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4312B1 - 쑥 농축액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쑥 농축액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4312B1
KR100894312B1 KR1020070061108A KR20070061108A KR100894312B1 KR 100894312 B1 KR100894312 B1 KR 100894312B1 KR 1020070061108 A KR1020070061108 A KR 1020070061108A KR 20070061108 A KR20070061108 A KR 20070061108A KR 100894312 B1 KR100894312 B1 KR 1008943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mugwort
concentrate
extract
hou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11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112562A (ko
Inventor
남궁순자
Original Assignee
남궁순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궁순자 filed Critical 남궁순자
Priority to KR10200700611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4312B1/ko
Publication of KR200801125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125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43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431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5Concentrates of non-alcoholic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10Natural 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Extra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02Acid
    • A23V2250/06Amino acid
    • A23V2250/0622Glycin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8Oligo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50Polysaccharides, gums
    • A23V2250/51Polysaccharide
    • A23V2250/5114Dextrins, maltodextr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24Heat, thermal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26Homogenis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50Concentrating, enriching or enhancing in functional fact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주(主)재료인 약쑥에 여러 가지의 부(副)재료를 첨가하여 특유의 고미(苦味)(쓴 맛)를 최소화 하면서도 영양소는 그대로 유지하여 인체의 신진대사를 촉진하는 약리 기능을 발휘하게 함과 아울러 항시 쉽게 복용할 수 있게 하여 상품성을 갖게 한 쑥 농축액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약쑥, 쑥, 쑥액, 농축액, 추출액, 진공포장

Description

쑥 농축액 및 그 제조방법{a wormwood thickening liquid and it's manufacture method}
본 발명은 쑥 농축액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주(主)재료인 약쑥에 여러 가지의 부(副)재료를 첨가하여 만듦에 의해, 누구든지 보조식품으로 간편하게 음용할 수 있게 한 쑥 농축액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쑥은 몸을 보(補)한다고 하여 건강식품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음은 주지된 사실이다. 「동의보감」의 탕액편에 의하면, 상기 '쑥'은 맛이 쓰고 독이 없으며 황달 및 소변이 이롭지 못한 것과 천행시질 및 열광두통 '장학을 치료한다.'라고 기재되어 있는 바, 예로부터 쑥은 장과 위, 수족을 따뜻하게 하고 튼튼하게 하는데 애용되었음은 주지된 사실이다. 이러한 사실로부터도 쑥의 약효성은 충분히 증명된다고 할 것이다.
이러한 사실을 과학적으로 입증하기 위해 쑥의 성분을 분석한 결과, 쑥에는 이담작용에 유용한 성분인 호속향두정(蒿屬香豆精), 즉 6,7-다이매트혹시쿠마린이 함유되어 있고, 그 함유율은 계절에 따라 다른데 개화기에는 최고로 1.98%에 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리고 녹원산(綠原酸)과 카페인산도 함유되어 있음이 밝혀졌 다. 또한, 쑥에는 비타민 A, C 그리고 칼슘과 카로틴 성분이 들어있어 시력을 보호해 주어 감기예방을 하고, 양질의 섬유소가 많이 함유되어 있어 대변의 고통과 콜레스테롤 배출을 크게 도와주어 피부이용, 간기능, 체질개선 등 광범위하게 수많은 건강을 지켜줄 수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그러나 쑥은 위와 같은 인체에 유용한 영양소를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쑥의 독특한 효능은 얻지 못하여 일반 소비자들로 하여금 외면을 당하고 있음이 현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상기 문제점에 비추어 예의 연구결과 개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주(主)재료인 약쑥에 여러 가지의 부(副)재료를 첨가하여 특유의 고미(쓴 맛)를 최소화 하면서도 영양소는 그대로 유지하여 인체의 신진대사를 촉진하는 약리 기능을 발휘하게 함과 아울러 항시 쉽게 복용할 수 있는 제품을 제조함에 의해 상품성을 갖게 한 쑥 농축액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쑥 75.7중량%, 하수오 3.7중량%, 오가피 3.7중량%, 당귀 3.7중량%, 천궁 2.7중량%, 복분자 2.7중량%, 대추 2.7중량%, 결명자 1.7중량%, 백출 1.7중량%, 감초 1.7중량%의 조성비로 물과 함께 추출기에 넣어 추출물을 만든 후 상기 추출물을 농축기에 넣고 45℃~50℃에서 감압 농축하여 농축물을 만들고, 상기 농축물 42중량%, 물엿 42.4중량%, 올리고당 10중량%, 덱스트린 2.5중량%, 벌꿀 1중량%, 니코틴산아미드 0.3중량%, 글리신 0.1중량%, 스테비오사이드 0.05중량%, 펙틴 0.5중량%, 폴리덱스트로즈 0.8중량%, 자몽추출물 0.35중량%의 조성비로 교반탱크에 넣은 후 1시간 동안 균질하게 혼합함과 아울러 90℃에서 1시간 가열 살균하여 얻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쑥 75.7중량%, 하수오 3.7중량%, 오가피 3.7중량%, 당귀 3.7중량%, 천궁 2.7중량%, 복분자 2.7중량%, 대추 2.7중량%, 결명자 1.7중량%, 백출 1.7중량%, 감초 1.7중량%의 조성비로 물과 함께 추출기에 넣은 후 110℃~120℃에서 24시간 추출하여 추출물을 만드는 단계와, 상기 추출물을 농축기에 넣은 후 45℃~50℃에서 감압 농축하여 농축물을 만드는 단계와, 상기 농축물 42중량%, 물엿 42.4중량%, 올리고당 10중량%, 덱스트린 2.5중량%, 벌꿀 1중량%, 니코틴산아미드 0.3중량%, 글리신 0.1중량%, 스테비오사이드 0.05중량%, 펙틴 0.5중량%, 폴리덱스트로즈 0.8중량%, 자몽추출물 0.35중량%의 조성비로 교반탱크에 넣고 1시간 동안 균질하게 혼합함과 아울러 90℃에서 1시간 가열 살균하여 혼합물을 만드는 단계, 및 상기 혼합물을 진공포장기에서 충진온도 90℃를 유지하면서 소정의 단위로서 폴리에틸렌 튜브 혹은 용기에 밀봉 포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쑥 농축액 및 그 제조방법의 보다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조 예>
<단계1>
먼저, 전(前)처리 과정을 거친 주(主)재료인 쑥 75.7중량%와, 하수오 3.7중량%, 오가피 3.7중량%, 당귀 3.7중량%, 천궁 2.7중량%, 복분자 2.7중량%, 대추 2.7 중량%, 결명자 1.7중량%, 백출 1.7중량%, 감초 1.7중량%로 이루어진 부(副)재료를 준비한다.
이때, 상기 재료들은 최상품만을 선별한다. 특히, 쑥은 백령도에서 채취한 약쑥이 좋은데, 그 중에서도 바닷 바람(海風)과 반년 이상 해무(海霧)를 흠뻑 머금은 양질의 약쑥을 5월 단오 전후로 채취하여 3년간 응달에서 숙성시킨 것이 가장 좋다.
또한, 상기 부재료를 첨가한 이유는 쑥에 향미를 부여하여 복용함에 거부감을 갖는 일이 없도록 함과 아울러 쑥에는 없는 인체에 유용한 성분을 보충하여 인체의 기(氣)를 보(補)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특히, 상기 쑥은 백령도에서 자라는 쑥을 이용하는 것이 가장 좋다.
<단계2>
기 준비된 주재료와 부재료를 깨끗한 물과 같이 추출기에 넣은 후 110℃~120℃에서 24시간 추출하여 추출물을 만든다.
<단계3>
상기 추출물을 농축기에 넣은 후 45℃~50℃에서 감압 농축하여 농축물을 만든다. 이때, 상기 농출물은 45중량%의 고형물이 될 때까지 감암 농축함이 좋다.
<단계4>
상기 농축물 42중량%와, 저당(低糖) 42.4중량%, 올리고당 10중량%, 덱스트린 2.5중량%, 벌꿀 1중량%, 니코틴산아미드 0.3중량%, 글리신 0.1중량%, 스테비오사이드 0.05중량%, 펙틴 0.5중량%, 폴리덱스트로즈 0.8중량%, 자몽추출물 0.35중량%의 조성비로 교반탱크에 넣고 1시간 이상 균질하게 혼합한다. 이때, 90℃에서 교반하며 1시간 가열 살균하여 혼합물을 만든다.
이와 같이 얻어진 혼합물의 성상은 흑갈색의 점성을 띤 액상으로 고유의 향미를 가지며 이미(異味), 이취(異臭)가 없다.
또한, 상기에서 저당(低糖)은 엿류(예컨데, 물엿, 맥아엿, 가루엿 및 덩어리엿)에 포함되는데, 상기 엿류라 함은 전분 또는 전분질 원료를 주원료로 효소 또는 산으로 가수분해시킨 후 그 당액을 가공한 것으로, 당도 및 점도 유지 이유로 사용하기 위해 첨가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서 첨가하는 저당은 상기 엿류 중에서도 물엿을 첨가함이 가장 좋다.
또한, 상기 올리고당은 당질원료를 주원료로 하여 효소를 이용하거나 압출하여 얻은 당액을 가공한 것으로, 저당과 같은 목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첨가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덱스트린은 전분 또는 곡분을 산이나 효소로 부분가수분해시켜 얻은 당화중간생산물을 농축, 건조 등의 방법으로 가공한 것으로, 저당, 올리고당과 같은 사용 목적으로 첨가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벌꿀, 니코틴산아미드, 글리신, 스테비오사이드, 폴리덱스트로즈, 펙틴, 자몽추출물은 영양강화 및 맛의 보강을 위해 또는 점도 유지를 위해 사용하는 식품첨가물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첨가물들을 첨가하지 않고 쑥 농축액 100%로 할 수 있으나, 이 경우 쓴맛이 강해 음용하기가 나쁘며 고형물 70%까지 농축한다면 수율 17.5~18%로 고가격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쑥에 대한 이미지가 값싼 원료라는 인식을 많은 소비자가 인식하고 있음으로서 물엿, 올리고당 등 첨가물을 사용하여 음용하기 편하고 가격의 저렴화도 꾀하고 인위적으로 농도를 조절하여 도자기 등에 보관할 수 있도록 하고자 첨가물을 사용한다.
<단계5>
상기 혼합물을 일반적인 진공포장기에서 충진온도 90℃를 유지하면서 소정의 단위(100g)로서 폴리에틸렌 튜브 혹은 용기에 밀봉 포장한다.
상기 혼합물을 소정 단위로 포장할 때 충진온도 90℃를 유지하는 이유는 대기 중에 노출됨으로 해서 발생될 수 있는 세균에 의한 부패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즉, 본 발명은 고농도의 점성을 갖는 액상으로 90℃ 이상의 고온에서 살균처리 후 밀봉 포장한다.
이와 같이 포장하기 위한 폴리에틸렌 튜브 혹은 용기의 재료는 외부로부터 공기 유입이나 미생물의 오염이 방지되고 자외선을 차단하여 완제품 보관시 안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용기는 플라스틱 용기 및 도자기 용기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자는 상기와 같이 진공 포장된 내용물이 어느 정도의 기간이 경과되어 변질되는지를 확인해 본 결과 대략 2년 정도의 기간이 경과되어도 변질되지 않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즉, 2년 정도의 기간이 경과되어도 제품의 안정성 및 보존성이 보장된다.
<실시예>
전처리 작업이 완료된 쑥 75.7중량%, 하수오 3.7중량%, 오가피 3.7중량%, 당귀 3.7중량%, 천궁 2.7중량%, 복분자 2.7중량%, 대추 2.7중량%, 결명자 1.7중량%, 백출 1.7중량%, 감초 1.7중량%를 물과 함께 추출기에 넣어 추출물을 만든 다음, 상기 추출물을 농축기에 넣고 45℃~50℃에서 감압 농축하여 농축물을 만들고, 이와 같이 얻어진 농축물 42중량%, 물엿 42.4중량%, 올리고당 10중량%, 덱스트린 2.5중량%, 벌꿀 1중량%, 니코틴산아미드 0.3중량%, 글리신 0.1중량%, 스테비오사이드 0.05중량%, 펙틴 0.5중량%, 폴리덱스트로즈 0.8중량%, 자몽추출물 0.35중량%의 조성비로 교반탱크에 넣고 1시간 이상 균질하게 혼합하여 본 발명의 제품을 수득하였다. 즉, 90℃에서 교반하며 1시간 가열 살균하여 본 발명의 제품을 수득하였다.
<실험예>
본 실험예에서는 상기 실시예에 의하여 제조된 쑥 농축액에 대하여 건강식품으로서 효능을 조사하기 위해 잦은 설사 증상이 있는 성인환자 30명에 대하여, 시험자들은 모르도록 하여 1일 1~2회, 티스푼으로 1스푼을 직접 혹은 물에 희석 후 식전이나 식후에 음용시킨 결과 환자 21명이 고르게 효과를 나타내었는데, 평균적으로 60일이 지나서 거의 회복됨을 알 수 있었다. 30명의 환자 가운데에서 치료율은 70퍼센트에 달하였으며, 호전된 것은 30퍼센트였다.
또, 출산 후의 여자들에게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음용하게 한 결과 원기 회복에 도움을 주는 건강식품으로서의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실험결과는 본 발명의 제품을 일반 성인들에게 지속적으로 복용하게 하는 경우, 원기 회복에 도움을 주는 건강식품으로서의 효과가 있음을 간접적으로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본 발명의 제품은, 쑥에 부재료를 첨가하여 감압 농축에 의해 제품을 제조함에 의해 약쑥 고유의 쓴맛은 최소화하면서 영양소는 그대로 유지하고, 또한 쉽게 복용할 수 있게 한 상품성을 갖게 한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쑥 75.7중량%, 하수오 3.7중량%, 오가피 3.7중량%, 당귀 3.7중량%, 천궁 2.7중량%, 복분자 2.7중량%, 대추 2.7중량%, 결명자 1.7중량%, 백출 1.7중량%, 감초 1.7중량%의 조성비로 물과 함께 추출기에 넣어 추출물을 만든 후 상기 추출물을 농축기에 넣고 45℃~50℃에서 감압 농축하여 농축물을 만들고, 상기 농축물 42중량%, 물엿 42.4중량%, 올리고당 10중량%, 덱스트린 2.5중량%, 벌꿀 1중량%, 니코틴산아미드 0.3중량%, 글리신 0.1중량%, 스테비오사이드 0.05중량%, 펙틴 0.5중량%, 폴리덱스트로즈 0.8중량%, 자몽추출물 0.35중량%의 조성비로 교반탱크에 넣은 후 1시간 동안 균질하게 혼합함과 아울러 90℃에서 1시간 가열 살균하여 얻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쑥 농축액.
  2. 쑥 75.7중량%, 하수오 3.7중량%, 오가피 3.7중량%, 당귀 3.7중량%, 천궁 2.7중량%, 복분자 2.7중량%, 대추 2.7중량%, 결명자 1.7중량%, 백출 1.7중량%, 감초 1.7중량%의 조성비로 물과 함께 추출기에 넣은 후 110℃~120℃에서 24시간 추출하여 추출물을 만드는 단계;
    상기 추출물을 농축기에 넣은 후 45℃~50℃에서 감압 농축하여 농축물을 만드는 단계;
    상기 농축물 42중량%, 물엿 42.4중량%, 올리고당 10중량%, 덱스트린 2.5중량%, 벌꿀 1중량%, 니코틴산아미드 0.3중량%, 글리신 0.1중량%, 스테비오사이드 0.05중량%, 펙틴 0.5중량%, 폴리덱스트로즈 0.8중량%, 자몽추출물 0.35중량%의 조성비로 교반탱크에 넣고 1시간 동안 균질하게 혼합함과 아울러 90℃에서 1시간 가열 살균하여 혼합물을 만드는 단계; 및
    상기 혼합물을 진공포장기에서 충진온도 90℃를 유지하면서 소정의 단위로서 폴리에틸렌 튜브 혹은 용기에 밀봉 포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쑥 농축액 제조방법.
KR1020070061108A 2007-06-21 2007-06-21 쑥 농축액 및 그 제조방법 KR1008943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1108A KR100894312B1 (ko) 2007-06-21 2007-06-21 쑥 농축액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1108A KR100894312B1 (ko) 2007-06-21 2007-06-21 쑥 농축액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12562A KR20080112562A (ko) 2008-12-26
KR100894312B1 true KR100894312B1 (ko) 2009-04-24

Family

ID=40370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1108A KR100894312B1 (ko) 2007-06-21 2007-06-21 쑥 농축액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431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8505A (ko) * 2001-05-17 2002-11-29 남궁순자 쑥을 주재로 한 건강음료와 그 제조방법
KR20060006548A (ko) * 2004-07-16 2006-01-19 김석균 미네랄을 포함하는 저온가공 쑥음료 및 그의 추출방법
KR20060043940A (ko) * 2004-11-11 2006-05-16 정구일 강화사자발쑥을 사용한 건강식품의 제조방법
KR20070014702A (ko) * 2005-07-29 2007-02-01 정훈영 쑥차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8505A (ko) * 2001-05-17 2002-11-29 남궁순자 쑥을 주재로 한 건강음료와 그 제조방법
KR20060006548A (ko) * 2004-07-16 2006-01-19 김석균 미네랄을 포함하는 저온가공 쑥음료 및 그의 추출방법
KR20060043940A (ko) * 2004-11-11 2006-05-16 정구일 강화사자발쑥을 사용한 건강식품의 제조방법
KR20070014702A (ko) * 2005-07-29 2007-02-01 정훈영 쑥차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12562A (ko) 2008-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551134B (zh) 一种玫瑰甘露液体饮料及其制备方法
CN102132924A (zh) 一种含花青素的黑土豆饮料、果酒、果醋的制备方法
CN107006748A (zh) 一种玫瑰苏打水及其生产方法
CN105961694A (zh) 玫瑰茶醋饮料的生产方法
CN107259252A (zh) 一种植物饮料及其制备方法
CN104531484B (zh) 一种蒜汁、苹果酒混合饮料的制备方法
KR100745589B1 (ko) 녹차가 첨가된 액상차의 제조방법
JP5976286B2 (ja) アルコール含有飲料粉末
KR101018061B1 (ko) 대추 잼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대추 잼
CN105961976A (zh) 菊花山楂茶醋饮料的生产方法
CN108728325A (zh) 一种龙须菜樱桃醋
CN107712772A (zh) 一种果梅果酱及其制备方法
JP2010063390A (ja) 飲食品
CN104522788B (zh) 一种蒜汁、苹果醋混合饮料的制备方法
KR100894312B1 (ko) 쑥 농축액 및 그 제조방법
CN105995363A (zh) 一种金银花薄荷水风味饮料及其制备方法
CN102181355B (zh) 一种冬凌茶酒及其制备方法
CN104207127A (zh) 一种菊粉原汁及其制备方法
CN107048144A (zh) 一种茉莉苏打水及其生产方法
CN106579380A (zh) 一种猴面包饮料及其制备方法
CN103932331B (zh) 一种以树莓为主要成分的功能保健饮料及其制备方法
CN106509559A (zh) 一种天然植物饮料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1025812B1 (ko) 알로에를 함유한 녹차잎 액상차 제조방법
CN105054171A (zh) 一种富硒甘蔗汁
CN107897592A (zh) 一种蓝莓醋饮料及其生产工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7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