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43492A -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 통신 모듈, 차량, 서버, 차량 원격 제어 방법, 차량 원격 제어 프로그램 및 기억 매체 - Google Patents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 통신 모듈, 차량, 서버, 차량 원격 제어 방법, 차량 원격 제어 프로그램 및 기억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43492A
KR20200143492A KR1020207034794A KR20207034794A KR20200143492A KR 20200143492 A KR20200143492 A KR 20200143492A KR 1020207034794 A KR1020207034794 A KR 1020207034794A KR 20207034794 A KR20207034794 A KR 20207034794A KR 20200143492 A KR20200143492 A KR 202001434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state
remote control
communication module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347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26501B1 (ko
Inventor
도쿠시 나카시마
가츠요시 구라하시
Original Assignee
글로벌모빌리티서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글로벌모빌리티서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글로벌모빌리티서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70366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4648B1/ko
Publication of KR202001434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34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65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65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4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60R25/08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brakes or brake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30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 B60R25/305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using a camer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30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 B60R25/31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of human presence inside or outside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30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 B60R25/33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of global position, e.g. by providing GPS coordin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30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 B60R25/34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of conditions of vehicle components, e.g. of windows, door locks or gear selecto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08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communicating information to a remotely located s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2Reservations, e.g. for tickets, services or ev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2Aspects of commerce using mobile devices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240/00Transportation facility access, e.g. fares, tolls or pa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45Rental transactions; Leasing transactions
    • G06Q50/40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의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은, 차량의 ECU와 통신하여 상기 차량의 차량 정보를 수집하는 통신 모듈과, 상기 통신 모듈로부터 수신한 상기 차량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의 기동 불가 상태와 기동 가능 상태를 전환하는 기동 상태 제어 지령을 연산하는 서버로 이루어지는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으로서, 상기 서버는 차량 정보 수집 수단과, 상기 기동 상태 제어 지령을 연산하고, 상기 통신 모듈에 상기 기동 상태 제어 지령을 출력하는 원격 제어 지시 수단을 가지며, 상기 통신 모듈에 의해 상기 차량의 기동 불가 상태와 기동 가능 상태가 전환되는 조건은, 상기 차량의 동력이 오프인 것에 더하여, 적어도 (1) 상기 차량이 정지되어 있을 것, (2) 상기 차량이 공도에 정지되어 있지 않을 것, 또는 (3) 상기 차량이 소정의 주차장에 정지되어 있을 것 중 어느 것을 충족하고 있는 경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 통신 모듈, 차량, 서버, 차량 원격 제어 방법, 차량 원격 제어 프로그램 및 기억 매체
본 발명은 원격 제어 기능이 있는 통신 모듈을 탑재하는 차량을 제공하는 서비스에 이용하는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자동차 판매나 자동차 리스(lease)의 업계에 있어서는, 엄격한 파이낸스 여신 심사를 통과하지 못하면 차량을 입수할 수 없었지만, 오늘날에는, 지불 능력은 있지만 종래의 여신 심사에는 통과하지 못했던 층에 대해서, 여신 심사를 생략하여 차량을 제공하고, 소정의 기한 내에 이용 요금(예를 들면 월액 요금)의 지불이 없는 경우에는, 차량을 원격으로 정지시키는 것과 함께, 해당 차량의 위치를 특정하여 회수하는 서비스가 제안되고 있다.
이와 같은 서비스를 실현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특허문헌 1에는, 차량에 원격 제어 기능이 있는 차재기기를 탑재하고, 이 차재기기를 네트워크에 통신 접속하여, 서버로부터 차량을 원격 제어하거나, 차량의 정보를 서버로 수집하거나 하는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네트워크에 접속된 차량을, 커넥티드 카라고 칭한다. 이 시스템에서는, 유저에 의한 소정 기한 내의 이용료의 지불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혹은, 차량의 도난을 검출했을 경우에는, 서버로부터의 지령에 의해 차량의 기동 제한을 행하는 것이다.
또한, 특허문헌 2에는, 오토론(auto loan), 오토리스(auto lease)를 위한 원격 제어 시스템으로서, 론 대금 또는 리스 요금의 지불이 없는 경우에 대상 차량의 엔진의 시동을 불가능하게 하도록 릴레이 스위치 장치를 제어하고, 또한, 송수신용 안테나나 GPS 안테나가 떼어내지면, 상기 릴레이 스위치 장치를 제어하여 엔진의 시동이 불가능한 잠금 상태로 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3 내지 5에는, 도난 방지 장치에 있어서, 원격 조작에 의해 차량을 기동 불능으로 제어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3에는, 인공위성을 이용한 건설기계용의 도난 방지 시스템으로서, 건설기계가 도난을 당한 것이 판명된 시점에서 건설기계의 관리자의 PC 단말로부터 인공위성을 통해서 건설기계의 위성통신 유닛에 정지 신호를 송신함으로써, 원격지의 건설기계에 대해 엔진의 시동을 불가능하게 하거나, 엔진을 정지시키거나, 기체의 유압 조작을 할 수 없게 되도록 제어하는 것과 함께, 만일 불법 침입자가 케이블을 이용하여 배터리와 엔진 스타터 모터를 직결하여, 엔진을 시동시킬 수 있었다고 해도, 각 리모컨 밸브의 유압 조작을 할 수 없게 되도록 제어되고 있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건설기계를 조작하는 것을 할 수 없게 하는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4에는, 휴대 전화로부터 무선 기지국을 통해서 해당 차량의 통신 ECU에 요구 신호를 송신하고, 통신 ECU로부터의 요구 신호를 받은 리모트 ECU는 해당 차량에 탑재된 기기 중 특정 기기의 사용을 불가능하게 하여, 차량의 키를 도난 당한 경우라도, 도난에 대해 유효한 대책을 취할 수 있는 차량 원격 조작 시스템으로서, 리모트 ECU는 차량 LAN에 의해서 도어록 ECU, 이모빌라이저 ECU, 스마트 ECU 등의 각 ECU에 접속되어 있는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5에는, 휴대 전화로부터 도난 방지 서비스 센터를 통해서 차량의 도난 방지 제어 회로에 도난 통보 신호를 송신하면, 해당 도난 방지 제어 회로는 해당 차량의 속도 "0"인 것을 조건으로 엔진 재시동 금지 지령을 엔진 제어 회로에 공급하여, 엔진을 재시동할 수 없는 상태로 설정하는 차량 도난 방지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국제공개특허 WO2016/167350 A1 일본 특개 2014-146120호 공보 일본 특허 제3597772호 공보 일본 특허 제4534455호 공보 일본 특개 2002-59812호 공보
특허문헌 1에서는, 통상은 ECU/VCU와 조작계가 직접 연결되어 있는 것에 대해, 차재기기인 MCCS가 ECU/VCU와 조작계의 사이에 삽입되어 있음으로써, MCCS가 ECU/VCU의 정보 컨트롤에 개입함으로써 조작계를 제어할 수 있다. 그렇지만, MCCS를 ECU/VCU와 조작계의 사이에 삽입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배선을 큰 폭으로 변경할 필요가 발생하는 것에 더하여, MCCS 및 그 배선에 대한 신뢰성이 조작계의 제어에 직접 영향을 주기 때문에, MCCS 및 그 배선에 대해 설계상의 제약이 커진다. 게다가, 특허문헌 1에서는, 주행중이나 엔진의 시동중에 엔진의 시동을 불가능하게 하는 지령을 받았을 경우의 안전성에 대해서, 충분히 검토되어 있지 않았다.
다음으로, 특허문헌 2에서는, 주행중이나 엔진의 시동중에 엔진의 시동을 불가능하게 하는 지령을 받았을 경우의 안전성까지는 검토되어 있지 않다. 일본 도로 운송 차량법 제46조의 규정을 고려하면, 공도(公道)에서는 차량의 원격 제어를 행하지 않을 것이나, 주차 내지 정차한 상태에서 차량의 원격 제어를 행할 것이, 차량의 기동 상태를 제어하는 경우에 요구된다.
또한, 특허문헌 3 내지 5에서는, 차량의 운전 금지 상태로부터 재기동하는 것까지는 고려되어 있지 않다. 또한, 특허문헌 3 및 4에서는, 주행중이나 엔진의 시동중에 운전 금지 신호를 수신했을 경우의 안전성까지는 검토되어 있지 않다. 또한, 특허문헌 5에서는, 차속 "0"을 조건으로 하여 운전 금지를 행하지만, 차량 주행중의 경우에는 도로상에서 운전 금지 상태가 되는 경우도 발생하기 때문에, 다른 차량의 교통을 방해할 우려가 있다.
이와 같은 특허문헌 1 내지 5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본 출원인은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을 위한 차재기기 및 그 차량으로의 접속에 대해 검토를 거듭하는 것과 함께, 차량의 기동 상태 제어를 안전하게 행하기 위한 조건 등을 여러 가지로 검토함으로써, 근래 차량에 탑재가 진행되어 온 데이터 통신 모듈(Data Communication Module, 이하 「DCM」라고 함.)을 활용하는 것에 더하여, 통신 모듈로서의 DCM을 통해서, 각종 차재 ECU에 의해 수집한 정보를 이용함으로써 차량의 기동 상태 제어를 안전하게 행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의 각 실시 형태에 따른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의 각 실시 형태의 목적은, DCM 등의 통신 모듈을 차량의 ECU와 차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서 접속함으로써, 다양한 차량 정보를 수집하는 것과 함께, 수집된 차량 정보를 이용하여 적절한 차량의 기동 상태 제어, 즉, 공도에서는 차량의 원격 제어를 행하지 않는 것이나, 주차 내지 정차한 상태에서 차량의 원격 제어를 행하는 것을 실현한 차량의 기동 상태 제어를 가능하게 하는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각 실시 형태의 목적은, 이하의 구성에 의해서 달성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은, 차량의 ECU와 통신하여 상기 차량의 차량 정보를 수집하는 통신 모듈과,
상기 통신 모듈로부터 수신한 상기 차량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의 기동 불가 상태와 기동 가능 상태를 전환하는 기동 상태 제어 지령을 연산하는 서버
로 이루어지는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으로서,
상기 서버는,
상기 통신 모듈로부터 상기 차량 정보를 수집하는 차량 정보 수집 수단과,
상기 차량 정보 수집 수단에 의해 수집한 상기 차량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기동 상태 제어 지령을 연산하고, 상기 통신 모듈에 상기 기동 상태 제어 지령을 출력하는 원격 제어 지시 수단을 가지며,
상기 통신 모듈에 의해 상기 차량의 기동 불가 상태와 기동 가능 상태가 전환되는 조건은, 상기 차량의 동력이 오프인 것에 더하여, 적어도
(1) 상기 차량이 정지되어 있을 것,
(2) 상기 차량이 공도에 정지되어 있지 않을 것, 또는
(3) 상기 차량이 소정의 주차장에 정지되어 있을 것
중 어느 것을 충족하고 있는 경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의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은, 제1 양태의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1)의 조건은, 적어도
(1-1) 상기 차량의 도어가 잠금되어 있을 것,
(1-2) 상기 차량에 사람이 승차하고 있지 않을 것,
(1-3) 상기 차량의 사이드 브레이크가 파킹 위치에 있을 것,
(1-4) 상기 차량의 차내 카메라에 의해서 사람이 검지되고 있지 않을 것, 또는
(1-5) 상기 차량의 인체 감지 센서에 의해서 사람이 검지되고 있지 않을 것
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3 양태의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은, 제1 또는 제2 양태의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2)의 조건은, 적어도
(2-1) 상기 차량의 차재 센서에 의해 소정의 차선이 검지되고 있지 않을 것, 또는
(2-2) 상기 차량의 위치 정보에 의해 상기 차량이 지도 상에서 공도에 정지되어 있지 않을 것
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4 양태의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은, 제1~제3 중 어느 양태의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3)의 조건은, 적어도
(3-1) 상기 차량의 위치 정보에 의해 상기 차량이 지도 상에서 소정의 주차장에 정지되어 있을 것, 또는
(3-2) 지오펜스(GeoFense)에 의해 상기 차량이 소정의 주차장에 정지되어 있을 것
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5 양태의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은, 제1~제4 중 어느 양태의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기동 불가 상태와 기동 가능 상태가 전환되는 조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원격 제어 지시 수단에 의해 판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6 양태의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은, 제1~제4 중 어느 양태의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기동 불가 상태와 기동 가능 상태가 전환되는 조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통신 모듈에 의해 판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7 양태의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은, 제1~제6 중 어느 양태의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관리자 단말, 금융 시스템, 또는 유저 단말 중 적어도 하나와 통신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8 양태의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은, 제1~제7 중 어느 양태의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듈은, 추가로 유저 단말 또는 IC 카드를 통해서 기동 상태 제어 지령을 입력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9 양태의 통신 모듈은, 차량의 ECU와 통신하여 상기 차량의 차량 정보를 수집하는 것과 함께, 상기 차량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의 기동 불가 상태와 기동 가능 상태를 전환하는 기동 상태 제어 지령을 연산하는 서버에, 상기 차량 정보를 송신하는 통신 모듈로서,
상기 통신 모듈에 의해 상기 차량의 기동 불가 상태와 기동 가능 상태가 전환되는 조건은, 상기 차량의 동력이 오프인 것에 더하여, 적어도
(1) 상기 차량이 정지되어 있을 것,
(2) 상기 차량이 공도에 정지되어 있지 않을 것, 또는
(3) 상기 차량이 소정의 주차장에 정지되어 있을 것
중 어느 것을 충족하고 있는 경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0 양태의 통신 모듈은, 제9 양태의 통신 모듈에 있어서, 상기 (1)의 조건은, 적어도
(1-1) 상기 차량의 도어가 잠금되어 있을 것,
(1-2) 상기 차량에 사람이 승차하고 있지 않을 것,
(1-3) 상기 차량의 사이드 브레이크가 파킹 위치에 있을 것,
(1-4) 상기 차량의 차내 카메라에 의해서 사람이 검지되고 있지 않을 것, 또는
(1-5) 상기 차량의 인체 감지 센서에 의해서 사람이 검지되고 있지 않을 것
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1 양태의 통신 모듈은, 제9 또는 제10 양태의 통신 모듈에 있어서, 상기 (2)의 조건은, 적어도
(2-1) 상기 차량의 차재 센서에 의해 소정의 차선이 검지되고 있지 않을 것, 또는
(2-2) 상기 차량의 위치 정보에 의해 상기 차량이 지도 상에서 공도에 정지되어 있지 않을 것
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2 양태의 통신 모듈은, 제9~제11 양태의 통신 모듈에 있어서, 상기 (3)의 조건은, 적어도
(3-1) 상기 차량의 위치 정보에 의해 상기 차량이 지도 상에서 소정의 주차장에 정지되어 있을 것, 또는
(3-2) 지오펜스에 의해 상기 차량이 소정의 주차장에 정지되어 있을 것
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3 양태의 통신 모듈은, 제9~제12 중 어느 양태의 통신 모듈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기동 불가 상태와 기동 가능 상태가 전환되는 조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서버에 의해 판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4 양태의 통신 모듈은, 제9~제12 중 어느 양태의 통신 모듈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기동 불가 상태와 기동 가능 상태가 전환되는 조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통신 모듈에 의해 판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5 양태의 통신 모듈은, 제9~제14 중 어느 양태의 통신 모듈에 있어서, 추가로 유저 단말 또는 IC 카드를 통해서 기동 상태 제어 지령을 입력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6 양태의 차량은, 제9~제15 중 어느 양태의 통신 모듈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7 양태의 서버는, 통신 모듈로부터 수신한 차량의 차량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의 기동 불가 상태와 기동 가능 상태를 전환하는 기동 상태 제어 지령을 연산하는 서버로서,
상기 통신 모듈로부터 상기 차량 정보를 수집하는 차량 정보 수집 수단과,
상기 차량 정보 수집 수단에 의해 수집한 상기 차량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기동 상태 제어 지령을 연산하고, 상기 통신 모듈에 상기 기동 상태 제어 지령을 출력하는 원격 제어 지시 수단을 가지며,
상기 통신 모듈에 의해 상기 차량의 기동 불가 상태와 기동 가능 상태가 전환되는 조건은, 상기 차량의 동력이 오프인 것에 더하여, 적어도
(1) 상기 차량이 정지되어 있을 것,
(2) 상기 차량이 공도에 정지되어 있지 않을 것, 또는
(3) 상기 차량이 소정의 주차장에 정지되어 있을 것
중 어느 것을 충족하고 있는 경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8 양태의 서버는, 제17 양태의 서버에 있어서, 상기 (1)의 조건은, 적어도
(1-1) 상기 차량의 도어가 잠금되어 있을 것,
(1-2) 상기 차량에 사람이 승차하고 있지 않을 것,
(1-3) 상기 차량의 사이드 브레이크가 파킹 위치에 있을 것,
(1-4) 상기 차량의 차내 카메라에 의해서 사람이 검지되고 있지 않을 것, 또는
(1-5) 상기 차량의 인체 감지 센서에 의해서 사람이 검지되고 있지 않을 것
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9 양태의 서버는, 제17 또는 제18 양태의 서버에 있어서, 상기 (2)의 조건은, 적어도
(2-1) 상기 차량의 차재 센서에 의해 소정의 차선이 검지되고 있지 않을 것, 또는
(2-2) 상기 차량의 위치 정보에 의해 상기 차량이 지도 상에서 공도에 정지되어 있지 않을 것
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0 양태의 서버는, 제17~제19 중 어느 양태의 서버에 있어서, 상기 (3)의 조건은, 적어도
(3-1) 상기 차량의 위치 정보에 의해 상기 차량이 지도 상에서 소정의 주차장에 정지되어 있을 것, 또는
(3-2) 지오펜스에 의해 상기 차량이 소정의 주차장에 정지되어 있을 것
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1 양태의 서버는, 제17~제20 중 어느 양태의 서버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기동 불가 상태와 기동 가능 상태가 전환되는 조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원격 제어 지시 수단에 의해 판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2 양태의 서버는, 제17~제20 중 어느 양태의 서버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기동 불가 상태와 기동 가능 상태가 전환되는 조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통신 모듈에 의해 판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3 양태의 서버는, 제17~제22 중 어느 양태의 서버에 있어서, 관리자 단말, 금융 시스템, 또는 유저 단말 중 적어도 하나와 통신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4 양태의 서버는, 제17~제23 중 어느 양태의 서버에 있어서, 유저 단말 또는 IC 카드를 통해서 통신 모듈에 기동 상태 제어 지령을 입력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5 양태의 차량 원격 제어 방법은, 통신 모듈로부터 수신한 차량의 차량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의 기동 불가 상태와 기동 가능 상태를 전환하는 기동 상태 제어 지령을 연산하는 차량 원격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통신 모듈로부터 상기 차량 정보를 수집하는 차량 정보 수집 수단과,
상기 차량 정보 수집 수단에 의해 수집한 상기 차량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기동 상태 제어 지령을 연산하고, 상기 통신 모듈에 상기 기동 상태 제어 지령을 출력하는 원격 제어 지시 수단을 가지며,
상기 통신 모듈에 의해 상기 차량의 기동 불가 상태와 기동 가능 상태가 전환되는 조건은, 상기 차량의 동력이 오프인 것에 더하여, 적어도
(1) 상기 차량이 정지되어 있을 것,
(2) 상기 차량이 공도에 정지되어 있지 않을 것, 또는
(3) 상기 차량이 소정의 주차장에 정지되어 있을 것
중 어느 것을 충족하고 있는 경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6 양태의 차량 원격 제어 방법은, 제25 양태의 차량 원격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1)의 조건은, 적어도
(1-1) 상기 차량의 도어가 잠금되어 있을 것,
(1-2) 상기 차량에 사람이 승차하고 있지 않을 것,
(1-3) 상기 차량의 사이드 브레이크가 파킹 위치에 있을 것,
(1-4) 상기 차량의 차내 카메라에 의해서 사람이 검지되고 있지 않을 것, 또는
(1-5) 상기 차량의 인체 감지 센서에 의해서 사람이 검지되고 있지 않을 것
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7 양태의 차량 원격 제어 방법은, 제25 또는 제26 양태의 차량 원격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2)의 조건은, 적어도
(2-1) 상기 차량의 차재 센서에 의해 소정의 차선이 검지되고 있지 않을 것, 또는
(2-2) 상기 차량의 위치 정보에 의해 상기 차량이 지도 상에서 공도에 정지되어 있지 않을 것
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8 양태의 차량 원격 제어 방법은, 제25~제27 중 어느 양태의 차량 원격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3)의 조건은, 적어도
(3-1) 상기 차량의 위치 정보에 의해 상기 차량이 지도 상에서 소정의 주차장에 정지되어 있을 것, 또는
(3-2) 지오펜스에 의해 상기 차량이 소정의 주차장에 정지되어 있을 것
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9 양태의 차량 원격 제어 방법은, 제25~제28 중 어느 양태의 차량 원격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기동 불가 상태와 기동 가능 상태가 전환되는 조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원격 제어 지시 수단에 의해 판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30 양태의 차량 원격 제어 방법은, 제25~제28 중 어느 양태의 차량 원격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기동 불가 상태와 기동 가능 상태가 전환되는 조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통신 모듈에 의해 판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31 양태의 차량 원격 제어 방법은, 제25~제30 중 어느 양태의 차량 원격 제어 방법에 있어서, 추가로, 관리자 단말, 금융 시스템, 또는 유저 단말 중 적어도 하나와 통신하는 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32 양태의 차량 원격 제어 방법은, 제25~제31 중 어느 양태의 차량 원격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듈은, 추가로 유저 단말 또는 IC 카드를 통해서 기동 상태 제어 지령을 입력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33 양태의 차량 원격 제어 프로그램은, 제25~제32 중 어느 양태의 차량 원격 제어 방법의 각 수단을 컴퓨터에 의해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34 양태의 기억 매체는, 제33 양태의 차량 원격 제어 프로그램을 기억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 양태의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에 의하면, 통신 모듈을 차량의 ECU와 차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서 접속함으로써, 다양한 차량 정보를 수집하는 것과 함께, 수집된 차량 정보를 이용하여 적절한 차량의 기동 상태 제어, 즉, 공도에서는 차량의 원격 제어를 행하지 않는 것이나, 주차 내지 정차한 상태에서 차량의 원격 제어를 행하는 것을 실현한 차량의 기동 상태 제어를 가능하게 하는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인 조건으로서, 차량의 동력이 오프인 것에 더하여, 적어도
(1) 상기 차량이 정지되어 있을 것,
(2) 상기 차량이 공도에 정지되어 있지 않을 것, 또는
(3) 상기 차량이 소정의 주차장에 정지되어 있을 것
중 어느 것을 충족하고 있는 경우로 할 수 있다.
제2 양태의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에 의하면, 상기 (1)의 조건을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
제3 양태의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에 의하면, 상기 (2)의 조건을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
제4 양태의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에 의하면, 상기 (3)의 조건을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
제5 양태의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에 의하면, 차량의 기동 불가 상태와 기동 가능 상태가 전환되는 조건의 적어도 일부를 원격 제어 지시 수단에 의해 판정할 수 있다. 서버로 얻어지는 정보에 더하여, 통신 모듈로부터 수신한 차량 정보 등을 고려하여, 차량의 기동 불가 상태와 기동 가능 상태가 전환되는 조건을 판정하기 때문에, 적절한 조건 판정을 행할 수 있다. 모든 조건 판정을 서버측에서 행하는 것도 가능하고, 이 경우, 통신 모듈측의 연산 부하를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조건 판정의 일부를 서버측에서 행하고, 나머지의 조건 판정을 통신 모듈측에서 행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6 양태의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에 의하면, 차량의 기동 불가 상태와 기동 가능 상태가 전환되는 조건의 적어도 일부를 통신 모듈에 의해 판정할 수 있다. 통신 모듈은 ECU나 내비게이션 시스템으로부터 얻어지는 정보 등을 고려하여, 차량의 기동 불가 상태와 기동 가능 상태가 전환되는 조건을 판정하기 때문에, 적절한 조건 판정을 행할 수 있다. 모든 조건 판정을 통신 모듈측에서 행하는 것도 가능하고, 이 경우, 서버측에서는 지불 상황에 따라 기동 상태 제어 지령을 통신 모듈측으로 출력하고, 통신 모듈측에서는, 공도에서는 차량의 원격 제어를 행하지 않을 것이나, 주차 내지 정차한 상태에서 차량의 원격 제어를 행할 것 등의 조건을 판정하므로, 서버측에서의 연산 부하나 차량 감시 부담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조건 판정의 일부를 통신 모듈측에서 행하고, 나머지의 조건 판정을 서버측에서 행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7 양태의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에 의하면, 서버는 관리자 단말, 금융 시스템, 또는 유저 단말 중 적어도 하나와 통신 가능하다. 관리자는 관리자 단말을 이용함으로써,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을 적절히 감시하고,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서버는 예를 들면 금융 시스템과 통신함으로써 차량의 유저에 의한 차량 사용 요금의 지불 상황을 적절히 파악할 수 있다. 추가로, 서버가 유저 단말과 통신 가능한 것에 의해, 서버로부터 유저에게, 차량의 기동 불가 상태와 기동 가능 상태의 전환에 관한 알림, 지불 상황에 관한 경고, 차량에 관한 각종 정보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제8 양태의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에 의하면,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더하여, 유저 단말 또는 IC 카드를 통해서 통신 모듈에 기동 상태 제어 지령을 입력할 수 있는 것에 의해, 유저가 편리한 수단에 의해 도어록의 시정·해정, 차량 기동 제어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유저에게 있어서 편의성이 높은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제9 양태의 통신 모듈에 의하면, 차량의 ECU와 차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서 접속함으로써, 다양한 차량 정보를 수집하는 것과 함께, 수집된 차량 정보를 이용하여 적절한 차량의 기동 상태 제어, 즉, 공도에서는 차량의 원격 제어를 행하지 않는 것이나, 주차 내지 정차한 상태에서 차량의 원격 제어를 행하는 것을 실현한 차량의 기동 상태 제어를 가능하게 하는 통신 모듈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인 조건으로서, 차량의 동력이 오프인 것에 더하여, 적어도
(1) 상기 차량이 정지되어 있을 것,
(2) 상기 차량이 공도에 정지되어 있지 않을 것, 또는
(3) 상기 차량이 소정의 주차장에 정지되어 있을 것
중 어느 것을 충족하고 있는 경우로 할 수 있다.
제10 양태의 통신 모듈에 의하면, 상기 (1)의 조건을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
제11 양태의 통신 모듈에 의하면, 상기 (2)의 조건을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
제12 양태의 통신 모듈에 의하면, 상기 (3)의 조건을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
제13 양태의 통신 모듈에 의하면, 차량의 기동 불가 상태와 기동 가능 상태가 전환되는 조건의 적어도 일부를 서버에 의해 판정할 수 있다. 서버로 얻어지는 정보에 더하여, 통신 모듈로부터 수신한 차량 정보 등을 고려하여, 차량의 기동 불가 상태와 기동 가능 상태가 전환되는 조건을 판정하기 때문에, 적절한 조건 판정을 행할 수 있다. 모든 조건 판정을 서버측에서 행하는 것도 가능하고, 이 경우, 통신 모듈측의 연산 부하를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조건 판정의 일부를 서버측에서 행하고, 나머지의 조건 판정을 통신 모듈측에서 행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14 양태의 통신 모듈에 의하면, 차량의 기동 불가 상태와 기동 가능 상태가 전환되는 조건의 적어도 일부를 통신 모듈에 의해 판정할 수 있다. 통신 모듈은 ECU나 내비게이션 시스템으로부터 얻어지는 정보 등을 고려하여, 차량의 기동 불가 상태와 기동 가능 상태가 전환되는 조건을 판정하기 때문에, 적절한 조건 판정을 행할 수 있다. 모든 조건 판정을 통신 모듈측에서 행하는 것도 가능하고, 이 경우, 서버측에서는 지불 상황에 따라 기동 상태 제어 지령을 통신 모듈측으로 출력하고, 통신 모듈측에서는, 공도에서는 차량의 원격 제어를 행하지 않을 것이나, 주차 내지 정차한 상태에서 차량의 원격 제어를 행할 것 등의 조건을 판정하므로, 서버측에서의 연산 부하나 차량 감시 부담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조건 판정의 일부를 통신 모듈측에서 행하고, 나머지의 조건 판정을 서버측에서 행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15 양태의 통신 모듈에 의하면,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더하여, 유저 단말 또는 IC 카드를 통해서 기동 상태 제어 지령을 입력할 수 있는 것에 의해, 유저가 편리한 수단에 의해 도어록의 시정·해정, 차량 기동 제어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유저에게 있어서 편의성이 높은 통신 모듈을 제공할 수 있다.
제16 양태의 차량에 의하면, 제9~제14 중 어느 양태의 통신 모듈과 마찬가지의 효과를 달성하는 차량을 제공할 수 있다.
제17 양태의 서버에 의하면, 통신 모듈을 차량의 ECU와 차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서 접속함으로써, 다양한 차량 정보를 수집하는 것과 함께, 수집된 차량 정보를 이용하여 적절한 차량의 기동 상태 제어, 즉, 공도에서는 차량의 원격 제어를 행하지 않는 것이나, 주차 내지 정차한 상태에서 차량의 원격 제어를 행하는 것을 실현한 차량의 기동 상태 제어를 가능하게 하는 서버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인 조건으로서, 차량의 동력이 오프인 것에 더하여, 적어도
(1) 상기 차량이 정지되어 있을 것,
(2) 상기 차량이 공도에 정지되어 있지 않을 것, 또는
(3) 상기 차량이 소정의 주차장에 정지되어 있을 것
중 어느 것을 충족하고 있는 경우로 할 수 있다.
제18 양태의 서버에 의하면, 상기 (1)의 조건을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
제19 양태의 서버에 의하면, 상기 (2)의 조건을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
제20 양태의 서버에 의하면, 상기 (3)의 조건을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
제21 양태의 서버에 의하면, 차량의 기동 불가 상태와 기동 가능 상태가 전환되는 조건의 적어도 일부를 원격 제어 지시 수단에 의해 판정할 수 있다. 서버로 얻어지는 정보에 더하여, 통신 모듈로부터 수신한 차량 정보 등을 고려하여, 차량의 기동 불가 상태와 기동 가능 상태가 전환되는 조건을 판정하기 때문에, 적절한 조건 판정을 행할 수 있다. 모든 조건 판정을 서버측에서 행하는 것도 가능하고, 이 경우, 통신 모듈측의 연산 부하를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조건 판정의 일부를 서버측에서 행하고, 나머지의 조건 판정을 통신 모듈측에서 행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22 양태의 서버에 의하면, 차량의 기동 불가 상태와 기동 가능 상태가 전환되는 조건의 적어도 일부를 통신 모듈에 의해 판정할 수 있다. 통신 모듈은 ECU나 내비게이션 시스템으로부터 얻어지는 정보 등을 고려하여, 차량의 기동 불가 상태와 기동 가능 상태가 전환되는 조건을 판정하기 때문에, 적절한 조건 판정을 행할 수 있다. 모든 조건 판정을 통신 모듈측에서 행하는 것도 가능하고, 이 경우, 서버측에서는 지불 상황에 따라 기동 상태 제어 지령을 통신 모듈측으로 출력하고, 통신 모듈측에서는, 공도에서는 차량의 원격 제어를 행하지 않을 것이나, 주차 내지 정차한 상태에서 차량의 원격 제어를 행할 것 등의 조건을 판정하므로, 서버측에서의 연산 부하나 차량 감시 부담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조건 판정의 일부를 통신 모듈측에서 행하고, 나머지의 조건 판정을 서버측에서 행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23 양태의 서버는, 관리자 단말, 금융 시스템, 또는 유저 단말 중 적어도 하나와 통신 가능하다. 관리자는 관리자 단말을 이용함으로써,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을 적절히 감시하고,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서버는 예를 들면 금융 시스템과 통신함으로써 차량의 유저에 의한 차량 사용 요금의 지불 상황을 적절히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서버가 유저 단말과 통신 가능한 것에 의해, 서버로부터 유저에게, 차량의 기동 불가 상태와 기동 가능 상태의 전환에 관한 알림, 지불 상황에 관한 경고, 차량에 관한 각종 정보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제24 양태의 서버에 의하면,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더하여, 유저 단말 또는 IC 카드를 통해서 통신 모듈에 기동 상태 제어 지령을 입력할 수 있는 것에 의해, 유저가 편리한 수단에 의해 도어록의 시정·해정, 차량 기동 제어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유저에게 있어서 편의성이 높은 서버를 제공할 수 있다.
제25 양태의 차량 원격 제어 방법에 의하면, 통신 모듈을 차량의 ECU와 차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서 접속함으로써, 다양한 차량 정보를 수집하는 것과 함께, 수집된 차량 정보를 이용하여 적절한 차량의 기동 상태 제어, 즉, 공도에서는 차량의 원격 제어를 행하지 않는 것이나, 주차 내지 정차한 상태에서 차량의 원격 제어를 행하는 것을 실현한 차량의 기동 상태 제어를 가능하게 하는 차량 원격 제어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인 조건으로서, 차량의 동력이 오프인 것에 더하여, 적어도
(1) 상기 차량이 정지되어 있을 것,
(2) 상기 차량이 공도에 정지되어 있지 않을 것, 또는
(3) 상기 차량이 소정의 주차장에 정지되어 있을 것
중 어느 것을 충족하고 있는 경우로 할 수 있다.
제26 양태의 차량 원격 제어 방법에 의하면, 상기 (1)의 조건을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
제27 양태의 차량 원격 제어 방법에 의하면, 상기 (2)의 조건을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
제28 양태의 차량 원격 제어 방법에 의하면, 상기 (3)의 조건을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
제29 양태의 차량 원격 제어 방법에 의하면, 차량의 기동 불가 상태와 기동 가능 상태가 전환되는 조건의 적어도 일부를 원격 제어 지시 수단에 의해 판정할 수 있다. 서버로 얻어지는 정보에 더하여, 통신 모듈로부터 수신한 차량 정보 등을 고려하여, 차량의 기동 불가 상태와 기동 가능 상태가 전환되는 조건을 판정하기 때문에, 적절한 조건 판정을 행할 수 있다. 모든 조건 판정을 서버측에서 행하는 것도 가능하고, 이 경우, 통신 모듈측의 연산 부하를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조건 판정의 일부를 서버측에서 행하고, 나머지의 조건 판정을 통신 모듈측에서 행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30 양태의 차량 원격 제어 방법에 의하면, 차량의 기동 불가 상태와 기동 가능 상태가 전환되는 조건의 적어도 일부를 통신 모듈에 의해 판정할 수 있다. 통신 모듈은 ECU나 내비게이션 시스템으로부터 얻어지는 정보 등을 고려하여, 차량의 기동 불가 상태와 기동 가능 상태가 전환되는 조건을 판정하기 때문에, 적절한 조건 판정을 행할 수 있다. 모든 조건 판정을 통신 모듈측에서 행하는 것도 가능하고, 이 경우, 서버측에서는 지불 상황에 따라 기동 상태 제어 지령을 통신 모듈측으로 출력하고, 통신 모듈측에서는, 공도에서는 차량의 원격 제어를 행하지 않을 것이나, 주차 내지 정차한 상태에서 차량의 원격 제어를 행할 것 등의 조건을 판정하므로, 서버측에서의 연산 부하나 차량 감시 부담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조건 판정의 일부를 통신 모듈측에서 행하고, 나머지의 조건 판정을 서버측에서 행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31 양태의 차량 원격 제어 방법에 의하면, 서버는 관리자 단말, 금융 시스템, 또는 유저 단말 중 적어도 하나와 통신 가능하다. 관리자는 관리자 단말을 이용함으로써,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을 적절히 감시하고,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서버는 예를 들면 금융 시스템과 통신함으로써 차량의 유저에 의한 차량 사용 요금의 지불 상황을 적절히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서버가 유저 단말과 통신 가능한 것에 의해, 서버로부터 유저에게, 차량의 기동 불가 상태와 기동 가능 상태의 전환에 관한 알림, 지불 상황에 관한 경고, 차량에 관한 각종 정보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제32 양태의 차량 원격 제어 방법에 의하면,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더하여, 유저 단말 또는 IC 카드를 통해서 통신 모듈에 기동 상태 제어 지령을 입력할 수 있는 것에 의해, 유저가 편리한 수단에 의해 도어록의 시정·해정, 차량 기동 제어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유저에게 있어서 편의성이 높은 차량 원격 제어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제33 양태의 차량 원격 제어 프로그램에 의하면, 제25~제32 양태의 차량 원격 제어 방법이 달성하는 것과 마찬가지의 효과를 가지는 차량 원격 제어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34 양태의 기억 매체에 의하면, 제33 양태의 차량 원격 제어 프로그램을 기억한 기억 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 형태 1의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실시 형태 1의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의 플로차트이다.
도 3은 실시 형태 1의 서버에 있어서의 지불 감시, 및 기동 가능 상태와 가동 불가 상태의 전환 제어의 흐름 플로차트이다.
도 4는 실시 형태 1의 차량의 동력이 오프인 것을 판정하는 플로차트이다.
도 5는 실시 형태 2의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의 플로차트이다.
도 6은 실시 형태 3의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의 블록도이다.
도 7은 실시 형태 4의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의 블록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 통신 모듈, 차량, 서버, 차량 원격 제어 방법, 차량 원격 제어 프로그램 및 기억 매체에 대해 설명한다. 다만, 이하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는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의 기술 사상을 구체화하기 위한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 통신 모듈, 차량, 서버, 차량 원격 제어 방법, 차량 원격 제어 프로그램 및 기억 매체를 예시하는 것 로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이것들로 특정하는 것은 아니며, 특허 청구범위에 포함되는 그 외의 실시 형태의 것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실시 형태 1]
도 1~도 4를 참조하여, 실시 형태 1에 따른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 통신 모듈, 차량, 서버, 차량 원격 제어 방법, 차량 원격 제어 프로그램 및 기억 매체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도 1은 실시 형태 1의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의 블록도이고, 도 2는 실시 형태 1의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의 플로차트이며, 도 3은 실시 형태 1의 서버에 있어서의 지불 감시, 및 기동 가능 상태와 가동 불가 상태의 전환 제어의 흐름 플로차트이고, 도 4는 실시 형태 1의 차량의 동력이 오프인 것을 판정하는 플로차트이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실시 형태 1의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은, 서버(10) 및 차량(20)에 마련되어 있는 통신 모듈로서의 DCM(21)을 포함하고 있다. 차량(20)에는, DCM(21), 차재 LAN(Local Area Network)(22), ECU(Electronic Control Unit)(23), 및 카 내비게이션 시스템(24) 등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서버(10)와 차량(20)의 DCM(21) 사이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30)에 의해서 접속되어 있다.
DCM(21)은 1대의 차량(20)에 1개, 순정품으로서 장비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DCM(21)을 순정품인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후설치한 DCM(21)을 차량(20)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통신 모듈의 일례로서 DCM(21)을 이용하는 경우를 설명하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서버(10)와의 사이에서 통신 가능한 다른 통신 모듈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고, 예를 들면, V2X 통신(차량간 통신 및 차량-인프라간 통신)이나, 다른 전용회선을 이용한 통신용의 통신 모듈도 포함된다. 무선 통신 네트워크(30)로서는 임의의 것으로 되고, 예를 들면 2G, 3G, 4G, 5G, Wi-Fi(등록상표), WiMAX(등록상표), 무선 LAN, 비컨, 블루투스(등록상표), 지그비(등록상표), V2X, 그 외의 전용회선 등을 들 수 있다.
DCM(21)은 차재 LAN(22)을 통해서 ECU(23) 및 카 내비게이션 시스템(24) 등과 접속되어 있고, 차량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카 내비게이션 시스템(24)을 차량(20)에 추후 설치하도록 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카 내비게이션 시스템(24)을 DCM(21)에 직접 접속할 수도 있다. DCM(21)은 차량(20)의 차량 정보를 무선 통신 네트워크(30)를 통해서 서버(10)에 송신하는 것과 함께, 서버(10)로부터 무선 통신 네트워크(30)를 통해서 기동 상태 제어 지령을 수신하여, ECU(23)에 대해서 제어 지령을 보냄으로써, 차량(20)의 동력의 기동 상태를, 기동 가능 상태와 기동 불가 상태로 전환한다. 내연기관 자동차의 경우, 예를 들면 DCM(21)은 기동 상태 제어 지령에 따라 엔진 ECU(23)에 제어 지령을 보냄으로써, 기동 상태를 기동 불가 상태와 기동 가능 가능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기동 불가 상태에서는 엔진을 시동할 수 없고(기동중의 엔진을 끊는 것은 아니며, 엔진의 재시동을 금지하는 것임.), 기동 가능 상태에서는 엔진을 시동할 수 있다.
차량에는 수십대의 ECU(23)가 마련되어 있고, 이들 ECU(23)는 차재 LAN(22)을 통해서 DCM(21)에 접속되어 있다. ECU(23)로서는, 예를 들면, 엔진 ECU, ADAS(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 ECU, 도어록 ECU, 브레이크 ECU, 스티어링 ECU, AT(automatic transmission) ECU, 에어콘 ECU, 이모빌라이저 ECU, 조명 ECU, 에어백 ECU 등이 포함된다. 각 ECU는 각종 센서를 구비하고 있고, 예를 들면, 도어의 개폐나 잠금, 착좌 센서, 인체 감지 센서(혹은 적외선 센서), 차내 카메라, 실외 카메라(카메라 센서), 차선 검지 센서, 자동 운전 내지 운전 지원용 센서, 사이드 브레이크 센서, 기어 위치 센서, GPS(카 내비게이션 시스템(24)이 탑재되어 있는 경우에는, 카 내비게이션 시스템(24)에 내장된 GPS를 이용 가능), 지오펜스, G센서, 차속 센서, 태코미터, 스티어링 센서, 브레이크 센서, 액셀 센서, 각종 조작 스위치 센서 등의 정보를 수집하고, DCM(21)에 차재 LAN(22)을 통해서 이들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DCM(21)은, 이들 차량 정보를 파악하는 것과 함께, 서버(10)의 차량 정보 수집부(11)에 이들 정보를 송신함으로써, 서버(10)는 각종 차량 정보를 수취할 수 있다.
DCM(21)은, 리얼타임으로, 혹은, 특정 이벤트 발생시에, 혹은, 정기적으로, 각종 센서의 정보를 ECU(23)로부터 수집한다. DCM(21)으로부터 차량 정보 수집부(11)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타이밍에 대해서는, 리얼타임으로 할 수도 있고, 특정 이벤트 발생시로 할 수도 있고, 정기적이어도 되고, 또한, 이들 조합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서버(10)는 차량 정보 수집부(11), 원격 제어 지시부(12), 송수신부(13), 유저 정보 관리부(14) 및 지불 상황 감시부(15)를 포함하고 있다. 차량 정보 수집부(11)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30) 및 송수신부(13)를 통해서 차량(20)의 DCM(21)에 접속되고, DCM(21)에 의해서 ECU(23) 및 카 내비게이션 시스템(24) 등으로부터 수집된 차량(20)의 차량 정보를 수신한다. 원격 제어 지시부(12)는 차량 정보 수집부(11)로 수집한 차량의 차량 정보, 유저 정보 관리부의 유저 정보 등을 이용하여 기동 상태 제어 지령을 연산하고, 송수신부(13) 및 무선 통신 네트워크(30)를 통해서, 차량(20)의 DCM(21)에 기동 상태 제어 지령을 송신한다. 송수신부(13)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30)를 통해서, 복수의 DCM(21)과 무선 통신을 행한다.
유저 정보 관리부(14)는 차량 정보 수집부(11), 지불 상황 감시부 및 유저 단말(32)에 접속되어 있어, 차량 정보 수집부(11)로 수집된 차량 정보에 액세스 가능하고, 지불 상황 감시부(15)로 감시되고 있는 유저의 지불 상황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유저 정보 관리부(14)는 유저 단말(32)과 통신이 가능하고, 유저 단말(32)에는 유저 정보 관리부(14)로부터의 정보가 제공되는 것과 함께, 유저는 유저 단말(32)을 이용하여 서버(10)에 대한 리퀘스트(request) 등의 입력이 가능하다. 유저 단말은 예를 들면 PC나 휴대 전화나 스마트폰으로 이루어진다.
지불 상황 감시부(15)는 금융 시스템(16)의 API(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 Application Programing Interface)(17)와 접속되어 있고, 금융 시스템(16)의 API(17)를 이용하여 유저의 지불 상황을 감시한다. 「API란, 어느 컴퓨터 프로그램(소프트웨어)의 기능이나 관리하는 데이터 등을, 외부의 다른 프로그램으로부터 호출하여 이용하기 위한 절차나 데이터 형식 등을 정한 규약을 말한다. (IT용어 사전 e-Words)」이다. 외부의 다른 프로그램에서 범용적으로 이용되는 기능이, OS나 미들웨어 등의 플랫폼의 형태로 제공되는 경우에, 그 플랫폼의 기능을, 호출하여 이용하기 위한 절차를 정한 것이 API이며, 외부의 프로그램의 개발자는 API에 의해 각 기능을 호출하여 이용함으로써, 각 기능의 개발 부담을 경감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지불 상황 감시부(15)는 금융 시스템(16)의 API(17)를 이용함으로써, 유저에 의한 금융 시스템(16)을 통한 지불 상황을 리얼타임으로 감시할 수 있기 때문에, 유저가 소정의 지불을 행한 것을 신속하게 검출할 수 있다. 유저 정보 관리부(14)는 지불 상황 감시부(15)에 의해 리얼타임으로 감시된 유저의 지불 상황을 파악할 수 있다.
관리자 단말(31)은 관리자에게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와, 관리자로부터의 정보를 입력하는 정보 입력 수단을 구비하고 있고, 예를 들면 PC, 태블릿 단말, 휴대 단말 등으로 이루어진다. 정보 입력 수단으로서는, 터치 패널식 디스플레이, 키보드, 마우스 등을 이용할 수 있고, 터치 패널식 디스플레이의 경우에는 별도의 키보드 등을 생략할 수 있다.
카 렌털이나 카 셰어의 경우에는, 서버(10)가 차량의 예약 및 도어록 키 정보를 관리하도록 할 수도 있다. 유저 정보 관리부(14)는 유저 단말(32)과의 통신에 의해 차량의 예약을 관리하고, 예약 상황 및 지불 상황에 대응하여, 유저 단말(32)에 도어록 키 정보를 송신하는 것과 함께, 유저 단말(32)로부터 시정 지령 및 해정 지령을 접수한다. 또한, 원격 제어 지시부(12)는 DCM(21)에 대한 시정 지령, 해정 지령, 기동 상태 제어 지령을 생성한다. 유저 정보 관리부(14)가 유저 단말(32)에 도어록 키 정보를 송신하는 것, 원격 제어 지시부(12)가 DCM(21)에 대해서 해정 지령을 생성하는 것, 및 기동 상태 제어 지령에 의해 차량을 기동 가능 상태로 하는 것은, 「기동 불가 상태로부터 기동 가능 상태로 전환하는 것」에 상당한다.
유저 단말(32)은 예를 들면 스마트폰이나 휴대 전화나 태블릿 단말 등의 휴대 단말이 바람직하고, 후술하는 실시 형태 3과 같이, 차량의 도어록 키로서도 사용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휴대 가능할 필요가 있고, 또한, 차량(20) 및 유저 단말(32)에 GPS 기능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차량(20) 및 유저 단말(32)이 GPS 기능을 구비함으로써, 서버(10)는 차량(20)에 탑재된 GPS에 의해 차량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것과 함께, 유저 단말(32)의 GPS에 의해 유저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유저 단말(32)로부터 송신되는 시정 지령 및 해정 지령이 유효한지, 무효한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유저 단말(32)이 대응하는 차량(20)으로부터 떨어져 있을 때에 유저 단말(32)로부터 해정 지령이 송신되어도, 서버(10)에서는 해당 해정 지령은 무효라고 판단하여, 대응하는 차량(20)에 대해서 해정 지령을 송신하지 않는다. 한편, 유저 단말(32)이 대응하는 차량(20)에 가까운 위치에 있을 때에 유저 단말(32)로부터 해정 지령이 송신되면, 서버(10)에서는 해당 해정 지령은 유효라고 판단하여, 대응하는 차량(20)에 대해서 해정 지령을 송신한다. 여기에서는, 차량(20) 및 유저 단말(32)에 구비된 GPS 기능에 의해서, 차량(20) 및 유저 단말(32)의 거리를 검출했지만, 그 외의 구성에 의해서 차량(20) 및 유저 단말(32)의 거리를 검출해도 되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예를 들면, 유저 단말(32) 및 차량(20)에, 각각 특정 근거리 무선 통신의 송수신 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유저 단말(32)과 예약 차량(20)의 거리가, 유저 단말(32)로부터 차량(20)으로의 근거리 무선 통신의 에어리어 내인지 여부에 의해서 거리를 검출할 수도 있다. 이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서는, 예를 들면 블루투스(등록상표), 지그비(등록상표), 적외선 통신, RFID(Radio Frequency Identifier),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을 들 수 있지만,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임의의 종류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자택의 PC로부터 차량의 예약을 행한 경우여도, 도어록 키 정보를 스마트폰으로 수신하고 있으면,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대응하는 차량에 대해서 시정 지령 및 해정 지령을 송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때문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유저 단말(32)로서는 하나의 휴대 단말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스마트폰 및 태블릿 단말과 같은 복수의 휴대 단말 모두가 특정한 하나의 차량(20)에 대해서 시정 지령 및 해정 지령을 송신하는 것이 가능한 것으로 하는 등, 다종 다양한 형태가 포함된다.
또한, 도 1에서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30)에 의한 통신, 및 유저 정보 관리부(14)와 유저 단말(32) 간의 통신을 별개로 도시하고 있지만, 무선 통신 네트워크(30)에 의해, 유저 정보 관리부(14)와 유저 단말(32) 간의 통신을 행하도록 해도 된다. 즉, 유저 정보 관리부(14)와 유저 단말(32) 간의 통신도, 예를 들면 2G, 3G, 4G, 5G, Wi-Fi(등록상표), WiMAX(등록상표), 무선 LAN, 비컨, 블루투스(등록상표), 지그비(등록상표), V2X, 그 외의 전용회선 등을 들 수 있다.
서버(10)는 DCM(21)으로부터 수신하는 차량 정보로부터 차량의 운행 상황을 파악할 수 있다. 서버(10)는 차량의 운행 상황을 파악하고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1) 차량이 정지되어 있는 것, 구체적으로는,
(1-1) 차량의 도어가 잠금되어 있는 것,
(1-2) 차량에 사람이 승차하고 있지 않은 것,
(1-3) 차량의 사이드 브레이크가 파킹 위치에 있는 것,
(1-4) 차량의 차내 카메라에 의해서 사람이 검지되고 있지 않은 것, 또는
(1-5) 차량의 인체 감지 센서에 의해서 사람이 검지되고 있지 않은 것
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는, 예를 들면
(2) 차량이 공도에 정지되어 있지 않은 것, 구체적으로는,
(2-1) 차량의 차재 센서에 의해 소정의 차선이 검지되고 있지 않은 것, 또는
(2-2) 차량의 위치 정보에 의해 차량이 지도 상에서 공도에 정지되어 있지 않은 것
을 파악할 수 있다. 추가로 서버(10)는, 예를 들면,
(3) 차량이 소정의 주차장에 정지되어 있는 것, 구체적으로는,
(3-1) 차량의 위치 정보에 의해 상기 차량이 지도 상에서 소정의 주차장에 정지되어 있는 것, 또는
(3-2) 지오펜스에 의해 차량이 소정의 주차장에 정지되어 있는 것
등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이들 운전 상태의 파악을 차량(20)의 DCM(21)측에서 행할 수 있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추가로, 서버(10)는 소정의 주차장에 차량을 주차중인지, 소정의 주차장 이외의 장소에 차량을 주차중인지, 유저가 차량을 이용하여 이동중인지, 혹은, 차량이 도난되었을 가능성이 있는지 등도 판별할 수 있다. 각 유저로부터 소정의 기간 내에 소정의 요금의 지불이 있었는지 여부의 판단, 대응하는 차량을 기동 불가 상태로 변경할지 여부의 판단, 차량의 운행 상태의 판단, 도난 발생시나 이상 발생시의 유저에게의 문의 및 경찰에게의 통보 등은, 상기 특정 차량이 사전 예약이 없이 사용되었는지 여부의 판단, 예약에 대한 지불에 문제가 있는지 여부의 판단, 사전 연장 절차 없이 예약 기간을 초과하여 소정의 기간 이상 특정 차량이 사용되고 있는지 여부의 판단, 특정 차량을 사용하는 지리적인 범위가 예약시에 설정된 범위를 초과하고 있는지 여부의 판단, 특정 차량의 사용 양태가 예약시에 설정된 조건에 반하고 있는지 여부의 판단, 대응하는 차량을 기동 불가 상태로 변경할지 여부의 판단, 차량의 운행 상태의 판단, 또는 도난 발생시나 이상 발생시의 유저에게의 문의 및 경찰에게의 통보 등을 행할지 여부의 판단 등은, 서버(10)에 의해 자동적으로 행하도록 해도 되고, 필요에 따라 그것들의 일부 또는 전부를 관리자가 매뉴얼로 행하도록 해도 된다. 서버(10)에 의해 자동화되면, 관리자의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다. 이들 판단을 서버(10)에 의해 자동적으로 행하도록 해도 되고, 그 일부 또는 전부를 관리자가 매뉴얼로 행하도록 해도 된다. 각종 처리를 서버(10)에서 자동적으로 행하는 경우에는, 노동력 절약을 도모할 수 있는 것과 함께, 관리자의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다. 한편, 이들 판단의 일부 또는 전부를 관리자가 매뉴얼로 행하도록 했을 경우에는, 서버(10)에 있어서 복잡한 조건 판단을 행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서버(10)의 구성을 간략화시킬 수 있다. 어느 경우라도, 24시간 365일 언제라도 신속한 대응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서버(10)에 의해 자동적으로 차량의 운행 상황을 판별하는 방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1) 차량이 정지되어 있는 것의 판단에 대해 설명한다.
(1-1) 차량의 도어가 잠금되어 있는 것은, 도어록 센서로부터의 정보에 의해 파악할 수 있다.
(1-2) 차량에 사람이 승차하고 있지 않은 것은, 착좌 센서, 인체 감지 센서, 적외선 센서 등의 정보에 의해 파악할 수 있다.
(1-3) 차량의 사이드 브레이크가 파킹 위치에 있는 것은, 기어 위치 센서의 정보에 의해 파악할 수 있다.
(1-4) 차량의 차내 카메라에 의해서 사람이 검지되고 있지 않은 것은, 차내 카메라의 정보에 의해서 파악할 수 있다.
(1-5) 차량의 인체 감지 센서에 의해서 사람이 검지되고 있지 않은 것은, 인체 감지 센서 또는 적외선 센서의 정보에 의해서 파악할 수 있다.
다음으로, (2) 차량이 공도에 정지되어 있지 않은 것의 판단에 대해 설명한다.
(2-1) 차량의 차재 센서에 의해 소정의 차선이 검지되고 있지 않은 것은, 차선 검지 센서, 자동 운전 내지 운전 지원용 센서, 차선 센서 등에 의해 파악할 수 있다.
(2-2) 차량의 위치 정보에 의해 차량이 지도 상에서 공도에 정지되어 있지 않은 것은, GPS의 정보에 의해 파악할 수 있다.
다음으로, (3) 차량이 소정의 주차장에 정지되어 있는 것의 판단에 대해 설명한다.
(3-1) 차량의 위치 정보에 의해 상기 차량이 지도 상에서 소정의 주차장에 정지되어 있는 것은, 카 내비게이션 시스템(24)의 GPS 및 지도 정보에 의해, 파악할 수 있다.
(3-2) 지오펜스에 의해 차량이 소정의 주차장에 정지되어 있는 것은, 지오펜스의 정보에 의해, 파악할 수 있다.
이 외에, 사전에 등록된 주차장에 상당하는 장소에서, 소정 시간 이상, 차량의 동력이 오프 상태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소정의 주차장에 차량을 주차중이라고 판단한다. 또한, 사전에 등록된 주차장 이외의 장소에서, 소정 시간 이상, 차량의 동력이 오프 상태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소정의 주차장 이외의 장소에 차량을 주차중이라고 판별한다. 또한, 차량이 사전에 등록된 주차장 이외의 장소에 있고, 차량의 동력이 소정의 시간 이상 오프 상태로는 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유저가 차량을 이용하여 이동중이라고 판별한다.
또한, 카 셰어링, 카 렌털의 경우, 유저가 차량의 수령, 및 반환하는 주차장은, 복수 개소의 영업소(유인 혹은 무인의 주차장 등) 중에서, 사전에 등록되어 있다. 카 리스의 경우에도, 유저는 자신이 주로 사용하는 주차장을 사전에 등록하고 있다. 사전에 등록한 주차장에 상당하는 장소에서, 소정 시간 이상, 차량의 동력이 오프 상태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소정의 주차장에 차량을 주차중이라고 판단한다. 또한, 사전에 등록된 주차장 이외의 장소에서, 소정 시간 이상, 차량의 동력이 오프 상태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소정의 주차장 이외의 장소에 차량을 주차중이라고 판별한다. 또한, 차량이 사전에 등록된 주차장 이외의 장소에 있어, 차량의 동력이 소정의 시간 이상 오프 상태로는 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유저가 차량을 이용하여 이동중이라고 판별한다.
또한, 차량이 유저의 사전 등록한 범위로부터 소정 기간 이상 벗어나 있었을 경우에는, 차량이 도난되었을 가능성이 있다고 판별한다. 차량이 도난되었을 가능성이 있다고 판별되었을 경우에는, 유저가 사전에 등록하고 있는 연락처에 그 차량 운행 상황을 통지하는 것과 함께, 도난의 유무의 문의를 행한다. 소정의 기간 내에 유저로부터의 회답이 없는 경우, 및 유저로부터 도난이라는 취지의 회답이 있었을 경우에는, 관리자에게 도난의 발생을 알리는 것과 함께, DCM(21)에 대해서 기동 불가 상태에 대응하는 릴레이 제어 지령을 송신한다. 관리자는, 서버(10)로부터 도난 발생의 알림이 있었을 경우에는, 유저에게 연락을 취해 도난의 발생 상황을 확인한 다음, 필요에 따라서 경찰에게 차량의 도난을 통보한다.
또한, DCM(21)에는, DCM(21)을 차량(20)으로부터 탈거, 또는 DCM(21)에 접속되어 있는 배선의 단절 혹은 빠짐의 이상을 검출하는 수단을 마련할 수도 있다. 이들 이상을 검출하면 DCM(21)은 서버(10)에 이러한 이상의 발생을 알린다. 이 알림이 발생하면 서버(10)는 신속하게 관리자에게 알림을 행한다. 관리자는, 서버(10)로부터 이 이상의 알림이 있었을 경우에는, 유저에게 연락을 취해 도난의 발생 상황을 확인한 다음, 필요에 따라서 경찰에게 차량의 도난을 통보한다.
DCM(21)을 차량(20)으로부터 탈거하는 경우로서, 예를 들면, (a) 절도범에 의한 도난인 경우, (b) 유저에 의한 차량의 악용인 경우, 및 (c) 미지불 유저에 의한 어쩔 수 없는 긴급시의 차량 이용인 경우가 상정된다. (a) 및 (b)와 같은 도난이나 악용인 경우를 상정했을 경우에는, 차량을 기동 불가 상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c)와 같은 긴급시인 경우, 예를 들면 긴급환자의 이송을 상정했을 경우에는, 차량을 기동 가능 상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DCM(21)이 이상을 검출했을 경우, 관리자가 (a) 및 (b)와 같은 도난이나 악용인 경우를 상정하는 경우에는 차량(20)이 기동 불가 상태로 되도록 설정하고, 관리자가 (c)와 같은 긴급시인 경우를 상정하는 경우에는 차량(20)을 기동 가능 상태로 되도록 미리 설정해 둘 수 있다.
카 리스의 경우에 있어서의, 유저의 지불의 유무에 따른 차량(20)의 기동 상태 제어에 대해 도 2의 플로차트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S1에서 처리가 개시되고, S2로 진행한다. 차량의 출하시에는, 차량(20)의 기동이 가능하게 되는 상태, 즉, 차량(20)은 기동 가능 상태로 설정되어 있다. S2에서는, DCM(21)으로부터 차량의 차량 정보가 수집되고, S3으로 진행한다. S3에서는, 지불 상황 감시부에 있어서 금융 시스템(16)의 API(17)에 의해 지불 상황이 파악되고, S4로 진행한다. S4에서는, 후술하는 도 3의 플로차트에 따라서, 원격 제어 지시부(12)에 있어서 기동 상태 제어 지령이 연산되고, S5로 진행한다. S5에서는, 송수신부(13)에 의해 기동 상태 제어 지령이 DCM(21)으로 송신되고, S6으로 진행한다.
S6에서는, DCM(21)이 기동 상태 제어 지령을 수신하고, S7로 진행한다. S7에서는, DCM(21)에 있어서, 차량(20)이 정지되어 있는 것이 판정되어, Yes인 경우에는 S8로 진행하고, No인 경우에는 S14로 진행한다. S7에 있어서의 판단은, 전술한 (1)의 판단이며,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1-1)~(1-5)의 판단이다. S8에서는, DCM(21)에 있어서, 차량(20)이 공도에 정지되어 있지 않은 것이 판정되어, Yes인 경우에는 S9로 진행하고, No인 경우에는 S14로 진행한다. S8에 있어서의 판단은, 전술한 (2)의 판단이며,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2-1)~(2-2)의 판단이다. S9에서는, DCM(21)에 있어서, 차량(20)이 소정의 주차장에 정지되어 있는 것이 판정되어, Yes인 경우에는 S10으로 진행하고, No인 경우에는 S14로 진행한다. S9에 있어서의 판단은, 전술한 (3)의 판단이며,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3-1)~(3-2)의 판단이다. S10에서는, 후술하는 도 4의 플로차트에 따라서, DCM(21)에 있어서, 차량(20)의 동력이 오프인 것이 판정되어, Yes인 경우에는 S11로 진행하고, No인 경우에는 S14로 진행한다.
S11에서는, 기동 상태 제어 지령이 실행되고, S12로 진행한다. 기동 상태 제어 지령이 엔진 재기동에 관한 제어 지령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기동 상태 제어 지령이, 「기동 불가 상태로의 전환」인 경우에는, DCM(21)은 엔진 ECU(23)에 대해서 엔진 기동 불가로 하는 제어 지령을 보내므로, 차량(20)의 엔진은 기동 불가 상태로 된다. 또한, 기동 상태 제어 지령이, 「기동 가능 상태로의 전환」인 경우에는, DCM(21)은 엔진 ECU(23)에 대해서 엔진 기동 가능하게 하는 제어 지령을 보내므로, 차량(20)의 엔진은 기동 가능 상태로 된다. 기동 상태 제어 지령으로서, 복수 종류의 것을 구비할 수 있으며, 엔진 재기동에 관한 것만이 아니라, 이모빌라이저에 작용하여 차량(20)의 기동 상태를 제어하는 것이나, 후술하는 바와 같이 도어록에 작용하여 차량(20)의 기동 상태를 제어하는 것 등도 들 수 있다.
S12에서는, 기동 상태 제어 지령의 실행을 서버(10)에 알리고, S13으로 진행한다. S13에서는, 리턴에 의해서, 최초의 처리(S1)로 되돌아간다. S14에서는, 차량(20)에서는 기동 상태 제어 지령이 실행되지 않고, 다음의 S15에서는 기동 상태 제어 지령의 불실행(기동 상태 제어 지령이 실행되지 않은 것)을 서버(10)에 알리고, S2로 되돌아간다.
다음으로, 도 3의 플로차트를 이용하여, 도 2의 플로차트의 S3 및 S4의 루틴을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카 리스의 경우의 서버(10)에 있어서의 지불 감시, 및 기동 가능 상태와 가동 불가 상태의 전환 제어 흐름의 예를 나타낸다. A1에서 흐름이 시작한다. A2에서는, 차량의 납차(納車)시(출하시)에는, 차량의 기동이 가능하게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A3에서는, 지불 상황 감시부(15)는 금융 시스템(16)의 API(17)를 이용하여 유저의 지불 상황을 리얼타임으로 감시하고, A4에서는, 각 차량의 유저로부터 소정의 기간 내에 이용 요금의 지불이 있었는지 여부(체납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소정의 기간 내에 이용 요금의 지불이 없을 때(A4에서 Yes인 경우)에는 A5로 진행한다. A5에서는, 유저에 대해서 요금 미납이기 때문에, 소정의 기간에 요금을 지불하지 않으면 차량을 기동 불가 상태로 전환한다는 취지를 경고하고, A6으로 진행한다. A4에서 No인 경우에는, A3으로 되돌아간다.
A6에서는, 지불 상황 감시부(15)는 금융 시스템(16)의 API(17)를 이용하여 유저의 지불 상황을 리얼타임으로 감시하고, A7에서는, 각 차량의 유저로부터 소정의 기간 내에 이용 요금의 지불이 있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A7의 판단이 No인 경우에는, A8로 진행한다. A8에서는, 차량의 운행 상황을 확인한 다음, 소정의 조건을 충족하고 있는 경우에는, 대응하는 차량(20)을 기동 불가 상태로 하기 위해서, 서버(10)는 원격 제어 지시부(12)로부터 기동 불가 상태에 대응하는 기동 상태 제어 지령을 대응하는 DCM(21)으로 송신하고, A9로 진행한다. DCM(21)이 기동 불가 상태에 대응하는 기동 상태 제어 지령을 수취하면, 대응하는 차량(20)은 기동 불가 상태, 즉, 내연기관 차량의 경우에는 엔진의 시동이 불가능한 상태로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A4에서 Yes인 경우(체납을 검출했을 경우)에는, A5에서 일단 유저에게 차량(20)을 기동 불가 상태로 전환한다는 취지의 경고를 행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A4에서 Yes인 경우에, 직접 A8로 진행하여, 차량을 기동 불가 상태로 전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체납의 검출시에 직접 A8로 진행하여 차량을 기동 불가 상태로 전환할지, 혹은, 일단 경고를 행하여 차량을 기동 불가 상태로 전환하기 전에 소정의 유예기간을 줄지 여부는, 그 지역의 법령이나 상관행 등을 고려해 결정된다.
한편, A7의 판단이 Yes인 경우에는, A3으로 되돌아가, 지불 상황 감시부(15)는 금융 시스템(16)의 API(17)를 이용하여 유저의 지불 상황을 리얼타임으로 감시를 행한다. 서버(10)로부터 DCM(21)으로 기동 불가 상태에 대응하는 기동 상태 제어 지령이 없는 상태에서는, 통상, 기동 가능 상태로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소정의 기간 내에 이용 요금의 지불이 있었을 경우(A7에서 Yes인 경우)에는, 서버(10)로부터 DCM(21)으로 기동 불가 상태에 대응하는 기동 상태 제어 지령이 송신되지 않기 때문에, 차량(20)은 기동 가능 상태, 즉, 내연기관 차량인 경우에는 엔진의 시동이 가능한 상태로 된다.
A9에서는, 유저에 대해서 요금 미납이기 때문에 차량이 기동 불가 상태인 것을 알리는 것과 함께, 소정의 기간을 지정하여 소정의 요금을 지불하도록 촉구하고, A10으로 진행한다. A10에서는, 지불 상황 감시부(15)는, 금융 시스템(16)의 API(17)를 이용하여 유저의 지불 상황을 리얼타임으로 감시하고, A11에서는, 해당 차량의 유저로부터 소정의 기간 내에 이용 요금의 지불이 있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A11의 판단에서 Yes인 경우(지불 있음의 경우)에는, 서버(10)는 대응하는 차량을 다시 기동 가능 상태로 하기 위해서, 원격 제어 지시부(12)로부터 기동 가능 상태에 대응하는 기동 상태 제어 지령을 대응하는 DCM(21)으로 송신한다. DCM(21)이 기동 가능 상태에 대응하는 기동 상태 제어 지령을 수신하면, 대응하는 차량은 다시 기동 가능 상태로 된다.
이용 요금이 월액 요금인 경우에는, 예를 들면 전월의 25일까지 소정의 금액이 지불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A4에 대응). 소정의 지불이 행해져 있지 않을 때에는, 유저에 대해서 체납인 것 및 1주일 이내에 소정의 요금의 지불이 없는 경우에는 차량을 기동 불능 상태로 한다는 것의 메시지를 송신한다(A5에 대응). 이 메시지의 송신으로부터 1주일 이내에 소정의 요금의 지불이 없는 경우에는, 차량의 운행 상황을 확인한 다음, 소정의 조건을 충족하고 있는 것을 조건으로 하여 서버(10)는 원격 제어 지시부(12)로부터 기동 불가 상태에 대응하는 기동 상태 제어 지령을 대응하는 DCM(21)으로 송신한다(A8에 대응). 차량을 기동 불가능 상태로 한 후, 소정의 기간 예를 들면 1개월이 경과해도 유저로부터 소정의 요금의 지불이 없는 경우(A11의 판단에서 No인 경우)에는, 관리자는 차량 정보 수집부(11)로 수집된 특정 차량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차량을 회수하는 절차를 행한다(A14에 대응, 그 후에는 A15에서 종료하게 되어, 처리를 종료함).
한편, 기동 불가 상태에 대응하는 기동 상태 제어 지령을 DCM(21)으로 송신한 후에, 소정의 기간 내에 유저에 의한 소정의 금액의 입금이 확인되었을 때(A11의 판단에서 yes인 경우)에는, 서버(10)는 원격 제어 지시부(12)로부터 기동 가능 상태에 대응하는 기동 상태 제어 지령을 대응하는 DCM(21)으로 송신하고, 다시, 차량을 기동 가능 상태로 한다(A12에 대응). 또한, 서버(10)로부터 DCM(21)으로 기동 불가에 대응하는 기동 상태 제어 지령이 없는 상태에서는, 통상, 차량(20)은 기동 가능 상태로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매월 25일까지 소정의 요금의 지불을 완료하고 있으면, 유저는 차량을 기동 가능 상태인 채로 이용할 수 있다.
A8에서 차량이 기동 불가 상태로 전환되고, A9에서 유저에게 소정의 지불을 촉구한 후, 유저는 곧바로 차량을 사용하고 싶다면, 신속하게 소정의 지불을 행하게 된다. 이 경우, 유저는 곧바로 차량을 사용하고 싶은 상황이기 때문에, 소정의 지불이 행해지고 나서 실제로 차량이 기동 불가 상태로부터 기동 가능 상태로 전환될 때까지 타임 래그가 있으면, 곧바로 차량을 사용하고 싶은 유저에게 있어서는 불이익이어서, 문제가 있다. 그래서, A10에 있어서 금융 시스템(16)의 API(17)를 이용하여 유저의 지불 상황을 리얼타임으로 감시하고 있기 때문에, A11에 있어서는 유저로부터 소정의 지불이 있었던 것을 리얼타임으로 파악할 수 있고, A12에 있어서, 소정의 지불이 있고 나서 곧바로 서버(10)는 원격 제어 지시부(12)로부터 기동 가능 상태에 대응하는 기동 상태 제어 지령을 대응하는 DCM(21)으로 송신하여, 다시, 차량(20)을 기동 가능 상태로 하고, A13에서 리턴이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카 리스의 경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카 셰어링 또는 카 렌털의 경우에 대해서도 적용 가능하고, 예를 들면 도어록 키의 시정 및 해정의 제어나, 엔진 기동 릴레이 제어 지령에 의한 차량의 기동 가능 상태와 기동 불가능 상태의 전환 제어에도 적용된다. 예를 들면 카 셰어링 또는 카 렌털의 경우에는, 유저가 유저 단말(32)로부터 서버(10)의 유저 정보 관리부(14)에 대해서 특정 차량의 예약을 행할 때에, 인터넷 뱅킹이나 카드 결제 등의 사용 요금 지불의 결제 절차가 완료된 후에, 유저 정보 관리부(14)는 유저 단말(32)에 대해서, 도어록 키 정보를 송신한다. 유저는 이 도어록 키 정보를 이용하여, 서버(10)를 통해서 차량의 도어록의 해정 및 시정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는, 유저의 지불 상황, 및 차량의 상황 등에 따라서, 차량(20)의 기동 가능 상태 및 기동 불가능 상태를 전환하는 제어를 행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금융 시스템(16)의 API(17)를 이용하여 유저의 지불 상황을 리얼타임으로 감시함으로써, 유저로부터 소정의 지불이 있었던 것을 리얼타임으로 파악할 수 있으므로, 유저가 이용료를 지불하고 나서, 차량의 기동 제한이 해제되기(예를 들면, 도어록이 해정되거나, 혹은, 차량(20)이 기동 가능 상태로 전환되기)까지의 타임 래그를 짧게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의 플로차트를 이용하여, 도 2의 플로차트의 S10의 루틴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차량(20)의 동력이 오프인 것을 판정하는 플로차트이다. B1에서는, 차량(20)의 동력이 오프인 것의 판정이 개시되고, B2로 진행한다. B2에서는, 현재의 차량의 동력이 오프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B2의 판단에서 Yes인 경우에는 B3으로 진행하고, B2의 판단에서 No인 경우에는 S14로 진행한다. B3에서는, 현재 시각과 차량 동력 정지 시각의 차분이 변경 금지 기간(X분)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B3의 판단에서 Yes인 경우에는 B4로 진행하고, No인 경우에는 S14로 진행한다.
B4에서는 차량 동력 재평가 기간(Y초)만큼 대기한 후, B5로 진행한다. B5에서는, 기동 상태 제어 지령은 기동 불가 상태로의 변경이며, 또한, 현재의 차량 동력은 온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B5의 판단에서 Yes인 경우에는, S14로 진행하고, No인 경우에는 S11로 진행한다.
B3에서는, DCM(21)이 서버(10)로부터 기동 상태 제어 지령을 수신했을 때, 과거 X분(예를 들면 2분) 동안에 엔진이 온으로 되어 있었을 경우에는, 기동 상태 제어 지령을 무시한다. 또한, 기동 상태 제어 지령이 기동 불가 상태로의 전환이며, 또한, 현재의 차량 동력이 온일 때는, 예를 들면, 기동 상태 제어 지령을 받고 나서 Y초(예를 들면 5초) 동안에 엔진의 온을 검출했을 경우에는, 차량(20)을 기동 가능 상태로 한다.
여기서, X분을 예를 들면 2분으로 한 것의 근거를 설명한다. 엔진 정지 후 10분 정도로 DCM(21)이 전력 절약 모드로 전환되어, 전력의 소비를 억제한다. 전력 절약 모드의 상태에서 유저가 차량에 탑승하여 엔진을 시동하도록 키를 실린더에 꽂아, 이그니션 온 상태로 하면, 인터럽트 제어에 의해 DCM(21)이 통상 모드로 전환된다. DCM(21)이 통상 모드로 전환된 것을 서버(10)가 인식하기까지는, 전파 상황이 좋을 때에는 1분 정도, 전파 상황이 나빠 통신을 5회 정도 반복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1분 30초 정도 걸린다. 차량의 동력이 오프로 되고 나서 어느 정도의 기간은 기동 불가 상태로의 전환을 지시하는 기동 상태 제어 지령을 채용하지 않는(무시하는) 것에 의해, 차량(20)의 동력을 오프로 한 후 곧바로 다시 차량의 동력을 온으로 하도록 하는 경우에도, 부주의하게 차량(20)이 기동 불가 상태로 전환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주차장에 있어서 트렁크나 좌석으로부터 짐을 싣고 내릴 때까지 동안, 차량을 주차 스페이스로부터 조금 벗어난 위치에서 일단 정차시킨 상태로 차량의 동력을 오프로 하고, 짐을 싣고 내린 후, 다시 차량의 동력을 온으로 하여 차량을 주차 스페이스에 다시 넣는 것과 같은 경우에, 부주의하게 차량이 기동 불가 상태로 전환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반대로 X분이 너무 긴 경우에는, 차량(20)을 기동 불가 상태로 전환할 수 없게 되어 버리는 케이스가 발생하기 때문에, 과거 2분간 동안에 엔진이 온으로 되어 있었을 경우에는, 릴레이 제어 지령을 무시하는 것으로 했다.
다음으로, Y초를 예를 들면 5초로 한 것의 근거를 설명한다. DCM(21)은, 차량의 동력이 온일 동안에 기동 상태 제어 지령을 수취했을 경우에는, 안전을 고려하여 기동 상태 제어 지령을 접수하지 않는다(기동 상태 제어 지령을 무시함). 차량(20)의 동력이 온인 동안은, 유저가 차량(20)으로 이동중이기 때문에, 예를 들면 전파 상황이 나쁘기 때문에 차량(20)을 기동 불가 상태로 변경하는 기동 상태 제어 지령의 수신이 지연되어 버렸을 경우 등에, 부주의하게 차량(20)이 기동 불가 상태로 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한편, DCM(21)이 차량(20)의 기동을 인식하기까지는, 실제로 차량(20)이 기동을 하고 나서 3초 정도 걸린다. 차량(20)을 기동한 직후에, DCM(21)이 기동 상태 제어 지령을 수신했을 경우, DCM(21)은 차량(20)이 기동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하고, 기동 상태 제어 지령을 채용해 버려, 차량이 기동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차량이 기동 불가 상태로 전환되는 상황이 발생한다. 이와 같은 상황이 발생하면, 예를 들면, 이그니션 스위치가 푸시식인 경우, 기동 불가 상태로 하는 방법으로서, 푸시 버튼을 무효로 하는 방법이나, 이모빌라이저를 발동(인증용의 선을 커트)하는 방법 등도 있지만, 이 중, 푸시 버튼을 무효로 하는 것의 경우, 상기 3초간 동안에 기동 불가 상태로 전환되면, 엔진을 끌 수 없게 되어 버리는 결함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한편, 이모빌라이저를 발동하는 방법의 경우, 상기 3초간 동안에 기동 불가 상태로 전환되면, 푸시 버튼은 효과가 있으므로, 엔진을 오프시키는 것은 가능한 상태이지만, 기어가 드라이브 D에는 들어가지 않게 된다고 하는 결함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상으로부터, Y초로서, 3초보다도 여유를 갖게 한 5초를 채용했다.
DCM(21)은 전파 상황이 나쁜 경우로서, 서버(10)로부터의 릴레이 제어 지령이 없더라도, 스탠드얼론으로 페일 세이프로 동작을 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전파 상황이 나쁜 장소에서 차량이 기동 불가 상태로 되어, 기동 가능 정보에 대응하는 기동 상태 제어 지령을 수취할 수 없게 되는 사태를 회피할 수 있다. DCM(21)은 전파 상황이 나쁠 때에는 통신의 리트라이를 반복하여, 통신을 확립하려고 한다. 소정 횟수, 예를 들면 20회 이상, 연속해서 리트라이 해도 통신을 확립할 수 없는 경우에는, 통신 불능이라고 판단하고, 기동 상태 제어 지령의 상태가 기동 불가 상태일 때에는, 기동 가능 상태로 전환한다. 이것에 의해, 전파 상황이 나쁠 때에, 서버(10)로부터 기동 가능 상태로 변경하는 기동 상태 제어 지령을 송신할 수 없기 때문에, 차량(20)이 기동 불능 상태인 채 방치되는 사태를 피할 수 있다. 이 통신 불능일 때에 차량(20)을 기동 가능 상태로 전환하는 처리를 채용할지 여부에 대해서는, 차량(20)의 출하시 등에 설정할 수 있고, 또한, 서버(10)로부터 설정 변경할 수 있도록 해 두어도 된다.
또한, DCM(21)에 전력 절약 모드를 설정할 수도 있다. 내연기관 차량의 엔진이 오프일 때에는, 엔진이 오프되고 나서 소정의 시간, 예를 들면 10분이 경과된 후에는, 외부 배터리의 전력의 소모를 막기 위해서, DCM(21)은 전력 절약 모드로 이행하여, 전원 관리와 같은 최저한의 기능 이외를 정지한다. 전력 절약 모드일 때에는, DCM(21)은 서버(10)와는 통신을 행하고 있지 않다. 전력 절약 모드일 때에, 전원 입력의 상실을 검출했을 경우나, 엔진의 온 상태(ACC 온이나 IG 온)를 검출했을 경우, 및 계시(計時) 회로가 소정의 시간을 계시했을 경우(예를 들면, 1시간 간격으로)에는, 전력 절약 모드일 때에도 항상 기동하고 있는 대응하는 회로에 의한 인터럽트 제어에 의해, DCM(21)을 전력 절약 모드로부터 통상 모드로 전환한다.
또한, DCM(21)은 통상 모드에 있어서는 리얼타임으로, 또는 소정의 주기, 예를 들면 30초 간격으로, 또는 차량 동력의 온 등의 특정 이벤트 발생시에, 혹은 이것들을 조합한 시기에, ECU(23) 및 카 내비게이션 시스템(24) 등으로부터 차량 정보의 수집을 행하고, 서버(10)에 그 차량 정보를 송신한다. 항상 기동하고 있는 대응하는 회로에 의한 인터럽트 제어에 의해서, DCM(21)을 전력 절약 모드로부터 통상 모드로 전환할 때에는, DCM(21)을 기점으로 하여 서버(10)와 통신을 행하고, 기동 상태 제어 지령의 수신이나 차량 정보의 송신을 행한다. 통상 모드에 있어서는, DCM(21) 기점의 통신에 더하여, 서버(10) 기점의 통신이 가능하고, DCM(21)은 기동 상태 제어 지령 등의 정보를 수신 가능하다. 전파 상황이 나쁠 때에는, 통신을 확립하기까지, 복수 회, 예를 들면 5회 정도의 통신을 반복하는 일이 있다. 전파 상황이 나빠 통신을 확립할 수 없는 경우여도, DCM(21)은, 최근의 통신에 의해 서버(10)로부터 수신한 기동 상태 제어 지령을 메모리에 기억하고 있으므로, DCM(21)은 서버(10)와의 통신이 가능하지 않은 환경에서도 스탠드얼론으로 동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DCM(21)은 수집한 차량 정보를 메모리에 기억하고 있으므로, 통신회선이 회복되었을 때에 그것들을 통합해서 서버(10)에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전파 상황이 나쁜 경우에는, 기동 불가 상태에 대응하는 기동 상태 제어 지령을 송신 또는 수신하지 않게 해 두는 것도 가능하고, 이 경우에는, 전파 상황이 나쁘기 때문에, 기동 불가 상태로부터 기동 가능 상태로의 변경을 할 수 없게 되는 문제를 회피할 수 있다.
[실시 형태 2]
도 5를 참조하여, 실시 형태 2에 따른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 통신 모듈, 차량, 서버, 차량 원격 제어 방법, 차량 원격 제어 프로그램 및 기억 매체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도 5는 실시 형태 2의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의 플로차트이다. 실시 형태 1에서는 도 2의 플로차트 S7~S9의 판단을 DCM(21)측에서 행하는 예를 설명했지만, 실시 형태 2에서는, 이들 판단을 서버(10)측에서 행하는 예를 설명한다.
카 리스의 경우에 있어서의, 유저의 지불의 유무에 따른 실시 형태 2에 따른 차량(20)의 기동 상태 제어에 대해 도 5의 플로차트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C1에서 처리가 개시되고, C2로 진행한다. 차량의 출하시에는, 차량(20)의 기동이 가능하게 되는 상태, 즉, 차량(20)은 기동 가능 상태로 설정되어 있다. C2에서는, DCM(21)으로부터 차량의 차량 정보가 수집되고, C3으로 진행한다. C3에서는, 지불 상황 감시부에 있어서 금융 시스템(16)의 API(17)에 의해 지불 상황이 파악되고, C4로 진행한다. C3 및 C4에서는, 전술한 도 3의 플로차트에 따라서, 원격 제어 지시부(12)에 있어서 기동 상태 제어 지령이 연산되고, C5로 진행한다. C5에서는, 서버(10)에 있어서, 차량(20)이 정지되어 있는 것이 판정되어, Yes인 경우에는 C6으로 진행하고, No인 경우에는 C9로 진행한다. C5에 있어서의 판단은, 전술한 (1)의 판단이며,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1-1)~(1-5)의 판단이다. C6에서는, 서버(10)에 있어서, 차량(20)이 공도에 정지되어 있지 않은 것이 판정되어, Yes인 경우에는 C7로 진행하고, No인 경우에는 C9로 진행한다. C6에 있어서의 판단은, 전술한 (2)의 판단이며,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2-1)~(2-2)의 판단이다. C7에서는, 서버(10)에 있어서, 차량(20)이 소정의 주차장에 정지되어 있는 것이 판정되어, Yes인 경우에는 C8로 진행하고, No인 경우에는 C9로 진행한다. C7에 있어서의 판단은, 전술한 (3)의 판단이며,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3-1)~(3-2)의 판단이다. C8에서는, 기동 상태 제어 지령을 원격 제어 지시부(12)로부터 DCM(21)으로 송신하고, C10으로 진행한다. C9에서는, 기동 상태 제어 지령을 원격 제어 지시부(12)로부터 DCM(21)으로 송신하지 않고, C2로 되돌아간다.
C10에서는, DCM(21)이 기동 상태 제어 지령을 수신하고, C11로 진행한다. C11에서는, 전술한 도 4의 플로차트에 따라서, DCM(21)에 있어서, 차량(20)의 동력이 오프인 것이 판정되어, Yes인 경우에는 C12로 진행하고, No인 경우에는 C15로 진행한다. C12에서는, 차량(20)에서 기동 상태 제어 지령이 실행된다. 기동 상태 제어 지령이 엔진 재기동에 관한 제어 지령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기동 상태 제어 지령이, 「기동 불가 상태로의 전환」인 경우에는, DCM(21)은 엔진 ECU(23)에 대해서 엔진 기동 불가로 하는 제어 지령을 보내므로, 차량(20)의 엔진은 기동 불가 상태로 된다. 또한, 기동 상태 제어 지령이, 「기동 가능 상태로의 전환」인 경우에는, DCM(21)은, 엔진 ECU(23)에 대해서 엔진 기동 가능하게 하는 제어 지령을 보내므로, 차량(20)의 엔진은 기동 가능 상태로 된다. 기동 상태 제어 지령으로서, 복수 종류의 것을 구비할 수 있으며, 엔진 재기동에 관한 것만이 아니라, 이모빌라이저에 작용하여 차량(20)의 기동 상태를 제어하는 것이나, 후술하는 바와 같이 도어록에 작용하여 차량(20)의 기동 상태를 제어하는 것 등도 들 수 있다. C12 다음에는 C13으로 진행한다.
C13에서는, 기동 상태 제어 지령의 실행을 서버(10)에 알리고, C14로 진행한다. C14에서는, 리턴에 의해서, 최초의 처리(C1)로 되돌아간다. C15에서는, 차량(20)에서는 기동 상태 제어 지령이 실행되지 않고, 다음의 C16에서는 기동 상태 제어 지령의 불실행(기동 상태 제어 지령이 실행되지 않은 것)을 서버(10)에 알리고, C2로 되돌아간다.
(1) 상기 차량이 정지되어 있는 것,
(2) 상기 차량이 공도에 정지되어 있지 않은 것, 또는
(3) 상기 차량이 소정의 주차장에 정지되어 있는 것
의 판단은, 실시 형태 1에서는 DCM(21)측에서 실행되고, 실시 형태 2에서는 서버(10)측에서 실행되었지만,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1)~(3)의 판단의 일부를 DCM(21)측에서 행하고, 나머지의 일부를 서버(10)측에서 행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통신 환경이 양호한 경우에 대해서는, 도 4의 플로차트의 처리를 서버(10)측에서 행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실시 형태 2는 카 리스의 경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시 형태 1에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로, 예를 들면 카 셰어링 또는 카 렌털의 경우에 대해서도 적용 가능하고, 예를 들면 도어록 키의 시정 및 해정의 제어나, 엔진 기동 릴레이 제어 지령에 의한 차량의 기동 가능 상태와 기동 불가능 상태의 전환 제어에도 적용된다.
[실시 형태 3]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따른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 통신 모듈, 차량, 서버, 차량 원격 제어 방법, 차량 원격 제어 프로그램 및 기억 매체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실시 형태 3에 따른 차량 기동 제어 시스템의 전체도이다. 도 1~도 5와 공통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 형태 1~2에서는, 서버(10)로부터 DCM(21)으로의 통신에 의해, 기동 상태 제어 지령이 서버(10)로부터 DCM(21)으로 송신되고 있던 것에 대해, 실시 형태 3에서는, 유저 단말(32)을 통해서, 기동 상태 제어 지령이 서버(10)로부터 DCM(21)으로 제공되는 점에서 실시 형태 1~2와 다르다.
도 3의 플로차트의 A12에 있어서의, 일단 기동 불가능 상태로 전환된 후에, 다시, 기동 가능 상태로 전환될 때의 제어에 대해 설명한다. A9에서는, 유저에 대해서 요금 미납이기 때문에 차량이 기동 불가 상태인 것을 알리는 것과 함께, 소정의 기간을 지정하여 소정의 요금을 지불하도록 촉구하고, A10으로 진행한다. A10에서는, 지불 상황 감시부(15)는 금융 시스템(16)의 API(17)를 이용하여 유저의 지불 상황을 리얼타임으로 감시하고, A11에서는, 해당 차량의 유저로부터 소정의 기간 내에 이용 요금의 지불이 있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A11의 판단에서 Yes인 경우(지불 있음의 경우)에는, A12로 진행하여, 서버(10)로부터 DCM(21)에 대해서 다시 기동 가능 상태로 하기 위한 엔진 기동 릴레이 제어 지령이 제공된다. 이때, 본 실시 형태에서는, 서버(10)로부터 DCM(21)에 대해서 다시 기동 가능 상태로 하기 위한 기동 상태 제어 지령이 유저 단말(32)을 통해서 제공된다. 즉, 지불 상황 감시부(15)가 금융 시스템(16)의 API(17)를 이용하여 유저의 지불 상황을 리얼타임으로 감시하여, 유저로부터 소정의 기간 내에 이용 요금의 지불이 있었던 것이 검지되면, 서버(10)의 유저 정보 관리부(14)로부터 대응하는 유저의 유저 단말(32)에 대해서, 차량을 기동 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기동 상태 제어 지령이 송신된다.
유저 단말(32) 및 차량(20)(예를 들면 차량(20)의 도어록 ECU(23))에는, 각각 특정 근거리 무선 통신의 송수신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이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서는, 예를 들면 블루투스(등록상표), 지그비(등록상표), 적외선 통신, RFID(Radio Frequency Identifier),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을 들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임의의 종류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NFC를 이용했을 경우에는, 예를 들면 a타입(염가 타입), b타입(유럽의 ETC에 채용되어 있는 타입), f타입(FeliCa(등록상표)) 등의 형식을 채용할 수 있다. 유저가 유저 단말(32)을 차량(20)측의 NFC 단말에 태그함으로써, 유저 단말(32)로부터 DCM(21)에 대해서, 유저 단말(32)이 서버(10)로부터 받은 차량(20)을 기동 가능 상태로 하는 기동 상태 제어 지령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차량(20)은 다시 기동 가능 상태로 전환된다. 또한, 차량(20)의 도어록의 시정 및 해정도 마찬가지로 하여, 유저 단말(32)을 통해서 행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서버(10)로부터 유저 단말(32)에 대해서 도어록 키 정보가 송신되어 있고, 유저 단말(32)을 차량(20)측의 NFC 단말에 태그함으로써, 유저 단말(32)로부터 차량(20)에 대해서, 유저 단말(32)이 서버(10)로부터 받은 차량(20)의 도어록 키 정보를 송신한다. 이것에 의해, 유저 단말(32)에 의해서 차량(20)의 도어록의 시정 및 해정을 제어할 수 있다.
원격 제어 지시부(12)로부터 무선 통신 네트워크(30)를 통해서 DCM(21)에 대해서 통신에 의해 기동 상태 제어 지령(도어록 키 정보나 엔진 기동을 위한 기동 상태 제어 지령 정보)을 송신하는 경우에 비해, 유저 단말(32)에 서버(10)로부터 수신한 기동 상태 제어 지령을 기억해 두는 경우에는, 서버(10)와 유저 단말(32) 사이의 통신이 확보되어 있으면, 무선 통신 네트워크(30)의 통신 상황에 의존하는 일 없이, 통신 상황이 나쁜 상황이어도, 신속하게 도어록의 시정 및 해정이나 차량(20)을 기동 가능 상태로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차량(20)의 주차 위치 등에 의존하는 일 없이, 신속하고 확실하게 차량(20)을 기동 가능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DCM(21)이 슬립 모드인 경우에는, 차량(20)을 기동 가능 상태로 전환하는데, 긴 경우에는 1시간 정도의 시간을 필요로 하는 경우가 있지만, 예를 들면 유저 단말(32)을 차량(20)측의 NFC 단말에 태그함으로써, DCM(21)에 대해서 직접, 기동 상태 제어 지령을 송신할 수 있기 때문에, DCM(21)이 슬립 모드인 경우여도 신속하게 차량(20)의 기동 상태를 제어하는 것(예를 들면, 차량(20)을 기동 가능 상태로 전환하는 것이나, 차량(20)의 도어록 키를 해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DCM(21)이 유저 단말(32)로부터 기동 상태 제어 지령(도어록 키 정보나 엔진 기동을 위한 기동 상태 제어 지령 정보)을 수신할 수 있는 시스템에 있어서도, DCM(21)이 서버(10)로부터 기동 상태 제어 지령을 수신할 수 있도록 해 두어도 된다. 이 경우, 유저가 유저 단말(32)을 분실한 경우나 자택 등에 두고 온 경우여도, 서버(10)에 대해서 다른 통신 수단을 이용하여 유저의 인증 및 예약 내용의 확인이 취해지면, 서버(10)를 통해서, DCM(21)에 대해서 시정 지령 및 해정 지령을 송신함으로써, 도어록의 시정 및 해정이 가능하게 된다.
[실시 형태 4]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 4에 따른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 통신 모듈, 차량, 서버, 차량 원격 제어 방법, 차량 원격 제어 프로그램 및 기억 매체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은 실시 형태 4에 따른 차량 기동 제어 시스템의 전체도이다. 도 1~도 6과 공통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 형태 3에서는, 유저 단말(32)을 통해서 DCM(21)에 대해서 차량(20)에 기동 상태 제어 지령을 송신하고 있었지만, 실시 형태 4에서는, 카드 라이터(card writer)(41)에 의해 기동 상태 제어 지령을 기입한 IC 카드(40)를 이용하여 차량(20)측의(예를 들면 도어록 ECU(23)에 접속된) 카드 리더(42)에 의해 기동 상태 제어 지령을 판독하는 점에서 실시 형태 3과 다르다. 또한, 도 7에 있어서, 유저 단말(32)은 필수 구성은 아니다.
도 3의 흐름도의 A12에 있어서의, 일단 기동 불가능 상태로 전환된 후에, 다시, 기동 가능 상태로 전환될 때의 제어에 대해 설명한다. A9에서는, 유저에 대해서 요금 미납이기 때문에 차량이 기동 불가 상태인 것을 알리는 것과 함께, 소정의 기간을 지정하여 소정의 요금을 지불하도록 촉구하고, A10으로 진행한다. A10에서는, 지불 상황 감시부(15)는 금융 시스템(16)의 API(17)를 이용하여 유저의 지불 상황을 리얼타임으로 감시하고, A11에서는, 해당 차량의 유저로부터 소정의 기간 내에 이용 요금의 지불이 있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A11의 판단에서 Yes인 경우(지불 있음의 경우)에는, A12로 진행하여, 서버(10)로부터 DCM(21)에 대해서 다시 기동 가능 상태로 하기 위한 기동 상태 제어 지령이 제공된다. 이때, 본 실시 형태에서는, 서버(10)로부터 DCM(21)에 대해서 다시 기동 가능 상태로 하기 위한 기동 상태 제어 지령이 IC 카드(40)를 통해서 제공된다.
지불 상황 감시부(15)가 금융 시스템(16)의 API(17)를 이용하여 유저의 지불 상황을 리얼타임으로 감시함으로써, 유저로부터 소정의 지불이 있었던 것을 리얼타임으로 파악할 수 있고, 소정의 지불이 있고 나서 곧바로 유저 정보 관리부(14)가 카드 라이터(41)에 의해 IC 카드(40)에 기동 가능 상태로 하기 위한 엔진 기동 릴레이 제어 지령 정보의 기입을 행할 수 있다. 차량(20) 측에는 카드 리더(42)가 마련되어 있고, 유저가 IC 카드(40)를 카드 리더(42)에 태그함으로써, 기동 가능 상태로 하기 위한 기동 상태 제어 지령이 IC 카드(40)로부터 DCM(21)으로 송신되어, DCM(21)은 차량(20)을 다시 기동 가능 상태로 전환한다.
IC 카드(40)의 형식으로서는, 예를 들면 RFID나 NFC 등을 들 수 있지만, 본 실시 형태는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임의의 종류의 IC 카드를 이용 가능하다. 카드 라이터(41) 및 카드 리더(42)에는, IC 카드(40)의 형식에 대응한 것이 이용된다. 또한, 예를 들면 NFC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은 각 타입(a타입, b타입, f타입 등)의 것을 채용할 수 있다.
원격 제어 지시부(12)로부터 무선 통신 네트워크(30)를 통해서 DCM(21)에 대해서 통신에 의해 기동 상태 제어 지령(도어록 키 정보나 엔진 기동에 대해 기동 상태 제어 지령)을 송신하는 경우에 비해, IC 카드(40)에 기동 상태 제어 지령을 기입하는 경우에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30)의 통신 상황에 의존하는 일 없이, 통신 상황이 나쁜 상황이어도, 신속하게 도어록의 시정 및 해정이나 차량(20)을 기동 가능 상태로 할 수 있다. 또한, DCM(21)이 슬립 모드인 경우에는, 차량(20)을 기동 가능 상태로 전환하는데, 긴 경우에는 1시간 정도의 시간을 필요로 하는 경우가 있지만, IC 카드(40)를 카드 리더(42)에 태그함으로써, DCM(21)에 대해서 직접, 기동 상태 제어 지령을 송신할 수 있기 때문에, DCM(21)이 슬립 모드인 경우여도 신속하게 차량(20)의 기동 상태를 제어하는 것(예를 들면, 차량(20)을 기동 가능 상태로 전환하는 것이나, 차량(20)의 도어록 키를 해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차량(20)이 카드 리더(42)를 구비하고, IC 카드(40)에 의해 기동 상태 제어 지령을 입력할 수 있는 시스템에 있어서도, 유저 단말(32)로부터 근거리 무선 수단에 의해 DCM(21)에 기동 상태 제어 지령(도어록 키 정보나 엔진 기동에 대한 기동 상태 제어 지령)을 통신하는 수단, 및 서버(10)의 원격 제어 지시부(12)를 통해서 기동 상태 제어 지령을 DCM(21)에 통신하는 수단을 마련해 둘 수 있다. 이 경우, 유저가 IC 카드(40)를 분실한 경우나 자택 등에 두고 온 경우여도, 유저 단말(32)을 이용하여 DCM(21)과의 사이에서 통신함으로써 차량 기동 제어를 행할 수 있다. 추가로, 서버(10)에 대해서 다른 통신 수단을 이용하여 유저의 인증 및 예약 내용의 확인이 취해지면, 서버(10)로부터 DCM(21)에 대해서 시정 지령 및 해정 지령을 송신함으로써, 도어록의 시정, 해정, 차량 기동 제어를 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통신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유저가 편리한 수단에 의해 도어록의 시정·해정, 차량 기동 제어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유저에게 있어서 편의성이 높은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 형태 5]
실시 형태 1~4에서는, 내연기관 차량에 적용하여, 엔진 ECU를 제어함으로써, 기동 불가 상태와 기동 가능 상태를 전환하는 양태를 설명했지만, 실시 형태 5에서는, 내연기관 차량 이외의 동력을 이용한 차량, 예를 들면 전기 자동차(이하 「EV 차량」이라고 함.)나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이하 「HEV 차량」이라고 함.)를 포함하는 차량에 대해서도 실시 형태 1~4의 차량 기동 제어 시스템이 적용 가능한 것을 설명한다.
차량의 종류로서, 예를 들면, 내연기관 차량, EV 차량, 패럴렐 방식 HEV 차량, 시리즈 방식 HEV 차량 및 시리즈·패럴렐 방식 HEV 차량으로 분류하는 것과 함께, 이모빌라이저를 탑재하고 있는지 여부로 구분한 다음, 추가로, 기동 방식을 키식과 푸시식으로 구분한 경우의, 어느 구분에 있어서도, 실시 형태 1~4의 차량 기동 제어 시스템이 적용 가능하다. 또한, 이모빌라이저란, 키에 내장된 트랜스폰더로 불리는 IC 칩에 고유한 ID 코드를 기록시켜 두고, 트랜스폰더의 ID 코드를 차량 본체의 전자 제어 장치에 등록되어 있는 ID 코드에 의해 인증하여, 인증이 성립되었을 경우에만 엔진을 시동시킬 수 있는 장치이다.
키식 및 푸시식은, 동력을 시동하기 위한 조작 방법으로 구분한 것이다. 키식이란, 동력을 시동하기 위해서 키 실린더에 키를 꽂아, OFF, ACC, IGN 및 START를 전환하는 방식의 것이다. 푸시식이란, 스마트키식인 경우의 방식으로, 동력 시동용 푸시 버튼을 누름으로써, 동력을 온으로 하는 방식의 것이다.
또한, HEV 차량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패럴렐 방식은, 모터와 엔진으로 차바퀴를 구동하는 방식으로, 모터를 사용하여 배터리를 충전하는 방식이다. 시리즈 방식은 엔진으로 발전기를 구동시켜 충전하고, 모터로 차바퀴를 구동시키는 방식이다. 시리즈·패럴렐 방식은 모터와 엔진으로 차바퀴를 구동시키는 것과 함께, 엔진으로 발전기를 구동시켜 충전하여 모터를 구동시킬 수 있는 방식이다.
여기서, DCM(21)의 구성은, EV 차량 및 HEV 차량에 대해서도 실시 형태 1~4에서 나타낸 내연기관 차량용의 것과 공통된다. 다만, EV 차량에는 내연기관이 없는 점, 및 HEV 차량에서는 모터만으로 주행 가능한 모드가 존재하는 점에서 내연기관 차량의 경우와 상위하다. EV 차량의 경우에는, IGN 입력 검지부 대신에, 푸시 버튼이 눌려서 동력이 온으로 되어 있는 것을 검지하는 수단을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기동 상태 제어 지령은 소프트웨어에 의해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HEV 차량의 경우에는, IGN 입력 검지부 대신에, 동력이 온으로 되어 있는 것을 검지하는 수단을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기동 상태 제어 지령은 소프트웨어에 의해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EV 차량에는 키식의 것은 존재하지 않고, 모두 푸시식이다.
기동 불가 상태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예를 들면, 셀 모터로의 전력 공급을 차단하는 방법, 이모빌라이저를 제어하여, ID 코드의 인증을 불성립되게 하는 방법, 푸시 버튼이 눌린 것을 전자 제어 장치로 전달되지 않게 하는 방법 등도 상정되지만, 어느 구성이어도 소프트웨어에 의해 기동 상태 제어 지령을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10 : 서버 11 : 차량 정보 수집부
12 : 원격 제어 지시부 13 : 송수신부
14 : 유저 정보 관리부 15 : 지불 상황 감시부
16 : 금융 시스템 17 : API
20 : 차량 21 : DCM
22 : 차재 LAN 23 : ECU
24 : 카 내비게이션 시스템 30 : 무선 통신 네트워크
31 : 관리자 단말 32 : 유저 단말
40 : IC 카드 41 : 카드 라이터
42 : 카드 리더

Claims (34)

  1. 차량의 ECU와 통신하여 상기 차량의 차량 정보를 수집하는 통신 모듈과,
    상기 통신 모듈로부터 수신한 상기 차량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의 기동 불가 상태와 기동 가능 상태를 전환하는 기동 상태 제어 지령을 연산하는 서버
    로 이루어지는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으로서,
    상기 서버는,
    상기 통신 모듈로부터 상기 차량 정보를 수집하는 차량 정보 수집 수단과,
    상기 차량 정보 수집 수단에 의해 수집한 상기 차량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기동 상태 제어 지령을 연산하고, 상기 통신 모듈에 상기 기동 상태 제어 지령을 출력하는 원격 제어 지시 수단을 가지며,
    상기 통신 모듈에 의해 상기 차량의 기동 불가 상태와 기동 가능 상태가 전환되는 조건은, 상기 차량의 동력이 오프인 것에 더하여, 적어도
    (1) 상기 차량이 정지되어 있을 것,
    (2) 상기 차량이 공도에 정지되어 있지 않을 것, 또는
    (3) 상기 차량이 소정의 주차장에 정지되어 있을 것
    중 어느 것을 충족하고 있는 경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1)의 조건은, 적어도
    (1-1) 상기 차량의 도어가 잠금되어 있을 것,
    (1-2) 상기 차량에 사람이 승차하고 있지 않을 것,
    (1-3) 상기 차량의 사이드 브레이크가 파킹 위치에 있을 것,
    (1-4) 상기 차량의 차내 카메라에 의해서 사람이 검지되고 있지 않을 것, 또는
    (1-5) 상기 차량의 인체 감지 센서에 의해서 사람이 검지되고 있지 않을 것
    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2)의 조건은, 적어도
    (2-1) 상기 차량의 차재 센서에 의해 소정의 차선이 검지되고 있지 않을 것, 또는
    (2-2) 상기 차량의 위치 정보에 의해 상기 차량이 지도 상에서 공도에 정지되어 있지 않을 것
    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3)의 조건은, 적어도
    (3-1) 상기 차량의 위치 정보에 의해 상기 차량이 지도 상에서 소정의 주차장에 정지되어 있을 것, 또는
    (3-2) 지오펜스에 의해 상기 차량이 소정의 주차장에 정지되어 있을 것
    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기동 불가 상태와 기동 가능 상태가 전환되는 조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원격 제어 지시 수단에 의해 판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기동 불가 상태와 기동 가능 상태가 전환되는 조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통신 모듈에 의해 판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관리자 단말, 금융 시스템, 또는 유저 단말 중 적어도 하나와 통신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듈은 추가로 유저 단말 또는 IC 카드를 통해서 기동 상태 제어 지령을 입력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
  9. 차량의 ECU와 통신하여 상기 차량의 차량 정보를 수집하는 것과 함께, 상기 차량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의 기동 불가 상태와 기동 가능 상태를 전환하는 기동 상태 제어 지령을 연산하는 서버에, 상기 차량 정보를 송신하는 통신 모듈로서,
    상기 통신 모듈에 의해 상기 차량의 기동 불가 상태와 기동 가능 상태가 전환되는 조건은, 상기 차량의 동력이 오프인 것에 더하여, 적어도
    (1) 상기 차량이 정지되어 있을 것,
    (2) 상기 차량이 공도에 정지되어 있지 않을 것, 또는
    (3) 상기 차량이 소정의 주차장에 정지되어 있을 것
    중 어느 것을 충족하고 있는 경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모듈.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1)의 조건은, 적어도
    (1-1) 상기 차량의 도어가 잠금되어 있을 것,
    (1-2) 상기 차량에 사람이 승차하고 있지 않을 것,
    (1-3) 상기 차량의 사이드 브레이크가 파킹 위치에 있을 것,
    (1-4) 상기 차량의 차내 카메라에 의해서 사람이 검지되고 있지 않을 것, 또는
    (1-5) 상기 차량의 인체 감지 센서에 의해서 사람이 검지되고 있지 않을 것
    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모듈.
  11. 청구항 9 또는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2)의 조건은, 적어도
    (2-1) 상기 차량의 차재 센서에 의해 소정의 차선이 검지되고 있지 않을 것, 또는
    (2-2) 상기 차량의 위치 정보에 의해 상기 차량이 지도 상에서 공도에 정지되어 있지 않을 것
    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모듈.
  12. 청구항 9 내지 청구항 1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3)의 조건은, 적어도
    (3-1) 상기 차량의 위치 정보에 의해 상기 차량이 지도 상에서 소정의 주차장에 정지되어 있을 것, 또는
    (3-2) 지오펜스에 의해 상기 차량이 소정의 주차장에 정지되어 있을 것
    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모듈.
  13. 청구항 9 내지 청구항 1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기동 불가 상태와 기동 가능 상태가 전환되는 조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서버에 의해 판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모듈.
  14. 청구항 9 내지 청구항 1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기동 불가 상태와 기동 가능 상태가 전환되는 조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통신 모듈에 의해 판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모듈.
  15. 청구항 9 내지 청구항 1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추가로 유저 단말 또는 IC 카드를 통해서 기동 상태 제어 지령을 입력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모듈.
  16. 청구항 9 내지 청구항 1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통신 모듈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17. 통신 모듈로부터 수신한 차량의 차량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의 기동 불가 상태와 기동 가능 상태를 전환하는 기동 상태 제어 지령을 연산하는 서버로서,
    상기 통신 모듈로부터 상기 차량 정보를 수집하는 차량 정보 수집 수단과,
    상기 차량 정보 수집 수단에 의해 수집한 상기 차량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기동 상태 제어 지령을 연산하고, 상기 통신 모듈에 상기 기동 상태 제어 지령을 출력하는 원격 제어 지시 수단을 가지며,
    상기 통신 모듈에 의해 상기 차량의 기동 불가 상태와 기동 가능 상태가 전환되는 조건은, 상기 차량의 동력이 오프인 것에 더하여, 적어도
    (1) 상기 차량이 정지되어 있을 것,
    (2) 상기 차량이 공도에 정지되어 있지 않을 것, 또는
    (3) 상기 차량이 소정의 주차장에 정지되어 있을 것
    중 어느 것을 충족하고 있는 경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1)의 조건은, 적어도
    (1-1) 상기 차량의 도어가 잠금되어 있을 것,
    (1-2) 상기 차량에 사람이 승차하고 있지 않을 것,
    (1-3) 상기 차량의 사이드 브레이크가 파킹 위치에 있을 것,
    (1-4) 상기 차량의 차내 카메라에 의해서 사람이 검지되고 있지 않을 것, 또는
    (1-5) 상기 차량의 인체 감지 센서에 의해서 사람이 검지되고 있지 않을 것
    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19. 청구항 17 또는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2)의 조건은, 적어도
    (2-1) 상기 차량의 차재 센서에 의해 소정의 차선이 검지되고 있지 않을 것, 또는
    (2-2) 상기 차량의 위치 정보에 의해 상기 차량이 지도 상에서 공도에 정지되어 있지 않을 것
    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
  20. 청구항 17 내지 청구항 1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3)의 조건은, 적어도
    (3-1) 상기 차량의 위치 정보에 의해 상기 차량이 지도 상에서 소정의 주차장에 정지되어 있을 것, 또는
    (3-2) 지오펜스에 의해 상기 차량이 소정의 주차장에 정지되어 있을 것
    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21. 청구항 17 내지 청구항 2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기동 불가 상태와 기동 가능 상태가 전환되는 조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원격 제어 지시 수단에 의해 판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22. 청구항 17 내지 청구항 2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기동 불가 상태와 기동 가능 상태가 전환되는 조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통신 모듈에 의해 판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23. 청구항 17 내지 청구항 2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관리자 단말, 금융 시스템, 또는 유저 단말 중 적어도 하나와 통신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24. 청구항 17 내지 청구항 2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저 단말 또는 IC 카드를 통해서 통신 모듈에 기동 상태 제어 지령을 입력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25. 통신 모듈로부터 수신한 차량의 차량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의 기동 불가 상태와 기동 가능 상태를 전환하는 기동 상태 제어 지령을 연산하는 차량 원격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통신 모듈로부터 상기 차량 정보를 수집하는 차량 정보 수집 수단과,
    상기 차량 정보 수집 수단에 의해 수집한 상기 차량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기동 상태 제어 지령을 연산하고, 상기 통신 모듈에 상기 기동 상태 제어 지령을 출력하는 원격 제어 지시 수단을 가지며,
    상기 통신 모듈에 의해 상기 차량의 기동 불가 상태와 기동 가능 상태가 전환되는 조건은, 상기 차량의 동력이 오프인 것에 더하여, 적어도
    (1) 상기 차량이 정지되어 있을 것,
    (2) 상기 차량이 공도에 정지되어 있지 않을 것, 또는
    (3) 상기 차량이 소정의 주차장에 정지되어 있을 것
    중 어느 것을 충족하고 있는 경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원격 제어 방법.
  26. 청구항 25에 있어서,
    상기 (1)의 조건은, 적어도
    (1-1) 상기 차량의 도어가 잠금되어 있을 것,
    (1-2) 상기 차량에 사람이 승차하고 있지 않을 것,
    (1-3) 상기 차량의 사이드 브레이크가 파킹 위치에 있을 것,
    (1-4) 상기 차량의 차내 카메라에 의해서 사람이 검지되고 있지 않을 것, 또는
    (1-5) 상기 차량의 인체 감지 센서에 의해서 사람이 검지되고 있지 않을 것
    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원격 제어 방법.
  27. 청구항 25 또는 청구항 26에 있어서,
    상기 (2)의 조건은, 적어도
    (2-1) 상기 차량의 차재 센서에 의해 소정의 차선이 검지되고 있지 않을 것, 또는
    (2-2) 상기 차량의 위치 정보에 의해 상기 차량이 지도 상에서 공도에 정지되어 있지 않을 것
    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원격 제어 방법.
  28. 청구항 25 내지 청구항 2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3)의 조건은, 적어도
    (3-1) 상기 차량의 위치 정보에 의해 상기 차량이 지도 상에서 소정의 주차장에 정지되어 있을 것, 또는
    (3-2) 지오펜스에 의해 상기 차량이 소정의 주차장에 정지되어 있을 것
    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원격 제어 방법.
  29. 청구항 25 내지 청구항 2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기동 불가 상태와 기동 가능 상태가 전환되는 조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원격 제어 지시 수단에 의해 판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원격 제어 방법.
  30. 청구항 25 내지 청구항 2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기동 불가 상태와 기동 가능 상태가 전환되는 조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통신 모듈에 의해 판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원격 제어 방법.
  31. 청구항 25 내지 청구항 3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관리자 단말, 금융 시스템, 또는 유저 단말 중 적어도 하나와 통신하는 수단을 더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원격 제어 방법.
  32. 청구항 25 내지 청구항 3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듈은 유저 단말 또는 IC 카드를 통해서 기동 상태 제어 지령을 더 입력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원격 제어 방법.
  33. 청구항 25 내지 청구항 32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차량 원격 제어 방법의 각 수단을 컴퓨터에 의해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원격 제어 프로그램.
  34. 청구항 33에 기재된 차량 원격 제어 프로그램을 기억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억 매체.
KR1020207034794A 2018-07-10 2018-07-10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 통신 모듈, 차량, 서버, 차량 원격 제어 방법, 차량 원격 제어 프로그램 및 기억 매체 KR1023265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7036629A KR102564648B1 (ko) 2018-07-10 2018-07-10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 통신 모듈, 차량, 서버, 차량 원격 제어 방법, 차량 원격 제어 프로그램 및 기억 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8/026106 WO2020012570A1 (ja) 2018-07-10 2018-07-10 車両遠隔制御システム、通信モジュール、車両、サーバ、車両遠隔制御方法、車両遠隔制御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6629A Division KR102564648B1 (ko) 2018-07-10 2018-07-10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 통신 모듈, 차량, 서버, 차량 원격 제어 방법, 차량 원격 제어 프로그램 및 기억 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3492A true KR20200143492A (ko) 2020-12-23
KR102326501B1 KR102326501B1 (ko) 2021-11-16

Family

ID=6609252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4794A KR102326501B1 (ko) 2018-07-10 2018-07-10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 통신 모듈, 차량, 서버, 차량 원격 제어 방법, 차량 원격 제어 프로그램 및 기억 매체
KR1020217036629A KR102564648B1 (ko) 2018-07-10 2018-07-10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 통신 모듈, 차량, 서버, 차량 원격 제어 방법, 차량 원격 제어 프로그램 및 기억 매체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6629A KR102564648B1 (ko) 2018-07-10 2018-07-10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 통신 모듈, 차량, 서버, 차량 원격 제어 방법, 차량 원격 제어 프로그램 및 기억 매체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2) US11285916B2 (ko)
EP (1) EP3822131B1 (ko)
JP (1) JP6496896B1 (ko)
KR (2) KR102326501B1 (ko)
CN (1) CN112272631B (ko)
BR (1) BR112020024732B1 (ko)
MX (1) MX2020013065A (ko)
MY (1) MY191311A (ko)
PH (1) PH12019502821A1 (ko)
TW (1) TWI711551B (ko)
WO (1) WO202001257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13877B1 (en) * 2015-09-11 2018-10-30 Philip Raymond Schaefer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directional information
WO2019193665A1 (ja) 2018-04-03 2019-10-10 Global Mobility Service株式会社 与信審査支援システム、車載器、車両、サーバ、与信審査支援方法、与信審査支援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WO2020157944A1 (ja) * 2019-01-31 2020-08-0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の遠隔操作方法、車両用遠隔操作システム、サーバ、車載用制御装置、車両及び端末装置
JP6647509B1 (ja) * 2019-04-12 2020-02-14 Global Mobility Service株式会社 車両遠隔制御システム、車載器ないし通信モジュール、車両、サーバ、車両遠隔制御方法、車両遠隔制御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KR20200124115A (ko) * 2019-04-23 2020-11-0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식별 디바이스를 활용하여 플릿 시스템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CN112277879A (zh) * 2019-07-25 2021-01-29 长城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车辆启动控制方法和系统
CN110633136A (zh) * 2019-08-15 2019-12-31 北京致行慕远科技有限公司 一种共享车的控制方法、装置和存储介质
DE102019213701A1 (de) * 2019-09-10 2021-03-11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Fortbewegungsmittel,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Vorbereiten einer Autorisierung einer Nutzungssituation eines Fortbewegungsmittels
JP7095008B2 (ja) * 2020-03-18 2022-07-0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制御システム、車両制御方法、及び、車両制御用プログラム
WO2022107362A1 (ja) * 2020-11-17 2022-05-27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船舶推進装置のための利用管理システム、船舶推進装置、ユーザ端末装置および使用権管理サーバ
CN113282033A (zh) * 2021-05-12 2021-08-20 广汽菲亚特克莱斯勒汽车有限公司广州分公司 一种工业设备远程控制系统及控制方法
CN114153194A (zh) * 2021-11-29 2022-03-08 北奔重型汽车集团有限公司 一种整车电气设备智能化下线质检系统
CN114973465B (zh) * 2022-06-13 2023-06-06 东风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自动监管金融授信车辆的方法
CN115297150B (zh) * 2022-08-04 2023-09-22 北京物资学院 一种车载单元控制方法及系统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59812A (ja) 2000-08-15 2002-02-26 Pioneer Electronic Corp 車両盗難防止システム
JP3597772B2 (ja) 2000-09-29 2004-12-08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盗難防止システム及び盗難防止方法
JP4534455B2 (ja) 2003-09-22 2010-09-01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遠隔操作システム
JP2014146120A (ja) 2013-01-28 2014-08-14 Itako Auto Service Co Ltd オートローン又はオートリース用の管理システム
WO2016167350A1 (ja) 2015-04-17 2016-10-20 Global Mobility Service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70050614A1 (en) * 2013-12-04 2017-02-23 Daimler Ag System and method for shutting down an unlawfully utilized vehicle
WO2018116480A1 (ja) * 2016-12-22 2018-06-28 Global Mobility Service 株式会社 車両遠隔制御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7772B2 (ja) 1981-12-04 1984-02-21 工業技術院長 チタン多元系水素吸蔵用合金
US5917405A (en) 1993-06-08 1999-06-29 Joao; Raymond Anthony Control apparatus and methods for vehicles
US6850153B1 (en) * 1999-07-07 2005-02-01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Vehicle sharing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or securing vehicle access and/or enablement
JP2005075302A (ja) * 2003-09-03 2005-03-24 Denso Corp 車両盗難防止装置
US7564348B2 (en) 2004-11-05 2009-07-21 Wirelesswerx International, Inc. Method and system to monitor movable entities
EP1846934A4 (en) * 2005-02-10 2011-03-23 Payment Protection Sys Inc VEHICLE PAYMENT SYSTEM AND METHOD WITH BIDRETURN COMMUNICATION CONNECTION
JP4479573B2 (ja) * 2005-04-13 2010-06-0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盗難防止装置
US20060293842A1 (en) 2005-05-19 2006-12-28 Roy Casino Vehicle recovery system and method
US20080258890A1 (en) * 2006-05-22 2008-10-23 Todd Follmer System and Method for Remotely Deactivating a Vehicle
FR2914096B1 (fr) * 2007-03-23 2010-08-27 Renault Sas Systeme de gestion d'une flotte de vehicules automobiles accessibles via une cle a memoire et procede de gestion de la flotte correspondante.
DE102008020914A1 (de) * 2007-11-06 2009-05-14 Klotz, Werner Elektronisch programmierbare Freigabe- Fahrerlaubnis Lizenz- "Mobil"- Funkfernbedienungs- Kontroll- System- oder Schlüsselsteuerung
US8799037B2 (en) * 2010-10-14 2014-08-05 Palto Alto Research Center Incorporated Computer-implemented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motor vehicle parking reservations
US9406086B2 (en) * 2010-11-03 2016-08-02 Endeavoring, Llc System and method for violation enforcement utilizing vehicle immobilization
US10706647B2 (en) * 2010-12-02 2020-07-07 Zonar 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a vehicle inspection waiver program
US8736419B2 (en) * 2010-12-02 2014-05-27 Zonar Systems Method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a vehicle inspection waiver program
KR101881167B1 (ko) * 2011-06-13 2018-07-23 주식회사 케이티 차량 제어 시스템
US8612137B2 (en) * 2011-07-18 2013-12-17 Ituran Usa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tracking parking behavior of a vehicle
US9248790B2 (en) * 2012-02-17 2016-02-02 United Parcel Service Of America, Inc. Methods, apparatuse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measuring vehicle carbon footprint
DE102012101836B4 (de) * 2012-03-05 2014-07-17 Oliver Lünstedt Mobilfunk-basierte zusätzliche elektronische Wegfahrsperre mit Türöffner mit Diebstahlalarm
FR2996507B1 (fr) * 2012-10-05 2015-03-27 Renault Sa Systeme de protection d'un vehicule automobile
JP6237128B2 (ja) * 2013-11-01 2017-11-29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駐車自動課金装置、課金処理アプリケーションプログラム、駐車エリア自動課金システム
US9168893B1 (en) * 2014-04-22 2015-10-27 Ituran Usa System, method, and appartus for remotely disabling or enabling a vehicle
CN107107867B (zh) * 2014-09-29 2019-04-12 莱尔德无线技术(上海)有限公司 远程信息处理装置和控制车辆的点火的方法
US20160104135A1 (en) * 2014-10-11 2016-04-14 Joseph Ike Afeli Configurable Rolling Payment System and Method for Regular or Telematics Secured Vehicle Financing
DE102014221749A1 (de) * 2014-10-27 2016-04-28 Robert Bosch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etreiben eines Fahrzeugs
JP3200244U (ja) * 2015-07-23 2015-10-08 株式会社ミクニ 車両の盗難防止システム
US10412088B2 (en) * 2015-11-09 2019-09-10 Silvercar, Inc. Vehicle access systems and methods
WO2017207644A1 (en) * 2016-06-03 2017-12-07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vehicle access and function control utilizing a portable device
JP6797358B2 (ja) * 2016-09-15 2020-12-09 オムロン株式会社 制御装置及び制御システム
CN108238051B (zh) * 2016-12-23 2020-08-11 法雷奥汽车内部控制(深圳)有限公司 控制车辆引擎的方法和引擎控制设备
CN107563521A (zh) * 2017-07-27 2018-01-09 深圳市盛路物联通讯技术有限公司 一种安全管理方法及终端设备
JP6607301B2 (ja) * 2017-12-28 2019-11-2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支援装置、支援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支援システム
US11091133B2 (en) * 2017-12-31 2021-08-17 Hyliion Inc. Vehicle immobilization mechanism
US11966838B2 (en) * 2018-06-19 2024-04-23 Nvidia Corporation Behavior-guided path planning in autonomous machine applications
US11579629B2 (en) * 2019-03-15 2023-02-14 Nvidia Corporation Temporal information prediction in autonomous machine applications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59812A (ja) 2000-08-15 2002-02-26 Pioneer Electronic Corp 車両盗難防止システム
JP3597772B2 (ja) 2000-09-29 2004-12-08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盗難防止システム及び盗難防止方法
JP4534455B2 (ja) 2003-09-22 2010-09-01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遠隔操作システム
JP2014146120A (ja) 2013-01-28 2014-08-14 Itako Auto Service Co Ltd オートローン又はオートリース用の管理システム
US20170050614A1 (en) * 2013-12-04 2017-02-23 Daimler Ag System and method for shutting down an unlawfully utilized vehicle
WO2016167350A1 (ja) 2015-04-17 2016-10-20 Global Mobility Service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18116480A1 (ja) * 2016-12-22 2018-06-28 Global Mobility Service 株式会社 車両遠隔制御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PH12019502821A1 (en) 2020-10-26
TW202005842A (zh) 2020-02-01
EP3822131A4 (en) 2022-02-23
US11285916B2 (en) 2022-03-29
KR102564648B1 (ko) 2023-08-08
WO2020012570A1 (ja) 2020-01-16
CN112272631B (zh) 2022-06-07
KR20210138147A (ko) 2021-11-18
JPWO2020012570A1 (ja) 2020-07-30
BR112020024732A2 (pt) 2021-03-23
US20210237683A1 (en) 2021-08-05
MX2020013065A (es) 2021-03-02
EP3822131A1 (en) 2021-05-19
EP3822131B1 (en) 2023-04-26
BR112020024732B1 (pt) 2021-12-28
CN112272631A (zh) 2021-01-26
KR102326501B1 (ko) 2021-11-16
JP6496896B1 (ja) 2019-04-10
MY191311A (en) 2022-06-15
TWI711551B (zh) 2020-12-01
US20220169202A1 (en) 2022-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64648B1 (ko)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 통신 모듈, 차량, 서버, 차량 원격 제어 방법, 차량 원격 제어 프로그램 및 기억 매체
JP6476407B1 (ja) 車両起動制御システム、車載器、車両、サーバ、車両起動方法、車両起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JP6238038B1 (ja) 車両遠隔制御システム
US20220379839A1 (en) Vehicle door locking and unlocking vehicle-mounted device, vehicle including vehicle-mounted device, and vehicle door locking and unlocking system including vehicle-mounted device
TWI711992B (zh) 車輛遠距控制系統、車載器或通信模組、車輛、伺服器、車輛遠距控制方法、車輛遠距控制程式及記憶媒體
US11847695B2 (en) Credit screening support system, vehicle-mounted device, vehicle, server, credit screening support method, credit screening support program, and storage medi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