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1931A - 입상물 처리 장치 및 입상물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입상물 처리 장치 및 입상물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1931A
KR20210001931A KR1020200066943A KR20200066943A KR20210001931A KR 20210001931 A KR20210001931 A KR 20210001931A KR 1020200066943 A KR1020200066943 A KR 1020200066943A KR 20200066943 A KR20200066943 A KR 20200066943A KR 20210001931 A KR20210001931 A KR 202100019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nular material
tablet
inclined drum
adsorption
conve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69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부유키 나카노
마사히로 야마모토
마사토 가타오카
다카유키 니시카와
나오미치 이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스크린 홀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스크린 홀딩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스크린 홀딩스
Publication of KR202100019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19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7/00Printing apparatus or machines of special types or for particular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F17/36Printing apparatus or machines of special types or for particular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inting on tablets, pills, or like small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41J3/407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for marking on special material
    • B41J3/4073Printing on three-dimensional objects not being in sheet or web form, e.g. spherical or cubic obje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20/00Coating of foodstuffs; Coatings therefor; Making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3/00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 A61J3/007Marking tablet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3/00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 A61J3/06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into the form of pills, lozenges or drage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21/00Devices for conveying sheets through printing apparatus or machines
    • B41F21/10Combinations of transfer drums and grippers
    • B41F21/106Combinations of transfer drums and grippers for reversing sheets, e.g. for perfecting machine
    • B41F21/108Combinations of transfer drums and grippers for reversing sheets, e.g. for perfecting machine with pneumatic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33/00Indicating, counting, warning, control or safety devices
    • B41F33/0036Devices for scanning or checking the printed matter for quality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21Ink jet for multi-colour pri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41J3/44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having dual functions or combined with, or coupled to, apparatus performing other functions
    • B41J3/445Printers integrated in other types of apparatus, e.g. printers integrated in camer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203/00Embodiments of or processes related to the control of the printing process
    • B41J2203/01Inspecting a printed medium or a medium to be printed using a sensing devic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Abstract

(과제) 입상물의 표리를 반전하는 반전 기구를 갖고, 입상물의 표리 양면에 대해 소정의 처리를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반전 기구에 의한 입상물의 반전 시에 입상물의 탈락 또는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입상물 처리 장치 및 입상물 처리 방법을 제공한다.
(해결 수단) 이 정제 인쇄 장치는, 반송 기구, 처리부, 및 반전 기구 (71) 를 갖는다. 반송 기구는, 정제를 유지하면서 반송 경로를 따라 정제를 반송한다. 처리부는, 반송 기구의 반송 경로 상의 처리 위치에 있어서, 정제의 제 1 면 또는 제 2 면에 소정의 처리를 실시한다. 반전 기구 (71) 는, 반송 기구의 반송 경로 상의 반전 위치에 있어서, 정제의 표리를 반전시킨다. 또, 반전 기구 (71) 는, 정제를 흡착 유지하는 흡착공 또는 흡착 슬릿과, 흡착공 또는 흡착 슬릿의 가장자리부에 있어서 정제와 접촉하는 탄성 부재 (52) 를 갖는다. 이에 따라, 정제의 표리를 반전할 때에, 정제의 탈락 또는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입상물 처리 장치 및 입상물 처리 방법{GRANULAR MATERIAL PROCESSING DEVICE AND GRANULAR MATERIAL PROCESSING METHOD}
본 발명은 입상물의 표면에 소정의 처리를 실시하는 입상물 처리 장치 및 입상물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의약품인 정제 (錠劑) 의 표면에는, 제품을 식별하기 위한 문자나 코드가 인쇄된다. 또, 라무네 등의 정과 (錠菓) 에도, 마크나 일러스트가 인쇄되는 경우가 있다. 종래, 이와 같은 정제·정과 등의 입상물의 표면에, 잉크젯 방식으로 화상을 인쇄하는 인쇄 장치가 알려져 있다. 특히, 최근에는, 후발 의약품의 보급에 의해, 정제의 종류가 다양화 되고 있다. 이 때문에, 정제를 식별하기 쉽게 하기 위해서, 정제의 표리 양면에 잉크젯 방식으로 선명히 인쇄를 실시하는 기술이 주목받고 있다.
특허문헌 1 의 인쇄 장치는, 상류측의 반송부 (3) 와 하류측의 반송부 (4) 를 갖는다. 상류측의 반송부 (3) 에서는, 정제 (T) 를 반송하면서, 제 1 인쇄부 (201) 에 의해, 정제 (T) 에 인쇄를 실시한다. 하류측의 반송부 (4) 에서는, 상류측의 반송부 (3) 로부터 복수의 정제 (T) 를 표리 반전시킨 상태로 수취하여 반송하면서, 제 2 인쇄부 (202) 에 의해, 정제 (T) 에 인쇄를 실시한다. 이에 따라, 정제 (T) 의 표면 및 이면에 대해 인쇄를 실시한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7-200495호
그러나, 특허문헌 1 에서는, 상류측의 반송부 (3) 와 하류측의 반송부 (4) 의 쌍방에, 인쇄부와, 인쇄부에 부수하는 촬상부가, 형성되어 있다. 즉, 특허문헌 1 에서는, 정제의 일방의 면에 대해 인쇄 및 촬영을 실시하기 위한 처리부와, 정제의 타방의 면에 대해 인쇄 및 촬영을 실시하기 위한 처리부가, 따로 따로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특허문헌 1 의 구조에서는, 인쇄 장치의 부품 점수가 많아져, 인쇄 장치를 소형화 하는 것이 곤란하였다.
1 개의 인쇄부에서 정제의 표리 양면에 인쇄를 실시하기 위해서는, 환상의 반송 경로를 따라 정제를 반송하면서, 당해 반송 경로 상의 어느 위치에 있어서 정제의 표리를 반전시켜, 당해 반송 경로 상의 다른 위치에 있어서 정제에 인쇄를 실시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또, 당해 정제의 표리를 반전시키기 위해서는, 정제의 일방의 면 및 타방의 면을 번갈아 유지하면서 수수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당해 정제를 수수할 때에, 정제를 유지하는 힘이 약한 경우에는 정제가 탈락하거나, 또는 정제에 과도한 부하가 가해지는 경우에는 정제가 파손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반송 기구에 의해 반송되는 입상물의 일방의 면 및 타방의 면을 번갈아 유지하면서 수수함으로써 입상물의 표리를 반전시키는 반전 기구를 갖고, 또한, 당해 반전 기구에 의한 입상물의 수수 시에, 입상물이 탈락 또는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원의 제 1 발명은, 입상물의 표면에 소정의 처리를 실시하는 입상물 처리 장치로서, 입상물을 유지하면서, 반송 경로를 따라 입상물을 반송하는 반송 기구와, 상기 반송 기구의 상기 반송 경로 상의 처리 위치에 있어서, 입상물의 제 1 면 또는 제 2 면에, 상기 소정의 처리를 실시하는 처리부와, 상기 반송 기구의 상기 반송 경로 상의 반전 위치에 있어서, 입상물의 표리를 반전시키는 반전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반전 기구는, 복수의 입상물이 흡착 유지되는, 복수의 흡착공 또는 흡착 슬릿과, 적어도 상기 복수의 흡착공 또는 상기 흡착 슬릿의 각각의 가장자리부에 있어서 입상물과 접촉하는 탄성 부재를 갖는다.
본원의 제 2 발명은, 입상물의 표면에 소정의 처리를 실시하는 입상물 처리 방법으로서, a) 반송 경로에 입상물을 반입하는 공정과, b) 상기 공정 a) 의 후에, 상기 반송 경로를 따라 입상물을 반송하면서, 상기 반송 경로 상의 처리 위치에 있어서, 입상물의 제 1 면에 상기 소정의 처리를 실시하는 공정과, c) 상기 공정 b) 의 후에, 상기 반송 경로 상의 반전 위치에 있어서, 입상물의 표리를 반전시키는 공정과, d) 상기 공정 c) 의 후에, 상기 반송 경로를 따라 입상물을 반송하면서, 상기 처리 위치에 있어서, 입상물의 제 2 면에 상기 소정의 처리를 실시하는 공정과, e) 상기 공정 d) 의 후에, 상기 반송 경로로부터 입상물을 반출하는 공정을 갖고, 상기 공정 c) 에서는, 흡착공 또는 흡착 슬릿에 입상물을 흡착하고, 또한, 상기 흡착공 또는 상기 흡착 슬릿의 가장자리부를 구성하는 탄성 부재에 입상물을 접촉시킴으로써 유지하면서, 입상물의 표리를 반전시킨다.
본원의 제 1 발명 및 제 2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입상물을, 복수의 흡착공 또는 흡착 슬릿에 있어서 흡착 유지하고, 또한, 복수의 흡착공 또는 흡착 슬릿의 각각의 가장자리부에 있어서 탄성 부재와 접촉시키면서, 입상물의 표리를 반전시킨다. 이에 따라, 입상물이 탈락하거나, 또는 파손되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
도 1 은, 정제 인쇄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2 는, 정제 인쇄 장치의 상면도이다.
도 3 은, 정제 인쇄 장치의 하면도이다.
도 4 는, 반송 기구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5 는, 헤드의 하면도이다.
도 6 은, 반송 기구 및 반전 기구를, 도 1 중의 백색 화살표 (V) 의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7 은, 경사 드럼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 은, 제어부와 각 부의 접속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9 는, 정제 인쇄 장치에 있어서의 처리의 흐름을 나타낸 플로 차트이다.
도 10 은, 종래의 정제 인쇄 장치에 있어서 정제가 제 1 경사 드럼으로부터 제 2 경사 드럼으로 수수될 때의 수수의 성공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1 은, 종래의 정제 인쇄 장치에 있어서 정제가 제 2 경사 드럼으로부터 제 2 영역으로 수수될 때의 수수의 성공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2 는, 변형예에 관련된 베이스 부재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13 은, 변형예에 관련된 정제 인쇄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14 는, 변형예에 관련된 반송 기구 및 반전 기구를, 도 1 중의 백색 화살표 (V) 의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복수의 정제가 반송되는 방향을 「반송 방향」 이라고 칭한다. 또, 반송 방향에 대해 수직이고, 또한 유지면을 따르는 방향을, 「폭 방향」 이라고 칭한다.
<1. 정제 인쇄 장치의 전체 구성>
도 1 은, 본 발명에 관련된 입상물 처리 장치의 일례인 정제 인쇄 장치 (1) 의 측면도이다. 도 2 는, 정제 인쇄 장치 (1) 의 상면도이다. 도 3 은, 정제 인쇄 장치 (1) 의 하면도이다.
이 정제 인쇄 장치 (1) 는, 입상물인 복수의 정제 (9) 를 반송하면서, 각 정제 (9) 의 표리 양면에, 제품명, 제품 코드, 회사명, 로고 마크 등의 화상을 인쇄하는 장치이다. 정제 (9) 는, 소정 (素錠) (나정 (裸錠)) 이어도 되고, 당의정, 필름 코팅정 (FC 정) 등의 코팅정이어도 된다. 또, 정제 (9) 는, 경질 캡슐제 및 연질 캡슐제를 포함하는 캡슐제여도 된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의 「입상물」 은, 의약품으로서의 정제에 한정되지 않고, 건강 식품으로서의 정제나, 라무네 등의 정과여도 된다.
도 1 ∼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정제 인쇄 장치 (1) 는, 반입 기구 (10), 반송 기구 (20), 인쇄부 (30), 제 1 카메라 (40), 제 2 카메라 (50), 건조 기구 (60), 반전 기구 (70), 반출 기구 (80), 및 제어부 (90) 를 구비하고 있다.
반입 기구 (10) 는, 정제 인쇄 장치 (1) 에 투입된 복수의 정제 (9) 를, 반송 기구 (20) 에 반입하기 위한 기구이다. 반입 기구 (10) 는, 진동 피더, 회전 피더, 슈트 등에 의해 구성되는 정렬 기구와, 반입 드럼 (11) 을 갖는다. 정제 인쇄 장치 (1) 에 투입된 복수의 정제 (9) 는, 정렬 기구에 의해 복수의 열로 정렬되어, 반입 드럼 (11) 의 외주면에 공급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정제 (9) 는, 3 열로 정렬된다. 반입 드럼 (11) 은, 정렬된 복수의 정제 (9) 를, 외주면에 1 개씩 흡착 유지하면서 회전한다. 이에 따라, 각 열의 복수의 정제 (9) 가, 반송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정렬된다. 또, 반입 드럼 (11) 에 유지된 각 정제 (9) 는, 반입 드럼 (11) 의 회전에 의해 원호상으로 반송되어, 반송 기구 (20) 로 수수된다.
반송 기구 (20) 는, 복수의 정제 (9) 를 유지하면서, 환상 (環狀) 의 반송 경로를 따라 반송하는 기구이다. 반송 기구 (20) 는, 1 쌍의 풀리 (21) 와, 1 쌍의 풀리 (21) 의 사이에 걸쳐진 환상의 반송 벨트 (22) 를 갖는다. 1 쌍의 풀리 (21) 의 일방은, 반송용 모터 (23) 로부터 얻어지는 동력에 의해 회전한다. 이에 따라, 반송 벨트 (22) 가, 도 1 중의 화살표의 방향으로 회동한다. 이 때, 1 쌍의 풀리 (21) 의 타방은, 반송 벨트 (22) 의 회동에 수반하여 종동 회전한다.
도 4 는, 반송 기구 (20) 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송 벨트 (22) 의 외주면인 유지면 (220) 에는, 복수의 흡착공 (221) 이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흡착공 (221) 은, 반송 방향 및 폭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배열되어 있다. 또,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송 기구 (20) 는, 반송 벨트 (22) 의 내측의 공간으로부터 기체를 빨아내는 흡인 기구 (24) 를 갖는다. 흡인 기구 (24) 를 동작시키면, 반송 벨트 (22) 의 내측의 공간이, 대기압보다 낮은 부압이 된다. 복수의 정제 (9) 는, 당해 부압에 의해, 흡착공 (221) 에 흡착 유지된다.
이와 같이, 복수의 정제 (9) 는, 반송 벨트 (22) 의 표면에, 반송 방향 및 폭 방향으로 정렬한 상태로 유지된다. 그리고, 반송 기구 (20) 는, 반송 벨트 (22) 를 회동시킴으로써, 복수의 정제 (9) 를 환상의 반송 경로를 따라 반송한다. 후술하는 4 개의 헤드 (31) 의 하방에서는, 복수의 정제 (9) 는 수평 방향으로 반송된다.
또,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송 기구 (20) 는, 3 개의 제 1 블로우 기구 (B1) 와, 1 개의 제 2 블로우 기구 (B2) 를 갖는다. 3 개의 제 1 블로우 기구 (B1) 는, 반송 벨트 (22) 의 내측, 또한, 후술하는 제 1 경사 드럼 (71), 제 3 경사 드럼 (73), 및 제 5 경사 드럼 (75) 과, 반송 벨트 (22) 를 개재하여 각각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3 개의 제 1 블로우 기구 (B1) 는, 반송 벨트 (22) 의 복수의 흡착공 (221) 중, 제 1 경사 드럼 (71), 제 3 경사 드럼 (73), 및 제 5 경사 드럼 (75) 과 대향하는 흡착공 (221) 에만, 기체를 내뿜는다. 그렇게 하면, 당해 흡착공 (221) 이, 대기압보다 높은 양압이 된다. 이에 따라, 당해 흡착공 (221) 에 있어서의 정제 (9) 의 흡착이 해제되고, 반송 벨트 (22) 로부터 제 1 경사 드럼 (71), 제 3 경사 드럼 (73), 및 제 5 경사 드럼 (75) 으로, 정제 (9) 가 수수된다.
제 2 블로우 기구 (B2) 는, 반송 벨트 (22) 의 내측, 또한, 후술하는 반출 슈트 (81) 와, 반송 벨트 (22) 를 개재하여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제 2 블로우 기구 (B2) 는, 반송 벨트 (22) 의 복수의 흡착공 (221) 중, 반출 슈트 (81) 와 대향하는 흡착공 (221) 에만, 기체를 내뿜는다. 그렇게 하면, 당해 흡착공 (221) 이, 대기압보다 높은 양압이 된다. 이에 따라, 당해 흡착공 (221) 에 있어서의 정제 (9) 의 흡착이 해제되고, 반송 벨트 (22) 로부터 반출 슈트 (81) 로, 정제 (9) 가 낙하한다.
또, 도 2 및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반송 벨트 (22) 의 유지면 (220) 은, 후술하는 반전 기구 (70) 에 의한 반전 전의 정제 (9) 를 유지하는 제 1 영역 (A1) 과, 반전 후의 정제 (9) 를 유지하는 제 2 영역 (A2) 을 갖는다. 제 1 영역 (A1) 과 제 2 영역 (A2) 은, 폭 방향으로 인접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영역 (A1) 및 제 2 영역 (A2) 에, 복수의 흡착공 (221) 이 폭 방향으로 3 열씩 형성된다. 상기 서술한 반입 기구 (10) 에 의해 반입되는 정제 (9) 는, 제 1 영역 (A1) 의 흡착공 (221) 에 흡착 유지된다. 또, 양면에 인쇄가 된 복수의 정제 (9) 는, 제 2 영역 (A2) 의 흡착공 (221) 으로부터 반출 기구 (80) 로 수수된다.
인쇄부 (30) 는, 반송 벨트 (22) 에 의해 반송되는 정제 (9) 의 표면에, 잉크젯 방식으로 인쇄를 실시하는 처리부이다. 도 1 및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인쇄부 (30) 는, 4 개의 헤드 (31) 를 갖는다. 4 개의 헤드 (31) 는, 반송 벨트 (22) 의 상방에 위치하고, 정제 (9) 의 반송 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치되어 있다. 각 헤드 (31) 는, 반송 벨트 (22) 의 제 1 영역 (A1) 과 제 2 영역 (A2) 의 쌍방에 걸쳐, 폭 방향으로 연장된다. 4 개의 헤드 (31) 는, 정제 (9) 의 표면을 향해서, 서로 상이한 색의 잉크 방울을 토출한다. 4 개의 헤드 (31) 는, 예를 들어, 시안, 마젠타, 옐로, 및 블랙의 각 색의 잉크 방울을 토출한다. 그러면, 이들의 각 색에 의해 형성되는 단색 화상의 중첩에 의해, 정제 (9) 의 표면에 다색 화상이 기록된다. 또한, 각 헤드 (31) 로부터 토출 되는 잉크에는, 일본 약국방, 식품 위생법 등으로 인가된 원료에 의해 제조된 가식성 잉크가 사용된다.
도 5 는, 1 개의 헤드 (31) 의 하면도이다. 도 5 에는, 반송 벨트 (22) 와, 반송 벨트 (22) 에 유지된 복수의 정제 (9) 가, 이점 쇄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5 중에 확대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헤드 (31) 의 하면인 토출면 (310) 에는, 잉크 방울을 토출 가능한 복수의 노즐 (311) 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헤드 (31) 의 하면에, 복수의 노즐 (311) 이 반송 방향 및 폭 방향으로 이차원적으로 배열되어 있다. 각 노즐 (311) 은, 폭 방향으로 위치를 어긋나게 하여 배열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노즐 (311) 을 이차원적으로 배치하면, 각 노즐 (311) 의 폭 방향의 위치를 서로 접근시킬 수 있다. 단, 복수의 노즐 (311) 은, 폭 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열되어 있어도 된다.
노즐 (311) 로부터의 잉크 방울의 토출 방식에는, 예를 들어, 압전 소자인 피에조 소자에 전압을 가하여 변형시킴으로써, 노즐 (311) 내의 잉크를 가압하여 토출하는, 소위 피에조 방식이 사용된다. 단, 잉크 방울의 토출 방식은, 히터에 통전하여 노즐 (311) 내의 잉크를 가열 팽창시킴으로써 토출하는, 소위 서멀 방식이어도 된다.
제 1 카메라 (40) 는, 인쇄 전의 정제 (9) 의 표면을 촬영하기 위한 처리부이다. 제 1 카메라 (40) 는, 반입 드럼 (11) 보다 반송 경로의 하류측, 또한, 4 개의 헤드 (31) 보다 반송 경로의 상류측에 위치한다. 또, 제 1 카메라 (40) 는, 제 1 영역 (A1) 과 제 2 영역 (A2) 의 쌍방에 걸쳐, 폭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 1 카메라 (40) 에는, 예를 들어, CCD 나 CMOS 등의 촬상 소자가 폭 방향으로 배열된 라인 센서가 사용된다. 제 1 카메라 (40) 는, 반송 벨트 (22) 에 의해 반송되는 복수의 정제 (9) 를 촬영한다. 촬영에 의해 취득된 화상은, 제 1 카메라 (40) 로부터 후술하는 제어부 (90) 로 송신된다. 제어부 (90) 는, 제 1 카메라 (40) 로부터 얻어진 화상에 기초하여, 각 흡착공 (221) 에 있어서의 정제 (9) 의 유무, 정제 (9) 의 위치, 및 정제 (9) 의 자세를, 검출한다. 또, 제어부 (90) 는, 제 1 카메라 (40) 로부터 얻어진 화상에 기초하여, 각 정제 (9) 에 결여 등의 결함이 없는지 여부의 검사도 실시한다.
제 2 카메라 (50) 는, 인쇄 후의 정제 (9) 의 표면을 촬영하기 위한 처리부이다. 제 2 카메라 (50) 는, 4 개의 헤드 (31) 보다 반송 경로의 하류측, 또한, 건조 기구 (60) 보다 반송 경로의 상류측에 위치한다. 또, 제 2 카메라 (50) 는, 제 1 영역 (A1) 과 제 2 영역 (A2) 의 쌍방에 걸쳐, 폭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 2 카메라 (50) 에는, 예를 들어, CCD 나 CMOS 등의 촬상 소자가 폭 방향으로 배열된 라인 센서가 사용된다. 제 2 카메라 (50) 는, 반송 벨트 (22) 에 의해 반송되는 복수의 정제 (9) 를 촬영한다. 촬영에 의해 취득된 화상은, 제 2 카메라 (50) 로부터 후술하는 제어부 (90) 로 송신된다. 제어부 (90) 는, 제 2 카메라 (50) 로부터 얻어진 화상에 기초하여, 정제 (9) 의 표면에 인쇄된 화상의 양부 (良否) 를 검사한다.
건조 기구 (60) 는, 정제 (9) 의 표면에 부착된 잉크를 건조시키는 기구이다. 건조 기구 (60) 는, 제 2 카메라 (50) 보다 반송 경로의 하류측, 또한, 후술하는 반전 기구 (70) 및 반출 슈트 (81) 보다 반송 경로의 상류측에 위치한다. 또, 건조 기구 (60) 는, 제 1 영역 (A1) 과 제 2 영역 (A2) 의 쌍방에 걸쳐, 폭 방향으로 연장된다. 건조 기구 (60) 에는, 예를 들어, 반송 벨트 (22) 에 의해 반송되는 정제 (9) 를 향해서, 가열된 기체 (열풍) 를 내뿜는, 열풍 공급 기구가 사용된다. 정제 (9) 의 표면에 부착된 잉크는, 열풍에 의해 건조시켜, 정제 (9) 의 표면에 정착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정제 인쇄 장치 (1) 는, 인쇄부 (30), 제 1 카메라 (40), 제 2 카메라 (50), 및 건조 기구 (60) 의, 4 개의 처리부를 갖는다. 각 처리부는, 반송 기구 (20) 에 있어서의 반송 경로 상의 각 처리 위치에 있어서, 정제 (9) 의 표면에 대해, 소정의 처리, 즉, 인쇄, 촬영, 및 건조의 각 처리를 실시한다.
반전 기구 (70) 는, 반송 벨트 (22) 에 의해 반송되는 정제 (9) 의 표리를 반전시킴과 함께, 제 1 영역 (A1) 으로부터 제 2 영역 (A2) 으로 정제 (9) 를 이동시키는 기구이다. 반전 기구 (70) 는, 후술하는 반출 슈트 (81) 보다 반송 경로의 하류측, 또한, 반입 드럼 (11) 보다 반송 경로의 상류측에 위치한다.
도 6 은, 반송 기구 (20) 및 반전 기구 (70) 를, 도 1 중의 백색 화살표 (V) 의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1, 도 3, 및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반전 기구 (70) 는, 제 1 경사 드럼 (71), 제 2 경사 드럼 (72), 제 3 경사 드럼 (73), 제 4 경사 드럼 (74), 제 5 경사 드럼 (75), 및 제 6 경사 드럼 (76) 을 갖는다.
제 1 경사 드럼 (71) 및 제 2 경사 드럼 (72) 은, 폭 방향으로 인접하여 배치된다. 제 3 경사 드럼 (73) 및 제 4 경사 드럼 (74) 은, 제 1 경사 드럼 (71) 및 제 2 경사 드럼 (72) 보다 반송 경로의 하류측에 있어서, 폭 방향으로 인접하여 배치된다. 제 5 경사 드럼 (75) 및 제 6 경사 드럼 (76) 은, 제 3 경사 드럼 (73) 및 제 4 경사 드럼 (74) 보다 반송 경로의 하류측에 있어서, 폭 방향으로 인접하여 배치된다. 이하에서는, 반송 기구 (20) 의 반송 경로 상의, 제 1 경사 드럼 (71) 및 제 2 경사 드럼 (72) 이 형성되는 위치를 「제 1 반전 위치」, 제 3 경사 드럼 (73) 및 제 4 경사 드럼 (74) 이 형성되는 위치를 「제 2 반전 위치」, 제 5 경사 드럼 (75) 및 제 6 경사 드럼 (76) 이 형성되는 위치를 「제 3 반전 위치」, 라고 각각 칭한다.
제 1 경사 드럼 (71) 은, 폭 방향에 대해 경사진 제 1 축 (C1) 을 중심으로 하는 원추 형상의 제 1 측면 (710) 을 갖는다. 제 1 측면 (710) 의 일부는, 반송 벨트 (22) 의 제 1 영역 (A1) 과 미소한 간극을 통해서 대향한다. 또, 제 1 경사 드럼 (71) 은, 제 1 모터 (71M) 의 출력축에 고정되어 있다. 제 1 모터 (71M) 를 구동시키면, 제 1 경사 드럼 (71) 은, 제 1 축 (C1) 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제 2 경사 드럼 (72) 은, 폭 방향에 대해 경사진 제 2 축 (C2) 을 중심으로 하는 원추 형상의 제 2 측면 (720) 을 갖는다. 제 1 경사 드럼 (71) 과 제 2 경사 드럼 (72) 은, 서로의 정부 (頂部) 가 대향하도록, 폭 방향으로 인접 배치된다. 제 2 측면 (720) 의 일부는, 반송 벨트 (22) 의 제 2 영역 (A2) 과 미소한 간극을 통해서 대향한다. 제 2 측면 (720) 의 다른 일부는, 제 1 측면 (710) 과, 미소한 간극을 통해서 대향한다. 또, 제 2 경사 드럼 (72) 은, 제 2 모터 (72M) 의 출력축에 고정되어 있다. 제 2 모터 (72M) 를 구동시키면, 제 2 경사 드럼 (72) 은, 제 2 축 (C2) 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반송 기구 (20) 의 반송 방향으로 보았을 때의, 제 1 경사 드럼 (71) 의 정각 (頂角) 과, 제 2 경사 드럼 (72) 의 정각은, 모두 90° 이다. 또, 제 1 축 (C1) 의, 유지면 (220) 에 대한 경사 각도는, 45° 이다. 또, 제 2 축 (C2) 의, 유지면 (220) 에 대한 경사 각도는, 45° 이다. 따라서, 제 1 측면 (710) 과 제 2 측면 (720) 은, 유지면 (220) 에 대해 90° 의 위치에 있어서, 서로 대향한다. 또, 제 1 경사 드럼 (71) 과 제 2 경사 드럼 (72) 은, 서로 동일한 형상, 구조, 및 크기를 갖는다. 이 때문에, 제 1 경사 드럼 (71) 과 제 2 경사 드럼 (72) 을, 부품으로서 공통화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정제 인쇄 장치 (1) 의 제조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도 7 은, 제 1 경사 드럼 (71) 및 제 2 경사 드럼 (72) 의 각각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경사 드럼 (71) 및 제 2 경사 드럼 (72) 은 각각, 베이스 부재 (51) 와, 탄성 부재 (52) 와, 누름 부재 (53) 를 갖는다. 제 1 경사 드럼 (71) 및 제 2 경사 드럼 (72) 의 각각의 있어서의 탄성 부재 (52) 를 제외한 부위는,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 등의 금속제의 재료에 의해 형성된다. 단, 제 1 경사 드럼 (71) 및 제 2 경사 드럼 (72) 의 전체가 탄성을 갖는 실리콘 고무 등을 사용하여 성형되어도 된다.
베이스 부재 (51) 는, 베이스면 (511) 과, 플랜지부 (512) 와, 선단 돌출부 (513) 를 갖는다. 베이스면 (511) 은, 플랜지부 (512) 와 선단 돌출부 (513) 의 사이에 있어서 베이스 부재 (51) 의 외주면을 형성한다. 제 1 경사 드럼 (71) 에 있어서, 베이스면 (511) 은, 제 1 축 (C1) 을 중심으로 원환상으로 확장된다. 플랜지부 (512) 는, 베이스 부재 (51) 에 있어서의 제 1 모터 (71M) 측의 단부 (端部) 의 주연부로부터, 전체 둘레에 걸쳐 외향으로 돌출한다. 선단 돌출부 (513) 는, 베이스면 (511) 의 선단부 부근으로부터, 제 1 축 (C1) 을 따라 돌출한다. 선단 돌출부 (513) 의 선단측의 단면 (端面) 에는, 제 1 축 (C1) 을 따라 오목한 나사구멍 (514) 이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 2 경사 드럼 (72) 에 있어서, 베이스면 (511) 은, 제 2 축 (C2) 을 중심으로 원환상으로 확장된다. 플랜지부 (512) 는, 베이스 부재 (51) 에 있어서의 제 2 모터 (72M) 측의 단부의 주연부로부터, 전체 둘레에 걸쳐 외향으로 돌출한다. 선단 돌출부 (513) 는, 베이스면 (511) 의 선단부 부근으로부터, 제 2 축 (C2) 을 따라 돌출한다. 선단 돌출부 (513) 의 선단측의 단면에는, 제 2 축 (C2) 을 따라 오목한 나사구멍 (514) 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 부재 (51) 에는, 복수의 베이스 관통공 (510) 이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베이스 관통공 (510) 은 각각, 베이스 부재 (51) 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면서, 베이스면 (511) 에 개구한다. 제 1 경사 드럼 (71) 에 있어서, 복수의 베이스 관통공 (510) 은, 제 1 축 (C1) 을 중심으로 원환상으로, 등각도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경사 드럼 (71) 에 있어서, 6 개의 베이스 관통공 (510) 이 형성되어 있다. 제 2 경사 드럼 (72) 에 있어서, 복수의 베이스 관통공 (510) 은, 제 2 축 (C2) 을 중심으로 원환상으로, 등각도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2 경사 드럼 (72) 에 있어서, 6 개의 베이스 관통공 (510) 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 관통공 (510) 의 지름은, 후술하는 탄성 부재 (52) 에 형성되는 관통공 (520) 의 지름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복수의 베이스 관통공 (510) 은, 서로 연결되어 있어도 된다.
탄성 부재 (52) 는, 원추대 통형상의 입체 형상을 갖는다. 탄성 부재 (52) 의 재료에는, 예를 들어, 실리콘 고무가 사용된다. 이에 따라, 탄성 부재 (52) 를 용이하게 가공하고, 성형할 수 있다. 단, 탄성 부재 (52) 의 재료는, 베이스 부재 (51) 및 누름 부재 (53) 보다 높은 탄성을 갖는 것이면 되고, 예를 들어 우레탄 고무 (발포 우레탄) 또는 부틸 고무여도 된다. 또, 탄성 부재 (52) 의 내경은, 베이스 부재 (51) 의 플랜지부 (512) 의 외경보다 작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탄성 부재 (52) 는, 베이스 부재 (51) 의 베이스면 (511) 에 배치된다. 제 1 경사 드럼 (71) 에 있어서, 탄성 부재 (52) 는, 제 1 축 (C1) 을 중심으로 원환상으로 확장된다. 그리고, 탄성 부재 (52) 의 외주면이, 상기 서술한 제 1 측면 (710) 이 된다. 제 2 경사 드럼 (72) 에 있어서, 탄성 부재 (52) 는, 제 2 축 (C2) 을 중심으로 원환상으로 확장된다. 그리고, 탄성 부재 (52) 의 외주면이, 상기 서술한 제 2 측면 (720) 이 된다.
또한, 탄성 부재 (52) 에는, 복수의 관통공 (520) 이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관통공 (520) 은 각각, 탄성 부재 (52) 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6 개의 베이스 관통공 (520) 이 형성되어 있다. 탄성 부재 (52) 가 베이스면 (511) 에 배치된 상태에 있어서, 각 관통공 (520) 은, 베이스 관통공 (510) 과 두께 방향으로 겹쳐져, 베이스 관통공 (510) 과 연통한다. 이에 따라, 제 1 경사 드럼 (71) 의 제 1 측면 (710) 에 있어서, 복수의 제 1 흡착공 (711) 이, 제 1 축 (C1) 을 중심으로 하여, 원환상 또한 등각도 간격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6 개의 제 1 흡착공 (711) 이 형성된다. 또, 제 2 경사 드럼 (72) 의 제 2 측면 (720) 에 있어서, 복수의 제 2 흡착공 (721) 이, 제 2 축 (C2) 을 중심으로 원환상 또한 등각도 간격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6 개의 제 2 흡착공 (721) 이 형성된다.
누름 부재 (53) 는, 해트형의 입체 형상을 갖는다. 누름 부재 (53) 는, 오목부 (530) 와, 플랜지부 (531) 와, 관통공 (532) 을 갖는다. 오목부 (530) 는, 누름 부재 (53) 에 있어서의 베이스면 (511) 측의 단면에 개구하는 개구로부터 선단측으로 오목한 부위이다. 플랜지부 (531) 는, 누름 부재 (53) 에 있어서의 베이스면 (511) 측의 단부의 주연부로부터, 전체 둘레에 걸쳐 외향으로 돌출한다. 플랜지부 (531) 의 외경은, 탄성 부재 (52) 의 선단측의 단부의 내경보다 크다. 관통공 (532) 은, 누름 부재 (53) 에 있어서의 선단측의 단면, 즉 오목부 (530) 의 바닥면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한다.
제 1 경사 드럼 (71) 및 제 2 경사 드럼 (72) 을 조립할 때는, 먼저, 탄성 부재 (52) 를 베이스면 (511) 에 배치하고, 베이스 부재 (51) 의 선단 돌출부 (513) 를 누름 부재 (53) 의 오목부 (530) 에 삽입한다. 그리고, 나사 (54) 를 사용하여, 누름 부재 (53) 의 관통공 (532) 에 관통시키면서, 베이스 부재 (51) 의 나사구멍 (514) 에 나사 고정한다. 이에 따라, 탄성 부재 (52) 는, 베이스 부재 (51) 와 누름 부재 (53) 의 사이에 협지 (挾持) 고정된다.
제 1 경사 드럼 (71) 의 내부 공간의 압력은, 흡인 기구에 의해, 대기압보다 낮은 부압으로 유지된다. 제 1 경사 드럼 (71) 은, 이 부압에 의해, 복수의 제 1 흡착공 (711) 에, 복수의 정제 (9) 를 1 개씩 유지한다. 마찬가지로, 제 2 경사 드럼 (72) 의 내부 공간의 압력도, 흡인 기구에 의해, 대기압보다 낮은 부압으로 유지된다. 제 2 경사 드럼 (72) 은, 이 부압에 의해, 복수의 제 2 흡착공 (721) 에, 복수의 정제 (9) 를 1 개씩 유지한다.
여기서, 제 1 경사 드럼 (71) 이 각 정제 (9) 를 제 1 흡착공 (711) 에 흡착 유지할 때, 각 정제 (9) 는, 제 1 흡착공 (711) 의 가장자리부에 있어서 탄성 부재 (52) 와 접촉한다. 또, 제 2 경사 드럼 (72) 이 각 정제 (9) 를 제 2 흡착공 (721) 에 흡착 유지할 때, 각 정제 (9) 는, 제 2 흡착공 (721) 의 가장자리부에 있어서 탄성 부재 (52) 와 접촉한다. 이것에 따른 효과에 대해서는, 상세한 내용을 후술한다.
도 6 중에 파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경사 드럼 (71) 의 내부에는, 제 3 블로우 기구 (B3) 가 형성되어 있다. 제 3 블로우 기구 (B3) 는, 제 1 경사 드럼 (71) 의 복수의 제 1 흡착공 (711) 중, 제 2 경사 드럼 (72) 과 대향하는 제 1 흡착공 (711) 에만, 기체를 내뿜는다. 그렇게 하면, 당해 제 1 흡착공 (711) 이, 대기압보다 높은 양압이 된다. 이에 따라, 당해 제 1 흡착공 (711) 에 있어서의 정제 (9) 의 흡착이 해제되고, 제 1 경사 드럼 (71) 의 제 1 흡착공 (711) 으로부터, 제 2 경사 드럼 (72) 의 제 2 흡착공 (721) 으로, 정제 (9) 가 수수된다.
또, 도 6 중에 파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경사 드럼 (72) 의 내부에는, 제 4 블로우 기구 (B4) 가 형성되어 있다. 제 4 블로우 기구 (B4) 는, 제 2 경사 드럼 (72) 의 복수의 제 2 흡착공 (721) 중, 반송 벨트 (22) 의 제 2 영역 (A2) 과 대향하는 제 2 흡착공 (721) 에만, 기체를 내뿜는다. 그렇게 하면, 당해 제 2 흡착공 (721) 이, 대기압보다 높은 양압이 된다. 이에 따라, 당해 제 2 흡착공 (721) 에 있어서의 정제 (9) 의 흡착이 해제되고, 제 2 경사 드럼 (72) 의 제 2 흡착공 (721) 으로부터, 반송 벨트 (22) 의 제 2 영역 (A2) 의 흡착공 (221) 으로, 정제 (9) 가 수수된다.
또한, 제 2 측면 (720) 에 있어서의 복수의 제 2 흡착공 (721) 에 의한 정제 (9) 의 흡착력은, 제 1 측면 (710) 에 있어서의 복수의 제 1 흡착공 (711) 에 의한 정제 (9) 의 흡착력보다, 약간 크게 하면 된다. 그렇게 하면, 제 1 경사 드럼 (71) 의 제 1 흡착공 (711) 으로부터 제 2 경사 드럼 (72) 의 제 2 흡착공 (721) 으로의 정제 (9) 의 수수 시에, 정제 (9) 의 탈락이 생기기 어려워진다. 단, 제 1 경사 드럼 (71) 의 복수의 제 1 흡착공 (711) 의 흡착력과, 제 2 경사 드럼 (72) 의 복수의 제 2 흡착공 (721) 의 흡착력은, 동일해도 된다.
제 3 경사 드럼 (73) 및 제 4 경사 드럼 (74) 은, 제 1 경사 드럼 (71) 및 제 2 경사 드럼 (72) 과, 동등한 구조를 갖고, 제 1 경사 드럼 (71) 및 제 2 경사 드럼 (72) 과 마찬가지로, 인접 배치되어 있다. 단, 제 3 경사 드럼 (73) 및 제 4 경사 드럼 (74) 은, 제 1 경사 드럼 (71) 및 제 2 경사 드럼 (72) 이 배치되는 제 1 수수 위치보다 반송 경로의 하류측의 제 2 수수 위치에 배치된다. 또, 제 3 경사 드럼 (73) 및 제 4 경사 드럼 (74) 은, 제 1 경사 드럼 (71) 및 제 2 경사 드럼 (72) 보다, 정제 (9) 의 폭 방향의 배열 간격의 1 개분만큼, 폭 방향으로 어긋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제 3 경사 드럼 (73) 은, 제 3 모터 (73M) 의 출력축에 고정되어 있다. 제 4 경사 드럼 (74) 은, 제 4 모터 (74M) 의 출력축에 고정되어 있다.
제 5 경사 드럼 (75) 및 제 6 경사 드럼 (76) 도, 제 1 경사 드럼 (71) 및 제 2 경사 드럼 (72) 과 동등한 구조를 갖고, 제 1 경사 드럼 (71) 및 제 2 경사 드럼 (72) 과 동일하게, 인접 배치되어 있다. 단, 제 5 경사 드럼 (75) 및 제 6 경사 드럼 (76) 은, 제 3 경사 드럼 (73) 및 제 4 경사 드럼 (74) 이 배치되는 제 2 수수 위치보다 반송 경로의 하류측의 제 3 수수 위치에 배치된다. 또, 제 5 경사 드럼 (75) 및 제 6 경사 드럼 (76) 은, 제 3 경사 드럼 (73) 및 제 4 경사 드럼 (74) 보다, 정제 (9) 의 폭 방향의 배열 간격의 1 개분만큼, 폭 방향으로 어긋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제 5 경사 드럼 (75) 은, 제 5 모터 (75M) 의 출력축에 고정되어 있다. 제 6 경사 드럼 (76) 은, 제 6 모터 (76M) 의 출력축에 고정되어 있다.
도 3 및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송 벨트 (22) 의 폭 방향의 제 1 위치 (W1) 의 흡착공 (221) 에 유지되어, 제 1 반전 위치까지 반송된 정제 (9) 는, 제 1 경사 드럼 (71) 으로 수수된다. 제 1 경사 드럼 (71) 은, 반송 벨트 (22) 로부터 수취한 정제 (9) 를, 제 1 측면 (710) 의 제 1 흡착공 (711) 에 흡착 유지하면서 회전하여, 제 2 경사 드럼 (72) 으로 수수한다. 그 후, 제 2 경사 드럼 (72) 은, 제 1 경사 드럼 (71) 으로부터 수취한 정제 (9) 를, 제 2 측면 (720) 의 제 2 흡착공 (721) 에 흡착 유지하면서 회전하여, 반송 벨트 (22) 의 폭 방향의 제 2 위치 (W2) 의 흡착공 (221) 으로 수수한다. 이에 따라, 제 1 영역 (A1) 에 속하는 제 1 위치 (W1) 로부터, 제 2 영역 (A2) 에 속하는 제 2 위치 (W2) 로, 반송 경로에 있어서의 정제 (9) 의 폭 방향의 위치가 이동함과 함께, 정제 (9) 의 표리가 반전한다.
마찬가지로, 제 3 경사 드럼 (73) 및 제 4 경사 드럼 (74) 은, 제 1 영역 (A1) 에 속하는 제 3 위치 (W3) 로부터, 제 2 영역 (A2) 에 속하는 제 4 위치 (W4) 로, 반송 경로에 있어서의 정제 (9) 의 폭 방향의 위치를 이동시킴과 함께, 정제 (9) 의 표리를 반전시킨다. 또, 마찬가지로, 제 5 경사 드럼 (75) 및 제 6 경사 드럼 (76) 은, 제 1 영역 (A1) 에 속하는 제 5 위치 (W5) 로부터, 제 2 영역 (A2) 에 속하는 제 6 위치 (W6) 로, 반송 경로에 있어서의 정제 (9) 의 폭 방향의 위치를 이동시킴과 함께, 정제 (9) 의 표리를 반전시킨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탄성 부재 (52) 는, 제 1 경사 드럼 (71) ∼ 제 6 경사 드럼 (76) 의 각각에 있어서, 베이스 부재 (51) 와 누름 부재 (53) 를 포함하는 경사 드럼 본체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탄성 부재 (52) 로서, 이미 베이스면 (511) 에 배치되어 있는 것 이외에, 두께 또는 관통공 (520) 의 크기가 서로 상이하고, 또한, 서로를 교환 가능한 복수의 탄성 부재 (52) 가 준비되어 있다. 이에 따라, 처리 대상이 되는 정제 (9) 를, 두께 또는 지름 등이 상이한 다른 종류의 정제 (9) 로 변경하는 경우에도, 변경 후의 정제 (9) 의 두께 및 지름 등에 맞는 최적인 탄성 부재 (52) 를 선택하여, 제 1 경사 드럼 (71) ∼ 제 6 경사 드럼 (76) 에 장착함으로써, 용이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두께가 작은 정제 (9) 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두께가 큰 탄성 부재 (52) 를 베이스면 (511) 에 장착함으로써, 제 1 경사 드럼 (71) ∼ 제 6 경사 드럼 (76) 에 있어서의 정제 (9) 의 수수를, 안정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반출 기구 (80) 는, 반송 기구 (20) 로부터 정제 인쇄 장치 (1) 의 외부로, 복수의 정제 (9) 를 반출하기 위한 기구이다. 도 1 및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출 기구 (80) 는, 반출 슈트 (81) 와, 반출 컨베이어를 갖는다. 반출 슈트 (81) 는, 건조 기구 (60) 보다 반송 경로의 하류측, 또한, 반전 기구 (70) 보다 반송 경로의 상류측에 위치한다. 또, 반출 슈트 (81) 는, 반송 벨트 (22) 의 제 2 영역 (A2) 에 대향하고 있다. 제 2 영역 (A2) 의 흡착공 (221) 에 흡착된 정제 (9) 가, 반출 슈트 (81) 의 위치에 도달하면, 제 2 블로우 기구 (B2) 에 의해 정제 (9) 의 흡착이 해제된다. 이에 따라, 반송 벨트 (22) 의 제 2 영역 (A2) 으로부터, 반출 슈트 (81) 를 통과하여 반출 컨베이어의 상면으로, 정제 (9) 가 낙하한다. 그리고, 낙하한 정제 (9) 가, 반출 컨베이어에 의해, 정제 인쇄 장치 (1) 의 외부로 반출된다.
제어부 (90) 는, 정제 인쇄 장치 (1) 내의 각 부를 동작 제어한다. 도 8 은, 제어부 (90) 와, 정제 인쇄 장치 (1) 내의 각 부의 접속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8 중에 개념적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부 (90) 는, CPU 등의 프로세서 (91), RAM 등의 메모리 (92), 및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등의 기억부 (93) 를 갖는 컴퓨터에 의해 구성된다. 기억부 (93) 내에는, 반송 처리 및 인쇄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CP) 이 인스톨 되어 있다.
또,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어부 (90) 는, 상기 서술한 반입 기구 (10) (정렬 기구 및 반입 드럼 (11) 을 포함한다), 반송 기구 (20) (반송용 모터 (23), 흡인 기구 (24), 제 1 블로우 기구 (B1), 및 제 2 블로우 기구 (B2) 를 포함한다), 인쇄부 (30) (4 개의 헤드 (31) 를 포함한다), 제 1 카메라 (40), 제 2 카메라 (50), 건조 기구 (60), 반전 기구 (70) (제 1 모터 (71M) ∼ 제 6 모터 (76M), 제 3 블로우 기구 (B3), 제 4 블로우 기구 (B4), 흡인 기구를 포함한다), 및 반출 기구 (80) 와, 각각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제어부 (90) 는, 기억부 (93) 에 기억된 컴퓨터 프로그램 (CP) 이나 데이터를 메모리 (92) 에 일시적으로 읽어내어, 당해 컴퓨터 프로그램 (CP) 에 기초하여, 프로세서 (91) 가 연산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상기 서술한 각 부를 동작 제어한다. 이에 따라, 복수의 정제 (9) 의 반송 처리 및 인쇄 처리가 진행된다.
<2. 처리의 흐름에 대해>
계속해서, 상기 서술한 정제 인쇄 장치 (1) 를 사용한 반송 처리 및 인쇄 처리의 흐름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어느 1 개의 정제 (9) 에 대해 실시되는 처리에 대해서, 차례로 설명한다. 단, 이 정제 인쇄 장치 (1) 는, 복수의 정제 (9) 를 순차적으로 반송 경로를 따라 반송하면서 소정의 처리를 실시한다. 따라서, 정제 인쇄 장치 (1) 의 내부에는, 동시에 복수의 정제 (9) 가 존재한다.
도 9 는, 정제 인쇄 장치 (1) 에 있어서의 처리의 흐름을 나타낸 플로 차트이다. 정제 인쇄 장치 (1) 에 정제 (9) 가 투입되면, 먼저, 반입 기구 (10) 가, 정제 (9) 를 반송 기구 (20) 상의 반입 경로로 반입한다 (스텝 S1). 반입된 정제 (9) 는, 반송 벨트 (22) 의 제 1 영역 (A1) 의 흡착공 (221) 에 흡착 유지된다. 그리고, 반송 벨트 (22) 의 회동에 수반하여, 환상의 반송 경로를 따라, 정제 (9) 가 반송된다.
이하에서는, 제 1 영역 (A1) 의 흡착공 (221) 에 유지된 상태에 있어서, 정제 (9) 의 외측을 향하는 면을 「제 1 면」 이라고 칭한다. 또, 당해 상태에 있어서, 흡착공 (221) 에 흡착되는 면을 「제 2 면」 이라고 칭한다. 도 2 및 도 3 에서는, 제 1 면과 제 2 면을 구별하기 위해서, 정제 (9) 의 제 1 면에 사선을 부여하고 있다. 단, 이 「제 1 면」 및 「제 2 면」 은, 정제 (9) 의 본래의 표리면과는 무관계이다. 예를 들어, 정제 (9) 가 편면에만 할선 (割線) 을 갖는 할선정인 경우에, 제 1 영역 (A1) 에 유지되는 복수의 정제 (9) 중에, 할선을 갖는 면이 제 1 면이 되는 정제 (9) 와, 할선이 없는 면이 제 1 면이 되는 정제 (9) 가, 혼재해 있어도 된다.
정제 (9) 가 제 1 카메라 (40) 의 하방에 도달하면, 제 1 카메라 (40) 는, 정제 (9) 의 제 1 면을 촬영한다. 이에 따라, 정제 (9) 의 제 1 면의 화상 데이터를 취득한다. 취득된 화상 데이터는, 제 1 카메라 (40) 로부터 제어부 (90) 로 송신된다. 또, 제어부 (90) 는, 제 1 카메라 (40) 로부터 수신한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 1 면의 인쇄 전 검사를 실시한다 (스텝 S2). 구체적으로는, 흡착공 (221) 에 있어서의 정제 (9) 의 유무, 정제 (9) 의 표리, 정제 (9) 의 연직축 둘레의 회전 자세, 정제 (9) 의 흡착공 (221) 에 대한 위치 어긋남, 정제 (9) 의 형상 결함의 유무, 등이 검사된다.
다음으로, 정제 (9) 가 인쇄부 (30) 의 하방에 도달하면, 4 개의 헤드 (31) 가, 정제 (9) 의 제 1 면을 향해서 잉크 방울을 토출한다. 이에 따라, 정제 (9) 의 제 1 면에 인쇄 처리가 실시된다. 그 결과, 정제 (9) 의 제 1 면에 화상이 인쇄된다 (스텝 S3). 이 때, 제어부 (90) 는, 상기 서술한 스텝 S2 의 검사 결과에 기초하여, 각 정제 (9) 에 인쇄해야 할 화상을 조정한다. 예를 들어, 표면용의 화상과 이면용의 화상 중, 각 정제 (9) 의 표리에 따라 적절한 화상을 선택하고, 선택된 화상을, 각 정제 (9) 의 회전 자세에 따라 회전시킨다. 그리고, 조정 후의 화상에 기초하여, 헤드 (31) 에 인쇄 신호를 입력한다. 그 결과, 각 정제 (9) 의 제 1 면에, 적절한 화상이 적절한 자세로 인쇄된다.
계속해서, 정제 (9) 가 제 2 카메라 (50) 의 하방에 도달하면, 제 2 카메라 (50) 는 정제 (9) 의 제 1 면을 촬영한다. 이에 따라, 정제 (9) 의 제 1 면의 화상 데이터를 취득한다. 취득된 화상 데이터는, 제 2 카메라 (50) 로부터 제어부 (90) 로 송신된다. 또, 제어부 (90) 는, 제 2 카메라 (50) 로부터 수신한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 1 면의 인쇄 후 검사를 실시한다 (스텝 S4). 구체적으로는, 제어부 (90) 는, 예를 들어, 제 2 카메라 (50) 로부터 수신한 화상 데이터와, 미리 준비된 정상 화상의 데이터를 비교함으로써, 각 정제 (9) 의 제 1 면에 인쇄된 화상이 정상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계속해서, 정제 (9) 가 건조 기구 (60) 의 위치에 도달하면, 건조 기구 (60) 는, 정제 (9) 의 제 1 면을 향해서, 열풍을 내뿜는다. 이에 따라, 정제 (9) 의 제 1 면에 부착된 잉크가 건조되어, 제 1 면에 잉크가 정착한다 (스텝 S5).
그 후, 정제 (9) 가 반송 경로 상의 제 1 반전 위치 ∼ 제 3 반전 위치에 도달하면, 반전 기구 (70) 가, 정제 (9) 의 폭 방향의 위치를 이동시킴과 함께, 정제 (9) 의 표리를 반전시킨다 (스텝 S6). 구체적으로는, 폭 방향의 제 1 위치 (W1) 에 있어서 반송되는 정제 (9) 는, 제 1 경사 드럼 (71) 및 제 2 경사 드럼 (72) 에 의해, 폭 방향의 제 2 위치 (W2) 로 이동한다. 폭 방향의 제 3 위치 (W3) 에 있어서 반송되는 정제 (9) 는, 제 3 경사 드럼 (73) 및 제 4 경사 드럼 (74) 에 의해, 폭 방향의 제 4 위치 (W4) 로 이동한다. 폭 방향의 제 5 위치 (W5) 에 있어서 반송되는 정제 (9) 는, 제 5 경사 드럼 (75) 및 제 6 경사 드럼 (76) 에 의해, 폭 방향의 제 6 위치 (W6) 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반송 기구 (20) 의 제 1 영역 (A1) 의 흡착공 (221) 으로부터 제 2 영역 (A2) 의 흡착공 (221) 으로, 복수의 정제 (9) 가 이동한다.
이 때, 제 1 경사 드럼 (71) 은, 제 1 영역 (A1) 으로부터 수수되는 정제 (9) 를, 복수의 제 1 흡착공 (711) 에 1 개씩 흡착하고, 또한, 각 제 1 흡착공 (711) 의 가장자리부를 구성하는 탄성 부재 (52) 에 정제 (9) 를 접촉시킴으로써 유지하면서 회전하고, 제 2 경사 드럼 (72) 으로 수수한다. 제 2 경사 드럼 (72) 은, 제 1 경사 드럼 (71) 으로부터 수수되는 정제 (9) 를, 복수의 제 2 흡착공 (721) 에 1 개씩 흡착하고, 또한, 각 제 2 흡착공 (721) 의 가장자리부를 구성하는 탄성 부재 (52) 에 정제 (9) 를 접촉시킴으로써 유지하면서 회전하고, 제 2 영역 (A2) 으로 수수한다.
마찬가지로, 제 3 경사 드럼 (73) 은, 제 1 영역 (A1) 으로부터 수수되는 정제 (9) 를, 복수의 흡착공에 1 개씩 흡착하고, 또한, 각 흡착공의 가장자리부를 구성하는 탄성 부재 (52) 에 정제 (9) 를 접촉시킴으로써 유지하면서 회전하고, 제 4 경사 드럼 (74) 으로 수수한다. 제 4 경사 드럼 (74) 은, 제 3 경사 드럼 (73) 으로부터 수수되는 정제 (9) 를, 복수의 흡착공에 1 개씩 흡착하고, 또한, 각 흡착공의 가장자리부를 구성하는 탄성 부재 (52) 에 정제 (9) 를 접촉시킴으로써 유지하면서 회전하고, 제 2 영역 (A2) 으로 수수한다. 또, 제 5 경사 드럼 (75) 은, 제 1 영역 (A1) 으로부터 수수되는 정제 (9) 를, 복수의 흡착공에 1 개씩 흡착하고, 또한, 각 흡착공의 가장자리부를 구성하는 탄성 부재 (52) 에 정제 (9) 를 접촉시킴으로써 유지하면서 회전하고, 제 6 경사 드럼 (76) 으로 수수한다. 제 6 경사 드럼 (76) 은, 제 5 경사 드럼 (75) 으로부터 수수되는 정제 (9) 를, 복수의 흡착공에 1 개씩 흡착하고, 또한, 각 흡착공의 가장자리부를 구성하는 탄성 부재 (52) 에 정제 (9) 를 접촉시킴으로써 유지하면서 회전하고, 제 2 영역 (A2) 으로 수수한다. 이상에 의해, 폭 방향의 3 열로 정렬된 모든 정제 (9) 는, 제 1 반전 위치 ∼ 제 3 반전 위치에 있어서 표리가 반전하고, 제 2 면을 외측을 향하게 한 자세로, 제 2 영역 (A2) 의 흡착공 (221) 에 흡착 유지된다.
계속해서, 정제 (9) 가 제 1 카메라 (40) 의 하방에 도달하면, 제 1 카메라 (40) 는, 정제 (9) 의 제 2 면을 촬영한다. 이에 따라, 정제 (9) 의 제 2 면의 화상 데이터를 취득한다. 취득된 화상 데이터는, 제 1 카메라 (40) 로부터 제어부 (90) 로 송신된다. 또, 제어부 (90) 는, 제 1 카메라 (40) 로부터 수신한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 2 면의 인쇄 전 검사를 실시한다 (스텝 S7). 구체적으로는, 흡착공 (221) 에 있어서의 정제 (9) 의 유무, 정제 (9) 의 표리, 정제 (9) 의 연직축 둘레의 회전 자세, 정제 (9) 의 흡착공 (221) 에 대한 위치 어긋남, 정제 (9) 의 형상 결함의 유무, 등이 검사된다.
다음으로, 정제 (9) 가 인쇄부 (30) 의 하방에 도달하면, 4 개의 헤드 (31) 가, 정제 (9) 의 제 2 면을 향해서 잉크 방울을 토출한다. 이에 따라, 정제 (9) 의 제 2 면에 인쇄 처리가 실시된다. 그 결과, 정제 (9) 의 제 2 면에 화상이 인쇄된다 (스텝 S8). 이 때, 제어부 (90) 는, 상기 서술한 스텝 S7 의 검사 결과에 기초하여, 각 정제 (9) 에 인쇄해야 할 화상을 조정한다. 예를 들어, 표면용의 화상과 이면용의 화상 중, 각 정제 (9) 의 표리에 따라 적절한 화상을 선택하고, 선택된 화상을, 각 정제 (9) 의 회전 자세에 따라 회전시킨다. 그리고, 조정 후의 화상에 기초하여, 헤드 (31) 에 인쇄 신호를 입력한다. 그 결과, 각 정제 (9) 의 제 2 면에, 적절한 화상이 적절한 자세로 인쇄된다.
계속해서, 정제 (9) 가 제 2 카메라 (50) 의 하방에 도달하면, 제 2 카메라 (50) 는, 정제 (9) 의 제 2 면을 촬영한다. 이에 따라, 정제 (9) 의 제 2 면의 화상 데이터를 취득한다. 취득된 화상 데이터는, 제 2 카메라 (50) 로부터 제어부 (90) 로 송신된다. 또, 제어부 (90) 는, 제 2 카메라 (50) 로부터 수신한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 2 면의 인쇄 후 검사를 실시한다 (스텝 S9). 구체적으로는, 제어부 (90) 는, 예를 들어, 제 2 카메라 (50) 로부터 수신한 화상 데이터와, 미리 준비된 정상 화상의 데이터를 비교함으로써, 각 정제 (9) 의 제 2 면에 인쇄된 화상이 정상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계속해서, 정제 (9) 가 건조 기구 (60) 의 위치에 도달하면, 건조 기구 (60) 는, 정제 (9) 의 제 2 면을 향해서, 열풍을 내뿜는다. 이에 따라, 정제 (9) 의 제 2 면에 부착된 잉크가 건조되어, 제 2 면에 잉크가 정착한다 (스텝 S10).
그 후, 정제 (9) 가 반출 슈트 (81) 의 위치에 도달하면, 반송 벨트 (22) 로부터 반출 슈트 (81) 를 통과하여 반출 컨베이어로, 정제 (9) 가 낙하한다. 그리고, 반출 컨베이어에 의해, 정제 (9) 가 정제 인쇄 장치 (1) 의 반송 경로의 외부로 반출된다 (스텝 S11).
이상과 같이, 이 정제 인쇄 장치 (1) 는, 환상의 반송 경로를 따라 정제 (9) 를 반송한다. 그리고, 반송 경로의 일부에 있어서, 정제 (9) 의 표리를 반전시킴과 함께, 정제 (9) 의 폭 방향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반전 기구 (70) 를 구비한다. 이 때문에, 정제 (9) 의 양면에 대해, 반송 방향의 동일한 위치에 있어서, 제 1 카메라 (40) 에 의한 촬영, 인쇄부 (30) 에 의한 인쇄, 제 2 카메라 (50) 에 의한 촬영, 및 건조 기구 (60) 에 의한 건조, 의 각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면에 대한 이들 처리와, 제 2 면에 대한 이들 처리를, 다른 위치에 있어서 실시하는 경우와 비교해서, 정제 인쇄 장치 (1) 의 부품 점수를 저감할 수 있다. 또, 정제 인쇄 장치 (1) 를 소형화 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서는, 1 쌍의 경사 드럼을 사용하여, 정제 (9) 의 표리의 반전과, 폭 방향의 이동을 실현하고 있다. 이 기구에 의하면, 반송 방향의 위치를 변화시키는 일 없이, 정제 (9) 의 표리의 반전과, 폭 방향의 이동을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반전 기구 (70) 에 필요한 반송 방향의 길이를 억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정제 인쇄 장치 (1) 를 보다 소형화 할 수 있다.
<3. 탄성 부재에 의한 효과>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정제 인쇄 장치 (1) 에 있어서는, 각 정제 (9) 를, 복수의 흡착공에 있어서 흡착 유지하고, 또한, 복수의 흡착공의 각각의 가장자리부에 있어서 탄성 부재 (52) 와 접촉시키면서, 정제 (9) 의 표리를 반전시킨다. 이와 같이, 탄성 부재 (52) 를 개재하여 정제 (9) 를 유지하면서 수수하는 것에 의한 효과를 검증한 결과에 대해서, 이하에 기재한다.
도 10 은, 정제 (9) 가 제 1 경사 드럼 (71) 으로부터 제 2 경사 드럼 (72) 으로, 제 3 경사 드럼 (73) 으로부터 제 4 경사 드럼 (74) 으로, 또는 제 5 경사 드럼 (75) 으로부터 제 6 경사 드럼 (76) 으로 수수될 때에, 정제 (9) 가 탈락 또는 파손되는 일 없이 무사하게 수수되는 성공율을 각각 검증한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도 10 은, 종래의 정제 인쇄 장치 (1) 에 있어서, 정제 (9) 가 탄성 부재 (52) 를 개재하지 않고, 금속제의 제 1 경사 드럼 (71) ∼ 제 6 경사 드럼 (76) 의 흡착공의 주연부에 직접적으로 접촉하면서 유지되는 경우와, 본 실시형태의 정제 인쇄 장치 (1) 와 같이, 정제 (9) 가 탄성 부재 (52) 를 개재하여, 제 1 경사 드럼 (71) ∼ 제 6 경사 드럼 (76) 의 흡착공의 주연부에 간접적으로 접촉하면서 유지되는 경우를, 비교한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도 10 에 있어서, 가로축은, 제 1 경사 드럼 (71), 제 3 경사 드럼 (73), 또는 제 5 경사 드럼 (75) 의 각 흡착공이 형성되는 측면과, 이들과 폭 방향으로 인접하는 제 2 경사 드럼 (72), 제 4 경사 드럼 (74), 또는 제 6 경사 드럼 (76) 의 각 흡착공이 형성되는 측면의 사이의 간극을 나타내고 있다. 세로축은, 정제 (9) 가 탈락 또는 파손되는 일 없이 무사하게 수수되는 성공율을 나타내고 있다.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종래의 정제 인쇄 장치 (1) 의 경우, 제 1 경사 드럼 (71), 제 3 경사 드럼 (73), 또는 제 5 경사 드럼 (75) 의 각 흡착공이 형성되는 측면과, 이들과 폭 방향으로 인접하는 제 2 경사 드럼 (72), 제 4 경사 드럼 (74), 또는 제 6 경사 드럼 (76) 의 각 흡착공이 형성되는 측면의 사이의 간극이, 상기 서술한 수수 성공율이 가장 높아질 때의 값으로부터 ±50 미크론 정도 이상 어긋나면, 당해 수수 성공율이 대폭 저하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한편, 본 실시형태의 정제 인쇄 장치 (1) 와 같이, 정제 (9) 가 탄성 부재 (52) 를 개재하여, 제 1 경사 드럼 (71) ∼ 제 6 경사 드럼 (76) 의 흡착공의 주연부에 접촉하면서 유지되는 경우에는, 정제 (9) 가 제 1 경사 드럼 (71) 으로부터 제 2 경사 드럼 (72) 으로, 제 3 경사 드럼 (73) 으로부터 제 4 경사 드럼 (74) 으로, 또는 제 5 경사 드럼 (75) 으로부터 제 6 경사 드럼 (76) 으로 수수될 때에, 상기의 간극이 ±300 미크론 정도 어긋나 있는 경우에도, 높은 수수 성공율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즉, ±300 미크론 정도까지의 어긋남을 허용할 수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 이유로는, 상기 서술한 간극이, 수수 성공율이 가장 높아질 때의 값으로부터 50 미크론 정도 이상 좁아졌을 경우에도, 탄성 부재 (52) 의 탄성에 의해 정제 (9) 에 과도한 부하가 걸리는 것이 억제되어, 파손이 생기기 어려워지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또, 상기 서술한 간극이, 수수 성공율이 가장 높아질 때의 값으로부터 50 미크론 정도 이상 넓어진 경우, 즉 정제 (9) 를 흡착 유지하는 흡착공으로부터 정제 (9) 가 떨어진 경우에도, 정제 (9) 와 탄성 부재 (52) 의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정제 (9) 가 계속 유지되어, 탈락하기 어려워지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도 11 은, 정제 (9) 가 제 2 경사 드럼 (72), 제 4 경사 드럼 (74), 또는 제 6 경사 드럼 (76) 으로부터 반송 벨트 (22) 의 제 2 영역 (A2) 으로 수수될 때에, 정제 (9) 가 탈락 또는 파손되는 일 없이 무사하게 수수되는 성공율을 각각 검증한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도 11 은, 종래의 정제 인쇄 장치 (1) 에 있어서, 정제 (9) 가 탄성 부재 (52) 를 개재하지 않고, 금속제의 제 1 경사 드럼 (71) ∼ 제 6 경사 드럼 (76) 의 흡착공의 주연부에 직접적으로 접촉하면서 유지되는 경우와, 본 실시형태의 정제 인쇄 장치 (1) 와 같이, 정제 (9) 가 탄성 부재 (52) 를 개재하여, 제 1 경사 드럼 (71) ∼ 제 6 경사 드럼 (76) 의 흡착공의 주연부에 간접적으로 접촉하면서 유지되는 경우를, 비교한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도 11 에 있어서, 가로축은, 제 2 경사 드럼 (72), 제 4 경사 드럼 (74), 또는 제 6 경사 드럼 (76) 의 각 흡착공이 형성되는 측면과, 이들과 대향하는 반송 벨트 (22) 의 제 2 영역 (A2) 의 사이의 간극을 나타내고 있다. 세로축은, 정제 (9) 가 탈락 또는 파손되는 일 없이 무사하게 수수되는 성공율을 나타내고 있다.
도 1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종래의 정제 인쇄 장치 (1) 의 경우, 제 2 경사 드럼 (72), 제 4 경사 드럼 (74), 또는 제 6 경사 드럼 (76) 의 각 흡착공이 형성되는 측면과, 이들과 대향하는 반송 벨트 (22) 의 제 2 영역 (A2) 과의 사이의 간극이, 상기 서술한 수수 성공율이 가장 높아질 때의 값으로부터 ±50 미크론 정도 이상 어긋나면, 당해 수수 성공율이 대폭 저하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한편, 본 실시형태의 정제 인쇄 장치 (1) 와 같이, 정제 (9) 가 탄성 부재 (52) 를 개재하여, 제 2 경사 드럼 (72), 제 4 경사 드럼 (74), 또는 제 6 경사 드럼 (76) 의 흡착공의 주연부에 접촉하면서 유지되는 경우에는, 정제 (9) 가 제 2 경사 드럼 (72), 제 4 경사 드럼 (74), 또는 제 6 경사 드럼 (76) 으로부터 반송 벨트 (22) 의 제 2 영역 (A2) 으로 수수될 때에, 상기의 간극이 ±100 미크론 정도 어긋나 있는 경우에도, 높은 수수 성공율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즉, ±100 미크론 정도까지의 어긋남을 허용할 수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 이유로는, 상기 서술한 간극이, 수수 성공율이 가장 높아질 때의 값으로부터 50 미크론 정도 이상 좁아졌을 경우에도, 탄성 부재 (52) 의 탄성에 의해 정제 (9) 에 과도한 부하가 걸리는 것이 억제되어, 파손이 생기기 어려워지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또, 상기 서술한 간극이, 수수 성공율이 가장 높아질 때의 값으로부터 50 미크론 정도 이상 넓어진 경우, 즉 정제 (9) 를 흡착 유지하는 흡착공으로부터 정제 (9) 가 떨어진 경우에도, 정제 (9) 와 탄성 부재 (52) 의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정제 (9) 가 계속 유지되어, 탈락하기 어려워지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4. 변형예>
이상, 본 발명의 주된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서는, 각 경사 드럼에 장착된 1 개의 탄성 부재 (52) 의 외주면에, 복수의 흡착공이, 원환상 또한 등각도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었다. 그러나, 각 경사 드럼에 있어서, 복수의 흡착공이 형성되고, 또한 흡착공마다 탄성 부재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도 12 는, 본 변형예에 관련된 베이스 부재 (51) 의 베이스면 (511) 부근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1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변형예에서는, 경사 드럼의 베이스면 (511) 에 의해 형성되는 측면에, 복수의 흡착공 (101) 이 형성되어 있다. 본 변형예에서는, 9 개의 흡착공 (101) 이 형성되어 있다. 또, 복수의 탄성 부재 (102) 가, 각 흡착공 (101) 의 주연부에 접착에 의해 고정되고, 또한, 제 3 축 (C3) 을 중심으로 원환상으로 배열되어 있다. 이 경우에도, 정제 (9) 를, 흡착공 (101) 에 있어서 흡착 유지하고, 또한, 흡착공 (101) 의 가장자리부에 있어서 탄성 부재 (102) 와 접촉시키면서, 정제 (9) 의 표리를 반전시킬 수 있다. 이 결과, 상기의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정제 (9) 가 탈락하거나, 또는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반전 기구는, 적어도 복수의 흡착공의 각각의 가장자리부에 있어서 정제 (9) 와 접촉하는 탄성 부재를 갖고 있으면 된다. 이에 따라, 정제 (9) 가 탈락하거나, 또는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변형예에서는, 각 경사 드럼에 있어서의 탄성 부재 (52) 의 사용량을 억제할 수 있어, 비용 삭감으로 이어진다.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서는, 반전 기구 (70) 가, 정제 (9) 의 표리를 반전시킴과 함께, 정제 (9) 의 폭 방향의 위치를 이동시키고 있었다. 그러나, 반전 기구 (70) 는, 정제 (9) 의 폭 방향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일 없이, 정제 (9) 의 표리를 반전시키는 것이어도 된다. 도 13 은, 그러한 반전 기구 (70) 를 구비한 정제 인쇄 장치 (1) 의 측면도이다.
이 예에서는, 반송 벨트 (22) 의 유지면 (220) 에, 반전 전의 정제 (9) 와, 반전 후의 정제 (9) 가, 반송 방향으로 번갈아 배열된다. 제 1 블로우 기구 (B1) 는, 반전 전의 정제 (9) 가 반전 위치에 도달하면, 당해 정제 (9) 를 향해서 기체를 내뿜는다. 이에 따라, 반송 벨트 (22) 에 유지되면서 반송되는 복수의 정제 (9) 중, 반전 전의 정제 (9) 만이, 반전 기구 (70) 로 수수된다.
도 13 의 반전 기구 (70) 는,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의 반전 기구 (70) 와 동등한 구성을 갖는다. 단, 도 13 의 예에서는, 제 1 경사 드럼 (71) 과 제 2 경사 드럼 (72) 이, 반송 방향으로 인접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반송 벨트 (22) 로부터 정제 (9) 를 수취한 반전 기구 (70) 는, 정제 (9) 의 표리를 반전시키면서, 반전 후의 정제 (9) 를, 반송 벨트 (22) 의 흡착공 (221) 으로 수수한다. 그리고, 반전 기구 (70) 는, 반송 경로에 있어서의 정제 (9) 의 반송 방향의 위치를 이동시킨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도, 1 개의 반송 기구 (20) 중에서, 정제 (9) 의 양면에 대해, 제 1 카메라 (40) 에 의한 촬영, 인쇄부 (30) 에 의한 인쇄, 제 2 카메라 (50) 에 의한 촬영, 및 건조 기구 (60) 에 의한 건조, 의 각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면에 대한 이들 처리와, 제 2 면에 대한 이들 처리를, 다른 반송 기구에 있어서 실시하는 경우와 비교해서, 정제 인쇄 장치 (1) 의 부품 점수를 저감할 수 있다. 또, 정제 인쇄 장치 (1) 를 소형화 할 수 있다.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의 각 경사 드럼은, 복수의 작은 구멍인 흡착공을 갖고 있었다. 그러나, 도 1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경사 드럼은, 외주면인 측면에, 원환상의 흡착 슬릿을 갖고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제 1 경사 드럼 (871) 은, 제 1 측면 (810) 에, 제 1 축 (C1) 을 중심으로 하는 원환상의 흡착 슬릿 (811) 을 갖고 있어도 된다. 또, 제 2 경사 드럼 (872) 은, 제 2 측면 (820) 에, 제 2 축 (C2) 을 중심으로 하는 원환상의 흡착 슬릿 (821) 을 갖고 있어도 된다. 그리고, 이들 흡착 슬릿 (811, 821) 에, 복수의 정제 (9) 를 흡착 유지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하면, 흡착 슬릿 (811, 821) 의 임의의 위치에 있어서, 정제 (9) 를 흡착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정제 (9) 의 수수 시에, 정제 (9) 에 다소의 위치 어긋남이 있었다고 해도, 정제 (9) 를 흡착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마찬가지로, 흡착 슬릿 (811, 821) 의 가장자리부에 있어서 각 정제 (9) 와 접촉하는 탄성 부재 (852) 가 형성되어 있으면 된다. 그리고, 반전 기구 (870) 는, 흡착 슬릿 (811, 821) 에 있어서 정제 (9) 를 흡착하고, 또한, 흡착 슬릿 (811, 821) 의 가장자리부를 구성하는 탄성 부재 (852) 에 정제 (9) 를 접촉시킴으로써 유지하면서, 정제 (9) 의 표리를 반전시킨다. 이에 따라, 정제 (9) 가 탈락하거나, 또는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흡착 슬릿은, 각 경사 드럼의 외주면인 측면에 있어서, 원호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단,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와 같이, 작은 구멍인 흡착공 (711, 721) 으로 정제 (9) 를 흡착 유지하는 쪽이, 흡착 후의 정제 (9) 의 위치 어긋남이 잘 발생하지 않는다는 메리트가 있다.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서는, 반송 방향으로 보았을 때의, 제 1 경사 드럼 (71) 의 정각과, 제 2 경사 드럼 (72) 의 정각은, 모두 90° 였다. 그러나, 제 1 경사 드럼 (71) 의 정각 및 제 2 경사 드럼 (72) 의 정각은, 반드시 90° 가 아니어도 된다. 단, 동일한 유지면 (220) 에 있어서, 정제 (9) 를 반전시키면서 이동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반송 방향으로 보았을 때의 제 1 경사 드럼 (71) 의 정각과 제 2 경사 드럼 (72) 의 정각의 합을, 180° 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반송 방향으로 보았을 때의 제 1 경사 드럼 (71) 의 정각을 60° 로 하고, 반송 방향으로 보았을 때의 제 2 경사 드럼 (72) 의 정각을 120° 로 해도 된다.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제 1 경사 드럼 (71) ∼ 제 6 경사 드럼 (76) 은, 모두, 원추 형상의 측면을 갖고 있었다. 그러나, 제 1 경사 드럼 (71) ∼ 제 6 경사 드럼 (76) 의 측면의 형상은, 사각추, 육각추, 팔각추 등의 다각추 형상이어도 된다.
또,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인쇄부 (30) 에, 4 개의 헤드 (31) 가 형성되어 있었다. 그러나, 인쇄부 (30) 에 포함되는 헤드 (31) 의 수는, 1 ∼ 3 이어도 되고, 5 이상이어도 된다.
또,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의 정제 인쇄 장치 (1) 는, 반송 기구 (20) 의 반송 경로 상에 있어서 정제 (9) 에 처리를 실시하는 처리부로서, 인쇄부 (30), 제 1 카메라 (40), 제 2 카메라 (50), 및 건조 기구 (60) 를 구비하고 있었다. 그러나, 정제 인쇄 장치 (1) 는, 이들 처리부 중 일부만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또, 정제 인쇄 장치 (1) 는, 다른 처리부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또,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서는 환상의 반송 경로를 따라 정제 (9) 를 반송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입상물 처리 장치는, 환상이 아닌 반송 경로를 따라 입상물을 반송하면서, 그 반송 경로의 일부에 있어서, 입상물을 반전시키면서, 입상물의 폭 방향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반전 기구를 갖는 것이어도 된다.
또, 장치 내의 세부의 구성에 대해서는, 본원의 각 도면과 상이해도 된다. 또,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나 변형예에 등장한 각 요소를, 모순이 생기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히 조합해도 된다.
1 : 정제 인쇄 장치
9 : 정제
10 : 반입 기구
11 : 반입 드럼
20 : 반송 기구
21 : 풀리
22 : 반송 벨트
23 : 반송용 모터
24 : 흡인 기구
30 : 인쇄부
31 : 헤드
40 : 제 1 카메라
50 : 제 2 카메라
51 : 베이스 부재
52 : 탄성 부재
53 : 누름 부재
54 : 나사
60 : 건조 기구
70 : 반전 기구
71 : 제 1 경사 드럼
71M : 제 1 모터
72 : 제 2 경사 드럼
72M : 제 2 모터
73 : 제 3 경사 드럼
73M : 제 3 모터
74 : 제 4 경사 드럼
74M : 제 4 모터
75 : 제 5 경사 드럼
75M : 제 5 모터
76 : 제 6 경사 드럼
76M : 제 6 모터
80 : 반출 기구
81 : 반출 슈트
90 : 제어부
101 : 흡착공
102 : 탄성 부재
220 : 유지면
221 : 흡착공
510 : 베이스 관통공
511 : 베이스면
512 : 플랜지부
513 : 선단 돌출부
514 : 나사구멍
520 : 관통공
530 : 오목부
531 : 플랜지부
532 : 관통공
710 : 제 1 측면
711 : 제 1 흡착공
720 : 제 2 측면
721 : 제 2 흡착공
810 : 제 1 측면
811 : 흡착 슬릿
820 : 제 2 측면
821 : 흡착 슬릿
852 : 탄성 부재
870 : 반전 기구
871 : 제 1 경사 드럼
872 : 제 2 경사 드럼
A1 : 제 1 영역
A2 : 제 2 영역
B1 : 제 1 블로우 기구
B2 : 제 2 블로우 기구
B3 : 제 3 블로우 기구
B4 : 제 4 블로우 기구

Claims (20)

  1. 입상물의 표면에 소정의 처리를 실시하는 입상물 처리 장치로서,
    입상물을 유지하면서, 반송 경로를 따라 입상물을 반송하는 반송 기구와,
    상기 반송 기구의 상기 반송 경로 상의 처리 위치에 있어서, 입상물의 제 1 면 또는 제 2 면에, 상기 소정의 처리를 실시하는 처리부와,
    상기 반송 기구의 상기 반송 경로 상의 반전 위치에 있어서, 입상물의 표리를 반전시키는 반전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반전 기구는,
    복수의 입상물이 흡착 유지되는, 복수의 흡착공 또는 흡착 슬릿과,
    적어도 상기 복수의 흡착공 또는 상기 흡착 슬릿의 각각의 가장자리부에 있어서 입상물과 접촉하는 탄성 부재를 갖는, 입상물 처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전 기구는,
    상기 반송 경로의 폭 방향에 대해 경사진 제 1 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추 형상 또는 각추 형상의 제 1 측면을 갖는 제 1 경사 드럼과,
    상기 제 1 경사 드럼에 인접하고, 상기 폭 방향에 대해 경사진 제 2 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추 형상 또는 각추 형상의 제 2 측면을 갖는 제 2 경사 드럼을 갖고,
    상기 제 1 경사 드럼은, 상기 제 1 측면에, 상기 제 1 축을 중심으로 원환상 (圓環狀) 으로 배열된 상기 복수의 흡착공 또는 상기 제 1 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환상의 상기 흡착 슬릿을 갖고,
    상기 제 2 경사 드럼은, 상기 제 2 측면에, 상기 제 2 축을 중심으로 원환상으로 배열된 상기 복수의 흡착공 또는 상기 제 2 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환상의 상기 흡착 슬릿을 갖고,
    상기 제 1 경사 드럼은, 상기 반송 기구로부터 수수되는 입상물을, 상기 제 1 측면에 흡착 유지하면서 회전하여, 상기 제 2 경사 드럼으로 입상물을 수수하고,
    상기 제 2 경사 드럼은, 상기 제 1 경사 드럼으로부터 수수되는 입상물을, 상기 제 2 측면에 흡착 유지하면서 회전하여, 상기 반송 기구로 입상물을 수수하는, 입상물 처리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경사 드럼 및 상기 제 2 경사 드럼은, 각각,
    경사 드럼 본체와,
    상기 경사 드럼 본체에 대해 착탈 가능하고, 상기 복수의 흡착공 또는 상기 흡착 슬릿을 갖는 상기 탄성 부재를 갖는, 입상물 처리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 드럼 본체는,
    베이스 부재와,
    상기 베이스 부재의 정부 (頂部) 에 고정되는 누름 부재를 갖고,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제 1 축 또는 상기 제 2 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환상이고, 상기 베이스 부재와 상기 누름 부재의 사이에 협지 (挾持) 되는, 입상물 처리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경사 드럼 및 상기 제 2 경사 드럼은, 상기 복수의 흡착공을 가짐과 함께, 상기 흡착공마다 형성된 복수의 상기 탄성 부재를 갖고,
    상기 복수의 탄성 부재가, 상기 제 1 축 또는 상기 제 2 축을 중심으로 원환상으로 배열되어 있는, 입상물 처리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 기구는, 환상의 상기 반송 경로를 따라 입상물을 반송하고,
    상기 반전 기구는, 입상물의 표리를 반전시킴과 함께, 상기 반송 경로에 있어서의 입상물의 폭 방향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입상물 처리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 기구는, 입상물을 흡착 유지하는 상기 복수의 흡착공 또는 흡착 슬릿이 폭 방향으로 복수 배열된 유지면을, 상기 반송 경로를 따라 회동시키고,
    상기 유지면은, 상기 폭 방향으로 인접하는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을 갖고,
    상기 반전 기구는, 상기 제 1 영역의 흡착공 또는 흡착 슬릿에 유지된 입상물을, 상기 제 2 영역의 흡착공 또는 흡착 슬릿으로 이동시키는, 입상물 처리 장치.
  8. 제 2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 기구의 반송 방향으로 보았을 때의, 상기 제 1 경사 드럼의 정각 (頂角) 과 상기 제 2 경사 드럼의 정각의 합은, 180° 인, 입상물 처리 장치.
  9. 제 2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 기구의 반송 방향으로 보았을 때의, 상기 제 1 경사 드럼의 정각 및 상기 제 2 경사 드럼의 정각은, 모두 90° 인, 입상물 처리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경사 드럼과 상기 제 2 경사 드럼은, 동일한 형상 및 크기를 갖는, 입상물 처리 장치.
  11. 제 2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측면에 있어서의 입상물의 흡착력은, 상기 제 1 측면에 있어서의 입상물의 흡착력보다 큰, 입상물 처리 장치.
  12.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 기구는, 환상의 상기 반송 경로를 따라 입상물을 반송하고,
    상기 반전 기구는, 입상물의 표리를 반전시킴과 함께, 상기 반송 경로에 있어서의 입상물의 반송 방향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입상물 처리 장치.
  13.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입상물의 표면에 잉크젯 방식으로 인쇄를 실시하는 인쇄부를 포함하는, 입상물 처리 장치.
  14.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입상물의 표면을 촬영하는 카메라를 포함하는, 입상물 처리 장치.
  15.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상물은 정제 (錠劑) 인, 입상물 처리 장치.
  1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실리콘 고무제인, 입상물 처리 장치.
  17. 입상물의 표면에 소정의 처리를 실시하는 입상물 처리 방법으로서,
    a) 반송 경로에 입상물을 반입하는 공정과,
    b) 상기 공정 a) 의 후에, 상기 반송 경로를 따라 입상물을 반송하면서, 상기 반송 경로 상의 처리 위치에 있어서, 입상물의 제 1 면에 상기 소정의 처리를 실시하는 공정과,
    c) 상기 공정 b) 의 후에, 상기 반송 경로 상의 반전 위치에 있어서, 입상물의 표리를 반전시키는 공정과,
    d) 상기 공정 c) 의 후에, 상기 반송 경로를 따라 입상물을 반송하면서, 상기 처리 위치에 있어서, 입상물의 제 2 면에 상기 소정의 처리를 실시하는 공정과,
    e) 상기 공정 d) 의 후에, 상기 반송 경로로부터 입상물을 반출하는 공정을 갖고,
    상기 공정 c) 에서는, 흡착공 또는 흡착 슬릿에 입상물을 흡착하고, 또한, 상기 흡착공 또는 상기 흡착 슬릿의 가장자리부를 구성하는 탄성 부재에 입상물을 접촉시킴으로써 유지하면서, 입상물의 표리를 반전시키는, 입상물 처리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 b) 및 상기 공정 d) 에서는, 환상의 상기 반송 경로를 따라 입상물을 반송하고,
    상기 공정 c) 에서는, 입상물의 표리를 반전시킴과 함께, 상기 반송 경로에 있어서의 입상물의 폭 방향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입상물 처리 방법.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 b) 및 상기 공정 d) 에서는, 환상의 상기 반송 경로를 따라 입상물을 반송하고,
    상기 공정 c) 에서는, 입상물의 표리를 반전시킴과 함께, 상기 반송 경로에 있어서의 입상물의 반송 방향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입상물 처리 방법.
  20. 제 17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실리콘 고무제인, 입상물 처리 방법.
KR1020200066943A 2019-06-28 2020-06-03 입상물 처리 장치 및 입상물 처리 방법 KR2021000193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121483A JP7166990B2 (ja) 2019-06-28 2019-06-28 粒状物処理装置および粒状物処理方法
JPJP-P-2019-121483 2019-06-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1931A true KR20210001931A (ko) 2021-01-06

Family

ID=738877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6943A KR20210001931A (ko) 2019-06-28 2020-06-03 입상물 처리 장치 및 입상물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7166990B2 (ko)
KR (1) KR20210001931A (ko)
CN (1) CN112140736A (ko)
TW (1) TW20210380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2100004661A1 (it) * 2021-03-01 2022-09-01 Bacco S R L Sistema di controllo automatizzato del peso e della forma di un confetto e confetti così ottenuti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06929B2 (ja) * 2019-09-13 2023-07-11 株式会社Screenホールディングス 搬送処理装置および搬送処理方法
JP2022162690A (ja) * 2021-04-13 2022-10-25 理想科学工業株式会社 搬送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200495A (ja) 2016-05-02 2017-11-09 株式会社京都製作所 錠剤印刷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47541A (ja) * 1984-08-13 1986-03-08 Miyuuchiyuaru:Kk 固形物の外面検査方法
JPH01193630A (ja) * 1988-01-28 1989-08-03 Nikka Densoku Kk 粒状物搬送および検査装置
JP3758004B2 (ja) * 1997-08-06 2006-03-22 シオノギクオリカプス株式会社 錠剤の外観検査装置
JP4035679B2 (ja) * 1999-07-23 2008-01-23 クオリカプス株式会社 錠剤の側面検査装置、及び表裏面検査装置、並びにこれらを用いた錠剤の外観検査装置
JP3846532B2 (ja) * 1999-09-01 2006-11-15 クオリカプス株式会社 錠剤の側面検査装置及び該側面検査装置を用いた錠剤の外観検査装置
JP2004018176A (ja) * 2002-06-17 2004-01-22 Eisai Co Ltd 容器の姿勢変換装置
JP2014223946A (ja) * 2013-04-25 2014-12-04 シミックCmo株式会社 Ptpシートの製造システムおよび製造方法
JP6357351B2 (ja) * 2014-05-28 2018-07-11 株式会社Screenホールディングス 錠剤印刷装置および錠剤印刷方法
JP6644648B2 (ja) * 2016-06-27 2020-02-12 株式会社Screenホールディングス 錠剤印刷装置および錠剤印刷方法
JP6325699B2 (ja) * 2017-01-11 2018-05-16 株式会社Screenホールディングス 錠剤印刷装置
JP6510102B1 (ja) * 2018-03-12 2019-05-08 株式会社Screenホールディングス 粒状物処理装置および粒状物処理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200495A (ja) 2016-05-02 2017-11-09 株式会社京都製作所 錠剤印刷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2100004661A1 (it) * 2021-03-01 2022-09-01 Bacco S R L Sistema di controllo automatizzato del peso e della forma di un confetto e confetti così ottenuti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140736A (zh) 2020-12-29
JP7166990B2 (ja) 2022-11-08
JP2021007473A (ja) 2021-01-28
TW202103807A (zh) 2021-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5198754A1 (ja) 錠剤印刷装置および錠剤印刷方法
CN111836612B (zh) 粒状物处理装置及粒状物处理方法
KR20210001931A (ko) 입상물 처리 장치 및 입상물 처리 방법
KR102232362B1 (ko) 반송 장치 및 반송 방법
JP7411844B2 (ja) 搬送処理装置および搬送処理方法
WO2020090436A1 (ja) 粒状物搬送装置および粒状物処理装置
JP2024045130A (ja) 搬送処理装置
JP7336000B2 (ja) 粒状物処理装置および粒状物処理方法
JP6804571B2 (ja) 粒状物処理装置および粒状物処理方法
JP6753978B2 (ja) 粒状物処理装置および粒状物処理方法
WO2020085187A1 (ja) 搬送装置および搬送方法
WO2019181071A1 (ja) 搬送装置および搬送方法
JP7076523B2 (ja) 粒状物処理装置および粒状物処理方法
JP2023108170A (ja) 粒状物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