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1221B1 - 무저직기에 있어서의 위사처리방법 - Google Patents

무저직기에 있어서의 위사처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1221B1
KR890001221B1 KR1019870001659A KR870001659A KR890001221B1 KR 890001221 B1 KR890001221 B1 KR 890001221B1 KR 1019870001659 A KR1019870001659 A KR 1019870001659A KR 870001659 A KR870001659 A KR 870001659A KR 890001221 B1 KR890001221 B1 KR 8900012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ft
missed
thread
inclined opening
ya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16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9064A (ko
Inventor
데라사키가즈노리
엔도요시아키
마사히코 무라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도요다지도우 쇽기세이사꾸쇼
도요다 요시도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도요다지도우 쇽기세이사꾸쇼, 도요다 요시도시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도요다지도우 쇽기세이사꾸쇼
Publication of KR8700090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90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12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12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7/0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 D03D47/34Handling the weft between bulk storage and weft-inserting mean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무저직기에 있어서의 위사처리방법
제1도 내지 제6도는 본 발명을 구체화한 일실시예를 표시한 것으로서 제1도는 슬레이 부근의 개략평면도.
제2도는 위입 저지장치의 정면도.
제3도는 위사 인출장치 및 위사 절단장치의 측면도.
제4도는 미스된실의 인출상태를 표시하는 개략평면도.
제5도는 블록도.
제6도는 미스된실의 처리프로그램을 표시하는 공정도.
제7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표시하는 정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7, 43 : 한쌍의 인출로울러
39 : 회진량 검출수단으로서의 자기변위 검출센서
44, 45 : 위사 검출기 Y' : 미스된실
본 발명은 제트직기 레피아 혹은 그리퍼 직기등의 무저직기에 있어서 기대정지 직전에 직포에 짜넣어진 위사의 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제트직기등의 무저직기에 있어서는 유저직기에 배해서 훨씬 높은 생산성을 기대할 수 있어서 무저직기의 채용경향이 최근에는 현저하지만 위입미스 발생율이 유저직기에 비해서 높아지는 것을 주지의 사실이다. 위입미스가 발생한 경우의 기대정지는 위사검출기로부터의 위입미스 검출신호에 따라서 이루어지지만 무저직기와 같은 고속직기에서는 각부의 파손방지를 고려하여 기대의 일회전 이상 관성작동한 후에 기대 정지가 되기 때문에 위입미스의 위사(이하“미스된실”이라고 한다)가 기대정지 직전에 비이팅 (Beating)직포에 짜넣어진다. 직포의 제직홈이 되는 전술한 미스된실을 직포로부터 제거하는 위사 처리장치가 특허공개공고 소화 58-220856호 공보 및 특허공개공고 소화 59-21757호 공보에 표시되어 있다.
상기 공보 58-220856호에서는 직포에 짜넣은 미스된실을 직포로부터 분리하기 위하여 한개의 핑거(Finger)를 갖는 위사처리 장치가 직폭 방향으로 가설된 안내레일상을 퇴피위치로부터 소정의 미스된실 처리위치까지 주행이동한 후에 직포상을 접동시켜서 경사 개구밖으로부터 직전(織前 : Cloth fell)을 찰과하면서 경사 개구내에 전술한 핑거를 진입시켜 직포로부터 미스된실을 경사 개구내에 분리하도록 되어 있다. 이같이 분리된 미스된실은 경사 개구밖으로부터 경사를 헤쳐서 경사 개구내에 삽입된 미스된실의 인출수단에 넘겨지며 경사 개구내로부터 경사 사이를 지나서 경사 개구외로 이동 배치되는 전술한 미스된실의 인출수단과 더불어 미스된실의 일부가 경사내 개구내로부터 경사 개구밖으로 인출된다. 경사 개구밖으로 인출된실의 일부는 한쌍의 인출로울로 사이에 압접협지되어 양 인출로울러를 구동시킴에 의하여 모든 미스된실이 경사 개구내로부터 인출된다.
이와같이하여 인출된 미스된실은 흡인수단에 의하여 흡인 제거된다. 한편, 상기의 특허공보 소화 59-21757호에서는 기대관성 작동중의 위입을 저지시켜 한쌍의 압접로울러 사이에 위입저지 위사를 도입 파지함과 동시에 위입할때마다 작동되는 위사 절단장치의 절단기능을 일시적으로 정지하여 미스된실과 후속하는 위사를 절단되지 않고 접속유지하고 상기의 압접로울러를 회전시켜 경사 개구내로부터 미스된실을 인출함과 동시에 흡인 제거하는 방법이 표시되어 있다.
상기의 특허공보소 58-220856호와 같이 종래 장치에 있어서 우선 요구되는 것은 핑거가 직전에 짜 넣어진 미스된실을 걸어서 직전으로부터 미스된실을 확실히 분리하는 것이다. 핑거에 거의 타원형의 궤도를 그리는 구성을 채용하여 미스된실을 걸수있도록 직전으로부터 미스된실 한가닥을 분리하기 위해서는 핑거의 극히 미묘한 동작을 필요로 하는 것이다. 그러나 경사의 최대 개구상태를 형성하여도 경사에 의한 미스된실의 파지상태가 충분히 해제되지 않으므로서 일점 중심의 요동가능한 아암의 선단에 회동되게 연결된 핑거의 중간부위를 한 방향으로 원운동 한다고 하는 복잡한 구성에 의하여 상기한 대략타원인 궤도를 그리게 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미스된실을 거는 것을 실패하는 사태를 정확하게 회피하는 것은 곤란하다.
미스된 실의 분리에 실패하면 미스된실은 직포에 짜넣어지고 직포 품질저하를 초래한다. 핑거에 의한 직전으로부터의 미스된실의 분리에 성공한 경우에도 핑거에 의한 상기의 분리부 이외에서는 경사에 의한 파지작용을 여전히 받고 있기 때문에 경사 개구내로부터 경사 개구밖으로 미스된실을 인출할때에는 상응하는 인출저항이 생긴다. 그 때문에 미스된실의 인출도중에 있어서 상기한 인출저항에 기인하는 미스된실의 절단이 생기는 염려가 다분히 있다. 이것도 또한 직포내에의 미스된실 짜넣기를 짜넣은 직포의 품질저하를 초래한다.
상기한 특허공보소 59-220856호에 종래 장치에 있어서도 인출저항에 기인하는 인출도중의 미스된실의 절단발생의 염려가 마찬가지로 존재한다. 또 상기의 각 종래 장치는 미스된실이 경사내에 있어서 도중에서 절단되어 있는 경우 절단된 미스된실의 일부가 경사내에 남게 되는데 이와같은 상태를 알수가 없이 그대로 직기를 재운전하여 제직홈을 만들게 되는 문제도 생긴다. 즉 종래의 위상 처리장치를 사용한 미스된실의 자동처리에 있어서는 신뢰성, 효율등이 충분하게 달성되어 있지 않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경사의 개구상태를 형성하여 기대정지 직전에 직포에 짜넣어진 위사의 짜넣기를 해제하고 이 상태에서 경사 개구내로부터 경사 개구밖으로 인출되는 상기의 위사의 인출경로를 끼고 접리가능하게 배설된 회전로울러 사이에 전술한 위사를 압접협지하며 이 압접협지된 위사의 인출시의 상기한 회전로울러의 회전량을 검출하고 이 검출회전량이 미리 설정된 회전량의 범위내에 있는 경우에는 위사 인출처리 성공인것으로 판정하며, 전술한 검출회전량이 상기한 설정범위내가 아닌 경우에는 위사인출처리 실패로 판정하도록 하였다. 즉 이간 상태에 있는 상기한 회전로울러가 위입미스 검출신호에 따라서 전술한 위사를 끼고 접합됨과 동시에 경사 개구내의 상기한 위사가 경사 개구내로부터 인출되어져 간다.
전술한 회전로울러의 회전량은 회전량 검출수단으로 검출되지만 전술한 위사의 인출중에 있어서의 위사 검출수단에 의한 위사가 있다는 검출기간내의 전술한 회전로울러의 회전량이 취출되어 이 회전량이 미리 설정된 회전량의 범위와 비교된다. 그리하여 경사 개구내로부터의 위사인출이 정상으로 되는 경우에는 전술한 검출회전량이 미리 설정된 범위내에 들어가고 이것에 의하여 위사 인출처리에 성공하였다고 판정되어 기대의 재기동이 선택된다. 위사 인출도중에 위사절단이 생긴 경우 혹은 미스된실이 이미 절단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한 검출회전량이 설정범위로부터 벗어나가 이것에 의하여 위사 인출처리에 실패하였다고 판정되어 기대의 재기동중지, 경고등의 대응을 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제트직기에 구체화한 일실시예를 제1도 내지 제6도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제1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부호1은 왕복요동하는 슬레이(2)위의 일단측에 장착된 위입용 주노즐이고 위사 측장저류장치(3)의 권사면을 형성하는 드럼 (4)상에 권사관(5)으로부터 공급되어서 권사측장저류된 위사(Y)가 위입용 주노즐 (1)내에 도입되어 슬래이(2)상에 입설된 변형된 바디(6)의 위사 안내통로(6a)내에 위입용 주노즐(1)로부터 위입 타이밍과 동기적으로 사출 위입된다. 위입용 주노즐 (1)에의 유체공급은 전자밸브(1A)의 개폐에 의하여 제어되어 밸브(1A)의 개폐는 기대에 동기적으로 행하여진다. 권사관(5)는 드럼(4)을 상대회전가능 케지지하는 회전지지축(7)이 정지상태로 유지되어 있고, 도면에 표시하지 않은 위사 치이즈로부터 전술한 회전지지축(7)내에 도입된 위사(Y)가 권사관(5)에 안내되어 있다. 드럼(4)으로부터의 위사인출은 축(8)에 요동가능케지지된 캠레버(9)의 선단에 정지되게 착설된 위사 계지체(係止體)(10)와 드럼(4)상의 권사면과의 교차 및 이간에 의하여 제어되고, 캠레버(9)의 요동은 기대에 동기적으로 회전구동되는 구동축(11)상의 캠(12)의 회전 및 압압스프링(13)의 작용으로 행하여 진다.
구동축(11)의 회전타이밍풀리(14), 타이밍벨트(15) 및 회전지지축(7)에 정지되게 착설된 타이밍풀리(16)를 거쳐서 회전지지축(7)에 전달되고 회전지지축(7)과 일체적으로 권사관(5)이 드럼(4)의 주위를 공전하는 것으로 인하여 위사(Y)가 권사관(5)으로부터 드럼(4)상에 공급된다. 캠레버(9)의 하방 근처에는 에어실린더(17)가 배설되어있고, 이것의 구동롯드(17a)가 캠레버(9)를 향하여 배설되어 있다. 구동롯드(17a)의 돌출상태에서는 구동롯드(17a)의 선단이 캠레버(9)에 맞닿아서 압압하고, 위사 계지체(10)를 상기의 권사면과 교차하는 상태에 유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위사 측정저류장치(3)와 에어실린더(17)에 의하여 위입 저지장치(18)가 구성되어 있다.
에어실린더(17)은 작동은 전자밸브(19)의 개폐에 의하여 제어되도록 되어있고 전자밸브(19)은 평상시에는 닫혀있는 상태에 있다. 위입용 주노즐(1)로부터 사출된 위사(Y)가 정상적으로 위입되며 직포(W)의 주노즐 반대측의 단부까지 도달한 경우에는 위사가 변형된 바디(6)으로 비이팅되어서 직포(W)에 짜넣어진다. 그리고 직포(W)의 위입용 주노즐(1)측의 근처에 마련된 위사 절단장치(20)로 절단되고, 이후의 직조동작이 계속된다. 위사가 주노즐 반대측의 단부까지 도달하지 않았다고 하는 위입미스가 발생한 경우에는 그 단부에 대응 배치된 필터(F)가 위입미스를 검출하고 필터(F)로부터의 위입미스 검출신호에 따라서 기대구동용 모우터(M)의 작동이 정지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의 위입미스 검출신호(기대정지신호이기도 하다)가 발해진후 기대(1)는 1회 정도 관성으로 회전하고 정지한다. 즉 위입미스가 발생한 경우에는 슬레이(2)가 제1도에서 실선으로 표시한 최후퇴 위치로부터 직포(W)측에 전진하는 동안에 위입미스 검출신호가 발하여져서 미스된실(Y)가 직포(W)에 비이팅된 후에 슬레이(2)가 더욱 왕복운동하고, 제1도에 쇄선으로 표시하는 바와같이 비이팅위치 직전에서 정지한다. 제3도에 표시함과 같이 위사 절단장치(20)은 고정축(21)에 장착된 고정칼(22) 및 가동칼(23)로 구성되어 있고 기대에 동기적으로 회전되는 캠(24)에 의하여 요동되는 캠레버(25)와 가동칼(23)이 링크(26)를 거쳐서 작동 연결되어 있고 위입때마다 위사 절단동작을 한다. 캠레버(25)의 근처에는 전자솔레노이드(27)가 배설되어 있고 그 구동롯드(27a)가 캠레버(25)에 맞닿아서 위상 절단장치(20)를 개방상태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전자솔레노이드(27)은 전술한 위입미스 검출신호에 따라서 작동되고 위사 절단장치(20)에 의한 미스된실(Y')의 절단동작을 처리하도록 되어있다. 위입용 주노즐(1)의 최후퇴 위치근처에는 위사 인출장치(28)가 배설되어 있고 전술한 기대관성 작동중에 미스된실(Y')에 후속하는 위사(Y1)가 위입용 주노즐(1)로부터 절단되어서 흡인 제거되도록 되어 있다.
위사 인출장치(28)에 관해서 설명하면 정, 역전 가능한 모우터(29)의 구동축 (29a)의 선단에는 차단체(30)가 마련되어 있고 제3도에서 쇄선으로 표시한 위사차단 위치와 이 위치로부터 이간된 실선으로 표시한 퇴피( )위치와의 사이를 왕복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차단체(30)의 하부에는 절단체(31)가 정지될 수 있게 착설되어 있다. 위입미스 검출신호에 따라서 작동되는 흡인장치(32)에 접속된 흡인파이프(33)가 차단체(30)의 근처에 배설되어 있고, 이 파이프(33)의 전방바로 위에는 상기한 절단체(30)를 받아서 멈추게 하기위한 절단판(34)이 배설되어 있다. 흡인파이프(33)의 기단으로부터 이간되어 제2의 흡인파이프(35)가 후속적으로 배설되어 있고, 상기한 흡인장치(32)에 접속되어 있다. 양흡인파이프(33)(35) 사이의 하방에는 모우터(36)가 배설되어 있으며, 모우터(36)의 구동축(36a)에 정지되어 있게 착설된 구동로울러(37)가 양흡인파이프(33)(35)사이에서 흡인파이프(35)측에 근접 배치되어 있다. 구동로울러(37)의 상단면에는 자성체(38)가 정지되어 있게 착설되어 있고 자성체(38)의 회전궤도 바로 위에는 자기변위 검출센서(39)가 배치되어 있다. 양 흡인 파이프(33)(35)사이의 측방에는 에어실린더(40)가 배설되어 있다. 에어실린더(40)의 구동롯드(40a)에는 지지판(41)이 접동가능케 지지되어 있고 압압스프링(42)에 의하여 구동롯드(40a)의 돌출방향으로 압압가세되어 있다.
지지판(41)의 전면일단측에는 피동로울러(43)가 상기한 구동로울러(37)와 대향해서 회전가능케 지지되어 있고, 에어실린더(40)의 구동롯드(40a)의 돌출에 의하여 구동로울러(37)와 접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전술한 모우터(36) 및 에어실린더(40)는 필터(F)로부터의 위입미스 검출신호에 따라서 작동되도록 되어 있다. 지지판(41)의 전면 타단측에는 투광소자(44) 및 수광소자(45)가 피동로울러(43)의 회전축선방향으로 대향배치되어 있고 이 대향위치는 양 흡인파이프(33)(35)를 잇는 방향으로 볼때 피동로울러(43)의 주면에 거의 일치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즉 투, 수광소자(44)(45)는 흡인파이프(33)(35)내에 흡인되는 위사의 유무를 검출하는 위사검출기를 구성한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회전로울러를 구동로울러(37)와 피동로울러 (43)로 구성하고 있으나, 이들 로울러와는 별도로 회전로울러를 마련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전술한 전자밸브(1A) 위입 저지장치(18), 위사 절단장치(20), 위사 인출장치(28) 및 기대구동용 모우터(M)은 제5도에 표시하는 제어장치(C)로부터의 지령에 따라서 작동이 제어되도록 되어 있고, 제어장치(C)는 필터(F), 기대회전각도 검출장치(S), 자기변위 검출센서(39) 및 전술한 위사검출기로부터의 신호에 따라서 상기한 지령을 발한다. 제어장치(C)는 입, 출력계면과 CPU(중앙연산처리부) 그리고 제6도의 순서도에 표시 한 미스된실의 처리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기억부로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본 실시예에서는 위입미스 발생의 경우에 미스된실의 처리는 제6도의 순서도에 표시하는 미스된실의 처리 프로그램에 따라서 수행되도록 되어 있다. 그래서 위입미스가 발생한 경우의 미스된실의 처리작용을 다음에 설명한다.
위입미스가 발생하면 미스된실(Y')이 직포(W)의 직전에 짜넣어짐과 동시에 필터(F)로부터 위입미스 검출신호가 발해지고 이 신호에 따라서 제어장치(C)로부터 기대구동용 모우터(M)에 대하여 작동정지 지령이 발해진다. 이와 동시에 위사 절단장치(20)의 전자솔레노이드(27) 및 위입 저지장치(18)의 에어실린더(17)에 제어장치 (C)로부터 작동지령에 보내어진다.
전자솔레노이드(27)의 작동으로 위사 절단장치(20)의 절단기능이 해소되고 미스된실(Y')는 절단되는 일이 없이 위입용 주노즐(1)측에 접속 유지된다. 또 에어실린더(17)의 작동으로 위사계지체(10)가 드럼(4)상의 권사면과 교차상태로 유지되고 기대관성 작동중에 미스된실(Y')에 이어서 위입용 주노즐(1)로부터 사출되게된 위사(Y1)의 위입이 저지된다. 위입미스 검출신호 발신후 기대는 관성으로 거의 1회전하고 슬레이(2)가 제1도에 표시하는 쇄선위치에 도달하는 직전에 기대가 정지한다. 기대정지후 제어장치(C)로부터 기대구동용 모우터(M)에 역전 작동지령이 보내어지고 기대가 최후퇴 위치에 정지하여 경사의 최대 개구상태가 형성된다. 기대역전후, 제어장치(C)로부터 모우터(29)에 정회전 지령이 보내여짐과 동시에 에어실린더(17)의 작동이 해제되고 흡인장치(32)의 작동 및 전자밸브(1A)의 소정시간의 개방이 이루어진다. 이것으로 인하여 드럼(4)상의 위사(Y1)가 제3도 쇄선위치에 회동배치된 차단 체(30)를 향해서 위입용 주노즐(1)로부터 사출되면서 위사(Y1)가 차단체(30)에 의하여 받아 멈추어지게 되면서 흡인파이프(33)내에 흡인 도입된다.
위입용 주노즐(1)로부터의 유체분사 정지후, 모우터(29)의 역전에 의하여 차단체(30)가 제3도에 실선으로 표시되는 퇴피위치에 복귀하고 이 복귀동작에 수반하여 절단체(31)가 절단판(34)에 내던져져서 위사(Y1)가 위입용 주노즐(1)로부터 절단 분리된다. 흡인파이프(33)에 흡인된 위사(Y1)의 선단부의 이어서 흡인파이프(35)측에 도입된다. 그후 에어실린더(40)가 작동하고, 제4도 표시와 같이 구동로울러(37)외 피동로울러(43)가 위사(Y1)을 끼고 압접한다. 한쌍의 인출로울러(37)(43)가 위사(Y1)를 압접협지한 후 상기한 위사검출기(44)(45)가 작동되고 이 검출신호가 제어장치(C)에 입력된다. 이어서 모우터(36)가 작동됨과 동시에 자기변위 검출센서 (39)가 작동된다.
한쌍의 인출로울러(37)(43)의 인출작용으로 미스된실(Y')이 인출되기 시작하지만 이 위사인출과 병행하여 자성체(38)가 구동축(36a)을 중심으로 회전궤적을 그리고 자성체(38)와 자기변위 검출센서(39)가 근접 할때마다 펄스신호가 제어장치 (C)에 입력된다. 이 펄스신호수는 제어장치(C)에서 위사검출기(44)(45)로부터의 위사있음을 검출신호의 입력동안에 계산된다. 미스된실(Y')이 절단사고를 일으키는 일이 없이 경사개구내로부터 모두 인출된 경우 미스된실(Y')의 말단이 위사검출기 (44)(45)를 통과한다. 미스된실(Y')의 말단이 위사검출기(44)(45)를 통과 후 위사검출기(44)(45)의 작동 및 자기변위 검출센서(39)의 작동이 정지된다. 미스된실 (Y')의 말단이 위사검출기(44)(45)를 통과하면 위사검출기(44)(45)로부터 제어장치 (C)에의 위사있다는 검출신호의 입력이 없어지고 구동로울러(37)의 회전량은 전술한 펄스신호의 계산수(n)로서 제어장치(C)에서 파악된다.
미스된실(Y')의 길이는 위사검출기(44)(45)로부터 미스된실(Y')의 말단까지이며, 미스된실(Y')의 길이에 대응하는 펄스신호수(N)를 포함한 범위(n1,n2) (n1〈 N〈n2)가 미리 설정되어서 제어장치(C)에 기억되어 있다. 상기한 펄스신호의 계산수(n)는 상기한 범위(n1,n2)내에 포함되고 제어장치(C)는 이것의 확인결과에 따라서 미스된실(Y')의 인출을 상공한 것으로 판정한다. 그리고 이 확인결과에 따라서 기대가 재기동에 가장 적합한 위치까지 자동적으로 역전되고 기대가 그 역전위치로부터 자동적으로 재기동 상태가 된다. 미스된실(Y')의 인출도중에 있어서 절단 사고가 발생한 경우 미스된실(Y')의 절단끝에 위사검출기(44)(45)를 통과하면 위사검출기(44)(45)로부터 제어장치(C)에의 위사있다는 검출신호의 입력이 없어지고 구동로울러(37)의 회전량은 펄스신호 수(m)로서 제어장치(C)에서 파악된다. 이 계산수(m)는 상기한 범위(n1,n2)로부터 벗어나가 제어장치(C)는 이 확인결과에 따라서 미스된실(Y')의 인출을 실패한 것으로 판정한다.
그리고 제어장치(C)의 지령에 의하여 제5도에 표시하는 이상표시램프(46)의 점멸경고가 있게되고, 이후의 미스된실의 인출처리, 기대역전 및 재기동이 수동으로 하게 된다. 이와 같이 미스된실의 인출처리에 실패한 경우의 경사 개구내에의 미스된실을 남기에 된다는 제직홈의 원인이 확실히 제거되고 경사 개구내에 미스된실(Y')을 남겨둔채로 기대를 재기동하게 되는 사태는 확실히 회피된다. 따라서 미스된실(Y')를 짜넣는것에 의한 직포(W)의 품질저하는 방지되고 미스된실의 처리신뢰성이 대폭으로 향상한다. 위입미스의 원인으로서는 위사선단부에서의 절곡 혹은 루우프 형성이 대부분이고 위입용 주노즐(1)로부터 경사 개구내에 사출되는 미스된실(Y')의 길이는 대부분의 경우에 있어서 통상의 위입1회분의 위입길이와 동일하다.
따라서 대부분의 위입미스에 대한 미스된실의 인출처리의 확인결과는 현실의 처리결과를 반영하며, 현실의 미스된실의 인출처리 실패는 미스된실의 인출처리 확인결과에 확실히 반영된다. 미스된실(Y')가 구동로울러(53)와 요동로울러(51)의 사이에 압접된다. 그리고 구동로울러(53)의 회전구동으로 미스된실(Y')가 경사 개구내로부터 인출되지만 피동로울러(51)측면상의 자성체(54)와 자기변위 검출센서(55)에 의한 피동로울러(51)의 회전량검출 및 흡인파이프(56)내의 투, 수광소재(57) (58)로 구성된 위사검출기로 미스된실(Y')의 길이가 측정되고 전술한 각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위사처리가 선택 수행된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한쌍의 인출로울러 (51)(53)의 작동후 제6도의 공정도는 회전량측정기 작동, 위사검출기 작동, 위사검출기 자동정지, 회전량측정기 작동저지의 본 발명은 물론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컨데 제7도에 표시하는 실시예도 가능하다.
이 실시예에서는 직접상방에 설치된 위사 처리장치(47)의 손톱편(48)이 구동축(49)의 회전으로 경사 개구밖으로부터 직전을 찰과해서 경사 개구내에 진입하고, 이 손톱편(48)의 진입으로 미스된실(Y')가 걸린다. 이어서 손톱편(48)이 경사 개구외로 이행하여 미스된실(Y')의 일부를 인출하고, 이 인출된 미스된실(Y')의 일부가 요동레버(50) 선단의 피동로울러(51)의 요동궤적상에 배치된다.
피동로울러(51)는 에어실린더(52)의 작동으로 제7도의 쇄선위치에 요동배치되고 순서로 되어 있다. 또 위입미스 발생이외의 기대정지에 있어서 직단(織段) 방지를 위하여 기대 정지직권에 위입된 위사의 제거처리를 할때에는 본 발명을 적용할 수가 있다.
이상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위사처리방법에 의하면 경사 개구내에 불필요한 위사를 남겨두는 사태가 확실히 회피되고 직포 품질저하를 초래하는 불필요한 위사의 직포에 짜넣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1)

  1. 경사의 개구상태를 형성하여 기대정지 직전에 직포에 짜넣어진 위사의 짜넣어짐을 해제하고, 이 상태에서 경사 개구내로부터 경사 개구밖으로 인출되는 전술한 위사의 인출경로를 끼고 접리가능케 배설된 회전로울러 사이에 전술한 위사를 압접협지하고 이 압접협지된 위사의 인출시의 전술한 회전로울러의 회전량을 검출하며 이 검출회전량이 이미 설정된 회전량의 범위내에 있을 경우에는 위사인출처리 성공으로 판정하고 전술한 검출회전량이 전술한 설정범위내에 있지않은 경우에는 위사인출처리 실패라고 판정하는 무저직기에 있어서의 위사처리방법.
KR1019870001659A 1986-03-03 1987-02-26 무저직기에 있어서의 위사처리방법 KR8900012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1-45671 1986-03-03
JP61045671A JPH0665778B2 (ja) 1986-03-03 1986-03-03 無杼織機における緯糸処理方法
JP45671 1986-03-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9064A KR870009064A (ko) 1987-10-23
KR890001221B1 true KR890001221B1 (ko) 1989-04-27

Family

ID=127258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1659A KR890001221B1 (ko) 1986-03-03 1987-02-26 무저직기에 있어서의 위사처리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665778B2 (ko)
KR (1) KR89000122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83755B2 (ja) * 1986-03-31 1997-02-19 津田駒工業 株式会社 無杼織機の自動修復装置
JP2808116B2 (ja) * 1988-05-23 1998-10-08 津田駒工業株式会社 不良糸の抜き取り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62206058A (ja) 1987-09-10
JPH0665778B2 (ja) 1994-08-24
KR870009064A (ko) 1987-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60002101B1 (ko) 젯트직기에 있어서 위사처리방법 및 그 장치
KR850001578B1 (ko) 유체분사식 직기에 있어서의 불량위사 처리방법
KR890001221B1 (ko) 무저직기에 있어서의 위사처리방법
JPH062972B2 (ja) 無杼織機における緯糸処理方法
JPH0480127B2 (ko)
JPH0680224B2 (ja) 無杼織機における緯糸処理確認方法
JPH07100902B2 (ja) 流体噴射式織機の緯糸除去装置
JPH07100903B2 (ja) 織機における緯糸処理方法
JPH04257348A (ja) 織機の緯入れ不良糸除去装置
JP2623699B2 (ja) 緯糸処理装置を備えたジェットルームにおける運転制御方法
JPH0635695B2 (ja) 無杼織機における緯糸処理方法
JPS58220850A (ja) ジエツトル−ムの緯糸処理装置
JP2569721B2 (ja) 無杼織機における緯糸処理方法
JPS633983B2 (ko)
JPH062974B2 (ja) 織機における不良緯糸処理装置
JP3417010B2 (ja) ジェットルームにおける緯入れミス糸の除去処理方法
JPS6262968A (ja) 流体噴射式織機における緯糸除去方法
JPH0351345Y2 (ko)
JP2526577B2 (ja) ジエツトル−ムにおける緯糸処理装置
JPS63235552A (ja) 無杼織機における緯糸処理装置
JPH043459B2 (ko)
JPH0718076B2 (ja) 無杼織機における緯糸処理方法
JPS63264950A (ja) 無杼織機における起動準備装置
JPH073022B2 (ja) 織機における不良緯糸処理装置
JPH07113181B2 (ja) ミス糸牽引除去装置をそなえる流体噴射式織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420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