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3381A - 벨트 통과구 - Google Patents

벨트 통과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3381A
KR20200133381A KR1020207030459A KR20207030459A KR20200133381A KR 20200133381 A KR20200133381 A KR 20200133381A KR 1020207030459 A KR1020207030459 A KR 1020207030459A KR 20207030459 A KR20207030459 A KR 20207030459A KR 20200133381 A KR20200133381 A KR 202001333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bracket
belt
protrusion
body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304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시타카 사사야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엔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엔슈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엔슈
Publication of KR202001333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33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24Anchoring devices secured to the side, door, or roof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20Anchoring devices adjustable in position, e.g. in height
    • B60R22/201Anchoring devices adjustable in position, e.g. in height with the belt anchor connected to a slider movable in a vehicle-mounted tr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022/1818Belt gu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022/1818Belt guides
    • B60R2022/1831Belt guides comprising a slotted plate sliding in its plane, e.g. inside circular gui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브래킷에서는, 돌출부가, 브래킷 본체로부터 돌출되어 통과구멍의 둘레면(周面)을 구성하는 동시에, 통과구멍의 전체 둘레(全周)에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브래킷의 구성을 간단히 할 수 있다. 또한, 통과구멍의 폭 사이즈가 돌출부의 통과구멍 반경방향(radial direction, 徑方向) 사이즈 이하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웨빙(webbing)의 통과구멍에서의 겹침(重合)을 억제할 수 있다.

Description

벨트 통과구
[0001] 본 발명은, 차량의 시트벨트(seat belt) 장치용의 벨트가 통과되는 벨트 통과구(通過具)에 관한 것이다.
[0002] 일본 실용신안공개공보 H06-990호에 기재된 웨빙(webbing) 통과 구조에서는, 차체에 있어서 웨빙이 풀려 나오는 구멍에 시트벨트 장식쇠(escutcheon)가 장착되어 있고, 시트벨트 장식쇠의 웨빙 도출 구멍에 웨빙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통과된다.
[0003] 여기서, 이와 같은 웨빙 통과 구조에서는, 구성을 간단히 할 수 있음과 동시에, 웨빙의 웨빙 도출 구멍 내에서의 겹침(重合)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본 실용신안공개공보 H06-990호
[0004] 본 발명은, 상기 사실을 고려하여, 구성을 간단히 할 수 있음과 동시에 웨빙의 통과구멍에서의 겹침을 억제할 수 있는 벨트 통과구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0005]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벨트 통과구는, 차량의 시트벨트 장치용의 벨트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통과되는 통과구멍이 형성되는 본체 부재와, 상기 본체 부재에 돌출되어 설치되어 상기 통과구멍의 둘레면(周面)을 구성하는 동시에, 상기 통과구멍의 전체 둘레(全周)에 배치되고, 상기 통과구멍의 폭 사이즈가 상기 통과구멍 반경방향(radial direction, 徑方向) 사이즈 이하로 되는 돌출부를 구비한다.
[0006] 본 발명의 제2 양태의 벨트 통과구는, 차량의 시트벨트 장치용의 벨트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통과되는 통과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통과구멍의 폭 사이즈가 두께(肉厚) 사이즈 이하로 되는 본체 부재와, 상기 본체 부재에 돌출되어 설치되어 상기 통과구멍의 둘레면을 구성하는 동시에, 상기 통과구멍의 전체 둘레에 배치되는 돌출부를 구비한다.
[0007] 본 발명의 제3 양태의 벨트 통과구는, 차량의 시트벨트 장치용의 벨트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통과되는 통과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통과구멍의 폭 사이즈가 상기 벨트의 두께 사이즈의 2배 이하로 되는 본체 부재와, 상기 본체 부재에 돌출되어 설치되어 상기 통과구멍의 둘레면을 구성하는 동시에, 상기 통과구멍의 전체 둘레에 배치되는 돌출부를 구비한다.
[0008] 본 발명의 제4 양태의 벨트 통과구는, 차량의 시트벨트 장치용의 벨트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통과되는 통과구멍이 형성되는 본체 부재와, 상기 본체 부재에 돌출되어 설치되어 상기 통과구멍의 둘레면을 구성하는 동시에, 상기 통과구멍의 전체 둘레에 배치되고, 상기 통과구멍의 폭 사이즈가 돌출 사이즈 이하로 되는 돌출부를 구비한다.
[0009] 본 발명의 제5 양태의 벨트 통과구는, 차량의 시트벨트 장치용의 벨트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통과되는 통과구멍이 형성되는 본체 부재와, 상기 본체 부재의 양측에 돌출되어 설치되어 각각 상기 통과구멍의 둘레면을 구성하는 동시에, 각각 상기 통과구멍의 전체 둘레에 배치되고, 상기 통과구멍의 폭 사이즈가 돌출 사이즈의 합계 이하로 되는 한 쌍의 돌출부를 구비한다.
[0010] 본 발명의 제6 양태의 벨트 통과구는, 본 발명의 제1 양태 내지 제5 양태 중 어느 하나의 벨트 통과구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가 상기 통과구멍의 길이방향 외측에 있어서 만곡된다.
[0011]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벨트 통과구에서는, 본체 부재에 통과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차량의 시트벨트 장치용의 벨트가 통과구멍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통과된다.
[0012] 여기서, 돌출부가, 본체 부재에 돌출되어 설치되어 통과구멍의 둘레면을 구성하는 동시에, 통과구멍의 전체 둘레에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벨트의 손상을 돌출부에 의해 억제할 수 있고, 본체 부재에 다른 부품을 장착할 필요를 없앨 수 있어, 구성을 간단히 할 수 있다.
[0013] 또한, 통과구멍의 폭 사이즈가 돌출부의 통과구멍 반경방향 사이즈 이하로 된다. 이 때문에, 웨빙의 통과구멍에서의 겹침을 억제할 수 있다.
[0014] 본 발명의 제2 양태의 벨트 통과구에서는, 본체 부재에 통과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차량의 시트벨트 장치용의 벨트가 통과구멍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통과된다.
[0015] 여기서, 돌출부가, 본체 부재에 돌출되어 설치되어 통과구멍의 둘레면을 구성하는 동시에, 통과구멍의 전체 둘레에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벨트의 손상을 돌출부에 의해 억제할 수 있고, 본체 부재에 다른 부품을 장착할 필요를 없앨 수 있어, 구성을 간단히 할 수 있다.
[0016] 또한, 통과구멍의 폭 사이즈가 본체 부재의 두께 사이즈 이하로 된다. 이 때문에, 웨빙의 통과구멍에서의 겹침을 억제할 수 있다.
[0017] 본 발명의 제3 양태의 벨트 통과구에서는, 본체 부재에 통과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차량의 시트벨트 장치용의 벨트가 통과구멍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통과된다.
[0018] 여기서, 돌출부가, 본체 부재에 돌출되어 설치되어 통과구멍의 둘레면을 구성하는 동시에, 통과구멍의 전체 둘레에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벨트의 손상을 돌출부에 의해 억제할 수 있고, 본체 부재에 다른 부품을 장착할 필요를 없앨 수 있어, 구성을 간단히 할 수 있다.
[0019] 또한, 통과구멍의 폭 사이즈가 벨트의 두께 사이즈의 2배 이하로 된다. 이 때문에, 웨빙의 통과구멍에서의 겹침을 억제할 수 있다.
[0020] 본 발명의 제4 양태의 벨트 통과구에서는, 본체 부재에 통과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차량의 시트벨트 장치용의 벨트가 통과구멍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통과된다.
[0021] 여기서, 돌출부가, 본체 부재에 돌출되어 설치되어 통과구멍의 둘레면을 구성하는 동시에, 통과구멍의 전체 둘레에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벨트의 손상을 돌출부에 의해 억제할 수 있고, 본체 부재에 다른 부품을 장착할 필요를 없앨 수 있어, 구성을 간단히 할 수 있다.
[0022] 또한, 통과구멍의 폭 사이즈가 돌출부의 돌출 사이즈 이하로 된다. 이 때문에, 웨빙의 통과구멍에서의 겹침을 억제할 수 있다.
[0023] 본 발명의 제5 양태의 벨트 통과구에서는, 본체 부재에 통과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차량의 시트벨트 장치용의 벨트가 통과구멍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통과된다.
[0024] 여기서, 한 쌍의 돌출부가, 본체 부재의 양측에 돌출되어 설치되어 각각 통과구멍의 둘레면을 구성하는 동시에, 각각 통과구멍의 전체 둘레에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벨트의 손상을 돌출부에 의해 억제할 수 있고, 본체 부재에 다른 부품을 장착할 필요를 없앨 수 있어, 구성을 간단히 할 수 있다.
[0025] 또한, 통과구멍의 폭 사이즈가 한 쌍의 돌출부의 돌출 사이즈의 합계 이하로 된다. 이 때문에, 웨빙의 통과구멍에서의 겹침을 억제할 수 있다.
[0026] 본 발명의 제6 양태의 벨트 통과구에서는, 돌출부가 통과구멍의 길이방향 외측에 있어서 만곡된다. 이 때문에, 돌출부의 강도를 통과구멍의 길이방향 외측에 있어서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브래킷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단면도(도 1b의 1A-1A선 단면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브래킷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브래킷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단면도(도 1b의 1A-1A선 위치 단면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브래킷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단면도(도 1b의 1A-1A선 위치 단면도)이다.
도 2c는,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따른 브래킷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단면도(도 1b의 1A-1A선 위치 단면도)이다.
도 2d는,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에 따른 브래킷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단면도(도 1b의 1A-1A선 위치 단면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제6 실시형태에 따른 브래킷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단면도(도 1b의 1A-1A선 위치 단면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제7 실시형태에 따른 브래킷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단면도(도 1b의 1A-1A선 위치 단면도)이다.
도 3c는, 본 발명의 제8 실시형태에 따른 브래킷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단면도(도 1b의 1A-1A선 위치 단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제9 실시형태에 따른 브래킷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제10 실시형태에 따른 브래킷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c는, 본 발명의 제11 실시형태에 따른 브래킷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d는, 본 발명의 제12 실시형태에 따른 브래킷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0028] [제1 실시형태]
도 1a에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벨트 통과구로서의 브래킷(10)의 주요부가 단면도(도 1b의 1A-1A선 단면도)로 나타나 있고, 도 1b에는, 브래킷(10)의 주요부가 정면도로 나타나 있다.
[0029] 본 실시형태에 따른 브래킷(10)은, 차량의 시트벨트 장치에 사용되고 있고, 시트벨트 장치는, 차실(車室) 내의 시트(도시 생략)에 장비되어 있다. 시트벨트 장치에는, 권취 장치(도시 생략)가 설치되어 있고, 권취 장치에는, 거의 원기둥 형상의 권취축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권취축에는, 벨트로서의 긴 띠 형상의 웨빙(12)(도 1a 참조)이 기단(基端)측으로부터 권취되어 있고, 권취축은, 힘이 가해져, 웨빙(12)에 권취방향으로의 가세력(付勢力)을 작용시키고 있다. 웨빙(12)은, 권취축으로부터 가세력에 저항하여 인출되어, 시트에 착석(着座)한 탑승자에게 장착된다. 또한, 차량의 긴급 시(예컨대 충돌 시)에는, 권취 장치가 권취축으로부터 웨빙(12)이 인출되는 것을 잠근다.
[0030] 브래킷(10)은, 금속이 프레스 가공되어 제조되어 있고, 브래킷(10)은, 차체에 고정되어 있다.
[0031] 도 1a 및 도 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브래킷(10)에는, 본체 부재로서의 평판 형상의 브래킷 본체(14)가 설치되어 있다.
[0032] 브래킷 본체(14)에는, 길다란 거의 직사각형 형상의 통과구멍(16)이 관통 형성되어 있고, 통과구멍(16)의 길이방향 양 단부(端部)는, 반원 형상으로 되어 있고, 둘레면이 통과구멍(16)의 길이방향 외측으로 볼록 형상(凸狀)으로 만곡되어 있다. 통과구멍(16)의 브래킷 본체(14) 두께방향 일측에 있어서의 모서리면(角面)(16A)은, 볼록 형상으로 만곡되어 있고, 통과구멍(16)은, 모서리면(16A)에 있어서, 브래킷 본체(14)의 두께방향 일측을 향함에 따라 서서히 폭방향 및 길이방향으로 확대되고 있다. 통과구멍(16)의 폭 사이즈(W)(통과구멍(16)의 길이방향 중간부에 있어서의 최소 폭 사이즈)는, 2mm로 되어 있고(2mm 미만(예컨대 1.8mm)이어도 됨), 통과구멍(16)의 폭 사이즈(W)는, 브래킷 본체(14)의 두께 사이즈(S) 이하로 되는 동시에, 웨빙(12)의 두께 사이즈(I)의 2배 이하로 되어 있다.
[0033] 브래킷 본체(14)에는, 통과구멍(16)의 전체 둘레에 있어서, 돌출부(18)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돌출부(18)는, 브래킷 본체(14)의 두께방향 타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돌출부(18)의 내주면(內周面)은, 통과구멍(16)의 전체 둘레에 있어서, 통과구멍(16)의 둘레면을 구성하고 있고, 돌출부(18)의 길이방향 양 단부는, 통과구멍(16)의 길이방향 양 단부를 따라 반원통 형상으로 만곡되어 있고, 통과구멍(16)의 길이방향 외측으로 볼록 형상으로 만곡되어 있다. 돌출부(18)의 단면(斷面)(두께방향 및 돌출방향을 따른 단면)은, 통과구멍(16)의 전체 둘레에 있어서, 동일하게 되어 있고, 돌출부(18)의 기단부(基端部)(18A)의 단면은, 직사각형 형상으로 되는 동시에, 돌출부(18)의 선단부(先端部)(18B)의 단면은, 거의 반원 형상으로 되어 있다. 돌출부(18)의 돌출 선단면(先端面)(18C)은, 브래킷 본체(14)의 두께방향 타측(브래킷 본체(14)와는 반대측)으로 볼록 형상으로 만곡되어 있고, 통과구멍(16)의 브래킷 본체(14) 두께방향 타측에 있어서의 모서리면(16B)은, 볼록 형상으로 만곡되어 있다. 이 때문에, 통과구멍(16)은, 모서리면(16B)에 있어서, 브래킷 본체(14)의 두께방향 타측을 향함에 따라 서서히 폭방향 및 길이방향으로 확대되고 있다.
[0034] 통과구멍(16)의 폭 사이즈(W)는, 돌출부(18)의 통과구멍(16) 반경방향 사이즈(T)(통과구멍(16) 반경방향의 최대 사이즈, 두께 사이즈(최대 두께 사이즈)) 이하로 되는 동시에, 돌출부(18)의 돌출 사이즈(P)(최대 돌출 사이즈) 이하로 되어 있다.
[0035] 통과구멍(16)에는, 웨빙(12)이 통과되어 있고, 통과구멍(16)의 폭방향은, 웨빙(12)의 두께방향에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웨빙(12)은, 통과구멍(16)에 대해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고, 웨빙(12)은, 적어도 소정의 기회에, 통과구멍(16)의 둘레면에 의해 길이방향으로의 이동이 안내되는 동시에, 통과구멍(16)의 둘레면에 대해 슬라이딩된다.
[0036]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의 작용을 설명한다.
[0037] 이상의 구성의 브래킷(10)에서는, 돌출부(18)가, 브래킷 본체(14)로부터 돌출되어 통과구멍(16)의 둘레면을 구성하는 동시에, 통과구멍(16)의 전체 둘레에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웨빙(12)의 통과구멍(16) 둘레면과의 접촉 면적을 돌출부(18)에 의해 크게 할 수 있어, 웨빙(12)의 손상을 억제할 수 있고, 브래킷 본체(14)에 다른 부품을 장착할 필요를 없앨 수 있어, 브래킷(10)의 구성을 간단히 할 수 있다.
[0038] 또한, 통과구멍(16)의 폭 사이즈(W)가, 브래킷 본체(14)의 두께 사이즈(S) 이하로 되는 동시에, 돌출부(18)의 통과구멍(16) 반경방향 사이즈(T) 이하로 되어 있고, 또한, 웨빙(12)의 두께 사이즈(I)의 2배 이하로 되는 동시에, 돌출부(18)의 돌출 사이즈(P) 이하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웨빙(12)의 통과구멍(16)에서의 절곡(折曲)에 의한 겹침을 억제할 수 있다.
[0039] 또한, 돌출부(18)의 길이방향 양 단부가 통과구멍(16)의 길이방향 외측으로 볼록 형상으로 만곡되어 있다. 게다가, 상술한 바와 같이 통과구멍(16)의 폭 사이즈(W)가 작게 되어 있어, 돌출부(18)의 길이방향 양 단부의 곡률(曲率)이 크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돌출부(18)의 길이방향 양 단부의 강도를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차량의 긴급 시에 권취 장치가 권취축으로부터 웨빙(12)이 인출되는 것을 잠갔을 때, 탑승자로부터의 큰 하중이 웨빙(12)을 통해 돌출부(18)에 작용하더라도, 돌출부(18)가 손상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0040] [제2 실시형태]
도 2a에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벨트 통과구로서의 브래킷(20)의 주요부가 단면도(도 1b의 1A-1A선 위치 단면도)로 나타나 있다.
[0041] 본 실시형태에 따른 브래킷(20)은, 상기 제1 실시형태와, 거의 동일한 구성이지만, 이하의 점에서 다르다.
[0042] 도 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브래킷(20)에서는, 돌출부(18)의 돌출 선단면(18C)의 통과구멍(16) 반경방향 외측(통과구멍(16)과는 반대측)의 부분이 돌출부(18)의 돌출방향(통과구멍(16)의 축방향)에 수직으로 배치되어 있고, 돌출부(18)의 통과구멍(16) 반경방향 외측의 면은, 기단부(18A) 및 선단부(18B)에 있어서, 통과구멍(16)의 반경방향에 수직으로 배치되어 있다.
[0043]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 따른 브래킷(20)에서도, 상기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작용 및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0044] [제3 실시형태]
도 2b에는,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벨트 통과구로서의 브래킷(30)의 주요부가 단면도(도 1b의 1A-1A선 위치 단면도)로 나타나 있다.
[0045] 본 실시형태에 따른 브래킷(30)은, 상기 제2 실시형태와, 거의 동일한 구성이지만, 이하의 점에서 다르다.
[0046] 도 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브래킷(30)에서는, 돌출부(18)의 돌출 선단면(18C)의 통과구멍(16) 반경방향 내측(통과구멍(16)측)의 부분이 볼록 형상으로 만곡되지 않는 경사면으로 되어 있다.
[0047]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 따른 브래킷(30)에서도, 상기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작용 및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0048] [제4 실시형태]
도 2c에는,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따른 벨트 통과구로서의 브래킷(40)의 주요부가 단면도(도 1b의 1A-1A선 위치 단면도)로 나타나 있다.
[0049] 본 실시형태에 따른 브래킷(40)은, 상기 제1 실시형태와, 거의 동일한 구성이지만, 이하의 점에서 다르다.
[0050] 도 2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브래킷(40)에서는, 돌출부(18)의 단면이 거의 L자 형상으로 되어 있고, 돌출부(18)의 기단부(18A)는, 브래킷 본체(14)의 두께방향 타측으로 돌출되는 동시에, 돌출부(18)의 선단부(18B)는, 통과구멍(16)의 반경방향 외측(통과구멍(16)과는 반대측)으로 연장되어 나와 있다. 돌출부(18)의 기단부(18A)의 통과구멍(16)측의 면은, 통과구멍(16)측으로 오목 형상(凹狀)으로 만곡되어 있고, 돌출부(18)의 돌출 선단면(18C)은, 통과구멍(16) 반경방향의 전체에 있어서, 브래킷 본체(14)의 두께방향 타측으로 볼록 형상으로 만곡되어 있다.
[0051]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 따른 브래킷(40)에서도, 상기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작용 및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0052] [제5 실시형태]
도 2d에는,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에 따른 벨트 통과구로서의 브래킷(50)의 주요부가 단면도(도 1b의 1A-1A선 위치 단면도)로 나타나 있다.
[0053] 본 실시형태에 따른 브래킷(50)은, 상기 제4 실시형태와, 거의 동일한 구성이지만, 이하의 점에서 다르다.
[0054] 도 2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브래킷(50)에서는, 돌출부(18)의 단면이 거의 U자 형상으로 되어 있고, 돌출부(18)의 선단부(18B)에 있어서 연장되어 나온 선단(延出先端)(통과구멍(16)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나온 선단)은, 브래킷 본체(14)에 접촉되어 있다. 돌출부(18)의 선단부(18B)에 있어서 연장되어 나온 부분(통과구멍(16)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나온 부분)의 브래킷 본체(14)측의 면은, 브래킷 본체(14)의 두께방향 타측으로 오목 형상으로 만곡되어 있고, 돌출부(18)의 돌출 선단면(18C)은, 통과구멍(16) 반경방향의 전체에 있어서, 브래킷 본체(14)의 두께방향 타측으로 볼록 형상으로 만곡되어 있다.
[0055]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 따른 브래킷(50)에서도, 상기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작용 및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0056] [제6 실시형태]
도 3a에는, 본 발명의 제6 실시형태에 따른 벨트 통과구로서의 브래킷(60)의 주요부가 단면도(도 1b의 1A-1A선 위치 단면도)로 나타나 있다.
[0057] 본 실시형태에 따른 브래킷(60)은, 상기 제1 실시형태와, 거의 동일한 구성이지만, 이하의 점에서 다르다.
[0058] 도 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브래킷(60)에서는, 돌출부(18)가 브래킷 본체(14)의 두께방향 일측 및 두께방향 타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한 쌍의 돌출부(18)는, 동일 형상으로 되어 있다. 각 돌출부(18)는, 상기 제1 실시형태(도 1a 참조)의 선단부(18B)뿐인 형상(기단부(18A)를 제외한 형상)으로 되어 있고, 통과구멍(16)의 모서리면(16A)은, 브래킷 본체(14)의 두께방향 일측의 돌출부(18)가 구성하는 동시에, 통과구멍(16)의 모서리면(16B)은, 브래킷 본체(14)의 두께방향 타측의 돌출부(18)가 구성하고 있다. 또한, 통과구멍(16)의 폭 사이즈(W)는, 한 쌍의 돌출부(18)의 돌출 사이즈(P)의 합계 이하로 되어 있다.
[0059]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 따른 브래킷(60)에서도, 상기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작용 및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0060] 특히, 통과구멍(16)의 폭 사이즈(W)가 한 쌍의 돌출부(18)의 돌출 사이즈(P)의 합계 이하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웨빙(12)의 통과구멍(16)에서의 절곡에 의한 겹침을 억제할 수 있다.
[0061] [제7 실시형태]
도 3b에는, 본 발명의 제7 실시형태에 따른 벨트 통과구로서의 브래킷(70)의 주요부가 단면도(도 1b의 1A-1A선 위치 단면도)로 나타나 있다.
[0062] 본 실시형태에 따른 브래킷(70)은, 상기 제6 실시형태와, 거의 동일한 구성이지만, 이하의 점에서 다르다.
[0063] 도 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브래킷(70)에서는, 각 돌출부(18)가 상기 제2 실시형태(도 2a 참조)의 선단부(18B)뿐인 형상(기단부(18A)를 제외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0064]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 따른 브래킷(70)에서도, 상기 제6 실시형태와 동일한 작용 및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0065] [제8 실시형태]
도 3c에는, 본 발명의 제8 실시형태에 따른 벨트 통과구로서의 브래킷(80)의 주요부가 단면도(도 1b의 1A-1A선 위치 단면도)로 나타나 있다.
[0066] 본 실시형태에 따른 브래킷(80)은, 상기 제6 실시형태와, 거의 동일한 구성이지만, 이하의 점에서 다르다.
[0067] 도 3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브래킷(80)에서는, 각 돌출부(18)가 상기 제3 실시형태(도 2b 참조)의 선단부(18B)뿐인 형상(기단부(18A)를 제외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0068]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 따른 브래킷(80)에서도, 상기 제6 실시형태와 동일한 작용 및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0069] [제9 실시형태]
도 4a에는, 본 발명의 제9 실시형태에 따른 벨트 통과구로서의 브래킷(90)의 주요부가 정면도로 나타나 있다.
[0070] 본 실시형태에 따른 브래킷(90)은, 상기 제1 실시형태와, 거의 동일한 구성이지만, 이하의 점에서 다르다.
[0071] 도 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브래킷(90)에서는, 통과구멍(16)의 길이방향 양 단부가 통과구멍(16)의 폭방향 일측(예컨대 하측)으로 연장되어 나와 있다.
[0072]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 따른 브래킷(90)에서도, 상기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작용 및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0073] [제10 실시형태]
도 4b에는, 본 발명의 제10 실시형태에 따른 벨트 통과구로서의 브래킷(100)의 주요부가 정면도로 나타나 있다.
[0074] 본 실시형태에 따른 브래킷(100)은, 상기 제9 실시형태와, 거의 동일한 구성이지만, 이하의 점에서 다르다.
[0075] 도 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브래킷(100)에서는, 통과구멍(16)의 길이방향 양 단부가 통과구멍(16)의 폭방향 일측 및 폭방향 타측(예컨대 상측 및 하측)으로 연장되어 나와 있다.
[0076]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 따른 브래킷(100)에서도, 상기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작용 및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0077] [제11 실시형태]
도 4c에는, 본 발명의 제11 실시형태에 따른 벨트 통과구로서의 브래킷(110)의 주요부가 정면도로 나타나 있다.
[0078] 본 실시형태에 따른 브래킷(110)은, 상기 제9 실시형태와, 거의 동일한 구성이지만, 이하의 점에서 다르다.
[0079] 도 4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브래킷(110)에서는, 통과구멍(16)에 있어서 각각 연장되어 나온 부분(통과구멍(16) 폭방향 일측으로 연장되어 나온 부분)의 통과구멍(16) 길이방향 외측의 단면(端面)(16C)이 통과구멍(16)의 폭방향 일측을 향함에 따라 통과구멍(16)의 길이방향 외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0080]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 따른 브래킷(110)에서도, 상기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작용 및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0081] [제12 실시형태]
도 4d에는, 본 발명의 제12 실시형태에 따른 벨트 통과구로서의 브래킷(120)의 주요부가 정면도로 나타나 있다.
[0082] 본 실시형태에 따른 브래킷(120)은, 상기 제1 실시형태와, 거의 동일한 구성이지만, 이하의 점에서 다르다.
[0083] 도 4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브래킷(120)에서는, 통과구멍(16)의 길이방향 양 단부가 원 형상으로 되어 있다. 통과구멍(16)의 길이방향 양 단부의 중심은, 통과구멍(16)의 폭방향 중앙선이 통과하고 있고, 통과구멍(16)의 길이방향 양 단부는, 통과구멍(16)의 폭방향 양측으로 확대되어 있다.
[0084]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 따른 브래킷(120)에서도, 상기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작용 및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0085] 또한, 상기 제9 실시형태~제12 실시형태에서는, 브래킷 본체(14)에 상기 제1 실시형태의 돌출부(18)(도 1a 참조)를 설치하였다. 그러나, 상기 제9 실시형태~제12 실시형태에 있어서, 브래킷 본체(14)에 상기 제2 실시형태~제8 실시형태의 돌출부(18)(도 2a~도 2d 및 도 3a~도 3c 참조)를 설치해도 된다.
[0086] 또한, 상기 제1 실시형태~제12 실시형태에서는, 통과구멍(16)의 폭 사이즈(W)를 2mm로 하였다. 그러나, 통과구멍(16)의 폭 사이즈(W)는, 8mm 이하이면 된다.
[0087] 또한, 상기 제1 실시형태~제12 실시형태에서는, 벨트 통과구를 브래킷(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110, 120)으로 하였다.
[0088] 그러나, 벨트 통과구를 스테이 어퍼(stay upper)로 해도 된다. 이 경우, 스테이 어퍼는 권취 장치에 고정되어, 권취축으로부터 인출된 웨빙(12)이 스테이 어퍼의 통과구멍에 통과된다.
[0089] 또한, 벨트 통과구를 텅(tongue)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 텅은 시트벨트 장치의 버클에 걸림고정(係止)되어, 웨빙(12)이 탑승자에게 장착된다.
[0090] 또한, 벨트 통과구를 스루 앵커(through anchor)로 해도 된다. 이 경우, 스루 앵커는 차체에 회동(回動) 가능하게 지지된다.
10: 브래킷(벨트 통과구)
12: 웨빙(벨트)
14: 브래킷 본체(본체 부재)
16: 통과구멍
18: 돌출부
20: 브래킷(벨트 통과구)
30: 브래킷(벨트 통과구)
40: 브래킷(벨트 통과구)
50: 브래킷(벨트 통과구)
60: 브래킷(벨트 통과구)
70: 브래킷(벨트 통과구)
80: 브래킷(벨트 통과구)
90: 브래킷(벨트 통과구)
100: 브래킷(벨트 통과구)
110: 브래킷(벨트 통과구)
120: 브래킷(벨트 통과구)

Claims (6)

  1. 차량의 시트벨트 장치용의 벨트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통과되는 통과구멍이 형성되는 본체 부재와,
    상기 본체 부재에 돌출되어 설치되어 상기 통과구멍의 둘레면(周面)을 구성하는 동시에, 상기 통과구멍의 전체 둘레(全周)에 배치되고, 상기 통과구멍의 폭 사이즈가 상기 통과구멍 반경방향(radial direction, 徑方向) 사이즈 이하로 되는 돌출부
    를 구비하는 벨트 통과구.
  2. 차량의 시트벨트 장치용의 벨트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통과되는 통과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통과구멍의 폭 사이즈가 두께(肉厚) 사이즈 이하로 되는 본체 부재와,
    상기 본체 부재에 돌출되어 설치되어 상기 통과구멍의 둘레면을 구성하는 동시에, 상기 통과구멍의 전체 둘레에 배치되는 돌출부
    를 구비하는 벨트 통과구.
  3. 차량의 시트벨트 장치용의 벨트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통과되는 통과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통과구멍의 폭 사이즈가 상기 벨트의 두께 사이즈의 2배 이하로 되는 본체 부재와,
    상기 본체 부재에 돌출되어 설치되어 상기 통과구멍의 둘레면을 구성하는 동시에, 상기 통과구멍의 전체 둘레에 배치되는 돌출부
    를 구비하는 벨트 통과구.
  4. 차량의 시트벨트 장치용의 벨트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통과되는 통과구멍이 형성되는 본체 부재와,
    상기 본체 부재에 돌출되어 설치되어 상기 통과구멍의 둘레면을 구성하는 동시에, 상기 통과구멍의 전체 둘레에 배치되고, 상기 통과구멍의 폭 사이즈가 돌출 사이즈 이하로 되는 돌출부
    를 구비하는 벨트 통과구.
  5. 차량의 시트벨트 장치용의 벨트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통과되는 통과구멍이 형성되는 본체 부재와,
    상기 본체 부재의 양측에 돌출되어 설치되어 각각 상기 통과구멍의 둘레면을 구성하는 동시에, 각각 상기 통과구멍의 전체 둘레에 배치되고, 상기 통과구멍의 폭 사이즈가 돌출 사이즈의 합계 이하로 되는 한 쌍의 돌출부
    를 구비하는 벨트 통과구.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가 상기 통과구멍의 길이방향 외측에 있어서 만곡되는 벨트 통과구.
KR1020207030459A 2018-04-26 2018-04-26 벨트 통과구 KR2020013338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8/017064 WO2019207734A1 (ja) 2018-04-26 2018-04-26 ベルト通過具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3381A true KR20200133381A (ko) 2020-11-27

Family

ID=682938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0459A KR20200133381A (ko) 2018-04-26 2018-04-26 벨트 통과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10237679A1 (ko)
EP (1) EP3786006A4 (ko)
JP (1) JPWO2019207734A1 (ko)
KR (1) KR20200133381A (ko)
CN (1) CN112004726A (ko)
WO (1) WO2019207734A1 (ko)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21694Y2 (ko) * 1974-09-27 1980-05-24
JPH06990U (ja) 1992-06-17 1994-01-11 河西工業株式会社 シートベルトエスカッション
US5364170A (en) * 1993-01-25 1994-11-15 Hoover Universal, Inc. Seat belt webbing guide
JP3281226B2 (ja) * 1995-08-30 2002-05-13 株式会社遠州 シートベルト装置用ベルト取付金具
KR100196280B1 (ko) * 1996-09-13 1999-06-15 정몽규 자동차의 시트벨트 구속장치
JP3041981U (ja) * 1997-03-31 1997-10-03 ミヤマ工業株式会社 シートベルト用ステーアッパ
JP4142201B2 (ja) * 1999-04-28 2008-09-03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スルーアンカ
JP3382903B2 (ja) * 1999-11-01 2003-03-04 株式会社遠州 シートベルト装置用ベルト取付金具の製造方法
JP4524518B2 (ja) * 2000-09-21 2010-08-18 Tkj株式会社 ウェビング挿通部材
JP3857554B2 (ja) * 2001-06-20 2006-12-13 有限会社睦道研究所 シートベルト装置用スリップアンカ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5041458A (ja) * 2003-07-22 2005-02-17 Jin Hee Kang 改善されたピラーアンカー及びその製造方法
JP5726129B2 (ja) * 2012-05-14 2015-05-27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シートベルト装置
JP2014129032A (ja) * 2012-12-28 2014-07-10 Ashimori Ind Co Ltd シートベルト用リトラクタ
JP5848449B2 (ja) * 2013-12-18 2016-01-27 株式会社遠州 スルーアンカ
WO2015092892A1 (ja) * 2013-12-18 2015-06-25 株式会社遠州 スルーアンカ
KR20210016098A (ko) * 2014-01-27 2021-02-10 가부시키가이샤 엔슈 벨트 부착구
US9988012B2 (en) * 2014-03-05 2018-06-0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eat belt system
JP6314768B2 (ja) * 2014-09-24 2018-04-25 トヨタ車体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
JP6081521B2 (ja) * 2015-05-28 2017-02-15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ウェビングガイド及びシートベルト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일본 실용신안공개공보 H06-990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9207734A1 (ja) 2021-02-12
US20210237679A1 (en) 2021-08-05
EP3786006A1 (en) 2021-03-03
EP3786006A4 (en) 2022-05-04
CN112004726A (zh) 2020-11-27
WO2019207734A1 (ja) 2019-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43512B2 (ja) タングおよびこれを用いたシートベルト装置
JP5808093B2 (ja) タングおよびこれを用いたシートベルト装置
JP2003089345A (ja) シートベルト用ガイドアンカー
JP5823440B2 (ja) スルーアンカ
KR20200133381A (ko) 벨트 통과구
US6508143B2 (en) Structure for mounting to steering wheel
JP2016210270A (ja) タング及びシートベルト装置
CN109987053B (zh) 带安装器
JP3948586B2 (ja) カーゴネット
JP5954264B2 (ja) ワイヤーハーネス付きカーペット及びワイヤーハーネス付きカーペットの製造方法
US20030034415A1 (en) Seat belt retractor
WO2014185019A1 (ja) ルーフキャリア用プロテクター
JP6975023B2 (ja) グロメットおよびグロメット取付構造
JP4812663B2 (ja) クリップ
JP6705161B2 (ja) タングプレート保持具
JP4668740B2 (ja) グロメット
JP2001347920A (ja) シートベルト装置
JP4571680B2 (ja) スルーアンカ
JP2019018854A (ja) ベルト取付具
JP2013028256A (ja) シートベルト巻取装置
KR200229697Y1 (ko)
JPWO2015092890A1 (ja) スルーアンカ
JPH10203308A (ja) ウエビング巻取装置
KR200222675Y1 (ko) 버클베이스
KR200229795Y1 (ko) 필러 앵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