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6072A - 인쇄용 카세트 및 인쇄 장치 - Google Patents

인쇄용 카세트 및 인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6072A
KR20220066072A KR1020227009688A KR20227009688A KR20220066072A KR 20220066072 A KR20220066072 A KR 20220066072A KR 1020227009688 A KR1020227009688 A KR 1020227009688A KR 20227009688 A KR20227009688 A KR 20227009688A KR 20220066072 A KR20220066072 A KR 202200660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tape
printing
gea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096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지 우카이
겐타로 무라야마
Original Assignee
브라더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브라더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브라더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0660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60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5/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continuous form, e.g. webs
    • B41J15/04Supporting, feeding, or guiding devices; Mountings for web rolls or spi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31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B41J2/32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thermal heads
    • B41J2/32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thermal heads by selective transfer of ink from ink carrier, e.g. from ink ribbon or she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2/00Ink-ribbon cartri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5/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continuous form, e.g. webs
    • B41J15/04Supporting, feeding, or guiding devices; Mountings for web rolls or spindles
    • B41J15/044Cassettes or cartridges containing continuous copy material, tape, for setting into prin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7/00Mechanisms for manipulating page-width impression-transfer material, e.g. carbon paper
    • B41J17/32Detachable carriers or holders f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mechan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41J3/36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for portability, i.e. hand-held printers or laptop prin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5/00Parts for hol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5/10Cassettes, holders, bins, decks, trays, supports or magazines for sheets stacked substantially horizont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5/00Parts for hol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5/10Cassettes, holders, bins, decks, trays, supports or magazines for sheets stacked substantially horizontally
    • B65H2405/11Parts and details thereof

Abstract

구동력을 전달하는 기어의 손상을 억제할 수 있는 인쇄용 카세트를 제공한다. 본 개시는, 제1 케이스부와 제2 케이스부와 제3 케이스부를 갖는 케이스와, 제3 케이스부에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는 제1 테이프와, 일부가 제2 케이스부에 수용되고, 다른 부분이 케이스의 외부에 위치함과 함께, 제1 방향과 평행한 회전 축심 주위로 회전 가능한 기어를 구비하는 인쇄용 카세트이다. 제1 케이스부에는, 제1 테이프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마련된다. 제1 케이스부, 제2 케이스부 및 제3 케이스부는, 제1 방향에 있어서, 제1 케이스부, 제2 케이스부 및 제3 케이스부의 순으로 배치된다.

Description

인쇄용 카세트 및 인쇄 장치
본 개시는, 인쇄용 카세트 및 인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쇄용 테이프에 인쇄를 행하는 인쇄 장치에서는, 인쇄용 테이프를 수용한 카세트를 인쇄 장치 본체에 착탈함으로써, 인쇄용 테이프의 교환 및 공급이 행해진다(특허문헌 1 참조).
일본 특허 공개 제2010-234772호 공보
상술한 카세트에 있어서, 카세트 내로 구동력을 전달하거나, 또는 카세트로부터 외부로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기어를 마련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러한 기어의 일부가 카세트의 케이스의 외부에 배치된 경우, 카세트가 낙하되어 바닥면 등에 충돌한 때, 기어가 손상되기 쉽다.
본 개시의 일 국면은, 구동력을 전달하는 기어의 손상을 억제할 수 있는 인쇄용 카세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개시의 일 양태는, 제1 케이스부와 제2 케이스부와 제3 케이스부를 갖는 케이스와, 제3 케이스부에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는 제1 테이프와, 일부가 제2 케이스부에 수용되고, 다른 부분이 케이스의 외부에 위치함과 함께, 제1 방향과 평행한 회전 축심 주위로 회전 가능한 기어를 구비하는 인쇄용 카세트이다.
제1 케이스부에는, 제1 테이프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마련된다. 제1 케이스부, 제2 케이스부 및 제3 케이스부는, 제1 방향에 있어서, 제1 케이스부, 제2 케이스부 및 제3 케이스부의 순으로 배치된다.
본 개시의 다른 양태는, 인쇄용 카세트와, 인쇄용 카세트가 장착되는 인쇄 장치 본체를 구비하는 인쇄 장치이다. 인쇄 장치 본체는, 기어에 걸림 결합하는 구동력 전달부를 갖는다.
이것들과 같은 구성에 의하면, 제1 케이스부와 제3 케이스부로 끼워진 제2 케이스부에 기어가 배치된다. 그 때문에, 인쇄용 카세트가 낙하하여 기어의 회전 축심의 축방향과 수직인 면이 바닥면 등에 충돌한 때, 기어가 제1 케이스부와 제3 케이스부로 보호되어, 기어의 손상이 억제된다.
도 1a, 도 1b 및 도 1c는,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인쇄 장치에 있어서 인쇄용 카세트를 인쇄 장치 본체로부터 떼어낸 상태를 도시하는 모식적인 사시도이다.
도 2a, 도 2b 및 도 2c는, 도 1a의 인쇄 장치에 있어서의 인쇄용 카세트의 모식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a의 인쇄용 카세트의 모식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c의 IV-IV선에서의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도 2a의 인쇄용 카세트에 있어서의 제1 프레임부의 모식적인 사시도이고, 도 5c는, 도 2a의 인쇄용 카세트에 있어서의 제2 프레임부의 모식적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2a의 인쇄용 카세트의 제1 덮개부를 떼어낸 상태를 도시하는 모식적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2a의 인쇄용 카세트에 있어서의 피인쇄 테이프 및 잉크 리본의 경로를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8a는, 도 2c의 VIIIA-VIIIA선에서의 모식적인 단면도이고, 도 8b는, 도 2c의 VIIIB-VIIIB선에서의 모식적인 단면도이고, 도 8c는, 도 2c의 VIIIC-VIIIC선에서의 모식적인 단면도이고, 도 8d는, 도 2c의 VIIID-VIIID선에서의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1a의 인쇄 장치에 있어서의 인쇄 장치 본체의 모식적인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1a의 인쇄 장치에 있어서의 출력 기어와 플래튼 기어의 걸림 결합 상태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도 1a와는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인쇄 장치에 있어서 인쇄용 카세트를 인쇄 장치 본체로부터 떼어낸 상태를 도시하는 모식적인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a의 인쇄 장치에 있어서의 인쇄용 카세트의 모식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1a의 인쇄 장치에 있어서의 인쇄 장치 본체의 모식적인 평면도이다.
도 14는 도 11a의 인쇄 장치에 있어서의 출력 기어와 플래튼 기어의 걸림 결합 상태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15는 도 1a 및 도 11a와는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인쇄 장치의 인쇄용 카세트의 모식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a, 도 11a 및 도 15와는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인쇄 장치의 인쇄용 카세트의 모식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1. 제1 실시 형태]
[1-1. 구성]
도 1a, 1b, 1c에 도시하는 인쇄 장치(1)는, 인쇄용 카세트(10)와, 인쇄 장치 본체(100)를 구비한다. 인쇄 장치(1)는, 테이프 형상의 인쇄 매체에 인쇄를 행하는 장치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출력 기어(18)의 축방향을 상하 방향으로 하고, 상하 방향과 수직인 방향 중 출력 기어(18)와 입력 스풀(16)이 나열되는 방향을 전후 방향으로 하고, 상하 방향과 전후 방향의 양쪽에 수직인 방향을 좌우 방향으로 한다.
<인쇄용 카세트>
인쇄용 카세트(10)는 인쇄 매체를 격납하고 있다. 인쇄용 카세트(10)는, 인쇄 장치 본체(100)에 탈착 가능하다. 인쇄용 카세트(10)의 교환에 의해, 인쇄 매체의 보급 및 인쇄 매체의 종류(예를 들어, 색, 재질 등)의 변경을 할 수 있다.
인쇄용 카세트(10)는, 도 2a, 2b, 2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술하는 피인쇄 테이프(제1 테이프의 일례), 잉크 리본 등을 저장하는 케이스(35)를 구비한다. 인쇄용 카세트(10)의 외형(즉, 케이스(35)의 형상)은, 상하 방향에 평행한 변과, 전후 방향에 평행한 변과, 좌우 방향에 평행한 변을 갖는 직육면체 형상이다. 케이스(35)는, 제1 덮개부(31)와, 제1 프레임부(32)와, 제2 프레임부(33)와, 제2 덮개부(34)를 갖는다.
인쇄용 카세트(1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롤(11)과, 제1 공급 스풀(12)과, 스페이서 필름(13A, 13B)과, 제2 롤(14)과, 제2 공급 스풀(15)과, 입력 스풀(16)과, 클러치 패널 홀더(17)와, 출력 기어(18)와, 입력 기어(19)와, 아이들 기어(20)를 구비한다.
(제1 롤)
제1 롤(11)은, 인쇄가 행해지는 피인쇄 테이프를 제1 공급 스풀(12)에 권회한 것이다. 피인쇄 테이프의 표면에는, 후술하는 인쇄 장치 본체(100)의 인쇄 헤드(102) 및 잉크 리본에 의해 인쇄가 행해진다.
제1 롤(11)의 상하 방향의 외측에는, 제1 롤(11)을 사이에 두도록 2개의 스페이서 필름(13A, 13B)이 배치되어 있다. 스페이서 필름(13A, 13B)은, 각각, 제1 롤(11)과 제2 덮개부(34) 사이와, 제1 롤(11)과 제2 프레임부(33)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제1 공급 스풀)
제1 공급 스풀(12)은, 회전 축심 주위로 회전 가능하다. 제1 공급 스풀(12)은, 후술하는 인쇄 장치 본체(100)의 플래튼 롤러(103)에 의한 피인쇄 테이프의 반송에 수반하여 회전함으로써, 피인쇄 테이프를 인쇄 헤드(102)에 공급한다.
(제2 롤)
제2 롤(14)은, 피인쇄 테이프의 인쇄에 사용되는 잉크 리본을 제2 공급 스풀(15)에 권회한 것이다.
잉크 리본은, 후술하는 헤드 개구(32B)에 있어서, 피인쇄 테이프와 중첩되어 인쇄 헤드(102)에 의한 인쇄에 제공된다. 인쇄에 사용된 잉크 리본은, 후술하는 입력 스풀(16)에 권취된다. 또한, 제2 롤(14)에는, 클러치 패널 홀더(17)에 보유 지지된 클러치 스프링에 의해 회전 저항이 부여된다.
(제2 공급 스풀)
제2 공급 스풀(15)은, 회전 축심 주위로 회전 가능하다. 제2 공급 스풀(15)의 회전 축심은, 제1 공급 스풀(12)의 회전 축심, 즉 상하 방향과 평행이다.
제2 공급 스풀(15)은, 잉크 리본의 입력 스풀(16)에 의한 권취에 수반하여 회전함으로써, 잉크 리본을 인쇄 헤드(102)에 공급한다. 또한, 제2 공급 스풀(15)의 적어도 일부는, 상하 방향에 있어서, 제1 롤(11)과 겹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입력 스풀)
입력 스풀(16)은, 회전 축심 주위로 회전 가능하다. 입력 스풀(16)의 회전 축심은, 제2 공급 스풀(15)의 회전 축심과 평행이다.
입력 스풀(16)은, 원통 형상이고, 내주면(16A)에서 규정되는 중공부를 갖는다. 입력 스풀(16)의 내주면(16A)에는 스플라인 기어(16B)가 마련되어 있다. 스플라인 기어(16B)에는, 후술하는 인쇄 장치 본체(100)의 구동 샤프트(105)가 연결된다. 입력 스풀(16)은, 구동 샤프트(105)에 의해 회전되어, 잉크 리본을 권취한다.
(출력 기어)
출력 기어(18)는, 피인쇄 테이프를 반송하기 위한 구동력을 외부에 출력하기 위한 싱글 기어이다. 출력 기어(18)는, 후술하는 인쇄 장치 본체(100)의 플래튼 기어(104)를 통해 플래튼 롤러(103)로 구동력을 전달한다.
출력 기어(18)는, 상하 방향과 평행한 회전 축심 주위로 회전하는 원반과, 원반의 상하 방향과 평행한 면에 마련된 기어를 갖는다. 원반의 상하 방향과 수직인 한쪽 면(즉, 상면)은, 상하 방향에 있어서 케이스(35)의 후술하는 커버부(33B)와 대향하고 있다. 원반의 상하 방향과 수직인 다른 쪽 면(즉, 하면)의 일부는, 상하 방향에 있어서 케이스(35)와 대향하고 있지 않다.
출력 기어(18)는, 헤드 개구(32B)에 일부가 노출되어 있고, 일부가 케이스(35)의 외부에 위치하고 있다. 출력 기어(18)는, 인쇄용 카세트(10)가 인쇄 장치 본체(100)에 장착된 상태로, 헤드 개구(32B)에 있어서 플래튼 기어(104)에 걸림 결합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롤(11), 출력 기어(18) 및 제2 롤(14)(즉, 제2 공급 스풀(15))은, 상하 방향에 있어서, 제1 롤(11), 출력 기어(18) 및 제2 롤(14)의 순으로 나열되어 배치되어 있다. 즉, 출력 기어(18)는, 상하 방향에 있어서, 제1 롤(11)과 제2 롤(14) 사이에 위치한다.
(입력 기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력 기어(19)는, 후술하는 아이들 기어(20)를 통해 출력 기어(18)와 간접적으로 걸림 결합하여, 구동력을 출력 기어(18)로 전달한다. 입력 기어(19)에는, 인쇄 장치 본체(100)의 구동원으로부터의 구동력이 입력된다.
입력 기어(19)는, 외치 기어(19A)와, 외치 기어(19A)의 하면에 고정됨과 함께, 내주면에 스플라인 기어를 갖는 원통 형상의 스풀(19B)을 갖는다. 외치 기어(19A)는, 스풀(19B)에 입력된 구동력에 의해 스풀(19B)과 일체 회전한다.
입력 기어(19)의 회전 축심(즉, 외치 기어(19A)의 회전 축심 및 스풀(19B)의 회전 축심)은, 입력 스풀(16)의 회전 축심과 동일선 위에 배치되어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력 스풀(16), 입력 기어(19) 및 제1 롤(11)은, 상하 방향에 있어서, 입력 스풀(16), 입력 기어(19) 및 제1 롤(11)의 순으로 나열되어 배치되어 있다.
즉, 입력 기어(19)는, 상하 방향에 있어서, 입력 스풀(16)과 제1 롤(11) 사이에 위치한다. 또한, 입력 기어(19)의 적어도 일부는, 상하 방향에 있어서, 제1 롤(11)과 겹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입력 기어(19)의 회전 축심은, 입력 스풀(16)의 중공부를 통과한다. 즉, 구동 샤프트(105)가 입력 스풀(16)과 입력 기어(19)에 동시에 삽입 관통된다. 그 결과, 입력 기어(19)는, 입력 스풀(16)과 직접 연결되어 있지는 않지만, 입력 스풀(16)과 공통의 구동원(즉, 구동 샤프트(105))에 의해 회전된다.
(아이들 기어)
아이들 기어(20)는, 입력 기어(19)와 출력 기어(18)에 구동 연결되어(즉, 걸림 결합되어), 입력 기어(19)에 입력된 구동력을 출력 기어(18)로 전달한다.
아이들 기어(20)는, 입력 기어(19)에 걸림 결합한 제1 기어(20A)와, 출력 기어(18)에 걸림 결합한 제2 기어(20B)가 동축 상에 나열되어 배치된 단기어이다. 제2 기어(20B)는, 제1 기어(20A)보다도 직경이 작다. 또한, 제2 기어(20B)는, 상하 방향에 있어서, 제1 기어(20A)보다도 제1 롤(11)에 가까운 위치(즉,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아이들 기어(20)는, 입력 기어(19)에 입력된 구동력을 감속시키는 감속 기구를 구성하고 있다.
(케이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덮개부(31)는, 인쇄용 카세트(10)의 하단부를 구성하고 있다. 제1 프레임부(32)는, 제1 덮개부(31)의 상측에 배치되어, 제1 덮개부(31)와 상하 방향으로 연결되어 있다. 제2 프레임부(33)는, 제1 프레임부(32)의 상측에 배치되어, 제1 프레임부(32)와 상하 방향으로 연결되어 있다. 제2 덮개부(34)는, 인쇄용 카세트(10)의 상단부를 구성하고 있다. 제2 덮개부(34)는, 제2 프레임부(33)와 상하 방향으로 연결되어 있다.
제1 덮개부(31)와 제1 프레임부(32)의 하방측의 제1 부위는, 제2 롤(14)(즉, 잉크 리본의 적어도 일부), 제2 공급 스풀(15) 및 입력 스풀(16)이 수용된 제1 케이스부(41)를 구성하고 있다. 즉, 제2 롤(14), 제2 공급 스풀(15) 및 입력 스풀(16)은, 제1 덮개부(31)와 제1 프레임부(32)로 둘러싸인 공간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1 케이스부(41)에는, 피인쇄 테이프가 배출되는 배출구(32C)가 마련되어 있다.
제1 프레임부(32)의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제1 부위와는 반대측(즉, 상방측)의 제2 부위와, 제2 프레임부(33)의 하방측의 제3 부위는, 출력 기어(18)의 일부, 입력 기어(19) 및 아이들 기어(20)가 수용된 제2 케이스부(42)를 구성하고 있다. 즉, 출력 기어(18)의 일부, 입력 기어(19) 및 아이들 기어(20)는, 제1 프레임부(32)와 제2 프레임부(33)로 둘러싸인 공간에 배치되어 있다.
제2 프레임부(33)의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제3 부위와는 반대측(즉, 상방측)의 제4 부위와, 제2 덮개부(34)는, 제1 롤(11)(즉, 피인쇄 테이프의 적어도 일부)이 수용된 제3 케이스부(43)를 구성하고 있다. 즉 제1 롤(11)은, 제2 프레임부(33)와 제2 덮개부(34)로 둘러싸인 공간에 배치되어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케이스부(41), 제2 케이스부(42) 및 제3 케이스부(43)는, 상하 방향에 있어서, 제1 케이스부(41), 제2 케이스부(42) 및 제3 케이스부(43)의 순으로 배치되어 있다. 즉, 제2 케이스부(42)는, 상하 방향에 있어서, 제1 케이스부(41)와 제3 케이스부(43)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제1 케이스부(41)의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 및 제3 케이스부(43)의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는, 각각, 제2 케이스부(42)의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보다도 크다. 또한, 제1 케이스부(41)의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는, 제3 케이스부(43)의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 이상이다. 또한, 제2 프레임부(33)의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는, 제1 프레임부(32)의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보다도 크다.
도 5a,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프레임부(32)는, 제1 측벽(32A)과, 헤드 개구(32B)와, 배출구(32C)와, 제1 가이드(32D)와, 돌출부(32E)와, 대향부(32F)와, 제1 격리벽(32G)과, 개구용 출구(32K)와, 제1 규제부(32L)와, 제1 칸막이벽(32M)을 갖는다. 제1 측벽(32A)은, 인쇄용 카세트(10)의 상하 방향과 평행한 측면을 구성하고 있다.
헤드 개구(32B)는, 제1 측벽(32A)의 일부를 잘라낸 부위이다. 헤드 개구(32B)는, 인쇄용 카세트(10)가 인쇄 장치 본체(100)에 장착된 상태로, 인쇄 헤드(102)가 하방으로부터 삽입됨으로써, 내부에 인쇄 헤드(102)가 배치되는 공간이다. 헤드 개구(32B)는, 인쇄용 카세트(10)의 하방으로 개구되어 있다.
제1 가이드(32D)는, 제3 케이스부(43)로부터 보내진 피인쇄 테이프(11A)가 감아 걸리는 부위이다. 제1 가이드(32D)는, 제2 롤(14)의 둘레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배치된 복수의 판 형상의 리브를 갖는다. 복수의 리브는, 제2 롤(14)의 직경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고, 하방을 향할수록 돌출량(즉, 판 폭)이 작아진다.
돌출부(32E)는, 헤드 개구(32B)보다도 피인쇄 테이프의 반송 방향의 상류에 있어서 피인쇄 테이프와 잉크 리본이 평행하게 반송되는 부위이다. 돌출부(32E)는 좌우 방향으로 연신되어 있다. 피인쇄 테이프 및 잉크 리본은, 돌출부(32E)의 내부를 인쇄 시에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 반송된다.
돌출부(32E)는, 헤드 개구(32B)를 규정하는 제1 면(32H)을 갖는다. 제1 면(32H)은, 돌출부(32E)의 후방면을 구성하고 있고, 전후 방향과 직교한다. 인쇄용 카세트(10)가 인쇄 장치 본체(100)에 장착된 상태로, 제1 면(32H)은, 인쇄 헤드(102)와 전후 방향으로 대향한다.
대향부(32F)는, 돌출부(32E)와 전후 방향으로 대향하는 판 형상의 부위이다. 대향부(32F)는, 헤드 개구(32B)와, 제2 롤(14), 제2 공급 스풀(15) 및 입력 스풀(16)이 배치되는 공간을 전후 방향으로 칸막이하고 있다. 대향부(32F)는, 헤드 개구(32B)를 규정하고, 전후 방향에 있어서 제1 면(32H)과 대향하는 제2 면(32I)(도 3 참조)을 갖는다.
제2 면(32I)은, 대향부(32F)의 전방면을 구성하고 있고, 전후 방향과 직교한다. 인쇄용 카세트(10)가 인쇄 장치 본체(100)에 장착된 상태로, 제2 면(32I)은, 인쇄 헤드(102)를 사이에 두고 제1 면(32H)과는 반대측에 배치된다.
제1 격리벽(32G)은, 제1 케이스부(41)와 제2 케이스부(42)를 상하 방향으로 칸막이한다. 또한, 제1 격리벽(32G)은, 제2 케이스부(42)의 일부이다. 즉, 제1 프레임부(32) 중 제1 케이스부(41)를 구성하는 제1 부위는, 제1 격리벽(32G)보다도 하측의 부위이다. 한편, 돌출부(32E) 및 대향부(32F)는, 제1 격리벽(32G)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그 때문에, 돌출부(32E) 및 대향부(32F)는, 제1 케이스부(41)의 일부이다.
제1 격리벽(32G)은, 헤드 개구(32B)의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상단부에 배치되어, 돌출부(32E)와 대향부(32F)를 연결하는 제3 면(32J)을 갖는다. 제3 면(32J)은, 제1 격리벽(32G)의 하면을 구성하고 있고, 상하 방향과 직교한다.
개구용 출구(32K)는, 돌출부(32E) 내의 피인쇄 테이프가 헤드 개구(32B)에 배출되는 부위이다. 개구용 출구(32K)는, 돌출부(32E)의 우측단에 마련되어 있다. 제2 롤(14)로부터 인출된 잉크 리본은, 개구용 출구(32K)로부터 헤드 개구(32B)로 배출된 피인쇄 테이프와 중첩된다.
제1 규제부(32L)는, 피인쇄 테이프의 폭 방향의 이동을 규제한다. 제1 규제부(32L)는, 제1 케이스부(41)에서의 피인쇄 테이프의 폭 방향(즉,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배출구(32C)의 양단(즉, 상단 및 하단)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도 8b 참조). 구체적으로는, 제1 규제부(32L)는, 제1 프레임부(32)의 우측 후방에 있어서 제1 측벽(32A)으로부터 좌측으로 돌출된 지지부(32N)로부터, 더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제1 칸막이벽(32M)은, 출력 기어(18), 입력 기어(19) 및 아이들 기어(20)가 배치되는 공간과, 피인쇄 테이프가 통과하는 공간을 칸막이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칸막이벽(32M)은, 제2 프레임부(33)에 있어서, 출력 기어(18), 입력 기어(19) 및 아이들 기어(20)와 대향하는 내영역과, 내영역보다도 외측의 외영역을 구획하고 있다.
도 5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프레임부(33)는, 제2 측벽(33A)과, 커버부(33B)와, 제2 가이드(33C)와, 제1 기어 지지부(33D)와, 제2 기어 지지부(33E)와, 제3 기어 지지부(33F)와, 제2 칸막이벽(33G)과, 제2 격리벽(33H)과, 제1 클로(33I)와, 제2 클로(33J)와, 제3 클로(33K)와, 제4 클로(33L)와, 제2 규제부(33M)(도 8b 참조)를 갖는다. 제2 측벽(33A)은, 인쇄용 카세트(10)의 상하 방향과 평행한 측면을 구성하고 있다.
커버부(33B)는, 상하 방향과 수직인 표면을 갖는 부위이다. 커버부(33B)는, 상하 방향에 있어서 출력 기어(18)와 겹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커버부(33B)는, 제2 측벽(33A)의 하단부와 연속해서 마련되고, 제2 프레임부(33)의 우측 전방의 모퉁이부에 배치되어 있다.
출력 기어(18), 커버부(33B) 및 제1 롤(11)은, 상하 방향에 있어서, 출력 기어(18), 커버부(33B) 및 제1 롤(11)의 순으로 나열되어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출력 기어(18)의 상면의 전체 영역은, 커버부(33B)에 의해 덮여 있다.
제2 가이드(33C)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롤(11)로부터 인출된 피인쇄 테이프(11A)가 감아 걸리는 부위이다. 제2 가이드(33C)는, 제1 롤(11)의 둘레 방향을 따라 이격하여 배치된 복수의 판 형상의 리브를 갖는다. 복수의 리브는, 제1 롤(11)의 직경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고, 하방을 향할수록 돌출량(즉, 판 폭)이 크게 되어 있다.
도 5c에 도시되는 제1 기어 지지부(33D)는, 출력 기어(18)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제2 기어 지지부(33E)는, 입력 기어(19)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제3 기어 지지부(33F)는, 아이들 기어(2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제2 칸막이벽(33G)은, 출력 기어(18), 입력 기어(19) 및 아이들 기어(20)가 배치되는 공간과, 피인쇄 테이프가 통과하는 공간을 구획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2 칸막이벽(33G)은, 제2 프레임부(33)에 있어서, 제1 기어 지지부(33D), 제2 기어 지지부(33E) 및 제3 기어 지지부(33F)가 배치된 내영역과, 제2 가이드(33C)가 배치된 외영역을 구획하고 있다. 제2 가이드(33C)는, 제2 칸막이벽(33G)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제2 격리벽(33H)은, 제2 케이스부(42)와 제3 케이스부(43)를 상하 방향으로 구획하고 있다. 또한, 제2 격리벽(33H)은 제3 케이스부(43)의 일부이다. 즉, 제2 프레임부(33) 중 제2 케이스부(42)를 구성하는 제3 부위는, 제2 격리벽(33H)보다도 하측의 부위이다.
한편, 제1 기어 지지부(33D), 제2 기어 지지부(33E), 제3 기어 지지부(33F) 및 제2 칸막이벽(33G)은, 제2 격리벽(33H)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제1 기어 지지부(33D), 제2 기어 지지부(33E), 제3 기어 지지부(33F) 및 제2 칸막이벽(33G)은, 제2 케이스부(42)의 일부이다.
제1 클로(33I)는, 제2 프레임부(33)의 전단부에 마련되어 있다. 제2 클로(33J)는, 제2 프레임부(33)의 좌측 단부에 마련되어 있다. 제3 클로(33K)는, 제2 프레임부(33)의 후단부에 마련되어 있다. 제4 클로(33L)는, 제2 프레임부(33)의 우측 단부에 마련되어 있다.
클로(33I, 33J, 33K, 33L)는, 각각, 하방으로 돌출되어, 제1 프레임부(32)의 제1 측벽(32A)에 형성된 개구 또는 홈에 걸림 결합되어 있다. 즉, 클로(33I, 33J, 33K, 33L)는, 제1 프레임부(32)와 제2 프레임부(33)를 상하 방향으로 연결하고 있다.
출력 기어(18), 입력 기어(19) 및 아이들 기어(20)는,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제1 클로(33I)와 제3 클로(33K) 사이 및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제2 클로(33J)와 제4 클로(33L)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규제부(33M)는, 피인쇄 테이프의 폭 방향의 이동을 규제한다. 제2 규제부(33M)는, 제2 프레임부(33)의 좌측 후방에 있어서 제2 측벽(33A)으로부터 우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하는 제2 덮개부(34)는, 피인쇄 테이프의 폭 방향의 이동을 규제하는 제3 규제부(34A)를 갖는다. 제3 규제부(34A)는, 제3 케이스부(43)에서의 피인쇄 테이프의 폭 방향(즉,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제1 롤(11)의 양단(즉, 상단 및 하단)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도 8b 참조). 구체적으로는, 제3 규제부(34A)는, 제2 덮개부(34)의 우측 후방에 있어서, 두께 방향이 좌우 방향과 평행이 되도록 배치된 판 부재이다.
제3 케이스부(43)의 내부 공간의 체적은, 제1 케이스부(41)의 내부 공간의 체적보다도 크다. 또한, 제3 케이스부(43)의 중량과 제3 케이스부(43)에 수용된 부품(즉, 제1 롤(11), 제1 공급 스풀(12) 등)의 중량을 합한 총 중량은, 제1 케이스부(41)의 중량과 제1 케이스부(41)에 수용된 부품(즉, 제2 롤(14), 제2 공급 스풀(15), 입력 스풀(16) 등)의 중량을 합한 총 중량보다도 크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헤드 개구(32B)에 있어서, 피인쇄 테이프(11A) 및 잉크 리본(14A)이 좌우 방향으로 걸쳐진다. 인쇄 후의 피인쇄 테이프(11A)는, 배출구(32C)로부터 인쇄 장치(1)의 외부로 배출된다.
출력 기어(18) 및 케이스(35)를 상하 방향과 수직인 가상면에 투영한 투영도에 있어서, 출력 기어(18)는, 케이스(35)의 외연보다도 내측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출력 기어(18)의 전체는, 상하 방향에 있어서, 케이스(35)와 겹쳐 있다.
도 8a, 8b, 8c, 8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가이드(32D) 및 제2 가이드(33C)는, 제1 롤(11)을 구성하는 피인쇄 테이프(11A)를 제3 케이스부(43)로부터 제1 케이스부(41)로 보내는 통로를 구성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롤(11)로부터 인출된 피인쇄 테이프(11A)는, 나선을 그리도록 제2 가이드(33C)에 제1 롤(11)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부터 맞닿으면서, 제3 케이스부(43) 내에서 하측 후방을 향해 반송된다. 피인쇄 테이프(11A)는, 또한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케이스부(42)를 상하 방향으로 걸치면서, 좌측 하방을 향해 반송된다.
제2 케이스부(42)를 통과하여 제1 케이스부(41)에 도달한 피인쇄 테이프(11A)는, 도 8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가이드(32D)에 직경 방향 외측으로부터 맞닿으면서 하측 전방을 향해 반송된다. 제1 케이스부(41)를 통과하여 인쇄용 카세트(10)의 하단부에 도달한 피인쇄 테이프(11A)는, 도 8d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헤드 개구(32B)를 통과하여 배출구(32C)로부터 배출된다.
<인쇄 장치 본체>
인쇄 장치 본체(100)는,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세트 삽입부(101)와, 인쇄 헤드(102)와, 플래튼 롤러(103)와, 플래튼 기어(104)와, 구동 샤프트(105)를 구비한다.
(카세트 삽입부)
카세트 삽입부(101)는, 인쇄용 카세트(10)가 장착되는 오목부이다. 카세트 삽입부(101)는, 인쇄용 카세트(10)의 위치 결정 기능을 갖는다.
(인쇄 헤드)
인쇄 헤드(102)는, 인쇄용 카세트(10)가 보유 지지하는 피인쇄 테이프에 인쇄하기 위한 장치이다.
인쇄 헤드(102)는, 카세트 삽입부(101)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인쇄 헤드(102)는, 인쇄용 카세트(10)가 인쇄 장치 본체(100)에 장착된 상태로, 헤드 개구(32B)에 있어서, 피인쇄 테이프 및 잉크 리본과 전후 방향으로 겹치는 위치에 배치된다.
인쇄 헤드(102)는, 개별로 발열이 제어되는 복수의 발열 소자를 갖는다. 후술하는 플래튼 롤러(103)에 의해 헤드 개구(32B)로 반송된 피인쇄 테이프는, 잉크 리본을 통해 발열 소자가 발열된 인쇄 헤드(102)에 압박된다. 이로써, 잉크 리본의 표면에 배치된 잉크의 일부가 피인쇄 테이프에 전사되어, 피인쇄 테이프에 문자, 기호 등이 인쇄된다.
(플래튼 롤러)
플래튼 롤러(103)는, 피인쇄 테이프를 인쇄용 카세트(10) 내로부터 외부를 향해 반송하기 위한 롤러이다. 플래튼 롤러(103)의 회전 축심은, 상하 방향과 평행이다.
플래튼 롤러(103)는, 카세트 삽입부(101)의 내부에 있어서, 인쇄 헤드(102)의 근방에 배치되어 있다. 플래튼 롤러(103)는, 헤드 개구(32B)에 있어서 피인쇄 테이프에 맞닿고, 피인쇄 테이프를 인쇄 헤드(102)에 대고 누른다.
(플래튼 기어)
플래튼 기어(104)는, 플래튼 롤러(103)에 구동 연결되어, 출력 기어(18)와 걸림 결합하는 구동력 전달부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플래튼 기어(104)의 회전 축심은, 플래튼 롤러(103)의 회전 축심과 동일선 위에 배치되어 있다.
플래튼 롤러(103) 및 플래튼 기어(104)는, 도 9에 도시하는 인쇄용 카세트(10)와 이격된 위치와, 도 10에 도시하는 플래튼 기어(104)가 출력 기어(18)에 걸림 결합한 위치 사이에서 요동 가능하다.
(구동 샤프트)
구동 샤프트(105)는, 입력 스풀(16)에 삽입됨과 함께 입력 기어(19)에 걸림 결합하여, 입력 스풀(16)과 입력 기어(19)를 회전시키기 위한 샤프트이다.
구동 샤프트(105)는, 카세트 삽입부(101)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구동 샤프트(105)의 회전 축심은, 상하 방향과 평행이다. 구동 샤프트(105)는, 도시하지 않은 구동원(예를 들어, 모터)에 의해 회전 축심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쇄용 카세트(10)가 인쇄 장치 본체(100)에 장착된 상태로, 구동 샤프트(105)가 입력 기어(19)에 걸림 결합함과 함께 플래튼 기어(104)가 출력 기어(18)에 걸림 결합한다. 구체적으로는, 구동 샤프트(105)를 인쇄용 카세트(10)의 입력 스풀(16) 및 입력 기어(19)에 삽입하고, 플래튼 롤러(103) 및 플래튼 기어(104)를 인쇄용 카세트(10)의 헤드 개구(32B)를 향해 요동시킴으로써, 인쇄용 카세트(10)가 인쇄 장치 본체(100)에 장착된다.
인쇄용 카세트(10)가 장착된 상태로 구동 샤프트(105)에 의해 입력 기어(19)가 회전됨으로써 출력 기어(18)가 회전되고, 출력 기어(18)의 회전에 의해 플래튼 기어(104)가 회전하고, 플래튼 기어(104)의 회전에 의해 플래튼 롤러(103)가 회전한다.
[1-2. 효과]
이상에 상세히 기술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이하의 효과가 얻어진다.
(1a) 제1 케이스부(41)와 제3 케이스부(43)로 끼워진 제2 케이스부(42)에 출력 기어(18)가 배치된다. 그 때문에, 인쇄용 카세트(10)가 낙하하여 출력 기어(18)의 회전 축심의 축방향과 수직인 면이 바닥면 등에 충돌한 때에, 출력 기어(18)가 제1 케이스부(41)와 제3 케이스부(43)로 보호되어, 출력 기어(18)의 손상이 억제된다.
(1b) 돌출부(32E)와 대향부(32F)가 제3 면(32J)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돌출부(32E)의 강도가 높여진다. 그 결과, 인쇄용 카세트(10)의 낙하 시의 돌출부(32E)의 파손이 억제된다.
(1c) 제3 케이스부(43)의 체적 및 총 중량이 제1 케이스부(41)의 체적 및 총 중량보다도 크기 때문에, 인쇄용 카세트(10)의 낙하 시에 제3 케이스부(43)가 하측으로 되어 바닥면 등에 충돌하기 쉽다. 그 때문에, 제1 케이스부(41)에 마련된 헤드 개구(32B)에 노출되는 출력 기어(18)의 파손이 억제된다.
(1d) 각 케이스부가 격리벽에 의해 각각 구획되어 있기 때문에, 인쇄용 카세트(10)의 낙하 시에 다른 케이스부에 배치된 부품끼리의 충돌을 억제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부품의 파손이 억제된다.
(1e) 제1 규제부(32L), 제2 규제부(33M) 및 제3 규제부(34A)에 의해, 제1 공급 스풀(12)에 권회된 피인쇄 테이프를 제3 케이스부(43)로부터 제1 케이스부(41)로 원활하게 보낼 수 있다.
(1f) 제2 케이스부(42)에 있어서, 제1 칸막이벽(32M) 및 제2 칸막이벽(33G)에 의해, 배출구(32C)를 향해 반송되는 피인쇄 테이프가, 출력 기어(18), 입력 기어(19) 및 아이들 기어(20)와 간섭하는 것이 억제된다.
[2. 제2 실시 형태]
[2-1. 구성]
도 11a, 11b에 도시하는 인쇄 장치(1A)는, 인쇄용 카세트(10A)와, 인쇄 장치 본체(100A)를 구비한다.
<인쇄용 카세트>
인쇄용 카세트(10A)는, 제1 실시 형태의 인쇄용 카세트(10)에, 도 11에 도시하는 제3 롤(21)과, 추가 스풀(22)과, 추가 기어(23)와, 핀치 롤러(24)를 추가함과 함께, 제1 실시 형태의 입력 스풀(16), 제1 덮개부(31), 제1 프레임부(32), 제2 프레임부(33) 및 제2 덮개부(34)를, 제3 공급 스풀(25), 제1 덮개부(36), 제1 프레임부(37), 제2 프레임부(38) 및 제2 덮개부(39)로 치환한 것이다.
제1 덮개부(36)와 제1 프레임부(37)는, 제1 케이스부(41A)를 구성한다. 제1 프레임부(37)와 제2 프레임부(38)는, 제2 케이스부(42A)를 구성한다. 제2 프레임부(38)와 제2 덮개부(39)는, 제3 케이스부(43A)를 구성한다.
제3 공급 스풀(25)은, 스플라인 기어(16B)를 갖지 않는 점을 제외하고, 입력 스풀(16)과 동일한 것이다. 제1 덮개부(36), 제1 프레임부(37), 제2 프레임부(38) 및 제2 덮개부(39)는, 각각, 제1 덮개부(31), 제1 프레임부(32), 제2 프레임부(33) 및 제2 덮개부(34)를 좌우 방향으로 연신시킨 것이다. 인쇄용 카세트(10A)의 그 밖의 구성은, 이하에 설명하는 점을 제외하고, 제1 실시 형태의 인쇄용 카세트(10)와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제3 롤(21)은, 피인쇄 테이프의 보호에 사용되는 라미네이트 테이프를 제3 공급 스풀(25)에 권회한 것이다. 라미네이트 테이프는, 인쇄 헤드(102)에 의해 인쇄가 행해진 피인쇄 테이프에 접합되는 접착면을 갖는다.
추가 스풀(22)은, 회전 축심 주위로 회전 가능하다. 추가 스풀(22)의 회전 축심은, 제2 공급 스풀(15)의 회전 축심(즉, 상하 방향)과 평행이다. 추가 스풀(22)은, 후술하는 추가 기어(23)의 회전에 의해 잉크 리본을 권취하는 권취 스풀이다.
추가 기어(23)는, 추가 스풀(22)에 연결됨과 함께, 아이들 기어(20)에 걸림 결합되어 있다. 추가 기어(23)는, 입력 기어(19)에 입력된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여, 추가 스풀(22)을 회전시킨다.
핀치 롤러(24)는, 후술하는 압박 롤러(106)와 함께, 라미네이트 테이프를 인쇄 후의 피인쇄 테이프에 겹쳐서 압박한다. 핀치 롤러(24)는, 헤드 개구(32B)보다도 피인쇄 테이프의 반송 방향의 하류에 배치되어 있다.
피인쇄 테이프의 적어도 일부(즉, 제1 롤(11)로부터 인출된 부분), 라미네이트 테이프의 적어도 일부 및 핀치 롤러(24)의 적어도 일부는, 상하 방향과 수직인 방향(즉,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나열되어 제1 케이스부(41A)에 수용되어 있다.
또한, 핀치 롤러(24)는, 적어도 일부가 상하 방향과 수직인 방향(즉,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에 있어서 제2 케이스부(42A)와 겹치도록, 제2 케이스부(42A)에 지지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핀치 롤러(24)의 축부(24A)의 상단부는, 제1 프레임부(37)의 제1 격리벽(32G)에 형성된 오목부(371)에 삽입되어 있다. 오목부(371)는, 제2 케이스부(42A)의 일부이다.
<인쇄 장치 본체>
인쇄 장치 본체(100A)는, 제1 실시 형태의 인쇄 장치 본체(100)에, 도 12에 도시되는 압박 롤러(106)를 추가한 것이다. 인쇄 장치 본체(100A)의 그 밖의 구성은, 이하에 설명하는 점을 제외하고, 제1 실시 형태의 인쇄 장치 본체(100)와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압박 롤러(106)는, 플래튼 롤러(103) 및 플래튼 기어(104)와 함께 요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즉, 압박 롤러(106)는, 도 13에 도시하는 인쇄용 카세트(10A)와 이격된 위치와, 도 14에 도시하는 핀치 롤러(24)와 함께 피인쇄 테이프 및 라미네이트 테이프를 압박하는 위치 사이에서 요동 가능하다.
[2-2. 효과]
이상에 상세히 기술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이하의 효과가 얻어진다.
(2a)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이점을 가진 채, 라미네이트 테이프에 의해 피인쇄 테이프의 인쇄 내용을 보호할 수 있다.
(2b) 핀치 롤러(24)의 일부가 상하 방향과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 제2 케이스부(42A)와 겹침으로써, 핀치 롤러(24)의 케이스(35)로의 조립이 용이해진다. 그 결과, 인쇄용 카세트(10)의 생산성이 향상된다.
[3. 다른 실시 형태]
이상, 본 개시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개시는,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형태를 채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3a) 상기 실시 형태의 인쇄 장치는, 잉크 리본을 사용하여 인쇄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인쇄 장치는, 피인쇄 테이프로서 띠 형상의 감열지를 사용하여 인쇄를 행해도 된다. 또한, 인쇄용 카세트는, 반드시 잉크 리본의 롤과 제2 공급 스풀을 갖지 않아도 된다.
예를 들어, 도 15에 도시하는 인쇄용 카세트(10B)는, 제1 실시 형태의 인쇄용 카세트(10)에 있어서, 제1 롤(11)을 감열지의 롤(51)로 치환함과 함께, 제2 롤(14)을 라미네이트 테이프의 제3 롤(52)로 치환한 것이다.
인쇄용 카세트(10B)에서는, 제3 롤(52)은, 제2 실시 형태의 제3 공급 스풀(25)에 권회되어 있다. 또한, 인쇄용 카세트(10B)는, 제2 실시 형태의 핀치 롤러(24)를 구비하는 한편, 제2 공급 스풀(15)은 구비하지 않는다.
(3b) 상기 실시 형태의 인쇄용 카세트에 있어서, 제1 케이스부, 제2 케이스부 및 제3 케이스부의 체적, 총 중량 및 상하 방향의 길이의 대소 관계는, 상술한 것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제1 케이스부, 제2 케이스부 및 제3 케이스부는, 상술한 제1 덮개부, 제1 프레임부, 제2 프레임부 및 제2 덮개부 이외의 파츠로 구성되어도 된다.
(3c) 제2 실시 형태의 인쇄용 카세트에 있어서, 라미네이트 테이프가 추가 스풀에 권회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도 16에 도시하는 인쇄용 카세트(10C)는, 제2 실시 형태의 인쇄용 카세트(10A)에 있어서, 추가 스풀(22)에 라미네이트 테이프의 제3 롤(21)을 권회한 것이다. 인쇄용 카세트(10C)는, 제2 실시 형태의 제3 공급 스풀(25) 대신에, 제1 실시 형태의 입력 스풀(16)을 구비한다. 입력 스풀(16)은, 잉크 리본의 권취 스풀로서 사용된다.
(3d)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하나의 구성 요소가 갖는 기능을 복수의 구성 요소로서 분산시키거나, 복수의 구성 요소가 갖는 기능을 하나의 구성 요소로 통합하거나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의 구성의 일부를 생략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의 구성의 적어도 일부를, 다른 상기 실시 형태의 구성에 대하여 부가, 치환 등을 해도 된다. 또한,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문언으로부터 특정되는 기술 사상에 포함되는 모든 양태가 본 개시의 실시 형태이다.
1: 인쇄 장치
10: 인쇄용 카세트
11: 제1 롤
12: 제1 공급 스풀
14: 제2 롤
15: 제2 공급 스풀
16: 입력 스풀
18: 출력 기어
19: 입력 기어
20: 아이들 기어
21: 제3 롤
22: 추가 스풀
23: 추가 기어
24: 핀치 롤러
25: 제3 공급 스풀
31: 제1 덮개부
32: 제1 프레임부
32B: 헤드 개구
32C: 배출구
32E: 돌출부
32F: 대향부
32G: 제1 격리벽
32L: 제1 규제부
32M: 제1 칸막이벽
33: 제2 프레임부
33G: 제2 칸막이벽
33H: 제2 격리벽
33M: 제2 규제부
34: 제2 덮개부
34A: 제3 규제부
35: 케이스
41: 제1 케이스부
42: 제2 케이스부
43: 제3 케이스부
100: 인쇄 장치 본체
102: 인쇄 헤드
103: 플래튼 롤러
104: 플래튼 기어

Claims (17)

  1. 제1 케이스부와 제2 케이스부와 제3 케이스부를 갖는 케이스와,
    상기 제3 케이스부에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는 제1 테이프와,
    일부가 상기 제2 케이스부에 수용되고, 다른 부분이 상기 케이스의 외부에 위치함과 함께, 제1 방향과 평행한 회전 축심 주위로 회전 가능한 기어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케이스부에는, 상기 제1 테이프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마련되고,
    상기 제1 케이스부, 상기 제2 케이스부 및 상기 제3 케이스부는, 상기 제1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 케이스부, 상기 제2 케이스부 및 상기 제3 케이스부의 순으로 배치되는, 인쇄용 카세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케이스부는,
    헤드 개구를 규정하는 제1 면을 갖는 돌출부와,
    상기 헤드 개구를 규정하고, 상기 제1 방향에 직교하는 제2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 면과 대향하는 제2 면을 갖는 대향부를 갖고,
    상기 제2 케이스부는, 상기 헤드 개구의 상기 제1 방향에 있어서의 단부에 배치되어, 상기 돌출부와 상기 대향부를 연결하는 제3 면을 갖는, 인쇄용 카세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케이스부의 내부 공간의 체적은, 상기 제1 케이스부의 내부 공간의 체적보다도 큰, 인쇄용 카세트.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케이스부의 중량과 상기 제3 케이스부에 수용된 부품의 중량을 합한 총 중량은, 상기 제1 케이스부의 중량과 상기 제1 케이스부에 수용된 부품의 중량을 합한 총 중량보다도 큰, 인쇄용 카세트.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케이스부와 상기 제2 케이스부는 제1 격리벽에 의해 구획되고,
    상기 제2 케이스부와 상기 제3 케이스부는 제2 격리벽에 의해 구획되는, 인쇄용 카세트.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덮개부와,
    상기 제1 덮개부에 상기 제1 방향으로 연결된 제1 프레임부와,
    상기 제1 프레임부에 상기 제1 방향으로 연결된 제2 프레임부와,
    상기 제2 프레임부에 상기 제1 방향으로 연결된 제2 덮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케이스부는, 상기 제1 덮개부와, 상기 제1 프레임부의 상기 제1 방향에 있어서의 제1 부위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제2 케이스부는, 상기 제1 프레임부의 상기 제1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1 부위와는 반대측의 제2 부위와, 상기 제2 프레임부의 상기 제1 방향에 있어서의 제3 부위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제3 케이스부는, 상기 제2 프레임부의 상기 제1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3 부위와는 반대측의 제4 부위와, 상기 제2 덮개부에 의해 구성되는, 인쇄용 카세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프레임부의 상기 제1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는, 상기 제1 프레임부의 상기 제1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보다도 큰, 인쇄용 카세트.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는, 상기 제1 프레임부와 상기 제2 프레임부를 연결하는 복수의 클로 사이에 배치되는, 인쇄용 카세트.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케이스부의 상기 제1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 및 상기 제3 케이스부의 상기 제1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는, 각각, 상기 제2 케이스부의 상기 제1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보다도 큰, 인쇄용 카세트.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케이스부의 상기 제1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는, 상기 제3 케이스부의 상기 제1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 이상인, 인쇄용 카세트.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테이프와,
    상기 제1 테이프에 상기 제2 테이프를 겹치는 롤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테이프의 적어도 일부, 상기 제2 테이프의 적어도 일부 및 상기 롤러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나열되어 상기 제1 케이스부에 수용되고,
    상기 롤러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2 케이스부와 겹치도록, 상기 제2 케이스부에 지지되는, 인쇄용 카세트.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테이프의 폭 방향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규제부는, 상기 제1 테이프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배출구의 양단 사이에 배치되는, 인쇄용 카세트.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테이프의 롤과,
    상기 제1 테이프의 폭 방향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롤은, 상기 제3 케이스부에 수용되고,
    상기 규제부는, 상기 제1 테이프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롤의 양단 사이에 배치되는, 인쇄용 카세트.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테이프의 롤을 더 구비하고,
    상기 롤은, 상기 제3 케이스부에 수용되고,
    상기 롤로부터 인출된 상기 제1 테이프는, 상기 제2 케이스부와 상기 제1 케이스부를 통과하여 상기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인쇄용 카세트.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케이스부는, 상기 기어가 배치되는 공간과, 상기 제1 테이프가 통과하는 공간을 칸막이하는 칸막이벽을 갖는, 인쇄용 카세트.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잉크 리본을 더 구비하고,
    상기 잉크 리본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 케이스부에 수용되고,
    상기 제1 케이스부는, 상기 제1 테이프가 헤드 개구에 배출되는 개구용 출구를 갖고, 상기 잉크 리본은, 상기 개구용 출구로부터 배출된 상기 제1 테이프와 중첩되는, 인쇄용 카세트.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인쇄용 카세트와,
    상기 인쇄용 카세트가 장착되는 인쇄 장치 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인쇄 장치 본체는, 상기 기어에 걸림 결합하는 구동력 전달부를 갖는, 인쇄 장치.
KR1020227009688A 2019-09-30 2020-09-15 인쇄용 카세트 및 인쇄 장치 KR2022006607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178164A JP7395912B2 (ja) 2019-09-30 2019-09-30 印刷用カセット及び印刷装置
JPJP-P-2019-178164 2019-09-30
PCT/JP2020/034876 WO2021065476A1 (ja) 2019-09-30 2020-09-15 印刷用カセット及び印刷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6072A true KR20220066072A (ko) 2022-05-23

Family

ID=752722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9688A KR20220066072A (ko) 2019-09-30 2020-09-15 인쇄용 카세트 및 인쇄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1951753B2 (ko)
EP (1) EP4039482A4 (ko)
JP (2) JP7395912B2 (ko)
KR (1) KR20220066072A (ko)
CN (1) CN114521176A (ko)
AU (1) AU2020359501A1 (ko)
CA (1) CA3155832A1 (ko)
MX (1) MX2022003659A (ko)
WO (1) WO202106547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89170S1 (en) * 2020-12-17 2023-06-13 Liling Bao Label printer cassett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34772A (ja) 2009-03-31 2010-10-21 Brother Ind Ltd テープカセットおよびテープ印字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364584B (ko) 1970-04-13 1974-02-25 Canon Kk
JPS5036734B1 (ko) 1970-04-13 1975-11-27
US3672603A (en) 1970-06-26 1972-06-27 Cartridge Television Inc Tape cartridge
US3804227A (en) 1972-05-03 1974-04-16 Scm Corp Typewriter ribbon cartridge
US3948382A (en) 1973-01-29 1976-04-06 The Singer Company Data terminal printing assembly
US4034935A (en) 1975-11-19 1977-07-12 Xerox Corporation Dual level ribbon cartridge
CA1119549A (en) 1978-01-30 1982-03-09 Collier M. Miller Ribbon cartridge drive
US4252450A (en) 1978-10-03 1981-02-24 Xerox Corporation Ribbon drive with spring-loaded idler
US4397574A (en) 1979-10-29 1983-08-09 Ncr Corporation Reloadable ribbon cassette
GB2064476B (en) 1979-11-29 1983-08-10 Itt Creed Ink ribbon cassette
NL8200181A (nl) 1981-01-31 1982-08-16 Victor Company Of Japan Registreer- en /of reproduceerinrichting.
US4402619A (en) 1981-03-30 1983-09-06 Kroy, Inc. Printing apparatus and printing cartridge therefor
JPS58122887A (ja) 1982-01-18 1983-07-21 Silver Seiko Ltd タイプライタ−のモ−タ駆動装置
JPS58141479A (ja) 1982-02-15 1983-08-22 Canon Inc カセツト
JPS58175949U (ja) 1982-05-20 1983-11-25 大和製衡株式会社 ラベルプリンタ
FR2528929B1 (fr) 1982-06-17 1988-04-08 Sagem Perfectionnements apportes a des dispositifs mecaniques d'entrainement selectif d'au moins deux arbres menes a partir d'un arbre menant unique, notamment pour le deplacement longitudinal d'un ruban encreur dans une machine imprimante
JPS5995180A (ja) 1982-11-22 1984-06-0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インクリボンカセツト
US4490059A (en) 1983-05-04 1984-12-25 Wordex Ribbon metering device
JPS608072U (ja) 1983-06-30 1985-01-21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プリンタ
JPS609657U (ja) 1983-07-01 1985-01-23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プリンタ
US4856921A (en) 1983-06-28 1989-08-15 Alps Electric Co., Ltd. Rotary wheel printer
DE3424045A1 (de) 1983-06-30 1985-01-03 Alps Electric Co., Ltd., Tokio/Tokyo Typenraddrucker
JPS6036255U (ja) 1983-08-22 1985-03-13 日本電産コパル株式会社 熱転写式シリアルプリンタ−
JPS6046254U (ja) 1983-09-06 1985-04-01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リボンカセツト
JPS6048456U (ja) 1983-09-12 1985-04-05 株式会社東芝 熱転写形プリンタ
US4598780A (en) 1984-03-02 1986-07-08 Teraoka Seiko Co., Ltd. Electronic scale printer
JPH0227613B2 (ja) 1984-03-08 1990-06-19 Teraoka Seiko Kk Denshihakaryopurinta
US4668961A (en) 1984-04-20 1987-05-26 Canon Kabushiki Kaisha Recording apparatus
JPS60224571A (ja) 1984-04-20 1985-11-08 Canon Inc 転写記録装置
JPS61154877A (ja) 1984-12-27 1986-07-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リボンカセツト
JPH0761729B2 (ja) 1985-10-30 1995-07-05 株式会社リコー 印字装置のリボンカセツト
JPS63156762U (ko) 1987-04-02 1988-10-14
US4832514A (en) 1988-02-01 1989-05-23 Kroy Inc. Thermal transfer device and tape-ribbon cartridge therefor
JPH029562U (ko) 1988-06-22 1990-01-22
JPH026173A (ja) 1988-06-27 1990-01-10 Canon Inc リボン送り装置
JPH0211379A (ja) 1988-06-30 1990-01-16 Canon Inc インクリボンカセット
JPH0211380A (ja) 1988-06-30 1990-01-16 Canon Inc インクリボンカセット
JPH0319744A (ja) * 1989-06-15 1991-01-28 Daido Steel Co Ltd 切削加工装置
US5099378A (en) 1989-08-24 1992-03-24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Carrier with external interlock for videocassette
IT218846Z2 (it) 1989-11-16 1992-11-05 Incas Holding Spa Notarbartolo & gervasi
US5234179A (en) 1990-02-20 1993-08-10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Videotape adaptor for use with a cartridge
JPH03284973A (ja) 1990-04-02 1991-12-16 Canon Inc リボンカセット及び前記リボンカセットを用いる記録装置
JPH04152176A (ja) 1990-10-16 1992-05-26 Nec Corp プリンタのインクリボンカセット
JPH0553956A (ja) 1991-08-29 1993-03-05 Mitsubishi Electric Corp コンピユータ通信網構成支援システム
JPH0541834U (ja) 1991-11-11 1993-06-08 フジコピアン株式会社 インクリボンカセツト
US5325114A (en) 1992-09-24 1994-06-28 Pitney Bowes Inc. Thermal printing postage meter system
JP2831237B2 (ja) 1993-07-19 1998-12-02 富士通アイソテック株式会社 インクリボンカセット
US5435657A (en) 1993-12-28 1995-07-25 Smith Corona Corporation Label printer and tape and ink ribbon cartridge for use therein
JPH07276755A (ja) 1994-04-06 1995-10-24 Casio Comput Co Ltd 印刷用カセットおよび印刷装置
JPH07276757A (ja) 1994-04-11 1995-10-24 Fujicopian Co Ltd 転写リボンカセット
US5619244A (en) 1994-12-27 1997-04-08 Pitney Bowes Inc. Thermal ink cassette for a thermal printing device
JP3160173B2 (ja) 1994-12-28 2001-04-23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テープ印字装置
JP3113532B2 (ja) 1994-12-28 2000-12-04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テープカセット
US5917532A (en) 1996-11-29 1999-06-29 Pitney Bowes Inc. Thermal ink ribbon cassette for mailing machines
US5959652A (en) 1997-07-11 1999-09-28 Pitney Bowes Inc. Thermal ink ribbon cassette for mailing machines
JP2000052628A (ja) * 1998-08-04 2000-02-22 Fujicopian Co Ltd インクリボンカセット
JP4174873B2 (ja) 1998-09-29 2008-11-0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テープカセット
FR2796372B1 (fr) 1999-07-13 2001-09-07 Dassault Automatismes Cassette a ruban consommable, notamment pour dispositif de traitement de titres de transport
JP2001047713A (ja) 1999-08-05 2001-02-20 Fujicopian Co Ltd インクリボンカセット
JP4574869B2 (ja) 2001-01-18 2010-11-04 日本電産コパル株式会社 サーマルプリンタ
GB0230196D0 (en) 2002-12-24 2003-02-05 Esselte Nv Identifying compatible combination for a thermal printer
GB0230199D0 (en) 2002-12-24 2003-02-05 Esselte Nv Information on consumables
GB0230200D0 (en) 2002-12-24 2003-02-05 Esselte Nv Validation of consumables
US8529050B2 (en) 2002-12-24 2013-09-10 Dymo Printing device and cassette
US7070347B2 (en) 2003-08-12 2006-07-04 Brady Worldwide, Inc. Printer with a pivoting gear mechanism
JP4379178B2 (ja) * 2004-03-29 2009-12-0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テープカセット
US7484902B2 (en) 2006-01-24 2009-02-03 Cartec International, Inc. Ribbon cassette for mailing machine
US20080084494A1 (en) 2006-03-23 2008-04-10 Cartec International, Inc. Ribbon cassette for mailing machine
US7586509B2 (en) 2007-03-01 2009-09-08 Kabushiki Kaisha Sato Thermal transfer printer ribbon cassette apparatus and ribbon cassette mounting method
JP2008213880A (ja) * 2007-03-02 2008-09-18 Hitachi Maxell Ltd テープカートリッジ用の収納ケース
JP4337902B2 (ja) 2007-04-11 2009-09-30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トナー収容容器及びそれに適した画像形成装置
US8465220B2 (en) 2007-12-07 2013-06-18 Dymo, N.V. Label printing apparatus
JP5082916B2 (ja) 2008-02-25 2012-11-2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収容体及び記録装置
DK2202080T3 (da) 2008-12-25 2012-03-12 Brother Ind Ltd Båndprinter
ES2554777T3 (es) 2008-12-25 2015-12-23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Cartucho de cinta e impresora de cinta
WO2010113780A1 (ja) 2009-03-31 2010-10-0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テープカセット
KR101705382B1 (ko) 2009-03-31 2017-02-09 브라더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테이프 카세트 및 테이프 인자기
CN101850665B (zh) 2009-03-31 2015-01-14 兄弟工业株式会社 带盒
EP3871890A1 (en) 2009-03-31 2021-09-01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Tape cassette and tape printer
JP5482215B2 (ja) 2010-01-19 2014-05-07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11148167A (ja) 2010-01-20 2011-08-04 Oki Data Corp インクリボンカートリッジ
CN102092201B (zh) 2011-01-10 2012-03-07 珠海天威飞马打印耗材有限公司 色带盒
JP5793339B2 (ja) 2011-05-11 2015-10-14 フジコピアン株式会社 印字装置のインクリボンカセット
JP5316658B2 (ja) * 2012-02-03 2013-10-1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テープカセット
JP5234200B2 (ja) 2012-03-12 2013-07-10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テープカセットおよびテープ印字装置
JP6160126B2 (ja) 2013-03-04 2017-07-1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現像カートリッジ
CN103273748B (zh) 2013-06-07 2015-09-30 红石电脑(上海)有限公司 色带匣
JP6144221B2 (ja) 2014-03-24 2017-06-0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テープカートリッジ
CN205890264U (zh) * 2015-07-13 2017-01-18 兄弟工业株式会社 色带盒
JP6398932B2 (ja) * 2015-09-28 2018-10-03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リボンカセット
JP6354766B2 (ja) * 2016-01-20 2018-07-1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印刷装置
JP6524948B2 (ja) * 2016-03-29 2019-06-0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印字テープ及び印字カセッ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34772A (ja) 2009-03-31 2010-10-21 Brother Ind Ltd テープカセットおよびテープ印字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4015047A (ja) 2024-02-01
CN114521176A (zh) 2022-05-20
EP4039482A4 (en) 2023-10-18
CA3155832A1 (en) 2021-04-08
AU2020359501A1 (en) 2022-04-14
WO2021065476A1 (ja) 2021-04-08
JP2021053876A (ja) 2021-04-08
JP7395912B2 (ja) 2023-12-12
US11951753B2 (en) 2024-04-09
US20220212480A1 (en) 2022-07-07
EP4039482A1 (en) 2022-08-10
MX2022003659A (es) 2022-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24015047A (ja) 印刷用カセット及び印刷装置
JP2023138565A (ja) 印刷用カセット
JP2023138566A (ja) 印刷用カセット
US20240051314A1 (en) Printing device, and printing cassette including case that houses input part, output part, and transmission mechanism for transmitting drive force from input part to output part
WO2020203175A1 (ja) カセット
JP2023138564A (ja) 印刷用カセット
WO2021065475A1 (ja) 印刷装置及び印刷用カセット
RU2808609C1 (ru) Печатающая кассета и принтер
WO2021065469A1 (ja) 印刷用カセット及び印刷装置
JP7327060B2 (ja) 印刷装置及び印刷用カセット
JP7322639B2 (ja) 印刷用カセット
JP7347077B2 (ja) 印刷用カセット
JP7283333B2 (ja) 印刷用カセット
WO2022202481A1 (ja) 印刷用カセット及び印刷装置
WO2022202482A1 (ja) 印刷用カセット及び印刷装置
CN113661071B (zh) 带盒
JP7306199B2 (ja) 印刷装置及び印刷用カセッ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