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7132A - 실런트용 수지 조성물, 적층체, 포장재 및 포장 용기 - Google Patents

실런트용 수지 조성물, 적층체, 포장재 및 포장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7132A
KR20210137132A KR1020217032187A KR20217032187A KR20210137132A KR 20210137132 A KR20210137132 A KR 20210137132A KR 1020217032187 A KR1020217032187 A KR 1020217032187A KR 20217032187 A KR20217032187 A KR 20217032187A KR 20210137132 A KR20210137132 A KR 202101371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composition
mass
sealant
ethylene
copoly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321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03770B1 (ko
Inventor
다쿠야 이시하라
고이치로 야마모토
히데노리 하시모토
Original Assignee
미츠이·다우 폴리케미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이·다우 폴리케미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이·다우 폴리케미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1371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71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37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377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00Material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10Materials in mouldable or extrudable form for sealing or packing joints or cov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1/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cyloxy radical of a saturated carboxylic acid, of carbonic acid or of a haloformic aci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1/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monocarboxylic acids
    • C08L31/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vinyl acet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aromatic vinyl (co)polymers, e.g. styren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38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40Applications of laminates for particular packag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1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 B65D77/2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46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containing other atoms than carbon or hydrogen atoms
    • C08L23/0853Vinylacet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having four or more carbon atoms
    • C08L23/2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having four or more carbon atoms having four to nine carbo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3/00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3/02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of vinyl-aromatic monomers and conjugated di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2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23/02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9J1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9J123/08Copolymers of ethene
    • C09J123/0846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containing other atoms than carbon or hydrogen atoms
    • C09J123/0853Vinylacet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24All layers being polyme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70/00Resin or rubber layer containing a blend of at least two different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74/00Thermoplastic elastomer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32B2307/31Heat seal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48Releasabi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5/00Closures, end caps, stoppers
    • B32B2435/02Closures, end caps, stoppers for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9/00Containers; Receptacles
    • B32B2439/40Closed contain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3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 C08L2205/035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containing four or more polymers in a blend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00Material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10Materials in mouldable or extrudable form for sealing or packing joints or covers
    • C09K2003/1084Lami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200/00Chemical nature of materials in mouldable or extrudable form for sealing or packing joints or covers
    • C09K2200/06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e.g. prepolymers
    • C09K2200/0615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e.g. pre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K2200/0617Polyalk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200/00Chemical nature of materials in mouldable or extrudable form for sealing or packing joints or covers
    • C09K2200/06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e.g. prepolymers
    • C09K2200/0615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e.g. pre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K2200/0622Polyvinylalcohols, polyvinylacet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200/00Chemical nature of materials in mouldable or extrudable form for sealing or packing joints or covers
    • C09K2200/06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e.g. prepolymers
    • C09K2200/0615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e.g. pre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K2200/0632Polystyren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ling Material Composition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Wrappers (AREA)

Abstract

에틸렌·극성 모노머 공중합체(A)와, 점착 부여 수지(B)와, 4-메틸-1-펜텐·α-올레핀 공중합체(C)를 함유하며, 상기 4-메틸-1-펜텐·α-올레핀 공중합체(C)의 함유량이, 실런트용 수지 조성물의 전체 질량에 대해서, 1질량%~20질량%인 실런트용 수지 조성물.

Description

실런트용 수지 조성물, 적층체, 포장재 및 포장 용기
본 발명은, 실런트용 수지 조성물, 적층체, 포장재 및 포장 용기에 관한 것이다.
각종의 음식품이나 의약품의 포장 용기로서, 이(易)개봉성의 덮개재를 구비한 플라스틱 용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덮개재의 실런트층(시일층)에 이용되는 포장재는, 히트 시일 온도의 온도폭이 넓으며, 안정한 박리 강도가 얻어지는 것과 함께 용이하게 개봉할 수 있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용기의 재질이나 그 크기 등에 의해, 요구되는 박리 강도가 다르기 때문에, 종래 다양한 포장재가 제안되고, 또한 사용되어 왔다.
종래, 용기 재료로서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 폴리염화비닐, 폴리스티렌 등이 널리 사용되어 왔기 때문에, 이들 재료의 용기에 적합한 포장재는 이미 많은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2 참조).
일본국 공고특허 특공평05-6513호 공보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평02-185547호 공보
그러나, 최근, 고투명 용기로서 주목을 받고 있는 비정성(非晶性) 폴리에스테르 용기에 대해서는, 실용상, 우수한 박리감을 나타내는 재료가 발견되어 있지 않다. 구체적으로, 종래부터 제안되어 있는 포장재로는, 비정성 폴리에스테르에 대해서, 충분한 박리 강도와, 박리할 때의 지핑(박리음 및 미소한 진동이 발생하는 현상)의 억제의 양립이 곤란하였다.
상기의 사정을 감안하여, 본 개시에서는, 기재(基材)에 대한 박리 강도(특히 비정성 폴리에스테르에 대한 접착 강도)가 우수하며, 또한, 박리 시의 지핑을 억제하는, 즉 박리감이 우수한 실런트용 수지 조성물, 적층체, 포장재 및 포장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당해 목적을 달성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 수단에는, 하기의 양태가 포함된다.
<1> 에틸렌·극성 모노머 공중합체(A)와, 점착 부여 수지(B)와, 4-메틸-1-펜텐·α-올레핀 공중합체(C)를 함유하며, 상기 4-메틸-1-펜텐·α-올레핀 공중합체(C)의 함유량이, 실런트용 수지 조성물의 전체 질량에 대해서, 1질량%~20질량%인, 실런트용 수지 조성물.
<2> 추가로 스티렌계 엘라스토머(D)를 함유하는, <1>에 기재된 실런트용 수지 조성물.
<3> 상기 스티렌계 엘라스토머(D)가 스티렌-에틸렌·부틸렌 블록 공중합체(SEB),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SEBS) 및 스티렌-에틸렌·프로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SEPS)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2>에 기재된 실런트용 수지 조성물.
<4> 상기 스티렌계 엘라스토머(D)의 함유량이, 실런트용 수지 조성물의 전체 질량에 대해서, 1질량%~15질량%인, <2> 또는 <3>에 기재된 실런트용 수지 조성물.
<5> 상기 4-메틸-1-펜텐·α-올레핀 공중합체(C)는, 융점이 110℃ 미만 또는 인지되지 않는, <1>~<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실런트용 수지 조성물.
<6> 상기 에틸렌·극성 모노머 공중합체(A)가,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인, <1>~<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실런트용 수지 조성물.
<7> 상기 에틸렌·극성 모노머 공중합체(A)는, 아세트산 비닐에 유래하는 구성 단위의 함유량이, 1질량% 이상 30질량% 이하인, <1>~<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실런트용 수지 조성물.
<8> 상기 실런트용 수지 조성물은, 멜트 매스 플로우 레이트(JIS K7210-1999, 190℃, 2160g 하중)가, 1g/10분~100g/10분인, <1>~<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실런트용 수지 조성물.
<9> 지지체와, <1>~<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실런트용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실런트층을 포함하는 적층체.
<10> <9>에 기재된 적층체를 구비하는 포장재.
<11> 덮개재인 <10>에 기재된 포장재.
<12> 개구를 가지는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의 상기 개구를 폐색하기 위한 덮개체를 구비하고, 상기 덮개체가 <11>에 기재된 포장재로 이루어지는 포장 용기.
<13> 상기 용기 본체가 비정성 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하는 <12>에 기재된 포장 용기.
본 개시에 의하면, 기재에 대한 박리 강도 및 박리감이 우수한 실런트용 수지 조성물, 적층체, 포장재 및 포장 용기가 제공된다.
이하에,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들의 설명 및 실시예는 실시형태를 예시하는 것이며, 실시형태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을 이용하여 나타나는 수치 범위는, 「~」의 전후에 기재되는 수치를 하한값 및 상한값으로서 포함하는 범위를 의미한다.
본 개시 중에 단계적으로 기재되어 있는 수치 범위에 있어서, 하나의 수치 범위에서 기재된 상한값 또는 하한값은, 다른 단계적인 기재의 수치 범위의 상한값 또는 하한값으로 치환하여도 된다. 또한, 본 개시 중에 기재되어 있는 수치 범위에 있어서, 그 수치 범위의 상한값 또는 하한값은, 실시예에 나타나 있는 값으로 치환하여도 된다.
-실런트용 수지 조성물-
본 개시의 실런트용 수지 조성물은, 에틸렌·극성 모노머 공중합체(A)와, 점착 부여 수지(B)와, 4-메틸-1-펜텐·α-올레핀 공중합체(C)를 함유하며, 상기 4-메틸-1-펜텐·α-올레핀 공중합체(C)의 함유량이, 실런트용 수지 조성물의 전체 질량에 대해서, 1질량%~20질량%이다.
본 개시의 실런트용 수지 조성물은, 특히, 에틸렌·극성 모노머 공중합체(A), 점착 부여 수지(B)에 추가하여, 응력 완화성이 우수한 4-메틸-1-펜텐·α-올레핀 공중합체(C)를 포함하고, 또한, 4-메틸-1-펜텐·α-올레핀 공중합체(C)를 상기 범위 내로 한다. 이에 의해, 본 개시의 실런트용 수지 조성물은, 예를 들면, 포장재로서 이용하였을 경우에 있어서도, 기재에 대한 박리 강도 및 박리감이 우수하다고 생각된다.
≪실런트용 수지 조성물의 성질≫
실런트용 수지 조성물의 멜트 매스 플로우 레이트(이하, 「MFR」이라고도 칭한다. 190℃, 2160g 하중)는, 기재에 대한 박리 강도 및 박리감을 보다 우수한 것으로 하는 관점에서, 1g/10분~100g/10분인 것이 바람직하고, 5g/10분~50g/10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8g/10분~30g/10분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10g/10분~30g/10분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실런트용 수지 조성물의 MFR은, JIS K7210-1999에 준거하여 상기의 온도 및 하중 하에서 측정되는 값이다.
실런트용 수지 조성물의 MFR를 상기 범위 내로 하는 수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후술하는 에틸렌·극성 모노머 공중합체(A), 점착 부여 수지(B) 및 4-메틸-1-펜텐·α-올레핀 공중합체(C)의 배합비의 조정 등의 수법을 들 수 있다.
≪에틸렌·극성 모노머 공중합체(A)≫
본 개시의 실런트용 수지 조성물은, 에틸렌·극성 모노머 공중합체(A)를 포함한다.
에틸렌·극성 모노머 공중합체(A)는, 1종 단독이어도, 2종 이상의 병용이어도 된다.
에틸렌·극성 모노머 공중합체(A)는, 에틸렌과 극성 모노머의 2원계 또는 다원계의 공중합체이다. 에틸렌·극성 모노머 공중합체는, 에틸렌과 1종의 극성 모노머의 공중합체여도, 에틸렌과 2종 이상의 극성 모노머의 공중합체여도 된다.
에틸렌·극성 모노머 공중합체(A)에 있어서의 극성 모노머에 유래하는 구성 단위의 함유량은, 기재에 대한 박리 강도 및 박리감을 보다 우수한 것으로 하는 관점에서, 전체 구성 단위에 대해서, 1질량%~3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2질량%~30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3질량%~30질량%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에틸렌·극성 모노머 공중합체(A)가, 조성비는 다르지만 같은 구성 단위를 가지는 2종 이상의 에틸렌·극성 모노머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경우, 함유하는 극성 모노머의 합계량이 상기 범위를 만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런트용 수지 조성물이 후술하는 스티렌계 엘라스토머(D)를 함유하는 경우, 에틸렌·극성 모노머 공중합체(A)에 있어서의 극성 모노머(특히, 아세트산 비닐)의 구성 단위의 함유량은, 기재에 대한 박리 강도 및 박리감을 보다 우수한 것으로 하는 관점에서, 전체 구성 단위에 대해서, 1질량%~3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2질량%~30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3질량%~30질량%가 더욱 바람직하고, 5질량%~30질량%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고, 5질량%~26질량%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5질량%~15질량%가 가장 바람직하다.
극성 모노머로서는, 아세트산 비닐 등의 비닐에스테르; 아크릴산 메틸, 아크릴산 에틸, 아크릴산 이소부틸, 아크릴산 n부틸, 아크릴산 이소옥틸, 메타크릴산 메틸 등의 불포화 카르본산 에스테르;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무수 말레산 등의 불포화 카르본산; 일산화탄소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중에서도, 극성 모노머로서는, 비닐에스테르가 바람직하고, 아세트산 비닐이 보다 바람직하다. 즉, 에틸렌·극성 모노머 공중합체(A)가, 에틸렌·비닐에스테르인 것이 바람직하고,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에틸렌·극성 모노머 공중합체(A)는, 아세트산 비닐에 유래하는 구성 단위의 함유량(이하, 단지 「아세트산 비닐 단위의 함유량」이라고도 한다)이, 전체 구성 단위에 대해서, 1질량%~3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5질량%~30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아세트산 비닐 단위의 함유량이 1질량% 이상이면, 실런트용 수지 조성물의 기재에 대한 박리 강도가 보다 우수한 경향이 있다.
아세트산 비닐 단위의 함유량이 30질량% 이하이면, 실런트용 수지 조성물의 기재에 대한 박리 강도 및 박리감이 보다 우수한 경향이 있다.
에틸렌·극성 모노머 공중합체(A)는, 성형 가공성, 히트 시일에 의한 접착 강도를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190℃, 2160g 하중에 있어서의 멜트 매스 플로우 레이트(MFR)가, 1g/10분~15g/10분인 것이 바람직하고, 2g/10분~10g/10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멜트 매스 플로우 레이트가 1g/10분 이상이면, 히트 시일에 의한 접착 강도가 보다 향상하는 경향이 있다. 한편, 멜트 매스 플로우 레이트가 15g/10분 이하이면, 성형 가공성이 우수한 경향이 있다. 실런트용 수지 조성물이 에틸렌·극성 모노머 공중합체(A)를 2종 이상 포함하는 경우, 상기 2종 이상의 에틸렌·극성 모노머 공중합체(A)를 혼합한 혼합물이, 상기 멜트 매스 플로우 레이트를 만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에틸렌·극성 모노머 공중합체의 멜트 매스 플로우 레이트는, JIS K7210-1999에 준거하여 상기의 온도 및 하중 하에서 측정되는 값이다.
에틸렌·극성 모노머 공중합체(A)의 함유량은, 박리 강도가 보다 우수한 것으로 하는 관점에서는, 실런트용 수지 조성물 중의 전체 질량에 대해서, 10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20질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0질량%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60질량%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에틸렌·극성 모노머 공중합체(A)의 함유량은, 가공성의 관점에서는, 실런트용 수지 조성물 중의 전체 질량에 대해서, 80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에틸렌·극성 모노머 공중합체(A)의 극성 모노머(아세트산 비닐)의 구성 단위의 함유량은, 실런트용 수지 조성물 중의 전체 질량에 대해서, 0.1질량%~24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1질량%~20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질량%~20질량%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극성 모노머(아세트산 비닐)의 구성 단위의 함유량이 0.1질량% 이상이면, 실런트용 수지 조성물의 기재에 대한 박리 강도가 보다 우수한 경향이 있다.
극성 모노머(아세트산 비닐)의 구성 단위의 함유량이 24질량% 이하이면, 실런트용 수지 조성물의 가공성이 보다 우수한 경향이 있다.
≪점착 부여 수지(B)≫
본 개시의 실런트용 수지 조성물은, 점착 부여 수지(B)를 포함한다.
점착 부여 수지(B)는, 1종 단독이어도 되고, 2종 이상이어도 된다.
점착 부여 수지(B)로서는, 지방족 탄화수소 수지, 지환족 탄화수소 수지, 방향족 탄화수소 수지, 스티렌 수지, 테르펜 수지, 로진류, 등을 들 수 있다.
지방족 탄화수소 수지로서는, 1-부텐, 이소부틸렌, 부타디엔, 1,3-펜타디엔, 이소프렌, 피페릴렌 등의 C4~C5 모노 또는 디올레핀을 주성분으로 하는 모노머 원료의 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지환족 탄화수소 수지로서는, 스펜트 C4~C5 유분(留分) 중의 디엔 성분을 환화(環化) 2량체화 후 중합시킨 수지, 시클로펜타디엔 등의 환상(環狀) 모노머를 중합시킨 수지, 방향족 탄화수소 수지를 핵 내 수첨(水添)한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방향족 탄화수소 수지의 예로서는, 비닐톨루엔, 인덴, α-메틸스티렌 등의 C9~C10의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를 주성분으로 하는 모노머 원료의 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스티렌 수지로서는, 스티렌, 비닐톨루엔, α-메틸스티렌, 이소프로페닐톨루엔 등을 주성분으로 하는 모노머 원료의 중합체를 들 수 있다.
테르펜 수지로서는, α-피넨 중합체, β-피넨 중합체, 디펜텐 중합체, 테르펜-페놀 공중합체, α-피넨-페놀 공중합체, 수소화 테르펜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로진류로서는, 로진, 중합 로진, 수첨 로진, 로진 에스테르, 로진 페놀 수지, 로진 페놀 수지의 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점착 부여 수지로서는, 지환족 탄화수소 수지, 지방족 탄화수소 수지, 또는 테르펜 수지(특히, 수소화 테르펜)가 바람직하고, 지환족 탄화수소 수지가 보다 바람직하다.
점착 부여 수지의 환구법(環球法) 연화점은, 바람직하게는 70℃ 이상 150℃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 이상 130℃ 이하이다.
환구법 연화점은, JIS K6863(1994년)에 준거하여 측정된 값을 의미한다.
점착 부여 수지(B)의 함유량은, 박리 강도가 보다 우수한 것으로 하는 관점에서는, 실런트용 수지 조성물 중의 전체 질량에 대해서, 3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점착 부여 수지(B)의 함유량은, 가공성의 관점에서는, 실런트용 수지 조성물 중의 전체 질량에 대해서, 35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30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4-메틸-1-펜텐·α-올레핀 공중합체(C)≫
본 개시의 실런트용 수지 조성물은, 4-메틸-1-펜텐·α-올레핀 공중합체(C)를 포함한다.
4-메틸-1-펜텐·α-올레핀 공중합체(C)는, 1종 단독이어도 되고, 2종 이상이어도 된다.
4-메틸-1-펜텐·α-올레핀 공중합체(C)는, 4-메틸-1-펜텐에 유래하는 구성 단위와, α-올레핀(4-메틸-1-펜텐을 제외하는 것, 이하 동일.)에 유래하는 구성 단위를 포함하는 공중합체이다.
4-메틸-1-펜텐·α-올레핀 공중합체(C)는, 기재에 대한 박리 강도 및 박리감을 보다 우수한 것으로 하는 관점에서, 전체 구성 단위에 대해서, 4-메틸-1-펜텐에 유래하는 구성 단위를, 15몰%~75몰%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20몰%~75몰%로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60몰%~75몰% 이하로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4-메틸-1-펜텐·α-올레핀 공중합체(C)는, 전체 구성 단위에 대해서, α-올레핀에 유래하는 구성 단위를, 25몰%~85몰%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25몰%~80몰%로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5몰%~40몰%로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α-올레핀은, 1종류 단독이어도, 2종 이상의 병용이어도 된다. 또한, 2종 이상을 병용하는 경우, α-올레핀에 유래하는 구성 단위의 총합(총함유량)으로서, 상기 범위를 만족시키면 된다.
상기 4-메틸-1-펜텐과 상기 α-올레핀의 구성 단위의 합계는, 100몰%인 것이 바람직하다.
4-메틸-1-펜텐과 α-올레핀에 각각 유래하는 구성 단위의 비율을 상기 범위 내로 함으로써, 얻어지는 4-메틸-1-펜텐·α-올레핀 공중합체(C)의 융점을, 시차 주사열량계(DSC)로 측정한 융점(Tm)이 110℃ 미만, 또는, 융점(Tm)이 인지되지 않도록 조정할 수 있다.
4-메틸-1-펜텐·α-올레핀 공중합체(C)는, 블록 공중합체여도, 랜덤 공중합체여도 되고, 투명성, 성형성의 관점에서는, 랜덤 공중합체가 바람직하다.
α -올레핀은, 탄소 원자수가 2~20인 것이 바람직하다. 탄소 원자수 2~20의 α-올레핀으로서는, 에틸렌, 프로필렌, 1-부텐, 1-펜텐, 1-헥센, 3-메틸-1-부텐, 3-메틸-1-펜텐, 1-옥텐, 1-데센, 1-도데센, 1-테트라데센, 1-헥사데센, 1-헵타데센, 1-옥타데센, 1-에이코센 등이 바람직한 예로서 들 수 있다.
상기 중에서도, 공중합성 및 얻어지는 공중합체의 물성(응력 완화성 등)의 관점에서는, 탄소 원자수 2~20의 α-올레핀은, 에틸렌, 프로필렌, 1-부텐, 1-헥센, 3-메틸-1-부텐, 3-메틸-1-펜텐, 1-옥텐, 1-데센, 1-헥사데센, 1-헵타데센 및 1-옥타데센이 바람직하고, 에틸렌, 프로필렌, 1-부텐, 1-헥센, 1-옥텐, 1-데센, 1-헥사데센, 1-헵타데센 및 1-옥타데센이 보다 바람직하고, 에틸렌, 프로필렌, 1-부텐, 1-옥텐, 1-데센, 1-헥사데센, 1-헵타데센 및 1-옥타데센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중에서도, 탄소 원자수 2~4의 α-올레핀이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에틸렌, 프로필렌, 1-부텐이 바람직한 예로서 들 수 있다.
상기 중에서도, 공중합성, 분산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는, 탄소 원자수 2~20의 α-올레핀은, 프로필렌이 바람직하다.
4-메틸-1-펜텐·α-올레핀 공중합체(C)는, 본 발명의 목적을 손상하지 않는 범위에서, 4-메틸-1-펜텐에 유래하는 구성 단위 및 탄소 원자수 2~20의 α-올레핀에 유래하는 구성 단위 이외의 중합성 화합물(이하, 중합성 화합물이라고도 한다)에 유래하는 구성 단위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중합성 화합물로서는, 스티렌, 비닐시클로펜텐, 비닐시클로헥산, 비닐노르보르난 등의 환상 구조를 가지는 비닐 화합물; 아세트산 비닐 등의 비닐에스테르류; 무수 말레산 등의 불포화 유기산 또는 그 유도체; 부타디엔, 이소프렌, 펜타디엔, 2,3-디메틸부타디엔 등의 공액 디엔류; 1,4-헥사디엔, 1,6-옥타디엔, 2-메틸-1,5-헥사디엔, 6-메틸-1,5-헵타디엔, 7-메틸-1,6-옥타디엔, 디시클로펜타디엔, 시클로헥사디엔, 디시클로옥타디엔, 메틸렌노르보르넨, 5-비닐노르보르넨, 5-에틸리덴-2-노르보르넨, 5-메틸렌-2-노르보르넨, 5-이소프로필리덴-2-노르보르넨, 6-클로로메틸-5-이소프로펜르-2-노르보르넨, 2,3-디이소프로필리덴-5-노르보르넨, 2-에틸리덴-3-이소프로필리덴-5-노르보르넨, 2-프로페닐-2,2-노르보르나디엔 등의 비공액 폴리엔류 등을 들 수 있다.
4-메틸-1-펜텐·α-올레핀 공중합체(C)는, 상기 중합성 화합물에 유래하는 구성 단위를, 4-메틸-1-펜텐·α-올레핀 공중합체(C)에 포함되는 모든 중합성 화합물에 유래하는 구성 단위의 합에 대해서, 10몰% 이하로 포함되어 있어도 되고, 5몰% 이하로 포함되어 있어도 되고, 3몰% 이하로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손실 정접 tanδ)
4-메틸-1-펜텐·α-올레핀 공중합체(C)에 있어서의 -40℃~150℃의 온도 범위에서, 주파수 1.6㎐, 승온 속도 2℃/min으로 동적 점탄성 측정을 행하여 얻어지는 손실 정접 tanδ의 최대값(이하 「tanδ 피크값」이라고도 한다.)은, 기재에 대한 박리감을 보다 우수한 것으로 하는 관점에서, 1.0~5.0인 것이 바람직하고, 1.5~5.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0~4.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4-메틸-1-펜텐·α-올레핀 공중합체(C)의 손실 정접 tanδ의 측정 조건은, 이하와 같다. 4-메틸-1-펜텐·α-올레핀 공중합체(C)를, 190℃로 설정한 신토금속공업사제 유압식 열 프레스기를 이용하여, 10㎫의 압력으로 시트 성형하여, 두께 3㎜의 프레스 시트를 제조한다. 이 프레스 시트로부터, 동적 점탄성 측정에 필요한 45㎜×10㎜×3㎜의 단책편(短冊片)을 잘라낸다. 점탄성 측정 장치(ANTON Paar사제 MCR301)를 이용하여, 주파수 1.6㎐, 승온 속도 2℃/min으로 -40℃~180℃까지의 동적 점탄성의 온도 의존성을 측정하고, 유리 전이 온도에 기인하는 손실 정접(tanδ)이 피크값(최대값)이 될 때의 온도(이하 「피크 시 온도」라고도 한다.), 및 그 때의 손실 정접 tanδ의 값을 측정한다.
손실 정접 tanδ가 최대값이 될 때의 온도(피크 시 온도)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40℃~80℃, 바람직하게는 0℃~50℃, 보다 바람직하게는 10℃~40℃여도 된다.
4-메틸-1-펜텐·α-올레핀 공중합체(C)의 손실 정접 tanδ의 최대값을 상기 범위 내로 하는 수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4-메틸-1-펜텐에 유래하는 구성 단위와 α-올레핀에 유래하는 구성 단위의 조성비를 조정하는 등의 수법을 들 수 있다.
(극한 점도)
4-메틸-1-펜텐·α-올레핀 공중합체(C)는, 135℃ 데칼린 중에서 측정한 극한 점도[η]가, 0.5dL/g~5.0dL/g인 것이 바람직하고, 1.0dL/g~4.0dL/g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2dL/g~3.5dL/g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극한 점도[η]의 값은, 4-메틸-1-펜텐·α-올레핀 공중합체(C)를 제조할 때의 중합 시의 수소의 첨가량에 의해, 조정할 수 있다.
극한 점도[η]의 값이 상기 범위에 있으면, 실런트용 수지 조성물의 제조 시나 각종 성형 시에 있어서 양호한 유동성이 얻어지는 경향이 있다. 또한, 에틸렌·극성 모노머 공중체(A)로의, 4-메틸-1-펜텐·α-올레핀 공중합체(C)의 분산성이 향상하는 경향이 있다.
상기 4-메틸-1-펜텐·α-올레핀 공중합체(C)의 극한 점도[η]는, 하기의 방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약 20㎎의 4-메틸-1-펜텐·α-올레핀 공중합체(C)를 데칼린 25㎖에 용해시킨 후, 우베로데 점도계를 이용하여, 135℃의 오일 배스 중에서 비(比)점도 ηsp를 측정한다. 이 데칼린 용액에 데칼린을 5㎖ 첨가하여 희석한 후, 상기와 마찬가지로 하여 비점도 ηsp를 측정한다. 이 희석 조작을 추가로 2회 반복하고, 농도(C)를 0으로 외삽하였을 때의 ηsp/C의 값을 극한 점도[η](단위:dl/g)로 한다.
(분자량 분포(Mw/Mn))
4-메틸-1-펜텐·α-올레핀 공중합체(C)는, 겔 퍼미에이션 크로마토그래피(GPC)로 측정하는 중량 평균 분자량(Mw)과 수평균 분자량(Mn)의 비인 분자량 분포(Mw/Mn)가, 1.0~3.5인 것이 바람직하고, 1.0~3.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5~2.5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분자량 분포(Mw/Mn)의 값은, 예를 들면, 후술하는 올레핀 중합용 촉매의 종류에 의해 조정할 수 있다.
분자량 분포(Mw/Mn)의 값이 상기 범위에 있는 4-메틸-1-펜텐·α-올레핀 공중합체(C)를 포함하는 실런트용 수지 조성물은, 상대적으로 낮은 분자량 성분의 함유율이 적은 경향이 있다. 그 때문에, 상기 저분자량체의 블리드 아웃이 적으며, 4-메틸-1-펜텐·α-올레핀 공중합체(C)를 포함하는 실런트용 수지 조성물을 펠릿이나 필름 성형을 행하였을 때에, 블로킹성이 저하되는, 필름 물성 전반에 우수한(특히 기계 강도가 우수하다.) 경향이 있다.
4-메틸-1-펜텐·α-올레핀 공중합체(C) 중량 평균 분자량(Mw)과 수평균 분자량(Mn)의 비인 분자량 분포(Mw/Mn)는, 하기의 겔 퍼미에이션 크로마토그래피(GPC)를 이용한 표준 폴리스티렌 환산법에 의해 산출할 수 있다.
측정 장치 : GPC(ALC/GPC150-C plus형(型), 시사 굴절계 검출기 일체형, Waters제)
칼럼 : GMH6-HT(토소주식회사제) 2개, 및 GMH6-HTL(토소주식회사제) 2개를 직렬로 접속
용리액 : o-디클로로벤젠
칼럼 온도 : 140℃
유량 : 1.0㎖/min
(밀도)
4-메틸-1-펜텐·α-올레핀 공중합체(C)는, 밀도가, 825㎏/㎥~860㎏/㎥인 것이 바람직하고, 830㎏/㎥~855㎏/㎥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830㎏/㎥~85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830㎏/㎥~845㎏/㎥의 범위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밀도의 값은, 4-메틸-1-펜텐과 함께 중합하는 다른 α-올레핀의 종류나 배합량을 조정함으로써, 조정할 수 있다.
밀도의 값이 상기 범위에 있는 4-메틸-1-펜텐·α-올레핀 공중합체(C)를 포함하는 실런트용 수지 조성물이면, 내열성 및 경량성이 우수한 경향이 있다.
4-메틸-1-펜텐·α-올레핀 공중합체(C)의 밀도는, JIS K7112(밀도 구배관법)에 준거하여, 측정되는 값이다.
(MFR)
4-메틸-1-펜텐·α-올레핀 공중합체(C)는, 멜트 매스 플로우 레이트가, 성형 시의 유동성의 관점, 및, 기재에 대한 박리 강도 및 박리감을 보다 우수한 것으로 하는 관점에서, 0.01g/10분~100g/10분인 것이 바람직하고, 0.5g/10분~50g/10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5g/10분~30g/10분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4-메틸-1-펜텐·α-올레핀 공중합체(C)의 멜트 매스 플로우 레이트(MFR)는, ASTM D1238에 준거하여, 230℃에서 2.16㎏의 하중에서 측정되는 값이다.
4-메틸-1-펜텐·α-올레핀 공중합체(C)의 멜트 매스 플로우 레이트(MFR)를 상기 범위 내로 하는 수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4-메틸-1-펜텐에 유래하는 구성 단위와 α-올레핀에 유래하는 구성 단위의 조성비를 조정하는 등의 수법을 들 수 있다.
(융점)
4-메틸-1-펜텐·α-올레핀 공중합체(C)는, 시차 주사열량계(DSC: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로 측정한 융점(Tm)이 110℃ 미만 또는 인지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고, 100℃ 미만 또는 인지되지 않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85℃ 미만 또는 인지되지 않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융점(Tm)이 110℃ 미만 또는 인지되지 않는 4-메틸-1-펜텐·α-올레핀 공중합체(C)를 포함하는 실런트용 수지 조성물은, 성형성이 우수한 경향이 있다.
4-메틸-1-펜텐·α-올레핀 공중합체(C)의 융점(Tm)은, 시차 주사열량계(DSC: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를 이용하여, 하기의 방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약 5㎎의 4-메틸-1-펜텐·α-올레핀 공중합체(C)를, 세이코 인스트루먼트주식회사제의 시차 주사열량계(DSC220C형)의 측정용 알루미늄팬 중에 밀봉하고, 실온(23℃)으로부터 10℃/min으로 200℃까지 가열한다. 4-메틸-1-펜텐·α-올레핀 공중합체(C)를 완전 융해시키기 위해서, 200℃에서 5분간 보지하고, 이어서, 10℃/min으로 -50℃까지 냉각한다. -50℃에서 5분간 둔 후, 10℃/min으로 200℃까지 2번째의 가열을 행하고, 이 2번째의 가열에서의 피크 온도(℃)를 4-메틸-1-펜텐·α-올레핀 공중합체(C)의 융점(Tm)으로 한다. 그리고, 이 2번째의 가열에 있어서, -50℃~200℃까지의 범위에서 융해 피크가 관측되지 않은 경우, 4-메틸-1-펜텐·α-올레핀 공중합체(C)는 융점이 인지되지 않는 것으로 한다. 또한, 복수의 피크가 검출될 경우에는, 가장 고온측으로부터 검출되는 피크를 채용한다.
4-메틸-1-펜텐·α-올레핀 공중합체(C)를, 융점이 인지되지 않는 성질로 하는 수법, 및, 융점을 상기 범위 내로 하는 수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후술하는 올레핀 중합용 촉매를 이용하여, 4-메틸-1-펜텐·α-올레핀 공중합체(C)의 입체 규칙성을 조제하는 방법; α-올레핀에 유래하는 구성 단위의 함유량을 조제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합성)
4-메틸-1-펜텐·α-올레핀 공중합체(C)는, 시판품이어도, 합성품이어도 된다. 4-메틸-1-펜텐·α-올레핀 공중합체(C)를 합성하는 경우, 예를 들면, 올레핀 중합용 촉매의 존재 하, 4-메틸-1-펜텐과 상기 서술한 α-올레핀, 추가로 필요에 따라 상기 중합성 화합물을 포함하여 중합함으로써, 4-메틸-1-펜텐·α-올레핀 공중합체(C)를 얻을 수 있다.
올레핀 중합용 촉매로서는, 예를 들면, 메탈로센 촉매를 들 수 있다.
바람직한 메탈로센 촉매로서는, 국제공개 제01/53369호 팸플릿, 국제공개 제01/27124호 팸플릿,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평3-193796호 공보,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평02-41303호 공보 중 혹은 국제공개 제06/025540호 팸플릿, 국제공개 제2014/050817호 팸플릿 중에 기재된 메탈로센 촉매를 들 수 있다.
4-메틸-1-펜텐·α-올레핀 공중합체(C)의 함유량은, 실런트용 수지 조성물의 전체 질량에 대해서, 1질량%~20질량%이며, 3질량%~16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3.5질량%~16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4질량%~16질량%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실런트용 수지 조성물이 후술하는 스티렌계 엘라스토머(D)를 함유하는 경우, 4-메틸-1-펜텐·α-올레핀 공중합체(C)의 함유량은, 실런트용 수지 조성물의 전체 질량에 대해서, 1질량%~20질량%이며, 6질량%~14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7질량%~12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4-메틸-1-펜텐·α-올레핀 공중합체(C)의 함유량이, 실런트용 수지 조성물의 전체 질량에 대해서, 1질량% 이상이면, 박리감이 보다 우수한 경향이 있다.
한편, 4-메틸-1-펜텐·α-올레핀 공중합체(C)의 함유량이, 실런트용 수지 조성물의 전체 질량에 대해서, 20질량% 이하이면, 박리 강도가 보다 우수한 경향이 있다.
≪스티렌계 엘라스토머(D)≫
본 개시의 실런트용 수지 조성물은, 스티렌계 엘라스토머(D)를 포함하여도 된다.
스티렌계 엘라스토머(D)는, 1종만을 이용하여도, 2종 이상을 병용하여도 된다.
스티렌계 엘라스토머(D)는, 디엔 블록(디엔 중합체부)으로 이루어지는 소프트 세그먼트와 스티렌 블록(스티렌 중합체)으로 이루어지는 하드 세그먼트를 가지는 블록 공중합체이다. 블록 공중합체는 수소 첨가물의 상태여도 된다.
블록 공중합체 및 그 수소 첨가물로서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SB),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SBS), 스티렌-이소프렌 블록 공중합체(SI),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SIS), 및 그들 블록 공중합체의 수소 첨가물을 들 수 있다. 블록 공중합체의 수소 첨가물은, 스티렌 블록과 디엔 블록의 모두가 수소 첨가된 블록 공중합체여도, 디엔 블록만 수소 첨가된 블록 공중합체 혹은 스티렌 블록과 디엔 블록의 일부가 수소 첨가된 블록 공중합체 등의 부분 수소 첨가물이어도 된다.
상기 서술한 블록 공중합체 또는 그 수소 첨가물 중에서도,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SB)의 수소 첨가물인 스티렌-에틸렌·부틸렌 블록 공중합체(SEB),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SBS)의 수소 첨가물인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SEBS), 및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SIS)의 수소 첨가물인 스티렌-에틸렌·프로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SEPS)가, 압출 성형 시의 열안정성, 가공 시의 안정성, 열화물의 발생 억제 및 냄새의 발생 억제의 점에서 바람직하다.
그중에서도,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SEBS) 및 스티렌-에틸렌·프로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SEPS)가 보다 바람직하고,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SEBS)가 더욱 바람직하다.
스티렌계 엘라스토머(D)는, 불포화 카르본산 및 불포화 카르본산의 유도체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화합물에 의해 그래프트 변성된 산변성 스티렌계 엘라스토머여도 된다.
산변성 스티렌계 엘라스토머에 있어서의 상기 불포화 카르본산으로서는, 예를 들면,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2-에틸아크릴산, 크로톤산, 말레산, 푸마르산, 이타콘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상기 불포화 카르본산은, 산변성 스티렌계 엘라스토머의 생산성, 위생성 등의 관점에서,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말레산, 푸마르산 및 이타콘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말레산을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산변성 스티렌계 엘라스토머에 있어서의 상기 불포화 카르본산의 유도체로서는, 무수 말레산, 무수 프탈산, 무수 이타콘산 등의 산무수물, 말레산 모노메틸, 말레산 모노에틸 등의 산에스테르, 산아미드, 산할로겐화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상기 불포화 카르본산의 유도체는 무수 말레산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의 불포화 카르본산 및 상기 불포화 카르본산의 유도체는 1종만을 이용하여도, 2종 이상을 병용하여도 된다.
산변성 스티렌계 엘라스토머로서는, 스티렌계 엘라스토머에 불포화 카르본산 및 불포화 카르본산의 유도체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화합물을 라디칼 개시제의 존재 하에 있어서 용융 상태로 그래프트시킨 것을 이용할 수도 있다. 라디칼 개시제는 폴리올레핀의 그래프트 반응에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것이면 된다.
산변성 스티렌계 엘라스토머의 산가는, 0㎎CH3ONa/g을 초과하여 20㎎CH3ONa/g 미만이 바람직하고, 0㎎CH3ONa/g을 초과하여 11㎎CH3ONa/g 미만이 보다 바람직하고, 0.5㎎CH3ONa/g 이상 11㎎CH3ONa/g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스티렌계 엘라스토머(D)의 MFR(멜트 플로우 레이트; ASTM D-1238에 준거, 190℃, 2160g 하중)은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지만, 통상 0.1g/10분~100g/10분이며, 0.5g/10분~50g/10분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스티렌계 엘라스토머(D)의 함유량은, 실런트용 수지 조성물의 전체 질량에 대해서, 1질량%~15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2질량%~10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질량%~8질량%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스티렌계 엘라스토머(D)의 함유량이, 실런트용 수지 조성물의 전체 질량에 대해서, 1질량% 이상이면, 실런트용 수지 조성물의 기재에 대한 박리 강도가 보다 우수한 경향이 있다.
한편, 스티렌계 엘라스토머(D)의 함유량이, 실런트용 수지 조성물의 전체 질량에 대해서, 15질량% 이하이면, 실런트용 수지 조성물의 기재에 대한 박리감이 보다 우수한 경향이 있다.
≪그 외의 성분≫
본 개시의 실런트용 수지 조성물은, 상기 서술한 성분 이외의 그 외의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그 외의 성분으로서는, 산화방지제, 열안정제, 광안정제, 대전 방지제, 활제, 착색제, 슬립제, 이(離)롤제 등의 첨가제를 들 수 있고, 슬립제 및 이롤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첨가제의 함유량은, 실런트용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의 수지 성분의 전체 질량에 대해서, 바람직하게는 0.01질량%~3질량%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질량%~2질량%이다.
≪실런트용 수지 조성물의 조제 방법≫
본 개시의 실런트용 수지 조성물의 조제 방법으로서는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에틸렌·극성 모노머 공중합체(A)와, 점착 부여 수지(B)와, 4-메틸-1-펜텐·α-올레핀 공중합체(C)와, 필요에 따라 첨가되는 스티렌계 엘라스토머(D) 또는 그 외의 성분을 드라이 블렌드하여 혼합함으로써 조제하는 방법; 에틸렌·극성 모노머 공중합체(A)와, 점착 부여 수지(B)와, 4-메틸-1-펜텐·α-올레핀 공중합체(C)와, 필요에 따라 첨가되는 스티렌계 엘라스토머(D) 또는 그 외의 성분을 압출기 등으로 용융 혼련함으로써 조제하는 방법 등을 채용할 수 있다.
≪바람직한 용도≫
본 개시의 실런트용 수지 조성물은, 기재에 대한 높은 박리 강도 및 우수한 박리감이 요구되는, 모든 용도에 적용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런트용 수지 조성물의 용도에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바람직하게는, 포장재로서 이용된다.
포장재로서는, 예를 들면, 식품, 완구, 문방구, 생활 잡화, 화장품, 의약품, 의약 부외품, 의료 기구 등을 덮기 위한 덮개재를 들 수 있다.
-적층체-
본 개시의 적층체는, 지지체와, 상기 서술한 본 개시의 실런트용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실런트층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적층체는, 상기 서술한 본 개시의 실런트용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실런트층을 포함하므로, 기재에 대한 박리 강도 및 박리감이 우수하다.
≪지지체≫
지지체의 재질에는 특별히 제한은 없다.
지지체의 구조는, 단층 구조여도 되고, 2층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적층 구조여도 된다.
지지체로서는, 연신(延伸) 혹은 무연신의 필름이며,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 에틸렌·불포화 카르본산 에스테르 공중합체, 에틸렌·불포화 카르본산 공중합체 또는 그 아이오노머,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 종이, 알루미늄박, 알루미늄, 실리카, 알루미나 등을 증착한 필름, 폴리염화비닐리덴이나 폴리비닐알코올 등의 가스 배리어재를 코팅한 필름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지지체는, 실런트층과의 접착성을 개량하기 위해서, 표면 처리를 행하여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코로나 처리, 플라즈마 처리, 앵커 코트 처리 등을 행하여도 된다.
≪실런트층≫
실런트층은, 상기 서술한 본 개시의 실런트용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층이다.
실런트층의 구조는, 단층 구조여도 되고, 2층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적층 구조여도 된다.
실런트층은, 예를 들면, 본 개시의 실런트용 수지 조성물(및, 필요에 따라 첨가제 등의 다른 성분)을 이용한 용융 압출에 의해 제조된다.
실런트층에 있어서의, 본 개시의 실런트용 수지 조성물의 함유량은, 실런트층의 전체 질량에 대해서, 바람직하게는 80질량% 이상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90질량% 이상이다.
≪그 외의 층≫
본 개시의 적층체는, 포장재에 다양한 기능을 부여하는 관점에서, 지지체 및 실런트층 이외의 층(이하, 그 외의 층이라고도 칭한다.)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그 외의 층으로서는, 예를 들면, 발포층, 금속층, 무기물층, 가스 배리어성 수지층, 대전 방지층, 하드 코팅층, 접착층, 반사 방지층, 방오층 등을 들 수 있다. 그 외의 층은 1층 단독으로 이용하여도 되고, 2층 이상을 조합시켜서 이용하여도 된다. 또한, 접착층은, 각 층끼리의 접착성을 높이기 위하여 마련되는 층이다.
본 개시의 적층체의 형상에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예를 들면, 시트 형상(즉, 필름 형상)이 바람직하다.
본 개시의 적층체의 두께에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바람직하게는 40㎛ 이상 300㎛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이상 300㎛ 이하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50㎛ 이상 200㎛ 이하이다.
적층체에 있어서의 실런트층의 두께에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바람직하게는 1㎛ 이상 500㎛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 이상 300㎛ 이하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3㎛ 이상 200㎛ 이하이다.
적층체에 있어서의 지지체의 두께(2층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적층 구조인 경우에는 총 두께)에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바람직하게는 4㎛ 이상 300㎛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5㎛ 이상 300㎛ 이하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10㎛ 이상 200㎛ 이하이다.
≪적층체의 바람직한 제조 방법≫
본 개시의 적층체는, 공지된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적층체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압출 라미네이션법, 공압출 인플레이션법, 공압출 T다이법 등을 들 수 있다. 그중에서도, 적층체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압출 라미네이션법이 바람직하다.
본 개시의 적층체에는, 필요에 따라, 임의의 비율로 1축 또는 2축 연신을 추가하여도 된다.
≪적층체의 바람직한 용도≫
본 개시의 적층체의 용도에 대해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다.
본 개시의 적층체의 바람직한 용도는, 상기 서술한 본 개시의 실런트용 조성물의 바람직한 용도와 마찬가지이다.
-포장재-
본 개시의 포장재는, 본 개시의 적층체, 즉, 지지체와, 본 개시의 실런트용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실런트층을 포함하는 적층체를 구비한다.
본 개시의 포장재는, 예를 들면, 덮개재로서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본 개시의 포장재는, 기재에 대한 박리 강도 및 박리감이 우수하다.
본 개시의 포장재는, 특히 비정성 폴리에스테르제의 용기 등의 기재에 대해서, 박리 강도 및 박리감이 우수하다. 그 때문에, 본 개시의 포장재는, 비정성 폴리에스테르제의 용기의 덮개체를 구성하는 덮개재로서 특히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포장 용기-
본 개시의 포장 용기는, 개구를 가지는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의 상기 개구를 폐색하기 위한 덮개체를 구비한다. 상기 덮개체는, 본 개시의 포장재로 이루어진다.
본 개시의 포장 용기는, 본 개시의 포장재로 이루어지는 덮개체를 이용함으로써, 개구를 가지는 용기 본체에 대해서, 박리 강도 및 박리감이 우수하다.
본 개시의 포장 용기는, 용기 본체가 비정성 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하는 포장 용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용기 본체가 비정성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포함하는 포장 용기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용기 본체로서는, 비정성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비정성 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하는 용기 외에, 다른 재료를 포함하는 용기,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염화비닐 등을 포함하는 용기여도 된다.
본 개시의 포장 용기는, 예를 들면, 식품, 의약품, 공업용품, 일용품, 화장품 등을 포장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포장 용기로서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으며, 식품 및 의약품의 포장 용기로서 특히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실시예에 나타내는 재료, 사용량, 비율, 처리 순서 등은, 본 개시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한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또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부」는 「질량부」를 의미한다.
또한, 각 재료의 MFR은, 상기 서술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기재한 측정 방법에 의해 측정한 값이다.
이하, 「에틸렌 단위 함유량」, 및 「아세트산 비닐의 구성 단위의 함유량」은, 각각, 에틸렌에 유래하는 구성 단위의 함유량, 및 아세트산 비닐에 유래하는 구성 단위의 함유량을 의미한다.
이하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 실런트용 수지 조성물의 제조에 이용하는 성분의 상세는 이하와 같다.
(에틸렌·극성 모노머 공중합체(A))
·(EVA-1):
종류 :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
아세트산 비닐의 구성 단위의 함유량(VA 함량) : 10질량%
MFR(190℃, 하중 2160g) 9g/10분
·(EVA-2):
종류 :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
아세트산 비닐의 구성 단위의 함유량(VA 함량) : 10질량%
MFR(190℃, 하중 2160g) 3g/10분
·(EVA-3):
종류 :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
아세트산 비닐의 구성 단위의 함유량(VA 함량) : 28질량%
MFR(190℃, 하중 2160g) 6g/10분
·(EVA-4):
종류 :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
아세트산 비닐의 구성 단위의 함유량(VA 함량) : 19질량%
MFR(190℃, 하중 2160g) 2.5g/10분
(점착 부여 수지(B))
·점착 부여 수지
종류 : 지환족 탄화수소 수지 「알콘 P-115(아라카와화학공업주식회사제)」
환구법 연화점 115℃
(4-메틸-1-펜텐·α-올레핀 공중합체(C))
·종류 : 4-메틸-1-펜텐·프로필렌 공중합체
밀도 840㎏/㎥, MFR(230℃, 2160g 하중) 10g/10분, 융점 없음, 주파수 1.6㎐, 승온 속도 2℃/min으로 측정하였을 때의 손실 정접 tanδ 피크 온도 30℃, 손실 정접 tanδ 피크값 2.7(미츠이화학주식회사제 앱솔토머(등록상표) EP-1001)
(스티렌계 엘라스토머(D))
·(SEBS-1):
종류 : 무수 말레산 변성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산가 10㎎CH3ONa/g, MFR(190℃, 2160g 하중) 0.5g/10분(아사히화성주식회사제, 터프테크 M1943)
·(SEBS-2):
종류 :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MFR(190℃, 2160g 하중) 2.8g/10분(클레이톤사제, 클레이톤 G1657)
(비교용 올레핀 공중합체)
·에틸렌·1-부텐 공중합체
밀도 885㎏/㎥, MFR(190℃, 2160g 하중) 3.6g/10분(미츠이화학주식회사제 타프머(등록상표) A4085S)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종류 : 저밀도 폴리에틸렌
MFR(190℃, 하중 2160g) 3.7g/10분, 밀도 917㎏/㎥.
(그 외의 성분:첨가제)
·슬립제(PEG) : 폴리에틸렌글리콜(일본정화주식회사제)
·이롤제(ELA) : 에루크산 아미드(니치유주식회사제)
[실시예 1~6, 비교예 1~6]
-실런트용 수지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1에 나타내는 조성이 되도록, 각 성분을 65㎜φ 단축 압출기(나카타니기계주식회사제, L/D=26, 스크류 타입:선단 덜메이지(Dulmadge) 플라이트 스크류)로 수지 온도 180℃에서 용융 혼련하여 실런트용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평가용의 시험편의 제조-
표 1에 나타내는 조성의 실런트용 수지 조성물을 40㎜φ 싱글 압출 라미네이터(타나베플라스틱스기계주식회사제, L/D=32)를 이용하여, 압출기 다이 출구 수지 온도 220℃, 인취(引取) 속도 30m/분, 성형 후의 실런트용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실런트층의 두께가 30㎛가 되도록 하는 압출 조건으로, 상기 실런트용 수지 조성물을 T다이로부터 지지체(PET층(12㎛)/PE층(15㎛)의 2층 적층체)의 PE층 상에 용융 압출하고, 샌드 기재측으로부터 실리콘 PET 필름(두께 25㎛, 도레이사제, 세라필(등록상표))을 삽입하여, 4층 적층체(PET층(12㎛)/PE층(15㎛)/실런트층(30㎛)/실리콘 PET 필름(25㎛))를 제조하였다. 평가 전에 상기 4층 적층체 중, 실리콘 PET 필름을 박리한 상태의 필름을 평가용의 시험편으로 하였다.
-평가-
얻어진 시험편을 이용하여, 이하의 평가를 행하였다. 비정성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용기(이하, 「A-PET 용기」라고도 칭한다.)로서는, 타케우치산업주식회사제의 TAPS92-375, 및 후지냅주식회사제의 FP92-375를, 각각 이용하여 평가를 행하였다. 각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또한, 표 1에 있어서의 공란은, 해당하는 성분이 함유되어 있지 않은 것을 의미한다.
≪박리감의 평가≫
박리감의 평가는, 이하의 방법에 의해 행하였다.
A-PET 용기를 컵홀더에 세트하고,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10㎝×10㎝의 사이즈로 잘라낸 시험편의 실런트층측을, A-PET 용기 상에 얹고, 컵 실러(에신팩공업주식회사사제)로, 표 1에 나타내는 가열 온도, 시일 시간 1초간 및 시일 압력 0.1㎫의 조건으로 히트 시일하였다. 그 후, 실온(23℃)에서 24시간 방치하였다.
이어서, 23℃의 환경하에 있어서, 손으로 박리하고, 박리 시에 박리음(지핑)의 유무를, 이하의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또한, 표 중, 「접착되지 않는다」는 것은, 상기의 조건에서 시험편이 A-PET 용기에 접착되지 않은 것을 의미한다.
(평가 기준)
A : 지핑을 수반하는 박리 현상이 없어, 매끄럽게 박리된다.
B : 지핑을 수반하는 박리 현상이 발생한다.
≪박리 강도의 평가≫
박리 강도의 측정은, 이하의 방법에 의해 행하였다.
A-PET 용기를 컵홀더에 세트하고,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10㎝×10㎝의 사이즈로 잘라낸 시험편의 실런트층측을 A-PET 용기 상에 얹고, 컵 실러(에신팩공업주식회사사제)로, 표 1에 나타내는 가열 온도, 시일 시간 1초간, 시일 압력 0.1㎫의 조건으로 히트 시일하였다. 그 후, 실온(23℃)에서 24시간 방치하였다.
이어서, 23℃의 환경하에 있어서, 박리 시험기(IM-20X, 주식회사인데스코제)에 세트하고, A-PET 용기를 고정한 상태에서 초기 박리 각도를 45°로 하고 인장 속도:300㎜/min의 속도로 A-PET 용기로부터 떼어, 최대 응력을 A-PET 용기에 대한 박리 강도(N)로서 산출하였다. 표 중, 「-」란, 상기의 조건에서 시험편이 A-PET 용기에 접착되지 않았기 때문에, 측정하고 있지 않은 것을 의미한다.
Figure pct00001
[실시예 7~11, 비교예 7~12]
-실런트용 수지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2에 나타내는 조성이 되도록,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실런트용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고, 평가용의 시험편을 제조하였다.
-평가-
얻어진 시험편을 이용하여, 이하의 평가를 행하였다. 비정성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용기(이하, 「A-PET 용기」라고도 칭한다.)로서는, 후지냅주식회사제의 FP92-375를 이용하여 평가를 행하였다. 각 평가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또한, 표 2에 있어서의 공란은, 해당하는 성분이 함유되어 있지 않은 것을 의미한다.
≪박리감의 평가≫
박리감의 평가는, 이하의 방법에 의해 행하였다.
A-PET 용기를 컵홀더에 세트하고,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10㎝×10㎝의 사이즈로 잘라낸 시험편의 실런트층측을, A-PET 용기 상에 얹고, 컵 실러(에신팩공업주식회사사제)로, 표 1에 나타내는 가열 온도, 시일 시간 1초간 및 시일 압력 0.1㎫의 조건으로 히트 시일하였다. 그 후, 실온(23℃)에서 1일 방치하였다.
이어서, 23℃의 환경하에 있어서, 손으로 박리하고, 박리 시에 박리음(지핑)의 유무를, 이하의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평가 기준)
A : 지핑이 발생하지 않는다.
B : 경미한 지핑이 발생한다.
C : 현저하게 지핑이 발생한다.
≪박리 강도의 평가≫
박리 강도의 측정은, 이하의 방법에 의해 행하였다.
A-PET 용기를 컵홀더에 세트하고,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10㎝×10㎝의 사이즈로 잘라낸 시험편의 실런트층측을 A-PET 용기 상에 얹고, 컵 실러(에신팩공업주식회사제)로, 표 1에 나타내는 가열 온도, 시일 시간 1초간, 시일 압력 0.1㎫의 조건으로 히트 시일하였다. 그 후, 실온(23℃)에서 1일 방치하였다.
이어서, 23℃의 환경하에 있어서, 박리 시험기(IM-20X, 주식회사인데스코제)에 세트하고, A-PET 용기를 고정한 상태에서 초기 박리 각도를 45°로 하고 인장 속도:300㎜/min의 속도로 A-PET 용기로부터 떼어, 최대 응력(N)을 측정하였다. 5개의 샘플의 최대 응력(N)의 산술 평균값을 A-PET 용기에 대한 박리 강도(N)로서 산출하였다.
Figure pct00002
표 1 및 표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의 실런트용 수지 조성물은, 비정성 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하는 A-PET 용기에 있어서, 비교예의 실런트용 수지 조성물에 비하여, 박리 강도 및 박리감이 우수한 것을 알았다.
일본국특허출원 제 2019-064698호 및 제 2019-168513호의 개시는, 그 전체가 참조에 의해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모든 문헌, 특허출원, 및 기술 규격은, 개개의 문헌, 특허출원, 및 기술 규격이 참조에 의해 포함되는 것이 구체적이면서 또한, 각각에 기재된 경우와 같은 정도로, 본 명세서 중에 참조에 의해 포함된다.

Claims (13)

  1. 에틸렌·극성 모노머 공중합체(A)와,
    점착 부여 수지(B)와,
    4-메틸-1-펜텐·α-올레핀 공중합체(C)를 함유하고,
    상기 4-메틸-1-펜텐·α-올레핀 공중합체(C)의 함유량이, 실런트용 수지 조성물의 전체 질량에 대해서, 1질량%~20질량%인, 실런트용 수지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추가로 스티렌계 엘라스토머(D)를 함유하는, 실런트용 수지 조성물.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렌계 엘라스토머(D)가 스티렌-에틸렌·부틸렌 블록 공중합체(SEB),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SEBS) 및 스티렌-에틸렌·프로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SEPS)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실런트용 수지 조성물.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렌계 엘라스토머(D)의 함유량이, 실런트용 수지 조성물의 전체 질량에 대해서, 1질량%~15질량%인, 실런트용 수지 조성물.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4-메틸-1-펜텐·α-올레핀 공중합체(C)는, 융점이 110℃ 미만 또는 인지되지 않는, 실런트용 수지 조성물.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극성 모노머 공중합체(A)가,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인, 실런트용 수지 조성물.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극성 모노머 공중합체(A)는, 아세트산 비닐에 유래하는 구성 단위의 함유량이, 1질량% 이상 30질량% 이하인, 실런트용 수지 조성물.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실런트용 수지 조성물은, 멜트 매스 플로우 레이트(JIS K7210-1999, 190℃, 2160g 하중)가, 1g/10분~100g/10분인, 실런트용 수지 조성물.
  9. 지지체와,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실런트용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실런트층을 포함하는 적층체.
  10. 제 9 항에 기재된 적층체를 구비하는 포장재.
  11. 제 10 항에 있어서,
    덮개재인 포장재.
  12. 개구를 가지는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의 상기 개구를 폐색하기 위한 덮개체를 구비하고,
    상기 덮개체가 제 11 항에 기재된 포장재로 이루어지는 포장 용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가 비정성 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하는 포장 용기.
KR1020217032187A 2019-03-28 2020-03-25 실런트용 수지 조성물, 적층체, 포장재 및 포장 용기 KR1026037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064698 2019-03-28
JP2019064698 2019-03-28
JPJP-P-2019-168513 2019-09-17
JP2019168513 2019-09-17
PCT/JP2020/013467 WO2020196673A1 (ja) 2019-03-28 2020-03-25 シーラント用樹脂組成物、積層体、包装材及び包装容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7132A true KR20210137132A (ko) 2021-11-17
KR102603770B1 KR102603770B1 (ko) 2023-11-20

Family

ID=72611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2187A KR102603770B1 (ko) 2019-03-28 2020-03-25 실런트용 수지 조성물, 적층체, 포장재 및 포장 용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20220127443A1 (ko)
JP (2) JP7340597B2 (ko)
KR (1) KR102603770B1 (ko)
CN (1) CN113453899B (ko)
BR (1) BR112021015935A2 (ko)
DE (1) DE112020001602T5 (ko)
WO (1) WO202019667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96298A1 (ja) * 2021-03-18 2022-09-22 三井・ダウ ポリケミカル株式会社 ヒートシール性樹脂組成物、ヒートシール材、包装材、蓋材及び包装容器
CN117015567A (zh) * 2021-03-18 2023-11-07 三井-陶氏聚合化学株式会社 热密封性树脂组合物、热密封材料、包装材料、盖材及包装容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85547A (ja) 1989-01-12 1990-07-19 Dainippon Printing Co Ltd 易開封性ヒートシール用樹脂組成物
JP2001131307A (ja) * 1999-11-08 2001-05-15 Tosoh Corp 易剥離性フィルム及びその用途
JP2009227790A (ja) * 2008-03-21 2009-10-08 Du Pont Mitsui Polychem Co Ltd 重合体組成物、該組成物からなる易剥離性フィルム、該組成物層を有する積層体
JP2016014129A (ja) * 2014-03-14 2016-01-28 三井化学株式会社 樹脂組成物、フィルム、積層フィルム、積層体、イージーピール用材料およびカバーテープ
JP2018076398A (ja) * 2016-11-07 2018-05-17 東ソー株式会社 シーラント用接着剤及び蓋材用フィルム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60632A (en) * 1982-04-26 1984-07-17 Chemplex Company Adhesive blends and composite structures
JPH0631104B2 (ja) * 1986-12-03 1994-04-27 三井・デユポンポリケミカル株式会社 耐熱性に優れたキヤツプライナ−
US4892851A (en) 1988-07-15 1990-01-09 Fina Technology, Inc. Process and catalyst for producing syndiotactic polyolefins
US5036034A (en) 1989-10-10 1991-07-30 Fina Technology, Inc. Catalyst for producing hemiisotactic polypropylene
JP3177852B2 (ja) 1991-06-28 2001-06-1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薄膜磁気ヘッド
CA2237917A1 (en) * 1997-05-20 1998-11-20 Mitsui Chemicals, Incorporated Adhesive resin composition
JPH11198314A (ja) * 1998-01-12 1999-07-27 Mitsui Chem Inc ポリ4−メチル−1−ペンテン系樹脂積層体
JP2000062116A (ja) * 1998-08-25 2000-02-29 Japan Polychem Corp 包装用積層フィルム
JP4554133B2 (ja) 1999-10-08 2010-09-29 三井化学株式会社 メタロセン化合物、メタロセン化合物の製造方法、オレフィン重合触媒、ポリオレフィンの製造方法およびポリオレフィン
EP1275670B1 (en) 2000-01-21 2005-08-10 Mitsui Chemicals, Inc. Olefin block copolymers, production processes of the same and use thereof
JP2002179862A (ja) * 2000-12-11 2002-06-26 Mitsui Chemicals Inc 4−メチル−1−ペンテン系重合体組成物およびその用途
JP2003103729A (ja) * 2001-09-28 2003-04-09 Showa Denko Plastic Products Co Ltd 積層体、シーラントフィルム及び容器
JP4389063B2 (ja) * 2002-03-14 2009-12-24 三井化学株式会社 シーラント用樹脂組成物、シーラントフィルムおよびその用途
JP2005041890A (ja) * 2002-10-11 2005-02-17 Du Pont Mitsui Polychem Co Ltd ポリオレフィン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易開封性シール材料
JP4108577B2 (ja) * 2003-09-10 2008-06-25 三井化学株式会社 シーラント用樹脂組成物、シーラントフィルムおよびその用途
EP1754724A4 (en) * 2004-06-10 2008-11-26 Mitsui Chemicals Inc OLEFIN POLYMER AND USE THEREOF
ES2347452T3 (es) 2004-08-30 2010-10-29 Mitsui Chemicals, Inc. Proceso para producir un polimero de propileno.
JP5092215B2 (ja) 2005-04-11 2012-12-05 凸版印刷株式会社 積層体
CN101896567B (zh) * 2008-02-05 2014-04-30 三井-杜邦聚合化学株式会社 粘合性树脂组合物及粘合膜或片材
JP5762303B2 (ja) * 2009-11-06 2015-08-12 三井化学株式会社 4−メチル−1−ペンテン・α−オレフィン共重合体、該共重合体を含む組成物および4−メチル−1−ペンテン共重合体組成物
JP5602067B2 (ja) * 2011-03-09 2014-10-08 三井・デュポンポリケミカル株式会社 シーラント材、カバーテープ、及び電子部品搬送用包装体
KR101640356B1 (ko) 2012-09-25 2016-07-15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올레핀 중합체의 제조 방법 및 올레핀 중합체
JP6473009B2 (ja) * 2015-02-13 2019-02-20 三井・デュポンポリケミカル株式会社 積層フィルム、包装材料及び包装容器
JP6597271B2 (ja) * 2015-12-16 2019-10-30 東ソー株式会社 フィルム及び非結晶性ポリエ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製容器用蓋材
US11034782B2 (en) * 2017-03-27 2021-06-15 Mitsui Chemicals, Inc. 4-methyl-1-pentene polymer,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JP6865612B2 (ja) * 2017-03-28 2021-04-28 三井・ダウポリケミカル株式会社 ヒートシール性樹脂組成物、ヒートシール材、包装材および包装容器
JP6876591B2 (ja) 2017-10-02 2021-05-26 大森機械工業株式会社 糊付け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箱詰め装置
JP2019168513A (ja) 2018-03-22 2019-10-03 日本化薬株式会社 着色組成物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85547A (ja) 1989-01-12 1990-07-19 Dainippon Printing Co Ltd 易開封性ヒートシール用樹脂組成物
JP2001131307A (ja) * 1999-11-08 2001-05-15 Tosoh Corp 易剥離性フィルム及びその用途
JP2009227790A (ja) * 2008-03-21 2009-10-08 Du Pont Mitsui Polychem Co Ltd 重合体組成物、該組成物からなる易剥離性フィルム、該組成物層を有する積層体
JP2016014129A (ja) * 2014-03-14 2016-01-28 三井化学株式会社 樹脂組成物、フィルム、積層フィルム、積層体、イージーピール用材料およびカバーテープ
JP2018076398A (ja) * 2016-11-07 2018-05-17 東ソー株式会社 シーラント用接着剤及び蓋材用フィル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96673A1 (ja) 2020-10-01
US20220127443A1 (en) 2022-04-28
JP2023118769A (ja) 2023-08-25
DE112020001602T5 (de) 2022-01-13
CN113453899B (zh) 2023-09-26
JP7340597B2 (ja) 2023-09-07
BR112021015935A2 (pt) 2021-12-07
US20230220189A1 (en) 2023-07-13
JPWO2020196673A1 (ja) 2021-11-18
KR102603770B1 (ko) 2023-11-20
CN113453899A (zh) 2021-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97321B2 (en) Tacky resin composition and pressure-sensitive adhesive film or sheet
JP5188177B2 (ja) エチレン共重合体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易開封性シール材料
JP5279495B2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からなる多層積層体、該熱可塑性樹脂組成物を粘着させてなる物品、ならびに物品の表面保護方法
JP6743006B2 (ja) 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用途
JP2023118769A (ja) シーラント用樹脂組成物、積層体、包装材及び包装容器
JP6597271B2 (ja) フィルム及び非結晶性ポリエ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製容器用蓋材
JP6473009B2 (ja) 積層フィルム、包装材料及び包装容器
JP4778283B2 (ja) 樹脂組成物及び積層体
KR20070031344A (ko) 점착제 조성물과 그를 이용한 적층 필름 및 그 용도
WO2022209431A1 (ja) 樹脂組成物および当該樹脂組成物からなる層を有する積層体
JP2019156484A (ja) 易剥離性フィルム
JP3794967B2 (ja) ハンド包装用ストレッチ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4131635A (ja) エチレン共重合体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易開封性シール材料
JP2021133590A (ja) 易開封性フィルムおよび包装体
JP2013067733A (ja) 易開封性ヒートシール材用樹脂組成物、易開封性ヒートシール材およびレトルト食品用包装材
CN111630100B (zh) 密封性树脂组合物、密封材料、包装材料、包装容器及包装体
JP7083753B2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積層体
JPH11291404A (ja) 伸縮性複合フィルム
JP2021146636A (ja) 易開封性フィルム、共押出易開封性フィルム、および、その包装体
JPS63270134A (ja) ラミネ−ト用基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