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1619B1 - 쑥 향나는 도토리묵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쑥 향나는 도토리묵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1619B1
KR100521619B1 KR10-2003-0096628A KR20030096628A KR100521619B1 KR 100521619 B1 KR100521619 B1 KR 100521619B1 KR 20030096628 A KR20030096628 A KR 20030096628A KR 100521619 B1 KR100521619 B1 KR 1005216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orn
water
mixture
jelly
acorn jel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66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65004A (ko
Inventor
정순옥
Original Assignee
강화군
정순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화군, 정순옥 filed Critical 강화군
Priority to KR10-2003-00966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1619B1/ko
Publication of KR200500650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50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16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161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Landscapes

  • Jellies, Jams, And Syru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토리묵의 제조방법이 간단하고 용이하며 도토리가 가지는 인체에 유익한 효능에 쑥이 가지는 효능 및 향을 가미시킴으로서 도토리묵의 맛을 배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는 쑥 향나는 도토리묵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쑥 향나는 도토리묵 제조방법의 구성은, 껍질이 탈피된 도토리를 물에 2일 내지 4일간 침지시킨 후 그를 물로부터 건져 분말화시키는 단계; 상기 분말화 된 도토리를 물에 침지시켜 그 물로부터 뜬 것은 걷어내고 가라앉은 것만 수거하는 단계; 상기 수거된 도토리분말 1 : 물 5의 비율이 되게 혼합하고 그 혼합물을 가열용기에 투입하여 90∼110℃로 10∼30분 동안 저어가며 끓이는 단계; 상기 끓여진 혼합물을 40∼70℃의 온도로 10∼30분간 예열하여 뜸 드리는 단계; 상기 뜸 들여진 혼합물을 그 혼합물 1.8ℓ당 약숙으로부터 추출된 약쑥정유 25∼40cc를 투입하고 혼합하는 단계; 상기 약쑥정유를 투입하여 혼합된 도토리묵 재료를 도토리묵 성형 틀에 주입하여 냉각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쑥 향나는 도토리묵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wormwood acorn jelly}
본 발명은 쑥 향나는 도토리묵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도토리묵의 제조방법이 간단하고 용이하며 도토리가 가지는 인체에 유익한 효능에 쑥이 가지는 효능 및 향을 가미하여 도토리묵의 맛을 배가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토리는 인체 내부의 중금속 및 여러 유해물질을 흡수/배출시키는 작용을 하고, 또, 피로회복 및 숙취에 탁월한 효과가 있으며, 소화기능을 촉진시키고, 입맛을 돋우워 주며, 장과 위를 강하게 하여 설사를 멎게 하는 강장 효험을 볼 수 있고. 당뇨 및 암 등 성인병 예방에 효과가 있으며, 잇몸 염, 인 후두염, 화상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효능을 갖는 도토리를 이용하여 만든 대표적인 식품은 도토리묵이며 그 도토리묵은 산야에 자생적으로 자라는 도토리 열매를 채취하여 만드는 것으로서 옛날부터 전해 내려오는 우리민족의 전통식품이다.
상기와 같은 효능을 갖는 우리민족의 전통식품인 도토리묵은 그 도토리가 가지고 있는 효능에 각종 인체에 유익한 성분을 부가하여 다양한 종류의 도토리묵을 제조하고 있으며 그 예를 들어 보면 하기와 같다.
종래의 도토리묵은 도토리 100%를 가지고 영양소 산화와 소실 및 파괴를 방지하기 위해 섭씨 영하 25도 이하에서 냉동 분쇄하여 물에 섞어 여기에서 추출한 침전물을 인삼.버섯.솔잎.은행잎.셀레늄.녹차를 혼합하여 각 특성에 맞는 제품으로 만들기 위해 섭씨200도 이상의 고온 열처리로 익혀서 된 것으로서,
첫째, 인삼 도토리묵은 도토리95% : 인삼5%의 혼합비율이 되도록 한 것,
둘째, 버섯 도토리묵은 도토리97% : 버섯3%의 혼합비율이 되도록 한 것,
셋째, 솔잎 도토리묵은 도토리95% : 솔잎5%의 혼합비율이 되도록 한 것,
넷째, 은행잎 도토리묵은 도토리95% : 은행잎5%의 혼합비율이 되도록 한 것,
다섯째, 녹차 도토리묵은 도토리95% : 녹차5%의 혼합비율이 되도록 한 것,
여섯째, 셀레늄 도토리묵은 도토리97% : 셀레늄3% 혼합비율이 되도록 한 것 등이 있다.
그러나, 상기의 각 해당(인삼, 버섯, 솔잎, 은행잎, 녹차) 도토리묵은 그 각 해당 재료를 물과 함께 끓여서 그물을 사용하는 것으로 그 효능이 미미하고 또, 향 또한 미미할 수밖에 없다.
본 발명은 도토리묵을 제조함에 있어서, 제조방법이 간단하고 용이하며 도토리가 가지는 효능과 쑥이 가지는 효능을 가미하여 인체에 유익한 도토리를 제공함은 물론, 그 도토리묵의 맛과 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쑥 향나는 도토리묵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쑥 향나는 도토리묵 제조방법은, 껍질이 탈피된 도토리를 물에 2일 내지 4일간 침지시킨 후 그를 물로부터 건져 분말화시키는 단계; 상기 분말화 된 도토리를 물에 침지시켜 그 물로부터 뜬 것은 걷어내고 가라앉은 것만 수거하는 단계; 상기 수거된 도토리분말 1 : 물 5의 비율이 되게 혼합하고 그 혼합물을 가열용기에 투입하여 90∼110℃로 10∼30분 동안 저어가며 끓이는 단계; 상기 끓여진 혼합물을 40∼70℃의 온도로 10∼30분간 예열하여 뜸 드리는 단계; 상기 뜸 들여진 혼합물을 그 혼합물 1.8ℓ당 약숙으로부터 추출된 약쑥정유 25∼40cc를 투입하고 혼합하는 단계; 상기 약쑥정유를 투입하여 혼합된 도토리묵 재료를 도토리묵 성형 틀에 주입하여 냉각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의 쑥 향나는 도토리묵 제조방법을 각 공정별로 나누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공정]
본 발명의 제1공정은 도토리 또는 상수리를 채취하여 껍질을 탈피시키고 그 껍질이 탈피된 알맹이를 물에 2일 내지 4일간 침지시킨다.
상기 껍질이 탈피된 알맹이를 물에 침지시키는 이유는, 도토리는 탄닌 성분으로 인하여 떫은맛과 약간 쓴맛을 가지고 있는데, 그 떫은맛과 약간 쓴맛을 우려내기(제거하기) 위함과 동시에 알맹이를 물에 충분히 불리기 위하여 하는 것이고, 상기 물에 침지시키는 시간을 2일 내지 4일간 하는 이유는, 2일 이하로 하는 경우에는 떫은맛과 약간 쓴맛을 충분히 우려내지 못하고 4일 이상 하게되면 필요이상이 된다. 따라서, 상기 껍질이 탈피된 알맹이를 물에 침지시키는 시간은 2일 내지 4일간 함이 바람직하다.
[제2공정]
본 발명의 제2공정은 상기 제1공정에서 물에 충분히 침지된 도토리 알갱이를 분쇄기를 이용하여 분말형태로 분쇄하는 공정으로서, 이는 상기 물에 충분히 침지된 도토리 알갱이를 최대한 미세하게 분쇄하는 것이 도토리묵을 제조하였을 때 그 묵의 질이 높아진다.
[제3공정]
본 발명의 제3공정은 상기 제2공정에서 분말화 된 도토리를 채로 쳐서 통과한 것은 물에 침지시키고 통과하지 못한 것은 분별하여 이물질이나 불순물은 제거하고 도토리는 다시 분말화시켜 사용한다.
한편, 상기 물에 침지시킨 것 중 그 물로부터 뜬 것은 걷어내고 가라앉은 것만 사용하는데, 상기 물에 뜬 것을 묵의 제조에 필요 없는 이물질이나 불순물이고, 물에 가라앉은 것은 묵의 제조에 필요한 도토리 분말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분말화 된 도토리를 물에 침지시키는 이유는, 상기 제1공정에서 우려내지 못한 떫은맛과 약간 쓴맛의 잔여 분을 최종적으로 제거하기 위함과 동시에 상기 분말화 된 도토리를 물에 충분히 불리기 위함이다.
[제4공정]
본 발명의 제4공정은 상기 제3공정에서 물에 충분히 불려진 도토리분말을 수거하여 깨끗한 물과 혼합하는데, 그 혼합비율은 상기 수거된 도토리분말 1 : 깨끗한 물 5의 비율이 되게 한다.
상기 도토리분말 1 : 깨끗한 물 5의 비율이 되게 하는 이유는, 도토리분말과 물의 혼합비율이 1 : 5를 초과하거나 그 이하가 되면 후 공정에 묵을 제조하고자 끓일 때에 너무 되거나 묽게 되어 양질의 묵을 제조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상기 도토리분말과 물의 혼합비율은 1 : 5로 함이 바람직하다.
[제5공정]
본 발명의 제5공정은 상기 제4공정에서 혼합된 혼합물을 가열용기에 넣고 저어가며 끓이는 것으로, 그 끓이는 온도는 90∼110℃인데, 90℃이하에서는 혼합물이 정상적으로 끓여지지 못하고 110℃ 이상에서는 도토리분말이 가열용기 저면에 누러 붙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상기 혼합물의 끓이는 온도는 90∼110℃면 바람직하다. 또, 상기 혼합물을 90∼110℃로 끓이는 시간은 10∼30분인데, 그 이유는, 10분 이하에서는 도토리가 충분히 익혀지지 못하고, 30분 이상에서는 필요이상이 된다. 따라서, 혼합물의 끓이는 시간은 10∼30분이 바람직하다.
[제6공정]
본 발명의 제6공정은 상기 제5공정에서 끓여진 혼합물을 상기 가열용기에서 40∼70℃의 온도로 10∼30분간 예열하는데, 그 이유는 끓여진 혼합물을 뜸 드리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뜸 드리는 시간 및 온도가 10분 및 40℃ 이하이면 시간과 온도가 너무 짧거나 낮아 뜸이 정상적으로 들지 못하고 30분 및 70℃ 이상이면 뜸들이는 온도가 너무 길거나 높아 누러 붙게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끓여진 혼합물의 뜸 드리는 시간 및 온도는 40∼70℃의 온도에서 10∼30분간함이 바람직하다.
[제7공정]
본 발명의 제7공정은 상기 제6공정에서 뜸 드리기가 완료되면 이에 뜸 완료된 도토리묵 재료 1.8ℓ당 약숙으로부터 추출된 약쑥정유 25∼40cc를 투입하고 골고루 섞이도록 혼합하는데. 상기 약쑥정유는, 쑥 향이 매우 진한 것으로서 도토리묵에 쑥 향을 가미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서, 그의 사용량을 40cc 이상 사용하게 되면 쑥 향이 너무 진하고, 25cc 이하 사용하게 되면 쑥 향이 너무 미미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약쑥정유는 25∼40cc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약쑥정유는, 서식지로부터 채취된 생 약쑥을 이물질이나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깨끗이 수세하고 그 수세된 약쑥을 증류추출설비에 투입하여 100∼140℃로 가열하게 되면 상기 생 약쑥의 잎 및 줄기에 형성된 수막이 터지면서 증발하게 되고 그 증발되는 기체를 응축시켜 액상으로 추출하여 된 것을 말한다.
[제8공정]
본 발명의 제8공정은 상기 제7공정에서 약쑥정유의 혼합이 완료되면 그를 도토리묵 성형 틀에 주입하여 냉각시킨 다음 그 냉각이 완료되면 원하는 크기로 절단하여 포장하면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도토리묵의 제조방법이 간단하고 용이하며 도토리가 가지는 인체에 유익한 효능에 쑥이 가지는 효능 및 향을 가미시킴으로서 도토리묵의 맛을 배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껍질이 탈피된 도토리를 물에 2일 내지 4일간 침지시킨 후 그를 물로부터 건져 분말화시키는 단계;
    상기 분말화 된 도토리를 물에 침지시켜 그 물로부터 뜬 것은 걷어내고 가라앉은 것만 수거하는 단계;
    상기 수거된 도토리분말 1 : 물 5의 비율이 되게 혼합하고 그 혼합물을 가열용기에 투입하여 90∼110℃로 10∼30분 동안 저어가며 끓이는 단계;
    상기 끓여진 혼합물을 40∼70℃의 온도로 10∼30분간 예열하여 뜸 드리는 단계;
    상기 뜸 들여진 혼합물을 그 혼합물 1.8ℓ당 약숙으로부터 추출된 약쑥정유 25∼40cc를 투입하고 혼합하는 단계;
    상기 약쑥정유를 투입하여 혼합된 도토리묵 재료를 도토리묵 성형 틀에 주입하여 냉각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쑥 향나는 도토리묵 제조방법.
  2. 상기 제1항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쑥 향나는 도토리묵.
KR10-2003-0096628A 2003-12-24 2003-12-24 쑥 향나는 도토리묵 제조방법 KR1005216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6628A KR100521619B1 (ko) 2003-12-24 2003-12-24 쑥 향나는 도토리묵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6628A KR100521619B1 (ko) 2003-12-24 2003-12-24 쑥 향나는 도토리묵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5004A KR20050065004A (ko) 2005-06-29
KR100521619B1 true KR100521619B1 (ko) 2005-10-13

Family

ID=372565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6628A KR100521619B1 (ko) 2003-12-24 2003-12-24 쑥 향나는 도토리묵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161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7946B1 (ko) * 2008-12-05 2009-09-21 전라남도 붉가시나무의 열매를 이용한 묵 제조방법
KR20160113551A (ko) 2016-09-11 2016-09-30 박귀조 도토리묵을 만드는 방법
KR20160124714A (ko) 2016-10-13 2016-10-28 박귀조 도토리묵을 만드는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3515B1 (ko) * 2009-05-28 2011-06-23 농업협동조합중앙회 표고버섯 함유 도토리묵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표고버섯 함유 도토리묵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7946B1 (ko) * 2008-12-05 2009-09-21 전라남도 붉가시나무의 열매를 이용한 묵 제조방법
KR20160113551A (ko) 2016-09-11 2016-09-30 박귀조 도토리묵을 만드는 방법
KR20160124714A (ko) 2016-10-13 2016-10-28 박귀조 도토리묵을 만드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5004A (ko) 2005-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4744B1 (ko) 기능성 장류의 제조방법과 그에 의해 제조된 기능성 장류
CN102090462A (zh) 一种含有中草药的水豆腐的制作工艺
KR20100027256A (ko) 간장게장의 제조방법 및 이의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된 간장게장
KR20030044159A (ko) 각종 독성분을 제거한 약초 고추장 제조방법
KR100521619B1 (ko) 쑥 향나는 도토리묵 제조방법
KR20100035352A (ko) 기능성 김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기능성 김
KR101063973B1 (ko) 떡의 제조방법
CN103653080A (zh) 一种板栗休闲食品及其加工方法
KR101377162B1 (ko) 커피를 함유한 민들레 뿌리차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93992B1 (ko) 단계별 로스팅 공정을 활용한 팥 추출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42975B1 (ko) 쇠비름 당침액이 함유된 김치 제조방법
KR101732693B1 (ko) 황칠된장의 제조방법 및 이로 제조된 황칠된장
KR102150502B1 (ko) 숙취해소에 좋은 헛개나무 및 황칠을 포함하는 해장국 제조 방법
KR100750859B1 (ko) 복분자 떡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10029507A (ko) 개똥쑥을 이용한 저염 된장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된장
KR101793646B1 (ko) 함초를 이용한 장어 추출액의 제조방법 및 그 장어 추출액
KR101001225B1 (ko) 엄나무순 간장 절임의 제조방법
JP6798037B2 (ja) チョウセンカクレミノ抽出液を含む機能性成分を含有したキムチの製造方法
KR20070058250A (ko) 기능성 성분이 강화된 된장, 간장, 고추장
KR102645613B1 (ko) 구기자 및 더덕을 이용한 발효 쌍화차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831930B1 (ko) 향 덧입힘 분말의 추출물로부터 향 덧입힘 분말의 농축물 및 증류물의 제조방법 및 그 향 덧입힘 분말의 농축물 및 증류물
KR101331668B1 (ko) 발효 초약 효소의 제조 방법
KR930003880B1 (ko) 솔잎의 농축물 제조방법
KR101392530B1 (ko) 매실액이 함유된 명이양념절임 및 그 제조방법
KR100665224B1 (ko) 바지락죽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5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4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