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9252B1 - 허브 일체형 등속조인트 장치 - Google Patents

허브 일체형 등속조인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9252B1
KR102239252B1 KR1020190085284A KR20190085284A KR102239252B1 KR 102239252 B1 KR102239252 B1 KR 102239252B1 KR 1020190085284 A KR1020190085284 A KR 1020190085284A KR 20190085284 A KR20190085284 A KR 20190085284A KR 102239252 B1 KR102239252 B1 KR 1022392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t
hub
velocity joint
constant velocity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52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8734A (ko
Inventor
정창희
Original Assignee
현대위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위아(주) filed Critical 현대위아(주)
Priority to KR10201900852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9252B1/ko
Priority to US17/627,570 priority patent/US20220258530A1/en
Priority to PCT/KR2020/009270 priority patent/WO2021010733A1/ko
Publication of KR202100087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87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92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92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7/00Hubs
    • B60B27/0015Hubs for driven wheels
    • B60B27/0036Hubs for driven wheels comprising homokinetic joints
    • B60B27/0042Hubs for driven wheels comprising homokinetic joints characterised by the fixation of the homokinetic joint to the hub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3/00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 F16D3/84Shrouds, e.g. casings, covers; Seal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F16D3/843Shrouds, e.g. casings, covers; Seal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nclosed covers
    • F16D3/845Shrouds, e.g. casings, covers; Seal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nclosed covers allowing relative movement of joint parts due to the flexing of the co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7/00Hubs
    • B60B27/0005Hubs with ball bea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7/00Hubs
    • B60B27/0047Hubs characterised by functional integration of othe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7/00Hubs
    • B60B27/0078Hubs characterised by the fixation of b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300/00Special features for couplings or clutches
    • F16D2300/06Lubrication details not provided for in group F16D13/74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300/00Special features for couplings or clutches
    • F16D2300/08Details or arrangements of sealings not provided for in group F16D3/84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300/00Special features for couplings or clutches
    • F16D2300/18Sensors; Details or arrangement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3/00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 F16D3/16Universal joints in which flexibility is produced by means of pivots or sliding or rolling connecting parts
    • F16D3/20Universal joints in which flexibility is produced by means of pivots or sliding or rolling connecting parts one coupling part entering a sleeve of the other coupling part and connected thereto by sliding or rolling members
    • F16D3/22Universal joints in which flexibility is produced by means of pivots or sliding or rolling connecting parts one coupling part entering a sleeve of the other coupling part and connected thereto by sliding or rolling members the rolling members being balls, rollers, or the like, guided in grooves or sockets in both coupling par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64/00Rotary shafts, gudgeons, housings, and flexible couplings for rotary shafts
    • Y10S464/904Homokinetic coupling
    • Y10S464/906Torque transmitted via radially spaced b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eal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허브 일체형 등속조인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 한 개의 허브하우징(40)이 등속조인트를 구성하는 아우터레이스의 역할 및 휠의 디스크(2)와 너클(3)이 결합되는 휠허브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는 구성에서, 부트(50)에 일체로 형성된 부트씰링부(110)가 베어링(30)을 구성하는 내륜(32)과 외륜(33)사이의 틈(35)으로 삽입되어서 내륜(32)과 외륜(33)사이의 틈새를 막는 내측씰의 역할을 하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허브 일체형 등속조인트 장치{HUB BUILT-IN TYPE CONSTANT VELOCITY JOINT APPARATUS}
본 발명은 휠허브와 등속조인트가 일체형으로 형성된 허브일체형 등속조인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서 사용되는 조인트는 회전축의 각도가 서로 다른 회전축에 회전동력(토크)을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서, 동력전달 각도가 작은 추진축의 경우에는 후크 조인트, 플렉시블 조인트 등이 사용되고, 동력전달 각도가 큰 전륜 구동차의 구동축의 경우에는 등속조인트가 사용된다.
상기 등속조인트는 구동축과 피동축의 교차각이 큰 경우에도 등속으로 원활하게 동력을 전달할 수 있기 때문에 독립 현가방식의 전륜 구동차의 액슬축에 주로 사용된다.
통상적인 구동륜의 휠 구조는 휠허브와 등속조인트가 각각 별도로 제작되고, 등속조인트의 아우터레이스가 휠허브를 관통하면서 스플라인으로 결합되고, 휠허브를 관통한 아우터레이스의 단부에 허브너트가 체결됨에 따라 등속조인트의 아우터레이스와 휠허브가 결합된 구조이다.
그런데, 전술한 바와 같이 등속조인트의 아우터레이스와 휠허브가 각각 별도로 제작된 후 스플라인 및 허브너트에 의해 조립되는 종래의 구조는, 부품수 증가로 인한 중량증가 및 원가상승의 단점이 있고, 특히 스플라인 결합에 의한 백래시 발생 및 허브너트 풀림에 의한 품질문제가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전술한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 허브 일체형 등속조인트 장치가 개발되었으며, 허브 일체형 등속조인트는 엔진에서 나온 동력을 바퀴로 전달하는 축인 드라이브샤프트(Drive Shaft)와 이를 바퀴에 연결하는 휠 베어링(Wheel Bearing)을 하나로 통합한 제품으로, 일명 기능통합형 드라이브 액슬(IDA, Integrated Drive Axle)이라고도 한다.
도 1 내지 도 2에는 종래의 일반적인 허브 일체형 등속조인트 장치의 구조가 도시되어 있는 바, 그 구성은 드라이브샤프트(1)의 단부에 결합된 이너레이스(10), 상기 이너레이스(10)에 결합된 다수개의 조인트볼(20), 및 상기 조인트볼(20)을 포함한 이너레이스(10)가 내측으로 삽입 결합되고 외주면에 베어링(30)이 결합된 허브하우징(40)을 포함한다.
드라이브샤프트(1)는 변속기를 통해서 전달된 엔진 구동력을 휠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등속조인트는 볼타입 조인트(boll joint)와 트라이포드타입 조인트(tripod joint)가 있고, 이너레이스(10)와 조인트볼(20)은 볼타입 조인트의 구성요소가 된다.
한 개의 허브하우징(40)은 등속조인트를 구성하는 아우터레이스의 역할 및 휠과 너클의 결합을 위한 휠허브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는 구성으로, 등속조인트의 아우터레이스와 휠허브가 각각 별도로 제작된 후 허브너트에 의해 결합되는 종래의 구조에 비해 부품수 감축을 통한 중량감소 및 원가절감을 도모할 수 있고, 동력전달시 발생하는 이음소음 및 백래시 문제를 없앨 수 있으며, 특히 허브너트의 풀림문제 등이 없음에 따라 고강성화를 달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허브하우징(40)은 조인트볼(20)이 삽입되는 그루브(41a)가 내주면에 형성되고 차량 내측방향의 일단과 외측방향의 타단이 개구되게 형성된 원호형상의 허브부(41), 상기 허브부(41)의 타단이 내측에 수용되도록 허브부(41)로부터 차량 외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하우징부(42), 및 상기 하우징부(42)의 끝에서 반경방향으로 확장된 것으로 휠의 디스크(2)가 결합되는 플랜지부(43)를 포함한다.
허브하우징(40)의 그루브(41a)는 조인트볼(20)과 동일한 개수로 형성되면서 차량의 내외측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된다.
허브하우징(40)에서 허브부(41)의 개구된 일단(내측방향 일단)은 부트(50)에 의해 감싸여지고, 허브부(41)의 개구된 타단(외측방향 타단)에는 허브캡(60)이 조립된다.
허브부(41)의 개구된 타단(외측방향 타단)을 통해서 드라이브샤프트(1)를 차량의 내측방향으로 삽입시켜서 조립할 수 있게 됨으로써 드라이브샤프트(1)의 조립시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허브부(41)의 내부공간은 부트(50)와 허브캡(60)에 의해서 기밀이 유지되는 공간이 되고, 이를 통해 그리스의 누유가 방지되며, 또한 이물질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
허브하우징(40)의 플랜지부(43)에는 휠가이드(70)가 압입 결합되고, 플랜지부(43)에 볼트(2a)를 매개로 디스크(2)가 결합될 때에 휠가이드(70)는 디스크(2)의 중심을 관통하면서 디스크(2)의 조립가이드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베어링(30)은 하우징부(42)의 외주면에서 차량 외측방향 및 내측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된 외측볼(31a)과 내측볼(31b)로 이루어진 베어링볼(31), 상기 내측볼(31b)을 지지해서 위치를 고정시키는 내륜(32), 및 상기 외측볼(31a)과 내측볼(31b)을 동시에 커버링하고 너클(3)과 결합된 외륜(33)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외측볼(31a)은 하우징부(42)에서 일체로 형성된 볼지지부(44)에 의해서 위치가 고정되게 설치된다.
즉, 볼지지부(44)는 외측볼(31a)의 내륜의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으로, 외측볼(31a)을 지지하기 위한 별도부품의 내륜이 필요없는 구성으로, 이를 통해 부품수 감축, 중량 감소, 원가 절감 및 공정수 감소에 따른 생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외륜(33)과 너클(3)은 볼트(3a) 또는 스크루를 통해 조립된다.
부트(50)에서 내측방향을 향하는 일단은 드라이브샤프트(1)의 외주면에 클램프를 매개로 고정되게 결합되고, 부트(50)에서 외측방향을 향하는 타단은 내륜(32)상에 클램프를 매개로 고정되게 결합된다.
그리고, 베어링(30)은 회전체에 해당하는 베어링볼(31)과 내륜(32), 그리고 고정체에 해당하는 외륜(33)사이에 윤활을 위한 그리스(greese)가 충진되는데, 그리스의 누유를 방지하기 위해 외측볼(31a)의 측부에는 외측씰(80)이 결합되어서 기밀을 유지하고, 내측볼(31b)의 측부에는 내측씰(90)이 결합되어서 기밀을 유지하는 구조가 된다.
여기서, 내측씰(9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륜 고정용 스틸링(91), 외륜 고정용 스틸링(92), 및 기밀을 유지하는 고무씰(93)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주변의 다른 부품이 내측씰(90)의 역할을 대신 수행할 수 있다면 부품수 감축과 중량 감소 및 원가를 크게 절감할 수 있을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도면부호 100는 회전속도 및 방향을 검출하는 센서인 엔코더(encoder)로서, 내륜 고정용 스틸링(91)에 결합된 구조이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43966호
본 발명은, 허브하우징이 등속조인트를 구성하는 아우터레이스의 역할 및 휠의 디스크와 너클의 결합을 위한 휠허브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는 허브 일체형 등속조인트 장치에서, 부트가 내측씰의 역할을 함께 수행할 수 있는 구성으로, 부품수 감축과 중량 감소 및 원가를 크게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등속조인트의 이너레이스 및 볼조인트가 삽입되는 허브부, 허브부로부터 차량 외측방향으로 연장된 하우징부, 및 하우징부의 끝에서 반경방향으로 확장되고 휠의 디스크가 결합되는 플랜지부가 일체로 형성된 허브하우징을 포함하는 허브 일체형 등속조인트 장치에 있어서, 상기 허브하우징의 바깥면에는 외측볼 및 내측볼로 이루어진 베어링볼, 내측볼의 내측을 지지하는 내륜, 외측볼 및 내측볼의 외측을 동시에 커버링하고 너클과 결합된 외륜을 포함하는 베어링이 결합되고; 상기 허브부와 드라이브샤프트를 감싸도록 결합된 부트에서 차량 외측방향을 향하는 부트의 타단이 베어링을 구성하는 내륜과 외륜사이의 틈으로 삽입되어서 내륜과 외륜사이의 틈새를 막는 내측씰의 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부트에서 차량 외측방향을 향하는 타단에는 중실단면을 갖는 원형링모양의 부트씰링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부트씰링부가 내륜과 외륜사이의 틈으로 삽입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부트씰링부는 내주면이 내륜의 외경과 접촉하고 외주면이 외륜의 내경과 접촉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부트씰링부의 외주면에는 부트씰링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외주면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외주면돌기사이의 홈에 그리스가 채워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부트씰링부가 내륜과 외륜사이의 틈으로 삽입되게 설치되면 부트씰링부와 연결된 부트의 타단은 외륜의 측면과 접촉해서 씰링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부트씰링부와 연결된 부트의 타단에는 부트씰링부와 동일방향으로 돌출된 측면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측면돌기가 외륜의 측면과 접촉해서 씰링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륜의 외경에는 오목한 모양의 삽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에 부트씰링부와 연결된 부트의 타단이 삽입되어서 씰링을 유지하고; 상기 삽입부에 삽입된 부트의 타단에 클램프가 체결됨에 따라 차량 외측방향의 부트의 타단이 베어링을 구성하는 내륜에 고정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부트씰링부 및 부트씰링부와 연결된 부트의 타단은 동일 재질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부트씰링부 및 부트씰링부와 연결된 부트의 타단은 회전체에 해당하는 베어링의 내륜과 접촉하는 제1접촉부, 및 고정체에 해당하는 베어링의 외륜과 접촉하는 제2접촉부로 구분되고; 상기 제2접촉부는 제1접촉부보다 상대적으로 마찰이 작은 저마찰 재질로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부트씰링부와 연결된 부트의 타단에는 회전속도 및 방향을 검출하는 엔코더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한 개의 허브하우징이 등속조인트를 구성하는 아우터레이스의 역할 및 디스크와 너클의 결합을 위한 휠허브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는 허브 일체형 등속조인트 장치에 있어서, 상기 허브하우징의 외주면에는 베어링이 결합되고; 상기 베어링을 구성하는 내륜 및 외륜사이의 틈새로 차량 외측방향을 향하는 부트의 타단이 삽입되어서 부트의 타단이 내륜과 외륜사이의 틈새를 막는 내측씰의 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한 개의 허브하우징이 등속조인트를 구성하는 아우터레이스의 역할 및 휠의 디스크와 너클이 결합되는 휠허브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는 허브 일체형 등속조인트 장치에서, 부트에 일체로 형성된 부트씰링부가 베어링을 구성하는 내륜과 외륜사이의 틈으로 삽입되어서 내륜과 외륜사이의 틈새를 막는 내측씰의 역할을 하는 구조로서, 종래의 내측씰의 사용을 없앨 수 있게 됨에 따라 품수 감축과 중량 감소 및 원가를 크게 절감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조립작업의 감축을 통해 생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구조에 따른 허브 일체형 등속조인트 장치의 단면도,
도 2는 도 1에서 내측씰이 결합된 부위의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허브 일체형 등속조인트 장치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부트씰링부가 구비된 부트의 단면도,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부트씰링부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허브 일체형 등속조인트 장치에 대해 살펴보기로 하겠는 바, 종래와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붙이면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허브 일체형 등속조인트 장치는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라이브샤프트(1)의 단부에 결합된 이너레이스(10), 상기 이너레이스(10)에 결합된 다수개의 조인트볼(20), 및 상기 조인트볼(20)을 포함한 이너레이스(10)가 내측으로 삽입 결합되고 외주면에 베어링(30)이 결합된 허브하우징(40)을 포함한다.
드라이브샤프트(1)는 변속기를 통해서 전달된 엔진 구동력을 휠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등속조인트는 볼타입 조인트(boll joint)와 트라이포드타입 조인트(tripod joint)가 있고, 이너레이스(10)와 조인트볼(20)은 볼타입 조인트의 구성요소가 된다.
한 개의 허브하우징(40)은 등속조인트를 구성하는 아우터레이스의 역할 및 휠의 디스크(2)와 너클(3)의 결합을 위한 휠허브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는 구성으로, 등속조인트의 아우터레이스와 휠허브가 각각 별도로 제작된 후 허브너트에 의해 결합되는 종래의 구조에 비해 부품수 감축을 통한 중량감소 및 원가절감을 도모할 수 있고, 동력전달시 발생하는 이음소음 및 백래시 문제를 없앨 수 있으며, 특히 허브너트의 풀림문제 등이 없음에 따라 고강성화를 달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허브하우징(40)은 조인트볼(20)이 삽입되는 그루브(41a)가 내주면에 형성되고 차량 내측방향의 일단과 외측방향의 타단이 개구되게 형성된 원호형상의 허브부(41), 상기 허브부(41)의 타단이 내측에 수용되도록 허브부(41)로부터 차량 외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하우징부(42), 및 상기 하우징부(42)의 끝에서 반경방향으로 확장된 것으로 휠의 디스크(2)가 결합되는 플랜지부(43)를 포함한다.
허브하우징(40)의 그루브(41a)는 조인트볼(20)과 동일한 개수로 형성되면서 차량의 내외측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된다.
허브하우징(40)에서 허브부(41)의 개구된 일단(내측방향 일단)은 부트(50)에 의해 감싸여지고, 허브부(41)의 개구된 타단(외측방향 타단)에는 허브캡(60)이 조립된다.
허브부(41)의 개구된 타단(외측방향 타단)을 통해서 드라이브샤프트(1)를 차량의 내측방향으로 삽입시켜서 조립할 수 있게 됨으로써 드라이브샤프트(1)의 조립시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허브부(41)의 내부공간은 부트(50)와 허브캡(60)에 의해서 기밀이 유지되는 공간이 되고, 이를 통해 그리스(greese)의 누유가 방지되며, 또한 이물질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
허브하우징(40)의 플랜지부(43)에는 휠가이드(70)가 압입 결합되고, 플랜지부(43)에 볼트(2a)를 매개로 디스크(2)가 결합될 때에 휠가이드(70)는 디스크(2)의 중심을 관통하면서 디스크(2)의 조립가이드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베어링(30)은 하우징부(42)의 외주면에서 차량 외측방향 및 내측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된 외측볼(31a)과 내측볼(31b)로 이루어진 베어링볼(31), 상기 내측볼(31b)을 지지해서 위치를 고정시키는 내륜(32), 및 상기 외측볼(31a)과 내측볼(31b)을 동시에 커버링하고 너클(3)과 결합된 외륜(33)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외측볼(31a)은 하우징부(42)에서 일체로 형성된 볼지지부(44)에 의해서 위치가 고정되게 설치된다.
즉, 볼지지부(44)는 외측볼(31a)의 내륜의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으로, 외측볼(31a)을 지지하기 위한 별도부품의 내륜이 필요없는 구성으로, 이를 통해 부품수 감축, 중량 감소, 원가 절감 및 공정수 감소에 따른 생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외륜(33)과 너클(3)은 볼트(3a) 또는 스크루를 통해 조립된다.
부트(50)에서 차량 내측방향을 향하는 일단은 드라이브샤프트(1)의 외주면에 클램프(51)를 매개로 고정되게 결합되고, 부트(50)에서 차량 외측방향을 향하는 타단은 내륜(32)상에 클램프(52)를 매개로 고정되게 결합된다.
그리고, 베어링(30)은 회전체에 해당하는 베어링볼(31)과 내륜(32), 그리고 고정체에 해당하는 외륜(33)사이에 윤활을 위한 그리스(greese)가 충진되며, 그리스의 누유를 방지하기 위해 외측볼(31a)의 측부에는 외측씰(80)이 결합되어서 기밀을 유지하고, 내측볼(31b)의 측부에는 본 발명에 따라 부트(50)에서 차량 외측방향을 향하는 타단이 결합되어서 기밀을 유지하는 내측씰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즉, 드라이브샤프트(1)와 허브하우징(40)의 허브부(41)를 감싸도록 결합된 부트(50)에서 차량 외측방향을 향하는 부트(50)의 타단이 베어링(30)을 구성하는 내륜(32)과 외륜(33)사이의 틈(35)으로 삽입되어서 내륜(32)과 외륜(33)사이의 틈새를 막는 내측씰의 역할을 하는 구조인 것이다.
이와 같이 부트(50)의 타단이 종래의 내측씰의 역할을 대신하도록 구성되면, 내측씰을 구성하는 내륜 고정용 스틸링, 외륜 고정용 스틸링, 및 기밀을 유지하는 고무씰의 구성을 모두 없앨 수 있게 되는 바, 이를 통해 부품수 감축과 중량 감소 및 원가를 크게 절감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조립작업의 감축을 통해 생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부트(50)에서 차량 외측방향을 향하는 타단에는 중실단면을 갖는 원형링 모양의 부트씰링부(110)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부트씰링부(110)가 베어링(30)을 구성하는 내륜(32)과 외륜(33)사이의 틈(35)으로 삽입되게 설치되어서 종래의 내측씰의 역할을 하는 구성인 것이다.
내륜(32)과 외륜(33)사이의 틈(35)으로 삽입된 부트씰링부(110)는 내주면이 내륜(32)의 외경과 접촉하고 외주면이 외륜(33)의 내경과 접촉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부트씰링부(110)의 외주면에는 부트씰링부(110)의 길이방향(내외측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외주면돌기(111)가 형성되고, 상기 외주면돌기(111)사이의 홈(112)에 그리스(120)가 채워지도록 구성된다.
외주면돌기(111)사이의 홈(112)속에 채워진 그리스(120)는 드래그 토크를 저감하고, 마찰열을 감소시키며, 내구성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한다.
부트(50)의 타단에 형성된 부트씰링부(110)가 전술한 바와 같이 베어링(50)을 구성하는 내륜(32)과 외륜(33)사이의 틈(35)으로 삽입되게 설치되면 부트씰링부(110)와 연결된 부트(50)의 타단은 외륜(33)의 측면(33a)과 접촉해서 씰링을 유지하게 된다.
즉, 부트씰링부(110)와 연결된 부트(50)의 타단에는 부트씰링부(110)와 동일방향으로 돌출된 측면돌기(53)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측면돌기(53)가 외륜(33)의 측면(33a)과 접촉해서 씰링을 유지하는 구조인 것이다.
그리고, 내륜(32)의 외경에는 오목한 모양의 삽입부(32a)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32a)에 부트씰링부(110)와 연결된 부트(50)의 타단이 삽입되어서 씰링을 유지하게 되고, 상기 삽입부(32a)에 삽입된 부트(50)의 타단에 클램프(52)가 체결됨에 따라 차량 외측방향의 부트(50)의 타단이 베어링(30)을 구성하는 내륜(32)에 고정되게 결합되는 구조가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일예로서 부트씰링부(110) 및 부트씰링부(110)와 연결된 부트(50)는 동일 재질로서 구성될 수 있다.
일반적인 씰은 내알카리성 및 내수성이 양호하고, 내유성 및 내마모성이 우수한 니트릴고무(NRB, nitrile rubber)를 사용할 수 있고, 부트씰링부(110)와 부트(50)가 동일 재질로서 구성될 때에는 NRB00320 또는 NRB01370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6과 같이 부트씰링부(110) 및 부트씰링부(110)와 연결된 부트(50)는 회전체에 해당하는 베어링(30)의 내륜(32)과 접촉하는 제1접촉부(130), 및 고정체에 해당하는 베어링(30)의 외륜(33)과 접촉하는 제2접촉부(140)로 구분될 수 있고, 이때 제2접촉부(140)는 마모방지를 최대한 예방하기 위해 제1접촉부(130)보다 상대적으로 마찰이 작은 저마찰 재질로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접촉부(130)는 NRB00320 또는 NRB01370 재질로 구성될 수 있고, 제2접촉부(140)는 제1접촉부(130)보다 상대적으로 저마찰 재질인 NRB00935 재질로 구성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부트씰링부(110)와 연결된 부트(50)의 타단에는 회전속도 및 방향을 검출하는 엔코더(150)가 결합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한 개의 허브하우징(40)이 등속조인트를 구성하는 아우터레이스의 역할 및 휠의 디스크(2)와 너클(3)이 결합되는 휠허브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는 허브 일체형 등속조인트 장치에서, 부트(50)에 일체로 형성된 부트씰링부(110)가 베어링(30)을 구성하는 내륜(32)과 외륜(33)사이의 틈(35)으로 삽입되어서 내륜(32)과 외륜(33)사이의 틈새를 막는 내측씰의 역할을 하는 구조로서, 종래의 내측씰의 사용을 없앨 수 있게 됨에 따라 품수 감축과 중량 감소 및 원가를 크게 절감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조립작업의 감축을 통해 생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 - 드라이브샤프트 2 - 디스크
3 - 너클 10 - 이너레이스
20 - 조인트볼 30 - 베어링
31 - 베어링볼 31a - 외측볼
31b - 내측볼 32 - 내륜
33 - 외륜 40 - 허브하우징
41 - 허브부 42 - 하우징부
43 - 플랜지부 44 - 볼지지부
50 - 부트 53 - 측면돌기
60 - 허브캡 70 - 휠가이드
80 - 외측씰 110 - 부트씰링부
111 - 외주면돌기 120 - 그리스
130 - 제1접촉부 140 - 제2접촉부
150 - 엔코더

Claims (10)

  1. 등속조인트의 이너레이스 및 볼조인트가 삽입되는 허브부, 허브부로부터 차량 외측방향으로 연장된 하우징부, 및 하우징부의 끝에서 반경방향으로 확장되고 휠의 디스크가 결합되는 플랜지부가 일체로 형성된 허브하우징을 포함하는 허브 일체형 등속조인트 장치에 있어서,
    상기 허브하우징의 바깥면에는 외측볼 및 내측볼로 이루어진 베어링볼, 내측볼의 내측을 지지하는 내륜, 외측볼 및 내측볼의 외측을 동시에 커버링하고 너클과 결합된 외륜을 포함하는 베어링이 결합되고,
    상기 허브부와 드라이브샤프트를 감싸도록 결합된 부트에서 차량 외측방향을 향하는 부트의 타단에는 베어링을 구성하는 내륜과 외륜사이의 틈으로 삽입되어서 내륜과 외륜사이의 틈새를 막는 내측씰의 역할을 하는 부트씰링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부트씰링부와 연결된 부트 타단의 상단은 돌출되어 외륜의 측면과 접촉되고, 부트 타단의 하단은 내륜의 오목한 모양의 삽입부에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브 일체형 등속조인트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부트씰링부는 중실단면을 갖는 원형링모양으로써 상기 부트에서 차량 외측방향을 향하는 타단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부트씰링부가 내륜과 외륜사이의 틈으로 삽입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브 일체형 등속조인트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부트씰링부는 내주면이 내륜의 외경과 접촉하고 외주면이 외륜의 내경과 접촉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부트씰링부의 외주면에는 부트씰링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외주면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외주면돌기사이의 홈에 그리스가 채워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브 일체형 등속조인트 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부트씰링부가 내륜과 외륜사이의 틈으로 삽입되게 설치되면 부트씰링부와 연결된 부트의 타단은 외륜의 측면과 접촉해서 씰링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브 일체형 등속조인트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부트씰링부와 연결된 부트의 타단에는 부트씰링부와 동일방향으로 돌출된 측면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측면돌기가 외륜의 측면과 접촉해서 씰링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브 일체형 등속조인트 장치.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내륜의 외경에는 오목한 모양의 삽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에 부트씰링부와 연결된 부트의 타단이 삽입되어서 씰링을 유지하고;
    상기 삽입부에 삽입된 부트의 타단에 클램프가 체결됨에 따라 차량 외측방향의 부트의 타단이 베어링을 구성하는 내륜에 고정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브 일체형 등속조인트 장치.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부트씰링부 및 부트씰링부와 연결된 부트의 타단은 동일 재질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브 일체형 등속조인트 장치.
  8.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부트씰링부 및 부트씰링부와 연결된 부트의 타단은 회전체에 해당하는 베어링의 내륜과 접촉하는 제1접촉부, 및 고정체에 해당하는 베어링의 외륜과 접촉하는 제2접촉부로 구분되고;
    상기 제2접촉부는 제1접촉부보다 상대적으로 마찰이 작은 저마찰 재질로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브 일체형 등속조인트 장치.
  9. 청구항 7 또는 8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부트씰링부와 연결된 부트의 타단에는 회전속도 및 방향을 검출하는 엔코더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브 일체형 등속조인트 장치.
  10. 한 개의 허브하우징이 등속조인트를 구성하는 아우터레이스의 역할 및 디스크와 너클의 결합을 위한 휠허브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는 허브 일체형 등속조인트 장치에 있어서,
    상기 허브하우징의 외주면에는 베어링이 결합되고;
    차량 외측방향을 향하는 부트의 타단에는 부트씰링부가 일체로 성형되고, 상기 부트씰링부는 상기 베어링을 구성하는 내륜 및 외륜사이의 틈새로 삽입되어 상기 부트씰링부가 내륜과 외륜사이의 틈새를 막는 내측씰의 역할을 하며;
    부트씰링부와 연결된 부트 타단의 상단은 돌출되어 외륜의 측면과 접촉되고, 부트 타단의 하단은 내륜의 오목한 모양의 삽입부에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브 일체형 등속조인트 장치.
KR1020190085284A 2019-07-15 2019-07-15 허브 일체형 등속조인트 장치 KR1022392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5284A KR102239252B1 (ko) 2019-07-15 2019-07-15 허브 일체형 등속조인트 장치
US17/627,570 US20220258530A1 (en) 2019-07-15 2020-07-14 Hub- integrated-type constant-velocity joint device
PCT/KR2020/009270 WO2021010733A1 (ko) 2019-07-15 2020-07-14 허브 일체형 등속조인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5284A KR102239252B1 (ko) 2019-07-15 2019-07-15 허브 일체형 등속조인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8734A KR20210008734A (ko) 2021-01-25
KR102239252B1 true KR102239252B1 (ko) 2021-04-12

Family

ID=742110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5284A KR102239252B1 (ko) 2019-07-15 2019-07-15 허브 일체형 등속조인트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20258530A1 (ko)
KR (1) KR102239252B1 (ko)
WO (1) WO202101073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0000B1 (ko) * 2020-05-27 2022-07-12 현대위아 주식회사 차량용 등속 조인트
KR20210157167A (ko) * 2020-06-19 2021-12-2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허브 일체형 등속 조인트
KR102580410B1 (ko) * 2021-03-24 2023-09-20 현대위아 주식회사 차량용 액슬의 부트
CN115163685A (zh) * 2022-09-07 2022-10-11 万向钱潮股份公司 一种具有内外防尘罩的等速万向节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15998A (ja) * 2006-11-07 2008-05-22 Ntn Corp 軸受装置
JP2012207768A (ja) * 2011-03-30 2012-10-25 Toyo Tire & Rubber Co Ltd ジョイントブーツ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5469U (ko) * 1996-12-30 1998-10-07 김욱한 씰링기능이 향상된 캘리퍼브레이크용 슬라이딩핀 부트
KR20060089255A (ko) * 2005-02-03 2006-08-09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등속조인트의 부트구조
KR101871992B1 (ko) 2016-10-21 2018-06-27 현대위아(주) 허브일체형 등속조인트
KR101999694B1 (ko) * 2017-09-29 2019-07-12 현대위아(주) 차량의 휠 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15998A (ja) * 2006-11-07 2008-05-22 Ntn Corp 軸受装置
JP2012207768A (ja) * 2011-03-30 2012-10-25 Toyo Tire & Rubber Co Ltd ジョイントブー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10733A1 (ko) 2021-01-21
US20220258530A1 (en) 2022-08-18
KR20210008734A (ko) 2021-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9252B1 (ko) 허브 일체형 등속조인트 장치
KR101336503B1 (ko) 트라이포드 타입 등속조인트용 부트
US20220410624A1 (en) Hub built-in type drive axle
KR20210008735A (ko) 허브 일체형 등속조인트 장치
KR101658643B1 (ko) 자동차용 트라이포드 등속 조인트
KR20220136808A (ko) 휠베어링 조립체
JP2017053446A (ja) 等速自在継手用ブーツ
KR101302232B1 (ko) 트라이포드 등속조인트의 롤러 어셈블리
JP2018044607A (ja) 摺動式等速自在継手
KR100761632B1 (ko) 등속 조인트용 다이내믹 댐퍼
JP2001349334A (ja) 車輪駆動用軸受ユニット
KR20240038411A (ko) 통합형 드라이브 액슬 조립체
JP2015169281A (ja) サポートベアリングの取付構造
JP2020041662A (ja) 摺動式等速自在継手
JP6398367B2 (ja) 等速ジョイント
JP2019132316A (ja) トリポード型等速自在継手
KR20150010172A (ko) 트라이포드 타입 등속조인트
KR101696905B1 (ko) 실링 캡 구조 및 이를 이용한 휠 베어링 조립체
JP2012163171A (ja) 等速自在継手
KR20140025178A (ko) 차량용 볼타입 등속조인트의 아우터 레이스
KR100834214B1 (ko) 트라이포드식 등속조인트
KR20210083431A (ko) 허브 일체형 등속조인트 장치
JP2018053926A (ja) 等速自在継手
JP2011140967A (ja) ドライブシャフト
KR20110035108A (ko) 차량의 후륜구동용 아웃보드 등속 조인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