)의 출력단부(15)로부터 연장하여 설치한 출력축(14)에 의해 구동조인트(도시되지 않음)에 동력을 전달한다. 그러나 도시된 방식의 플랜지 장착식 구동조인트 뿐만 아니라 측정등속구동조인트와 병행하여 본 발명이 이용될 수 있음이 기대된다. 종래의 기술에서 알려진 것처럼, 베어링케이지(17)안에 포함되어 있으며 일반적으로 여섯개인 원주상의 일련의 볼(16)에 의하여 동력이 입력단부(12)에서 출력단부(15)까지 전달된다. 베어링케이지(17)는 구형의 내면(18)을 가지며 베어링 케이지(17)가 내부 조인트부재(20)를 중심으로 할뿐만 아니라 그것에 의해 세로방향으로 한정되도록 내부조인트 부재(20)의 보족적인 구형외면(19)과 접속한다. 또한 베어링케이지(17)는 한단부에 인접한 일부가 구형인 외면요소(21)를 가지며 이 외면요소(21)는 외부조인트 부재(23)를 거쳐 원통형보어(22)와 접속한다.
작동시에, 입력단부(12)와 출력단부(15)는 제1도에 도시된 것처럼 이 단부들 사이에서 수직축방향으로 부터의 각 비틀림 즉 접합이 쉽다. 전균구동차의 전륜을 구동시키는 내부구동조인트의 경우에는, 이 접합이 각각의 방향에서 약 20°로 될수 있으며 그 접합은 예를들면 그러한 차량과 우연히 부딪칠 수 있는 정상적인 노면 진동 및 충돌, 그리고 차량의 회전에서 야기될 수 있다. 또한 왕복식 등속유니버설 조인트에 있어서, 구동조인트(11)가 출력단부(15)에 대하여 입력단부(12)의 일정한 축운동량을 수용할 수 있어야만 한다.
전술된 것처럼, 구동조인트(11)는 정밀한 기계 제작요소를 포함하며 이 요소들은 먼지나 자동차주위에서 부딪칠 수도 있는 다른 오염균에 의한 오염으로부터 보호되고 윤활을 유지해야만 한다. 이 때문에 구동조인트(11)는 구동조인트(11)의 내부를 밀봉하기 위해서 부우트(24)를 가진다. 물론, 부우트(24)는 구동조인트(11) 자체가 그러한 접합의 결과나 그 도중에 부우트(24)의 밀봉특성들을 손상시키지 않을 정도의 접합 및 왕복운동을 수용할 수 있어야만 하고 자동차 적용시에 수년동안 그렇게 할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것처럼, 구동조인트(11)가 입력단부(12)와 출력단부(15) 사이에서 상당한 정도의 각 접합을 수용할 수 있어야만 한다. 원통형 외면(25)과 함께 구동조인트(11)의 외부조인트 부재(23)를 만들므로써 이 요구조건의 축운동, 즉 왕복운동요소가 일부 제공된다. 외면(25)은 직원원통형일 수도 있고, 비직원원통형, 예를들면 클로버잎모양의 횡단면을 가진 원통형일 수도 있다. 또한 두개의 부우트편을 구비하는 다수개의 개별적인 부우트편인 부우트(24)를 제작하므로써 이 왕복식운동이 제공되며, 제1부우트편(26)과 제2부우트편(27)은 제각기 적당한 반경성 또는 비탄성중합체 재료로 제작된다. 제1부우트편(26)은 원통형인 내부부재(28)를 가지며 밀봉접속식으로 외륜의 원통면(25)를 단단히 둘러싼다. 반경성부우트편인 제2부우트편(27)은 제1부우트편(26)의 홈(30)에 미끄러져 밀봉되게 수용되며 플랜지(13)가 축(14)에 대하여 이리저리 축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처럼 홈(30)내에서 이리저리 축방향으로 자유롭게 움직이는 원통형단부(31)를 갖는다.
제1부우트편(26)은 밀봉부우트(24)로 구동조인트(11)의 시일을 완성하기 위해서 축(14)으로부터 연장하여 설치하고 축(14)과 밀봉되게 접속한 수단(32)을 가진다. 양호한 실시예에 있어서, 제1도에 도시된 것처럼 수단(32)은 반경성부우트편이고, 이 실시예에 있어서 제1부우트편(26)은 거기에 연합된 비원통형 밀봉홈(33)을 가지며 이홈(33)은 부우편(32)의 보족적으로 형성된 비원통형 단부(34)를 미끄러져 활주해 밀봉되게 수용한다. 입력축(14)에 대하여 구동조인트(11)의 플랜지(13)의 접합중에, 부우트편(32)의 단부(34)는 구동조인트(11)의 밀봉특성들을 유지하기 위해서 제2부우트편(27)의 밀봉홈(33)안으로 끌어올리고 내려진다.
부우트편(32)과 출력축(14) 사이에서 시일의 완성은 다른 단부에 원통부(35)를 가진 부우트편(32)을 제공하므로써 얻어진다. 원통부(35)는 입력축의 일부를 둘러싸서 접속한다. 원통부(35)는 그 사이에 단단한 스냅-피트를 제공하기 위해서 출력축(14)위에 환상리브(31)를 수용하는 환상리세스(36)를 가진다.
전술한 것처럼, 부우트편들(26,27,32)은 반경성 비탄성중합체 재료로 제작된다. 유리합침나일론(폴리아미드)은 파열과 고온 및 저온 그리고 그리이스에 대해 양호한 저항을 가지기 때문에 부우트편용으로 적당하다. 또한 각 부우트편들중 일부가 조인트에서 윤활유와 접촉하게 될 면을 갖기 때문에 부우트편들(26,27,32)로 구성된 부우트(24)가 자가 윤활되고, 구동조인트의 작동중에 그러한 윤활유의 원심력때문에 거기에는 구동조인트의 작동중에 각부우트편의 윤활유노출면에 대해 윤활유가 완전히 균일하게 적용될 것이다. 또한 밀봉부우트(24)가 어떤 주름진 가요성요소와 결합하지 않기 때문에 그 내부체적이 감소되고 이것은 구동조인트에 추가되어야 하는 윤활유의 양을 감소시킬 것이다. 또한 부우트편들(26,27,32)의 반경성 특성때문에 그것들은 다소 정밀한 칫수를 가지게 되며 그 결과, 조립중에 기계적으로 처리할 수 있으며 그 기술은 조립비용 절감의 가능성을 갖고 있다. 또한 부우트(24)는 기계조인트에 대해 가요성부우트를 조립하기 위해 사용되는 타입의 고정밴드나 다른 유지기구를 사용하지 않으면서 구동조인트(11)의 다른 요소들에 대해 조립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갖는다. 이것은 재료 및 조립비용에 있어서 또 다른 비용절감을 나타내는 것이다.
제1부우트편(26)과 유사한 부우트편의 사용이 양호한 반면에 외부조인트 부재의 외면이 원통형이고 부우트편(27)과 유사한 부우트편이 밀봉방식으로 외부조인트의 원통형 외면위를 이리저리 활주할 수 있는 원통형 밀봉요소를 포함하는 한 그러한 부우트를 사용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이 실용될 수도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렇게 된다면, 외부조인트의 원통형 표면요소의 횡단면이 원형인 것이 양호하므로 부우트편의 원통형 밀봉부는 외부조인트 부재의 외부면에 대하여 양호한 밀봉을 확실히 유지하기 위해서 개발될 필요가 있는 인장 즉 후우프응력의 결과로서 형태가 쉬게 비틀리지 않는다.
제2도는 등속구동조인트(111)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그 구동조인트(111)는 제1도 실시예의 구동조인트가 왕복밀봉부우트(124)의 다른 실시예를 가지는 것을 제외하고 제1도 실시예의 구동조인트(11)이 모든점에 대하여 일반적으로 유사한 것으로 생각될 수도 있다. 제1도 실시예의 밀봉부우트(24)처럼, 밀봉부우트(124)는 구동조인트(111)의 입력부재(113)와 출력부재 사이의 축 및 각운동모두를 수용할 수 있어야만 한다.
요구된 것처럼, 축운동 즉 왕복운동은 원통형외면(125)을 가진 구동조인트(111)의 외부조인트 부재(123)를 제작하므로써 부우트에 의해 얼만큼 제공된다. 면(125)은 직원형 원통형일 수도 있고, 예를들면 횡단면이 클로버잎 모양인 원통형처럼 비원형 원통형일 수도 있다. 또한, 이 왕복운동은 두개의 부우트편, 즉 제각기 적당한 반경성요소나 비탄성 중합체 재료로 제작된 제1부우트편(126)과 제2부우트편(127)을 구비하는 다수개의 독립적인 부우트편들을 제작하므로써 제공된다. 제1부우트편(126)은 원통형인 내부부재(128)를 가지므로 밀봉접속식으로 외륜의 원통형표면(125)을 단단히 둘러싼다. 반경성부우트편인 제2부우트편(127)은 제1부우트편(126)의 홈에 미끄러져 활주해 밀봉되게 수용되며 입력부재(113)가 출력부재(114)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이리저리 움직이는 것처럼 홈(230)내에서 이리저리 축방향으로 자유롭게 움직이는 원통형 단부(131)를 가진다.
제1부우트편(126)은 밀봉부우트(124)로써 구동조인트(111)의 시일을 완성하기 위해서 출력부재(114)로 부터 연장하여 밀봉되게 접속한 수단(138)을 갖는다. 제2도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수단(138)은 또 다른 반경성부우트편, 즉 제3부우트편(132)이고,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부우트편(126)은 그 안에 결합된 방사상의 밀봉홈(133)을 가지며 이 홈(133)은 제3부우트편(132)의 방사상단부(134)를 미끄러져 활주해 밀봉되게 수용한다. 출력부재(114)에 대하여는 구동조인트(111) 입력부재(113)의 접합중에, 제3부우트편(132)의 단부(134)가 구동조인트(111)의 밀봉특성을 유지하기 위해서 제2부우트편(127)의 밀봉홈(133)안으로 끌어올리고 내려진다.
제3부우트편(132)과 출력부재(114) 사이에서 시일의 완성은 제3부우트편(132)의 내주연부와 출력부재(114) 사이의 접합을 밀봉하기 위해서 환상비이드(137)의 형태로 연한 밀봉성분을 이용하므로써 이루어진다. 제1도 실시예의 각각의 제1,2,3부우트편(26,27,32)의 경우에서처럼, 제1,2,3부우트편(126,127,132)은 제각기 반경성 비탄성재료로 제작된다. 또한, 유리함침나일론(폴리아미드)은 파손과 고온 및 저온, 그리고 그리이스에 대한 양호한 저항을 갖기 때문에 이 부우트편용으로 적당하다.
본 발명이 전륜구동차용 등속구동조인트로서 그것의 효용에 관하여 기재되온 반면에 등속작동을 요구하지 않는 경우에는 등속작동 특성들을 갖지 않는 유니버설 조인트와 병행하여 이용될 수 있고, 항공기나 다른 형태의 기계류의 왕복유니버설 조인트와도 병행하여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본 발명의 양호한 어떤 다른 실시예가 기재된 반면에,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제한된 것처럼 본 발명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기술된 것처럼 본 발명에 가해질 수도 있는 수정들이 숙련된 기술에 나타날 것이다.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설명은 그 범위를 제한하지 않고 그 원리를 설명하려 했다.
비록 출원일 현재로 본 발명을 실시하는 발명자에 의해 작성된 가장 좋은 방법이 여기에서 설명한 것으로 나타났을지라도, 본 발명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적당한 수정 및 변화, 그리고 대치가 숙련된 기술에 나타날 것이다. 본 발명은 단지 여기에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될 것이다.

Claims (17)

  1. 내부조인트 부재, 원통형 밀봉면을 가지는 외부조인트 부재 및 상기 조인트부재들중 하나에서 상기 조인트부재의 다른것까지 동력을 전달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왕복식 동력전달기계조인트를 밀봉하는 부우트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밀봉면을 둘러싸는 원통형단부를 가지며 비가요성 재료로 형성된 부우트편 ; 상기 기계조인트의 시일을 완성하기 위해서 상기 내부조인트 부재와 밀봉되게 접속하며 상기 부우트편의 다른 단부로부터 연장하여 설치한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식 동력전달기계조인트 밀봉용 부우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조인트 부재를 밀봉되게 둘러싸는 상기 외부조인트 부재의 상기 원통형 밀봉면을 제한하는 원통형홈을 홈진부우트편 안에 구비하고 있으면서 상기 외부조인트 부재를 밀봉되게 둘러싸는 홈진부우트편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식 동력전달기계조인트 밀봉용 부우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면의 횡단면이 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식 동력전달기계조인트 밀봉용 부우트.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우트편으로부터 연장하여 설치한 상기 수단이 다른 부우트편을 구비하고, 상기 부우트편이 그 사이의 시일을 파괴하지 않으면서 상기 부우트편에 대하여 각 접합을 할 수 있으며 상기 부우트편과 밀봉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식 동력전달기계조인트 밀봉용 부우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부우트편이 그 안에 비원통형홈을 가지며, 상기 다른 부우트편이 상기 비원통형홈에 대하여 보족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비원통형홈에 미끄러져 활주해 밀봉되게 수용되는 단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식 동력전달기계조인트 밀봉용 부우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비원통형홈이 약간의 구형의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왕복식 동력전달기계조인트 밀봉용 보우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비원통형홈이 상기 제2부우트편에서 방사적으로 안쪽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식 동력전달기계조인트 밀봉용 부우트.
  8. 동력전달기계조인트에 있어서, 원통형 밀봉면을 가지는 외부조인트 부재, 상기 외부조인트 부재에 대해 간격진 내부조인트 부재 및 동력전달기계조인트를 밀봉하는 부우트를 구비하며, 상기 조인트부재중 하나가 전원으로부터 토오크를 수용해 상기 조인트부재중 다른 것을 통해서 피동부재에 동력을 전달하며, 상기 내부조인트 부재와 상기 외부조인트 부재가 상기 동력전달기계조인트의 작동중에 서로에 대하여 축운동 및 접합하기 쉬우며, 상기 부우트가 비가요성 재료로 형성되고 상기 원통형 밀봉면을 미끄러져 활주해 밀봉되게 둘러싸는 원통부를 가지는 부우트편과 상기 기계조인트의 시일을 완성하기 위해서 상기 내부조인트 부재를 밀봉되게 접속하고 상기 부우트편의 다른 단부로부터 연장한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식 동력전달구동조인트.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조인트 부재를 밀봉되게 둘러싸는 홈진 부우트편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홈진부우트편이 그 안에 원통형홈을 구비하며, 상기 원통형홈이 상기 외부조인트 부재의 상기 원통형 밀봉면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식 동력전달구동조인트.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면의 횡단면이 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식 동력전달구동조인트.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조인트가 등속구동조인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식 동력전달구동조인트.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등속구동조인트가 전륜구동차용 전륜구동조인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식 동력전달구동조인트.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전륜구동조인트의 상기 입력축 및 출력축이 정상작동중에 서로에 대하여 각각의 방향으로 최소한 약 20°접합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식 동력전달구동조인트.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부우트편이 상기 다른 단부안에 비원통형 홈을 가지며, 상기 부우트편의 상기 다른 단부로부터 연장한 상기 수단이 다른 부우트편이며, 상기 다른 부우트편이 상기 비원통형홈에 대하여 보족으로 형성되고 상기 비원통형홈에 미끄러져 활주해서 밀봉되게 수용된 한 단부를 가지므로써 상기 다른 부우트편이 그 사이의 시일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상기 부우트편에 대하여 모나게 접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식 동력전달구동조인트.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비원통형홈이 일부 구형의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식 동력전달구동조인트.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비원통형홈이 상기 제2부우트편으로 부터 방사적으로 안쪽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식 동력전달구동조인트.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기계조인트가 그 안에 포함된 윤활유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윤활유가 상기 부우트편과 상기 홈진 부우트편과 상기 다른 부우트편의 각각의 내면의 일부와 접촉하고 있으며 상기 부우트편에 대하여 상기 부우트편의 윤활된 축운동 및 상기 부우트편과 상기 부우트편사이의 윤활된 각 접속을 위해서 상기 부우트편들을 윤활시키는데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식 동력전달구동조인트.
KR1019860001021A 1985-02-14 1986-02-14 왕복식 동력전달기계 조인트 및 그 밀봉용 부우트 KR9000018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720149 1985-02-14
US720,149 1985-02-15
US06/702,149 US4664393A (en) 1985-02-15 1985-02-15 Sliding-segment boot for plunging mechanical joi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6647A KR860006647A (ko) 1986-09-13
KR900001872B1 true KR900001872B1 (ko) 1990-03-26

Family

ID=248200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1021A KR900001872B1 (ko) 1985-02-14 1986-02-14 왕복식 동력전달기계 조인트 및 그 밀봉용 부우트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4664393A (ko)
JP (1) JPS61189323A (ko)
KR (1) KR900001872B1 (ko)
AU (1) AU575526B2 (ko)
BR (1) BR8600621A (ko)
CA (1) CA1266067A (ko)
DE (1) DE3604670A1 (ko)
ES (1) ES8701926A1 (ko)
FR (1) FR2577637B1 (ko)
GB (1) GB2171155B (ko)
IT (2) IT8652988V0 (ko)
MX (1) MX16292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76513A (en) * 1986-03-17 1987-06-30 Tiegs Del V One-piece split boot for universal joint
DE3712199A1 (de) * 1987-04-10 1988-10-27 Loehr & Bromkamp Gmbh Winkelbeweglicher rollbalg
US4821627A (en) * 1987-06-05 1989-04-18 Leigh Monstevens Keith V Piston and cylinder assembly
GB8800380D0 (en) * 1988-01-08 1988-02-10 Wakeling G Power take off shaft cover system
DE4036616C2 (de) * 1989-11-27 1996-08-08 Nok Corp Abdichtmantel für eine Gelenkverbindung
JPH07279985A (ja) * 1994-04-04 1995-10-27 Mitsubishi Electric Corp 可とう歯車継手
US5931738A (en) * 1997-10-21 1999-08-03 Dana Corporation Universal joint assembly protected by a boot
DE19857392A1 (de) * 1998-12-12 2000-06-21 Daimler Chrysler Ag Dichtungsanordnung
US6368224B1 (en) 1998-12-31 2002-04-09 Gkn Automotive, Inc. Sealing assembly for constant velocity joint
DE19911697A1 (de) * 1999-03-16 2000-09-28 Bruss Dichtungstechnik Schaltwellenführung und -abdichtung eines Kraftfahrzeuges
US6367810B1 (en) 2000-02-15 2002-04-09 Federal-Mogul World Wide, Inc. Self-centering shaft seal system
US6820707B1 (en) 2002-06-03 2004-11-23 The Ohio State University Research Foundation Two motor electric axle
JP2005090698A (ja) * 2003-09-19 2005-04-07 Nok Corp 自在継手用ブーツ
WO2006081393A2 (en) * 2005-01-26 2006-08-03 Gkn Driveline North America, Inc. Boot for a joint
CN105317846B (zh) * 2014-05-26 2018-07-24 中南大学 浮动式密封装置
US10634195B2 (en) 2016-05-13 2020-04-28 Aircraft Gear Corporation Seal for a constant velocity joint
CN112628279B (zh) * 2020-12-24 2021-12-14 清华大学 用于摆动轴的磁性液体密封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36487C (de) * 1921-05-09 Vogtlaendische Maschf Ag Kardanhaube fuer Motorfahrzeuge
US1051025A (en) * 1906-09-12 1913-01-21 Clarence W Spicer Incased universal joint and casing thereof.
US958023A (en) * 1907-01-17 1910-05-17 Clarence W Spicer Incased universal joint.
US1514942A (en) * 1920-01-30 1924-11-11 Gen Motors Corp Universal joint
US1747529A (en) * 1927-09-29 1930-02-18 Universal Machine Company Universal joint
US1854667A (en) * 1930-05-14 1932-04-19 Columbia Axle Company Closure means for universal joints
US1887755A (en) * 1930-06-04 1932-11-15 Gerold Catlin Housing for universal joints
GB408660A (en) * 1932-09-15 1934-04-16 William Henry Jardine Universal joints and like couplings for conveying rotary or linear motion
GB598584A (en) * 1944-07-27 1948-02-20 Bendix Aviat Corp Sealing means for universal joints
GB611364A (en) * 1944-12-11 1948-10-28 Gear Grinding Mach Co Shaft couplings
US2663583A (en) * 1950-11-17 1953-12-22 Journal Box Servicing Corp Axle stop for journal boxes
GB948919A (en) * 1960-03-09 1964-02-05 Brd Co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universal joints
US3260071A (en) * 1964-08-13 1966-07-12 Gen Motors Corp Universal joint seal
DE1575804B1 (de) * 1966-04-19 1970-07-16 Daimler Benz Ag Gleichlauf-Schiebegelenkkupplung,insbesondere fuer den Achsantrieb von Kraftfahrzeugen
US3418828A (en) * 1967-01-09 1968-12-31 North American Rockwell Shielded angular drive assembly
FR2181177A5 (ko) * 1972-04-20 1973-11-30 Dba
JPS5330607U (ko) * 1976-08-23 1978-03-16
JPS5528475Y2 (ko) * 1976-09-08 1980-07-07
DE3009639C2 (de) * 1980-03-13 1983-01-27 Löhr & Bromkamp GmbH, 6050 Offenbach Abdichtung
DE3206127C2 (de) * 1982-02-20 1984-03-01 Uni-Cardan Ag, 5200 Siegburg Dichtungsmanschette
JPS58170458U (ja) * 1982-05-10 1983-11-14 エヌ・テ−・エヌ東洋ベアリング株式会社 自在継手用密封装置
DE3227969C2 (de) * 1982-07-27 1985-05-30 Uni-Cardan Ag, 5200 Siegburg Dichtungsanordnung
FR2554533B1 (fr) * 1983-11-08 1989-06-30 Glaenzer Spicer Sa Soufflet elastique de protection d'un joint homocinetique de transmiss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2577637A1 (fr) 1986-08-22
ES8701926A1 (es) 1986-12-01
AU575526B2 (en) 1988-07-28
DE3604670C2 (ko) 1990-09-27
BR8600621A (pt) 1986-10-29
AU5184586A (en) 1986-08-21
US4664393A (en) 1987-05-12
FR2577637B1 (fr) 1989-05-19
DE3604670A1 (de) 1986-08-21
GB8603200D0 (en) 1986-03-19
KR860006647A (ko) 1986-09-13
GB2171155A (en) 1986-08-20
MX162929B (es) 1991-07-15
IT8667109A0 (it) 1986-02-14
IT1187910B (it) 1987-12-23
JPH0340250B2 (ko) 1991-06-18
ES552010A0 (es) 1986-12-01
CA1266067A (en) 1990-02-20
IT8652988V0 (it) 1986-02-14
GB2171155B (en) 1988-05-18
JPS61189323A (ja) 1986-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1872B1 (ko) 왕복식 동력전달기계 조인트 및 그 밀봉용 부우트
KR920008641B1 (ko) 동력전달 기계조인트 및 그 밀봉용 부우트
US4516959A (en) Sealing boot for universal joint
US4403781A (en) Sealing assembly for universal joint
KR950003002B1 (ko) 동력전달기계조인트 밀봉용 부우트
KR102239252B1 (ko) 허브 일체형 등속조인트 장치
US20070093303A1 (en) Rigid joint sealing system
SU679122A3 (ru) Т говый привод железнодорожного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US6926612B2 (en) Joint assembly and sealing boot
KR100294563B1 (ko) 전동장치의출력용슬립요크장치
US7784796B2 (en) Shaft interface debris seal
KR0157132B1 (ko) 플렉시블 기어 조인트
WO2017014005A1 (ja) プロペラシャフト締結構造
JP4889875B2 (ja) プロペラシャフト
JP2019515198A (ja) プロペラシャフトのためのクロスグルーブ型等速ジョイント
RU2702385C1 (ru) Устройство в сборе из пыльника и удерживающего элемента для шарнира равных угловых скоростей
EP0032971A2 (en) Resiliently supported connection unit for joining a transmission shaft to a transmission coupling element
JPH0240884B2 (ko)
JP2015169281A (ja) サポートベアリングの取付構造
JP2013234733A (ja) 等速自在継手
JPH0217222A (ja) 入力軸周囲の密封を改善した機械継手用多要素ブーツ
SU1276532A1 (ru) Трансмисси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KR19990013650U (ko) 등속조인트의 부트체결구조
KR19990037986U (ko) 자재이음 부트의 체결 구조
JP2012163171A (ja) 等速自在継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5032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