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0666A - 반송 장치 및 정제 인쇄 장치 - Google Patents

반송 장치 및 정제 인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0666A
KR20210000666A KR1020200072142A KR20200072142A KR20210000666A KR 20210000666 A KR20210000666 A KR 20210000666A KR 1020200072142 A KR1020200072142 A KR 1020200072142A KR 20200072142 A KR20200072142 A KR 20200072142A KR 20210000666 A KR20210000666 A KR 202100006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tablet
granular material
pocket
conve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21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69127B1 (ko
Inventor
노부유키 나카노
구니토시 마츠다
신야 다니구치
다카유키 니시카와
유야 다카하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스크린 홀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스크린 홀딩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스크린 홀딩스
Publication of KR202100006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06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91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91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21Ink jet for multi-colour prin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3/00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 A61J3/007Marking tablet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7/00Printing apparatus or machines of special types or for particular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F17/36Printing apparatus or machines of special types or for particular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inting on tablets, pills, or like small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015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for treating before, during or after printing or for uniform coating or laminating the copy material before or after printing
    • B41J11/002Curing or drying the ink on the copy materials, e.g. by heating or irradi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41J3/407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for marking on special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06Separating single articles from loose masses of articles
    • B65B35/08Separating single articles from loose masses of articles using pocketed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9/00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e.g. liquids or semiliquids, in flat, folded, or tubula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Subdividing filled flexible tubes to form packages
    • B65B9/02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between opposed webs
    • B65B9/04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between opposed webs one or both webs being formed with pockets for the reception of the articles, or of the quantities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20Means incorporated in, or attached to, framework or housings for guiding load-carriers, traction elements or loads supported on moving surfaces
    • B65G21/2045Mechanical means for guiding or retaining the load on the load-carrying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84Star-shaped wheels or devices having endless travelling belts or chains, the wheels or devices being equipped with article-engaging elements
    • B65G47/846Star-shaped wheels or wheels equipped with article-engaging elements
    • B65G47/848Star-shaped wheels or wheels equipped with article-engaging elements the article-engaging elements being suction or magnetic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7Tablets, capsules, pill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Feeding Of Articles To Conveyors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Specific Conveyance Element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과제) 입상물의 반송 장치에 있어서, 입상물의 막힘이나 입상물의 균열을 억제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한다.
(해결 수단) 이 반송 장치는, 공급 기구, 제 1 드럼 (20), 제 1 압압 부재 (26), 및 제 1 탄성 부재 (27) 를 구비한다. 공급 기구는, 입상물인 복수의 정제 (9) 를, 수평한 반송 방향을 따라 공급한다. 제 1 드럼 (20) 은, 수평한 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면서, 그 상단부 부근에 있어서, 공급 기구 (10) 로부터 정제 (9) 를 수취한다. 제 1 드럼 (10) 의 외주면은, 복수의 오목상의 포켓 (23) 과, 포켓 (23) 사이에 위치하는 볼록상부 (230) 를 갖는다. 제 1 압압 부재 (26) 는, 정제 (9) 가 볼록상부 (230) 에 올라앉았을 때에, 볼록상부 (230) 와의 사이에 정제 (9) 를 끼워 유지한다. 이로써, 정제 (9) 의 둘레 방향의 위치를 조정하여, 포켓 (23) 에 정제 (9) 를 끌어들일 수 있다. 그 결과, 정제 (9) 의 막힘이나 정제 (9) 의 균열을 억제하면서, 제 1 드럼 (20) 의 각 포켓 (23) 에 정제 (9) 를 수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반송 장치 및 정제 인쇄 장치{TRANSPORTING APPARATUS AND TABLET PRIN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입상물을 반송하는 반송 장치 및 당해 반송 장치를 구비한 정제 인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의약품인 정제에는, 제품을 식별하기 위한 문자나 코드가 인쇄된다. 또, 라무네 등의 정과에도, 마크나 일러스트가 인쇄되는 경우가 있다. 종래, 이와 같은 정제·정과 등의 입상물에, 잉크젯 방식으로 화상을 인쇄하는 인쇄 장치가 알려져 있다. 특히, 최근에는, 후발 의약품의 보급에 의해, 정제의 종류가 다양화되고 있다. 이 때문에, 정제를 식별하기 쉽게 하기 위해서, 정제에 잉크젯 방식으로 선명하게 화상을 인쇄하는 기술이 주목받고 있다.
이 종류의 인쇄 장치에서는, 다수의 정제가 반입용의 호퍼에 흘려 넣어진다. 인쇄 장치는, 흘려 넣어진 복수의 정제를, 하나 하나 반송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정렬시킨다. 그리고, 정렬된 상태에서 반송되는 복수의 정제에 대해, 인쇄가 실시된다. 또, 인쇄 장치에 한정되지 않고, 정제의 검사를 실시하는 검사 장치나, 정제의 포장을 실시하는 포장 장치에 있어서도, 복수의 정제를 반송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정렬시키면서 반송하는 것이 필요하다.
복수의 정제를 반송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정렬시키면서 반송하는 기구에 대해서는,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에 기재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4-59036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5-85519호
특허문헌 1 의 구조에서는, 슈트 (22) 를 따라 공급되는 복수의 정제 (t) 가, 공급 롤러 (3) 의 복수의 절단편 (31) 에 의해 개개의 정제 (t) 로 잘라내어져, 투입 드럼 (1) 의 외주면으로 공급되고 있다 (단락 0036, 도 4 등 참조).
특허문헌 2 의 구조에서는, 슈트 (50) 내의 최하부의 정제 (9a) 가, 스토퍼 (70) 에 의해 유지되어 있다. 그리고, 드럼 (1) 의 회전에 맞춰 스토퍼 (70) 가 후퇴함으로써, 정제 (9a) 가 낙하하여, 드럼 (1) 의 리세스 (2) 로 공급되고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 2 의 구조에서는, 슈트와, 절단편 또는 스토퍼 사이에 정제가 끼임으로써, 정제의 막힘이나, 정제의 균열이 발생할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은, 정제 등의 입상물의 반송 장치에 있어서, 입상물의 막힘이나 입상물의 균열을 억제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원의 제 1 발명은, 입상물을 반송하는 반송 장치로서, 복수의 입상물을, 수평한 반송 방향을 따라 공급하는 공급 기구와, 상기 반송 방향에 대해 직교하고 또한 수평한 방향인 폭 방향과 평행한 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면서, 그 상단부 부근에 있어서, 상기 공급 기구로부터 공급되는 입상물을 수취하는 제 1 드럼과, 상기 공급 기구로부터 상기 제 1 드럼으로의 전달 위치의 부근에 배치된 제 1 압압 (押壓) 부재와, 상기 제 1 압압 부재를 상기 제 1 드럼으로 향하여 압압하는 제 1 탄성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드럼의 외주면은, 상기 축을 중심으로 하는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열된 복수의 오목상의 포켓과, 상기 포켓 사이에 위치하는 볼록상부를 갖고, 상기 제 1 압압 부재는, 입상물이 상기 볼록상부에 올라앉았을 때에, 상기 볼록상부와의 사이에 입상물을 끼워 유지하는 유지면을 갖는다.
본원의 제 2 발명은, 제 1 발명의 반송 장치로서, 상기 제 1 압압 부재는, 상기 유지면보다 상기 공급 기구측에 위치하고, 상기 공급 기구에 가까워짐에 따라 상기 제 1 드럼의 외주면으로부터 멀어지도록 경사지는 맞닿음면을 추가로 갖는다.
본원의 제 3 발명은, 제 2 발명의 반송 장치로서, 상기 유지면과 상기 맞닿음면은, 매끄러운 곡면을 개재하여 접속되어 있다.
본원의 제 4 발명은, 제 1 발명 내지 제 3 발명 중 어느 한 발명의 반송 장치로서, 상기 제 1 압압 부재보다 반송 경로의 하류측에 위치하는 제 2 압압 부재와, 상기 제 2 압압 부재를 상기 제 1 드럼으로 향하여 압압하는 제 2 탄성 부재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제 2 압압 부재는, 상기 볼록상부의 회전 방향의 전단부에 입상물의 후단부가 올라앉아 있는 경우에, 당해 입상물을 회전 방향의 전방의 포켓으로 향하여 압압하는 압압면을 갖는다.
본원의 제 5 발명은, 제 4 발명의 반송 장치로서, 상기 제 2 압압 부재는, 상기 압압면보다 반송 경로의 하류측에 위치하고, 상기 반송 경로의 하류측으로 향함에 따라 상기 제 1 드럼의 외주면에 가까워지는 가이드면을 추가로 갖는다.
본원의 제 6 발명은, 제 1 발명 내지 제 5 발명 중 어느 한 발명의 반송 장치로서, 상기 제 1 드럼은, 입상물을 흡착하는 복수의 흡착공을 갖고, 상기 흡착공은, 상기 포켓의 바닥면의, 상기 제 1 드럼의 회전 방향에 있어서의 전단부 부근에 위치한다.
본원의 제 7 발명은, 제 6 발명의 반송 장치로서, 상기 포켓은, 상기 제 1 드럼의 회전 방향에 있어서의 후단부에, 상기 포켓의 바닥면과 상기 볼록상부의 표면을 접속시키는 경사면을 갖는다.
본원의 제 8 발명은, 제 1 발명 내지 제 5 발명 중 어느 한 발명의 반송 장치로서, 상기 제 1 드럼은, 입상물을 흡착하는 복수의 흡착공을 갖고, 상기 흡착공은, 상기 포켓에 수용된 입상물의 측면에 흡착된다.
본원의 제 9 발명은, 제 6 발명의 반송 장치로서, 상기 포켓은, 상기 제 1 드럼의 회전 방향에 있어서의 전단부 및 후단부의 적어도 일방에, 상기 포켓의 바닥면과 상기 볼록상부의 표면을 접속시키는 경사면을 갖는다.
본원의 제 10 발명은, 제 1 발명 내지 제 9 발명 중 어느 한 발명의 반송 장치로서, 상기 제 1 드럼으로부터 전달되는 입상물을 외주면에 흡착 유지하면서 회전하는 제 2 드럼과, 상기 제 2 드럼으로부터 전달되는 입상물을 반송하는 컨베이어를 추가로 구비한다.
본원의 제 11 발명은, 제 10 발명의 반송 장치로서, 상기 제 2 드럼의 외주면은, 상기 제 1 드럼의 외주면보다 탄성 변형되기 쉬운 재료로 이루어진다.
본원의 제 12 발명은, 제 1 발명 내지 제 11 발명 중 어느 한 발명의 반송 장치로서, 상기 공급 기구는, 입상물의 반송 경로의 하면 또는 상면을 덮는 가이드 레일을 갖고, 상기 가이드 레일은, 입상물의 반송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홈을 갖는다.
본원의 제 13 발명은, 제 1 발명 내지 제 12 발명 중 어느 한 발명의 반송 장치로서, 상기 입상물은 정제이다.
본원의 제 14 발명은, 정제 인쇄 장치로서, 제 13 발명의 반송 장치와, 정제의 표면에 잉크젯 방식으로 화상을 인쇄하는 인쇄부를 갖는다.
본원의 제 1 발명 ∼ 제 14 발명에 의하면, 입상물이 볼록상부에 올라앉았을 때에, 제 1 압압 부재와 볼록상부 사이에 입상물을 끼워 유지함으로써, 입상물의 둘레 방향의 위치를 조정하여, 포켓에 입상물을 끌어들일 수 있다. 이로써, 입상물의 막힘이나 입상물의 균열을 억제하면서, 공급 기구로부터 제 1 드럼의 각 포켓으로 입상물을 전달할 수 있다.
특히, 본원의 제 2 발명에 의하면, 공급 기구로부터 제 1 드럼의 볼록상부 상으로 공급된 일부의 입상물을, 맞닿음면에 의해 막아, 다음의 포켓으로 떨어뜨릴 수 있다.
특히, 본원의 제 3 발명에 의하면, 입상물에 할선 등의 홈이 있는 경우라도, 유지면과 맞닿음면 사이의 경계부에 입상물이 걸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특히, 본원의 제 4 발명에 의하면, 입상물의 후단부가 볼록상부의 전단부에 올라앉아 있는 경우에, 제 2 압압 부재가, 당해 정제를 전방의 포켓으로 향하여 압압하여, 당해 정제를 포켓에 수용할 수 있다.
특히, 본원의 제 5 발명에 의하면, 포켓에 수용된 입상물이 기립하고 있는 경우에, 그 입상물의 자세를, 가이드면에 의해 교정할 수 있다.
특히, 본원의 제 6 발명에 의하면, 포켓의 전단면에 입상물의 전단부를 접촉시켜, 입상물을 위치 결정하면서, 입상물을 흡착 유지할 수 있다.
특히, 본원의 제 7 발명에 의하면, 볼록상부로부터 회전 방향의 전방에 인접하는 포켓으로, 입상물을 원활하게 끌어들일 수 있다.
특히, 본원의 제 8 발명에 의하면, 입상물이 원환상의 측면을 갖는 경우, 입상물의 당해 측면을 흡착 유지함으로써, 입상물을 반송 방향으로 위치 결정할 수 있다.
특히, 본원의 제 9 발명에 의하면, 볼록상부로부터, 회전 방향의 전방 또는 후방에 인접하는 포켓으로, 입상물을 원활하게 끌어들일 수 있다.
특히, 본원의 제 10 발명에 의하면, 제 1 드럼으로부터, 제 2 드럼을 개재함으로써 입상물의 반송의 방향을 반전시켜, 컨베이어로 입상물을 보낼 수 있다.
특히, 본원의 제 11 발명에 의하면, 제 1 드럼으로부터 제 2 드럼으로의 입상물의 전달과, 제 2 드럼으로부터 컨베이어로의 입상물의 전달을, 양호하게 실시할 수 있다.
특히, 본원의 제 12 발명에 의하면, 홈을 갖는 가이드 레일에 의해, 입상물의 자세를 유지하면서, 입상물을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공급 기구에 있어서의 입상물의 막힘이나 균열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 은, 정제 인쇄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는, 반송 컨베이어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3 은, 1 개의 헤드의 하면도이다.
도 4 는, 제어부와, 정제 인쇄 장치 내의 각 부의 접속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 는, 제 1 드럼의 부분 측면도이다.
도 6 은, 압압 기구의 측면도이다.
도 7 은, 어떤 시점에 있어서의 제 1 전달 위치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은, 다른 시점에 있어서의 제 1 전달 위치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 는, 다른 시점에 있어서의 제 1 전달 위치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 은, 다른 시점에 있어서의 제 1 전달 위치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 은, 공급 컨베이어 및 제 2 슈트의 부분 측면도이다.
도 12 는, 공급 컨베이어를, 반송 방향에 직교하는 평면으로 절단했을 때의 단면도이다.
도 13 은, 제 1 슈트를, 반송 방향에 직교하는 평면으로 절단했을 때의 단면도이다.
도 14 는, 변형예에 관련된 제 1 드럼의 부분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1. 정제 인쇄 장치의 전체 구성>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반송 장치를 포함하는 정제 인쇄 장치 (1) 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 정제 인쇄 장치 (1) 는, 입상물인 복수의 정제 (9) 를 반송하면서, 각 정제 (9) 의 표면에, 제품명, 제품 코드, 회사명, 로고 마크 등의 화상을 인쇄하는 장치이다. 정제 (9) 는, 소정 (素錠) (나정) 이어도 되고, 혹은, 당의정, 필름 코팅정 (FC 정) 등의 코팅정이어도 된다. 또, 정제 (9) 는, 하드 캡슐제 및 소프트 캡슐제를 포함하는 캡슐제여도 된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의「입상물」은, 의약품으로서의 정제에 한정되지 않고, 건강 식품으로서의 정제나, 라무네 등의 정과여도 된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정제 인쇄 장치 (1) 는, 공급 기구 (10), 제 1 드럼 (20), 제 2 드럼 (30), 반송 컨베이어 (40), 제 1 카메라 (50), 인쇄부 (60), 제 2 카메라 (70), 건조 기구 (80), 배출 기구 (90), 및 제어부 (100) 를 구비하고 있다.
공급 기구 (10) 는, 정제 인쇄 장치 (1) 에 투입된 복수의 정제 (9) 를, 제 1 드럼 (20) 으로 공급하는 기구이다. 본 실시형태의 공급 기구 (10) 는, 볼 피더 (11), 제 1 슈트 (12), 공급 컨베이어 (13), 및 제 2 슈트 (14) 를 갖는다.
볼 피더 (11) 는, 복수의 정제 (9) 를 받는 원반상의 트로프 (110) 를 갖는다. 볼 피더 (11) 는, 트로프 (110) 를 진동시킴으로써, 복수의 정제 (9) 를 이동시켜, 제 1 슈트 (12) 로 공급한다. 제 1 슈트 (12) 는, 트로프 (110) 의 배출구와 공급 컨베이어 (13) 사이에서, 원호상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 1 슈트 (12) 는, 복수의 반송로를 갖는다. 볼 피더 (11) 는, 제 1 슈트 (12) 의 각 반송로로 정제 (9) 를 공급한다. 이로써, 다수의 정제 (9) 가 복수의 열로 정렬된다. 즉, 반송 방향으로 늘어서는 정제 (9) 의 열이, 폭 방향 (반송 방향에 직교하고 또한 수평한 방향) 으로 복수 열 형성된다. 그리고, 정렬 후의 정제 (9) 가, 제 1 슈트 (12) 로부터 공급 컨베이어 (13) 로 공급된다. 또한, 도 1 에서는, 1 개의 열의 정제 (9) 만이 나타나 있다.
공급 컨베이어 (13) 는, 제 1 슈트 (12) 로부터 제 2 슈트 (14) 로, 정제 (9) 를 수평 그리고 직선상으로 반송하는 기구이다. 공급 컨베이어 (13) 는, 2 개의 풀리 (131) 와, 2 개의 풀리 (131) 사이에 걸쳐진 환상의 공급 벨트 (132) 를 갖는다. 2 개의 풀리 (131) 의 일방은, 모터 (도시 생략) 로부터 얻어지는 동력에 의해 회전한다. 이로써, 공급 벨트 (132) 가, 도 1 중의 화살표의 방향으로 회동한다. 타방의 풀리 (131) 는, 공급 벨트 (132) 의 회동에 수반하여 종동 회전한다. 또, 공급 벨트 (132) 의 상부에는, 정제 (9) 의 열의 경계를 따라 연장되는 칸막이 플레이트가 형성되어 있다. 제 1 슈트 (12) 로부터 공급되는 정제 (9) 는, 칸막이 플레이트에 의해 복수의 열로 정렬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공급 벨트 (132) 의 회동에 의해, 반송 방향의 하류측으로 반송된다.
제 2 슈트 (14) 는, 공급 컨베이어 (13) 와 제 1 드럼 (20) 사이에서, 직선상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 2 슈트 (14) 는, 복수의 반송로를 갖는다. 공급 컨베이어 (13) 로부터 공급되는 복수의 정제 (9) 는, 제 2 슈트 (14) 의 각 반송로로 공급된다. 그리고, 제 2 슈트 (14) 내의 정제 (9) 는, 공급 컨베이어 (13) 에 의해 반송되는 후속의 정제 (9) 에 밀림으로써, 반송 방향의 하류측으로 진행한다. 그리고, 제 2 슈트 (14) 의 반송 방향 하류측의 단부로부터 제 1 드럼 (20) 으로, 정제 (9) 가 공급된다.
제 1 드럼 (20) 은, 제 2 슈트 (14) 로부터 공급되는 복수의 정제 (9) 를, 반송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유지하면서 반송하는 기구이다. 제 1 드럼 (20) 은,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축 (O1) 을 중심으로 하는 대략 원통상의 외주면을 갖는다. 또, 제 1 드럼 (20) 에는, 도시를 생략한 모터가 접속되어 있다. 모터를 구동시키면, 제 1 드럼 (20) 은, 제 1 축 (O1) 을 중심으로 하여, 도 1 중의 화살표의 방향으로 회전한다. 제 1 드럼 (20) 은, 그 상단부 부근의 제 1 전달 위치 (P1) 로부터, 제 2 드럼 (30) 에 근접하는 제 2 전달 위치 (P2) 까지, 정제 (9) 를 반송한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드럼 (20) 은, 드럼 본체 (21) 와, 유지 링 (22) 을 갖는다. 유지 링 (22) 은, 드럼 본체 (21) 의 외주면에 장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복수의 유지 링 (22) 이, 정제 (9) 의 열의 각각에 대응되는 폭 방향의 위치에 배치된다. 유지 링 (22) 은, 예를 들어, 폴리아세탈 등의 수지에 의해 형성된다. 각 유지 링 (22) 의 외주면은, 복수의 오목상의 포켓 (23) 을 갖는다. 복수의 포켓 (23) 은, 제 1 축 (O1) 을 중심으로 하는 둘레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유지 링 (22) 은, 각 포켓 (23) 의 바닥부에, 정제 (9) 를 흡착하기 위한 흡착공 (24) 을 갖는다.
제 1 드럼 (20) 은, 도시를 생략한 흡인 기구와 접속되어 있다. 흡인 기구를 동작시키면, 제 1 전달 위치 (P1) 와 제 2 전달 위치 (P2) 사이의 각도 범위에 위치하는 제 1 드럼 (20) 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기체가 흡출된다. 이로써, 당해 내부 공간이, 대기압보다 낮은 부압이 된다. 제 2 슈트 (14) 로부터 공급되는 복수의 정제 (9) 는, 이 부압에 의해, 제 1 드럼 (20) 의 흡착공 (24) 에 흡착 유지된다.
제 2 슈트 (14) 로부터 공급되는 정제 (9) 는, 1 개씩 포켓 (23) 에 수용되어, 흡착공 (24) 에 흡착 유지된다. 그 결과, 복수의 정제 (9) 의 반송 방향의 간격이, 포켓 (23) 의 간격에 따른 소정의 간격이 된다. 각 정제 (9) 는, 포켓 (23) 내의 흡착공 (24) 에 흡착 유지되면서, 제 1 드럼 (20) 의 회전에 의해, 제 1 전달 위치 (P1) 로부터 제 2 전달 위치 (P2) 까지 반송된다. 그리고, 정제 (9) 가 제 2 전달 위치 (P2) 를 통과하면, 상기의 부압으로 유지된 내부 공간의 각도 범위에서 벗어남으로써, 정제 (9) 의 흡착이 해제된다. 이로써, 제 1 드럼 (20) 으로부터 제 2 드럼 (30) 으로, 정제 (9) 가 전달된다.
또한, 제 1 전달 위치 (P1) 에서는, 정제 (9) 는, 압압 기구 (25) 에 압압 됨으로써, 유지 링 (22) 의 포켓 (23) 으로 끌어들여진다. 이로써, 정제 (9) 의 막힘이나 균열을 억제하면서, 각 포켓 (23) 에 정제 (9) 를 1 개씩 수용할 수 있다. 이 압압 기구 (25) 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제 2 드럼 (30) 은, 제 1 드럼 (20) 으로부터 전달되는 정제 (9) 를, 반송 컨베이어 (40) 까지 반송하는 기구이다. 제 2 드럼 (30) 은,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축 (O2) 을 중심으로 하는 대략 원통상의 외주면을 갖는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드럼 (20) 의 외경과, 제 2 드럼 (30) 의 외경이, 대략 동일하다. 단, 제 1 드럼 (20) 의 외경과, 제 2 드럼 (30)의 외경은, 상이해도 된다. 제 2 드럼 (30) 에는, 도시를 생략 한 모터가 접속되어 있다. 모터를 구동시키면, 제 2 드럼 (30) 은, 제 2 축 (O2) 을 중심으로 하여, 제 1 드럼 (20) 과는 반대의 방향으로 회전한다. 제 2 드럼 (30) 은, 제 1 드럼 (20) 에 근접하는 제 2 전달 위치 (P2) 로부터, 반송 컨베이어 (40) 에 근접하는 제 3 전달 위치 (P3) 까지, 정제 (9) 를 반송한다. 제 3 전달 위치 (P3) 의 높이는, 제 1 전달 위치 (P1) 및 제 2 전달 위치 (P2) 의 높이보다 높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드럼 (30) 은, 드럼 본체 (31) 와, 유지 링 (32) 을 갖는다. 유지 링 (32) 은, 드럼 본체 (31) 의 외주면에 장착되어 있다. 유지 링 (32) 은, 외주면에 복수의 흡착공 (34) 을 갖는다. 또, 제 2 드럼 (30) 은, 도시를 생략한 흡인 기구와 접속되어 있다. 흡인 기구를 동작시키면, 제 2 전달 위치 (P2) 와 제 3 전달 위치 (P3) 사이의 각도 범위에 위치하는 제 2 드럼 (30) 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기체가 흡출된다. 이로써, 당해 내부 공간이, 대기압보다 낮은 부압이 된다. 제 1 드럼 (20) 으로부터 전달되는 복수의 정제 (9) 는, 이 부압에 의해, 유지 링 (32) 의 흡착공 (34) 에 흡착 유지된다.
흡착공 (34) 에 흡착 유지된 정제 (9) 는, 제 2 드럼 (30) 의 회전에 의해, 제 2 전달 위치 (P2) 로부터 제 3 전달 위치 (P3) 까지 반송된다. 그리고, 정제 (9) 가 제 3 전달 위치 (P3) 를 통과하면, 상기의 부압으로 유지된 내부 공간의 각도 범위에서 벗어남으로써, 정제 (9) 의 흡착이 해제된다. 이로써, 제 2 드럼 (30) 으로부터 반송 컨베이어 (40) 로, 정제 (9) 가 전달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공급 기구 (10) 로부터 공급되는 복수의 정제 (9) 를, 제 1 드럼 (20) 및 제 2 드럼 (30) 의 2 개의 드럼을 개재하여, 반송 컨베이어 (40) 로 반송한다. 제 1 드럼 (20) 은, 복수의 정제 (9) 를, 반송 방향으로 간격을 둔 상태로 유지한다. 제 2 드럼 (30) 은, 그 반송 방향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반송 컨베이어 (40) 로 정제 (9)를 반송한다. 그 때, 제 1 드럼 (20) 과 제 2 드럼 (30) 에서, 정제 (9) 의 반송의 방향 (회전의 방향) 이 반전한다. 이로써, 반송 컨베이어 (40) 의 동작의 방향에 맞춰, 제 2 드럼 (30) 으로부터 반송 컨베이어 (40) 로, 정제 (9) 를 보낼 수 있다.
또, 제 2 드럼 (30) 의 유지 링 (32) 은, 제 1 드럼 (20) 의 유지 링 (22) 보다, 탄성 변형되기 쉬운 재료로 이루어진다. 즉, 제 2 드럼 (30) 의 외주면은, 제 1 드럼 (20) 의 외주면보다, 탄성 변형되기 쉬운 재료로 이루어진다. 또, 제 2 드럼 (30) 의 유지 링 (32) 은, 반송 컨베이어 (40) 의 후술하는 반송 벨트 (42) 보다, 탄성 변형되기 쉬운 재료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는, 제 2 드럼 (30) 의 유지 링 (32) 은, 예를 들어, 실리콘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하면, 제 1 드럼 (20) 으로부터 제 2 드럼 (30) 으로의 정제 (9) 의 전달, 및 제 2 드럼 (30) 으로부터 반송 컨베이어 (40) 로의 전달시에, 유지 링 (32) 의 탄성력이 작용하기 때문에, 정제 (9) 의 탈락이나 균열을 억제하여, 전달의 성공률을 높일 수 있다.
반송 컨베이어 (40) 는, 제 2 드럼 (30) 으로부터 전달되는 복수의 정제 (9) 를, 흡착 유지하면서 반송하는 기구이다. 반송 컨베이어 (40) 는, 1 쌍의 풀리 (41) 와, 1 쌍의 풀리 (41) 사이에 걸쳐진 환상의 반송 벨트 (42) 를 갖는다. 1 쌍의 풀리 (41) 의 일방은, 도시를 생략한 모터로부터 얻어지는 동력에 의해 회전한다. 이로써, 반송 벨트 (42) 가, 도 1 중의 화살표의 방향으로 회동한다. 1 쌍의 풀리 (41) 의 타방은, 반송 벨트 (42) 의 회동에 수반하여 종동 회전한다.
도 2 는, 반송 컨베이어 (40) 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송 벨트 (42) 의 외주면에는, 복수의 흡착공 (421) 이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흡착공 (421) 은, 반송 방향 및 폭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배열되어 있다. 또, 반송 컨베이어 (40) 는, 반송 벨트 (42) 의 내측의 공간으로부터 기체를 흡출하는 흡인 기구 (도시 생략) 를 갖는다. 흡인 기구를 동작시키면, 반송 벨트 (42) 의 내측의 공간이, 대기압보다 낮은 부압이 된다. 복수의 정제 (9) 는, 당해 부압에 의해, 흡착공 (421) 에 1 개씩 흡착 유지된다.
이와 같이, 복수의 정제 (9) 는, 반송 벨트 (42) 의 표면에, 반송 방향 및 폭 방향으로 정렬된 상태로 유지된다. 그리고, 반송 컨베이어 (40) 는, 반송 벨트 (42) 를 회동시킴으로써, 복수의 정제 (9) 를 반송한다. 후술하는 4 개의 헤드 (61) 의 하방에서는, 복수의 정제 (9) 는, 수평 방향으로 반송된다.
또, 도 1 중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송 컨베이어 (40) 는, 블로 기구 (44) 를 갖는다. 블로 기구 (44) 는, 반송 벨트 (42) 의 내측, 그리고, 후술하는 배출 슈트 (91) 와 반송 벨트 (42) 를 개재하여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블로 기구 (44) 는, 반송 벨트 (42) 의 복수의 흡착공 (421) 중, 배출 슈트 (91) 와 대향하는 흡착공 (421) 에만 기체를 분사한다. 그러면, 당해 흡착공 (421) 이, 대기압보다 높은 양압이 된다. 이로써, 당해 흡착공 (421) 에 있어서의 정제 (9) 의 흡착이 해제되고, 반송 벨트 (42) 로부터 배출 슈트 (91) 를 통과하여 배출 컨베이어로, 정제 (9) 가 전달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공급 기구 (10), 제 1 드럼 (20), 제 2 드럼 (30), 및 반송 컨베이어 (40) 에 의해, 정제 (9) 를 반송하는 반송 장치가 구성되어 있다.
제 1 카메라 (50) 는, 인쇄 전의 정제 (9) 를 촬영하기 위한 처리부이다. 제 1 카메라 (50) 는, 상기 서술한 제 3 전달 위치 (P3) 보다 반송 경로의 하류측 그리고 인쇄부 (60) 보다 반송 경로의 상류측에 위치한다. 제 1 카메라 (50) 에는, 예를 들어, CCD 나 CMOS 등의 촬상 소자가 폭 방향으로 배열된 라인 센서가 사용된다. 제 1 카메라 (50) 는, 반송 벨트 (42) 에 의해 반송되는 복수의 정제 (9) 를 촬영한다. 촬영에 의해 취득된 화상은, 제 1 카메라 (50) 로부터 후술하는 제어부 (100) 로 송신된다. 제어부 (100) 는, 제 1 카메라 (50) 로부터 얻어진 화상에 기초하여, 각 흡착공 (421) 에 있어서의 정제 (9) 의 유무, 정제 (9) 의 위치, 및 정제 (9) 의 자세를 검출한다. 또, 제어부 (100) 는, 제 1 카메라 (50) 로부터 얻어진 화상에 기초하여, 각 정제 (9) 에 깨짐 등의 결함이 없는지의 여부의 검사도 실시한다.
인쇄부 (60) 는, 반송 벨트 (42) 에 의해 반송되는 정제 (9) 의 표면에, 잉크젯 방식으로 화상을 인쇄하는 처리부이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인쇄부 (60) 는, 4 개의 헤드 (61) 를 갖는다. 4 개의 헤드 (61) 는, 반송 벨트 (42) 의 상방에 위치하고, 정제 (9) 의 반송 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치되어 있다. 4 개의 헤드 (61) 는, 정제 (9) 를 향하여, 서로 상이한 색 (예를 들어, 시안, 마젠타, 옐로, 및 블랙의 각 색) 의 잉크 방울을 토출한다. 그러면, 이들 각 색에 의해 형성되는 단색 화상의 중첩에 의해, 정제 (9) 의 표면 또는 이면에, 다색 화상이 기록된다. 또한, 각 헤드 (61) 로부터 토출되는 잉크에는, 일본 약국방, 식품 위생법 등에서 인가된 원료에 의해 제조된 가식성 잉크가 사용된다.
도 3 은, 1 개의 헤드 (61) 의 하면도이다. 도 3 에는, 반송 벨트 (42) 와, 반송 벨트 (42) 에 유지된 복수의 정제 (9) 가, 이점 쇄선으로 나타나 있다. 도 3 중에 확대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헤드 (61) 의 하면에는, 잉크 방울을 토출 가능한 복수의 노즐 (611) 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헤드 (61) 의 하면에, 복수의 노즐 (611) 이, 반송 방향 및 폭 방향으로 이차원적으로 배열되어 있다. 각 노즐 (611) 은, 폭 방향으로 위치를 어긋나게 하여 배열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노즐 (611) 을 이차원적으로 배치하면, 각 노즐 (611) 의 폭 방향의 위치를, 서로 접근시킬 수 있다. 단, 복수의 노즐 (611) 은, 폭 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열되어 있어도 된다.
노즐 (611) 로부터의 잉크 방울의 토출 방식에는, 예를 들어, 피에조 소자에 전압을 가하여 변형시킴으로써, 노즐 (611) 내의 잉크를 가압하여 토출하는, 이른바 피에조 방식이 사용된다. 단, 잉크 방울의 토출 방식은, 히터에 통전하여 노즐 (611) 내의 잉크를 가열 팽창시킴으로써 토출하는, 이른바 서멀 방식이어도 된다.
제 2 카메라 (70) 는, 인쇄 후의 정제 (9) 를 촬영하기 위한 처리부이다. 제 2 카메라 (70) 는, 인쇄부 (60) 보다 반송 경로의 하류측 그리고 건조 기구 (80) 보다 반송 경로의 상류측에 위치한다. 제 2 카메라 (70) 에는, 예를 들어, CCD 나 CMOS 등의 촬상 소자가 폭 방향으로 배열된 라인 센서가 사용된다. 제 2 카메라 (70) 는, 반송 벨트 (42) 에 의해 반송되는 복수의 정제 (9) 를 촬영한다. 촬영에 의해 취득된 화상은, 제 2 카메라 (70) 로부터 후술하는 제어부 (100) 로 송신된다. 제어부 (100) 는, 제 2 카메라 (70) 로부터 얻어진 화상에 기초하여, 정제 (9) 에 인쇄된 화상의 양부를 검사한다.
건조 기구 (80) 는, 정제 (9) 에 부착된 잉크를 건조시키는 기구이다. 건조 기구 (80) 는, 제 2 카메라 (70) 보다 반송 경로의 하류측 그리고 후술하는 배출 슈트 (91) 보다 반송 경로의 상류측에 위치한다. 건조 기구 (80) 에는, 예를 들어, 반송 벨트 (42) 에 의해 반송되는 정제 (9) 를 향하여, 가열된 기체 (열풍) 를 분사하는, 열풍 공급 기구가 사용된다. 정제 (9) 에 부착된 잉크는, 열풍에 의해 건조되어, 정제 (9) 의 표면 또는 이면에 정착한다.
배출 기구 (90) 는, 반송 컨베이어 (40) 로부터 정제 인쇄 장치 (1) 의 외부로, 복수의 정제 (9) 를 배출하기 위한 기구이다. 배출 기구 (90) 는, 도 1 에 나타내는 배출 슈트 (91) 와, 도시를 생략한 배출 컨베이어를 갖는다. 배출 슈트 (91) 는, 건조 기구 (80) 보다 반송 경로의 하류측에 위치한다. 흡착공 (421) 에 흡착된 정제 (9) 가, 배출 슈트 (91) 에 대향하는 위치에 도달하면, 블로 기구 (44) 에 의해 정제 (9) 의 흡착이 해제된다. 이로써, 반송 벨트 (42) 의 흡착공 (421) 으로부터, 배출 슈트 (91) 를 통과하여 배출 컨베이어의 상면으로, 정제 (9) 가 낙하한다. 그리고, 낙하한 정제 (9) 가, 배출 컨베이어에 의해, 정제 인쇄 장치 (1) 의 외부로 배출된다.
제어부 (100) 는, 정제 인쇄 장치 (1) 내의 각 부를 동작 제어하기 위한 수단이다. 도 4 는, 제어부 (100) 와, 정제 인쇄 장치 (1) 내의 각 부의 접속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 중에 개념적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부 (100) 는, CPU 등의 프로세서 (101), RAM 등의 메모리 (102), 및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등의 기억부 (103) 를 갖는 컴퓨터에 의해 구성된다. 기억부 (103) 내에는, 인쇄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CP) 이 인스톨되어 있다.
또,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어부 (100) 는, 상기 서술한 볼 피더 (11), 공급 컨베이어 (13), 제 1 드럼 (20), 제 2 드럼 (30), 반송 컨베이어 (40), 제 1 카메라 (50), 인쇄부 (60), 제 2 카메라 (70), 건조 기구 (80), 및 배출 기구 (90) 와, 각각 유선 또는 무선에 의해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제어부 (100) 는, 기억부 (103) 에 기억된 컴퓨터 프로그램 (CP) 이나 데이터를 메모리 (102) 에 일시적으로 판독 출력하고, 당해 컴퓨터 프로그램 (CP) 에 기초하여, 프로세서 (101) 가 연산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상기의 각 부를 동작 제어한다. 이로써, 복수의 정제 (9) 의 반송과, 각 정제 (9) 에 대한 인쇄 처리가 진행된다.
<2. 제 1 드럼의 외주면 형상에 대해>
계속해서, 제 1 드럼 (20) 의 외주면의 상세한 형상에 대해 설명한다. 도 5 는, 제 1 드럼 (20) 의 부분 측면도이다.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드럼 (20) 의 유지 링 (22) 은, 복수의 포켓 (23) 과, 복수의 볼록상부 (230) 를 갖는다. 복수의 포켓 (23) 은, 유지 링 (22) 의 외주면에 있어서, 둘레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볼록상부 (230) 는, 이웃하는 포켓 (23) 사이에 위치한다. 포켓 (23) 의 둘레 방향의 길이는, 반송 대상이 되는 정제 (9) 의 1 개분보다 크고, 또한, 2 개분보다 작다. 따라서, 1 개의 포켓 (23) 에는, 1 개의 정제 (9) 만을 수용할 수 있다.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포켓 (23) 은, 바닥면 (231) 과, 전단면 (232) 과, 후부 경사면 (233) 을 갖는다. 바닥면 (231) 은, 포켓 (23) 의 바닥부를 구성하는 면이다. 바닥면 (231) 은, 제 1 드럼 (20) 의 회전 방향을 따라, 대략 평면상으로 확대된다. 전단면 (232) 은, 포켓 (23) 의 전단부 (반송 방향 하류측의 단부) 에 위치한다. 전단면 (232) 은, 제 1 축 (O1) 을 중심으로 하는 둘레 방향에 대해, 대략 수직으로 확대된다. 후부 경사면 (233) 은, 포켓 (23) 의 후단부 (반송 방향 상류측의 단부) 에 위치한다. 후부 경사면 (233) 은, 바닥면 (231) 과, 후방의 볼록상부 (230) 의 외표면을 접속시키는 경사면이다. 후부 경사면 (233) 은, 제 2 슈트 (14) 로부터 공급되는 정제 (9) 를, 포켓 (23) 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완수한다.
제 1 드럼 (20) 의 각 흡착공 (24) 은, 포켓 (23) 의 바닥면 (231) 의, 제 1 드럼 (20) 의 회전 방향에 있어서의 전단부 부근에 위치한다. 이와 같이 하면, 포켓 (23) 의 전단면 (232) 에 정제 (9) 의 전단부를 접촉시켜, 정제 (9) 를 위치 결정하면서, 정제 (9) 를 흡착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정제 (9) 를, 반송 방향으로, 양호한 정밀도로 일정한 간격으로 정렬시킬 수 있다.
<3. 압압 기구에 대해>
이 정제 인쇄 장치 (1) 는, 제 2 슈트 (14) 와 제 1 드럼 (20) 사이에, 압압 기구 (25) 를 갖는다. 압압 기구 (25) 는, 정제 (9) 의 열마다 형성되어 있다. 각 압압 기구 (25) 는, 제 1 전달 위치 (P1) 에 있어서, 제 2 슈트 (14) 로부터 공급되는 정제 (9) 를, 제 1 드럼 (20) 으로 향하여 압압한다. 이로써, 제 1 드럼 (20) 의 복수의 포켓 (23) 에, 정제 (9) 가 1 개씩 수용된다.
도 6 은, 압압 기구 (25) 의 측면도이다.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압 기구 (25) 는, 제 1 압압 부재 (26), 제 1 탄성 부재 (27), 제 2 압압 부재 (28), 및 제 2 탄성 부재 (29) 를 갖는다.
제 1 압압 부재 (26) 는,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회동축 (A1) 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제 1 압압 부재 (26) 의 선단부는, 제 2 슈트 (14) 의 반송 방향 하류측의 단부와, 제 1 드럼 (20) 의 외주면 사이에 위치한다. 제 1 압압 부재 (26) 는, 예를 들어, 폴리아세탈 등의 수지에 의해 형성된다.
제 1 탄성 부재 (27) 는, 제 1 압압 부재 (26) 를 제 1 드럼 (20) 으로 향하여 압압하기 위한 부재이다. 제 1 탄성 부재 (27) 에는, 예를 들어, 코일 스프링이 사용된다. 제 1 탄성 부재 (27) 의 하단부는, 제 1 압압 부재 (26) 에 접속되어 있다. 제 1 탄성 부재 (27) 의 상단부는, 위치가 고정된 프레임에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제 1 압압 부재 (26) 의 선단부가 상방으로 변위하면, 제 1 탄성 부재 (27) 의 수축에 의해, 제 1 압압 부재 (26) 의 선단부에, 하향의 압압력이 발생한다. 또한, 제 1 탄성 부재 (27) 는, 코일 스프링 이외의 탄성 부재 (예를 들어, 토션 스프링이나 판 스프링 등) 여도 된다.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압압 부재 (26) 의 선단부는, 유지면 (261) 과 맞닿음면 (262) 을 갖는다. 유지면 (261) 은, 제 1 압압 부재 (26) 의 선단부의 하면이다. 유지면 (261) 과, 제 1 드럼 (20) 의 외주면은, 상하 방향으로 대향한다. 제 1 압압 부재 (26) 의 선단부가 상방으로 변위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 유지면 (261) 과 볼록상부 (230) 사이의 상하 방향의 간격은, 반송 대상이 되는 정제 (9) 의 두께보다 작다.
맞닿음면 (262) 은, 유지면 (261) 보다 반송 경로의 상류측 (제 2 슈트 (14) 측) 에 위치한다. 맞닿음면 (262) 은, 유지면 (261) 의 상류측의 단부로부터, 대각선 상방으로 향하여 확대된다. 구체적으로는, 맞닿음면 (262) 은, 제 2 슈트 (14) 에 가까워짐에 따라, 제 1 드럼 (20) 의 외주면으로부터 서서히 멀어지도록 경사진다. 단, 제 1 축 (O1) 을 중심으로 하는 둘레 방향에 대한 맞닿음면 (262) 의 경사 각도는, 포켓 (23) 의 후부 경사면 (233) 의 경사 각도보다 작다. 맞닿음면 (262) 의 상류측의 단부는, 제 2 슈트 (14) 의 하류측의 단부에 근접한다. 유지면 (261) 과 맞닿음면 (262) 은, 매끄러운 곡면을 개재하여 접속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정제 (9) 에 할선 등의 홈이 있는 경우라도, 유지면 (261) 과 맞닿음면 (262) 의 경계부에 정제 (9) 가 걸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 2 압압 부재 (28) 는, 제 1 압압 부재 (26) 보다 반송 경로의 하류측에 위치한다. 제 2 압압 부재 (28) 는,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회동축 (A2) 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제 2 압압 부재 (28) 의 선단부는, 제 1 압압 부재 (26) 의 선단부의 하류측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된다. 제 2 압압 부재 (28) 는, 예를 들어, 폴리아세탈 등의 수지에 의해 형성된다.
제 2 탄성 부재 (29) 는, 제 2 압압 부재 (28) 를 제 1 드럼 (20) 으로 향하여 압압하기 위한 부재이다. 제 2 탄성 부재 (29) 에는, 예를 들어, 코일 스프링이 사용된다. 제 2 탄성 부재 (29) 의 하단부는, 제 2 압압 부재 (28) 에 접속되어 있다. 제 2 탄성 부재 (29) 의 상단부는, 위치가 고정된 프레임에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제 2 압압 부재 (28) 의 선단부가 상방으로 변위하면, 제 2 탄성 부재 (29) 의 수축에 의해, 제 2 압압 부재 (28) 의 선단부에, 하향의 압압력이 발생한다. 또한, 제 2 탄성 부재 (29) 는, 코일 스프링 이외의 탄성 부재 (예를 들어, 토션 스프링이나 판 스프링 등) 여도 된다.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압압 부재 (28) 의 선단부는, 하방으로 향하여 돌출되는 압압 돌기 (281) 를 갖는다. 그리고, 압압 돌기 (281) 는, 하단부에 압압면 (282) 을 갖는다. 압압면 (282) 은, 제 1 압압 부재 (26) 의 유지면 (261) 의 하류측에 근접한 위치에 배치된다. 제 2 압압 부재 (28) 의 선단부가 상방으로 변위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 압압면 (282) 과 볼록상부 (230) 사이의 상하 방향의 간격은, 반송 대상이 되는 정제 (9) 의 두께보다 작다.
또,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압압 부재 (28) 는, 가이드면 (283) 을 갖는다. 가이드면 (283) 은, 압압 돌기 (281) 보다, 반송 경로의 하류측에 위치한다. 또, 가이드면 (283) 은, 반송 경로의 하류측으로 향함에 따라, 서서히 제 1 드럼 (20) 의 외주면에 가까워지도록 경사진다. 가이드면 (283) 의 하류측의 단부는, 제 2 회동축 (A2) 의 근방에 위치한다.
도 7 은, 복수의 정제 (9) 를 연속적으로 반송하고 있을 때의, 어떤 시점에 있어서의 제 1 전달 위치 (P1) 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슈트 (14) 로부터 공급되는 복수의 정제 (9) 중, 일부의 정제 (9) 는, 직접 포켓 (23) 에 수용되지 않고, 볼록상부 (230) 위에 공급되는 경우가 있다. 이 때, 당해 정제 (9) 는, 제 1 압압 부재 (26) 의 맞닿음면 (262) 에 맞닿는다. 이로써, 제 1 드럼 (20) 의 다음의 포켓 (23) 이 제 1 전달 위치 (P1) 로 도달할 때까지, 정제 (9) 가 막힌다. 그리고, 제 1 드럼 (20) 의 회전에 의해, 다음의 포켓 (23) 이 제 1 전달 위치 (P1) 로 도달하면, 막혀 있던 정제 (9) 가, 포켓 (23) 으로 낙하한다. 이로써, 정제 (9) 를 포켓 (23) 에 정상적으로 수용할 수 있다.
도 8 은, 다른 시점에 있어서의 제 1 전달 위치 (P1) 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제 1 탄성 부재 (27) 에 의한 제 1 압압 부재 (26) 의 압압력은, 정제 (9) 를 파손시키지 않을 정도의 힘으로 설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도 8 과 같이, 정제 (9) 에 밀려, 제 1 압압 부재 (26) 가 상방으로 변위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정제 (9) 는, 제 1 압압 부재 (26) 의 유지면 (261) 과, 제 1 드럼 (20) 의 볼록상부 (230) 사이에 끼워진다. 즉, 제 1 탄성 부재 (27) 에 의한 제 1 압압 부재 (26) 의 압압력에 의해, 제 1 압압 부재 (26) 의 유지면 (261) 과 볼록상부 (230) 사이에, 정제 (9) 가 유지된다. 이로써, 정제 (9) 는, 반송 경로의 당해 위치에 있어서, 하류측으로 이동하지 않고 정지한다. 그리고, 제 1 드럼 (20) 의 회전에 의해, 다음의 포켓 (23) 이 제 1 전달 위치 (P1) 로 도달하면, 정지되어 있던 정제 (9) 가, 포켓 (23) 으로 낙하한다. 이로써, 정제 (9) 를 포켓 (23) 에 정상적으로 수용할 수 있다.
도 9 는, 다른 시점에 있어서의 제 1 전달 위치 (P1) 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정제 (9) 의 전단부 (하류측의 단부) 가 포켓 (23) 에 수용되고, 정제 (9) 의 후단부 (상류측의 단부) 가 볼록상부 (230) 의 전단부에 올라앉아 있는 경우, 당해 정제 (9)는, 그 자세인 채로, 제 1 압압 부재 (26) 를 밀어 올려, 제 2 압압 부재 (28) 의 하방까지 반송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제 2 압압 부재 (28)의 압압 돌기 (281) 는, 정제 (9) 에 밀림으로서, 일단 상방으로 변위한다. 그리고, 정제 (9) 의 후단이 압압 돌기 (281) 에 도달하면, 제 2 탄성 부재 (29) 의 탄성력에 의해, 압압 돌기 (281) 가 다시 강하한다. 그러면, 정제 (9) 는, 압압 돌기 (281) 의 압압면 (282) 에 압압되어, 도 9 중의 파선 화살표와 같이, 전방 (반송 방향 하류측) 의 포켓 (23) 에 밀어 넣어진다. 그 때, 정제 (9) 는, 포켓 (23) 의 후부 경사면 (233) 을 따라, 포켓 (23) 내로 원활하게 이동한다. 이로써, 정제 (9) 를 포켓 (23) 에 정상적으로 수용할 수 있다.
도 10 은, 다른 시점에 있어서의 제 1 전달 위치 (P1) 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일부의 정제 (9) 는, 포켓 (23) 내에 있어서, 정상적이지 않은 자세로 유지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일부의 정제 (9) 는, 도 10 과 같이, 기립한 자세로 흡착공 (24) 에 흡착 유지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정제 (9) 는, 제 1 드럼 (20) 의 회전에 의해 하류측으로 반송됨에 따라, 서서히 접근하는 가이드면 (283) 에 의해, 정상적인 자세로 교정된다. 그 결과, 정제 (9) 를 포켓 (23) 에 정상적인 자세로 수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이 정제 인쇄 장치 (1) 에서는, 제 2 슈트 (14) 로부터 제 1 드럼 (20) 의 포켓 (23) 으로, 정제 (9) 가 직접적으로 들어가지 않은 경우라도, 압압 기구 (25) 에 의해, 제 1 드럼 (20) 의 외주면에 있어서의 정제 (9) 의 둘레 방향의 위치를 조정하여, 포켓 (23) 에 정제 (9) 를 끌어들일 수 있다. 이로써, 정제 (9) 의 막힘이나 정제 (9) 의 균열을 억제하면서, 제 1 드럼 (20) 의 각 포켓 (23) 에, 정제 (9) 를 정상적으로 수용할 수 있다.
<4. 공급 기구에 대해>
도 11 은, 공급 컨베이어 (13) 및 제 2 슈트 (14) 의 부분 측면도이다. 도 1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2 슈트 (14) 의 정제 (9) 를 재치하는 상면이, 공급 컨베이어 (13) 의 공급 벨트 (132) 의 상면보다, 약간 낮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단, 공급 벨트 (132) 의 상면과 제 2 슈트 (14) 의 상면의 높이의 차는, 반송 대상이 되는 정제 (9) 의 높이보다 작다. 이와 같이, 공급 벨트 (132) 의 상면보다 제 2 슈트 (14) 의 상면을 약간 낮게 하면, 공급 벨트 (132) 로부터 제 2 슈트 (14) 로 정제 (9) 가 이동할 때에, 정제 (9) 의 막힘이 잘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정제 (9) 를 원활하게 반송할 수 있다.
도 12 는, 공급 컨베이어 (13) 를, 반송 방향에 직교하는 평면으로 절단했을 때의 단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공급 기구 (10) 는, 공급 컨베이어 (13) 및 제 2 슈트 (14) 의 상방에, 가이드 레일 (15) 을 갖는다. 가이드 레일 (15) 은, 공급 컨베이어 (13) 및 제 2 슈트 (14) 에 의한 정제 (9) 의 반송 경로의 상면을 덮는다. 가이드 레일 (15) 의 하면은, 상방으로 향하여 패이는 홈 (151) 을 갖는다. 홈 (151) 은, 정제 (9) 의 반송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정제 (9) 는, 정상적인 자세로 반송되고 있을 때에는, 가이드 레일 (15) 에 접촉하지 않는다. 그러나, 정제 (9) 의 자세가 기울면, 정제 (9) 의 일부분이 가이드 레일 (15) 의 홈 (151) 의 가장자리에 접촉한다. 이로써, 정제 (9) 의 자세가 과도하게 경사지는 것이 억제된다.
복수의 정제 (9) 를 연속적으로 반송하면, 일부의 정제 (9) 의 자세가 기욺으로써, 정제 (9) 의 막힘 (브릿지) 이 발생하여, 후속의 정제 (9) 의 반송이 정체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가이드 레일 (15) 을 형성함으로써, 정제 (9) 의 자세가 과도하게 경사지는 것을 억제하면서, 복수의 정제 (9) 를 반송할 수 있다. 따라서, 공급 컨베이어 (13) 및 제 2 슈트 (14) 의 각각에 있어서, 정제 (9) 의 막힘이나 균열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정제 (9) 의 반송 경로의 하면측에, 가이드 레일 (15) 을 설치해도 된다. 그 경우, 가이드 레일 (15) 의 상면에, 하방으로 향하여 패이고, 또한 정제 (9) 의 반송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홈이 형성되어 있으면 된다.
도 13 은, 제 1 슈트 (12) 를, 반송 방향에 직교하는 평면으로 절단했을 때의 단면도이다. 도 1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공급 기구 (10) 는, 제 1 슈트 (12) 의 상방에도, 가이드 레일 (16) 을 갖는다. 도 13 의 가이드 레일 (16) 의 레일 본체 (161) 는, 정제 (9) 의 반송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사각기둥상이다. 단, 가이드 레일 (16) 의 레일 본체 (161) 는, 상기 서술한 공급 컨베이어 (13) 및 제 2 슈트 (14) 의 가이드 레일 (15) 과 동일한 형상이어도 된다.
제 1 슈트 (12) 의 가이드 레일 (16) 은, 레일 본체 (161) 와, 레일 본체 (161) 로부터 연장되는 아암부 (162) 와, 아암부 (162) 의 상단에 고정된 블록부 (163) 를 갖는다. 아암부 (162) 에는, 나사 (17) 를 통과시키기 위한 관통공 (162a) 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공 (162a) 은, 그 상하 방향의 길이가 나사 (17) 의 축보다 긴 장공이다. 한편, 제 1 슈트 (12) 는, 각 반송 경로 사이의 위치로부터 상방으로 향하여 연장되는 기둥상부 (121) 를 갖는다. 기둥상부 (121) 에는, 나사 (17) 를 통과시키기 위한 관통공 (121a) 이 형성되어 있다.
제 1 슈트 (12) 의 상부에 가이드 레일 (16) 을 설치할 때에는, 기둥상부 (121) 의 상단면에, 도 13 에 이점 쇄선으로 나타낸 스페이서 (18) 를 배치하고, 그 스페이서 (18) 의 상부에 블록부 (163) 를 배치한다. 그리고, 아암부 (162) 의 관통공 (162a) 과, 기둥상부 (121) 의 관통공 (121a) 에 나사 (17) 를 삽입하고, 나사 (17) 의 선단에 너트를 체결한다. 이로써, 가이드 레일 (16) 의 레일 본체 (161) 를, 양호한 정밀도로 소정의 높이에 설치할 수 있다. 또, 반송 대상인 정제 (9) 의 종류가 변경된 경우에는, 상이한 높이의 스페이서 (18) 를 사용 함으로써, 레일 본체 (161) 의 높이를 변경할 수 있다. 정제 (9) 의 종류가 변경된 경우에는, 이들 각 부는, 일단 분해하여 세정해야 한다. 이 세정 후의 조립 작업시에, 스페이서 (18) 를 사용하여, 가이드 레일 (16) 의 높이를 변경하면 된다.
또한, 공급 컨베이어 (13) 및 제 2 슈트 (14) 의 상부의 가이드 레일 (15) 도, 마찬가지로, 스페이서 (18) 를 사용하여, 그 높이를 변경할 수 있는 구조로 해도 된다.
<5. 변형예>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5-1. 흡착공에 대해>
도 14 는, 일 변형예에 관련된 제 1 드럼 (20) 의 부분 측면도이다. 상기의 실시형태에서는, 유지 링 (22) 에 형성된 포켓 (23) 의 바닥면 (231) 에, 흡착공 (24) 이 형성되어 있었다. 이에 반해, 도 14 의 유지 링 (22) 은, 포켓 (23) 과 폭 방향으로 인접하는 벽부 (221) 를 갖는다. 그리고, 벽부 (221) 에 흡착공 (24) 이 형성되어 있다. 흡착공 (24) 은, 포켓 (23) 측으로 향하여, 폭 방향으로 개구된다. 이 예에서는, 흡착공 (24) 이, 포켓 (23) 에 수용된 정제 (9) 의 측면을 흡착함으로써, 정제 (9) 를 유지한다.
정제 (9) 의 측면이 원환상인 경우, 정제 (9) 의 측면이 흡착공 (24) 에 흡착됨으로써, 흡착공 (24) 에 대해 정제 (9) 를, 일정한 위치에 위치 결정하면서,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실시형태와 같이, 포켓 (23) 의 전단면에 정제 (9) 의 전단부를 접촉시켜, 정제 (9) 를 위치 결정할 필요가 없다. 이 때문에, 도 14 와 같이, 포켓 (23) 의 전단부에, 전부 경사면 (234) 을 형성할 수도 있다.
<5-2. 다른 변형예>
제 1 압압 부재, 제 2 압압 부재, 가이드 레일 등의 각 부재의 형상은, 본원의 각 도면에 나타낸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각 부재의 형상은,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히 변경해도 된다.
또, 상기의 실시형태에서는, 인쇄부 (60) 에, 4 개의 헤드 (61) 가 형성되어 있었다. 그러나, 인쇄부 (60) 에 포함되는 헤드 (61) 의 수는, 1 ∼ 3 개여도 되고, 5 개 이상이어도 된다.
또, 상기의 실시형태에서는, 정제 (9) 에 대해 화상을 인쇄하는 정제 인쇄 장치 (1) 에 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반송 장치는, 정제 (9) 에 대해 검사를 실시하는 검사 장치나, 정제 (9) 의 포장을 실시하는 포장 장치에 사용되는 것이어도 된다.
또, 상기의 실시형태나 변형예에 등장한 각 요소를, 모순이 발생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히 조합해도 된다.
<6. 다른 관점의 발명>
또한, 각 포켓의 바닥면의 전단부 부근에 흡착공이 위치하는 점에 주목하면,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발명을, 상기의 실시형태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
「입상물을 반송하는 반송 장치로서,
수평한 폭 방향과 평행한 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는 제 1 드럼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드럼의 외주면은,
상기 축을 중심으로 하는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열된 복수의 오목상의 포켓과,
입상물을 흡착하는 복수의 흡착공을 갖고,
상기 흡착공은, 상기 포켓의 바닥면의, 상기 제 1 드럼의 회전 방향에 있어서의 전단부 부근에 위치하는, 반송 장치.」
이 발명에 의하면, 포켓의 전단면에 입상물의 전단부를 접촉시켜, 입상물을 위치 결정하면서, 입상물을 흡착 유지할 수 있다. 이로써, 입상물의 막힘이나 입상물의 깨짐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이 발명에, 상기의 실시형태나 변형예에 등장한 각 요소를, 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공급 기구로부터 제 1 드럼 및 제 2 드럼을 개재하여 반송 컨베이어로 정제를 반송하는 점에 주목하면,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발명을, 상기의 실시형태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
「입상물을 반송하는 반송 장치로서,
복수의 입상물을, 수평한 반송 방향을 따라 공급하는 공급 기구와,
상기 반송 방향에 대해 직교하고 또한 수평한 방향인 폭 방향과 평행한 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면서, 그 상단부 부근에 있어서, 상기 공급 기구로부터 공급되는 입상물을 수취하는 제 1 드럼과,
상기 제 1 드럼으로부터 전달되는 입상물을 외주면에 흡착 유지하면서 회전하는 제 2 드럼과,
상기 제 2 드럼으로부터 전달되는 입상물을 반송하는 컨베이어를 구비하는, 반송 장치.」
이 발명에 의하면, 제 1 드럼으로부터, 제 2 드럼을 개재함으로써 입상물의 반송의 방향을 반전시켜, 컨베이어로 입상물을 보낼 수 있다. 이로써, 입상물의 전달을 원활하게 실시할 수 있다. 그 결과, 입상물의 막힘이나 입상물의 깨짐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이 발명에, 상기의 실시형태나 변형예에 등장한 각 요소를, 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공급 기구의 가이드 레일에 주목하면,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발명을, 상기의 실시형태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
「입상물을 반송하는 반송 장치로서,
복수의 입상물을, 수평한 반송 경로를 따라 공급하는 공급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공급 기구는,
상기 반송 경로의 하면 또는 상면을 덮는 가이드 레일을 갖고,
상기 가이드 레일은, 입상물의 반송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홈을 갖는, 반송 장치.」
이 발명에 의하면, 홈을 갖는 가이드 레일에 의해, 입상물의 자세를 유지하면서, 입상물을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공급 기구에 있어서의 입상물의 막힘이나 균열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이 발명에, 상기의 실시형태나 변형예에 등장한 각 요소를, 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1 : 정제 인쇄 장치
9 : 정제
10 : 공급 기구
11 : 볼 피더
12 : 제 1 슈트
13 : 공급 컨베이어
14 : 제 2 슈트
15 : 가이드 레일
16 : 가이드 레일
17 : 나사
18 : 스페이서
20 : 제 1 드럼
21 : 드럼 본체
22 : 유지 링
23 : 포켓
24 : 흡착공
25 : 압압 기구
26 : 제 1 압압 부재
27 : 제 1 탄성 부재
28 : 제 2 압압 부재
29 : 제 2 탄성 부재
30 : 제 2 드럼
31 : 드럼 본체
32 : 유지 링
40 : 반송 컨베이어
50 : 제 1 카메라
60 : 인쇄부
70 : 제 2 카메라
80 : 건조 기구
90 : 배출 기구
100 : 제어부
151 : 홈
230 : 볼록상부
231 : 바닥면
232 : 전단면
233 : 후부 경사면
234 : 전부 경사면
261 : 유지면
262 : 맞닿음면
281 : 압압 돌기
282 : 압압면
283 : 가이드면

Claims (14)

  1. 입상물을 반송하는 반송 장치로서,
    복수의 입상물을, 수평한 반송 방향을 따라 공급하는 공급 기구와,
    상기 반송 방향에 대해 직교하고 또한 수평한 방향인 폭 방향과 평행한 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면서, 그 상단부 부근에 있어서, 상기 공급 기구로부터 공급되는 입상물을 수취하는 제 1 드럼과,
    상기 공급 기구로부터 상기 제 1 드럼으로의 전달 위치의 부근에 배치된 제 1 압압 부재와,
    상기 제 1 압압 부재를 상기 제 1 드럼으로 향하여 압압하는 제 1 탄성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드럼의 외주면은,
    상기 축을 중심으로 하는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열된 복수의 오목상의 포켓과,
    상기 포켓 사이에 위치하는 볼록상부를 갖고,
    상기 제 1 압압 부재는,
    입상물이 상기 볼록상부에 올라앉았을 때에, 상기 볼록상부와의 사이에 입상물을 끼워 유지하는 유지면을 갖는, 반송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압압 부재는,
    상기 유지면보다 상기 공급 기구측에 위치하고, 상기 공급 기구에 가까워짐에 따라 상기 제 1 드럼의 외주면으로부터 멀어지도록 경사지는 맞닿음면을 추가로 갖는, 반송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면과 상기 맞닿음면은, 매끄러운 곡면을 개재하여 접속되어 있는, 반송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압압 부재보다 반송 경로의 하류측에 위치하는 제 2 압압 부재와,
    상기 제 2 압압 부재를 상기 제 1 드럼으로 향하여 압압하는 제 2 탄성 부재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제 2 압압 부재는,
    상기 볼록상부의 회전 방향의 전단부에 입상물의 후단부가 올라앉아 있는 경우에, 당해 입상물을 회전 방향의 전방의 포켓으로 향하여 압압하는 압압면을 갖는, 반송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압압 부재는,
    상기 압압면보다 반송 경로의 하류측에 위치하고, 상기 반송 경로의 하류측으로 향함에 따라 상기 제 1 드럼의 외주면에 가까워지는 가이드면을 추가로 갖는, 반송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드럼은,
    입상물을 흡착하는 복수의 흡착공을 갖고,
    상기 흡착공은, 상기 포켓의 바닥면의, 상기 제 1 드럼의 회전 방향에 있어서의 전단부 부근에 위치하는, 반송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포켓은,
    상기 제 1 드럼의 회전 방향에 있어서의 후단부에, 상기 포켓의 바닥면과 상기 볼록상부의 표면을 접속시키는 경사면을 갖는, 반송 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드럼은,
    입상물을 흡착하는 복수의 흡착공을 갖고,
    상기 흡착공은, 상기 포켓에 수용된 입상물의 측면에 흡착되는, 반송 장치.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포켓은,
    상기 제 1 드럼의 회전 방향에 있어서의 전단부 및 후단부의 적어도 일방에, 상기 포켓의 바닥면과 상기 볼록상부의 표면을 접속시키는 경사면을 갖는, 반송 장치.
  10.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드럼으로부터 전달되는 입상물을 외주면에 흡착 유지하면서 회전하는 제 2 드럼과,
    상기 제 2 드럼으로부터 전달되는 입상물을 반송하는 컨베이어를 추가로 구비하는, 반송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드럼의 외주면은, 상기 제 1 드럼의 외주면보다 탄성 변형되기 쉬운 재료로 이루어지는, 반송 장치.
  12.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기구는,
    입상물의 반송 경로의 하면 또는 상면을 덮는 가이드 레일을 갖고,
    상기 가이드 레일은, 입상물의 반송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홈을 갖는, 반송 장치.
  13.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상물은 정제인, 반송 장치.
  14. 제 13 항에 기재된 반송 장치와,
    정제의 표면에 잉크젯 방식으로 화상을 인쇄하는 인쇄부를 갖는, 정제 인쇄 장치.
KR1020200072142A 2019-06-25 2020-06-15 반송 장치 및 정제 인쇄 장치 KR1024691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117703A JP7220628B2 (ja) 2019-06-25 2019-06-25 搬送装置および錠剤印刷装置
JPJP-P-2019-117703 2019-06-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0666A true KR20210000666A (ko) 2021-01-05
KR102469127B1 KR102469127B1 (ko) 2022-11-18

Family

ID=73851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2142A KR102469127B1 (ko) 2019-06-25 2020-06-15 반송 장치 및 정제 인쇄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7220628B2 (ko)
KR (1) KR102469127B1 (ko)
CN (1) CN112123946B (ko)
TW (1) TWI73260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06929B2 (ja) * 2019-09-13 2023-07-11 株式会社Screenホールディングス 搬送処理装置および搬送処理方法
CN113084056B (zh) * 2021-04-08 2023-03-31 嘉兴市旺益机械有限公司 双头螺杆的滚丝装置
JP2023170225A (ja) 2022-05-18 2023-12-01 株式会社Screenホールディングス 錠剤供給装置および錠剤供給方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85519A (ja) 1991-09-26 1993-04-06 Shionogi & Co Ltd 薬剤のptp包装装置
JP2000084050A (ja) * 1998-09-10 2000-03-28 Sankyo:Kk ゼラチンカプセルの製造方法並びにその製造装置
JP2004059036A (ja) 2002-07-26 2004-02-26 Shionogi Qualicaps Co Ltd 搬送ドラムへの被搬送物の供給装置、及び被搬送物の供給方法
WO2005011563A1 (ja) * 2003-07-31 2005-02-10 Yuyama Mfg. Co., Ltd. 薬剤払出し装置及び薬剤充填装置
KR20070001122A (ko) * 2004-01-30 2007-01-03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정제수납취출장치
JP2019080987A (ja) * 2018-08-29 2019-05-30 株式会社Screenホールディングス 錠剤印刷装置
KR20190067232A (ko) * 2016-11-18 2019-06-14 가부시키가이샤 스크린 홀딩스 반송 장치 및 인쇄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32028A (en) * 1984-11-20 1986-12-30 Ackley E Michael Apparatus for orienting and printing capsules
US5979309A (en) * 1998-12-14 1999-11-09 R. W. Hartnett Company Pellet inverting device
AU2009318917A1 (en) * 2008-11-20 2010-05-27 Capsugel Belgium Nv Apparatus for handling capsules and capsule processing equipment including such an apparatus
JP6198706B2 (ja) * 2014-11-05 2017-09-20 Ckd株式会社 充填装置及びptp包装機
JP6116719B2 (ja) * 2015-08-19 2017-04-19 フロイント産業株式会社 錠剤印刷装置
JP2018052664A (ja) * 2016-09-27 2018-04-05 株式会社Screenホールディングス 搬送装置および印刷装置
JP2018083701A (ja) * 2016-11-25 2018-05-31 株式会社Screenホールディングス 搬送装置および印刷装置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85519A (ja) 1991-09-26 1993-04-06 Shionogi & Co Ltd 薬剤のptp包装装置
JP2000084050A (ja) * 1998-09-10 2000-03-28 Sankyo:Kk ゼラチンカプセルの製造方法並びにその製造装置
JP2004059036A (ja) 2002-07-26 2004-02-26 Shionogi Qualicaps Co Ltd 搬送ドラムへの被搬送物の供給装置、及び被搬送物の供給方法
WO2005011563A1 (ja) * 2003-07-31 2005-02-10 Yuyama Mfg. Co., Ltd. 薬剤払出し装置及び薬剤充填装置
KR20070001122A (ko) * 2004-01-30 2007-01-03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정제수납취출장치
KR20190067232A (ko) * 2016-11-18 2019-06-14 가부시키가이샤 스크린 홀딩스 반송 장치 및 인쇄 장치
JP2019080987A (ja) * 2018-08-29 2019-05-30 株式会社Screenホールディングス 錠剤印刷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220628B2 (ja) 2023-02-10
JP2021004107A (ja) 2021-01-14
TWI732600B (zh) 2021-07-01
CN112123946A (zh) 2020-12-25
CN112123946B (zh) 2022-08-02
TW202100413A (zh) 2021-01-01
KR102469127B1 (ko) 2022-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996525B (zh) 搬送装置及印刷装置
KR20210000666A (ko) 반송 장치 및 정제 인쇄 장치
KR102232362B1 (ko) 반송 장치 및 반송 방법
CN109982947B (zh) 搬运装置、印刷装置及搬运方法
JP7411844B2 (ja) 搬送処理装置および搬送処理方法
KR102505698B1 (ko) 입상물 반송 장치 및 입상물 처리 장치
TW202103807A (zh) 粒狀物處理裝置以及粒狀物處理方法
JP7391657B2 (ja) 搬送装置および錠剤印刷装置
WO2020085187A1 (ja) 搬送装置および搬送方法
JP7061490B2 (ja) 搬送装置および搬送方法
CN109963799B (zh) 搬送装置、印刷装置及搬送方法
JP2022025436A (ja) 搬送装置および錠剤印刷装置
KR20230161345A (ko) 정제 공급 장치 및 정제 공급 방법
CN117465143A (zh) 粒状物印刷装置
JP2023040456A (ja) 搬送装置
JP2021001078A (ja) 搬送装置および印刷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