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6532A - 낚싯대용 그립 및 낚싯대 - Google Patents

낚싯대용 그립 및 낚싯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6532A
KR20210046532A KR1020200096962A KR20200096962A KR20210046532A KR 20210046532 A KR20210046532 A KR 20210046532A KR 1020200096962 A KR1020200096962 A KR 1020200096962A KR 20200096962 A KR20200096962 A KR 20200096962A KR 20210046532 A KR20210046532 A KR 202100465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p
circumferential wall
fishing rod
outer circumferential
cor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69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키 마츠다
유키 토쿠야마
노부히로 스가누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ublication of KR202100465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65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7/00Fishing rods
    • A01K87/08Handgrip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ishing Rods (AREA)
  • Walking Sticks, Umbrellas, And Fans (AREA)

Abstract

[과제] 그립력의 저하를 억제하면서, 부품 수를 줄이는 것으로 조립의 작업성을 향상할 수 있다.
[해결 수단] 가늘고 긴 봉상(棒狀)으로 형성된 낚싯대 본체(11)의 후단부(後端部)에 설치되는 그립(2)이고, 소정 두께의 통상(筒狀)으로 형성되고, 낚싯대 본체(11)의 후단부의 통상으로 형성된 심재(11a)의 외측에 감합(嵌合)하는 코어부(3)와, 코어부(3)의 후단 개구(開口)를 막는 뒷마개부(4)를 가지고, 코어부(3)와 뒷마개부(4)는,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코어부(3)를 구성하는 주벽(周壁)에는, 그립축 방향의 전체에 걸쳐 공극부(空隙部)(3a)가 형성되어 있는 낚싯대용 그립 및 낚싯대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낚싯대용 그립 및 낚싯대{GRIP FOR FISHING ROD AND FISHING ROD}
본 발명은, 낚싯대용 그립 및 낚싯대에 관한 것이다.
종래, 낚싯대에서는, 예를 들어 떡붕어 낚싯대의 그립부로서, 코어, 복수의 뒷마개, 끈목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참조).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4-57098호
그렇지만, 종래의 낚싯대용 그립에서는, 부품 수가 많은 것으로부터 조립에 수고와 시간이 들고, 작업성이 저하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낚싯대용 그립의 경우에는, 끈목의 요철이나 도료의 탄력에 의하여 그립력을 확보하고 있고, 장기간의 사용에 의하여 이들 요철이나 도료가 마모 손실하는 것으로, 그립력이 저하하는 것으로부터, 그 점에서 개선의 여지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사정에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그립력의 저하를 억제하면서, 부품 수를 줄이는 것으로 조립의 작업성을 향상할 수 있는 낚싯대용 그립 및 낚싯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1) 본 발명에 관련되는 낚싯대용 그립은, 가늘고 긴 봉상(棒狀)으로 형성된 낚싯대 본체의 후단부(後端部)에 설치되는 낚싯대용 그립에 있어서, 소정 두께의 통상(筒狀)으로 형성되고, 상기 낚싯대 본체의 후단부의 통상으로 형성된 심재(芯材)의 외측에 감합(嵌合)하는 코어부와, 상기 코어부의 후단 개구(開口)를 막는 뒷마개부를 가지고, 상기 코어부와 상기 뒷마개부는,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코어부를 구성하는 주벽(周壁)에는, 그립축 방향의 전체에 걸쳐 공극부(空隙部)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낚싯대용 그립에 의하면, 중공(中空)이고 통상의 코어부와 뒷마개부가 일체화되어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3D 프린터를 사용하여 성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 때문에, 복수 개의 부품으로 구성되는 종래의 경우와 같은 조립에 드는 수고나 시간을 저감 할 수 있고, 조립 작업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코어부를 구성하는 주벽에 공극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탄성을 가지는 그립감을 얻을 수 있는 것과 함께, 잡은 힘에 의하여 코어부가 탄성적으로 변형하는 것으로부터, 소정의 그립력을 항구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2) 상기 코어부의 외주면(外周面)에는, 두께 방향으로 오목한 다공 형상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여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낚시꾼이 그립을 잡았을 때에, 코어부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다공 형상부의 오목부에 손바닥의 살이 들어가기 때문에, 그 들어가는 상태를 조정하는 것으로, 그립력을 확보할 수 있다.
(3) 상기 코어부는, 외주벽(外周壁)과 내주벽(內周壁)을 가지고, 상기 공극부는, 상기 외주벽과 상기 내주벽과의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다공 형상부는, 상기 외주벽의 두께 방향으로 오목한 복수의 노치(notch) 오목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여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코어부의 표면 측의 외주벽에 복수의 노치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그들 노치 오목부에 대하여 손바닥의 살이 얕게 들어가기 때문에, 소프트한 그립감이 된다. 나아가 코어부의 외주벽에만 다공 형상부(노치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그립 시의 압축력에 저항할 수 있고, 그립력을 유지할 수 있다.
(4) 상기 코어부는, 외주벽과 내주벽을 가지고, 상기 공극부는, 상기 외주벽과 상기 내주벽과의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다공 형상부는, 상기 외주벽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한 복수의 노치 구멍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코어부의 표면 측의 외주벽에 복수의 노치 구멍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그들 노치 구멍에 대하여 손바닥의 살이 깊게 들어가기 때문에, 확실한 그립감이 된다. 나아가 코어부의 외주벽에만 다공 형상부(노치 구멍)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그립 시의 압축력에 저항할 수 있고, 그립력을 유지할 수 있다.
(5) 상기 코어부는, 외주벽과 내주벽을 가지고, 상기 공극부는, 상기 외주벽과 상기 내주벽과의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다공 형상부는, 상기 외주벽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한 복수의 관통 구멍이고, 상기 외주벽은, 상기 코어부의 둘레 방향 및 그립축 방향으로 연재(延在)하여 격자상(格子狀)으로 배열된 격자부가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관통 구멍은, 상기 격자부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코어부의 외주벽에 복수의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그들 관통 구멍에 대하여 손바닥의 살이 깊게 들어가기 때문에, 확실한 그립감이 된다. 나아가 코어부 전체에 다공 형상부(관통 구멍)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그립 시의 압축력에 저항할 수 있고, 그립력을 유지할 수 있다. 게다가, 코어부가 격자부에 의하여 격자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조립 시에 있어서 낚싯대의 심재에 그립을 감합시킬 때에 생기는 휨에 강한 형상이 된다.
(6) 상기 뒷마개부는, 상기 코어부의 외주벽과 내주벽의 각각의 후단부끼리를 접합시키고, 또한 상기 외주벽에 연속적으로 접속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코어부의 외주벽과 내주벽이 각각의 후단부에서 뒷마개부에 의하여 일체적으로 접합되어 있기 때문에, 이중 구조가 되는 코어부의 후단 측의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외주벽과 내주벽의 후단 부분을 뒷마개부를 이용하여 접합할 수 있기 때문에, 접합부로서의 별도의 부위가 불필요하게 되고, 낚싯대용 그립 전체의 구성을 간략화할 수 있고, 조립 작업의 효율화를 도모할 수 있다.
(7) 코어부에 씌워지도록 당해 코어부에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당해 낚싯대용 그립의 소정의 외형을 규정하는 피복부가 설치되고, 상기 코어부와 상기 피복부에 의하여 2층 구조로 형성되어 있는 구성이어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피복부도 코어부와 함께 일체화되어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낚싯대용 그립의 조립 작업의 효율화를 도모할 수 있다.
(8) 본 발명에 관련되는 낚싯대는, 상기(1) 내지 (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낚싯대용 그립을 상기 낚싯대 본체의 후단부에 설치한 낚싯대에 있어서, 상기 뒷마개부를 일체적으로 설치한 통상의 상기 코어부를, 상기 낚싯대 본체의 후단부의 상기 심재의 외측에 감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낚싯대에 의하면, 상술한 (1) 내지 (7)에 기재된 작용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낚싯대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낚싯대용 그립 및 낚싯대에 의하면, 그립력의 저하를 억제하면서, 부품 수를 줄이는 것으로 조립의 작업성을 향상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의한 그립을 구비한 낚싯대의 구성을 비스듬히 장대 선단 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그립을 비스듬히 장대 기단 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하는 그립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하는 A-A선 단면 사시도이고, 그립을 반으로 나눈 도면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하는 B-B선 단면도이고, 그립을 반으로 나눈 도면이다.
도 6은 제2 실시 형태에 의한 그립의 구성을 비스듬히 장대 선단 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하는 그립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6에 도시하는 C-C선 단면 사시도이고, 그립을 반으로 나눈 도면이다.
도 9는 도 7에 도시하는 D-D선 단면도이고, 그립을 반으로 나눈 도면이다.
도 10은 제3 실시 형태에 의한 그립의 구성을 비스듬히 장대 선단 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하는 E-E선 단면 사시도이고, 그립을 반으로 나눈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하는 그립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5에 대응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되는 낚싯대용 그립 및 낚싯대의 실시 형태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덧붙여, 본 실시 형태에서는, 떡붕어 낚싯대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또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부재를 시인(視認) 가능한 크기로 하기 위하여 필요에 따라 각 구성 부재의 축척을 적의(適宜) 변경하고 있는 경우가 있다.
(제1 실시 형태)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낚싯대(1)는, 가늘고 긴 봉상으로 형성된 낚싯대 본체(11)의 후단부(도 4 및 도 5 참조)에 그립(2)(낚싯대용 그립)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낚싯대(1)의 길이 방향에서 선단 측을 장대 선단, 손으로 잡는 측을 장대 기단으로 하고, 장대 선단으로부터 장대 기단까지 길이 방향을 전후 방향으로 하고, 전후 방향에서 장대 선단 측을 앞쪽, 장대 기단 측을 뒤쪽으로 정의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낚싯대 본체(11)의 중심축이 되는 장대축 둘레로 주회(周回)하는 방향을 둘레 방향으로서 정의한다.
낚싯대 본체(11)는, 가늘고 긴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복수(예를 들어 3 ~ 4)의 마디를 이어 1개의 낚싯대 본체(11)를 구성하고 있다. 복수의 마디 중 장대 선단 측의 마디가 가장 세경(細徑)으로 형성되고, 장대 기단 측을 향하는 순으로 태경(太徑)으로 되어 있다. 즉, 선단 측의 제1 마디의 후단부가 제2 마디의 선단부에 끼워 넣어지게 된다. 각 마디는, 예를 들어 카본 섬유를 권회(卷回)하여 통상으로 형성하는 등, 공지의 요령으로 제조되어 있다. 복수의 마디는, 이들이 순서대로 장대축 방향으로 감합되는 꽂기 형식으로 이어지는 것에 의하여, 실제 낚시 시의 낚싯대(1)로서 형성된다.
그립(2)은, 낚싯대 본체(11)의 코어 부재(심재(11a))에 씌워지고, 낚시꾼이 낚싯대(1)를 조작할 때에 실제로 잡는 부분이고, 잡기 쉬운 외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립(2)은, 소정 두께의 통상으로 형성되고, 낚싯대 본체(11)의 후단부의 통상으로 형성된 심재(11a)의 외측에 감합하는 코어부(3)와, 코어부(3)의 후단 개구를 막는 뒷마개부(4)를 가지고 있다. 그립(2)은, 코어부(3)와 뒷마개부(4)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립(2)의 부재로서, 예를 들어, 고무재, 수지재, 금속, ABS계 수지, 나일론계 수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등의 탄성 부재가 채용되어 있다. 그립(2)은, 예를 들어 3D 프린터를 사용하여 성형하는 것이 가능하다.
코어부(3)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원통상(圓筒狀)이고 대략 방추형(紡錘形)으로 형성되어 있다. 코어부(3)를 구성하는 주벽에는, 그립축 방향의 전체에 걸쳐 공극부(3c)가 형성되어 있다. 코어부(3)의 외경(外徑)은, 장대 기단 측에서 최대가 되는 팽출부(膨出部)(3a)를 가지고, 이 팽출부(3a)로부터 장대 선단 측을 향하는 것에 따라 매끄럽게 축경(縮徑)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코어부(3)의 내경(內徑)은, 낚싯대 본체(11)의 후단부에 설치되는 심재(11a)의 외경과 대략 일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코어부(3)의 외주면에는, 두께 방향으로 오목한 복수의 노치 구멍(31)(다공 형상부)이 형성되어 있다. 코어부(3)는, 외주벽(32)과 내주벽(33)을 가지고, 외주벽(32)과 내주벽(33)과의 사이에 상기 공극부(3c)가 형성되어 있다. 코어부(3)의 외주벽(32)의 형상은, 그립(2)의 외형 형상을 구성하고 있다. 외주벽(32)은, 내주벽(33)보다도 두께가 크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주벽(32)과 내주벽(33)과의 사이의 공극부(3c)에는, 외주벽(32)과 내주벽(33)을 두께 방향으로 연결하는 지주벽(支柱壁)(34)이 설치되어 있다. 지주벽(34)은, 이웃하는 노치 구멍(31)끼리의 사이에서 외주벽(32)과 내주벽(33)을 연결하고, 공극부(3c)를 그립축 방향으로 복수로 구획하고 있다.
이와 같이 공극부(3c)에 지주벽(34)을 설치하는 것으로, 외주벽(32)을 내주벽(33)과의 사이에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코어부(3)를 잡았을 때에 그 잡은 부분의 외주벽(32)에 적도(適度)의 탄성 변형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적도의 그립감을 얻을 수 있는 것과 함께, 그립(2)으로부터 손을 떼었을 때에 외주벽(32)의 탄성 변형이 복원하기 쉬워진다. 그 때문에, 그립력을 유지할 수 있고, 또한 그립(2)의 외형의 형상을 장기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나아가, 지주벽(34)을 설치하는 것으로, 외주벽(32)과 내주벽(33)의 접속 면적이 증가하기 때문에, 코어부(3)로서 보강되게 된다.
노치 구멍(31)은, 외주벽(32)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다. 노치 구멍(31)은, 평면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 정육각형의 개구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노치 구멍(31)은, 코어부(3)의 둘레 방향 및 그립축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열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둘레 방향으로 6개, 그립축 방향으로 8개가 배치되어 있다. 코어부(3)는, 노치 구멍(31)이 외주벽(32)과 내주벽(33)과의 사이의 공극부(3c)에 연통(連通)하고, 그립(2)의 외측으로부터 노치 구멍(31)을 통하여 공극부(3c) 및 내주벽(33)이 보이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내주벽(33)은, 원통상으로 형성되고, 경(徑)방향의 내외를 연통하는 것과 같은 개구는 형성되어 있지 않은 형상이다.
뒷마개부(4)는,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코어부(3)의 외주벽(32)과 내주벽(33)의 후단부(3b)를 접합시키는 접합부(4a)를 가지는 것과 함께, 이 접합부(4a)로 후단 개구를 막도록 형성되어 있다. 뒷마개부(4)는, 반구상(半球狀)의 만곡면을 가지고, 코어부(3)의 후단부(3b)에 매끄럽게 연속하고 있다.
다음으로, 이와 같이 구성되는 그립(2) 및 낚싯대(1)의 작용에 관하여,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의한 그립(2)에서는, 중공이고 통상의 코어부(3)와 뒷마개부(4)가 일체화되어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3D 프린터를 사용하여 성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 때문에, 복수 개의 부품으로 구성되는 종래의 경우와 같은 조립에 드는 수고나 시간을 저감할 수 있고, 조립 작업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코어부(3)가 중공이기 때문에, 탄성을 가지는 그립감을 얻을 수 있는 것과 함께, 잡은 힘에 의하여 코어부(3)가 탄성적으로 변형하는 것으로부터, 소정의 그립력을 항구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코어부(3)의 외주벽(32)에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복수의 노치 구멍(31)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낚시꾼이 그립(2)을 잡았을 때에, 코어부(3)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다공 형상부를 이루는 복수의 노치 구멍(31)의 오목부에 손바닥의 살이 들어가게 된다. 그 때문에, 그 들어가는 상태를 조정하는 것으로, 그립력을 확보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 형태에서는, 코어부(3)의 표면 측의 외주벽(32)에 복수의 관통한 노치 구멍(31)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그들 노치 구멍(31)에 대하여 손바닥의 살이 깊게 들어가기 때문에, 확실한 그립감이 된다. 나아가 코어부(3)의 외주벽(32)에만 노치 구멍(31)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그립 시의 압축력에 저항할 수 있고, 그립력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코어부(3)의 외주벽(32)과 내주벽(33)이 각각의 후단부(3b)에서 뒷마개부(4)에 의하여 일체적으로 접합되어 있기 때문에, 이중 구조가 되는 코어부(3)의 후단 측의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나아가, 외주벽(32)과 내주벽(33)의 후단 부분을 뒷마개부(4)를 이용하여 접합할 수 있기 때문에, 접합부로서의 별도의 부위가 불필요하게 되고, 그립(2) 전체의 구성을 간략화할 수 있고, 조립 작업의 효율화를 도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 형태에 의한 낚싯대용 그립 및 낚싯대에서는, 그립력의 저하를 억제하면서, 부품 수를 줄이는 것으로 조립의 작업성을 향상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다른 실시 형태에 의한 낚싯대용 그립 및 낚싯대에 관하여 설명한다. 덧붙여,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의 구성 요소와 동일 기능을 가지는 구성 요소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이들에 관하여는, 설명이 중복하기 때문에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2 실시 형태)
다음으로, 도 6 내지 도 9에 도시하는 제2 실시 형태에 의한 그립(2A)(낚싯대용 그립)은, 코어부(3A)의 외주벽(32)에 형성되는 다공 형상부가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지 않는 복수의 노치 오목부(35)로 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노치 오목부(35)는, 외주벽(32)의 두께 방향으로 오목한 형상이고, 오목부의 개구 형상은 평면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 정육각형이 되어 있다. 노치 오목부(35)는,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의 노치 구멍(31)의 배열과 마찬가지로, 코어부(3A)의 둘레 방향 및 그립축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열되어 있다. 코어부(3A)는, 노치 오목부(35)가 외주벽(32)과 내주벽(33)과의 사이의 공극부(3c)(도 8 및 도 9 참조)에 연통하지 않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내주벽(33)은, 전체에 걸쳐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부분을 가지지 않는다.
또한, 도 8 및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주벽(32)과 내주벽(33)과의 사이의 공극부(3c)에는,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외주벽(32)과 내주벽(33)을 두께 방향으로 연결하는 지주벽(34)이 설치되어 있다. 지주벽(34)은, 이웃하는 노치 오목부(35)끼리의 사이에서 외주벽(32)과 내주벽(33)을 연결하고, 공극부(3c)를 그립축 방향으로 복수로 구획하고 있다. 지주벽(34)의 외주벽(32)에 대한 접속 위치는, 노치 오목부(35)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영역으로 된다. 지주벽(34)을 설치하는 것에 의한 작용, 효과는,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그립감의 향상과, 외주벽(32)의 복원의 하기 쉬움과, 보강 효과이다.
제2 실시 형태에 의한 그립(2A)의 경우에는, 코어부(3A)의 표면 측의 외주벽에 복수의 노치 오목부(35)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그들 노치 오목부(35)에 대하여 손바닥의 살이 얕게 들어가기 때문에, 소프트한 그립감이 된다. 나아가 코어부(3A)의 외주벽(32)에만 노치 오목부(35)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그립 시의 압축력에 저항할 수 있고, 그립력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그립(2A)에는, 외주벽(32)에 개구가 없는 것으로부터, 전체에 걸쳐 강성을 높일 수 있고, 예를 들어 개구 부분으로부터 균열 등의 손상을 억제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제3 실시 형태)
다음으로, 제3 실시 형태에 의한 그립(2B)에 관하여, 도 10 내지 도 12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제3 실시 형태의 그립(2B)(낚싯대용 그립)은, 코어부(3B)가 외주벽(32)과 내주벽(33)을 가지고, 외주벽(32)과 내주벽(33)과의 사이에 중공이 형성된 구성이다. 외주벽(32)에는, 두께 방향으로 관통한 복수의 격자 구멍(36)(관통 구멍, 다공 형상부)이 설치되어 있다. 외주벽(32)은, 코어부(3B)의 둘레 방향 및 그립축 방향으로 연재하여 격자상으로 배열된 격자부(37)가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격자 구멍(36)은, 격자부(37)에 의하여 평면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 직사각형상의 개구가 되어 있다. 여기서, 격자부(37)는, 둘레 방향으로 연재하는 둘레 방향 측 격자벽(37A)과, 그립축 방향으로 연재하는 축 방향 측 격자벽(37B)을 가지고 있다.
격자부(37) 중 둘레 방향 측 격자벽(37A)의 하단(37a)은, 공극부(3c)를 통과하여 내주벽(33)까지 연장되어 내주벽(33)의 외주면(33a)에 접속되어 있다. 그 때문에, 본 실시 형태의 그립(2B)에서는, 코어부(3B)의 공극부(3c)가 둘레 방향 측 격자벽(37A)에 의하여 둘러싸인 영역이 된다. 한편, 축 방향 측 격자벽(37B)의 하단(37b)은, 외주벽(32)의 하단의 위치에 상당하고, 내주벽(33)에 접속되지 않고 이간(離間)한 위치가 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코어부(3B)는, 둘레 방향 측 격자벽(37A)이 외주벽(32)과 내주벽(33)을 연결하고, 공극부(3c)를 그립축 방향으로 복수로 구획하고 있다. 둘레 방향 측 격자벽(37A)이 형성되는 것으로, 외주벽(32)을 내주벽(33)과의 사이에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코어부(3B)를 잡았을 때에 그 잡은 부분의 외주벽(32)에 적도의 탄성 변형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적도의 그립감을 얻을 수 있는 것과 함께, 그립(2B)으로부터 손을 떼었을 때에 외주벽(32)의 탄성 변형이 복원하기 쉬워진다. 그 때문에, 그립력을 유지할 수 있고, 또한 그립(2B)의 외형의 형상을 장기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나아가, 둘레 방향 측 격자벽(37A)을 설치하는 것으로, 외주벽(32)과 내주벽(33)의 접속 면적이 증가하기 때문에, 코어부(3B)로서 보강되게 된다.
본 제3 실시 형태에서는, 코어부(3B)의 외주벽에 복수의 격자 구멍(36)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그들 격자 구멍(36)에 대하여 손바닥의 살이 깊게 들어가기 때문에, 확실한 그립감이 된다. 나아가 코어부(3B) 전체에 격자 구멍(36)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그립 시의 압축력에 저항할 수 있고, 그립력을 유지할 수 있다. 게다가, 코어부(3B)가 격자 구멍(36)에 의하여 격자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조립 시에 있어서 낚싯대의 심재에 그립(2B)을 감합시킬 때에 생기는 휨에 강한 형상이 된다.
이상, 본 발명에 의한 낚싯대용 그립 및 낚싯대의 실시 형태를 설명하였지만, 이들의 실시 형태는 예로서 제시한 것이고,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의도하고 있지 않다. 실시 형태는, 그 외 여러 형태로 실시되는 것이 가능하고,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의 생략, 치환, 변경을 행할 수 있다. 실시 형태나 그 변형예에는, 예를 들어 당업자가 용이하게 상정할 수 있는 것,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 균등한 범위의 것 등이 포함된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떡붕어 낚싯대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설명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떡붕어 낚싯대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일반적으로 그립을 구비한 낚싯대에 적용되는 것인 것은 말할 것도 없다.
노치 구멍(31), 노치 오목부(35), 격자 구멍(36)의 형상은, 상술한 실시 형태의 육각형상이나 사각형상인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적의한 형상으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고, 복수가 설치된 다공 형상부를 구성하고 있으면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의 다른 실시 형태로서, 코어부에 씌워지도록 당해 코어부에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낚싯대용 그립의 소정의 외형을 규정하는 피복부를 설치하고, 코어부와 피복부에 의하여 2층 구조로 형성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여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피복부도 코어부와 함께 일체화되어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낚싯대용 그립의 조립 작업의 효율화를 도모할 수 있다.
덧붙여, 코어부와 피복부로 형성되는 2층 구조의 부재는, 일체적으로 성형되어 있으면 각층이 다른 재료여도 무방하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동일한 소재에 의하여 전체를 일체 성형한 그립을 대상으로 하고 있지만, 각 부위를 다른 부재에 의하여 성형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예를 들어, 코어부(3)의 외주벽(32)과 내주벽(33)을 다른 재료로 하여도 무방하고, 코어부(3)와 뒷마개부(4)를 다른 재료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낚싯대용 그립에 있어서의 외형, 그립축 방향의 길이 치수, 직경 치수, 두께 등의 구성은, 낚싯대의 장대 기단 측의 직경 치수나 낚싯대 본체의 강도 등의 조건에 따라 적의 설정할 수 있다.
1: 낚싯대
2, 2A, 2B: 그립(낚싯대용 그립)
3, 3A, 3B: 코어부
3c: 공극부
4: 뒷마개부
11: 낚싯대 본체
31: 노치 구멍(다공 형상부)
32: 외주벽
33: 내주벽
34: 지주벽
35: 노치 오목부(다공 형상부)
36: 격자 구멍(관통 구멍, 다공 형상부)
37: 격자부
37A: 둘레 방향 측 격자벽
37B: 축 방향 측 격자벽

Claims (8)

  1. 가늘고 긴 봉상(棒狀)으로 형성된 낚싯대 본체의 후단부(後端部)에 설치되는 낚싯대용 그립에 있어서,
    소정 두께의 통상(筒狀)으로 형성되고, 상기 낚싯대 본체의 후단부의 통상으로 형성된 심재(芯材)의 외측에 감합(嵌合)하는 코어부와,
    상기 코어부의 후단 개구(開口)를 막는 뒷마개부를 가지고,
    상기 코어부와 상기 뒷마개부는,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코어부를 구성하는 주벽(周壁)에는, 그립축 방향의 전체에 걸쳐 공극부(空隙部)가 형성되어 있는, 낚싯대용 그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부의 외주면(外周面)에는, 두께 방향으로 오목한 다공 형상부가 형성된, 낚싯대용 그립.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부는, 외주벽(外周壁)과 내주벽(內周壁)을 가지고,
    상기 공극부는, 상기 외주벽과 상기 내주벽과의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다공 형상부는, 상기 외주벽의 두께 방향으로 오목한 복수의 노치(notch) 오목부인, 낚싯대용 그립.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부는, 외주벽과 내주벽을 가지고,
    상기 공극부는, 상기 외주벽과 상기 내주벽과의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다공 형상부는, 상기 외주벽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한 복수의 노치 구멍인, 낚싯대용 그립.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부는, 외주벽과 내주벽을 가지고,
    상기 공극부는, 상기 외주벽과 상기 내주벽과의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다공 형상부는, 상기 외주벽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한 복수의 관통 구멍이고,
    상기 외주벽은, 상기 코어부의 둘레 방향 및 그립축 방향으로 연재(延在)하여 격자상(格子狀)으로 배열된 격자부가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관통 구멍은, 상기 격자부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는, 낚싯대용 그립.
  6.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뒷마개부는, 상기 코어부의 외주벽과 내주벽의 각각의 후단부끼리를 접합시키고, 또한 상기 외주벽에 연속적으로 접속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낚싯대용 그립.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코어부에 씌워지도록 당해 코어부에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당해 낚싯대용 그립의 소정의 외형을 규정하는 피복부가 설치되고,
    상기 코어부와 상기 피복부에 의하여 2층 구조로 형성되어 있는, 낚싯대용 그립.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낚싯대용 그립을 상기 낚싯대 본체의 후단부에 설치한 낚싯대에 있어서,
    상기 뒷마개부를 일체적으로 설치한 통상의 상기 코어부를, 상기 낚싯대 본체의 후단부의 상기 심재의 외측에 감합시킨, 낚싯대.
KR1020200096962A 2019-10-18 2020-08-03 낚싯대용 그립 및 낚싯대 KR2021004653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191113A JP7262366B2 (ja) 2019-10-18 2019-10-18 釣竿用グリップおよび釣竿
JPJP-P-2019-191113 2019-10-1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6532A true KR20210046532A (ko) 2021-04-28

Family

ID=754456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6962A KR20210046532A (ko) 2019-10-18 2020-08-03 낚싯대용 그립 및 낚싯대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510399B2 (ko)
JP (1) JP7262366B2 (ko)
KR (1) KR20210046532A (ko)
CN (1) CN112674048B (ko)
TW (1) TWI839560B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57098A (ja) 2002-07-30 2004-02-26 Shimano Inc 釣竿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3162A (en) * 1897-11-02 Handle for cycles
US3344684A (en) * 1965-10-05 1967-10-03 Steere Entpr Inc Grip
US4108436A (en) * 1975-12-16 1978-08-22 Lamberto Masi Aired grip for tennis rackets
US4646461A (en) * 1985-10-18 1987-03-03 Mcleod William D Fishing rod with heated handle
FR2629724A1 (fr) * 1988-04-12 1989-10-13 Buand Thierry Manche de raquette, notamment a usage sportif, de preference anti sudation et anti vibration
US5397123A (en) * 1991-01-14 1995-03-14 Huang; Ben Racquet and grip
US5374059A (en) * 1991-01-14 1994-12-20 Huang; Ben Shock absorbing grip for racquets and the like
JPH0715373U (ja) * 1993-08-16 1995-03-14 株式会社壽 軸体のグリップ
JP3035446B2 (ja) * 1994-06-17 2000-04-24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釣り竿
JP4233662B2 (ja) * 1999-01-19 2009-03-04 株式会社シマノ グリップ
JP2000209985A (ja) * 1999-01-25 2000-08-02 Daiwa Seiko Inc 釣 竿
US6988958B2 (en) * 1999-12-07 2006-01-24 Harold Roelke Putter grip
US7510483B2 (en) * 2004-07-09 2009-03-31 William S. Tremulis Golf club grip
CN1164402C (zh) * 2001-02-14 2004-09-01 胡厚飞 握把
US6648535B2 (en) * 2001-02-27 2003-11-18 Daniel A. Ferrara, Jr. Cushioning element
CN2574733Y (zh) * 2002-10-10 2003-09-24 翰柏企业股份有限公司 球杆握把带
JP2005211050A (ja) * 2004-02-02 2005-08-11 Shimano Inc 釣竿
US7214141B2 (en) * 2004-10-28 2007-05-08 Eing Nan Rubber Co., Ltd. Air cushion type sleeve of a handle of a golf club
JP2008118926A (ja) * 2006-11-13 2008-05-29 Shimano Inc 釣り竿のグリップ構造
US20080113826A1 (en) * 2006-11-15 2008-05-15 Jonathan Lin Shock-absorbent golf club handle structure
JP5207545B2 (ja) * 2009-02-27 2013-06-12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釣竿
CN203329306U (zh) * 2013-07-15 2013-12-11 东莞华亚高尔夫制品有限公司 高尔夫球杆握把
JP7053239B2 (ja) * 2017-12-08 2022-04-12 株式会社シマノ 釣竿
KR101899833B1 (ko) * 2018-04-12 2018-09-18 정재철 어저귀로 제조된 낚시대 손잡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57098A (ja) 2002-07-30 2004-02-26 Shimano Inc 釣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510399B2 (en) 2022-11-29
JP7262366B2 (ja) 2023-04-21
US20210112796A1 (en) 2021-04-22
JP2021065113A (ja) 2021-04-30
TW202128008A (zh) 2021-08-01
CN112674048A (zh) 2021-04-20
TWI839560B (zh) 2024-04-21
CN112674048B (zh) 2024-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30277B2 (ja) 歯ブラシ
US20170086572A1 (en) Brush head arrangements
JP5880804B1 (ja) グロメット
USD904212S1 (en) Self-cleaning head shape
KR20210046532A (ko) 낚싯대용 그립 및 낚싯대
JP2008263841A (ja) 釣り具
KR101874674B1 (ko) 낚싯대
US2600629A (en) Fishing rod joint
US20070068363A1 (en) Practice drumstick
JP4125654B2 (ja) 釣竿
JP6425869B2 (ja) 伸縮棒の接続部
JP2004242781A (ja) 歯間歯ブラシ
JP2021099141A (ja) アクチュエータおよびアクチュエータエレメント
JP4925182B2 (ja) 伸縮式竿
JP3950020B2 (ja) 釣竿
JP4601362B2 (ja) 釣り竿
JP2011051268A (ja) 筆記具の軸筒
JP6019067B2 (ja) バット
JP4986818B2 (ja) 釣り竿
TWI612944B (zh) 耳塞裝置
JP3950017B2 (ja) 釣竿の防水構造
JP2022108977A5 (ko)
JP4822355B2 (ja) 筆記具のグリップ
JP2014222090A (ja) 継手の製造方法およびホース
JP2001061380A (ja) 竿体の嵌合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