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4760B1 - 미네랄을 포함하는 저온가공 쑥음료의 추출방법 - Google Patents

미네랄을 포함하는 저온가공 쑥음료의 추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4760B1
KR100894760B1 KR1020040055631A KR20040055631A KR100894760B1 KR 100894760 B1 KR100894760 B1 KR 100894760B1 KR 1020040055631 A KR1020040055631 A KR 1020040055631A KR 20040055631 A KR20040055631 A KR 20040055631A KR 100894760 B1 KR100894760 B1 KR 1008947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gwort
weight
hours
liquid
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56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06548A (ko
Inventor
김석균
Original Assignee
김석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석균 filed Critical 김석균
Priority to KR10200400556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4760B1/ko
Publication of KR200600065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65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47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47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16Tea extraction; Tea extracts; Treating tea extract; Making instant te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24Heat, thermal treatm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약쑥, 미네랄물, 솔잎, 어성초, 결명자, 대추, 생강 및 육계 등의 혼합물을 조성물로 하여, 미네랄 성분이 다량 함유되고, 또한 섬유질, 칼슘, 인, 철, 비타민 A, B1, B2, C등의 함유로 식생활에 섭취하기 어려운 성분을 많이 포함함으로서, 몸의 저항력이 떨어져 감기에 자주 걸리는 사람의 경우 좋은 치료 효과와 눈을 맑게하고 피부를 튼튼히 하며 병에 대한 저항력을 높일 수 있는 미네랄을 포함하는 저온가공 쑥음료의 추출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쑥을 깨끗한 물에 1∼2시간 담가 불린 후, 3∼5회 이상 깨끗이 세척하고, 세척한 쑥을 부직포에 넣어 적당량의 미네랄물에 40∼60℃로 10∼12시간 저온가열하며, 상기 저온가열된 쑥과 액상물을 100∼120℃로 4∼5시간 고온 가열하여서, 상기 가열된 쑥 액상물을 압착 추출하여 쑥 액상물을 얻고; 다음 솔잎 20∼25중량%, 어성초 25∼30중량%, 결명자 10∼15중량%, 대추 15∼20중량%, 생강 5∼10중량% 및 육계 10∼15중량%을 4∼5시간 100∼120℃로 끓인 후, 압착하여 혼합 액상물을 얻으며; 상기 쑥 액상물 80∼90중량%와 상기 혼합 액상물 10∼20중량% 혼합하여 100∼120℃에서 2∼3시간 가열한 후, 진공포장 및 살균처리하는 미네랄을 포함하는 저온가공 쑥음료의 추출방법에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미네랄을 포함하는 저온가공 쑥음료의 추출방법{Mineral mugwort drink and a manufacturing process}
도 1 은 본 발명의 미네랄을 포함하는 저온가공 쑥음료의 추출방법에서 쑥 액상물의 추출 공정도,
도 2 는 본 발명의 미네랄을 포함하는 저온가공 쑥음료의 추출방법에서 혼합물 액상의 추출 공정도,
도 3 은 본 발명의 미네랄을 포함하는 저온가공 쑥음료의 추출방법에서 쑥 액상 추출액과 혼합액상 추출액의 제조 공정도.
본 발명은 약쑥을 주성분으로 하는 쑥 액상 추출물과 솔잎, 어성초, 결명자, 대추, 생강 및 육계 등의 혼합물의 액상의 추출물을 혼합 가열하여 얻을 수 있는 미네랄을 포함하는 저온가공 쑥음료의 추출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약쑥, 미네랄물, 솔잎, 어성초, 결명자, 대추, 생강 및 육계 등의 혼합물을 조성물로 하여, 미네랄 성분이 다량 함유되고, 또한 섬유질, 칼슘, 인, 철, 비타민 A, B1, B2, C등의 함유로 식생활에 섭취하기 어려운 성분을 많이 포함함으로서, 몸의 저항력이 떨어져 감기에 자주 걸리는 사람의 경우 좋은 치료 효과와 눈을 맑게하고 피부를 튼튼히 하며 병에 대한 저항력을 높일 수 있는 미네랄을 포함하는 저온가공 쑥음료의 추출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쑥과 미네랄물로부터 액상의 추출물을 얻고, 또한 솔잎, 어성초, 결명자, 대추, 생강 및 육계 등의 혼합물로부터 혼합 액상물을 각각 얻어서 이를 혼합 가열하여 포장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쑥의 약리 효과를 일층 높일 수 있으며, 또한 상기 분리 혼합에 의하여 쑥에 의하여 혼합물의 약리효과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서, 쑥의 약리효가를 높이면서, 솔잎의 옥시파르티민산에 의한 노화방지작용과, 또한 어성초의 해독, 정장청형 및 이뇨 등의 효과와, 또한 결명자의 메모딘옵투신, 폴린, 크리스옵투신, 아우란티옵투신, 크리스파놀, 단백질, 점액질 등의 성분의 약리작용과, 또한 대추의 탄수화물, 단백질 및 지방 등의 약리효과 등을 뛰어난 건강 보조 음료로 제공될 수 있는 미네랄을 포함하는 저온가공 쑥음료의 추출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쑥을 주재로 하는 음료가 소개되고 있는 데, 그 예로서 특허 제429141호가 있다. 이 쑥을 주재로 하는 음료에서는 쑥 60중량%와 한약재 40중량%의 조성비로 물과 함께 압력솥에 넣어 120∼130℃로서 12시간 가열하고 자연상태에서 24시간 냉각 후 압착하여 얻어진 액상 물로 하는 쑥음료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상기 쑥을 주재로 한 건강음료의 제조방법에 있어서는 쑥 60중량%, 대추 14 중량%, 감초 10중량%, 생강 4중량%, 솔잎 3중량%, 하수오 3중량%, 삽주뿌리 3중량%, 천궁 3중량%의 조성비로 물과 함께 압력솥에 넣어 밀폐한 후, 이를 120∼130℃로서 12시간 동안 가열하고, 또한 가열된 혼합물을 자연 상태에서 24시간 이상 냉각한 후, 소정의 망체에 넣고 압착하여 액상물을 얻어 진공 포장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압력솥에 쑥에다가 대추, 감초, 생강, 솔잎, 하수오, 삽주뿌리, 천궁 등의 한약재를 한꺼번에 넣어 고온으로 달이기 때문에, 쑥이 한약재와의 혼합 가열에 의하여 쑥 고유의 색과 풍미는 물론 쑥의 유용한 약 성분까지 파괴될 수도 있다. 특히 쑥의 특유의 향긋한 냄새의 치네올이라는 성분의 약리 효과가 저하되고, 또한 쑥이 갖고있는 비타민, 유기물등 영양가와 엽록소가 휘산파괴되어 음용수로서의 신선감과 청량감을 줄 수 없는 결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주재료인 쑥을 미네랄물 혼합하여 저온으로 장시간 끓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저온으로 장시간 끓인 쑥과 액상물을 다시 고온에서 장시간 끓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쑥과 미네랄물의 혼합으로 쑥 액상 추출물을 얻고, 쑥과는 별도로 솔잎, 어성초, 결명자, 대추, 생강 및 육계 등의 혼합물액상의 추출물을 각각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쑥 액상 추출물과 상기 혼합물 액상의 추출물을 혼합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쑥 액상 추출물과 상기 혼합물 액상의 추출물을 가열하여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끓인 혼합 엑기 스를 진공포장하고, 진공포장된 제품을 냉각 살균하여 단위별로 포장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은 쑥의 맛과 향, 풍미 및 신선감은 물론 비타민, 유기물등 영양가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으면서, 쑥 본래의 주성분인 씨네올과 아데닌등의 향과 엽록소의 파괴방지 및 유기물, 비타민의 유리파괴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쑥을 깨끗한 물에 1∼2시간 담가 불린 후, 3∼5회 이상 깨끗이 세척하고, 세척한 쑥을 부직포에 넣어 적당량의 미네랄물에 40∼60℃로 10∼12시간 저온가열하며, 상기 저온가열된 쑥과 액상물을 100∼120℃로 4∼5시간 고온 가열하여서, 상기 가열된 쑥 액상물을 압착 추출하여 쑥 액상물을 얻고; 다음 솔잎 20∼25중량%, 어성초 25∼30중량%, 결명자 10∼15중량%, 대추 15∼20중량%, 생강 5∼10중량% 및 육계 10∼15중량%을 4∼5시간 100∼120℃로 끓인 후, 압착하여 혼합 액상물을 얻으며; 상기 쑥 액상물 80∼90중량%와 상기 혼합 액상물 10∼20중량% 혼합하여 100∼120℃에서 2∼3시간 가열한 후, 진공포장 및 살균처리하는 미네랄을 포함하는 저온가공 쑥음료의 추출방법에 특징이 있다.
삭제
삭제
본 발명의 미네랄을 포함하는 저온가공 쑥음료은 쑥 액상물 80중량%와 혼합 액상물 20중량%(솔잎, 어성초, 결명자, 대추, 생강 및 육계 등)을 혼합 가열하여 진공포장 살균된다.
상기 미네랄을 포함하는 저온가공 쑥음료의 쑥 액상물은 쑥과 미네랄물을 저온 및 고온 가열하여 얻고, 혼합 액상물은 솔잎 20∼25중량%, 어성초 25∼30중량%, 결명자 10∼15중량%, 대추 15∼20중량%, 생강 5∼10중량% 및 육계 10∼15중량%을 고온 가열하여, 각각의 액상물을 얻어서 혼합하여 포장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미네랄을 포함하는 저온가공 쑥음료의 제조는 쑥을 깨끗한 물에 1∼2시간 담가 불린 후, 3∼5회 이상 깨끗이 세척하고, 세척한 쑥을 부직포에 넣어 적당량의 미네랄물에 40∼60℃로 10∼12시간 저온가열하며, 상기 저온가열된 쑥과 액상물을 100∼120℃로 4∼5시간 고온 가열하여서, 상기 가열된 쑥 액상물을 압착 추출하여 쑥 액상물을 얻고; 다음 솔잎 20∼25중량%, 어성초 25∼30중량%, 결명자 10∼15중량%, 대추 15∼20중량%, 생강 5∼10중량% 및 육계 10∼15중량%을 4∼5시간 100∼120℃로 끓인 후, 압착하여 혼합 액상물을 얻으며; 상기 쑥 액상물 80∼90중량%와 상기 혼합 액상물 10∼20중량% 혼합하여 100∼120℃에서 2∼3시간 가열한 후, 진공포장 및 살균처리하여 얻는다.
(실시예)
본 발명의 쑥 액상물은 도 1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쑥을 깨끗한 물에 1∼2시간 담가 불려 쑥을 침지한다.
상기 쑥을 침지한 후, 3∼5회 이상 깨끗이 세척하여 쑥에 묻어있는 이물질을 제거한다.
세척한 쑥 3㎏을 부직포 또는 망사에 넣고, 60ℓ의 미네랄물과 함께 압력솥에 넣고 40∼60℃로 10∼12시간 저온 가열한다.
본 발명의 미네랄의 주요성분은 아래와 같다.
시험항목 단위 시료구분 결과치 시험방법
Al ㎎/L 226 APHA 20th Edition : 1998
Ba ㎎/L 1.50 APHA 20th Edition : 1998
Ca ㎎/L 6.03 APHA 20th Edition : 1998
Cu ㎎/L 0.14 APHA 20th Edition : 1998
Fe ㎎/L 26.2 APHA 20th Edition : 1998
K ㎎/L 90.2 APHA 20th Edition : 1998
Mg ㎎/L 2.08 APHA 20th Edition : 1998
Mn ㎎/L 0.49 APHA 20th Edition : 1998
Na ㎎/L 38000 APHA 20th Edition : 1998
Si ㎎/L 34500 APHA 20th Edition : 1998
Ti ㎎/L 5.03 APHA 20th Edition : 1998
V ㎎/L 0.11 APHA 20th Edition : 1998
Zn ㎎/L 0.31 APHA 20th Edition : 1998
Zr ㎎/L 4.86 APHA 20th Edition : 1998
B ㎎/L 0.17 APHA 20th Edition : 1998
Cd ㎎/L 0.01 APHA 20th Edition : 1998
Co ㎎/L 0.01 APHA 20th Edition : 1998
Cr ㎎/L 0.11 APHA 20th Edition : 1998
Mo ㎎/L 0.02 APHA 20th Edition : 1998
P ㎎/L 5.49 APHA 20th Edition : 1998
W ㎎/L 0313 APHA 20th Edition : 1998
상기 미네랄은 칼슘(Ca) ·인(P) ·칼륨(K) ·나트륨(Na) ·염소(Cl) ·마그네슘(Mg) ·철(Fe) ·요오드( I) ·구리(Cu) ·아연(Zn) ·코발트(Co) ·망간(Mn) 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뼈, 치아, 혈액의 구성성분으로 신체의 골격을 유지, 혈액과 각종 체액 생산 관여하며, 비타민과 함께 신진대사를 촉진, 또는 억제하는 필수물질 탄수화물, 지방, 단백질의 3대 기초영양소의 체내흡수와 소화 과정에 작용 신진대사에 매우 중요한 기능의 효소의 재료로 갑상선 호르몬, 인슐린 호르몬의 합 성에 필요하고, 혈압을 조절, 체액의 중화, 신경계 조화 관련한 각종 조절작용을 하게 된다.
상기 저온가열은 쑥 고유의 색과 풍미는 물론 쑥의 유용한 약 성분 등의 파괴를 방지하게 된다.
상기 저온 가열된 쑥과 액상물을 다시 100∼120℃로 4∼5시간 고온 가열한 후, 압착기에서 부직포내에 넣어진 쑥을 압착하여 쑥 액상물을 얻을 수 있었다.
다음, 혼합 액상물은 아래와 같이 얻을 수 있었다.
조성물로는 솔잎 20∼25중량%, 어성초 25∼30중량%, 결명자 10∼15중량%, 대추 15∼20중량%, 생강 5∼10중량% 및 육계 10∼15중량%을 4∼5시간 100∼120℃로 끓여 압착기에 넣어서 압착하여 혼합 액상물을 얻었다.
그리고, 상기 쑥 액상물 80∼90중량%와 상기 혼합 액상물 10∼20중량%를 혼합기에 넣어서 100∼120℃에서 2∼3시간 가열하였다.
상기 가열하여 얻은 액상 추출물을 식혀(냉각)서 비닐팩에 진공포장한 후, 이 비닐팩을 살균처리하여 단위별로 박스에 포장하여 출하할 수 있도록 하였다.
위와 같이 얻은 액상의 추출물은 쑥 고유의 색과 풍미의 향긋한 냄새의 치네올이라는 성분의 약리 효과를 유지하고, 또한 쑥이 갖고있는 비타민, 유기물등 영양가와 엽록소가 휘산 파괴되는 일이없이 신선감과 청량감있는 음용수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우리 몸이 필요한 영양소인 미네랄, 단백질, 지방, 탄수화물, 비타민 등의 5대 영양소를 포함하는 음용수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약쑥, 미네랄물, 솔잎, 어성초, 결명자, 대추, 생강 및 육계 등의 혼합물을 조성물로 하여, 미네랄 성분이 다량 함유되고, 또한 섬유질, 칼슘, 인, 철, 비타민 A, B1, B2, C등의 함유로 식생활에 섭취하기 어려운 성분을 많이 포함함으로서, 몸의 저항력이 떨어져 감기에 자주 걸리는 사람의 경우 좋은 치료 효과와 눈을 맑게하고 피부를 튼튼히 하며 병에 대한 저항력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쑥과 미네랄물로부터 액상의 추출물을 얻고, 또한 솔잎, 어성초, 결명자, 대추, 생강 및 육계 등의 혼합물로부터 혼합 액상물을 각각 얻어서 이를 혼합 가열하여 포장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쑥의 약리 효과를 일층 높일 수 있으며, 또한 상기 분리 혼합에 의하여 쑥에 의하여 혼합물의 약리효과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 함으로서, 쑥의 약리효가를 높이면서, 솔잎의 옥시파르티민산에 의한 노화방지작용과, 또한 어성초의 해독, 정장청형 및 이뇨 등의 효과와, 또한 결명자의 메모딘옵투신, 폴린, 크리스옵투신, 아우란티옵투신, 크리스파놀, 단백질, 점액질 등의 성분의 약리작용과, 또한 대추의 탄수화물, 단백질 및 지방 등의 약리효과 등을 뛰어난 건강 보조 음료로 제공될 수 있다.

Claims (3)

  1. 삭제
  2. 삭제
  3. 쑥을 깨끗한 물에 1∼2시간 담가 불린 후, 3∼5회 이상 깨끗이 세척하고, 세척한 쑥을 부직포에 넣어 적당량의 미네랄물에 40∼60℃로 10∼12시간 저온가열하며, 상기 저온가열된 쓱과 액상물을 100∼120℃로 4∼5시간 고온 가열하여서, 상기 가열된 쑥 액상물을 압착 추출하여 쑥 액상물을 얻고; 다음 솔잎 20∼25중량%, 어성초 25∼30중량%, 결명자 10∼15중량%, 대추 15∼20중량%, 생강 5∼10중량% 및 육계 10∼15중량%을 4∼5시간 100∼120℃로 끓인 후, 압착하여 혼합 액상물을 얻으며; 상기 쑥 액상물 80∼90중량%와 상기 혼합 액상물 10∼20중량% 혼합하여 100∼120℃에서 2∼3시간 가열한 후, 진공포장 및 살균처리함을 특징으로 하는 미네랄을 포함하는 저온가공 쑥음료의 추출방법.
KR1020040055631A 2004-07-16 2004-07-16 미네랄을 포함하는 저온가공 쑥음료의 추출방법 KR1008947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5631A KR100894760B1 (ko) 2004-07-16 2004-07-16 미네랄을 포함하는 저온가공 쑥음료의 추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5631A KR100894760B1 (ko) 2004-07-16 2004-07-16 미네랄을 포함하는 저온가공 쑥음료의 추출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6548A KR20060006548A (ko) 2006-01-19
KR100894760B1 true KR100894760B1 (ko) 2009-04-24

Family

ID=371182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5631A KR100894760B1 (ko) 2004-07-16 2004-07-16 미네랄을 포함하는 저온가공 쑥음료의 추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476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4312B1 (ko) * 2007-06-21 2009-04-24 남궁순자 쑥 농축액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8505A (ko) * 2001-05-17 2002-11-29 남궁순자 쑥을 주재로 한 건강음료와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8505A (ko) * 2001-05-17 2002-11-29 남궁순자 쑥을 주재로 한 건강음료와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6548A (ko) 2006-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578648B (zh) 一种果汁饮料
US20110117263A1 (en) Health tea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CN103229875B (zh) 三花暖茶饮料及其生产方法
CN107156559A (zh) 一种牛蒡复合饮料及其制备方法
CN107348471A (zh) 一种橄榄肉酱的制备方法
CN108783157A (zh) 一种火龙果玫瑰花饮料及其制备方法
CN101816448B (zh) 一种玉竹山楂苹果复合饮料及其制备方法
EP2324718B1 (en) Health tea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CN109430612A (zh) 一种红枣枸杞汁及其生产方法
CN107183456A (zh) 一种牛蒡玫瑰饮料及其制备方法
KR101721940B1 (ko) 과일 발효주와 과채류를 포함하는 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894760B1 (ko) 미네랄을 포함하는 저온가공 쑥음료의 추출방법
CN104489842B (zh) 红小豆玫瑰营养饮料及其制备方法
KR100376352B1 (ko) 김밥 제조방법 및 그 김밥
KR20140118237A (ko) 청국장 및 그 제조방법
KR20100118223A (ko) 배추뿌리 과립 및 그 제조방법
KR101103035B1 (ko) 흑마늘과 천년초를 이용한 식음료 및 그 제조방법
CN106119040A (zh) 一种铁皮石斛养生酒的制作工艺
CN106222012A (zh) 一种缓解风湿的无花果酒
CN106834002A (zh) 一种营养的葡萄酒的制备方法
KR100596144B1 (ko) 감초추출액이 함유된 진귤차 및 진귤식초차
CN101569337B (zh) 保健茶及其制备方法
KR20080103748A (ko) 천년초 음료의 제조방법
CN101066150B (zh) 一种沙棘果茶及其制备方法
CN105875990A (zh) 一种黄秋葵罗汉果茶制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