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70000932B1 - 아미딘류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아미딘류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70000932B1
KR870000932B1 KR1019830002499A KR830002499A KR870000932B1 KR 870000932 B1 KR870000932 B1 KR 870000932B1 KR 1019830002499 A KR1019830002499 A KR 1019830002499A KR 830002499 A KR830002499 A KR 830002499A KR 870000932 B1 KR870000932 B1 KR 8700009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und
mitomycin
amino
group
lower alk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300024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5143A (ko
Inventor
도한랄 바이어스 돌라트라이
카네코 타쿠쉬
윌리암 둘리 테렌스
Original Assignee
브리스톨 마이어스 컴페니
원본미기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브리스톨 마이어스 컴페니, 원본미기재 filed Critical 브리스톨 마이어스 컴페니
Publication of KR8400051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51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700009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093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8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77/00
    • C07D487/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77/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hree hetero rings
    • C07D487/14Ortho-condensed system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Nitrogen Condensed Heterocyclic Ring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아미딘류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아미디노기를 함유한 미토마이신 유사물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Class 260 Subclass 326.24). 이 화합물들을 7-아미노기와 카르브 아미도질소원자들 중의 하나나 혹은 둘다가 아미디노 치환제와 결합한 미토마이신 C 유도체이다. 이 화합물들은 동물의 종양에서 활성 항종양 물질로 작용한다.
명명법-아지리노피롤로 인돌고 리계가
Figure kpo00001
구조일 때 미토마이신 C의 계통적 화학이론명은 [1aR-(1aα, 8β, 8aα, 8bα)]-6-아미노-8-((아미노카르보닐)옥시메틸)-1,1a, 2, 8, 8a, 8b -헥사하이드로 -8a-메톡시--5-메틸-아지리노[2', 3', 3, 4]-피롤로 [1, 2-a] 인돌 -4, 7-디온이다.
미토마이신 이라고 널리 사용되는 명명계는 미토산과 같이 미토마이신에 몇개의 특정 치환체를 가지고 있는 상기 고리계의 화합물을 말한다.
Figure kpo00002
이러한 명명법은 아지리노 고리 질소원자나 7-또는 9a-위치에 N-치환체를 품는 것과 같은 간단한 유도체에 대해서는 편리하고 적당하나, 일반적으로 사용하기에는 모호한 여러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에 있어서, 어떤 화합물은 아지리노 고리질소원자 및 측쇄카르바모일 질소원자에 치환체가 존재하는데, 이 경우에 이것들의 위치를 구별하는 적당한 방법이 없다. 그러므로, 미토산 명명계에서 아지리노 질소원자를 N1a로, 카르바모일질소 원자를 N10으로 본 명세서에 표시했다. 본 발명 생성물의 입체 화학 배열면에서, 입체 화학 배열이 미토마이신 C와 같은 것을 표시하기 위해 “미토산”이라는 어간을 사용하거나 또는 구조식을 사용해서 그것들을 표시하기로 한다.
미토마이신 C는 발효에 의해서 제조되는 물질로서 다른 승인된 화학 치료제와 조합해위 또는 췌장의 전염성 선암의 치료에 F. D. A(Food and Drug Administration )의 승인아래 판매되고 있으며 다른 양상이 발현될때 완화적 치료제로서 사용된다. (Mutamycin
Figure kpo00003
Bristol Laboralories Syracuse, New York 13201, Physicians' Desk Reference 35th Edition, 1981, dp. 717-718). 발효에 의한 미토마이신 C와 이것의 생성물에 대해서는 1957년 4월 6일에 출원된 일본 출원 및 1972년 5월 2일에 특허된 미합중국 특허 제 3,660,578호에 명시되어 있다.
미토마이신 A, B, C와 포오피토마이신의 구조는 제일먼저 J.S. Webb et al. Of Lederle Laboratories Division American Cyanamid Company. J. Amer. Chem. Soc. g4, 3185-3187(1962)에서 제시되었다. 미토마이신 A및 미토마이신 C와 관련된 구조 연구에 사용된 화학 변환중의 한가지 방법은 암모니아를 사용하여 전자(7-9α -디메톡시미토산)를 후자(7-아미노-9α-메톡시미토산)으로 전환시키는 것이다. 미토마이신 A 의 7-메톡시기의 치환은 미토마이신 A를 항종양활성 유도체의 제조시 일어난 반응에 의해서 증명되어졌다. 하기의 논문과 특허는 미토마이신 A를 항종양활성이 있는 7-치환 아미노미토마이신 C로 전환시키는 것에 대해서 설명한 것이다. 이러한 연구의 주요목적은 미토마이신 C보다 더 활성이 있고, 덜 독성이 있는 유도체의 제조에 관한 것이다.
Matsui ed al. “The Journal of Antiobiotics”, XXI, 189-198(1968).
Kinoshita et al. “J. Med. Chem.” 14, 103-109(1971).
Iyenger et al. “J. Med. Chem.” 24. 975-981(1981).
Iyenger. Sami, Remers, and Bradner, Abstracts of Papers Annual Meeting of the American Chemical Society, Las Vegas, Nevada, March 1982, Abstract No. MEDI 72.
하기특허는 미토마이신 A, 미토마이신 B, 또는 이의 N10-치환유도체와 1차 또는 2차 아민과의 반응에 의한 7-치환 아미노 미토산 유도체의 제조에 관한 것이다.
Cosulich 등에 의해 1967년 7월 25일에 특허 허여된 미합중국 특허 제 3,332, 944호 ;
Matsui 등에 의해 1969년 1월 7일에 특허 허여된 미합중국 특허 제 3,420, 846호 ;
Matsui 등에 의해 1969년 6월 17일에 특허 허여된 미합중국 특허 제 3,450, 705호 ;
Matsui 등에 의해 1970년 5월 26일에 특허 허여된 미합중국 특허 제 3,514, 452호 ;
Nakano 등에 의해 1980년 11월 4일에 특허 허여된 미합중국 특허 제 4,231, 936호 ;
Remers 등 의해 1981년 5월 19일에 특허 허여된 미합중국 특허 제 4,268,67 6호 ;
7-위치에 아미노치환체가 치환되어 있는 미토마이신 C유도체는 직접적인 생합성(biosynthesis)에 의해 즉 1차 아민을 발효즙에 첨가한 후, 미토마이신을 발효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C.A. Claridge et al. Abst. of the Annual Metting of Amer. S oc. for Microbiology 1982. Abs. 028).
미토마이신 C는 발효에 의해서 제조되는 중요한 미토마이신으로서,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하다. 반합성에 의해 치환된 미토마이신 C의 아미노유사물의 제조시 사용되는 미토마이신 C의 미토마이신 A로의 전환에 대한 현행 방법은 미토마이신을 가수분해에 의해 매우 불안전한 화합물인 7-히드록 시미토산으로 만들고, 취급이 매우 어려운 디아조메탄을 사용해서 그 물질을 메틸화 시키는 방법이다. 미토마이신 C의 가수분해에 의해 제조되는 7-0-탈메틸 미토마이신 A의 메틸화 반응을 위해 사용하는 디아조 메탄의 사용을 피하기 위해 7-아실옥시미토산이 사용된다. (Kyowa Hakko Kogyo KK, 일본특허 제 J 5 6073-085, Farmodoc 제 56227 D/31호).
본 발명은 모노구아니디노, 또는 미토마이신 C의 7-아미노질소원자와 N10카르바모일 질소 원자 둘다나 혹은 둘중의 하나가 이미다노 치환체의 일부분이거나 7-아미노 질소원자가 구아니디조기의 일부분인 미토마이신 C의 모노-및 비스-아미디노 유사물에 관한 것이다. 7-위치에 메톡시가 존재하며 N10-위치에 아미디노기를 가진 미토마이신 A에 대응하는 유사물도 또한 포함된다.
본 발명 화합물은 다음의 일반식을 갖는다.
Figure kpo00004
상기식에서,
A는 아미노, 메톡시, 히드록시, (1-저급알킬-2-1(H)-피리디닐이덴)이미노,
Figure kpo00005
Figure kpo00006
Figure kpo00007
Figure kpo00008
Figure kpo00009
Figure kpo00010
이며,
B는
Figure kpo00011
의 아미노 또는 아미디노기인데, A와 B중의 최소한 하나는 아미노, 메톡시 또는 히드록시 이외의 특별기이며,
n은 0, 1, 2 또는 3의 정수기이고,
R1은 수소, 저급알킬, 저급알카노일, 벤조일 또는 저급 알킬, 저급 알콕시, 할로,아미노 또는 니트로기가 치환된 치환-벤조일기이며,
R2는 수소, 저급알킬, 페닐, 저급 알킬페닐, 저급 알콕시 페닐, 할로페닐, 아미노페닐, 니트로페닐, 티에닐, 푸틸, 시아노, 저급 디알킬 아미노, 저급 알콕시, 또는 저급 알킬티오기이며,
R3는 저급알킬, 저급 알콕시 또는 R4및 질소원자와 함께 결합되어 피롤리딘, 2-, 또는 3-저급 알킬 피롤리딘, 피페리딘, 2-, 3-, 또는 4-저급 알킬피페리딘, 2, 6-저급 디알킬 피페리딘, 피페라진, 4-치환피페라진(4-치환체는 1-8 탄소원자를 가진 알킬 또는 카르브알콕시, 페닐, 메틸페닐, 메톡시페닐, 할로페닐, 니트로페닐, 또는 벤질), 아제핀, 2-, 3-, 4-, 또는 5-저급 알킬아제핀, 모르폴린, 티오모르폴린, 티오모르폴린 -1-옥사이드, 또는 티오모르폴린 -1,1-디옥사이드를 형성하며,
R4는 저급알킬, 또는 R3및 질소원자와 함께 피롤리딘, 2-또는 3-저급알킬피롤리딘, 피페리딘, 2-, 3-또는 4-저급알킬피페리딘, 2,6-저급 디알킬피페리딘, 피페라진, 4-치환 피페라진(4-치환체는 1-8탄소원자를 지닌 알킬 또는 카르브알콕시, 페닐, 메틸페닐, 메톡시페닐, 할로페닐, 니트로페닐 또는 벤질), 아제핀, 2-, 3-, 4-, 또는 5-저급알킬아제핀, 모르폴린, 티오모르폴린-1, -옥사이드 또는 티오모르폴린 -1,1-디옥사이드를 형성하며,
R5는 3차-알킬을 제외한 C1_18알킬, C1_18알케닐, C1_18알키닐, C1_18할로알킬, C1_18히드록시알킬, C4_8시클로알킬, 12개 이하의 탄소원자를 가진 아릴 또는 저급 아르알킬, 또는 탄소원자가 2개이상인 3-8원링의 헤테로알리시클릭 또는 헤테로 방향족기이며,
R7과 R9는 각각 수소 또는 저급 알킬이다.
(단, 상기식에서 저급알킬, 저급알카노일 및 저급 알콕시기는 1-6탄소원자를 함유한 것을 말한다).
상기 아미디노기중 어떤것들은 토오토머형으로 존재한다. 또한, 이런 형들은 상기 일반식에 포함되며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일반식(Ⅰ)의 물질은 실험용 동물에서 항종향 활성을 가진다. 또한 이러한 물질은 항종양 활성을 가진 다른 화합물의 제조시 중간체로서 유용하다. 본 발명에는 상기 물질의 제조방법 및 항종양 활성을 가진 다른 유용한 화합물로의 변환 방법도 포함된다.
동물에서 항종양 활성을 가진 다른 화합물의 제조시 중간체로서 본 물질을 사용하는 본 발명과정에는 상기일반식에서 A또는 A와 B가 아미디노기인 일반식(Ⅰ)의 화합물과 N10-아미노메틸렌 치환체의 쪼개짐(cleavage)에 의한 1차 아민과의 반응, 미토마이신 A와 미토마이신 C에서 N10-아미노메틸렌치환체가 NH2기로 전환되는 상기 일반식(Ⅰ)의 화합물과의 반응을 포함한다. 예외는 있다할지라도, 1차아민은 7-위치에서 아미디노기의 치환에 의해서 반응되고 또한 7-위치에서 반응물에 대응하는 아미노 치환체와의 재배치 방법에 의해 반응된다. 이러한 반응은 하기 반응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Figure kpo00012
R5는 이미 공지되어 있거나 새로운 7-치환된 아미노미토마이신 C화합물의 질소 치환체로서, 일반식(Ⅱ)의 7-아미디노기의 치환이 가능한 1차 아민에는 3차 -알킬을 제외한 C1-18알킬, C1-18알콕시, C1-18알케닐, C1-18알키닐, C1-18할로알킬, C1-18히드록시알킬, C4-8시클로알킬, 탄소원자수가 12개 이하인 저급 아릴 또는 저급 아르알킬 또는 저급 아르알콕시이거나 탄소원자가 최소한 2개 이상인 3-8원링의 헤테로 알리시클릭 또는 헤테로 방향족 기등이 있다. N10아미디노치환체의 쪼개짐에 의해 1차 아민으로 변환이 가능한 질소 치환체인 R6는 약 염기성 지방족 아민 또는 입체장애가 큰 알킬아민 또는 아르알킬아민의 잔기이다. 이러한 보기로서는 트리플루오로에틸아민, 벤조하이드릴아민(예 : 아미노디페닐메탄)또는 3차-부틸-아민 등이 있다.
일반식(Ⅰ)의 화합물은 미토마이신 C, 7-히드록시-9a-메톡시미토산, 또는 미토마이신 A와 N1a-치환된 미토마이신 A의 유사물과 아미드 아세탈과의 반응에 의해서 제조된다.
A만이 아미디노기인 일반식(Ⅰ)의 화합물은 미토마이신 C또는 N1a-치환된 미토마이신 C의 유사물을 N7에 음이온을 형성하기 위해 강염기와 반응시키고, 이 음이온을 할로메틸렌이미늄염과 같은 아미노 메틸렌기를 발생시킬 수 있는 시약과 반응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화합물은 7-아미노기가 치환 또는 비치환 아미디노기와 결합한 미토마이신 C 유사물이다. 본 화합물은 동물종양에 대한 강한 항종양 작용을 가진다. 상기 화합물은 미토마이신 C와 7-아미노기를 7-아미디노기로 변환시킬 수 있는 시약과의 반응에 의해서 제조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시약으로는 높은 수득율을 가지며 보통 조건하에서 미토마이신 C와 반응할 수 있는 아미드 아세탈이 있다.(실시예 1-5와 18), 아미딘을 형성하는 또다른 기의 시약에는 이미도일 할라이드(실시예 17), 할로메틸렌이미늄염(실시예 15), 2-할로-1-알킬피리디늄 할라이드(실시 예 16) 및 이미노에테르 또는 이미노티오에테르(실시예 13 및 14) 등이 있는데 이러한 것들은 강 염기로 처리함으로서 7-아미노기의 양성자 이탈 반응에 의해 형성된 미토마이신 C의 음이온과 반응한다. 미토마이신 C의 양성자 이탈 반응조건은 디메틸포름아미드 용액에 있는 미토마이신 C 를 1.5몰비를 가지는 수소화나트륨과 실온에서 처리하는 것이다. 형성된 음이온과 상기시약중의 어느 한 시약을 반응시키는 반응에서, 시약과 미토마이신 C와의 비율을 1내지 1.5몰비로 하여 실온 내지 -60℃의 온도에서 반응시킨다. 디메틸포름아미드, 헥사메틸포스포트아미르, 디메틸 술폭사이드 또는 피리딘과 같은 반양성자성 극성 유기용매는 반응 매체로서 사용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된 방법에 수정이 가해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방식에 의한 미토마이신 C의 형성에 구속되지 않는다.
B또는 A및 B 각각이
Figure kpo00013
의 아미노기인 일반식(Ⅰ)의 화합물에 대한 바람직한 제조방법은 미토마이신 C또는 미토마이신 A또는 N1a-치환된 유도체를 하기 일반식(Ⅴ)의 아미드 아세탈과 반응시키는 것이다 :
Figure kpo00014
상기식에서,
R2, R3, R4는 상기 정의와 같고,
R8은 탄속수가 6이하인 저급 알킬 또는 시클로 알킬이거나, 혹은 두개의 R8기가 2개의 산소원자와 결합하여 알킬렌 사슬을 형성하여 5 또는 6개의 원링의 고리구조의 탄소원자가 삽입된다.
1차 아민의 아미드 아세탈의 반응은 종래부터 기술되어 오고 있고, 종래 기술된 반응에 의해 미토마이신 C, 미토마이신 A 또는 N1a알킬유도체의 반응이 어떻게 진행되는가를 알 수 있다.
(H.E. Winberg의 미합중국 특허 제 3,121,084(1964년 2월 11일)과 R.F. Abdulla 등의 “The Chemistry of Formamide Acetals”, Tetrahedron, Vol. 35 pp. 1720-24(1979)을 참조).
상기 반응은 액체 무수 반응 매체속에서 반응시키는 것이 유리한데, 이러한 매체는 반응조건과 부합되는 액체인 희석제이다. 희석제로는 할로겐화된 저급 지방족 탄화수소 또는 저급 알칸올, 또는 양자의 혼합물이다. 클로로포름 및 메탄올과 이들의 혼합물이 특히 적합하다. 반응은 반응이 종결되기까지 충분한 시간동안 40° -65℃의 온도에서 진행된다.
과량(∼60배)의 아세탈이 사용될때, 제일많이 형성되는 생성물은 비스-아미디노 생성물인데, 이것은 A와 B 기가 모두 아미디노기인 일반식(Ⅰ)의 물질이다. 때로 N1a-포르밀 유도체가 부산물로 형성된다. 그러나, 제한된 양(∼10배)의 아세탈을 사용하면, 비스-아미디노 생성물과 더불어 모노 아미다노 생성물이 형성되는데, 이것은 A가 아미노기이고 B가 아미디노기인 일반식(Ⅰ)의 물질이다.
상기 반응 생성물의 혼합물은 다음에 명시된 보기에서와 같이 크로마토 그래피에 의해 쉽게 분리가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아미드 아세탈은 표Ⅰ에 명시되어 있는 바, 이것은 Abdulla 등의 논문 p.1685에서 인용한 것이다.
[표 1]
Figure kpo00015
R2가 시아노, 저급 디알킬아미노, 저급 알콕시 또는 저급 알킬티오인 일반식(Ⅰ)의 물질은 하기와 같은 오르토위치에 탄산염유도체가 있는 아미드 아세탈의 치환에 의해 제조된다.
Figure kpo00016
이러한 시약들의 출처는 다음과 같다.
일반식(Ⅵ) : Kantlehner, et, al. Liebigs Ann. Chem., 1981, 70-84
일반식(Ⅶ)(Ⅷ) 및 (Ⅸ) : H. Meerwein, et al. Liebigs Ann. Chem. 641, 1(1961).
A가
Figure kpo00017
또는
Figure kpo00018
인 일반식 (Ⅰ)의 아미디노 유도체는 미토마이신 C의 음이온형이나 N7-치환된 유도체로부터 제조된다. 이 과정에서 사용하는 적합한 할로메틸렌 이미늄 염에 대해서 여러 문헌에 명시되어 있다. 대표적인 화합물은 W. Kantlehner의 “Advances in Organic Chemistry”, Vol. 9, Part 2, Wiley Interscience 1979, pp.81및 82에 명시되어 있다. 표Ⅱ에 명시되어 있는 화합물들은 Kantlehner Summary로부터 인용한 것이다.
[표 Ⅱ]
Figure kpo00019
Figure kpo00020
표(Ⅱ)에 명시된 할로메틸렌 이미늄염을 반응물로서 사용할 때, 용매로서 이에 대응하는 아미드를 사용하는 것이 편리한데, 이미늄은 아미드로부터 제조된다. 대응하는 아미드가 고체일 경우에는, 헥사메틸포스포르 아미드 또는 피리딘이 사용된다. 실시예 17및 19은 이것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N-치환된 포름아미드로부터 유도되는 이미도일 클로라이드는 또한 반응물로서 편리하게 사용된다. 이화합물의 제조에 대해서는 H. Ulrich의 “The Chemistry of Imidoyl Halide”, Plenum Press New York, 1868, pp. 74-76에서 인용해 표Ⅲ에 명시했다. 아민과 포름아미딘과의 반응은 S.R. Sandler 및 W. Karo의 “Organic Chemistry”, Vol. 12-Ⅲ, A. T. Blomquist 및 H. Wasserman, editors, Academic Press, New York 1972, p.227에 명시되어 있다.
[표 Ⅲ]
Figure kpo00021
A가 질소-비치환 아미디노기,
Figure kpo00022
, 또는
Figure kpo00023
인 일반식(Ⅰ)의 물질은 아미노-보호된 이미노 에테르를 상기 명시된 음이온 형인 미토마이신 C, 이것의 N7-치환유도체 또는 이것의 N1a-저급 알킬 유도체와 반응시킨 후, 보호기를 편리한 방법에 의해 제거함으로써 제조된다.
아미노기가 β-트리메틸실릴에톡시카르보닐기에 의해 보호되는 이소프로필포름이미데이트가 적합한 반응물이다.(실시예 3).
Figure kpo00024
A가(1-저급-알킬-2(1H)-피리디닐이덴)아미노,
Figure kpo00025
기일 때, 제조과정에는 미토마이신 C의 음이온형과
Figure kpo00026
의 R2및 R3가 결합하여 링을 형성한 화합물에 있는 할로메틸렌 이미늄염 또는 이미도일 할라이드와의 반응과정이 포함된다. 미토마이신 C 음이온과 반응하는 바람직한 시약은 2-클로로-1-메틸피리디늄 요오드화물(실시예 16), 2-클로로-4, 5-디하이드로-1메틸-1(3H)-피롤리디늄클로라이드(표Ⅱ), N, N'-디메틸-N,N'-트리메틸렌 클로로포름아미디늄 클로라이드(실시예 28)와 2-아제티디논, 2-피롤리디논, 2-피페리디논 및 2-아제피논에서 유도된 시클릭 이미도일 할라이드 등이다.
최종 생성물의 R7또는 R9가 수소일때는 상기 보호기는 시클릭할로메틸렌이미늄염에서 사용된 것이다.
A또는 A 및 B모두가
Figure kpo00027
의 아미디노기인 일반식(Ⅰ)의 물질은 R5NH의 일차 아민(R5는 3차알킬을 제외한 C1-18알킬, C1-18알케닐, C1-18알키닐, C1-18할로알킬, C1-18히드록시알킬, C4-8시클로알킬 또는 탄소수가 12이하인 아릴 또는 저급 아로알킬이나 최소한 2개 이상의 탄소원자가 존재하는 3-8원링의 헤테로 알리시클릭 또는 헤테로 방향족 기로부터 선택됨)과 반응한다. 반응조건과 모순되는 작용기가 제외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1차 아민을 선택할 때의 단 한가지 제한점은 아미노질소 원자에 최소한 1개 이상의 수소 원자와 2개 이하의 아릴기를 품는 탄소원자들이 부착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무수액체유기화합물은 반응 매체로서 사용되는데, 이런 물질은 반응 조건과 모순되지 않는 범위에서 사용되고, 반응에 해를 입혀서는 안된다. 1차 아민 반응물은 일반적으로 과량으로 사용된다.
반응온도는 -15°-50℃범위이다. 이 반응의 생성물은 7-치환아미노-9a-메톡시미토산, 즉 R5가 상기의 정의와 같은 치환체를 7-아미노기상에 품은 미토마이신 C의 유도체이다. 이러한 화합물은 종래로부터 실질적인 항종양활성을 갖고 있음이 알려졌다.
R6NH2로 표시되는 1차 아민은 전술한 방법에 따라 7-아미디노기를 치환할 수 없음을 알게 되었다. R6는 알킬, 시클로-알킬, 시클로알킬알킬, 아르알킬 또는 아미노기를 품는 탄소원자가 2개의 아릴기를 품는 3차 탄소원자 또는 2차 탄소원자인 4-18탄소원자를 갖는 헤테로 알리 시클릭이다. 또한 트리플루오로에틸아민과 같은 약염기성 지방족 아민도 7-아미디노기를 치환할 수 없다.
이러한 아민들은 A 및 B 가 모두
Figure kpo00028
의 아미디노기인 일반식(Ⅰ)의 화합물을 단지 A만 아미디오기인 일반식(Ⅰ)의 화합물로 변환시키는데 사용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7-아미디노기를 치환하는 능력이 부족한 이러한 아민들은 B로 나타내는 아미디노기를 NH2로 쪼개어 카르브아미도 작용이 있는 특징적인 비치환 미토산을 제조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아민 그 자체는 반응매체로서 작용하거나 혹은 상기 전술한 용매계에 사용된다. 상기 반응은 20°-60℃의 온도에서 진행된다.
하기 실시예로 본 발명이 예시된다.
융점은 토마스-후버(Thomas-Hoover)모 세관융점장치를 사용해서 기록한 것으로, 보정되지 않는다. 온도는 섭씨온도이다. 핵자기 공명(NMR) 스펙트럼은 특별한 언급이 없는한 피리딘-d5에서 바리안(Varian) XL100분광계에서 측정한 것이다. 적외선(IR) 스펙트럼은 백크만(Beckman) 4240분광광도계를 사용했고 샘플은 브롬화 칼륨에 의해 펠릿으로 압축되었다. IR은 cm-1의 Vmax을 나타낸 것이다.
UV-가시스펙트럼의 측정은 바리안-캐리(Varian-cary)219분광광도계를 사용했다.
얇은 막 크로마토그래피(tlc)는 0.25mm 로 예비 피복된 실리카겔 플레이트상에서, 가시제로는 자외선을 사용하여 실시되었다. 플래시(flash)크로마토그래피는 실리카 윌름(Silica Woelm : 32-63μm)를 사용한 것이다. 용매는 감압 및 50℃이하의 온도에서 증발한다.
[실시예 1]
화합물 Ⅴ
7-[(디메틸아미노)메틸렌]아미노-N10-(디메틸아미노)-메틸렌-9a-메톡시미토산
화합물 Ⅵ
7-[(디메틸아미노)메틸렌]아미노-N10-(디메틸아미노)-메틸렌-N1a-포르밀-9a-메톡시미토산.
Figure kpo00029
25ml의 클로로포름에 용해된 500mg(1.50mM)의 현탄액에 N, N-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아세탈을 총 9.6ml(처음에, 18시간, 21시간, 23시간 후에 각 2.4ml씩)첨가하고, 현탄액은 약 50℃에서 41시간동안 교반한다. 감압하에서 용매와 반응하지 않은 과량의 시약을 증발시키면, 암녹색의 잔사가 얻어진다.
t1C(메틸렌 클로라이드 / 메틸올 20:1)에 의해 미토마이신 C의 부재와 2개의 새로운 녹색의 성분(Rf-0.16 및 0.22)이 존재함을 알 수 있다. 주성분(Rf=0.16)은 플래시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유리되는데, 용출액으로 20:1의 메틸렌클로라이드 / 메탄올을 사용한다. 디에틸에테르에 용해된 용액에 헥산을 첨가하면 녹색의 고체(340mg 51.5%)인 암녹색 비결정질 분말의 화합물 Ⅴ 가 제조된다.
NMR(피리딘-d5, δ) : 2.18(s, 3H), 2.70(bs, 1H),
2.76(s, 3H), 2.82(s, 3H), 2.86(s, 6H),
3.22(s, 3H), 3.30(bs, 1H),
3.60(d, J=12Hz), 4.2(dd, 1H J=10, 4Hz),
4.43(d, 1H, J=12Hz), 4.90(bs, 1H),
5.10(t, 1H, J=10Hz),
5.52(dd, 1H, J=10,4 Hz), 7.85(s,1H),
8.64(s, 1H).
IR(KBr), νmax, cm-1: 3300, 2930, 1675, 1620, 1545, 1230, 1060
UV(H2O), λmax, nm : 390 및 244
C12H28N6O5의 분석 ;
산출치 : C, 56.71 : H, 6.08 : N, 18.90
실측치 : C, 56.20 : H, 6.28 : N, 17.88
부성분(Rf=0.22)은 디에틸 에테르 및 헥산으로 침전된 고체로서 화합물 VI이다.
NMR(피리딘-d5,δ) : 2.20(s, 3H), 2.60-3.00
(3단일상태, 12H), 3.2(s, 3H),
3.65(m, 2H), 4.04(d, 1H, J=4Hz),
4.16(dd, 1H, J=12,4Hz),
4.60(d, 1H, J=12Hz), 4.86(t, 1H, J=12Hz),
4.90(s, 1H), 5.48(dd, 1H, J=12, 4Hz),
7.90(s, 1H), 8.64(s, 1H),
9.06(s, 1H).
IR(KBr), νmax, cm-1: 2490, 2860, 1698, 1630, 1600, 1540, 1250, 1060
UV(H2O), λmax, nm : 390 및 244
C22H28N6O6의 분석 ;
산출치 : C, 55.89 : H, 5.93 : N, 17.78
실측치 : C, 55.41 : H, 5.96 : N, 16.99
10시간 이상동안 실온에서 방치한 후, 에틸 아세테이트나, N, N-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 아세탈에 용해되어 있는 화합물 V 및 VI의 용액은 화합물 VI(Rf=0.22)가 화합물 V(Rf=0.16)로 전환되어 화합물 V가 풍부한 용액으로 된다는 것을 tlc을 사용하여 알게 되었다.
실시예 2-7은 약간의 수정을 가한 실시예 1의 방법에 따라서 진행되며 본 발명의 여러 화합물이 제조된다.
[실시 예 2 ]
화합물 Ⅶ
7-[(디이소프로필아미노)메틸렌] 아미노 -N10-(디이소프로필아미노)메틸렌 -9a-메톡시미토산.
N, N -디이소프로필포름아미드 디에틸아세탈(3ml)에 현탁된 미토마이신 C(2 00mg, 0.6mM)현탄액을 15시간동안 53℃에서 교반하면서 가열한다. 반응 혼합물을 50ml의 물에 붓고 에틸아세테이트(3×30ml)로 추출한다.
조합된 유기추출물을 Na2SO4를 사용해서 건조 증발시켜 암녹색의 시럽을 얻고, tlc(메틸렌클로라이드/메탄올 10:1)을 사용해 더 빠르게 움직이는 불순물(Rf=0.45-0.50)과 같이 있는 녹색의 성분(Rf=0.43)이 많이 있음을 확인하다. 이 주성분 Ⅶ은 용출액으로서 20:1의 메틸렌클로라이드/메탄올을 사용한 플래시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암녹색의 고체(156mg, 46.8%)로 유리된다.
NMR(CDCl3, δ) : 1.10-1.50(5단일 상태, 24H)
1.94(s, 3H), 2.78(dd, 1H, J=4, 2Hz),
3.05(d, 1H, J=4Hz), 3.22(s, 3H),
3.60(m, 5H), 3.75(dd, 1H, J=10, 4Hz),
4.24(d, 1H, J=12Hz),
4.56(t, 1H, J=10Hz),
4.88(dd, 1H, J=10, 4Hz),
7.83(s, 1H), 8.67(s, 1H).
IR(KBr), νmax, cm-1: 3320, 2990, 2940, 1680, 1630, 1600,1550, 1235, 1060
UV(MeOH), λmax: 246 및 393nm
C29H44N6O5의 분석 ; 산출치 : C, 62.55 : H, 7.91 : N, 15.10
실측치 : C, 62.03 : H, 7.80 : N, 14.60
[실시예 3]
화합물 XIV
7-[(디메틸아미노)메틸렌] 아미노-N10-(디메틸아미노)-메틸렌-9a-메톡시 -N1a-메틸미토산.
본 실시예는 포르피토마이신(N1a-메틸미토마이신 C) 130mg(0.37mM)을 개시제로 사용하고 반응용매로서 10ml의 크로로포름 및 2ml의 메탄올을 사용하여 0.8ml (1.5mM)의 N, N-디메틸 포름 아미드 디메틸아세탈과 50℃에서 50분간 반응시키는 것이다. 화합물 XIV는 반응용매가 증발된 후 시럽형으로 제조된다. 20g의 실리카겔과 용출액으로서 20:1의 메틸렌클로라이드/메탄올을 사용하는 플래시 크로마토 그래피에 의해 정제시킨다.
NMR(피리딘-d5, δ) : 2.22(bs, 4H), 2.28(s, 3H),
2.70(d, 1H, J=4Hz), 2.80(s, 3H),
2.84(s, 3H), 2.90(s, 6H),
3.20(s, 3H),
3.52(dd, 1H, J=2, 12Hz),
4.10(dd, 1H, J=4, 11Hz)
4.38(d, 1H, J=2, 12Hz),
4.92(t, 1H, J=11Hz), 4.96(bs, 1H),
5.46(dd, 1H, J=4, 11Hz),
7.86(s, 1H), 8.70(s, 1H).
Rf=0.53(9:1의 메틸렌클로라이드 / 메탄올을 사용한 tlc)
IR(KBr), νmax, cm-1: 2930, 1680, 1620, 1545, 1230, 1115
UV(MeOH), λmax, nm : 386 및 243
C22H30N6O5의 분석 ;
산출치 : C, 57.60 : H, 6.55 : N, 18.33
실측치 : C, 57.11 : H, 6.11 : N, 17.99
상기 제조에 있어서, 부산물로서 30%의 수득율과 tlc의 Rf=0.40(메틸렌클로라이드/메탄올=9 : 1)인 화합물 XV, (7-아미노-N10-디메틸아미노메틸렌-9a-메톡시 -N1a-메틸미토산)이 제조된다.
NMR(피리딘-d5, δ) : 2.02(s, 3H),
2.16(dd, 1H, J=2, 5Hz),
2.25(s, 3H), 2.66(d, 1H, J=5Hz),
2.76(s, 3H), 2.86(s, 3H),
3.18(s, 3H),
3.51(dd, 1H, J=2, 12Hz),
4.08(dd, 1H, J=4, 10Hz),
4.50(d, 1H, J=10Hz),
4.90(t, 1H, J=10Hz), 5.50(bs),
5.43(dd, 1H, J=4, 10Hz),
8.70(s, 1H)
IR(KBr), νmax, cm-1: 3430, 3330, 3270, 2940, 2960, 1690, 1625, 1553, 1230, 1125
UV(MeOH), λmax, nm : 358, 244및 216
C19H25N5O5의 분석 ;
산출치 : C, 56.53 : H, 6.20 : N, 17.38
실측치 : C, 54.68 : H, 6.13 : N, 16.59
[실시 예 4]
화합물 IX
9a-메톡시-7-[(1-피페리디닐)메틸렌]아미노-N10-(1-피페리디닐 메틸렌)미토산
N-(디에톡시메틸)피페리딘 3ml와 미토마이신 C 200mg를 3ml의 클로로포름용액에서 2.5시간 동안 60℃에서 반응시킨다.
생성물은 27.6%의 수득율과 tlc의 Rf=0.20(메틸렌클로라이드/메탄올=20 : 1)을 가진다.
NMR(피리딘-d5, δ) : 1.38(bs, 12H), 2.20(s, 3H)
2.80(bs, 1H), 3.24(s, 3H)
3.00-3.40(m, 5H), 3.40-3.80(m, 5H),
4.13(dd, 1H, J=10, 4Hz),
4.45(d, 1H, J=12, 4Hz), 4.90(bs, 2H),
5.12(t, 1H, J=10Hz),
5.56(dd, 1H, J=10, 4Hz), 7.87(s, 1H)
8.70(s, 1H),
IR(KBr), νmax, cm-1: 3300, 2950, 2870, 1680, 1630, 1610, 1550, 1200, 1070
UV(H2O), λmax, nm : 394 및 246
C27H36N6O5의 분석 ;
산출치 : C, 61.79 : H, 6.87 : N, 16.02
실측치 : C, 61.01 : H, 6.85 : N, 15.34
상기 물질의 N1a-유도체인 화합물(Ⅷ)(N1a-포르밀-9a-메톡시-7-[(1-피페리디닐)메틸렌]아미노-N10-(1-피페리디닐메틸렌)미토산)이 주성분으로 제조된다. 수득율 : 43%, tlc의 Rf=0.25(메틸렌클로라이드/메탄올=20 : 1)
NMR(피리딘-d5, δ) : 1.38(bs, 12H), 2.23(s, 3H)
300-3.40(m, 4H), 3.23(s, 3H),
3.40-3.90(m, 6H),
4.07(d, 1H, J=4Hz),
4.18(dd, 1H, Z=11, 4Hz),
4.63(d, 1H), 4.90(t, 1H, J=11Hz),
4.94(bs, 1H), 5.54(dd, 1H, J=11, 4Hz), 7.94(S, 1H ), 8.71(s, 1H),
9.08(s, 1H),
IR(KBr), νmax, cm-1: 2490, 2860, 1698, 1630, 1600, 1540, 1250, 1060
UV(H2O), λmax, nm : 394 및 247
C28H36N6O6의 분석 ;
산출치 : C, 60.08 : H, 6.52 : N, 15.21
실측치 : C, 59.99 : H, 6.17 : N, 15.07
[실시예 5]
화합물 Ⅹ
9a-메톡시-7-[(1-모르폴리노)메틸렌]아미노-N10-1-모르폴리노메틸렌미토산
클로로포름(10ml)와 N-디에톡시메틸모르폴린(4ml)에 현탁된 미토마이신 C(200mg, 0.6mM)의 교반된 현탁액을 약 53℃에서 42시간동안 가열시킨다. 반응 혼합물을 고진공하에서 시럽으로 농축시킨다.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메틸렌 클로라이드 / 메탄올 = 25 : 1)에 의해 과량의 시약으로부터 녹색의 성분을 분래해 낸다. 조합된 녹색성분을 20ml에틸아세테이트에 용해시켜 물로 씻는다(3×20ml), 조합된 세척물을 에틸아세테이트로 재 추출한다 (3×15ml), 에틸아세테이트 분류액 모두를 조합시켜 Na2SO4을 사용해 건조시키고 증발시켜 암녹색의 시럽을 얻은 후, tlc. (메틸렌클로라이드 / 메탄올=10 : 1)의 조사에 의해 약간의 녹색의 불순물(Rf=0.35-0.40)이 있는 선명한 녹색성분(Rf=0.33)이 있음을 알 수있다. 플래시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Rf 가 0.33인 성분은 화합물(X)인 암녹색의 비결정질 고체(130mg, 56.8%)로 유리되어 진다.
NMR(CDCl3, δ) : 1.91(s, 3H), 2.80(bs, 1H), 1.13(d, 1H, J=2Hz),
3.22(s, 3H), 3.30-3.94(m, 18H),
4.20(d, 1H, J=12Hz), 4.40(bs, 1H),
4.54(t, 1H, J=10Hz), 4.88(dd, 1H, J=10, 4Hz),
7.74(s, 1H), 8.51(s, 1H).
IR(KBr), νmax, cm-1: 3300, 2970, 2920, 1680, 1625, 1550, 1235, 1070
UV(MeOH), λmax, nm : 386 및 244
C25H32N6O7의 분석 ;
산출치 : C, 56.78 : H, 6.06 : N, 15.90
실측치 : C, 53.07 : H, 6.03 : N, 15.37
[실시예 6]
화합물 XVI
7-아미노-N10-디메틸아미노메틸렌-9a-메톡시미토산 미토마이신 C(200m g, 0.6mM)을 10ml의 클로로포름 및 2ml의 메탄올에 용해시키고, N, N-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아세탈(0.64ml, 4.8mM)을 첨가하고, 용액을 약 50℃에서 50분간 교반시킨다. tcl(메틸렌클로라이드/메탄올=90 : 10)에 의해 반응하지 않는 미토마이신(Rf= 0.22)의 흔적과 2개의 새로운 성분(Rf=0.42 및 0.33)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용액을 감압하에서 시럽으로 농축시켜, 용출액으로서, 메틸렌 클로라이드 / 메탄올(20 : 1)을 사용하여 플래시크로마토그래피(25g 실리카겔)한다.
용출이 빠른 성분(Rf=0.42)은 녹색의 비결정질 고체(60mg, 22.5%)로서, NMR스펙트럼(피리딘 -d5)에 의해 화합물(V)임이 확인되었다.
대부분의 푸른색 성분(Rf=0.33)은 비결정질의 고체(148mg, 63.3%)로 유리되었는바, 이것은 화합물(XVI)이다. 분석용 샘플은 메틸렌클로라이드와 n-헥산으로 침전시켜 얻는다.
NMR(피리딘-d5, δ) : 2.02(s, 3H), 2.76(bs, 4H),
2.86(s, 3H), 3.21(s, 3H),
3.28(d, 1H, J=4Hz),
3.62(dd, 1H, J=2, 13Hz), 3.94(bs)
4.14(dd, 1H, J=4, 12Hz),
4.56(d, 1H, J=13Hz),
5.12(t, 1H, J=10Hz),
5.52(dd, 1H, I=10Hz)
IR(KBr), νmax, cm-1: 3430, 3320, 3280, 2930, 1675, 1615, 1650, 1230, 1115
UV(H2O), λmax, nm : 364, 244 및 219
C18H23N5O5의 분석 ;
산출치 : C, 55.48 : H, 5.91 : N, 17.98
실측치 : C, 54.70 : H, 61.45 : N, 17.95
[실시예 7]
화합물 XVII
7, 9a-디메톡시-N10-디메틸아미노메틸렌미토산
실시 예 1의 미토마이신 C 대신에 사용한 미토마이신 A(170mg)을 클로로포름 /메탄올(10 : 1) 용액에서 N, N-디메틸포름아미드디메틸아세탈(0.6ml)과 50℃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킨다. 바라는 바의 생성물은 48%의 수득율과 tlc, Rf=0.50(메틸렌클로라이드 /메탄올 9 : 1)이다.
NMR(피리딘-d5, δ) : 1.83(s, 3H), 2.76(bs, 4H),
2.86(s, 3H), 3.22(s, 3H),
3.28(d, 1H), 3.56(dd, 1H, J=2, 13Hz),
4.02(s, 3H), 4.10(dd, 1H, J=4, 10Hz),
4.24(d, J=13Hz),
5.10(t, 1H, J=10Hz),
5.50(dd, 1H, J=4, 10Hz)
8.67(s, 1H)
IR(KBr), νmax, cm-1: 3300, 2930, 1675, 1655, 1625, 1500, 1235, 1120
UV(H2O), λmax, nm : 530, 316 및 244
C19H24N4O6의 분석 ;
산출치 : C, 56.39 : H, 5.94 : N, 13.85
실측치 : C, 56.51 : H, 5.92 : N, 13.71
화합물(XVII)의 N1a-포르밀유도체는 화합물(XVII) (7,9a-디메톡시-N10-디메틸아미노메틸렌-N1a-포르밀미토산)으로 얻어지고 수득율은 16.5%, tlc의 Rf=0.6 1(메탈렌클로라이드/메탄올=9 : 1)이다.
NMR(피리딘-d5, δ) : 1.88(s, 3H), 2.76(s, 3H),
2.85(s, 3H), 3.54(d, 1H),
3.62(bs, 1H), 4.05(s, 3H),
4.05(bs, 1H), 4.14(dd, 1H, J=4, 12Hz),
4.40(d, 1H, J=13Hz), 4.86(t, 1H, J=12Hz)
5.42(dd, 1H, J=4Hz, 12Hz),
8.66(s, 1H), 9.08(s, 1H)
[실시예 8]
화합물 XIX
7-(디메틸아미노메틸렌)아미노-9a-메톡시미토산
메탄올(10ml)에 용해된 화합물(V)(600mg, 1.35mM)에 아미노디페닐메탄 (2.2ml, 10.8mM)을 첨가하고, 용액을 54℃에서 4시간동안 교반시킨다. 반응진행을 tlc(메틸렌클로라이드 / 메탄올= 90 : 10)로 살핀다. 4시간이 지난 후 개시제(Rf=0.3 5)는 사라지고 대신에 많은 녹색영역이 생긴다. 용액을 감압하에서 시럽으로 농축시켜, 그 시럽을 용출액으로서 메틸렌클로라이드 / 메탄올(20 : 1)을 사용해 플래시크로마토그래피화(25g의 실리카겔)한다. 녹색의 성분(Rf=0.29)을 함유한 분류(分溜)액을 수취하여 Na2SO4로 건조시켜 농축시킨다. 화합물(XIX)가 비결정질의 고체(215mg, 41%)로서 얻어진다..
NMR(피리딘-d5, δ) : 2.18(s, 3H), 2.70(bs, 1H),
2.80(s, 3H), 2.88(s, 3H),
3.08(bs, 1H), 3.24(s, 3H),
3.56(bd, 1H, J=12Hz),
4.00(dd, 1H), 4.44(d, 1H, J=12Hz),
5.06(t, 1H, J=10Hz),
5.56(dd, 1H, J=10, 4Hz), 7.58(bs, 2H),
7.88(s, 1H).
IR(KBr), νmax, cm-1: 3300-3450, 2960-2910, 1715, 1620, 1535, 1050
UV(H2O), λmax, nm : 390 및 226
C18H23N5O5의 분석 ;
산출치 : C, 55.48 : H, 5.91 : N, 17.98
실측치 : C, 54.83 : H, 5.67 : N, 16.90
N1a-포르밀유도체화합물 VI)가 실온과 20시간동안 반응 조건하에서 실시 예 8의 화합물(V)대신에 개시제로 사용될때, 화합물(XIX)가 같은 방법에 의해, 같은 수득율을 가지고 제조된다.
[실시예 9]
화합물 XX
7-(디메틸아미노에틸렌) 아미노 -9a-메톡시-N1a-메틸미토산 화합물(XIV )(1g, 2.18mM)을 20ml의 메탄올에 용해하여 아미노디페닐메탄(3.5ml, 17.18mM)에 첨가하고, 그 용액을 실온에서 5시간 동안과 40℃에서 5시간 동안 교반시킨다.
tcl (CH2Cl2/MeOH=90 : 1)에 의해 반응 혼합물에는 거의 모든 개시제(Rf=0. 55)가 소비되고 새로운 녹색 영역이 나타남을 알 수 있다. 실시 예 8에서 명시된 같은 방법에 의해 비결정질 고체의 화합물(XX)(350mg)이 제조된다.
CH2Cl2/MeOH (250ml, 96/4v/v)을 사용한 플래시크로마토그래피(7g, 실리카겔)에 의해 여과를 한 후, 메틸렌 클로라이드(5ml)와 헥산(50ml)으로 이 고체를 침전시킨 후, 분석이 가능한 순수한 화합물(XX)(314mg, 35.7%)의 고체를 얻는다.
NMR(CDCl3, δ) 1.93(s, 3H), 2.26(bs, 1H),
2.26(s, 3H), 3.06(s, 3H), 3.8(bs, 1H),
3.10(s, 3H), 3.20(s, 3H),
3.46(bd, 1H, J=12, 1Hz),
3.58(dd, 1H, J=4, 10Hz),
4.17(d, 1H, J=12Hz),
4.38(t, 1H, J=10Hz), 4.68(m, 2H),
4.76(dd, 1H, J=4, 10Hz), 7.72(s, 1H).
IR(KBr), νmax, cm-1: 3440, 3350, 3190, 3020, 2940, 2910, 1725, 1630, 1550, 1055.
UV(MeOH), λmax: 386 및 231nm
C19H25N5O5의 분석 ;
산출치 : C, 56.53 : H, 6.20 : N, 17.36
실측치 : C, 53.90 : H, 5.13 : N, 15.81
[실시예 10]
화합물 XI
7-(n-프로필) 아미노-9a-메톡시미토산.
화합물(V)(330mg, 0.74mM)을 무수메탄올(10ml)에 용해시키고, n-프로필아민(1.0ml)을 첨가한다. 반응 혼합물을 6시간동안 실온에서, 또한 0℃ -4℃에서 16시간 동안 교반시킨다. 용매의 과량의 시약을 감압하에서 증발시키고, 잔사는 흡착제로서 실리카겔을 사용하여 플래시크로마토그래피화 시킨다. 메틸렌클로라이드/메탄올(3 0:1 )로 용출시켜 얻은 푸른색 성분(Rf=0.40)을 메틸렌클로라이드와 헥산으로 재침전시켜 비결정질의 회색분말의 화합물(XI) (125mg, 44.5%)을 얻었다.
NMR(피리딘-d5,δ) : 0.80(t, 3H), 1.42(m, 2H),
2.11(s, 3H), 2.74(bs, 1H), 3.12(bs, 1H)
3.22(s, 3H), 3.36(q, 2H),
3.60(d, 1H, J=12Hz), 4.54(d, 1H, J=12Hz)
3.96(dd, 1H, J=12Hz, 4Hz),
5.00(m, 3H),
5.36(dd, 1H, J=11, 4Hz), 6.90(t, 1H).
IR(KBr), νmax, cm-1: 3440, 3300, 2960, 2940, 1715, 1630, 1600, 1550, 1510, 1220, 1060.
UV(H2O), λmax, nm : 372 및 222
C18H24N4O5의 분석 ;
산출치 : C, 57.40 : H, 6.38 : N, 14.88
실측치 : C, 57.28 : H, 6.41 : N, 14.08
[실시 예 11]
화합물 XII
7-(2-히드록시에틸)아미노-9a-메톡시미토산
화합물(V) (330mg, 0.74mM)을 5ml의 무수메탄올에 용해시키고, 에탄올아민 (2ml)을 첨가한다. 반응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동안 교반시키고, 50ml의 물로 희석하고 에틸아세테이트(5×60ml)로 추출한다.
조합된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은 Na2SO4로 건조시키고, 남색과 자주빛을 띠는 잔사와 푸른 화합물을 함유한 수취된 분류액을 농축시켜 메틸렌클로라이드에 용해된 10%의 메탄올을 사용한 칼럼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비결정질의 고체의 화합물(XII) (105mg, 37%)을 얻는다.
NMR(피리딘 -d5, δ) : 2.14(s, 3H), 2.81(bs, 1H),
3.18(d, 1H, J=4Hz),
3.24(s, 3H),
3.65(dd, 1H, J=2, 12Hz),
3.70-4.20(m, 5H),
4.52(d,1H, J=13Hz),
4.96(t, 1H, J=12Hz),
7.38(t, 1H), 7.58(bs).
IR(KBr), νmaxcm-1: 3300-3500, 2930, 1710, 1630, 1600, 1540, 1510, 1200, 1055.
UV(MeOH), λmaxnm : 371 및 221
C17H22N4O6의 분석 ;
산출치 : C, 53.92 : H, 5.82 : N, 14.80
실측치 : C, 51.30 : H, 5.88 : N, 14.80
[실시 예 12]
화합물(XII)
7-[2-벤질티오에틸]아미노-9a-메톡시미토산.
화합물(V)(200mg, 0.45mM)을 메탄올(2ml)에 용해시키고, S-벤질 2- 아미노에탄티올(0.5ml)을 첨가하고, 용액을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시킨다.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발시켜 얻은 잔사를 용출액으로 6%메탄올 / 메틸렌클로라이드(400ml)을 사용하여 플래시크로마토그래피화(40g, 실리카겔)한다. 푸른색 성분(10% MeOH/CH2Cl2에서 Rf 는 약 0.5)이 비결정질 고체(65mg, 29.8%)로 유리된다. 이것의 스펙트럼 데이타(NMR, IR, UV, 및 질량 스펙트럼)는 지정된 구조와 일치했다.
C24H28N4O5S의 분석 ;
산출치 : C, 59.49 : H, 5.82 : N, 11.56
실측치 : C, 59.72 : H, 5.94 : N, 11.08
[실시예 13]
Figure kpo00030
의 제조방법.
(A) 디메틸 포름아미드(DMF) 2ml에 용해된 이소프로필포름 이미데이트 하이드로클로라이드(1mmol)의 용액을 0℃, 질소대기화에서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2.1m mol)에 천천히 첨가한다. 결과의 용액을 0℃의 β-트리메틸실릴에틸클로로포름에이트에 적가한다. 이 용액을 A라 한다.
(B) 5ml의 DMF에 용해되어 있는 미토마이신 C(1mmol)의 용액을 3ml의 DMF에 현탁된 수소화나트륨(1.5mmol)의 현탁액에 첨가한다. 용액을 실온에서 20분간 교반하고, -40°∼-50℃로 냉각한 후, 용액 A을 첨가한다. 용액을 1시간동안 -40℃로 유지한 후 실온으로 가열한다. 실온에서 약 6-18시간 동안 방치한 후, 반응 혼합물을 CH2Cl2로 희석하고 여과한다. 여과들의 증발후 얻은 고체의 잔사는 실리카겔로 크로마토그래피하여 아미디노가 보호된 본 화합물을 유리시킨다.
(C)반응 진행 중간체의 아미디노 보호기는 Carpino 및 Tsao[J. Chem. Soc. Chem. Comm. 358(1978)]의 방법에 의해 제거시켜 비치환된 아미디노의 본 표제 화합물을 얻는다.
[실시예 14]
Figure kpo00031
의 제조방법.
(A) DMF(2ml)에 용해된 이소프로필포름이미데이트 하이드로 클로라이드(1m mol)의 용액 0℃, 질소 대기하에서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21mmol)을 천천히 첨가한다. 결과의 용액에 메틸요오드화물을 0℃에서 첨가한다. 그 결과의 용액이 용액 B이다.
(B) A용액 대신 B 용액을 사용하여 실시예 13(B)의 반응을 반복시켜 본 화합물을 얻는다.
[실시예 15]
Figure kpo00032
0℃의 옥사릴로클로라이드(1.57g, 12.5mmol)에 25ml의 CHCl3에 용해된 DMF(615 mg, 12.5mmol)의 용액을 적가함으로써 0.5M의 N, N-디메틸클로로메틸렌이미늄클로라이드 용액을 제조한 후 30분간 실온에서 교반시킨다. 따로 분리하여, 5ml의 DMF에 용해되어 있는 미토마이신C(334mg, 1mmol)의 용액을 3ml의 DMF에 용해되어 있는 NaH(36mg, 1.5mmol)의 현탁액에 첨가한다. 이 용액을 실온에서 20분간 교반한 후 -40°∼-50℃로 냉각하고, 상기의 N, N-디메틸클로로메틸렌이미늄클로라이드( 3ml, 1.5mmol)에 첨가한다. NaH을 -40℃에서 10분간 교반한 후 첨가한다. 용액을 1시간동안 -40℃로 유지시킨 후, CH2Cl2로 희석하고 여과시킨다. 여과물을 증발시킨 후 얻어진 잔사는 실리카겔상의 엷은 막크로마토그래피(tlc)(용출액으로서 10%의 CH3OH-CH2Cl2을 사용)로 크로마토그래피 한다. 추출물의 대부분의 녹색밴드(ba nd)는 비결정질의 고체 78mg(회수된 미토마이신 C에 대해 43%)로서 얻어지는데, 이는 NMR스펙트럼과 tlc에 의해 실시예 8에서 제조된 화합물(XIX)와 동일함이 알려졌다. 자주빛 밴드의 추출물은 150mg의 미토마이신 C이다.
[실시예 16]
7(1-메틸-2-(H)-피리디닐이덴)아미노-9a-메톡시미토산.
Figure kpo00033
미토마이신 C(242mg, 0.725mmol)과 NaH(43.5mg, 1.81mmol)의 혼합물에 4ml의 DMF을 첨가한다. 15분간 교반한 후, 2-클로로-1-메틸 피리디늄 요오드화물 (370mg, 1.45mmol)을 실온에서 첨가한다. 용액을 1.5시간 동안 교반하고, 에틸 아세테이트(EtOAC)로 희석한 후 여과시킨다. 여과물을 증발시킨 후 얻은 잔사는 실리카겔의 tlc(용출액으로 5%의 CH2OH-CH2Cl2을 사용)로 크로마토그래피화 한다. 부생성물 (12mg)은 화합물(XIX)(실시 예 8)이다. 주생성물(75mg)은 실리카겔상의 tlc(10%의 CH3OH-CH2Cl2을 용출액으로 사용)로 정제시키면 본 화합물 6mg(2%)이 제조된다.
NMR(피리딘- d5, δ) : 2.21(s, 3H), 2.76(bs, 1H), 3.20(m, 1H), 3.26(s, 3H),
3.49(s, 3H), 3.63(dd, 1H, J=13, 1Hz),
4.01(dd, 1H, J=11, 4Hz),
4.51(d, 1H, J=13Hz),
5.10(t, 1H, J=10Hz),
5.43(dd, 1H, J=9, 2Hz),
6.09(dd, 1H, J=9, 1Hz),
6.95(dd, 1H, J=9, 7, 2Hz),
7.32(dd, 1H, J=7, 1Hz)
[실시예 17]
7-[(메틸아미노 메틸렌)아미노]-9a- 메톡시미토산.
Figure kpo00034
수소화나트륨(12mg, 0.5mmol)을 2ml의 헥사메틸포스포르아미드에 용해된 미토마이신 C(167mg, 0.5mmol)용액에 질소 대기하에서 첨가한다. 이 용액에 N-메틸포름아미도일 클로라이드[19mg, 0.25mmol, N.H. Bosshard 및 H. Zollinger, Helv. Chim. Acta, 42,1659(1959)]을 첨가한다. 용액을 실온에서 10분간 교반하고, NaH( 6mg, 0.25mmol) 및 N-메틸포름이미도일 클로라이드(9.5mg, 0.13mmol)을 첨가한다. 6-12시간동안 교반한 후, 용액을 에틸아세테이트로 희석하고 여과한다. 용매를 추출하고 잔사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을 얻는다.
[실시예 18]
화합물 XXI
9a-메톡시-7-(1-모르폴리노메틸렌)아미노 미토산.
Figure kpo00035
클로로포름(30ml)에 현탁된 미토마이신 C(600mg 1.8mM)에 4-디에톡시메틸모르폴린(12.5ml)을 첨가하고, 이 현탁액을 58℃에서 48시간 동안 가열시킨다. 48시간이 지난후 tlc(CH2Cl2에 용해된 20% MeOH)로 그 반응이 종결되었는가를 조사한다. 용액을 감압하에서 농축시킨 시럽에 물(100ml)을 첨가한다. 20분 동안의 교반후, 암녹색의 용액을 메틸렌클로라이드(5x50ml)로 추출하고, 조합된 추출물을 건조시켜 시럽으로 농축시킨다. 메탄올(20ml)중의 시럽에 아미노디페닐메탄(6.5ml)을 첨가하고, 이 용액을 18시간동안 30-35℃에서 교반시킨다. 엷은 막 크로마토그래피(CH2Cl2에 용해된 20%의 메탄올)에 의해 약간의 자주빛의 영역과 함께 녹색영역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용액을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이 시럽을 플래시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암녹색의 비결정질 고체(74mg, 10%)의 본 화합물을 얻는다.
분석용 샘플은 n-헥산과 메틸렌클로라이드 용액으로 침전시켜 얻는다.
NMR(피리딘 -d5, δ) : 2.16(s, 3H),
2.76(dd, 1H, J=5 및 1Hz),
3.16(d, 1H, J=5Hz), 3.24(s, 3H),
3.28-3.80(m, 10H), 4.02(dd, 1H, J=10 및 1Hz),
4.40(d, 1H, J=12Hz), 5.06(t, 1H, J=10Hz),
5.46(dd, 1H, J=10 및 4Hz),
7.90(s, 1H)
IR(KBr), νmax: 3360, 3280, 2960, 2920, 1720, 1600, 1520, 1230, 1050cm-1
UV(MeOH), λmax: 384, 234
C20H25N5O6의 분석 ;
산출치 : C, 55.64 : H, 5.80 : N, 16.23
실측치 : C, 55.07 : H, 5.55 : N, 15.88
[실시예 19. 화합물 XXII]
7-(1-피롤리닐메틸렌)아미노-9a-메톡시미토산.
Figure kpo00036
0℃의 옥사릴 클로라이드(3.17g, 25mmol)를 50ml의 CHCl3에 용해된 1-포르밀피롤리딘(2.48g, 25mmol)용액에 적가하고 실온에서 30분간 교반함으로써 0.5M의 피롤리디닐클로로메틸렌이미늄 클로라이드 용액이 제조된다. 따로, 수소화 나트륨(24 mg, 1mmol)을 질소대기에서 3ml의 1-포르밀피롤리딘에 용해된 미토마이신C(334 mg, 1mmol) 용액에 첨가한다. 실온에서 20분간 교반한 후, 용액을 -40℃∼-50℃로 냉각하고 상기의 이미늄염 용액(1ml, 0.5mmol)을 첨가한다. 이 혼합물에 12mg(0.5m mol)의 NaH 및 0.5ml(0.25nmmol)의 이미늄염 용액, 6mg(0.25mmol)의 NaH및 0.25ml(0.125mmol)의 이미늄염 용액과 3mg(0.125mmol)의 NaH 및 0.125ml(0.0 63mmol)의 이미늄염 용액을 10분 간격을 두고 각각 혼합한다. -30℃에서 30분간 교반한 후, 이 혼합물을 실온으로 가열한다. 에틸아세테이트로 희석하고, 무기염으로 여과시킨다. 용매를 증발시킨 후 얻은 잔사는 실리카겔상의 엷은 막 크로마토그래피(10 %의 CH3OH-CH2Cl2)로 크로마토그래피화 한다. 녹색밴드의 추출물이 120mg(수득율 : 15%)의 본 화합물이다.
NMR(피리딘 -d5, δ) : 1.58(m, 4H), 2.29(s, 3H),
2.73(m, 1H), 3.06-3.50(m, 8H),
3.59(dd, 1H, J=13, 1Hz),
4.03(dd, 1H, J=10, 4Hz),
4.44(d, 1H, J=12Hz), 5.05(t, 1H, J=10Hz),
5.45(dd, 1H, J=10, 4Hz), 8.04(s, 1H)
IR(KBr), νmax: 3420, 3280, 2960-2870, 1715, 1625, 1560, 1300, 1055cm-1
[실시예 20]
7-[N-메틸-N-(메틸아미노)메틸]아미노-9a-메톡시미토산.
Figure kpo00037
미토마이신 C 대신에 같은 몰의 9a-메톡시-7-(N-메틸아미노) 미토산[Mats ui 등의 The Journal of Antibiotics, XXI 189-198(1968)]을 사용하여 실시예 17의 과정을 반복한다.
[실시예 21]
화합물 XXII
7-[1-(디메틸아미노) 에틸이덴] 아미노-N10-[1-(디메틸 아미노) 에틸이덴] -9a-메톡시미토산.
Figure kpo00038
2ml의 메탄올에 현탁된 600mg(1.79mM)의 미토마이신 C의 현탁액을 3ml의 N, N-디메틸아세트 아미드 디메틸아세탈로 처리한다. 현탁액을 교반하면서 2시간동안 75∼80°로 가열된다. 이 때에 tlc(CH2Cl2/메탄올=10 : 1)로 미토마이신 C의 거의 모든 양이 반응에 의해 소비되는가를 조사한다. 녹색 영역의 생성물이 나타낸다. 용매와 휘발성 물질은 감압하에서 제거시키고 반응 혼합물을 농축하여 시럽으로 만들고, 이 시럽을 메틸렌 플로라이드에 용해시켜 실리카겔칼럼(40g의 실리카겔)에 넣은 후, 이 칼럼을 메틸렌클로라이드 중의 1%의 메탄올(200ml), 메틸렌클로라이드 중의 2%의 메탄올(200ml)및 메탄올 클로라이드 중의 4%의 메탄올(400ml)로 전개시킨다. 생성물을 나타내는 녹색 영역을 함유한 분류액을 조합시켜 110mg의 비결정질 고체(수득율 : 13%)로 농축시킨다. 이 물질을 2ml의 아세톤에 용해시킨 후, 핵산을 첨가해 용액을 침전시키고 생성물을 정제한다.
C23N32N6O5의 분석 ;
산출치 : C, 58.46 : H, 6.83 : N, 17.79
실측치 : C, 58.89 : H, 6.89 : N, 17.64
UV(MeOH), λmax: 235, 364nm
IR(KBr), νmax: 3440, 3259, 2925, 1770, 1660, 1620, 1580, 1550, 1300, 1055cm-1
피리딘 -d5에서의1HN.M.R. 스펙트럼은 본 화합물 구조면에서 일치됨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22]
화합물 XXIV
7-[1-(디메틸아미노)에틸이덴아미노]-9a-메톡시미토산.
Figure kpo00039
2ml의 클로로포름에 용해된 100mg(0.21mM)의 화합물(XXIII)용액을 2ml의 아미노디페닐메탄에 첨가하고, 용액을 24시간 동안 55-60℃로 가열한다. 이 때에는 미량의 화합물(XXIIII)가 반응 혼합물에 존재하지만 이를 농축시키고, 잔사는 메틸렌클로라이드로 시작하여 2.5 : 1의 메탄올 메틸렌클로라이드를 포함하는 기울기 용축을 사용한 중성 알루미나에서 크로마토그래피화 한다. 대부분의 녹색 영역은 25mg(수득율 29.4%)의 비결정질 녹색의 고체로 유리된다. 이 물질을 아세톤에 용해시켜 침전이 일어날때까지 헥산을 첨가하여 정제시킨다. 생성물을 여과시키고 건조시킨다.
C25H32N6O5의 분석 ;
산출치 : C, 56.58 : H, 6.20 : N, 17.37
실측치 : C, 55.71 : H, 6.34 : N, 15.23
UV(H2O), λmax, nm : 374, 230(숄더)
IR(KBr), νmax, cm-1: 3420, 3350, 3280, 2920, 1710, 1610, 1540, 1300, 1050.
피리딘 -d5에서1H N.M.R에 의해 구조가 일치됨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23]
화합물 XXV
7-[(1-메틸-2-피롤리디닐이덴)아미노]-N10-[(1-메틸-2-피롤리디닐이덴)아미노]-9a-메톡시미토산.
Figure kpo00040
20ml의 메탄올에 용해된 1.5g(10.3mM)의 2, 2-디메톡시-1-메틸 피롤리딘 [H. Eilingsfeld 등의 Angew. Chem., 72, 836(1960)]과 280mg의 미토마이신 C(0. 34. mM)을 55℃에서 5시간 동안 가열한다. 용매로서 97 : 3 의 메틸렌 클로라이드 / 메탄올을 사용하는 알루미나 플레이트에서의 엷은막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반응 혼합물을 조사한다. tlc에 의해 생성물을 나타내는 대부분의 녹색점과 미토마이신 C개시제를 나타내는 소량의 푸른색점이 있음을 알 수 있다. 40℃, 진공속에서 분별증류하여 용매를 제거시키고, 잔사를 메틸렌 클로라이드에 용해시켜 150g의 알루미나를 함유한 4.5cm의 칼럼에 넣는다.
메틸렌클로라이드 50ml로 용출시킨 후 메틸렌 클로라이드에 용해된 1%메탄올 600ml로 또다시 용출시킨다. 불순물이 제거되기는 하나 완전히 순수한 분류액으로는 유리되지 않는다. 조합된 용리출을 2℃에서 분별증류에 의해 농축시켜 유상의 잔사를 얻는데, 이 잔사에 2, 2-디메톡시-1-메틸피롤리딘이 함유되어 있다. 이 물질을 200ml의 메틸렌 클로라이드를 사용해서, 또한 메틸렌 클로라이드에 용해된 1%메탄올 100ml를 사용하여 알루미나 칼럼(25g의 알루미나)에서 크로마토그래피화한다. 그 결과로서 2, 2-디메톡시-1-메틸피톨 리딘이 제거되고 소량의 불순물을 함유한 많은 분류액과 순수한 분류액이 생성되는데, 그 순수한 분류액은 본 생성물로서 tlc에 의해 녹색의 한점으로 나타나고, 수득율은 53mg이다.
C25H32N6O5의 분석 ;
산출치 : C, 56.66 : H, 6.64 : N, 16.42
실측치 : C, 58.63 : H, 6.46 : N, 16.50
UV(MeOH), λmax, nm : 354, 239
IR(KBr), νmax, cm-1: 3300, 3220, 2940, 1660, 1620, 1550, 1290, 1055
피리딘 -d5에서의1H NMR 스펙트럼에 의해 본 화합물의 구조가 일치하는가를 확인한다.
[실시예 24]
7-[(1-메틸-2-피롤리디닐이덴)아미노]-9a-메톡시미토산.
Figure kpo00041
클로로포름(15ml)에 용해된 80mg(0.16mM)의 화합물(XXV)와 0.48ml의 n-부틸아민용액을 48시간 동안 환류시키면서 가열한다. tlc(메탄올/메틸렌클로라이드, 2% 알루미나칼럼)에 의해 대부분의 녹색점과 소량의 푸른색점과 미량의 붉은색점으로 나타나는데 이 미량의 붉은 색점은 개시제임을 알 수 있다. 반응용액을 50g의 알루미나를 함유한 칼럼에 넣고 메틸렌클로라이드에 용해된 1%메탄올 용액 200ml로, 계속해서 메틸렌클로라이드에 용해된 2%메탄올 용액 400ml로 용출시킨다. tlc에 의해 단일의 녹색 주성분을 함유한 분류액을 조합하여 농축시켜 24mg의 생성물을 얻는다.
NMR(피리딘-d5, δ) : 1.72(q, 2H), 2.04(sh 3H),
2.16(q, 2H), 2.72(bs, 1H),
2.84(s, 3H), 3.12(m, 3H),
3.24(s, 3H),
3.60(dd, 1H, J=14, 2Hz),
4.00(dd, 1H, J=12, 6Hz),
4.40(d, 1H, J=14Hz),
5.04(t, 1H, J=14Hz),
5.38(dd, 1H, J=12, 6Hz),
7.48(bs, 2H)
[실시예 25]
화합물 XXVI
7-[(메톡시아미노)메틸렌]아미노-9a-메톡시미토산.
Figure kpo00042
10ml의 메탄올에 용해된 화합물(XIX)(660mg, 1.7mM)에 170mg(2.0mM)의 메톡시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를 첨가한다.
용액을 10℃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고 또 실온에서 2시간 동안 더 교반시킨다. tlc에 의해 반응하지 않은 화합물(XIX)의 흔적을 볼 수 있다. 방치한 후 형성된 검은색의 침전물을 수취하여 아세톤으로 세척하여 380mg(57%)의 생성물을 얻는다.
C17H21N5O6의 분석 ;
산출치 : C, 52.19 : H, 5.40 : N, 17.90
실측치 : C, 51.64 : H, 5.40 : N, 17.83
UV(MeOH), λmax, nm : 376, 242
IR(KBr), νmax, cm-1: 3440, 3250, 3140, 2920, 1730, 1645, 1615, 1560 , 1450, 1320, 1050
피리딘 -d5에서의1HNMR스펙트럼으로 구조면에서 본 화합물이나 혹은 본 화합물의 C-7에서 토오토머 구조를 가졌는가를 확인한다.
Figure kpo00043
[실시예 26]
화합물 XXVII
7-[벤질옥시아미노)메틸렌]아미노 -9a-메톡시미토산.
Figure kpo00044
0.5ml의 트리에틸아민이 함유된 2ml의 메탄올에 용해된 화합물(XIX)(100mg, 0.26mM)의 용액에 400mg(2.5mM)의 0-벤질히드록실아민하이드로클로라이드를 첨가한다. 2.5시간 동안 실온에서 반응을 진행시킨다. tlc(CH2Cl2/메탄올=10 : 1)에 의해 대부분의 오렌지색-갈색의 영역과 녹색의 영역이 나타나는데, 후자는 화합물(XIX)이다. 반응 혼합물을 농축시켜 그 잔사를 용출용매로서 20 : 1의 CH2Cl2/메탄올을 사용한 실리카겔(20g)에서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화한다.
생성물로 구성된 대부분의 갈색 영역은 80mg(65.6%의 수득율)의 비결정질 고체로 수취된다.
C23H25N5O6의 분석 ;
산출치 : C, 59.10 : H, 5.35 : N, 14.97
실측치 : C, 58.43 : H, 5.48 : N, 14.62
UV(MeOH), λmax, nm : 376, 245, 209
IR(KBr), νmax, cm-1: 3460, 3300, 2945, 2920, 1745, 1720, 1570, 1275 , 1220, 1060
피리딘 -d5에서1H NMR 스페트럼으로 구조면에서 본 화합물 또는 본 화합물의 C-7토오토머의 구조를 가졌는가를 확인한다.
Figure kpo00045
10mg의 반응되지 않은 개시제(화합물 XIX)는 회수된다.
[실시예 27]
화합물 XXVIII
7-(1,3-디메틸-2-이미다졸 리디닐이덴)-아미노-9a-메톡시미토산.
Figure kpo00046
0.34g(1mmol)의 미토마이신 C를 5ml의 1, 3-디메틸-2-이미다졸리돈에 용해시키고, 이 용액에 0.1g의 수소화나트륨(50%의 오일분산액, 2.08mmol)을 실온에서 첨가한다. 혼합물을 20분간 실온으로 유지시킨 후, 얼음과 소금이 든 배스(-15℃)에서 냉각시킨다. 혼합물을 10분간 상기 온도(-15℃)로 유지시킨 후, 0.65g(2mmol)의 2-클로로-1,3-디메틸-4,5-디하이드로-(3H)-이미다졸이미늄 클로라이드를 첨가한다. 다시 1시간 동안 -15℃로 유지시키고, 에틸아세테이트로 희석하고 알루미나 칼럼에서 크로마토그래피화한다. 칼럼을 메틸렌클로라이드로 계속해서 2%의 부피비를 갖는 메탄올을 함유한 메틸렌 클로라이드로 용출시킨다. 생성물로 구성된 녹색의 분류액을 얻어 10%의 부피비를 갖는 메탄올이 함유된 메틸렌 클로라이드를 사용한 알루미나에서 크로마토그래피로 여과시킨다. 생성물 20mg(5%)가 수득된다.
C20H26N6O51-1/4 H2O의 분석 ;
산출치 : C, 53.03 : H, 6.34 : N, 18.55
실측치 : C, 52.68 : H, 6.21 : N, 18.15
NMR(피리딘-d5,δ) : 2.32(s, 3H), 2.47(s, 3H), 2.59(s, 3H),
2.74(m, 1H), 3.03-3.32(m, 5H)
3.26(s, 3H), 3.66(bd, 1H, J=12Hz),
4.02(dd, 1H, J=11, 4Hz), 4.75(d, 1H, J=12Hz),
5.09(bt, 1H, J-11Hz), 5.44(dd, 1H, J=11, 4Hz).
IR(KBr) : 3400, 3280, 2930, 1700, 1610, 1480, 1330, 1055cm-1
UV(MeOH, λmax) : 600, 375, 254(sh), 222m
[실시 예 28]
화합물 XXIX
7-[(1,3--디메틸테트라하이드로피리미디닐이덴)아미노-9a-메톡시미토산.
Figure kpo00047
수산화나트륨(50% 오일 분산액, 200mg, 4.2mmol)을 질소대기하에서 8ml의 1, 3-디메틸-3,4,5,6-테트라하이드로(1H, 3H)-2-피리미디논에 용해된 미토마이신 C(680mg, 2mmol)의 용액에 첨가한다. 혼합물을 20분간 실온으로 유지시킨 후, -25℃로 냉각한다. 여기에 2-클로로-1,3-디메틸-2,3,4,5-테트라하이드로-피리미디늄 클로라이드(0.73g, 4mmo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25℃로 30시간동안 유지시킨다. 다음에 에틸 아세테이트 및 2ml의 메탄올로 희석한다. 더 이상의 처리없이 이 혼합물을 무수 알루미나 크로마토 그래피 칼럼에 넣고 처음에는 메틸렌 클로라이드로 용출하고, 다음에는 2%의 부피비를 갖는 메탄올 / 메틸렌 클로라이드로 용출시켜 0.35g( 39.5%의 수득율)의 생성물을 얻는다. 융점은 138-140℃이다.
C21H27N6O5H2O의 분석 ;
산출치 : C, 54.65 : H, 6.33 : N, 18.21
실측치 : C, 54.78 : H, 6.18 : N, 18.21
NMR(피리딘-d5, δ) : 1.80(m, 2H), 2.42(s, 3H),
2.52(s, 3H), 2.64(2, 3H),
2.76(m, 1H), 2.90-3.30(m, 5H),
3.26(s, 3H), 3.74(d, 1H, J=12Hz),
4.05(dd, 1H, J=11, 4Hz),
4.97(d, 1H, J=12Hz), 5.09(t, 1H, J=11Hz),
5.41(dd, 1H, J=11, 4Hz).
IR(KBr) : 3430, 3280, 2930, 1710, 1570, 1480, 1450, 1350, 1050cm-1
UV(MeOH, λmax) : 635, 377, 264(숄더), 223nm
[실시예 29]
화합물 XXX
7-(테트라메틸디아미노 메틸렌) 아미노-9a-메톡시미토산
Figure kpo00048
미토마이신 C(425mg, 1.42mmol)을 수소화나트륨(85.3mg)의 50%오일 분산액에 혼합하고, 4ml의 디메틸포름아미드를 상기 용액에 첨가한다. 혼합물을 실온, 아르곤 대기하에서 10분간 교반하고, -135℃로 냉각한다. 테트라메틸 클로로 포름아미디뮴 클로라이드(289mg, 2.13mmol)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2시간동안 5℃로 한다. 잘게 부수어진 드라이아이스를 혼합물에 첨가하여 반응을 잠깐동안 중단시키고, 용매를 감압하에서 분별증류에 의해 제거시킨다. 잔사는 용출을 위해 메틸렌 클로라이드에 용해된 부피가 3%인 메탄올을 사용해 알루미나 칼럼(100g)하에서 크로마토 그래피화한다. 결과의 물질을 알루미나 tlc(부피비가 5%인 메틸렌 클로라이드에 용해된 메탄올)에 의해 정제하여 17mg과 76mg 두 분류액을 얻는다. 후자는 아세톤-에테르로 결정화하여 원하는 생성물로 습득시킨다.(융점 : 193-195℃, 수득율 12%)
C20H28N6O5의 분석 ;
산출치 : C, 55.54 : H, 6.53 : N, 19.43
실측치 : C, 54.92 : H, 6.53 : N, 19.29
NMR(피리딘 -d5, δ) : 2.26(s, 3H), 2.59(s, 6H),
2.68(s, 6H), 2.75(m, 1H),
3.15(d, 1H, J=4Hz), 3.26(s, 3H),
3.65(d, 1H, J=12Hz),
4.00(dd, 1H, J=11, 5Hz),
4.62(d, 1H, J=12Hz),
5.04(t, 1H, J=11Hz),
4.38(dd, 1H, J=11, 5Hz).
IR(KBr) : 3430, 3280, 2920, 1710, 1610, 1495, 1335, 1055cm-1
UV(MeOH, λmax) : 610, 380, 260, 220nm
[실시예 30]
화합물 XXXI
7-(1-피페리디닐메틸렌)아미노-9a-메톡시미토산.
Figure kpo00049
옥사릴 클로라이드(380mg, 3mmol)를 0.34g(380mg, 3mmol)의 1-포르밀피페리딘이 함유된 6ml의 클로로포름에 적가하여 0.5M의 피페리디닐클로로 메틸렌 이미늄 용액을 만들다. 따로, 수소화 나트륨(50%의 오일 분산액, 96mg, 2mmol)을 질소 대기하에서 3ml의 1-포르밀피페리딘에 용해된 미토마이신 C(334mg, 1mmol)의 용액에 첨가한다. 15분간 실온에서 교반한 후, 용액을 -25℃로 냉각하여, 먼저 제조했던 이미늄 염(4ml, 2mmol)을 첨가한다. 반응 혼합물을 -25℃에서 1시간동안 방치한 후 드라이 아이스를 첨가해 반응을 잠깐 중단시킨다. 1ml의 메탄올을 첨가한 후, 반응 혼합물을 중성알루미나에 흡착시킨다. 이 물질을 알루미나 칼럼(30g)상에 놓는다. 칼럼을 처음에는 메틸렌클로라이드로 용출시키고, 다음에는 메틸렌 클로라이드에 용해된 부피비가 3%인 메탄올에 또다시 용출시켜 360mg(84%)의 본 화합물을 얻는다.
(융점 : 68℃-70℃)
C21H25N5O6·1-1/4H2O 의 분석 ;
산출치 : C, 55.08 : H, 6.58 : N, 15.49
실측치 : C, 55.57 : H, 6.21 : N, 15.91
NMR(피리딘 d5,δ) : 1.42(bs, 6H), 2.19(s, 3H), 2.72(m, 1H), 3.06-3.30 (m, 3H), 3.25(s, 3H), 3.4-3.70(m, 2H), 3.57(d,1H, J=13Hz), 4.01(dd, 1H, J= 11, 4Hz). 4.43(d, 1H, J=13Hz), 5.02(bt, 1H, 3=11Hz), 5.55(dd,1H, J=11, 4Hz ), 7.86(s, 1H)
IR(KBr) : 3440, 3350, 3300, 2935, 2835, 1710, 1615, 1520, 1445, 130 5, 1250, 1200, 1055cm-1
UV(MeOH, λmax) : 590, 389, 262(숄더)nm
[실시예 31]
7-히드록시-N10-디메틸아미노 메틸렌-9a-메톡시미토산.
Figure kpo00050
메틸렌클로라이드(3ml)에 용해된 7-히드록시-9a-메톡시미토산(20mg)의 용액에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아세탈(1mg)을 첨가한 후, 이 용액을 65℃에서 30분간 교반시킨다. 반응의 진행 과정을 tlc(10 : 1의 CH2Cl2/MeOH)의해 조사한다. 이 생성물을 감압하에서 농축시켜서 잔사를 실리카겔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화하여 본 화합물을 얻는다.
P-388쥐의 백혈병에 대한 활성
표 Ⅳ는 p-338쥐의 백혈병의 106복수(腹水)세포에 종양종균을 주입한 CDF1쥐의 암컷을 미토마이신 C나 혹은 일반식(Ⅰ)의 실험 화합물로 투여량을 다양하게 하여처리시킨 실험결과를 적어 놓은 것이다. 화합물은 복강내에 주사로써 투여한다. 6마리의 쥐로 한 그룹을 만들어 각 그룹당 투여량을 다르게 하되, 화합물의 투여는 하루에 단 1회 투여한다. 식염수로 처리된 대조를 위한 쥐 10마리의 그룹도 일련의 실험에 포함된다. 미토마이신 C로 처리된 그룹은 포지티브 대조이다. 30일간의 공정성적표(protoco l)에는 각 그룹 쥐들이 평균생존 기간과 30일째의 날에 살아 있는 쥐들의 수를 기록한다. 쥐들의 체중은 치료전의 체중과 6일이 지난 후의 체중을 측정한다. 체중의 변화는 약품의 독성을 나타내는 것이다. 각 20g 체중의 쥐를 사용해서 약 2g까지의 체중 손실이 있을시는 심한 것으로 취급하지 않는다. 결과는 %T/C로 나타내는데, %T/C는 처리된 그룹 평균 생존 기간과 식염수로 처리된 대조 그룹의 평균 생존기간의 비를 100배 한것이다. 괄호안에 있는 값은 포지티브 대조로서의 미토마이신 C을 사용해 얻은 값이다. 그러므로, 미토마이신 C에 대한 본 발명물질의 상대적 활성도가 측정될 수 있다. %T/C의 최소값은 215이다. 표에 있는 최소효과 투여량(최소유효량)은 %T/C가 125를 주는 투여량을 말한다. 각 경우에 있어서 “평균 중량 변화”의 두값은 각각 최대 효과 투여량(최대 유효량)에서, 최소 효과 투여량에서의 쥐 한마리당 평균 중량변화를 말하는 것이다.
[표 Ⅳ ]
Figure kpo00051
1. mg/kg의 체중
2. 1-6일 동안의 최대 및 최소 유효 투여량에서의 쥐 1마리당 g수
화합물(XIX)와 (XX)는 이 화합물들의 활성이 최대효과 및 밀리그람 포텐시(같은 효과에 대한 비교 용량크기)에서 미토마이신 C의 활성보다 훨씬 크다. 상기 화합물들은 A가 상기의 아미디노기이고 B가 -NH2인 일반식(Ⅰ)의 화합물들로서, 바꾸어 말하면
Figure kpo00052
(여기서 R2, R3및 R4는 상기의 정의와 같다.)의 아미노 메틸렌기에 의해 N7이 치환된 미토마이신 C의 유도체이다. A와 B가 각각 아미디노인 일반식(Ⅰ)의 본 발명 비스-아미디노 화합물도 또한 항종양 활성을 갖는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화합물 Ⅴ, Ⅵ, Ⅷ, Ⅸ, Ⅹ에 대한 것을 표에 나타냈다.
표 Ⅴ는 쥐에서 성숙된 B16색소 세포종에 대한 항종양 실험에 대한 결과이다. 60일간의 공정성적표를 사용한다. 쥐는 BDF1쥐로서, 종양라듐 삽입관으로 복강내에 접종된 쥐이다.
쥐 열마리씩으로 그룹을 만들어 각 그룹마다 여러 투여량을 사용하여 실험했으며 각 그룹에 대한 평균 생존기간이 측정되었다. 대조동물은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해서 접종되었고, 주사부형약(injective vehicle)으로 처리한 후, 21일 동안은 어떠함 약도 투여하지 않은채 그 21일 동안의 평균 생존기간(%T/C) 을 측정한다. 대조 동물에 대한 상대적인 생존기간을 측정하여 각 화합물에 대한 최대효과 투여량과 최소효과 투여량을 결정한다. 최소효과 투여량은 125의 %T/C값을 주는 투여량을 말하는 것으로, 상기에서의 정의와 같다. 실험(test)동물을 1일, 5일, 및 9일동안 실험(test)화합물로 각 투여량에 따라 처리한다. 상기날짜동안에서 최대효과 투여량 및 최소효과 투여량에서의 평균 체중변화가 득성의 측정값이다. 20g의 쥐에 대한 2g의 체중감소는 그리 큰 값이 아니다.
[표 Ⅴ]
Figure kpo00053
* 괄호속의 값은 미토마이신 C대조값이다.
B16쥐의 백혈병에 대한 작용을 알아보기 위해 화합물 XXX(실시예 29)와 화합물 XXIX(실시예 28)을 종양 라듐 삽입관 및 정맥내에 투약한다. 치료기간 및 생존 기간(40일간 동안 공정성적표를 기록한다)을 상기의 방법에 의해 측정하고, 12일간 동안의 체중변화를 측정한다. 화합물 XXX의 최대효과 투여량은 %T/C가 156이고 1.5g체중 증가를 제공하는 1mg/kg이다. 쥐 여섯마리씩으로 그룹을 만들어 실험을 했으며, 3마리 쥐가 상기 투여량에서 40일 동안 생존했다. 최소 효과 투여량은 12일간 1.0g의 체중변화를 제공하는 투여량인 0.25mg/kg이다.
화합물(XXIX)에서의 최대효과 투여량은, 177의 %T/C값 및 -0.6의 체중변화를 제공하는 8mg/kg이다.
최소효과 투여량은 +0.8의체중변화를 제공하는 4mg/kg이다. 동일 실험에서 미토마이신 C의 최대효과 투여량은 195의 %T/C및 -5 의 체중변화를 제공하는 3mg/kg이다.
미토마이신 C의 최소효과 투여량은 측정되지 않았다.
화합물(XIX)을 1회 복강내투여 용량당 다섯마리의 BDF1쥐의 암컷으로 구성된 그룹들을 사용한 실험에 대한 동물학적 공정성적표에서, 임파구를 세었을때 화합물의 최적효과 투여량(1.6mg/kgi·p·)에서의 변화는 뚜렷하지 않았다. 이러한 투여량에서 혈액우레아질소(BUN)나 세럼글루타믹 포스포전이 효소(SGPT)에 뚜렷한 상승이 없었으므로 신장이나 간 기능 또는 임파구 활동을 억제하는 어떤 역효과가 없었음을 알 수 있다.
미토마이신 C와 비교했을때 본 발명의 일반식(Ⅰ)의 화합물은 항종양 활성이 뚜렷하며 독성도 감소했으므로 본 발명의 화합물은 포유류 동물의 종양을 억제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 화합물들은 비독성 항종양 효과 투여량(유효량)으로 종양을 가지고 있는 동물에 투여된다.

Claims (9)

  1. 하기 구조식의 미토마이신 C, 하기구조식의 미토마이신 A, 또는 N1a-치환 유도체를 함유한 화합물을 하기식(A)의 아미드 아세탈 화합물과 40°-65℃, 반응에 영향을 주지않는 무수 액체 유기 반응 매질에서 B또는 A 및 B가
    Figure kpo00054
    의 이미디노 기인 반응생성물이 형성될 때까지 반응시키는 하기일반식(Ⅰ)화합물의 제조방법.
    Figure kpo00055
    상기식에서, A는 아미노, 메톡시, 히드록시, (1-저급알킬-2-(1H)-피리디닐이덴)아미노,
    Figure kpo00056
    B는
    Figure kpo00057
    의 구조를 갖는 아미디노 또는 아미노인데 최소한 A와 B중의 어느 하나는 아미노, 메톡시, 또는 히드록시 이외의 상기 정의된바의 기이며 :
    n은 0, 1, 2, 또는 3의 정수이고 :
    R1은 수소, 저급알킬, 저급알키노일, 벤조일 또는 치환체가 저급알킬, 저급 알콕시, 할로, 아미노 또는 니트로인 치환된 벤조일이고 :
    R2는 수소, 저급알킬, 페닐, 저급 알킬 페닐, 저급 알콕시 페닐, 할로 페닐, 아미노, 페닐, 니트로 페닐, 티엔일, 푸릴, 시아노, 저급 디알킬안미노, 저급 알콕시, 또는 알킬티오이고 :
    R3는 저급 알콕시, 또는 R4및 질소원자와 함께 피롤리딘, 2-또는 3-저급 알킬 피롤리딘, 피페리딘, 2-, 3-, 또는 4-저급 알킬피페리딘, 2, 6-저급 디 알킬피페리딘, 피페라진, 4-치환된 피페라진(4-치환체는 1-8탄소원자를 가진 알킬 또는 카르브알콕시, 페닐, 메틸페닐, 메톡시 페닐, 할로페닐, 니트로페닐, 또는 벤조임), 아제핀, 2-, 3-, 4- 또는 5-저급 알킬 아제핀, 모트폴린, 티오모르폴린, 티오모르폴린-1-옥사이드, 또는 티오모르폴린 -1, 1-디옥사이드이고 :
    R4는 저급 알킬 또는 R3및 질소원자와 함께 피톨리딘, 2-, 또는 3-저급 알킬 피롤리딘, 피페리딘, 2-, 3-, 또는 4-저급 알킬 피페리딘, 2, 6-저급 디 알킬 피페리딘, 피페라진, 4-치환된 피페라진(4-치환체는 1-8탄소원자를 가진 알킬 또는 카르브알톡시, 페닐, 메틸페닐, 메톡시페닐, 할로페닐, 니트로 페닐, 또는 벤질), 아제핀, 2-, 3-, 4-, 또는 5-저급 알킬 아제핀, 모르폴린, 티오모르폴린, 티오모르폴린-1-옥사이드, 또는 티오모르폴린 -1, 1-디옥사이드이고 :
    R5는 3차-알킬을 제외한 C1-18알킬, C1-18알케닐, C1-18알킨닐, C1-18할로알킬, C1-18히드록 시알킬, C4-8시클로 알킬, 12개 이하의 탄소원자를 가진 아릴 또는 저급 아르알틸, 또는 탄소원자가 2개 이상인 3-8원링을 형성하는 헤테로 알리시클릭 또는 헤테로 방향족 기이고 :
    R7및 R9는 각각 수소 또는 알킬이며 :
    R8은 각각 저급알킬, 또는 6탄소원자를 가진 시클로알킬기이거나 또는 R8의 두 기가 두개의 산소원자와 함께 알킬렌을 형성하여 탄소원자의 개재하에 5 또는 6원의 고리 구조를 형성함. (단, 상기에서 저급 알킬, 저급 알카놀 및 저급 알톡시기는 1-6 탄소원자를 함유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유기 반응 매질은 저급 할로겐화된 지방족 탄화수소를 의미하며, A와 B중 어느 하나만이 이미디노기인 일반식(Ⅰ)의 화합물을 제조할 때는 상기 아미드 아세탈과 미토마이신 C의 몰비는 2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반식(Ⅰ)의 제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 매질은 클로로포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반식(Ⅰ)의 제조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 매질은 할로겐화된 저급 지방족 탄화수소와 저급 알카놀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반식(Ⅰ)의 제조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 매질은 클로로포름과 메탄올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반식(Ⅰ)의 제조방법.
  6. B또는 A와 B가
    Figure kpo00058
    의 구조를 갖는 아미디노기인 상기식(Ⅰ)의 혼합물과 아미노기를 품는 탄소원자가 적어도 1개의 수소원자와 2개 이하의 아릴기를 가진 지방족, 알리시클릭, 방향족, 헤테로 방향족, 또는 헤테로 알리시클릭 1차 아민을 약 -15℃- +50℃의 온도, 반응에 영향을 주지 않는 무수 액체 유기 반응 매질속에서 반응시키는 7-치환 아미노-9C-메톡시 미토산의 제조방법.
  7. A 및 B 각각이
    Figure kpo00059
    인상기식(Ⅰ)의 화합물을 아미노 디페닐 메탄, 트리플루오로 에틸아민 및 t-부틸 아민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분자비 이상의 아민으로 20-60℃의 온도에서, A및 B 각각이
    Figure kpo00060
    인상기식(Ⅰ)의 화합물이 A가 아미디노 기이고 B가 아미노기인 상기식(Ⅰ)의 또다른 화합물로 전환될때까지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6항 또는 7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에 영향을 주지 않는 무수 액체 반응 매질은 메탄올, 클로로포름, 메틸렌 클로라이드 또는 기타 저급 할토 알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미토마이신의 C의 디메틸포름아미드(또는 기타 이와 부합되는 용매)용액과 1-1.5몰비의 수소환 나트륨을 반응시켜 미토마이신 C의 음이온형을 얻은 후, 상기 음이온형의 미토마이신 C을 이미노할라이드 염과 같은 아미디노 기의 형성을 가능하게 하는 친전자성 시약과 반응시켜 B가 -NH2이고 A가(1-저급 알킬-2(1H)-피리디닐이덴)아미노,
    Figure kpo00061
    Figure kpo00062
    기인 상기 일반식(Ⅰ)의 화합물의 제조방법.
KR1019830002499A 1982-06-04 1983-06-04 아미딘류의 제조 방법 KR8700009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8514982A 1982-06-04 1982-06-04
US385149 1982-06-04
US06/492,903 US4487769A (en) 1982-06-04 1983-05-09 Amidines
US492903 1983-05-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5143A KR840005143A (ko) 1984-11-03
KR870000932B1 true KR870000932B1 (ko) 1987-05-11

Family

ID=270109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30002499A KR870000932B1 (ko) 1982-06-04 1983-06-04 아미딘류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27)

Country Link
US (1) US4487769A (ko)
KR (1) KR870000932B1 (ko)
AR (1) AR241438A1 (ko)
AT (1) AT394853B (ko)
AU (1) AU571179B2 (ko)
CA (1) CA1230333A (ko)
CH (1) CH657856A5 (ko)
DD (1) DD210275A5 (ko)
DE (1) DE3319992A1 (ko)
DK (2) DK161023C (ko)
ES (3) ES522948A0 (ko)
FI (1) FI78700C (ko)
FR (1) FR2528048B1 (ko)
GB (1) GB2121796B (ko)
GR (1) GR78277B (ko)
HU (1) HU198936B (ko)
IE (1) IE56107B1 (ko)
IL (1) IL68852A0 (ko)
IT (1) IT1206452B (ko)
LU (1) LU84843A1 (ko)
NL (1) NL8301949A (ko)
NO (1) NO161676C (ko)
NZ (1) NZ204352A (ko)
OA (1) OA07452A (ko)
PT (1) PT76810B (ko)
SE (1) SE455504B (ko)
YU (2) YU4286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Z206932A (en) * 1983-02-07 1987-08-31 University Patents Inc Certain 6-(heterocyclyl or amino) mitosane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US4803212A (en) * 1983-04-11 1989-02-07 Bristol-Myers Company Amino disulfides
US4579737A (en) * 1983-05-09 1986-04-01 Bristol-Myers Company Bis-amidines
US4642352A (en) * 1983-12-23 1987-02-10 Bristol-Myers Company Acylamino mitosanes
US4814445A (en) * 1984-09-04 1989-03-21 Bristol-Myers Company Process for preparing mitomycin analogs
AU581673B2 (en) * 1984-09-04 1989-03-02 Bristol-Myers Company Substituted 7-oxomitosanes
JPS61176590A (ja) * 1985-01-31 1986-08-08 Kyowa Hakko Kogyo Co Ltd 7−n−アミノメチレンマイトマイシン誘導体、製造法及び抗腫瘍剤
US4639528A (en) * 1985-02-21 1987-01-27 Bristol-Myers Company Crystalline form of 7-(dimethylaminomethylene-amino-9a-methoxymitosane
AT396688B (de) * 1985-02-21 1993-11-25 Bristol Myers Squibb Co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kristallinem
ZA86308B (en) * 1985-02-25 1986-11-26 Bristol Myers Co In-vial deposition of 7-(dimethylaminomethylene)amino-9a-methoxy-mitosane
US4652644A (en) * 1985-04-29 1987-03-24 Bristol-Myers Company Process for preparation of N7 -amidino substituted mitomycin C derivatives
JPH066592B2 (ja) * 1986-04-18 1994-01-26 協和醗酵工業株式会社 マイトマイシン誘導体
US4791113A (en) * 1986-05-14 1988-12-13 Kyowa Hakko Kogyo Kabushiki Kaisha Mitomycin derivatives as antileukemia agents
JPS6354380A (ja) * 1986-08-26 1988-03-08 Kyowa Hakko Kogyo Co Ltd マイトマイシン誘導体
JPS63150282A (ja) * 1986-12-13 1988-06-22 Kyowa Hakko Kogyo Co Ltd マイトマイシン誘導体
IL86665A0 (en) * 1987-06-12 1988-11-30 Bristol Myers Co Mitomycin analogs
IL89203A0 (en) * 1988-02-11 1989-09-10 Univ Houston 7-substituted hydrazine mitomycin analog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them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60578A (en) * 1957-04-06 1972-05-02 Kyowa Hakko Kogyo Kk Mitomycin c
US3121084A (en) * 1962-09-17 1964-02-11 Du Pont Selected n, n, n'-trisubstituted amidines and their preparation by reaction of compounds with-nh2 groups with amide acetals
NL129868C (ko) * 1963-06-07
DE1570029A1 (de) * 1964-07-09 1970-04-09 Kyowa Hakko Kogyo Kk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Mitosanverbindungen
US3420846A (en) * 1964-08-25 1969-01-07 Kyowa Hakko Kogyo Kk 7-substituted mitomycin a
US3332944A (en) * 1964-11-02 1967-07-25 American Cyanamid Co Antibiotic derivatives of mitomycins a, b, c and porfiromycin
JPS5439098A (en) * 1977-08-31 1979-03-24 Kyowa Hakko Kogyo Co Ltd Mitomycin c derivatives
US4268676A (en) * 1979-12-05 1981-05-19 University Patents, Inc. Mitomycin analogs
NZ206932A (en) * 1983-02-07 1987-08-31 University Patents Inc Certain 6-(heterocyclyl or amino) mitosane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US4803212A (en) * 1983-04-11 1989-02-07 Bristol-Myers Company Amino disulfides
JPS6073085A (ja) * 1983-09-28 1985-04-25 Matsushita Refrig Co ロ−タリ−コンプレツサ
US4642352A (en) * 1983-12-23 1987-02-10 Bristol-Myers Company Acylamino mitosan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1501483A (en) 1983-12-08
IE831320L (en) 1983-12-04
AT394853B (de) 1992-07-10
DK253083A (da) 1983-12-05
NO832022L (no) 1983-12-05
AR241438A1 (es) 1992-07-31
GB8315205D0 (en) 1983-07-06
FI831972A0 (fi) 1983-06-01
IT8321461A0 (it) 1983-06-03
ATA206483A (de) 1991-12-15
YU16486A (en) 1986-12-31
DK281490D0 (da) 1990-11-27
NL8301949A (nl) 1984-01-02
ES8407493A1 (es) 1984-10-01
LU84843A1 (fr) 1984-03-07
DE3319992A1 (de) 1983-12-08
SE8303160D0 (sv) 1983-06-03
NZ204352A (en) 1987-07-31
DK162167C (da) 1992-02-24
YU43427B (en) 1989-06-30
SE8303160L (sv) 1984-01-27
OA07452A (fr) 1984-03-31
FR2528048A1 (fr) 1983-12-09
ES529584A0 (es) 1985-04-16
SE455504B (sv) 1988-07-18
US4487769A (en) 1984-12-11
DK281490A (da) 1990-11-27
ES8504199A1 (es) 1985-04-16
NO161676C (no) 1989-09-13
YU42866B (en) 1988-12-31
GB2121796B (en) 1986-03-12
DE3319992C2 (ko) 1991-11-21
IT1206452B (it) 1989-04-27
DK161023C (da) 1991-10-28
FR2528048B1 (fr) 1986-12-12
AU571179B2 (en) 1988-04-14
PT76810A (en) 1983-07-01
DK253083D0 (da) 1983-06-03
ES529585A0 (es) 1985-04-16
GB2121796A (en) 1984-01-04
YU124183A (en) 1986-06-30
CA1230333A (en) 1987-12-15
NO161676B (no) 1989-06-05
DD210275A5 (de) 1984-06-06
ES8504198A1 (es) 1985-04-16
IL68852A0 (en) 1983-10-31
ES522948A0 (es) 1984-10-01
FI78700B (fi) 1989-05-31
CH657856A5 (de) 1986-09-30
DK161023B (da) 1991-05-21
GR78277B (ko) 1984-09-26
KR840005143A (ko) 1984-11-03
FI78700C (fi) 1989-09-11
FI831972L (fi) 1983-12-05
PT76810B (en) 1986-04-09
IE56107B1 (en) 1991-04-24
HU198936B (en) 1989-12-28
DK162167B (da) 1991-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70000932B1 (ko) 아미딘류의 제조 방법
US4803212A (en) Amino disulfides
CA1244412A (en) Mitomycin analogs
Anderson et al. Pyridopyrimidines. 7. Ribonucleosides structurally related to the antitumor antibiotic sangivamycin
EP0119571B1 (en) Rifamycins derivatives and preparation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thereof
JPH0472838B2 (ko)
US4617389A (en) Mitomycin analogs
US4567256A (en) Amidine process
US3850928A (en) Substituted 6-alkylamino-2-phenyl-5-pyrimidine carboxylic acids
Schroeder et al. Synthesis and biological evaluation of 6-ethynyluracil, a thiol-specific alkylating pyrimidine
KR910002080B1 (ko) N^7-아미디노 치환 미토마이신 c 유도체의 제조방법
US4691023A (en) Amino disulfides
EP0294828B1 (en) Mitomycin analogs, a process for preparing them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ameron et al. Specific inhibitors in vitamin biosynthesis. Part 8. Syntheses of some functionalised 7, 7-dialkyl-7, 8-dihydropterins
EP0431953A2 (en) Pyrrolopyrimidine derivatives, their production and use
AU595183B2 (en) Crystalline form of 7-(dimethylaminomethylene) amino-9a- methoxymitosane
US4579737A (en) Bis-amidines
US3775412A (en) Substituted 2-phenyl-5h-pyrrolo(2,3-d)pyrimidine-5,6-(7h)-diones useful as cns depressants
US4590074A (en) Bis-amidines
NO881204L (no) Mitosanderivater.
NO163368B (no) Mitosanderivater.
JPH04128287A (ja) ピロロ[2,3−d]ピリミジン誘導体,その製造法,用途及び中間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O035 Opposition [patent]: request for opposition
O122 Withdrawal of opposition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O073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after opposition [paten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5050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