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70001615B1 - 은행잎, 감잎 및 솔잎을 주재로한 건강식품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은행잎, 감잎 및 솔잎을 주재로한 건강식품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70001615B1
KR870001615B1 KR1019850002778A KR850002778A KR870001615B1 KR 870001615 B1 KR870001615 B1 KR 870001615B1 KR 1019850002778 A KR1019850002778 A KR 1019850002778A KR 850002778 A KR850002778 A KR 850002778A KR 870001615 B1 KR870001615 B1 KR 8700016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ves
persimmon
ginkgo
leaf
pine need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500027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7893A (ko
Inventor
강권중
Original Assignee
강권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권중 filed Critical 강권중
Priority to KR10198500027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870001615B1/ko
Publication of KR8600078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78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700016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16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16Tea extraction; Tea extracts; Treating tea extract; Making instant tea
    • A23F3/30Further treatment of dried tea extract;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e.g. instant tea
    • A23F3/32Agglomerating, flaking or tabletting or granula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23L2/60Sweeten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51Concentr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24Heat, thermal treatm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은행잎, 감잎 및 솔잎을 주재로한 건강식품의 제조방법
제1도는 돈육을 통상의 수도물에 24시간 침지하여 지질의 분해 정도를 본 시험관 촬영 사진도.
제2a도는 은행잎을 저온 수출하여 얻은 용액에 돈육을 침지하여 24시간 경과 후 지질 분해정도를 보인 사진도.
제2b도는 은행잎의 고온 추출 용액이 담긴 시험관 내에서 24시간이 경과후 지질 분해 정도를 보인 시험관 사진도.
제3a도는 감잎을 저온 추출하여 얻은 용액에 돈육을 침지 후 24시간이 경과 후 지질의 분해 정도를 보인 사진도.
제3b도는 감잎을 고온 추출하여 얻은용액에 돈육을 침지 후 24시간이 경과후 지질의 분해 정도를 보인 사진도.
제4a도와 제4b도는 각각의 솔잎의 저온 추출 용액과 고온 추출 용액 내에 돈육을 침지후 24시간이 경과후 지질 분해 정도를 보인 사진도.
제5a도와 제5b도는 은행잎, 감잎, 솔잎을 혼합(중량비7 : 2 : 1)하여 각각 저온 추출 용액과 고온 추출 용액내에 돈육을 침지 24시간 경과 후 지질 분해 정도를 보인 사진도.
본 발명은 천연 식품원료 또는 천연액재로 사용되는 원료 중 은행잎, 감잎 그리고 솔잎을 사용 하여서 되는 건강식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은 은행잎, 감잎 그리고 솔잎을 용도에 맞춰 적당 비율로 혼합하여 이를 저온수 중에 침지한 후 열탕 처리와 냉각을 반복하여 추출액을 얻고 이를 여과한 다음 가당 살균하여서 되는 건강식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천연약재로부터 인체에 유효한 활성물질을 추출 정제하는 방법은 여러 문헌에 공지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고번호(소) 49-237323는 은행잎을 고온에서 함수저급지방족 궤론 또는 알콜로 추출한 후 정제하는 방법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미국 특허 제4357361호(1982.11.2)는 홍차잎, 꽃잎을 열처리하여 얻은 추출액을 농축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 미국 특허 제1520122호에서는 차잎으로 부터 추출액을 얻어 이를 여과하여 가향가미 후 과립 분말형 등의 고형차 제품을 제조하는 기술이 공지되어 있다.
본 발명은 이같은 종래 공지된 기술을 바탕으로 현재까지 개발된 바 없는 새로운 형태와 신규의 약효가 있는 건강식품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 제품은 음료 또는 환제의 형태로 제공되며 당뇨병, 고혈압, 신경통, 관절염을 위시하여 혈관계의 병변으로 오는 성인병의 방지제 또는 치료제로서 유효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을 공정별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건강음료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유용성과 본 발명의 산업적 이용성은 실험예와 실시예에 의하여 명백하다.
제1공정(원료의 채취 혼합 공정)
원료가 되는 은행잎과 감잎은 6월의 것과 낙엽이 형성되기 직전인 10월 중순경에 채취하여 엽록소 비타민 A, C, K외 함유량을 최대한 보유케 한다(왜냐하면 6월의 것에는 10월에 없는 성분이 있고 10월의 것에는 6월에 없는 성분이 있다고한 문헌에 기초두었다).
솔잎은 7-8월에 채취하여 약효 성분 함량을 최대로 이용한다.
이들 약재를 혼합 함에 있어서 목표가 되는 질병의 예방, 치료에 따라 적정 비율을 선택한다.
일반적으로 건강식품으로서의 음료 제조의 경우에는 은행잎 70%(중량), 감잎 20%(중량), 솔잎(10%(중량)이 적합하다.
제2공정(혼합 원료의 전처리 공정)
목적에 따라 적정 비율로 혼합된 원료를 20-23℃가 유지되는 미온수예 약 3시간 침지한다.
이때 미온수에 원료가 침지 되므로서 원료 자체가 지니고 있는 떫은 맛, 새큼한 맛, 구린 맛 성분이 소실된다.
이 공정에서 불유쾌한 성분이 약 10-20%가 소실되는 것으로 보고 있다.
제3공정(반복적인 열탕처리 공정)
전처리 공정을 마친 원료를 건져내어 1회 깨끗한 물로 세척을 행한 다음 먼저 100-120℃의 열탕에서 15-30분간 열처리를 행한다.
이때 혼합원료 1kg에 대하여 물은 30l가 적당하다.
열처리하는 과정에서 원료가 지니고 있는 구린내 성분과 탄닌이 약 40%정도 제거된다.
열탕 처리하는 솥은 압력솥이 적합하며 열탕 처리시 냄새 성분이 휘발할 수 있도록 개스 배출구를 개방하여야 한다.
냄새 성분을 완전히 제거키 위해 개스배출구를 개방하면 압력솥의 내부압이 대기압과 같이 된다. 다시 110-120℃로 약 5분간 재차 열처리한 다음 급냉시키고 내부압을 제거시킨다.
제4공정(추출액의 여과공정)
제3공정에서 열처리 냉각 공정을 반복하는 과정에서 약효 성분이 추출 농축된다. 이 추출된 농축액을 여과기에 걸러 여과시킨다.
제5공정(가당 공정)
건강식품과 약품으로서 용도를 부여하기 위하여 농축된 여과액에 물과 당류 성분을 혼합 첨가한다.
제6공정(살균 및 제품화 공정)
가당된 중간 제품인 100-110℃의 온도가 되도록 가온하여 살균 처리한 다음 적당량씩 입병 또는 캔에 넣어 밀봉 제품화 한다.
다음에는 환제의 제조 공정을 설명한다.
제1공정 및 제2공정은 음료 제조 공정과 같다.
제3공정(열처리 공정)
헹굼 처리한 혼합 원료를 압력솥에 넣고 수분 함량이 5%(중량)가 되게 하고 120-130℃로 약 10분간 열처리한다.
제4공정(건조 처리 공정)
열 처리한 혼합 원료를 건조기 내로 도입하여 수분 함량을 5-10%로 건조 처리한다.
제5공정(분말화 공정)
제4공정에서 얻어진 건조 처리된 원료를 분쇄기에 넣어 50-200메쉬로 분말화 한다.
제6공정(과립 또는 제환 공정)
분말화된 원료를 정선한 후 과립기 또는 제환기에 넣어 과립 제품 또는 환제로 제품화 한다.
이같은 본 발명의 건강음료 또는 과립, 환제품은 원료인 약재 또는 식품 원료가 가지는 천연 성분인 ALKALOID, ACONITINE, 배당체인 ARBUTINE, TANNIN 성분의 생리작용, SAPONIN, 엽록소, 비타민 A, C, K 등의 성분의 혼합 생리 작용으로 인하여 당료병, 고혈압 등 성인병 예방 및 치료가 효과가 인정되는 것이고 건위, 보혈, 동맥경과, 심장병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특히 당뇨병 환자의 경우는 천연식물이 가지는 CHLORPHYLL과 비타민 A, K의 섭취에 의하여 췌장의 "INSULINE" 생산능이 제고된다는 것은 공지 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조 공정의 유용성과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제품의 산업적 이용성을 입증하기 위하여 발명자는 체외(IN VITRO) 실험을 통하여 관찰하였다.
실험 재료는 돈육이며 실험 방법은 시험관을 사용하여 돈육을 수도물(A군), 은행잎 추출용액(B군), 감잎 추출용액(C군) 및 솔잎 추출용액(D군) 및 은행잎, 감잎 혼합 추출액(E군)에 각각 침지하여 시간의 경과에 따르는 시험관 내부의 돈육 지방질 용해 정도를 관찰하였다.
[실험예 1]
A군인 수도물이 들어 있는 시험관은 24시간이 경과하여도 돈육지방의 분배는 일어나지 아니 하였으나(제1도 사진), 군인 은행잎 추출용액이 담긴 시험관의 경우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돈육의 지질이 분해되어 분해된 지질이 시험관 아래 부분에 갈색으로 침전됨을 알 수 있다(제2a도 및 제2b도 사진).
제2a도 사진에 보인 시험관은 은행잎을 저온에서 추출하여 얻은 용액내에 돈육을 침지한 후 24시간이 경과된 후에 보이는 사진도이며, 제2b도 시험관은 역시 은행잎을 고온에서 추출하여 얻은 용액내에 돈육을 침지한 후 24시간 경과 후 보이는 사진도이다.
이 실험에서 은행잎의 고온 추출 용액 내에서 돈육 지질의 대량분해가 일어남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감잎 추출 용액(C군)에 대하여 저온 추출용액과 고온 추출용액 군으로 다시 구분하여 돈육 지질 분해 실험을 행한 결과 24시간이 경과된 후 저온 추출 용액에서는 지질이 분해되어 응집현상으로 보이나(제3a도 사진도), 고온 추출 용액에서는 지질이 강하게 분해되여 응집되는 현상이 없이 갈색 침전을 일으켰다(제3b도).
이같은 현상은 저온 추출 용액에서는 지질이 용해된 후 지질용해성 물질의 부족으로 용해 되었던 지질이 다시 응집되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실험예 3]
솔잎 추출용액(D군)에 대하여 저온 추출용액과 고온 추출용액군으로 다시 구분하여 돈육 지질분해 정도를 실험한 결과 24시간 경과후 저온 추출용액군과 고온 추출용액군 모두 큰 차이가 없었다. (제4a도 및 제4b도 사진도)
이상의 실험 결과 은행잎과 감잎의 경우는 고온 추출용액 내에서 돈육의 지질 분해 능력이 있는 반면, 솔잎이 가진 성분을 물질들은 저온 추출이거나 고온 추출이거나 관계없이 같은 지질 분해 능력을 가진다는 것을 알수 있으며 이 때문에 본 발명자는 지질 용해 작용의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하여 원료의 고온 추출 방식을 선택하였고 추출 온도에 관계없이 동일한 지질 분해 능력을 갖는 솔잎도 공정의 편의상 고온 추출 방식을 채택하게 된 것이다.
지질 분해 능력을 갖는 물질은 비타민 C, BIO FLAVONOID, 테페펜유 등이며 이들 물질들은 고온에서도 잘 파괴되지 않는다.
생감잎의 환원형 비타민 C는 90-100℃에서 증열 할 경우에도 74-64%의 잔존율은 보인다. (감차 건강 pp. 36-37, 한국자연건강회)
위 실험 결과를 인체의 지방조직에 적용시켜 보면 원료중에 함유된 유효 활성물질이 혈관벽에 침착되어 있는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과산화지질을 분해하고 분해된 지질이 다시 응집되어 이들이 모세혈관에 가서 혈류장애를 일으켜 뇌졸증, 혈전증 등을 초래할 위험성을 배제하는 것으로 생각 해 볼 수 있다.
결국 은행잎과 감잎은 저온 추출에서는 아니되며 반드시 고온 추출하여야 하고 다만 솔잎만은 아무래도 관계 없음을 알 수 있다.
또 이들 원료에서 혈관에 유효한 활성 물질을 추출하는 방법으로 초음파 추출 방식이나 클로로포름, 아세콘, 알콜 등 유기용매 추출 방식을 채용할 수 있으나 전자의 경우 원료가 지닌 특유의 떫은 맛, 구린 맛, 타닌 성분을 제거하지 못한다고 하는 단점이 있으며 후자의 경우는 활성 물질을 추출하고 잔류하는 유기 용매를 증발시켜야 하는데 증발과정에서 이들을 완전히 증발시키지 못하고 잔류하게 될때 이 잔류하는 유기 용매가 체내에 흡수되어 해독 작용을 끼치고 유효물질의 약효를 저하 시킨다고 하는 우려를 배제하지 못한다고 하는 결점이 있다.
[실험예 4]
본 발명자가 사용하는 원료로서 은행잎, 솔잎, 감잎을 단일 재료로 사용하지 않고 이들 원료를 일정 비율로 혼합 사용한 이유는 아래 실험 예에 의하여 밝힌다.
제5a도는 은행잎, 감잎, 솔잎을 일정 비율로 혼합하여 저온에서 추출된 용액에 돈육을 24시간 침지후 지질이 분해된 상태를 보인 것이며, 제5b도는 이들 3원료를 고온에서 동시 추출하여 얻은 용액에 돈육을 역시 24시간 침지하여 돈육 지질 분해 정도의 실험을 행한 것이다.
혼합 원료의 고온 추출 용액에서의 돈육의 지질 분해 효과가 현저히 높음을 알 수 있다. (제5b도)
실험예 1, 2, 3의 어느 그룹(A, B, C, D군) 보다도 침전된 지질의 양이 많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1]
정선한 은행잎 70%(중량), 감잎 20%(중량), 솔잎 10%(중량)을 혼합하여 20-23℃ 항온으로 약 3시간 침지 하였다.
이를 건져 내어 증류수로 헹금 처리를 한 후 압력솥에 물 30l를 붓고 원료 1kg를 함량하여 넣었다.
먼저 110℃로 20분간 가열 한 후 급냉하고 이를 다시 120℃에 이르기까지 가열한다.
추출 용액을 여과하고 물을 가수하여 희석하고 무과당을 첨가 가향하였다.
이를 다시 100℃까지 승온 하면서 살균 처리한 다음 즉시 냉각하였다.
[실시예 2]
미온수 처리 과정을 실시예 1과 같이 하고 원료를 건져서 압력솥에 넣어 수분함량 5%가 되게 하여 130℃로 10분가 가열한 후 원료를 건져내어 건조시켜 수분함량 10%로 하였다.
이를 분쇄기에서 분해 분말화 하여 200메쉬로 하였다.
이를 다시 제환기에 넣어 제환하고 은박지에 넣고 밀폐하였다.

Claims (4)

  1. (정정) 은행잎, 감잎, 솔잎을 일정 비율로 혼합하여 미온수에 침지한 다음 압력솥에서 열탕처리 냉각을 반복하여 불필요한 냄새 성분을 제거하고 유효 활성 성분을 추출, 여과 가당하여서 제조함을 특징으로 하는 은행잎, 감잎, 솔잎을 주재로한 건강식품의 제조방법.
  2. (신설) 은행잎, 감잎, 솔잎을 일정 비율로 혼합하여 미온수에 전처리하고 압력솥에서 120-130℃로 약 10분간 가열한 후 건조기에서 수분함량 5%가 되게 건조한 혼합 원료를 분쇄 후 과립 또는 제환하여 제조함을 특징으로 하는 은행잎, 감잎, 솔잎을 주재로 한 건강식품의 제조방법.
  3. (정정) 특허청구 범위 제1항에 있어서, 미온수에 전처리하는 온수가 21-23℃, 처리시간이 3시간임을 특징으로하는 제조방법.
  4. (정정) 특허청구 범위 제1항에 있어서, 은행잎, 감잎, 솔잎의 혼합비율이 70 : 20 : 10(중량비)임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KR1019850002778A 1985-04-25 1985-04-25 은행잎, 감잎 및 솔잎을 주재로한 건강식품의 제조방법 KR8700016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50002778A KR870001615B1 (ko) 1985-04-25 1985-04-25 은행잎, 감잎 및 솔잎을 주재로한 건강식품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50002778A KR870001615B1 (ko) 1985-04-25 1985-04-25 은행잎, 감잎 및 솔잎을 주재로한 건강식품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7893A KR860007893A (ko) 1986-11-10
KR870001615B1 true KR870001615B1 (ko) 1987-09-17

Family

ID=192406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2778A KR870001615B1 (ko) 1985-04-25 1985-04-25 은행잎, 감잎 및 솔잎을 주재로한 건강식품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7000161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45636A (ko) * 2013-10-21 2015-04-29 한국식품연구원 열수 처리를 이용한 은행 외과피의 혐오취 저감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3664B1 (ko) * 1999-02-09 2001-09-13 손순식 감잎을 주성분으로 하는 감잎음료의 제조방법
KR20020026063A (ko) * 2000-09-30 2002-04-06 최종원 건강 보조 음료 제조방법
KR20020030195A (ko) * 2000-10-16 2002-04-24 김용진 가정용 중탕기를 이용한 은행엽엑스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45636A (ko) * 2013-10-21 2015-04-29 한국식품연구원 열수 처리를 이용한 은행 외과피의 혐오취 저감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7893A (ko) 1986-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104641A (zh) 具有降三高作用的芡实滁菊速溶茶的制备方法
CN109602778A (zh) 一种麸炒白术饮片的加工方法
CN102406175A (zh) 苦菜鲜汁粉的制备方法
KR20190140879A (ko) 황칠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또는 음용수
KR870001615B1 (ko) 은행잎, 감잎 및 솔잎을 주재로한 건강식품의 제조방법
KR0185530B1 (ko) 은행잎 분말차의 제조방법
CN102827751A (zh) 一种石榴酒的制备方法及其产品
CN110916144A (zh) 一种草本味核桃及其加工方法
KR100819491B1 (ko) 유해성분이 제거된 유황의 제조방법
CN112120188B (zh) 一种防潮巧克力槟榔的制作方法
KR20040021714A (ko) 옥수수 수염차를 제조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한티백 차
KR100521619B1 (ko) 쑥 향나는 도토리묵 제조방법
KR101171390B1 (ko) 허브가 함유되어 있는 젤리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젤리
KR20040081919A (ko) 달콤한바이오생잎녹차제조
US11628196B1 (en) Method for preparing health foods comprising aloeswood having effects of preventing absorption of heavy metals into body and excreting the same from body
KR200377928Y1 (ko) 피마자유를 함유한 연질캡슐
KR100615111B1 (ko) 피마자유를 함유한 건강식품 제조방법
KR102425775B1 (ko) 청송 달기약수를 이용한 홍삼음료의 제조방법
CN110771707B (zh) 一种滁菊保健茶的制备方法
CN112890189A (zh) 椰树总黄酮医保品及其制备方法
KR101331668B1 (ko) 발효 초약 효소의 제조 방법
KR100879225B1 (ko) 야콘티백차
CN107028138A (zh) 一种口嚼蜂蜜银杏果及其生产方法
CN105685743A (zh) 一种鸡屎藤饮料及其制备方法
KR100894760B1 (ko) 미네랄을 포함하는 저온가공 쑥음료의 추출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913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